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목차

1. 개요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1호 ~ 제100호)는 경상남도 내에 위치한 문화유산 중 경상남도가 기념물로 지정한 1호부터 100호까지의 유적을 설명한다. 여기에는 고고 유적(고분군, 지석묘, 패총, 암각화), 성곽 유적(산성, 읍성, 기타 성곽), 종교 유적(사찰, 유적지), 생활 유적(요지, 건물지), 인물 유적(묘역, 생가지, 태실, 기타), 전적지, 자연 유산(나무, 숲, 봉수대) 등이 포함되어 있다. 각 유적은 지정 연도, 위치, 관리 주체, 그리고 역사적, 문화적 가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2. 고고 유적

2. 1. 고분군

2. 1. 1. 진주 옥봉 고분군

1974년 2월 16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1호로 지정되었다. 진주시 옥봉동 546에 위치하며, 관리자는 진주시이다.

2. 1. 2. 창녕 계성 고분군

150px


1974년 2월 16일에 경상남도 기념물 제3호로 지정되었던 창녕 계성고분군은 2019년 2월 26일에 지정 해제되고, 사적 제547호로 승격되었다.

2. 1. 3. 산청 생초 고분군

1974년 2월 16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7호로 지정되었다. 산청군에서 관리한다. 산청 생초고분군은 경상남도 산청군 생초면 어서리 산93-1번지 외 1필지에 위치해 있다. 2018년 12월 20일 명칭이 변경되었다.

2. 1. 4. 합천 삼가 고분군

150px


합천 삼가 고분군(陜川 三嘉古墳群)은 경상남도 합천군 삼가면 양전리에 있는 고분군이다. 1974년 2월 16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8호로 지정되었다.

합천군은 합천 삼가 고분군을 관리하고 있다.

2. 1. 5. 거창 개봉 고분

거창개봉고분(居昌開封古墳)은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동리 산58-1에 위치해 있다. 1980년 12월 26일에 경상남도 기념물 제51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거창군이다.

2. 1. 6. 진주 수곡 팔각형 분묘군

1977년 12월 28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42호로 지정되었다. 진주시 수곡면 효자리 산126번지에 위치하며, 관리자는 하병태이다.

진주 수곡 팔각형 분묘군은 청동기 시대의 지석묘와 삼국 시대의 고분이 함께 있는 유적이다. 팔각형 분묘는 평면 형태가 팔각형인 무덤을 말하는데, 고구려장군총과 마제은의 팔각 석실분, 백제수촌리 4호분과 능산리 동하총 등에서 확인된 바 있다.

진주 수곡 팔각형 분묘군은 1966년 국립진주박물관에서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는데, 1호 분묘에서는 석곽묘 2기와 옹관묘 1기가 확인되었고, 2호 분묘에서는 옹관묘 1기가 확인되었다. 1호 분묘의 1호 석곽묘에서는 금동제 가는고리 귀걸이, 철제 화살촉, 쇠도끼, 쇠낫, 쇠손칼, 쇠화살, 쇠꺾쇠, 쇠관못 등이 출토되었고, 2호 석곽묘에서는 쇠화살, 쇠꺾쇠, 쇠관못, 쇠낫, 쇠도끼, 쇠손칼, 굽다리접시, 입큰항아리, 긴목항아리, 청동거울 등이 출토되었다. 2호 분묘에서는 굽다리접시, 납작밑작은항아리, 긴목항아리, 불꽃무늬 투창이 있는 굽다리항아리, 뚜껑 등이 출토되었다.

