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은 1945년 요시프 브로즈 티토에 의해 수립된 사회주의 국가로, 6개의 공화국(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과 2개의 자치주로 구성되었다. 티토주의와 비동맹 중립 외교를 추구하며 동유럽 공산주의 국가들과 차별화되었으며, 비동맹 운동의 지도국으로 활동했다. 1970년대 시장 경제 요소를 도입하여 경제 발전을 이루었으나, 1980년 티토 사망 이후 민족주의 갈등이 심화되어 1990년대 초 연방이 해체되고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발발했다. 유고슬라비아는 축구, 농구, 수구 등 스포츠 강국으로도 명성을 떨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당제 - 콩고 인민공화국
콩고 인민공화국은 1969년 쿠데타로 수립된 사회주의 국가로, 콩고 노동당의 일당 체제 하에 소련 및 동구권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국유화 정책을 시행했으나, 1991년 체제 전환을 통해 콩고 공화국으로 이어졌다. - 일당제 - 당의 지도성
당의 지도성은 특정 정당이 국가 또는 사회를 이끄는 역할을 헌법이나 법률로 규정하는 것으로, 사회주의 국가에서 주로 나타나며 일당 독재와 관련된 논쟁을 불러일으킨다. - 유고슬라비아 -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 공화국은 중앙유럽에 위치한 의원내각제 공화국으로, 알프스 산맥과 판노니아 평원이 만나는 지리적 위치에 있으며, 로마 제국, 합스부르크 군주국,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1991년 독립을 선포하고 2004년 유럽 연합과 NATO에 가입했으며, 슬로베니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주요 산업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관광산업이다. - 유고슬라비아 - 세르비아 왕국
세르비아 왕국은 19세기 세르비아의 독립 운동으로 성립되어 발칸 전쟁을 통해 영토를 확장했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중 해체되고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슬로베니아인 왕국에 통합되었다. - 역사 연표 - 보헤미아
보헤미아는 중부 유럽의 역사적 지역으로, 현재 체코 공화국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보이족에서 유래되어 슬라브족의 정착과정을 거쳐 신성 로마 제국, 합스부르크 왕가의 지배, 체코슬로바키아 독립, 나치 독일 점령, 공산 정권 수립 등의 역사를 겪고 1993년 체코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다. - 역사 연표 - 슬로베니아
슬로베니아 공화국은 중앙유럽에 위치한 의원내각제 공화국으로, 알프스 산맥과 판노니아 평원이 만나는 지리적 위치에 있으며, 로마 제국, 합스부르크 군주국, 유고슬라비아를 거쳐 1991년 독립을 선포하고 2004년 유럽 연합과 NATO에 가입했으며, 슬로베니아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주요 산업은 제조업과 서비스업, 관광산업이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연방인민공화국 (1945–1963)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1963–1992) |
로마자 표기 | Federativna Narodna Republika Jugoslavija (1945–1963) Socijalistička Federativna Republika Jugoslavija (1963–1992) |
키릴 문자 표기 | Федеративна Народна Република Југославија (1945–1963) Социјалистичка Федеративна Република Југославија (1963–1992) |
슬로베니아어 표기 | Federativna ljudska republika Jugoslavija (1945–1963) Socialistična federativna republika Jugoslavija (1963–1992) |
마케도니아어 표기 | Федеративна Народна Република Југославија (1945–1963) Социјалистичка Федеративна Република Југославија (1963–1992) |
일반 명칭 | 유고슬라비아 |
존속 기간 | 1945년 11월 29일 ~ 1992년 4월 27일 |
수도 | 베오그라드 |
최대 도시 | 베오그라드 |
국가 표어 | 형제애와 통일 |
국가 | 슬라브족이여 |
공식 언어 | 연방 수준에서는 없음 |
국어 | 세르보크로아트어 슬로베니아어 마케도니아어 |
문자 체계 | 키릴 문자 라틴 문자 |
민족 구성 (1981년) | 세르브인 (36.3%) 크로아트인 (19.7%) 보슈냐크인 (8.9%) 슬로벤인 (7.8%) 알바니아인 (7.7%) 마케도니아인 (6.0%) 유고슬라브인 (5.4%) 몬테네그로인 (2.6%) 헝가리인 (1.9%) 기타 (3.6%) |
종교 | 세속 국가, 국가 무신론 (데 팍토) |
통화 | 유고슬라비아 디나르 |
면적 | 255,804 km² |
인구 (1991년 추정) | 23,229,846명 |
ISO 3166-1 코드 | YU |
국제전화 코드 | +38 |
시간대 | 중앙유럽 표준시 (CET) |
일광 절약 시간 | 중앙유럽 서머타임 (CEST) |
차량 통행 방향 | 우측 통행 |
최상위 도메인 | .yu |
정치 체제 | |
1945–1948 | 연방공화국, 마르크스-레닌주의, 일당제, 의회 공화국, 사회주의 공화국 |
1948–1971 | 연방공화국, 티토주의, 일당제, 의회 공화국, 사회주의 국가, 공화국 |
1971–1990 | 연방공화국, 티토주의, 일당제, 의회 공화국, 사회주의 국가, 지령 체제, 공화국 |
1990–1992 | 연방공화국, 의회 공화국, 지령 체제, 공화국 |
입법부 | 연방 의회 |
상원 | 연방 평의회 |
하원 | 연방 회의소 |
최고 지도자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서기장 |
최고 지도자 (초대) | 요시프 브로즈 티토 (1945–1980) |
최고 지도자 (마지막) | 밀란 판체프스키 (1989–1990) |
국가 원수 | 대통령 |
국가 원수 (초대) | 이반 리바르 (1945–1953) |
국가 원수 (마지막) | 스티에판 메시치 (1991) |
정부 수반 | 총리 |
정부 수반 (초대) | 요시프 브로즈 티토 (1945–1963) |
정부 수반 (마지막) | 안테 마르코비치 (1989–1991) |
역사 | |
건국 이전 |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 |
건국 | 유고슬라비아 연방인민공화국 선포 (1945년 11월 29일) |
주요 사건 | 헌법 채택 (1946년 1월 31일) 티토-스탈린 결렬 (1948년경) 비동맹 운동 (1961년 9월 1일) 제2차 헌법 (1963년 4월 7일) 제3차 헌법 (1974년 2월 21일) 요시프 브로즈 티토 사망 (1980년 5월 4일)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독립 선언 (1991년 6월 25일) 유고슬라비아 전쟁 발발 (1991년 6월 27일) |
해체 |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의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수립 (1992년 4월 27일) |
경제 | |
GDP (PPP, 1989년) | 1030.4억 달러 |
1인당 GDP (PPP, 1989년) | 6,604 달러 |
인간 개발 지수 (HDI, 1990년) | 0.913 (감소) |
기타 정보 | |
선행 국가 | 민주연방 유고슬라비아 |
후행 국가 |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북마케도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트리에스테 자유 지구 |
2. 역사
1945년 11월 29일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야이체에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수립을 선언한 뒤부터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유고슬라비아에서 저항 운동을 전개했다.
1945년 요시프 브로즈 티토는 소련의 지원을 통해 군주제를 폐지하고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등 6개 공화국으로 이루어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구유고슬라비아)을 수립했다. 1946년에는 공산주의 신헌법을 제정했으며 1974년에는 세르비아의 보이보디나와 코소보를 연방직할 자치주로 승격시켰다.
국가원수에 취임한 티토는 1948년 민족주의를 주장, 소련의 지도권을 부인하다가 코민포름에서 제명된 후 "독자적이고 민족주의적인 공산주의"를 지향하였다. 비동맹 중립주의, 미국·소련의 권력 정치 배격으로 대표되는 티토주의는 동구권에서 서방권 측과 관계 개선을 도모한 이단자로 규정되었으나 제3세계 비동맹 운동의 지도자로서의 위상을 점하였다.
유고슬라비아는 동유럽·중앙유럽의 여타 공산주의 국가와 달리 바르샤바 조약에도 경제상호원조회의에도 가입하지 않았고, 북대서양 조약기구에도 가입하지 않은 채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지도 아래 비동맹 운동 노선을 걸었다. 그래서 티토의 자주적인 정치노선을 티토주의라고 부른다.
1971년부터 1973년 사이에 전개된 브레즈네프·코시긴 등 소련 수뇌부와 티토 간의 상호 교환 방문과 1977년 소련의 불간섭 원칙의 확인으로 양국 관계가 호전되었으며 1970년대 대서방 접근은 더욱 구체화되었다. 유고슬라비아는 기업의 영리·이윤제 등 시장경제 구조를 도입, 독자적인 공산주의 경제체제를 추진함으로써 1970년대에는 경제적 발전을 달성하기도 하였다. 이로써 유고슬라비아는 남유럽의 가장 부유한 공산 국가로 발전했다.
1980년 5월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사망과 함께 분열 조짐을 보이며 연방 간부 회의 집단 지도 체제로 전환하였다. 연방의회는 연방원과 공화국·자치주원의 양원제였다. 1987년 공산당 서기장에 오른 슬로보단 밀로셰비치(Slobodan Milosevic)가 대세르비아 민족주의를 주창하면서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촉발되었다.
1980년대 말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로 중앙유럽 공산주의 정권이 차례로 붕괴하자 유고 연방은 해체 수순을 밟았다. 1991년 유고슬라비아의 구성 공화국이었던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북마케도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차례로 분리 독립했다.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치른 후 1992년 남은 공화국인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을 결성하면서 구유고슬라비아 연방은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2. 1. 건국
1941년 4월 6일, 유고슬라비아는 나치 독일이 주도한 추축국의 침공을 받았다.1941년 4월 17일까지 유고슬라비아는 완전히 점령되어 추축국에 의해 분할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저항군은 왕실 유고슬라비아 국토군과 공산주의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두 형태로 조직되었다.[13] 요시프 브로즈 티토는 파르티잔의 최고 사령관이었으며, 그의 지휘 아래 파르티잔은 "해방 지역"을 수립하여 점령군의 주목을 받았다. 파르티잔은 유고슬라비아 국가들의 "형제애와 단결"을 촉진하고 유고슬라비아 정치 스펙트럼의 공화주의적, 좌익적, 사회주의적 요소들을 대표하는 유고슬라비아 전역의 운동이었다. 이 운동의 배후에는 유고슬라비아 인민해방전선(JNOF)이 있었고, 유고슬라비아 공산당(KPJ)이 이끌었다.전선은 유고슬라비아 인민해방을 위한 반파시스트 평의회(AVNOJ)를 구성했다.[14] AVNOJ는 1942년 11월 26일 비하치에서 처음으로 회합했고 (AVNOJ 제1차 회의) 유고슬라비아의 입법 의회(의회)의 지위를 주장했다.[11][14][15]
1943년,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은 독일군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폴 바이스(1943년 1월~4월)와 폴 슈바르츠(1943년 5월 15일~6월 16일)에서 추축국은 유고슬라비아 저항군을 진압하려 시도했다. 네레트바 전투와 수티예스카 전투에서 파르티잔은 많은 사상자에도 불구하고 함정을 피해 후퇴했다. 파르티잔은 이전보다 강해져 유고슬라비아의 더 큰 지역을 점령했고, 국민들 사이에서 호의적인 평판을 얻어 모병이 증가했다. 1943년 9월 8일, 파시스트 이탈리아는 연합국에 항복하여 유고슬라비아 점령 지역을 파르티잔에게 열어두었다. 티토는 이를 이용하여 달마티아 해안과 그 도시들을 잠시 해방시켰다. 이는 파르티잔에게 이탈리아 무기와 물자를 확보하고, 자원봉사자와 연합국으로 넘어온 이탈리아 병사들 (가리발디 사단)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11][15] 이후, AVNOJ는 야이체에서 두 번째 회의를 열기로 결정했다. AVNOJ 제2차 회의는 1943년 11월 21일부터 29일까지 개최되었고, 6개의 동등한 남슬라브 공화국의 연방이 될 국가인 민주 연방 유고슬라비아의 수립을 결정했다. 평의회는 "군주제 대 공화제" 문제는 열어두고, 페타르 2세가 런던 망명에서 돌아올 수 있도록 허용하되, 국민투표에서 호의적인 결과가 나온 경우에만 허용하기로 했다.[15] AVNOJ는 유고슬라비아 해방을 위한 국가 위원회(NKOJ)를 구성하고 티토를 총리로 임명했다. 티토는 유고슬라비아 원수 계급을 받았으며, 테헤란 회담에서 파르티잔이 연합군 유고슬라비아 저항 운동으로 인정받고 물자와 전시 지원을 받게 된다는 소식이 전해졌다.[15]
1944년 6월 17일, 비스 섬에 있는 파르티잔 기지는 티토와 런던의 왕당파 망명 유고슬라비아 정부의 총리 이반 슈바시치 간의 회담(티토-슈바시치 협정)을 주최했다.[16] 이 협정은 AVNOJ와 민주 연방 유고슬라비아(DFY)에 대한 국왕의 인정을 부여했고, 유고슬라비아 연립 정부 수립 및 AVNOJ를 유고슬라비아 잠정 의회로 확인했다.[15] 런던의 페타르 2세 망명 정부는 1944년 6월 17일 협정에서 이 국가를 인정했다.[17] 1944년 11월 이후 DFY의 입법부는 잠정 의회였다.[18] 1944년 티토-슈바시치 협정은 이 국가가 민주적 자유, 개인의 자유, 언론의 자유, 집회의 자유, 종교의 자유, 언론의 자유를 보장하는 다원주의 민주주의임을 선언했다.[19] 그러나 1945년 1월까지 티토는 다원주의 민주주의에서 벗어나 인민전선이 모든 유고슬라비아 국민을 대표한다고 주장했다.[19] 벨그라드는 1944년 10월 소련 적군의 도움으로 해방되었고, 새로운 유고슬라비아 정부의 구성은 11월 2일 벨그라드 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연기되었다. 이 협정은 전후 선거를 규정했다.[15]
1945년 3월 20일, 파르티잔은 독일군과 남은 협력 세력을 축출하기 위한 총 공세를 시작했다.[14] 4월 말까지 유고슬라비아의 남은 북부 지역이 해방되었고, 유고슬라비아군은 트리에스테 주변의 남부 독일(오스트리아) 영토와 이탈리아 영토를 점령했다. 유고슬라비아는 이제 다시 완전한 국가가 되었고, 그 국경은 1941년 이전의 형태와 거의 비슷했으며, 파르티잔은 6개의 연방 국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연방), 크로아티아 연방(크로아티아 연방), 마케도니아 연방(마케도니아 연방), 몬테네그로 연방(몬테네고비나 연방), 세르비아 연방(세르비아 연방), 슬로베니아 연방(슬로베니아 연방)을 포함하는 "민주 연방"으로 구상했다.[15][20] 1945년 2월, 티토는 국왕을 대표하는 섭정 위원회의 존재를 인정했지만, 위원회의 첫 번째이자 마지막 행위는 티토 총리의 새로운 정부를 선포하는 것이었다.[21] 1945년 6월 26일 정부는 왕국이나 공화국에 대한 언급 없이 ''유고슬라비아''만을 공식 명칭으로 사용하여 유엔 헌장에 서명했다.[22][23] 3월 7일 국가 원수로서 국왕은 섭정 위원회에 헌법 전문가를 임명했고, 1945년 11월 29일에 티토의 지명을 수락했다. 이러한 권력 이양으로 페타르 2세 국왕은 티토에게 퇴위했다.[24]
1945년 11월 29일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야이체에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수립을 선언한 뒤,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은 유고슬라비아에서 저항 운동을 전개했다. 같은해 티토는 소련의 지원을 통해 군주제를 폐지하고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등 6개 공화국으로 이루어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구유고슬라비아)을 수립했다. 1946년에는 공산주의 신헌법을 제정했으며 1974년에는 세르비아의 보이보디나와 코소보를 연방직할 자치주로 승격시켰다.
국가원수에 취임한 티토는 1948년 민족주의를 주장, 소련의 지도권을 부인하다가 코민포름에서 제명된 후 "독자적이고 민족주의적인 공산주의"를 지향하였다. 비동맹 중립주의, 미국·소련의 권력 정치 배격으로 대표되는 티토주의는 동구권에서 서방권 측과 관계 개선을 도모한 이단자로 규정되었으나 제3세계 비동맹 운동의 지도자로서의 위상을 점하였다.
