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홍문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홍문관은 고려 공민왕 때 설치되어 조선 시대에 확대 개편된 왕실 도서관이자 학술 연구 기관이다. 경전과 역사 강론, 임금 자문, 왕실 서적 관리, 유교 철학 연구 등을 수행했으며, 조선의 삼사 중 하나로 감찰과 간언의 역할도 담당했다.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고, 1907년에 폐지되었다.

2. 역사

고려 공민왕 5년(1356년)에 수문전·집현전 학사를 두었다.[8] 이후 조선 세종 2년(1420년)에 확대·개편되었다.[9]

세조는 단종 복위 운동과 관련된 사육신 사건을 계기로 1456년 집현전을 폐지하고 경연을 정지시켰다. 집현전의 서적은 예문관으로 옮겨졌고,[2] 1463년 장서각이 홍문관으로 개칭되었다.[3] 1478년 홍문관은 예문관에서 분리되어 개편되었다.[4]

홍문관은 왕실 도서관 서적 관리, 왕의 저술 보관, 유교 철학 연구 및 왕의 자문 역할을 했다. 홍문관 관료들은 매일 경연에 참여하여 왕과 함께 역사와 유교 철학을 논했으며, 이는 종종 정치 문제에 대한 논평으로 이어져 조언자로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홍문관은 대제학이 수장을 맡고 부제학이 실무를 운영했다.

임진왜란 때 백성들이 궁궐에 난입하여 노비문서를 불태우고 재물을 약탈하면서 홍문관의 장서가 소실되었다.[13] 융희 1년(1907)에 홍문관은 폐지되었다.

2. 1. 고려 시대

고려 공민왕 5년(1356년)에 수문전·집현전 학사를 두었다[8]. 이후 조선 세종 2년(1420년)에 확대·개편하였다[9].

2. 2. 조선 시대

고려 공민왕 5년(1356년)에 수문전·집현전 학사를 두었으나, 직무는 없었다.[8] 조선 세종 2년(1420년)에 확대·개편하여 청사를 마련하고, 경전과 역사를 강론하고 임금의 자문에 답하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9]

이후 세조 2년(1456년) 6월 6일 사육신 사건의 여파로 집현전이 폐지되고 경연이 정지되면서, 소장 도서는 예문관에서 관장하게 되었다.[10] 세조 6년(1460년) 5월 22일 이조에서 사관 선임 규정을 강화하고, 경연·집현전·보문각 등은 직함이 비고 직임이 없으니 혁파하기를 청하여 윤허를 받았다.[11] 세조 9년(1463)에는 집현전의 기구를 모방하여 진독청(進讀廳)·경연원(經筵院)·홍문관(弘文館) 등을 설치하였다.

성종 9년(1478년) 3월 19일 예문관 부제학 이하 관원을 홍문관 관직으로 옮겨 임명하면서 예문관에서 분리·개편되었다.[12] 홍문관은 왕실 도서관의 서적을 관리하고 왕의 저술을 보관했으며, 유교 철학 연구 및 왕의 자문 역할을 수행했다. 홍문관 관료들은 매일 열리는 경연에 참여하여 왕과 함께 역사와 유교 철학을 논했으며, 이는 종종 정치 문제에 대한 논평으로 이어져 조언자로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임진왜란 때에는 백성들이 궁궐에 난입하여 노비문서를 불태우고 재물을 약탈할 때 홍문관의 장서가 소실되었다.[13] 융희 1년(1907)에 홍문관은 폐지되었다.

3. 기능

홍문관은 조선의 3사 중 하나로, 사헌부, 사간원과 함께 삼사로 불렸다. 옥당(玉堂), 옥서(玉署), 영각(瀛閣)으로도 불렸다.[1] 왕실 도서관의 서적을 관리하고 왕의 저술을 보관했으며, 유교 철학 연구 및 왕의 질문에 답하는 역할을 했다. 경연에 참여하여 왕과 함께 역사와 유교 철학을 논했으며, 이러한 논의는 종종 당시 정치적 문제에 대한 논평으로 이어져 조언자로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의정부를 겸임하는 대제학(大提學)이 수장으로 있었고, 부제학(副提學)이 실제로 사무를 운영했다. 성종 시대 이후에는 감찰과 간언의 역할도 수행했다.[5]

3. 1. 학술 연구 및 교육

홍문관은 조선의 3사 중 하나로, 사헌부, 사간원과 함께 삼사로 불렸다. 옥당(玉堂), 옥서(玉署), 영각(瀛閣)으로도 불렸다.[1] 홍문관은 왕실 도서관의 서적을 관리하고 왕의 저술을 보관했으며, 유교 철학 연구를 위한 연구소 역할을 수행하고 왕의 질문에 답했다.

홍문관 관료들은 매일 열리는 경연에 참여하여 왕과 함께 역사와 유교 철학을 논했다. 경연은 일반적으로 하루 세 번 열렸지만, 태종과 연산군과 같은 몇몇 왕들은 이를 폐지하기도 했다. 이러한 논의는 종종 당시 정치적 문제에 대한 논평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그 관료들은 조언자로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홍문관은 다른 고위직(예: 의정부)을 겸임하는 대제학(大提學)이 수장으로 있었고, 부제학(副提學)이 실제로 사무를 운영했다. 이처럼 유교 사상이 깊이 뿌리내린 사회에서 대제학이 된다는 것은 매우 큰 명예였다.