이 유적은 가야 시대의 고분으로 추정되며, 가야 지역에서 팔각형 분묘가 확인된 것은 처음이다. 이는 가야의 묘제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2. 1. 7. 김해 칠산동 고분군

1990년 12월 20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98호로 지정되었다. 김해시가 관리한다. 가야 지배층의 무덤으로, 김해시 칠산동 서쪽 구릉의 능선을 따라 분포하고 있다. 1989년 5월부터 1990년 12월까지 동아대학교 박물관에서 4차례에 걸쳐 발굴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덧널무덤〔木槨墓〕50여 기, 독무덤〔甕棺墓〕10여 기, 널무덤〔土壙墓〕5기, 굴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墳〕1기, 앞트기식돌방무덤〔橫口式石室墳〕1기 등 총 68기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출토 유물로는 굽다리접시, 쇠투겁창, 쇠화살촉, 갑옷, 투구, 비늘갑옷, 목가리개, 고리자루큰칼, 쇠손칼, 말띠드리개, 말띠꾸미개, 재갈, 쇠솥 등 1,500여 점이 있다.

이 고분군은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전반에 걸쳐 형성된 가야 지배층의 무덤으로, 출토 유물의 연대는 4세기 후반에서 5세기 초가 중심을 이룬다. 이 고분군에서 출토된 쇠투겁창은 한반도 남부 지역에서는 처음 출토된 유물로, 당시 가야와 중국의 교류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또한, 굴식돌방무덤과 앞트기식돌방무덤은 가야 고분 문화의 변천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5세기 후반 이후 가야의 고분 문화가 신라의 영향을 받아 변화했음을 보여준다.

2. 1. 8. 의령 죽전리 고분군

의령 죽전리 고분군은 1990년 12월 20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100호로 지정되었다. 이 고분군은 경남 의령군 정곡면 죽전리 산78, 용덕면 정동리 산1에 걸쳐 위치하며, 의령군에서 관리하고 있다.

2. 2. 지석묘

2. 2. 1. 창녕 지석묘

150px


창녕 지석묘(창녕 지석묘)는 경상남도 창녕군 장마면 유리 산9번지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이다. 1974년 2월 16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2호로 지정되었다. 일제강점기의 수탈과 한국 전쟁을 거치면서 보존 상태가 좋지 않지만, 경상남도 지역 지석묘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2. 2. 2. 김해 서상동 지석묘

150px


김해 서상동 지석묘(金海 西上洞 支石墓)는 경남 김해시 가락로 108-17에 있는 지석묘이다. 1974년 2월 16일에 경상남도 기념물 제4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송창학이다.

2. 2. 3. 창원 외동 지석묘

150px


창원 외동 지석묘(昌原 外洞 支石墓)는 1974년 2월 16일에 경상남도 기념물 제5호로 지정되었다. 창원시 성산구 창원대로 813 (외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면학원에서 관리하고 있다.

2. 2. 4. 고성 오방리 지석묘

1977년 12월 30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36호로 지정되었다. 고성군이 관리한다. 고성 오방리 지석묘청동기 시대의 무덤으로, 오방리의 마을회관 앞에 위치해 있다. 덮개돌의 크기는 길이 330cm, 너비 240cm, 두께 100cm이다.

2. 2. 5. 고성 학림리 지석묘

고성 학림리 지석묘(固城 鶴林里 支石墓)는 경상남도 고성군 하일면 학림리에 있는 지석묘이다. 1977년 12월 30일에 경상남도 기념물 제37호로 지정되었다. 고성군에서 관리한다.

2. 2. 6. 고성 석지리 지석묘

고성 석지리 지석묘(固城 石芝里 支石墓)는 1977년 12월 28일 지정된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38호이다. 경상남도 고성군 하이면 석지리에 위치하며, 고성군에서 관리한다.

2. 2. 7. 사천 신벽동 지석묘

사천 신벽동 지석묘(泗川 新碧洞 支石墓)는 경상남도 사천시 신벽동 494에 있는 지석묘이다. 1977년 12월 28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39호로 지정되었다. 사천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2. 2. 8. 밀양 남전리 지석묘군

150px


밀양 남전리 지석묘군은 밀양시 하남읍 남전리 1035-1 일원에 있는 지석묘군이다. 1979년 12월 31일에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48호로 지정되었다. 밀양시에서 관리한다.