유고슬라비아는 동유럽·중앙유럽의 여타 공산주의 국가와 달리 바르샤바 조약에도 경제상호원조회의에도 가입하지 않았고, 북대서양 조약기구에도 가입하지 않은 채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지도 아래 비동맹 운동 노선을 걸었다.
1971년부터 1973년 사이에 전개된 브레즈네프·코시긴 등 소련 수뇌부와 티토 간의 상호 교환 방문과 1977년 소련의 불간섭 원칙의 확인으로 양국 관계가 호전되었으며 1970년대 대서방 접근은 더욱 구체화되었다. 유고슬라비아는 기업의 영리·이윤제 등 시장경제 구조를 도입, 독자적인 공산주의 경제체제를 추진함으로써 1970년대에는 경제적 발전을 달성하기도 하였다. 이로써 유고슬라비아는 남유럽의 가장 부유한 공산 국가로 발전했다.
1980년 5월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사망과 함께 분열 조짐을 보이며 연방 간부 회의 집단 지도 체제로 전환하였다. 연방의회는 연방원과 공화국·자치주원의 양원제였다. 1987년 공산당 서기장에 오른 슬로보단 밀로셰비치(Slobodan Milosevic)가 대세르비아 민족주의를 주창하면서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촉발되었다.
1980년대 말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로 중앙유럽 공산주의 정권이 차례로 붕괴하자 유고 연방은 해체 수순을 밟았다. 1991년 유고슬라비아의 구성 공화국이었던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북마케도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차례로 분리 독립했다.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치른 후 1992년 남은 공화국인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을 결성하면서 구유고슬라비아 연방은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2. 2. 티토주의와 비동맹 중립 외교
1945년 11월 29일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야이체에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수립을 선언한 뒤,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이 유고슬라비아에서 저항 운동을 전개했다.[20] 1945년 11월 11일에 치러진 제2차 세계 대전 후 유고슬라비아 최초의 선거에서 티토가 이끄는 인민전선이 압승을 거두었다.[15]
티토는 소련의 지원을 통해 군주제를 폐지하고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등 6개 공화국으로 이루어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구유고슬라비아)을 수립했다.[20][28] 1946년에는 공산주의 신헌법을 제정했으며 1974년에는 세르비아의 보이보디나와 코소보를 연방직할 자치주로 승격시켰다.
국가원수에 취임한 티토는 1948년 민족주의를 주장, 소련의 지도권을 부인하다가 코민포름에서 제명된 후 "독자적이고 민족주의적인 공산주의"를 지향하였다.[20] 티토-스탈린 분열이후, 유고슬라비아는 인폼비로 시대를 격었다.[20] 비동맹 중립주의, 미국·소련의 권력 정치 배격으로 대표되는 티토주의는 동구권에서 서방권 측과 관계 개선을 도모한 이단자로 규정되었으나 제3세계 비동맹 운동의 지도자로서의 위상을 점하였다. 유고슬라비아는 동유럽·중앙유럽의 여타 공산주의 국가와 달리 바르샤바 조약에도 경제상호원조회의에도 가입하지 않았고, 북대서양 조약기구에도 가입하지 않은 채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지도 아래 비동맹 운동 노선을 걸었다.[20]
1971년부터 1973년 사이에 전개된 브레즈네프·코시긴 등 소련 수뇌부와 티토 간의 상호 교환 방문과 1977년 소련의 불간섭 원칙의 확인으로 양국 관계가 호전되었으며 1970년대 대서방 접근은 더욱 구체화되었다. 유고슬라비아는 기업의 영리·이윤제 등 시장경제 구조를 도입, 독자적인 공산주의 경제체제를 추진함으로써 1970년대에는 경제적 발전을 달성하기도 하였다. 이로써 유고슬라비아는 남유럽의 가장 부유한 공산 국가로 발전했다.[20]
1980년 5월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사망과 함께 분열 조짐을 보이며 연방 간부 회의 집단 지도 체제로 전환하였다. 연방의회는 연방원과 공화국·자치주원의 양원제였다. 1987년 공산당 서기장에 오른 슬로보단 밀로셰비치(Slobodan Milosevic)가 대세르비아 민족주의를 주창하면서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촉발되었다.
2. 3. 티토 사후와 유고슬라비아 전쟁
1980년 5월 4일 요시프 브로즈 티토가 수술 후유증으로 사망하면서 유고슬라비아는 큰 변화를 맞이했다.[46] 티토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국가 영웅이자 30년 이상 유고슬라비아의 지도자였기 때문에 그의 죽음은 국가에 큰 충격을 주었다.[46] 스플리트 축구 경기장에서는 세르비아인과 크로아티아인들이 그의 죽음을 애도했고, 수많은 세계 지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공산당 연맹이 장례식을 주관했다.[46]티토 사후, 각 공화국 공산당 지도부로 구성된 집단 주석단이 채택되었다.[46] 당시 연방 정부는 베셀린 주라노비치가 이끌고 있었는데, 그는 외채 문제로 인해 경제 절약을 주장하며 공화국 지도자들과 갈등을 빚었다.[47] 1980년대 유고슬라비아는 심각한 재정적 부채에 직면했지만, 미국과의 우호적인 관계 덕분에 부채 감면을 받기도 했다.[48] 1984년 동계 올림픽은 사라예보에서 개최되었으며, 유고슬라비아는 올림픽을 개최한 두 번째 공산주의 국가가 되었다.[48] 1980년대 후반, 유고슬라비아 정부는 시장경제로 전환하려는 시도를 했지만, 안테 마르코비치의 사업은 유고슬라비아 해체로 인해 미완성으로 남았다.[48]
1971년부터 1973년 사이에 전개된 브레즈네프·코시긴 등 소련 수뇌부와 티토 간의 상호 교환 방문과 1977년 소련의 불간섭 원칙의 확인으로 양국 관계가 호전되었으며 1970년대 대서방 접근은 더욱 구체화되었다.[48]
1970년대부터 유고슬라비아의 여러 공화국과 민족 간의 긴장이 고조되었다.[49] 국가 붕괴의 원인은 민족주의, 민족 갈등, 경제적 어려움, 관료주의에 대한 불만 등 다양했다.[49] 특히 민족주의는 유고슬라비아 해체의 주요 원인으로 여겨진다.[49] 1970년대 이후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 정권은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가 이끄는 자유주의적 분권화 민족주의 세력과 세르비아가 이끄는 보수적 중앙집권화 민족주의 세력으로 분열되었다.[50] 1980년대 후반, 베오그라드 엘리트는 코소보 세르비아인과 몬테네그로인의 대규모 시위와 세르비아와 슬로베니아 지식인들의 정치 개혁 요구에 직면했다.[51] 경제적으로도 발전된 지역과 저개발 지역 간의 격차가 심화되어 연방 통합을 악화시켰다.[52]
1987년 공산당 서기장에 오른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대세르비아 민족주의를 주창하면서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촉발되었다.[11] 그는 코소보와 보이보디나의 자치권 축소를 요구하며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의 집권 공산주의 엘리트에 대한 운동을 시작했고, 이는 세르비아인들 사이에서 그를 인기 있게 만들었다.[60][61][62][63] 밀로셰비치는 세르비아 매체를 통해 보이보디나, 코소보, 그리고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정부를 장악했다.[11]
1990년 1월, 슬로베니아 공산주의자 연맹과 크로아티아 공산주의자 연맹 대표단은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연맹 제14차 당대회에서 퇴장하여 유고슬라비아 전역의 당을 해산시켰다.[11] 이후 모든 공화국에서 다당제가 채택되었고, 1990년 다당제 선거에서 전 공산주의자들은 대부분 재선에 실패했다.[11] 크로아티아와 슬로베니아에서는 민족주의 정당이 승리했다.[11] 크로아티아 민주연합(HDZ)은 프라뇨 투지만의 지도 하에 "밀로셰비치로부터 크로아티아를 방어하겠다"고 약속하며 선거에서 승리했다.[11] 크로아티아 세르비아인은 크라이나 세르비아 자치구를 조직하고 세르비아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반란을 일으켰다.[64]
1991년 유고슬라비아의 구성 공화국이었던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북마케도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차례로 분리 독립했다.[11]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는 1991년 6월 25일에 독립을 선포했고, 10일 전쟁이 발발했지만, 브리우니 협정으로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는 독립에 대한 3개월 유예 기간을 갖게 되었다.[68] 피터 캐링턴과 유럽 공동체 회원들과의 협상은 실패했고, 밀로셰비치는 세르비아인들을 4개 공화국으로 나눌 것이라며 이 계획에 동의하기를 거부했다.[68]
플리트비체 호수 사건으로 크로아티아 독립 전쟁이 발발했고, 크라이나 세르비아 자치구는 크로아티아로부터 분리될 것이라고 선포했다.[69] 세르비아 크라이나 공화국(RSK)이 형성되었고, 외국인 혐오증과 민족 증오의 영향은 크로아티아 전쟁 중에 분명해졌다.[69] 유고슬라비아 군대와 세르비아 민병대는 브코바르에서 잔혹 행위를 저질렀다.[71]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는 의회가 민족적 기준에 따라 분열되었고, 라도반 카라지치는 보스니아가 분리될 경우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72] 1991년 11월 국민투표에서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와 공동 국가에 남는 것에 찬성표를 던졌다.[74] 1992년 독립 국민투표는 보스니아 세르비아인들에게 보이콧되었고, 스릅스카 공화국이 선포되었다.[75]
1992년 유고슬라비아 전쟁을 치른 후 남은 공화국인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가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을 결성하면서 구유고슬라비아 연방은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바딘터 위원회는 유고슬라비아가 여러 독립 국가로 해체되었다고 지적했다.[11] 1992년 9월,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은 유엔에서의 ''사실상'' 승계국 지위를 인정받지 못했다.[76] 슬로보단 밀로셰비치의 몰락 이후인 2000년에야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 정부가 유엔 회원 가입을 신청했다.[76]
3. 정치
3. 1. 연방 주체
내부적으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은 6개의 구성국으로 분할되었다. 이들 구성국은 전쟁 기간 중에 형성되기 시작하여 1944년부터 1946년 사이에 형성이 완료되었다.[245] 처음에는 연방주로 지정되었지만, 1946년 첫 헌법이 채택된 후 인민공화국(1946년-1963년)으로, 이후로는 사회주의 공화국(1963년부터)으로 명명되었다. 구성국들은 헌법에 따라 연방 내에서 권리와 의무가 서로 평등한 것으로 정의되었다. 초기에는 일부 연방 단위 내에서 여러 자치 단위를 만드는 계획이 있었으나, 이는 세르비아에서만 보이보디나와 코소보의 두 자치 단위가 만들어졌다. 유고슬라비아는 소비에트 연방에 비해 각 구성국의 자치권이 더 강했다.국가명 | 수도 | 깃발 | 문장 | 위치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 사라예보 | |||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 자그레브 | |||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스코페 | |||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 티토그라드 (포드고리차)[246] | |||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 베오그라드 | |||
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류블랴나 |
3. 2. 헌법
1946년에 채택된 유고슬라비아 헌법은 1953년, 1963년, 1974년에 개정되었다.[77]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은 첫 선거에서 승리하여 국가가 존재하는 동안 권력을 유지했으며, 각 구성 공화국의 개별 공산당으로 구성되었다. 당은 각 공화국의 대표가 참석하여 당 정책 변경에 대해 투표하는 당 대회를 통해 정치적 입장을 개혁했으며, 마지막 대회는 1990년에 열렸다. 연방 의회는 전적으로 공산당원으로 구성되었다. 국가의 주요 정치 지도자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였으며, 1974년 유고슬라비아 종신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78][[File: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a9c3b75_32df0ad0.jpg|thumb|연방 집행 위원회(SIV) 건물]
1980년 티토 사후, 단일 대통령직은 각 공화국의 대표가 본질적으로 각 공화국의 관심사를 다루는 위원회를 구성하고, 그로부터 집단적인 연방 정책 목표와 목적을 실행하는 집단 대통령직으로 나뉘었다. 집단 대통령직의 수장은 공화국 대표들 사이에서 순환되었으며, 유고슬라비아의 국가 원수로 간주되었다. 집단 대통령직은 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됨에 따라 1991년에 종식되었다. 1974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에 대한 주요 개혁이 이루어졌는데, 변경 사항 중에는 세르비아 내부의 논란이 많은 분할로, 그 안에 보이보디나와 코소보라는 두 개의 자치주가 생겨났다. 이들 자치주는 공화국과 동등한 투표권을 가지고 세르비아 의회에 대표를 파견했다.[79]
3. 3. 여성의 권리
1946년 유고슬라비아 헌법은 유고슬라비아 전역에서 가족법을 통일하고, 경제적 권리, 상속, 양육권 및 '사생아' 출산과 관련된 차별 조항을 극복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80] 헌법 제24조는 "여성은 국가, 경제 및 사회 정치 생활의 모든 영역에서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가진다."라고 명시하며 사회에서 여성의 평등을 확인했다.[80]유고슬라비아 여성 반파시스트 전선(AFŽ)은 저항 운동 중 여성의 정치 참여를 위해 설립되었으며, 여성 해방을 위한 사회주의 정책을 시행하는 임무를 맡았다. 특히 가장 낙후된 농촌 지역을 목표로 했다. AFŽ 활동가들은 공식적으로 선포된 권리와 여성의 일상생활 사이의 격차에 직면했다. 1940년대 후반과 1950년대에 지역 AFŽ 지부가 작성한 보고서는 특히 시골 지역 여성들이 직면한 가부장적 지배, 신체적 착취 및 교육 기회 부족의 심각성을 보여준다.[80] AFŽ는 또한 1950년대에 금지될 때까지 온몸과 얼굴을 가리는 전통적인 부르카에 대한 캠페인을 주도했다.[80]
1970년대에 이르러, 여성의 권리가 유고슬라비아 헌법에 명시된 지 30년 만에 유고슬라비아는 급속한 현대화와 도시화 과정을 겪었다. 여성의 읽고 쓰기 능력과 노동 시장 진출은 전례 없는 수준에 도달했고, 전간기와 비교하여 여성 권리의 불평등이 상당히 감소했다. 그러나 완전한 평등은 달성되지 못했다.[80]
3. 4. 외교 정책
티토 시대 유고슬라비아는 냉전에서 비동맹 운동 정책을 채택했다.[81] 비동맹 운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면서 개발도상국과 긴밀한 관계를 발전시켰으며, 미국과 서유럽 국가들과도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81] 이오시프 스탈린은 티토를 배신자로 여기고 공개적으로 비난했다.[81]
유고슬라비아는 제3세계의 반식민주의 운동에 큰 지원을 제공했다. 유고슬라비아 대표단은 알제리 전쟁시기 알제리 국민해방전선의 요구를 유엔에 처음으로 제기한 대표단이었다.[81] 1958년 1월, 프랑스 해군은 반군을 위한 무기로 가득 찬 ''슬로베니아'' 화물선을 오랑 앞바다에서 나포했다.[81] 외교관 다닐로 밀리치는 "티토와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의 주요 핵심 인물들은 제3세계의 해방 투쟁에서 파시스트 점령자에 대한 자신들의 투쟁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을 보았다."고 설명했다.[81]
탈식민화 이후 프랑스 정부가 기니를 불안정하게 만들려고 시도하자 수천 명의 유고슬라비아 군사 고문이 기니로 파견되었다.[81] 티토는 또한 좌익 민족주의 운동을 은밀히 지원하여 포르투갈 식민 제국을 불안정하게 만들었다. 티토는 1961년 벨기에의 지원을 받는 카탕가 분리주의자들에 의한 파트리스 루뭄바의 살해를 "현대사 최대의 범죄"로 여겼다.[81] 유고슬라비아의 군사학교는 티토의 남아프리카 공화국 아파르트헤이트 불안정화 노력의 일환으로 스와포(현대 나미비아)와 아자니아 팬 아프리카 의회의 좌익 활동가들을 훈련시켰다.[81] 1980년,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아르헨티나의 정보 기관은 1,500명의 반공 도시 게릴라를 유고슬라비아로 은밀히 데려오는 것으로 보답하려는 음모를 꾸몄다. 이 작전은 티토를 전복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고, 소련이 올림픽에 집중하여 반응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기간 동안 계획되었다. 이 작전은 결국 티토의 사망과 유고슬라비아군의 경계 수준 상승으로 인해 중단되었다.[81]
1967년 1월 1일, 유고슬라비아는 공산주의 국가로서는 처음으로 모든 외국인에게 무비자 입국을 허용했다.[230] 같은 해 티토는 아랍-이스라엘 분쟁의 평화적 해결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그의 계획은 아랍 국가들이 이스라엘 국가를 인정하는 대신 이스라엘이 획득한 영토를 반환하는 것이었다.[84] 아랍 국가들은 그의 땅 대 평화 개념을 거부했다. 그러나 같은 해 유고슬라비아는 더 이상 이스라엘을 인정하지 않았다. 중립적인 입장에서 유엔 긴급군에도 참가했다.[232]
1968년 소련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이후 티토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 국가들과의 국경에 추가 방어선을 구축했다.[85] 1968년 후반 티토는 체코슬로바키아 지도자 알렉산데르 두브체크에게 3시간 통보만으로 프라하로 날아가 당시 체코슬로바키아를 점령하고 있던 소련에 맞서는데 도움이 필요하면 돕겠다고 제안했다.[86][233]
유고슬라비아는 엔베르 호자의 알바니아에 대해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초기 유고슬라비아-알바니아 관계는 순조로웠고, 알바니아는 유고슬라비아와 공동 시장을 채택했으며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세르보크로아티아어 교육을 의무화했다. 당시 알바니아는 초기 취약한 인프라를 조성하기 위해 유고슬라비아의 경제적 지원에 크게 의존했다. 알바니아인들이 유고슬라비아가 알바니아의 천연자원에 대해 너무 적은 대가를 지불한다고 불평하기 시작하면서 유고슬라비아와 알바니아 사이에 문제가 시작되었다. 그 후 유고슬라비아와 알바니아의 관계는 악화되었다. 1948년 이후 소련은 유고슬라비아에 반대하여 알바니아를 지원했다. 코소보 문제에 있어 유고슬라비아와 알바니아는 모두 민족주의 갈등의 위협을 무력화하려고 시도했고, 호자는 공식적으로 모든 사람들의 국제적 형제애라는 세계 공산주의 이상을 믿었지만, 알바니아 민족주의에 반대했다. 비록 1980년대 몇 차례 알바니아의 여론이 코소보의 알바니아인들을 옹호하는 가운데 유고슬라비아 정부에 반대하여 알바니아인들을 지지하는 선동적인 연설을 했다.
