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마하나 사다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야마하나 사다오는 일본의 정치인으로, 와세다 중·고등학교와 주오 대학 법학부를 졸업하고 변호사로 활동했다. 1972년 중의원 선거에 낙선한 후 1976년 당선되어 정계에 입문했으며, 일본사회당에서 부서기장, 서기장을 거쳐 1993년 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위원장 재임 중 총선 패배로 사임하고 신당 창당을 시도했으나 실패했으며, 1996년 민주당에 합류하여 부대표를 지냈다. 1999년 급성 심부전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지역구는 아들 야마하나 이쿠오가 물려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민주당 (1998년 일본)의 정치인 - 다나베 마코토
다나베 마코토는 1922년 출생하여 일본사회당 소속으로 중의원 의원을 지냈고, 사회당 위원장을 역임하며 사회민주주의 정당으로의 변모를 이끌었으며, 이후 민주당에서 활동하다 2015년 사망했다. - 민주당 (1998년 일본)의 정치인 - 야마모토 다카시
야마모토 다카시는 교통 유자녀 지원 활동을 시작으로 일본의 중의원과 참의원을 지낸 정치인으로, 흉선암 투병 중 암 대책 기본법 제정을 호소하고 사회 문제 해결에 헌신하다 사망했다. - 일본사회당 위원장 - 아사누마 이네지로
아사누마 이네지로는 일본 사회당 위원장으로, 사회주의 운동가, 정치인으로서 일본 노농당 창립, 도쿄 시의회 의원, 국회 의원, 사회당 재건, 헌법 9조 개정 및 재군사화 반대 운동을 주도했으나, 1960년 미일 안보 조약 개정 반대 투쟁 중 극우 청년에게 암살당했다. - 일본사회당 위원장 - 도이 다카코
도이 다카코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헌법학자로, 일본사회당과 사회민주당에서 활동하며 일본 헌정 사상 최초의 여성 당수이자 중의원 의장을 역임했고, 여성의 정치 참여 확대에 기여, 진보적인 정치 활동을 펼쳤으나, 납북자 문제 대응 및 당 운영에 대한 비판과 친북 성향 논란 등 복합적인 평가를 받는다. - 일본사회당 - 55년 체제
1955년 체제는 1955년 자유민주당과 일본사회당의 양대 정당 체제로, 장기 집권의 폐해와 정치 개혁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 - 일본사회당 -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
재일본조선인총련합회(조총련)는 1955년 결성된 재일 조선인 단체로, 북한을 지지하며 교육, 금융, 언론 기관을 산하에 두고 북한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일본 정부의 감시 대상이자 사회 갈등, 북한 관계 변화, 재정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야마하나 사다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야마하나 사다오 |
원어 이름 | 山花 貞夫 |
출생일 | 1936년 2월 26일 |
출생지 | 도쿄부 도쿄시 혼조구 |
사망일 | 1999년 7월 14일 |
사망지 | 도쿄도 미타카시 |
직업 | 정치인 |
학력 | 주오 대학 법학부 법률학과 |
학위 | 법학사 |
로마자 표기 | Yamahana Sadao |
소속 정당 | 일본사회당 무소속 시민 리그 민주당 |
아버지 | 야마하나 히데오 |
아들 | 야마하나 이쿠오 |
정치 경력 | |
임기 시작 | 1993년 8월 9일 |
임기 종료 | 1994년 4월 28일 |
소속 내각 | 호소카와 내각 |
이전 직책 | 신설 직책 |
다음 직책 | 이시이 하지메 |
국회의원 | |
직책 | 중의원 의원 |
선거구 | 구 도쿄 11구 비례 도쿄 블록(도쿄 22구) |
당선 횟수 | 8회 |
임기 시작 | 1976년 12월 10일 |
임기 종료 | 1999년 7월 14일 |
기타 주요 경력 | |
민주당 | 초대 민주당 선거 대책 위원장 |
대표 | 간 나오토 |
임기 시작 | 1998년 4월 13일 |
임기 종료 | 1999년 7월 14일 |
일본사회당 | 제12대 일본사회당 위원장 |
임기 시작 | 1993년 1월 19일 |
임기 종료 | 1993년 9월 25일 |
일본사회당 | 제12대 일본사회당 서기장 |
위원장 | 다나베 마코토 |
임기 시작 | 1991년 |
임기 종료 | 1993년 |
이미지 | |
![]() |
2. 생애
도쿄도 출신으로 와세다 중학교, 와세다 고등학교를 거쳐 주오 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22세에 사법시험에 합격했고 1961년에 변호사 활동을 시작했다. 일본노동조합총평의회 변호단에 가입했다.[1]
1972년 총선에 일본사회당 공천으로 아버지의 지역구인 도쿄도 제7구에 출마했지만 낙선했다. 1976년 총선에서 도쿄도 제11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78년 아스카타 이치오 위원장 지명으로 중앙집행위원이 되었고, 1983년에는 당 홍보국장을 역임했다.
