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55년 체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55년 체제는 1955년 자유민주당과 일본사회당의 통합으로 형성된 일본의 정치 체제를 의미한다. 이 체제는 냉전 시대의 국제 정세 속에서 보수 세력인 자민당과 사회주의 세력인 사회당의 양당 구도로 운영되었으며, 자민당의 장기 집권과 헌법 개정, 정권 교체 부재 등의 특징을 보였다. 55년 체제는 중선거구제, 관료와의 유착, 친미 노선 등을 통해 자민당의 장기 집권을 가능하게 했지만, 1980년대 후반 이후 정치 부패와 경제 불황으로 인해 자민당에 대한 국민적 불신이 커지면서 1993년 호소카와 내각의 출범과 함께 붕괴되었다. 이후 일본 정치는 다당제 구도로 변화하고 정권 교체가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우익 정치 - 신국사상
    신국사상은 일본을 신의 나라로 여기며 일본의 국토와 모든 것이 신에 의해 만들어지고 지켜진다는 사상으로, 고대 신화에서 시작하여 정치적 통일과 배타적 주장을 거쳐 민족의식 고취, 국수주의, 국가신토 결합을 통해 천황 중심 이데올로기로 발전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침략 정책을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기도 했다.
  • 일본의 우익 정치 - 관념우익
    관념우익은 쇼와 시대 전기 우익 운동의 주요 흐름 중 하나로, 국본사, 건국회, 혈맹단 등을 포함하며, 혁신우익과 함께 침략적 정책을 지지하여 한국에 영향을 미쳤다.
  • 전후 일본의 정치 - 일본국 헌법
    일본국 헌법은 1947년 5월 3일 시행된 일본의 최고 법규로, 천황을 상징적 존재로 규정하고 국민주권, 민주주의, 평화주의, 기본적 인권 존중을 핵심 이념으로 하며, 9조에서 전쟁 포기 및 전력 불보유를 선언하고 있다.
  • 전후 일본의 정치 - 일본국 헌법 제9조
    일본국 헌법 제9조는 전쟁과 무력 사용을 영구히 포기하고, 군사력 보유와 교전권을 부정하며, 정의와 질서에 기반한 국제 평화를 추구한다.
  • 1955년 일본 - 일본공산당 제6회 전국협의회
    일본공산당 제6회 전국협의회는 극좌 노선에서 선진국형 평화혁명 노선으로의 전환을 결정하고, 노사카 산조를 제1서기로 선출하며, 51년 강령을 사실상 폐기하고 무장투쟁 노선을 종결시켰으며, 이토 릿슈의 제명을 결정한 중요한 분기점이다.
  • 1955년 일본 - 제1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
    하토야마 이치로를 내각총리대신으로 하여 민주당을 중심으로 구성된 제1차 하토야마 이치로 내각은 1954년 12월 10일부터 1955년 3월 19일까지 100일간 존속한 일본 내각이다.
55년 체제
지도 정보
개요
명칭55년 체제
다른 명칭1955년 체제
로마자 표기Gojūgonen Taisei
시작 시기1955년
종료 시기1993년
특징자유민주당의 장기 집권과 일본사회당과의 양당 대립 구도
정치적 특징
지배 정당자유민주당
주요 야당일본사회당
선거 제도중선거구제
특징보수 여당과 혁신 야당 간의 대립
정치 자금정치와 돈 문제가 빈번히 발생
정책 대립냉전 시대의 이념 대립이 정책 대립으로 나타남
정권 교체 부재정권 교체가 없는 민주주의 국가의 문제점 발생
역사적 배경
형성 배경자유당일본민주당의 합당으로 자유민주당 창당
사회당의 역할일본사회당자유민주당의 강력한 대항 세력으로 부상
1955년 체제 형성자유민주당일본사회당의 양당 체제가 확립
소련과 일본의 공동선언소련-일본 공동선언의 영향
중일 평화 우호 조약중일 평화 우호 조약의 영향
1993년 체제 변화
종결자유민주당의 분열과 호소카와 모리히로 연립 내각 출범으로 붕괴
이후 변화다당제 시대로 변화
비판
문제점자유민주당의 장기 집권으로 인한 정치적 긴장감 부재
자유민주당의 부패 문제
정치와 돈 문제
유권자의 의사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문제점 발생
참고 자료
참고자료투표 전에 알아야 할 '정치와 돈' 문제의 근본
포스트 55년 체제 시대의 정책적 대립 구조
【민주주의의 형태】제2부 표류하는 민의 (2) 정권 교체 없는 민주 국가의 왜곡

2. 55년 체제 성립의 배경

연합국군 최고사령관 총사령부(GHQ)의 점령하 일본 시기, GHQ의 지령에 따라 일본사회당, 일본공산당무산정당이 합법화되고, 보수정당들이 난립했다.

