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산시의 시내버스는 오산시 관내 및 인접 지역을 운행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이다. 오산교통을 비롯한 여러 운수업체가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하여 현금, 교통카드, 조조할인 등 다양한 요금 체계를 갖춘다. 오산시 차적의 도시형버스, 따복버스, 직행좌석버스 외에도 인접 도시인 용인, 수원, 화성, 광주, 평택의 시내버스가 오산시를 경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산시의 교통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은 대한민국 최초의 지하철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의 핵심 노선으로, 1974년 개통 이후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장항선 등 여러 노선을 경유하며 한국철도공사와 서울교통공사가 공동 운영하고 완행 및 급행 열차를 운행한다. - 오산시의 교통 - 경부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는 부산에서 서울을 연결하는 대한민국의 주요 고속도로이며, 1970년에 전 구간이 완공되었고, 총 연장 416.1km로 부산, 대구, 대전 등 주요 도시를 통과하며 버스 전용 차로가 운영된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
평택대시외버스정류장은 고속버스와 시외버스 노선이 운행되며, 서울경부 방면 고속버스와 수도권 및 충청권 방면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 경기도의 버스 교통 - 안중시외버스터미널
안중시외버스터미널은 경기도 평택시 안중읍에 위치하며 수도권 및 충청권 지역을 연결하는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서울경부, 인천, 안산, 인천국제공항, 당진, 평택 등의 주요 노선과 평택여객, 협진여객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이용할 수 있는 매표소, 대기 공간, 편의시설을 갖춘 터미널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오산시의 시내버스 | |
---|---|
버스 정보 | |
![]() | |
관리 기관 | 오산시청 교통과 |
서비스 지역 | 경기도 오산시 |
기타 지역 | 경기도 수원시, 화성시, 용인시, 평택시, 서울특별시 |
노선 수 | 20 |
인가 대수 | 87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하나로 |
후불 카드 | 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씨티, 제주, 하나카드, 현대 |
웹사이트 | 경기도 버스정보 시스템 홈페이지 |
2. 운수업체
2. 1. 오산시 관내 운수업체
오산교통은 27개의 노선을 운영하며 113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1] KD 소속의 경기고속은 2개의 노선, 9대의 차량을, 대원고속은 1개의 노선, 21대의 차량을 운행한다.[1] 용남버스는 4개의 노선, 35대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1]2. 2. 타 지역 운수업체
오산시에는 광주의 경기고속, 대원고속, 수원의 삼경운수, 성우운수, 수원여객, 용남고속, 용인의 경남여객, 평택의 협진여객, 화성의 화성여객 등 인접 도시의 운수업체들도 운행하고 있다.3. 요금 체계
wikitext
오산시의 시내버스는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르며, 현금, 교통카드, 조조할인 등 다양한 요금제가 적용된다.
종류 | 나이 | 현금 (원) | 카드 (원) | 조조요금 (원) |
---|---|---|---|---|
일반시내 (DRT) | 어른 (만 19세 이상) | 1,500 | 1,450 | 1,2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100 | 1,010 | 87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800 | 730 | 630 | |
일반좌석 | 어른 (만 19세 이상) | 2,500 | 2,450 | 2,05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1,900 | 1,820 | 1,5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700 | 1,640 | 1,370 | |
직행좌석 (간선급행) | 어른 (만 19세 이상) | 2,900 | 2,800 | 2,4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000 | 1,960 | 1,68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000 | 1,960 | 1,680 | |
경기순환 | 어른 (만 19세 이상) | 3,100 | 3,050 | 2,600 |
청소년 (만 12세 ~ 18세) | 2,200 | 2,140 | 1,82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2,200 | 2,140 | 1,820 | |
광역급행(M버스) | 어른 (만 18세 이상) | 2,900 | 2,800 | 2,300 |
청소년 (만 12세 ~ 17세) | 2,100 | 2,000 | 1,600 | |
어린이 (만 6세 ~ 11세) | 1,600 | 1,600 | 1,300 |
==== 환승 할인 ====
오산시의 시내버스는 경기도의 다른 지역 시내버스와 같이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른다.