3. 2. 자문 및 언론

홍문관은 조선의 3사 중 하나로, 사헌부, 사간원과 함께 삼사로 불렸다. 옥당(玉堂), 옥서(玉署), 영각(瀛閣)으로도 불렸다.[1] 홍문관은 왕실 도서관의 서적을 관리하고 왕의 저술을 보관했으며, 유교 철학 연구를 위한 연구소 역할을 수행하고 왕의 질문에 답했다. 홍문관 관료들은 매일 열리는 경연에 참여하여 왕과 함께 역사와 유교 철학을 논했다. 경연은 일반적으로 하루 세 번 열렸지만, 태종과 연산군과 같은 몇몇 왕들은 이를 폐지하기도 했다. 이러한 논의는 종종 당시 정치적 문제에 대한 논평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홍문관 관료들은 조언자로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홍문관은 다른 고위직(예: 의정부)을 겸임하는 대제학(大提學)이 수장으로 있었고, 부제학(副提學)이 실제로 사무를 운영했다. 유교 사상이 깊이 뿌리내린 조선 사회에서 대제학이 된다는 것은 매우 큰 명예였다.

성종 시대 이후, 홍문관은 감찰과 간언의 역할도 수행했다.[5]

4. 구성

품계관직정원비고
정1품영사(領事)1명의정(議政)
정2품대제학(大提學)1명겸직
종2품제학(提學)1명겸직
정3품부제학(副提學)1명
정3품직제학(直提學)1명
종3품전한(典翰)1명
정4품응교(應敎)1명
종4품부응교(副應敎)1명
정5품교리(校理)2명
종5품부교리(副校理)2명
정6품수찬(修撰)2명
종6품부수찬(副修撰)2명
정7품박사(博士)1명
정8품저작(著作)1명
정9품정자(正字)3명



홍문관은 왕실 도서관의 서적을 관리하고 왕의 저술을 보관했으며, 유교 철학 연구를 위한 연구소 역할을 수행하고 왕의 질문에 답했다. 홍문관 관료들은 매일 열리는 경연에 참여하여 왕과 함께 역사와 유교 철학을 논했다. 경연은 일반적으로 하루 세 번 열렸지만, 태종과 연산군과 같은 몇몇 왕들은 이를 폐지하기도 했다. 이러한 논의는 종종 당시 정치적 문제에 대한 논평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그 관료들은 조언자로서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홍문관은 다른 고위직(예: 의정부)을 겸임하는 대제학(大提學)이 수장으로 있었고, 부제학(副提學)이 실제로 사무를 운영했다.[1]

5. 평가

조선 시대 삼사(三司) 중 하나였던 홍문관은 왕에게 유교 철학과 역사를 가르치고 정치적 조언을 제공하는 기관이었다. 특히 경연을 통해 왕과 함께 유교 경전과 역사를 논하고 현안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여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5] 홍문관의 수장인 대제학(大提學)은 다른 고위직을 겸임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부제학(副提學)이 실질적인 업무를 맡았다. 유교 사상이 중요했던 조선 사회에서 대제학은 매우 명예로운 자리였다.[4]

6. 관련 서적

弘文館志중국어는 정조의 명으로 이노춘 등이 홍문관의 연혁, 직관, 진강, 관규, 서적, 사실 등을 정리한 책이다. https://jnliboldbook.sen.go.kr/web.do?cmd=MAIN 종로도서관 소장본은 1784년(정조 8) 간행한 판본을 바탕으로 1870년(고종 7)에 개간한 중간본이다.

참조

[1] 서적 조선왕조실록 - 세종 7권 (영인본) http://sillok.histor[...] 국립한국역사연구원 2014-11-22
[2] 서적 조선왕조실록 세조 4권 영인본 7책 http://sillok.histor[...] 국립한국역사연구원 1456-06-06
[3] 서적 조선왕조실록 세조 31권 영인본 7책 http://sillok.histor[...] 국립한국역사연구원 2014-11-22
[4] 서적 조선왕조실록 성종 90권 영인본 9책 http://sillok.histor[...] 국립한국역사연구원 2014-11-22
[5] 웹사이트 홍문관 [弘文館] http://100.daum.net/[...] Britanicca 2014-11-22
[6] 웹사이트 홍문관 ( 弘文館)
[7] 웹사이트 홍문관 [弘文館] 네이버 지식백과
[8] 문서 동사강목 도하 관직 연혁도 학사 연혁
[9] 서적 세종실록 권7, 세종 2년 3월 16일 갑신일 조
[10] 서적 세조실록 권4, 세조 2년 6월 6일 갑진일 조
[11] 서적 세조실록 권20, 세조 6년 5월 22일 정유일 조
[12] 서적 성종실록 권90, 성종 9년 3월 19일 신사일 조
[13] 간행물 기록인(IN) 33호 기획연재-1 기록을 남긴 사람들 고문서 속의 옛 이야기 http://www.archives.[...] 국가기록원 2015-12-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