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독일의 경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독일 경제는 유럽 최대 규모이자 세계 3위 규모의 경제로, 사회적 시장 경제 체제를 기반으로 한다. 산업 혁명은 19세기 후반에 시작되어 철도 건설과 관세 동맹을 통해 급속한 성장을 이루었고, 20세기 초에는 세계적인 산업 강국으로 부상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서독은 '라인강의 기적'으로 불리는 경제 부흥을 이룩했으며, 통일 이후 동독과의 경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현재 독일은 숙련된 노동력, 발달된 인프라, 높은 수준의 혁신을 바탕으로 자동차, 기계, 화학 제품 등을 수출하며,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은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다. 저출산 및 고령화, 에너지 위기, 숙련 노동자 부족 등의 과제를 안고 있으며, 2045년까지 탄소 중립을 목표로 에너지 전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경제 - 독일 마르크
    독일 마르크는 1871년부터 2002년까지 독일의 공식 통화였으며, 통일 독일의 경제력과 안정의 상징으로 미국 달러 다음으로 큰 국제 준비 통화였으나 유로화 도입으로 대체되었다.
  • 독일의 경제 - 질서자유주의
    질서자유주의는 시장의 자유로운 기능을 인정하되 국가가 공정한 경쟁 환경을 조성하고 유지하는 역할을 강조하는 경제 이론으로, 독점 방지와 경제적 권력의 정치적 권력화를 막기 위한 국가 개입을 지지하며 독일 사회시장경제의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
  • 경제 협력 개발 기구 회원국의 경제 - 대한민국의 경제
    대한민국의 경제는 식민지 시대 이후 국가 주도 산업화와 수출 주도형 성장으로 고도 성장을 이루었으나, 외환 위기와 금융 위기, 저성장 등의 도전에 직면하여 새로운 성장 전략을 모색하고 있다.
  • 경제 협력 개발 기구 회원국의 경제 - 일본의 경제
    일본 경제는 메이지 유신 이후 근대화를 거쳐 2차 세계대전 후 고도성장을 이루며 세계 2위 경제 대국으로 성장했으나, 1990년대 이후 장기 불황과 저출산·고령화, 재정 악화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천연자원 부족, 독특한 산업 구조, 간접 금융 중심 금융 시스템, 종신 고용과 연공서열 중심 기업 문화 등의 특징을 지닌 무역 및 기술 강국이다.
독일의 경제
일반 정보
프랑크푸르트, 독일의 금융 중심지, 유럽 중앙 은행 소재지, 세계 주요 금융 중심지 중 하나
프랑크푸르트, 독일의 금융 중심지, 유럽 중앙 은행 소재지 및 세계 주요 금융 중심지 중 하나
일반 정보
국가독일
통화유로(EUR, €)
가입 기구EU
WTO
G-20
G7
OECD
경제 분류선진 경제국
고소득 경제국
유럽 최대 경제 규모, 다변화된 경제 구조, 핵심 EU 및 EA 회원국
복지 국가
경제 규모
GDP (명목)$4조 7,100억 (2024년)
GDP 순위 (명목)3위 (2024년)
GDP (PPP)$6조 170억 (2024년)
GDP 순위 (PPP)6위 (2024년)
1인당 GDP (명목)$55,521 (2024년)
1인당 GDP 순위 (명목)17위 (2024년)
1인당 GDP (PPP)$70,930 (2024년)
1인당 GDP 순위 (PPP)22위 (2024년)
경제 성장률-0.3% (2023년)
0.0% (2024년)
+0.8% (2025년)
산업별 GDP 구성농업: 0.7%
산업: 30.7%
서비스: 68.6% (2017년)
GDP 구성 요소가계 소비: 53.1%
정부 소비: 19.5%
고정 자본 투자: 20.4%
재고 투자: -0.5%
상품 및 서비스 수출: 47.3%
상품 및 서비스 수입: -38.7% (2017년)
소비자 물가 지수 (CPI)78/100 (2023) (부패 인식 지수 순위 9위)
인플레이션6.0% (2023년)
2.4% (2024년)
2.0% (2025년)
빈곤율21.3% (빈곤 또는 사회적 배제 위험, AROPE, 2023년)
지니 계수29.4 (2023년)
인간 개발 지수 (HDI)0.950 (2022년, 7위)
불평등 조정 인간 개발 지수 (IHDI)0.881 (2022년, 9위)
노동
노동 인구5,000만 명 (2023년)
고용률81.1% (2023년)
산업별 고용 구성농업: 1.4%
산업: 24.2%
서비스: 74.3% (2016년)
실업률5.4% (2022년)
청년 실업률5.8% (2020년 8월)
실업자 수200만 명 (2020년 8월)
평균 총 급여월 €4,924 (2023년)
평균 순 급여월 €3,118 (2023년)
산업
주요 산업첨단 기술

강철
석탄
시멘트
화학
기계
차량
공작 기계
전자 제품
자동차
식품
음료
조선업
방위
섬유
정보 기술
재생 에너지
생명 공학
제약
무역
수출$1조 6,200억 (2022년)
주요 수출 품목자동차, 기계, 화학 제품, 컴퓨터 및 전자 제품, 전기 장비, 의약품, 금속, 운송 장비, 식품, 섬유,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주요 수출 대상국유럽 연합 53.6%
프랑스 7.5%
네덜란드 6.4%
이탈리아 5.6%
폴란드 5.3%
오스트리아 5.2%
벨기에 3.7%
미국 8.6%
중국 7.7%
영국 4.8%
스위스 4.4% (2021년)
수입$1조 1,700억 (2022년)
주요 수입 품목기계, 데이터 처리 장비, 차량, 화학 제품, 석유 및 가스, 금속, 전기 장비, 의약품, 식품, 농산물
주요 수입 대상국유럽 연합 58.6%
네덜란드 9.6%
폴란드 6.6%
이탈리아 5.8%
프랑스 5.5%
체코 5.2%
벨기에 4.6%
중국 10%
미국 4.8%
스위스 4.1%
영국 2.9% (2021년)
경상수지$2,800억 (2019년)
외국인 직접 투자 (FDI)국내: $1조 6,530억 (2017년)
해외: $2조 2,980억 (2017년)
총 외채$5조 4,000억 (2022년)
재정
정부 부채GDP의 63.6% (2023년)
정부 부채 규모€2조 6,000억 (2023년)
정부 수입GDP의 46.1% (2023년)
정부 지출GDP의 48.6% (2023년)
재정 수지€1,020억 적자 (2023년)
GDP의 -2.5% (2023년)
신용 등급
Standard & Poor'sAAA
전망: 안정적
Moody'sAaa
전망: 안정적
FitchAAA
전망: 안정적
ScopeAAA
전망: 안정적
지원 및 준비금
유럽 구조 및 투자 기금 지원€260억 (2007-2013년)
€278억 7,000만 (2014-2020년)
외환 보유고$4,000억 (2022년)

2. 역사

1820년 이후 독일의 1인당 실질 GDP 성장


독일 경제는 오랜 역사를 거치며 다양한 변화를 겪어왔다. 19세기 후반 독일 제국 통일 이후 본격적인 산업화를 이루었으며, 오토 폰 비스마르크 시대에는 세계 최초의 사회 보험 제도를 도입하는 등 발전을 거듭하여 20세기 초 세계적인 산업 강국으로 부상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의 혼란과 대공황의 여파 속에서 등장한 제3제국나치당 주도로 군비 확장과 대규모 공공 사업을 통해 경제를 운용했으나, 이는 결국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이어졌다.

전쟁 후 독일은 동서로 분단되어, 서독사회적 시장경제를 기반으로 '라인강의 기적'이라 불리는 빠른 경제 부흥을 이루었고, 동독사회주의 계획 경제 체제를 유지했다.

1990년 통일 이후에는 막대한 통일 비용 부담과 동서독 간 경제 격차 해소라는 과제를 안게 되었다. 아젠다 2010과 같은 구조 개혁을 통해 경제 체질 개선을 시도하는 한편, 세계 금융 위기와 최근의 에너지 위기 등 대외 환경 변화에 대응하며 유럽 최대 경제 대국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각 시대별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2. 1. 산업화 시대

독일의 산업 혁명영국, 프랑스, 벨기에보다 약 1세기 늦게 시작되었는데, 이는 독일이 1871년에 이르러서야 통일 국가를 이루었기 때문이다.[58]

유람선의 발명. 1890년 알베르트 발린의 SS ''아우구스타 빅토리아''




1834년 독일 관세 동맹의 설립과 철도 시스템의 확장은 독일 산업 발전과 정치적 통일의 중요한 원동력이었다. 1834년부터 ''클라인도이칠란트''를 지향하는 독일 국가들 사이의 관세 장벽이 점진적으로 철폐되었다. 1835년 독일 최초의 철도가 프랑켄뉘른베르크와 퓌르트를 연결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고, 이는 1840년대 모든 독일 국가에서 "철도 광풍"을 일으켰다. 1845년부터 1870년까지 8000km에 달하는 철도가 건설되었으며, 1850년에는 독일이 자체적으로 기관차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다른 독일 국가들도 관세 동맹에 가입하고 철도를 연결하면서 독일 전역이 연결되기 시작했다. 독일 전역의 자유 무역과 철도 시스템 성장은 지역 생산품의 새로운 시장을 열어주었고, 중간 관리자, 엔지니어, 건축가, 숙련된 기계공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켰으며, 석탄 및 철강 분야 투자를 촉진하여 경제 발전을 심화시켰다.[60]

독일 산업 발전에 기여한 또 다른 요인은 정치적 통일을 통해 가능해진 통화 시스템의 통일이었다. 금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화폐 주조 시스템인 독일 마르크가 1871년에 도입되었지만, 은화가 1907년까지 통용되었기 때문에 금본위제 기반의 단일 통화 시스템이 완전히 정착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렸다.

1870-1871년 프랑스-프로이센 전쟁에서 프로이센과 동맹국들이 프랑스의 나폴레옹 3세에게 승리하면서 유럽에서 프랑스의 패권 시대가 끝나고, 1871년 독일 제국이 선포되었다. 제국의 수립은 유럽에 인구가 많고 산업화된 새로운 정치체의 등장을 알렸으며, 이는 경제적, 외교적으로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다. 프랑스 경제 원리의 영향으로 독일에서는 토지 소유에 대한 봉건적 제한 철폐, 도시 길드의 권력 축소, 새롭고 효율적인 상법 도입 등 중요한 제도 개혁이 이루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국의 경제 정책 결정은 여전히 동부의 프로이센 융커 지주들과 서부 루르 지역 중공업 세력 간의 연합, 이른바 "호밀과 철" 연합에 의해 주로 통제되었다.[61]

정치 및 사회 분야에서는 1881년부터 1889년까지 오토 폰 비스마르크 재상이 사회 보험을 제공하고 노동 조건을 개선하는 법률 제정을 주도했다. 그는 세계 최초의 복지 국가를 건설했다. 독일은 세계 최초로 보편적 의료, 의무 교육, 질병 보험, 사고 보험, 장애 보험, 퇴직 연금 등을 포함한 사회 보험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또한, 정부의 보편적 교육 정책은 성공을 거두어 독일은 세계 최고 수준인 99%의 문맹률을 달성했다. 이는 독일에 수리 능력이 뛰어난 더 많은 노동력, 더 많은 엔지니어, 화학자, 안경사, 공장의 숙련 노동자, 숙련된 관리자, 지식이 풍부한 농부, 숙련된 군인을 제공하는 기반이 되었다.[62]

1900년까지 독일은 철강 생산량에서 영국을 제치고 미국에 이어 세계 2위 생산국이 되었다. 독일의 경제적 성장은 1850년 3,500만 명이었던 인구가 1913년 6,700만 명으로 증가하는 전례 없는 인구 증가에 힘입어 더욱 가속화되었다. 1895년부터 1907년 사이 기계 제작 분야 노동자 수는 50만 명에서 100만 명 이상으로 두 배 증가했다. 제국 출범 당시 67%였던 농촌 인구 비율은 1910년 40%로 감소했다. 1913년에는 산업이 국민 총생산(GNP)의 60%를 차지했다.[63] 독일 화학 산업은 세계에서 가장 발전했으며, 1914년에는 전 세계 전기 장비의 절반을 생산했다.