3. 1. 환승 할인
오산시의 시내버스는 경기도의 다른 지역 시내버스와 같이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따른다.4. 오산시 차적의 운행 노선
4. 1. 도시형버스
오산시 관내 및 인접 지역을 연결하는 도시형버스 노선들이 운행되고 있다.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
7 | 오산교통 | 오산시티자이 | ↔ | 진안12단지 | 운암단지, 오산시청, 오산역, 오산시장, 궐동, 오산대역, 금암마을, 세마역, 양산동, 병점역 | 15~20 | |
7-5 | 오산교통 | 탑동아파트 | ↔ | 가수동 늘푸른오스카빌 | 한라아파트, 오산역, 롯데마트 오산점, 남촌동, 가수주공아파트, 누읍지구 | 30~40 | |
8 | 오산교통 | 오산교통갈곶영업소 | ↔ | 서천지구 | 청호동, 고현동, 원동 대림아파트, 오산역, 오산시청, 운암단지, 오산종합운동장, 세교19~16단지, 오산대역, 세교13~8단지, 세마고, 세마역, 양산동, 병점역, 진안동, 기산동, 망포역, 서천지구 | 8~13 | |
9 | 오산교통 | 지곶동대림아파트 | ↔ | 동탄역 | 세마역, 세마고등학교, 죽미마을, 금암마을, 화성오산교육청, 반송초, 새강·서해·쌍용, 다은마을, 메타폴리스, 동탄1동주민센터, 한미약품, 동탄역 | 20~150 | |
11 | 오산교통 | 원동힐스테이트 | → | 성호고등학교 | 피오레아파트, 화남아파트, 동부삼환아파트 | 1회(08:20) | 통학노선 |
12 | 오산교통 | 대원동주민센터 | → | 성호고등학교 | 1회(08:25) | 통학노선 | |
21 | 오산교통 | 화성중고등학교 | ↔ | 탑동차고지 | 발안초, (상두리)22, 양감면사무소, (용소리)21, 사창, (송산리)22, 부처내, 덕절리, 초평동, 남촌동, 오산역 | rowspan="2"| | |
22 | 오산교통 | ↔ | |||||
30 | 오산교통 | 오산역 | ↔ | 당말 | 오산시청, 부산동자이, 대원아파트 | 20~60 | |
오산역 | → | 성호고등학교 | 오산시청, 부산동자이, 대원아파트, 성호고교, 엘리시아, 자이, 아이파크 | 2회 | 통학노선 | ||
31 | 오산교통 | 부산동 | ↔ | 세마역 | 오산시청, 운암단지, 오산종합운동장, 오산시장, 오산역, 남촌동, 가장산업단지, 용수리, 서랑동 | 40~60 | |
32 | 오산교통 | 외삼미동 | ↔ | 오산역 | 화성오산교육청, 세교16.17단지, 화성초, 은계주공아파트, 오산종합운동장 | 55 | |
34 | 오산교통 | 오산역 | ↔ | 지곶동대림아파트 | 롯데마트, 남촌오거리, 가장산업단지 | 55 | |
71 | 오산교통 | 원동힐스테이트 | ↔ | 중리 만의사 | 오산역, 오산시장, 오산종합운동장, 금곡리, 동탄초교, 반도6차, 동탄4동주민센터, KCC스위첸 | 100~120 | |
111 | 오산교통 | 화성중고등학교 | ↔ | 오산교통탑동차고지 | 향남읍사무소, 갈천리, 덕절리, 초평동, 남촌동, 오산역 | 13~20 | 2024년 1차 시내버스 공공관리제 대상 노선 |
201 | 오산교통 | 갈곶동 | ↔ | 광교테크노밸리 | 오산역, 운암단지, 스마트시티센터, 서동탄역신일해피트리, 병점역사거리, 세류역, 매교역, 수원시청, 법원사거리, 광교에일린의뜰, 광교중앙역 | 40~60 | |
202 | 오산교통 | 오산교통탑동차고지 | ↔ | 광교호반베르디움 | 가수동, 오산대, 등기소, 금암마을, 세마역, 병점역사거리, 세류역, 가구거리, 수원시청역, 아주대학교(병원) | 7~15 | |
C1 | 오산교통 | 오산교통갈곶차고지 | ↔ | 세마역 | 오산교통갈곶영업소 - 오산청호아파트 - 고현초등학교 - 오산빌리지 - 한전사거리 - 대원동주민센터 - (→ 오산역.오산터미널 →/← 오산역환승센터1층(1승강장) ←) - 중원사거리 - 오색시장 - 대우3차아파트.궐동 - 오산농협종합청사후문 - 매홀중학교 - 스마트시티센터앞 - 세미초등학교 - 화성오산교육청 - 교육청사거리 → 세마역 → 잔다리마을1단지 → 세마동주민센터 → 교육청사거리 → 이후 역순 | 일 14회 | 공영버스 |