1986년 도이 다카코 집행부에서 부서기장이 되었고, 1991년 다나베 마코토 위원장 취임에 따라 서기장으로 승격했다. 1993년 가네마루 신이 도쿄 사가와큐빈 사건에 연루되어 다나베 마코토가 사임하자, 후임 위원장으로 무투표 당선되었다.
총선에서 사회당은 대패했지만, 호소카와 내각이 수립되면서 야마하나는 정치개혁 담당상으로 입각했다. 그러나 총선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회당 위원장에서 물러났다. 이후 대한민국을 방문하기도 했다. 1994년 하타 내각 출범 후 사회당은 연립 정권에서 이탈했고, 자사사 연립 정권이 출범했다.
1994년, 사회당 내 우파·중간파 정책집단 '신민주연합'을 결성하고 회장에 취임했다. 1995년, 신당 결성을 추진했으나 한신·아와지 대진재로 인해 좌절되었고, 야마하나는 사회당을 탈당했다.
이후 구보 와타루 등을 중심으로 민주·리버럴 신당 구상이 진행되었지만, 결국 1996년 1월 사회당은 사회민주당으로 당명을 변경하는 데 그쳤다.
1995년 12월, 야마하나는 가이에다 반리를 대표로 하는 시민 리그를 창당했다. 1996년 9월, 시민 리그는 구 민주당에 합류했고, 야마하나는 당 부대표에 취임했다.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비례대표로 부활 당선되었고, 1998년 구 민주당의 선거대책위원장을 역임했다.
1999년 7월 14일, 급성 심부전으로 사망했다.
2. 1. 초기 생애 및 변호사 활동
도쿄도 출신으로 와세다 중학교, 와세다 고등학교를 거쳐 주오 대학 법학부 법률학과를 졸업했다. 22살 때 사법시험에 합격했고 홋타 쓰토무, 요코야마 쇼지, 이치이 준지 등과 함께 사법연수 제13기를 수료했다. 1961년에 변호사 활동을 시작했고 일본노동조합총평의회 변호단에 가입했다.[1]2. 2. 정치 입문 및 초기 활동
도쿄도 출신으로 와세다 중학교, 와세다 고등학교를 거쳐 주오 대학 법학부 법률학과를 졸업했다. 22세에 사법시험에 합격했고 홋타 쓰토무, 요코야마 쇼지, 이치이 준지 등과 함께 사법연수 제13기를 수료했다. 1961년에 변호사 활동을 시작했고 일본노동조합총평의회 변호단에 가입했다.[1]1972년 총선에 일본사회당 공천으로 아버지의 지역구인 도쿄도 제7구에 출마했지만 낙선했다. 14만 표가 넘는 득표를 했음에도 낙선했는데, 이는 같은 선거에서 전국 최소 득표 당선자였던 오부치 게이조의 약 4배에 달하는 득표 수였다. 1976년 총선에는 도쿄도 제11구로 지역구를 옮겨 출마해 당선되었다. 1978년 아스카타 이치오 위원장 취임에 따라 위원장 지명 중앙집행위원이 되었다. 1983년 바바 노보루 서기장 경질에 따른 임원 개선으로 당 홍보국장에 취임했다.