산업의 급속한 성숙은 독일의 경제 구조를 농업 중심에서 완제품의 주요 수출국으로 극적으로 변화시켰다. 총수출에서 완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1872년 38%에서 1912년 63%로 급증했다. 1913년까지 독일은 유럽 시장 전반에서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했으며, 1914년에는 세계 최대 수출국 중 하나가 되었다.[64]

2. 2. 바이마르 공화국과 제3제국

독일의 국내 총생산 및 GNP 디플레이터 연도별 변화율, 1926년부터 1939년까지.


1925년 인구 조사에 따른 행정 구역별 직업 분포


나치당은 실업률이 매우 높은 상황에서 권력을 잡았으나,[65] 독일국영철도(Reichsbahn), 독일 우체국(Reichspost), 독일 아우토반(Reichsautobahn) 건설과 같은 대규모 공공 사업을 통해 완전 고용을 달성했다.[66] 1935년부터는 베르사유 조약을 위반하며 시작된 독일 재무장 역시 경제 회복에 영향을 미쳤다.[65][67]

1931년 이후의 금융 위기를 겪으며 독일은 금본위제를 사실상 폐지하고 재정 정책을 통한 경기 부양을 시도했다. 이는 나치당원이 아니었던 얄마르 샤흐트 경제부 장관의 정책 방향이었으며,[65] 샤흐트는 1933년 중앙은행 총재가 되었다. 그러나 샤흐트는 1938년 총재직에서 물러났고, 헤르만 괴링이 그 자리를 대신했다.

제3제국의 무역 정책은 자급자족 경제 구축을 목표로 삼았지만, 원자재 부족 문제로 인해 일정 수준의 무역 관계는 유지해야 했다. 이를 위해 1934년 9월 19일 발표된 "신 계획"(Neuer Plan)은 양자 무역 선호, 외환 통제, 수입 할당량 설정, 수출 보조금 지급 등을 주요 내용으로 했다.[68] "신 계획"은 주로 개발이 덜 된 국가들로부터 원자재를 공급받고, 그 대가로 독일의 산업 제품을 수출하는 방식의 무역을 지향했다.[69] 특히 무역 봉쇄의 위험이 적은 남유럽 국가들과의 교역이 서유럽이나 북미 국가들보다 선호되었다.[70] 이러한 경제권 구상은 이후 "대경제권"(Grosswirtschaftsraum) 정책으로 이어졌다.

나치당은 집권 과정에서 대기업들과 강력한 관계를 구축했으며,[71] 1933년에는 기존의 독일의 노동 조합을 강제로 해산시켰다. 그 대신 국가 노동 봉사단(RAD)과 독일 노동 전선(DAF)을 설립하여 노동 시간을 통제하고, 노동의 아름다움(SDA)을 통해 노동 조건을 관리했으며, 기쁨을 통한 힘(KDF)을 통해 노동자들을 위한 여가 활동(스포츠 클럽 등)을 조직하는 등 노동력에 대한 국가 통제를 강화했다.[72]

2. 3. 서독과 동독

통일 이전 서독 경제는 독일 제국 마르크를 독일 마르크로 바꾸는 통화 개혁을 단행하며 낮은 인플레이션과 급속한 산업 성장을 이루는 이른바 '라인강의 기적'을 경험했다. 콘라트 아데나워 총리와 그의 경제부 장관 루트비히 에르하르트가 이끈 정부는 전쟁으로 폐허가 된 서독을 유럽의 선진국으로 발전시켰다. 이 과정에는 1950년대부터 1970년대 초까지 독일 국민의 헌신적인 노력과 장시간 노동, 그리고 수천 명의 ''가스트아르바이터''("객원 근로자")가 제공한 노동력이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폭스바겐 비틀은 이러한 서독 경제 재건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1953년에는 마셜 플랜 등으로 받은 원조 중 11억달러를 상환하기로 결정했고, 마지막 상환은 1971년에 이루어졌다.

폭스바겐 비틀은 서독 재건의 상징이었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부터 서독의 실업률이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비정규 고용 형태가 늘어나는 등 고용의 양과 질에 변화가 나타났다. 서독은 전통적인 복지 국가 모델에 자유주의적 색채를 강화했고, 경제 정책은 케인스주의에서 재정 안정을 강조하는 통화주의적 요소가 강조되었다. 정부는 높아지는 실업률에 대응하기 위해 노동 공급을 줄이는 정책을 폈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남성에게는 실업 급여 또는 연금 수급 의존도를 높이고, 여성에게는 남성 소득자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노동 시장의 경직성이 높아져 새로운 고용 창출은 더욱 어려워졌다.[249]

반면, 통일 전 동독은 사회주의 계획 경제 체제 아래에서 완전 고용을 강조했다. 표면적으로 실업자가 없었기 때문에 경제 성장이 둔화된 1970년대 중반에도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선전하는 근거가 되었다.[249] 1988년 동독의 수출액은 307억달러 상당이었으며, 이 중 65%는 다른 공산주의 국가로 향했다.[74] 이는 같은 해 서독 수출액 3230억달러에 크게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동독의 대표적인 자동차 제조사인 Automobilwerk Eisenach와 HQM Sachsenring GmbH는 트라반트와 바르트부르크 같은 상징적인 자동차를 생산했다.

트라반트는 동독의 상징이었다.


그러나 동독의 완전 고용 정책은 실속이 없다는 비판을 받았다. 경제활동인구의 약 15%에 달하는 인원이 실제로는 생산 활동에 기여하지 못하는 '은폐 실업' 상태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완전 고용 체제에서 노동은 권리이자 의무였기 때문에, 노동권은 국가의 통제와 감시 아래 놓여 억압적인 성격을 띠었다.[249] 동독 경제는 초기에 소련에 의해 농업 및 산업 제품 형태로 배상금을 징수당했으며, 실레시아와 주요 항구 도시 슈체친 등이 폴란드 인민 공화국에 넘어가면서 영토 및 산업 기반의 손실을 겪기도 했다.[73]

1990년 독일 통일 이후, 동독 지역 경제는 큰 어려움에 직면했다. 서독 마르크와의 1:1 화폐 교환 비율과 낮은 생산성으로 인해 많은 동독 기업들이 경쟁력을 잃고 파산했으며, 실업자가 급증했다.[250] 통일 이후 동독의 실업률은 서독보다 지속적으로 높았고,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역시 1997년 이후로는 서독이 동독을 앞질렀다. 통일 후 20년이 지난 시점에도 동독 지역의 평균 소득 수준은 서독의 75~85%에 머물렀고, 실업률은 서독의 2배에 달하는 등 동서독 간의 경제적 격차는 여전히 큰 문제로 남아있었다.[250]

이러한 상황에서 경제적으로 훨씬 부유했던 서독이 막대한 통일 비용을 부담할 수밖에 없었다. 독일 연방 정부는 통일 이후 15년간 1.4조유로가 넘는 막대한 자금을 동독 지역 재건과 경제 지원에 투입했다.[251] 이 재원은 연방 정부 예산, 서독 주민들이 내는 각종 보험료, 서독의 부유한 주(州)로부터의 갹출금, 통일 기금, 연대세 등으로 마련되었다. 통일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각종 세금이 인상되었고 공공 재정 지출도 축소되었다. 특히 세금 인상보다는 빚을 더 많이 내어 통일 비용을 충당하면서 국가 부채가 급증했다. 동독 지역의 부채 규모는 통일 직후 서독이 모든 빚을 떠안았음에도 불구하고, 1998년 이후에는 오히려 서독의 부채 규모를 능가하게 되었다. 막대한 지원금이 동독의 경제 기반을 재건하는 데 효과적으로 쓰이지 못하고 일부 오용되면서 재정 부채는 더욱 늘어났다. 예를 들어, 통일 이전 동독 정권 시절 시행된 여러 사회 보장 제도를 유지하는 데 많은 비용이 지출되었다.[251]

통일 비용 부담은 서독 사회에도 영향을 미쳤다. 서독 내에서도 경제적으로 어려운 주가 늘어나면서, 부유한 주가 내는 지원금을 동독뿐만 아니라 서독의 가난한 주에도 분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정부 부채뿐만 아니라 가계 부채도 늘어났는데, 이는 실업자 증가와 세금 부담 증가 때문이었다. 빈곤층 비율도 통일 전에 비해 5.1% 증가했다. 가계의 총수입 자체는 증가했지만, 물가 상승(인플레이션)과 각종 분담금으로 인해 실질적인 살림살이는 더욱 어려워졌다는 평가가 나왔다.[251]

이처럼 통일 이후 동독 경제는 서독에 크게 의존하는 양상을 보였다. 동독과 서독의 경제적 격차를 해소하고 균등한 발전을 이루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었다. 할레경제연구소는 2030년까지는 기다려야 동서독 간 경제적 상황이 균등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난 30여 년간 꾸준한 노력으로 동독 지역의 노동 생산성과 소득은 서독의 85% 수준까지 향상되었고, 실업률 격차 또한 상당히 줄어드는 등 경제 통합은 점진적으로 진전되고 있다.[252]

2. 4. 통일 이후

통일 후 옛 동독 지역은 서독과의 1:1 화폐 교환 비율 적용과 낮은 생산성 문제로 인해 많은 기업이 파산하고 실업자가 급증하는 어려움을 겪었다.[250] 통일 이후 동독 지역의 실업률은 서독 지역보다 지속적으로 높았으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역시 1997년 이후로는 서독 지역이 더 높게 나타났다. 통일 후 20년이 지난 시점에도 동독 지역의 소득 수준은 서독의 75~85% 수준에 머물렀고, 실업률은 서독의 두 배에 달하는 등 동서독 간의 경제적 격차는 여전히 컸다.[250]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경제적으로 훨씬 안정적이었던 서독 지역이 막대한 통일 비용을 부담할 수밖에 없었다.

독일 연방 정부는 통일 이후 15년 동안 동독 지역에 1.4조유로가 넘는 막대한 자금을 지원했다. 이 지원금은 연방 정부 예산, 서독 주민들이 납부하는 각종 보험료, 부유한 서독 주의 분담금, 통일 기금, 연대세 등을 통해 마련되었다. 통일 기금을 조성하기 위해 각종 세금이 인상되었고 공공 재정 지출이 축소되었으며, 특히 세금 인상보다는 부채를 통해 비용을 충당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 때문에 동독 지역의 부채 규모는 통일 직후 서독이 모든 부채를 떠맡았음에도 불구하고 1998년 이후 서독을 넘어서게 되었다.[251] 그러나 막대한 지원금이 동독의 경제 기반을 재건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일부 오용되면서 재정 부채는 계속해서 증가했다.[251] 과거 호네커 정권과 빌리 브란트 총리 시절 시행된 여러 사회 보장 제도를 유지하는 데에도 많은 정부 지출이 요구되었다.[251]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서독 내에서도 재정적으로 어려운 주들이 늘어나면서, 부유한 주들이 내는 지원금을 동독뿐만 아니라 서독 내의 어려운 주에도 분배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251] 통일 이후 정부 부채뿐만 아니라 가계 부채도 함께 증가했는데, 이는 실업자 증가와 세금 부담 증가가 주요 원인이었다. 빈곤층 비율 역시 통일 전에 비해 5.1% 증가했다. 가계의 총수입 자체는 증가했지만, 인플레이션과 각종 분담금으로 인해 실질 수입은 오히려 하락하여 서민들의 살림은 더욱 어려워졌다.[251] 동독 지역 경제는 여전히 서독에 크게 의존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할레경제연구소는 동서독 간 경제적 격차가 완전히 해소되기까지는 2030년까지 기다려야 할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다.[251] 하지만 통일 이후 30여 년간 동독 지역의 노동 생산성과 소득은 서독의 85% 수준까지 꾸준히 상승했으며, 실업률 격차 또한 상당히 줄어들었다.[252]

독일은 세계적인 수출입 대국이며, 높은 무역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2000년대 초반 독일 경제는 사실상 성장이 멈춘 상태였다. 특히 2002년(+1.4%), 2003년(+1.0%), 2005년(+1.4%)에는 매우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다.[75] 실업률 또한 만성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76] 이러한 경제 문제와 더불어 인구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복지 시스템에 가해지는 압박도 커졌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당시 정부는 아젠다 2010으로 대표되는 광범위한 긴축 개혁 프로그램을 추진했으며, 여기에는 하르츠 I~IV로 알려진 노동 시장 개혁 조치가 포함되었다.[76]

