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흑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흑수단은 1901년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아피스)가 결성한 세르비아의 비밀 민족주의 단체이다. 1903년 5월 쿠데타를 통해 국왕 알렉산다르 1세를 암살했으며, 범세르비아주의를 표방하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내 세르비아인 해방을 목표로 활동했다. 1911년 '통일이냐 죽음이냐'를 구호로 내걸고 조직을 재건, 기관지 '피예몬트'를 발행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확대했다. 1914년 사라예보 사건에 연루되어 제1차 세계 대전을 촉발했으며, 전쟁 패배 후 해체되었다. 흑수단의 사상은 이후 백수단 등 다른 조직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르비아 왕국 - 세르비아의 국가
    세르비아의 국가 "정의의 신이여"는 세르비아 왕국의 국가로 채택되어 세르비아 민족의 투쟁과 자유에 대한 염원, 슬라브 민족으로서의 연대 등을 상징하며 유고슬라비아 시기를 거쳐 2006년 세르비아의 공식 국가로 다시 확정되었다.
  • 세르비아 국민주의 - 체트니크
    체트니크는 18세기 중반부터 군대와 경찰 부대 구성원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세르비아 민족주의적 목표를 추구하는 군사 또는 준군사 조직, 발칸 게릴라 부대, 그리고 대세르비아 이념을 따르는 그룹을 지칭하는 의미로 확장되었고,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 내에서 활동했으며 유고슬라비아 전쟁 이후 세르비아 민족주의와 관련된 용어로 사용된다.
  • 세르비아 국민주의 - 리무브 케밥
    리무브 케밥은 유고슬라비아 전쟁 당시 제작된 특정 민족 혐오 및 폭력 선동 노래에서 비롯된 인터넷 밈으로, 세르비아 민족주의, 반크로아티아, 이슬람 공포증, 반투르크인 감정을 담고 혐오 표현과 차별적 요소로 인해 비판받으며 극우 세력에 의해 악용되어 사회적 갈등을 조장한다.
  • 제1차 세계 대전 중 세르비아 - 발칸반도 전선
    발칸반도 전선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주요 전장으로, 슬라브 민족주의, 열강의 이해관계 충돌, 지역 강국들의 권력 투쟁 등 복잡한 지정학적 요인들이 얽혀 발생한 갈등이 집중된 곳으로, 여러 전역과 영토 분쟁, 그리스의 내분, 영토 확장 시도 등이 있었으며, 전쟁 결과 발칸반도의 지형 변화와 유럽 열강의 세력 재편을 초래했다.
  • 제1차 세계 대전 중 세르비아 - 세르비아 전역
    세르비아 전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오스트리아-헝가리의 침공으로 시작되어 불가리아 참전으로 후퇴를 겪었지만, 연합군과 함께 참호전을 벌여 승리하며 종결되었고, 유고슬라비아 왕국 건설에 기여했다.
흑수단
개요
명칭통일 아니면 죽음
별칭흑수단
원어 명칭 (세르비아어)Ujedinjenje ili smrt (우예디네네 일리 스므르트)
Crna ruka (츠르나 루카)
리더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
창립1911년 5월
후신세르비아 문화 클럽 (비공식)
활동 지역발칸 반도
이념유고슬라비아주의
대세르비아주의
세르비아 민족주의
주요 활동알렉산다르 1세 암살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 암살 사건

2. 역사적 배경

흑수단은 모든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 특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영토였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병합을 목표로 한 조직이었다. 조직원들은 모두 세르비아 민족주의를 지지했지만, 직속 상관 1명과 부하 2명, 그리고 그 부하들이 각각 2명씩 부하를 거느리는 형태로 의사 소통이 제한된 구조였기 때문에 다양한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있었다. 쿠데타를 꾀하는 육군 장교, 이상주의를 믿는 학생, 공화제를 목표로 하는 사람들까지 있었다. 지도자는 1903년 쿠데타로 세르비아 국왕 알렉산다르 오브레노비치를 살해한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암호명 "아피스")였다.