1986년 도이 다카코 집행부에서 부서기장이 되었고, 1991년 다나베 마코토 위원장 취임에 따라 당 서기장으로 승격했다. 1993년 자유민주당 전 부총재 가네마루 신이 도쿄 사가와큐빈 사건으로 사실상 실각하면서, 국회대책위원장 시절부터 가네마루와 깊은 관계를 맺었던 다나베 위원장도 사임했다. 이후 다나베의 지명을 받은 야마하나가 후임 사회당 위원장으로 무투표 당선되었다. 취임 후 일본과 미국 간의 상호 협력 및 안전 보장 조약과 자위대 취급 등 사회당 기본 정책 전환에 의욕을 보였지만, 미야자와 내각 불신임 결의안 가결로 실시된 총선에서 사회당은 대패했다. (해산 전 139석에서 70석으로 감소) 이는 반자민 표가 신생당, 일본신당, 신당 사키가케로 쏠렸기 때문이다.
총선 후 호소카와 내각이 수립되자 야마하나는 정치개혁 담당상(무임소 국무대신)이 되었지만, 총선 패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회당 위원장에서 물러났다. 사임 전 현직 사회당 위원장으로는 처음으로 대한민국을 방문했다. 1994년 4월 호소카와 내각이 무너지자 각료에서 물러났다. 이후 하타 내각이 출범했지만 사회당은 오자와 이치로에 대한 반감으로 연립 정권에서 이탈했고, 2개월 만에 자사사 연립 정권이 출범했다.
1994년 8월, 사회당 내 우파·중간파 재결집을 위한 정책 집단 ‘신민주연합’을 결성하고 초대 회장이 되었다. 이후 사회당의 틀을 넘어 민주·리버럴 세력 결집을 위한 신당 결성을 추진, 1995년 1월 6일 야마하나, 신진당의 가와바타 다쓰오, 민주개혁연합의 아와모리 다카시, 민주신당 클럽의 가이에다 반리 등 4명을 대표로 신당준비위원회를 발족했다. 1월 17일, 야마하나를 포함한 중의원 의원 17명과 참의원 의원 7명이 교섭단체 ‘민주연합·민주신당 클럽’을 만들고자 기존 교섭단체에 탈퇴를 신청했으나, 같은 날 한신·아와지 대진재가 발생하면서 신당 구상은 사실상 좌절되었고 신당준비위원회도 4월에 해산했다. 5월, 야마하나는 단독으로 사회당을 탈당하고 도이 류이치, 모토오카 쇼지 등과 함께 ‘민주의회’를 결성했다.[2][3]
당시 사회당 내에서도 구보 와타루 서기장 중심으로 민주·리버럴 신당 구상이 진행되었으나, 하토야마 구니오 등이 사회당 의원 일부의 민주당 합류를 거절하면서 결국 남은 의원들끼리 1996년 1월 사회민주당으로 당명을 변경했다.
2. 3. 일본사회당 위원장 시절
도쿄도 출신으로 와세다 중학교, 와세다 고등학교를 거쳐 주오 대학 법학부를 졸업했다. 22살 때 사법시험에 합격했고 1961년에 변호사 활동을 시작했다. 일본노동조합총평의회 변호단에 가입했다.[1]1972년 총선에 일본사회당 공천으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1976년 총선에서 당선된 후, 1983년 당 홍보국장을 역임했다.
1986년 도이 다카코 집행부에서 부서기장이 되었고, 1991년 다나베 마코토 위원장 체제에서 서기장으로 승격했다. 1993년 가네마루 신 도쿄 사가와큐빈 사건 연루 및 다나베 마코토의 사임으로, 후임 위원장에 무투표 당선되었다.
