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 도핑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혈액 도핑은 운동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혈액 내 적혈구 수를 인위적으로 늘리는 행위로, 1960년대 후반부터 사용되었다.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에서 카를로 마닌카의 사례가 최초로 알려졌으며, 1985년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혈액 도핑을 금지했다. 방법으로는 약물 사용, 수혈, 혈액 대체제 등이 있으며, 적혈구형성인자(EPO), 저산소증 유도인자(HIF) 안정제, 미오-이노시톨 트리스피로인산(ITPP) 등의 약물이 사용된다. 자가 수혈과 동종 수혈 방식이 있으며, 헤모글로빈 기반 산소 운반체(HBOCs)와 과불화탄소(PFCs)와 같은 혈액 대체제도 사용된다. 혈액 도핑은 과점도 증후군, 심혈관계 질환, 감염 등의 부작용을 유발하며, 윤리적 문제와 선수 건강을 위협한다. 군사적 목적으로도 사용된 사례가 있으며, 여러 유명 선수들이 혈액 도핑으로 징계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포츠와 약물 - 암페타민
암페타민은 페네틸아민 계열의 각성제로, 기면증이나 ADHD 치료에 사용되기도 했으나 중독성 문제로 현재는 규제 물질로 지정되었으며, 수행 능력 향상 효과로 스포츠 도핑 금지 약물로도 지정되었다. - 스포츠와 약물 - 경기력 향상 약물
경기력 향상 약물은 운동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물질로,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흥분제 등이 있으며 근력, 지구력, 집중력 향상 효과가 있지만 윤리적 문제와 부작용 위험으로 인해 규제된다. - 도핑 - 약물 검사
약물 검사는 개인의 약물 사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생체 시료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선별 검사와 확인 검사로 이루어지며, 다양한 약물의 검출이 가능하고 법 집행, 고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도핑 - 세계 반도핑 기구
세계 반도핑 기구(WADA)는 스포츠 도핑 방지를 목표로 1999년 설립된 국제 기구로서, 세계 반도핑 규약 제정 및 감시를 통해 스포츠 기구와 공공 기관 간의 정책 조화를 추구하며, 최근에는 공정성 및 투명성 확보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혈액 도핑 | |
---|---|
혈액 도핑 | |
![]() | |
정의 | |
의미 |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혈구 수를 늘리는 방법 |
방법 | |
자가 수혈 | 자신의 혈액을 채취하여 냉동 보관 후 다시 수혈하는 방법 |
동종 수혈 | 다른 사람의 혈액을 수혈하는 방법 |
에리트로포이에틴 (EPO) 사용 | 적혈구 생성을 촉진하는 호르몬을 사용하는 방법 |
적발 | |
직접 검사 | 혈액 내 EPO 농도 측정 및 수혈 여부 확인 |
간접 검사 | 혈액 지표 변화를 감지하여 도핑 여부 추정 |
윤리적 및 건강 문제 | |
윤리적 문제 | 스포츠의 공정성 및 경쟁을 훼손하는 행위 |
건강 위험 | 혈액 응고, 심혈관 문제, 감염 등 심각한 부작용 가능성 |
역사 및 발전 | |
기원 | 1970년대부터 운동선수들 사이에서 사용되기 시작 |
발전 | EPO와 같은 약물의 개발로 인해 사용이 더 복잡해짐 |
법적 규제 | |
세계반도핑기구 (WADA) | 혈액 도핑을 금지하고, 적발 방법을 개발하여 시행 |
각국 정부 | 도핑 방지 및 제재를 위한 정책 및 법률 제정 |
2. 역사
혈액 도핑은 신체의 산소 운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혈구형성인자(EPO)와 같은 불법적인 제품이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2] 운동 시 근육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유산소 호흡 과정에서, 최대 산소 섭취량은 심박출량, 산소 추출, 헤모글로빈 질량에 의해 결정된다. 경기 중 선수의 심박출량과 산소 추출 조작은 어렵기 때문에, 헤모글로빈 질량을 늘려 동맥의 산소 함량을 높이는 것이 신체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2]