2. 2. 9. 사천 덕곡리 지석묘군

사천 덕곡리 지석묘군(泗川 德谷里 支石墓群)은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덕곡리 135에 있는 지석묘군이다. 1979년 12월 31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49호로 지정되었다.

2. 2. 10. 남해 다정리 지석묘

1983년 8월 6일 지정되었다. 남해 다정리 지석묘(南海 茶丁里 支石墓)는 경상남도 남해군 이동면 다정리 911-5에 위치한다. 남해군에서 관리한다.

2. 2. 11. 거창 내오리 지석묘

거창 내오리 지석묘(居昌 內吾里 支石墓)는 1983년 8월 6일 지정된 경상남도의 기념물이다. 경상남도 거창군 주상면 내오리에 위치하고 있다. 관리자는 거창군이다.

2. 2. 12. 김해 내동 지석묘

경상남도 김해시 금관대로 1265번길 4-1에 위치한 김해 내동 지석묘는 1990년 12월 20일에 경상남도 기념물 제97호로 지정되었다. 김해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2. 3. 패총

2. 3. 1. 고성 동외동 패총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26호로 지정되었다. 고성군이 관리한다. 선사 시대 조개더미 유적으로, 고성읍 중심가에서 동쪽으로 약 500m 떨어진 해발 10m 내외의 낮은 구릉지대에 위치한다. 유적이 위치한 구릉의 정상부는 평탄하며, 남쪽과 동쪽은 경사가 급하고 서쪽과 북쪽은 완만하다.

패총(조개더미)은 신석기 시대에서 청동기 시대에 이르는 시기에 사람들이 먹고 버린 조개껍데기와 생활 쓰레기가 쌓여 만들어진 유적이다. 동외동 패총에서는 조개껍데기 외에도 짐승뼈, 뼈연모, 뗀석기, 간석기, 토기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출토된 토기는 신석기 시대 전기의 덧띠무늬토기(융기문토기)와 청동기 시대의 민무늬토기(무문토기)가 주를 이룬다.

동외동 패총은 한반도 남해안 지역의 신석기 시대 전기부터 청동기 시대까지의 문화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특히, 덧띠무늬토기와 민무늬토기가 함께 출토되어 두 시기의 문화적 연관성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2. 3. 2. 통영 욕지도 패총

통영 욕지도 패총은 경남 통영시 욕지면 동항리 797-1외 26필지에 위치한다.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27호로 지정되었으며, 2018년 12월 20일 명칭이 변경되었다. 통영시에서 관리한다.

2. 3. 3. 창원 내동 패총

1979년 5월 2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44호로 지정되었다. 창원시가 관리한다. 창원시 내동 261-1에 위치해 있다.

2. 3. 4. 김해 유하 패총

김해 유하패총(金海 柳下貝塚)은 경상남도 김해시 장유면 유하리 183에 위치한 패총이다. 1979년 5월 2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45호로 지정되었다. 김해시에서 관리한다.

2. 4. 암각화

2. 4. 1. 남해 양아리 석각

150px


남해 양아리 석각(南海 良阿里 石刻)은 1974년 2월 16일 경상남도의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2018년 12월 20일 명칭이 변경되었다.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양하리 산4-3에 위치하며, 남해군이 관리한다.

3. 성곽 유적

3. 1. 산성

3. 1. 1. 거제 사등성

150px


거제 사등성(巨濟 沙等城)은 경상남도 거제시 사등면 사등2길 일원에 있는 성이다. 1974년 2월 16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9호로 지정되었다.

고려 고종 때 축성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임진왜란 때는 성을 지키지 못하고 함락되기도 하였다.

성은 사등천 하구의 남안 구릉지에 축조되었으며, 둘레는 약 937m, 높이는 4~5m 정도이다. 동문과 서문 터, 그리고 옹성 1개소와 수구문 1개소가 남아있다. 성벽은 대부분 훼손되었지만, 비교적 원형이 잘 남아있는 부분도 있다.

