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호흐실트 호몰로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흐실트 호몰로지는 가환환 K, K-결합 대수 A, 그리고 (A, K, A)-쌍가군 M에 대해 정의되는 호몰로지 이론이다. Ext 함자 또는 Tor 함자를 사용하여 추상적으로 정의되거나, 호흐실트 (공)사슬 복합체를 통해 구체적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단체 대상의 이론을 통해서도 정의될 수 있다. 호흐실트 호몰로지는 K-가군이며, 함자적 성질을 갖는다. 가환 대수의 경우 0차 호흐실트 호몰로지는 M, 1차 호흐실트 호몰로지는 켈러 미분의 가군과 관련되며, 호흐실트-코스탄트-로젠버그 정리를 통해 매끄러운 대수에 대한 동형 사상을 제공한다. 특성 p인 경우 위상적 호흐실트 호몰로지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며, 스펙트럼 범주에서 정의되는 위상적 호흐실트 호몰로지(THH)는 호흐실트 호몰로지의 일반화이다. 호흐실트 호몰로지는 1945년 게르하르트 호흐실트에 의해 처음 도입되었다.

2. 정의

호흐실트 (코)호몰로지는 가환환결합 대수에 대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정의될 수 있다.


  • Ext 함자 (또는 Tor 함자)의 특수한 경우로 추상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 '''호흐실트 (공)사슬 복합체'''(Hochschild (co)chain complex영어)라는 (공)사슬 복합체의 (코)호몰로지로 구체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 단체 대상의 이론을 통해 정의될 수 있다.

2. 1. 추상적 정의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A의 '''포락 대수'''(包絡代數, enveloping algebra영어)

:A^{\operatorname{e}}=A\otimes_KA^{\operatorname{op}}

를 정의할 수 있다. 이는 K-결합 대수이며, MA^{\operatorname{e}}-왼쪽 가군을 이룬다. 마찬가지로, AA^{\operatorname{e}}의 왼쪽 가군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a\otimes_K b^{\operatorname{op}})\cdot m=a\cdot m\cdot b\qquad\forall a,b\in A,m\in M

:(a\otimes_K b^{\operatorname{op}})\cdot c=a\cdot c\cdot b\qquad\forall a,b,c\in A

이다.

AM계수의 '''호흐실트 호몰로지 군''' \operatorname{HH}_n(A;M) 및 '''호흐실트 코호몰로지 군''' \operatorname{HH}^n(A;M)은 다음과 같이 Ext 함자Tor 함자로 정의된다.

:\operatorname{HH}_n(A;M)=\operatorname{Tor}_n^{A^{\operatorname{e}}}(A,M)

:\operatorname{HH}^n(A;M)=\operatorname{Ext}^n_{A^{\operatorname{e}}}(A,M)

k로, A를 결합적 k-대수, MA-쌍가군이라고 하자. A의 포락 대수는 A와 반대 대수의 텐서 곱 A^e=A\otimes A^o이다. A 위의 쌍가군은 본질적으로 A의 포락 대수 위의 모듈과 동일하므로, 특히 AMA^e-모듈로 간주될 수 있다. 카르탕과 에일렌베르크는 Tor 함자Ext 함자를 사용하여 M을 계수로 하는 A의 호흐실트 호몰로지 및 코호몰로지 군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 HH_n(A,M) = \operatorname{Tor}_n^{A^e}(A, M)

: HH^n(A,M) = \operatorname{Ext}^n_{A^e}(A, M)

2. 2. 구체적 정의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호흐실트 (코)호몰로지는 '''호흐실트 (공)사슬 복합체'''(Hochschild (co)chain complex영어)라는 (공)사슬 복합체의 (코)호몰로지로 정의될 수 있다.[4]

특히, K 위의 결합 대수 A(A,K,A)-쌍가군 M이 주어졌다면, 다음과 같은 '''호흐실트 단체 가군'''(Hochschild simplicial module영어) C_\bullet(A;M)을 정의할 수 있다.