4. 군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SFR 유고슬라비아)의 군대는 유고슬라비아 인민군(Jugoslovenska narodna armija, JNA), 영토방위군(TO), 민방위(CZ) 및 전시의 Milicija(경찰)로 구성되었다.[87] 사회주의 유고슬라비아는 강력한 군대를 유지했으며, 티토 통치하의 유고슬라비아는 소련, 영국, 프랑스에 이어 유럽에서 네 번째로 큰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었다.
JNA는 군대의 주요 조직이었으며 육군, 해군, 공군으로 구성되었다.[87] 군사적으로 유고슬라비아는 자급자족 정책을 추구했다. 중립 및 비동맹 정책으로 인해 군대의 모든 필요를 충족하고 수출까지 할 수 있도록 국내 군수산업 발전에 노력을 기울였다.[87] 대부분의 군사 장비와 부품은 국내에서 생산되었고, 일부는 동구권과 서구권 모두에서 수입되었다. 정규군은 대부분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출신이었다.[87]
유고슬라비아는 번영하는 무기 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라크와 에티오피아와 같은 비동맹 국가에 주로 수출했다.[87] 자스타바 무기(Zastava Arms)와 같은 유고슬라비아 기업들은 라이선스 하에 소련식 무기를 생산했을 뿐만 아니라 경찰 권총부터 비행기까지 다양한 무기를 처음부터 제작했다. 유고슬라비아 전쟁 이전 유고슬라비아의 성공적인 군용 항공기 설계의 한 예로 소콜(SOKO)을 들 수 있다.
각 공화국에는 자체 영토방위군이 있었다.[87] 이들은 1968년 바르샤바 조약에 의한 체코슬로바키아의 프라하의 봄의 잔혹한 종식에 대한 대응으로 "일반 대중 방위"라는 새로운 군사 교리의 틀 안에서 설립되었다.[88] 이는 공화국, 자치주, 지방 자치체 및 지역 사회 수준에서 조직되었다. 그 역할이 주로 방어였기 때문에 정식 장교 훈련 제도가 없었고, 공격 능력이 없었으며 군사 훈련도 거의 없었다.[88]
유고슬라비아가 분열됨에 따라 군대는 민족적 분열을 겪었고, 1991~1992년까지 분리된 국가들이 자체 군대를 형성하면서 세르비아인들이 군대의 거의 전부를 구성하게 되었다.
5. 경제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경제는 1948년 유고슬라비아-소련 결렬 이후 소비에트 연방 및 동구권 국가들과는 다른 독자적인 노선을 걸었다.[89] 기업들은 국영 기업이었지만, 노동자들이 노동자 자치 관리를 통해 집단적으로 관리했다.[89]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유고슬라비아의 기반 시설은 황폐화되었고, 산업 시설도 대부분 손상되거나 파괴되었다.[90] 실업은 유고슬라비아의 만성적인 문제였으며, 1980년대 이전까지는 해외 노동자 파견으로 인해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지 않았다.[91] 1960년대 중반, 유고슬라비아는 이민 제한을 해제했고, 많은 유고슬라비아인들이 서독 등지로 이주했다.[92] 1970년대 초에는 국가 노동력의 20%가 해외에서 일했으며, 이는 외화 획득의 중요한 원천이 되었다.[92]
유고슬라비아는 중립성과 비동맹 운동에서의 주도적인 역할 덕분에 서구와 동구 시장 모두에 수출할 수 있었다. 유고슬라비아 기업들은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에서 여러 인프라 및 산업 프로젝트를 건설했다. 1970년대에는 에드바르트 카르델의 결합노동 이론에 따라 경제가 재편되었는데, 노동자 운영 협동조합의 의사 결정권과 이익 배분에 대한 권리는 노동 투자를 기반으로 했다. 모든 기업은 '결합 노동 조직'으로 전환되었고, 대부분의 경영 의사 결정은 기업을 기반으로 했다. 하지만 실제로는 관리자 임명과 전략적 정책은 종종 정치적, 개인적인 영향력 행사의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개혁에도 불구하고, 급격한 임금-물가 상승, 자본 설비 노후화, 소비재 부족 등의 문제가 발생했으며, 국가의 가난한 남부 지역과 부유한 북부 지역 간의 소득 격차는 여전히 유지되었다.[93] 자치 관리 시스템은 인플레이션을 자극했고, 대규모 국영 기업은 독점 기업으로 운영되었다.[91] 1973년 석유 위기는 경제 문제를 악화시켰고, 정부는 광범위한 외채로 이를 해결하려 했다.[94]
1980년대에 유고슬라비아의 생활 수준은 악화되었고, 실업률과 인플레이션이 급증했다. 1980년대 후반 유고슬라비아의 실업률은 17%를 넘었고, 실질 순 개인 소득은 19.5% 감소했다.[90] 중앙 정부는 자치 관리 시스템을 개혁하고 개방 시장 경제를 만들려고 했지만, 초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93]
유고슬라비아 전쟁과 시장 상실, 잘못된 관리 및 불투명한 민영화는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전 지역의 경제적 어려움을 더욱 심화시켰다. 유고슬라비아의 통화는 유고슬라비아 디나르였다.
1990년 경의 경제 지표는 다음과 같다:[93]
- 인플레이션율(소비자 물가): 2,700% (1989년 추정)
- 실업률: 15% (1989년)
- GNP: 1,295억 달러, 1인당 5,464달러; 실질 성장률 – 1.0% (1989년 추정)
- 예산: 수입 64억 달러; 지출 64억 달러 (1990년)
- 수출: 131억 달러 (1988년); 상품—원자재 및 반제품 50%, 소비재 31%, 자본재 및 장비 19%; 파트너—EC 30%, CEMA 45%, 저개발 국가 14%, 미국 5%, 기타 6%
- 수입: 138억 달러 (1988년); 상품—원자재 및 반제품 79%, 자본재 및 장비 15%, 소비재 6%; 파트너—EC 30%, CEMA 45%, 저개발 국가 14%, 미국 5%, 기타 6%
- 외채: 170억 달러 (1989년)
- 전력: 2,100만 kW 용량; 871억 kWh 생산, 1인당 3,650 kWh (1989년)
'''지역 총생산(GDP)''' ''(1990년, 출처: IMF/World Bank)''
지역 | 경제 | |||
---|---|---|---|---|
지역 | 인구 | GDP (10억 미달러 ) | 1인당 GDP | |
1 | 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1,982,000 | 13,740 | 6,940 |
2 |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 | 4,784,000 | 25,640 | 5,350 |
3 | 보이보디나 사회주의 자치주 | 2,021,000 | 7,660 | 3,790 |
4 | 세르비아 사회주의 공화국 | 5,690,000 | 16,910 | 2,970 |
5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주의 공화국 | 4,364,000 | 10,870 | 2,490 |
6 | 몬테네그로 사회주의 공화국 | 652,000 | 1,520 | 2,330 |
7 |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 2,021,000 | 4,420 | 2,180 |
8 | 코소보 사회주의 자치주 | 1,965,000 | 3,360 | 1,840 |
합계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23,451,000 | 84,120 | 3,587 |
6. 교통
6. 1. 항공 교통

전간기 유고슬라비아의 항공 운송은 민영 기업인 에어로풋(Aeroput)이 담당했지만, 전쟁 중 국유화와 함대 파괴로 인해 전후 운영이 중단되었다.[96] 1944년 12월 28일 경제 재건 위원회는 벨그라드, 자그레브, 류블랴나 등을 포함하는 국가 네트워크를 구상하는 공공 항공 운송 재건 계획을 발표했다.[96]
초기 공공 전세편은 군용기로 운항되었으며, 1945년 10월 6일 벨그라드와 프라하 사이에 최초의 정기 국제 노선이 개설되었다.[96] 초기 공공 함대는 낡은 독일 항공기 4대(융커스 Ju 52)와 1945~46년 프랑스에서 구입한 투칸 4대였다.[96] 1945년 8월 유고슬라비아는 소련 리수노프 Li-2 항공기 11대를 받았지만, 안전성 문제로 사용이 중단되었다.[96] 유고슬라비아는 1946년 미국에서 C-47 항공기 10대를 구매하려 했으나, 당시 소련의 긴밀한 동맹국이었기 때문에 미국의 거부로 벨기에에서 더글러스 DC-3 3대를 구매했다.[96] 이는 1960년대까지 유고슬라비아 공공 함대의 기본 항공기가 되었다.[96] 1947년 4월, 유고슬라비아 국영 공공 항공 운송 회사인 JAT 항공(JAT Airways)이 설립되었다.[96]
티토-스탈린 분열 이후 유고슬라비아는 군사적 중립과 비동맹 정책을 시작했다. JAT 유고슬라비아 항공은 에어로풋을 흡수하여 국영 항공사가 되었고, 운영 기간 동안 함대 규모와 취항지 면에서 유럽 최고의 항공사 중 하나로 성장했다. 함대에는 대부분 서구 제조 항공기가 포함되었으며, 취항지는 5개 대륙에 걸쳐 있었다. 1970년대에는 아비오게넥스(Aviogenex), 아드리아 항공(Adria Airways), 판 아드리아 항공(Pan Adria Airways) 등의 항공사들이 설립되어 성장하는 관광 산업에 집중했다. 수도 벨그라드 공항은 국영 항공사인 JAT 또는 다른 항공사를 통해 전 세계 주요 목적지로 운항하는 지역 허브가 되었다. 벨그라드 외에도 대부분의 국제선은 자그레브 공항을 경유했다. 이 두 공항은 유일한 국제 허브였다. 사라예보, 스코페, 스플리트 또는 류블랴나와 같은 보조 공항은 벨그라드 또는 자그레브를 통해 국제선과 직접 연결되었으며, 두브로브니크, 리예카, 오흐리드, 티바트 등 많은 관광 중심지가 개발되었다.
6. 2. 철도
유고슬라비아의 철도 시스템은 유고슬라비아 철도(Yugoslav Railways)에서 운영하였다.[97]
6. 3. 도로
형제애와 단결 고속도로는 유고슬라비아 도로망의 중심이었으며 총 길이는 약 1,182km에 달했다.[99] 이 고속도로는 북서쪽의 오스트리아 국경 부근 크란스카고라에서 시작하여 류블랴나, 자그레브, 베오그라드, 스코페를 거쳐 남동쪽의 그리스 국경에 있는 게브겔리야까지 이어졌다.[99] 이는 유고슬라비아에서 주요 현대 고속도로로서, 4개의 구성 공화국을 연결했다.[99] 중앙 동유럽 최초의 고속도로였으며, 중앙 유럽과 서유럽을 남동유럽 및 중동과 연결하는 주요 통로였다.[99] 건설은 티토 대통령의 주도로 시작되었다.[99] 유고슬라비아 인민군과 자원봉사자 청년노동운동의 노력으로 건설된 자그레브와 베오그라드 사이 구간은 1950년에 개통되었다.[99] 류블랴나와 자그레브 사이 구간은 5만 4천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8개월도 채 안 되는 기간에 건설했다.[99]6. 4. 해상 및 하천 교통
아드리아해에 넓은 해안선을 가진 유고슬라비아는 스플리트, 리예카, 자다르, 풀라와 같은 여러 대형 항구를 포함하고 있었다.[100] 유고슬라비아 항구와 이탈리아, 그리스의 여러 항구를 연결하는 여객선 서비스가 운영되었다. 강을 고려하면, 다뉴브 강은 유고슬라비아 구간 전체에서 항해가 가능하여 베오그라드, 노비사드, 부코바르 항구를 중앙유럽과 흑해와 연결했다. 사바 강, 드라바 강, 티사 강의 긴 구간도 항해가 가능했다.6. 5. 도시 교통
높은 도시 성장과 함께 유고슬라비아의 도시 교통은 모든 공화국 수도와 주요 도시에서 크게 발전했다. 모든 도시에 시내버스 노선이 있었고, 많은 도시에는 무궤도 전차와 트램도 있었다. 수십 년 동안 계획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벨그라드 지하철은 결코 건설되지 않았고, 벨그라드는 유럽에서 지하철이 없는 유일한 주요 수도가 되었다.[101][102] 대신 벨그라드시 당국은 베오보즈(Beovoz)와 광범위한 트램, 버스, 무궤도 전차 네트워크 개발을 선택했다.수도 벨그라드 외에도 다른 도시들도 트램 네트워크를 개발했다. 유고슬라비아의 도시 철도 교통 인프라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사라예보 트램
- 크로아티아:
- *자그레브 트램 시스템[103]
- *오시예크 트램 시스템[103]
- *두브로브니크 트램 시스템 (1970년까지)[104]
- *리예카 트램 시스템 (1952년까지)[103]
- 세르비아:
- *벨그라드 트램 시스템
- *니슈 트램 시스템 (1958년까지)
- *노비사드 트램 시스템 (1958년까지)[105]
- *수보티차 트램 시스템 (1974년까지)[106]
- 슬로베니아:
- *류블랴나 트램 시스템 (1958년까지)[107]
- *피란 트램 시스템 (1953년까지)
이탈리아 왕국에는 1947년 (사실상 1945년) 유고슬라비아에 할양된 이스트리아 주에 오파티야 트램과 풀라 트램도 있었다.
