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조선왕조 오백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조선왕조 오백년'은 신봉승 작가의 역사 소설이자, 이를 원작으로 한 대한민국 KBS의 텔레비전 드라마 시리즈이다. 소설은 조선왕조실록을 바탕으로 역대 왕과 주변 인물을 다루며, 48권으로 출판되었다가 24권으로 재판되었다. 드라마는 1983년부터 1990년까지 총 11개의 시즌으로 제작되었으며, 조선의 역사를 다양한 시대적 배경과 사건을 통해 조명했다. 권영민은 이 시리즈의 특징으로 역사적 사실의 해석, 왜곡된 기록의 규명, 식민사관에 의해 낮게 평가된 인물의 재평가, 그리고 '연려실기술'에서 다루지 않은 숙종 이후 시대를 소설 형식으로 표현하려는 시도를 꼽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왕조 오백년 - 김종학
    김종학은 1970년대 후반 MBC 입사 후 《수사반장》, 《여명의 눈동자》, 《모래시계》 등 1980-90년대 대표 드라마들을 연출하고 김종학 프로덕션을 설립하여 《태왕사신기》, 《베토벤 바이러스》 등 여러 작품을 제작한 대한민국의 드라마 연출가이자 제작자이다.
  • 조선왕조 오백년 - 뿌리깊은 나무 (1983년 드라마)
    1983년 MBC에서 방영된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는 조선 세종 시대를 배경으로 세종 이도의 인간적인 고뇌와 훈민정음 창제 과정을 그린 작품으로, 한인수가 세종 역을 맡아 MBC 연기대상 TV부문 남자 우수상을 수상했다.
  • 신봉승 시나리오 작품 - 꽃사슴 (드라마)
    꽃사슴은 최불암, 고은아, 김윤경, 김자옥 등이 출연한 대한민국의 드라마이다.
  • 신봉승 시나리오 작품 - 타국 (드라마)
    타국 드라마는 심수관 가문 인물, 주변 인물, 그리고 임진왜란 및 정유재란 시대 관련 인물들의 정보를 제공한다.
  • 문화방송의 역사 드라마 - 제4공화국 (드라마)
    《제4공화국》은 박정희 정권의 유신 체제 하 주요 사건들을 다룬 드라마로, 박정희 대통령 암살 사건부터 5·18 광주 민주화 운동까지 다루며 주요 인물들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 문화방송의 역사 드라마 - 여명의 눈동자
    김성종의 소설을 원작으로 송지나가 극본을 쓰고 김종학 PD가 연출한 드라마 《여명의 눈동자》는 일제 강점기부터 한국 전쟁까지의 격동기를 배경으로 세 남녀의 엇갈린 운명과 사랑을 그린 작품이다.
조선왕조 오백년
기본 정보
한글조선왕조 오백년
한자朝鮮王朝五百年
로마자 표기Joseon-wangjo obaengnyeon / 500 Years of Joseon Dynasty
관련 인물신봉승

2. 시리즈 목록

유길촌1985년 10월 14일 ~ 1986년 4월 15일54부작(총 273회)제6화회천문선조 ~ 인조 (1602 ~ 1624년)김종학1986년 4월 28일 ~ 1986년 10월 28일50부작(총 323회)제7화남한산성인조 (1624 ~ 1645년)김종학
유길촌
장수봉1986년 11월 3일 ~ 1987년 1월 27일22부작(총 345회)제8화인현왕후숙종 (1675 ~ 1701년)이병훈1988년 1월 13일 ~ 1988년 10월 13일71부작(총 416회)제9화한중록영조 (1724 ~ 1773년)1988년 10월 19일 ~ 1989년 6월 1일62부작(총 478회)제10화파문정조 ~ 순조 (1774 ~ 1801년)1989년 6월 7일 ~ 1989년 9월 13일28부작(총 506회)제11화대원군철종 ~ 고종 (1861 ~ 1897년)1990년 5월 6일 ~ 1990년 12월 23일32부작(총 538회)총 횟수538부작


2. 1. 제1화: 추동궁 마마 (1983)

2. 2. 제2화: 뿌리깊은 나무 (1983)

2. 3. 제3화: 설중매 (1984-1985)

2. 4. 제4화: 풍란 (1985)

2. 5. 제5화: 임진왜란 (1985-1986)

2. 6. 제6화: 회천문 (1986)

2. 7. 제7화: 남한산성 (1986-1987)

2. 8. 제8화: 인현왕후 (1988)

2. 9. 제9화: 한중록 (1988-1989)

2. 10. 제10화: 파문 (1989)

2. 11. 제11화: 대원군 (1990)

