삿포로 시영 지하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삿포로 시영 지하철은 삿포로 시에서 운영하는 지하철 시스템으로, 남북선, 도자이선, 도호선 3개의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1971년 개통된 남북선을 시작으로, 삿포로역과 오도리역을 중심으로 총 49개의 역에서 운행된다. 고무 타이어 방식을 사용하여 소음이 적고 승차감이 좋으며, 210엔에서 380엔 사이의 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다. JR 홋카이도의 Kitaca, 전국 호환 교통 카드도 사용 가능하며, 1일 승차권 및 정기권도 판매한다. 각 역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안전 설비가 갖춰져 있으며, 2008년부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안전성을 높였다. 2018년 기준 99억 엔의 경상이익을 기록하며 흑자 경영을 유지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홋카이도의 교통 - 세이칸 터널
세이칸 터널은 혼슈와 홋카이도를 연결하는 총 연장 53.85km의 해저터널로, 전략적 목표에서 시작되어 도야마루호 침몰 사고를 계기로 본격화, 1조 1,000억 엔의 건설비를 들여 1988년 개통되었으며, 현재 홋카이도 신칸센이 운행 중이고 통신 및 송전 통로 역할도 수행한다. - 홋카이도의 교통 - 도난 이사리비 철도
도난 이사리비 철도는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으로 JR 홋카이도로부터 이관받은 에사시 선의 일부 구간을 운영하는 제3섹터 철도 회사로, 관광열차 운행 및 다양한 승차권 제공을 통해 지역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다. - 일본의 철도 - 사가미 철도
사가미 철도는 가나가와현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일본 민영 철도 회사로, 여객 및 화물 노선을 운영하며 여러 철도 회사와의 직통 운행과 마스코트 캐릭터를 통해 광역적인 교통망을 구축하고 지역 사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 일본의 철도 - 한큐 고베 본선
한큐 고베 본선은 오사카와 고베를 잇는 32.3km의 복선 전철 노선으로, 다양한 등급의 열차가 운행되며 여러 노선과 환승이 가능하고, 현재 신역 설치 계획과 고베 시영 지하철 직통 운전이 검토되고 있다. - 일본의 지하철 -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
오사카시 고속 전기궤도는 오사카시 지하철 민영화를 위해 설립되어 지하철 및 뉴트램 노선 운영을 인계받아 BRT 노선 운영, 택시 사업, 역사 리뉴얼 및 상업 시설 운영, 부동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하고 있다. - 일본의 지하철 - 오사카 시영 지하철
오사카 시영 지하철은 1933년 미도스지선 개통을 시작으로 8개의 지하철 노선과 1개의 무인 운송 시스템 노선을 운영했으며, 2018년 Osaka Metro에 운영이 이관되었다.
삿포로 시영 지하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명칭 | 삿포로 시영 지하철 |
원어 명칭 | 札幌市営地下鉄 |
로마자 표기 | Sapporo-shiei-chikatetsu |
위치 | 홋카이도삿포로시 |
운행 유형 | 도시 철도 |
노선 수 | 3개 |
역 수 | 49개 |
일일 승객 수 | 573,000명 (2008년 추정치) |
연간 승객 수 | 2억 900만 명 |
개통일 | 1971년 12월 16일 |
운영 주체 | 삿포로 시 교통국 |
총 연장 | 48.0 km |
기술 정보 | |
궤간 | 남보쿠선: 중앙 및 측면 장착식 안내로, 고무 타이어 사용 도자이선 및 도호선: 중앙 안내로, 고무 타이어 사용 |
전철화 방식 | 남보쿠선: 직류 750 V 제3궤조 방식 도자이선 및 도호선: 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방식 |
기타 | |
공식 웹사이트 | 삿포로 시 교통국 공식 웹사이트 |
![]() | |
![]() |
2. 노선
삿포로 시영 지하철은 난보쿠 선, 도자이 선, 도호 선의 세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다. 1971년 1972년 동계 올림픽 이전에 개통된 남북선을 시작으로, 1976년에는 동서선, 1988년에는 도호선이 차례로 개통되었다.
총 길이는 48km이며 46개의 역이 있다. 히라기시역 남쪽의 남북선 구간을 제외하면 모든 선로와 역이 지하에 있다. 히라기시역 남쪽의 남북선 구간은 지상에 있지만, 역, 차량기지 접근 선로 및 제이테이마에역 남쪽의 차량기지까지 모두 덮개로 씌워져 있다.
색상 및 아이콘 | 기호 | 노선명 | 직역 | 최초 개통 구간 | 최종 연장 | 길이 | 역 수 | 열차 크기 | |
---|---|---|---|---|---|---|---|---|---|
녹색 | N | 남북선 (Namboku Line) | 남북선 | 1971[1] | 1978[1] | 14.3km | 16 | 6량 | |
주황색 | T | 동서선 (Tōzai Line) | 동서선 | 1976[1] | 1999[1] | 20.1km | 19 | 7량 | |
파란색 | H | 도호선 (Tōhō Line) | 동도요히라선 (Higashi-Toyohira Line) | 1988[1] | 1994[1] | 13.6km | 14 | 4량 | |
합계: | 48km | 49 |
3개 노선은 모두 삿포로 시의 중심인 오도리 역(大通駅)에 연결되며, 도심부와 교외를 잇는 방사형 노선망을 형성하고 있다. 이는 도쿄, 오사카, 나고야에 이어 전국에서 4번째로 개통된 지하철망이며, 3대 도시권(三大都市圏) 이외의 도시에서는 최대 규모이다.
현행 교통국의 "ST" 마크 도입 이전에는, 홋카이도 모양 중앙에 "S"자를 넣은 지하철 고유의 심볼 마크를 사용했다. 흰색 홋카이도는 눈을, 녹색 S는 푸른 삿포로 시가지를 상징했다.[11]
색상 | 기호 | 노선명 | 구간 | 영업 거리 |
---|---|---|---|---|
연두색 | N | 남북선 | 아사부 역 (N01) - 마코마나이 역 (N16) | 14.3 |
주황색 | T | 동서선 | 미야노자와 역 (T01) - 신삿포로 역 (T19) | 20.1 |
하늘색 | H | 도호선 | 사카에마치 역 (H01) - 후쿠주 역 (H14) | 13.6 |
2. 1. 환승
삿포로 시영 지하철은 삿포로역과 오도리역이라는 두 개의 주요 환승역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도시의 대부분 지역은 지하철역에서 도보 또는 짧은 버스 이동 거리 내에 있다.세 노선은 모두 오도리역에서 연결된다. 남북선과 도호선은 삿포로역에서 JR 홋카이도 본선과 연결된다. 오도리역과 스스키노역에서는 상부의 시영 전차(트램)와 연결된다.[1]
3. 차량
현재 운행 중인 차량은 다음과 같다.
과거에 운행했던 도호선 7000형은 2016년에 운행이 종료되었다.
3. 1. 과거 차량
- 난보쿠 선
- * 1000/2000계(1971년부터 1999년까지 운행) - 2량/4량/6량/8량 편성, 측면 2개 출입문[1]
- ** 1000형은 2량 편성, 2000형은 4량 편성(후에 6량 편성 / 8량 편성)이었다.