7. 통신
7. 1. 라디오 및 텔레비전
유럽 방송 연합(European Broadcasting Union)의 창립 회원 중 하나였던 유고슬라비아 라디오 텔레비전(JRT)은 유고슬라비아의 국가 공영 방송 시스템이었다.[108] 이는 6개의 구성 공화국과 2개의 자치주 각각에 본부를 둔 8개의 하위 국가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 센터로 구성되었다.[109] 각 텔레비전 센터는 독자적으로 자체 프로그램을 제작했으며, 일부 센터는 여러 채널을 운영했다. 이러한 하위 국가 방송 센터들은 유고슬라비아 해체 후 이름을 바꾸어 새롭게 독립한 국가들의 공영 방송이 되었다. 자그레브 라디오(Zagreb Radio)는 1926년 5월 15일 방송을 시작하여 동남유럽 최초의 공영 방송 시설이었다.[110] 자그레브 라디오 방송국 설립 30주년인 1956년 5월 15일, 최초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 방송되었다. 이는 유고슬라비아 최초의 TV 방송국이었으며, 1972년에는 컬러 방송국이 되었다. 벨그라드 라디오 텔레비전(RT Belgrade)과 류블랴나 라디오 텔레비전(RT Ljubljana)은 2년 후인 1958년에 텔레비전 프로그램 방송을 시작했다.8. 지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SFRY)은 북서쪽으로 이탈리아, 오스트리아와, 북동쪽으로 헝가리, 동쪽으로 루마니아와 불가리아, 남쪽으로 그리스, 남서쪽으로 알바니아, 서쪽으로 아드리아 해와 접해 있었다.[111] 사회주의 시대에는 역사와 지리 교사들이 유고슬라비아가 "BRIGAMAsh"에 둘러싸여 있다고 가르쳤는데, 이는 세르보크로아티아어로 '걱정'을 의미하는 단어이자 유고슬라비아와 국경을 접한 모든 국가의 약자를 따서 만든 두문자어였다.[111] 이는 쉬운 학습과 유고슬라비아 국민이 과거 이웃 국가들과 가졌던 어려운 관계에 대한 반어적인 상기를 위한 기억술 원리로 사용되었다.[111]
1954년 오시모 조약에 따라 인접한 트리에스테 자유 지역이 해체되면서 1945년부터 유고슬라비아 인민군의 군사 점령하에 있었던 유고슬라비아 지역 B(면적 515.5 km²)는 SFRY의 일부가 되었다.[111] 1991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북마케도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독립국가로 SFRY에서 분리되면서 SFRY의 영토는 해체되었지만, 유고슬라비아 군대는 국가 해체 이전에 크로아티아와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일부를 장악하고 있었다.[111] 1992년에는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 공화국만이 연합에 대한 의지를 유지했고, 그 해에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FRY)을 구성했다.[111]
9. 인구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은 "국민"(narodi)과 "소수 민족"(narodnosti)을 별도로 인정했다.[112] 전자는 구성 남슬라브계 민족들(크로아티아인, 마케도니아인, 몬테네그로인, 무슬림(1971년부터), 세르비아인, 슬로베니아인)을 포함하며, 후자에는 헝가리인, 알바니아인 등 다른 슬라브계와 비슬라브계 민족들이 포함되었다. 총 26개의 상당한 규모의 민족 집단이 유고슬라비아에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국가 전체와 자신을 동일시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유고슬라비아인이라는 민족적 지정도 있었다.[113]
유고슬라비아를 구성하는 6개의 공화국과 각 공화국에 거주하는 주요 민족은 다음과 같다.
- 슬로베니아 - 슬로베니아인
- 크로아티아 -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보스니아인,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 세르비아 - 세르비아인, 알바니아인, 헝가리인, 보스니아인
- * 중앙 세르비아 - 세르비아인, 보스니아인
- * 코소보 - 알바니아인, 세르비아인, 튀르크인, 보스니아인, 몬테네그로인
- * 보이보디나 - 세르비아인, 헝가리인, 슬로바키아인, 루마니아인, 루신인, 크로아티아인
- 몬테네그로 - 몬테네그로인, 보스니아인,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 마케도니아 - 마케도니아인, 알바니아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남서부・몬테네그로 서부(산자크 지방)에는 무슬림이, 세르비아 남부의 코소보 자치주와 마케도니아 공화국 서부에는 알바니아인이, 세르비아 북부의 보이보디나 자치주에는 헝가리인이 많이 거주했으며, 로마인 등도 존재했다.
유고슬라비아는 다양한 민족, 언어, 종교, 문자를 가진 모자이크 국가였다.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그리스, 알바니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었으며,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마케도니아의 6개 공화국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민족으로는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몬테네그로인, 마케도니아인이 있었고, 슬로베니아어, 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 마케도니아어가 사용되었다. 종교는 정교, 가톨릭, 이슬람교가 있었으며, 라틴 문자와 키릴 문자가 사용되었다. 언어학에서는 세르비아어와 크로아티아어의 차이가 작아 하나의 언어(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로 간주하는 경우도 있다.
9. 1. 민족 구성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은 "국민"(narodi)과 "소수 민족"(narodnosti)을 별도로 인정했다.[112] 전자는 구성 남슬라브계 민족들(크로아티아인, 마케도니아인, 몬테네그로인, 무슬림(1971년부터), 세르비아인, 슬로베니아인)을 포함하며, 후자에는 헝가리인, 알바니아인 등 다른 슬라브계와 비슬라브계 민족들이 포함되었다. 총 26개의 상당한 규모의 민족 집단이 유고슬라비아에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국가 전체와 자신을 동일시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유고슬라비아인이라는 민족적 지정도 있었다.[113]
유고슬라비아를 구성하는 6개의 공화국과 각 공화국에 거주하는 주요 민족은 다음과 같다.
- 슬로베니아 - 슬로베니아인
- 크로아티아 -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보스니아인,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 세르비아 - 세르비아인, 알바니아인, 헝가리인, 보스니아인
- * 중앙 세르비아 - 세르비아인, 보스니아인
- * 코소보 - 알바니아인, 세르비아인, 튀르크인, 보스니아인, 몬테네그로인
- * 보이보디나 - 세르비아인, 헝가리인, 슬로바키아인, 루마니아인, 루신인, 크로아티아인
- 몬테네그로 - 몬테네그로인, 보스니아인, 세르비아인, 크로아티아인
- 마케도니아 - 마케도니아인, 알바니아인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남서부・몬테네그로 서부(산자크 지방)에는 무슬림이, 세르비아 남부의 코소보 자치주와 마케도니아 공화국 서부에는 알바니아인이, 세르비아 북부의 보이보디나 자치주에는 헝가리인이 많이 거주했으며, 로마인 등도 존재했다.
유고슬라비아는 다양한 민족, 언어, 종교, 문자를 가진 모자이크 국가였다. 이탈리아, 오스트리아,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그리스, 알바니아와 국경을 접하고 있었으며,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세르비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마케도니아의 6개 공화국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민족으로는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몬테네그로인, 마케도니아인이 있었고, 슬로베니아어, 크로아티아어, 세르비아어, 마케도니아어가 사용되었다. 종교는 정교, 가톨릭, 이슬람교가 있었으며, 라틴 문자와 키릴 문자가 사용되었다. 언어학에서는 세르비아어와 크로아티아어의 차이가 작아 하나의 언어(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로 간주하는 경우도 있다.
9. 2. 언어
유고슬라비아 인구는 주로 세 가지 언어를 사용했는데, 세르보크로아트어, 슬로베니아어, 마케도니아어였다.[114] 세르보크로아트어는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몬테네그로 연방 공화국의 인구가 사용했으며, 1980년대 후반에는 총 1700만 명이 사용했다. 슬로베니아어는 슬로베니아에서 약 200만 명, 마케도니아어는 마케도니아에서 180만 명이 사용했다.[114]소수 민족들도 자체 언어를 사용했는데, 50만 6천 명이 헝가리어(주로 보이보디나), 200만 명이 알바니아어(주로 코소보,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를 사용했다. 터키어, 루마니아어(주로 보이보디나), 이탈리아어(주로 이스트리아 반도와 달마티아 일부)도 소수가 사용했다.[114] 유고슬라비아 알바니아인들은 거의 전적으로 게그어를 사용했지만, 정치적 이유로 토스크어를 기반으로 한 알바니아의 통일 표준어를 주로 사용했다.[115][116]
세 가지 주요 언어는 모두 남슬라브어파에 속하며, 서로 유사하여 대부분 서로 이해할 수 있었다. 지식인들은 대부분 세 가지 언어에 모두 능통했고, 슬로베니아와 마케도니아의 경제적 수준이 낮은 사람들은 연방군 복무 중 세르보크로아트어를 배울 기회를 제공받았다. 세르보크로아트어 자체는 슈토카프어, 카이카프어, 차카프어의 세 가지 방언으로 구성되며, 슈토카프어가 표준 공식 방언으로 사용되었다. 공식 세르보크로아트어(슈토카프어)는 크로아티아어(서부) 변종과 세르비아어(동부) 변종으로 나뉘었으며, 두 변종을 구분하는 사소한 차이점이 있었다.[114]
유고슬라비아에서 사용된 두 가지 문자는 라틴 문자와 키릴 문자였다. 세르보크로아트어는 두 문자 모두 사용하고, 슬로베니아어는 라틴 문자만, 마케도니아어는 키릴 문자만 사용한다. 보스니아어와 크로아티아어 변종은 라틴 문자만을 사용했고, 세르비아어 변종은 라틴 문자와 키릴 문자를 모두 사용했다.[114]
언어학에서는 세르비아어와 크로아티아어의 차이가 작아 하나의 언어(세르비아-크로아티아어)로 간주하는 경우도 있다.
9. 3. 이민
구 유고슬라비아의 적거나 부정적인 인구 증가는 높은 수준의 이민을 반영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국가 해체 이전에도 유고슬라비아는 국제 이주에서 가장 중요한 "이민 보내는 사회" 중 하나였다.[117] 중요한 이민 받는 사회는 스위스였으며, 약 50만 명의 이민자들이 이곳으로 이주했고, 현재 스위스 전체 인구의 6%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1970년대 초에는 100만 명이 넘는 유고슬라비아 시민들이 해외에 거주했으며, 그중 3분의 2는 서독에 거주했고, 그들은 ''가스타르바이터''로 알려져 있었다.[117] 상당수가 오스트리아, 오스트레일리아, 스웨덴 그리고 미국과 캐나다로 이민을 갔다.유고슬라비아 노동자들의 이민은 1963년에 합법화되었는데, 그 이유는 유고슬라비아가 그 이전 2년 동안 경기 침체, 높은 실업률 및 경화 부채 증가를 경험했기 때문이다.[118] 하지만 이 결정의 또 다른 요인은 1950년대 후반부터 이미 광범위하게 발생했던 '관광객'으로 위장하여 해외 취업을 위해 불법으로 국경을 넘는 유고슬라비아인들이 있었기 때문이다. 유고슬라비아 지도부는 대사관, 영사관, 노동조합원 및 정규 노동자들 중에서 그들에게 법률 지원과 사회적 지원을 제공하는 역할을 맡았던 '사회복지사'를 통해 해외 노동자들의 권리를 강화하고 보호하는 데 전념했다.[118]
10. 교육
유고슬라비아는 다른 동남유럽 국가들과 달리, 외세의 도움 없이 독자적으로 국가를 건설했기 때문에 사회·경제 체제뿐만 아니라 교육 면에서도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했다. 1945년 연방 헌법은 교육의 보장, 학교의 공공화, 보통 교육의 무상·의무제, 학교와 교회의 분리 원칙을 명시했다. 그러나 1953년 신연방 헌법은 지방 분권화 원칙을 강화하여, 전반적인 교육 정책 및 법안 입안, 각 공화국의 교육 조정 기능을 제외하고는 각 공화국에 교육 관련 권한을 위임했다. 이는 다른 공산주의 국가들의 민주적 집중제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의무 교육은 7세부터 15세까지 8년 동안 이루어졌으며, 하급 단계는 전과 담당 교원이, 상급 단계는 2~3개 교과 담당 교원이 교육을 담당했다. 중등 교육 단계에는 4년제 보통 중등학교·전문 중등학교, 2년 또는 3년제 견습 학교가 있었다. 중등 교육 과정에서 외국어는 다른 남유럽 국가들과 달리 러시아어가 필수가 아니었고, 프랑스어, 영어, 독일어, 노르웨이어, 이탈리아어 중에서 선택할 수 있었다. 고등 교육 기관으로는 종합 대학이 있었다. 성인 교육에서는 이미 문맹 퇴치 목표를 달성했으며, 노동자의 문화적·기술적 수준 향상을 위한 자발적인 성인 교육 기관인 노동자 대학이 큰 성과를 거두었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시대는 교육 분야에서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루었다.[119]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광범위한 읽기·쓰기 교육을 실시하여 문맹률을 낮추었다.[119] 특히 여성의 문맹률 감소가 두드러졌는데, 1931년 44.6%에서 1981년 9.5%로 감소했다.[119] 1946년 초등학교는 10,666개교였으며, 학생 수는 1975/76학년도에 2,856,453명으로 정점을 찍었다.[119] 1958년에는 8년제 의무 초등 교육이 도입되었다.[119] 1946년부터 1987년까지 고등학교 수는 959개에서 1248개로 증가했고, 고등학교 졸업자 비율은 1953년 6.6%에서 1981년 25.5%로 증가했다.[119] 고등 교육 학위 소지자 비율 또한 1953년 0.6%에서 1981년 5.6%로 크게 증가했다.[119] 전간기 왕국 시대에는 경제와 노동 시장이 유자격 노동자를 수용하지 못했지만, 전후 유고슬라비아 경제는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유자격 노동력 부족에 시달렸다.[119]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건국 이전부터 자그레브 대학교(1669년 설립), 베오그라드 대학교(1808년 설립), 류블랴나 대학교(1919년 설립)가 존재했다.[120] 1945년부터 1992년 사이에는 사라예보 대학교(1949년), 스코페 키릴과 메토디우스 대학교(1949년), 노비사드 대학교(1960년), 니시 대학교(1965년), 프리스티나 대학교(1970년), 베오그라드 예술대학교(1973년), 리예카 대학교(1973년), 스플리트 대학교(1974년), 몬테네그로 대학교(1974년), 바냐루카 대학교(1975년), 마리보르 대학교(1975년), 오시예크 대학교(1975년), 크라구예바츠 대학교(1976년), 투즐라 대학교(1976년), 모스타르 대학교(1977년), 비톨라 대학교(1979년) 등이 설립되었다.[120]
10. 1. 대학교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건국 이전부터 자그레브 대학교(1669년 설립), 베오그라드 대학교(1808년 설립), 류블랴나 대학교(1919년 설립)가 존재했다.[120] 1945년부터 1992년 사이에는 사라예보 대학교(1949년), 스코페 키릴과 메토디우스 대학교(1949년), 노비사드 대학교(1960년), 니시 대학교(1965년), 프리스티나 대학교(1970년), 베오그라드 예술대학교(1973년), 리예카 대학교(1973년), 스플리트 대학교(1974년), 몬테네그로 대학교(1974년), 바냐루카 대학교(1975년), 마리보르 대학교(1975년), 오시예크 대학교(1975년), 크라구예바츠 대학교(1976년), 투즐라 대학교(1976년), 모스타르 대학교(1977년), 비톨라 대학교(1979년) 등이 설립되었다.[120]
11. 예술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붕괴 이전, 유고슬라비아는 현대적인 다문화 사회였다. 형제애와 단결이라는 개념과 공산주의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들의 파시스트와 민족주의자들에 대한 승리를 유고슬라비아 인민의 재탄생으로 기억하는 데 중점을 두었지만,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과는 달리 모든 형태의 예술이 자유롭게 번영했다.[121] SFRY(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에서는 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의 역사가 편재했으며, 유고슬라비아와 추축국 간의 투쟁일 뿐만 아니라 유고슬라비아 내부의 선과 악 사이의 투쟁으로 묘사되었다. 다민족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들은 조작된 "악" 유고슬라비아인들(크로아티아 우스타샤와 세르비아 체트니크들)과 싸우는 "선" 유고슬라비아인들로 묘사되었다.[121] SFRY는 국민들에게 비동맹 운동의 지도자이며 정의롭고 조화로운 마르크스주의 세계를 창조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고 제시되었다.[122]
국가 내 다양한 민족 출신 예술가들은 다른 민족들에게도 인기가 있었고, 유고슬라비아 영화 산업은 1990년대까지 민족주의적인 색채를 피했다.[123] 다른 사회주의 사회와 달리, 유고슬라비아는 지배 정권을 지나치게 비판하지 않는 한 대중 예술과 고전 예술에 관대했기 때문에, 일당 체제임에도 불구하고 자유로운 국가로 여겨졌다.
