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국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국로는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에서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근남면까지 연결되는 도로로, 2개 이상의 시·도에 걸쳐 있어 2009년 7월 10일에 호국로로 고시되었다. 1987년부터 2007년까지 구간별 개통 및 확장 공사가 진행되었으며, 주요 경유지로는 고양시, 양주시, 의정부시, 포천시, 철원군이 있다. 이 도로는 한국 전쟁 당시 방어선 역할을 한 역사적 의미를 지니며, 특히 포천시 구간은 1980년대 초반 국도 제43호선으로 지정되어 관리되면서 도로명에 '호국'이라는 명칭이 부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 행주대교
    행주대교는 경기도 고양시와 서울특별시 강서구를 잇는 다리로, 1978년 구 행주대교가 개통되었고, 교통량 증가로 신행주대교와 제2신행주대교가 건설되었다.
  •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 개화동로
    개화동로는 서울 강서구, 고양시, 김포시를 잇는 도로이며, 김포국제공항 입구에서 개화교까지 개화로로 지정된 후 개화동길을 거쳐 현재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 철원군 (남)의 교통 - 국도 제3호선
    국도 제3호선은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강원도 철원군까지 이어지는 일반 국도로, 1971년 삼천포-초산선으로 지정된 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현재에 이르며, 여러 도시를 경유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철원군 (남)의 교통 -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47호선은 경기도 안산시부터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김화읍까지 약 100km에 걸쳐 이어지는 국도로, 1981년 신설 이후 노선 변경 및 확장을 거쳐 경기도, 서울특별시, 강원특별자치도의 여러 지역과 주요 시설을 연결하며, 서울 구간은 강남대로, 테헤란로와 인접하고, 2019년 남양주시 일부 구간이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었다.
  • 포천시의 도로 - 세종포천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장군면에서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을 잇는 총 144.6km의 고속도로로, 구리~포천 구간은 개통되었고 세종~구리 구간은 건설 중이며, 건설 초기 명칭 및 노선 관련 논란이 있었고 현재는 구리~포천 구간은 서울북부고속도로주식회사가, 세종~구리 구간은 한국도로공사가 관리한다.
  • 포천시의 도로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는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위해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약 263.4km의 고속도로로, 민간투자 및 국가재정 사업으로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 중이며 일부 구간은 2009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었고 일부는 2020년대 후반 완공 예정이다.
호국로 - [지명]에 관한 문서
도로 정보
도로 종류일반 국도
국가지원지방도
경기도 지방도
고양시도
양주시도
포천시도
철원군도
노선 번호명국도 제37호선의 일부
국도 제39호선의 일부
국도 제43호선의 일부
국도 제56호선의 일부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의 일부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의 일부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의 일부
지방도 제360호선의 일부
지방도 제371호선의 일부
지방도 제372호선의 일부
지방도 제387호선의 일부
고양시도 제92호선의 일부
양주시도 제32호선
포천시도 제1호선
포천시도 제4호선의 일부
포천시도 제28호선의 일부
철원군도 제1호선의 일부
노선명호국로
총 연장111.769km
기점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동
주요 경유지경기도 고양시
경기도 양주시
경기도 의정부시
경기도 포천시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종점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근남면
주요 교차 도로세종포천고속도로
국도 제1호선
국도 제3호선
국도 제5호선
국도 제37호선
국도 제39호선
국도 제43호선
국도 제47호선
국도 제56호선
국도 제77호선
국도 제87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39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
지방도 제356호선
지방도 제360호선
지방도 제364호선
지방도 제368호선
지방도 제371호선
지방도 제372호선
지방도 제387호선
지방도 제463호선
지방도 제464호선

2. 역사

1987년 12월 31일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에서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까지 4차로 구간이 개통되었다.[1] 1996년 1월 12일에는 철원군 김화읍 학사리에 있는 학포교 120m 구간이 재가설되어 개통되었고,[2] 같은 해 10월 21일에는 철원군 갈말읍 강포리에서 문혜리까지 6.8km 구간이 개통되었다.[3] 1997년 6월 30일에는 포천우회도로(포천군 포천읍 신읍리 ~ 신북면 가채리) 4.19km 구간과 양문우회도로(포천군 영중면 양문리) 1.8k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4]

