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홀리루드 사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홀리루드 사원은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 위치한 사원으로, "성스러운 십자가"를 의미하는 이름은 데이비드 1세가 사냥 중 십자가가 빛나는 수사슴에게 목숨을 구원받은 데서 유래했다는 전설에 기인한다. 1128년 데이비드 1세가 수도원을 세운 이래, 대관식, 결혼식, 왕족의 매장 등 왕실과 깊은 관련을 맺어왔다. 15세기 이후 왕실 숙소로 사용되면서 홀리루드 궁전이 건설되었고, 종교 개혁과 명예 혁명을 거치며 훼손되었다. 18세기에는 지붕 붕괴로 폐허가 되었으며, 현재는 일부 복원 시도에도 불구하고 폐허로 남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든버러의 관광지 - 홀리루드 궁전
    홀리루드 궁전은 12세기 홀리루드 수도원 부지에 세워진 15세기 스코틀랜드 왕실 거처로, 16~17세기를 거쳐 재건축되었으며 현재는 영국 군주의 공식 스코틀랜드 거주지이자 역사적, 문화적 유산으로서 일반에 공개된다.
  • 에든버러의 관광지 - 에든버러 왕립식물원
    에든버러 왕립식물원은 1670년에 설립된 영국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식물원으로, 3백만 점 이상의 식물 표본을 소장하고 생물 다양성 보존에 기여하며, 식물학 연구 및 교육,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 에든버러의 건축물 - 홀리루드 궁전
    홀리루드 궁전은 12세기 홀리루드 수도원 부지에 세워진 15세기 스코틀랜드 왕실 거처로, 16~17세기를 거쳐 재건축되었으며 현재는 영국 군주의 공식 스코틀랜드 거주지이자 역사적, 문화적 유산으로서 일반에 공개된다.
  • 에든버러의 건축물 - 에든버러 왕립식물원
    에든버러 왕립식물원은 1670년에 설립된 영국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식물원으로, 3백만 점 이상의 식물 표본을 소장하고 생물 다양성 보존에 기여하며, 식물학 연구 및 교육, 휴식 공간을 제공한다.
홀리루드 사원
기본 정보
홀리루드 사원 교회
홀리루드 사원 교회
국가스코틀랜드
위치에든버러
종교스코틀랜드 교회
역사
건설 시작1128년
창립자데이비드 1세
봉헌1128년
스타일고딕 건축
상태폐허
폐쇄1560년 (종교 개혁)
파괴1688년
건축
높이29m

2. 명칭의 유래

'홀리루드(Holyrood)'는 '성스러운 십자가(Holy Cross)'를 의미한다. 루드는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힌 십자가를 뜻하는 옛말이다. 따라서 홀리루드라는 이름은 "성스러운 십자가"와 같다.[1]

데이비드 1세가 숲에서 사냥을 하던 중 어려움에 처했을 때, 뿔 사이에 빛나는 십자가를 가진 수사슴으로부터 목숨을 구원받았다는 전설이 있어, 그 자리에 교회를 기증했다고 한다.

2. 1. 어원

'홀리루드(Holyrood)'는 '성스러운 십자가(Holy Cross)'를 의미한다. 루드는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힌 십자가를 뜻하는 옛말이다. 따라서 홀리루드라는 이름은 "성스러운 십자가"와 같다.[1]

데이비드 1세가 숲에서 사냥을 하던 중 어려움에 처했을 때, 뿔 사이에 빛나는 십자가를 가진 수사슴으로부터 목숨을 구원받았다는 전설이 있어, 그 자리에 교회를 기증했다고 한다.

2. 2. 설립 전설

1127년, 데이비드 1세는 에든버러 인근 숲으로 사냥을 나갔다가 수사슴 뿔에 위협을 받았다. 상 스트라스클라이드의 크로퍼드 가문 출신인 조한즈와 그레간 형제가 왕을 구출했고,[1] 왕은 감사의 표시로 형제를 기사로 임명하고 같은 해 홀리루드 사원을 세웠다.[1] 그 일화에서 비롯하여, 이후 크로퍼드 가문의 분가는 사원 창설을 기념하여 금 십자가를 뿔 사이에 둔 수사슴 문장을 채택했다.[1] 이 가문은 'Tutum Te Robore Reddam'(우리의 힘은 당신을 구하기 위해 있다)을 모토로 사용했다.[1]

3. 역사

upright


에든버러 로열 마일의 홀리루드 수도원 성역 표시


홀리루드 사원은 12세기 초 설립 이후 스코틀랜드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스코틀랜드 역사의 중요한 장소였다. 여러 차례의 외침과 종교 개혁, 그리고 18세기 붕괴를 거치면서 현재는 폐허로 남아있다.