C2 | 오산교통 | 오산대역후문 | ↔ | 죽미마을입구 | 오산대역후문 - 오산농협종합청사정문 - 화성초교 - 수청주공아파트 - 매홀중학교 - 스마트시티센터앞 - 세미초등학교 - 세교자이후문 - 드라마세트장 - 신삼성자동차운전학원 - 화성오산교육청 - 포스코더샵 - 동양선교교회 - 성운시스템 - 세마골프클럽 - 외삼미동입구 - 세마역 - 세마중.고교 - 죽미마을입구 → 세교중심상가앞 → 금암마을3.4.5단지 → 세교데시앙포레 → 세교13단지 → 필봉초교.신장동주민센터 → 죽미마을10단지 → 죽미마을8단지 → 죽미마을입구 → 이후 역순 | 일 16회 | 공영버스 |
C3 | 오산교통 | 오산롯데캐슬스카이파크 | ↔ | 지곶동대림아파트 | 오산롯데캐슬스카이파크아파트 - 원동수자인아파트 - 대원아파트 - 원4동마을입구 - 오산시청 - 세명프라자.하나은행 - 성모병원 - 남촌 - 남촌오거리 - 오산대학교 - 꿈빛나래청소년문화의집 - 궐리사.대우아파트 - 대우아파트 - 오산대역.물향기수목원 - 수청초등학교앞 - 금암주택단지입구 - 금암마을7단지 - 금암마을3.4.5단지 - 세교중심상가앞 - 죽미마을입구 - 세마중·고교 - 세마역 - 세마동주민센터 - 1단지.세마동 - 농협 - 세마산업단지 - 독산성 - 지곶동대림아파트 | 40~160 | 공영버스 |
C4 | 오산교통 | 오산역환승센터 | ↔ | 오산역환승센터 | 오산역환승센터2층 → 오산터미널 → 대림아파트 → 제일교회앞 → 맑음터공원 → 벌음동 → 신동아아파트입구 → 탑동입구.이림아파트 → 한라.이림아파트 → 늘푸른오스카빌정문 → 세교2지구12단지 → 남촌오거리 → 남촌.오산농협 → 농협중앙회 → 롯데마트 → 오산시청옆 → 운암주공5단지.운암중학교 → 신양아파트사거리 → 오산농협역전지점 → 오산역환승센터2층 | 45~130 | 공영버스 |
4. 2. 따복버스
오산교통에서 운행하는 경기도형 준공영제 노선인 따복버스 90-1번과 90-2번이 있다.[2] 따복버스 90-1번은 오산대역과 가장산업단지를 잇는 노선으로, 물향기수목원과 신궐동을 경유하며 2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평일 출퇴근 시간에 운행한다. 따복버스 90-2번은 세마역과 대원아파트를 잇는 노선으로, 세마고, 죽미8~12단지, 오산대역, 보건소, 재래시장, 오산역, 원동푸르지오를 경유하며 35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낮과 저녁 시간에 운행한다. 이 노선들은 2016년 6월 1일에 신설되었다.[2]4. 3. 직행좌석버스
오산시는 경기고속, 대원고속, 용남고속 등의 운수업체가 서울 강남역 등 주요 지역으로 가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주요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1311 | 경기고속 | 누읍동 ↔ 강남역 | 오산대학교, 세교신도시, 세마역, 경부고속도로, 신논현역, 강남역, 양재역 | 15~40 | |
1550-1 | 대원고속 | 한신대학교 ↔ 강남역 | 병점역, 신영통, 망포역, 경희대학교, 하갈동, 신논현역→강남역→양재역→시민의숲 | 10~20 |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1552 | 대원고속 | 한신대학교 ↔ 강남역 | 오산대학교, 신창미션힐, 진안동, 경부고속도로, 신논현역, 강남역, 양재역 | 1일 9회 | 대광위 준공영제 노선 |
5200 | 용남고속 | 갈곶동 ↔ 강남역 | 청호아파트, 매홀중학교, 신논현역→강남역→양재역→시민의숲 | 20~60 | |