- ** 2량 (1001+1002)이 자위대 앞역 근처 삿포로시 교통 자료관에 정적 보존되어 있다.
- * 3000계(1978년부터 2012년까지 운행) - 8량 편성, 측면 2개 출입문[1]
- ** 고정 차축을 없애고, 보기식으로 변경되었다.
- 도자이 선
- * 6000계열(1976년부터 2008년까지 운행) - 편당 7량, 측면 3개 출입문[1]
- ** 최초의 보기 차량으로, 로렐상을 수상했다.
- ** 시제차인 6001편성만 전면 형상 등이 다르다.
- * 도자이선 시험 차량 01
- ** 1973년에 제작되었다. 측면은 6000형 시제차의 중간차와 유사하며, 평면 비관통형이고, 하부구조는 교통국 최초의 전기자 쵸퍼 제어를 채용했다. 도색은 노란색 한 가지였다. 시험 종료 후 3년 만에 폐차되었고, 그 후 차체만 민간에 양도되어 최근까지 이시카리시하나구로(반나구로)에서 창고로 이용되었지만, 현재는 동시 하치만으로 이전되었다.
- 도호 선
- * 7000계(1988년부터 2016년까지 운행) - 4량 편성, 한쪽에 문 3개[3]
- 시험 차량
- * 1차 시험 차량
- ** 폐차된 버스 2량을 개조한 실험 차량. 주행 시험 종료 후, 블룸식 시험 제설차로 개조되었다.[30]
- * 2차 시험 차량
- ** 1차 시험 차량과 마찬가지로, 폐차된 리어엔진형 버스를 개조한 실험 차량. 현재는 존재하지 않는다.
- * 3차 시험 차량 「하루니레」(はるにれ)
- ** 차체 및 좌석 배치가 마이크로버스형 가솔린카였다. 삿포로시 히가시구의 삿포로 시 삿포로 시영 지하철 札苗 실험장에서 주행 시험을 실시했다. 현재, 삿포로시 교통자료관에 정태 보존되어 있다.
- * 4차 시험 차량 「스즈카케」(すずかけ)
- ** 영업 차량(1000형)과 동등한 하부구조에 평 바디 트레일러와 같은 임시 차체를 탑재한 시제차. 삿포로 시 삿포로 시영 지하철 札苗 실험장에서 주행 시험을 실시했다. 현재, 삿포로시 교통자료관에 정태 보존되어 있다.
- * 시험 제설차
- ** 블룸식 - 사사라 전차와 동일한 회전 브러시 방식으로 차체 후부에 제설 장치를 갖추고 있다. 1차 시험 차량을 개조한 것이다.
- ** 진공식 - 진공청소기의 원리로 눈을 흡입하는 방식.
- ** 당초 계획보다 고가 구간이 단축되었고, 쉘터로 덮이게 되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되었다. 2종류 모두 삿포로시 교통자료관에 정태 보존되었지만, 상태 불량으로 2006년에 철거, 폐기되었다. 블룸식 제설차는 전시 말기에는 차체를 철거하여 섀시가 노출된 모습이었다.
4. 기술
삿포로 시영 지하철은 모든 노선에서 하나의 중앙 궤도로 유도되는 두 개의 평평한 주행면 위를 달리는 고무 타이어 열차를 사용한다. 이 방식은 일본과 세계 다른 지하철에서 보기 드문 독특한 시스템이다. 포트 라이너와 같은 다른 고무 타이어 지하철은 유도 레일을 사용하지만, 삿포로는 중앙 궤도만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삿포로는 겨울에 눈이 많이 내리기 때문에 지하철 시스템은 완전히 밀폐되어야 한다. 그래서 모든 차량에 에어컨을 설치하면 터널 안에 뜨거운 공기가 갇히기 때문에 에어컨을 설치할 수 없다.
남북선은 T자형 유도 레일, 이중 타이어, 제3궤조 집전 방식을 사용하고, 도자이선과 도호선은 I자형 유도 레일, 단일 타이어, 가공 전선 집전 방식을 사용한다. 주행면은 수지(남북선 전체와 도자이선 고토니 역-시로이시 역 구간) 또는 강철(도자이선 미야노사와 역-고토니 역, 시로이시 역-신삿포로 역 구간과 도호선 전체)로 만들어진다.
일반적인 철도에서는 철차륜에서 레일로 접지(귀전)하지만, 고무 타이어 방식에서는 안내 궤도에 귀전하기 위한 부집전기 역할을 하는 집전화(슈)를 필요로 한다. 도자이선과 도호선은 집전화를 I자형 안내 궤도의 양쪽에서 쓸어 붙이는 방식이기 때문에, 안내 궤도의 이음매, 역 직전, 커브 등에서 순간적으로 떨어졌다가 다시 접촉할 때 참새 울음소리와 비슷한 독특한 주행음이 발생한다.[65]
역에 정차 중에는 차체 밑부분의 접촉기와 승강장 끝면의 철판을 통해 정전기가 쌓이는 것을 막는다.
4. 1. 삿포로 방식 (중앙 안내 궤조 방식)
삿포로 시영 지하철은 일본과 세계의 다른 지하철과는 다른 독특한 '삿포로 방식'의 중앙 안내 궤조 방식을 사용한다.모든 노선은 하나의 중앙 궤도에 의해 유도되는 두 개의 평평한 주행면 위를 달리는 고무 타이어 열차를 사용한다.[12] 다른 고무 타이어 지하철 네트워크는 유도 레일을 사용하지만, 삿포로 시스템은 중앙 궤도가 불필요하게 만들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겨울철 폭설 때문에 시스템은 완전히 밀폐되어야 하며, 터널 내 뜨거운 공기를 가두지 않기 위해 모든 차량에 에어컨을 장착할 수 없다.
일반적인 철차륜식과 비교하여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고무타이어 방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가속·감속 성능이 우수하다.
- 급경사에서의 등판성이 우수하다.
- 승차감이 좋고, 보선(保線)이 필요 없다.
- 소음이 적다. (단, 여름철에는 창문을 열기 때문에 차내 소음 발생)
- 타이어 마모가 심하고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든다.
- 관성 주행 시 속도 저하가 철차륜식보다 심해 소비전력이 커진다.
- 차량 설계가 독자 규격이라 타사와의 비용 절감이 어렵다.
- 터널 단면적이 커 건설 비용이 비싸다.