2. 1. 초기 역사
1980년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에서 핀란드의 카를로 마닌카가 혈액 수혈을 받고 메달을 획득한 것이 최초로 알려진 혈액 도핑 사례이다.[38] 마닌카는 5km와 10km 트랙 경기에서 메달을 획득하기 전에 2파인트의 혈액을 수혈받았으나, 이는 당시 규정에 위배되지 않았다.[38]
2. 2. 금지 이후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1985년에 혈액 도핑을 금지했지만, 초기에는 검출 방법이 없어 실효성이 없었다.[2]2. 3. 최근 동향
최근 적혈구형성인자(EPO), 다베포에틴-알파, 저산소증 유도인자(HIF) 안정제 등 새로운 약물의 등장과 자가 수혈 등의 방법으로 혈액 도핑은 더욱 교묘해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검출 기술 개발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2]3. 방법
혈액 도핑은 신체의 산소 운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크게 약물 사용, 수혈, 혈액 대체제 사용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운동 시 신체는 골격근에 충분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 유산소 호흡을 한다. 최대 산소 섭취량은 심박출량, 산소 추출, 헤모글로빈 질량에 따라 달라진다. 경기 중 심박출량과 산소 추출은 조작하기 어렵기 때문에, 헤모글로빈 질량을 증가시켜 동맥의 산소 함량을 높이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다.[2]
- 약물 사용: 적혈구형성인자(EPO), 저산소증 유도인자(HIF) 안정제, 미오-이노시톨 트리스피로인산(ITPP) 등의 약물을 사용하여 적혈구 생성을 촉진하거나 산소 운반 능력을 향상시킨다.
- 수혈: 자가 수혈 또는 동종 수혈을 통해 적혈구 수를 증가시킨다.
- 혈액 대체제: 헤모글로빈 기반 산소 운반체(HBOCs)나 과불화탄소(PFCs)와 같은 인공 산소 운반체를 사용하여 산소 공급을 늘린다.
- 염화 코발트 투여: 염화 코발트(II) 형태로 투여되는 Co²⁺는 저산소증 유도인자(HIF)를 안정화시켜 적혈구 생성을 촉진한다.[26][27]
3. 1. 약물 사용
많은 형태의 혈액 도핑은 의약품의 오용에서 비롯된다. 이러한 약물 치료법들은 인체가 자연적으로 산소 전달을 할 수 없을 때 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임상적 사용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3. 1. 1. 적혈구형성인자(EPO)
적혈구형성인자(EPO)는 신장의 간질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당단백질 호르몬으로, 골수에서 적혈구 생성을 촉진한다.[3] 혈구모세포(적혈구 줄기세포)의 활성 증가는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을 향상시킨다. EPO는 처음에 암 환자의 화학 요법과 방사선 요법의 부작용을 상쇄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3] 상처 치유 속도를 증가시키기도 한다.[4] 특히 헤마토크릿 증가와 같은 생리학적 부작용으로 인해, EPO는 전문 및 아마추어 사이클 선수들에 의해 남용될 가능성이 있는 약물이 되었다.3. 1. 2. 저산소증 유도인자(HIF) 안정제
저산소증 유도인자(HIF) 안정제는 만성 신장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의약품이다. 대부분의 전사 인자와 마찬가지로, HIF 전사 인자는 단백질 발현을 담당한다. HIF 안정제는 빈혈로 인한 저산소증, 대사 스트레스, 혈관 신생(새로운 혈관 생성)으로 인해 적혈구형성인자(EPO)의 활성을 촉진한다.[5] 사이클 선수들이 사용하는 HIF 안정제는 염화 코발트/데페록사민과 결합하여 적혈구형성인자 호르몬의 자연적 생산을 자극하고 조절을 막는다.[6] 생리학적으로 낮은 40mmHg 정도의 동맥혈 산소분압에서, EPO는 헤모글로빈 운반을 증가시키기 위해 신장에서 분비된다.[7] 이러한 약물의 조합은 세포 수준에서 전사를 증가시켜 지속적으로 EPO를 분비하게 한다. 이 효과는 HIF 안정제, 염화 코발트/데페록사민이 체내에서 배출되거나 분해될 때 사라진다.3. 1. 3. 미오-이노시톨 트리스피로인산(ITPP)