1999년 11월 30일 포천에서 신철원간 도로(포천군 영북면 문안리 ~ 운천리) 3.81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5] 2000년 12월 28일에는 행주대교(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외동) 2.523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 행주대교 1.74km 구간은 폐지되었다.[6] 2005년 8월 12일에는 문혜 ~ 지경간 도로(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 90m 구간이 폐지되었다.[7] 2007년 1월 19일에는 문혜 ~ 김화간 도로(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 ~ 김화읍 학사리) 12.52km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다.[8]

2009년 7월 10일, 2개 이상의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호국로'''가 고시되었다.[9]

2. 1. 개통 및 확장

1987년 12월 31일 경기도 의정부시 의정부동에서 경기도 포천시 신북면 가채리까지 4차로 구간이 개통되었다.[1] 1996년 1월 12일에는 철원군 김화읍 학사리에 있는 학포교 120m 구간이 재가설되어 개통되었고,[2] 같은 해 10월 21일에는 철원군 갈말읍 강포리에서 문혜리까지 6.8km 구간이 개통되었다.[3] 1997년 6월 30일에는 포천우회도로(포천군 포천읍 신읍리 ~ 신북면 가채리) 4.19km 구간과 양문우회도로(포천군 영중면 양문리) 1.8km 구간이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4]

1999년 11월 30일 포천에서 신철원간 도로(포천군 영북면 문안리 ~ 운천리) 3.81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간은 폐지되었다.[5] 2000년 12월 28일에는 행주대교(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 ~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외동) 2.523km 구간이 확장 개통되고, 기존 구 행주대교 1.74km 구간은 폐지되었다.[6] 2007년 1월 19일에는 문혜 ~ 김화간 도로(강원도 철원군 갈말읍 문혜리 ~ 김화읍 학사리) 12.52km 구간이 신설 개통되었다.[8]

2. 2. 도로명 제정

2009년 7월 10일, 2개 이상의 시·도에 걸쳐 있는 도로로 '''호국로'''가 고시되었다.[9]

3. 주요 경유지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3. 1. 경기도

경기도 구간은 고양시 덕양구 (행주동 - 능곡동 - 화정동 - 주교동 - 성사동 - 원신동 - 고양동)에서 시작하여, 양주시 장흥면을 거쳐 의정부시 (흥선동 - 의정부동 - 자금동)를 통과한다. 이후 포천시 (소흘읍 - 선단동 - 포천동 - 군내면 - 신북면 - 영중면 - 영북면)까지 이어진다.

3. 2. 강원특별자치도

강원특별자치도 철원군 구간은 갈말읍에서 김화읍, 서면, 근남면을 지난다.

4. 노선

행주대교에서 개화동로와 직결된다. 고양시 덕양구 구간은 행주 분기점에서 국도 제77호선(자유로)과 교차하며, 능곡육교를 지나 토당 교차로에서 새빛로와 만난다. 명지병원앞 교차로를 지나 고양어울림누리 입구인 주교 교차로에서 어울림로와 교차한다. 성사동사거리에서 지방도 제356호선 (고양대로)과 교차하고, 왕릉 교차로에서 새빛로와 다시 만난다. 벽제역앞 교차로를 지나 대자삼거리에서 국도 제1호선 (통일로)과 교차한다. 이후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과 분기하여 목암 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 (신호국로)과 합류한다.

양주시 구간은 장흥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71호선 (권율로)과 교차하고, 송추지하차도를 지나 송추삼거리에서 북한산로와 만난다. 울대 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 (신호국로)과 분기한다.

의정부시 구간은 경민광장 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 (서부로)과 교차하고, 흥선광장 교차로에서 의정로와 교차한다. 흥선역을 지나 신흥로와 교차하며, 의정부중앙역을 지난다. 파발 교차로에서 태평로와 교차하고, 버스터미널 교차로에서 동일로와 만난다. 금신 교차로에서 국도 제43호선 (금신로)과 교차한다.