3. 역사적 배경 및 특징

권영민은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특징으로 다음 네 가지를 제시했다.[4]

3. 1. 조선 건국과 초기 왕조의 안정화

3. 2. 붕당 정치와 왕권의 갈등

3. 3. 외세의 침략과 국난 극복

3. 4. 세도 정치와 조선의 쇠퇴

3. 5. 개화와 대한제국의 몰락

4. 역사적 평가 및 의의

권영민은 '조선왕조 오백년' 시리즈의 특징으로 다음 네 가지를 제시했다.[4]

4. 1. 역사 대중화에 기여

4. 2. 역사 인식 제고

4. 3. 민족 주체성 강조

4. 4. 비판적 시각 제시

권영민은 《조선왕조 오백년》의 특징으로 다음 네 가지를 제시하였다.[4]

5. 소설 '조선왕조 500년'

신봉승 작가가 쓴 역사 소설이다. 조선왕조실록을 바탕으로 역대 국왕과 그 주변의 사물, 인물을 소재로 하고 있다. 전 48권으로, 2010년에 전 24권의 형태로 재판되었다.

신봉승은 청춘 영화 각본가로 데뷔했으나, TBC 편성부 차장의 제안으로 사극 각본을 쓰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사극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거절했지만, 이후 수락하여 사모곡(TBC 방송)의 각본을 집필했다. 당시 연려실기술을 참고했다고 한다.

이후 여러 편의 사극 각본을 집필한 후, 신봉승은 조선왕조실록을 읽기 시작했다. 당시 조선왕조실록은 전체의 3분의 1 정도만 한국어로 번역되어 있었고, 처음에는 한학자를 찾아가 가르침을 받으며 읽었지만, 여전히 어려운 작업이었다. 50세에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 입학하여 조선왕조실록을 계속 읽었고, 읽기 시작한 지 9년 만에 전문을 읽었다. 조선왕조실록에 대한 지식은 1982년 KBS에서 방송된 사극 풍운 (1982년 드라마)과 드라마 조선왕조 오백년의 각본에 활용되었다.[2]

신봉승은 1983년 경희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석사 학위를 받았으나,[3] 학술 연구보다는 역사 소설 집필에 매력을 느껴,[2] 본 작품을 포함한 여러 작품을 썼다.

권영민은 소설 《조선왕조 오백년》의 특징으로 다음 네 가지를 들고 있다.[4]



권수제목권수제목
1송도에 부는 바람25서녀 정난정
2개국 전야26교동 마님
3한양 천도27문정왕후
4춘당궁 마마28왜란
5왕도29타국에서
6외척도 공신도30광해군
7세자 양녕31서궁 마마
8대마도 정벌32인조반정
9성군 세종33고난
10공녀와 빈궁34남한산성
11뿌리 깊은 나무35회천문
12훈민정음36북벌 한
13소년 단종37장희빈
14수양대군38인현왕후
15계유정난39안국동 마마
16고운 님 여의옵고40사도세자
17설중매41서학
18내명부42순교자
19건원릉 가는 길에43강화 도련님
20사모곡44왕기설
21폭군 연산군45대원군
22반정 그 후46풍운
23주소위왕47동학
24폭군 연산군48왕조의 비극


5. 1. 소설의 특징

권영민은 소설 《조선왕조 오백년》의 특징으로 다음 네 가지를 들고 있다.[4]

5. 2. 소설 목록

wikitable

권수제목권수제목
1송도에 부는 바람25서녀 정난정
2개국 전야26교동 마님
3한양 천도27문정왕후
4춘당궁 마마28왜란
5왕도29타국에서
6외척도 공신도30광해군
7세자 양녕31서궁 마마
8대마도 정벌32인조반정
9성군 세종33고난
10공녀와 빈궁34남한산성
11뿌리 깊은 나무35회천문
12훈민정음36북벌 한
13소년 단종37장희빈
14수양대군38인현왕후
15계유정난39안국동 마마
16고운 님 여의옵고40사도세자
17설중매41서학
18내명부42순교자
19건원릉 가는 길에43강화 도련님
20사모곡44왕기설
21폭군 연산군45대원군
22반정 그 후46풍운
23주소위왕47동학
24폭군 연산군48왕조의 비극


참조

[1] 뉴스 ‘역사’를 이야기한 신봉승 작가 뜻 기려야 http://www.kado.net/[...] 강원도민일보 2016-04-21
[2] 웹사이트 우리 시대의 멘토 신봉승 http://navercast.nav[...] 2017-03-29
[3] 웹사이트 신봉승 http://people.search[...] 2017-03-29
[4] 웹사이트 한국문학 조선왕조 500년 http://terms.naver.c[...] 2017-0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