1990년대 붕괴 이전 유고슬라비아는 다문화주의에 기반한 사회를 형성하고 있었다.[192] 이는 "형제애와 통일"의 개념과, 유고슬라비아 인민을 되살린 파르티잔(Partisan)들의 파시스트와 민족주의자에 대한 승리의 기억에 기인한 것이었다. 유고슬라비아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의 유고슬라비아 역사가 단순히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들의 파시스트에 대한 승리일 뿐만 아니라, 다민족 사회인 유고슬라비아를 해치는 "악"인 민족주의자, 크로아티아인의 우스타샤(Ustaše)와 세르비아인의 체트니크(Četnik)에 대한 유고슬라비아 인민의 "정의"로운 승리로 여겨졌다.[192][234] 유고슬라비아는 자국민에게 자국을 비동맹 국가들의 지도자로 위치지우고, 유고슬라비아가 올바르고, 우호적인 마르크스주의 세계를 만들기 위해 존재한다고 주장했다.[235]
이러한 건국 경위를 가진 유고슬라비아의 문화는, 표현의 자유를 어느 정도 인정한 티토(Tito)의 방침도 더해져 매우 다채로운 것이었다. 유고슬라비아는 사회주의 국가이면서도 서구 문화의 유입을 제한하지 않고, 오히려 적극적으로 자국 문화에 수용해나갔다. 그러나 1980년 티토 사망까지 민족주의나 그것을 조금이라도 연상시키는 표현은 철저히 단속되었기 때문에, 1990년대까지 민족주의적인 표현은 피해왔다.[236]
유고슬라비아의 예술은 소련이나 동유럽 국가들과는 달리 사회주의 리얼리즘 이외의 표현 방식을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허용했으며, 특히 초현실주의를 대표하는 추상적인 전위예술이 나타날 정도로 관용적이었다. 저명한 화가로는 조르제 안드레예비치 쿤(Đorđe Andrejević Kun), 페타르 루바르다(Petar Lubarda), 메르사드 베르베르(Mersad Berber), 밀리치 오드 마치베(Milić od Mačve) 등이 있다. 조각가로는 미국의 뉴욕에 있는 유엔본부 건물 앞에 있는 기념비를 제작한 안툰 아우구스틴치치(Antun Augustinčić)와 후술하는 스포메닉(споменик)들을 디자인 및 제작한 두샨 자모냐 등이 알려져 있다.
==== 문학 ====
수많은 유고슬라비아 작가들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활동을 지지했으며, 그중 가장 저명한 작가로는 블라디미르 나조르, 오톤 주판치치, 마테이 보르, 코초 라친, 카유, 이반 고란 코바치치, 스켄데르 쿨레노비치, 브랑코 초피치 등이 있다.[124] 전쟁 후 몇 년 동안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주된 문학 사조였지만, 이후 훨씬 더 다원적인 태도가 발전했다.[124] 이 기간 동안 유고슬라비아 문학은 각자의 특징과 내적 다양성을 지닌 다양한 지역 문학을 포괄하는 용어로 이해되었다.[124] 유고슬라비아 문학의 가장 중요한 국제적 돌파구는 1961년 이보 안드리치의 노벨 문학상 수상이었다.[124] 이 시대의 다른 저명한 유고슬라비아 작가로는 미로슬라브 크를레자, 메샤 셀리모비치, 마크 디즈다르 등이 있다.
유고슬라비아를 대표하는 작가로는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이보 안드리치를 비롯하여 미로슬라브 크를레자, 메샤 셀리모비치, 브랑코 초피치, 마크 디즈다르 등이 있다.
==== 그래픽 아트 ====
유고슬라비아의 예술은 소련이나 동유럽 국가들과는 달리 사회주의 리얼리즘 이외의 표현 방식을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허용했으며, 특히 초현실주의를 대표하는 추상적인 전위예술이 나타날 정도로 관용적이었다.[125] 주목할 만한 화가로는 조르제 안드레예비치 쿤(Đorđe Andrejević Kun), 페타르 루바르다(Petar Lubarda), 메르사드 베르베르(Mersad Berber), 밀리치 오드 마치베(Milić od Mačve) 등이 있다.[125] 조각가로는 안툰 아우구스틴치치(Antun Augustinčić)가 뉴욕에 있는 유엔본부 건물 앞에 있는 기념비를 제작했고, 두샨 자모냐는 스포메닉(споменик)들을 디자인 및 제작했다.[125]
==== 영화 ====
유고슬라비아 영화는 다닐로 스토이코비치, 무스타파 나다레비치, 바타 지보이노비치, 드라간 니콜리치, 류비샤 사마르지치, 보리스 드보르니크, 밀레나 드라비치, 베킴 페흐미우, 라데 셰르베드지야 등 많은 주목할 만한 배우들을 배출했다.[126][127][128] 감독으로는 에미르 쿠스투리차, 두샨 마카베예프, 고란 마르코비치, 로르단 자프라노비치, 고란 파스칼예비치, 지보이진 파블로비치, 하이루딘 크르바바츠 등이 있다. 많은 유고슬라비아 영화에는 오손 웰스, 세르게이 본다르추크, 프랑코 네로, 율 브리너와 같은 저명한 외국 배우들이 출연했는데, 그중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른 ''네레트바 전투''와 리처드 버튼이 출연한 ''수티예스카''가 있다. 또한, ''켈리의 영웅들'', ''나바론 요새'', ''쾌락의 도가니'', ''소비보르 탈출'' 등 많은 외국 영화가 유고슬라비아에서 촬영되었다.
==== 음악 ====
피아니스트 이보 포고렐리치(Ivo Pogorelić)와 바이올리니스트 스테판 밀렌코비치(Stefan Milenković)는 국제적으로 명성이 높은 클래식 음악 연주가이며, 야코프 고토바츠(Jakov Gotovac)는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다. 보반 마르코비치(Boban Marković)는 재즈 음악가로 명성이 높다. 유고슬라비아 뉴 웨이브(Yugoslav New Wave)는 유고슬라비아의 대중음악을 풍미했으며, 진정성 있는 서브컬처 운동은 뉴 프리미티브스(New Primitives)라고 불렸다. 유고슬라비아는 사회주의 국가 중 유일하게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지속적으로 참가한 국가였으며, 1961년부터 참가한 오랜 참가국이었다 (''유고슬라비아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조''). 대중음악 축제로는 스플리트 페스티벌(Split Festival)이 유명했다. 전통 음악으로 명성이 있는 아티스트로는 타네츠(Tanec) 합창단과 집시 음악의 에스마 레제포바(Esma Redžepova) 등이 있다.
1970년대부터 현지 전통 음악에 UK 록과 팝 음악 등의 요소를 융합한 ''''터보 폴크''''가 등장했고, 터보 폴크를 비롯한 서구 음악 문화를 강하게 반영한 음악이 높은 인기를 얻게 되었다. 1989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는 팝 밴드 리바(Riva)의 '록 미(Rock Me)'가 사회주의 국가로서는 유일하게 우승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이러한 터보 폴크 아티스트들은 특정 민족을 초월하여 많은 사람들의 인기를 얻었으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의 레파 브레나(Lepa Brena)나 같은 국가 사라예보에서 결성된 하드 록 밴드 비엘로 두그메/Bijelo Dugme영어, 체차(Ceca) 등은 현재도 세르비아 등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
유고슬라비아 붕괴 시기인 1990년대에는 터보 폴크에 노골적인 민족주의적인 가사를 담은 공격적인 음악이 증가했고, 로돌류브 로키 블로비치(Rodoljub Roki Vulović)와 바야 몰리 크닌자(Baja Mali Knindža), 마르코 페르코비치(Marko Perković)(일명 톰프슨(M. P. Thompson))처럼 민족 간 갈등을 강하게 부추기는 음악을 만드는 터보 폴크 아티스트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그 후의 유고슬라비아 분쟁 전장에서 그러한 음악을 연주하는 등 병사들의 사기를 크게 높이는 데 기여했다.
==== 전통 음악 ====
대표적인 민속 음악 예술가로는 타네츠 앙상블, 로마 음악 연주자 에스마 레제포바 등이 있다. 유고슬라비아에서 매우 인기 있었고 인접 국가로 수출되었으며 전 세계 유고슬라비아 이민자들 사이에서도 인기 있었던 장르는 나로드나 무지카였다. 슬로베니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민속 음악은 아브세니크 형제(Ansambel bratov Avsenik)와 로이제 슬락이 연주했다. 민속 음악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크게 부상했으며,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소위 노보콤포노바나 무지카 스타일이 등장하여 논란이 많은 터보-포크 스타일로 자리 잡았다. 1980년대 레파 브레나는 유고슬라비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가수이자 4천만 장 이상의 레코드를 판매한 최고의 여성 음반 아티스트가 되었다.[129][130][131] 민속 음악 연주자들은 큰 인기를 누렸고, 타블로이드와 언론에 끊임없이 등장했다. 다양한 장르의 유고슬라비아 음악계는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전통 민속 음악부터 동유럽, 그리고 서유럽에서도 어느 정도 인정받는 록-팝 음악, 그리고 인접 국가로 널리 수출된 터보-포크 음악에 이르기까지 국제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 클래식 음악 ====
피아니스트 이보 포고렐리치와 바이올리니스트 스테판 밀렌코비치는 국제적으로 명성을 얻은 클래식 음악 연주자였으며, 야코브 고토바츠는 저명한 작곡가이자 지휘자였다.
==== 대중 음악 ====
티토-스탈린 분열로 인해 동구권 외부의 많은 국가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유고슬라비아는 상당히 높은 수준의 예술적, 음악적 자유를 누렸다.[132][133][134] 유고슬라비아의 대중음악은 전 세계의 다양한 스타일의 영향을 받았다.[133] 서구 음악의 영향을 받은 대중음악은 동구권 국가들보다 사회적으로 더 잘 받아들여졌으며, 수많은 콘서트, 음악 잡지, 라디오 및 TV 프로그램을 포함한 언론에서도 잘 다루어졌다. 젊은 예술가들은 서유럽의 자본주의 국가들을 여행하여 악기와 장비를 가져올 수 있었다.[133]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유고슬라비아는 유럽에서 가장 낙후된 국가 중 하나였다.[134] 소규모 도시 엘리트 계층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인구는 문맹이었고 음악 교육, 악기 및 라디오에 접근할 수 없었다.[134] 유고슬라비아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유럽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국가 중 하나이기도 했다.[134] 1940년대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은 선전 활동을 포함한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적극적으로 홍보했다.[134] 많은 당 지도자들은 재즈와 같은 서구식 대중음악을 경멸했으며, 이러한 음악은 종종 낙인이 찍히거나 검열되었다.[134] 그러나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지리적 위치 때문에 이 기간 동안 인접한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의 대중음악에 많이 노출되었다.[134] 대신 소비에트 연방에서 수입된 음악이 흔했지만, 공산당 관리들도 이를 경계했고 많은 사람들이 소련 관리들에게 무시당하는 느낌을 받았다.[134]
1948년 유고슬라비아는 코민폼에서 축출되었다.[134] 축출 후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은 더 이상 비선전 대중음악을 억압하는 스탈린주의식 문화 정책을 펼 필요가 없게 되었다.[134] 그러나 1950년대 내내 일부 당 관리들은 서구 국가의 음악에 대해 적대적인 태도를 유지했다.[134] 동구권 밖에서 더 많은 관계를 맺으려고 노력하면서 유고슬라비아는 1950년대 후반 점점 더 개방되었다.[134] 1950년대 유고슬라비아는 많은 유명한 국제 스타들을 환영하고 주최했다.[134]
유고슬라비아의 경제는 1950년대에 급속도로 성장하여 음악을 포함한 소비재에 더 많은 자원을 할당할 수 있게 되었다.[134] 국가 내 라디오 수가 급격히 증가했고 레코드 생산도 증가했다.[134] 여전히 외국 음악을 관용적으로 받아들이면서도 정치 지도자들은 유고슬라비아 고유의 정체성을 구현하는 대중음악을 개발하려고 노력했으며,[134] 많은 사람들이 미국 문화의 영향을 정치적 선전으로 간주했다.[134] 1950년대에는 국내 대중음악 축제와 예술가 협회가 설립되고 홍보되었다.[134] 이 기간 동안 조르제 마르야노비치(Đorđe Marjanović), 가비 노박(Gabi Novak), 마이다 세페(Majda Sepe), 즈덴카 부치코비치(Zdenka Vučković), 비체 부코프(Vice Vukov) 등 많은 유명한 유고슬라비아 예술가들이 등장했다.[134] 이 기간 동안 유고슬라비아는 멕시코와 문화 교류가 활발했는데, 이는 전통 멕시코 요소를 융합한 유-멕스(Yu-Mex)라는 현지 음악 장르의 출현으로 이어졌다.[133] 유고슬라비아 대중음악의 부상은 국가에 의해 받아들여졌고, 해외에서도 적극적으로 홍보되었다.[134] 유고슬라비아는 1961년에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하여 자칭 사회주의, 동유럽 국가이자 주로 슬라브계 국가로서는 유일하게 참가했다.[134] 유고슬라비아는 크로아티아 팝 밴드 리바가 부른 "락 미(Rock Me)"의 공연 이후 1989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우승하여 해체되기 전까지 유일하게 1위를 차지했다.
피아니스트 이보 포고렐리치(Ivo Pogorelić)와 바이올리니스트 스테판 밀렌코비치(Stefan Milenković)는 국제적으로 명성이 높은 클래식 음악 연주가이며, 야코프 고토바츠(Jakov Gotovac)는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다. 보반 마르코비치(Boban Marković)는 재즈 음악가로 명성이 높다. 유고슬라비아 뉴 웨이브(Yugoslav New Wave)는 유고슬라비아의 대중음악을 풍미했으며, 진정성 있는 서브컬처 운동은 뉴 프리미티브스(New Primitives)라고 불렸다. 유고슬라비아는 사회주의 국가 중 유일하게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지속적으로 참가한 국가였으며, 1961년부터 참가한 오랜 참가국이었다 (''유고슬라비아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조''). 대중음악 축제로는 스플리트 페스티벌(Split Festival)이 유명했다. 전통 음악으로 명성이 있는 아티스트로는 타네츠(Tanec) 합창단과 집시 음악의 에스마 레제포바(Esma Redžepova) 등이 있다.
1970년대부터 현지 전통 음악에 UK 록과 팝 음악 등의 요소를 융합한 ''''터보 폴크''''가 등장했고, 터보 폴크를 비롯한 서구 음악 문화를 강하게 반영한 음악이 높은 인기를 얻게 되었다. 1989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는 팝 밴드 리바(Riva)의 '록 미(Rock Me)'가 사회주의 국가로서는 유일하게 우승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이러한 터보 폴크 아티스트들은 특정 민족을 초월하여 많은 사람들의 인기를 얻었으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의 레파 브레나(Lepa Brena)나 같은 국가 사라예보에서 결성된 하드 록 밴드 비엘로 두그메, 체차(Ceca) 등은 현재도 세르비아 등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
유고슬라비아 붕괴 시기인 1990년대에는 터보 폴크에 노골적인 민족주의적인 가사를 담은 공격적인 음악이 증가했고, 로돌류브 로키 블로비치(Rodoljub Roki Vulović)와 바야 몰리 크닌자(Baja Mali Knindža), 마르코 페르코비치(Marko Perković)(일명 톰프슨(M. P. Thompson))처럼 민족 간 갈등을 강하게 부추기는 음악을 만드는 터보 폴크 아티스트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그 후의 유고슬라비아 분쟁 전장에서 그러한 음악을 연주하는 등 병사들의 사기를 크게 높이는 데 기여했다.
==== 건축 유산 ====
유고슬라비아의 도시들은 건축 양식에서 중앙 및 동남유럽의 스타일을 따랐지만,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SFRY) 시대의 가장 큰 특징은 모더니즘 또는 브루탈리즘 건축 양식의 건물과 주거 지역이 건설된 것이다. 이 기간 동안 유고슬라비아 도시들은 크게 확장되었고, 정부는 성장하는 중산층 근로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종종 모더니즘 계획 도시를 건설하는 것을 선택했다. 대표적인 예로 두 대도시의 노비베오그라드와 노비자그레브 주거 지역이 있다.