파리 지하철(메트로) 등에서도 볼 수 있는 고무타이어식 지하철은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구동 방식 자체는 파리 지하철을 참고했지만[52], 삿포로 시영 지하철은 독특한 형식이다.[12]
노선별 특징
노선 | 집전 방식 | 안내 궤도 형상 | 주행로면 재질 | 고무 타이어 | 자동열차운전장치(ATO) 사용 및 원맨 운전 |
---|---|---|---|---|---|
남북선 | 제3궤조 방식 | T자형 | 수지 | 더블 타이어 | 2013년 |
도자이선 | 가공 전선 방식 | I자형 | 수지(고토니 역-시로이시 역), 철판(미야노사와 역-고토니 역, 시로이시 역-신삿포로 역) | 싱글 타이어 | 2009년 (심야 회송 운전은 무인 제어) |
도호선 | 가공 전선 방식 | I자형 | 철판 | 싱글 타이어 | 2017년 |
남북선과 도자이선, 도호선에 사용되는 기술에는 차이가 있다. 남북선은 T자형 유도 레일, 이중 타이어, 제3궤조 집전 방식을 사용하는 반면, 도자이선과 도호선은 I자형 유도 레일, 단일 타이어, 가공 전선 집전 방식을 사용한다. 주행면의 표면은 수지(남북선 전체와 도자이선 중앙 구간) 또는 강철(도자이선 외곽 구간과 도호선 전체)로 만들어진다.[13]
4. 2. 집전 방식 및 안내 궤도
삿포로 시영 지하철 모든 노선은 하나의 중앙 궤도에 의해 유도되는 두 개의 평평한 주행면 위를 달리는 고무 타이어 열차를 사용한다. 이 시스템은 일본과 세계의 다른 지하철 중에서 독특하다. 포트 라이너와 같은 소규모 자동 유도 운송 시스템 노선을 포함한 다른 고무 타이어 지하철 네트워크는 유도 레일을 사용하지만, 삿포로 시스템은 중앙 궤도가 불필요하게 만들기 때문에 (트랜스로어 및 봄바디어 유도 경량 전철과 같은 일부 고무 타이어 트램과 유사하게) 사용하지 않는다.이 고무 타이어 시스템은 삿포로가 겨울에 받는 폭설과 결합되어 시스템이 완전히 밀폐되어야 함을 의미한다(남북선의 남쪽 고가 구간 포함). 따라서 모든 차량에 에어컨을 장착할 수 없다. 그렇게 하면 터널 내에 뜨거운 공기가 가둘 수 있기 때문이다.
기존 남북선과 새로운 동서선 및 도호선에 사용되는 기술에는 차이가 있다. 남북선은 T자형 유도 레일, 이중 타이어 및 제3궤조 집전 방식을 사용하는 반면, 동서선과 도호선은 I자형 유도 레일, 단일 타이어 및 가공 전선 집전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주행면의 표면은 수지(남북선 전체와 동서선 중앙 구간) 또는 강철(동서선 외곽 구간과 도호선 전체)로 만들어진다.
4. 3. 자동 열차 운전 장치 (ATO)
(자동 열차 운전 장치 (ATO)에 대한 내용은 원본 소스에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 섹션은 작성할 수 없습니다.)5. 요금 및 승차 제도
삿포로시 교통국에서는 요금을 “승차요금”이라고 부른다.[31]
어른 일반 승차요금(어린이는 반액, 10엔 미만은 올림)은 2019년 10월 1일에 개정되었다.[32] “전차”는 삿포로 시영 전차를 가리킨다. (2)구는 각종 요금표 등에서 2의 둥근 테두리 또는 “○2구”로 표기된다.
구간 | 승차요금(엔) | 전차 환승 승차요금 | 버스 1구간 환승 승차요금 | 버스 2구간 환승 승차요금 |
---|---|---|---|---|
1구간 (- 3 km) | 210 | 330 | 340 | 370 |
(2) 구간 (- 5 km) | 250 | 370 | 360 | 390 |
2구간 (- 7 km) | 380 | 410 | ||
3구간 (- 11 km) | 290 | 410 | 420 | 450 |
4구간 (- 15 km) | 330 | 450 | 460 | 490 |
5구간 (- 19 km) | 360 | - | 490 | 520 |
6구간 (- 21 km) | 380 | - | 510 | 540 |
- 많은 철도 회사는 자동발매기에서 2000엔 지폐 입금을 지원하지만, 삿포로 시영 지하철은 모든 자동발매기가 2000엔 지폐 사용을 지원하지 않는다. 시 교통국은 “보급이 되어 있지 않고, 고객의 불만이 없으므로 앞으로도 대응할 계획이 없다”라고 설명한다. 2020년 현재 일본 지하철 중 2000엔 지폐를 사용할 수 없는 곳은 삿포로 시영 지하철뿐이다.
- 삿포로 시 교통국이 발행하는 정기권은 지하철 정기권인 경우 “고”(고속전철)라는 기호가 인쇄된다(시전의 경우는 “전”).
- 자기식 승차권을 사용하는 자동개찰기를 본격적으로 전면 도입한 것은 일본에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이 처음이다.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자동개찰기는 개업 당시부터 현재 최신형까지, 승차권·카드·정기권의 뒷면(자기면)을 위로 하여 넣을 수 없으며, 그대로 넣으면 「뒷면으로 넣으셨습니다. 앞면을 위로 하여 다시 넣어주세요.」라고 표시되고, 문이 닫힌다.
- 2011년 2월 28일 무임승차 검지 시스템을 도입했다. 입장 시 승차권(정기권)에 입장 내역이 기록되고, 출장 시 입장과 다른 승차권으로 개찰구를 이용하면 오류가 발생하여 문이 닫힌다.
5. 1. 요금
요금은 이동 거리에 따라 210JPY에서 380JPY까지 다양하다.[4] 모든 역에서는 지하철 요금 카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정기권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SAPICA 충전식 IC 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JR 홋카이도에서 운영하는 비접촉식 스마트 카드인 Kitaca도 삿포로 시영 지하철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전국 상호 이용 서비스에 가맹된 Suica 및 PASMO와 같은 공공 교통 카드도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이 호환성은 단방향이어서, SAPICA는 다른 철도 네트워크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자판기에서 1일권 및 할인권을 구입할 수 있다. 2015년 3월 31일 단종되기 전까지[5] 선불식 "With You" 마그네틱 카드는 지하철, 노면 전차, JR 홋카이도 버스, 홋카이도 중앙 버스 및 조테쓰 버스가 제공하는 일반 시내 노선에서 사용할 수 있었다. 이 기능은 SAPICA로 대체되었다.
1일권은 구입 당일 지하철, 노면 전차, 중앙, 조테쓰 및 JR 홋카이도 버스가 제공하는 일반 시내 노선(일부 교외 지역 제외)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
지하철 전용 1일권도 830JPY에 이용 가능하다. 도니치카 티켓(ドニチカキップ|도니치카 킷푸일본어, "donichika"는 토요일과 일요일을 의미하는 土日 ''donichi''와 지하를 의미하는 地下 ''chika''의 포트먼토이다)은 토요일, 일요일 및 공휴일에만 사용할 수 있는 지하철 1일 무제한 이용권으로, 520JPY의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다. 기능이 동일하기 때문에 도니치카 티켓이 판매되는 날에는 지하철 1일권을 이용할 수 없다. SAPICA 카드에 충전된 선불 잔액으로는 어느 것도 구매할 수 없다.[6]
정기권 SAPICA 카드는 유효 기간 동안 특정 역 사이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 직장 통근자용과 학생용 두 가지 유형의 정기권이 있다. 둘 다 1개월 또는 3개월 기간으로 이용 가능하며, 주요 역에 있는 정기권 판매소에서 새로 구입할 수 있다. 표준 SAPICA 카드는 자판기를 통해 정기권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정기권 SAPICA 카드는 기간이 만료되면 자동으로 표준 SAPICA 카드로 다운그레이드된다.