포천시 구간은 축석고개에서 시작하여 소흘 나들목에서 세종포천고속도로와 교차한다. 부인터사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지방도 제360호선 (부흥로)과 교차하고, 하송우사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화합로) 및 지방도 제360호선 (가산로)과 교차한다. 장승거리사거리 (선단 나들목)에서 세종포천고속도로와 다시 교차하고, 지방도 제364호선 (삼육사로)과 만난다. 군내사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청군로)과 교차하고, 한내사거리에서 국도 제87호선 (포천로)과 만난다. 신북 나들목에서 세종포천고속도로와 다시 교차하며, 만세삼거리에서 국도 제37호선 (신영일로) 및 영일로와 교차한다. 양문 교차로에서 국도 제37호선 (동서로)과 분기한다. 이 도로는 한국 전쟁 당시 대한민국 국군과 UN군이 후퇴하면서 북한군과 중공군에 맞서 방어선을 구축하고 치열한 전투를 벌였던 곳으로, 국가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10] 특히, 포천시 구간은 1980년대 초반 국도 제43호선으로 지정되어 관리되면서, 도로명에 '호국'이라는 명칭이 부여되어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포천시는 매년 6월 호국로 일대에서 6.25 전쟁을 기념하는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연봉제삼거리에서 명성로와 교차한다. 지포교를 건너 군탄사거리에 이르면 갈말로, 명성로와 교차하며, 문혜삼거리에서는 두루미로와 교차한다. 문혜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463호선 (태봉로)과 교차하고, 지경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464호선(청양로)과 교차한다. 연동 교차로에서는 연동길과, 청양 교차로에서는 청양로와 교차하며, 청하 교차로에서는 청하골길과 교차한다. 김화농공단지를 지나 만경 교차로에서 청양로와 다시 교차하며, 김화읍내 김화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47호선(김화로)과 교차하고, 학사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43호선(생창길)과 교차한다. 화강교를 건너 서면에 이르면, 신벌 교차로에서 신벌로와 교차한다. 근남면의 사곡 교차로에서는 금강로와, 신사곡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56호선(하오재로)과 교차하고, 용암삼거리에서 국도 제5호선(영서로)과 교차하며 끝난다.[10]

4. 1. 경기도 구간

행주대교에서 개화동로와 직결된다. 고양시 덕양구 구간은 행주 분기점에서 국도 제77호선(자유로)과 교차하며, 능곡육교를 지나 토당 교차로에서 새빛로와 만난다. 명지병원앞 교차로를 지나 고양어울림누리 입구인 주교 교차로에서 어울림로와 교차한다. 성사동사거리에서 지방도 제356호선 (고양대로)과 교차하고, 왕릉 교차로에서 새빛로와 다시 만난다. 벽제역앞 교차로를 지나 대자삼거리에서 국도 제1호선 (통일로)과 교차한다. 이후 국가지원지방도 제78호선과 분기하여 목암 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 (신호국로)과 합류한다.

양주시 구간은 장흥 교차로에서 지방도 제371호선 (권율로)과 교차하고, 송추지하차도를 지나 송추삼거리에서 북한산로와 만난다. 울대 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 (신호국로)과 분기한다.

의정부시 구간은 경민광장 교차로에서 국도 제39호선 (서부로)과 교차하고, 흥선광장 교차로에서 의정로와 교차한다. 흥선역을 지나 신흥로와 교차하며, 의정부중앙역을 지난다. 파발 교차로에서 태평로와 교차하고, 버스터미널 교차로에서 동일로와 만난다. 금신 교차로에서 국도 제43호선 (금신로)과 교차한다.