1914년 사라예보에서 오스트리아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을 암살사라예보 사건에 관여했다. 이 사건을 계기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세르비아 왕국에 선전 포고를 했고,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다. 이후 니콜라 파시치 수상 하의 세르비아는 패배하여 그리스이오니아 제도테살로니키로 도피하여 망명 정부를 수립했다. 파시치 등은 1916년 흑수단을 해산시키고 아피스 등 지도자를 반역죄로 체포했으며, 1917년 아피스와 동지 6명을 총살형에 처했다.[7]

2. 1. 아피스의 음모 단체와 5월 쿠데타

1901년 8월,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 "아피스" 대위가 이끄는 하급 장교 그룹이 왕조에 반대하는 음모 단체('''흑수단''')를 결성했다.[7] 첫 회의는 1901년 9월 6일에 열렸으며, 라도미르 아란젤로비치, 밀란 F. 페트로비치,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 대위와 안토니예 안티치, 드라구틴 듈리치, 밀란 마린코비치, 니코디예 포포비치 소위가 참석했다. 이들은 알렉산다르 1세 국왕과 드라가 마신 왕비를 암살할 계획을 세웠다. 1903년 5월 28/29일 밤(구력), 아피스 대위는 육군 장교 그룹을 직접 이끌고 베오그라드의 구 궁전에서 왕실 부부를 살해했다. 음모자들은 왕실 부부와 함께 디미트리예 친차르-마르코비치 총리, 밀로반 파블로비치 육군 장관, 라자르 페트로비치 총사령관을 살해했다. 이것은 5월 쿠데타로 알려지게 되었다.

2. 2. 나로드나 오브라나 (국민 방위)

보스니아 위기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합병한 직후인 1908년 10월 8일, 세르비아의 장관, 관리, 장군들이 베오그라드 시청에서 회의를 열었다. 이들은 범세르비아주의에 초점을 맞춘 준군사조직 ''나로드나 오드브라나''(국민 방위)를 창설했다. 이 단체의 목적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점령 하의 세르비아인들을 해방시키는 것이었다. 이들은 반오스트리아 선전을 공유하고 점령 지역에서 활동할 스파이와 사보타주 요원을 조직했다.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이스트라에 위성 단체가 결성되었다. 보스니아 그룹은 ''믈라다 보스나''("청년 보스니아")와 같은 범세르비아 활동가들의 지역 단체와 깊이 연관되었다.

3. 결성과 조직 구조

흑수단의 의례용 십자가


서명


'''통일 혹은 죽음'''은 1911년 5월 초에 설립되었으며,[9] 류바 추파, 보그단 라덴코비치, 보이슬라브 탕코시치는 독일의 유사한 비밀 민족주의 단체와 이탈리아의 카르보나리를 모델로 삼아 조직 헌장을 작성했다.[11][12] 조직의 원래 헌법은 5월 9일에 서명되었다.[10] 이 조직은 1911년 말 세르비아 의회에서 "흑수단"으로 언급되었다.[13]

1911-12년 무렵, 나로드나 오브라나는 흑수단과 연을 맺었고, 두 조직은 "행동에서 병행하며 구성원이 중복"되었다.[14] 모든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 특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영토였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병합을 목표로 했다.

조직원은 모두 세르비아 민족주의를 받들고 있다는 점은 같았지만, 그 구성 내용은 다양했다. 쿠데타를 꾀하는 육군 장교, 이상주의를 믿는 학생, 때로는 공화제를 목표로 하는 자들까지 있었다.

3. 1. 결성

1911년 5월, '통일이냐 죽음이냐'라는 구호 아래 검은 손이 정식으로 결성되었다.[9] 류바 추파, 보그단 라덴코비치, 보이슬라브 탕코시치는 독일과 이탈리아의 비밀 결사들을 모델로 삼아 조직 헌장을 작성했다.[11][12] 조직의 원래 헌법은 5월 9일에 서명되었다.[10] 이 조직은 1911년 말 세르비아 의회에서 "흑수단"으로 언급되었다.[13]

3. 2. 조직 구조

검은 손은 점조직 형태로 운영되어 조직원 간의 정보 공유를 극도로 제한하여 비밀 유지를 최우선으로 했다. 조직원은 직속 상관 1명과 부하 2명으로 구성되었고, 부하는 각각 2명의 부하를 거느리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관과 부하 2명 외에는 의사소통이 불가능했다.[1] 조직의 지도자는 1903년 쿠데타로 세르비아 국왕 알렉산다르 오브레노비치를 살해한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암호명 "아피스")였다.[1]

