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칸반도 전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칸반도 전선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발칸반도에서 일어난 일련의 군사 작전을 포괄한다. 세르비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의 공격에 맞서 싸웠고, 불가리아는 중앙 동맹국에 가담하여 세르비아를 공격했다. 이탈리아는 알바니아를 점령하고 달마티아를 확보하려 했으며, 그리스는 정치적 분열 끝에 연합국에 참전했다. 마케도니아 전선에서 연합군은 불가리아를 격파하고 세르비아를 해방시켰으며, 루마니아는 연합국에 가담했으나 패배했다. 전쟁 후 발칸반도의 영토가 재편되었고, 각국의 정치 상황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칸반도의 근대사 - 유고슬라비아의 붕괴
유고슬라비아의 붕괴는 복잡한 민족 구성, 경제적 어려움, 정치적 위기, 민족주의 부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 여러 국가로 분리되고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이어진 20세기 후반의 해체 과정이다. - 발칸반도의 근대사 - 발칸 전역 (제2차 세계 대전)
발칸 전역 (제2차 세계 대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발칸 반도에서 일어난 일련의 군사 작전으로, 독일의 발칸 반도 점령과 레지스탕스 운동, 그리고 그 영향으로 인한 변화를 포함한다.
| 발칸반도 전선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분쟁 | 발칸반도 전선 |
| 전체 | 제1차 세계 대전 |
| 날짜 | 1914년 7월 28일 - 1918년 11월 11일 |
| 장소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알바니아, 그리스, 불가리아 |
| 결과 | 연합국의 승리 |
| 교전 세력 | |
| 연합국 | 세르비아 왕국 몬테네그로 왕국 러시아 제국 (1917년까지) 프랑스 제3공화국 (1915-18) 영국 (1915-18) 이탈리아 왕국 (1915-18) 루마니아 왕국 (1916년) 그리스 왕국 (1917-18) |
| 동맹국 | 독일 제국 (1915-18)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 제국 불가리아 왕국 (1915-18) |
| 지휘관 | |
| 연합군 | 페타르 1세 라도미르 푸트니크 지보인 미시치 스테파 스테파노비치 페타르 보요비치 니콜라 1세 얀코 부코티치 루이 프랑셰 데스페레 모리스 사라일 조지 밀네 브라이언 마흔 루이지 카도르나 아르만도 디아츠 알렉세이 브루실로프 미하일 디테리프스 Mihail Aslan 파나기오티스 당글리스 |
| 동맹군 |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 오스카르 포티오레크 니콜라 제코프 게오르기 토도로프 블라디미르 바초프 스테판 토셰프 엔베르 파샤 압둘 케림 파샤 파울 폰 힌덴부르크 에리히 폰 팔켄하인 아우구스트 폰 마켄젠 |
| 병력 규모 | |
| 연합군 | 707,343 50,000 300,000+ 404,207 72,000 230,000 |
| 동맹군 | 1,200,000 |
| 사상자 | |
| 연합군 | 481,000 (사망 278,000, 부상 133,000, 포로 70,000) 535,700 (사망 335,706, 부상 120,000, 포로 80,000) 30,000 (사망 9,668, 부상 16,637, 실종/포로 2,778) 27,000 (사망 5,000, 부상 21,000, 포로 1,000) 23,000 (사망/실종 13,325, 부상 ~10,000) 10,538 (알바니아: 사망 298, 부상 1,069, 실종 847; 마케도니아: 사망/실종 2,971, 부상 5,353) |
| 동맹군 | 360,000+ 267,000 (사망 87,500, 부상 152,930, 실종/포로 27,029) 203,000+ 25,000 |
| 관련 조약 | |
| 기타 | |
| 전쟁의 일부 | 제1차 세계 대전의 동부 전선 일부 |
| 추가 설명 | 1914-1917년: 중앙 동맹국의 승리, 1918년: 연합국의 승리 |
2. 세르비아-몬테네그로 전역
제1차 세계 대전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세르비아 왕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간의 적대감이었다. 전쟁 초기의 여러 전투는 두 나라 사이에서 벌어졌으며, 세르비아는 1915년 말 세르비아 전역에서 패배하기 전까지 1년 이상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맞서 싸웠다.[1]
