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밥 (한국 음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밥은 쌀을 주재료로 하여 만든 한국의 주요 음식이다. 쌀의 종류, 잡곡, 특수 재료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종류의 밥을 만들 수 있으며, 조리 방법에 따라 된밥, 고두밥, 죽밥 등으로 구분된다. 밥은 볶음밥, 비빔밥, 덮밥, 김밥, 국밥 등 다양한 요리의 기본 재료로 활용되며, 가마솥, 냄비, 밥솥 등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여 짓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밥 - 오곡밥
  • 한국의 밥 - 팥밥
    팥밥은 멥쌀과 팥으로 만든 동아시아 지역의 음식으로, 한국에서는 겨울철, 명절, 생일에, 중국에서는 겨울 옷을 입는 날에, 일본에서는 특별한 날에 먹는다.
밥 (한국 음식)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명칭
한국어
존칭진지
수라
로마자 표기bap
종류
음식 종류
특징
주재료쌀 또는 다른 곡물
칼로리85kcal (1인분 기준)
관련 정보
관련 요리한국 요리

2. 종류

밥은 주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쌀 이외에 다른 곡물을 섞거나, 채소, 해산물, 육류 등 특별한 재료를 넣어 밥을 지을 수 있다.

잡곡밥은 쌀에 여러 가지 다른 곡물을 섞어 지은 밥을 의미한다. 정월 대보름에는 오곡밥이나 찰밥을 먹는 풍습이 있다. 쌀과 다른 곡물 한 가지를 섞어 지은 밥은 섞은 재료의 이름을 따서 보리밥, 콩밥 등으로 부른다. 보리만으로 지은 밥은 꽁보리밥이라고 한다.

'''별밥''' 또는 '''별미밥'''은 쌀에 채소, 해산물, 육류 등 특별한 재료를 섞어 만든 밥이다.[11] 예를 들어 나물밥[12], 송이밥 등이 있다.

콩나물밥

2. 1. 재료에 따른 분류

밥은 주재료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쌀 이외에 다른 곡물을 섞거나, 채소, 해산물, 육류 등 특별한 재료를 넣어 밥을 지을 수 있다.

'''잡곡밥'''은 쌀에 여러 가지 다른 곡물을 섞어 지은 밥을 의미한다. 정월 대보름에는 찹쌀, 수수, , 검은콩, 으로 지은 오곡밥이나 찹쌀, 팥, 밤, 대추, 검은콩으로 지은 찰밥을 먹는 풍습이 있다. 쌀과 다른 곡물 한 가지를 섞어 지은 밥은 섞은 재료의 이름을 따서 보리밥, 콩밥, 기장밥, 조밥, 메밀밥, 녹두밥, 옥수수밥, 팥밥, 수수밥 등으로 부른다. 보리만으로 지은 밥은 꽁보리밥이라고 하며, 쌀과 보리를 섞어 지은 밥은 보리밥이라고 한다.

'''별밥''' 또는 '''별미밥'''은 쌀에 채소, 해산물, 육류 등 특별한 재료를 섞어 만든 밥을 말한다.[11] 예를 들어 나물을 쌀에 섞어 만든 나물밥[12], 송이버섯을 썰어 넣고 버무려서 뜸을 들여 지은 송이밥 등이 있다.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밥이 있다.