4. 활동과 영향력

흑수단은 세르비아인이 거주하는 영토를 통합하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게릴라 전투원과 파괴 공작원을 훈련시켰다. 3~5명으로 구성된 세포 단위로 조직되었으며, 지구 위원회와 베오그라드에 있는 중앙 위원회의 감독을 받았다. 중앙 위원회의 10명 집행 위원회는 주로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 "아피스" 대령이 이끌었다. 비밀 유지를 위해, 회원들은 자신의 세포 구성원들과 상위 조직의 한 명을 제외하고는 거의 다른 정보를 알지 못했다. 신입 회원은 다음과 같은 선서를 했다.

> 나는 (...) 이 단체에 가입함으로써, 나를 비추는 태양, 나를 먹여 살리는 대지, 신, 나의 조상의 피, 나의 명예, 그리고 나의 생명을 걸고, 지금부터 죽을 때까지 이 조직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고, 이를 위해 어떠한 희생도 기꺼이 감수할 것을 맹세합니다. 또한, 신, 나의 명예, 그리고 나의 생명을 걸고, 이 조직의 모든 명령과 지시를 무조건적으로 수행할 것을 맹세합니다. 또한, 신, 나의 명예, 그리고 나의 생명을 걸고, 이 조직의 모든 비밀을 지켜 무덤까지 가져갈 것을 맹세합니다. 만약 내가 이 맹세를 고의로 어기거나 깨뜨린다면, 신과 이 조직의 형제들이 나를 심판할지어다.[17]

흑수단은 ''나로드나 오브라나''의 테러 행위를 인수했고 두 집단 간의 차이점을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만들면서, 더 오래된 조직의 명성과 네트워크를 활용했다.

1914년, 아피스는 오스트리아의 황위 계승자인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이 세르비아인을 진정시키려 하여 혁명을 막으려 하자, 그를 암살하기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세 명의 젊은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이 대공을 살해하도록 섭외되었고, 이들은 세르비아 군의 현역 및 전직 회원들에게 폭탄 투척과 사격 훈련을 받았다. 가브릴로 프린치프, 네델코 차브리노비치, 트리프코 그라베즈는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와 유사한 연락망을 통해 보스니아로 밀입국했다. 대공 살해 결정은 아피스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전체 집행 위원회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아피스가 관련된 것인지도 논쟁의 대상이다[19]). 흑수단은 모든 세르비아인 거주 지역, 특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영토였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병합을 목표로 했다.

조직 구성원들은 모두 세르비아 민족주의를 받들고 있었지만, 직속 상관 1명과 부하 2명, 부하가 각각 2명씩 부하를 거느리는 형태로, 상관과 부하 2명 외에는 의사 소통이 불가능한 구조였기 때문에 그 내용은 다양했다. 쿠데타를 꾀하는 육군 장교, 이상주의를 믿는 학생, 때로는 공화제를 목표로 하는 자들까지 있었다. 지도자는 1903년 쿠데타로 세르비아 국왕 알렉산다르 오브레노비치를 살해한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암호명 "아피스")였다.

흑수단은 1914년 사라예보 사건에 관여했다. 사라예보 사건을 계기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세르비아 왕국에 선전 포고했고,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다. 그 후 니콜라 파시치영어 수상 하의 세르비아는 패배하여 그리스이오니아 제도테살로니키로 도피하여 망명 정부를 수립했다. 파시치 등은 전쟁의 원흉이라며 1916년에 흑수단을 해산시키고, 아피스 등 지도자를 반역죄로 체포했다. 1917년 아피스와 동지 6명은 총살형에 처해졌다.

4. 1. 기관지 발행

검은 손은 기관지 '피예몬트(Pijemont|피예몬트sr)'를 발행하여 자신들의 사상을 전파했다.[15] 이 기관지는 1911년 8월 류바 추파에 의해 창간되었다.[16]

4. 2. 정치적 영향력

흑수단 회원들은 군대와 정부의 요직을 차지하고 있었다.[18] 알렉산드르 왕세자는 이 단체의 재정 후원자였다.[18] 흑수단은 정부 임명과 정책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세르비아 정부는 흑수단의 활동을 잘 알고 있었다.

