맨위로가기

대항해시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항해시대는 15세기부터 17세기까지 유럽 국가들이 새로운 항로를 개척하고 식민지를 건설하며 세계를 탐험한 시기를 의미한다. 오스만 제국의 지중해 제해권 장악으로 인해 새로운 무역로 개척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포르투갈과 스페인을 중심으로 항해 기술 발전과 중앙 집권화가 이루어지면서 대서양 항해가 시작되었다. 포르투갈은 아프리카를, 스페인은 아메리카 대륙을 탐험하며 식민지를 건설했고, 이후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등 다른 유럽 국가들도 참여하여 세계 무역과 식민 지배 경쟁이 심화되었다. 이 시기는 유럽의 경제적,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세계 각 지역 간의 교류를 촉진했지만, 아메리카 원주민의 문명 파괴, 노예 무역, 식민 지배 등 부정적인 결과도 초래했다. 대항해시대는 유럽 중심의 세계 질서를 형성하고, 세계 은 무역, 콜럼버스 교환, 동서양 간의 문물 교류 등 다양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들에게는 서구 열강의 침략과 식민 지배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역사적 전환점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리학의 역사 - 지구의 역사
    지구의 역사는 약 46억 년 전 태양계 형성부터 시작하여 철 재앙, 달의 생성, 생명 탄생, 판 구조론, 대산소화 사건, 눈덩이 지구, 캄브리아기 대폭발, 공룡 번성, 포유류와 인류의 등장 등을 거치며 현재에 이르는 지구의 주요 사건과 진화를 포괄한다.
  • 지리학의 역사 - 메르카토르 도법
    메르카토르 도법은 지구본을 원통에 투영한 등각 투영법으로, 각과 방위각이 정확하고 등각 항로가 직선으로 표현되어 해상 항해에 유용하지만, 위도가 높아질수록 면적 왜곡이 심해 극지방 표현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어 현재는 특정 분야에서 주로 활용된다.
  • 유럽의 근세사 - 왕권신수설
    왕권신수설은 군주가 신으로부터 통치 권한을 부여받았다는 정치·종교적 이론으로, 고대부터 중세 유럽까지 널리 사용되었으나, 종교 개혁과 계몽주의의 등장으로 쇠퇴했다.
  • 유럽의 근세사 - 신고전주의
    신고전주의는 18세기부터 19세기 유럽에서 고대 그리스·로마 예술의 부흥을 추구하며 시작된 예술 사조로, 조화와 균형, 이성적인 형태를 강조하여 회화, 조각, 건축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고 프랑스 혁명과 나폴레옹 시대를 거치며 제정 양식으로 발전, 20세기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 해양사 - 범선 시대
    범선 시대는 범선이 군함과 상선으로 주요 역할을 한 시대로, 18세기 중반부터 19세기 초 "범선의 황금기"를 거쳐 증기선의 등장과 수에즈 운하 개통으로 쇠퇴했으나, 현재 지속가능성 증대로 풍력 보조 선박 연구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이 모색되고 있다.
  • 해양사 - 잠수함의 역사
    잠수함의 역사는 고대부터 시작되어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되었고, 16세기부터 설계 및 제작이 이루어졌으며, 20세기에는 디젤-전기 추진 방식과 핵추진 기술을 거쳐 현대 잠수함으로 발전했다.
대항해시대
지도 정보
주요 정보
시기15세기 초 ~ 17세기 초
시대 배경르네상스
종교개혁
중상주의
주요 동기새로운 무역로 개척
향신료 무역 확보
기독교 전파
부와 권력 추구
주요 활동해양 탐험
식민지 개척
무역 확장
노예 무역
주요 결과유럽 중심주의 강화
세계 무역 확대
식민주의 확산
아메리카 대륙과의 교류
질병 및 문화 교류
탐험가 및 항해
주요 탐험가바르톨로메우 디아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바스코 다 가마
페르디난드 마젤란
주요 항해아프리카 항로 개척 (바르톨로메우 디아스)
아메리카 대륙 발견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인도 항로 개척 (바스코 다 가마)
세계 일주 (페르디난드 마젤란)
주요 국가
주요 국가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
잉글랜드
프랑스
기술 발전
주요 기술 발전나침반
천체 관측 기기 (예: 사분의, 육분의)
지도 제작법 발달
캐러벨과 같은 신형 선박 개발
화약 및 화포 사용
경제적 영향
무역대서양 무역의 활성화
향신료 무역 경쟁 심화
식민지 착취를 통한 부의 축적
중상주의중상주의 정책의 확산
경제 구조 변화유럽 경제 구조의 변화
문화 및 사회적 영향
문화 교류유럽 문화의 확산
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 문화의 유럽 유입
종교 전파기독교 전파 및 종교 갈등
사회 변화유럽 사회의 변화와 계층 구조 재편
인종차별 및 노예제 심화
다른 명칭
다른 명칭발견 시대 (Age of Discovery)
대항해 시대 (Great Age of Navigation)
항해의 시대 (Age of Exploration)
참고 자료
참고 자료The Atlantic (Paul Butel)
The Cambridge Economic History of India: Volume 1, C.1200-c.1750 (Tapan Raychaudhuri)
Portuguese, The - Banglapedia
Medieval Italy: An Encyclopedia (Christopher Kleinhenz)

2. 배경

15세기, 몽골 제국이 쇠퇴하자 강력한 관료 조직과 군사 조직을 갖춘 오스만 제국1453년 비잔티움 제국을 멸망시키고, 이탈리아 여러 도시 국가의 연합 함대에도 승리하여 지중해의 제해권을 장악했다. 동서의 중간에 쐐기를 박은 오스만 제국은 지중해 무역을 지배하고 높은 관세를 부과했다. 기존의 경제 질서가 격변하고, 새로운 무역로 개척이 유럽에서 갈망하게 된다. 하지만 오스만 제국의 진출 이후에도 베네치아에 의한 오스만 제국과의 지중해 무역은 계속되었고,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에 걸쳐 다시 번성하여 한때 포르투갈의 인도 루트를 능가할 정도가 되었으므로, 오스만의 진출이 지중해 무역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원래 지중해 무역의 변두리에 있었기 때문에 지중해 무역으로 인한 혜택이 적었다. 베네치아는 동지중해에서 이슬람 국가들과의 무역을 거의 독점하고 있었다. 이베리아 반도 국가들은 베네치아와 대립하고 있던 제노바 상인이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고, 그들이 베네치아의 지중해 무역에 대항하여 양국의 대서양 진출에 자금을 지원했다. 특히 포르투갈은 서쪽 변두리에 위치해 지중해 무역, 북해·발트해 무역의 혜택도 받을 수 없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진출 방향은 서아프리카가 된 것이다.

한편, 15세기 중반 오스만 제국이 융성하고 있던 무렵, 포르투갈과 스페인 두 나라에서는 국왕을 중심으로 이베리아 반도에서 이슬람 세력을 축출하려 하고 있었다(레콩키스타). 오랫동안 이슬람의 압박을 받았던 포르투갈과 스페인에서는 민족주의가 끓어올랐고, 강력한 국왕을 중심으로 한 중앙집권제도가 다른 유럽 국가들에 앞서 확립되었다.

또한, 이 무렵 튼튼한 카라벨선과 카라크선이 건조되기 시작했고, 나침반이 이슬람을 거쳐 전래되었기 때문에 원양 항해가 가능해졌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후퇴하는 이슬람 세력을 쫓듯이 북아프리카 연안으로 진출했다.

새로운 무역로 확보, 이슬람 세력 축출, 강력한 권력을 가진 왕의 출현, 그리고 항해 기술의 발전, 해외 진출의 기회가 조성됨으로써 포르투갈과 스페인 두 나라는 경쟁하듯 바다로 나아갔다.

초기 항해에서는 조난이나 난파, 적의 공격, 괴혈병이나 전염병 감염, 내부 항쟁 등으로 승무원의 생존율이 20%에도 미치지 못할 정도로 위험천만했다. 하지만 원정이 성공하고 신항로가 개척되고 새로운 영토를 획득할 때마다 해외 진출로 인한 이익이 막대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건강과 불굴의 정신 그리고 재능과 행운에 혜택을 받으면 빈민이나 하층민이라도 하룻밤 사이에 왕족 귀족에 필적할 만한 부와 명성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빠른 자가 이긴다'''는 분위기가 귀천을 막론하고 사람들의 경쟁심을 부추겼고, 포르투갈과 스페인을 중심으로 유럽에 항해 붐이 불어 닥쳤다.

또한 로마 교황도 해외 침략을 강력히 후원했다. 16세기 초부터 종교 개혁의 폭풍에 휩싸였던 가톨릭교회는 잇따라 성립한 프로테스탄트 여러 교파에 대항하기 위해 해외에서 새로운 신자 확보를 계획하고, 강력한 가톨릭 국가인 포르투갈과 스페인의 항해에 사명감 넘치는 선교사를 동행시켜, 두 나라가 획득한 영토 주민들에 대한 전교 활동을 시작했다.

2. 1. 유럽 교역의 흥기

7세기에 무함마드가 창시한 이슬람교는 실크로드를 장악하고 중계무역으로 번영을 누렸다.[240] 무슬림으로부터 성지를 탈환하려던 십자군 원정은 군사적으로는 실패했지만, 유럽인들이 중동과 아시아의 문물을 접하는 계기가 되었다.[240][29] 12세기부터 강과 바다를 통한 교역로가 재건되면서 유럽 경제에 변화가 발생하였다.[240][29]

지브롤터 해협 동쪽의 지중해 무역은 이베리아반도를 포함한 무슬림 세력의 광대한 영토 점유와 베네치아, 제노바 등 이탈리아 해양 도시 국가들의 동방무역 독점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240][29] 그러나 알안달루스에서 무슬림을 몰아내고 리스본을 함락(1147년)시키면서 이베리아의 경제 성장이 시작되었다.[240][29] 파티마조 해군의 쇠퇴와 동로마 제국의 해군력 약화는 베네치아, 제노바, 피사 등 이탈리아 해양 공화국들이 동지중해 교역을 장악하는 데 기여했다.[240][29] 11세기 후반 노르만인의 잉글랜드 정복으로 북해 무역이 활성화되었고, 한자동맹은 북해와 발트해 연안의 상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240][29] 12세기 플란데런, 에노, 브라반트 지역의 고급 직물 생산은 지중해 해양공화국 상인들이 대서양 연안 항해에 도전하는 계기가 되었다.[240][29] 1277년 니콜로초 스피놀라는 제노바에서 플란데런까지 최초의 직항 항해를 기록했다.[240][29]

십자군 전쟁을 통해 동서 교류는 더욱 발전했다.[231] 유럽에서는 광물 자원과 모직물 등이, 이슬람권에서는 향신료와 비단 등이 활발하게 교역되었다. 특히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은 동서 교역을 통해 고대 그리스의 철학과 과학,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였다. 십자군 실패로 로마 교황의 권위가 쇠퇴하면서 르네상스 운동이 시작되어 근대의 문이 열렸다.

몽골 제국 성립 시기, 프레스터 존 전설은 유럽인들의 동방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플라노 카르피니는 1245년 구유크 칸을 알현했고, 팍스 몽고리카 아래에서 이탈리아와 이슬람 상인들이 동아시아를 방문했다.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은 유럽에 널리 퍼져 아시아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했다.

2. 2. 기술 발전: 선박 설계와 항해술

나침반은 고대부터 태양과 별의 육안 관측에 의존해 오던 항해 방법에 추가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11세기부터 중국에서 나침반을 항해에 이용하기 시작했고, 인도양의 아랍인 교역상들도 사용했다.[241] 유럽에는 12세기 말에서 13세기 초에 나침반이 전래되었으며,[241] 1190년에 처음 사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240] 유럽인들은 물에 자침을 띄어 쓰는 동양의 습식 나침반 대신 회전축에 자침을 매달아 쓰는 건식 나침반을 개발했고, 지침면도 발명했다.[240]

삼각돛을 이용한 캐라벨선


인도네시아의 오스트로네시아족은 기원전 1년 이전에 대나무로 보강한 삼각돛을 독자적으로 발명했다. 이 삼각돛은 역풍을 거슬러 항해할 수 있게 해주었다.[242][243][244] 자바인들은 1세기부터 원양상선을 건조하여 많은 화물과 사람을 수송할 수 있었으며, 8세기에는 와가두에까지 이르렀다.[245][246][247]

배의 크기는 점점 커지고, 운항 요원은 줄어들었으며, 항속거리는 더 길어져 14세기가 되면 장거리 운송 비용이 크게 낮아졌다.[240] 북유럽의 코그선은 운항 비용이 저렴하여 여전히 많이 사용되었고, 지중해의 갤리선 역시 교역용으로 사용되었다.[240]

2. 3. 지리 지식과 지도의 발전

기원후 40년경에서 60년경 사이에 작성된 『에리트레아해 주항기』에는 홍해를 통해 인도로 가는 항로가 새로이 발견되었다고 서술되어 있으며, 아프리카 동해안을 따라 올라가며 홍해, 페르시아만, 인도양 주변 도시들에 대해 기록하고 있다.[248] 이 문헌에는 이 도시들 “너머에는 에티오피아와 리비아와 아프리카 남쪽을 빙 돌아 서쪽으로 향하는 미지의 대양”이 있어서 “서쪽 바다(아마도 대서양)와 만나 섞인다”고 기록되어 있다. 중세 유럽에서 동로마 제국 너머의 아시아에 대한 지식은 알렉산드로스 3세 메가스와 그 후계자들의 정복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전설로 가득한 파편적인 이야기로만 전해졌다.[248] 십자군 시대에 유럽과 이슬람 세계 사이의 중개자로 자리잡은 라다니야 유대인들의 교역망이 지리정보의 새로운 출처가 되어 주었다.[31]

1154년, 아랍인 지리학자 무암마드 알이드리시는 시칠리아 국왕 루제루 2세의 궁정에서 세계지도 『세계횡단을 원하는 자를 위로하는 서』를 제작했다.[249][250] 하지만 여전히 아프리카는 기독교인들에게나 무슬림들에게나 부분적으로만 알려진 미지의 세계였다. 유럽인들은 아프리카 내륙에 거대한 사막이 있다는 이야기는 들었지만, 아랍인들이 북아프리카를 봉쇄하여 내륙 탐험이 금지되었기에 아프리카에 대한 실체적 지식은 지중해 연안으로만 국한되었다. 대서양의 아프리카 서해안에 대한 지식은 주로 고대 카르타고의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된 고대 그리스 및 로마의 지도에서 비롯되었다. 홍해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상태였고, 이탈리아 해양 공화국, 특히 베네치아의 무역망만이 정확한 해양지식의 수집을 촉진했다.[251][34]

프톨레마이오스의 세계지도. 2세기 작품을 15세기에 니콜라우스 게르마누스가 복원했다.


1400년경, 클라우디오스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 라틴어 번역본이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이탈리아로 넘어왔다. 이는 로마 시절의 지리지식의 재발견으로, 지도제작과 세계관 양측 모두에 하나의 계시로 작용했으나, 인도양이 육괴로 둘러쌓여 있다는 관념을 강화시키는 부작용도 있었다.[252][253][35][36]

2. 4. 중세 유럽인들의 동방 견문

중세 말기 유럽인들은 육로를 통해 유라시아를 횡단하는 탐험을 했는데, 이는 대항해시대의 전주곡이었다.[254] 몽골의 서진은 유럽에 큰 위협이었지만, 1206년 성립된 팍스 몽골리카 덕분에 중동에서 중국까지 안전한 교역로와 통신선이 가능해졌다.[255][256] 이탈리아와 레반트 사이의 경제적 관계로 인해 이탈리아 상인들은 레반트 너머 동쪽에 대한 금전적 관심과 지적 호기심을 갖게 되었다.[257]

마르코 폴로의 여행경로.