:C_n(A;M) = M\otimes_K A^{\otimes_Kn}

:\partial_{n,i} \colon C_n (A;M)\to C_{n+1}(A;M)

:\partial_{n,i}\colon m\otimes_Ka_1\otimes_K\dotsb\otimes_Ka_n\mapsto

\begin{cases}

(ma_1)\otimes_K\dotsb\otimes_Ka_n&i=0\\

m\otimes_Ka_1\otimes_K\dotsb\otimes_Ka_{i-1}\otimes_Ka_ia_{i+1}\otimes_Ka_{i+2}\otimes_K\cdots\otimes_Ka_n&0
a_nm\otimes_Ka_1\otimes_K\dotsb\otimes_Ka_{n-1}&i=n

\end{cases}

:s_{n,i} \colon C_n (A;M)\to C_{n-1}(A;M)

:s_{n,i}\colon a_0\otimes_K \dotsb \otimes_K a_n\mapsto

m\otimes_K a_1\otimes_K\dotsb\otimes_K a_i\otimes_K 1\otimes_K a_{i+1}\otimes_K a_n



결합 대수 AM계수 '''호흐실트 호몰로지'''란 그 호흐실트 단체 가군의 호흐실트 호몰로지를 말한다.

C_\bullet(A;M)사슬 복합체로서

:M\otimes_{A^{\operatorname{e}}}\operatorname{Bar}_\bullet(A,A,A)

의 꼴이다. 여기서 \operatorname{Bar}_\bullet(A,A,A)A막대 복합체이다. 이를 쌍대화하여 공사슬 복합체

:C^\bullet(A;M) = \hom_{A^{\operatorname{e}}}(\operatorname{Bar}_\bullet(A,A,A), M)

를 정의할 수 있으며, AM^\vee계수 '''호흐실트 코호몰로지'''란 이 공사슬 복합체의 코호몰로지이다.

''k''를 환, ''A''를 투영 ''k''-가군인 결합적 ''k''-대수로 하고, ''M''을 ''A''-쌍가군이라고 하자. A^{\otimes n}을 ''k'' 위에서 ''A''의 ''n''겹 텐서 곱으로 표기한다. 호흐실트 호몰로지를 생성하는 사슬 복합체는 다음과 같다.

: C_n(A,M) := M \otimes A^{\otimes n}

경계 연산자 d_i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begin{align}

d_0(m\otimes a_1 \otimes \cdots \otimes a_n) &= ma_1 \otimes a_2 \cdots \otimes a_n \\

d_i(m\otimes a_1 \otimes \cdots \otimes a_n) &= m\otimes a_1 \otimes \cdots \otimes a_i a_{i+1} \otimes \cdots \otimes a_n \\

d_n(m\otimes a_1 \otimes \cdots \otimes a_n) &= a_n m\otimes a_1 \otimes \cdots \otimes a_{n-1}

\end{align}

여기서 a_i는 모든 1\le i\le n에 대해 ''A''에 속하고 m\in M이다. 만약

: b_n=\sum_{i=0}^n (-1)^i d_i,

라고 하면 b_{n-1} \circ b_{n} =0이므로, (C_n(A,M),b_n)은 '''호흐실트 복합체'''라고 불리는 사슬 복합체이며, 그 호몰로지는 ''M''을 계수로 하는 ''A''의 '''호흐실트 호몰로지'''이다. 이후부터는 b_n을 간단히 b로 표기한다.

사상 d_i는 면 사상이며, (C_n(A,M),b)의 모듈 족을 ''k''-모듈 범주에서 단순 객체로 만든다. 즉, Δ는 단순 범주이고 ''k''-mod는 ''k''-모듈의 범주일 때, 함자 Δo → ''k''-mod이다. 여기서 Δo는 Δ의 쌍대 범주이다. 퇴화 사상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s_i(a_0 \otimes \cdots \otimes a_n) = a_0 \otimes \cdots \otimes a_i \otimes 1 \otimes a_{i+1} \otimes \cdots \otimes a_n.

호흐실트 호몰로지는 이 단순 모듈의 호몰로지이다.

