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한국 집중호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0년 한국 집중호우는 2020년 6월부터 8월까지 대한민국 전역에 걸쳐 발생한 기록적인 호우 사태이다. 6월 강원도 강릉시에 시간당 최대 강수량 기록을 시작으로, 7월에는 전국적으로 피해가 확산되었으며, 특히 부산, 대전, 충청, 전라 지역에 큰 피해를 입혔다. 8월에는 중부 지방에 집중 호우가 쏟아졌고, 댐 방류 문제와 춘천 의암호 선박 전복 사고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수많은 인명 피해와 이재민이 발생했으며, 주택, 공공시설, 공장 등 막대한 시설 피해가 일어났다. 북한 역시 집중호우로 피해를 입었으며, 대한민국 정부는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홍수 관리 기준을 강화하고, 댐 운영의 적절성을 조사하는 등 사후 조치를 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홍수 - 2020년 7월 일본 호우
2020년 7월 일본 호우는 2020년 7월 규슈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기록적인 폭우 사태로, 구마강 범람, 기반 시설 파괴, 인명 피해, 사회적 영향 등을 발생시켰다. - 2020년 홍수 - 2020년 중국 홍수
2020년 중국 홍수는 농경지 감소, 부실한 홍수 관리, 기록적인 폭우, 기후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중국 전역에 광범위한 피해를 발생시킨 심각한 홍수 사태이다. - 2020년 자연재해 - 2020~2021년 남태평양 사이클론
2020~2021년 남태평양 사이클론 시즌은 라니냐 현상으로 평년보다 활발했으며, 우에시, 해럴드, 야사, 아나 등 강력한 사이클론이 발생하여 남태평양 일대에 큰 피해를 입혔고, 특히 사이클론 야사와 아나의 피해가 커 이름이 퇴출되었다. - 2020년 자연재해 - 2020~2021년 오스트레일리아 근해 사이클론
2020년 11월부터 2021년 5월까지 오스트레일리아 근해에서는 라니냐 현상과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 속에 8개의 사이클론과 여러 열대 저기압이 발생하여 동티모르, 인도네시아, 호주 북부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 - 대한민국의 홍수 - 을축년 대홍수
을축년 대홍수는 1925년 한반도 전역에 발생한 대규모 홍수로, 647명이 사망하고 막대한 재산 피해를 입혔으며, 사회적, 학술적 영향을 미쳤다. - 대한민국의 홍수 - 한강홍수통제소
한강홍수통제소는 수도권, 강원도, 일부 충청/경상북도 지역의 홍수와 갈수를 통제·관리하고 예보를 전달하는 환경부 소속 기관으로, 댐 관리, 수문조사, 기술 개발, 통신 시설 관리, 수자원 정보 관리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소장 아래 여러 과와 센터로 구성되어 1974년부터 현재에 이르고 있다.
2020년 한국 집중호우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2020년 한국 집중호우 |
기간 | 2020년 6월 10일 ~ 2020년 9월 13일 |
영향 지역 | 한반도 전체, 특히 남부 대한민국 |
원인 | 장마전선의 정체 |
피해 규모 | |
사망자 | 45명 (잠정적으로 집계중) |
실종자 | 12명 (잠정적) |
부상자 | 7명 (잠정적) |
재산 피해 | 이재민 6,946명, 시설 피해 34,209건 (8월 1일 이후), 농경지 2만 6천여 헥타르 피해 (현재 집계중) |
주택 피해 | 9,491채 파손 |
농경지 침수 | 9,317 헥타르 (2020년 8월 9일 기준) |
2. 경과
2020년 6월부터 한반도 전역에서 대규모 폭우가 발생했다. 이는 2020년 중국 홍수, 2020년 7월 일본 호우와도 관련이 깊다. 7월 말 부산 침수를 시작으로 8월에는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으로 중부지방까지 집중호우와 산사태가 발생했다. 남부지방은 일시적으로 소강상태를 보였으나 8월 7일부터 다시 폭우가 내렸고,[16] 8월 9일 새벽부터는 중부지방으로 비가 집중되었다. 이 비로 인해 수천 건의 시설 피해가 발생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도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발생했다.
이 장마는 대한민국 관측 역사상 가장 늦게 끝난 장마로 기록되었으며,[17] 이전 기록은 1987년 8월 10일이었다.[18] 8월 10일에는 소형 태풍 '장미'가 경상남도 거제시에 상륙했다가 울산광역시 부근에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되어 소멸하였다.[18][19] 이로써 2020년 한반도에서 발생한 집중호우는 역대 최장 기간인 54일을 기록하며 8월 16일에 종료되었다.