교황 인노첸시오 4세는 조반니 다 피안 델 카르피네를 몽골에 파견했고[255], 몽골에 굴복한 루스 공후들도 카라코룸에 방문했지만, 정치적 의미만 강해 견문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프랑스인 앙드레 드 롱주모와 플람스인 빌럼 판 루브뢱 등이 동방을 여행했고[258], 베네치아 상인 마르코 폴로는 1271년부터 1295년까지 아시아를 여행하고 쿠빌라이 칸의 궁정에서 지낸 경험을 『동방견문록』에 기록하여 유럽 전역에 널리 읽혔다.[259]

탕헤르 출신의 모로코인 학자 이븐 바투타는 1325년부터 1354년까지 북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남유럽, 동유럽, 아프리카의 뿔, 중동, 아시아를 거쳐 중국까지 여행하고 『여행기』를 저술했다.[263][264] 존 맨더빌의 여행기는 황당무계한 내용이 많았지만 동양에 대한 대중적인 참고서적으로 사용되었다.[265] 티무르 제국과 유럽의 관계가 호전되던 1439년에는 니콜로 데 콘티가 인도와 동남아시아 여행 경험담을 출판했다. 1466년-1472년에는 러시아인 상인 아파나시 니키틴이 인도에 다녀와 『세 바다 너머 여행기』를 출판했다.

하지만 이런 육로여행들은 몽골제국의 붕괴, 흑사병 창궐[266], 오스만 제국의 부상으로 인해 동방으로 가는 길이 더 어렵고 위험해지면서 즉각적인 효과는 거의 없었다.

2. 5. 정화의 원정 (1405년–1433년)

명나라 영락제가 후원하고 환관 정화가 지휘한 장거리 원정은 1405년에서 1421년 사이에 진행되었다.[267] 정화의 원정에는 대규모 정크선 함대가 동원되었는데, 일명 보선(보물선)이라고 불린 정화의 정크선은 이물에서 고물까지 전장이 121 미터에 달했고, 수천 명의 선원이 탑승했다. 1405년 출발한 제1차 원정대를 시작으로 최소 7차례의 원정에 대한 상세한 기록이 남아 있다.[268] 원정을 거듭할 때마다 규모가 늘어나고 비용도 많이 들었다. 정화의 보물선단은 아라비아, 동아프리카, 인도, 말레이 제도, 시암을 방문해 기착지에서 물산을 교환했다.[268] 중국인들은 , , 자기, 비단을 주었고, 그 대가로 현지인들에게 타조, 얼룩말, 낙타, 상아, 기린 같은 진기한 것들을 받아왔다.[269][270] 회족 항해사 마환은 정화의 일곱 차례 원정 중 세 번을 동행했고, 그 경험담을 『영애승람(1433년)』이라는 책으로 남겼다.[271]

정화의 항해는 해양 네트워크의 조직에 중요하고도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275] 정화의 항해 이전에는 인도양 전체에 해양력을 투사한 나라가 없었기에 특히 영향력이 컸다.[272] 명나라는 인도양 해양 네트워크의 통제권을 확립하기 위한 전략으로 대안 노드의 육성을 선택했다.[273] 예컨대 동남아시아의 믈라카, 말라바르 해안의 코친, 스와힐리 해안의 말린디 같은 곳들이 중국이 기존의 항구들의 대안으로 키워줌으로써 만들어진 항만도시였다.[274] 그리고 명나라 보물선단의 출현은 현지세력들 사이에 초강대국 명나라와의 동맹을 꾀하는 경쟁을 유발시키고 또한 격화시켰다.[275] 정화의 항해는 서양세계의 지역적 통합과 사람, 사상, 상품의 국제적 회전율의 증가를 불러왔다. 정화의 뱃전, 그리고 그 배를 타고 도착할 수 있는 명나라의 수도 남경의 연회장 같은 공간들은 코스모폴리탄한 담론의 장이 되었다.[275] 육상의 팍스 몽골리카와 비슷한 코스모폴리탄한 공간이 인도양 해상에 창출되었던 것이다.[276]

그러나 영락제 사후(1424년) 명나라의 대외정책이 해금령으로 대표되는 폐쇄경제로 전향하면서 정화의 원정은 제대로 계승되지 못했다. 중국인들은 오랑캐(夷狄) 세계에 대한 흥미를 잃어버렸고,[277] 영락제의 후계자들은 이런 장거리 원정이 중화에 해롭다고 생각해서 항해사업을 철폐했고, 정화의 항해에 대한 정보마저 오히려 은폐하기에 이르렀다.

《무배지》(1628)에 실린, 정화의 항해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여겨지는 "모쿤 지도". 동남아시아 항구와 말린디까지의 항해 방향을 보여준다.

3. 전개

대항해시대의 주요 항해 지도.


대항해시대의 주요 항해 지도
발견/목표탐험가연도물주
콩고강1482년주앙 2세
희망봉디아스1488년주앙 2세
서인도콜럼버스1492년페르난도와 이사벨
인도바스쿠 다 가마1498년마누엘 1세
브라질카브랄1500년마누엘 1세
말루쿠 제도, 서태평양알부케르케, 아브레우, 세랑1512년마누엘 1세
동태평양발보아1513년페르난도 2세
마젤란 해협마갈량이스1520년카를로스 1세
필리핀마갈량이스1521년카를로스 1세
세계일주엘카노1522년카를로스 1세
호주얀손1606년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뉴질랜드타스만1642년네덜란드 동인도 회사
남극 대륙제임스 쿡1773년조지 3세
하와이제임스 쿡1778년조지 3세



니냐호、핀타호 및 산타 마리아호의 복원선

3. 1. 대서양 항해 (1419년–1507년)

1400년경 사하라 사막 무역로, 현대 니제르 강조


1482년 독일 지도 제작자 리엔하르트 홀이 프톨레마이오스의 아프리카 제4지도를 바탕으로 제작한 유럽인들에게 알려진 북아프리카 지도


엔히크 왕자는 세우타 정복에 참전하면서, 지중해와 서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사하라 종단 무역의 이익 가능성을 알게 되었다. 수 세기 동안 이 무역로는 북아프리카 무어인들이 장악하고 있었다.[77]

엔히크는 무슬림 영토의 범위, 바닷길을 통한 서아프리카와의 직접 무역 가능성,[83] 프레스터 존의 기독교 왕국과의 동맹,[84] 향신료 무역의 원천인 인도로의 해상 경로 탐색을 원했다. 엔히크는 모리타니 해안 탐험을 후원하여 상인, 선주 등의 관심을 모았다. 곧 마데이라 제도(1419년)와 아조레스 제도(1427년)가 발견되었고, 엔히크의 가신 주앙 곤살베스 자르쿠가 마데이라섬에 정착지를 건설했다.[85]

3. 1. 1. 포르투갈의 항해: 엔히크 항해왕자



엔히크 왕자는 세우타 정복전에 종군하면서, 지중해와 서아프리카를 연결해온 사하라 종단무역로가 남길 수 있는 이윤의 가능성을 인식했다. 그전까지 수 세기동안 이 무역로는 북아프리카 무어인들이 장악하고 있었다.[291]

엔히크는 북아프리카 무슬림들의 땅이 어디까지 뻗어 있는지, 바다를 통해 그들을 우회해서 서아프리카와 직통할 수 없는지,[292] 사제왕 요한의 기독교 왕국을 찾아서 동맹을 맺을 수 있는지,[293] 수익성 높은 향신료 무역의 원천인 인도에 바다를 통해 닿을 수 있는지 알고 싶어졌다. 엔히크가 모리타니 서해안을 따라 내려가는 탐험항해를 후원하기 시작하자 새로운 바닷길에 관심을 가진 상인・선주・투자자들이 모여들었다. 곧 마데이라제도(1419년)와 아조레스제도(1427년)가 발견되었고, 엔히크의 가신 기사 주앙 곤살베스 자르쿠가 마데이라섬에 정착지를 건설했다.[294]

3. 1. 2. 에스파냐의 항해: 콜럼버스의 대서양 횡단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네 차례 항해, 1492년~1503년


카스티야는 1402년부터 카나리아 제도 지배를 시작했지만, 15세기 대부분 동안 이베리아 내부 정치와 이슬람 세력의 반격 격퇴에 힘을 쏟았다. 15세기 후반, 아라곤과 동군연합을 이루어 오늘날의 에스파냐의 전신이 되었고, 비로소 새로운 해양무역로를 찾아나서기 시작했다. 1492년, 카스티야-아라곤 동군연합은 그라나다를 정복하여 이베리아 반도에서 무슬림 세력을 몰아냈고, 포르투갈이 서아프리카 항로를 독점하게 된 것을 우려하여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탐험 항해를 후원하기로 했다.[303] 콜럼버스는 에스파냐에서 후원을 얻기 전, 주앙 2세에게 두 차례(1485년, 1488년) 같은 기획안을 제출했으나 거절당했었다.

1492년 8월 3일, 콜럼버스는 세 척의 배를 이끌고 팔로스데라프론테라에서 출항하여 카나리아 제도에서 보급을 받고 대서양으로 나아가 사르가소해를 5주 만에 횡단했다. 1492년 10월 12일, 오늘날의 바하마에 도착한 콜럼버스는 자신이 발견한 섬을 "산살바도르"라고 이름 지었다. 콜럼버스는 자신이 "동인도"에 도착했다고 생각했고, 이후 쿠바섬 북동해안과 히스파니올라섬 북안을 탐사했다. 히스파니올라섬의 타이노인 추장 과카나가릭스는 콜럼버스가 섬에 정착지를 세우고 부하 일부를 남겨두고 귀국하는 것을 허락했다.

콜럼버스의 부하 39명은 오늘날의 아이티에 라나비다드라는 정착지를 세웠다.[304] 콜럼버스는 귀국하기 전에 원주민 20여 명을 납치하여 그들과 함께 귀국했다. 하지만 살아서 세비야에 도착할 수 있었던 “인도인”은 7명 뿐이었다.[305] 콜럼버스 함대는 귀항 길에 폭풍으로 인해 리스본에 정박했다가(1493년 3월 4일), 1주 뒤 출항하여 1493년 3월 15일 바르셀로나에 입항하여 이사벨 여왕과 페르난도 왕에게 보고하였다. 이 소식은 유럽 전역에 빠르게 퍼졌다.[306]

콜럼버스와 다른 에스파냐 탐험가들은 자신들의 발견에 처음에는 실망했다. 아프리카나 아시아와 달리 카리브해 다도해의 주민들은 교역할 만한 경제력이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초점은 이 섬들을 식민지로 만드는 것으로 바뀌었고, 곧이어 광대한 미주대륙 전체가 탐험되고 식민지가 되었다.

3. 1. 3. 토르데시야스 조약 (1494년)

서인도에서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귀환한 직후, 에스파냐와 포르투갈 사이의 분쟁을 피하기 위해 조정이 필요했다.[307] 1493년 5월 4일, 에스파냐 국왕 부부교황 알렉산데르 6세로부터 아조레스 또는 카보베르데 서쪽 100 레구아 지점을 기준으로 서쪽의 모든 땅은 카스티야에 속한다는 칙서를 받았다. 이 칙서에는 포르투갈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103]

포르투갈의 주앙 2세는 이 결정에 불만을 품고, 에스파냐의 페르난도 2세 및 이사벨 1세와 직접 협상하여 경계선을 서쪽으로 옮길 것을 요구했다.[308]

1494년, 양국은 토르데시야스 조약을 체결하여 비유럽 세계를 분할했다. 포르투갈은 카보베르데 서쪽 370 레구아 지점 동쪽의 모든 지역(아프리카, 아시아, 브라질)을, 에스파냐는 그 서쪽의 모든 지역을 차지했다. 이로써 대서양의 섬들은 포르투갈령 카보베르데와 에스파냐령 카리브로 나뉘었다.

이후 에스파냐가 아메리카 대륙에서 광대한 식민지를 확장하는 동안, 포르투갈도 브라질 식민지를 조약의 경계선 너머로 확장했다. 16세기에는 다른 유럽 국가들이 조약을 무시하고 식민지를 건설하면서 조약은 유명무실해졌다.

3. 1. 4. 신세계: 아메리카

1507년 발데제뮐러 지도. “아메리카”라는 이름이 처음으로 사용된 지도다.


아메리고 베스푸치는 1497년부터 1498년에 걸쳐 카리브해 연안을 탐험하고, 1499년부터 1500년의 항해에서는 카리브해에서 남하하여 브라질 북부 해안까지 탐험을 실시했다.[109][110] 포르투갈 왕 마누엘 1세는 카브랄이 발견한 땅이 단순한 섬인지, 아니면 스페인이 이미 그 북쪽을 탐험했던 대륙의 일부인지 알고 싶어 베스푸치에게 탐험을 의뢰했고, 베스푸치는 1501년부터 1502년에 걸친 항해에서 대륙 동해안을 따라 남하하여 남위 50도까지 도달할 수 있었다. 베스푸치는 대륙이 아시아 최남단(말레이 반도, 북위 1도)과 아프리카 최남단(남위 34도)의 위도를 훨씬 남쪽으로 넘어서 계속되기 때문에, 그것이 기존의 어떤 대륙에도 속하지 않는 “신세계(Mundus novusla)”임을 1503년경 논문 『신세계』에서 발표했다.[321] 이 “신세계”라는 표현은 곧 유럽에서 널리 사용되게 되었고,[322] 이윽고 크리스토퍼 콜럼버스는 아시아에 도달했던 것이 아니라 새로운 대륙을 발견한 것이었음이 이해되었다. 1507년 마르틴 발데제뮐러와 마티아스 링만이 제작한 지도에서 이 신대륙을 아메리고 베스푸치의 이름을 따서 “아메리카”라고 명명하였다.

3. 2. 인도양 항해 (1497년–1513년)

1497년 7월 8일, 바스쿠 다 가마는 마누엘 1세의 명을 받아 함대를 이끌고 리스본을 떠나 인도로 향했다. 목적은 인도와의 직접 무역이었다.[125] 선조들의 지식을 바탕으로 4개월 만에 희망봉에 도착한 다 가마는 아프리카 남단을 돌아 모잠비크 해협에 이르러 이슬람 상인들을 만나 인도 항로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 1498년 5월 20일, 마침내 유럽인으로서 처음으로 인도의 칼리컷에 도착했고,[126] 이듬해 향신료를 싣고 포르투갈로 돌아왔다.

바스쿠 다 가마인도 항로(검정), 페루 다 코빌량의 항로(주황), 아폰수 다 파이바의 항로(파랑) 및 후자 두 사람의 공통 항로(초록)


바스쿠 다 가마가 유리한 무역 조건을 얻으려는 노력은 현지에서 거래되는 귀중한 상품과 비교했을 때, 다 가마 함대가 싣고 온 상품의 가치가 낮았기 때문에 방해받았다.[127]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항 후 2년 2일 만에 가마와 55명의 생존 선원들은 유럽에서 인도로 직접 항해한 최초의 선박이라는 영예를 안고 포르투갈로 귀환했다.[128][129] 다 가마의 항해는 루이스 드 카몽이스의 서사시 루지아다스에서 낭만적으로 묘사되었다.[128][129]

3. 2. 1. 다 가마의 인도항로 개척

1497년 7월 8일, 바스쿠 다 가마는 마누엘 1세의 명을 받아 함대를 이끌고 리스본을 떠나 인도로 향했다. 목적은 인도와의 직접 무역이었다.[125] 선조들의 지식을 바탕으로 4개월 만에 희망봉에 도착한 다 가마는 아프리카 남단을 돌아 모잠비크 해협에 이르러 이슬람 상인들을 만나 인도 항로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 1498년 5월 20일, 마침내 유럽인으로서 처음으로 인도의 칼리컷에 도착한[126] 가마는 이듬해 향신료를 싣고 포르투갈로 돌아왔다.