5. 2. 환승 할인
지하철과 삿포로 시내 대상 노선 간 환승 시 현금 또는 SAPICA(Kitaca, Suica 등 SAPICA와 상호 이용 가능한 IC 카드 승차권 포함)로 결제하면 80엔(일부 100엔)이 할인된다.[31] SAPICA는 일부 버스 사업자에게는 도입되지 않았다. 환승은 당일에 한해 시간 제한이 없으며, 0시 이후에도 최종 편까지 당일 환승으로 처리된다.당초 환승 할인액은 지하철 60엔(일부 80엔), 버스·전차 20엔이었으나, 이용객 감소 및 연료비 급등으로 JR 홋카이도 버스, 조테츠, 홋카이도 중앙 버스 3사가 재검토를 요청했다. 그 결과, 2011년 4월 1일부터 이용자 할인액은 80엔(일부 100엔)으로 유지하되, 버스 할인분을 없애고 전액 지하철 할인분으로 변경되었다. 전차 역시 전차 회계분 20엔을 없애고 전액 지하철 회계분으로 변경되었다.[33][34][35]
지하철에서 전철·버스로 환승할 때는 지하철역에서 구입한 환승권으로 바로 환승할 수 있다.[31] 전철·버스에서 지하철로 환승할 때는 일반 승차 요금에 120엔을 더한 금액을 지불하고 환승권을 받는다. 지하철 승차 구간이 1구역을 넘으면 하차역에서 차액을 정산한다. 각종 IC 카드 승차권은 자동으로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 전철·버스 하차 시 잔액이 부족하면 IC 카드에 충전하거나 현금으로 정산해야 한다. 각 버스 사업자가 발행한 카드 승차권이나 종이 정기권은 환승 할인과 병용할 수 없다. 환승 정기권은 삿포로시 교통국 정기권 판매소에서만 판매한다.
2023년 4월 1일부터 지하철 자동 매표기에서 판매하는 버스 환승권과 JR 홋카이도 버스, 조테츠, 홋카이도 중앙 버스 차내에서 판매하는 환승권이 폐지되어, 해당 버스 3사와의 환승 할인은 IC 카드 승차권 이용 시에만 적용된다. 삿포로 뱅케이 및 유바리 철도는 지하철에서 버스로 환승 시 일반 요금 승차권을 구입 후 환승 지정역에서 직원에게 정산받아야 하며, 버스에서 지하철로 환승 시에는 이전처럼 버스 차내에서 환승권을 판매한다. 전차와의 환승은 이전과 동일하다.[36]
하나의 버스 노선이 여러 지하철역을 경유하는 경우, 원칙적으로 가장 외곽에 있는 역에서 외곽 방향 버스로 환승할 때만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 1990년대 후반 이후 삿포로 시영 버스로 운행되던 노선은 삿포로 도심을 포함하여 지하철역, 버스 이용 방향과 관계없이 환승 할인이 대폭 완화되었다.
5. 3. 복지 할인
신체장애인, 지적장애인, 정신장애인 및 그들의 간병인, 보호 아동 등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복지 할인이 적용된다.[37]대상자 | 할인받을 때 제시할 것 | 할인율 |
---|---|---|
신체장애인(1~6급) | 신체장애인등록증 | 운임 50% 할인 정기권 50% 할인 버스 정기권만 30% 할인 |
위 대상자의 간병인 | 위 대상자의 신체장애인등록증 | |
지적장애인 | 지적장애인등록증 | |
위 대상자의 간병인 | 위 대상자의 지적장애인등록증 | |
보호 아동 | 보호(보육)시설장이 발행하는 할인증 | |
위 대상자의 동행인 | 위 대상자가 이용하는 보호(보육)시설장이 발행하는 할인증 | |
정신장애인 | 정신장애인복지카드 | 운임 50% 할인 정기권 50% 할인 (뱅케이 버스를 제외한 버스 요금 할인 없음) |
위 대상자의 간병인 | 위 대상자의 정신장애인복지카드 |
정신장애인 할인은 오랜 기간 동안 당사자 측의 요구가 있어, 2019년 4월 1일부터 정신장애인복지카드를 소지한 정신장애인과 동행하는 간병인도 카드 제시 시 다른 장애인과 동일한 할인을 받을 수 있게 되었다.[38] 단, 삿포로 시내를 운행하는 버스 회사는 뱅케이 버스를 제외하고 정신장애인에 대한 복지 할인을 시행하지 않으므로, 환승 할인은 지하철(엔야마 공원역) - 뱅케이 버스 구간에만 적용된다.[38]
삿포로 시에 거주하는 신체장애인, 지적장애인, 정신장애인은 위 할인 외에도 "장애인 교통비 지원 제도"를 받을 수 있으며, IC 교통카드 "사피카"를 이용하여 장애 등급에 따라 무료 이용 또는 교통비 지원을 받을 수 있다.[39] 단, 정신장애인의 지하철 이용 시 사피카로 직접 개찰구를 통과하면 일반 요금이 차감되므로, 미리 자동매표기에서 복지 요금의 승차권을 구입해야 한다. 이 경우 삿포로 시전으로 환승하는 경우에만 환승권 구매가 가능하다. 또한 정기권은 사피카로는 구입할 수 없고, 자기 정기권만 발행된다.[38]
5. 4. 각종 승차권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요금은 이동 거리에 따라 210JPY에서 380JPY까지 다양하다.[4] 모든 역에서는 SAPICA 충전식 IC 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카드는 지하철 요금 카드 및 정기권으로 사용 가능하다.JR 홋카이도에서 운영하는 Kitaca와 전국 상호 이용 서비스에 가맹된 Suica, PASMO와 같은 공공 교통 카드도 삿포로 시영 지하철에서 사용 가능하다. 그러나 SAPICA는 다른 철도 네트워크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자판기에서 1일권 및 할인권을 구입할 수 있다. 2015년 3월 31일 단종되기 전까지[5] 선불식 "With You" 마그네틱 카드는 지하철, 노면 전차, JR 홋카이도 버스, 홋카이도 중앙 버스 및 조테쓰 버스가 제공하는 일반 시내 노선에서 사용할 수 있었으며, 이 기능은 SAPICA로 대체되었다.
1일권은 구입 당일 지하철, 노면 전차, 중앙, 조테쓰 및 JR 홋카이도 버스가 제공하는 일반 시내 노선(일부 교외 지역 제외)을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
지하철 전용 1일권은 830JPY에 이용 가능하다. 도니치카 티켓(ドニチカキップ일본어)은 토요일, 일요일 및 공휴일에만 사용할 수 있는 지하철 1일 무제한 이용권으로, 520JPY에 이용할 수 있다. 도니치카 티켓이 판매되는 날에는 지하철 1일권을 이용할 수 없다. SAPICA 카드에 충전된 선불 잔액으로는 어느 것도 구매할 수 없다.[6]
정기권 SAPICA 카드는 유효 기간 동안 특정 역 사이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다. 직장 통근자용과 학생용 두 가지 유형의 정기권이 있으며, 1개월 또는 3개월 기간으로 이용 가능하다. 주요 역에 있는 정기권 판매소에서 새로 구입하거나, 표준 SAPICA 카드를 자판기를 통해 정기권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정기권 SAPICA 카드는 기간이 만료되면 자동으로 표준 SAPICA 카드로 다운그레이드된다.