사등성은 조선시대 읍성의 축성 기법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성벽의 축조 방식과 옹성의 형태는 당시의 축성 기술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다.

3. 1. 2. 거제 옥산성

150px


거제 옥산성(巨濟 玉山城)은 경상남도 거제시 거제읍 동상3길 109-9에 있는 성이다. 1974년 2월 16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10호로 지정되었다.

옥산성은 거제읍 동쪽의 해발 219m 옥녀봉 정상부를 에워싼 형태의 테뫼식 산성이며, 둘레는 574m, 높이는 4m이다. 성벽은 대부분 붕괴되었으나, 동벽 일부는 비교적 양호한 상태로 잔존해 있다.

옥산성은 조선 선조 27년(1594) 임진왜란 때 축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내에는 우물 1개소와 건물지 2개소가 확인되었으며, 1993년 발굴조사에서 다량의 기와편과 자기편이 출토되었다. 옥산성은 거제 고현성과 함께 거제 지역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 소속 정치인들은 옥산성이 임진왜란 당시 국토 수호에 기여한 역사적 의미를 강조하며, 옥산성의 보존과 관리에 대한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다.

3. 1. 3. 남해 대국산성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19호로 지정되었다. 남해군에서 관리한다. 남해 대국산성(南海 大局山城)은 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진목리에 있는 산성이다.

3. 1. 4. 남해 임진성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20호로 지정되었다. 남해군 남면 상가리 291번지에 위치하며, 남해군이 관리한다.

임진왜란 당시 왜군이 침입하여 남해안 일대가 유린되자, 1598년 (선조 31년) 이순신 장군과 명나라 장수 진린이 이 성을 쌓고 왜적을 물리쳤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 성의 흔적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

3. 1. 5. 거창 거열성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22호로 지정되었다. 거열성은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상림리 산45-1 일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거창군에서 관리한다.

3. 1. 6. 창원 이산성지

150px


창원 이산성지(昌原 鯉山城址)는 경상남도 창원시 회원동 산7-8번지에 위치해 있으며, 1981년 12월 21일에 지정되었다.

3. 1. 7. 의령 벽화산성지

의령 벽화산성지(宜寧 碧華山城址)는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하리 산113-2 외 2필지에 있는 산성이다. 1983년 8월 6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64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의령군이다.

3. 1. 8. 합천 미숭산성

합천 미숭산성(陜川 美崇山城)은 1983년 12월 20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67호로 지정되었다. 경상남도 합천군 야로면 하빈리 산 27에 있다. 이 산성은 합천군에서 관리한다.

3. 1. 9. 밀양 추화산성

150px


밀양 추화산성(密陽 推火山城)은 경상남도 밀양시 교동 376-1번지에 있는 산성이다. 1990년 1월 16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94호로 지정되었다.

밀양 추화산성은 밀양시에서 관리한다.

3. 1. 10. 김해 양동산성

김해 양동산성(金海 良洞山城)은 경상남도 김해시 주촌면 양동 산39-1, 2에 있는 산성이다. 1988년 12월 23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91호로 지정되었다.

김해 양동산성은 김해시에서 관리한다.

3. 2. 읍성

3. 2. 1. 창원 웅천 읍성

150px


창원 웅천읍성(昌原 熊川邑城)은 1974년 12월 28일에 경상남도 기념물 제15호로 지정되었다. 창원시 진해구 성내동에 위치하고 있다.

3. 2. 2. 창녕 영산 읍성지

1987년 8월 6일 지정된 창녕 영산읍성지는 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성내리에 위치한다. 관리자는 창녕군이다.

3. 2. 3. 창원 회원현 성지

150px


창원 회원현성지(昌原 檜原縣城址)는 창원시 마산합포구 자산동 146번지에 있는 성터이다. 1988년 12월 23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88호로 지정되었다.