바스쿠 다 가마가 유리한 무역 조건을 얻으려는 노력은 현지에서 거래되는 귀중한 상품과 비교했을 때, 다 가마 함대가 싣고 온 상품의 가치가 낮았기 때문에 방해받았다.[127]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항 후 2년 2일 만에 가마와 55명의 생존 선원들은 유럽에서 인도로 직접 항해한 최초의 선박이라는 영예를 안고 포르투갈로 귀환했다.[128][129] 다 가마의 항해는 루이스 드 카몽이스의 서사시 루지아다스에서 낭만적으로 묘사되었다.[128][129]

3. 2. 2. 향료제도와 중국의 재발견

포르투갈은 인도에서 동쪽으로 항해하여 인도와 동남아시아(말라카, 팔렘방)를 잇는 무역로에 진입하였다.[324] 1511년, 아폰수 드 알부케르크는 동남아시아 무역의 중심지 말라카를 정복하고, 동쪽으로 외교사절들을 보냈다. 두아르테 페르난데스는 유럽인 최초로 아유타야 왕국(오늘날의 태국)과 접촉했다.

포르투갈인들은 말루쿠 제도육두구정향의 유일한 산지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곳을 향해 항해를 계속했다. 알부케르크는 안토니우 데 아브레우를 반다 제도로 파견하였고, 아브레우는 부루섬, 암보섬, 스람섬을 거쳐 1512년 반다 제도에 도달했다.[328][329] 프란시스쿠 세라우는 트르나테섬에 도달했고, 거기 무기공장을 지었다.

1513년 5월, 포르투갈 사절 조르즈 알바르스가 중국 주강 삼각주의 내령정도에 상륙했다. 중국 본토 남해아에 처음으로 상륙한 것은 라파엘 페레스트렐루였다. 페레스트렐루는 1516년 말라카에서 출발해서 광저우에 도달하여 거기서 교역했다.[330][331] 1517년 페르낭 피레스 데 안드라데가 광동을 방문하여 교역을 요구했다. 명나라는 포르투갈인들에게 말라카 술탄을 폐위시킨것을 문제삼았고, 포르투갈인들은 1521년 중국을 상대로 전쟁을 걸었다. 둔문 전투・천초만 전투에서 포르투갈은 모두 패배했다. 중국에서는 선회포를 역설계하여 불랑기포를 개발했다. 또한 포르투갈이 동남아시아에서 현지생산한 해군용 아르카부스는 동아시아로 유입되어 조총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졌다. 중국과 포르투갈 사이의 분쟁은 1557년 중국이 포르투갈에 마카오를 내주면서 종결되었다.

말레이시아 말라카의 해양 박물관에 있는 포르투갈의 ''플로르 드 라 마르'' 카라벨선 복제품.

3. 3. 태평양 항해 (1513년–1529년)

1513년, 오늘날 콜롬비아의 아칸디에서 남쪽으로 약 64km 떨어진 곳에서 스페인의 바스코 누녜스 데 발보아는 금이 풍부한 "다른 바다"에 대한 소식을 듣고 큰 관심을 보였다.[135] 발보아는 자원이 부족했지만 여러 카시케로부터 얻은 정보를 이용하여 190명의 스페인인, 몇몇 원주민 안내자, 그리고 개 몇 마리를 데리고 파나마 지협을 횡단했다.

바스코 누녜스 데 발보아의 "남해" 여행, 1513년


발보아는 브리간틴 한 척과 10척의 원주민 카누를 이용하여 해안을 탐험하면서 전투와 밀림을 헤쳐 나갔다. 9월 25일, 추쿠나케 강 산맥을 넘은 후 그는 신대륙에서 태평양을 본 최초의 유럽인이 되었다. 탐험대는 태평양을 잠시 항해하며, 만을 '''산미구엘''' 만이라고, 바다를 '''마르 델 수르''' (남쪽 바다)라고 명명했다. 금을 찾던 발보아는 카시케의 땅을 지나 섬으로 건너가 가장 큰 섬을 이슬라 리카(현재 이슬라 델 레이), 섬들을 '''아르키피엘라고 데 라스 펄라스'''라고 명명했는데, 이 이름들은 오늘날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스페인의 명을 받들어 몰루카 제도로 향하는 서쪽 항로 개척에 나선 마젤란은 스페인 국왕 카를로스 1세의 지원을 얻어 1519년 8월, 세비야에서 5척의 배에 265명의 선원을 태우고 출발했다. 1520년 10월, 남아메리카 대륙 남단의 마젤란 해협을 통과하여 태평양을 횡단하고, 괌에 들른 후, 1521년 필리핀 제도에 도착했다. 마젤란은 필리핀 중부의 막탄섬에서 주민들의 분쟁에 개입하여, 같은 해 4월 27일 족장 라푸라푸에게 살해당했다. 이후, 부하 엘카노가 이끄는 비토리아호 1척이 항해를 계속하여, 1522년 세비야에 귀항, 세계 일주를 완료하고 지구가 구형임을 증명했다. 귀환한 사람은 18명이었다.

스페인은 이후에도 멕시코(누에바 에스파냐)에서 태평양을 횡단하여 몰루카 제도로 가는 항로를 개척하려고 애썼고, 포르투갈과 마찰을 빚었다. 그 와중에 필리핀은 1571년 멕시코를 출발한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에 의해 정복되어 스페인령이 되었다. 참고로 필리핀이라는 이름은 1542년, 필리핀 제도를 탐험한 비야로보스가 당시 스페인 왕자였던 펠리페(후일 펠리페 2세)의 이름을 따서 이 제도를 "필리피나스 제도"라고 부른 데서 유래한다.

3. 3. 1. 태평양의 발견

1513년, 오늘날의 콜롬비아 아칸디에서 남쪽으로 64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서, 에스파냐인 바스코 누녜스 데 발보아는 황금이 풍부한 “다른 바다”가 있다는 정보를 들었다. 현지인 추장들에게 얻은 정보와 자원을 이용해 발보아는 190명의 에스파냐인, 원주민 안내인 소수, 개 한 무리와 함께 파나마 지협을 가로지르는 원정에 나섰다.[135]

발보아 원정대는 작은 브리간틴 한 척에 원주민 카누 10척으로 해안을 따라 이동하다 상륙했다. 9월 6일에 병력을 1,000 명으로 보강한 원정대는 적대적인 원주민들과 싸워가면서 울창한 밀림으로 들어갔고, 추쿠나케강을 따라 늘어선 산맥을 넘어 “다른 바다”를 목격했다. 발보아는 9월 25일 정오 직전에 미지의 바다의 수평선을 봄으로써, 태평양에 도달한 최초의 유럽인이 되었다. 발보아는 110 킬로미터를 더 여행하고 자신이 발견한 해역에 미구엘만이라고 이름을 붙이고, 이 만을 포함한 바다 전체는 “남해(Mar del Sur)”라고 명명했다. 파나마를 남북으로 종단해서 발견한 바다였기 때문이다. 발보아의 원래 원정 목적은 황금이 풍부한 나라들을 찾는 것이었기 때문에, 원주민 추장들이 다스리는 섬들을 여럿 돌아다녔고 이 섬들을 페를라스제도(진주제도)라고 이름붙였다. 이 이름이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3. 3. 2. 최초의 지구일주

1516년, 포르투갈페르낭 드 마갈량이스(페르디난드 마젤란)은 포르투갈 국왕 마누엘 1세와의 불화 끝에 에스파냐로 건너가 카를로스 1세를 섬기기로 하였다. 마젤란은 프란시스쿠 세랑과의 연락과 팔레이루 형제의 연구를 바탕으로 향료제도가 토르데시야스 조약에 따른 에스파냐령이 될 수 있다는 이론을 개발하여 카를로스 1세에게 헌책했다.[332][333]

마젤란과 엘카노의 지구일주 항로(1519–1522).


카를로스 1세는 서쪽으로 항해하여 인도에 도달할 수 있다는 마젤란의 기획안을 받아들여 자금을 지원했고, 에스파냐인 항해사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 등을 합류시킨 연합함대를 꾸렸다. 1519년 8월 10일, 총 5척으로 구성된 마젤란-엘카노 함대는 세비야를 출항했다. 선원은 다국적으로 237명이었고, 함대의 목표는 서쪽으로 항해하여 향료제도에 도달함으로써 그곳에 대한 에스파냐의 정치경제적 권리를 주장할 수 있게 하는 것이었다.[334]

마젤란 함대의 최후 생존함이자 최초의 지구일주 선박 빅토리아호(아브라함 오르텔리우스의 마리스 파키피키(1589년)의 일부 확대).


함대는 브라질의 포르투갈 식민지를 피해 남하했고, 미주대륙 남단인 티에라델푸에고에 처음으로 도달했다. 10월 21일, 함대는 비르헤네스곶에서 미로 같은 해협에 진입하여 600 킬로미터를 항해한 끝에 간신히 태평양으로 빠져나왔다. 마젤란은 이 해협을 “모든 성도의 해협(Estrecho de Todos los Santos)”이라고 명명했으나, 오늘날에는 마젤란 해협이라고 알려져 있다. 11월 28일에 태평양으로 빠져나오는 데 성공한 배는 세 척이었다. 마젤란은 태평양에서 섬이 거의 없는 해역을 통과했기 때문에, 정체된 것처럼 보이는 대양에 “태평양”이라는 이름을 붙였다.[335] 함대는 태평양을 횡단하는 데 성공하여 오늘날의 필리핀에 도달했으나, 마젤란은 막탄섬 원주민들과의 전투(막탄 전투) 중에 사망했다. 생존자를 수습한 엘카노는 1521년 원래 목표인 향료제도에 도달했고, 1522년 9월 6일 유일한 생존함 비토리아호가 에스파냐로 귀환하여 최초의 지구일주를 달성해냈다. 처음 출발할 때 배 5척에 선원 237명 가운데 무사히 돌아온 것은 배 1척에 선원 18명이었다. 그 밖에 카보베르데에서 포르투갈군에게 나포되었다가 돌아온 12명, 난파한 트리니다드호의 생존자 5명이 더 있었다. 마젤란의 부관으로서 탑승한 베네치아인 학자 안토니오 피가페타는 이 항해의 중요한 1차사료가 되는 일기를 남겼다.

이 지구일주 항해는 필리핀이 에스파냐 식민지가 된 계기가 되었고, 태평양에 대한 지식을 에스파냐에 남겼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비록 마젤란이 개척한 항로는 아프리카 남단을 도는 포르투갈 항로의 현실적인 대안은 될 수 없었지만[336], 이 항해에서 얻은 정보를 바탕으로 에스파냐는 탐험을 거듭하였고, 이후 미주대륙 본토의 멕시코를 정복함으로써 북태평양을 통한 마닐라 갈레온 항로를 발견하기에 이른다.[337]

3. 3. 3. 동서 탐험항해의 합류



|thumb|upright=1.35|1529년 사베드라의 말루쿠 제도에서 누에바 에스파냐(멕시코)로 돌아가는 항로를 찾으려던 실패한 시도]]

마젤란 원정대 직후, 포르투갈은 살아남은 선원들을 붙잡고 테르나테에 요새를 건설했습니다.[142] 1525년, 스페인의 카를 1세는 토르데시야스 조약에 따라 말루쿠 제도가 자신의 영역에 있다고 주장하며, 이곳을 식민지화하기 위해 서쪽으로 또 다른 원정대를 파견했습니다. 7척의 배와 450명의 병력으로 구성된 함대는 가르시아 호프레 데 로아이사가 이끌었고, 후안 세바스티안 엘카노와 안드레스 데 우르다네타가 포함되었습니다.

마젤란 해협 근처에서 한 척의 배가 폭풍에 휩쓸려 남쪽으로 밀려 56°S에 도달했는데, 그곳에서 그들은 "''지구의 끝''"을 본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따라서 케이프혼이 처음으로 통과되었습니다. 원정대는 많은 어려움 끝에 티도레에 도착했습니다.[142] 인근 테르나테에 정착한 포르투갈과의 갈등은 불가피했고, 거의 10년 동안의 소규모 충돌이 시작되었습니다.[144][145]

토르데시야스선에 동쪽 경계가 설정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두 왕국 모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회의를 열었습니다. 1524년부터 1529년까지 포르투갈과 스페인 전문가들은 바다호스-엘바스에서 만나 세계를 두 개의 같은 크기의 반구로 나눌 자오선의 정확한 위치를 찾으려고 했습니다. 각 왕국은 세 명의 천문학자와 지도 제작자, 세 명의 항해사, 그리고 세 명의 수학자를 임명했습니다. 로포 옴은 포르투갈, 디오고 리베이루는 스페인 대표단의 지도 제작자로 위원회에 참여했습니다. 위원회는 여러 차례 회의를 열었지만 합의에 이르지 못했습니다. 당시의 지식으로는 정확한 경도 계산이 불가능했고, 각 그룹은 섬을 자국의 영토로 주장했습니다. 이 문제는 1529년 장기간의 협상 끝에 사라고사 조약의 체결로 해결되었는데, 이 조약은 말루쿠 제도를 포르투갈에, 필리핀을 스페인에 할당했습니다.[146]

1525년부터 1528년까지 포르투갈은 말루쿠 제도 주변으로 여러 원정대를 파견했습니다. 고메스 데 세케이라와 디오고 다 로샤는 테르나테 총독 조르제 드 메네세스에 의해 북쪽으로 파견되었는데, 그들은 "세케이라 제도"라고 명명한 카롤린 제도에 도달한 최초의 유럽인이었습니다.[147] 1526년, 조르제 드 메네세스는 파푸아뉴기니의 비악과 와이게오 섬에 상륙했습니다.

1527년, 에르난 코르테스는 "남쪽 바다"(태평양)에서 새로운 땅을 찾기 위해 함대를 꾸려 사촌인 알바로 데 사베드라 세론에게 지휘를 맡겼습니다. 1527년 10월 31일, 사베드라는 누에바 에스파냐를 출발하여 태평양을 건너 뉴기니의 북쪽을 탐험했는데, 당시에는 ''이스라 데 오로''라고 불렸습니다. 1528년 10월, 한 척의 배가 말루쿠 제도에 도착했습니다. 그는 누에바 에스파냐로 돌아가려고 했지만 북동쪽의 무역풍에 밀려 되돌아가야 했습니다. 그는 뉴기니로 돌아와 북동쪽으로 항해하여 마셜 제도와 애드미럴티 제도를 발견했지만, 다시 바람에 밀려 세 번째로 몰루카스에 도착했습니다. 이 서쪽으로 돌아오는 항로는 찾기 어려웠지만, 결국 1565년 안드레스 데 우르다네타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148]

3. 4. 에스파냐의 미주대륙 정복 (1519년–1532년)

프란시스코 피사로의 페루 정복(1531~1533) 탐험 경로


프란시스코 피사로잉카 제국의 내분을 이용하여 아타우알파를 사로잡아 (카하마르카 전투) 몸값의 방에 가두었다.[157] 아타우알파는 방 하나를 금으로, 방 두 개를 은으로 채워주겠다는 약속을 이행했음에도 불구하고, 피사로는 아타우알파를 처형했다.

1533년, 피사로는 원주민 동맹군과 함께 잉카의 수도 쿠스코를 침공하여 점령했다. 이로써 페루는 에스파냐의 식민지가 되었다. 이후 만타로계곡의 하후하가 임시 수도로 정해졌으나, 너무 산 속에 있어 1535년 1월 18일 항구도시 리마가 건설되었다.

3. 4. 1. 코르테스의 멕시코 정복

1517년, 쿠바 총독 디에고 벨라스케스 데 케야르는 에르난데스 데 코르도바의 함대에게 유카탄반도 탐험을 지시했다. 코르도바 함대는 해안에 상륙해 마야인들의 초대를 받았는데, 밤사이 습격을 당해 큰 피해를 입고 쫓겨났다. 이후 벨라스케스는 자기 조카 후안 데 그리할바에게 또다른 원정대를 보냈고, 그리할바는 남쪽으로 항해하여 당시 아스텍 제국의 일부였던 타바스코 해안에 도달했다.