취임 후, 일본과 미국 간의 상호 협력 및 안전 보장 조약 및 자위대 취급 등 사회당 기본 정책 전환에 의욕을 보였다. 그러나 총선에서 사회당은 139석에서 70석으로 대참패했다. 신생당, 일본신당, 신당 사키가케에 반(反)자민당 표를 빼앗긴 결과였다.
호소카와 내각에서 정치개혁담당상으로 첫 입각했지만, 총선 패배 책임을 지고 곧 위원장에서 물러났다. 현직 사회당 위원장으로는 처음으로 대한민국을 방문했다. 1994년 하타 내각 출범 후 사회당은 연립 정권에서 이탈했고, 자사사 연립 정권이 출범했다.
1994년, 사회당 우파·중간파 정책집단 '신민주연합'을 결성하고 회장에 취임했다. 이후 민주·리버럴 세력 결집을 위한 신당 결성을 추진, 1995년 1월 신당준비위원회를 발족시켰다. 그러나 한신·아와지 대진재 발생으로 신당 구상은 좌절되었고, 야마하나는 5월 단독으로 사회당을 탈당했다.
2. 4. 사회당 분열과 신당 창당 시도
1994년 8월, 야마하나 사다오는 사회당 내 우파와 중간파를 결집하여 정책집단 신민주연합을 결성하고 초대 회장이 되었다.[2] 이들은 사회당의 틀을 넘어 민주·리버럴 세력을 결집하고자 신당 창당을 추진했다. 1995년 1월 6일, 야마하나, 신진당의 가와바타 다쓰오, 민주개혁연합의 아와모리 다카시, 민주신당 클럽의 가이에다 반리 등 4명을 대표로 한 신당준비위원회를 발족시켰다.[2]1월 17일, 야마하나를 포함한 중의원 의원 17명과 참의원 의원 7명이 모여 교섭단체 '민주연합·민주신당 클럽'을 만들고자 기존 교섭단체에 탈퇴를 신청했지만, 같은 날 한신·아와지 대진재가 발생했다.[2] 이로 인해 신당 구상은 사실상 좌절되었고, 신당준비위원회도 4월에 해산했다. 야마하나는 혼자서 5월에 사회당을 탈당했고, 도이 류이치, 모토오카 쇼지 등과 함께 5월 29일 '민주 모임'을 결성했다.[2]
2. 5. 민주당 합류와 사망
1994년 8월, 야마하나 사다오는 사회당 내 우파 및 중간파를 재결집하기 위해 정책 집단 "신민주연합"을 결성하고 회장에 취임했다. (야마하나 자신은 사회당 좌파에 속해 있었다.)[2] 그는 사회당의 틀을 넘어 민주·리버럴 세력을 결집하는 신당 결성을 추진했다. 1995년 1월 6일, 야마하나는 신진당의 가와바타 다쓰오, 민주개혁연합의 아와모리 다카시, 민주신당 클럽의 가이에다 반리와 함께 4인 대표로 신당 준비위원회를 발족시켰다.[3]1월 16일, 새로운 의원연맹 "민주연합·민주신당 클럽" 결성에 합의했고, 다음 날인 17일, 야마하나를 포함한 중의원 의원 17명과 참의원 의원 7명(총 24명)이 의원내 의원연맹 탈퇴를 제출했다. 그러나 같은 날 한신·아와지 대진재가 발생하면서 의원연맹 결성은 연기되었고, 민주·리버럴 신당 구상은 사실상 중단되었다. 신당 준비위원회도 4월에 해산되었다. 5월, 야마하나는 단독으로 사회당에 탈당계를 제출했다. 도이 류이치, 모토오카 쇼지 등이 합류하여 5월 29일에 신 의원연맹 "민주의회"를 결성했다.(중의원 5명·참의원 2명)
민주·리버럴 신당 구상은 5월 사회당 대회에서도, 야마하나와 마찬가지로 신당 결성을 모색했던 구보 와타루 서기장 등의 주도로 당 방침으로 채택되었지만, 결국 전당적인 신당 이행은 실현되지 못했다. 1996년 1월, 사회당은 사회민주당으로 당명을 변경하는 데 그쳤다.