재료에 따른 밥의 종류
이름설명
감자밥껍질 벗긴 감자를 썰어 넣고 지은 밥. 또는 감자로만 지은 밥.
강피밥강피로 지은 밥.
굴밥끓는 밥 위에 생굴을 넣고 섞어서 익힌 밥.
귀리밥귀리로 지은 밥.
기장밥쌀에 기장을 섞어 지은 밥. 또는 기장만으로 지은 밥.
김치밥김치를 잘게 썰어 쌀 밑에 두고 지은 밥. 양념한 생굴을 섞어 가며 먹는다.
나물밥나물을 쌀에 넣고 섞어서 지은 밥.
산나물밥산나물을 볶은 뒤 그 위에 쌀을 안쳐 밥을 짓거나, 밥이 거의 다 되어갈 때 무친 산나물을 위에 얹어 지은 밥.
녹두밥쌀에 녹두를 넣어 지은 밥.
달걀밥밥이 끓을 때 달걀을 풀어 넣고 지은 밥.
도토리밥물에 우려 떫은맛을 없앤 도토리 가루를 곡식에 섞어 지은 밥.
메밀밥메밀을 찧어서 나깨를 벗겨 버리고 지은 밥.
무밥무를 채 썰어 쌀에 섞어서 지은 밥. 주로 양념장에 비비어 먹는다.
밀밥밀로 짓거나 밀을 많이 넣어 지은 밥.
밤밥껍질을 벗긴 통밤을 섞어 넣어 지은 밥.
별밥찹쌀이나 멥쌀에다가 조, 콩, 팥, 대추, 밤, 무, 고구마 따위를 섞어서 지은 밥.
보리밥쌀에 보리를 섞어 지은 밥. 또는 보리로만 지은 밥.
꽁보리밥보리쌀로만 지은 밥.
비지밥비지에 쌀을 섞어 지은 밥.
송이밥밥을 짓다가 송이를 썰어 넣고 버무려서 뜸을 들여 지은 밥.
수수밥찰수수로만 짓거나 수수쌀을 섞어서 지은 밥.
멧수수밥멧수수로 지은 밥.
찰수수밥찰수수로 지은 밥.
쑥밥쑥을 넣어 지은 밥.
오곡밥찹쌀에 기장, 찰수수, 검정콩, 붉은팥의 다섯 가지 곡식을 섞어 지은 밥. 대개 음력 정월 보름에 지어 먹는다.
옥수수밥옥수수를 맷돌에 타서 까부른 다음, 곱삶아 보리밥 모양으로 지은 밥.
은어밥은어를 통째로 밥 안에 박아넣고 그대로 조리한 음식. 생김새가 스타게이지 파이와 닮았기 때문에 해외에서는 Korean Stargazy pie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21][22][23]
잡곡밥입쌀에 잡곡을 섞어 지은 밥. 또는 잡곡으로 지은 밥.
조밥좁쌀로만 짓거나 입쌀에 좁쌀을 많이 두어서 지은 밥.
강조밥좁쌀만으로 지은 밥.
차조밥차조와 쌀을 섞어서 지은 밥, 또는 차좁쌀로만 지은 밥.
죽순밥삶은 죽순을 가늘게 썰어 넣은 밥.
콩나물밥콩나물을 넣고 지은 밥. 밥을 지을 때 소금이나 간장으로 간을 맞추기도 하고, 퍼서 먹을 때 양념장을 치기도 한다.
콩밥쌀에 콩을 섞어서 지은 밥.
팥밥팥을 놓아 지은 밥.
피밥피로 지은 밥.



2. 1. 1. 쌀의 종류

쌀로 만든 가장 기본적인 밥은 '''쌀밥'''이며, 쌀 자체는 흰색 외에도 다른 색상을 띨 수 있으므로, 흰쌀로만 만든 밥은 '''흰쌀밥'''이라고 한다. 흑미를 섞으면 '''흑미밥'''(흑미밥|흑미 밥한국어)이 된다.

모든 현미(도정하지 않은 쌀) 또는 현미와 흰쌀을 섞어 밥을 지을 경우, '''현미밥'''(현미밥|현미 밥한국어)이라고 하며, 모든 찹쌀 또는 찹쌀과 흰쌀을 섞어 밥을 지을 경우, '''찹쌀밥'''(찹쌀밥|찹쌀 밥한국어)이라고 한다. 현미 찹쌀을 사용하여 밥을 지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현미찹쌀밥'''(현미찹쌀밥|현미 찹쌀 밥한국어)이라고 한다.

일반 멥쌀 흰쌀(도정된 쌀)로 만든 밥은 현미밥과 비교하여 '''백미밥'''(백미밥|흰쌀 밥한국어)이라고 할 수 있고, 찰밥/찹쌀밥과 비교하여 '''멥쌀밥'''(멥쌀밥|멥쌀 밥한국어)이라고 할 수 있다.