1915년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남부 전선에 병력을 추가 배치하고 중앙 동맹국의 동맹국으로 불가리아를 끌어들였다. 이로 인해 세르비아군은 북쪽과 동쪽에서 공격을 받아 그리스로 후퇴해야 했다. 패배에도 불구하고 후퇴는 성공적이었고, 세르비아군은 그리스에 새 기지를 확보하여 작전을 계속했다.[1]
2. 1. 세르비아 전역
세르비아군은 북쪽에서 러시아의 침공으로 인해 더 큰 오스트리아-헝가리군에 맞서 방어했다. 1915년 오스트리아-헝가리는 남부 전선에 병력을 추가 배치하고 중앙 동맹국의 동맹국으로 불가리아를 끌어들였다.[1]곧 세르비아군은 북쪽과 동쪽에서 공격을 받아 그리스로 후퇴해야 했다. 패배에도 불구하고 후퇴는 성공적이었고 세르비아군은 새롭게 설립된 기지를 확보한 그리스에서 작전을 계속했다.[1]
3. 이탈리아 전역
세르비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간의 적대감은 제1차 세계 대전의 주요 원인 중 하나였다. 세르비아는 1915년 말 세르비아 전역에서 패배하기 전까지 1년 이상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맞서 싸웠다.
달마티아는 이탈리아와 세르비아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탈취하려 했던 전략적 요충지였다. 이탈리아는 상당한 영토를 약속받은 1915년 런던 조약에 따라 연합국에 가담하여 참전했다.
이탈리아는 1914년 12월 알바니아의 항구 도시 블로러를 점령했고, 1916년 가을부터 알바니아 남부 지역으로 점령을 확대했다. 1917년 6월에는 알바니아 중부와 남부를 이탈리아의 보호령으로 선포하고, 1918년 10월 31일에는 프랑스와 함께 알바니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몰아냈다.
1918년 11월, 이탈리아군은 런던 조약에 따라 이탈리아에 보장된 달마티아 전 지역을 장악했고, 엔리코 밀로 제독은 자신을 달마티아의 이탈리아 총독으로 선포했다. 그러나 1919년 베르사유 조약에서 이탈리아는 달마티아의 일부만을 할양받아 국민들의 불만을 샀다. 이러한 불만은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이데올로기 부상에 영향을 주었다.
3. 1. 알바니아 전역

이탈리아는 제1차 세계 대전에 직접 개입하기 전인 1914년 12월, 무정부 상태에 있던 알바니아 공국의 항구 도시 블로러를 점령했다.[17] 전쟁 참전 이후, 1916년 가을부터 알바니아 남부 지역으로 점령을 확대했다.[17] 같은 해 이탈리아군은 알바니아 비정규군을 모병하여 함께 싸웠다.[17] 이탈리아는 연합군 사령부의 허가를 받아 1916년 8월 23일 북에피루스를 점령하고 그 지역에 주둔하고 있던 중립 상태인 그리스군을 철수시켰다.[17]
1917년 6월, 이탈리아는 알바니아 중부와 남부를 이탈리아의 보호국으로 선포했다. 알바니아 북부는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왕국에 할당되었다.[17] 1918년 10월 31일, 프랑스와 이탈리아군은 알바니아에서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몰아냈다.[17]
3. 2. 달마티아 전역
달마티아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이탈리아 왕국과 세르비아 왕국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으로부터 탈취하려 했던 전략적 지역이었다.[41] 이탈리아는 1915년 런던 조약에 따라 연합국에 가입했는데, 이 조약으로 달마티아 대부분을 합병할 권리를 보장받았다.1918년 11월 5일부터 6일까지 이탈리아군은 리스사, 라고스타, 세베니코 및 달마티아 해안의 다른 지역에 도착한 것으로 보고되었다.[43] 같은 해 11월 적대 행위가 끝날 무렵, 이탈리아군은 런던 조약에 따라 이탈리아에 보장된 달마티아 전 지역을 장악했고, 피우메도 점령했다.[44] 엔리코 밀로 제독은 자신을 달마티아의 이탈리아 총독으로 선포했다.[44] 유명한 민족주의자 가브리엘레 단눈치오는 달마티아 점령을 지지했고, 1918년 12월 이탈리아 군함을 타고 자다르로 갔다.[45]
4. 불가리아 전역

발칸 전쟁 이후 불가리아는 러시아와 서방 열강에 반감을 품고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동맹을 맺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초기에는 중립을 지켰으나, 독일의 영토 확장 약속에 따라 1915년 10월 연합국 측에 선전포고하고 참전했다.