성 마가렛이 월섬 수도원에서 가져온 진정한 십자가의 파편은 금색 성유물함에 보관되어 있었으며, 스코틀랜드의 검은 십자가(홀리루드(십자가))로 알려지게 되었다. 1346년 네빌스 크로스 전투에서 이 성유물은 잉글랜드군에게 빼앗겨 더럼 대성당에 보관되었고, 종교 개혁 때 사라졌다.[4]

4세기 동안 홀리루드의 주요 후원자는 데이비드 1세, 데이비드 2세, 세인트 앤드루스 주교 로버트, 갤러웨이 영주 퍼거스였다.[4]

15세기부터 이 사원에서 많은 대관식과 결혼식이 거행되었으나, 여러 차례 탄압과 약탈도 겪었다. 잉글랜드 왕 헨리 8세와 에드워드 시모어의 '난폭한 구혼'(아직 어린 메리 1세와 헨리 8세의 적자 에드워드의 결혼으로 스코틀랜드 왕위를 얻으려 한 사건) 전쟁 중, 1544년에 하트퍼드 백작이 사원을 약탈했고, 호국경 서머싯 공작이 건물에 손상을 입혔다.

제임스 7세(잉글랜드 왕으로서는 제임스 2세)는 홀리루드 궁전에 예수회 대학을 짓고, 1688년 5월에 사원을 로마 가톨릭교회 교회당으로 만들었다. 개신교 신도들은 새로운 캐논게이트 교회를 설립했다. 같은 해 11월, 오라녜 공 빌렘(윌리엄 3세로 즉위)의 명예 혁명으로 에든버러 시민들은 교회와 왕실 납골당을 약탈했다. 1758년 사원 지붕 복구 활동이 이루어졌지만, 1768년 큰 폭풍으로 지붕이 피해를 입어 현재까지 폐허로 남아 있다.

3. 1. 초기 역사 (12세기 ~ 15세기)

1128년, 데이비드 1세가 어거스틴회 수도원으로 홀리루드 사원을 설립했다.[3] 전설에 따르면, 데이비드 1세는 사냥 중 수사슴에게 공격받을 뻔했으나, 하늘에서 내려온 성스러운 십자가의 기적, 혹은 수사슴의 뿔 사이에 나타난 십자가에서 반사된 햇빛 덕분에 목숨을 구했다고 한다. 그는 이 사건에 감사하며 수도원을 세웠다.[3]

1177년에는 교황 특사 비비안이 이곳에서 회의를 열었다.[3] 1189년에는 스코틀랜드 귀족들과 고위 성직자들이 사자왕 윌리엄의 몸값을 모금하기 위해 이곳에 모였다.[3]

1195년에서 1230년 사이에 수도원 교회는 대대적으로 재건되었다.[3] 완성된 건물은 6개의 베이로 이루어진 복도 성가대, 중앙 탑이 있는 3개의 베이 트란셉트, 서쪽 전면에 쌍둥이 탑이 있는 8개의 베이 복도 본당으로 구성되었다.[6]

4번째 만의 통로 아치




14세기 동안 수도원은 왕실의 주요 후원을 받으며 성장했다. 4세기 동안 홀리루드의 주요 후원자로는 데이비드 1세와 2세 왕, 세인트 앤드루스 주교 로버트, 갤러웨이 영주 퍼거스가 있었다.[4] 수도원 주변에는 홀리루드 공원의 상당 부분을 포함하는 5마일 구역의 성역이 있었는데, 채무자 및 범죄 혐의자들은 홀리루드하우스의 재판관에게 보호를 요청할 수 있었다. 청동 성역석은 로열 마일의 성역 경계를 표시한다.[7]

스코틀랜드 의회는 1256년, 1285년, 1327년, 1366년, 1384년, 1389년 및 1410년에 수도원에서 열렸다. 1326년, 로버트 1세가 이곳에서 의회를 열었고, 1329년부터 홀리루드가 왕실 거처로 사용되었다는 증거가 있다.[3] 1328년 3월, 제1차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을 종식시킨 에든버러-노샘프턴 조약이 홀리루드의 "왕의 방"에서 로버트 1세에 의해 체결되었다.[3]