1951년 강화조약과 일미안전보장조약(안보)에 대한 입장 차이로 우파 사회당과 좌파 사회당으로 분열되었던 일본사회당은, 보수정권의 “역코스”와 개헌에 맞서기 위해 “헌법수호와 반안보”를 내걸고 1955년 '''사회당 재통합'''을 이루었다.

일본사회당 통합에 위기감을 느낀 재계는 일본민주당과 자유당의 '''보수합동'''을 요청했고, 자유민주당이 탄생하며 보수정당이 제1당이 되었다. 외관상 양대정당제가 되어 환영받았지만[32], 의석 비율은 자민당 2/3, 사회당 1/3으로, 정권교체를 원활하게 하는 데 기여하지 못했다. 자민당은 “개헌·보수·안보유지”를, 일본사회당은 “헌법수호·혁신·반안보”를 내세웠다.

1955년 당시 세계는 미국소련냉전 상황이었고, 55년 체제는 이러한 국제 정세에 맞춘 일본 국내 정치 구조(“국내 냉전”)라는 지적이 있다[32]. 한편, 정치학자 제럴드 커티스는 전후 일본의 자민당 일당 지배 체제가 민주적이었다고 평가하며, 사회당, 공명당, 민사당, 공산당 등 혁신 진영이 자민당을 견제하고, 야당의 인기 정책을 자민당이 수용하는 역할을 했다고 설명한다[33].

2. 1. 전후 일본의 정치 상황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은 연합국 최고사령관 총사령부(GHQ)의 통치를 받았다. GHQ는 일본의 군국주의를 없애고 민주화를 이루기 위해 전범 체포, 우익 인사 숙청 등의 정책을 시행했다.[7] 이러한 숙청으로 일본 진보당은 의석의 약 90%를, 일본 자유당은 약 45%를 잃는 등 우익 정당들이 약화되었다. 반면, 많은 좌익 정당들은 GHQ의 지휘 아래서야 합법화되었기 때문에 숙청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8]

1947년 중의원 의석 분포


그 결과, 1947년 총선에서 일본 사회당이 승리하여 가타야마 데쓰 내각이 출범했다. 이는 일본국 헌법 시행 이후 치러진 첫 총선이었다. 주요 정당들은 전후 경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립 정부를 구성해야 한다는 데에는 공감했지만, 연립 정부 구성에 대한 협상은 오랜 시간이 걸렸다. 자유당을 이끌던 반공주의자 요시다 시게루는 연립 정부 참여에 거부감을 보였다.[9] 결국 사회당, 민주당, 일본 협동당이 참여하는 연립 정부가 수립되었다.[9]

그러나 가타야마 내각은 사회당 내부와 외부의 반대로 1년도 채 지속되지 못했다. 연정 구성을 위해 가타야마는 원래 정책에서 벗어난 양보를 해야 했고, 이는 당내 좌우익 간의 분열을 심화시켰다. 동시에, 석탄 및 광산 생산 국유화와 같은 정책들은 보수 세력을 멀어지게 했다.[9]

2. 2. 요시다 시게루의 집권과 요시다 독트린

1949년 총선에서 요시다 시게루가 이끄는 자유민주당은 466석 중 269석을 차지하며 중의원에서 과반수를 확보한 반면, 사회당은 48석에 그쳤다. 이는 전후 일본 최초의 과반수 내각이었다.[11]

요시다 시게루는 1946년부터 1954년까지 5차례에 걸쳐 총리대신을 역임했다. 그가 집권 당시 채택한 외교, 경제, 안보 정책은 통틀어 "요시다 독트린"으로 불린다.[12]

요시다 독트린은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를 가지고 있다.[12]

1. 일본은 국가 안보를 위해 미국과의 동맹에 의존한다.

2. 일본은 낮은 수준의 자위력을 유지한다.

3. 일본은 국내 경제 재건에 집중해야 한다.