미오-이노시톨 트리스피로인산(ITPP)은 OXY111A라는 화합물 번호로도 알려져 있으며, 헤모글로빈의 이형 효과제이다. 이는 산소-헤모글로빈 해리 곡선을 우측으로 이동시켜 심혈관계를 통과할 때마다 적혈구에서 주변 조직으로 방출되는 산소의 양을 증가시킨다.[8] ITPP는 인간과[9] 경주마[10] 모두에서 도핑 방지 연구의 대상이 되어왔다.3. 2. 수혈
수혈은 자신의 혈액 또는 타인의 혈액을 수혈받아 적혈구 수를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수혈은 혈액 공여자와 수혜자가 같은 자가 수혈과, 다른 사람에게 수혈되는 동종 수혈로 분류할 수 있다.[11]3. 2. 1. 자가 수혈
자가 수혈은 혈액 공여자와 수혜자가 같은 경우를 말한다. 수혈 과정은 경기 수 주 전에 1~4 단위(1 단위 = 450ml)의 혈액을 채혈하는 것으로 시작된다.[11] 채취된 혈액은 원심분리되어 혈장 성분은 즉시 재주입되고, 주로 적혈구로 구성된 유형 성분은 4°C~-80°C 온도에서 냉동 보관된다.[11] 냉장 보관된 혈액은 적혈구 수가 꾸준히 감소하여 최대 40%까지의 상당한 비율의 저장된 적혈구가 생존 불가능할 수 있다.[12] 반면에 냉동 과정은 세포의 노화를 제한하여 10년까지 혈액을 보관할 수 있게 하며, 이 경우 적혈구의 손실은 10%에서 15% 정도이다.[13] 저장된 적혈구는 일반적으로 고강도 경기 1~7일 전에 재주입된다. 각 자가 수혈로 상당량의 철분이 제거되므로, 자가 헌혈을 받는 환자들은 마지막 헌혈로부터 최소 3일 이상의 충분한 회복 시간과 적절한 철분 보충제가 필요하다. 자가 헌혈의 거의 50%는 공여자에 의해 사용되지 않고 폐기되는데, 이는 현재의 기준이 안전상의 이유로 이러한 단위의 혈액을 다른 환자에게 수혈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이다.3. 2. 2. 동종 수혈
동종 수혈은 타인의 혈액을 수혈받는 방법이다.[11] 수혈 과정은 경기 수 주 전에 1~4 단위(1 단위 = 450ml)의 혈액을 채혈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채취된 혈액은 원심분리되어 혈장 성분은 즉시 재주입되고, 주로 적혈구로 구성된 유형 성분은 4°C~-80°C 온도에서 냉동 보관된다.[11]3. 3. 혈액 대체제
생화학 및 생물공학의 발전으로 "혈액 대체제"로 널리 알려진 공학적 산소 운반체가 개발되어, 혈액 도핑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이 가능해졌다. 현재 이용 가능한 혈액 대체제는 주로 중합된 헤모글로빈 용액 또는 헤모글로빈 기반 산소 운반체(HBOCs)와 과불화탄소(PFCs)이다.[14][15]3. 3. 1. 헤모글로빈 기반 산소 운반체(HBOCs)
헤모글로빈 기반 산소 운반체(HBOCs)는 인간 또는 동물의 헤모글로빈을 분자 수준에서 공학적으로 설계하여 산소 전달 능력과 혈관 내 순환 지속 시간을 최적화한 물질이다. 적혈구 내 2,3-다이포스포글리세르산염은 헤모글로빈의 정상적인 산소 친화도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HBOCs는 적혈구를 포함하지 않아 이러한 상호작용이 불가능하므로, 변형되지 않은 인간 HBOC 용액은 산소 친화도가 매우 높아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화학적 방법들은 말초 조직의 생리적 산소 분압에서 효과적으로 산소를 방출할 수 있는 운반체를 만들어냈다.[16]HBOCs의 공통적인 특징은 용해 시 해리에 대한 저항성을 갖는다는 점이다. 이는 비생리적 조건에서 자연적으로 해리되는 헤모글로빈과 대조적이다. 이론적으로 HBOCs는 기존 적혈구 주입보다 운동선수에게 더 큰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HBOCs는 단순한 적혈구 대체제를 넘어, 조직 산소 공급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산소 전달체 역할을 한다. 또한 혈청 철분, 페리틴, 에리스로포이에틴 증가,[17] 최대 20%의 산소 확산 증가 및 운동 능력 향상,[18] 이산화탄소 생성 증가, 무산소 운동 시 젖산 생성 감소 등의 추가적인 효과도 보고되었다.[19] 그러나 임상 시험에서 HBOCs는 인체에 매우 위험한 것으로 밝혀졌다. 사망 위험과 심근경색 위험을 모두 증가시켜 임상 시험이 중단되었으며, 현재 미국이나 유럽에서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없고 승인된 사용처도 없다.[20]