밥은 한국에서 인기 있는 주요 요리이며, 한국인의 요리 문헌을 의미하기도 한다.[10] 밥은 상당한 영양과 에너지를 제공하며 많은 한국인들에게 약용으로 널리 여겨진다. 적절한 수분을 함유하여 소화가 쉽도록 높은 찰기와 윤기를 가지고 있다.[10] 그 결과, 밥은 인공적인 제품보다는 천연 제품으로부터 얻는 약용에 대한 한국 문화의 관심을 나타낸다.

다음은 쌀의 종류들이다.

이름설명
감자밥/감저반(甘藷飯)껍질 벗긴 감자를 썰어 넣고 지은 밥. 또는 감자로만 지은 밥.
강피밥강피로 지은 밥.
굴밥/석화반(石花飯)끓는 밥 위에 생굴을 넣고 섞어서 익힌 밥.
귀리밥귀리로 지은 밥.
금반(金飯)좁쌀에 감국과 감초를 넣어서 지은 밥.
기사회생반(起死回生飯)생쌀을 자루에 담아 끓는 설렁탕 가마 속에 넣어서 지은 밥. 몸을 보하며 중병을 치른 사람이 먹으면 원기 회복이 잘된다고 한다.
기장밥쌀에 기장을 섞어 지은 밥. 또는 기장만으로 지은 밥.
김치밥김치를 잘게 썰어 쌀 밑에 두고 지은 밥. 양념한 생굴을 섞어 가며 먹는다.
꿀밥꿀을 섞은 밥.
나물밥/채소밥(菜蔬-)/돈채반(頓菜飯)나물을 쌀에 넣고 섞어서 지은 밥.
산나물밥(山---)산나물을 볶은 뒤 그 위에 쌀을 안쳐 밥을 짓거나, 밥이 거의 다 되어갈 때 무친 산나물을 위에 얹어 지은 밥.
남촉반(南燭飯)남천(南天)의 잎을 넣고 지은 밥.
녹두밥(綠豆-)쌀에 녹두를 넣어 지은 밥.
달걀밥/계란밥(鷄卵-)/계란반(鷄卵飯)밥이 끓을 때 달걀을 풀어 넣고 지은 밥.
도토리밥물에 우려 떫은맛을 없앤 도토리 가루를 곡식에 섞어 지은 밥.
도화반(桃花飯)흰밥을 매홍지(梅紅紙) 위에 뒤섞어서 불그스름한 복숭앗빛으로 물을 들인 밥.
메밀밥/교맥반(蕎麥飯)메밀을 찧어서 나깨를 벗겨 버리고 지은 밥.
무밥/청근반(菁根飯)무를 채 썰어 쌀에 섞어서 지은 밥. 주로 양념장에 비비어 먹는다.
밀기울밥밀기울로 지은 밥.
밀밥밀로 짓거나 밀을 많이 넣어 지은 밥.
반도반(蟠桃飯)반쯤 끓인 쌀에 산복숭아를 삶아서 체에 걸러 넣고 지은 밥.
밤밥껍질을 벗긴 통밤을 섞어 넣어 지은 밥.
별밥(別-)/별반(別飯)찹쌀이나 멥쌀에다가 조, 콩, 팥, 대추, 밤, 무, 고구마 따위를 섞어서 지은 밥.
보리감자밥보리에 감자를 섞어 지은 밥.
보리밥/맥반(麥飯)쌀에 보리를 섞어 지은 밥. 또는 보리로만 지은 밥.
꽁보리밥/맨보리밥/순맥반(純麥飯)보리쌀로만 지은 밥.
보리수수밥보리쌀에 수수쌀을 섞어 지은 밥.
비지밥비지에 쌀을 섞어 지은 밥.
상수리밥상수리쌀에 붉은팥을 갈아 넣어 지은 밥. 밥을 풀 때 꿀을 쳐서 그릇에 담는다.
서속밥(黍粟-)기장과 조 따위의 거친 곡식으로 지은 밥.