- SAPICA[40]: 2009년 1월 30일부터 사용
- 공통 위즈유 카드(共通ウィズユーカード): 2015년 3월 31일부로 사용 종료
- 주간 할인 카드(지하철 전용): 2015년 3월 31일부로 사용 종료
- 에코키프(エコキップ): 2010년 11월 20일부로 판매 및 사용 종료
- 공통 1일 카드(지하철·시전·버스, 1000JPY)[41]: 2015년 3월 31일부로 판매 및 사용 종료
6. 역 시설
스스키노역과 오도리역 사이에는 폴 타운(Pole Town)이라는 넓은 상업 지역이 있고, 삿포로역과 연결된 오로라 타운(Aurora Town)은 다이마루, JR 타워, 스텔라 플레이스(Stellar Place)와 같은 삿포로의 주요 쇼핑몰을 연결하는 쇼핑 아케이드이다.[7]
지하 상점가 외에도 지하 통로가 오도리역과 버스센터마에역 및 인근 버스 센터를 연결한다. 이 통로에는 상점이 없다.
삿포로시 교통국에서는 요금을 “승차요금”이라고 부른다.[31]
어른 일반 승차요금(어린이는 반액, 10엔 미만은 올림)은 2019년 10월 1일에 개정되었다.[32] “전차”는 삿포로 시영 전차를 가리킨다.
구간 | 승차요금(엔) | 환승 승차요금 전차 | 환승 승차요금 버스 1구간 | 환승 승차요금 버스 2구간 |
---|---|---|---|---|
1구간 ( - 3km) | 210 | 330 | 340 | 370 |
(2) 구간 ( - 5km) | 250 | 370 | 360 | 390 |
2구간 ( - 7km) | 380 | 410 | ||
3구간 ( - 11km) | 290 | 410 | 420 | 450 |
4구간 ( - 15km) | 330 | 450 | 460 | 490 |
5구간 ( - 19km) | 360 | - | 490 | 520 |
6구간 ( - 21km) | 380 | - | 510 | 540 |
7. 안전 대책
개업 이래로 승강장에서 사람이 추락하는 사고가 많아 문제가 되고 있다. 교통국에서는 운행 장애의 원인이 되는 투신 자살을 줄이기 위해 승강장에 투신 방지 안내판을 설치하고, 투신하려는 자신의 모습을 보고 망설이도록 ‘거울’을 설치하거나, 상담을 받을 수 있는 ‘생명의 전화’를 지원하는 등의 대책을 시행해 왔다.
2006년에는 모든 역에 열차 비상 정지 장치 설치를 완료했으며, 2008년도부터 2016년도에 걸쳐 가동식 승강장 안전문을 모든 역에 설치했다. 이로써 실수로 열차와 접촉하는 사고는 없어졌다(단, 후년에 안전문을 넘어 열차에 투신을 시도하는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 '''도호쿠선''': 2008년 2월 난고 7초메역 중앙선에 선행 설치. 이후 훈련 등을 거친 후 같은 해 9월부터 신삿포로역에서 서쪽으로 설치가 진행되어, 2009년 3월 미야노자와역에 설치됨으로써 모든 역에 가동식 승강장 안전문 설치가 완료[47]되고, 2009년 4월 1일부터 원맨 운전을 개시[48]했다.
- '''난보쿠선''': 2012년 7월 아사부역에 설치. 이후 기타 34조역에서 남쪽으로 설치가 진행되어, 2013년 3월 마코마나이역에 설치됨으로써 모든 역에 가동식 승강장 안전문 설치가 완료되고, 2013년 4월 1일부터 원맨 운전을 개시[49]했다.
- '''도호선''': 2016년 7월 사카에마치역에 설치. 이후 후쿠즈미역에서 동쪽으로 설치가 진행되어, 2017년 3월 신도히가시역에 설치됨으로써 모든 역에 가동식 승강장 안전문 설치가 완료[50]되고, 2017년 4월 1일부터 원맨 운전을 개시[51]했다.
8. 경영 상황
2018년도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경영 상황은 다음과 같다.[42]
항목 | 금액 |
---|---|
승차료 수입 | 418.16억엔 |
경상이익 | 99.85억엔 흑자 |
기업채 잔고 | 2650억엔 (원금 2200억엔, 이자 450억엔) |
기업채 잔고의 평균 이자율 | 연 1.61%[43] |
보조금 | 22.89억엔 |
1980년대 초부터 적자가 계속되어, 2004년도에는 단년도 적자 약 71.1억엔, 누적 적자 4400억엔에 달하는 위기 상황이었다. 이는 당시 삿포로시 전체 세입(연간 약 8000억엔)의 절반이 넘는 규모였다. 적자의 주요 원인은 건설비 상환과 이자 부담이었으며, 특히 버블 경제 시기에 건설된 도호선 북부 구간의 영향이 컸다.
2004년부터 2013년까지 "삿포로 시영 지하철 사업 10개년 경영 계획"을 통해 수지 개선을 추진했다. 선로 인구 고령화에 따른 이용객 감소가 예상되었으나, 계획보다 5년 빠른 2006년에 25년 만에 경상수지 기준 단년도 흑자를 달성했다. 누적 결손금과 기업채도 감소 추세였으며, 경영 계획을 상향 수정할 정도였다. 이는 보조금 증액(2001년 이후 계속 증액, 2005년에는 2001년 대비 약 60억엔 증액), 지불 이자 감소, 인건비 감축 등에 힘입은 결과였다. 현재는 기업채 및 이자 감소에 따라 보조금도 줄이고 있다.
2008년도 1일 평균 승차 인원은 3개 노선 합계 57만 1847명이었다. 1990년대 이후 이용객 수가 감소했지만, 현재는 일정 폭 내에서 증감을 반복하며 거의 횡보 상태이다. 도호선 이용객 증가가 전체 이용객 수를 유지하는 데 기여했지만, 난보쿠선과 도자이선 이용객은 감소 추세이다. 1일 승차권 등의 보급으로 정기권 외 승객이 증가하는 반면, 정기권 승객은 1990년대 전반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1990년대 전반에는 정기권 승객과 정기권 외 승객 비율이 50대 50이었으나, 2008년에는 26대 74로 변화하여 운임 수입은 횡보 상태가 지속되고 있다.