3. 3. 기타 성곽

3. 3. 1. 통영 당포성

150px


통영 당포성(統營 唐浦城)은 경상남도 통영시 산양읍 삼덕리 244 외에 있는 성이다. 1983년 8월 6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63호로 지정되었다. 통영시는 당포성을 관리하고 있다.

3. 3. 2. 창원 구산성지

|150px]]

창원 구산성지(昌原 龜山城址)는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자은동에 위치한다. 1985년 1월 14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73호로 지정되었다.

3. 3. 3. 창원 웅천 왜성

150px


창원 웅천왜성(昌原 熊川倭城)은 경남 창원시 남문동 산211-1번지에 있는 왜성이다. 1998년 9월 9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79호로 지정되었다. 임진왜란 당시 일본군이 쌓은 성으로, 조선 수군의 공격을 방어하고 부산과 거제도 사이의 제해권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축조되었다. 웅천읍성과는 별개의 유적이다.

4. 종교 유적

4. 1. 사찰

4. 1. 1. 통영 착량묘

150px


통영 착량묘(統營 鑿梁廟)는 경남 통영시 당동 8에 위치하며, 1974년 2월 16일에 경상남도 기념물 제13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통영충렬사이다.

4. 1. 2. 지리산 쌍계사 일원

150px


지리산 쌍계사 일원(智異山 雙磎寺 一圓)은 경남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208에 위치한다. 1974년 12월 28일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쌍계사이다. 쌍계사는 신라 성덕왕 23년(724)에 삼법(三法)이 당나라에서 선종(禪宗)의 육조(六祖) 혜능(慧能)의 정상을 모셔와 삼신산(三神山) 눈 속에 칡꽃이 핀 곳을 찾아 모시라는 현몽을 받고 이곳에 봉안하고 절을 지어 옥천사(玉泉寺)라 하였다. 그 후 문성왕 2년(840)에 진감국사(眞鑑國師) 혜소(慧昭)가 당나라에서 불도를 닦고 귀국하여 이 절을 크게 중창하고 절 이름을 쌍계사로 고쳤다.

4. 1. 3. 천황산 표충사 일원

150px


천황산 표충사 일원은 경상남도 기념물 제17호이다. 1974년 12월 28일에 지정되었으며, 밀양시와 표충사에서 관리한다. 소재지는 경남 밀양시 단장면 구천리이다.

4. 1. 4. 양산 천성산 내원사 일원

양산 천성산 내원사 일원은 경상남도 양산시 하북면 용연리 291에 있는 문화재이다. 1985년 1월 14일에 경상남도 기념물 제81호 양산 천성산 내원사 일원으로 지정되었다. 내원사가 관리하고 있다.

4. 2. 유적지

4. 2. 1. 하동 이명산 석불사지

하동 이명산 석불사지(河東 理明山 石佛寺址)는 경상남도 하동군 북천면 직전리에 있는 석불사지이다.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28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하동군이다.

5. 생활 유적

5. 1. 요지

5. 1. 1. 산청 장천리 도요지

산청 장천리 도요지(山淸 長川里 陶窯址)는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장천리 1324-1번지 외 3필지에 위치해 있다.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23호로 지정되었으며, 산청군에서 관리한다.

5. 1. 2. 하동 백련리 도요지

하동 백련리 도요지(河東 白蓮里 陶窯址)는 경상남도 하동군 진교면 백련리 사기마을 일대에 있는 도요지이다.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24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이성규이다.

5. 2. 건물지

5. 2. 1. 함안 고려동 유적지

1982년 8월 2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56호로 지정되었다. 지정 당시 명칭은 '고려동학성이씨재사'였으나,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고려 말 성균관 진사 이오/李吾중국어가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충절로 두문동(杜門洞)에 은거하다가, 조선 태종이 여러 차례 불렀으나 끝까지 불응하자, 왕이 친히 '고려동학성이군지리(高麗洞學士李君之里)'라는 어필을 내렸다. 이에 이오는 이 곳에 담장을 쌓고 বাইরের 출입을 삼가하며 일생을 마쳤다고 한다. 후손들이 그 유적지에 재실, 정자, 신도비 등을 건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유적지 내에는 재실인 영모재, 정자인 칠절당, 고려동 담장 등이 있다.