송이밥(松耳-)/송이반(松耳飯)밥을 짓다가 송이를 썰어 넣고 버무려서 뜸을 들여 지은 밥.
수수밥찰수수로만 짓거나 수수쌀을 섞어서 지은 밥.
멧수수밥멧수수로 지은 밥.
찰수수밥찰수수로 지은 밥.
싸라기밥/싸락밥싸라기가 많이 섞인 쌀로 지은 밥.
쌀밥/미반(米飯)멥쌀로 지은 밥.
멥쌀밥/메밥/경미반(粳米飯)멥쌀로 지은 밥.
입쌀밥/이밥입쌀로 지은 밥.
찹쌀밥/나미밥(糯米-)/나미반(糯米飯)찹쌀로 지은 밥.
햅쌀밥/햇밥당해에 새로 난 쌀로 지은 밥.
현미밥(玄米-)/여반(糲飯)/탈속반(脫粟飯)현미로 지은 밥.
흰밥/백반(白飯)잡곡을 섞지 아니하고 흰쌀로만 지은 밥.
백옥밥(白玉-)백옥과 같이 하얀 밥.
흰쌀밥희게 쓿은 멥쌀로 지은 밥.
쑥밥쑥을 넣어 지은 밥.
오곡밥(五穀-)/오곡반(五穀飯)찹쌀에 기장, 찰수수, 검정콩, 붉은팥의 다섯 가지 곡식을 섞어 지은 밥. 대개 음력 정월 보름에 지어 먹는다.
옥수수밥/강냉이밥/옥촉서반(玉蜀黍飯)옥수수를 맷돌에 타서 까부른 다음, 곱삶아 보리밥 모양으로 지은 밥.
옥정반(玉井飯)멥쌀이 끓을 때에 연뿌리와 연밥을 넣어서 지은 밥.
은어밥은어를 통째로 밥 안에 박아넣고 그대로 조리한 음식. 생김새가 스타게이지 파이와 닮았기 때문에 해외에서는 Korean Stargazy pie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21][22][23]
잡곡밥(雜穀-)/잡곡반(雜穀飯)입쌀에 잡곡을 섞어 지은 밥. 또는 잡곡으로 지은 밥.
조개밥/합반(蛤飯)멥쌀에 조갯살을 넣고 간장을 쳐서 지은 밥.
조밥/좁쌀밥/낫밥/속반(粟飯)/황량반(黃粱飯)좁쌀로만 짓거나 입쌀에 좁쌀을 많이 두어서 지은 밥.
강조밥/깡조밥/순속반(純粟飯)좁쌀만으로 지은 밥.
차조밥/나속반(糯粟飯)차조와 쌀을 섞어서 지은 밥, 또는 차좁쌀로만 지은 밥.
죽순밥(竹筍-)삶은 죽순을 가늘게 썰어 넣은 밥.
죽실반(竹實飯)죽실을 까서 멥쌀에 섞어 지은 밥.
중둥밥(重둥-)찬밥에 물을 조금 치고 다시 무르게 끓인 밥.
중둥밥(重둥-)팥을 달인 물에 흰쌀을 안쳐 지은 밥.
진잎밥진잎을 넣고 지은 밥.
찰밥찹쌀과 팥, 밤, 대추, 검은콩 따위를 섞어서 지은 밥.
콩나물밥/대두아반(大豆芽飯)콩나물을 넣고 지은 밥. 밥을 지을 때 소금이나 간장으로 간을 맞추기도 하고, 퍼서 먹을 때 양념장을 치기도 한다.
콩밥쌀에 콩을 섞어서 지은 밥.
팥물밥팥을 삶아 짜서 체에 거른 물로 지은 밥.
팥밥/적두반(赤豆飯)/적반(赤飯)팥을 놓아 지은 밥.
피밥/패반(稗飯)피로 지은 밥.
강피밥피로만 지은 밥.
혼돈반(餛飩飯)멥쌀이나 찹쌀에 붉은팥과 밤, 대추, 곶감 따위를 넣어서 지은 밥.