2000년대 후반, 세계 경제가 호황을 누리면서 주요 수출국인 독일도 그 혜택을 보았다. 일각에서는 하르츠 개혁이 이러한 경제 성장과 실업률 감소에 기여했다고 평가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이 개혁으로 인해 노동자들의 생활 수준이 크게 하락했으며 그 효과 역시 제한적이고 일시적이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76]

독일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2008년 2분기와 3분기에 연속으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하며, 세계 금융 위기 및 유럽 경기 침체의 여파로 기술적 경기 침체 상태에 빠졌다.[77] 독일의 산업 생산량은 2008년 8월 대비 9월에 3.6%나 감소했다.[78][79] 이에 2009년 1월,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이끄는 독일 정부는 여러 산업 부문을 경기 침체와 실업률 상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500억유로 (당시 약 700억달러) 규모의 대규모 경제 부양책을 승인했다.[80] 독일 경제는 2009년 2분기와 3분기에 경기 침체 국면에서 벗어났는데, 이는 주로 제조업 분야의 주문량과 수출(특히 유로존 외부 지역으로의 수출)이 반등하고 소비 수요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된 덕분이었다.[76]

독일은 EU, G8, G20의 창립 회원국으로 국제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세계 최대 수출국 자리를 지켰다. 2011년에도 세계 3위의 수출국[81]이자 세 번째로 큰 수입국 지위를 유지했다.[82] 독일 수출의 대부분은 엔지니어링 분야, 특히 기계, 자동차, 화학 제품, 금속 등에 집중되어 있다.[83] 또한 독일은 풍력 터빈 및 태양광 기술과 같은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서도 선도적인 생산국이다.[84] 매년 독일 전역의 주요 도시에서는 다양한 무역 박람회와 국제 회의가 개최된다.[85] 2011년은 독일 경제에 있어 기록적인 해였는데, 독일 기업들은 사상 처음으로 1조유로 (당시 약 1.3조달러) 이상의 상품을 수출했으며, 취업자 수는 4,160만 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86]

2012년까지 독일 경제는 주변 유럽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견고한 성장세를 유지했다.[87] 그러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 사회의 대러시아 제재로 인해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이 중단되면서 독일 경제는 큰 어려움을 겪었다.[88] 침공 당시 독일은 천연가스 수요의 55%를 러시아에 의존하고 있었다.[89] 전 세계적인 에너지 위기 속에서 올라프 숄츠 총리는 러시아와 독일을 잇는 노르트 스트림 2 가스관 사업의 승인을 중단하며 러시아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겠다고 발표했다. 동시에 전임 앙겔라 메르켈 총리 시절 결정된 원자력 발전소의 단계적 폐지 정책은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90][91][89]

2023년 12월 기준으로 독일은 명목 GDP 기준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 3위의 경제 대국이며, 유럽에서는 가장 큰 경제 규모를 자랑한다. 또한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수출국이다.[92] 2024년 4월 독일 경제 연구소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 경제는 수출 시장 다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양한 제품과 원자재 부문에서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3]

3. 경제 지표

통일 전 서독에서는 1970년대 후반부터 실업률이 증가하며 비정규 고용이 늘어나는 등 고용의 질과 양에 변화가 생겼다. 서독 정부는 전통적인 복지 국가 모델에 자유주의적 요소를 강화하고, 경제 정책은 케인스주의에서 재정 안정을 중시하는 통화주의적 방향으로 전환했다. 실업률 상승에 대응하여 노동 공급 감축 정책을 시행했는데, 이는 남성의 실업 급여 및 연금 의존도를 높이고, 여성의 남성 소득자 의존도를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노동 시장의 경직성이 높아져 고용 창출이 어려워졌다.[249] 반면, 통일 전 동독은 사회주의 원칙에 따라 완전 고용을 유지하여 표면적으로는 실업자가 없었다. 이는 1970년대 중반 경제 성장이 둔화되었을 때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선전하는 근거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경제활동인구의 약 15%에 달하는 숨겨진 실업(은폐 실업)이 존재했으며, 노동은 권리이자 의무였기에 통제와 감시가 따르는 억압적인 성격을 띠었다.[249]

통일 이후, 동독 지역은 서독과의 1:1 화폐 교환 비율과 낮은 생산성으로 인해 기업 파산과 실업자 증가를 겪었다. 통일 이후 동독의 실업률은 지속적으로 서독보다 높았으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1997년 이후 서독이 더 높았다. 동독 지역의 총수입은 증가했지만, 통일 20년이 지난 시점에도 소득 수준은 서독의 75~85%에 머물렀고 실업률은 서독의 2배에 달하는 등 경제적 격차가 여전히 컸다.[250] 이로 인해 경제적으로 우위에 있던 서독이 통일 비용의 대부분을 부담하게 되었다. 독일 정부는 통일 후 15년간 1.4조유로 이상의 막대한 자금을 동독 지역에 지원했다. 재원은 연방 정부 예산, 서독 주민의 보험료, 부유한 주의 분담금, 통일 기금, 연대세 등으로 마련되었다. 통일 기금 마련을 위해 각종 세금이 인상되고 공공 지출이 축소되었으며, 특히 부채를 통해 상당 부분 충당되었다. 이 때문에 동독 지역의 부채 규모는 통일 직후 서독이 모든 부채를 떠안았음에도 불구하고 1998년 이후 서독을 넘어서게 되었다. 그러나 지원금이 동독의 경제 기반 재건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면서 재정 부채는 계속 증가했다. 또한, 통일 이후 정부 부채뿐만 아니라 실업자 증가와 세금 부담으로 가계 부채도 늘어났으며, 빈곤층 비율은 통일 전보다 5.1% 증가했다. 가계 총수입은 늘었지만, 인플레이션과 각종 분담금으로 실질 수입은 하락하여 생활은 더욱 어려워졌다.[251] 할레경제연구소는 동서독 간 경제적 균형을 이루기까지 2030년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했으나, 지난 30년간 동독의 노동 생산성과 소득은 서독의 85% 수준까지 향상되었고, 실업률 격차도 상당히 줄어들었다.[252]

2000년대 초반 독일 경제는 사실상 정체 상태였다. 2002년(+1.4%), 2003년(+1.0%), 2005년(+1.4%)에는 특히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다.[75] 실업률 또한 만성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76] 이러한 문제와 더불어 고령화는 복지 시스템에 큰 부담을 주었다. 이에 대응하여 정부는 노동 시장 개혁인 하르츠 I-IV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긴축 개혁 프로그램인 아젠다 2010을 추진했다.[76]

2000년대 후반 세계 경제 호황기에 독일은 주요 수출국으로서 혜택을 보았다. 하르츠 개혁이 높은 성장과 실업률 감소에 기여했다는 평가도 있지만, 생활 수준의 현저한 감소를 초래했고 그 효과는 제한적이며 일시적이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76]

독일의 명목 GDP는 2008년 2분기와 3분기에 연속으로 감소하며 세계 및 유럽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기술적 경기 침체에 진입했다.[77] 2008년 9월 산업 생산량은 전월 대비 3.6% 감소했다.[78][79] 2009년 1월, 앙겔라 메르켈 총리 정부는 경기 침체와 실업률 상승을 막기 위해 500억유로 (당시 약 700억달러) 규모의 경제 부양책을 승인했다.[80] 독일 경제는 2009년 2분기와 3분기에 제조업 주문과 수출(특히 유로존 외부)의 반등, 그리고 비교적 안정적인 소비 수요에 힘입어 침체에서 벗어났다.[76]

독일은 EU, G8, G20의 창립 회원국이며,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세계 최대 수출국이었다. 2011년에는 세계 3위의 수출국[81]이자 3위의 수입국 지위를 유지했다.[82] 독일 수출의 대부분은 엔지니어링 분야, 특히 기계, 자동차, 화학 제품, 금속 등에 집중되어 있다.[83] 또한 풍력 터빈 및 태양광 기술 분야의 선도적인 생산국이다.[84] 매년 독일 전역에서 다양한 무역 박람회와 회의가 개최된다.[85] 2011년은 독일 경제에 기록적인 해로, 기업들은 1조유로 (당시 약 1.3조달러) 이상의 상품을 수출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고, 취업자 수는 4,160만 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86]

2012년까지 독일 경제는 주변 유럽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견조한 모습을 보였다.[87] 그러나 2023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국제 제재로 인한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 중단은 독일 경제에 어려움을 안겼다.[88] 독일은 2022년 침공 당시 가스 수요의 55%를 러시아로부터 수입하고 있었다.[89] 세계적인 에너지 위기 속에서 올라프 숄츠 총리는 노르트 스트림 2 인증 중단을 통해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를 낮추겠다고 약속하는 한편, 전임자인 앙겔라 메르켈의 원자력 에너지 단계적 폐지 정책은 유지하겠다고 밝혔다.[90][91][89]

2023년 12월 기준으로 독일은 명목 GDP 기준 미국과 중국에 이어 세계 3위의 경제 대국이며, 유럽에서는 가장 큰 경제 규모를 자랑한다. 또한 세계 3위의 수출국이다.[92] 국제 통화 기금(IMF)의 '2022년 세계 GDP 순위'에 따르면 독일의 GDP는 4.308854조달러였으며,[187][188][189][190][191] 2023년 1분기에는 1.7677조달러[195][196][197][198]를 기록하며, 같은 기간 1.7404조달러[192][193][194]를 기록한 일본을 넘어섰다.

2024년 4월 독일 경제 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 경제는 시장 다변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다양한 제품과 원자재 부문에서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3]

다음 표는 1980년부터 2021년까지 독일의 주요 경제 지표를 보여준다 (2022년부터 2027년까지는 IMF 추정치 포함). 5% 미만의 인플레이션율은 녹색으로 표시되었다.[94]

연도GDP
(10억 US$ PPP)
1인당 GDP
(US$ PPP)
GDP
(10억 US$ 명목)
1인당 GDP
(US$ 명목)
GDP 성장률
(실질)
인플레이션율
(%)
실업률
(%)
정부 부채
(GDP 대비 %)
1980855.311,130.4853.711,109.71.3%5.4%3.4%n/a
1981937.212,174.0718.39,329.60.1%6.3%4.8%n/a
1982987.312,833.5693.59,015.0
5.3%6.7%n/a
19831,041.913,590.8691.99,025.21.6%3.3%8.1%n/a
19841,110.014,537.9651.98,537.82.8%2.4%8.1%n/a
19851,170.215,364.3661.08,678.92.2%2.1%8.1%n/a
19861,222.716,041.5944.112,387.02.4%
7.8%n/a
19871,271.316,676.81,174.915,411.51.5%0.2%7.8%n/a
19881,365.317,801.41,266.616,514.73.7%1.3%7.7%n/a
19891,474.419,033.21,257.416,232.13.9%2.8%6.8%n/a
19901,617.120,482.91,598.620,249.15.7%2.7%6.2%n/a
19911,755.621,951.91,875.623,453.15.0%3.5%5.5%39.0%
19921,830.022,733.42,136.326,538.01.9%5.0%6.6%41.5%
19931,855.122,917.92,072.525,603.0
4.5%7.8%45.1%
19941,940.223,909.42,209.927,233.52.4%2.7%8.4%47.5%
19952,011.424,738.02,588.031,829.61.5%1.7%8.2%54.9%
19962,064.925,347.02,498.130,664.30.8%1.3%8.9%57.8%
19972,138.026,230.32,214.727,170.71.8%1.5%9.7%58.9%
19982,205.827,082.82,242.127,528.22.0%0.6%9.4%59.5%
19992,279.127,990.72,197.126,984.21.9%0.6%8.6%60.4%
20002,398.429,443.71,948.823,924.92.9%1.4%8.0%59.3%
20012,493.830,592.11,945.823,869.81.7%1.9%7.8%58.2%
20022,527.630,983.32,077.025,460.3
1.3%8.6%59.9%
20032,559.331,384.12,501.030,668.8
1.1%9.7%63.5%
20042,659.232,645.22,813.134,534.81.2%1.8%10.3%65.2%
20052,762.533,963.12,848.435,020.20.7%1.9%11.0%67.6%
20062,997.436,834.03,000.036,865.43.7%1.8%10.1%66.9%
20073,261.940,109.83,434.442,227.13.0%2.3%8.5%64.1%
20083,366.541,417.73,744.646,064.11.0%2.8%7.4%65.6%
20093,203.939,508.23,410.442,055.6
0.2%7.6%73.0%
20103,381.141,742.03,409.942,097.54.1%1.1%7.0%80.9%
20113,604.944,505.03,748.946,282.73.7%2.5%5.8%78.6%
20123,704.145,729.63,533.243,620.00.4%2.2%5.4%79.8%
20133,831.947,100.93,739.645,966.30.4%1.6%5.2%77.4%
20144,002.148,996.03,889.147,611.72.2%0.8%5.0%74.8%
20154,118.849,839.83,360.640,668.41.5%0.7%4.6%71.9%
20164,291.851,572.63,468.941,677.02.2%0.7%4.1%69.1%
20174,502.353,897.13,687.244,135.22.7%1.7%3.7%65.2%
20184,709.756,317.03,976.347,542.21.0%1.9%3.4%61.9%
20194,847.657,928.33,888.346,467.81.1%1.4%3.1%59.6%
20204,679.056,019.53,889.746,563.9
0.4%3.8%68.7%
20215,071.760,946.24,256.551,142.23.1%3.2%3.6%69.0%


4. 산업 구조

독일은 고도로 숙련된 노동력, 발달된 사회 기반 시설, 큰 자본, 낮은 수준의 부패,[111] 그리고 높은 수준의 혁신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적 시장 경제를 가지고 있다.[112] 유럽에서 가장 큰 경제 규모를 자랑하며, 명목 GDP 기준 세계 3위, GDP(PPP) 기준 세계 5위(2023년 기준)의 경제 대국이다.[4] 독일은 EU, G8, G20의 창립 멤버이며, 오랫동안 세계 주요 수출국 중 하나로 자리매김해 왔다.[81][82]

독일 경제의 산업 구조는 크게 세 부문으로 나뉜다.