1518년, 벨라스케스는 쿠바의 수도의 시장이었던 에르난 코르테스에게 멕시코 내륙을 확보하는 원정을 지시했다가, 두 사람 사이의 묵은 원한 때문에 헌장을 철회했다. 그러나 코르테스는 철회를 무시하고 1519년 2월 출항했다. 이는 명백한 하극상 행위였다. 코르테스의 병력은 배 11척에 사람 500명, 말 13필, 대포 몇 문이었다. 코르테스는 마야 영토인 유카탄에 상륙하여[346] 이 땅을 에스파냐 국왕령으로 선포했다. 트리니다드에서 출발한 코르테스는 타바스코로 가서 원주민들과의 전투에서 승리했다. 이때 마야어와 나우아틀어를 모두 아는 말린체를 현지처로 맞아 유용한 통역사로 활용하였다. 코르테스는 말린체를 통해 부유한 아스텍 제국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1518년 7월, 코르테스는 베라크루스를 점령하고, 자신은 쿠바 총독이 아닌 에스파냐 국왕 카를로스 1세의 직속 신하라고 선언했다.[346] 코르테스는 아스텍 황제 모테쿠소마 2세와의 접견을 요청했으나 모테쿠소마 2세는 번번히 거절했다. 그러자 코르테스는 수도 테노치티틀란으로 직접 상경하였고, 그 길에 여러 원주민 부족들이 합류해서 코르테스와 동맹을 맺었다. 10월, 틀락스칼란인 3,000여명을 대동한 코르테스 원정대는 당시 멕시코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인 촐룰라에 도착했다. 아스텍의 매복을 두려워해서(코르테스 본인의 주장), 또는 원주민들에게 배신의 본보기를 보이기 위해서, 코르테스 원정대는 촐룰라 중앙광장에 모인 비무장 상태의 귀족들 수천 명을 학살했다.

코르테스의 부하 중 한 명이 1524년에 제작한 섬 도시 테노치티틀란과 멕시코 만 지도, 시카고 뉴베리 도서관


11월 8일, 코르테스가 테노치티틀란에 대군을 몰고 들이치자 모테쿠소마 2세는 나중에 그들을 짓밟기 위해서라도 그들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는 생각으로 코르테스를 아스텍의 중심부에 받아들였다.[346] 모테쿠소마 2세는 코르테스 일행에게 호화로운 황금 선물을 주었고, 이는 코르테스 일행의 약탈욕구만 더욱 자극했다. 코르테스는 카를로스 1세에게 보낸 보고서에서 아스텍 사람들이 자신을 깃털뱀신 케찰코와틀의 화신 또는 사자로 여긴다고 주장했는데, 현대의 역사학자들은 그것이 진실이었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347]

한편, 벨라스케스는 코르테스를 잡으라고 판필로 데 나르바에스를 파견하였고, 나르바에스는 1520년 4월에 병력 1,100 명을 이끌고 상륙했다.[346] 코르테스는 테노치티틀란에 병력 200명만 남겨놓고 나르바에스를 영격하러 나갔다. 코르테스는 나르바에스에게 승리하고 그 부하들을 자기 부하로 흡수했다. 그러는 동안 테노치티틀란에서는 코르테스의 부하들이 대신전에서 학살을 일으켰다가 아스텍인들의 대규모 반란을 초래했다. 코르테스는 재빨리 돌아와서 모테쿠소마 2세를 지원해 반란을 진압하려 했으나 모테쿠소마 2세는 자기 백성들의 돌에 맞아죽고,[348] 코르테스 일행은 간신히 몸만 내빼서 동맹국 틀락스칼텍으로 도망쳤다. 후위를 선 부하들은 모두 죽었고 긁어모은 보물도 잃어버렸다(비통한 밤).[346] 오툼바 전투를 거쳐 틀락스칼텍 권역에 도달하기까지 코르테스 원정대는 870명이 죽었다.[346] 그러나 코르테스는 원주민 동맹국들과 쿠바에서 온 지원군을 모아 결국 1521년 8월 테노치티틀란을 함락하고 새 황제 쿠아우테목을 사로잡았다. 아스텍이 멸망하고 누에바에스파냐의 수도가 된 테노치티틀란은 멕시코시티라 불리게 되었다.

3. 4. 2. 피사로의 페루 정복

프란시스코 피사로잉카 제국의 내분을 이용하여 아타우알파를 사로잡아 (카하마르카 전투) 몸값의 방에 가두었다.[157] 아타우알파는 방 하나를 금으로, 방 두 개를 은으로 채워주겠다는 약속을 이행했음에도 불구하고, 피사로는 아타우알파를 처형했다.

1533년, 피사로는 원주민 동맹군과 함께 잉카의 수도 쿠스코를 침공하여 점령했다. 이로써 페루는 에스파냐의 식민지가 되었다. 이후 만타로계곡의 하후하가 임시 수도로 정해졌으나, 너무 산 속에 있어 1535년 1월 18일 항구도시 리마가 건설되었다.

3. 5. 대항해시대 전기 소결: 신항로의 정착 (1542년–1565년)

1543년, 페르낭 멘데스 핀투 등 세 명의 포르투갈 상인이 일본 다네가섬(종자도)에 표착하여 화승총을 전래하면서 서양과 일본 간 최초의 교역이 이루어졌다.[349][158]

나가사키에 있는 포르투갈 카라벨선, 난반 미술으로 추정되는 가노 나이젠의 작품, 1570년–1616년 일본


한편, 에스파냐의 펠리페 2세는 필리핀 정복을 명령했고, 안드레스 데 우르다네타가 지휘관으로 임명되었으나, 우르다네타는 지휘를 거부하고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가 대신 임명되었다. 원정대는 1564년 11월에 출항했다.[350][159] 레가스피는 귀환로를 찾기 위해 우르다네타를 파견했다.

우르다네타는 1565년 6월 1일 세부섬 산미겔에서 출항하여 북위 38도까지 올라가 무역풍을 이용, 태평양에서도 바람이 소용돌이칠 것이라고 추론했다. 그의 예상대로 북반구 편서풍을 탄 배는 캘리포니아의 멘도시노곶에 도착했고, 이후 북미 서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내려가 1565년 10월 8일 멕시코 아카풀코항에 도착했다. 우르다네타 분견대는 130일 동안 19,312 킬로미터를 항해했으며, 선원 중 14명이 사망했다.

이로써 멕시코와 필리핀을 잇는 태평양 횡단 항로가 개척되었고, 오랫동안 갈레온 데 마닐라가 이 항로를 이용하여 중국, 미주, 유럽을 연결하는 교역망이 완성되었다.

1568년에 설립된 포르투갈 무역로(파란색)와 경쟁 관계에 있던 마닐라 갈레온 무역로(흰색)

3. 6. 러시아의 시베리아 정복 (1581년–1660년)

우랄산맥을 넘어 아시아로 진입하는 예르마크와 그의 모험대.


1577년경, 러시아의 상인 세묜 스트로가노프와 그 형제들이 시비르 칸국의 쿠춤 칸으로부터 토지를 보호해 달라고 카자크 두령 예르마크를 고용했다. 1580년 무렵, 스트로가노프 형제들과 예르마크는 아예 시비르 칸국으로 쳐들어가서 쿠춤 칸의 땅에서 싸움을 벌이자는 아이디어를 떠올렸고, 1581년 예르마크가 시비르 내륙 깊숙히 들어가는 원정에 나섰다. 칸의 군대와 몇 차례 싸워 이긴 뒤, 예르마크는 1582년 이르티시강변에서 쿠춤 칸의 주력군과 3일 밤낮을 싸워 승리했다(추바시곶 전투). 쿠춤 칸은 스텝으로 달아났고, 예르마크는 시비르 칸국의 수도 카슐리크(오늘날의 토볼스크 근교)에 입성했다. 아직 건재했던 쿠춤 칸은 1585년 예르마크를 야습하여 부하 대부분을 죽였다. 예르마크는 와가이강을 건너 도망치다가 갑옷 무게 때문에 익사했다. 이로 인해 일시적으로 러시아 카자크는 시베리아에서 완전히 후퇴했으나, 예르마크가 주요 강상수로를 다 개척해 놓은 덕분에 불과 몇년만에 재정복에 성공했고, 시비르 칸국은 1598년 멸망했다.

17세기 초, 러시아는 국내적으로 동란 시대에 휩싸이면서 동진이 둔화되었다. 그러나 가치 있는 모피상아를 노린 카자크들이 주도하여 광대한 시베리아 탐험이 재개되었다. 카자크들이 주로 우랄산맥 남부를 통해 동진했다면, 또 하나의 흐름은 북극해를 통해서 왔다. 백해 해안의 포모리들이었다. 이들은 이미 오랫동안 서시베리아 북부의 망가제야에서 모피무역에 종사하고 있었다. 1607년에는 예니세이강 하류, 니즈냐야퉁구스카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투루한스크가 세워졌다. 1619년에는 예니세이강 중류, 앙가라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예니세이스크가 세워졌다.[188]

시베리아 수로는 도로가 부설되기 전 시베리아를 횡단할 수 있는 유일한 교통로였다.


1620년부터 1624년 사이에, 데미드 퍄안다가 이끄는 모피 사냥꾼들은 투루한스크를 떠나 니즈냐야퉁구스카 강 약 2,301km를 탐험했고, 빌류이 강과 레나 강 근처에서 겨울을 보냈다. 후대의 전설적인 기록(사건 발생 1세기 후에 수집된 민담)에 따르면, 퍄안다는 레나 강을 발견했다. 그는 약 2,414km에 달하는 레나 강을 탐험하여 중앙 야쿠티아까지 도달했다고 한다. 그는 레나 강이 너무 암석이 많고 얕아질 때까지 거슬러 올라가 앙가라 강으로 옮겨 갔다. 이렇게 퍄안다는 최초로 야쿠트족과 부랴트족을 만난 러시아인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는 새로운 배를 만들어 앙가라 강 약 1,400km를 탐험하여 마침내 예니세이스크에 도착했고, 앙가라 강(부랴트어 이름)과 상퉁구스카 강(러시아인들이 처음 알았던 베르흐냐야 퉁구스카)이 같은 강임을 발견했다.

1627년, 표트르 베케토프는 시베리아의 예니세이 보이보드로 임명되었다. 그는 자바이칼리에 부랴트족으로부터 세금을 징수하는 항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부랴트를 처음으로 방문한 러시아인이 되었다. 그는 그곳에 첫 번째 러시아 정착지인 류빈스키 오스트로그를 건설했다. 베케토프는 1631년 레나 강으로 파견되었고, 1632년 야쿠츠크를 건설하고 그의 코사크들을 파견하여 알단 강을 탐험하고 레나 강을 더 내려가 새로운 요새를 건설하고 세금을 징수하게 했다.[188]

야쿠츠크는 곧 동쪽, 남쪽, 북쪽으로의 러시아 원정의 주요 출발점이 되었다. 예니세이스크 건설자 중 한 명이었던 막심 페르필리예프는 1631년 앙가라 강에 브라츠크 오스트로그를 건설했다. 1638년, 페르필리예프는 야쿠츠크에서 자바이칼리아로 여행하여 트란스바이칼리아를 처음으로 방문한 러시아인이 되었다.[189][190]

17세기 후반 레메조프 연대기에 묘사된 이르쿠츠크와 그 주변의 바이칼 호 지도


1643년, 쿠르바트 이바노프는 야쿠츠크에서 코사크들을 이끌고 바이칼 산맥 남쪽으로 가서 바이칼 호를 발견하고 올혼섬을 방문했다. 이바노프는 나중에 바이칼 호의 최초의 지도와 설명을 작성했다.[191]

1639년, 이반 모스크비틴(Ivan Moskvitin)이 이끄는 탐험대가 최초로 태평양에 도달하여 오호츠크 해(Sea of Okhotsk)를 발견하고, 울랴 강(Ulya River) 어귀에 겨울 캠프를 세웠다. 코사크들은 현지인들로부터 남쪽으로 멀리 떨어진 큰 아무르 강(Amur River)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1640년, 그들은 남쪽으로 항해하여 오호츠크 해의 남동쪽 해안을 탐험했으며, 아마도 아무르 강(Amur River) 어귀에 도달했고 돌아오는 길에 샨타르 제도(Shantar Islands)를 발견했을 가능성이 있다. 모스크비틴의 기록을 바탕으로 쿠르바트 이바노프(Kurbat Ivanov)는 1642년 최초의 러시아 극동(Far East) 지도를 그렸다.

1643년, 바실리 포야르코프(Vasily Poyarkov)는 스타노보이 산맥(Stanovoy Range)을 넘어 만주(Manchu) 중국에 조공을 바치던 다우르인의 땅에 있는 상류 제야 강(Zeya River)에 도달했다. 겨울을 난 후 1644년, 포야르코프는 제야 강을 따라 내려가 최초로 아무르 강(Amur River)에 도달한 러시아인이 되었다. 그는 아무르 강을 따라 항해하여 마침내 육지에서 그 위대한 강의 어귀를 발견했다. 그의 코사크들이 현지인들의 적개심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에, 포야르코프는 다른 길로 돌아가기로 했다. 그들은 배를 만들어 1645년 오호츠크 해(Sea of Okhotsk) 연안을 따라 울랴 강(Ulya River)까지 항해하여 6년 전 이반 모스크비틴(Ivan Moskvitin)이 세웠던 오두막에서 다음 겨울을 보냈다. 1646년, 그들은 야쿠츠크로 돌아왔다.

크라스노야르스크(Krasnoyarsk) 박물관에 있는 17세기 코치. 코치는 최초의 쇄빙선(icebreaker)이었으며 러시아인들이 북극(Arctic)과 시베리아(Siberia) 강에서 널리 사용했다.


1644년, 미하일 스타두힌(Mikhail Stadukhin)은 콜리마 강(Kolyma River)을 발견하고 스레드네콜림스크(Srednekolymsk)를 건설했다. 페도트 알렉세예프 포포프(Fedot Alekseyev Popov)이라는 상인은 동쪽으로 더 나아가는 탐험을 조직했고, 세묘 데즈뇨프(Semyon Dezhnyov)는 코치 중 한 척의 선장이 되었다. 1648년, 그들은 스레드네콜림스크(Srednekolymsk)에서 북극으로 항해하여 데즈뇨프 곶(Cape Dezhnyov)을 돌았고, 따라서 베링 해협(Bering Strait)을 통과하고 추코트카와 베링 해(Bering Sea)를 발견한 최초의 탐험가가 되었다. 그들의 모든 코치와 대부분의 선원들(포포프 자신을 포함하여)은 폭풍과 원주민들과의 충돌로 사라졌다. 데즈뇨프가 이끄는 소규모 그룹은 아나디르 강(Anadyr River) 어귀에 도착하여 1649년 그 강을 따라 올라가 난파선으로 새로운 배를 만들었다. 그들은 아나디르스크(Anadyrsk)를 건설하고 스타두힌이 육로로 콜리마에서 그들을 찾을 때까지 그곳에 남았다.[192] 그 후, 스타두힌은 1651년 남쪽으로 출발하여 오호츠크 해(Okhotsk Sea) 북쪽 해안에 있는 펜진 만(Penzhin Bay)을 발견했다. 그는 또한 캄차카(Kamchatka) 서쪽 해안을 탐험했을 가능성이 있다.

1649년부터 1650년까지 예로페이 하바로프(Yerofey Khabarov)는 아무르 강(Amur River)을 탐험한 두 번째 러시아인이 되었다. 그는 올료크마(Olyokma), 퉁기르(Tungir), 쉴카 강(Shilka River)을 통해 아무르(다우리아(Dauria))에 도달하고, 야쿠츠크(Yakutsk)로 돌아온 다음 1650년에서 1653년 사이에 더 큰 병력을 이끌고 아무르로 돌아왔다. 이번에는 무장 저항에 직면했습니다. 그는 알바진(Albazin)에 겨울 주둔지를 건설하고, 아무르 강을 따라 내려가 현재의 하바롭스크(Khabarovsk)에 앞선 아찬스크를 발견했으며, 가는 길에 트란스바이칼(Transbaikal) 다우리아(Daurian) 만주(Manchu) 중국인과 한국인(Koreans)의 대규모 군대를 물리치거나 피했다. 그는 그의 "아무르 강 초안"에 아무르 강을 기록했다.[193] 그 후 러시아는 1689년 네르친스크 조약(Treaty of Nerchinsk)에 의해 이 땅이 중국 제국에 할양될 때까지 아무르 지역을 장악했다. 그것은 1858년 아이군 조약(Treaty of Aigun)에 의해 반환되었다.