15세기 중반, 에든버러가 왕실 법정과 왕국의 중심 도시로 부상하면서, 스코틀랜드 왕들은 홀리루드의 숙소를 세속적인 목적으로 더 자주 사용하게 되었다. 1430년 10월, 제임스 2세와 그의 쌍둥이 형제 로테세이 공작 알렉산더 스튜어트가 홀리루드에서 태어났다.[8] 1437년, 제임스 2세는 홀리루드에서 대관식을 가졌고,[8] 1449년에는 겔더스의 메리와의 결혼식이 이곳에서 거행되었다.[9]

3. 2. 종교 개혁과 그 이후 (16세기 ~ 17세기)

거친 구애 전쟁 동안, 하트퍼드 백작이 이끄는 잉글랜드 군대는 1544년과 1547년에 홀리루드 사원에 구조적인 피해를 입혔다. 이들은 지붕에서 납을 벗겨내고, 종을 제거했으며, 수도원의 내용물을 약탈했다.[12] 1559년, 스코틀랜드 종교 개혁 당시 군중이 제단을 파괴하고 교회의 나머지 부분을 약탈하면서 수도원은 더 큰 피해를 입었다.[12]

종교 개혁과 수도원 봉사의 종료로, 수도원 교회의 동쪽 끝은 불필요하게 되었다. 1569년, 홀리루드의 코멘다토르인 아담 보스웰은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에 동쪽 끝이 너무 낡아 합창대와 트랜셉트를 철거해야 한다고 알렸다. 이듬해 철거가 이루어졌고, 당시 버러인 캐넌게이트의 교구 교회로 사용되던 본당만 남게 되었다. 1570년에서 1573년 사이에 동쪽 박공이 세워져 이전 본당의 동쪽 끝을 닫았고, 본당의 창문 중 두 개를 제외한 모든 창문이 막혔으며, 왕실 묘가 남쪽 통로의 새로운 왕실 묘지로 옮겨졌고, 오래된 동쪽 끝은 철거되었다.[12]

수도원은 1633년 찰스 1세의 대관식을 위해 대대적으로 개조되었으며, 완전한 성공회 의식을 치렀다.

1686년, 제임스 7세는 홀리루드 궁 안에 예수회 대학을 설립했다. 이듬해, 프로테스탄트 신도들은 새로운 캐넌게이트 교회로 옮겨졌고, 수도원은 로마 가톨릭 왕실 예배당과 엉겅퀴 기사단의 예배당으로 개조되었다.[13] 수도원 교회는 제임스 스미스의 계획에 따라 개조되었으며, 그린링 기번스가 조각한 개별 엉겅퀴 기사단을 위한 정교한 왕좌와 칸막이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1688년 명예 혁명 이후, 에든버러 군중은 수도원에 난입하여 왕실 예배당에 들어가 왕실 묘를 훼손했다.[13][14]

3. 3. 18세기 이후: 폐허와 복원 시도

제임스 7세는 1686년 홀리루드 궁 안에 예수회 대학을 설립했다. 이듬해, 프로테스탄트 신도들은 새로운 캐넌게이트 교회로 옮겨졌고, 수도원은 로마 가톨릭 왕실 예배당과 엉겅퀴 기사단의 예배당으로 개조되었다.[13] 수도원 교회는 제임스 스미스의 계획에 따라 개조되었으며, 그린링 기번스가 조각한 엉겅퀴 기사단을 위한 정교한 왕좌와 칸막이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1688년 명예 혁명 이후, 에든버러 군중은 수도원에 난입하여 왕실 예배당에 들어가 왕실 묘를 훼손했다.[13][14]

이러한 사건들과 왕실 궁정의 부재로 건물은 대중의 관심을 잃었다. 제임스 해밀턴 (제6대 해밀턴 공작)은 건축가 존 더글라스와 석공 [http://www.scottisharchitects.org.uk/architect_full.php?id=408094 제임스 맥퍼슨]에게 낡은 목재 지붕 트러스를 석조 아치와 외부 석판으로 교체하도록 의뢰했으며, 이 작업은 1758년에서 1760년 사이에 수행되었다.[15] 그러나 이는 재앙적인 변화였다. 과도한 돌의 무게는 벽이 지탱할 수 없었다. 석조 아치의 강도는 그 추력을 억제하는 데 달려 있으며, 낡은 플라잉 버트레스는 더 이상 억제할 수 없었고, 작은 움직임(스팬의 1/30 미만)으로 인해 심각한 변형과 붕괴가 발생할 수 있었다.[16][17] 변형이 심각해지기까지 6년이 걸렸다. 이로 인해 스코틀랜드 재무부의 재무부 남작 (궁전 관리자)은 윌리엄 마일른의 검사를 거쳐 1766년에 안전상의 이유로 교회를 폐쇄해야 했다.

