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의 유형문화재 (제401호 ~ 제500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01호 ~ 제500호)는 경상북도에서 지정한 유형문화재 목록의 일부이다. 이 목록은 다양한 시기의 불교 문화재, 유교 문화재, 건축 문화재, 고문서 및 전적 등을 포함한다. 불교 문화재로는 불상, 불화, 석탑, 부도 등이 있으며, 유교 문화재로는 향교, 서원, 정자, 고문서 등이 있다. 건축 문화재는 사찰의 대웅전, 누각, 일주문 등이 포함된다. 각 문화재는 경상북도의 역사와 문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는 지정번호 순으로 경상북도 내에 있는 유형문화재를 소개한다.
2.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목록 (제401호 ~ 제500호)
2. 1. 불교 문화재
경상북도 내 사찰에는 불상, 불화, 탑, 부도 등 다양한 불교 관련 문화재가 소장되어 있다.2. 1. 1. 불상
2. 1. 2. 불화
다음은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01호에서 제500호 중 불화에 대한 내용이다.
번호 | 명칭 | 소재지 | 지정일 |
---|---|---|---|
406호 | 안동 봉황사 삼세불화 | 안동시 임동면 수곡리 563 (안동민속박물관 보관) | 2008년 11월 3일 |
415호 | 김천 청암사 아미타불회도 | 김천시 증산면 평촌리 688 | 2009년 8월 31일 |
416호 | 김천 청암사 신중도 | 김천시 증산면 평촌리 688 | 2009년 8월 31일 |
423호 | 울진 불영사 신중탱화 | 울진군 서면 불영사길 48(하원리 120) | 2010년 4월 5일 |
426호 | 의성 대곡사 지장보살도 |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894 | 2010년 11월 11일 |
431호 | 상주 관음사 아미타회상도 | 상주시 | 2011년 9월 22일 |
436호 | 영주 비로사 아미타후불탱화 | 영주시 풍기읍 삼가리 391 | 2012년 5월 14일 |
482호 | 경산 선본사 신중탱화 | 경산시 와촌면 대한리 587 | 2014년 1월 13일 |
484호 | 영천 영지사 대웅전 후불탱화 | 영천시 대창면 용호리 14 | 2014년 10월 20일 |
487호 | 안동 서악사 아미타극락회상도 | 안동시 태화동 605-1 | 2015년 12월 28일 |
495호 | 예천 연방사 신중탱화 | 예천군 예천읍 백전리 208 | 2016년 4월 28일 |
2. 1. 3. 석탑 및 부도
wikitext번호 | 명칭 | 특징 | 이미지 |
---|---|---|---|
제403호 | 문경 대승사 사면석불 | 1986년 12월 11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20호 문경 대승사 사불상으로 지정되었다가 2007년 12월 31일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화강암으로 만든 불상으로, 사면에 불상이 조각되어 있다. 동쪽은 약사여래, 서쪽은 아미타여래, 남쪽은 석가여래, 북쪽은 미륵불을 표현한 것으로 추정된다. | ![]() |
제447호 | 경주남산 국사곡 제4사지 삼층석탑 | 화강암으로 만든 삼층석탑이다. 1973년 8월 31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2호 경주 남산 국사곡 석탑으로 지정되었다가 2012년 10월 22일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기단부는 단층이며, 탑신부는 3층이고, 상륜부는 남아 있지 않다. | | |
제448호 | 경주남산 비파곡 제2사지 삼층석탑 | 화강암으로 만든 삼층석탑이다. 1973년 8월 31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3호 경주 남산 비파곡 석탑으로 지정되었다가 2012년 10월 22일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기단부는 단층이며, 탑신부는 3층이고, 상륜부는 남아 있지 않다. | | |
제449호 | 경주남산 지암곡 제3사지 삼층석탑 | 화강암으로 만든 삼층석탑이다. 1973년 8월 31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14호 경주 남산 지암곡 석탑으로 지정되었다가 2012년 10월 22일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기단부는 단층이며, 탑신부는 3층이고, 상륜부는 남아 있지 않다. | | |
제454호 | 안동 봉림사지 삼층석탑 | 화강암으로 만든 삼층석탑이다. 2001년 9월 29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419호 안동 성곡동 삼층석탑으로 지정되었다가 2012년 10월 22일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이중 기단 위에 3층의 탑신을 올린 형태이며, 상륜부는 남아 있지 않다. | | |
제471호 | 영양 삼지동 모전석탑 | 돌을 벽돌처럼 다듬어 쌓아 올린 모전석탑이다. 1985년 10월 15일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80호 영양 삼지동 모전 오층석탑으로 지정되었다가 2013년 4월 8일 현재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기단부는 단층이며, 탑신부는 5층이고, 상륜부는 남아 있지 않다. | ![]() |
제472호 | 청도 불령사 전탑 | 벽돌로 쌓은 전탑이다. 2013년 4월 8일 지정되었다. 기단부는 화강암으로 만들고, 탑신부는 벽돌로 쌓았으며, 상륜부는 남아 있지 않다. | | |
제478호 | 포항 보경사 서운암 부도군 | 조선시대 후기의 부도 8기로 구성되어 있다. 2013년 7월 11일 지정되었다. 보경사 서운암에 있으며, 각 부도에는 건립 연대와 주인공의 이름이 새겨져 있다. | | |
2. 1. 4. 기타 불교 유물
- 불국사 당간지주는 2012년 10월 22일 지정되었으며, 경상북도 경주시 진현동 15-1에 위치한다. 불국사에서 관리한다.