  • 서비스업: 국내총생산(GDP)의 약 70%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고용 역시 전체 노동력의 약 4분의 3이 이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113] 금융, 무역, 관광, IT 등이 주요 서비스 분야이며, 특히 보험업과 비즈니스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강점을 보인다.[199]
  • 산업: GDP의 약 29.1%를 차지하며, 제조업과 건설업을 포함한다. 다른 주요 선진국에 비해 제조업의 비중(약 24%)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이 특징이다.[113][5][199] 특히 자동차 산업, 기계 공학, 화학 공업, 전기 공학 등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독일 수출의 핵심 동력이다.[83] 독일 산업의 발전 과정은 독일의 산업화 문서에서 더 자세히 다룬다.
  • 농업: 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9%로 낮지만, 높은 생산성을 바탕으로 국내 식량 수요의 상당 부분을 충족시킨다.[113][114]


독일 기업 구조의 특징 중 하나는 ''미텔슈탄트''(Mittelstand|미텔슈탄트de)로 알려진 강력한 중소기업 군이다. 이들 기업은 독일 전체 기업의 99% 이상을 차지하며, 특정 분야에 고도로 특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히든 챔피언'으로 활약하는 경우가 많다.[127] 메르세데스-벤츠, BMW, 지멘스, 폭스바겐, BASF 등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대기업들도 독일 경제의 중요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4. 1. 1차 산업

2010년 농업, 임업, 광업은 독일 국내총생산(GDP)의 0.9%만을 차지했고, 인구의 2.4%만을 고용했는데,[83] 이는 1991년의 4%에서 감소한 수치이다. 특히 동서독 통일 이후 구 동독 지역의 농업 종사자 수가 크게 줄어든 영향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독일 농업은 매우 생산적이어서, 자국 생산만으로 영양 요구량의 90%를 충족할 수 있으며,[114] 2020년 기준 칼로리 자급률은 84%에 달한다. 생산액 기준으로 프랑스이탈리아에 이어 유럽 연합 내 세 번째로 큰 농업 생산국이다. 독일의 주요 농산물은 감자, , 보리, 사탕무, 과일, 양배추 등이다.[114]

독일은 높은 수준의 산업화에도 불구하고 국토의 거의 3분의 1이 숲으로 덮여 있다.[115] 임업은 목재 및 목재 제품의 국내 소비량 중 약 3분의 2를 공급하며, 나머지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노천 채광 방식으로 갈탄을 채굴하는 타게바우 가르바일러 (Grevenbroich 근처)


독일의 토양은 원자재가 비교적 부족한 편이다. 상당한 양으로 존재하는 자원은 갈탄( Lignite영어 )과 칼륨 염( Potash영어, Kalisalz|칼리잘츠de ) 정도이다. 석유, 천연가스 및 기타 자원은 대부분 다른 국가에서 수입한다.[116] 과거 동독 시절에는 비스무트사가 1947년부터 1990년까지 총 230,400톤의 우라늄을 생산하여 당시 세계 4위의 우라늄 광석 생산국(소련 영향권 내에서는 최대)이기도 했다.[116]

칼륨 염은 주로 독일 중부(니더작센, 작센안할트, 튀링겐)에서 채굴되며, 가장 중요한 생산 기업은 K+S(구 Kali und Salz AG)이다.[116]

독일의 역청탄 매장량은 3억 년 이상 전에 현재의 잉글랜드 남부에서 루르 지역을 거쳐 폴란드까지 확장되었던 늪지대에서 형성되었다. 갈탄 매장량도 유사한 과정으로 형성되었으나, 약 6,600만 년 전의 비교적 후대에 형성되었다. 갈탄은 목재가 아직 완전히 석탄으로 변환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역청탄보다 에너지 함량이 낮다.[116]

갈탄은 독일 서부와 동부 지역, 주로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작센, 브란덴부르크에서 노천 채광 방식으로 채굴된다. 채굴된 갈탄의 상당량은 경제성 문제로 장거리 운송이 어려워 채광 지역 인근의 화력 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 역청탄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과 자를란트에서 채굴된다. 역청탄을 사용하는 발전소는 수입 석탄도 많이 사용하므로, 전국 여러 지역에 위치해 있다.[116]

2019년 기준으로 독일은 여러 광물 자원 생산에서 세계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광물세계 생산 순위 (2019년)
셀레늄3위[117]
칼륨5위[118]
붕소5위[119]
석회7위[120]
플루오르스파13위[121]
장석14위[122]
흑연17위[123]
유황18위[124]
소금4위[125]


4. 2. 2차 산업

독일 경제에서 2차 산업, 즉 제조업과 건설업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서비스업이 GDP의 약 7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지만[113], 독일은 다른 주요 경제 대국들에 비해 제조업(2017년 기준 GDP의 약 24%, 산업 및 건설 포함 시 30.7%)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다.[5][199] 이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평가받는다. 산업 및 건설 부문은 2017년 기준으로 전체 노동력의 24.2%를 고용했으며[5], 2003년에는 국내 총생산의 29%, 노동 인구의 26.4%를 차지했다.

독일의 산업 혁명은 영국이나 프랑스보다 늦게 시작되었지만[58], 1834년 독일 관세 동맹 결성과 철도망 확충[60], 1871년 독일 제국 통일[58] 등을 거치며 빠르게 발전했다. 특히 석탄(무연탄, 갈탄) 자원은 루르 지방, 자르 지방, 작센 주 등지에서 풍부하게 생산되어[200][201], 제철업과 금속 가공업 발달의 기반이 되었고 19세기 후반 독일이 유럽 최대 공업국으로 성장하는 데 기여했다.[202][203]

루트비히스하펜에 위치한 세계 최대의 화학 공장 단지 중 하나인 BASF.


독일은 특히 자동차 산업, 기계 공학, 전기 공학, 화학 공업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83][199]

  • 자동차 산업: 2009년 기준으로 세계 4위의 자동차 생산국이자 최대 수출국이었으며[126], 특히 메르세데스-벤츠, BMW, 아우디 등 프리미엄 자동차 부문에서 강세를 보여 전 세계 시장의 약 90%를 점유하고 있다.[126] 폭스바겐은 유럽 최대 기업이자 세계적인 자동차 제조사이다. 독일은 2035년부터 내연기관 신차 판매를 금지하고 무공해차로 전환할 계획이다.[126]
  • 기계 공학: 공작 기계 분야에서 높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2004년에는 세계 시장 점유율 19.3%로 1위를 기록했다.
  • 화학 산업: BASF, 바이엘 등 세계적인 화학 기업들이 독일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다. 루트비히스하펜에 위치한 BASF 공장은 세계 최대 규모의 화학 공장 단지 중 하나이다.
  • 전기 장비: 지멘스, 보쉬 등 글로벌 기업들이 포진해 있으며, 1914년에는 전 세계 전기 장비의 절반을 독일이 생산하기도 했다.


독일 2차 산업의 또 다른 특징은 ''미텔슈탄트''(Mittelstand|미텔슈탄트de)로 불리는 강력한 중소기업 군이다.[127] 이들 기업은 독일 전체 기업의 99% 이상을 차지하며, 특정 분야에 고도로 특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기업들을 '히든 챔피언'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약 1,500개 이상의 독일 기업이 각자의 시장 분야에서 세계 3위 안에 드는 것으로 추산된다.[128] 미텔슈탄트 기업들은 종종 가족 소유 형태로 운영되며, 독일 경제의 안정성과 경쟁력에 크게 기여한다.[127]

독일은 세계 5대 무기 수출국 중 하나이기도 하다.[129]

4. 3. 3차 산업

서비스업은 독일 경제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한다. 2017년 기준으로 국내총생산(GDP)의 68.6%를 차지했으며, 전체 노동력의 74.3%가 이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83] 서비스업은 크게 금융, 임대 및 사업 활동(30.5%), 무역, 호텔 및 레스토랑, 운송(18%), 그리고 기타 서비스 활동(21.7%)으로 구성된다. 산업 강국이라는 이미지에도 불구하고 현대 독일 경제에서 서비스업의 비중은 매우 높으며, 이는 제조업(24%) 비중이 다른 경제 대국에 비해 높은 독일의 특징과 함께 나타난다. 서비스 부문은 수출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여 2016년 기준 수출액의 55%를 차지했으며, 특히 EDP, IT, 통신 산업에 집중되어 있다.[199] 또한, 비즈니스 관련 발명과 소프트웨어, 재보험을 중심으로 하는 보험 업계에서는 미국 다음으로 세계 2위의 시장 규모를 가지고 있다.

관광 산업은 독일 경제의 중요한 부분으로, GDP의 약 8%를 차지하며 280만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여 서비스업 중 상업 다음으로 큰 규모이다. 독일은 세계에서 7번째로 많은 방문객이 찾는 국가이며,[130][131] 2012년에는 총 4억 700만 박의 숙박 기록을 세웠다. 이 중 외국인 방문객의 숙박일수는 6,883만 박에 달했다.[132] 같은 해, 3,040만 명 이상의 국제 관광객이 독일을 방문했으며, 수도 베를린은 유럽에서 세 번째로 방문객이 많은 도시로 자리매김했다.[133] 또한, 독일인의 30% 이상이 자국에서 휴가를 보내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곳은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주이다. 국내외 관광은 독일 GDP에 직접적으로 432억유로 이상을 기여하며, 간접 및 유발 효과까지 포함하면 독일 GDP의 4.5%를 차지하고 200만 개의 일자리(총 고용의 4.8%)를 지원하는 것으로 평가된다.[134] 또한, 독일은 세계적인 박람회 개최지로서 명성이 높다. 주요 국제 무역 박람회 및 회의의 3분의 2가 독일에서 열리며, 매년 900만 명에서 1,000만 명의 방문객을 유치한다. 이들 방문객 중 약 20%는 외국인이다. 주요 박람회는 하노버, 프랑크푸르트, 쾰른, 뒤셀도르프 등 여러 도시에서 개최된다.[135] 2006년 FIFA 월드컵 개최 역시 독일 관광 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독일은 단순한 자연경관이나 건축물뿐만 아니라 국제 회의, 전시회, 박물관, 민속 축제 등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풍부한 관광 자원을 확보하고 있다.[244]

금융업 역시 독일 경제의 중요한 축이다. 독일의 은행 시스템은 전통적으로 시장 지향적인 자본 투자보다는 개인 고객 대상의 은행 업무가 발달했다. 이는 은행이 투자 업무와 분리되지 않고 대출, 보험, 증권 거래 등 폭넓은 종합 금융 서비스를 제공해왔기 때문이다. 2000년 말 기준으로 독일에 등록된 2,931개의 금융 기관 중 2,713개(92.6%)가 종합 은행이었으며, 여기에는 356개의 상업 은행, 1,798개의 신용 조합, 561개의 저축 은행이 포함된다. 나머지 비종합 은행들은 주로 저당 업무나 투자 등을 전문으로 한다. 독일의 상위 6개 은행은 민간 기업, 국영 기업, 협동조합 등 다양한 소유 구조를 보여준다.