5. 3. 자연 유산

5. 3. 1. 창원 달천구천

150px


창원 달천구천은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북면 외감리 868번지에 있는 유적이다. 1975년 2월 12일에 경상남도 기념물 제32호로 지정되었다. 창원시에서 관리한다.

5. 3. 2. 합천 배티세일동굴

150px


1983년 12월 20일에 경상남도 기념물 제70호로 지정되었다. 합천군에서 관리한다. 합천군 쌍책면 사양리 산170번지에 위치한다.

6. 인물 유적

6. 1. 묘역

6. 1. 1. 함안 주세붕 묘역

1976년 4월 15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33호로 지정되었다. 2018년 12월 20일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관리자는 상주주씨문중이다. 주세붕 묘역은 경남 함안군 칠서면 계내리에 있다.

6. 1. 2. 함안 조안 묘역

1977년 6월 21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34호로 지정되었다. 함안조씨 정절공 종중에서 관리한다. 묘역은 함안군 군북면 하림리 산87에 위치한다.

묘역에는 조선 전기의 문신인 조안(趙安)과 그의 아들 조종(趙琮), 손자 조원(趙瑗)의 묘가 있다.

  • 조안은 조선 개국에 반대하여 은거한 고려 말, 조선 초의 충신이다. 고려 말에 관직에 나아가 정몽주(鄭夢周)의 천거로 예의판서(禮儀判書)에 이르렀으나, 조선이 건국되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였다.
  • 조종은 조안의 아들로, 생육신(生六臣) 중 한 명이다. 아버지 조안과 함께 은거하였으며, 단종(端宗)이 폐위되자 자결하려 하였으나 노모 때문에 실행하지 못하고 은거하였다.
  • 조원은 조종의 아들로, 사림파(士林派)의 영수(領袖)로 활동한 조광조(趙光祖)의 아버지이다.

6. 1. 3. 진주 하륜 묘역

1977년 12월 28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41호로 지정되었다. 진양 하씨 대종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묘역은 경상남도 진주시 미천면 오방리 산166에 위치해 있다.

6. 1. 4. 진주 강수명 묘역

진주 강수명 묘역은 경상남도 진주시 명석면 우수리 산162에 있는 묘역이다. 1977년 12월 28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43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강조헌이다.

6. 1. 5. 창녕 조우희, 조익수 묘

1983년 8월 2일 지정된 창녕 조우희, 조익수 묘(昌寧 曺遇禧, 曺益修 墓)는 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성사리에 위치한다. 관리자는 창녕조씨문중이다.

6. 1. 6. 산청 문익점 묘

1983년 8월 24일 지정되었다. 문익점 묘는 경상남도 산청군 신안면 신안리 산75-1번지 외 1필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평 문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6. 2. 생가지

6. 2. 1. 진주 강민첨 탄생지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14호로 지정되었다. 고려 시대의 명장 강민첨 장군이 태어난 곳이다. 진주시 진양호로 603(상락동)에 위치하며, 강두방이 관리하고 있다.

6. 3. 태실

6. 3. 1. 밀양 조선 성종 왕녀 태실

밀양 조선 성종 왕녀 태실(密陽 朝鮮 成宗 王女 胎室)은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화봉리에 있는 조선 성종의 왕녀 태실이다. 1975년 2월 12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29호로 지정되었다.