3. 3. 2. 과불화탄소(PFCs)
과불화탄소(PFCs)는 불화탄소라고도 하며, 탄소와 불소 원자가 강한 C-F 결합으로 연결된 불활성, 물에 불용성인 합성 화합물이다. PFCs는 대체로 투명하고 무색의 액체 유화물로, 분자량, 표면적, 전하, 점도 면에서 이질적이다. 전자 밀도가 높은 불소 원자의 함량이 높아 분자 내 상호작용이 적고 표면 장력이 낮아, 특히 산소와 이산화탄소 같은 기체에 대해 뛰어난 용매 역할을 한다.[14] 이러한 분자 중 일부는 혈장보다 100배 더 많은 산소를 용해할 수 있다. PFCs는 본질적으로 소수성이므로 정맥 주사를 위해서는 유화시켜야 한다. PFCs는 산소를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용해하기 때문에, 혈액 대체물로서의 능력은 주로 폐와 목표 조직에서의 산소 분압 기울기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PFCs의 산소 운반 특성은 전혈, 특히 적혈구의 특성과 상당히 다르다.[21]PFCs는 크기가 작아 적혈구가 흐를 수 없는 곳까지 순환할 수 있다. 아주 작은 모세혈관에서 PFCs는 가장 큰 이점을 제공하는데, 더 큰 동맥에서의 산소 함량 증가로 예상되는 것보다 훨씬 더 효율적으로 국소 산소 전달을 증가시킨다.[23] 또한 기체가 PFCs 내에서 용해된 상태이므로, 산소 분압은 말초 조직으로의 효율적인 산소 전달을 촉진한다. 1980년대 중반 이후, PFCs의 산소 용량과 유화 특성이 개선되어 2세대 PFC 기반 산소 운반체가 개발되었으며, 현재 두 가지 PFC 제품이 3상 임상 시험 중에 있다.[24]
3. 4. 염화 코발트 투여
염화 코발트(II)(CoCl₂) 형태로 투여되는 Co²⁺는 빈혈 환자 치료에 유용하며, 최근 실험을 통해 혈액 도핑 효과가 입증되었다.[26][27] Co²⁺는 저산소증 유도인자(HIF)-1α와 HIF-2α의 N-말단에 결합하여 이 단백질 복합체를 안정화함으로써 저산소증과 유사한 반응을 유도하는데, 가장 관련 있는 반응은 적혈구 생성이다.[27][28] 정상적인 산소 조건에서 HIF는 HIF-α 수산화효소에 의해 불안정해져 분해되지만, Co²⁺는 분해를 방지하여 적혈구형성인자(EPO)를 부호화하는 유전자를 활성화한다.[27][28] Co²⁺ N-말단 안정화의 정확한 기전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수산화효소 활성 부위의 Fe²⁺가 Co²⁺로 대체되는 것이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설이 있다.[27] Co²⁺ 결합은 유비퀴틴 결합은 허용하지만 프로테아좀 분해는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8]4. 검출
혈액 도핑 검출 기술은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다양한 방법을 통해 혈액 도핑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에는 유세포 분석법을 이용한 동종 혈액 도핑 검출, CO 재호흡 기술을 이용한 자가 혈액 도핑 검출, 헤모글로빈 기반 산소 운반체(HBOCs) 검출, 염화 코발트(II) 투여 검출 등이 있다.[2]
4. 1. 동종 혈액 도핑 검출
유세포 분석법은 동종 혈액 도핑을 검출하는 데 선호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혈구 표면의 표지자를 검사하여 운동선수의 혈액 순환에 한 명 이상의 사람에게서 나온 혈액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 검사는 공여자 혈장에서 얻은 혈액형 항원에 대한 12개의 항혈청을 사용한다. 항원들은 IgG 또는 IgM이 코팅된 적혈구에 표지를 하고, 피코에리트린과 결합된 이차 항체로 표지되어 유세포 분석법에 의한 검출을 향상시킨다.[2][29] 유세포 분석법은 혈액형 항원의 미세한 차이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전에 최소 한 단위의 동종 혈액을 받은 대상자의 혈액을 구별할 수 있다.[29] 이 기술은 개인의 고유 적혈구와 항원적으로 구별되는 작은 (<5%) 세포 집단을 검출할 수 있다.[29]4. 2. 자가 혈액 도핑 검출