요시다 독트린은 일본의 경제 기적과 서방과의 연대에 기조를 마련했다. 그러나 요시다의 "일인 지배"와 반공주의적 입장은 비판을 받았고, 결국 많은 국회의원들이 그의 당에서 새로운 민주당으로 이탈하여 1954년 12월 7일 그의 내각이 사임하게 되었다.[7]

2. 3. 요시다 시게루의 몰락

요시다 시게루 내각에 대한 비판은 주로 세 가지 문제에 집중되었다.

첫째, 1951년 요시다 내각 하에 샌프란시스코 평화조약과 미국과 일본 간의 안보 조약이 체결되었다. 평화조약은 공산권의 참여 없이 체결되었으며, 공산당은 반공주의적 성향을 이유로 이를 비난했다. 안보 조약은 재군국화의 위험 때문에 공산당과 사회당 양쪽 모두에게 비판받았고, 일본이 미군 기지를 제공해야 했기 때문에 일본을 종속적인 위치에 놓았다는 이유로 보수파로부터도 비판받았다.[13]

둘째, 제5차 요시다 내각 기간 동안 일본 좌파 사회당과 일본 우파 사회당의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여러 법안들이 통과되었다. 여기에는 파업 통제법, 미일 상호 방위 원조 협정, 교사들의 정치 참여를 제한하는 두 개의 교육법, 경찰법 개정안, 자위대법 등이 포함되었다. 그중 경찰법 개정안은 야당이 의회에 불참한 가운데 강행 처리되었다.[14]

경찰법 개정안 강행 처리로 인해 의원들이 난투극을 벌이는 모습


셋째, 요시다 내각은 두 건의 주요 부패 사건에 연루되었다. 하나는 保全経済会事件|호젠 케이자이 카이 사건일본어으로, 금융 기관인 호젠 케이자이 카이(保全経済会)의 이토 마스토미(伊藤益友) 이사가 사기 혐의로 기소되었고, 정치적 뇌물 수수 혐의로 여러 보수 정치인들이 체포되었다.[14] 다른 하나는 造船疑獄|조선 의옥일본어으로, 해운업과 조선업이 보수 정치인들에게 뇌물을 제공한 사실이 밝혀졌다. 사토 에이사쿠이케다 하야토와 같은 여당의 영향력 있는 정치인들이 뇌물 수수 혐의를 받았으며, 요시다 내각은 이 사건에 대해 사토 에이사쿠의 체포를 막는 반응을 보였다.[15]

이러한 세 가지 논란은 반(反) 요시다 세력의 결집으로 이어졌다. 1954년 10월 20일, 반 요시다 보수파는 연합 정당인 일본 민주당을 결성했다. 일본 민주당은 일본 좌파 사회당 및 일본 우파 사회당과 함께 12월 6일 내각 불신임안을 제출하여 과반수를 얻었다. 그 결과, 요시다 내각은 6년간의 집권 끝에 12월 7일 사임했다.

2. 4. 보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의 통합

1951년 강화조약과 일미안전보장조약(안보)에 대한 태도 차이로 일본 사회당 우파와 좌파로 분열되었던 일본사회당은 보수정권의 “역코스”와 개헌 움직임에 대항하기 위해 “헌법수호와 반안보”를 내걸고 1955년 '''사회당 재통합'''을 이루었다.[8][10]

일본사회당의 통합에 위기감을 느낀 재계는 자유당과 일본민주당의 합당을 압박하였고,[18] 미국의 CIA는 일본 보수 정당의 합당을 통해 자유민주당을 형성하는 것을 장려하고 지원하였다.[13] 그 결과, 일본민주당과 자유당이 '''보수합동'''하여 자유민주당이 탄생하였다.

3. 55년 체제의 특징과 전개

55년 체제는 자유민주당일본사회당의 양당 구도를 기본으로 했지만, 실제 의석 비율은 자민주당이 사회당의 약 2배에 달하는 '1과 2분의 1 정당제'였다.[19] 1955년 일본민주당과 자유당이 '''보수합동'''하여 자유민주당이 탄생하고, 보수정당이 제1당이 되었다. 외관상으로는 양대정당제가 되었지만[32], 기본적인 의석 비율은 자민당 2/3, 사회당 1/3이었다.

