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네움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위치한 도시로, 이 나라가 아드리아 해에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이다.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의 완충 지대가 되었으며, 이후 유고슬라비아 시대와 독립을 거치면서 현재의 국경이 유지되었다. 지중해성 기후를 보이며, 관광 산업이 발달하여 해변, 수영, 보트 타기 등의 활동이 인기 있다. 2022년 펠레샤츠 다리가 개통되어 크로아티아 본토와 두브로브니크 간의 교통이 개선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드리아해의 항구 도시 - 트리에스테
트리에스테는 이탈리아 북동부 아드리아해 연안의 도시로, 로마 시대 번성한 항구 도시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무역 중심지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이탈리아의 주요 항구 도시이자 국제적인 과학 연구 및 문화 중심지이다. - 아드리아해의 항구 도시 - 스플리트
스플리트는 아드리아 해안의 크로아티아 도시이자 스플리트-달마티아 주의 주도로,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궁전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로마 시대부터 발전해 왔으며,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역사 유적과 활발한 경제, 스포츠 문화를 지닌 중요한 항구 도시이다. - 유럽의 영토 분쟁 - 북아일랜드
북아일랜드는 아일랜드 섬 북동부에 위치한 영국령으로, 오랜 영국 지배와 종교 갈등, 아일랜드 분할을 거쳐 형성되었으며, 개신교와 가톨릭 간 갈등으로 인한 분쟁 후 평화 프로세스가 진행 중이나 정치적 쟁점이 남아있고, 권한이 이양된 정부와 분권화된 정치 시스템을 운영한다. - 유럽의 영토 분쟁 - 압하지야
압하지야는 흑해 연안 캅카스 남서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압하지야 공화국과 압하지야 자치 공화국 정부가 병존하며 국제적으로는 조지아 영토로 간주되지만 일부 국가는 독립국으로 인정하고 있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도시 - 사라예보
사라예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이자 연방 수도로, 터키어에서 유래한 지명을 가지며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 원인이 된 사라예보 사건과 보스니아 전쟁의 장기 포위 공격을 겪었으며, 다양한 문화와 종교가 공존하는 다문화 도시이자 1984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이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도시 - 투즐라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동부에 위치한 투즐라는 6,000년 이상의 역사를 지닌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정착지 중 하나로, 소금 매장지로 번성했으나 지반 침하 문제를 겪었고, 여러 제국을 거쳐 보스니아 전쟁의 아픔을 겪었으며, 현재는 산업 및 문화 중심지이자 염호 관광지로 발전하고 있다.
네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공식 명칭 | Neum |
현지어 명칭 | |
도시 및 지방 자치 단체 유형 | 도시 및 지방 자치체 |
행정 구역 | 엔티티 |
행정 구역 1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
지역 | 헤르체고비나 |
시간대 | CET |
UTC 오프셋 | +1 |
여름 시간대 | CEST |
UTC 오프셋 (여름) | +2 |
면적 | 246.03 km² |
인구 (2013년 인구 조사) | 4653명 |
인구 밀도 | 22명/km² |
지역 번호 | +387 36 |
지방 자치 단체 시장 | Dragan Jurković |
시장 소속 정당 | HDZ BiH |
웹사이트 | 네움 공식 웹사이트 |
![]() | |
지리 |
2. 역사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네움은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1929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변경)에 편입되었다. 카라조르제비치 왕조 시절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1929년 네움 지역을 해안 바노비나에, 1939년에는 크베트코비치-마체크 협정에 따라 크로아티아 바노비나에 포함시키는 등 역사적 국경을 두 차례 무시했다.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연방 유고슬라비아는 1943년 야이체 AVNOJ 회의에서 선언된 원칙과 1945년 '질라스 위원회'에서 비교적 존중했던 원칙, 즉 1878년 국경 내에 연방 공화국을 설립하는 원칙에 따라 설립되었다. 이에 따라 네움은 현재 독립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일부가 되었으며, 클레크 대부분(폰타 클레카, 레프 클레카), 벨리키 섬과 말리 섬, 클레크 만의 로파타 바위도 포함된다.[8]
1990년대 이후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네움 지역을 통과하는 교통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 네움 협정 체결을 포함한 협상을 진행해 왔다. 2013년 크로아티아가 유럽 연합에 가입하면서 네움 지역의 국경 통과는 EU의 외부 국경으로 규제되었다. 2022년 네움을 완전히 우회하는 펠레샤츠 다리가 건설 및 개통되면서 크로아티아의 통합과 미래의 솅겐 지역 가입 및 EU 전체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이는 교통 흐름을 크게 개선하고 두브로브니크와 크로아티아 본토의 교통 연결을 개선하여 네움에서 길고 비용이 많이 드는 대기열을 피하고 20km 거리 내에서 엄격한 세관 검사를 두 번 받는 것을 피할 수 있게 되었다.