1768년 12월 2일, 지붕이 두 단계로 붕괴되어[18] 현재와 같은 지붕 없는 폐허가 되었다.

18세기 이후 여러 차례 수도원 복원이 제안되었다. 1835년에는 건축가 제임스 길레스피 그레이엄이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의 회의 장소로, 1906년에는 엉겅퀴 기사단의 예배당으로 제안되었지만, 두 제안 모두 거부되었다.[14]

1829년 7월, 펠릭스 멘델스존은 홀리루드 예배당의 폐허를 방문했다. 멘델스존은 가족에게 보낸 편지에서 홀리루드가 그의 ''스코틀랜드 교향곡''의 영감이 되었다고 말했다.[19]

19세기 프랑스 화가 루이 다게르의 그림 ''홀리루드 예배당의 폐허''에 사원 폐허가 묘사되어 있다.[21] 1825년 3월, '홀리루드 예배당의 폐허'라는 제목의 달빛이 비치는 장면이 런던 리젠트 공원의 디라마에 전시되어 레티시아 엘리자베스 랜던의 시 '홀리루드'에 영감을 주었다. 가제트의 기사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이는 위에 언급된 루이 다게르의 작품에 대한 기사에 언급된 전시일 것으로 추정된다.[22]

4. 왕실과의 관계

전설에 따르면 1127년 데이비드 1세가 십자가 축일에 에든버러 동쪽 숲에서 사냥하던 중 수사슴에게 공격받을 뻔했으나, 하늘에서 내려온 성스러운 십자가, 혹은 수사슴의 뿔 사이에 나타난 십자가에서 반사된 햇빛 덕분에 목숨을 건졌다고 한다. 데이비드 1세는 이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1128년에 그 자리에 홀리루드 수도원을 세웠다.[3]

수도원에는 데이비드 1세의 어머니인 성 마가렛이 가져온 진정한 십자가의 파편이 금색 성유물함에 보관되어 있었는데, 이는 스코틀랜드의 검은 십자가(홀리루드(십자가))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성유물은 1346년 네빌스 크로스 전투에서 잉글랜드군에게 빼앗겨 더럼 대성당에 보관되었다가 종교 개혁 때 사라졌다.[4]

스코틀랜드 의회는 1256년, 1285년, 1327년, 1366년, 1384년, 1389년 및 1410년에 수도원에서 열렸다. 1326년, 로버트 1세는 이곳에서 의회를 열었고, 1329년까지 홀리루드가 왕실 거처로 사용되었다는 증거가 있다.[3] 제1차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을 종식시킨 에든버러-노샘프턴 조약(1328)은 1328년 3월 홀리루드의 "왕의 방"에서 로버트 1세에 의해 서명되었다.

에든버러 성과 가까운 수도원의 위치는 스코틀랜드의 왕들이 자주 방문하게 했으며, 그들은 수도원 회랑 서쪽에 위치한 객실에 묵었다. 15세기 중반, 에든버러가 왕실 법정의 주요 소재지이자 왕국의 주요 도시로 부상하면서, 스코틀랜드의 왕들은 홀리루드의 숙소를 세속적인 목적으로 점점 더 많이 사용했다. 1498년과 1501년 사이에 제임스 4세는 수도원 회랑에 인접한 홀리루드에 왕궁을 건설했다.

4. 1. 대관식

다음은 홀리루드 수도원에서 대관식을 올린 군주들이다.