5300 | 용남고속 | 갈곶동 ↔ 강남역 | 오산역, 운암단지, 신논현역→강남역→양재역→시민의숲 | 10~20 | |
5300-1 | 용남고속 | 갈곶동 ↔ 강남역 | 오산역, 운암단지, 남부터미널역→교대역→신논현역→강남역→양재역→시민의숲 | 4회 |
5. 타 지역 차적의 운행 노선
5. 1. 용인시의 시내버스
경남여객에서 운행하는 24번, 24-1번, 24-2번 버스가 용인터미널에서 출발하여 오산역까지 운행한다. 24번 버스는 천리, 송전, 남사, 장지리, 오산종합운동장을 경유하며, 배차 간격은 60분이다. 24-1번 버스는 완장리, 남사, 장지리, 오산종합운동장을 경유하며, 배차 간격은 250분이다. 24-2번 버스는 완장리, 장지리, 오산종합운동장을 경유하고 남사면은 경유하지 않으며, 배차 간격은 215분이다. 이 버스들은 모두 용인시 면허로 운행된다.5. 2. 수원시의 시내버스
수원시 면허의 시내버스인 20번, 20-1번, 300번, 301번 버스가 오산시까지 운행된다. 20번 버스는 광교마을중심상가, 아주대학교, 오산대역, 오산역을 경유한다. 20-1번 버스는 광교마을중심상가, 아주대학교, 세마역, 오산대역, 오산역을 경유한다. 300번 버스는 진위역, 오산역, 병점역을 지나 범계역까지 운행한다. 301번 버스는 진위역, 오산역, 병점역, 수원역을 지나 동안구청까지 운행한다. 경진여객에서 운행하는 광역급행버스 M5532번은 오산시 갈곶동에서 출발하여 사당역까지 운행하며, 오산역을 경유한다.5. 3. 화성시의 시내버스
화성시 면허의 시내버스가 오산시까지 운행된다. 화성운수의 3-2번 버스는 오산역에서 화성중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오산터미널, 궐동, 오산대학교 등을 경유한다. 80번 버스는 병점역에서 화성중고등학교까지 운행하며, 벌말초교, 안용중학교, 송산동입구 등을 경유한다. 화성여객의 116-2번 버스는 지역난방공사(영통)에서 갈곶동까지 운행하며, 영통역, 서천마을, 동탄한림대병원, 운암주공, 오산역을 경유한다. 116-3번 버스는 동탄제2신도시에서 단대오거리역까지 운행하며, 신갈오거리, 신갈중학교, 갈현마을, 양현마을, 인성마을, 보정역을 경유한다. 화성운수의 333번 버스는 그린피아에서 오산역까지 운행하며, 수원과학대, 보통리, 정남농협, 정남초등학교, 고지리 등을 경유한다.5. 4. 광주시의 시내버스
광주시 면허의 직행좌석버스 노선이 오산시를 경유한다. 경기고속에서 운행하는 8301번 직행좌석버스는 성남터미널(야탑역)에서 송탄터미널까지 운행하며, 판교역, 운암주공5단지, 오산역을 경유한다. 배차 간격은 40~250분이다.5. 5. 평택시의 시내버스
평택시 면허의 시내버스가 오산시까지 운행된다.노선 번호 | 운행업체 | 운행구간 | 경유지 | 배차 간격 (분) | 비고 |
---|---|---|---|---|---|
1502 | 협진여객 | 용이동 ↔ 오산대학 | 평택대, 평택시청, 평택여중, 평택역, 통복시장, 평택지제역, 송탄공단, 서정리역, 송탄역, 송탄소방서, 진위역, 갈곶동, 오산터미널, 궐동 | 5 | 평택시 면허 |
1522 | 협진여객 | 용이동 ↔ 오산터미널 | 평택대, 평택시청, 평택여중, 평택역, 통복시장, 세교동, 평택공단, 평택지제역, 송탄공단, 송탄고, 송탄출장소, 지산사거리, 송탄소방서, 진위역, 갈곶동, 오산터미널 | 13 | 평택시 면허 |
6.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버스 등록 현황
https://www.gg.go.kr[...]
경기도청
2021-03-29
[2]
웹사이트
오산시, 대중교통 불편지역 '따복버스'운행
http://osannews.go.k[...]
2016-06-07
[3]
웹사이트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stat.kosis.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