자유민주당은 강압헌법론을 주장하며 자주헌법 제정을 당의 기본 방침으로 정했다. 1958년 총선거에서는 서로 과반수 이상의 후보를 내세워 정면으로 경쟁했다. 투표율 76.99%는 남녀 보통선거 실시 이후 일본 최고 기록이며, 양대 정당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표출된 것이다. 그 결과 총 467석 중 자유민주당이 287석, 일본사회당이 166석을 획득해 양대 정당이 97%의 의석을 차지했다. 다만 일본사회당은 개헌저지선인 3분의 1 의석을 확보하는 데 그쳤다.[19]

1951년에 체결된 일미안전보장조약은 냉전 시대 공산주의 위협에 맞서 미국이 아시아에서 군사력을 확보하려는 결과였다. 사회당은 재무장 또는 군국주의 부활을 우려하여 안전보장조약에 강력히 반대했지만, 자민당은 미군 주둔이 자위를 위한 것이라고 주장했다.[21]

55년 체제는 자유민주당에서 일본사회당으로의 정권 교체가 실현되지 못하고, 보수 정당은 국회에서 헌법 개정을 위한 3분의 2 이상의 의석을 확보하지 못했기 때문에, 정권 교체와 헌법 개정이 없는 체제로 여겨진다.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신헌법이 정착되고, 자유민주당 내에서도 개헌에 소극적인 의원들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3. 1. 자민당의 장기 집권과 정책

450x450픽셀


자민당은 중선거구제 하에서 기업과 농촌 지역의 지지를 바탕으로 장기 집권을 유지했다.[34] 이들은 일본개발은행을 통한 저리 융자, 보조금, 세금 감면, 외환 및 관세 보호 등의 정책을 통해 중공업을 지원했다.[23] 또한, 국제무역산업성 중공업국은 진입 제한, 시장 가격 규제 등을 통해 이윤 안정을 지원했다. 이러한 정책은 개발 국가 모델을 따르는 것으로, 일정 수준의 부패를 수반했으며, 다나카 가쿠에이 총리 시절 록히드 사건과 같은 부패 스캔들이 발생하기도 했다.

자민당은 '요시다 독트린'을 계승하여 미국과의 동맹을 중시하고, 경무장 노선을 유지하며 경제 성장에 집중하는 정책을 추진했다. 1960년대에는 신헌법이 정착되면서, 자민당 내에서도 개헌에 소극적인 의원들이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자민당은 강압헌법론을 주장하며 자주헌법 제정을 당헌에 명시했지만, 1958년 총선거에서 헌법 개정에 필요한 3분의 2 의석 확보에는 실패했다.

초대 자민당 총재는 일본민주당 총재였던 하토야마 이치로였으나, 이후 이시바시 단잔이 뇌졸중으로 사퇴하면서 기시 노부스케, 이케다 하야토, 사토 에이사쿠 등 관료 출신들이 총재직을 맡게 되었다.[34]

3. 2. 일본사회당의 쇠퇴

1960년대에 들어서면서 신헌법이 일본 국민들에게 정착되고, 자유민주당 내에서도 개헌에 적극적인 의원들이 줄어들었다. '보수 본류'로 불리는 의원들을 중심으로 미국에 안보를 의존하고 국방 예산을 경제 정책에 투입하는 정책이 채택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호헌과 반안보'를 내세운 일본사회당은 그 주장의 설득력을 잃게 되었다.[35]

1960년대 일본사회당은 이탈리아 공산당에서 유래한 구조개혁론을 도입하려 했으나, 의회보다 사회주의 혁명을 중시하는 좌파에 의해 좌절되었다. 결국 '호헌과 반안보'를 고집하는 좌파 주도의 일본사회당은 지지 기반을 상실하기 시작했다.

주요 지지 기반이 노동조합으로 좁아지면서, 1960년대 말부터는 선거에서 후보자를 줄이는 소극적인 대책을 세우게 되었다. 정권 획득 의욕을 보이지 않고 선거 때마다 세력이 감소하는 이러한 경향은 '장기 저락 경향'이라고 불린다. 게다가 민사당, 일본공산당의 성장, 공명당의 결성 등으로 야당이 분열되면서, 자유민주당에 대적할 만한 정당은 나타나지 않았다.