2. 3. 위상수학적 정의

가환환 K에 대하여, \operatorname{Mod}_K 속의 단체 대상 X \colon \triangle^{\operatorname{op}} \to \operatorname{Mod}_K가 주어졌다고 하자. 여기서 \triangle단체 범주이다. 단체 가군의 범주 \hom(\triangle^{\operatorname{op}},\operatorname{Mod}_K)아벨 범주이므로 그 속에서 Ext 함자를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단체 가군의 텐서곱을 정의할 수 있으며, 그 유도 함자로서 Tor 함자를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X의 '''호흐실트 호몰로지'''와 '''호흐실트 코호몰로지'''는 각각 다음과 같다.[4]

:\operatorname{HH}_n(X)=\operatorname{Tor}_n^{\hom(\triangle^{\operatorname{op}},\operatorname{Mod}_K)}(K_\bullet,X)

:\operatorname{HH}^n(X)=\operatorname{Ext}^n_{\hom(\triangle^{\operatorname{op}},\operatorname{Mod}_K)}(X,K_\bullet)

여기서 K_\bullet는 모든 성분이 1차원 자유 가군 K이며, s_n^id_n^i 모두가 항등 함수인 자명한 단체 대상이다.

만약 A=M이라면, 호흐실트 단체 가군 C_n(A;A)는 추가로 순환 대상을 이룬다. 이 경우, 단체 가군의 범주 대신 순환 가군의 범주 \hom(\triangle_{\operatorname{Cyc}}^{\operatorname{op}},\operatorname{Mod}_K)에서 Tor 함자Ext 함자를 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순환 (코)호몰로지를 얻는다.[4]

단순 원 S^1는 유한 점 집합의 범주 \operatorname{Fin}_*에서 단순 대상, 즉 함자 \Delta^o \to \operatorname{Fin}_*이다. 따라서, ''F''가 함자 F\colon \operatorname{Fin} \to k-\mathrm{mod}라면, ''F''와 S^1을 합성하여 단순 가군을 얻는다.

: \Delta^o \overset{S^1}{\longrightarrow} \operatorname{Fin}_* \overset{F}{\longrightarrow} k\text{-mod}.

이 단순 가군의 호몰로지는 '''함자 호흐실트 호몰로지''' ''F''이다. 가환 대수의 호흐실트 호몰로지에 대한 위의 정의는 ''F''가 '''로데이 함자'''일 때의 특수한 경우이다.

유한 점 집합 범주의 골격은 다음과 같은 대상들로 주어진다.

: n_+ = \{0,1,\ldots,n\},

여기서 0은 밑점이고, 사상은 밑점을 보존하는 집합 사상이다. ''A''를 가환 k-대수, ''M''을 대칭 ''A''-쌍가군이라고 하자. Loday 함자 L(A,M)\operatorname{Fin}_*의 대상에 대해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n_+ \mapsto M \otimes A^{\otimes n}.

사상

:f:m_+ \to n_+

은 다음과 같이 주어지는 사상 f_*로 보내진다.

: f_*(a_0 \otimes \cdots \otimes a_m) = b_0 \otimes \cdots \otimes b_n

여기서

:\forall j \in \{0, \ldots, n \}: \qquad b_j =

\begin{cases}

\prod_{i \in f^{-1}(j)} a_i & f^{-1}(j) \neq \emptyset\\

1 & f^{-1}(j) =\emptyset

\end{cases}

가환 대수 ''A''의 대칭 ''A''-쌍가군 ''M''을 계수로 하는 호흐실트 호몰로지는 다음과 같은 합성으로 정의되는 호몰로지이다.

:\Delta^o \overset{S^1}{\longrightarrow} \operatorname{Fin}_* \overset{\mathcal{L}(A,M)}{\longrightarrow} k\text{-mod}

3. 성질

가환환 K 위의 결합 대수 A(A,K,A)-쌍가군 M에 대하여, 호흐실트 호몰로지 \operatorname{HH}^n(A;M) 및 호흐실트 코호몰로지 \operatorname{HH}^n(A;M)K-가군이며, 사실 \operatorname Z(A)-가군을 이룬다.[4]

임의의 가환환 K 위의 (항등원을 갖는) 결합 대수의 범주 \operatorname{Alg}_K와, K-결합 대수 A가 주어졌을 때 (A,K,A)-쌍가군의 범주 _A\operatorname{Mod}_A를 생각하자.