1995년 12월, 야마하나는 가이에다 반리를 대표로 하는 새 정당인 시민 리그를 창당했다. 시민 리그는 1996년 9월 구 민주당에 합류했고, 야마하나는 당 부대표에 취임했다. 같은 해 10월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소선거구제 도입으로 도쿄도 제22구에 구 민주당 추천으로 출마했지만, 구 사회당도 호사카 노부토를 추천하여 진보 표가 분산되었다. 신진당의 이토 다쓰야가 당선되었고, 야마하나는 중복 출마했던 비례 도쿄 블록에서 부활 당선되었다. 1998년 구 민주당의 선거대책위원장에 취임했다.
1999년 7월 14일, 야마하나 사다오는 급성 심부전으로 중의원 의원 재직 중 사망했다. 사망과 함께 비례 도쿄 블록의 구 민주당 차점이었던 시부야 오사무가 승계 당선되었다. 추도 연설은 같은 해 8월 10일에 자유민주당의 고노 요헤이가 했다. 2000년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는 아들인 야마하나 이쿠오가 지역구를 이어받아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3. 가족 관계
아버지는 9선 중의원 의원을 지낸 야마하나 히데오인데 사회당 소속으로 국회대책위원장과 부위원장을 지냈다. 장남은 4선 중의원 의원을 지낸 야마하나 이쿠오로 민주당, 민진당, 입헌민주당 등에서 활동했다.
4. 역대 선거 기록
선거명 | 선거일 | 대수 | 직책 | 선거구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총선거 | 1972년 | 33회 | 중의원 의원 | 도쿄도 제7구 | 일본사회당 | 144,415표 | 12.3% | 6위 | 낙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76년 | 34회 | 중의원 의원 | 도쿄도 제11구 | 일본사회당 | 138,052표 | 19.35%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79년 | 35회 | 중의원 의원 | 도쿄도 제11구 | 일본사회당 | 126,326표 | 20.76%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80년 | 36회 | 중의원 의원 | 도쿄도 제11구 | 일본사회당 | 141,758표 | 18.6%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83년 | 37회 | 중의원 의원 | 도쿄도 제11구 | 일본사회당 | 123,309표 | 16.04% | 4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86년 | 38회 | 중의원 의원 | 도쿄도 제11구 | 일본사회당 | 132,939표 | 16.16% | 3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90년 | 39회 | 중의원 의원 | 도쿄도 제11구 | 일본사회당 | 177,605표 | 18.08% | 1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93년 | 40회 | 중의원 의원 | 도쿄도 제11구 | 일본사회당 | 144,947표 | 14.84% | 2위 | 당선 | 중선거구제 |
총선거 | 1996년 | 41회 | 중의원 의원 | 도쿄도 제22구 | 민주당 | 63,974표 | 27.14% | 2위 | 당선 | 소선거구제 |
참조
[1]
웹사이트
山花貞夫
https://kotobank.jp/[...]
Kotobank
2022-08-24
[2]
서적
A Political Chronology of Central, South and East Asia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3]
서적
Political Handbook of the World 2015
https://books.google[...]
CQ Press
2015-03-24
[4]
보도자료
統一後骨格人事案固まる/13日から新体制へ
http://archive.dpj.o[...]
民主党
1998-04-07
[5]
웹사이트
山花貞夫
https://kotobank.jp/[...]
DIGITALIO
2024-03-21
[6]
보도자료
衆議院/新・常任委員長決まる
http://archive.dpj.o[...]
民主党
1998-08-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