- 문경 대승사 노주석은 2008년 11월 3일 지정되었으며,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전두리 8에 위치한다. 대승사에서 관리한다.
2. 2. 유교 문화재
경상북도에는 유교와 관련된 향교, 서원, 정자, 그리고 다양한 유물들이 많이 남아있다. 이 유물들은 조선시대 유교 문화의 흔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들이다.소수박물관 소장 성학십도 판목(제417호)은 조선 성종 때 이황이 왕에게 올린 상소문인 성학십도를 판각한 것이다. 성학십도는 성리학의 기본 원리를 도식화하여 설명하고 있다.
포항 분옥정(제450호)은 조선 경종 때 건립된 정자이며, 예천 초간정(제475호)은 조선 선조 때 권문해가 건립한 정자이다. 봉화 사미정(제477호)은 조선 중종 때 조우철이 건립하였다.
이 외에도 다양한 고문서 및 전적들이 경상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고 있다.
번호 | 명칭 | 소장처 및 소유자(관리단체) | 비고 |
---|---|---|---|
401호 | 경주이씨 양월문중 소장고문서 및 전적 | 경북 경주시 안강읍 양월리 777 (경주이씨 양월문중) | 2007년 7월 30일 지정 |
412호 | 한강 정구 신도비 | 경북 성주군 수륜면 동강한강로 9 (청주정씨 문목공파 종중) | 2009년 7월 6일 지정 |
413호 | 봉화 김태석 소장 전적 | 경북 봉화군 춘양면 소로리 665-5 (김태석) | 2009년 7월 6일 지정, 2014년 10월 20일 추가 지정 |
414호 | 포항 합천이씨 전서공파 소장 유물 | 경북 포항시 (이환진) | 2009년 8월 31일 지정 |
419호 | 상주 사서 전식 신도비 | 경북 상주시 (전상룡) | 2009년 12월 28일 지정 |
422호 | 임하당 신후명 고문서 | 경북 문경시 마성면 오천1리 136 (신동환) | 2010년 4월 5일 지정 |
433호 | 성주 자양서당 소장 전적 | 경북 성주군 용암면 상성로 879-2 (신안주씨성주군화수회) | 2011년 9월 22일 지정 |
435호 | 수운잡방 | 경북 안동시 용상동 1189-6 (한국국학진흥원 위탁보관) (김원동) | 2012년 5월 14일 지정 |
443호 | 의성 경덕사 소장 고문서 및 유물 | 경북 의성군 구천면 용사리 290 (순천장씨 문암공파 문중) | 2012년 10월 4일 지정 |
444호 | 백전기법 | 경북 성주군 수륜면 가야산식물원길 17-56 (심원사주지) | 2012년 10월 4일 지정 |
445호 | 숙흥야매잠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예산3길 27 (도일회) | 2012년 10월 4일 지정 |
479호 | 문경 정동윤 고문서 및 유물 | 경북 문경시 호계면 견탄리 150 (정지홍) | 2013년 7월 11일 지정 |
480호 | 울진 광흥사 소장 명양경 | 경북 울진군 온정면 덕산1리 1135 (광흥사) | 2013년 7월 11일 지정 |
483호 | 향병일기 | 경북 안동시 신세동 170-2 (심재덕) | 2014년 10월 20일 지정 |
499호 | 여주이씨 수졸당파 문중 전적 및 고문서 | 경북 경주시 강동면 단구안계길 164-8 (이동진) | 2017년 1월 5일 지정 |
500호 | 문경 개성고씨 양경공파 문중 전적 및 고문서 | 경북 문경시 예동길 31-7 (고영조) | 2017년 1월 5일 지정 |
소수박물관에는 聖學十圖중국어 판목 외에도 조선시대 명필들의 글씨를 모아 판각한 海東名迹중국어이 소장되어 있다. 김방경 묘지석은 고려 삼별초의 난을 진압한 김방경의 묘지석이다. 울진 대풍헌 현판은 조선시대 울진포진의 수군들이 순풍을 기다리며 머물렀던 대풍헌에 걸려 있던 것이다. 난졸재 이산두 영정은 조선 중기 문신 이산두의 영정이다. 향병일기는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참전한 심재덕이 기록한 일기이다. 경주 숭덕전 제기는 신라 박혁거세의 제사를 지내는 숭덕전에서 사용되는 제기이며, 영천 조치우 옥비는 조선 세종 때 청백리로 이름난 조치우의 청렴함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다.