4. 2. 결혼식

왕족
제임스 2세와 마리 드 겔더[8][9]
제임스 3세와 마가렛
제임스 4세와 마가렛 튜더


4. 3. 탄생

제임스 2세와 그의 쌍둥이 형제 로테세이 공작 알렉산더 스튜어트는 1430년 10월 홀리루드 수도원에서 태어났다.[8] 제임스 2세는 1437년에 홀리루드에서 대관식을 치렀고, 1449년에는 결혼식을 올리기 전에 건축 공사가 진행되었다.[9]

4. 4. 매장

수도원은 많은 왕족의 장례와 매장의 장소였으며, 대부분은 "로열 볼트"라고 알려진 남쪽 통로의 동쪽 베이에 있었다. 이곳에 처음 묻힌 왕족들은 다음과 같다.[6]

인물사망/매장 년도
데이비드 2세1371년
제임스 2세1460년
로테세이 공작 아서 (제임스 4세의 차남)1510년
발루아의 마들렌 (제임스 5세의 어린 신부)1537년
제임스, 로테세이 공작 (제임스 5세의 장남)1541년
올버니 공작 아서 (제임스 5세의 차남)1541년
제임스 5세1542년
헨리 스튜어트, 다를리 경1567년
마가렛 (제임스 6세의 차녀)1600년
마리 드 겔더 (원래 트리니티 칼리지 키르크에 묻힘)1463년
잉글랜드의 제임스 2세와 모데나의 메리 사이에서 태어난 사산아 또는 단명한 아이 (1681년)1681년 2월 또는 3월경



주목할 만한 비왕족 매장/기념물은 다음과 같다.[6]

인물사망/매장 년도
갤러웨이의 퍼거스
알렉산더 밀른 (석공장)1643년
로버트 더글라스, 벨헤이븐 자작1639년
시빌라 드 스트라툰 (현재의 스트레이턴으로 추정)1300년경
로버트 로스1409년
조지 위샤트 주교1671년
조지, 서더랜드 백작과 그의 손자 윌리엄1703년
제인, 에글린턴 백작부인1596년
존 해밀턴, 마그달렌 경1632년
토마스 로우즈1812년
제임스 멜드럼, 세지 경1588년
아담 보스웰, 오크니 주교와 그의 아들 존 보스웰, 홀리루드하우스 경1593년
마가렛 박스터1592년
존(?)1543년
유페미아 스튜어트1817년
조지 더글라스, 모레이 주교1589년
모레던의 데이비드 스튜어트 몽크리프1710–1790
던바 더글라스, 셀커크 백작 4세1799년
존 웹 세이무어 경1777–1819
존 싱클레어 경, 준남작 1세1754–1835
메리 프로비, 시포스 부인1754–1829
앤, 앨번리 부인1757–1825
던베스 7대 싱클레어 준남작 존1794–1873


5. 수도원장 목록

이름재임 기간주요 업적 및 사건
앨윈(Alwyn)1155년 사망"설교집과 서신" 저술
오스버트(Osbert)1150년 사망
윌리엄 1세(William I)수도원 주변 성벽 건설
로버트(Robert)캐논게이트 자치구 설립 지원
존(John)에든버러 성에서 수도원으로 이전 캠페인 진행
윌리엄 2세(William II)1206년
월터(Walter)1209년 - 1217년 사망인치콤 수도원 수도원장 역임
윌리엄 3세(William III)
윌리엄 4세(William IV)1227년 은퇴오웬의 아들, 인치키스에서 은둔 생활 후 수도승 복귀
엘리아스 1세(Elias I)니콜라스의 아들, 수도원 뒤 늪 배수
홀리루드의 헨리(Henry of Holyrood)1253년갈로웨이 주교 부임
라돌프(Radulph)
아담(Adam)잉글랜드 에드워드 1세에게 충성 ("반역자")
엘리아스 2세(Elias II)1309년, 1322년템플 기사단 재판 연루, 잉글랜드 군대 공격 참여
웨일의 시몬(Simon of Wedale)1326년성 바나바 축일 참석
존 2세(John II)1338년헌장에 등장
바솔로뮤(Bartholomew)1342년
토마스(Thomas)1346년, 1371년데이비드 2세 몸값 지불, 장례식 감독
존 3세(John III)1372년존 오브 곤트 간호
데이비드(David)1384년로버트 2세 치세, 수도원 소실
리트의 존(John of Leith)1386년, 1423년캐논밀스 땅 에든버러에 양도
패트릭(Patrick)1435년, 1437년, 1449년제임스 2세 대관, 마리 드 겔더스 왕비 대관 및 결혼
제임스(James)1450년
아치볼드 크로포드(Archibald Crawford)1450년, 1457년, 1469년, 1480년, 1483년 사망잉글랜드와 휴전 협상,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3세 결혼, 스코틀랜드 재무장관 역임, 수도원 건축
로버트 벨렌덴(Robert Bellenden)1486년, 1493년, 1507년성 니니안 예배당 및 다리 건설, 스코틀랜드의 제임스 4세에게 칭호 부여
조지 크라이튼(George Crichton)1515년, 1519년, 1528년국새 경 역임, 던켈드 주교 부임, 던켈드 강독대 창시
콜딩햄의 윌리엄 더글라스(William Douglas of Coldingham)1528년 사망
코스토르핀의 로버트 케언크로스(Robert Cairncross of Corstorphine)1529년, 1537년, 1538년, 1545년 사망스코틀랜드 재무 장관 역임, 로스 주교 임명
스트래스돈의 로버트 스튜어트(Robert Stewart of Strathdon)1559년, 1561년, 1581년종교개혁 참여, 스코틀랜드의 메리 여왕에게 선물 받음, 백작 임명
아담 보스웰(Adam Bothwell)1559년, 1593년 사망수도원 안장
존 보스웰(John Bothwell, Lord Holyroodhouse)1581년, 1593년세션 경 역임