자가 혈액 도핑 검출은 CO 재호흡 기술을 통해 헤모글로빈 질량의 비생리학적 증가를 간접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이루어진다.[30] 현재 사용되는 CO 재호흡 방법의 원리는 10~15분 동안 O2-CO 가스 혼합물을 흡입하는 것을 요구한다.[30] 재호흡 전후의 카복시헤모글로빈 농도(HbCO) 차이를 측정함으로써, CO 부피와 CO에 대한 Hb의 결합 능력(1.39ml g-1)을 이용하여 총 Hb 질량을 계산할 수 있다.[30] 이 검출 방법은 경기 직전에 CO를 흡입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고 잠재적으로 선수들의 경기력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운동선수에게 문제가 될 수 있다.4. 3. 혈액 헤모글로빈 기반 산소 운반체 검출
헤모글로빈 기반 산소 운반체(HBOCs) 검출은 다음 네 단계를 거친다.[31]1. 면역고갈을 통해 혈액 샘플에서 주요 단백질을 제거한다. 이 과정은 알부민과 면역글로불린과 같은 다른 단백질이 이온화를 변화시켜 모세관 전기영동(CE) 분리를 방해하는 것을 막는다.
2. 암모늄 포메이트(75mM, pH 9.5)로 구성된 배경 전해질 하에서 CE 분리를 수행하여 HBOC와 Hb 사이의 충분한 해상도를 제공한다.
3. 415 nm에서 UV/Vis 검출을 수행하여 HBOC와 Hb를 선택적으로 검출한다.
4. 비행 시간 또는 질량 분석기를 사용하여 헴단백질과 다른 단백질 사이의 선택성을 높이고 HBOC 섭취를 확실하게 결정한다.[32]
415 nm에서의 CE-UV/Vis와 CE-ESI-TOF/MS의 검출 한계는 혈장에서 각각 과 0.45g/dL이다.[31]
4. 4. 염화 코발트 투여 검출
염화 코발트(II) 투여는 생물동력학 모델을 활용하여 혈액 및 소변 샘플 분석을 통해 코발트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코발트는 섭취량이 하루 400 μg 이상일 경우 실험실 혈액 분석을 통해 검출될 수 있다. 최소 10일 동안 투여 후 전혈 농도가 1 μg/L 이상이고 소변 농도가 10 μg/L 이상일 때 검출이 가능하다.[33] 적혈구 생성을 약 16%-21% 증가시키는 용량은 최소 10일 동안 경구 투여 시 하루 약 68 mg의 코발트이다. 마지막 섭취 2시간 후 예측된 전혈 코발트 농도는 200 μg/L를 초과하며, 섭취 후 24시간 이내에 평균 소변 코발트 농도는 3000 μg/L를 초과한다.[33]5. 부작용
혈액 도핑은 혈액 점도를 증가시켜 여러 가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혈액 내 적혈구 수가 증가하면 과점도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혈액의 흐름을 느리게 하고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을 높인다.[55] 적혈구형성인자(EPO) 과다 투여는 심장마비, 뇌졸중, 정맥염, 폐 색전증 등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55]
또한, 준비나 보관 과정에서 혈액이 오염되면 패혈증과 같은 심각한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56] 2002년에는 적혈구 수혈 50만 건당 1건의 오염이 발견되기도 했다.[56] 그 외에도, 적혈구 증가 약물은 간 기능 저하, 뇌하수체 문제, 콜레스테롤 수치 증가 등을 일으킬 수 있다.[57]
5. 1. 과점도 증후군
과점도 증후군은 혈액의 점도가 증가하고 심박출량 및 혈류 속도가 감소하여 말초 조직으로의 산소 전달이 감소하는 현상이다.[55] 적혈구형성인자(EPO)를 과다 투여하면 혈액이 끈적해져 동맥을 막는 슬러지(sludge)가 생길 수 있다. 이는 심장마비, 뇌졸중, 정맥염, 폐 색전증의 위험을 높이는데, 혈액을 너무 많이 재도입했을 때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 혈액 도핑은 적혈구 용적을 늘려 적혈구증가증을 유발하며, 이는 심장마비나 뇌졸중 같은 부작용을 일으키는 혈액 질환이다.5. 2. 심혈관계 질환
혈액 내 적혈구 수를 단순히 증가시키는 행위는 과점도 증후군과 관련될 수 있다. 이는 혈액 점도 증가와 심박출량 및 혈류 속도 감소로 특징지어지며, 결과적으로 말초 산소 전달이 감소한다.[55] 예를 들어, 적혈구형성인자(EPO)를 과다 투여하면 혈액이 매우 끈적해져 동맥을 막는 슬러지가 만들어질 수 있다. 이는 심장마비, 뇌졸중, 정맥염, 폐색전증의 위험을 증가시키는데, 혈류에 너무 많은 혈액이 재도입된 경우에서 이러한 현상이 관찰되었다. 혈액 도핑은 적혈구의 용적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적혈구증가증이라는 상태를 유발한다. 적혈구증가증은 심장마비나 뇌졸중과 같은 알려진 부작용을 가진 혈액 질환이다.[55]5. 3. 감염