불가리아는 세르비아와 루마니아를 상대로 군사적 승리를 거두며 세르비아 남부, 그리스 마케도니아, 도브루자 등을 점령했다. 그러나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경제난과 러시아 혁명의 영향으로 반전 및 반군주제 정서가 확산되었다.
1918년 9월, 연합군의 바르다르 공세로 전세가 불리해지자 페르디난트 1세는 평화를 협상해야 했다. 이후 혁명가들을 진압하고 보리스 3세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뇌이 조약으로 불가리아는 에게 해 연안과 마케도니아 영토 대부분을 잃고, 도브루자를 루마니아에 반환해야 했다.[3]
4. 1. 불가리아의 참전
발칸 전쟁 이후, 불가리아 여론은 러시아와 서방 열강에 대해 반감을 품게 되었다. 불가리아인들은 그들이 아무런 도움도 받지 못했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불가리아가 제2차 발칸 전쟁을 일으킨 것에 대해 비난하며, 세르비아를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슬라브 동맹국으로 여겼다. 불가리아 정부는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동맹을 맺었는데, 이는 불가리아의 전통적인 숙적이었던 오스만 제국과도 동맹을 맺는 것을 의미했다. 불가리아는 더 이상 오스만 제국에 대한 영토 주장을 할 수 없었지만, 세르비아, 그리스, 루마니아는 여전히 불가리아인들이 불가리아 땅으로 여기는 영토를 점유하고 있었다.발칸 전쟁으로 회복 중이던 불가리아는 제1차 세계 대전 첫 해 동안 중립을 지켰다. 독일이 불가리아에 세르비아 마케도니아 전역, 세르비아 북동부 일부, 그리고 의 새로운 차관을 약속하자,[1] 불가리아는 1915년 10월 세르비아에 선전포고했다. 그러자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는 불가리아에 선전포고했다.[1]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동맹을 맺은 불가리아는 세르비아와 루마니아에 대해 군사적 승리를 거두었다. 세르비아 남부 지역 대부분을 점령하고(11월 5일 세르비아의 전시 수도인 니시 점령),[2] 그리스 마케도니아로 진격했다. 그들은 IMRO의 지원을 받았는데, IMRO는 제11 마케도니아 보병 사단으로 불가리아 군대에 합류했다. 불가리아는 나중에 1916년 9월 루마니아로부터 도브루자를 탈취했지만,[2] 전쟁은 엄청난 경제적 어려움을 겪은 대다수 불가리아 국민들에게 곧 인기 없는 것이 되었다. 1917년 2월 러시아 혁명은 불가리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쳐 군대와 도시들 사이에 반전 및 반군주제 정서가 확산되었다.[2]
1918년 9월, 세르비아와 연합군의 연합군이 마케도니아 전선에서 바르다르 공세를 통해 돌파했다. 불가리아군이 도이란에서 그들을 저지했지만,[3] 차르 페르디난드는 평화를 협상해야 했다.[3]