3. 3. 1960년 안보투쟁

1960년, 일본사회당(JSP)과 일본공산당(JCP)은 전국학생자주연합(Zengakuren), 총련(Sōhyō) 등 다양한 시민단체들과 연합하여 자유민주당(LDP)의 미일안전보장조약 개정 시도에 맞서 대규모 전국적인 안보투쟁을 전개했다.[21] 이 투쟁의 규모와 국회에서의 일본사회당의 완강한 반대 때문에 개정 조약 비준은 매우 어려웠다. 기시 노부스케 수상은 자당 내 여러 파벌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조약을 국회에서 강행 처리했고, 이로 인해 자유민주당 내에서 여러 파벌들이 탈당을 계획하기 시작하면서 1955년 체제가 붕괴 직전에 놓인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기시의 행동에 대한 격렬한 대중적 분노는 더욱 거대한 시위로 이어졌고, 기시는 결국 사임할 수밖에 없었다. 기시의 뒤를 이어 이케다 하야토가 수상이 되었고, 그는 파벌 간의 경쟁을 누그러뜨리고 소득 배증 정책을 추진하여 1955년 체제를 안정시키는 데 성공했다. 1955년 체제가 1960년의 격변적인 사건 이후에야 안정되었기 때문에, 역사학자 닉 카푸어(Nick Kapur)는 "1960년 체제"라고 부르는 것이 더 타당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4. 55년 체제의 붕괴

1980년대 후반부터 냉전 종식, 거품경제 붕괴, 정치 부패 등으로 인해 자민당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 커졌다.[36]

자민당의 일당 독재가 무너지리라고는 다수가 예상하지 못했지만, 오직(汚職) 사건이 속출하면서 정치에 대한 불신이 증가하기 시작했다. 다나카 가쿠에이가 자민당 내 파벌 간 세력 균형을 무너뜨리면서 당내 혼란이 가속화되었다. 거품경제 붕괴와 그에 따른 불황, 끊이지 않는 정치 불신은 자민당의 지지율을 하락시켰다.

일본사회당도이 다카코를 중심으로 하는 마돈나 선풍, 도이 칠드런의 등장 등으로 일시적으로 세력을 확대하는 듯했지만, 다시 장기적인 저락에 돌입했다. 자민당의 지지율 감소에도 불구하고, 일본사회당의 낮은 지지율은 불만과 무력감을 높였고, 이는 다시 정치에 대한 무관심 증가를 낳았다.

1989년부터 1992년에 걸쳐 세계적으로 냉전 체제가 붕괴되고, 버블 붕괴가 겹치면서 끊이지 않는 정치 불신이 자민당의 지지율을 저하시켰다. 1980년대 후반부터 TV 아사히(テレビ朝日)의 『뉴스 스테이션(ニュースステーション)』, 『아침까지 생방송!(朝まで生テレビ!)』, 『선데이 프로젝트(サンデープロジェクト)』, 『비트 타케시의 TV 택클(ビートたけしのTVタックル)』 등의 보도 및 정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 인기를 얻은 것도 이를 부추겼다(이는 후에 츠바키 사건(椿事件)으로 문제화되었다).

미국도 냉전 종식 후 적을 “러시아, 중국, 일본, 독일”로 규정하고, 일본에 대해 미·소 냉전 시대의 경무장·공업국 노선으로부터의 전환을 요구했다.[37]

55년 체제 붕괴 시점에 대해서는 다른 의견도 있다. 일반적으로 호소카와 내각이 발족한 1993년 8월 9일을 붕괴 시점으로 보지만, 자민당과 사회당이 연립하여 자사사연립 정권(自社さ連立政権)이 발족한 1994년 6월, 중의원 제2당이 사회당에서 신진당이 된 1994년 12월도 거론되기도 한다. 어쨌든 이 시기(1993년-1994년) 이후, 전후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정치 체제는 변화해 갔다.

자민당은 이후 몰락한 사회당과 달리 다시 지지세를 확보해 부활했다는 점은 다행스러운 점이다.

4. 1. 자민당의 분열과 정계 개편

1988년 리쿠르트 사건, 1992년 도쿄 사가와큐빈 사건 등 대형 정치 부패 사건으로 국민들의 정치 불신이 극에 달했다.[36] 미야자와 기이치 내각의 정치개혁 법안 폐기에 반발한 자유민주당 의원들이 대량으로 탈당하여 하다 쓰토무, 오자와 이치로 등이 신생당을 결성하고, 다케무라 마사요시는 신당 사키가케를 결성했다.