1914년경, 흑수단과 세르비아 정부의 우호 관계는 상당히 냉각되었다. 흑수단은 니콜라 파시치 총리가 범세르비아주의를 위해 충분히 적극적으로 행동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며 불만을 품었다. 이들은 세르비아가 발칸 전쟁을 통해 합병한 영토의 통제권을 두고 격렬한 권력 투쟁을 벌였다. 당시 흑수단에 반대하는 것은 정치적 암살의 위험이 따르는 일이었다.[19]

5. 1914년 사라예보 사건

1914년 무렵, 흑수단은 수백 명의 회원을 거느렸으며, 그중 다수가 세르비아군 장교였다. 세르비아인이 거주하는 영토를 통합하려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게릴라 전투원과 파괴 공작원을 훈련시켰다. 흑수단은 3~5명으로 구성된 세포 단위로 조직되었으며, 지구 위원회와 베오그라드에 있는 중앙 위원회의 감독을 받았다. 중앙 위원회의 10명 집행 위원회는 주로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 "아피스" 대령이 이끌었다. 비밀 유지를 위해, 회원들은 자신의 세포 구성원들과 상위 조직의 한 명을 제외하고는 거의 다른 정보를 알지 못했다.

흑수단은 ''나로드나 오브라나''의 테러 행위를 인수했고 두 집단 간의 차이점을 의도적으로 모호하게 만들면서, 더 오래된 조직의 명성과 네트워크를 활용했다. 흑수단 회원은 군대와 정부의 요직을 차지했다. 알렉산드르 왕세자는 열성적인 재정 후원자였다.[18] 이 단체는 정부 임명과 정책에 영향력을 행사했다. 세르비아 정부는 흑수단의 활동에 대해 상당히 잘 알고 있었다.

1914년 무렵에는 우호 관계가 상당히 냉각되었다. 흑수단은 니콜라 파시치 총리에 불만을 품었고, 그가 범세르비아주의를 위해 충분히 공격적으로 행동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흑수단은 세르비아가 발칸 전쟁 중에 합병한 영토를 누가 통제할 것인가와 같은 여러 문제에 대해 격렬한 권력 투쟁을 벌였다. 당시 흑수단에 반대하는 것은 위험했는데, 정치적 암살이 그들의 도구 중 하나였기 때문이다.

흑수단 조직원들은 모두 세르비아 민족주의를 받들고 있었지만, 조직 구조는 직속 상관 1명과 부하 2명, 부하가 각각 2명씩 부하를 거느리는 형태로, 상관과 부하 2명 외에는 의사 소통이 불가능했다. 조직원은 쿠데타를 꾀하는 육군 장교, 이상주의를 믿는 학생, 때로는 공화제를 목표로 하는 자들까지 다양했다. 지도자는 1903년 쿠데타로 세르비아 국왕 알렉산다르 오브레노비치를 살해한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암호명 "아피스")였다.

5. 1. 암살 계획

1914년, 아피스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암살을 계획했다.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이 세르비아인을 진정시키려 하여 혁명을 막으려 하자 암살을 결정했다고 한다. 이를 위해 세 명의 젊은 보스니아계 세르비아인들을 암살자로 섭외했다. 이들은 세르비아 군의 현역 및 전직 회원들에게 폭탄 투척과 사격 훈련을 받았다.[19] 가브릴로 프린치프, 네델코 차브리노비치, 트리프코 그라베즈는 언더그라운드 레일로드와 유사한 연락망을 통해 국경을 넘어 보스니아로 밀입국했다. 대공 살해 결정은 아피스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집행 위원회 전체의 승인을 받지는 못했다.[19]

5. 2. 암살 실행과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흑수단은 1914년 사라예보에서 오스트리아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을 암살한 사라예보 사건에 관여했다.[1] 이 사건을 계기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세르비아 왕국에 선전 포고를 했고,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다.[1]

6. 해체와 유산

흑수단은 1917년 세르비아에서 불법화되었지만, 그 사상은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도 계속 영향을 미쳤다.