4. 2. 마케도니아 전선에서의 역할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오스트리아-헝가리와 동맹을 맺은 불가리아는 세르비아와 루마니아에 대해 군사적 승리를 거두었다. 불가리아는 세르비아 남부 지역 대부분을 점령하고(11월 5일 세르비아의 전시 수도인 니시 점령), 그리스 마케도니아로 진격했다. 이 과정에서 IMRO의 지원을 받았는데, IMRO는 제11 마케도니아 보병 사단으로 불가리아 군대에 합류했다. 1916년 9월 불가리아는 루마니아로부터 도브루자를 탈취했지만, 전쟁은 엄청난 경제적 어려움을 겪은 대다수 불가리아 국민들에게 곧 인기 없는 것이 되었다. 1918년 9월, 세르비아와 연합군의 연합군이 마케도니아 전선에서 바르다르 공세를 통해 돌파했다. 불가리아군이 도이란에서 연합군을 저지했지만, 차르 페르디난드는 평화를 협상해야 했다.5. 그리스의 국가 분열과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이후, 그리스 왕국은 전쟁 참전 여부를 두고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총리가 이끄는 친(親) 연합국파와 콘스탄티노스 1세 국왕이 이끄는 친(親) 중앙 집권국파로 나뉘어 심각한 정치적 갈등을 겪었다. 세르비아가 중앙 집권국에 정복된 후, 베니젤로스는 연합군이 테살로니키에 상륙하는 것을 허용하여 마케도니아 전선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이후 베니젤로스는 연합군의 지원을 받아 그리스 북부에 국가 방위 임시 정부를 수립하였다.[21] 이로 인해 그리스는 사실상 두 개의 정부로 분열되었고, 연합국과 임시 정부는 노엠브리아나 기간 동안 무력 충돌까지 겪게 되었다.
결국 영국과 프랑스는 베니젤로스의 임시 정부를 그리스의 합법적인 정부로 인정하고, 그리스 왕국을 봉쇄하였다. 1917년 6월, 프랑스군이 테살리아를 점령하면서 콘스탄티노스 1세 국왕은 그리스를 떠났고, 베니젤로스는 아테네로 돌아와 1917년 7월, 중앙 집권국에 공식적으로 선전포고를 하였다.[21]
5. 1. 국가 분열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후 그리스 왕국은 전쟁 참전 여부와 중립 유지 여부를 두고 친연합국파인 베니젤로스와 친중앙집권국파인 콘스탄티노스 1세 왕 사이에 정치적 분열이 일어났다. 세르비아 정복 이후 베니젤로스는 연합군이 테살로니키로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여 마케도니아 전선이 형성되었다. 이후 베니젤로스는 연합군이 통제하는 그리스 북부에 국가 방위 임시 정부를 수립했다.[21] 연합국과 국가 방위 임시 정부는 노엠브리아나 동안 충돌했다.그리스 왕국이 중앙 집권국에 대항하여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지 못하자, 영국과 프랑스는 국가 방위 임시 정부를 그리스의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그리스를 봉쇄했다. 1917년 6월 프랑스군은 테살리아를 점령했고 콘스탄티노스 1세 왕은 그리스를 떠났으며, 베니젤로스는 아테네로 재입성하여 7월에 중앙 집권국에 선전포고했다.[21]
5. 2. 연합국의 개입과 그리스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후, 그리스 왕국은 참전 여부를 두고 친연합국파인 베니젤로스와 친중앙집권국파인 콘스탄티노스 1세 국왕 사이에 정치적 분열이 일어났다. 세르비아 정복 이후, 베니젤로스는 연합군이 테살로니키에 진입하는 것을 허용하여 마케도니아 전선이 형성되었다. 이후 베니젤로스는 연합군 통제 하의 그리스 북부에 국가 방위 임시 정부를 수립했다.[21] 연합국과 국가 방위 임시 정부는 노엠브리아나 기간 동안 충돌했다.그리스 왕국이 중앙 집권국에 대항하여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지 않자, 영국과 프랑스는 국가 방위 임시 정부를 그리스의 합법 정부로 인정하고 그리스를 봉쇄했다. 1917년 6월, 프랑스군이 테살리아를 점령했고, 콘스탄티노스 1세 국왕은 그리스를 떠났다. 이후 베니젤로스는 아테네로 돌아와 7월에 중앙 집권국에 선전포고했다.[21]