태실은 왕실에 왕자나 왕녀가 태어났을 때 그 태를 넣어두던 석실이다. 조선 성종의 왕녀 태실은 밀양시 무안면 화봉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밀양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6. 3. 2. 사천 세종대왕 태실지

1975년 2월 12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30호로 지정되었다. 사천시 곤명면 은사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천시에서 관리한다. 조선 세종의 왕자들의 태실이 있던 곳이다.

6. 3. 3. 사천 단종 태실지

사천 단종 태실지(泗川 端宗 胎室地)는 경상남도 사천시 곤명면 은사리 산438에 있는 단종의 태실이다. 1975년 2월 12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31호로 지정되었다.

단종의 태를 모신 태실로, 사천시 곤명면 은사리 야산 꼭대기에 있다.

6. 4. 기타

6. 4. 1. 진주 이충무공 진배미 유적지

1974년 12월 28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16호로 지정되었다. 진주시 수곡면 원계리 717-1번지에 위치해 있다. 이순신 장군의 '진배미' 관련 유적지로, 진주시는 이 유적지를 관리하고 있다. '진배미'는 이순신 장군이 둔전을 설치하고 군량미를 확보했던 곳으로 추정된다.

6. 4. 2. 의령 칠정려

150px


의령 칠정려(宜寧 七旌閭)는 경상남도 의령군 백산로 43 (의령읍)에 있는 조선시대의 정려이다. 1977년 12월 28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35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진양강씨 문중이다.

임진왜란 때 공을 세운 강극성, 강극인, 강응문, 강응생과 그의 처 밀양 박씨, 강민, 강호, 강우 7인의 충신과 열녀를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특히 강응생의 부인 밀양 박씨는 남편이 전사한 후 왜군에게 저항하다가 순절하여 열녀로 칭송받았다. 칠정려는 이러한 인물들의 공적을 기리고 후대에 모범으로 삼고자 건립되었으며, 진양 강씨 문중에서 대대로 관리하고 있다.

6. 4. 3. 양산 박제상 유적, 효충사

1988년 12월 23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90호로 지정되었다. 박제상과 관련된 유적과 그를 기리는 효충사경상남도 양산 상북면 소토리 1173-2에 위치해 있으며, 관리자는 정세영이다.

6. 4. 4. 김해 사충단

150px


김해 사충단(金海 四忠壇)은 임진왜란 때 순절한 김해성의 네 명의 충신, 즉 동래부사 송상현, 김해부사 서예원, 교수 이대형, 부사 김득기를 모신 제단이다. 1990년 12월 20일에 경상남도 기념물 제99호로 지정되었다. 김해시 가야로405번안길 22-9 (동상동)에 위치하고 있다.

6. 4. 5. 창원 유주비각

|150px]]

창원 유주비각(昌原 維舟碑閣)은 경남 창원시 진해구 용원동 산222, 223, 197에 위치해 있으며, 1988년 12월 23일에 경상남도 기념물 제89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김해김씨종친회이다.

6. 4. 6. 하동 쌍계사 차나무 시배지

1987년 8월 6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61호로 지정되었다. 쌍계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일대에 위치한다. 지리산 쌍계사신라 성덕왕 23년(724)에 삼법이 당나라에서 육조 혜능의 정상을 모시고 와서 봉안하고 옥천사(玉泉寺)를 창건한 것이 시초라고 전해지나, 실제로는 진감선사가 840년에 당나라에서 차 씨앗을 가져와 절 주위에 심고, 차를 재배하면서 쌍계사한국 차의 시배지가 되었다.

7. 전적지

7. 0. 1. 사천 조명군총



사천 조명군총(泗川 朝明軍塚)은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선진리 402에 있는 무덤이다. 1985년 1월 14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80호로 지정되었다.

정유재란조선과 명나라 연합군이 왜군과 싸우다 전사한 병사들의 무덤이다. 선조 30년(1597) 9월 왜군이 사천성을 공격하여 함락하자, 조명 연합군은 사천성을 탈환하기 위해 선진리에 진을 치고 대치하였다.