포천시 구간은 축석고개에서 시작하여 소흘 나들목에서 세종포천고속도로와 교차한다. 부인터사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98호선, 지방도 제360호선 (부흥로)과 교차하고, 하송우사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화합로) 및 지방도 제360호선 (가산로)과 교차한다. 장승거리사거리 (선단 나들목)에서 세종포천고속도로와 다시 교차하고, 지방도 제364호선 (삼육사로)과 만난다. 군내사거리에서 국가지원지방도 제56호선 (청군로)과 교차하고, 한내사거리에서 국도 제87호선 (포천로)과 만난다. 신북 나들목에서 세종포천고속도로와 다시 교차하며, 만세삼거리에서 국도 제37호선 (신영일로) 및 영일로와 교차한다. 양문 교차로에서 국도 제37호선 (동서로)과 분기한다. 이 도로는 한국 전쟁 당시 대한민국 국군과 UN군이 후퇴하면서 북한군과 중공군에 맞서 방어선을 구축하고 치열한 전투를 벌였던 곳으로, 국가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10] 특히, 포천시 구간은 1980년대 초반 국도 제43호선으로 지정되어 관리되면서, 도로명에 '호국'이라는 명칭이 부여되어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포천시는 매년 6월 호국로 일대에서 6.25 전쟁을 기념하는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4. 1. 1. 고양시 덕양구

행주대교, 행주 분기점, 능곡육교, 토당 교차로, 명지병원앞 교차로

4. 1. 2. 양주시

장흥 교차로, 송추삼거리, 울대 교차로

4. 1. 3. 의정부시

경민광장 교차로, 흥선광장 교차로, 의정부중앙역, 버스터미널 교차로, 금신 교차로가 있다.

4. 1. 4. 포천시



경기도 포천시 구간은 축석고개에서 시작하여 소흘 나들목, 부인터사거리, 하송우사거리, 장승거리사거리 (선단 나들목), 군내사거리, 한내사거리, 신북 나들목, 만세삼거리, 양문 교차로를 지난다. 이 도로는 한국 전쟁 당시 대한민국 국군과 UN군이 후퇴하면서 북한군과 중공군에 맞서 방어선을 구축하고 치열한 전투를 벌였던 곳으로, 국가 안보에 중요한 역할을 한 역사적 의미를 지닌다. 특히, 포천시 구간은 1980년대 초반 국도 제43호선으로 지정되어 관리되면서, 도로명에 '호국'이라는 명칭이 부여되어 그 의미를 더하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포천시는 매년 6월 호국로 일대에서 6.25 전쟁을 기념하는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4. 2. 강원특별자치도 구간

연봉제삼거리에서 명성로와 교차한다. 지포교를 건너 군탄사거리에 이르면 갈말로, 명성로와 교차하며, 문혜삼거리에서는 두루미로와 교차한다. 문혜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463호선 (태봉로)과 교차하고, 지경 교차로에서는 지방도 제464호선(청양로)과 교차한다. 연동 교차로에서는 연동길과, 청양 교차로에서는 청양로와 교차하며, 청하 교차로에서는 청하골길과 교차한다. 김화농공단지를 지나 만경 교차로에서 청양로와 다시 교차하며, 김화읍내 김화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47호선(김화로)과 교차하고, 학사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43호선(생창길)과 교차한다. 화강교를 건너 서면에 이르면, 신벌 교차로에서 신벌로와 교차한다. 근남면의 사곡 교차로에서는 금강로와, 신사곡 교차로에서는 국도 제56호선(하오재로)과 교차하고, 용암삼거리에서 국도 제5호선(영서로)과 교차하며 끝난다.[10]

4. 2. 1. 철원군

지포교, 군탄사거리, 문혜 교차로, 지경 교차로, 김화 교차로, 학사 교차로, 사곡 교차로, 신사곡 교차로가 있다.

5. 주요 건물 및 시설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구간에는 주교동우체국(호국로 793), 성사고등학교(호국로 869), 고양시생활체육공원, 고양국민체육센터(호국로 876), 성사중학교(호국로 887), 원신동행정복지센터(호국로 1261)가 있다.

양주시 장흥면 구간에는 양주장흥우체국(호국로 168), 장흥파출소(호국로 179), 온릉(호국로 255-41), 송추초등학교(호국로 499)가 있다.

의정부시 구간에는 가능지구대(호국로 1171), 흥선역(호국로 1197), 의정부경찰서(호국로 1265), 의정부중앙초등학교(호국로 1287), 의정부중앙역(호국로 1305), 의정부1동우체국(호국로 1318)이 있다.