6. 마케도니아 전선
1915년 세르비아가 패배한 이후, 그리스 테살로니키(솔로니카)를 중심으로 마케도니아 전선이 형성되었다. 1918년 연합군은 바르다르 공세를 개시하여 불가리아의 항복을 받아냈다. 이후 연합군은 북쪽으로 진격하여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격파하고 세르비아, 알바니아, 몬테네그로를 해방했다.[22]
6. 1. 전선 형성
1915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독일의 지원을 받아 불가리아와 동맹을 맺었다. 세르비아군은 북쪽과 남쪽에서 공격을 받아 몬테네그로와 알바니아를 통해 후퇴해야 했고, 주로 군인들로 구성된 15만 5천 명의 세르비아인만이 아드리아해 연안에 도착하여 연합군 함선으로 그리스로 탈출했다.[1]마케도니아 전선은 테살로니키(솔로니카)에 상륙한 프랑스-영국-이탈리아 연합군의 개입 이후 그리스 국경 부근에서 대략 안정되었다.[1] 독일 장군들은 불가리아군이 솔로니카로 진격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는데, 이는 그리스를 중앙집권국에 합류시키기를 바랐기 때문이다.[1]
6. 2. 바르다르 공세
1918년, 장기간의 준비 끝에 프랑스의 프랑셰 데스페레 장군 지휘 아래 프랑스, 세르비아, 그리스, 영국 연합군이 그리스에서 공격을 개시했다. 초기 승리로 불가리아 정부는 평화를 요청하게 되었다.[22] 이후 연합군은 북쪽을 공격하여 공세를 저지하려던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군을 격파했다.1918년 중반, 프랑셰 데스페레 장군의 지휘 아래 중앙 연합군의 남쪽 측면에 대한 대규모 공세를 펼치기 위해 병력이 증강되었다(프랑스군 8개 사단, 영국군 6개 사단, 이탈리아군 1개 사단, 세르비아군 12개 사단).[22] 1918년 9월 10일에 시작된 성공적인 공세 이후, 연합군은 베오그라드를 해방시켰고, 9월 29일 불가리아를 휴전으로 몰아넣었으며, 오스트리아-헝가리(1918년 11월 4일 휴전에 동의)와 독일 정치 지도부를 위협했다.[22]
7. 루마니아 전역
1916년 연합국의 외교를 통해 루마니아 왕국이 제1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지만, 이는 루마니아에게 비극적인 결과를 가져왔다.[41] 루마니아가 참전한 직후, 독일 제국, 불가리아 왕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3국의 공격으로 1916년 12월 루마니아 영토의 3분의 2가 점령되었다. 그러나 루마니아와 러시아 제국 군대는 간신히 전선을 안정시키고 몰도바를 장악했다.
8. 전후 처리와 영향
제1차 세계 대전의 발칸 전선은 세르비아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간의 갈등에서 시작되었다. 세르비아는 1915년 말까지 오스트리아-헝가리에 맞서 싸웠으나 결국 점령당했다.[41] 아드리아 해 연안의 달마티아(현재의 크로아티아)는 이탈리아 왕국과 세르비아가 노리던 전략적 요충지였다.[41] 이탈리아는 1915년 런던 비밀 협약을 통해 달마티아 할양을 약속받고 참전했다.