2. 1. 2. 잡곡의 종류

잡곡밥한국어은 쌀에 여러 가지 다른 곡물을 섞어 지은 밥이다. 정월 대보름에는 찹쌀, 수수, , 검은콩, 으로 지은 오곡밥이나 찹쌀, 팥, 밤, 대추, 검은콩으로 지은 찰밥을 먹는다.

쌀과 다른 곡물 한 가지를 섞어 지은 밥은 섞은 재료의 이름을 따서 부른다.



보리만으로 지은 밥은 꽁보리밥이라고 하며, 쌀과 보리를 섞어 지은 밥은 보리밥이라고 한다.

이외에도 다음과 같은 잡곡밥 종류가 있다.


  • 감자밥: 껍질 벗긴 감자를 썰어 넣고 지은 밥. 또는 감자로만 지은 밥.
  • 강피밥: 강피로 지은 밥.
  • 굴밥: 끓는 밥 위에 생굴을 넣고 섞어서 익힌 밥.
  • 귀리밥: 귀리로 지은 밥.
  • 김치밥: 김치를 잘게 썰어 쌀 밑에 두고 지은 밥.
  • 나물밥: 나물을 쌀에 넣고 섞어서 지은 밥.
  • * 산나물밥: 산나물을 볶은 뒤 그 위에 쌀을 안쳐 밥을 짓거나, 밥이 거의 다 되어갈 때 무친 산나물을 위에 얹어 지은 밥.
  • 도토리밥: 물에 우려 떫은맛을 없앤 도토리 가루를 곡식에 섞어 지은 밥.
  • 무밥: 무를 채 썰어 쌀에 섞어서 지은 밥. 주로 양념장에 비비어 먹는다.
  • 밀기울밥: 밀기울로 지은 밥.
  • 밀밥: 밀로 짓거나 밀을 많이 넣어 지은 밥.
  • 밤밥: 껍질을 벗긴 통밤을 섞어 넣어 지은 밥.
  • 별밥: 찹쌀이나 멥쌀에다가 조, 콩, 팥, 대추, 밤, 무, 고구마 따위를 섞어서 지은 밥.
  • 보리감자밥: 보리에 감자를 섞어 지은 밥.
  • 보리수수밥: 보리쌀에 수수쌀을 섞어 지은 밥.
  • 비지밥: 비지에 쌀을 섞어 지은 밥.
  • 송이밥: 밥을 짓다가 송이를 썰어 넣고 버무려서 뜸을 들여 지은 밥.
  • * 멧수수밥: 멧수수로 지은 밥.
  • * 찰수수밥: 찰수수로 지은 밥.
  • 싸라기밥: 싸라기가 많이 섞인 쌀로 지은 밥.
  • 쑥밥: 쑥을 넣어 지은 밥.
  • 조개밥: 멥쌀에 조갯살을 넣고 간장을 쳐서 지은 밥.
  • * 강조밥: 좁쌀만으로 지은 밥.
  • * 차조밥: 차조와 쌀을 섞어서 지은 밥, 또는 차좁쌀로만 지은 밥.
  • 죽순밥: 삶은 죽순을 가늘게 썰어 넣은 밥.
  • 콩나물밥: 콩나물을 넣고 지은 밥.
  • 피밥: 피로 지은 밥.
  • 혼돈반(餛飩飯): 멥쌀이나 찹쌀에 붉은팥과 밤, 대추, 곶감 따위를 넣어서 지은 밥.


2. 1. 3. 특수 재료

쌀에 여러 가지 재료를 섞어 지은 밥을 '별밥' 또는 '별미밥'이라고 부른다.[11] 쌀에 나물을 섞어 만든 나물밥[12], 산나물을 볶아 쌀과 함께 짓거나 밥이 거의 다 될 때 무친 산나물을 얹어 짓는 산나물밥 등이 있다.

다음은 특수 재료를 넣어 만든 밥의 종류이다.