은행업이 금융의 중심 역할을 하지만, 주식 시장 역시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다. 민간 기업인 독일 거래소가 운영하는 프랑크푸르트 증권 거래소는 독일에서 가장 규모가 크며 세계적으로도 4번째 규모를 자랑한다. 이 거래소는 독일 전체 증권 거래의 90%를 처리하며, 주요 주가 지수인 DAX는 지멘스, SAP, 바이엘 등 30개의 우량 기업 주식으로 구성된다. 프랑크푸르트 외에도 베를린(2곳), 뒤셀도르프, 함부르크, 하노버, 뮌헨, 슈투트가르트에 증권 거래소가 있다. 2004년 말 기준으로 독일 상장 주식의 시가 총액은 약 1.1조달러로, 당시 국내 총생산의 45%에 해당했다. 독일은 관광 및 국제 무역을 촉진하고 중앙유럽의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기 위해 자국 통화를 유로로 통일했으며, 프랑크푸르트에 유럽 중앙 은행 본부를 유치하여 유럽 경제 통합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5. 무역



독일은 EU, G8, G20의 창립 멤버이며,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세계 최대 수출국이었다. 2011년에는 세 번째로 큰 수출국[81]이자 세 번째로 큰 수입국으로 남았다.[82] 2023년 12월 현재, 독일은 명목 GDP 기준으로 미국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경제 규모를 갖고 있으며, 유럽에서는 가장 큰 경제 규모를 자랑한다. 또한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수출국이자[92] 국민 경제로서 가장 큰 무역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

독일 수출의 대부분은 엔지니어링, 특히 기계, 자동차, 화학 제품, 금속 분야에 집중되어 있다.[83] 독일은 풍력 터빈태양열 기술의 선도적인 생산국이기도 하다.[84] CIA 월드 팩트북에 따르면, 독일의 주요 수출품은 기계류, 자동차, 화학 제품, 금속 및 금속 제품, 식품, 가전 제품, 직물, 맥주이며, 수입품은 기계류, 자동차, 화학 제품, 식품, 직물, 금속이다.[245]

구분주요 품목 (금액)
주요 수출품자동차 (1455억달러), 기계류 (1030억달러), 화학 제품 (929억달러), 전기 기기 (362억달러), 전기 통신 기술 (351억달러)
주요 수입품자동차 (644억달러), 화학 제품 (632억달러), 기계류 (418억달러), 석유류 (399억달러), 컴퓨터 (305억달러)



2003년 기준, 독일 무역액의 절반은 당시 EU 15개국과의 무역이 차지했다. 주요 무역 상대국은 프랑스, 미국, 네덜란드, 영국,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벨기에, 스페인 등이다. 미국은 프랑스 다음으로 두 번째로 큰 무역 상대국으로, 2000년 양국 간 무역액은 총 880억달러에 달했다 (독일 수출 587억달러, 수입 292억달러). 독일은 개발도상국, 동유럽 국가(폴란드 등 포함), 비 EU 유럽 국가(스위스, 노르웨이, 리히텐슈타인, 아이슬란드), 일본 등과도 교역한다. 최근에는 러시아중국과의 무역을 중요시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와의 관계는 변화를 겪었다. 2002년에는 중국이 일본을 제치고 독일의 아시아 최대 무역 상대국이 되었다.

구분주요 상대국 (비중)
주요 수출 상대국프랑스 (10.6%), 미국 (9.3%), 영국 (8.4%), 이탈리아 (7.4%), 네덜란드 (6.2%), 오스트리아 (5.3%), 벨기에 (5.0%), 스페인 (4.9%)
주요 수입 상대국프랑스 (9.0%), 네덜란드 (7.8%), 미국 (7.3%), 이탈리아 (6.1%), 영국 (6.1%), 벨기에 (4.9%), 중국 (3.8%), 호주 (3.8%)



독일 기업들은 외국 무역에서 수익의 3분의 1을 얻고 있다. 2011년은 독일 경제에 기록적인 해로, 독일 기업들은 1조유로 (1.3조달러)가 넘는 상품을 수출하여 역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86] 매년 독일 전역의 도시에서 무역 박람회와 회의가 개최된다.[85] 독일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박람회가 열리는 국가이며, 이는 관광 산업 및 국제 무역 촉진에 기여한다.[243][244]

독일 경제의 약 1/3은 수출에 의존하고 있으며, 수출 대상을 주로 선진국으로 삼고 있다. 정밀한 상품을 제조하여 고가로 판매하고 그 수익으로 자국 흑자를 보충하는 것이 독일의 무역 원리이다.[232] 이로 인해 독일은 '선진국 중의 선진국'[233][234][235][236]이라고 자칭하기도 한다. 현재 독일은 미중 무역 전쟁의 틈새를 이용하여 미국과 중국이 부족한 무역품을 독일 제품으로 보완하며 세계 무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늘리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224][225][226][227][228][229][230][231] 그러나 2024년 4월 독일 경제 연구소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 경제는 여전히 다양한 제품 및 원자재에 대해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93]

독일은 대외 투자에 있어 자유주의 정책을 따른다. 1998년부터 1999년까지 프랑스가 독일의 주요 직접 투자국이었으며, 영국, 미국이 그 뒤를 이었다. 미국과의 투자 관계를 보면, 1995년부터 1999년까지 미국에서 독일로의 연간 직접 투자액 평균은 210억달러였던 반면, 독일의 대미 직접 투자액 평균은 34억달러였다. 그러나 취득원가주의로 환산하면 1999년 미국에 대한 독일의 투자는 1110억달러로 추정되어, 독일에 대한 미국의 투자 추정치 500억달러 미만을 크게 상회했다. 이는 1995년의 2배에 달하는 규모이며, 이후에도 성장세를 보였다.[245]

노동 시장 및 정부 규제의 유연성 부족에도 불구하고, 매우 숙련된 노동자들 덕분에 독일 경제는 견조하며 국제적인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생산 비용이 높지만 수출은 활발하다. 독일 정부는 세금, 사회 보장, 재정 등 국가 경제 구조 문제에 대한 개혁을 추진하고 있으며,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고 있는 중부 유럽 국가들을 경제적인 전략 거점으로 삼고 있다. 미래에는 성장과 고용 창출을 촉진하기 위해 경제의 근본적이고 광범위한 조정이 예상된다.

6. 사회 문제

2000년대 초 독일 경제는 성장이 거의 멈추는 정체 상태를 겪었다. 특히 2002년(+1.4%), 2003년(+1.0%), 2005년(+1.4%)에는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으며,[75] 실업률 역시 만성적으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76] 이러한 경제적 어려움은 고령화 문제와 맞물려 복지 시스템에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이에 대응하여 당시 독일 정부는 노동 시장 유연화 등을 목표로 하는 아젠다 2010 개혁 프로그램을 추진했으며, 이 프로그램에는 논란이 많았던 하르츠 I~IV로 알려진 노동 시장 개혁안이 포함되었다.[76]

2000년대 후반 세계 경제 호황기에 독일은 주요 수출국으로서 혜택을 보았다. 일부에서는 하르츠 개혁이 이러한 경제 성장과 실업률 감소에 기여했다고 평가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이 개혁으로 인해 노동자들의 생활 수준이 크게 하락했으며 그 효과는 제한적이고 일시적이었다는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76]

2008년에는 세계 금융 위기의 여파로 독일 경제 역시 경기 침체를 겪었다. 2008년 2분기와 3분기에 명목 국내총생산(GDP)이 연속으로 감소했으며,[77] 산업 생산량도 급감했다.[78][79] 당시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이끄는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500억유로 규모의 재정을 투입하기도 했다.[80] 독일 경제는 2009년 하반기부터 수출 회복 등에 힘입어 침체에서 벗어났다.[76]

350px


독일의 평균 연간 노동 시간은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 국가 중 가장 짧은 편에 속한다.[246] 독일의 실업 통계는 국제 노동 기구(ILO) 기준보다 포괄적이어서, 주 15시간 미만 일하면서 구직 활동을 하는 파트타임 노동자도 실업자로 분류하는 특징이 있다. 이 때문에 다른 국가와의 단순 비교는 어렵다.

최근 독일 경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 중단으로 인한 에너지 위기[88][89] 및 특정 국가, 특히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 문제[93] 등 새로운 도전에 직면해 있다. 올라프 숄츠 총리 정부는 노르트 스트림 2 사업 중단 등을 통해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려 노력하고 있다.[90][91][89]

6. 1. 저출산 및 고령화

독일 경제는 저출산과 고령화라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이미 2000년대 초반부터 고령화 인구 증가는 복지 시스템에 상당한 부담을 주었다.[76]

경제적 번영에도 불구하고, 독일의 출산율은 세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으며, 이는 미래 경제 발전에 가장 큰 위협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고등 교육을 받은 사회 계층에서 저출산 현상이 두드러진다. 이러한 추세가 계속될 경우, 노동인구 감소는 불가피하며, 이는 연금 수급자 증가와 의료 지원 필요성 확대로 이어져 정부 재정에 큰 부담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158] 이러한 인구 구조 변화에 대한 우려로 인해, 독일 국민 중 미래의 생활 여건 개선을 기대하는 비율은 4분의 1 미만에 불과하다.[159]

6. 2. 빈곤 및 노숙

통일 전 서독에서는 1970년대 후반부터 실업률이 증가하면서 비정규 고용 형태가 늘어나는 등 고용의 질과 양에 변화가 생겼다. 정부는 전통적인 복지 국가 모델에 자유주의적 색채를 강화하고, 경제 정책은 케인스주의에서 재정 안정화를 강조하는 통화주의적 요소를 중시하게 되었다. 실업률 상승에 대응하여 정부는 노동 공급을 줄이는 정책을 폈는데, 이는 사회적으로 남성은 실업 급여나 연금에, 여성은 남성 소득자에 대한 의존도를 높이는 결과를 낳았다. 또한 노동 시장의 경직성이 높아져 고용 창출이 어려워졌다.[249]

통일 전 동독은 사회주의 원칙에 따라 완전 고용을 유지했다. 이로 인해 실업자가 없어 1970년대 중반 경제 성장이 둔화되었을 때 사회주의 체제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근거가 되기도 했다. 그러나 실속 없는 완전 고용 정책으로 인해 경제활동인구의 약 15%에 달하는 숨겨진 실업, 즉 은폐 실업이 존재했다. 완전 고용 체제 하에서 노동은 권리이자 의무였기에, 노동권은 통제와 감시가 뒤따르는 억압적인 성격을 띠었다.[249]

통일 후, 동독 지역은 서독과의 1:1 화폐 교환 비율과 낮은 생산성 문제로 인해 많은 기업이 파산하고 실업자가 급증했다. 통일 이후 동독의 실업률은 계속 서독보다 높았으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역시 1997년 이후로는 서독이 더 높았다. 동독 주민의 총수입은 증가했지만, 통일 20년이 지난 시점에도 동독의 소득 수준은 서독의 75~85%에 머물렀고 실업률은 서독의 2배에 달하는 등 동서독 간의 경제적 격차는 여전히 컸다.[250] 이러한 상황에서 경제적으로 훨씬 양호했던 서독이 통일 비용의 대부분을 부담할 수밖에 없었다.