유고슬라비아 제2차 세계 대전 기념비 및 추모비와 유고슬라비아 인민 영웅 기념비에서 볼수 있듯, 유고슬라비아의 건축은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타린 양식 건물이 거의 없고, 주로 모더니즘 건축, 브루탈리즘, 스트림라인 모던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237] 모더니즘 운동은 192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특히 노비 사드와 스코피에 지진 이후의 스코피에와 같은 계획 도시에서 두드러진다.
그중에서도 특히 모더니즘의 영향이 두드러지는 것은 1950년대부터 국가 프로젝트로 유고슬라비아 전역에 건설된 제2차 세계 대전 기념비 군(일명 '''스포메닉''')이다. 이들은 전쟁 기념 시설로서는 매우 기발하고 독창적인 형태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에도 여러 외국에서 연구 대상이 될 정도로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존재이다.[238] 저명한 건축가로는 보그단 보그다노비치(Bogdan Bogdanović영어) 등이 있다.
11. 1. 문학
수많은 유고슬라비아 작가들이 제2차 세계 대전 중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의 활동을 지지했으며, 그중 가장 저명한 작가로는 블라디미르 나조르, 오톤 주판치치, 마테이 보르, 코초 라친, 카유, 이반 고란 코바치치, 스켄데르 쿨레노비치, 브랑코 초피치 등이 있다.[124] 전쟁 후 몇 년 동안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이 주된 문학 사조였지만, 이후 훨씬 더 다원적인 태도가 발전했다.[124] 이 기간 동안 유고슬라비아 문학은 각자의 특징과 내적 다양성을 지닌 다양한 지역 문학을 포괄하는 용어로 이해되었다.[124] 유고슬라비아 문학의 가장 중요한 국제적 돌파구는 1961년 이보 안드리치의 노벨 문학상 수상이었다.[124] 이 시대의 다른 저명한 유고슬라비아 작가로는 미로슬라브 크를레자, 메샤 셀리모비치, 마크 디즈다르 등이 있다.
유고슬라비아를 대표하는 작가로는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이보 안드리치를 비롯하여 미로슬라브 크를레자, 메샤 셀리모비치, 브랑코 초피치, 마크 디즈다르 등이 있다.
11. 2. 그래픽 아트
유고슬라비아의 예술은 소련이나 동유럽 국가들과는 달리 사회주의 리얼리즘 이외의 표현 방식을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허용했으며, 특히 초현실주의를 대표하는 추상적인 전위예술이 나타날 정도로 관용적이었다.[125] 주목할 만한 화가로는 조르제 안드레예비치 쿤(Đorđe Andrejević Kun), 페타르 루바르다(Petar Lubarda), 메르사드 베르베르(Mersad Berber), 밀리치 오드 마치베(Milić od Mačve) 등이 있다.[125] 조각가로는 안툰 아우구스틴치치(Antun Augustinčić)가 뉴욕에 있는 유엔본부 건물 앞에 있는 기념비를 제작했고, 두샨 자모냐는 스포메닉(споменик)들을 디자인 및 제작했다.[125]11. 3. 영화
유고슬라비아 영화는 다닐로 스토이코비치, 무스타파 나다레비치, 바타 지보이노비치, 드라간 니콜리치, 류비샤 사마르지치, 보리스 드보르니크, 밀레나 드라비치, 베킴 페흐미우, 라데 셰르베드지야 등 많은 주목할 만한 배우들을 배출했다.[126][127][128] 감독으로는 에미르 쿠스투리차, 두샨 마카베예프, 고란 마르코비치, 로르단 자프라노비치, 고란 파스칼예비치, 지보이진 파블로비치, 하이루딘 크르바바츠 등이 있다. 많은 유고슬라비아 영화에는 오손 웰스, 세르게이 본다르추크, 프랑코 네로, 율 브리너와 같은 저명한 외국 배우들이 출연했는데, 그중 아카데미상 후보에 오른 ''네레트바 전투''와 리처드 버튼이 출연한 ''수티예스카''가 있다. 또한, ''켈리의 영웅들'', ''나바론 요새'', ''쾌락의 도가니'', ''소비보르 탈출'' 등 많은 외국 영화가 유고슬라비아에서 촬영되었다.11. 4. 음악
피아니스트 이보 포고렐리치(Ivo Pogorelić)와 바이올리니스트 스테판 밀렌코비치(Stefan Milenković)는 국제적으로 명성이 높은 클래식 음악 연주가이며, 야코프 고토바츠(Jakov Gotovac)는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다. 보반 마르코비치(Boban Marković)는 재즈 음악가로 명성이 높다. 유고슬라비아 뉴 웨이브(Yugoslav New Wave)는 유고슬라비아의 대중음악을 풍미했으며, 진정성 있는 서브컬처 운동은 뉴 프리미티브스(New Primitives)라고 불렸다. 유고슬라비아는 사회주의 국가 중 유일하게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지속적으로 참가한 국가였으며, 1961년부터 참가한 오랜 참가국이었다 (''유고슬라비아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조''). 대중음악 축제로는 스플리트 페스티벌(Split Festival)이 유명했다. 전통 음악으로 명성이 있는 아티스트로는 타네츠(Tanec) 합창단과 집시 음악의 에스마 레제포바(Esma Redžepova) 등이 있다.1970년대부터 현지 전통 음악에 UK 록과 팝 음악 등의 요소를 융합한 ''''터보 폴크''''가 등장했고, 터보 폴크를 비롯한 서구 음악 문화를 강하게 반영한 음악이 높은 인기를 얻게 되었다. 1989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는 팝 밴드 리바(Riva)의 '록 미(Rock Me)'가 사회주의 국가로서는 유일하게 우승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이러한 터보 폴크 아티스트들은 특정 민족을 초월하여 많은 사람들의 인기를 얻었으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의 레파 브레나(Lepa Brena)나 같은 국가 사라예보에서 결성된 하드 록 밴드 비엘로 두그메/Bijelo Dugme영어, 체차(Ceca) 등은 현재도 세르비아 등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
유고슬라비아 붕괴 시기인 1990년대에는 터보 폴크에 노골적인 민족주의적인 가사를 담은 공격적인 음악이 증가했고, 로돌류브 로키 블로비치(Rodoljub Roki Vulović)와 바야 몰리 크닌자(Baja Mali Knindža), 마르코 페르코비치(Marko Perković)(일명 톰프슨(M. P. Thompson))처럼 민족 간 갈등을 강하게 부추기는 음악을 만드는 터보 폴크 아티스트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그 후의 유고슬라비아 분쟁 전장에서 그러한 음악을 연주하는 등 병사들의 사기를 크게 높이는 데 기여했다.
11. 4. 1. 전통 음악
대표적인 민속 음악 예술가로는 타네츠 앙상블, 로마 음악 연주자 에스마 레제포바 등이 있다. 유고슬라비아에서 매우 인기 있었고 인접 국가로 수출되었으며 전 세계 유고슬라비아 이민자들 사이에서도 인기 있었던 장르는 나로드나 무지카였다. 슬로베니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민속 음악은 아브세니크 형제(Ansambel bratov Avsenik)와 로이제 슬락이 연주했다. 민속 음악은 1970년대와 1980년대에 크게 부상했으며, 1980년대와 1990년대에는 소위 노보콤포노바나 무지카 스타일이 등장하여 논란이 많은 터보-포크 스타일로 자리 잡았다. 1980년대 레파 브레나는 유고슬라비아에서 가장 인기 있는 가수이자 4천만 장 이상의 레코드를 판매한 최고의 여성 음반 아티스트가 되었다.[129][130][131] 민속 음악 연주자들은 큰 인기를 누렸고, 타블로이드와 언론에 끊임없이 등장했다. 다양한 장르의 유고슬라비아 음악계는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전통 민속 음악부터 동유럽, 그리고 서유럽에서도 어느 정도 인정받는 록-팝 음악, 그리고 인접 국가로 널리 수출된 터보-포크 음악에 이르기까지 국제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11. 4. 2. 클래식 음악
피아니스트 이보 포고렐리치와 바이올리니스트 스테판 밀렌코비치는 국제적으로 명성을 얻은 클래식 음악 연주자였으며, 야코브 고토바츠는 저명한 작곡가이자 지휘자였다.11. 4. 3. 대중 음악
티토-스탈린 분열로 인해 동구권 외부의 많은 국가들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유고슬라비아는 상당히 높은 수준의 예술적, 음악적 자유를 누렸다.[132][133][134] 유고슬라비아의 대중음악은 전 세계의 다양한 스타일의 영향을 받았다.[133] 서구 음악의 영향을 받은 대중음악은 동구권 국가들보다 사회적으로 더 잘 받아들여졌으며, 수많은 콘서트, 음악 잡지, 라디오 및 TV 프로그램을 포함한 언론에서도 잘 다루어졌다. 젊은 예술가들은 서유럽의 자본주의 국가들을 여행하여 악기와 장비를 가져올 수 있었다.[133]
제2차 세계 대전 이전 유고슬라비아는 유럽에서 가장 낙후된 국가 중 하나였다.[134] 소규모 도시 엘리트 계층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인구는 문맹이었고 음악 교육, 악기 및 라디오에 접근할 수 없었다.[134] 유고슬라비아는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유럽에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국가 중 하나이기도 했다.[134] 1940년대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은 선전 활동을 포함한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적극적으로 홍보했다.[134] 많은 당 지도자들은 재즈와 같은 서구식 대중음악을 경멸했으며, 이러한 음악은 종종 낙인이 찍히거나 검열되었다.[134] 그러나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지리적 위치 때문에 이 기간 동안 인접한 오스트리아와 이탈리아의 대중음악에 많이 노출되었다.[134] 대신 소비에트 연방에서 수입된 음악이 흔했지만, 공산당 관리들도 이를 경계했고 많은 사람들이 소련 관리들에게 무시당하는 느낌을 받았다.[134]
1948년 유고슬라비아는 코민폼에서 축출되었다.[134] 축출 후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은 더 이상 비선전 대중음악을 억압하는 스탈린주의식 문화 정책을 펼 필요가 없게 되었다.[134] 그러나 1950년대 내내 일부 당 관리들은 서구 국가의 음악에 대해 적대적인 태도를 유지했다.[134] 동구권 밖에서 더 많은 관계를 맺으려고 노력하면서 유고슬라비아는 1950년대 후반 점점 더 개방되었다.[134] 1950년대 유고슬라비아는 많은 유명한 국제 스타들을 환영하고 주최했다.[134]
유고슬라비아의 경제는 1950년대에 급속도로 성장하여 음악을 포함한 소비재에 더 많은 자원을 할당할 수 있게 되었다.[134] 국가 내 라디오 수가 급격히 증가했고 레코드 생산도 증가했다.[134] 여전히 외국 음악을 관용적으로 받아들이면서도 정치 지도자들은 유고슬라비아 고유의 정체성을 구현하는 대중음악을 개발하려고 노력했으며,[134] 많은 사람들이 미국 문화의 영향을 정치적 선전으로 간주했다.[134] 1950년대에는 국내 대중음악 축제와 예술가 협회가 설립되고 홍보되었다.[134] 이 기간 동안 조르제 마르야노비치(Đorđe Marjanović), 가비 노박(Gabi Novak), 마이다 세페(Majda Sepe), 즈덴카 부치코비치(Zdenka Vučković), 비체 부코프(Vice Vukov) 등 많은 유명한 유고슬라비아 예술가들이 등장했다.[134] 이 기간 동안 유고슬라비아는 멕시코와 문화 교류가 활발했는데, 이는 전통 멕시코 요소를 융합한 유-멕스(Yu-Mex)라는 현지 음악 장르의 출현으로 이어졌다.[133] 유고슬라비아 대중음악의 부상은 국가에 의해 받아들여졌고, 해외에서도 적극적으로 홍보되었다.[134] 유고슬라비아는 1961년에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참가하여 자칭 사회주의, 동유럽 국가이자 주로 슬라브계 국가로서는 유일하게 참가했다.[134] 유고슬라비아는 크로아티아 팝 밴드 리바가 부른 "락 미(Rock Me)"의 공연 이후 1989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우승하여 해체되기 전까지 유일하게 1위를 차지했다.
피아니스트 이보 포고렐리치(Ivo Pogorelić)와 바이올리니스트 스테판 밀렌코비치(Stefan Milenković)는 국제적으로 명성이 높은 클래식 음악 연주가이며, 야코프 고토바츠(Jakov Gotovac)는 작곡가이자 지휘자이다. 보반 마르코비치(Boban Marković)는 재즈 음악가로 명성이 높다. 유고슬라비아 뉴 웨이브(Yugoslav New Wave)는 유고슬라비아의 대중음악을 풍미했으며, 진정성 있는 서브컬처 운동은 뉴 프리미티브스(New Primitives)라고 불렸다. 유고슬라비아는 사회주의 국가 중 유일하게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 지속적으로 참가한 국가였으며, 1961년부터 참가한 오랜 참가국이었다 (''유고슬라비아의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조''). 대중음악 축제로는 스플리트 페스티벌(Split Festival)이 유명했다. 전통 음악으로 명성이 있는 아티스트로는 타네츠(Tanec) 합창단과 집시 음악의 에스마 레제포바(Esma Redžepova) 등이 있다.
1970년대부터 현지 전통 음악에 UK 록과 팝 음악 등의 요소를 융합한 ''''터보 폴크''''가 등장했고, 터보 폴크를 비롯한 서구 음악 문화를 강하게 반영한 음악이 높은 인기를 얻게 되었다. 1989년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는 팝 밴드 리바(Riva)의 '록 미(Rock Me)'가 사회주의 국가로서는 유일하게 우승하는 쾌거를 달성했다. 이러한 터보 폴크 아티스트들은 특정 민족을 초월하여 많은 사람들의 인기를 얻었으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출신의 레파 브레나(Lepa Brena)나 같은 국가 사라예보에서 결성된 하드 록 밴드 비엘로 두그메, 체차(Ceca) 등은 현재도 세르비아 등에서 매우 인기가 있다.
유고슬라비아 붕괴 시기인 1990년대에는 터보 폴크에 노골적인 민족주의적인 가사를 담은 공격적인 음악이 증가했고, 로돌류브 로키 블로비치(Rodoljub Roki Vulović)와 바야 몰리 크닌자(Baja Mali Knindža), 마르코 페르코비치(Marko Perković)(일명 톰프슨(M. P. Thompson))처럼 민족 간 갈등을 강하게 부추기는 음악을 만드는 터보 폴크 아티스트들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그들은 그 후의 유고슬라비아 분쟁 전장에서 그러한 음악을 연주하는 등 병사들의 사기를 크게 높이는 데 기여했다.
11. 5. 건축 유산
유고슬라비아의 도시들은 건축 양식에서 중앙 및 동남유럽의 스타일을 따랐지만,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SFRY) 시대의 가장 큰 특징은 모더니즘 또는 브루탈리즘 건축 양식의 건물과 주거 지역이 건설된 것이다. 이 기간 동안 유고슬라비아 도시들은 크게 확장되었고, 정부는 성장하는 중산층 근로자들을 수용하기 위해 종종 모더니즘 계획 도시를 건설하는 것을 선택했다. 대표적인 예로 두 대도시의 노비베오그라드와 노비자그레브 주거 지역이 있다.유고슬라비아 제2차 세계 대전 기념비 및 추모비와 유고슬라비아 인민 영웅 기념비에서 볼수 있듯, 유고슬라비아의 건축은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타린 양식 건물이 거의 없고, 주로 모더니즘 건축, 브루탈리즘, 스트림라인 모던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237] 모더니즘 운동은 192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특히 노비 사드와 스코피에 지진 이후의 스코피에와 같은 계획 도시에서 두드러진다.
그중에서도 특히 모더니즘의 영향이 두드러지는 것은 1950년대부터 국가 프로젝트로 유고슬라비아 전역에 건설된 제2차 세계 대전 기념비 군(일명 '''스포메닉''')이다. 이들은 전쟁 기념 시설로서는 매우 기발하고 독창적인 형태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에도 여러 외국에서 연구 대상이 될 정도로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존재이다.[238] 저명한 건축가로는 보그단 보그다노비치(Bogdan Bogdanović영어) 등이 있다.