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국경 분쟁의 최근 전개(2017년 6월)에 고무된 집권 보스니아 민주 행동당 (SDA)과 다른 보스니아 정당들은 펠레샤츠 다리 건설을 방해하려고 했다.
펠레샤츠 다리 건설 비용은 4.2억유로였으며, EU는 응집 정책 기금에서 3.57억유로를 할당하여 기여했다. 이 다리는 현재 크로아티아에서 가장 큰 인프라 중 하나이며 역대 EU의 가장 중요한 인프라 투자 중 하나이다. 공사는 2022년 중반에 완료되었다. EU는 또한 터널, 다리 및 고가교를 포함한 접근 도로 건설, 스톤 마을 근처에 8km 길이의 우회로 건설 및 기존 도로 D414의 업그레이드 작업과 같은 지원 인프라 자금도 지원하고 있다.[9]
보스니아는 네움을 화물 항구로 전환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항만, 철도 및 고속도로를 건설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크로아티아는 펠레샤츠 다리의 높이를 크게 높여 네움 만에 아예 들어갈 수 없는 선박에 맞게 조정했다. 오늘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주요 화물 항구는 북쪽의 플로체 (크로아티아)이며, 철도가 연결되어 있다.
2. 1. 기원과 오스만 제국 시대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 체결로 달마티아 지역 대부분이 베네치아 공화국 영토가 되었다. 그러나 베네치아 공화국과 오스만 제국의 보호를 받던 라구사 공화국(현재 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 사이의 갈등을 막기 위해, 네움은 두 국가 사이의 완충 지대로 오스만 제국에 속하게 되었다.[5][6] 이때 정해진 국경선은 유고슬라비아 연방이 복잡하게 분리되는 과정을 거치면서도 현재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네움 회랑은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라구사 공화국은 경쟁 관계였던 베네치아의 달마티아 영토와 분리되었고, 라구사가 오스만 제국에 넘겨준 두 개의 완충 지대를 통해 베네치아가 육지로 침입할 가능성을 막았다.[5][6] 북쪽에는 네움과 클레크 만이, 남쪽에는 수토리나와 코토르 만에 있는 헤르체그노비 항구가 있었는데, 1947년부터 몬테네그로의 영토가 되었다.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으로 카를로비츠 국경이 다시 확인되었지만, 오스만 제국은 베네치아 공화국과의 협상이 잘 풀리지 않자, 라구사가 14세기 말 보스니아 왕 다비샤에게서 사들였던 고르니 클레크와 클레크 대부분의 영토를 차지해 버렸다. 1797년 베네치아 공화국이 멸망하고 1815년 빈 회의가 열린 후, 오스트리아 제국은 베네치아의 달마티아 영토와 라구사 영토를 모두 합병했고,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네움과 수토리나 지역을 다시 사들이려 했지만 실패했다. 대신 1878년 베를린 조약이 체결될 때까지 군함을 배치하여 네움 항구 접근을 막았고, 이 조약으로 1878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오스트리아-헝가리 통치 전체가 오스트리아-헝가리에 넘어갔다. 네움은 179년 동안 오스만의 지배를 받았다.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은 네움-클레크에 새로운 해군 기지를 건설하는 방안을 검토했다. 프란츠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 장군은 해안 방어를 위해 네움에 해안 포대와 어뢰정을 배치하는 것을 고려했다. 이는 이탈리아의 공격, 특히 대규모 상륙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계획은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기 전까지 계획 단계를 넘어서지 못했다.[7]
2. 2.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시대