독일 정부는 통일 이후 15년간 동독 지역에 1.4조유로 이상의 막대한 자금을 지원했다. 이 지원금은 연방 정부 예산, 서독 주민들이 내는 각종 보험료, 서독의 부유한 주로부터 걷은 돈, 통일 기금, 연대세 등으로 마련되었다. 통일 기금을 마련하기 위해 각종 세금이 인상되었고 공공 재정 지출은 축소되었다. 특히 정부는 세금 인상보다는 빚을 더 많이 내어 통일 비용을 충당했다. 이 때문에 동독 지역의 부채 규모는 통일 직후 서독이 모든 빚을 떠안았음에도 불구하고 1998년 이후 서독을 넘어서게 되었다. 그러나 늘어난 빚이 동독의 경제 기반 재건에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오용되면서 재정 부채는 계속 증가했다. 예를 들어, 과거 동독 시절 호네커 정권이나 통일 과정에서 빌리 브란트 총리가 시행한 여러 사회 보장 제도로 인해 정부 지출이 늘어난 것도 부채 증가의 한 요인이었다. 이러한 재정 부담은 서독 내부에도 영향을 미쳐, 서독 내에서도 가난한 주의 수가 늘어나면서 부유한 주가 내는 지원금을 동독뿐 아니라 서독의 가난한 주에도 분담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한편, 통일 이후 정부 부채뿐만 아니라 가계 부채도 증가했는데, 이는 실업자 증가와 세금 부담 증가 때문이었다. 빈곤층 비율 역시 통일 전에 비해 5.1% 증가했다. 가계 총수입 자체는 늘었지만, 인플레이션과 각종 분담금으로 인해 실질 수입은 오히려 하락하여 가계 살림은 더욱 어려워졌다.[251]

이처럼 통일 이후 동독 지역 경제는 서독에 크게 의존하는 양상을 보였다. 동독과 서독의 경제적 격차가 해소되는 시점에 대해 할레경제연구소는 2030년까지 기다려야 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통일 후 지난 30년간 동독의 노동 생산성과 소득은 서독의 85% 수준까지 향상되었고, 실업률 격차 또한 상당히 완화되었다.[252]

6. 3. 이민

독일 경제는 숙련된 노동자 부족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이는 경제 성장의 주요 제약 요인으로 지적된다. 2023년 10월, 로베르트 하베크 경제부 장관은 이러한 숙련 노동자 부족 현상을 독일의 "가장 시급한 구조적 문제"로 규정하며, 문제 해결을 위해 독일로의 이민을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69]

한편, 2023년 독일의 순이민자 수는 66만 3천 명으로, 전년도인 2022년의 146만 2천 명에 비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170] 자세한 내용은 독일 이민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7. 과제 및 전망

통일 이후 구 동독 지역은 낮은 생산성과 1:1 화폐 교환 비율의 여파로 기업 파산과 실업자 증가를 겪었다. 통일 이후 동독의 실업률은 서독보다 지속적으로 높았으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역시 1997년 이후 서독이 더 높았다. 통일 20년이 지난 시점에도 동독의 소득 수준은 서독의 75~85%에 머물렀고, 실업률은 서독의 2배에 달하는 등 경제적 격차가 여전히 존재했다.[250] 할레경제연구소는 이러한 격차가 해소되려면 2030년까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했으나, 지난 30년간 동독의 노동생산성과 소득은 서독의 85% 수준까지 상승했고 실업률 격차도 상당히 줄어들었다.[252] 통일 비용은 막대하여, 독일 정부는 통일 후 15년간 1.4조유로 이상을 동독에 지원했다. 이 재원은 주로 연방정부 예산, 서독 주민의 보험료, 부유한 주의 분담금, 통일기금, 연대세 등으로 충당되었으며, 특히 부채 발행에 크게 의존했다. 이로 인해 정부 부채와 가계 부채가 증가했으며, 빈곤층 비율도 통일 전보다 상승했다.[251]

2000년대 초반 독일 경제는 성장 정체를 겪었으며, 2002년(+1.4%), 2003년(+1.0%), 2005년(+1.4%)에는 특히 낮은 성장률을 기록했다.[75] 만성적인 실업률[76]고령화는 복지 시스템에 큰 부담을 주었다. 이에 대응하여 정부는 노동 시장 개혁인 하르츠 I-IV를 포함한 광범위한 긴축 프로그램 아젠다 2010을 추진했다.[76] 이 개혁의 효과에 대해서는 높은 성장과 실업률 감소에 기여했다는 평가와, 생활 수준 저하를 초래하고 효과가 제한적이었다는 주장이 엇갈린다.[76] 2008년에는 세계 금융 위기의 여파로 기술적 경기 침체를 겪었으나,[77] 2009년 500억유로 (700억달러) 규모의 부양책과 제조업 수주 및 수출 회복에 힘입어 침체에서 벗어났다.[80][76]

독일 경제의 주요 과제 중 하나는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이다. 이는 노동 인구 감소로 이어져 연금 및 의료 시스템에 대한 부담을 가중시킬 것으로 예상된다.[158] 또한, 코로나19 범유행은 2020년 2분기에 -9.7%라는 기록적인 GDP 하락을 초래하며 경제에 큰 충격을 주었다.[160]

2022년 에너지 위기는 에너지 집약적인 독일 산업과 수출업체에 특히 큰 타격을 주었다.[161][162]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 중단[88]은 에너지 가격 상승 우려를 낳았으며,[163]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를 낮추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90][91][89] 이에 독일 정부는 유럽 그린 딜과 에너지 전환(Energiewende) 정책을 가속화하고 있다.[164] 2030년까지 석탄 사용을 단계적으로 중단하고,[165] 2023년 4월 마지막 원자력 발전소 가동을 중단했으며,[166][167] 2045년까지 탄소 중립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168] 2024년 7월에는 '탈 러시아' 정책의 성공으로 EU 자체 에너지원 확보 능력을 강화했다.[221][222][223]



독일 채권. 2008년의 수익률 곡선 역전과 2014~2022년의 초과 지급 준비금에 대한 마이너스 금리가 나타났다.


대외적으로는 높은 수출 의존도와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이 과제로 지적된다. 특히 2024년 보고서에 따르면 다각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93] 또한 경제학자들은 독일의 막대한 경상수지 흑자를 바람직하지 않게 여기기도 한다.[141] GDP 대비 부채 비율은 2010년 80.3%를 정점으로 감소하여[136] 2015년에는 71.9% (2.152조유로)를 기록했고,[137] 같은 해 121억유로 (131억달러)의 재정 흑자를 달성했으며[138] 최고 신용 등급(AAA)을 유지하고 있다.[139] 그러나 국가 부채 총액 자체는 계속 증가하여, '부채 시계'(''Schuldenuhr'')는 2020년 10월 기준 초당 10,424.00 유로씩 증가하고 있다.[140]