2018년도 수지 상으로는 난보쿠선 53.25억엔, 도자이선 41.19억엔, 도호선 5.76억엔으로 3개 노선 모두 흑자이지만, 보조금을 중심으로 한 영업외 이익 수입이 난보쿠선 6.05억엔, 도자이선 13.92억엔, 도호선 41.25억엔 계상되었다.[42]
9. 이용 현황
개업 이후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노선별 일일 평균 수송 인원은 다음과 같다. 아래 표에서 최고치는 빨간색, 최고치 기록 연도 이후 최저치는 파란색, 최고치 기록 연도 이전 최저치는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있다.[44]
연도 | 남북선 | 도자이선 | 도호선 | 비고 |
---|---|---|---|---|
1971년(쇼와 46년) | 179,744 | 1971년 12월 16일, 남북선 북24조역 ~ 마코마나이역 구간 개업 | ||
1972년(쇼와 47년) | 179,461 | |||
1973년(쇼와 48년) | 194,509 | |||
1974년(쇼와 49년) | 229,935 | |||
1975년(쇼와 50년) | 296,960 | |||
1976년(쇼와 51년) | 278,072 | 137,980 | 1976년 6월 10일, 도자이선 고토니역 ~ 시로이시역 구간 개업 | |
1977년(쇼와 52년) | 281,647 | 148,254 | 1978년 3월 16일, 남북선 아사부역 ~ 북24조역 구간 개업 | |
1978년(쇼와 53년) | 311,864 | 152,277 | ||
1979년(쇼와 54년) | 321,362 | 161,899 | ||
1980년(쇼와 55년) | 328,500 | 165,633 | ||
1981년(쇼와 56년) | 334,134 | 169,458 | 1982년 3월 21일, 도자이선 시로이시역 ~ 신삿포로역 구간 개업 | |
1982년(쇼와 57년) | 331,779 | 214,734 | ||
1983년(쇼와 58년) | 325,959 | 216,248 | ||
1984년(쇼와 59년) | 323,693 | 223,612 | ||
1985년(쇼와 60년) | 320,026 | 226,091 | ||
1986년(쇼와 61년) | 321,084 | 229,446 | ||
1987년(쇼와 62년) | 319,603 | 231,252 | ||
1988년(쇼와 63년) | 314,968 | 233,258 | 62,421 | 1988년 12월 2일, 도호선 사카에마치역 ~ 호스이스스키노역 구간 개업 |
1989년(헤이세이 원년) | 294,413 | 234,143 | 61,209 | |
1990년(헤이세이 2년) | 294,779 | 235,561 | 65,022 | |
1991년(헤이세이 3년) | 299,940 | 241,690 | 69,352 | |
1992년(헤이세이 4년) | 293,308 | 237,043 | 70,629 | |
1993년(헤이세이 5년) | 288,189 | 232,627 | 70,685 | |
1994년(헤이세이 6년) | 279,193 | 227,530 | 90,884 | 1994년 10월 14일, 도호선 호스이스스키노역 ~ 후쿠즈미역 구간 개업 |
1995년(헤이세이 7년) | 277,965 | 229,154 | 119,336 | |
1996년(헤이세이 8년) | 264,477 | 218,990 | 117,958 | |
1997년(헤이세이 9년) | 251,784 | 210,852 | 114,935 | |
1998년(헤이세이 10년) | 243,877 | 207,165 | 113,924 | 1999년 2월 25일, 도자이선 미야노사와역 ~ 고토니역 구간 개업 |
1999년(헤이세이 11년) | 236,555 | 215,087 | 114,652 | 2000년 3월 11일, 삿포로 시영 지하철 삿포로역 ~ 아이노사토쿄이쿠다이역 구간 복선화 |
2000년(헤이세이 12년) | 234,624 | 215,558 | 115,011 | |
2001년(헤이세이 13년) | 230,451 | 214,303 | 118,871 | 2001년 6월 2일, 삿포로 돔 개장 |
2002년(헤이세이 14년) | 230,149 | 213,126 | 120,571 | 2003년 3월 6일, JR 타워 개업 |
2003년(헤이세이 15년) | 227,661 | 207,218 | 122,160 | |
2004년(헤이세이 16년) | 228,740 | 207,242 | 124,059 | |
2005년(헤이세이 17년) | 236,345 | 205,879 | 127,288 | |
2006년(헤이세이 18년) | 237,351 | 207,035 | 130,467 | |
2007년(헤이세이 19년) | 235,797 | 205,523 | 130,721 | |
2008년(헤이세이 20년) | 233,687 | 206,036 | 132,124 | |
2009년(헤이세이 21년) | 226,209 | 203,892 | 130,845 | |
2010년(헤이세이 22년) | 224,503 | 204,864 | 131,895 | 2011년 3월 12일, 삿포로역 앞 거리 지하 보도 개통 |
2011년(헤이세이 23년) | 219,161 | 205,249 | 132,200 | |
2012년(헤이세이 24년) | 223,780 | 211,050 | 136,136 | 2012년 6월 1일, 삿포로 시영 지하철 삿포로역 ~ 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역 구간 전철화 |
2013년(헤이세이 25년) | 227,909 | 217,277 | 140,588 | |
2014년(헤이세이 26년) | 227,141 | 222,816 | 144,668 | |
2015년(헤이세이 27년) | 227,690 | 226,679 | 148,369 | |
2016년(헤이세이 28년) | 233,749 | 234,060 | 152,136 | |
2017년(헤이세이 29년) | 236,548 | 239,702 | 151,581 | |
2018년(헤이세이 30년) | 236,580 | 241,846 | 152,753 | |
2019년(레이와 원년) | 230,692 | 239,038 | 150,241 | |
2020년(레이와 2년) | 158,799 | 181,691 | 105,601 | |
2021년(레이와 3년) | 170,382 | 195,485 | 112,711 | |
2022년(레이와 4년) | 200,956 | 220,558 | 130,704 | 2023년 3월 14일,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 개장 |
2015년까지는 남북선의 수송 인원이 가장 많았으며, 1978년부터 1988년까지는 일일 평균 수송 인원이 30만 명을 넘었다. 1988년에 도호선이 개업하면서 수송 인원이 감소하여 1999년에는 일일 평균 수송 인원이 24만 명 아래로 떨어졌다. 2012년부터 도자이선의 수송 인원이 증가하기 시작하여, 2016년부터는 도자이선이 수송 인원이 가장 많은 노선이 되었다.