카를로비츠 조약에 따라 라구사 공화국은 오스만 제국에 두 개의 완충 지대를 양도했는데, 이는 경쟁국인 베네치아 공화국이 육로로 침략할 가능성을 막기 위해서였다.[5][6] 이 중 북쪽에 위치한 네움과 클레크 만이 네움 회랑의 기원이 되었다.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에서 카를로비츠 국경이 재확인되었지만, 오스만 제국은 라구사가 14세기 말 보스니아 왕 다비샤에게서 사들인 고르니 클레크와 클레크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1797년 베네치아 공화국이 멸망하고 1815년 빈 회의에서 오스트리아 제국은 베네치아의 달마티아 영토와 라구사의 영토를 모두 합병했다. 오스트리아는 오스만으로부터 네움 지역을 다시 사들이려 했으나 실패했고, 1878년 베를린 조약으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체가 오스트리아-헝가리에 넘어갈 때까지 군함을 배치하여 네움 항구 접근을 막았다. 네움은 179년 동안 오스만의 통치를 받았다.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은 네움-클레크에 새로운 해군 기지를 건설하는 계획을 고려했다. 프란츠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 장군은 이탈리아의 습격이나 상륙을 막기 위해 네움에 해안 포대와 어뢰정을 배치하는 것을 고려했으나, 이 계획은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전까지 진전되지 못했다.[7]
2. 3. 유고슬라비아 시대와 독립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으로 라구사 공화국은 경쟁국인 베네치아 공화국의 달마티아 영토에서 분리되었으며, 라구사가 오스만 제국에 양도한 두 개의 완충 지대를 통해 베네치아가 육로로 침략할 가능성을 막았다.[5][6] 북쪽으로는 네움과 클레크 만이 있고, 남쪽으로는 수토리나와 코토르 만에 있는 헤르체그노비 항구가 있는데, 이는 1947년부터 몬테네그로의 일부가 되었다.카를로비츠 국경은 1718년 파사로비츠 조약에 의해 재확인되었지만, 오스만 제국은 해상 접근 권한 확대를 위해 베네치아 공화국과 협상하는 것에 지쳐 라구사가 14세기 말 보스니아 왕 다비샤에게서 사들인 고르니 클레크와 클레크의 대부분의 영토를 찬탈했다. 1797년 베네치아 공화국 멸망 이후, 그리고 1815년 빈 회의에서, 오스트리아 제국은 베네치아의 달마티아 영토와 라구사의 영토를 모두 합병했고, 오스만으로부터 네움과 수토리나 앙클라브를 다시 사들이려 했지만 실패했다. 대신, 1878년 베를린 조약이 체결될 때까지 군함을 배치하여 네움 항구로의 접근을 막았고, 이 조약으로 1878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오스트리아-헝가리 통치 전체가 오스트리아-헝가리에 넘어갔다. 네움은 오스만의 통치하에 179년 동안 있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해군은 네움-클레크에 새로운 첨단 해군 기지를 건설하는 계획을 고려했다. 프란츠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 장군은 해안 방어를 보완하기 위해 네움에 해안 포대와 어뢰정을 배치하는 것을 고려했다(이는 이탈리아의 습격, 더 심하게는 대규모 이탈리아 상륙을 막기 위해). 이 계획은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기 전에는 계획 단계 이상으로 진행되지 못했다.[7]
1918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해체로 인한 오스트리아-헝가리의 패배의 결과로, 네움은 1929년 유고슬라비아 왕국이 될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및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합류했다. 카라조르제비치 왕조 아래에서,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역사적인 국경을 두 번 무시했는데, 1929년에는 네움 지역이 해안 바노비나에 포함되었고, 1939년에는 크베트코비치-마체크 협정에 따라 크로아티아 바노비나에 포함되었다.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연방 유고슬라비아는 1943년 야이체 AVNOJ 세션에서 선언되었고 1945년 ''질라스 위원회''에서 비교적 존중받았던 원칙, 즉 1878년 국경 내에 연방 공화국을 설립하는 원칙에 따라 설립되었다. 이것이 네움 앙클라브가 현재 독립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일부가 된 이유이며, 클레크의 대부분(폰타 클레카, 레프 클레카), 두 개의 섬 벨리키와 말리 숄지, 그리고 클레크 만의 로파타 바위가 포함된다.[8]
3. 지리
네움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유일하게 바다와 닿아 있는 지역이지만, 복잡한 지형 때문에 큰 항구는 없다. 대신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네움에서 북쪽으로 30km 떨어진 크로아티아의 플로체 항구를 협정을 통해 이용하고 있다. 한편, 크로아티아는 네움을 거치지 않고 본토와 두브로브니크를 잇는 펠리에샤츠 다리(총길이 2374m)를 건설하는 것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부로부터 승인받았다.