흑수단 조직원들은 모두 세르비아 민족주의를 받들고 있었지만, 조직 구조상 직속 상관 1명과 부하 2명, 그리고 부하가 각각 2명씩 부하를 거느리는 형태로, 상관과 부하 2명 외에는 의사 소통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그 내용은 다양했다. 쿠데타를 꾀하는 육군 장교, 이상주의를 믿는 학생, 때로는 공화제를 목표로 하는 자들까지 있었다. 지도자는 1903년 쿠데타로 세르비아 국왕 알렉산다르 오브레노비치를 살해한 드라구틴 디미트리예비치(암호명 "아피스")였다.

흑수단은 1914년 사라예보에서 오스트리아 황태자 프란츠 페르디난트 대공을 암살사라예보 사건에 관여했다.

사라예보 사건을 계기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세르비아 왕국에 선전 포고를 했고,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되었다.

6. 1. 검은 손의 해체

제1차 세계 대전 중, 니콜라 파시치 수상 하의 세르비아는 패배하여 그리스이오니아 제도테살로니키로 도피하여 망명 정부를 수립했다. 파시치 등은 전쟁의 원흉이라며 1916년에 흑수단을 해산시키고, 아피스 등 지도자를 반역죄로 체포했다. 1917년 아피스와 동지 6명은 총살형에 처해졌다.

6. 2. 유산

백수단으로 알려진 조직이 흑수단에서 영감을 받아 만들어졌다.[20]

1938년, 유고슬라비아 섭정을 전복하기 위한 음모 단체인 콘스피라치야가 세르비아 문화 클럽 회원들을 포함하여 여러 사람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이 조직은 징집 과정을 포함하여 흑수단을 모델로 했다. 흑수단의 두 멤버인 안토니예 안티치와 벨리미르 베미치가 이 조직의 군사 고문이었다.

참조

[1] 서적 The Month that Changed the World: July 1914 and WWI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Yugoslavia in the Shadow of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웹사이트 Black Hand {{!}} secret Serbian society https://www.britanni[...] 2019-02-21
[4] 서적 Gavrilo Princip and the Black Hand organization http://www.bookrags.[...] Bookrags
[5] 서적 Ideolog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6] 서적 1914–1918: The History of the First World War Penguin
[7] 서적 Srbija i Crna Gora u balkanskim ratovima 1912–1913 https://books.google[...] Beogradski izdavačko-grafički zavod
[8] 서적 The Sleepwalkers: How Europe Went to War in 1914 Penguin UK
[9] 서적 Pašić i Srbija https://books.google[...] Službeni list SRJ
[10] 서적 Posebna izdanja https://books.google[...]
[11] 서적 Narodna enciklopedija srpsko-hrvatsko-slovenačka, knjiga 2
[12] 웹사이트 The Big Lie: The Defence of Small Nations https://www.marxists[...] 1916
[13] 서적 Parlamentarizam u Srbiji od 1903. do 1914. godine https://books.google[...] Službeni list SRJ
[14] 서적 Nationalism, Globalization, and Orthodoxy: The Social Origins of Ethnic Conflict in the Balkan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5] 서적 NIN. nedeljne informativne novine https://books.google[...] Politika.
[16] 웹사이트 Пијемонт http://velikirat.nb.[...] National Library of Serbia
[17] 뉴스 Tadićev deda bio zadužen za ubistvo Ferdinanda!.html Pressonline.rs http://www.pressonli[...] Press 2011-10-07
[18] 웹사이트 Šta je bila Crna ruka i ko je bio Dragutin Dimitrijević Apis https://www.bbc.com/[...] 2021-09-17
[19] 문서 Vladimer Dedijer, ''The Road to Sarajevo''
[20] 웹사이트 The Black Hand: Overview & WWI Role https://study.com/ac[...] 2024-09-28
[21] 웹인용 Gavrilo Princip and the Black Hand organization http://www.bookrags.[...] Bookrags
[22] 서적 인용 Ideology and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1996-11-15
[23] 문서 David Stevenson, 1914-1918, 2012 Penguin, reissue, p.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