최근 노선별 하루 평균 승차 인원 상위 20개 역은 다음과 같다.[45][46][44]
순위 | 역명 | 노선명 | 2020년도 | 2015년도 | 2010년도 | 2005년도 | 2000년도 | 1995년도 | 특기사항 |
---|---|---|---|---|---|---|---|---|---|
1 | 삿포로역 | 남북선 | 35,542 | 54,409 | 57,904 | 59,712 | 51,244 | 61,293 | |
도호선 | 22,287 | 30,890 | 27,224 | 25,472 | 19,420 | 20,826 | |||
남북선・도호선 합계 | 57,829 | 85,299 | 85,128 | 85,184 | 70,664 | 82,119 | |||
2 | 오도리역 | 남북선 | 29,032 | 39,144 | 33,982 | 37,695 | 41,569 | 47,734 | |
도자이선 | 16,459 | 22,106 | 23,543 | 24,307 | 27,679 | 32,995 | |||
도호선 | 10,984 | 15,486 | 15,563 | 15,768 | 17,291 | 16,005 | |||
남북선・도자이선・도호선 합계 | 56,475 | 76,736 | 73,088 | 77,770 | 86,539 | 96,734 | |||
3 | 아사부역 | 남북선 | 15,036 | 20,658 | 21,263 | 22,420 | 23,042 | 27,563 | 다른 노선과 연결되지 않는 단독역으로서 1위. |
4 | 신삿포로역 | 도자이선 | 14,887 | 19,966 | 18,654 | 19,563 | 21,087 | 22,927 | |
5 | 니시11초메역 | 도자이선 | 12,528 | 15,524 | 14,139 | 14,770 | 15,427 | 17,270 | |
6 | 니시18초메역 | 도자이선 | 12,492 | 15,505 | 13,342 | 13,024 | 13,985 | 15,359 | |
7 | 시로이시역 | 도자이선 | 11,161 | 12,788 | 11,233 | 11,830 | 13,355 | 15,342 | |
8 | 고토니역 | 도자이선 | 11,140 | 13,470 | 12,282 | 12,696 | 13,875 | 22,132 | |
9 | 기타24조역 | 남북선 | 11,028 | 13,897 | 13,514 | 14,213 | 14,868 | 18,840 | |
10 | 마루야마코엔역 | 도자이선 | 10,435 | 14,601 | 12,297 | 11,000 | 11,247 | 12,449 | |
11 | 미야노사와역 | 도자이선 | 10,350 | 13,535 | 11,445 | 11,110 | 9,988 | 미개통 | |
12 | 후쿠즈미역 | 도호선 | 10,208 | 17,048 | 15,299 | 14,596 | 11,624 | 11,680 | |
13 | 오도리니시4초메역 | 도자이선 | 9,313 | 13,607 | 12,657 | 12,783 | 12,731 | 13,504 | |
14 | 히가시삿포로역 | 도자이선 | 9,022 | 10,072 | 8,865 | 7,667 | 7,144 | 8,088 | |
15 | 기쿠스이역 | 도자이선 | 8,854 | 10,383 | 8,964 | 8,929 | 9,593 | 10,620 | |
16 | 마코마나이역 | 남북선 | 8,665 | 13,876 | 14,358 | 15,592 | 15,927 | 18,688 | |
17 | 미나미고7조7초메역 | 도자이선 | 8,594 | 10,292 | 9,015 | 9,668 | 10,234 | 11,417 | |
18 | 미나미고18조7초메역 | 도자이선 | 8,355 | 10,211 | 9,578 | 9,665 | 10,078 | 11,378 | |
19 | 스스키노역 | 남북선 | 8,219 | 16,971 | 16,662 | 17,450 | 17,682 | 20,400 | |
20 | 니시28초메역 | 도자이선 | 7,865 | 9,776 | 8,717 | 9,000 | 9,322 | 11,226 |
삿포로역과 오도리역은 각 노선의 환승역으로, 다른 역에 비해 하루 평균 승차 인원이 매우 많다. 삿포로역은 남북선, 도호선 2개 노선이 운행하며, JR선 삿포로역과의 환승역이다. 오도리역은 남북선, 도호선, 도자이선 3개 노선이 운행하며, 삿포로 TV 타워, 오도리 공원, 삿포로 시청과 가깝다. 2002년까지는 오도리역의 하루 평균 승차 인원이 가장 많았지만, 2003년 3월 JR 타워가 개업하면서 2003년부터는 삿포로역이 하루 평균 승차 인원이 가장 많은 역이 되었다.
다른 노선과 연결되지 않는 단독역 중에서는 남북선 아사부역의 승차 인원이 가장 많으며, 2019년까지는 하루 평균 승차 인원이 2만 명을 넘었다. 아사부역은 아사부 버스 터미널과 연결되어 이시카리시 방면 버스 노선이 발착한다.
삿포로 돔과 가장 가까운 도호선 후쿠즈미역은 2015년에 삿포로역, 오도리역, 아사부역, 신삿포로역 다음으로 승차 인원이 많은 역이었다.
참조
[1]
웹사이트
地下鉄(高速電車)の概要
https://www.city.sap[...]
2024-02-06
[2]
웹사이트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5-05-09
[3]
웹사이트
札幌市営地下鉄東豊線の7000形がラストラン…6月25日
http://response.jp/a[...]
2016-08-08
[4]
웹사이트
乗車料金
https://www.city.sap[...]
2023-06-06
[5]
웹사이트
札幌市営地下鉄、旧「ウィズユーカード」の払戻期間迫る 3月31日まで
https://sapporo.keiz[...]
2023-06-06
[6]
웹사이트
乗車券のご案内
https://www.city.sap[...]
2023-06-06
[7]
웹사이트
Pole Town and Aurora Town - Go! Sapporo
http://gosapporo.com[...]
2015-01-30
[8]
웹사이트
路線図 地下鉄
https://www.city.sap[...]
札幌市交通局
2020-10-21
[9]
법규
札幌市交通事業の設置等に関する条例
http://www.city.sapp[...]
[10]
법규
地方公営企業法第二章
[11]
간행물
紋章の由来 札幌市交通局
日本地下鉄協会
1983-09
[12]
웹사이트
チカテツ「100知りのススメ」
http://www.jametro.o[...]
一般社団法人 日本地下鉄協会
2024-08-12
[13]
뉴스
タイヤ生産「断トツ」目指す
https://www.yomiuri.[...]
読売新聞
2013-04-03
[14]
뉴스
地下鉄さっぽろ駅 東西連絡柵9月撤去
2017-06-07
[15]
뉴스
地下鉄駅に「虹と雪のバラード」 電車到着時にメロディー 札幌市、4日から
https://www.hokkaido[...]
2019-01-31
[16]
웹사이트
北海道・札幌2030オリンピック・パラリンピック冬季競技大会招致
https://www.city.sap[...]
札幌市
2024-08-12
[17]
웹사이트
札幌市議会 映像配信 令和6年第二部予算特別委員会 3月14日
https://sapporo-city[...]
札幌市議会
2024-08-12
[18]
웹사이트
放送続けて…札幌五輪テーマ曲「虹と雪のバラード」 招致活動停止で取りやめ 札幌市営地下鉄
https://news.ntv.co.[...]
札幌テレビ放送株式会社
2024-08-12
[19]
웹사이트
札幌の地下鉄、「虹と雪のバラード」放送終了 オリパラ招致停止で
https://www.youtube.[...]
2024-08-12
[20]
웹사이트
「虹と雪のバラード」の”メロディ” 札幌市営地下鉄26駅で3月までで放送取りやめ...冬季オリパラ招致活動停止受け判断 チカホはすでに放送終了 (24/02/15 11:55)
https://www.youtube.[...]
2024-08-12
[21]
웹사이트
「ちょっと悲しい」札幌市地下鉄のメロディーまもなく終了 冬の五輪招致に向けて導入した札幌五輪テーマ曲『虹と雪のバラード』継続望む声も
https://www.youtube.[...]
2024-08-12
[22]
보도자료
札幌市交通局向け地下鉄電車を受注
http://www.khi.co.jp[...]
川崎重工
2013-05-22
[23]
웹사이트
市営交通のよくあるご質問と回答
http://www.city.sapp[...]
札幌市交通局
2019-11-30
[24]
방송
『直子の教えてランド』2002年3月1日放送
http://www.hbc.co.jp[...]
北海道放送
2002-03-01
[25]
웹사이트
国土交通省北海道運輸局札幌運輸支局 平成15年度第2回交通アドバイザー会議議事概要
https://web.archive.[...]
[26]
웹사이트
節電の夏に涼しい音色*地下鉄、市電に風鈴
http://photodb.hokka[...]