3. 1. 지형 및 자연환경
네움에는 가파른 언덕과 모래사장이 있는 해변, 그리고 거대한 관광 호텔 등이 있다. 물가가 인접한 크로아티아에 비해 싸기 때문에, 이곳은 쇼핑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관광 산업과 교역은 이 지역의 경제 발전을 선도하고 있다. 크로아티아와의 월경 심사는 비교적 간단하다.네움에는 관광객을 위한 각종 편의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 네움의 관광 산업은 거의 바닷가에 집중되어 있다. 네움의 내륙 지방에는 풍부한 고고학적 역사 및 때묻지 않은 자연 지대가 있으며,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시는 해마다 엣노페스트 네움이라는 음악 축제를 주최하고 있다.
네움의 여름은 길고 따뜻하고, 겨울은 짧고 혹독하다. 네움은 연 일조량이 가장 많은 해안 지방 중 하나이다. 연평균 수온은 1월에 13°C, 7월 ~ 8월에는 32°C 가량이 된다. 수영 및 일광욕, 해변 거닐기, 보트 타기 및 많은 수상 스포츠 등으로 인기가 있다.
네움은 두브로브니크에서 60km 떨어져 있고, (두브로브니크 공항에서 80km) 모스타르 및 메주고레로부터 70km, 플로체 및 메트코비치로부터 30km 거리에 있다. 양 지역과는 모두 철도로 연결되어 있다.
1991년 지방 자치체 기록에 따르면 네움에는 총 4,268명이 거주하고 있다. 주민의 민족별 구성비는 크로아티아인 3738명(87.6%), 세르비아인 209명(4.9%), 보스니아 이슬람교도 196명(4.7%), 그 외의 구 유고슬라비아 출신 92명(2.1%), 기타 33명(0.7%)의 순이었다. 네움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20km 해안선을 따라 위치한 유일한 도시로,[1] 이는 이 나라가 아드리아 해로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이다.[2]
네움은 두브로브니크에서 북서쪽으로 47km, 모스타르에서 남쪽으로 50km, 국가의 수도인 사라예보에서 남서쪽으로 122km에 위치해 있다.
네움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해안선은 가장 남쪽에 위치한 크로아티아의 월경지를 나머지 크로아티아로부터 분리한다. 이는 1699년 카를로비츠 조약의 결과이다. 1991년 이후, 유고슬라비아 분열로 인해 네움 지역의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이의 국경은 국제 국경이 되었다.[3]


3. 2. 행정 구역
네움 시는 네움 시(시청 소재지)와 여러 마을을 포함한다.[4]마을 이름 |
---|
바빈 도 |
보루트 |
브레스티차 |
브로차나츠 |
브르슈타니차 |
체로비차 |
체로보 |
츠르노글라브 |
도브리 도 |
도브로보 |
돈지 드리옌 |
돈지 젤레니코바츠 |
두브라비차 |
두지 |
글루미나 |
고르네 흐라스노 |
그라다츠 |
호타니 후토브스키 |
후토보 |
키셰보 |
모셰비치 |
프라프라트니차 |
프레비시 |
라브라니 |
비니네 |
주코비차 |
3. 3. 국경 문제
1718년에 체결된 파사로비츠 조약의 결과 달마티아의 거의 전역이 베네치아 공화국령이 되었지만, 베네치아 공화국과 오스만 제국의 보호국이었던 라구사 공화국(현재의 크로아티아 두브로브니크이며 당시에는 도시 국가 상태였음) 사이의 분쟁을 막기 위해, 네움은 양자 간의 완충 지대로서 오스만 제국령이 되었다. 이때 확정된 국경선이 옛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의 복잡한 분쟁을 거치면서도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1] 1991년 이후, 유고슬라비아 분열로 인해 네움 지역의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이의 국경은 국제 국경이 되었다.[3]네움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유일의 바다와 마주한 곳이지만, 남쪽 지형은 반도와 각종 섬들로 차단되어 있고, 아드리아 해로 나가려면 멀리 돌아가야 하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본토와는 험준한 산으로 가로막혀 있어 이 곳에 국가 경제와 대외 무역의 창구가 될 만한 거대한 항구는 없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네움에서 30km 북쪽에 있는 크로아티아의 프로체 항을 크로아티아 정부와의 협약 아래 경제적 의미의 중추 항구로 사용하는 관리권이 있다. 반면, 크로아티아는 네움 지역을 통과하지 않고, 크로아티아 본토와 두브로브니크를 잇는 펠리에샤츠 다리(총길이 2374m) 건설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부로부터 승인받았다.