혈액 오염은 패혈증 등 전신에 영향을 미치는 감염을 유발할 수 있다. 2002년에는 적혈구 수혈 50만 건당 1건의 오염이 발견되었다.[56]5. 4. 기타 부작용
적혈구를 증가시키는 데 사용되는 특정 약물은 간 기능을 저하시키고 간부전, 뇌하수체 문제, 콜레스테롤 수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57]6. 윤리적 문제와 한국의 입장
혈액 도핑은 스포츠 정신에 어긋나는 행위이며, 선수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할 수 있다.
7. 군사적 사용
1947년부터 군사 연구원들은 고고도에서 전투기 조종사의 저산소증 내성을 높이는 방법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미국 해군 연구 시설에서 진행된 연구에서는 10명의 남성에게 적혈구를 수혈하여 산소 운반 능력이 증가하는 결과를 얻었다.[34]
1993년, 포트 브래그의 미국 특수부대 지휘관들은 혈액 도핑(혈액 로딩)을 실험하기 시작했다. 특수부대 요원들은 2단위의 전혈을 제공하고, 여기서 추출, 농축, 저온 보관된 적혈구를 임무나 전투 24시간 전에 다시 주입받았다. 군사 과학자들은 이 절차가 혈액의 산소 운반 능력을 증가시켜 병사들의 지구력과 경계심을 높인다고 판단했다.
1998년, 오스트레일리아 국방군은 특수공군연대에 혈액 도핑 기술을 승인했다. 오스트레일리아 국방과학기술기구의 수석 영양학자 크리스 포브스-이완은 "사랑과 전쟁에서는 모든 것이 공평하다"며, "우리가 얻으려는 것은 잠재적 적에 대한 우위"라고 말했다.[35] 이 연구에서는 50개 이상의 성능 향상 약물과 기술이 거부되었고, 카페인, 에페드린, 에너지 음료, 모다피닐, 크레아틴, 혈액 로딩 6가지가 승인되었다.[36]
8. 유명 사례
혈액 도핑은 스포츠계의 심각한 문제로 인식되어 왔으며, 여러 유명 선수들이 이로 인해 징계 및 메달 박탈 등의 불이익을 받았다. 주요 사례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선수/사건 | 종목 | 내용 |
---|---|---|---|
1980 | 카를로 마닌카 | 육상 (5km, 10km) | 1980년 모스크바 하계 올림픽 메달 획득 전 2파인트 혈액 수혈 (당시 규정 위반 아님)[38] |
1976 | 요프 주테멜크 | 사이클 | 1976년 투르 드 프랑스 2위 당시 수혈 (빈혈 치료 목적 주장)[39][40] |
1976 | 프란체스코 모서 | 사이클 | 1시간 기록 경신 준비 과정에서 수혈[39] |
2000 | 니클라스 악셀손 | 사이클 | EPO 양성 반응 |
2004 | 타일러 해밀턴 | 사이클 | 2004년 올림픽 동종 혈액 수혈 검사 불합격 (샘플 문제로 금메달 유지), 부엘타 아 에스파냐 동종 수혈 양성 판정 후 항소 기각[41] |
2007 | 알렉산드르 비노쿠로프 | 사이클 | 투르 드 프랑스 13, 15단계 동종 수혈 양성 판정, 2년 출전 정지 및 벌금[42][43][44] |
안드레이 카셰크킨 | 사이클 | 동종 혈액 도핑 양성 판정[45] | |
2008 | 알렉세이 체레파노프 | 하키 | 경기 중 사망 전 수개월 간 혈액 도핑 (심근염 동반)[46] |
2009 | 클라우디아 페히슈타인 | 스피드 스케이팅 | 혈액 내 그물적혈구 비정상 수치로 2년 출전 정지[47] |
2011 | 타일러 해밀턴 | 사이클 | 도핑 인정, 2004년 올림픽 금메달 반납[50] |
2012 | 랜스 암스트롱 | 사이클 | 7회 투르 드 프랑스 우승 타이틀 박탈, 평생 출전 금지, 이후 인터뷰에서 혈액 도핑 및 EPO 사용 인정[51] |
2014 | 차엘 소넨 | UFC | EPO 양성 반응[52] |
2014 | 알리 바가우티노프 | UFC | EPO 양성 반응[53] |
2018 | 루스 제벳 | 육상 (3000m 장애물 경주) | EPO 양성 반응, 4년 출전 정지[54] |
참조
[1]
저널
Blood doping and its detection
https://www.zora.uzh[...]
[2]
저널
Blood Doping and its Detection
https://www.zora.uzh[...]
[3]
저널
Brain and cancer: the protective role of erythropoietin
2005-03-01
[4]
저널