1659년부터 1665년까지 쿠르바트 이바노프(Kurbat Ivanov)는 세묘 데즈뇨프(Semyon Dezhnev) 이후 아나디르스크(Anadyrsk) 요새의 다음 책임자였다. 1660년, 그는 아나디르 만(Anadyr Bay)에서 데즈뇨프 곶(Cape Dezhnyov)까지 항해했다. 이전의 개척적인 지도 위에 이바노프는 추코트카와 베링 해협(Bering Strait)의 초기 지도를 만든 공로를 인정받고 있는데, 이 지도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랭겔 섬(Wrangel Island), 두 개의 디오메드 제도(Diomede Islands) 및 알래스카를 (매우 개략적으로) 최초로 보여주는 지도였다. 이는 추코트카 원주민들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3. 6. 1. 시비르 칸국의 정복



1577년경, 러시아의 상인 세묜 스트로가노프와 그 형제들이 시비르 칸국의 쿠춤 칸으로부터 토지를 보호해 달라고 카자크 두령 예르마크를 고용했다. 1580년 무렵, 스트로가노프 형제들과 예르마크는 아예 시비르 칸국으로 쳐들어가서 쿠춤 칸의 땅에서 싸움을 벌이자는 아이디어를 떠올렸고, 1581년 예르마크가 시비르 내륙 깊숙히 들어가는 원정에 나섰다. 칸의 군대와 몇 차례 싸워 이긴 뒤, 예르마크는 1582년 이르티시강변에서 쿠춤 칸의 주력군과 3일 밤낮을 싸워 승리했다(추바시곶 전투). 쿠춤 칸은 스텝으로 달아났고, 예르마크는 시비르 칸국의 수도 카슐리크(오늘날의 토볼스크 근교)에 입성했다. 아직 건재했던 쿠춤 칸은 1585년 예르마크를 야습하여 부하 대부분을 죽였다. 예르마크는 와가이강을 건너 도망치다가 갑옷 무게 때문에 익사했다. 이로 인해 일시적으로 러시아 카자크는 시베리아에서 완전히 후퇴했으나, 예르마크가 주요 강상수로를 다 개척해 놓은 덕분에 불과 몇년만에 재정복에 성공했고, 시비르 칸국은 1598년 멸망했다.

3. 6. 2. 시베리아 수로의 개척

17세기 초, 러시아는 국내적으로 동란 시대에 휩싸이면서 동진이 둔화되었다. 그러나 가치 있는 모피상아를 노린 카자크들이 주도하여 광대한 시베리아 탐험이 재개되었다. 카자크들이 주로 우랄산맥 남부를 통해 동진했다면, 또 하나의 흐름은 북극해를 통해서 왔다. 백해 해안의 포모리들이었다. 이들은 이미 오랫동안 서시베리아 북부의 망가제야에서 모피무역에 종사하고 있었다. 1607년에는 예니세이강 하류, 니즈냐야퉁구스카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투루한스크가 세워졌다. 1619년에는 예니세이강 중류, 앙가라 강이 합류하는 지점에 예니세이스크가 세워졌다.[188]

1620년부터 1624년 사이에, 데미드 퍄안다가 이끄는 모피 사냥꾼들은 투루한스크를 떠나 니즈냐야퉁구스카 강 약 2,301km를 탐험했고, 빌류이 강과 레나 강 근처에서 겨울을 보냈다. 후대의 전설적인 기록(사건 발생 1세기 후에 수집된 민담)에 따르면, 퍄안다는 레나 강을 발견했다. 그는 약 2,414km에 달하는 레나 강을 탐험하여 중앙 야쿠티아까지 도달했다고 한다. 그는 레나 강이 너무 암석이 많고 얕아질 때까지 거슬러 올라가 앙가라 강으로 옮겨 갔다. 이렇게 퍄안다는 최초로 야쿠트족과 부랴트족을 만난 러시아인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그는 새로운 배를 만들어 앙가라 강 약 1,400km를 탐험하여 마침내 예니세이스크에 도착했고, 앙가라 강(부랴트어 이름)과 상퉁구스카 강(러시아인들이 처음 알았던 베르흐냐야 퉁구스카)이 같은 강임을 발견했다.

1627년, 표트르 베케토프는 시베리아의 예니세이 보이보드로 임명되었다. 그는 자바이칼리에 부랴트족으로부터 세금을 징수하는 항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부랴트를 처음으로 방문한 러시아인이 되었다. 그는 그곳에 첫 번째 러시아 정착지인 류빈스키 오스트로그를 건설했다. 베케토프는 1631년 레나 강으로 파견되었고, 1632년 야쿠츠크를 건설하고 그의 코사크들을 파견하여 알단 강을 탐험하고 레나 강을 더 내려가 새로운 요새를 건설하고 세금을 징수하게 했다.[188]

야쿠츠크는 곧 동쪽, 남쪽, 북쪽으로의 러시아 원정의 주요 출발점이 되었다. 예니세이스크 건설자 중 한 명이었던 막심 페르필리예프는 1631년 앙가라 강에 브라츠크 오스트로그를 건설했다. 1638년, 페르필리예프는 야쿠츠크에서 자바이칼리아로 여행하여 트란스바이칼리아를 처음으로 방문한 러시아인이 되었다.[189][190]

1643년, 쿠르바트 이바노프는 야쿠츠크에서 코사크들을 이끌고 바이칼 산맥 남쪽으로 가서 바이칼 호를 발견하고 올혼섬을 방문했다. 이바노프는 나중에 바이칼 호의 최초의 지도와 설명을 작성했다.[191]

3. 6. 3. 러시아, 태평양에 닿다

1639년, 이반 모스크비틴(Ivan Moskvitin)이 이끄는 탐험대가 최초로 태평양에 도달하여 오호츠크 해(Sea of Okhotsk)를 발견하고, 울랴 강(Ulya River) 어귀에 겨울 캠프를 세웠다. 코사크들은 현지인들로부터 남쪽으로 멀리 떨어진 큰 아무르 강(Amur River)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1640년, 그들은 남쪽으로 항해하여 오호츠크 해의 남동쪽 해안을 탐험했으며, 아마도 아무르 강(Amur River) 어귀에 도달했고 돌아오는 길에 샨타르 제도(Shantar Islands)를 발견했을 가능성이 있다. 모스크비틴의 기록을 바탕으로 쿠르바트 이바노프(Kurbat Ivanov)는 1642년 최초의 러시아 극동(Far East) 지도를 그렸다.

1643년, 바실리 포야르코프(Vasily Poyarkov)는 스타노보이 산맥(Stanovoy Range)을 넘어 만주(Manchu) 중국에 조공을 바치던 다우르인의 땅에 있는 상류 제야 강(Zeya River)에 도달했다. 겨울을 난 후 1644년, 포야르코프는 제야 강을 따라 내려가 최초로 아무르 강(Amur River)에 도달한 러시아인이 되었다. 그는 아무르 강을 따라 항해하여 마침내 육지에서 그 위대한 강의 어귀를 발견했다. 그의 코사크들이 현지인들의 적개심을 불러일으켰기 때문에, 포야르코프는 다른 길로 돌아가기로 했다. 그들은 배를 만들어 1645년 오호츠크 해(Sea of Okhotsk) 연안을 따라 울랴 강(Ulya River)까지 항해하여 6년 전 이반 모스크비틴(Ivan Moskvitin)이 세웠던 오두막에서 다음 겨울을 보냈다. 1646년, 그들은 야쿠츠크로 돌아왔다.

1644년, 미하일 스타두힌(Mikhail Stadukhin)은 콜리마 강(Kolyma River)을 발견하고 스레드네콜림스크(Srednekolymsk)를 건설했다. 페도트 알렉세예프 포포프(Fedot Alekseyev Popov)이라는 상인은 동쪽으로 더 나아가는 탐험을 조직했고, 세묘 데즈뇨프(Semyon Dezhnyov)는 코치 중 한 척의 선장이 되었다. 1648년, 그들은 스레드네콜림스크(Srednekolymsk)에서 북극으로 항해하여 데즈뇨프 곶(Cape Dezhnyov)을 돌았고, 따라서 베링 해협(Bering Strait)을 통과하고 추코트카와 베링 해(Bering Sea)를 발견한 최초의 탐험가가 되었다. 그들의 모든 코치와 대부분의 선원들(포포프 자신을 포함하여)은 폭풍과 원주민들과의 충돌로 사라졌다. 데즈뇨프가 이끄는 소규모 그룹은 아나디르 강(Anadyr River) 어귀에 도착하여 1649년 그 강을 따라 올라가 난파선으로 새로운 배를 만들었다. 그들은 아나디르스크(Anadyrsk)를 건설하고 스타두힌이 육로로 콜리마에서 그들을 찾을 때까지 그곳에 남았다.[192] 그 후, 스타두힌은 1651년 남쪽으로 출발하여 오호츠크 해(Okhotsk Sea) 북쪽 해안에 있는 펜진 만(Penzhin Bay)을 발견했다. 그는 또한 캄차카(Kamchatka) 서쪽 해안을 탐험했을 가능성이 있다.

1649년부터 1650년까지 예로페이 하바로프(Yerofey Khabarov)는 아무르 강(Amur River)을 탐험한 두 번째 러시아인이 되었다. 그는 올료크마(Olyokma), 퉁기르(Tungir), 쉴카 강(Shilka River)을 통해 아무르(다우리아(Dauria))에 도달하고, 야쿠츠크(Yakutsk)로 돌아온 다음 1650년에서 1653년 사이에 더 큰 병력을 이끌고 아무르로 돌아왔다. 이번에는 무장 저항에 직면했습니다. 그는 알바진(Albazin)에 겨울 주둔지를 건설하고, 아무르 강을 따라 내려가 현재의 하바롭스크(Khabarovsk)에 앞선 아찬스크를 발견했으며, 가는 길에 트란스바이칼(Transbaikal) 다우리아(Daurian) 만주(Manchu) 중국인과 한국인(Koreans)의 대규모 군대를 물리치거나 피했다. 그는 그의 "아무르 강 초안"에 아무르 강을 기록했다.[193] 그 후 러시아는 1689년 네르친스크 조약(Treaty of Nerchinsk)에 의해 이 땅이 중국 제국에 할양될 때까지 아무르 지역을 장악했다. 그것은 1858년 아이군 조약(Treaty of Aigun)에 의해 반환되었다.

1659년부터 1665년까지 쿠르바트 이바노프(Kurbat Ivanov)는 세묘 데즈뇨프(Semyon Dezhnev) 이후 아나디르스크(Anadyrsk) 요새의 다음 책임자였다. 1660년, 그는 아나디르 만(Anadyr Bay)에서 데즈뇨프 곶(Cape Dezhnyov)까지 항해했다. 이전의 개척적인 지도 위에 이바노프는 추코트카와 베링 해협(Bering Strait)의 초기 지도를 만든 공로를 인정받고 있는데, 이 지도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랭겔 섬(Wrangel Island), 두 개의 디오메드 제도(Diomede Islands) 및 알래스카를 (매우 개략적으로) 최초로 보여주는 지도였다. 이는 추코트카 원주민들로부터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3. 7. 서유럽의 후발참여 (1596년-17세기)

이베리아 반도를 제외한 유럽 국가들은 포르투갈과 카스티야 간의 토르데시야스 조약을 인정하지 않았으며, 교황 알렉산데르 6세가 신대륙에서 스페인이 발견한 땅을 스페인에 기증한 것도 인정하지 않았다. 프랑스, 네덜란드, 잉글랜드는 각각 오랜 해양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사략선 활동을 해왔다. 이베리아 반도의 보호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기술과 지도는 곧 북쪽으로 전파되었다.

잉글랜드의 헨리 8세와 아라곤의 캐서린의 결혼이 남자 상속인을 낳지 못하고 헨리 8세가 결혼 무효화에 대한 교황의 허가를 얻지 못하자, 그는 로마 가톨릭교회와 결별하고 자신을 잉글랜드 교회의 수장으로 삼았다. 이로써 종교 갈등이 정치 갈등에 더해졌다. 네덜란드의 상당 부분이 프로테스탄트가 되면서, 카톨릭 스페인으로부터 정치적, 종교적 독립을 추구하게 되었다. 1568년, 네덜란드인들은 스페인의 필립 2세의 지배에 반기를 들었고, 이는 80년 전쟁으로 이어졌다. 잉글랜드와 스페인 사이의 전쟁도 발발했다. 1580년, 필립 2세는 포르투갈 왕위를 계승하여 포르투갈 국왕이 되었다.

80년에 걸친 네덜란드 독립 전쟁에서 필립 2세의 군대는 브뤼헤와 겐트와 같은 중요한 무역 도시들을 정복했다. 당시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항구였던 앤트워프는 1585년 함락되었다. 프로테스탄트 주민들은 도시를 떠나기 전에 2년 동안 일을 정리할 시간을 얻었다.[160] 많은 사람들이 암스테르담에 정착했다. 1585년에는 작은 항구였던 암스테르담은 빠르게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상업 중심지 중 하나로 변모했다. 1588년 스페인 무적함대의 실패 이후, 해양 무역은 엄청나게 확장되었다.

항해술과 지도 제작에 능숙한 네덜란드 선원들이 포르투갈 항해에 참여하면서 네덜란드의 해양 세력은 빠르게 성장했다. 1592년, 코르넬리스 드 하우트만(Cornelis de Houtman)은 리스본에서 향신료 제도에 대한 정보를 수집했다. 같은 해, 얀 후이겐 반 린쇼텐(Jan Huyghen van Linschoten)은 암스테르담에서 동인도와 일본에 도달하는 항해 지침을 제공하는 상세한 여행 보고서를 출판했다.[161] 이후 하우트만은 네덜란드 최초의 탐험 항해를 이끌고 마다가스카르에서 순다 해협까지의 새로운 항로를 발견하고 반텐 술탄과 조약을 체결했다. 네덜란드는 또한 1602년에 시작된 일련의 전투 이후 1641년 포르투갈로부터 말라카를 점령함으로써 해양력을 과시했다.

새로운 정보에 힘입은 네덜란드와 영국의 관심은 상업적 확장으로 이어졌고, 영국(1600년)과 네덜란드(1602년)의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 네덜란드, 프랑스, 영국은 포르투갈의 독점을 무시하고 주로 해안 지역에 집중한 배들을 보냈는데, 이는 그처럼 광대하고 분산된 모험에 대응할 수 없음이 입증되었다.[162]

천문학자 요하네스 케플러(Johannes Kepler)가 루돌프 표(Rudolphine Tables)를 바탕으로 1627년 당시에 그린 세계 지도.


포르투갈과 스페인보다 늦게 절대 왕권을 안정시키고, 항해와 탐험을 지원할 준비를 갖춘 프랑스(France)와 영국(England), 그리고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한 네덜란드(Netherlands)와 같은 후발 국가들도 활발하게 해외 진출을 하여, 점차 선행하고 있던 포르투갈과 스페인을 능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후발 해운 국가들은 토르데시야스 조약에 의해 신영토 획득에서 배제되는 것을 거부하고, 독자적으로 항해 경험도 쌓았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과 지도를 사용하여 북쪽의 대양으로 진출하였다. 후발 해운 국가들은 포르투갈과 스페인이 광대한 영토를 획득했음에도 불구하고 급속도로 몰락해 간 경험을 통해 배우고, 신중하고 치밀한 식민지 경영을 실시했다.