그렇다면, 호흐실트 (코)호몰로지는 다음과 같은 함자를 정의한다.[4]

:\operatorname{HH}_n \colon {}_A\operatorname{Mod}_A \to \operatorname{Mod}_{\operatorname Z(A)}

:\operatorname{HH}^n \colon {}_A\operatorname{Mod}_A \to \operatorname{Mod}_{\operatorname Z(A)}

또한, 임의의 K-결합 대수 준동형

:\phi\colon B\to A

(A,K,A)-쌍가군 M에 대하여, \phi^*M(B,K,B)-쌍가군을 이루며, 이는 호흐실트 호몰로지의 사상[4]

:\phi_*\colon \operatorname{HH}^\bullet(B;\phi^*M) \to \operatorname{HH}_n(A;M)

및 호흐실트 코호몰로지의 사상[4]

:\phi^*\colon \operatorname{HH}^\bullet(A;M) \to \operatorname{HH}^n(B;\phi^*M)

을 유도한다.

특히, 만약 M=A일 때, 이는 K-결합 대수의 범주(의 반대 범주)에서 K-가군의 범주로 가는 함자

:\operatorname{HH}_n(-)\colon \operatorname{Alg}_K \to\operatorname{Mod}_K

:\operatorname{HH}^n(-)\colon \operatorname{Alg}_K^{\operatorname{op}} \to\operatorname{Mod}_K

를 정의한다.

4. 예

가환환 K 위의 결합 대수 A(A,K,A)-쌍가군 M이 주어졌을 때, 0차 및 1차 호흐실트 (코)호몰로지는 각각 환의 중심, 외부 미분과 관련된다.[4]

0차 호흐실트 호몰로지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operatorname{HH}_0(A;M) = \frac M{[M,A]}

0차 호흐실트 코호몰로지는 다음과 같이 정의되며, 이는 환의 중심 개념의 일반화이다.

:\operatorname{HH}^0(A;M) = \{m\in M\colon am=ma\qquad\forall a\in A\}

1차 호흐실트 코호몰로지는 미분의 공간을 내부 미분으로 나눈 몫, 즉 외부 미분의 공간으로 생각할 수 있다.[4]

4. 1. 가환 대수

가환환 K 위의 가환 결합 대수 AA-가군 M에 대하여, 처음 두 개의 호흐실트 호몰로지는 다음과 같다.[5][4]

:\operatorname{HH}_0(A;M)\cong M

:\operatorname{HH}_1(A;M)\cong M\otimes_A\Omega_{A/K}

여기서 \Omega_{A/K}켈러 미분의 가군이다.

즉, 1차 호흐실트 호몰로지는 1차 미분 형식에 대응한다. 비가환 기하학에서는 이를 사용하여 비가환 공간 위의 미분 형식을 정의한다.

가환 대수 A/k의 경우, \mathbb{Q}\subseteq k이고, 호흐실트 호몰로지는 매끄러운 대수에 관한 두 가지 주요 정리와 더 일반적인 비평탄 대수 A에 관한 정리를 갖는다. 그러나 두 번째 정리는 첫 번째 정리의 직접적인 일반화이다. 매끄러운 경우, 즉 매끄러운 대수 A에 대해, '''호흐실트-코스탄트-로젠버그 정리'''[2]는 모든 n \geq 0에 대해 동형 사상 \Omega^n_{A/k} \cong HH_n(A/k)이 존재한다고 명시한다. 이 동형 사상은 반대칭화 사상을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즉, 미분 n-형식은 사상a\,db_1\wedge \cdots \wedge db_n \mapsto

\sum_{\sigma \in S_n}\operatorname{sign}(\sigma)

a\otimes b_{\sigma(1)}\otimes \cdots \otimes b_{\sigma(n)}.을 갖는다.