Efficacy of erythropoietin combined with enteral nutrition for the treatment of anemia in Crohn's disease: a prospective cohort study
https://pubmed.ncbi.[...]
2013-02-01
[5]
저널
Hypoxia-inducible factors in the kidney
2006-08-01
[6]
서적
Hematology : basic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archive.org/[...]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7]
저널
VO2MAX, blood doping, and erythropoietin
https://archive.org/[...]
2003-06-01
[8]
저널
Enhanced exercise capacity in mice with severe heart failure treated with an allosteric effector of hemoglobin, myo-inositol trispyrophosphate
[9]
저널
Screening and confirmation of myo-inositol trispyrophosphate (ITPP) in human urine by hydrophilic interaction liquid chromatography high resolution / high accuracy mass spectrometry for doping control purposes
[10]
저널
Detection of myo-inositol tris pyrophosphate (ITPP) in equine following an administration of ITPP
2014-03-01
[11]
서적
Exercise Physiology
Lea and Febiger
[12]
저널
Blood doping and related issues: A brief review
[13]
저널
Performance-enhancing drugs
https://archive.org/[...]
[14]
저널
Blood substitutes: Evolution and future applications
[15]
저널
Effect of hemoglobin- and Perflubron-based oxygen carriers on common clinical laboratory tests
[16]
저널
O-raffinose cross-linking markedly reduces systemic and renal vasoconstrictor effects of unmodified human hemoglobin
[17]
저널
Hematologic effects of a novel hemoglobin-based oxygen carrier in normal male and female subjects
[18]
저널
Physiology and pharmacokinetics of a novel hemoglobin-based oxygen carrier in humans
[19]
저널
Hemoglobin-based oxygen carrier preserves submaximal exercise capacity in humans
https://archive.org/[...]
[20]
저널
Cell-free hemoglobin-based blood substitutes and risk of myocardial infarction and death: a meta-analysis
2008-05-01
[21]
저널
Blood substitutes. Artificial oxygen carriers: Perfluorocarbon emulsions
[22]
저널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s of perfluorocarbons and perfluorocarbon emulsions relevant to ''in vivo'' oxygen delivery
[23]
저널
Modeling of oxygen transport in blood-perfluorocarbon emulsion mixtures: Part II: Tissue oxygenation
[24]
저널
Oxygen therapeutics. Current concepts
[25]
저널
The disparate roles of cobalt in erythropoiesis, and doping relevance
[26]
저널
Cobalt chloride administration in athletes: a new perspective in blood doping?