6. 현대의 홀리루드 수도원 교회

스코틀랜드 교회는 여전히 수도원의 명칭을 '홀리루드 아베이'로 사용하고 있지만, 이 수도원은 이후 빅토리아 시대에 에든버러의 디엘 플레이스에 교회를 세웠다. 오래된 홀리루드 사원과 멀지 않은 거리에 있다. 교회의 건물은 1900년 12월에 개장하여 '아베이힐 자유 연합 교회'라고 불렸다.

1843년 스코틀랜드 교회의 분열로 인해, 캐논게이트 교회의 수도원 일부는 '홀리루드 자유 교회'로 바뀌었다. 새로운 건물은 홀리루드 궁전 앞에 세워졌다. 이 수도원은 1915년 아베이힐 자유 연합 교회와 통합되어, 이후로는 디엘 플레이스의 교회를 사용하게 되었다. 1929년 스코틀랜드 자유 연합 교회와 스코틀랜드 교회가 통합되면서, 수도원은 홀리루드 아베이 교회라는 이름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2006년부터 2007년에 걸쳐 건물은 광범위하게 개량되었다.

현재, 스코틀랜드의 홀리루드 아베이 교회 수도원은 보수 복음주의로 에든버러에서 널리 알려져 있다.

과거 홀리루드 자유 연합 교회의 건물은 궁전에 인접해 있었으며, 오랫동안 상점으로 사용되었다. 2003년, 광범위한 개수를 거쳐, 영국 왕실의 수집품을 전시하는 '퀸즈 갤러리 에든버러'로 재개장했다.

7. 대중문화

소녀전선에서 인형 서약의 실제 배경이다.

참조

[1] Historic Environment Scotland SM13031
[2] 서적 History of the Abbey and Palace of Holyrood Duncan Anderson 1852
[3] 서적 Edinburgh Penguin
[4] CathEncy Holyrood Abbey
[5] 간행물 The Strength of historic Gothic vaulting University of Edinburgh 2010-09
[6] 문서 Fawcett, p. 62
[7] 웹사이트 The fascinating tale behind Edinburgh's unusual Sanctuary Stone – Edinburgh Live https://www.edinburg[...] 2019-02-16
[8] 문서 Gallagher, p. 1079
[9] 문서 Fawcett, p. 62
[10] 간행물 Royal Presence in the Canongate Edinburgh 2008
[11] 문서 Gallagher, p. 1080
[12] 문서 Gallagher, p. 1084
[13] 문서 Burnett and Bennett. p. 7
[14] 문서 Gallagher, p. 1085
[15] 서적 Robert Fergusson and the Scots Humanist Compromise Edinburgh University Press 1984
[16] 논문 Case Study of the Failure of a Cross Vault: Church of Holyrood Abbey
[17] 문서 2016
[18] 웹사이트 Holyroodhouse Abbey falls down" The Scots Magazine, December 3, 1768, vol. XXX, 667. https://books.google[...] 2016-11-12
[19] 서적 Mendelssohn Schirmer, New York 1997
[20] 웹사이트 "(153) Page 129 – Heraldry of the Hamiltons – Histories of Scottish families – National Library of Scotland" https://digital.nls.[...]
[21] 웹사이트 'Ruins of Holyrood Chapel', by Louis Daguerre (1787-1851) http://www.liverpool[...] National Museums Liverpool
[22] 뉴스 The London Literary Gazette 1825-03-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