4. 2. 1993년 총선과 비자민 연립 정권 수립

1988년 리쿠르트 사건, 1992년 도쿄사가와큐빈 사건 등으로 정치 불신이 극에 달했고, 미야자와 기이치 내각의 정치개혁 법안에 반대하는 자유민주당 의원들이 대량으로 탈당하면서 하다 쓰토무·오자와 이치로 등이 신생당을 결성하고, 다케무라 마사요시는 신당 사키가케를 결성했다.[37] 그 결과 1993년 중의원 총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은 과반수 확보에 실패했고, 일본사회당 또한 참패했다.

그러나 자유민주당 탈당자를 중심으로 한 신생당·신당 사키가케·호소카와 모리히로일본신당, 공명당, 민사당이 약진하면서 자유민주당을 기반으로 하는 미야자와 기이치 내각은 총사직하게 되었다. 야당은 호소카와 모리히로를 총리로 옹립하는 것에 합의하고, 자유민주당과의 연계를 모색한 일본사회당과 신당 사키가케도 수락하여 호소카와 내각이 출범하였다. 이로써 ‘55년 체제’는 정식으로 종언을 고하게 된다.[26]

5. 55년 체제 이후의 일본 정치

1988년 리쿠르트 사건, 1992년 도쿄사가와큐빈 사건 등으로 일본 정치에 대한 불신이 극에 달했다. 미야자와 기이치 내각의 정치개혁 법안에 반대하는 자유민주당 의원들이 대량으로 탈당하여, 하다 쓰토무, 오자와 이치로 등이 신생당을 결성하고, 다케무라 마사요시는 신당 사키가케를 결성했다.[27] 1993년 중의원 총선거에서 자유민주당은 의석이 대폭 감소했고, 일본사회당 또한 참패했다.[27]

자유민주당 탈당자를 중심으로 한 신생당, 신당 사키가케, 호소카와 모리히로일본신당, 공명당, 민사당이 약진하면서, 자유민주당을 기반으로 하는 미야자와 기이치 내각은 총사직했다.[27] 야당은 호소카와 모리히로를 총리로 옹립하는 것에 합의했고, 자유민주당과의 연계를 모색했던 일본사회당과 신당 사키가케도 수락하여 호소카와 내각이 출범했다. 이로써 55년 체제는 정식으로 종언을 고했다.[27]

1994년 선거 개혁 법안에 따라 부패와 높은 선거 비용을 줄이고, 정책 토론을 증진하며, 양당제를 장려한다는 명분으로 새로운 선거 제도가 도입되었다.[27] 이 개혁과 유권자 행동 변화, 국제 환경 변화의 결과로, 2005년2009년 총선에서 당 지지 기반과 한 정당에 대한 전국적 지지의 중요성에 있어 상당한 변화가 나타나면서 기존 제도는 완전히 붕괴되었다.[27]

2005년 이후 주요 정당의 지지 기반에서 도시와 농촌 간 차이가 극적으로 변화했고, 일본은 지역 기반의 개별 후보가 주도하는 체제에서 양당제로 이동했으며, 양당의 인기와 개인적 특성이 모두 선거의 성공 또는 실패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27]

6. 55년 체제에 대한 평가와 한국적 관점

55년 체제는 한국 현대 정치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체제로,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주어진 원본 소스가 없으므로, 일반적인 내용과 한국적 관점을 바탕으로 서술한다.

55년 체제는 자유당과 민주당의 양당 구도를 통해 한국 정치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이는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기 이승만 대통령의 독재에 대한 비판과 함께, 정당 정치의 발전을 위한 노력으로 이어진 결과였다. 특히 민주당은 4·19 혁명 이후 대한민국 제2공화국을 이끌며 55년 체제의 한 축을 담당했다.