12. 스포츠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은 특히 축구, 농구, 핸드볼, 수구, 배구와 같은 단체 종목에서 강력한 스포츠 공동체를 발전시켰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에는 여러 강력한 스포츠 사회가 존재했다. 사람들은 축구, 농구, 그리고 1984년 사라예보 동계올림픽에서 열린 동계 스포츠 등에 열광했다.[240]
축구 분야에서는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이 1960년[241]과 1968년[242]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연령별 대회에서는 1978년 UEFA U-21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와 1987년 FIFA U-20 월드컵에서 우승하는 등 축구 강국이었다.[243] 1980년대 후반에는 이비차 오심(이비차 오심/Ivica Osimsh) 감독 지휘 아래 드라간 스토이코비치(Dragan Stojković), 데얀 사비체비치(Dejan Savićević), 로베르토 프로시네치키(Robert Prosinečki), 즈보니미르 보반(Zvonimir Boban), 슬레치코 카타네츠(Srečko Katanec), 달코 판체프(Darko Pančev) 등을 앞세워 1990년 FIFA 월드컵에서 8강전에서 아르헨티나와 승부차기까지 가는 선전을 펼쳤다.[244]
하지만 이때 이미 유고슬라비아의 민족·지역 간 갈등이 격화되었고, 유고슬라비아 해체가 시작되었다. UEFA 유로 1992 예선을 통과했지만, 1991년까지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독립을 선언했다. 본선을 앞둔 1992년 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가 독립을 선언하자, 오심 감독의 고향인 사라예보가 사라예보 포위전을 당했고, 이에 항의하여 오심 감독은 사퇴했다. 남은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로 구성된 유고슬라비아에 대해 유엔은 경제 제재를 결정했고,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은 국제 대회 참가가 금지되었다. 이로써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은 유럽 선수권 대회를 눈앞에 두고 한 경기도 치르지 못한 채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유고슬라비아는 핸드볼 강국이기도 했으며, 유고슬라비아 핸드볼 국가대표팀(Yugoslavia national handball team)은 1986년 세계 남자 핸드볼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했고, 1970년과 1974년 3위, 1982년 2위 등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수구에서도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는데, 유고슬라비아 남자 수구 국가대표팀(en)은 올림픽 수구 종목에서 1968년, 1984년, 1988년 3회 금메달, 1952년, 1956년, 1964년, 1980년 4회 은메달을 획득했고,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수구 종목에서 1986년, 1991년 2회 금메달, 1973년, 1975년 2회 동메달, FINA 월드컵에서는 1987년, 1989년 2회 금메달, 1981년, 1991년 2회 은메달, 1979년 1회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유럽 수구 선수권 대회(European Water Polo Championship)에서도 1991년 금메달을 비롯해 매번 메달을 획득하는 강팀이었다.
12. 1. 축구
유고슬라비아의 축구는 클럽과 국가대표팀 모두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 클럽 레벨에서는 레드 스타 베오그라드가 1990-91년 유러피언컵에서 우승하고[156] 1991년 인터컨티넨탈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157] 레드 스타는 1978-79년 UEFA컵 결승전에 진출했고, 파르티잔은 1965-66년 유러피언컵 결승전에 진출했다.[158] 디나모 자그레브는 1966-67년 인터시티스 페어스컵에서 우승했다.[158] 이외에도 여러 유고슬라비아 클럽들이 미트로파컵과 발칸컵에서 우승했다.국가대표팀인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월드컵에 7번 출전하여 1962년 FIFA 월드컵에서 4위를 기록했다.[159]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는 4번 출전하여 1960년과 1968년에 결승에 진출했으나 각각 소련과 이탈리아에 패했다.[160][161] 유고슬라비아는 UEFA 유로 1976을 개최하기도 했다.[162]
유고슬라비아 올림픽 축구 국가대표팀은 1960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이전 세 번의 올림픽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162] 1984년 올림픽에서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유고슬라비아 U-20 축구 국가대표팀은 1987년 FIFA U-20 월드컵에서 우승했고, 유고슬라비아 U-21 축구 국가대표팀은 1978년 UEFA U-21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고 1990년 대회에서 준우승했다.
유고슬라비아는 라익코 미티치, 스테판 보벡, 드라간 자이치, 데얀 사비체비치, 로베르트 프로시네츠키 등 세계적인 선수들을 배출했다.
12. 2. 농구
축구와 달리 농구는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의 기반 시설이 거의 없었으며, 네보이샤 포포비치(Nebojša Popović), 보라 스탄코비치(Bora Stanković), 라도미르 샤페르(Radomir Šaper), 아차 니콜리치(Aca Nikolić), 란코 제라비차(Ranko Žeravica)와 같은 농구인들의 열정으로 발전하였다. 1948년 유고슬라비아 농구 연맹(KSJ)이 설립되었다.유고슬라비아 농구 국가대표팀은 유로바스켓 1961에서 은메달을 획득하며 첫 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1970,[163] 1978,[164] 1990 FIBA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3회 우승,[165] 1980년 모스크바 올림픽 금메달,[166]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5회 우승하였다.(세 차례 연속 1973, 1975, 1977, 그리고 유로바스켓 1989(EuroBasket 1989)와 유로바스켓 1991(EuroBasket 1991)에서 두 차례 연속 우승)[167][168][169] 1970년 FIBA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을 계기로 농구의 인기가 높아져, 돔 스포르토바(Dom Sportova)(1972), 할라 피오니르(Hala Pionir)(1973), 발데킨 스포츠 홀(1973), 드보라나 믈라도스티(Dvorana Mladosti)(1973), 할라 핑키(Hala Pinki)(1974), 차이르 스포츠 센터(Čair Sports Center)(1974), 할라 예제로(Hala Jezero)(1978), 모라차 스포츠 센터(Morača Sports Center)(1978), 그리페 스포츠 센터(1979) 등 여러 실내 경기장이 건설되었다.
클럽 수준에서는 1945년 1부 리그가 설립되었다. 초기에는 야외에서 경기가 진행되었으나, 1967-68 시즌부터 실내 경기로 전환되었다. 유고슬라비아 클럽들은 유럽 챔피언스컵에서 7번 우승했다—KK 보스나(KK Bosna) (1979년), KK 치보나(KK Cibona) (1985년과 1986년), 유고플라스티카 스플리트(Jugoplastika Split) (1989년, 1990년, 1991년), KK 파르티잔(KK Partizan) (1992년).
라디보이 코라치(Radivoj Korać), 이보 다네우(Ivo Daneu), 크레시미르 초시치(Krešimir Ćosić), 조란 슬라브니치(Zoran Slavnić), 드라젠 달리파기치(Dražen Dalipagić), 드라간 키차노비치(Dragan Kićanović), 미르자 델리바시치(Mirza Delibašić), 드라젠 페트로비치(Dražen Petrović), 블라데 디바츠(Vlade Divac), 디노 라자(Dino Rađa), 토니 쿠코치(Toni Kukoč), 자르코 파스팔(Žarko Paspalj) 등이 주목할 만한 선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Yugoslavia in the late 1980s
https://www.rand.org[...]
2019-01-09
[2]
서적
Understanding Secularism in a Post-Communist State: Case of Serbia
https://www.iclrs.or[...]
[3]
서적
Neighbors at War: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on Yugoslav Ethnicity, Culture, and History
https://books.google[...]
[4]
간행물
Human Development Report 1990
http://hdr.undp.org/[...]
HDRO (Human Development Report Offic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me
1990-01-01
[5]
서적
International Handbook of Reading Educatio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2-01-01
[6]
서적
Yugoslavia: A Multinational Community
https://books.google[...]
Jugoslovenska stvarnost
[7]
서적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A Case Study
https://books.google[...]
Morris Print. Company
[8]
서적
Intergenerational Memory and Language of the Sarajevo Sephardim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9]
서적
Inflation Rate % 1992
http://www.theodora.[...]
CIA Factbook
[10]
서적
Labor Force 1992
http://www.theodora.[...]
CIA Factbook
[11]
서적
Yugoslavia: a Concise History
Palgrave Macmillan
[12]
웹사이트
Proclamation of Constitution of the Federative People's Republic of Yugoslavia
http://www.arhiv.sv.[...]
1946-01-31
[13]
웹사이트
History – World Wars: Partisans: War in the Balkans 1941–1945
https://www.bbc.co.u[...]
BBC
[14]
서적
War and Revolution in Yugoslavia, 1941–1945: Occupation and Collaboration, Volume 2
Stan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Yugoslavia as History: Twice There Was a Coun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서적
Ally Betrayed: The Uncensored Story of Tito and Mihailovich
New York: Prentice Hall
[17]
서적
Tito, Mihailović, and the allies, 1941–1945
Duke University Press
[18]
서적
Party pluralism or monism: social movements and the political system in Yugoslavia, 1944–1949
East European Monographs
[19]
서적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5
Indiana University Press
[20]
서적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1918–2005
Indiana University Press
[21]
서적
Tito, Mihailović, and the allies, 1941–1945
Duke University Press
[22]
서적
Reports of Judgments, Advisory Opinions and Orders
United Nations Publications
[23]
서적
State Succession and Membership i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Legal Theories Versus Political Pragmatism
Brill
[24]
서적
The organization and order of battle of militaries in World War II
https://books.google[...]
Trafford Publishing
[25]
웹사이트
29 November, Yugoslavia: Day of the Republic
http://www.hf.uio.no[...]
2008-08-24
[26]
백과사전
Yugoslavia
Encyclopædia Britannica
[27]
문서
Communist Yugoslavia
[28]
서적
Yugoslavia as History : twice there was a coun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9]
서적
Explaining Yugoslavia
C Hurst & Co Publishers
[30]
웹사이트
Cold War Shootdowns
http://users.skynet.[...]
[31]
학술지
Overstepping the Balkan boundaries: The lesser known history of Yugoslavia's early relations with Asian countries (new evidence from Yugoslav/Serbian archives)
https://www.tandfonl[...]
2011-04-15
[32]
뉴스
Military Assistance Agreement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Yugoslavia, November 14, 1951
http://avalon.law.ya[...]
[33]
웹사이트
Yugoslavia – The Yugoslav-Soviet Rift
http://www.country-d[...]
[34]
간행물
Doctor of Espionage: The Victims of UDBA
Slobodna Bosna
2010-02-04
[35]
서적
Nationalism and Federalism in Yugoslavia 1962–1991
[36]
서적
Nationalism and Federalism in Yugoslavia 1962–1991
[37]
웹사이트
Review of the Study Centre for Jugoslav Affairs
https://books.google[...]
Study Centre for Jugoslav Affairs
1968-01-01
[38]
서적
Nationalism and Federalism in Yugoslavia 1962–1991
[39]
서적
Tito
Hause Publishing
2006
[40]
서적
The Globalisation of Poverty: Impacts of IMF and World Bank Reforms
Zed Books
2006
[41]
뉴스
The Specter of Separatism
https://archive.toda[...]
Time
[42]
뉴스
Yugoslavia: Tito's Daring Experiment
https://archive.toda[...]
Time
1971-08-09
[43]
뉴스
Conspiratorial Croats
http://www.time.com/[...]
Time
1972-06-05
[44]
뉴스
Battle in Bosnia
http://www.time.com/[...]
Time
1972-07-24
[45]
서적
Jugoslavija država koja odumrla
[46]
서적
2004
[47]
서적
Jugoslavija država koja odumrla
[48]
서적
Yugoslavia as History: Twice There Was a Coun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49]
서적
Yugoslavia: a state that withered away
Purdue University Press
2009
[50]
서적
Worldmark Encyclopedia of the Nations: Europe
Gale Group
2001
[51]
서적
Yugoslavia: a state that withered away
Purdue University Press
2009
[52]
서적
Yugoslavia: a state that withered away
Purdue University Press
2009
[53]
서적
Yugoslavia: a state that withered away
Purdue University Press
2009
[54]
서적
Yugoslavia: a state that withered away
Purdue University Press
2009
[55]
서적
Yugoslavia: a state that withered away
Purdue University Press
2009
[56]
서적
Yugoslavia: a state that withered away
Purdue University Press
2009
[57]
서적
Yugoslavia as History
[58]
서적
Yugoslavia: A Concise History
[59]
서적
Yugoslavia as History: Twice There Was a Coun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60]
웹사이트
Milosevic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1999-01-01
[61]
웹사이트
The Serbs sacrifice Milosevic
https://www.chicagot[...]
Chicago Tribune
2001-06-28
[62]
웹사이트
Hubris Brought Fall of Milosevic
https://www.washingt[...]
The Washington Post
2001-06-29
[63]
웹사이트
Why Trump reminds me of Milosevic: Milan Panic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16-06-19
[64]
뉴스
Roads Sealed as Yugoslav Unrest Mounts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1990-08-19
[65]
뉴스
Financial Scandal Rocks Yugoslavia
https://query.nytime[...]
The New York Times
1991-01-10
[66]
간행물
Volitve [Elections]
Statistical Yearbook 2011
2011
[67]
뉴스
Zgodilo se je ... 27. junija [It Happened On ... 27 June]
MMC RTV Slovenia
2005-06-27
[68]
서적
Balkan Tragedy: Chaos & Dissolution after the Cold War
Th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995
[69]
서적
The Disintegration of Yugoslavia From The Death of Tito to the Fall of Milosevic
Westview Press
2002
[70]
웹사이트
Pavlovic: The Siege of Dubrovnik
http://www.yorku.ca/[...]
[71]
뉴스
BBC NEWS – Europe – Two jailed over Croatia massacre
http://news.bbc.co.u[...]
2007-09-27
[72]
문서
Karadzic and Mladic: The Worlds Most Wanted Men – FOCUS Information Agency
[73]
서적
Lukic & Lynch 1996
[74]
서적
The War in Bosnia-Herzegovina: Ethnic Conflict and International Intervention
M.E. Sharpe
[75]
간행물
The Referendum on Independence in Bosnia-Herzegovina: February 29 – March 1, 1992
Commission on Security and Cooperation in Europe (CSCE) (Washington D.C.)
1992-03-12
[76]
서적
United States Practice in International Law: 1999–2001, Volume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77]
저널
Yugoslavia: The Constitution and the Succession
https://www.jstor.or[...]
1978
[78]
뉴스
Tito Is Named President for Life Under New Government Setup
https://www.nytimes.[...]
1974-05-17
[79]
서적
Yugoslavia: A Concise History
https://books.google[...]
Springer
2003
[80]
웹사이트
Women's emancipation in socialist Yugoslavia
https://www.citsee.e[...]
2012-10-24
[81]
웹사이트
Au temps de la Yougoslavie anticoloniale
https://www.monde-di[...]
2018-08
[82]
저널
Yugoslavia's Open-Door Policy and Global Tourism in the 1950s and 1960s
http://journals.sage[...]
Sage Publishing
2015-02
[83]
뉴스
Beyond Dictatorship
http://www.time.com/[...]
Time
1967-01-20
[84]
뉴스
Still a Fever
http://www.time.com/[...]
Time
1967-08-25
[85]
서적
Almost NATO: Partners and Player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Security
Rowman & Littlefield
[86]
뉴스
Back to the Business of Reform
http://www.time.com/[...]
Time
1968-08-16
[87]
서적
Yugoslavia's Bloody Collapse: Causes, Course and Consequences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1997
[88]
서적
The Search for a Cold War Legitimacy: Foreign Policy and Tito's Yugoslavia
https://books.google[...]
BRILL
2018
[89]
저널
Self-Management and the Future of Socialism: Lessons from Yugoslavia
https://www.jstor.or[...]
Guilford Press
[90]
서적
Regime Change in the Yugoslav Successor States: Divergent Paths toward a New Europe
https://books.google[...]
[91]
서적
Regime Change in the Yugoslav Successor States: Divergent Paths toward a New Europe
[92]
웹사이트
Yugoslavia (former) Guest Workers – Flags, Maps, Economy, History, Climate, Natural Resources, Current Issues, International Agreements, Population, Social Statistics, Political System
http://www.photius.c[...]