미래 전망으로는 숙련된 노동력과 강력한 제조업 기반을 바탕으로 한 경쟁력 유지가 기대된다. 특히 자동차, 기계 공학, 화학 공업 등 전통적인 강점 분야 외에도 풍력 터빈태양열 기술과 같은 녹색 기술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84] 또한, 수도권 집중 현상이 심한 다른 국가들과 달리 지역 경제가 균형 있게 발전한 '다극화 경제' 구조는 강점으로 평가받는다.[240][241][242] 미중 무역 전쟁과 같은 국제 정세 변화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고 있으며,[224][225][226][227][228] 유럽 연합 내에서의 중심적인 역할과 유로화를 통한 경제 통합 심화도 긍정적인 요인이다. 그러나 노동 시장 유연성 부족과 같은 구조적 문제 해결과 지속적인 개혁 추진이 요구되며, 미래 성장을 위해서는 광범위한 경제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on 1 January https://ec.europa.eu[...] Eurostat 2024-11-01
[2]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April 2019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9-09-29
[3] 웹사이트 World Bank Country and Lending Groups https://datahelpdesk[...] World Bank 2019-09-29
[4]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4 https://www.imf.org/[...] International Monetary Fund
[5] 웹사이트 Europe :: Germany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1-01-31
[6] 웹사이트 CPI 2023 https://www.transpar[...]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24-01-30
[7] 웹사이트 People at risk of poverty or social exclusion https://ec.europa.eu[...] Eurostat
[8] 웹사이트 Gini coefficient of equivalised disposable income - EU-SILC survey https://ec.europa.eu[...] Eurostat
[9] 웹사이트 Human Development Report 2023/2024 https://hdr.undp.org[...]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2024-04-28
[10] 웹사이트 Employment rate by sex, age group 20-64 https://ec.europa.eu[...] Eurostat 2024-07-20
[11] 웹사이트 August 2020: employment slightly up on the previous month https://www.destatis[...] Federal Statistical Office of Germany 2020-10-02
[12] 웹사이트 Export Partners of Germany https://oec.world/en[...] The Observatory of Economic Complexity 2023-04-14
[13] 웹사이트 Import Partners of Germany https://oec.world/en[...] The Observatory of Economic Complexity 2023-04-14
[14] 웹사이트 Deutsche Bundesbank http://www.bundesban[...] 2017-07-09
[15] 웹사이트 Provision of deficit and debt data for 2023 - first notification https://ec.europa.eu[...] Eurostat 2024-04-22
[16] 웹사이트 Sovereigns rating list http://www.standarda[...] Standard & Poor's 2011-05-26
[17] 뉴스 How Fitch, Moody's and S&P rate each country's credit rating https://www.theguard[...] 2011-04-15
[18] 웹사이트 Scope affirms Germany's AAA rating with Stable Outlook https://www.scoperat[...] 2024-09-27
[1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ec.europa.eu/[...] 2017-12-25
[2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ec.europa.eu/[...] 2017-12-25
[21] 웹사이트 Germany Foreign Exchange Reserves https://www.ceicdata[...] CEIC Data - UK 2018-01-01
[22] 웹사이트 Germany: Spend More At Home http://www.imf.org/e[...] 2018-04-28
[23] 서적 Scale and Scope: The Dynamics of Industrial Capitalism https://books.google[...] 1990
[24] 웹사이트 Scale and Scope — Alfred D. Chandler, Jr. | Harvard University Press http://www.hup.harva[...] Hup.harvard.edu 2014-08-13
[25] 뉴스 Warum Europa über Deutschlands Erfolg meckert https://www.welt.de/[...] 2015-02-02
[26] 웹사이트 German current account surplus to hit record, world's largest in 2016: Ifo https://www.reuters.[...] CNBC 2016-09-06
[27] 웹사이트 National economy & environment - Foreign trade - Federal Statistical Office (Destatis) https://www.destatis[...]
[28] 간행물 Statistisches Bundesamt: Ranking of Germany's trading partners in foreign trade: 2014 https://www.destatis[...]
[29] 웹사이트 Country Profile: Germany https://www.macrotre[...]
[30] 웹사이트 Germany's capital exports under the euro | vox http://www.voxeu.org[...] Voxeu.org 2014-08-13
[31] 뉴스 CIA Factbook http://www.destatis.[...] 2015-04-23
[32] 뉴스 What Germany offers the world https://www.economis[...] 2012-04-14
[33] 웹사이트 How Does Germany do It? https://www.asme.org[...] 2017-04-29
[34] 논문 Do Social-Welfare Policies Reduce Poverty? A Cross-National Assessment http://www.lisdatace[...]
[35] 논문 Determinants of Relative Poverty in Advanced Capitalist Democracies
[36] 웹사이트 Social Expenditure – Aggregated data http://stats.oecd.or[...]
[37] 웹사이트 Public Net Electricity Generation in Germany 2019 https://www.ise.frau[...] 2020-01-15
[38] 웹사이트 Wind Power http://www.german-re[...] Federal Ministry of Economics and Technology (Germany) 2006-12-10
[39] 웹사이트 Electricity production in the 2nd quarter of 2019: nearly half of the electricity supplied was produced from renewables https://www.destatis[...] 2019-11-04
[40] 웹사이트 Germany: The World's First Major Renewable Energy Economy http://www.renewable[...] 2024-02-24
[41] 간행물 Electricity production from solar and wind in Germany – New record in wind power production http://www.ise.fraun[...] Fraunhofer ISE 2014-12-15
[42] 웹사이트 World Official Gold Holdings - International Financial Statistics, March 2024 https://www.gold.org[...] 2024-03-05
[43] 웹사이트 Research & development spending as a share of GDP https://ourworldinda[...] 2024-01-10
[44] 웹사이트 Gross domestic spending on R&D https://data.oecd.or[...] 2024-01-10
[45] 웹사이트 High-technology exports https://data.worldba[...] 2023-04-15
[46] 웹사이트 Anteile Kleine und Mittlere Unternehmen 2021 nach Größenklassen in % https://www.destatis[...] 2024-02-22
[47] 웹사이트 Germany's 'hidden champions' of the Mittelstand https://www.bbc.com/[...] 2017-08-17
[48] 웹사이트 Leading car manufacturers by revenue 2022 https://www.statista[...]
[49] 웹사이트 https://cen.acs.org/[...]
[50] 간행물 Forbes Global 2000: Germany's Largest Companies https://www.forbes.c[...] 2018-03-29
[51] 웹사이트 DHL Group - Umsatz bis 2022 https://de.statista.[...]
[52] 웹사이트 Global 500 2023 https://fortune.com/[...] 2023-12-24
[53] 웹사이트 Members to the Supervisory Board of Deutsche Bahn AG http://www.deutscheb[...]
[54] 웹사이트 Deutsche Bahn AG at a glance http://www.deutscheb[...] Deutsche Bahn
[55] 웹사이트 10 biggest retailers in the world https://www.forbes.c[...] 2020-08-06
[56] 웹사이트 trade shows in Germany, fairs Germany, trade fair Germany, trade show venue Germany http://www.expodatab[...]
[57] 웹사이트 Trade fairs in Germany http://www.germany.t[...] German National Tourist Board 2014-02-05
[58] 서적 Great Train Race: Railways and the Franco-German Rivalry, 1815–1914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06
[59] 웹사이트 DELAG: The World's First Airline http://www.airships.[...] 2014-03-17
[60] 문서 Banking in the Early Stages of Industrialization: A Study in Comparative Economic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1] 논문 The "Coalition of 'Rye and Iron'" under the Pressure of Globalization: A Reinterpretation of Germany's Political Economy before 1914 2010-09
[62] 웹사이트 Class and Politics in Germany, 1850 to 1900 http://www.fsmitha.c[...]
[63] 웹사이트 Germany - history - geography https://www.britanni[...]
[6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s://ohiostatepre[...] 2015-02-02
[65] 웹사이트 Slouching Towards Utopia?: The Economic History of the Twentieth Century -XV. Nazis and Soviets- http://econ161.berke[...] 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ey and NBER 1997-02
[66] 서적 Geschichte der Inflationen : vom Altertum bis zur Gegenwart Battenberg 1982
[67] 서적 Weimar and Nazi Germany Heinemann 1996
[68] 서적 '"The German Economy in the Twentieth Century"' Routledge 1990
[69] 서적 Weimar and Nazi Germany Heinemann 1996
[70] 서적 '"The German Economy in the Twentieth Century"' Routledge 1990
[71] 서적 '"Big Business in the Third Reich"' Indiana University Press 1964
[72] 서적 Weimar and Nazi Germany Heinemann 1996
[73] 서적 'The Russians in Germany: A History of the Soviet Zone of Occupation, 1945–1949.' Harvard University Press 1995
[74] 뉴스 Germany starts recovery from €2,000bn union http://www.timesonli[...] 2007-08-24
[75] 웹사이트 Bruttoinlandsprodukt (Vierteljahres- und Jahresangaben) http://www.destatis.[...] Statistisches Bundesamt
[76] 웹사이트 CIA Factbook: Germany https://www.cia.gov/[...] Cia.gov 2014-08-13
[77] 뉴스 Germany officially in recession as OECD expects US to lead recovery https://www.theguard[...] 2010-05-01
[78] 뉴스 bloomberg.com, German Economy Enters Worst Recession in 12 Years https://www.bloomber[...] Bloomberg.com 2014-08-13
[79] 뉴스 German economy falls into recession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8-11-13
[80] 뉴스 Germany agrees on 50-billion-euro stimulus plan http://www.france24.[...] France 24 2009-01-06
[81] 웹사이트 Country Comparison :: Exports http://www.worldstop[...]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2-08-09
[82] 웹사이트 Country Comparison :: Imports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2-08-09
[83] 웹사이트 CIA Factbook https://www.cia.gov/[...] 2009-08-02
[84] 웹사이트 Wind Power http://www.german-re[...] Federal Ministry of Economics and Technology 2011-03-27
[85] 웹사이트 Euro Fair Statistics 2008 http://www.auma.de/_[...] AUMA Ausstellungs- und Messe-Ausschuss der Deutschen Wirtschaft e.V. 2011-09-24
[86] 뉴스 Defying the Euro Crisis http://www.spiegel.d[...] 2011-12-27
[87] 뉴스 Brain Drain Feared as German Jobs Lure Southern Europeans https://www.nytimes.[...] 2012-04-28
[88] 웹사이트 Germany went from envy of the world to the worst-performing major developed economy. What happened? https://apnews.com/a[...] 2023-09-19
[89] 웹사이트 How did Germany fare without Russian gas? https://www.brooking[...] 2023-12-28
[90] 뉴스 Scholz and liberal finance minister clash over nuclear phase-out https://www.euractiv[...] 2022-06-09
[91] 뉴스 How Bad Will the German Recession Be? https://www.spiegel.[...] 2022-09-14
[92] 웹사이트 Economic Key Facts Germany https://kpmg.com/de/[...] 2023-12-05
[93] 웹사이트 Ahead of Scholz trip, study shows German economy still dependent on China https://www.reuters.[...]
[94]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s://www.imf.org/[...]
[95] 웹사이트 The 100 Top Brands 2010 http://www.interbran[...] Interbrand 2011-03-27
[96] 웹사이트 The power of SMEs https://www.tatsache[...] 2021-06-02
[97] 뉴스 Germany Has 1,000 Market-Leading Companies, Manager-Magazin Says http://www.businessw[...] 2011-03-27
[98] 웹사이트 Statistics on Mergers & Acquisitions (M&A) - M&A Courses | Company Valuation Courses | Mergers & Acquisitions Courses http://www.imaa-inst[...] Imaa-institute.org 2014-08-13
[99] 웹사이트 Statistics on Mergers & Acquisitions (M&A) - M&A Courses | Company Valuation Courses | Mergers & Acquisitions Courses http://www.imaa-inst[...] Imaa-institute.org 2014-08-13
[100] 웹사이트 Berlin outranks London in start-up investment http://www.euractiv.[...] 2015-10-28
[101] 웹사이트 Industry Breakdown of Companies in Germany https://www.hithoriz[...]
[102] URL https://fortune.com/[...]
[103] 뉴스 Global 500: Countries – Germany https://money.cnn.co[...] 2011-03-27
[104] 뉴스 Information and Statistics about Mergers & Acquisitions (M&A) Germany https://imaa-institu[...] 2018-02-22
[105] 서적 Wirtschaftsatlas Deutschland Rowohlt Berlin 2010
[106] 웹사이트 The Price of a Failed Reunification http://www.spiegel.d[...] 2005-09-05
[107] 뉴스 Germany may become 22nd EU state with federal minimum wage http://www.germanyne[...] Germany News.Net 2014-07-07
[108] 뉴스 Germany slides into recession as high prices hit home https://www.thenatio[...] 2023-05-25
[109] 뉴스 The World's Billionaires https://www.forbes.c[...] 2016-07-04
[110] 웹사이트 These Are Germany's Power Cities http://www.bild.de/g[...] 2013-08-12
[111] 웹사이트 CPI 2009 table http://www.transpare[...] Transparency International 2009-11-18
[112] 웹사이트 The Innovation Imperative in Manufacturing: How the United States Can Restore Its Edge http://www.nam.org/i[...] 2010-09-26
[113] 뉴스 German Economy Experiences Record Growth in 2010 http://www.germany.i[...] German Embassy Press Release 2011-01-12
[114] 웹사이트 Germany - Agricultural Production and Forest Cover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6-25
[115] 웹사이트 '31.7% —or about 11,076,000 hectares— of Germany is forested' http://rainforests.m[...] 2005
[116] 서적 Wirtschaftsatlas Deutschland Rowohlt Berlin 2010
[117] 웹사이트 USGS Selenium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118] 웹사이트 USGS Potash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119] 웹사이트 USGS Boron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120] 웹사이트 USGS Lime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121] 웹사이트 USGS Fluorspar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122] 웹사이트 USGS Fluorspar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123] 웹사이트 USGS Graphite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124] 웹사이트 USGS Sulfur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125] 웹사이트 USGS Salt Production Statistics https://pubs.usgs.go[...]