네움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20km 해안선을 따라 위치한 유일한 도시로,[1] 이는 이 나라가 아드리아 해로 접근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이다.[2] 네움은 두브로브니크에서 북서쪽으로 47km, 모스타르에서 남쪽으로 50km, 국가의 수도인 사라예보에서 남서쪽으로 122km에 위치해 있다.
네움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해안선은 가장 남쪽에 위치한 크로아티아의 월경지를 나머지 크로아티아로부터 분리한다.
네움은 크로아티아의 두 부분의 달마티아 해안을 연결하는 유럽 고속도로 E65 또는 아드리아 해안 고속도로 상에 크로아티아와의 국경 통과 검문소 두 곳을 가지고 있다. 네움 1은 도시 북서쪽에 위치해 있으며, 크로아티아 측에는 클레크(Klek, Croatia) 국경 검문소가 있다. 네움 2는 남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크로아티아 국경 검문소는 자톤 돌리(Zaton Doli)에 있다.
4. 기후
네움의 여름은 길고 따뜻하며, 겨울은 짧고 온화하다. 네움은 연간 일조량이 가장 많은 해안 지방 중 하나이다. 연평균 수온은 1월에 13°C이며, 7월과 8월에는 32°C이다. 수영, 일광욕, 해변 산책, 보트 타기 및 다양한 수상 스포츠가 인기 있다.[1]
이 지역의 기후는 지중해성 기후로, 온화한 겨울과 건조한 여름이 특징이다. 강우량이 많은 달은 건조한 달보다 강수량이 3배 더 많으며, 이때 평균 강수량은 40mm를 넘지 않는다. 연평균 강수량은 1316mm이다. 주로 북쪽, 북동쪽, 북서쪽에서 바람이 불어온다. 평균 해수 온도는 1월에 13°C이며, 7월과 8월에는 28°C이다.[1]
식생은 상록 지중해성 식물이며, 야자나무, 용설란, 선인장과 같은 아열대 식물이 네움과 주변 지역에서 자란다.[1]
5. 인구
1991년 지방 자치체 기록에 따르면 네움의 총 인구는 4,268명이었다. 민족별 구성은 크로아티아인 3,738명(87.6%), 세르비아인 209명(4.9%), 보스니아 이슬람교도 196명(4.7%), 그 외 유고슬라비아 출신 92명(2.1%), 기타 33명(0.7%)이었다.[4]
5. 1. 민족 구성의 변화 (1971년~2013년)
1971년부터 2013년까지 네움의 민족 구성은 উল্লেখযোগ্য한 변화를 겪었다. 특히 네움 마을의 경우 이러한 변화가 두드러진다.연도 | 총 인구 | 크로아티아인 | 보스니아인 | 세르비아인 | 기타 |
---|---|---|---|---|---|
1971년 | 360 (100%) | 335 (93.06%) | 3 (0.833%) | 10 (2.778%) | 12 (3.331%) |
1981년 | 602 (100%) | 499 (82.89%) | 17 (2.824%) | 25 (4.153%) | 61 (10.13%) |
1991년 | 1,651 (100%) | 1,338 (81.04%) | 89 (5.391%) | 98 (5.936%) | 126 (7.633%) |
2013년 | 3,013 (100%) | 2,938 (97.51%) | 33 (1.161%) | 21 (0.697%) | 21 (0.632%) |
1971년에는 크로아티아인이 93.06%로 압도적인 다수를 차지했지만, 1981년과 1991년을 거치면서 그 비율이 감소했다. 반면, 보스니아인과 세르비아인의 비율은 소폭 증가했다. 유고슬라비아인으로 분류된 인구도 1981년과 1991년에 나타났는데, 이는 당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의 영향으로 보인다.