[93]
웹사이트
Yugoslavia Economy 1990 – Flags, Maps, Economy, Geography, Climate, Natural Resources, Current Issues, International Agreements, Population, Social Statistics, Political System
http://www.theodora.[...]
[94]
서적
Regime Change in the Yugoslav Successor States: Divergent Paths toward a New Europe
[95]
웹사이트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 National Accounts
http://unstats.un.or[...]
[96]
저널
Počeci vazdušnog saobraćaja u posleratnoj Jugoslaviji 1945-1947
[97]
서적
On Railways Far Away
https://books.google[...]
Indiana University Press
2012
[98]
서적
The Past Can't Heal U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0
[99]
뉴스
Nova razstava v Dolenjskem muzeju: Cesta, ki je spremenila Dolenjsko
http://www.park.si/2[...]
2008-11-28
[100]
서적
Yugoslav Foreign Trade Almanac
Yugoslaviapublic
1968
[101]
뉴스
Lightly made promises
http://www.scc.rutge[...]
1997-07-05
[102]
서적
Postcommunist Film - Russia, Eastern Europe and World Culture: Moving Images of Postcommun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
[103]
백과사전
Tramvaj
https://tehnika.lzmk[...]
Miroslav Krleža Institute of Lexicography
2015-11-06
[104]
웹사이트
Dubrovački tramvaj
http://tehnicki-muze[...]
Nikola Tesla Technical Museum
2014-04-16
[105]
웹사이트
History of public transport in Novi Sad
http://www.gspns.co.[...]
[106]
웹사이트
Tramvaj vozio do Palića - Subotičani žale za ukidanjem šina sa ulica
http://www.blic.rs/V[...]
Blic Online
2007-10-30
[107]
웹사이트
Historical Highlights: More than a century of memories and experience
http://www.jhl.si/en[...]
Javni holding Ljubljana [Ljubljana Public Holding]
2012-03-09
[108]
서적
Beyond the Divide: Entangled Histories of Cold War Europe
https://books.google[...]
Berghahn Books
2015
[109]
서적
Made in Yugoslavia: Studies in Popular Music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
[110]
서적
The People, Press, and Politics of Croatia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01
[111]
웹사이트
Riječ u koju stane rečenica
http://www.matica.hr[...]
Matica hrvatska
2015-10-07
[112]
학술지
Fear of becoming minority as a motivator of conflict in the former Yugoslavia
https://journals.ope[...]
2001
[113]
서적
Nationalism and Federalism in Yugoslavia, 1962-1991
Indiana University Press
1992
[114]
서적
Institutions of Advanced Societ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16-11-12
[115]
서적
Serbia: The History Behind the Name
https://books.google[...]
C. Hurst & Co. Publishers
2002-01
[116]
서적
Albanian literature: social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R. Trofenik
[117]
학술지
Yugoslav Gastarbeiter and the Ambivalence of Socialism
https://brill.com/vi[...]
2019
[118]
웹사이트
DEMIG POLICY - Yugoslavia: Determinants of International Migration (DEMIG) POLICY
https://www.migratio[...]
2015-06
[119]
서적
Jugoslavija u istorijskoj perspektivi
Helsinki Federation for Human Rights Serbia
2017
[120]
백과사전
Jugoslavija
Enciklopedija Jugoslavije
[121]
학술지
The Broken Covenant of Tito's People: The Problem of Civil Religion in Communist Yugoslavia
SAGE Publications
2007-11
[122]
문서
[123]
문서
[124]
서적
Jugoslovenski književni leksikon
Matica srpska
1971
[125]
서적
Nonaligned Modernism: Socialist Postcolonial Aesthetics in Yugoslavia, 1945–1985
https://books.google[...]
McGill-Queen's Press
2020
[126]
서적
Variety International Show Business Reference
Garland Publishers
1983
[127]
학술지
Cinema
Ozbor
1982
[128]
서적
A Concise History of Serb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3
[129]
웹사이트
Brena, bre
http://www.vreme.com[...]
Vreme
2011-10-27
[130]
웹사이트
Lepa Brena biografija
http://www.story.rs/[...]
Story
[131]
웹사이트
Vlasnici muzike i stranih priznanja
http://www.blic.rs/V[...]
Blic
2007-12-03
[132]
서적
Rok legende
Data Status
[133]
뉴스
'It was ridiculous. It was amazing': the lost pop of 80s Yugoslavia
https://www.theguard[...]
2021-10-12
[134]
학술지
Generation Number One: Politics and Popular Music in Yugoslavia in the 1950s
https://www.cambridg[...]
2008-11
[135]
서적
Koka-kola socijalizam
Službeni glasnik
[136]
서적
Istorija YU rock muzike od početaka do 1970.
Tabernakl
[137]
Youtube
Strana VI, "Uhvati vetar" Beat u Beogradu 1964-68
https://www.youtube.[...]
2004
[138]
서적
Rok legende
Data Status
[139]
서적
Kako smo propevali: Jugoslavija i njena muzika
Laguna
[140]
서적
Kako smo propevali: Jugoslavija i njena muzika
Laguna
[141]
서적
Rok legende
Data Status
[142]
서적
Rok legende
Data Status
[143]
서적
Kako smo propevali: Jugoslavija i njena muzika
Laguna
[144]
서적
Rok legende
Data Status
[145]
서적
Rok legende
Data Status
[146]
서적
Kako smo propevali: Jugoslavija i njena muzika
Laguna
[147]
서적
Ex YU rock enciklopedija 1960–2023
self-released / Makart
[148]
서적
Kako smo propevali: Jugoslavija i njena muzika
Laguna
[149]
서적
Rok legende
Data Status
[150]
서적
Kako smo propevali: Jugoslavija i njena muzika
Laguna
[151]
Youtube
Rockovnik, "Pogledaj dom svoj, anđele (Jugoslovenska rock scena 1985)"
https://www.youtube.[...]
[152]
서적
Kako smo propevali: Jugoslavija i njena muzika
Laguna
[153]
서적
Kako smo propevali: Jugoslavija i njena muzika
Laguna
[154]
서적
Kako smo propevali: Jugoslavija i njena muzika
Laguna
[155]
서적
Rok legende
Data Status
[156]
웹사이트
Red Star and the immortal triumph of 1991
https://thesefootbal[...]
2015-08-17
[157]
웹사이트
RS Belgrade 3-0 Colo Colo / Intercontinental Cup 1991
https://www.football[...]
[158]
웹사이트
Season 1965-66
http://www.europeanc[...]
[159]
웹사이트
1962 FIFA World Cup Chile ™ - Matches
https://www.fifa.com[...]
[160]
웹사이트
UEFA EURO 1960 - History
https://www.uefa.com[...]
2016-05-11
[161]
웹사이트
UEFA EURO 1968 - History
https://www.uefa.com[...]
2016-05-11
[162]
웹사이트
EURO 1976: all you need to know
https://www.uefa.com[...]
2020-02-14
[163]
웹사이트
The Best of 1970 World Cup: Yugoslavia Claim First Title as Europe's First Host
https://www.fiba.bas[...]
[164]
웹사이트
The Best of 1978 World Cup: Yugoslavia win second title after OT Thriller
https://www.fiba.bas[...]
[165]
웹사이트
The Best of 1990 World Cup: Kukoc, Petrovic, Divac lead Yugoslavia to third title
https://www.fiba.bas[...]
[166]
웹사이트
Cosic-led Yugoslavia had one of greatest runs in international basketball history
https://www.fiba.bas[...]
2020-07-23
[167]
웹사이트
United They Stood
https://vault.si.com[...]
Sports Illustrated
1991-07-08
[168]
웹사이트
The Last Coach of Yugoslavia
https://www.eurohoop[...]
2021-09-16
[169]
웹사이트
The Balkans Boom
https://www.theringe[...]
2023-02-21
[170]
웹사이트
1968 Summer Olympics - The Results (Water polo)
https://www.sport-ol[...]
2019-03-31
[171]
서적
Yugoslavia as History: Twice There Was a Country
[172]
뉴스
Vilas Trounces Gottfried For First Big 4 Victory
https://www.nytimes.[...]
1977-06-06
[173]
웹사이트
Mima Jaušovec ne zna živeti brez tenisa
https://sportklub.n1[...]
2017-06-09
[174]
뉴스
Kodes Vanquishes Franulovic In French Final, 6-2, 6-4, 6-0
https://www.nytimes.[...]
1970-06-07
[175]
뉴스
Nastase Routs Pilic in French Final
https://www.nytimes.[...]
1973-06-06
[176]
서적
Poglavlja iz slovenačke kulture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Belgrade Faculty of Philology
2022-07-15
[177]
웹사이트
Odluka o proglašenju Zakona o potvrđivanju Ugovora o pitanjima sukcesije
https://narodne-novi[...]
Narodne novine
2022-10-02
[178]
웹사이트
Pravo, Jugoslavija i imovina: Dokle se stiglo sa sukcesijom 20 godina od potpisivanja sporazuma
https://www.bbc.com/[...]
BBC
2022-10-02
[179]
웹사이트
European Commission – Enlargement – Candidate and Potential Candidate Countries
http://ec.europa.eu/[...]
Europa web portal
2011-08-26
[180]
서적
Former Yugoslavia: Long Waves of International Migr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81]
서적
Immigration from the Former Yugoslavia: Changing face of North America
Mason Crest Publishers
[182]
서적
Immigration to Switzerland, the case of the former Republic of Yugoslavia
World Bank Publications
[183]
웹사이트
Yugoslav immigration
http://immigration-o[...]
2012-02-11
[184]
웹사이트
Population of BiH in 2011
https://data.worldba[...]
2018-02-20
[185]
문서
The last Yugoslav census in 1991
[186]
뉴스
Yugonostalgia: The Pain of the Present
https://digitalcolle[...]
Macalester College
2023-04-25
[187]
뉴스
Former Yugoslavia patches itself together: Entering the Yugosphere
http://www.economist[...]
2011-11-04
[188]
웹사이트
The 'Yugo-sphere'
http://www.law.ed.ac[...]
The University of Edinburgh School of Law
2012-01-18
[189]
문서
統一されていたセルビア・クロアチア語は、ユーゴスラビア解体以降、セルビア語、クロアチア語、ボスニア語、モンテネグロ語に分かれた。
[190]
서적
東欧を知る事典(新版)
平凡社
2015
[191]
웹사이트
Proclamation of Constitution of the Federative People’s Republic of Yugoslavia, 31. 1. 1946.
http://www.arhiv.sv.[...]
2021-04-12
[192]
서적
引き裂かれた国家―旧ユーゴ地域の民主化と民族問題
有信堂高文社
2003-10-10
[193]
서적
最新図説 現社
浜島書店
[194]
서적
Tito's Yugoslavia
[195]
웹사이트
YouTube - Broadcast Yourself
http://www.youtube.c[...]
2021-04-12
[196]
웹사이트
Cold War Shootdowns
http://users.skynet.[...]
[197]
서적
近代日本総合年表 第四版
岩波書店
2001-11-26
[198]
서적
Tito's Yugoslavia
[199]
서적
Tito's Yugoslavia
[200]
서적
American Foreign Assistance, 1953
[201]
서적
Yugoslavia's Ruin
[202]
서적
Tito
Hause Publishing
[203]
서적
Nationalism and Federalism in Yugoslavia 1962-1991
[204]
서적
Nationalism and Federalism in Yugoslavia 1962-1991
[205]
서적
Nationalism and Federalism in Yugoslavia 1962-1991
[206]
뉴스
The Specter of Separatism
2021-04-12
[207]
뉴스
Yugoslavia: Tito's Daring Experiment
2021-04-12
[208]
뉴스
Conspiratorial Croats
2021-04-12
[209]
뉴스
Battle in Bosnia
2021-04-12
[210]
서적
Death of the Father: An Anthropology of the End in Political Authority
Berghahn Books
[211]
書籍
[212]
書籍
[213]
書籍
Jugoslavija država koja odumrla
[214]
書籍
Yugoslavia as History: Twice there was a Coun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5]
書籍
Yugoslavia's bloody collapse
[216]
書籍
Yugoslavia as History: Twice There Was a Count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7]
ビデオ
Death of Yugoslavia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BBC)
[218]
書籍
The Three Yugoslavias: State-Building and Legitimation
Indiana University Press
[219]
ニュース
Communism O Nationalism!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1988-10-24
[220]
웹サイト
http://query.nytimes[...]
[221]
웹사이트
http://query.nytimes[...]
[222]
ビデオ
Death of Yugoslavia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BBC)
[223]
웹사이트
http://www.un.org/ic[...]
[224]
웹사이트
http://www.yorku.ca/[...]
[225]
웹사이트
http://www.focus-fen[...]
[226]
書籍
Europe from the Balkans to the Urals. The Distintigration of Yugoslavia and the Soviet Union
Oxford University Press
[227]
書籍
[228]
書籍
The War in Bosnia-Herzegovina: Ethnic Conflict and International Intervention
M.E. Sharpe
[229]
書籍
Almost NATO: Partners and Players in Central and Eastern European Security
Rowman & Littlefield
[230]
ニュース
Beyond Dictatorship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1967-01-20
[231]
ニュース
Still a Fever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1967-08-25
[232]
웹사이트
United Nations Photo: Yugoslav General Visits UN Emergency Force
http://www.unmultime[...]
[233]
ニュース
Back to the Business of Reform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1968-08-16
[234]
간행물
The Broken Covenant of Tito's People: The Problem of Civil Religion in Communist Yugoslavia
SAGE Publications
2007-11
[235]
간행물
[236]
書籍
[237]
웹사이트
Modernism and Politics in the Architecture of Socialist Yugoslavia, 1945-1965
https://digital.lib.[...]
University of Washington
2024-09-11
[238]
웹사이트
Spomenik Database {{!}} The Bizarre Shapes of the Spomenik
https://www.spomenik[...]
2024-09-11
[239]
웹사이트
Europa Nostra
https://iege.edu.mk/[...]
2024-09-11
[240]
書籍
Yugoslavia as History: There Twice was a Country
[241]
웹사이트
Delaunay's dream comes true
http://www.uefa.com/[...]
UEFA
2008-01-01
[242]
웹사이트
The Italian job
http://www.uefa.com/[...]
UEFA
2008-01-01
[243]
웹사이트
Chile 1987: Yugoslavian fireworks
http://www.fifa.com/[...]
FIFA
[244]
서적
『オシムの言葉』
集英社文庫
[245]
뉴스
New Power
http://www.time.com/[...]
TIME Magazine
1944-12-04
[246]
문서
現在のポドゴリツァ
[247]
웹사이트
Dinar Inflation Mises Institute
https://mises.org/mi[...]
1999-04-29
[248]
음악
http://www.marxists.[...]
[249]
논문
Understanding Secularism in a Post-Communist State: Case of Serbia
https://www.iclrs.or[...]
2007
[250]
서적
Neighbors at War: Anthropological Perspectives on Yugoslav Ethnicity, Culture, and History
https://books.google[...]
2000
[251]
웹인용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Yugoslavia in the late 1980s
https://www.rand.org[...]
2019-01-09
[252]
웹인용
Human Development Report 1990
http://hdr.undp.org/[...]
유엔 개발 계획 인간 개발 보고서 사무소
2018-11-08
[253]
서적
International Handbook of Reading Education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2-01-01
[254]
서적
Yugoslavia: A Multinational Community
https://books.google[...]
Jugoslovenska stvarnost
2015-10-25
[255]
서적
Economic Growth and Development: A Case Study
https://books.google[...]
Morris Print. Company
2015-10-25
[256]
서적
Intergenerational Memory and Language of the Sarajevo Sephardim
스프링거 국제 출판사
2019
[257]
서적
The Former Yugoslavia's Diverse Peoples: A Reference Sourcebook
ABC-CLIO
2020-10-15
[258]
웹인용
Inflation Rate % - Flags, Maps, Economy, Geography, Climate, Natural Resources, Current Issues, International Agreements, Population, Social Statistics, Political System
https://www.theodora[...]
2021-09-01
[259]
웹인용
Labor Force - Flags, Maps, Economy, Geography, Climate, Natural Resources, Current Issues, International Agreements, Population, Social Statistics, Political System
https://www.theodora[...]
2021-09-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