北海道新聞
2012-07-18
[27]
보고서
バリアフリー整備ガイドライン(車両等編)全体版
http://www.mlit.go.j[...]
国土交通省
2015-03-21
[28]
뉴스
地下鉄全車両に抗ウイルス加工 札幌市が実施へ
読売新聞
2020-10-21
[29]
웹사이트
女性と子どもの安心車両
https://www.city.sap[...]
札幌市交通局
2016-05-31
[30]
트윗
sapporokotsu_PR
[31]
웹사이트
札幌市交通局ウェブサイト「乗車料金」
https://www.city.sap[...]
2018-09-16
[32]
웹사이트
乗車料金
https://www.city.sap[...]
札幌市
2015-01-18
[33]
웹사이트
乗継割引制度の見直しについて
http://www.city.sapp[...]
札幌市交通局
2010-10-29
[34]
웹사이트
地下鉄と乗継割引制度におけるバス事業者負担の見直しについて
http://www.city.sapp[...]
札幌市交通局
2010-10-29
[35]
웹사이트
乗継割引制度の見直しについて
http://www.city.sapp[...]
札幌市交通局
[36]
웹사이트
バスと地下鉄の乗継券の廃止について
https://www.city.sap[...]
札幌市交通局
2023-04-21
[37]
웹사이트
福祉割引
https://www.city.sap[...]
札幌市交通局
2023-10-21
[38]
웹사이트
精神障害者保健福祉手帳をお持ちの方へ(2019年4月1日から)地下鉄・路面電車の料金が割引になります
www.city.sapporo.jp/[...]
札幌市交通局
2019-04-02
[39]
웹사이트
札幌市公式ウェブサイト「障がい者交通費助成」
https://www.city.sap[...]
2018-09-16
[40]
뉴스
ICカード乗車券:名前は「SAPICA」 2009年1月、サービス開始/北海道
http://mainichi.jp/h[...]
毎日新聞
2008-03-29
[41]
웹사이트
共通1DAYカードの発売・利用終了及び払戻しについて
http://www.city.sapp[...]
札幌市
[42]
웹사이트
平成30年度決算の概要(高速電車)
https://www.city.sap[...]
札幌市交通局
2020-01-23
[43]
웹사이트
企業債の状況(高速電車)
https://www.city.sap[...]
札幌市交通局
2020-01-23
[44]
웹사이트
札幌の都市交通データブック2023 4.地下鉄
https://www.city.sap[...]
札幌市交通局
2024-11-10
[45]
웹사이트
地下鉄駅別乗車人員経年変化(1日平均)
http://www.city.sapp[...]
札幌市交通局
2024-11-10
[46]
웹사이트
地下鉄駅別乗車人員経年変化(1日平均)
https://www.city.sap[...]
札幌市交通局
2024-11-10
[47]
웹사이트
東西線での設置状況と今後の設置予定
http://www.city.sapp[...]
[48]
웹사이트
ワンマン運転開始のお知らせ
http://www.city.sapp[...]
[49]
웹사이트
札幌市交通局プレスリリース(2013年2月4日)
http://www.city.sapp[...]
2013-02-04
[50]
웹사이트
安全報告書2013
http://www.city.sapp[...]
札幌市交通局
2014-06-02
[51]
웹사이트
交通局からのお知らせ(2016年2月21日)
http://www.city.sapp[...]
2016-02-21
[52]
논문
ヒューマン・ストーリー 地下鉄の発展につくした人びとNo.4 大刀豊{{~}}19年間交通局長を務めた札幌市営地下鉄の父{{~}}
http://www.jametro.o[...]
日本地下鉄協会
2016-05
[53]
서적
札幌市高速鉄道 東豊線建設史
札幌市交通局
1989
[54]
뉴스
建設新聞で読み解く あのときの札幌 第13回「五輪を支えた都市施設〈地下鉄(高速軌道)(1)〉」
https://e-kensin.net[...]
北海道建築新聞
[55]
서적
札幌市営地下鉄生みの親大刀豊
柏艪舎
[56]
뉴스
皇室と鉄道「お召し列車」とともに 1971年、札幌国際冬季スポーツ大会を訪れ、開業前の札幌市営地下鉄の列車に乗車する皇太子ご夫妻
https://www.asahi.co[...]
朝日新聞デジタル
2019-03-25
[57]
서적
徹底取材札幌の地下鉄は将来どう延びる?
北海道新聞社
1987-09
[58]
서적
さっぽろ文庫11 札幌の駅
北海道新聞
1979
[59]
간행물
札幌市点描4(札幌豊平区)の展望住みよい理想の街作りへ全力・・・
日本公論
1981-08
[60]
웹사이트
2023年5月8日 上田文雄前札幌市長 地下鉄清田区延伸に前向き発言 「延伸に待った」をかけた前市長が考えを180度転換
https://kiyota-chika[...]
地下鉄東豊線建設促進期成会連合会
2024-08-13
[61]
웹사이트
札幌広域圏の総合交通体系のグランドデザイン 〜北海道新幹線 開業時期の前倒しへ〜(骨子)
https://www.sapporo-[...]
札幌商工会議所
2022-06-23
[62]
뉴스
JR手稲駅や北海道科学大学周辺に新駅 地下鉄東西線の延伸を要望 札幌市長「慎重な対応必要」
https://www.stv.jp/n[...]
札幌テレビ放送
2024-06-19
[63]
웹사이트
札幌市交通局等におけるSuicaのサービス開始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64]
뉴스
札幌地下鉄:来月から地下鉄暖房停止 北電再値上げで節電
http://mainichi.jp/s[...]
毎日新聞
2014-11-29
[65]
웹사이트
札幌の地下鉄はなぜ「ちゅんちゅん」鳴くの?音の正体に迫る!(石簾マサ)動画あり
https://pucchi.net/h[...]
北海道ファンマガジン
2018-07-11
[66]
웹사이트
docomo Wi-Fiが札幌市営地下鉄東豊線、横浜市営地下鉄グリーンラインなどでサービス開始
https://www.itmedia.[...]
ITmedia
2023-11-18
[67]
서적
もじもじもじ鉄 鉄道の書体とデザインほぼぜんぶ
三才ブックス
2019-02-01
[68]
서적
さっぽろ文庫11『札幌の駅』
北海道新聞社
1979-12-17
[69]
웹사이트
まるごとキヨスク在中
http://www.hkiosk.co[...]
北海道キヨスク
2019-11-30
[70]
웹사이트
店舗情報
https://www.hkiosk.c[...]
北海道キヨスク
2019-11-30
[71]
간행물
広報さっぽろ
2009-11
[72]
웹사이트
写真素材集(地下鉄)
https://www.city.sap[...]
[73]
뉴스
暖房を止めた札幌市の地下鉄、電気料金の再値上げで節電拡大
https://www.itmedia.[...]
[74]
PDF
車内暖房停止に関するお客様への聴取調査の実施結果について
https://www.city.sap[...]
[75]
뉴스
北海道地震、節電で札幌市の地下鉄、路面電車減便
https://www.nikkei.c[...]
2018-09-10
[76]
뉴스
北海道節電解除、正常化へ一歩 ライトアップも再開
https://www.nikkei.c[...]
2018-09-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