이름설명
감자밥/감저반(甘藷飯)껍질 벗긴 감자를 썰어 넣거나 감자로만 지은 밥.
강피밥강피로 지은 밥.
굴밥/석화반(石花飯)끓는 밥 위에 생굴을 넣고 섞어서 익힌 밥.
귀리밥귀리로 지은 밥.
금반(金飯)좁쌀에 감국과 감초를 넣어서 지은 밥.
기사회생반(起死回生飯)생쌀을 자루에 넣어 끓는 설렁탕 가마 속에서 지은 밥. 중병을 앓은 사람이 먹으면 원기 회복에 좋다고 한다.
기장밥쌀에 기장을 섞거나 기장만으로 지은 밥.
김치밥김치를 잘게 썰어 쌀 밑에 두고 지은 밥. 양념한 생굴을 섞어 먹는다.
꿀밥꿀을 섞은 밥.
나물밥/채소밥(菜蔬-)/돈채반(頓菜飯)나물을 쌀에 섞어서 지은 밥.
산나물밥(山---)산나물을 볶아 쌀과 함께 짓거나, 밥이 거의 다 될 때 무친 산나물을 얹어 지은 밥.
남촉반(南燭飯)남천(南天) 잎을 넣고 지은 밥.
녹두밥(綠豆-)쌀에 녹두를 넣어 지은 밥.
달걀밥/계란밥(鷄卵-)/계란반(鷄卵飯)밥이 끓을 때 달걀을 풀어 넣고 지은 밥.
도토리밥물에 우려 떫은맛을 없앤 도토리 가루를 곡식에 섞어 지은 밥.
도화반(桃花飯)흰밥을 매홍지(梅紅紙) 위에 뒤섞어 복숭앗빛으로 물들인 밥.
메밀밥/교맥반(蕎麥飯)메밀을 찧어 껍질을 벗기고 지은 밥.
무밥/청근반(菁根飯)무를 채 썰어 쌀에 섞어서 지은 밥. 주로 양념장에 비벼 먹는다.
밀기울밥밀기울로 지은 밥.
밀밥밀로 짓거나 밀을 많이 넣어 지은 밥.
반도반(蟠桃飯)반쯤 끓인 쌀에 산복숭아를 삶아 체에 걸러 넣고 지은 밥.
밤밥껍질을 벗긴 통밤을 섞어 넣어 지은 밥.
별밥(別-)/별반(別飯)찹쌀이나 멥쌀에 조, 콩, 팥, 대추, 밤, 무, 고구마 등을 섞어서 지은 밥.
보리감자밥보리에 감자를 섞어 지은 밥.
보리밥/맥반(麥飯)쌀에 보리를 섞거나 보리만으로 지은 밥.
꽁보리밥/맨보리밥/순맥반(純麥飯)보리쌀로만 지은 밥.
보리수수밥보리쌀에 수수쌀을 섞어 지은 밥.
비지밥비지에 쌀을 섞어 지은 밥.
상수리밥상수리쌀에 붉은팥을 갈아 넣어 지은 밥. 꿀을 쳐서 그릇에 담는다.
서속밥(黍粟-)기장과 조 등 거친 곡식으로 지은 밥.
송이밥(松耳-)/송이반(松耳飯)밥을 짓다가 송이를 썰어 넣고 버무려 뜸을 들여 지은 밥.
수수밥찰수수로만 짓거나 수수쌀을 섞어서 지은 밥.
멧수수밥멧수수로 지은 밥.
찰수수밥찰수수로 지은 밥.
싸라기밥/싸락밥싸라기가 많이 섞인 쌀로 지은 밥.
쑥밥쑥을 넣어 지은 밥.
오곡밥(五穀-)/오곡반(五穀飯)찹쌀, 기장, 찰수수, 검정콩, 붉은팥을 섞어 지은 밥. 음력 정월 보름에 먹는다.
옥수수밥/강냉이밥/옥촉서반(玉蜀黍飯)옥수수를 맷돌에 타서 껍질을 벗긴 후 곱삶아 보리밥처럼 지은 밥.
옥정반(玉井飯)멥쌀이 끓을 때 연뿌리와 연밥을 넣어 지은 밥.
은어밥은어를 통째로 밥 안에 넣어 조리한 음식. 스타게이지 파이와 비슷하여 Korean Stargazy pie라는 별칭으로도 알려져 있다.[21][22][23]
잡곡밥(雜穀-)/잡곡반(雜穀飯)쌀에 잡곡을 섞거나 잡곡으로 지은 밥.
조개밥/합반(蛤飯)멥쌀에 조갯살을 넣고 간장을 쳐서 지은 밥.
조밥/좁쌀밥/낫밥/속반(粟飯)/황량반(黃粱飯)좁쌀로만 짓거나 쌀에 좁쌀을 많이 넣어 지은 밥.
강조밥/깡조밥/순속반(純粟飯)좁쌀만으로 지은 밥.
차조밥/나속반(糯粟飯)차조와 쌀을 섞거나 차좁쌀로만 지은 밥.
죽순밥(竹筍-)삶은 죽순을 가늘게 썰어 넣은 밥.
죽실반(竹實飯)죽실을 까서 멥쌀에 섞어 지은 밥.
중둥밥(重둥-)찬밥에 물을 조금 치고 다시 무르게 끓인 밥. 또는 팥을 달인 물에 흰쌀을 안쳐 지은 밥.
진잎밥진잎을 넣고 지은 밥.
찰밥찹쌀, 팥, 밤, 대추, 검은콩 등을 섞어서 지은 밥.
콩나물밥/대두아반(大豆芽飯)콩나물을 넣고 지은 밥. 소금이나 간장으로 간을 맞추거나 양념장을 쳐서 먹는다.
콩밥쌀에 콩을 섞어서 지은 밥.
팥물밥팥을 삶아 짜서 체에 거른 물로 지은 밥.
팥밥/적두반(赤豆飯)/적반(赤飯)팥을 넣어 지은 밥.
피밥/패반(稗飯)피로 지은 밥.
강피밥피로만 지은 밥.
혼돈반(餛飩飯)멥쌀이나 찹쌀에 붉은팥, 밤, 대추, 곶감 등을 넣어서 지은 밥.