대수 A/k가 매끄럽지 않거나 심지어 평탄하지 않은 경우에도, 코탄젠트 복소수를 사용하는 유사한 정리가 있다. 단순 분해 P_\bullet \to A에 대해 \mathbb{L}^i_{A/k} = \Omega^i_{P_\bullet/k}\otimes_{P_\bullet} A로 설정한다. 그러면, HH_n(A/k)에 하강하는 \mathbb{N}-여과 F_\bullet가 존재하며, 이의 등급 조각은 \frac{F_i}{F_{i+1}} \cong \mathbb{L}^i_{A/k}[+i].와 동형이다.

이 정리는 매끄러운 대수뿐만 아니라 국소 완전 교차 대수의 호흐실트 호몰로지를 계산하는 데 접근 가능하게 만든다. 이 경우, R = k[x_1,\dotsc,x_n]에 대한 표현 A = R/I가 주어지면, 코탄젠트 복소수는 두 항 복소수 I/I^2 \to \Omega^1_{R/k}\otimes_k A이다.

4. 2. 다항식환

복소수 계수 다항식환 \mathbb C[\vec x] (\vec x\in\mathbb C^k)의 호흐실트 호몰로지는 다음과 같다.

:\operatorname{HH}_n(\mathbb C[\vec x];\mathbb C[\vec x])=\mathbb C[\vec x]\otimes_{\mathbb C}\Lambda^n(\mathbb C^k)

여기서 \Lambda^n(-)외대수이다. 구체적으로, n차 호흐실트 사슬은 다음과 같은 꼴이다.

:C_n(\mathbb C[\vec x])=\mathbb C[\vec x_0,\vec x_1,\dotsc,\vec x_n]

호흐실트 사슬에 대응하는 호몰로지 동치류는 다음과 같다.

:p(\vec x_0,\dotsc,\vec x_n)\mapsto\sum_{i_1=1}^k\sum_{i_2=1}^k\dotsi\sum_{i_n=1}^k\left.\frac\partial{\partial(x_1)^{i_1}}\frac\partial{\partial(x_2)^{i_2}}\dotsm\frac\partial{\partial(x_n)^{i_n}}p\right|_{\vec x_0=\vec x_1=\vec x_2=\dotsb=\vec x_n=\vec x}\mathrm d(x_1)^{i_1}\wedge\mathrm d(x_2)^{i_2}\wedge\dotsb\wedge\mathrm d(x_n)^{i_n}

간단한 예시로, \mathbb{Q} 상의 n개의 생성원을 갖는 다항식 환의 호흐실트 호몰로지를 계산하는 것이 있다. HKR 정리는 다음과 같은 동형사상을 제공한다.

:HH_*(\mathbb{Q}[x_1,\ldots, x_n]) = \mathbb{Q}[x_1,\ldots, x_n]\otimes \Lambda(dx_1,\dotsc, dx_n)

여기서 대수 \bigwedge(dx_1,\ldots, dx_n)\mathbb{Q} 상의 n개의 생성원을 갖는 자유 반대칭 대수이다. 곱 구조는 벡터의 쐐기곱에 의해 주어진다. 따라서 i \neq j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begin{align}

dx_i\cdot dx_j &= -dx_j\cdot dx_i \\

dx_i\cdot dx_i &= 0

\end{align}

4. 3. 특성 p인 경우

특성 p인 가환 대수의 경우, 호흐실트-코스탄트-로젠버그 정리에 대한 반례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mathbb{Z}-대수 \mathbb{F}_p를 생각해보자.[3]

\mathbb{F}_p의 해상도를 자유 미분 등급 대수

\mathbb{Z}\xrightarrow{\cdot p} \mathbb{Z}

로 계산할 수 있다. 이는 유도된 교차 \mathbb{F}_p\otimes^\mathbf{L}_\mathbb{Z}\mathbb{F}_p \cong \mathbb{F}_p[\varepsilon]/(\varepsilon^2)를 주며, 여기서 \text{deg}(\varepsilon) = 1이고 미분은 0이다.

호흐실트 복소수는 다음과 같다.