2. 2. 1. 향교
경상북도 내 여러 향교들은 조선시대 지방 교육기관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으며, 각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건축물이다.- 포항 흥해향교 대성전(제451호): 1407년(태종 7)에 건립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9년(광해군 1)에 중건되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조선 중기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 김천 김산향교(제463호): 1392년(태조 1)에 창건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 후 중건되었다. 대성전, 명륜당, 동재, 서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선시대 향교 건축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 구미 인동향교 대성전(제464호): 1402년(태종 2)에 건립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13년(광해군 5)에 중건되었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조선 중기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 구미 선산향교(제465호): 1411년(태종 11)에 창건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 후 중건되었다. 대성전, 명륜당, 동재, 서재, 내삼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선시대 향교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 상주 함창향교(제467호): 1398년(태조 7)에 창건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24년(인조 2)에 중건되었다. 대성전, 명륜당, 동재, 서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선시대 향교 건축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 경산향교(제469호): 1402년(태종 2)에 창건되었으며,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5년(선조 38)에 중건되었다. 대성전, 명륜당, 동재, 서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조선시대 향교 건축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2. 2. 2. 서원 및 정자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17호 소수박물관 소장 성학십도 판목은 조선 성종 때 이황이 왕에게 올린 상소문인 성학십도를 판각한 것으로, 영주시 소수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성학십도는 성리학의 기본 원리를 도식화한 것이다.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50호 포항 분옥정은 조선 경종 때 경주 김씨 동파 문중에서 건립한 정자로,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기계면 봉계길 146에 위치해 있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5호 예천 초간정은 조선 선조 때 권문해가 건립한 정자로, 예천군 용문면 용문경천로 874 (죽림 350)에 위치해 있다. 주변 자연 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운 건축물로 평가받는다.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77호 봉화 사미정은 조선 중종 때 조우철이 건립한 정자로, 경상북도 봉화군 법전면 소천리 554에 위치해 있다.
2. 2. 3. 고문서 및 전적
번호 | 명칭 | 소장처 및 소유자(관리단체) | 비고 |
---|---|---|---|
401호 | 경주이씨 양월문중 소장고문서 및 전적 | 경북 경주시 안강읍 양월리 777 (경주이씨 양월문중) | 2007년 7월 30일 지정 |
412호 | 한강 정구 신도비 | 경북 성주군 수륜면 동강한강로 9 (청주정씨 문목공파 종중) | 2009년 7월 6일 지정 |
413호 | 봉화 김태석 소장 전적 | 경북 봉화군 춘양면 소로리 665-5 (김태석) | 2009년 7월 6일 지정, 2014년 10월 20일 추가 지정 |
414호 | 포항 합천이씨 전서공파 소장 유물 | 경북 포항시 (이환진) | 2009년 8월 31일 지정 |
419호 | 상주 사서 전식 신도비 | 경북 상주시 (전상룡) | 2009년 12월 28일 지정 |