1916년에는 루마니아 왕국이 연합국에 가담했지만, 독일 제국, 불가리아, 오스트리아-헝가리의 공격으로 국토의 3분의 2를 빼앗기는 등 큰 피해를 입었다. 그러나 루마니아와 러시아 제국 군대는 몰도바를 지켜내며 전선을 유지했다. 1917년 그리스 왕국이 연합국 측에 가담했고, 1918년에는 동방 연합군이 공세를 시작하여 불가리아와 강화하고 세르비아를 되찾았으며, 11월에는 헝가리 국경까지 진군했다.
전후 처리는 복잡하게 진행되었다. 뇌이 조약으로 불가리아는 영토를 잃었고, 베르사유 조약에서 이탈리아는 약속받았던 달마티아 일부만을 얻어 국민들의 불만이 커졌다. 이러한 불만은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세력 부상에 영향을 주었다.[22] 그리스에서는 메갈리 이데아를 추구하는 민족주의 정부가 들어서면서 전후 유럽의 평화 정착을 어렵게 만들었다.[23]
8. 1. 영토 변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발칸반도에서는 여러 영토 변화가 일어났다. 1919년 뇌이 조약에 따라 불가리아는 에게 해 연안 지역을 그리스에게 빼앗겼다. 또한 마케도니아 영토 대부분을 유고슬라비아 왕국에 넘겨주어야 했으며, 도브루자 지역은 루마니아에 반환해야 했다.8. 2. 정치적 영향
1915년 런던 조약에 따라 달마티아를 할양받기로 약속받고 참전한 이탈리아는 1919년 베르사유 조약에서 달마티아의 일부만을 할양받아 국민들의 불만이 커졌다.[22] 이러한 불만은 국민적 자존심 회복에 대한 열망과 결합되어 베니토 무솔리니의 파시스트 이데올로기 부상에 영향을 주었다. 무솔리니는 이탈리아를 부흥시키고 강대국으로 복귀시키겠다는 약속으로 많은 이탈리아인들의 공감을 얻었고, 이는 그의 "전투 파시스트 단"의 부상으로 이어졌다.[22]존 키건(John Keegan)은 "아테네에 극단적인 민족주의적이고 반(反)튀르크 정부가 수립되면서, '메갈리 이데아'(Μεγάλη Ιδέα, 거대 사상), 즉 동방의 그리스 제국 회복을 위한 그리스의 동원이 이루어졌고, 이는 전쟁이 끝난 후 수년 동안 유럽 평화 재정착을 위한 연합군의 노력을 복잡하게 만들었다"고 주장했다.[23]
참조
[1]
서적
Spencer Tucker. The European powers in the First World War: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4-11-30
[2]
웹사이트
Reporters - Reporters: How the Salonica front led to victory in WWI
https://www.france24[...]
2021-01-19
[3]
웹사이트
Statistics of the military effort of the British Empire during the Great War, 1914–1920, p. 739
https://archive.org/[...]
London H.M. Stationery Off
2023-02-27
[4]
서적
World War I: People, Politics, and Power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2010
[5]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War I
2005
[6]
웹사이트
Turkey in the First World War - Macedonia
https://web.archive.[...]
2015-11-18
[7]
서적
Wars and Population
Moscow
1971
[8]
간행물
Statistics of the Military Effort of the British Empire During the Great War 1914–1920
The War Office
[9]
서적
Le Front d'Orient. Des Dardanelles à la victoire finale
Tallandier
2014
[10]
웹사이트
Reporters: How the Salonica Front led to victory in WWI
https://www.france24[...]
2018-11-09
[11]
문서
Serbian military casualties in World War I
[12]
문서
Medical Services: Casualties and Medical Statistics of the Great War
[13]
서적
L’Esercito italiano nella Grande Guerra (1915-1918), vol. VII: Le operazioni fuori del territorio nazionale: Albania, Macedonia, Medio Oriente, t. 3° bis: documenti
Ministero della Difesa
1981
[14]
문서
Losses are given as follows for 1916 to 1918. Macedonia: Albania:
[15]
서적
World War I: People, Politics, and Power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2010
[16]
웹사이트
Kitchener in east worries the Kaiser
https://books.google[...]