포천시 구간에는 소흘읍의 소흘읍사무소, 소흘보건지소(호국로 567), 이마트 포천점(호국로 915), 롯데슈퍼 포천점(호국로 959), 대진대학교(호국로 1007), 개성인삼농협 본점(호국로 1423)이 있다. 군내면에는 포천종합운동장, 포천종합체육관(호국로 1518), 포천교육지원청(호국로 1520), 한국국토정보공사 포천시지사(호국로 1521), 포천경찰서(호국로 1570)가 있다. 신북면에는 신북파출소(호국로 2059), 신북면행정복지센터, 신북면보건지소(호국로 2065), 신북119지역대(호국로 2066)가 있다. 영중면에는 미륵박물관(호국로 2546), 영중초등학교(호국로 3054)가 있으며, 영북면에는 야미리보건진료소(호국로 3541)가 위치한다.

5. 1. 경기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구간에는 주교동우체국(호국로 793), 성사고등학교(호국로 869), 고양시생활체육공원, 고양국민체육센터(호국로 876), 성사중학교(호국로 887), 원신동행정복지센터(호국로 1261)가 있다.

양주시 장흥면 구간에는 양주장흥우체국(호국로 168), 장흥파출소(호국로 179), 온릉(호국로 255-41), 송추초등학교(호국로 499)가 있다.

의정부시 구간에는 가능지구대(호국로 1171), 흥선역(호국로 1197), 의정부경찰서(호국로 1265), 의정부중앙초등학교(호국로 1287), 의정부중앙역(호국로 1305), 의정부1동우체국(호국로 1318)이 있다.

포천시 구간에는 소흘읍의 소흘읍사무소, 소흘보건지소(호국로 567), 이마트 포천점(호국로 915), 롯데슈퍼 포천점(호국로 959), 대진대학교(호국로 1007), 개성인삼농협 본점(호국로 1423)이 있다. 군내면에는 포천종합운동장, 포천종합체육관(호국로 1518), 포천교육지원청(호국로 1520), 한국국토정보공사 포천시지사(호국로 1521), 포천경찰서(호국로 1570)가 있다. 신북면에는 신북파출소(호국로 2059), 신북면행정복지센터, 신북면보건지소(호국로 2065), 신북119지역대(호국로 2066)가 있다. 영중면에는 미륵박물관(호국로 2546), 영중초등학교(호국로 3054)가 있으며, 영북면에는 야미리보건진료소(호국로 3541)가 위치한다.

6. 과거 도로명

본래 이 도로의 전 구간이 호국로였던 것은 아니었으며 도로명주소 시행 전 구간마다 불렸던 명칭은 다음과 같다.


  • 덕양대로 (양주시계 - 토당고가)
  • 행주대로 (덕양대로 - 행주 나들목)
  • 송추길 (양주시계 - 경민광장)
  • 충정로 (경민광장 - 금신 교차로)
  • 축석길 (금신 교차로 - 축석 검문소사거리)
  • 호국로 (축석 검문소사거리 - 용암삼거리)

참조

[1] 웹사이트 https://gall.dcinsid[...]
[2]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6-6호 http://theme.archive[...] 1996-01-18
[3]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6-96호 http://theme.archive[...] 1996-11-18
[4]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7-128호 http://theme.archive[...] 1997-06-30
[5]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1999-302호 http://theme.archive[...] 1999-12-04
[6] 간행물 서울지방국토관리청공고 제2001-9호 http://gwanbo.mois.g[...] 2001-01-16
[7]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5-57호 http://www.provin.ga[...] 2005-08-12
[8] 간행물 원주지방국토관리청 공고 제2007-1호 http://www.provin.ga[...] 2007-01-19
[9] 간행물 행정안전부고시 제2009-30호 http://gwanbo.mois.g[...] 2009-07-10
[10] 문서 교차로와 나들목뿐만 아니라 인근 지역의 건물 및 시설 등도 포함
[11] 간행물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20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