422호 | 임하당 신후명 고문서 | 경북 문경시 마성면 오천1리 136 (신동환) | 2010년 4월 5일 지정 |
433호 | 성주 자양서당 소장 전적 | 경북 성주군 용암면 상성로 879-2 (신안주씨성주군화수회) | 2011년 9월 22일 지정 |
435호 | 수운잡방 | 경북 안동시 용상동 1189-6 (한국국학진흥원 위탁보관) (김원동) | 2012년 5월 14일 지정 |
443호 | 의성 경덕사 소장 고문서 및 유물 | 경북 의성군 구천면 용사리 290 (순천장씨 문암공파 문중) | 2012년 10월 4일 지정 |
444호 | 백전기법 | 경북 성주군 수륜면 가야산식물원길 17-56 (심원사주지) | 2012년 10월 4일 지정 |
445호 | 숙흥야매잠 | 경북 성주군 성주읍 예산3길 27 (도일회) | 2012년 10월 4일 지정 |
479호 | 문경 정동윤 고문서 및 유물 | 경북 문경시 호계면 견탄리 150 (정지홍) | 2013년 7월 11일 지정 |
480호 | 울진 광흥사 소장 명양경 | 경북 울진군 온정면 덕산1리 1135 (광흥사) | 2013년 7월 11일 지정 |
483호 | 향병일기 | 경북 안동시 신세동 170-2 (심재덕) | 2014년 10월 20일 지정 |
499호 | 여주이씨 수졸당파 문중 전적 및 고문서 | 경북 경주시 강동면 단구안계길 164-8 (이동진) | 2017년 1월 5일 지정 |
500호 | 문경 개성고씨 양경공파 문중 전적 및 고문서 | 경북 문경시 예동길 31-7 (고영조) | 2017년 1월 5일 지정 |
2. 2. 4. 기타 유교 유물
聖學十圖중국어 판목은 조선 선조 때 이황이 왕에게 올린 聖學十圖중국어를 판각한 것으로, 영주시 소수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海東名迹중국어은 조선시대 명필들의 글씨를 모아 판각한 책으로, 소수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김방경 묘지석은 고려시대 삼별초의 난을 진압한 김방경의 묘지석으로, 안동시 한국국학진흥원에 소장되어 있다. 울진 대풍헌 현판 일괄은 조선시대 울진포진의 수군들이 순풍을 기다리며 머물렀던 대풍헌에 걸려 있던 현판들이다. 난졸재 이산두 영정은 조선 중기 문신 이산두의 영정으로, 한국국학진흥원에 보관되어 있다. 향병일기는 조선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참전한 심재덕이 1592년부터 1597년까지 기록한 일기이다. 경주 숭덕전 제기는 신라 박혁거세의 제사를 지내는 숭덕전에서 사용되는 제기이다. 영천 조치우 옥비는 조선 세종 때 청백리로 이름난 조치우의 청렴함을 기리기 위해 세운 옥비이다.2. 3. 건축 문화재
경상북도에는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다양한 불교 및 유교 건축물이 있다. 사찰 건축물로는 영천 영지사 대웅전, 청도 운문사 만세루, 칠곡 송림사 대웅전 등이 있으며, 유교 건축물로는 포항 흥해향교 대성전, 영주향교 대성전, 김천 김산향교, 구미 인동향교 대성전, 구미 선산향교, 상주 함창향교, 경산향교 등 향교 건축물과 포항 분옥정, 예천 초간정, 봉화 사미정 등 정자 건축물이 있다. 그 외 포항 우각리 여주이씨 고택과 같은 건축물도 있다.2. 3. 1. 사찰 건축
번호 | 명칭 | 지정일 |
---|---|---|
제420호 | 영천 영지사 대웅전 | 1998년 9월 23일 |
제424호 | 청도 운문사 만세루 | 2010년 8월 2일 |
제434호 | 칠곡 송림사 대웅전 | 2012년 2월 13일 |
제452호 | 포항 오어사 대웅전 | 2012년 10월 22일 |
제453호 | 문경 김용사 대웅전 | 2012년 10월 22일 |
제455호 | 안동 광흥사 응진전 | 2012년 10월 22일 |
제461호 | 포항 보경사 대웅전 | 2013년 4월 8일 |
제468호 | 상주 남장사 일주문 | 2013년 4월 8일 |
제470호 | 의성 고운사 연수전 | 2013년 4월 8일 |
제473호 | 청도 적천사 대웅전 | 2013년 4월 8일 |
제474호 | 성주 선석사 대웅전 | 2013년 4월 8일 |
제476호 | 예천 용문사 자운루 | 2013년 4월 8일 |
2. 3. 2. 기타 건축
번호 | 명칭 | 소재지 | 지정일 |
---|---|---|---|
제462호 | 포항 우각리 여주이씨 고택 | 경북 포항시 북구 신광면 우각2리 529 | 2013년 4월 8일 |
제450호 | 포항 분옥정 | 경북 포항시 북구 기계면 봉계길 146 | 2012년 10월 22일 |
제475호 | 예천 초간정 | 경북 예천군 용문면 용문경천로 874 (죽림 350) | 2013년 4월 8일 |
제477호 | 봉화 사미정 | 경북 봉화군 법전면 소천리 554 | 2013년 4월 8일 |
2012년 10월 4일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442호로 지정되었다가 2018년 6월 27일 지정 해제되었으며, 보물 제1992호로 승격되었다. 이숙기 공신록권은 김천시 구성면 상원리 53-2에 있었으며, 연안이씨 정양공파 대종회에서 관리했었다.
3. 지정 해제된 유형문화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