\mathbb{F}_p\otimes^\mathbb{L}_{\mathbb{F}_p\otimes^\mathbb{L}_\mathbb{Z} \mathbb{F}_p}\mathbb{F}_p

이를 계산하기 위해 대수 구조

\mathbb{F}_p[\varepsilon]/(\varepsilon^2) \to \mathbb{F}_p

에서 \varepsilon \mapsto 0을 강제하여 복소수의 차수 0 항을 구한다. 이후 커널 \varepsilon \cdot \mathbb{F}_p\otimes^\mathbf{L}_\mathbb{Z}\mathbb{F}_p를 해상하여 분할 거듭제곱 대수의 기본 모듈을 얻는다.

(\mathbb{F}_p\otimes^\mathbf{L}_\mathbb{Z}\mathbb{F}_p)\langle x \rangle =

\frac{

(\mathbb{F}_p\otimes^\mathbf{L}_\mathbb{Z}\mathbb{F}_p)[x_1,x_2,\ldots]

}{x_ix_j = \binom{i+j}{i}x_{i+j}}

여기서 dx_i = \varepsilon\cdot x_{i-1}이고 x_i의 차수는 2i이다. 이 대수를 \mathbb{F}_p\otimes^\mathbf{L}_\mathbb{Z}\mathbb{F}_p 위에서 \mathbb{F}_p로 텐서 곱하면 다음을 얻는다.

HH_*(\mathbb{F}_p) = \mathbb{F}_p\langle x \rangle

이는 \varepsilon\mathbb{F}_p의 모든 원소와 곱해지면 0이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계산은 기술적인 인공물로 간주되는데, 링 \mathbb{F}_p\langle x \rangle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기 때문이다 (예: x^p = 0).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구 스펙트럼 \mathbb{S}로 기본 링 \mathbb{Z}를 대체하는 위상적 호흐실트 호몰로지를 사용하기도 한다.[3]

5. 위상수학적 호흐실트 호몰로지

스펙트럼 범주에서 정의되는 호흐실트 호몰로지의 일반화를 '''위상적 호흐실트 호몰로지'''라고 하며, THH(R)로 표시된다. 호흐실트 복합체는 (복소수) '''k''' 모듈 범주를 ∞-범주 \mathcal{C}로 대체하고, '''A'''를 이 범주 내의 결합 대수로 대체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을 스펙트럼의 범주 \mathcal{C}=\textbf{Spectra}에 적용하고, '''''A'''''를 일반 링 R과 관련된 아이렌버그-맥레인 스펙트럼으로 설정하면 위상적 호흐실트 호몰로지가 생성된다.

구면 스펙트럼에 대한 텐서 곱을 \Z (또는 아이렌버그-맥레인 스펙트럼 H\Z)에 대한 텐서 곱으로 대체하면 자연스러운 비교 사상 THH(R) \to HH(R)이 발생한다. 이 사상은 차수 0, 1, 2에서 호모토피 군에 대한 동형 사상을 유도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들은 다르며 '''THH'''는 HH보다 더 간단한 군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한 변수의 분할된 거듭제곱 링과 비교하여 (차수 2의 ''x''를 갖는) 다항식 링은 다음과 같다.

:THH(\mathbb{F}_p) = \mathbb{F}_p[x],

:HH(\mathbb{F}_p) = \mathbb{F}_p\langle x \rangle

Lars Hesselholt(2016)은 \mathbb{F}_p 위의 매끄러운 고유 다양체의 하세-바일 제타 함수를 위상적 호흐실트 호몰로지와 관련된 정규화된 행렬식을 사용하여 표현할 수 있음을 보였다.

6. 역사

게르하르트 호흐실트가 1945년에 위의 결합 대수에 대하여 도입하였다.[6] 이후 앙리 카르탕사무엘 에일렌베르크가 일반적인 가환환 위의 결합 대수에 대하여 정의하였다.[7]

참조

[1] 웹사이트 Topological Hochschild homology in arithmetic geometry https://www.math.ari[...]
[2] 논문 Lectures on Noncommutative Geometry 2005-06-29
[3] 웹사이트 Section 23.6 (09PF): Tate resolutions—The Stacks project https://stacks.math.[...] 2020-12-31
[4] 서적 Cyclic homology Springer-Verlag 1998
[5] 서적 An introduction to homological algebra http://www.math.rutg[...]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6] 간행물 On the cohomology groups of an associative algebra
[7] 서적 Homological algebra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