[27]
저널
Novel Erythropoietic Agents: A Threat to Sportsmanship
[28]
저널
pVHL-independent ubiquitination of HIF1a and its stabilization by cobalt ion
[29]
저널
Proof of Homologous Blood Transfusion through Quantification of Blood Group Antigens
[30]
저널
The Optimised CO-Rebreathing Method: A New Tool to Determine Total Haemogloblin Mass Routinely
[31]
저널
Analysis of Hemoglobin-Based Oxygen Carriers by CE-UV'Vis and CE-ESI-TOF/MS
[32]
저널
Blood Doping Detection- A New Analytical Approach with Capillary Electrophoresis
[33]
저널
The Biokenetic of Inorganic Cobalt in the Human Body
[34]
저널
The increase in hypoxia tolerance of normal men accompanying the polycythemia induced by transfusion of erythrocytes.
https://archive.org/[...]
1947-01-01
[35]
뉴스
Australia: Troops Get The All-Clear To Dose Up On Energy Drugs
http://www.mapinc.or[...]
Sydney Morning Herald
1998-09-18
[36]
서적
Canada's Secret Commandos
https://archive.org/[...]
Esprit de Corps Books
[37]
웹인용
History of Doping in Sport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Sports Studies, Vol 24, Issue 1
2016-10-26
[38]
서적
Erythropoietin: Blood, Brain and Beyond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2-07-19
[39]
웹인용
A history on the use of blood transfusions in cycling
http://www.cyclingne[...]
2015-03-22
[40]
서적
Sport And Exercise Medicine For Pharmacists
https://books.google[...]
Pharmaceutical Press
2012-07-19
[41]
웹인용
The Hamilton decision
http://autobus.cycli[...]
Future Publishing
2007-07-30
[42]
뉴스
Vinokourov questions French lab findings
http://www.smh.com.a[...]
The Sydney Morning Herald
2007-07-29
[43]
뉴스
Vinokourov Fails Tour Doping Test
http://news.bbc.co.u[...]
BBC News
2015-10-07
[44]
웹인용
Vinokourov also found positive on Monday
http://www.cyclingpo[...]
Cyclingpost.com
2007-07-29
[45]
웹인용
Kashechkin tests positive for blood doping
http://autobus.cycli[...]
Cyclingnews.com
2007-08-09
[46]
뉴스
Russian investigators say Cherepanov was 'doping'
https://www.tsn.ca/n[...]
The Sports Network|TSN
2008-12-29
[47]
저널
Analysis of erythrocytic blood counts of speed skater Claudia Pechstein
[48]
웹인용
Sportgericht urteilt gegen Pechstein
http://www.sueddeuts[...]
2009-11-25
[49]
뉴스
Bundesgericht weist Revisionsgesuch der Eisschnellläuferin Claudia Pechstein ab
Medienmitteilung des Bundesgerichts
2010-10-01
[50]
뉴스
Cyclist Tyler Hamilton Hands in 2004 Olympic Gold Medal to Doping Agency
https://www.bloomber[...]
2011-05-20
[51]
뉴스
Lance Armstrong Stripped of 7 Tour De France Titles, Banned for Life After Doping Scandal
http://abcnews.go.co[...]
ABC News
2015-10-06
[52]
웹인용
Chael Sonnen Admits Use of HGH, EPO in Response to NSAC Complaint
http://bleacherrepor[...]
[53]
웹인용
BCAC: Ali Bagautinov tests positive for EPO for UFC 174, suspended one year
http://mmajunkie.com[...]
2014-07-10
[54]
웹인용
First Instance Decisions | Athletics Integrity Unit
https://www.athletic[...]
[55]
저널
The efficacy of ergogenic agents in athletic competition. Part II: Other performance-enhancing agents
[56]
저널
Incidence and significance of the bacterial contamination of blood components
[57]
저널
Reversibility of the effects on blood cells, lipids, liver function and hormones in former anabolic–androgenic steroid abus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