==== 북미대륙 탐험 ====

1497년, 잉글랜드의 헨리 7세가 승인한 잉글랜드 원정대는 이탈리아 베네치아 출신의 존 캐벗(Giovanni Caboto)이 이끌었다. 이것은 북아메리카를 탐험하는 일련의 프랑스와 잉글랜드 원정의 첫 번째였다.[163]

1524년, 이탈리아 출신의 조반니 다 베라차노는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의 권한 하에 항해했다. 베라차노는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뉴펀들랜드까지 북아메리카 대서양 연안을 탐험했으며, 나중에 버지니아 식민지와 미국이 될 지역을 방문한 것으로 기록된 최초의 유럽인이었다.[163] 1534년부터 1536년까지 프랑스 탐험가 자크 카르티에는 세인트로렌스 만을 묘사하고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를 위해 현재의 캐나다를 주장했다.[166][167]

1609년부터 1611년까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를 위해 북아메리카를 탐험한 헨리 허드슨의 항해 지도


허드슨 강에 있는 헨리 허드슨의 배 ''할브마엔''


1609년부터 1611년까지,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의 후원하에 잉글랜드 항해사 헨리 허드슨은 현재 뉴욕시 근처 지역을 탐험했다. 그는 허드슨 강을 탐험하고 그 지역의 네덜란드 식민지의 기반을 마련했다. 허드슨의 마지막 탐험은 북서항로를 찾아 더 북쪽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허드슨 해협과 허드슨 만을 발견하게 되었다.

북아메리카 동부 해안에는 네덜란드(Netherlands)의 뉴네덜란드(New Netherland), 뉴암스테르담(New Amsterdam), 영국의 버지니아 식민지(Virginia Colony), 뉴욕 식민지(New York Colony) 등 대규모 식민지가 건설되기 시작했다.

==== 북방항로를 찾아서: 북극해 탐험 ====

영국, 네덜란드는 북극해를 통해 아시아로 가는 북동 항로와 북서 항로를 탐험했으나, 얼음에 막혀 실패했다.[180][181][183][184]

독일어로 작성된 마틴 프로비셔(Martin Frobisher)의 북극 탐험 보고서 중 하나


빌렘 바렌츠(Willem Barentsz)의 세 번째 항해에서 그린 북극 탐험 지도(1598년)


빌렘 바렌츠(Willem Barentsz)의 승무원들이 북극곰과 싸우는 모습


1553년, 영국의 탐험가 휴 윌로비(Hugh Willoughby)와 수석 항해사 리처드 챈슬러(Richard Chancellor)는 런던의 신대륙 상인 모험가 회사(Company of Merchant Adventurers to New Lands)의 지원을 받아 세 척의 배를 이끌고 항로를 찾아 나섰다. 바렌츠해를 항해하는 동안 윌로비는 북쪽에 섬들을 보았다고 생각했고, 윌로비 랜드(Willoughby's Land)라고 불리는 섬들은 페트루스 플랑시우스(Petrus Plancius)와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Gerardus Mercator)가 1640년대까지 발행한 지도에 표시되었다.[180] 노르웨이해에서 "끔찍한 회오리바람"으로 배들이 분리되었고, 윌로비는 현재 핀란드와 러시아 국경 근처의 만으로 항해했다. 윌로비 선장과 그의 일지를 포함한 동결된 선원들이 있는 그의 배들은 1년 후 러시아 어부들에 의해 발견되었다. 리처드 챈슬러는 흰 바다에 닻을 내리고 육로로 모스크바와 이반 뇌제(Ivan the Terrible)의 궁정으로 가는 길을 열어 러시아와의 무역을 시작했고, 상인 모험가 회사는 러시아 회사(Muscovy Company)가 되었다.

1576년 6월, 영국 선원 마틴 프로비셔(Martin Frobisher)는 세 척의 배와 35명의 선원으로 구성된 탐험대를 이끌고 북아메리카 주변의 북서 항로를 찾기 위한 탐험을 시작했다. 격렬한 폭풍으로 한 척의 배가 침몰하고 다른 한 척은 되돌아가야 했지만, 프로비셔와 나머지 한 척의 배는 7월에 라브라도 해안에 도착했다. 며칠 후 그들은 현재 프로비셔만(Frobisher Bay)인 곳의 입구에 도착했다. 프로비셔는 그것이 북서 항로의 입구라고 믿고 프로비셔 해협(Frobisher's Strait)이라고 명명하고 엘리자베스 여왕을 위해 바핀 섬(Baffin Island)을 점령했다. 몇 가지 예비 탐사 후, 프로비셔는 영국으로 돌아왔다. 그는 1577년과 1578년에 두 차례의 후속 항해를 지휘했지만, 바랐던 항로를 찾는 데 실패했다.[181]

1594년 6월 5일, 네덜란드의 지도 제작자 빌렘 바렌츠(Willem Barentsz)는 시베리아(Siberia) 상공의 북동 항로(Northeast Passage)를 찾고자 카라 해(Kara Sea)로 진입하기 위해 세 척의 배로 테셀(Texel) 섬에서 출발했다.[183] 윌리엄스 섬(Williams Island)에서 승무원들은 처음으로 북극곰을 만났다. 바렌츠는 노바야 제믈랴(Novaya Zemlya) 서해안에 도착하여 북쪽으로 항해했지만, 거대한 빙산 때문에 되돌아가야 했다.

이듬해, 오라녜 공 모리스(Maurice, Prince of Orange)는 그를 중국과 무역하기를 희망했던 네덜란드 상인들의 상품을 실은 여섯 척의 배로 이루어진 새로운 탐험대의 수석 항해사로 임명했다.[184] 탐험대는 사모예드족(Samoyedic peoples) "야만인"들을 만났지만, 카라 해(Kara Sea)가 얼어붙은 것을 발견하고 결국 되돌아왔다. 1596년, 네덜란드 총독부(States-General)는 북동 항로(Northeast Passage)를 성공적으로 항해하는 사람에게 높은 상금을 걸었다. 암스테르담 시의회는 바렌츠의 지휘 아래, 얀 립(Jan Rijp)과 야코프 판 헴스커크(Jacob van Heemskerk)가 선장인 두 척의 소형 선박을 구입하여 장비를 갖추고 불가사의한 해협을 찾도록 했다. 그들은 5월에 출발하여 6월에 곰 섬(Bear Island) (노르웨이)와 스발바르(Spitsbergen)를 발견하고 북서 해안을 보았다.

배들은 7월 1일에 다시 곰 섬(Bear Island)에 도착했고, 이로 인해 의견 불일치가 발생했다. 그들은 갈라섰고, 바렌츠는 북동쪽으로 계속 항해하는 반면, 립은 북쪽으로 향했다. 바렌츠는 노바야 제믈랴(Novaya Zemlya)에 도착했고, 얼음에 갇히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바이가치 해협(Vaigatch Strait)으로 향했지만, 빙산과 부빙 속에 갇혔다. 표류하게 된 16명의 승무원은 얼음 위에서 겨울을 보내야 했다. 승무원들은 배의 목재를 사용하여 "헷 베하우든 회스(Het Behouden Huys)"(보존된 집)라고 부르는 오두막을 지었다. 6월이 되었지만, 얼음이 여전히 배를 움켜쥐고 있자, 괴혈병(scurvy)에 걸린 생존자들은 두 척의 작은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갔다. 바렌츠는 1597년 6월 20일 해도를 연구하는 중 바다에서 사망했다. 배가 콜라(Kola) (도시)에 도착하여 러시아 상선에 구조될 때까지 7주가 더 걸렸다. 12명의 승무원만이 남아 11월에 암스테르담에 도착했다.

1608년, 헨리 허드슨(Henry Hudson)은 러시아 정상을 가로지르려는 두 번째 시도를 했다. 그는 노바야 제믈랴(Novaya Zemlya)에 도착했지만 되돌아가야 했다.

1627년의 30년 전쟁(Thirty Years' War), 1666년의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Second Anglo-Dutch War)이 벌어지는 가운데, 네덜란드와 영국은 스칸디나비아와 러시아, 시베리아의 북쪽을 우회하여 중국에 이르는 북동 항로(Northeast Passage)의 탐험도 실시하고, 러시아 차르국(Tsarist Russia)과의 북해 무역을 시작하거나, 포경(Whaling)의 거점이 되는 북극해의 섬을 많이 발견했지만, 역시 얼음 바다에 막혀 아시아로 가는 항로를 찾을 수 없었고, 또한 북아메리카를 우회하는 항로도 19세기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 남방대륙을 찾아서: 호주 탐험 ====

네덜란드 동인도회사(VOC)의 아벨 타스만이 1642년과 1644년에 뉴홀랜드(오스트레일리아)에서 항해한 경로


''두이프켄'' 복제품, 스완 강, 오스트레일리아


1642년부터 1644년까지, VOC에 고용된 네덜란드 탐험가이자 상인이었던 아벨 타스만은 뉴홀랜드를 일주하면서 오스트레일리아가 신화 속 남쪽 대륙의 일부가 아니라는 것을 증명했다. 그는 반 디멘 랜드(현재 타스마니아)와 뉴질랜드의 섬에 도착하고 1643년에 피지 제도를 발견한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유럽 원정대였다. 타스만, 그의 항해사 비셔, 그리고 그의 상인 길세만스는 또한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그리고 태평양 제도의 상당 부분을 지도에 그렸다.[185]

1606년에는 빌럼 얀손(Willem Janszoon)이, 1642년에는 아벨 타스만(Abel Tasman) 등 네덜란드의 탐험가들이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를 탐험하고 있다.

3. 7. 1. 북미대륙 탐험

1497년, 잉글랜드의 헨리 7세가 승인한 잉글랜드 원정대는 이탈리아 베네치아 출신의 존 캐벗(Giovanni Caboto)이 이끌었다. 이것은 북아메리카를 탐험하는 일련의 프랑스와 잉글랜드 원정의 첫 번째였다.[163] 1499년에는 주앙 페르난데스 라브라도르가 포르투갈 국왕으로부터 허가를 받아 페루 드 바르셀로스와 함께 처음으로 라브라도르를 발견했고,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귀환 후 그는 아마도 잉글랜드를 대표하여 항해하기 위해 브리스톨로 갔을 것이다.[106]

1499년부터 1502년 사이에 형제인 가스파르와 미구엘 코르테 레알은 그린란드와 뉴펀들랜드의 해안을 탐험하고 이름을 지었다.[107] 두 탐험 모두 1502년의 칸티노 천구의에 기록되어 있다.

1524년, 이탈리아 출신의 조반니 다 베라차노는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의 권한 하에 항해했다. 베라차노는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뉴펀들랜드까지 북아메리카 대서양 연안을 탐험했으며, 나중에 버지니아 식민지와 미국이 될 지역을 방문한 것으로 기록된 최초의 유럽인이었다.[163] 같은 해, 에스테반 고메스는 노바스코샤를 탐험하고, 메인을 통해 남쪽으로 항해하여 현재의 뉴욕 항, 허드슨 강에 들어갔으며, 마침내 1525년 8월 플로리다에 도착했다. 1534년부터 1536년까지 프랑스 탐험가 자크 카르티에는 세인트로렌스 만을 묘사하고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를 위해 현재의 캐나다를 주장했다.[166][167]

1609년부터 1611년까지, 잉글랜드 상인들을 대신하여 인도로 가는 예상 북동 항로를 탐험하기 위한 여러 항해 후,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VOC)의 후원하에 잉글랜드 항해사 헨리 허드슨은 아시아로 가는 서쪽 루트를 찾으면서 현재 뉴욕시 근처 지역을 탐험했다. 그는 허드슨 강을 탐험하고 그 지역의 네덜란드 식민지의 기반을 마련했다. 허드슨의 마지막 탐험은 북서항로를 찾아 더 북쪽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허드슨 해협과 허드슨 만을 발견하게 되었다. 제임스 만에서 겨울을 보낸 후, 허드슨은 1611년 봄에 항해를 계속하려고 했지만, 그의 선원들이 반란을 일으켜 그를 버리고 갔습니다.

북아메리카 동부 해안에는 네덜란드(Netherlands)의 뉴네덜란드(New Netherland), 뉴암스테르담(New Amsterdam), 영국의 버지니아 식민지(Virginia Colony), 뉴욕 식민지(New York Colony) 등 대규모 식민지가 건설되기 시작했다.

3. 7. 2. 북방항로를 찾아서: 북극해 탐험

영국, 네덜란드는 북극해를 통해 아시아로 가는 북동 항로와 북서 항로를 탐험했으나, 얼음에 막혀 실패했다.[180][181][183][184]

1553년, 영국의 탐험가 휴 윌로비(Hugh Willoughby)와 수석 항해사 리처드 챈슬러(Richard Chancellor)는 런던의 신대륙 상인 모험가 회사(Company of Merchant Adventurers to New Lands)의 지원을 받아 세 척의 배를 이끌고 항로를 찾아 나섰다. 바렌츠해를 항해하는 동안 윌로비는 북쪽에 섬들을 보았다고 생각했고, 윌로비 랜드(Willoughby's Land)라고 불리는 섬들은 페트루스 플랑시우스(Petrus Plancius)와 게라르두스 메르카토르(Gerardus Mercator)가 1640년대까지 발행한 지도에 표시되었다.[180] 노르웨이해에서 "끔찍한 회오리바람"으로 배들이 분리되었고, 윌로비는 현재 핀란드와 러시아 국경 근처의 만으로 항해했다. 윌로비 선장과 그의 일지를 포함한 동결된 선원들이 있는 그의 배들은 1년 후 러시아 어부들에 의해 발견되었다. 리처드 챈슬러는 흰 바다에 닻을 내리고 육로로 모스크바와 이반 뇌제(Ivan the Terrible)의 궁정으로 가는 길을 열어 러시아와의 무역을 시작했고, 상인 모험가 회사는 러시아 회사(Muscovy Company)가 되었다.

1576년 6월, 영국 선원 마틴 프로비셔(Martin Frobisher)는 세 척의 배와 35명의 선원으로 구성된 탐험대를 이끌고 북아메리카 주변의 북서 항로를 찾기 위한 탐험을 시작했다. 이 항해는 러시아 상공을 통과하는 북동 항로를 찾기 위해 휴 윌로비를 고용했던 것과 같은 상인들인 러시아 회사(Muscovy Company)의 지원을 받았다. 격렬한 폭풍으로 한 척의 배가 침몰하고 다른 한 척은 되돌아가야 했지만, 프로비셔와 나머지 한 척의 배는 7월에 라브라도 해안에 도착했다. 며칠 후 그들은 현재 프로비셔만(Frobisher Bay)인 곳의 입구에 도착했다. 프로비셔는 그것이 북서 항로의 입구라고 믿고 프로비셔 해협(Frobisher's Strait)이라고 명명하고 엘리자베스 여왕을 위해 바핀 섬(Baffin Island)을 점령했다. 몇 가지 예비 탐사 후, 프로비셔는 영국으로 돌아왔다. 그는 1577년과 1578년에 두 차례의 후속 항해를 지휘했지만, 바랐던 항로를 찾는 데 실패했다.[181] 프로비셔는 광석을 가득 실은 배를 영국으로 가져왔지만, 그 광석은 가치가 없는 것으로 판명되어 그의 탐험가로서의 명성에 손상을 입혔다. 그는 캐나다에서 중요한 초기 역사적 인물로 남아 있다.[182]

1594년 6월 5일, 네덜란드의 지도 제작자 빌렘 바렌츠(Willem Barentsz)는 시베리아(Siberia) 상공의 북동 항로(Northeast Passage)를 찾고자 카라 해(Kara Sea)로 진입하기 위해 세 척의 배로 테셀(Texel) 섬에서 출발했다.[183] 윌리엄스 섬(Williams Island)에서 승무원들은 처음으로 북극곰을 만났다. 그들은 북극곰을 배에 태우려 했지만, 북극곰이 날뛰어 결국 죽였다. 바렌츠는 노바야 제믈랴(Novaya Zemlya) 서해안에 도착하여 북쪽으로 항해했지만, 거대한 빙산 때문에 되돌아가야 했다.