[126] 뉴스 ‘We are a car country’: German conservatives commit to reverse combustion engine ban https://www.euractiv[...] 2024-03-11
[127] 웹사이트 The German Miracle Keeps Running: How Germany's Hidden Champions Stay Ahead in the Global Economy http://www.berndveno[...] FHW Berlin 2009-10-09
[128] 웹사이트 The power of uncommon common sense management principles - The secret recipe of German Mittelstand companies - Lessons for large and small companies http://www.druckerso[...] 2010-12-08
[129] 뉴스 China Replaces U.K. in Top-Five Arms Exporters Headed by U.S. https://www.bloomber[...] Bloomberg.com 2014-08-13
[130] 간행물 Interim Update http://www.unwto.org[...] UNWTO 2011-06-26
[131] 웹사이트 UNWTO Annual Report 2010 http://dtxtq4w60xqpw[...] UNWTO
[132] 웹사이트 Zahlen Daten Fakten 2012 http://www.deutscher[...] German National Tourist Board
[133] 웹사이트 Tourism Highlights 2014 edition http://dtxtq4w60xqpw[...] UNWTO 2015-03-26
[134] 웹사이트 2013 Travel & Tourism Economic Impact Report Germany http://wttc.org/site[...] WTTC 2013-11-26
[135] 웹사이트 Wind Power http://www.german-re[...] Federal Ministry of Economics and Technology (Germany) 2011-03-27
[136] 웹사이트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April 2015, General government gross debt (National currency, Per cent of GDP) http://www.imf.org/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16-01-26
[137] 웹사이트 Third quarter of 2015 compared with second quarter of 2015 - Government debt fell to 91.6 % of GDP in euro area http://ec.europa.eu/[...] Eurostat 2016-01-26
[138] 웹사이트 German Government Achieves 'Historic' Budget Surplus https://www.wsj.com/[...] The World Street Journal 2016-01-26
[139] 뉴스 Reuters: Fitch Affirms Germany at 'AAA'; Outlook Stable https://www.reuters.[...] 2016-01-26
[140] 뉴스 German 'debt clock' reverses for first time in 20 years https://www.ft.com/c[...] 2018-01-04
[141] 웹사이트 German and European Economic Policy {{!}} IGM Forum http://www.igmchicag[...]
[142] 웹사이트 Greentech – A Sector with a Future https://www.tatsache[...]
[143] 뉴스 Germany split over green energy http://news.bbc.co.u[...] 2005-02-25
[144] 웹사이트 Germany: Coal tops wind as primary electricity source {{!}} DW {{!}} 13.09.2021 https://www.dw.com/e[...] 2021-10-28
[145] 웹사이트 Energy Consumption in Germany http://www.bmwi.de/B[...] 2014-08-13
[146] 서적 Wirtschaftsatlas Deutschland Rowohlt Berlin 2010
[147] 웹사이트 Germany's Autobahn faces blanket speed limits http://recombu.com/c[...] 2013-05
[148] 웹사이트 Geschäftsbericht 2006 der Deutschen Bahn AG http://www.db.de/sit[...] Deutsche Bahn 2011-03-27
[149] 웹사이트 German Railway Financing https://www.deutsche[...]
[150] 웹사이트 From Deutsche to Sparkassen, the 3 "plastered" pillars of German banks https://www-ilsole24[...] 2019-04-27
[151] 웹사이트 In which European countries do you save the most? https://it.euronews.[...]
[152] 웹사이트 Research in Germany http://www.new-delhi[...] German Embassy, New Delhi 2010-08-20
[153] 웹사이트 Germany's Technological Performance http://www.bmbf.de/e[...] Federal Ministry of Education and Research 2011-08-21
[154] 서적 Green Growth, Green Profit – How Green Transformation Boosts Business Palgrave Macmillan 2010
[155] 웹사이트 Industry strongly engaged in research http://www.tatsachen[...] 2011-11-21
[156] 뉴스 Asleep at the wheel? Germany frets about economic car crash https://www.reuters.[...] 2018-04-28
[157] 뉴스 EU countries approve 2035 phaseout of CO2-emitting cars https://www.reuters.[...] 2023-03-29
[158] 웹사이트 Debt 'explosion' awaits unless policymakers defuse demographic timebomb, warns IMF chief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7-12-03
[159] 간행물 The Economist 2020-03-28
[160] 웹사이트 German economy plunges by record 9.7% https://www.dw.com/e[...] 2020-08-25
[161] 뉴스 A Grave Threat to Industry in Germany https://www.spiegel.[...] 2022-09-21
[162] 뉴스 How Bad Will the German Recession Be? https://www.spiegel.[...] 2022-09-14
[163] 뉴스 Germany's Era of Cheap Energy Is Over, Economy Minister Says https://www.wsj.com/[...] 2022-05-02
[164] 뉴스 EU ministers approve landmark climate measures, but tough talks await https://www.politico[...] 2022-06-29
[165] 뉴스 Germany’s Habeck Hopeful on Switching Off Coal Plants https://www.bloomber[...] 2023-11-03
[166] 뉴스 Germany has shut down its last three nuclear power plants, and some climate scientists are aghast https://www.politico[...] 2023-04-18
[167] 뉴스 After scrapping nuclear reactors, Germany to spend billions on new gas power plants https://www.politico[...] 2024-02-05
[168] 뉴스 COP28: Germany's Scholz calls to phase out coal, oil and gas https://www.dw.com/e[...] 2023-12-02
[169] 뉴스 Germany calls for more immigrants to fix its shrinking economy https://www.ft.com/c[...] 2023-10-11
[170] 뉴스 Germany: Net immigration sinks sharply in 2023 https://www.dw.com/e[...] 2024-06-27
[171] 간행물 Energy https://ourworldinda[...] 2022-10-27
[172] 웹사이트 Economic Key Facts Germany - KPMG Germany https://kpmg.com/de/[...] 2024-08-22
[173] 웹사이트 The Top 25 Economies in the World https://www.investop[...] 2024-08-22
[174] 웹사이트 Germany now world’s third-largest economy, as Japan slips into recession https://www.politico[...] POLITICO 2024-08-22
[175] 웹사이트 Germany now world's third largest economy as Japan loses its spot https://www.euronews[...] 2024-08-22
[176] 뉴스 Germany overtakes Japan as third-biggest economy https://www.lemonde.[...] 2024-02-15
[177] 웹사이트 Japan is no longer the world's third-largest economy as it slips into recession https://www.cnbc.com[...] 2024-02-15
[178] 웹사이트 Recession in Japan makes Germany third largest economy – DW – 02/15/2024 https://www.dw.com/e[...] 2024-08-22
[179] 웹사이트 Download entire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October 2022 https://www.imf.org/[...] 2023-06-05
[180] 웹사이트 Germany 2022 primary energy data in quadrillion Btu https://www.eia.gov/[...] US Energy Imformation Administration 2024-08-22
[181] 웹사이트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 2019 https://www.weforum.[...] 2023-06-05
[182] 웹사이트 Country Rankings: World & Global Economy Rankings on Economic Freedom https://www.heritage[...] 2023-06-05
[183] 웹사이트 ドイツの残業事情:なぜ労働天国のはずのドイツでサビ残が行われているのか? https://career-manag[...] 2021-03-23
[184] 웹사이트 「長時間労働が無い」ドイツと日本の致命的な差 https://toyokeizai.n[...] 2019-05-07
[185] 웹사이트 なぜドイツでは環境保護と経済成長を両立するのか 熊谷徹のヨーロッパSDGリポート【1】 https://www.asahi.co[...] 2023-06-13
[186] 웹사이트 ドイツ経済モデルの成功―― 他の先進国が見習うべき強さの秘密とは https://www.foreigna[...] 2023-06-13
[187] 웹사이트 日本のGDP、今年にもドイツに抜かれ4位転落の恐れ https://www.itmedia.[...] 2023-06-13
[188]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s://www.imf.org/[...] 2023-06-05
[189] 웹사이트 Report for Selected Countries and Subjects https://www.imf.org/[...] 2023-06-05
[190] 웹사이트 日本のGDPはドイツに抜かれる寸前 https://www.iforex.j[...] 2023-06-13
[191] 웹사이트 日本の名目GDP、ドイツが肉薄 世界3位危うく https://www.nikkei.c[...] 2023-02-19
[192] 웹사이트 四半期別GDP速報 : 経済社会総合研究所 - 内閣府 https://www.esri.cao[...] 2023-06-13
[193] 웹사이트 国民経済計算(GDP統計) : 経済社会総合研究所 - 内閣府 https://www.esri.cao[...] 2023-06-13
[194] 웹사이트 2023年第1四半期GDP成長率は前期比0.5%、内需が牽引(スイス) {{!}} ビジネス短信 ―ジェトロの海外ニュース https://www.jetro.go[...] 2023-06-13
[195] 웹사이트 もうすぐドイツに抜かれそう!GDP日本4位転落を防ぐには「労働者の移動がカギ」と専門家(SmartFLASH) https://news.yahoo.c[...] 2023-06-13
[196] 웹사이트 全球经济格局改写!日本一季度GDP降至10740.4亿美元,被德国赶超 https://www.163.com/[...] 2023-05-17
[197] 웹사이트 全球经济格局改写!日本一季度GDP降至10740.4亿美元,被德国超越 https://finance.sina[...] 2023-05-17
[198] 웹사이트 继德国修正一季度GDP后,日本也发布新报告!新结果是谁更高呢?_经济_增速_同比 https://www.sohu.com[...] 2023-06-13
[199] 웹사이트 Außenhandel: Europa kritisiert deutschen Exportüberschuss - WELT https://www.welt.de/[...] 2015-10-16
[200] 웹사이트 Crude Oil and Gas https://rohstofftran[...] 2024-08-25
[201] 웹사이트 In brief: natural gas production in Germany https://www.lexology[...] 2023-02-28
[202] 웹사이트 Germany - Industrialization, Unification, Prussia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8-25
[203] 논문 COAL AND THE EUROPEAN INDUSTRIAL REVOLUTION https://www.nber.org[...] Cambridge大学 2014-01-01
[204] 웹사이트 A major contribution https://groenvermoge[...] groenvermogennl 2024-08-21
[205] 웹사이트 Germany’s aim for 80 percent renewables in electricity by 2030 well within reach – minister https://www.cleanene[...] 2024-02-27
[206] 웹사이트 The Oil Industry of Germany https://onepetro.org[...] OnePetro 1964-06-01
[207] 웹사이트 Germany’s capital exports under the euro https://cepr.org/vox[...] 2011-08-02
[208] 웹사이트 Wayback Machine https://web.archive.[...] 2015-05-02
[209] 웹사이트 Foreign trade https://www.destatis[...] 2023-06-05
[210] 웹사이트 ドイツであらためて考えるウクライナのこと - ドイツ生活情報満載!ドイツニュースダイジェスト http://www.newsdiges[...] 2023-06-13
[211] 웹사이트 ウクライナ危機でドイツを激怒させたプーチン氏の選択 {{!}} {{!}} 岩間陽子 https://mainichi.jp/[...] 2023-06-13
[212] 웹사이트 ポーランド、ドイツの許可なしでも戦車供与の可能性 首相発言 https://www.cnn.co.j[...] 2023-06-13
[213] 웹사이트 Foreign trade https://www.destatis[...] 2023-06-05
[214] 웹사이트 Foreign trade https://www.destatis[...] 2023-06-05
[215] 뉴스 ドイツ、ロシア産エネルギーには「もはや依存していない」 https://www.bbc.com/[...] 2023-06-13
[216] 웹사이트 ドイツがロシア産ガスの全廃を急ぐ背景は? https://www.nikkei.c[...] 2022-10-27
[217] 뉴스 【解説】 ドイツはどのようにロシア産ガスから脱却したのか https://www.bbc.com/[...] 2023-06-13
[218] 웹사이트 天然ガスなどロシア産エネルギーへの依存低減が喫緊の課題(ドイツ) {{!}} エネルギー安全保障の強化に挑む欧州 - 特集 - 地域・分析レポート - 海外ビジネス情報 https://www.jetro.go[...] 2023-06-13
[219] 웹사이트 Assessment of Continuous Oil and Gas Resources in the Lower Saxony Basin of Germany, 2020 https://pubs.usgs.go[...] USGS 2024-08-25
[220] 웹사이트 Oil and Natural Gas Resources in Lower Saxony, Germany https://www.linkedin[...] 2024-08-25
[221] 웹사이트 Germany set to overhaul subsidy regime for renewable energy- document https://www.reuters.[...] Reuters 2024-07-05
[222] 웹사이트 Germany takes new steps to tackle the energy crisis https://www.weforum.[...] WORLD ECONOMIC FORUM 2022-08-24
[223] 웹사이트 Energy Resource Guide - Germany - Renewable Energy https://www.trade.go[...] 2024-08-21
[224] 웹사이트 米中貿易戦争の裏でドイツと中国が調印した「巨額経済協定」の中身(川口 マーン 惠美) @gendai_biz http://gendai.media/[...] 2018-07-13
[225] 간행물 「対米・対中関係をめぐる欧州企業のビジネス動向」 https://www.jetro.go[...]
[226] 뉴스 メルケル独首相が中国首相と会談、米中貿易問題の早期解決促す https://www.reuters.[...] 2019-09-06
[227] 웹사이트 貿易戦争の暗雲広がる、変調きたすドイツや中国経済 https://jp.wsj.com/a[...] 2023-06-13
[228] 간행물 EUとドイツの対中国経済関係 ~メルケル後のドイツの対中政策を展望する https://www.iti.or.j[...]
[229] 웹사이트 Germany’s Era of Cheap Energy Is Over, Economy Minister Says https://www.wsj.com/[...] 2023-06-05
[230] 뉴스 Energy Crisis Fallout: How Bad Will the German Recession Be? https://www.spiegel.[...] 2022-09-14
[231] 뉴스 Debt 'explosion' awaits unless policymakers defuse demographic timebomb, warns IMF chief https://www.telegrap[...] 2016-03-04
[232] 뉴스 Asleep at the wheel? Germany frets about economic car crash https://www.reuters.[...] 2017-07-27
[233] 웹사이트 いつの頃からか、日本で「環境先進国」と呼ばれるようになったドイツ。 https://book.gakugei[...] 2023-06-13
[234] 웹사이트 “労働生産性先進国”ドイツで感じた、“おもてなし大国”日本への追い風 https://xtech.nikkei[...] 2019-09-24
[235] 서적 環境先進国ドイツの今―緑とトラムの街カールスルーエから https://www.amazon.c[...] 학예출판사 2004-12-20
[236] 서적 左傾化するSDGs先進国ドイツで今、何が起こっているか https://www.amazon.c[...] 비즈니스사 2022-07-20
[237] 뉴스 What Germany offers the world https://www.economis[...] 2023-06-05
[238] 웹사이트 How Does Germany Do It? https://www.asme.org[...] 2023-06-05
[239] 뉴스 特別リポート:欧州最強ドイツの「泣き所」、出遅れたデジタル化 https://jp.reuters.c[...] 2018-06-27
[240] 웹사이트 Electricity production in the 2nd quarter of 2019: nearly half of the electricity supplied was produced from renewables https://www.destatis[...] 2023-06-05
[241] 웹사이트 The Global 2000 2022 https://www.forbes.c[...] 2023-06-05
[242] 뉴스 Germany's Eastern Burden: The Price of a Failed Reunification https://www.spiegel.[...] 2005-09-05
[243] 웹사이트 Wayback Machine https://web.archive.[...] 2011-04-27
[244] 웹사이트 Wayback Machine https://web.archive.[...] 2016-03-10
[245] 문서 CIA Factbook 2005 http://www.odci.gov/[...]
[246] 간행물 OECD Employment Outlook 2021 OECD 2021-07-00
[247] 웹인용 trade shows in Germany, fairs Germany, trade fair Germany, trade show venue Germany http://www.expodatab[...]
[248] 웹인용 Trade fairs in Germany http://www.germany.t[...] German National Tourist Board 2014-02-05
[249] 서적 통일 독일의 사회정책과 복지국가: 통일 20년, 독일인 살림살이 들여다보기 후마니타스 2011-00-00
[250] 뉴스 "[통일이 미래다] 일자리 없는 동독… 젊은이 줄줄이 떠나 ‘미래없는 도시’로" http://m.segye.com/c[...] 세계일보 2012-07-04
[251] 서적 독일 통일 15년의 작은 백서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8-00-00
[252] 뉴스 "Ostdeutschland holt erst 2030 auf." http://www.faz.net/s[...] Frankfurter Allgemeine Zeitung 2008-09-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