3. 밥을 이용한 요리

국밥: 끓인 국에 밥을 만 음식. 또는 국에 미리 밥을 말아 끓인 음식이다.

김밥: 김 위에 밥을 펴 놓고 여러 가지 반찬으로 소를 박아 둘둘 말아 싸서 썰어 먹는 음식이다.

덮밥: 반찬이 될 만한 요리를 밥 위에 얹어 먹는 음식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고기덮밥, 오징어덮밥 따위가 있다.

볶음밥: 쌀밥에 당근, 쇠고기, 감자 따위를 잘게 썰어 넣고 기름에 볶아 만든 음식이다.

비빔밥: 고기나 나물 따위와 여러 가지 양념을 넣어 비벼 먹는 밥이다.

쌈밥: 채소 잎에 여러 가지 재료와 쌈장을 넣어 밥과 함께 싸서 먹는 음식이다.

약밥: 찹쌀을 물에 불리어 시루에 찐 뒤에 꿀 또는 흑설탕, 참기름, 대추, 진간장, 밤, 황밤 따위를 넣고 다시 시루에 찐 밥이다.

주먹밥: 주먹처럼 둥글게 뭉친 밥 덩이.

''볶음밥'' (볶음밥|한국어): 밥을 잘게 썬 채소나 고기와 함께 기름에 볶은 음식이다.

''덮밥'' (덮밥|한국어): 밥 위에 반찬으로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얹은 음식이다. (예: 회덮밥은 회를 얹은 것이다.)

''김밥'' (김밥|한국어): 밥과 다양한 재료들을 에 말아 한입 크기로 썰어 먹는 음식이다.

''국밥'' (국밥|한국어): 따뜻한 에 밥을 넣거나 말아 먹는 음식이다.

''헛제삿밥'' (헛제삿밥|한국어): 비빔밥과 유사하며 전통적으로 제사에 사용되는 채소로 만들어진 음식이다.

''주먹밥'' (주먹밥|한국어): 밥을 뭉쳐서 만든 덩어리 형태의 음식이다.

''쌈밥'' (쌈밥|한국어): 밥과 여러 가지 반찬, 쌈장을 상추, 깻잎 등의 잎에 싸서 먹는 음식이다.