이듬해, 오라녜 공 모리스(Maurice, Prince of Orange)는 그를 중국과 무역하기를 희망했던 네덜란드 상인들의 상품을 실은 여섯 척의 배로 이루어진 새로운 탐험대의 수석 항해사로 임명했다.[184] 탐험대는 사모예드족(Samoyedic peoples) "야만인"들을 만났지만, 카라 해(Kara Sea)가 얼어붙은 것을 발견하고 결국 되돌아왔다. 1596년, 네덜란드 총독부(States-General)는 북동 항로(Northeast Passage)를 성공적으로 항해하는 사람에게 높은 상금을 걸었다. 암스테르담 시의회는 바렌츠의 지휘 아래, 얀 립(Jan Rijp)과 야코프 판 헴스커크(Jacob van Heemskerk)가 선장인 두 척의 소형 선박을 구입하여 장비를 갖추고 불가사의한 해협을 찾도록 했다. 그들은 5월에 출발하여 6월에 곰 섬(Bear Island) (노르웨이)와 스발바르(Spitsbergen)를 발견하고 북서 해안을 보았다. 그들은 나중에 라우드피오르(Raudfjorden)라고 불리게 된 큰 만을 보고 마달레네피오르(Magdalenefjorden)에 들어갔는데, 이곳을 "엄니 만(Tusk Bay)"이라고 명명했고, 포를란드순데트(Forlandsundet)의 북쪽 입구(그들이 "케르빅(Keerwyck)"이라고 불렀던 곳)로 항해했지만, 모래톱 때문에 되돌아가야 했다. 6월 28일, 그들은 많은 수의 새들 때문에 "보겔호크(Vogelhoek)"라고 명명한 프린스 카를스 포를란(Prins Karls Forland)의 북쪽 끝을 돌아 남쪽으로 항해하여 이스피오르(Isfjorden) (스발바르)와 벨순(Bellsund)을 지났는데, 이들은 바렌츠의 해도에 "그로텐 인빅(Grooten Inwyck)"과 "인빅(Inwyck)"으로 표시되었다.

배들은 7월 1일에 다시 곰 섬(Bear Island)에 도착했고, 이로 인해 의견 불일치가 발생했다. 그들은 갈라섰고, 바렌츠는 북동쪽으로 계속 항해하는 반면, 립은 북쪽으로 향했다. 바렌츠는 노바야 제믈랴(Novaya Zemlya)에 도착했고, 얼음에 갇히는 것을 피하기 위해 바이가치 해협(Vaigatch Strait)으로 향했지만, 빙산과 부빙 속에 갇혔다. 표류하게 된 16명의 승무원은 얼음 위에서 겨울을 보내야 했다. 승무원들은 배의 목재를 사용하여 "헷 베하우든 회스(Het Behouden Huys)"(보존된 집)라고 부르는 오두막을 지었다. 극심한 추위에 대처하기 위해 상인들의 천으로 추가 담요와 옷을 만들고, 원시적인 덫으로 북극여우와 북극곰을 잡았다. 6월이 되었지만, 얼음이 여전히 배를 움켜쥐고 있자, 괴혈병(scurvy)에 걸린 생존자들은 두 척의 작은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갔다. 바렌츠는 1597년 6월 20일 해도를 연구하는 중 바다에서 사망했다. 배가 콜라(Kola) (도시)에 도착하여 러시아 상선에 구조될 때까지 7주가 더 걸렸다. 12명의 승무원만이 남아 11월에 암스테르담에 도착했다. 바렌츠의 승무원 중 두 명은 나중에 자신의 일지를 출판했는데, 첫 두 번의 항해에 동행했던 얀 휴이헌 판 린쇼텐(Jan Huyghen van Linschoten)과 마지막 항해에서 배의 목수로 일했던 게릿 더 베어(Gerrit de Veer)가 그들이다.

1608년, 헨리 허드슨(Henry Hudson)은 러시아 정상을 가로지르려는 두 번째 시도를 했다. 그는 노바야 제믈랴(Novaya Zemlya)에 도착했지만 되돌아가야 했다.

1627년의 30년 전쟁(Thirty Years' War), 1666년의 제2차 영국-네덜란드 전쟁(Second Anglo-Dutch War)이 벌어지는 가운데, 네덜란드와 영국은 스칸디나비아와 러시아, 시베리아의 북쪽을 우회하여 중국에 이르는 북동 항로(Northeast Passage)의 탐험도 실시하고, 러시아 차르국(Tsarist Russia)과의 북해 무역을 시작하거나, 포경(Whaling)의 거점이 되는 북극해의 섬을 많이 발견했지만, 역시 얼음 바다에 막혀 아시아로 가는 항로를 찾을 수 없었고, 또한 북아메리카를 우회하는 항로도 19세기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3. 7. 3. 남방대륙을 찾아서: 호주 탐험



1642년부터 1644년까지, VOC에 고용된 네덜란드 탐험가이자 상인이었던 아벨 타스만은 뉴홀랜드를 일주하면서 오스트레일리아가 신화 속 남쪽 대륙의 일부가 아니라는 것을 증명했다. 그는 반 디멘 랜드(현재 타스마니아)와 뉴질랜드의 섬에 도착하고 1643년에 피지 제도를 발견한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유럽 원정대였다. 타스만, 그의 항해사 비셔, 그리고 그의 상인 길세만스는 또한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그리고 태평양 제도의 상당 부분을 지도에 그렸다.[185]

1606년에는 빌럼 얀손(Willem Janszoon)이, 1642년에는 아벨 타스만(Abel Tasman) 등 네덜란드의 탐험가들이 오스트레일리아(Australia)를 탐험하고 있다.

4. 세계사적 의미

대항해시대는 유럽 중심의 세계 질서를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유럽 국가들은 신항로 개척과 식민지 확장을 통해 경제적,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하고, 세계 각지에 유럽 문화를 전파했다.[194] 그러나 이 과정에서 아메리카 원주민 문명이 파괴되고, 대서양 노예 무역이 성행하는 등 부정적인 결과도 초래했다.[197][199] 특히, 한국의 입장에서 볼 때, 대항해시대는 서구 열강의 침략과 식민 지배라는 아픈 역사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으로 기억된다.

유럽의 해외 확장은 구세계와 신세계 간의 접촉을 가져와 콜럼버스 교환을 낳았다.[194] 유럽인들은 소, 말, 양을 신세계로 가져왔고, 신세계에서는 담배, 감자, 토마토, 옥수수 등을 얻었다.[195][196][197][198]

신대륙 작물. 왼쪽 상단부터 시계 방향으로: 1. 옥수수 2. 토마토 3. 감자 4. 바닐라 5. 파라 고무 나무 6. 카카오 7. 담배


세계 은 무역이 시작되었고, 유럽은 중국 자기 무역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게 되었다.[194] 아메리카 대륙에서 유럽뿐 아니라 구세계의 다른 지역으로 가져온 금과 은은 세계 무역에서 중요해졌다.[197][198]

새로운 대양 횡단 연결망의 형성과 유럽 영향력의 확장은 제국주의 시대로 이어졌다.[194] 유럽의 식민 세력은 아메리카 대륙의 유럽 식민화를 통해 수많은 아메리카 원주민 국가와 문화를 정복하고 식민지화했다. 유럽에서 유입된 전염병은 아메리카 원주민 인구의 급격한 감소를 야기했다.[199][200] 북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아르헨티나 등에서는 원주민들이 끔찍한 대우를 받고 땅에서 쫓겨나 소수 민족으로 전락했다.

및 서아프리카에서 지역 국가들은 유럽 노예 무역상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해안 아프리카 국가들의 모습을 바꾸고 아프리카의 노예 제도의 본질을 근본적으로 바꾸었다.[197] 옥수수와 카사바는 16세기에 포르투갈인에 의해 아프리카에 도입되어 토착 아프리카 작물을 대체하는 중요한 주식 작물이 되었다.[201][202][203]

세계 은 무역에서 명나라는 포르투갈, 스페인, 네덜란드와의 무역으로 활기를 띠었다. 1600년부터 1800년 사이에 중국은 연평균 100톤의 은을 받았다.[205][206] 1500년부터 1800년까지 멕시코와 페루는 세계 은 생산량의 약 80%를 차지했으며, 그중 30% 이상이 중국으로 흘러들어갔다.[207] 유럽 열강 및 일본과의 무역은 상당한 양의 은을 가져왔고, 이는 중국에서 구리와 지폐를 대체하여 일반적인 교환 매개체가 되었다. 명나라 말기에는 중국으로 유입되는 은의 흐름이 크게 감소하여 국가 수입과 명나라 경제 전체를 약화시켰다.

16세기에 스페인 식민지 개척자들을 통해 아메리카에서 아시아로 들어온 새로운 작물은 아시아의 인구 증가에 기여했다.[208] 중국은 스페인 제국으로부터 고구마, 옥수수, 땅콩을 수입하여 인구 증가에 기여했다.[209][210]

1543년 포르투갈인이 일본에 도착하면서 난반 무역 시대가 시작되었고, 일본은 조총, 유럽식 흉갑, 유럽 선박, 기독교, 장식 예술, 언어와 같은 기술과 문화 관습을 받아들였다.

포르투갈 난반진이 현지인들의 놀라움 속에 일본에 도착하는 모습, 가노파의 난반 패널의 세부 사항, 1593–1600


중국이 중국 상인들의 일본과의 직접 무역을 금지한 후, 포르투갈인들은 중개자 역할을 하면서 이러한 상업적 공백을 메웠다.[213] 1573년 스페인이 마닐라에 무역 기지를 설립한 후, 포르투갈 중개 무역은 스페인 아메리카에서 중국으로 유입되는 은의 주요 원천에 의해 무너졌다.[214]

해상 무역을 통해 다양한 글로벌 사치품이 유럽 시장에 유입되면서 기존 유럽의 사치품 시장은 침체되었다. 대서양 무역은 이탈리아와 독일 무역 세력을 대체했다. 유럽 경제 중심지는 지중해에서 서유럽으로 이동했다. 브라반트 공국의 일부인 앤트워프는 "전 세계 경제의 중심"이자[216] 유럽에서 가장 부유한 도시가 되었다.[217] 암스테르담을 중심으로 한 "네덜란드 황금기"는 대항해시대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었다.

18세기 중국 풍경을 묘사한 델프트 도자기. 에르네스트 코냐크 박물관


중국의 주요 수출품은 비단과 자기였다. 중국 수출 자기는 유럽에서 매우 높이 평가되어 영어에서 "china"는 "자기"의 일반적인 동의어가 되었다. 크라크 자기는 유럽에 처음 도착한 중국 자기 중 하나였고, 초기 수입품은 부유한 사람들만 구입할 수 있었다.[220] 네덜란드 동인도 회사는 1602년부터 1682년까지 중국에서 유럽으로 600만 점의 자기를 수입했다.[221][222]