하지만 55년 체제는 지역주의와 보스 정치 등 한국 정치의 고질적인 문제를 심화시켰다는 비판도 받는다. 자유당과 민주당 모두 지역적 기반과 유력 정치인 중심의 권력 구조를 벗어나지 못했고, 이는 이후 한국 정치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했다. 특히 5·16 군사정변 이후 박정희 정권의 등장은 55년 체제의 한계를 드러내는 사건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한국적 관점에서 55년 체제는 민주주의 발전과 정치적 안정을 위한 노력과 함께, 지역주의와 권위주의적 정치 문화라는 부정적 유산을 남긴 체제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을 지지하는 진보적 관점에서는 55년 체제가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한 점을 인정하면서도, 그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참조

[1] 서적 The Logic of Japanese Politics: Leaders, Institutions, and the Limits of Change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9
[2] 서적 Electoral incentives, policy compromise, and coalition durability: Japan's LDP–Komeito Government in a mixed electoral system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
[3] 서적 Democracy Without Competition in Japan: Opposition Failure in a One-Party Dominant Stat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
[4] 서적 Opposition Politics in Japan: Strategies Under a One-Party Dominant Regime Routledge 2013
[5] 서적 Uncommon Democracies: The One-Party Dominant Regimes Cornell University Press 2019
[6] 서적 Gendai seiji jo: 1955-nen igo University of Tokyo Press 1985
[7] 서적 Politics in modern Japan : development and organization Japan Echo 1997
[8] 서적 The making of modern Japan https://archive.org/[...]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9] 서적 Japan's postwar party polit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7
[10] 서적 Go go-nen taisei to Nihon Shakaitō ありえす書房
[11] 서적 Postwar Japan : 1945 to the present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ing 1996
[12] 학술지 The Yoshida Doctrine as a Myth http://www.jaas.gr.j[...] 2016
[13] 서적 Sengo kaikaku to gyaku kōsu 吉川弘文館
[14] 서적 wǔ wǔ nián tǐ zhì To anpo tōsō 青木書店
[15] 뉴스 Zōsen gigoku de shikikenhatsudō http://showa.mainich[...] 2019-01-18
[16] 학술지 Incorporating Japanese labor into the Free World: Cold War diplomacy and economic interdependence, 1949–1964 2008
[17] 서적 Disparaged success : labor politics in postwar Japan https://archive.org/[...] Cornell University Press 1998
[18] 학술지 The 1955 System in Japan and Its Subsequent Development http://as.ucpress.ed[...] 1988
[19] 서적 The politics of electoral systems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20] 학술지 The Constitution and Current Japanese Politics 1956
[21] 서적 Protest in Tokyo – The Security Treaty Crisis of 1960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04-19
[22] 서적 The Japanese party system : from one-party rule to coalition government Westview Press 1986
[23] 서적 Japan transformed : political change and economic restructuring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24] 학술지 The Bureaucratization of Policymaking in Postwar Japan 1974-11
[25] 학술지 Outline of Policy-Decision Making Process Since 1955 1967-05-30
[26] 서적 Unwanted company: foreign investment in American industries Cornell University Press 2018-07-05
[27] 학술지 The End of LDP Dominance and the Rise of Party-Oriented Politics in Japan 2012-07-14
[28] SSRN A Comparative Theory of Electoral Incentives: Representing the Unorganized Under PR, Plurality, and Mixed-Member Electoral Systems 2003
[29] 웹사이트 投票前に知ってほしい「政治と金」問題頻発の根本 期待できない自浄作用、有権者にできること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新報社|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21-10-22
[30] 웹사이트 ポスト55年体制期における政策的対立構造 https://www.nippon.c[...] 2013-11-06
[31] 웹사이트 【民主主義の形】第2部 漂流する民意(2)政権交代なき民主国家の歪み 緊張感失った与野党、国民不在招く https://www.sankei.c[...] 2023-08-05
[32] 웹사이트 55年体制(ごじゅうごねんたいせい)とは https://kotobank.jp/[...] 2020-02-09
[33] 웹사이트 55年体制は民主主義的で、野党もブレーキ役に担っていた | ジェラルド・カーティス | テンミニッツTV https://10mtv.jp/pc/[...]
[34] 웹사이트 「田中さんは敗戦による民主主義の申し子のような政治家だ」首相時代の竹下登はそう答えた https://www.kk-bests[...] 2016-06-10
[35] 뉴스 平成の日本政治とは?(1)経済大国に導いた「55年体制」の真実(THE PAGE) - Yahoo!ニュース https://news.yahoo.c[...]
[36] 뉴스 小選挙区制は失敗だった“悲劇の総裁”30年目の懺悔【報道1930】 | TBS NEWS DIG (2ページ) https://newsdig.tbs.[...]
[37] 뉴스 平成の日本政治とは?(2)冷戦後の世界戦略を考えなかった日本(THE PAGE) - Yahoo!ニュース https://news.yahoo.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