''약밥'' (약밥|한국어): 꿀, 대추, 간장, 참기름, , 등을 섞어 찐 찹쌀밥이다.

4. 밥 짓는 방법

전통적으로 밥은 대가족을 위해 가마솥(무쇠 )을 사용하여 지었지만, 현대에는 전자 밥솥을 사용하여 밥을 짓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반적인 묵직한 냄비나 돌솥도 사용할 수 있다. 요즘에는 가마솥이나 돌솥에 지은 밥을 '솥밥'이라고 부르며 별미로 여겨진다. 가마솥밥과 돌솥밥을 만들 때는 더 많은 누룽지가 만들어진다.

밥을 짓기 위해 쌀을 물에 비벼서 여러 번 헹군다. 이 과정에서 뜨물이 생성된다.[9] 그 후 30분 동안 불린 다음 끓이면 쌀알이 균일하게 익는 데 도움이 된다. 현미율무(''Coix lacryma-jobi'' var. ''ma-yuen'')와 같이 굵은 쌀알의 경우 덜 익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몇 시간 또는 하룻밤 동안 쌀알을 불릴 필요가 있다. 그 다음 쌀알을 끓인다. 일반적인 묵직한 냄비에서는 뚜껑을 덮고 중간 불에서 약 10분 동안 밥을 지은 다음 저어주고 약한 불에서 5~10분 동안 더 뜸을 들인다.

냄비나 가마솥 바닥에 눌어붙은 밥, 즉 누룽지는 간식으로 먹거나 숭늉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쌀뜨물

참조

[1] 웹사이트 huinbap http://www.hansik.or[...] 2017-05-16
[2] 웹사이트 Six Koreatown restaurants with great banchan http://www.latimes.c[...] 2017-02-28
[3] 뉴스 Exploring Korea's true flavor http://korea.stripes[...] 2017-02-28
[4] 웹사이트 밥 http://krdict.korean[...]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1-08
[5] 서적 An Illustrated Guide to Korean Culture - 233 traditional key words https://archive.org/[...] Hakgojae Publishing Co
[6] 웹사이트 Types of Korean Food – Staple food http://www.hansik.or[...] Korean Food Foundation 2017-01-08
[7] 웹사이트 밥 https://terms.naver.[...] 2021-04-14
[8] 간행물 '밥과 빵' 주식(主食)문화가 낳은 한국과 서양의 문화 차이 https://www.dbpia.co[...] 2018
[9] 웹사이트 Rice Water Bright Cleansing Light Oil http://international[...] The Face Shop 2017-01-08
[10] 간행물 Recovering the royal cuisine in Chosun Dynasty and its esthetics
[11] 웹사이트 별밥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1-08
[12] 웹사이트 나물밥 http://stdweb2.korea[...]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1-08
[13] 웹사이트 huinbap http://www.hansik.or[...] 2017-05-16
[14] 웹사이트 Six Koreatown restaurants with great banchan http://www.latimes.c[...] 2017-02-28
[15] 뉴스 Exploring Korea’s true flavor http://korea.stripes[...] 2017-02-28
[16] 문서 母音のない子音を表記するためのカナの小文字を使うとパㇷ゚となる。
[17] 웹사이트 밥 http://krdict.korean[...]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2017-01-08
[18] 서적 An Illustrated Guide to Korean Culture - 233 traditional key words Hakgojae Publishing Co
[19] 웹사이트 Types of Korean Food -Staple food http://www.hansik.or[...] Korean Food Foundation 2017-01-08
[20] 웹사이트 Rice Water Bright Cleansing Light Oil http://international[...] The Face Shop 2017-01-08
[21] 웹인용 생쌀에 은어가 ‘턱’…호불호 심하게 갈린다는 ‘은어 밥’ https://www.joongang[...] 2023-08-03
[22] 웹인용 사당동 은어밥 섬진강 식당 "진짜 맛있다"...충격적인 반전은? http://www.ggilbo.co[...] 2023-08-03
[23] Youtube 한국인의 밥상 은어낚시의 일인자! 그가 차려주는 솔잎은어구이와 은어밥!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