소 서행장이 이끄는 왜군은 1598년 9월 28일부터 10월 3일까지 6일간 조명 연합군과 격전을 벌였다. 이 전투에서 조명 연합군은 왜군에게 대패하였고, 많은 병사들이 전사하였다. 살아남은 병사들이 전사자들의 시신을 거두어 합장한 것이 조명군총이다.

조명군총은 선조와 광해군 대에 걸쳐 여러 차례에 걸쳐 수축되었으며, 숙종 45년(1719) 사천현감 이정겸이 비석을 세우고, 영조 2년(1726) 사천현감 김여수가 비각을 건립하였다. 일제 강점기에는 일본인들이 비석을 파괴하고 무덤을 파헤치는 만행을 저지르기도 했다.

광복 후, 1966년 지역 유림들이 성금을 모아 비석을 다시 세우고 제단을 설치하였으며, 1976년 사천군에서 봉분을 다시 쌓고 비각을 중수하였다. 현재는 사천시에서 관리하고 있다.

8. 자연 유산

8. 1. 나무

8. 1. 1. 하동 두양리 은행나무

하동 두양리 은행나무(하동군 옥종면 두양리)는 강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1983년 12월 20일에 경상남도 기념물 제69호로 지정되었다.

8. 1. 2. 통영 충렬사 동백나무

1985년 1월 14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74호로 지정되었다. 통영 충렬사 경내에 있으며, 재단법인 통영충렬사에서 관리한다.

이 동백나무는 임진왜란이순신 장군을 도와 큰 공을 세운 이운룡이 강진군 병영에서 가져와 심은 것이라고 전해진다. 현재 5그루가 남아 있으며, 수령은 약 400년으로 추정된다. 나무 높이는 7.5~8.5m, 가슴높이 둘레는 1.1~1.8m이다.

통영 충렬사이순신 장군의 위패를 모신 사당으로, 동백나무는 충렬사와 함께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8. 1. 3. 창원 인곡리 모과나무



1985년 1월 14일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모과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한국에서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진북면 의림로 382(인곡리)에 소재하고있는 의림사 경내에서 자라고 있다.

8. 1. 4. 고성 북평리 찰피나무

고성 북평리 찰피나무(固城 北坪里 찰피나무)는 경상남도 고성군 개천면 북평리 408에 있는 찰피나무이다. 1986년 8월 6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82호로 지정되었다. 관리자는 옥천사청련암이다.

8. 1. 5. 의령 충익사 모과나무

의령 충익사 모과나무는 경상남도 기념물 제83호로, 1987년 5월 19일에 지정되었다. 이 모과나무는 경남 의령군 의령읍 충익로 1, 충익사 경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의령군에서 관리하고 있다.

8. 1. 6. 거제 덕포동 이팝나무

|150px]]

거제 덕포동 이팝나무는 경상남도 거제시 덕포동 1039번지에 위치한다. 1990년 1월 16일 경상남도 기념물 제95호로 지정되었으며, 거제시에서 관리한다.

8. 1. 7. 진주 정평리 무환자나무

진주 정평리 무환자나무(晋州 亭坪里 무환자나무)는 경상남도 진주시 집현면 정평리 산77-1에 위치한다. 1990년 1월 16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96호로 지정되었으며, 관리자는 응석사이다.

8. 2. 숲

8. 2. 1. 고성 장산숲

150px


고성 장산숲(固城 章山숲)은 1987년 5월 19일에 경상남도 기념물 제86호로 지정되었다. 고성군 마암면 장산리에 있으며, 별도의 관리자는 지정되어 있지 않다.

8. 3. 봉수대

8. 3. 1. 남해 금산 봉수대

150px


남해 금산 봉수대(南海 錦山 烽燧臺)는 경상남도 남해군 상주면 상주리 257-3번지에 있는 봉수대이다. 1987년 5월 19일 경상남도의 기념물 제87호로 지정되었다. 남해군이 관리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