2013년에는 크로아티아인의 비율이 97.51%로 다시 크게 증가했으며, 보스니아인과 세르비아인의 비율은 감소했다. 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독립 이후 민족 구성의 변화를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네움 시 전체의 민족 구성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총 인구 | 크로아티아인 | 보스니아인 | 세르비아인 | 기타 |
---|---|---|---|---|---|
1981년 | 4,030 (100%) | 3,575 (88.71%) | 157 (3.896%) | 179 (4.442%) | 119 (2.952%) |
1991년 | 4,325 (100%) | 3,792 (87.68%) | 190 (4.393%) | 207 (4.786%) | 136 (3.138%) |
2013년 | 4,960 (100%) | 4,543 (97.64%) | 63 (1.397%) | 21 (0.451%) | 22 (0.492%) |
네움 시 전체적으로도 크로아티아인의 비율이 1981년 88.71%에서 2013년 97.64%로 크게 증가한 반면, 보스니아인과 세르비아인의 비율은 감소했다.
6. 문화
린도는 네움 지역의 전통 춤이다.[10] 네움은 건강의 성모 마리아 축일을 기념하여 음악 축제인 에트노페스트 네움과 네움 애니메이션 영화제를 개최한다.[11] 마티차 흐르바츠카와 HKD 나프레다크 문화 단체의 지부도 네움에 있다.[12][13]
6. 1. 스포츠
네움에서는 수영, 일광욕, 해변 활동, 보트 타기 등 다양한 수상 스포츠가 인기 있다. 네움에는 크로아티아 수구 연맹의 회원인 수구 클럽 VK 야드란 네움이 있다.[10] 또한 축구 클럽 HNK 네움도 있다.7. 경제
네움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유일하게 바다와 닿아 있는 곳이지만, 지리적 제약으로 인해 대규모 항구는 없다. 남쪽은 반도와 섬들로 막혀 아드리아 해로 나가기 어렵고, 본토와는 험준한 산으로 가로막혀 있다. 따라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크로아티아의 플로체 항구를 협약을 통해 주요 항구로 사용하고 있다. 크로아티아는 펠리에샤츠 다리(총길이 2374m)를 건설하여 본토와 두브로브니크를 연결하였다.
네움 지역은 관광 산업이 발달해 있다. 가파른 언덕, 모래 해변, 여러 대형 관광 호텔이 있으며, 크로아티아보다 물가가 낮아 쇼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관광 및 관련 상업은 이 지역 경제의 주요 수입원이다.[1] 내륙 지역은 풍부한 고고학적 역사와 야생 지역을 가지고 있어 잠재적인 개발 가치가 있다.
7. 1. 관광 산업
네움에는 가파른 언덕과 모래사장이 있는 해변, 그리고 거대한 관광 호텔 등이 있다. 물가가 인접한 크로아티아에 비해 싸기 때문에, 이곳은 쇼핑객들에게 인기가 높다. 관광 산업과 교역은 이 지역의 경제 발전을 선도하고 있다. 크로아티아와의 월경 심사는 비교적 간단하다.네움에는 관광객을 위한 각종 편의 시설이 잘 갖추어져 있다. 네움의 관광 산업은 거의 바닷가에 집중되어 있다. 네움의 내륙 지방에는 풍부한 고고학적 역사 및 때묻지 않은 자연 지대가 있으며,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 시에서는 해마다 엣노페스트 네움이라는 음악 축제를 주최하고 있다.
네움의 여름은 길고 따뜻하며, 겨울은 짧고 혹독하다. 네움은 연 일조량이 가장 많은 해안 지방 중 하나이다. 연평균 수온은 1월에 13°C, 7월~8월에는 32°C가량이 된다. 수영 및 일광욕, 해변 거닐기, 보트 타기 및 많은 수상 스포츠 등으로 인기가 있다.
네움은 두브로브니크에서 60km 떨어져 있고, (두브로브니크 공항에서 80km) 모스타르 및 메주고레로부터 70km, 플로체 및 메트코비치로부터 30km 거리에 있다. 양 지역과는 모두 철도로 연결되어 있다.