The Morning Leader
2024-03-19
[17]
서적
Armies in the Balkans 1914-18
Osprey Publishing
2001
[18]
서적
History of Dalmatia
Giardini
1993
[19]
서적
Mussolini in the First World War: the Journalist, the Soldier, the Fascist
Berg
2005
[20]
서적
The Rise of Italian Fascism: 1918-1922
Routledge
2010
[21]
서적
1974
[22]
서적
Les erreurs stratégiques pendant la Première Guerre Mondiale
Economica
2011
[23]
서적
World War I
Vintage
2000
[24]
서적
Spencer Tucker. The European powers in the First World War: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2014-11-30
[25]
서적
Prelude to Blitzkrieg: The 1916 Austro-German Campaign in Romania
Indiana University Press
2013
[26]
문서
Serbian campaign of World War I and Romanian Front
[27]
서적
World War I: People, Politics, and Power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2010
[28]
서적
Prelude to Blitzkrieg: The 1916 Austro-German Campaign in Romania
[29]
웹사이트
Unde nu se trece
http://www.historia.[...]
[30]
서적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те: Военна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те от древността до наши дни
https://books.google[...]
[31]
서적
Ordered to die : a history of the Ottoman army in the first World War
[32]
문서
Casualties in Romania and Macedonia
[33]
서적
Wars and Population
Moscow
1971
[34]
간행물
Statistics of the Military Effort of the British Empire During the Great War 1914–1920
The War Office
[35]
서적
World War I: People, Politics, and Power
Britannica Educational Publishing
2010
[36]
간행물
General Annual Report of the British Army 1912–1919
The Army Council
[37]
문서
메소포타미아나 터키 다르다넬스 해협 등지 전선의 희생자 수 과소보고
[38]
간행물
Enquête sur la production. Rapport général.
International Labour Office
[39]
웹사이트
https://encyclopedia[...]
[40]
서적
The First World War
Hutchinson
[41]
문서
미수복 이탈리아 지역과 이탈리아 왕국의 영토 주장
[42]
서적
Armies in the Balkans 1914-18
Osprey Publishing
[43]
서적
History of Dalmatia
Giardini
[44]
서적
Mussolini in the First World War: the Journalist, the Soldier, the Fascist
Berg
[45]
서적
The Rise of Italian Fascism: 1918-1922
Routledge
[46]
서적
World War I
Vintage
[47]
웹사이트
http://www.cheminsde[...]
[48]
웹사이트
British Army statistics of the Great War
http://www.1914-1918[...]
2014-11-30
[49]
간행물
România în războiul mondial (1916-1919)
[50]
서적
The European powers in the First World War: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14-11-30
[51]
서적
Wars and Population
Moscow
[52]
간행물
Statistics of the Military Effort of the British Empire During the Great War 1914–1920
The War Office
[53]
간행물
Military Casualties-World War-Estimated
Statistics Branch, GS, War Department
1924-02-25
[54]
간행물
General Annual Report of the British Army 1912–1919
The Army Council
[55]
간행물
Military Casualties-World War-Estimated
Statistics Branch, GS, War Department
1924-02-25
[56]
간행물
Military Casualties-World War-Estimated
Statistics Branch, GS, War Department
1924-02-25
[57]
서적
Prelude to Blitzkrieg: The 1916 Austro-German Campaign in Romania
[58]
웹사이트
Unde nu se trece
http://www.historia.[...]
2017-02-27
[59]
서적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те: Военна история на българите от древността до наши дни
https://books.google[...]
[60]
서적
Ordered to die : a history of the Ottoman army in the first World W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