스페인이 경험한 금과 은의 증가는 스페인과 유럽에서 물가 혁명으로 알려진 주요 인플레이션 시대와 일치했다. 스페인은 신세계에서 많은 양의 금과 은을 축적했다.[225] 16세기 동안 스페인은 누에바에스파냐에서 1조 5천억 달러(1990년 기준)에 해당하는 금과 은을 보유했다. 유통된 은은 현금이 부족한 유럽 전역에 퍼져 광범위한 인플레이션을 야기했다.[227] 인플레이션은 생산량이 정체된 상태에서 인구 증가, 낮은 임금, 생활비 상승으로 악화되어 지역 산업에 피해를 입혔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s://moonworldhis[...]
[2] 서적 The Atlantic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21-11-15
[3] 서적 Medieval Italy: An Encyclopedia Routledge
[4] 웹사이트 Portuguese, The – Banglapedia http://en.banglapedi[...]
[5] 서적 The Cambridge Economic History of India: Volume 1, C.1200-c.1750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6] 서적 The Age of Discovery, 1400-1600 https://books.google[...] Routledge
[7] 학술지 The Meaning of "Discovery" in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JSTOR
[8] 서적 The Age of Reconnaissance: Discovery, Exploration, and Settlement, 1450–1650 Cardinal
[9] 서적 The Invention of America. An Inquiry into the Historical Nature of the New World and the Meaning of History
[10] 웹사이트 Dismantling the Doctrine of Discovery https://www.afn.ca/w[...] 2018-01-22
[11] 간행물 Preliminary Study of the Impact on Indigenous Peoples of the International Legal Construct Known as the Doctrine of Discovery https://undocs.org/E[...]
[12] 웹사이트 Science Still Bears the Fingerprints of Colonialism https://www.smithson[...] 2018-04-09
[13] 웹사이트 The Troubling Rhetoric of Space Exploration https://undark.org/2[...] 2021-03-18
[14] 웹사이트 When discussing Humanity's next move to space, the language we use matters. https://blogs.scient[...] 2015-03-26
[15] 웹사이트 We need to change the way we talk about space exploration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2018-11-09
[16] 학술지 Development and imperialism in space https://www.research[...] 1995-02
[17] 웹사이트 Age of Contact https://texasourtexa[...] PBS
[18] 서적 Encyclopedia of Global Archaeology Springer 2014
[19] 학술지 Culture Contact or Colonialism? Challenges in the Archaeology of Native North Ame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CUP)
[20] 서적 The emperor's giraffe and other stories of cultures in contact Westview Press
[21] 웹사이트 Bartolomeu Dias http://www.infopleas[...] Sandbox Networks, Inc.
[22] 웹사이트 BBC – History – Leif Erikson https://www.bbc.co.u[...]
[23] 서적 Amerigo: The Man Who Gave His Name to America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24] 서적 Columbus Then and Now: A Life Re-examined University of Oklahoma Press
[25] 웹사이트 Columbus to the Caribbean http://www.fsmitha.c[...]
[26] 웹사이트 Christopher Columbus – Exploration http://www.history.c[...]
[27] 서적 Foundations of the Portuguese Empire, 1415–1580
[28] 서적 Conqueror of the Seas – The Story of Magellan Read Books
[29] 서적 The Sea and Civilization: A Maritime History of the World Random House, LLC
[30] 서적 The Genius That Was China: East and West in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https://archive.org/[...] The Overlook Press
[31] 참조
[32] 참조
[33] 참조
[34] 참조
[35] 참조
[36] 서적 Love 2006
[37] 웹사이트 silk-road 2008
[38] 서적 DeLamar 1992
[39] 서적 Abu-Lughod 1991
[40] 서적 City of Fortune Faber & Faber 2011
[41] 학술지 The Mongol Orders of Submission to European Powers, 1245–1255
[42] 서적 Empire
[43] 서적 Mancall 2006
[44] 서적 Mancall 2006
[45] 서적 The Victory of Reason: How Christianity Led to Freedom, Capitalism and Western Success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Trade Paperbacks 2005
[46] 서적 Parry 2006
[47] 서적 Diffie 1977
[48] 서적 Dunn 2004
[49] 학술지 Between the Islamic and Chinese Universal Empires: The Ottoman Empire, Ming Dynasty, and Global Age of Explorations https://www.academia[...] 2022-03-24
[50] 서적 Mancall 1999
[51] 서적 DeLamar 1992
[52] 백과사전 Covilham, Pero
[53] 서적 Modern European History McGraw Hill 1991
[54] 서적 An Essay on the Apostolate and the Evangelizing Methods of the Mendicant Orders in New Spain: 1523–1572, translated from French by Lesley Bird Simps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6
[55] 서적 The Jesuits, 1534–1921: A History of the Society of Jesus from Its Foundation to the Present Time https://archive.org/[...] New York: The Encyclopedia Press 2023-03-30
[56] 서적 Arnold 2002
[57] 서적 Tamura 1997
[58] 서적 Cromer 1995
[59] 서적 Tsai 2002
[60] 서적 Mancall 2006
[61]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16
[62]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16
[63]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16
[64]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16
[65]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19
[66]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16
[67]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16
[68]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16
[69] 서적 Mancall 2006
[70] 서적 Burns 2001
[71] 뉴스 ScienceDaily 1998
[72] 서적 Spufford 1989
[73] 서적 Spufford 1989
[74] 서적 Abu-Lughod 1991
[75] 서적 Parry 1981
[76] 웹사이트 1.2 Europe on the Brink of Change https://openstax.org[...] 2024-04-22
[77] 서적 Diffie 1977
[78] 서적 Newitt 2005
[79] 서적 Diffie 1960
[80] 서적 Diffie 1977
[81] 서적 Butel 1999
[82] 서적 Trade and Civilization in the Indian Ocean: An Economic History from the Rise of Islam to 17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83] 서적 DeLamar 1992
[84] 서적 Anderson 2000
[85] 서적 The Golden Age Of Prince Henry The Navigator Dutton
[86] 서적 Locke 1824
[87] 논문 Windward Sailing Capabilities of Ancient Vessels 2009-09
[88] 서적 Cogs, Caravels and Galleons: the sailing ship, 1000–1650 Conway Maritime Press
[89] 웹사이트 Rabbi Abraham Zacuto – (1450–1515) http://www.chabad.or[...]
[90] 서적 Parry 1981
[91] 서적 Diffie 1977
[92] 서적 Russell-Wood 1998
[93] 서적 Daus 1983
[94] 서적 Bagrow 1964
[95] 서적 Diffie 1977
[96] 서적 DeLamar 1992
[97] 서적 Anderson 2000
[98] 뉴스 Portugueses chegaram à América 19 anos antes de Colombo https://expresso.sap[...] Expresso 2018-07-29
[99] 서적 DeLamar 1992
[100] 웹사이트 Maclean 2008
[101] 서적 Forbes 1993
[102] 서적 Mancall 1999
[103] 서적 DeLamar 1992
[104] 서적 Davenport 1917
[105] 웹사이트 Croxton 2007
[106] 서적 Diffie 1977
[107] 서적 Diffie 1977
[108] 서적 Diffie 1977
[109] 서적 Amerigo Vespucci: Pilot Major https://archive.org/[...] Octagon Books
[110] 서적 Amerigo and the New World: The Life & Times of Amerigo Vespucci https://web.archive.[...] Octagon Press 2021-11-08
[111] 서적 The European Discovery of America: The Southern Voyages, 1492–1616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12] 서적 Spain and Portugal in the New World: 1492–1700
[113] 서적 Crow 1992
[114] 서적 Foundations of the Portuguese Empire, 1415–1580 https://web.archive.[...] Th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6-02-08
[115] 웹사이트 The Coming of the Portuguese https://web.archive.[...] Saudi Aramco World 2014-10-31
[116] 서적 Diffie 1977
[117] 서적 Arciniegas 1978
[118] 서적 Diffie 1977
[119] 서적 The Invention of America https://web.archiv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8-12-15
[120] 서적 Imago Mvndi – Brill Archive – Leiden, Editorial Board https://web.archive.[...] 2020-07-25
[12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Latin America, Volume 1, Colonial Latin Ame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05-03
[122] 서적 Pilotos portugueses en el Rio de La Plata durante el siglo XVI https://books.google[...] UC Biblioteca Geral 1 2020-11-08
[123] 웹사이트 Newen Zeytung auss Presillg Landt http://biblio.wdfile[...] 2013-07-01
[124] 웹사이트 Peabiru, the route lost https://web.archive.[...] 2022-04-22
[125] 서적 Morison 1942
[126] 서적 Abu-Lughod 1991
[127] 서적 A Splendid Exchange: How Trade Shaped the World Grove Press
[128] 웹사이트 The Lusiads http://www.theguardi[...] 2022-08-24
[129] 웹사이트 Adventures of a Portuguese Poet https://www.smithson[...] 2022-08-24
[130] 서적 Milton 1999
[131] 서적 The Suma Oriental of Tomé Pires: an account of the east, from the Red Sea to Japan, written in Malacca and India in 1512–1515/The Book of Francisco Rodrigues rutter of a voyage in the Red Sea, nautical rules, almanack and maps, written and drawn in the east before 1515 https://books.google[...] The Hakluyt Society 2016-02-10
[132] 서적 Pfoudes 1882
[133] 서적 Nowell 1947
[134] 서적 Cole 2002
[135] 서적 Otfinoski 2004
[136] 서적 Zweig 1938
[137] 서적 Donkin 2003
[138] 서적 DeLamar 1992
[139]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ædia 2007
[140] 서적 Fernandez-Armesto 2006
[141] 웹사이트 Magellan Killed in Philippine Skirmish https://education.na[...] 2021-03-26
[142] 서적 Newitt 2005
[143] 서적 Lach 1998
[144] 서적 Lach 1998
[145] 서적 Diffie 1977
[146] 서적 Diffie 1977
[147] 서적 Galvano 1563
[148] 서적 Fernandez-Armesto 2006
[149] 웹사이트 U.C. 2009
[150] 웹사이트 How smallpox devastated the Aztecs – and helped Spain conquer an American civilization 500 years ago https://theconversat[...] 2024-04-16
[151] 서적 Lawson 2007
[152] 서적 Lawson 2007
[153] 서적 Weddle 1985
[154] 간행물 Grunberg 2007
[155] 서적 Restall 2004
[156] 서적 Castillo 1963
[157] 웹사이트 Cervantes web
[158] 서적 Pacey 1991
[159] 서적 Spain and Portugal in the New World: 1492–1700
[160] 서적 Boxer 1977
[161] 서적 Linschoten 1598
[162] 서적 Boxer 1969
[163] 서적 Paine 2000
[164] 웹사이트 Marshlands: Records of Life on the Tantramar: European Contact and Mapping http://www.mta.ca/ma[...] 2021-04-19
[165] 서적 Tratado das ilhas novas e descombrimento dellas e outras couzas, 1570 https://books.google[...]
[166] 웹사이트 Cartier E.B. 2009
[167] 웹사이트 Histori.ca 2009
[168] 서적 Gutierrez 1998
[169] 웹사이트 San Diego HS
[170] 서적 Encyclopedia of Latin American History and Culture
[171] 학술지 Drake's First Landfall 1975-01
[172] 서적 The Great Explorere: The European Discovery of America Oxford University Press, Inc.
[173] 학술지 Where Did Drake Careen The Golden Hind in June/July 1579? A Mariner's Assessment 2003-08
[174] 서적 Distant Dominion: Britain and the Northwest Coast of North America, 1579-1809 https://archive.org/[...] U Univ. of British Columbia Press
[175] 서적 In Drake's Wake Volume 2 The World Voyage Paul Mould Publishing
[176] 논문 Where Did Drake Careen The Golden Hind in June/July 1579? A Mariner's Assessment 2003-08-01
[177] 서적 Sir Francis Drake Pimlico
[178] 서적 In Drake's Wake Volume 2 The World Voyage Paul Mould Publishing
[179] 서적 Francis Drake
[180] 서적 Hacquebord 1995
[181] ODNB Frobisher, Sir Martin 2015-05-28
[182] 웹사이트 Martin Frobisher https://www.thecanad[...] 2021-07-16
[183] 서적 Synge 1912
[184] 웹사이트 ULT 2009
[185] 서적 Wilford 1982
[186] 서적 Medina 1918
[187] 서적 Mutch 1942
[188] 서적 Lincoln 1994
[189] 웹사이트 The Perfilyevs
[190] 웹사이트 Sbaikal
[191] 서적 Lincoln 1994
[192] 서적 Fisher 1981
[193] 웹사이트 Dymytryshyn 1985
[194] 웹사이트 McNeill 2019
[195] 웹사이트 Tobacco – Atlantic History https://www.oxfordbi[...]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7-31
[196] 서적 Global Goods and the Spanish Empire, 1492–1824: Circulation, Resistance, and Diversity Palgrave Macmillan
[197] 서적 Working the Diaspora: The Impact of African Labor on the Anglo-American World, 1650–1850 New York University Press 2020
[198] 서적 From Silver to Cocaine: Latin American Commodity Chains and the Building of the World Economy, 1500–2000 Duke University Press
[199] 논문 The Age of Discovery 1998-01-01
[200] 서적 Cook 1998
[201] 뉴스 OSU 2006
[202] 웹사이트 The cassava transformation in Africa http://www.fao.org/d[...]
[203] 웹사이트 Scitizen 2007
[204] 서적 Crosby 1972
[205] 논문 Myth and Reality of China's Seventeenth Century Monetary Crisis 1996-01-01
[206] 서적 Taxation and Governmental Finance in Sixteenth-Century Ming China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7] 논문 Born with a "Silver Spoon": The Origin of World Trade in 1571 http://www.uhpress.h[...]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5-01-01
[208] 웹사이트 Columbia University 2009
[209] 서적 Ebrey 2006
[210] 서적 Crosby 1972
[211] 서적
[212] 서적
[213] 서적
[214] 서적
[215] 학술지 Cycles of Silver: Global Economic Unity through the Mid-Eighteenth Century 2002
[216] 서적
[217] 서적
[218] 서적
[219] 서적
[220] 서적 Still life and trade in the Dutch golden age
[221] 서적
[222] 서적
[223] 서적
[224] 서적
[225] 서적
[226] 서적
[227] 서적
[228] 서적
[229] 서적 Agricultural Revolution in Engl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agrarian economy 1500–1850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0] 서적 図説 大航海時代 河出書房新社
[231] 서적 大航海時代 旅と発見の2世紀
[232] 서적 大航海時代 旅と発見の2世紀
[233] 서적 征服者と新世界
[234] 서적 征服者と新世界
[235] 서적 征服者と新世界
[236] 서적 世界の興亡史 第15巻 東インド会社とアジアの海 講談社 2007-12-17
[237] 서적 The Atlantic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2-03-11
[238] 웹인용 Portuguese, The - Banglapedia http://en.banglapedi[...]
[239] 서적 The Cambridge Economic History of India: Volume 1, C.1200-c.1750 https://books.google[...] CUP Archive
[240] 서적 The Sea and Civilization: A Maritime History of the World Random House, LLC
[241] 서적 The Genius That Was China: East and West in the Making of the Modern World https://archive.org/[...] The Overlook Press
[242] 서적 The Seacraft of Prehistory Harvard University Press
[243] 서적 Maritime Southeast Asia to 1500 M.E. Sharpe
[244] 서적 Asian Shipbuilding Technology UNESCO Bangkok Asia and Pacific Regional Bureau for Education
[245] 서적 Strange Things of the South
[246] 저널 The Southeast Asian Ship: An Historical Approach 1980-09-01
[247] 저널 Trading Ships of the South China Sea. Shipbuilding Techniques and Their Role in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Asian Trade Networks 1993-01-01
[248] 참고자료 Arnold 2002
[249] 참고자료 Houben, 2002
[250] 참고자료 Harley & Woodward, 1992
[251] 참고자료 Abu-Lughod 1991
[252] 참고자료 Love 2006
[253] 참고자료 Arnold 2002
[254] 참고자료 silk-road 2008
[255] 참고자료 DeLamar 1992
[256] 참고자료 Abu-Lughod 1991
[257] 서적 City of Fortune Faber & Faber 2011-01-01
[258] 참고자료 Mancall 2006
[259] 참고자료 Mancall 2006
[260] 서적 The Victory of Reason: How Christianity Led to Freedom, Capitalism and Western Success https://archive.org/[...] Random House Trade Paperbacks
[261] 참고자료 Parry 2006
[262] 참고자료 Diffie 1977
[263] 참고자료 Dunn 2004
[264] 저널 Between the Islamic and Chinese Universal Empires: The Ottoman Empire, Ming Dynasty, and Global Age of Explorations https://www.academia[...] 2021-10-11
[265] 참고자료 Mancall 1999
[266] 참고자료 DeLamar 1992
[267] 참고자료 Arnold 2002
[268] 참고자료 Tamura 1997
[269] 참고자료 Cromer 1995
[270] 참고자료 Tsai 2002
[271] 참고자료 Mancall 2006
[272] 참고자료
[273] 참고자료
[274] 참고자료
[275] 참고자료
[276] 참고자료
[277] 참고자료 Mancall 2006
[278] 서적 Suma Oriental
[279] 뉴스 ScienceDaily 1998
[280] 웹사이트 Byzantine-Ottoman Wars: Fall of Constantinople and spurring "age of discovery" http://militaryhisto[...] 2012-08-18
[281] 웹인용 Overview of Age of Exploration http://www.learnerat[...] 2012-08-18
[282] 서적 Spufford 1989
[283] 서적 Spufford 1989
[284] 서적 Abu-Lughod 1991
[285] 서적 Parry 1981
[286] 서적 Diffie 1977
[287] 서적 Newitt 2005
[288] 서적 Diffie 1960
[289] 서적 Diffie 1977
[290] 서적 Butel 1999
[291] 서적 Trade and Civilization in the Indian Ocean: An Economic History from the Rise of Islam to 1750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2] 서적 DeLamar 1992
[293] 서적 Anderson 2000
[294] 서적 The Golden Age Of Prince Henry The Navigator Dutton
[295] 서적 Locke 1824
[296] 저널 Windward Sailing Capabilities of Ancient Vessels 2009-09
[297] 웹사이트 Rabbi Abraham Zacuto – (1450–1515) http://www.chabad.or[...]
[298] 서적 Parry 1981
[299] 서적 Diffie 1977
[300] 서적 Russell-Wood 1998
[301] 서적 Daus 1983
[302] 서적 Bagrow 1964
[303] 서적 DeLamar 1992
[304] 웹사이트 Maclean 2008
[305] 서적 Forbes 1993
[306] 서적 Mancall 1999
[307] 서적 DeLamar 1992
[308] 서적 Davenport 1917
[309] 웹사이트 Croxton 2007
[310] 서적 Diffie 1977
[311] 서적 Diffie 1977
[312] 서적 Diffie 1977
[313] 서적 Amerigo Vespucci: Pilot Major https://archive.org/[...] Octagon Books
[314] 서적 Amerigo and the New World: The Life & Times of Amerigo Vespucci http://www.goodreads[...] Octagon Press
[315] 서적 Spain and Portugal in the New World: 1492–1700
[316] 서적 Crow 1992
[317] 서적 Foundations of the Portuguese Empire, 1415–1580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77
[318] 웹사이트 The Coming of the Portuguese https://www.saudiara[...] Saudi Aramco World 2005-07-08 # July/August 2005 inferred
[319]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ædia 2
[320] 서적 Diffie 1977
[321] 서적 Arciniegas 1978
[322] 서적 Diffie 1977
[323] 서적 Morison 1942
[324] 서적 Abu-Lughod 1991
[325] 서적 A Splendid Exchange: How Trade Shaped the World https://archive.org/[...] Grove Press 2008
[326] 웹인용 The Lusiads http://www.theguardi[...] 2001-05-21
[327] 웹인용 Adventures of a Portuguese Poet https://www.smithson[...]
[328] 서적 Milton 1999
[329] 서적 The Suma Oriental of Tomé Pires: an account of the east, from the Red Sea to Japan, written in Malacca and India in 1512–1515/The Book of Francisco Rodrigues rutter of a voyage in the Red Sea, nautical rules, almanack and maps, written and drawn in the east before 1515 https://books.google[...] The Hakluyt Society
[330] 서적 Pfoudes 1882
[331] 서적 Nowell 1947
[332] 서적 Zweig 1938
[333] 서적 Donkin 2003
[334] 서적 DeLamar 1992
[335]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ædia 2007
[336] 서적 Fernandez-Armesto 2006
[337] 웹인용 Magellan Killed in Philippine Skirmish http://www.nationalg[...] 2020-04-06
[338] 서적 Newitt 2005
[339] 서적 Lach 1998
[340] 서적 Lach 1998
[341] 서적 Diffie 1977
[342] 서적 Galvano 1563
[343] 서적 Fernandez-Armesto 2006
[344] 서적 Diffie 1977
[345] 웹사이트 U.C. 2009
[346] 간행물 Grunberg 2007
[347] 서적 Restall 2004
[348] 서적 Castillo 1963
[349] 서적 Pacey 1991
[350] 서적 Spain and Portugal in the New World: 1492–1700 198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