1991년 지방 자치체 기록에 따르면 네움에는 총 4,268명이 거주하고 있으며, 주민의 민족별 구성비는 다음과 같다.
민족 | 인구 | 비율 |
---|---|---|
크로아티아인 | 3738명 | 87.6% |
세르비아인 | 209명 | 4.9% |
보스니아 이슬람교도 | 196명 | 4.7% |
구 유고슬라비아 출신 | 92명 | 2.1% |
기타 | 33명 | 0.7% |
네움 지역은 가파른 언덕, 모래 해변, 여러 개의 대형 관광 호텔을 갖추고 있다. 네움에는 약 5,000개의 관광객 숙박 시설이 있으며, 이 중 1,810개가 호텔에, 나머지는 모텔, 빌라 및 개인 숙소에 있다. 네움의 관광은 해안 지역에서만 활발하다. 가격은 인접 국가인 크로아티아보다 낮아 쇼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관광과 이로 인한 상업은 이 지역 경제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요소이다. 네움 뒤의 내륙 지역은 풍부한 고고학적 역사와 수백 년 된 올리브 나무 숲을 포함한 야생 지역을 가지고 있다.
7. 2. 잠재적 개발
네움은 가파른 언덕, 모래 해변, 여러 개의 대형 관광 호텔을 갖추고 있다. 네움에는 약 5,000개의 관광객 숙박 시설이 있으며, 이 중 1,810개가 호텔에, 나머지는 모텔, 빌라 및 개인 숙소에 있다. 네움의 관광은 해안 지역에서만 활발하다.[1] 물가는 인접한 크로아티아보다 낮아 쇼핑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관광과 이로 인한 상업은 이 지역 경제에 가장 크게 기여하는 요소이다.[1]네움 뒤의 내륙 지역은 풍부한 고고학적 역사와 수백 년 된 올리브 나무 숲을 포함한 야생 지역을 가지고 있어 개발이 기대되고 있다.[1]
7. 3. 항만 개발 문제
네움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유일의 바다와 마주한 곳이지만, 남쪽 지형은 반도와 각종 섬들로 차단되어 있고, 아드리아 해로 나가려면 멀리 돌아가야 하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본토와는 험준한 산으로 가로막혀 있어 이 곳에 국가 경제와 대외 무역의 창구가 될 만한 거대한 항구는 없다.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네움에서 30km 북쪽에 있는 크로아티아의 플로체 항을 크로아티아 정부와의 협약 아래 경제적 의미의 중추 항구로 사용하는 관리권이 있다. 반면, 크로아티아는 네움지역을 통하지 않고, 크로아티아 본토와 두브로브니크를 잇는 펠리에샤츠 다리(총길이 2374m)의 건설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부로부터 승인받았다.
참조
[1]
웹사이트
CIA - The World Factbook -- Field Listing - Coastline
https://web.archive.[...]
2007-06-13
[2]
웹사이트
Bosnia-and-Herzegovina Neum
http://www.britannic[...]
2015-09-09
[3]
서적
Program upravljanja obalnim područjem (CAMP) Bosne i Hercegovine
https://ekonsultacij[...]
ekonsultacije.gov.ba
2022-11-06
[4]
웹사이트
Naseljena Mjesta 1991/2013
http://www.statistik[...]
Statistical Office of Bosnia and Herzegovina
2021-10-10
[5]
웹사이트
This Country's Coastline Is So Short, You Could Walk It in A Day
https://www.cntravel[...]
2016-09-19
[6]
웹사이트
Why does Bosnia have a Coast?
https://web.archive.[...]
2020-05-17
[7]
서적
Austro-Hungarian Naval Policy, 1904-14
https://books.google[...]
Frank Cass
1996-07-01
[8]
웹사이트
"Neum i granični problemi", ''Poskok.info'', December 14th, 2012
https://web.archive.[...]
2013-10-28
[9]
웹사이트
Bridging gaps with EU-funds: The Inauguration of the Pelješac Bridge in Croatia
https://ec.europa.eu[...]
[10]
웹사이트
50. Split Summer
https://web.archive.[...]
2008-09-02
[11]
웹사이트
Neum Animated Film Festival
http://www.rfaf.ba
[12]
웹사이트
Matica hrvatska
http://www.matica.hr[...]
[13]
웹사이트
HKD Napredak
http://napredak.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