7월 말, 강한 비바람이 대한민국 남동부를 강타하여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야기했다.[4] 기상청 관계자는 장마가 제주도에서 6월 10일, 남부와 중부 지방에서는 6월 24일에 시작되었으며, 일반적으로 7월 말에 끝나지만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5]
8월에는 계절성 장마가 지속되면서 대한민국 전역에 홍수가 발생했으며, 특히 남부 지역에서 피해와 사망자가 많았다.[6] 피난민과 지역 관계자들은 코로나19 범유행 상황을 고려하여 비상 대피소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7]
태풍 하구핏과 열대 폭풍 장미가 8월에 한반도에 더 많은 비를 뿌리면서 홍수 피해는 더욱 심해졌다.[8] 2020년 장마는 2013년 이후 두 번째로 긴 장마로 기록되었다.[6]
8월 3일, 북한 국가수문기상국은 북한 남부 및 북서부 지역의 극심한 강우에 대해 적색 경보를 발령했다.[9] 북한은 일반적으로 계절성 홍수에 취약하며,[6] 조선중앙통신은 피해 상황을 보도했지만 사망자는 없었다고 밝혔다.[10]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8월 7일, 황해북도 홍수 피해 지역, 특히 은파군 대청리를 방문했다.[11][12][10] 2020년 늦은 홍수로 인해 북한의 식량 수확에 차질이 발생하고 식량 안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6][10] 금천군 강북리에서는 추가적인 재건 작업이 이루어졌다.[13] 10월에는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이 재령군 삼지강리를 방문하여 재건 노력을 점검했다.[14]
2. 1. 6월: 남부 지방 집중호우
2020년 중국 홍수나 2020년 7월 일본 호우와 관련이 깊다. 6월에는 남부 지방 일부만 피해를 입었다.[16]6월 30일 강원도 강릉시에서는 시간당 50mm가 넘는 물 폭탄이 쏟아졌으며, 이날 220.2mm의 비가 내려 6월 하루 강수량으로는 1911년 기상 관측 시작 이후 가장 많은 비가 내렸다. 이 비의 여파로 20대 남성이 실종되었고, 설악산에도 300mm가 넘는 물폭탄이 쏟아졌다.[28]
2. 2. 7월: 전국적인 피해 확산
7월 말, 강한 비바람이 다시 대한민국 남동부를 강타하여 여러 명이 사망하고 더 많은 피해를 입혔다.[4] 기상청 관계자는 "장마는 제주도에서 6월 10일에 시작되었고, 남부와 중부 지방에서는 6월 24일에 시작되었다. 일반적으로 장마는 7월 말에 끝나지만, 정확한 기간은 지역마다 다르다"라고 말했다.[5]2. 2. 1. 7월 1일~15일: 부산 및 남부 지방 피해
규슈 등 일본의 일부 지역에 일어난 집중호우의 여파로 일본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폭우가 쏟아지면서 토사가 쏟아지고 지하차도가 침수되어 통행이 전면 중단되는 등 저지대 피해가 컸다. 부산광역시에서 집중호우가 심했던 곳은 남구로 132mm의 강수량을 기록했으며, 벡스코 주변 도로 등 몇몇 도로가 침수되었다.[29]이후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전라남도, 전라북도 지역에도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7월 12일에는 부안군 위도에 172mm의 강수량이 기록되었고, 전라북도 전역에 호우 특보가 내려졌다.[30] 대전 갑천, 광주 황룡강에도 홍수주의보가 발령되었고, 대전 코스모스아파트 주변은 물바다가 되었으며 주차된 차량까지 침수 피해를 입었다.[31]
남부지방에 내린 집중호우로 통영시에서는 국도 제14호선의 산비탈 면이 무너지면서 상수관이 파손, 4시간 동안 6,400톤의 흙탕물이 주택가를 덮치는 등 마을에 피해를 입혔다. 통영시에는 7월 12일에서 14일 사이 184.6mm, 시간당 최대 25.1mm의 강우량을 기록했다.[32] 7월 15일부터 21일까지는 소강상태를 보였다.
2. 2. 2. 7월 16일~24일: 수도권 및 전국적인 국지성 호우
중국 대륙으로부터 새로운 비구름이 동쪽으로 유입되면서 수도권에 집중호우가 내렸지만, 비로 인한 큰 피해는 없었다. 그러나 강풍에 의한 피해가 있었다.[33] 7월 20일에는 전라북도 전주시를 중심으로 호우주의보가 발령되었고, 장마전선이 남하하였다.[34]7월 22일에는 지리산을 시작으로 새벽부터 내린 비가 남부 지방으로 확산되었고, 인천광역시 및 경기 남부 등 중서부 일원과 영남 지방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렸다. 합천군 가야면의 가야산에서는 최대 158.0mm, 경주시 산내면에서는 115.0mm의 강우량을 기록하였다.[35]
7월 23일에는 전국적으로 국지적인 집중 호우가 발생하여 수도권, 충청남도, 경상남도, 서해안, 동해안, 남해안, 제주특별자치도 등에 호우특보가 내려졌다. 이와 함께 벼락 및 강풍도 동반되었다. 인천광역시, 홍성군 등 전국 10개의 시군 지역에 산사태 주의보가 발령되었다.[36] 전국 각지에서 도로와 주택 침수, 기물 파손, 토사 붕괴, 하천 범람 등 각종 피해가 잇따랐다.[37] 그날 밤 9시 45분에는 중랑천 수위 상승으로 동부간선도로의 마들지하차도에서 성동교 사이 구간이 교통 통제되기도 하였다.
이 시기에 내린 호우는 서해상에서 발달된 온대 저기압의 영향으로, 2020년 7월 22일에서 24일 사이에 발생된 호우 구름대는 일반적으로 '''원형 비구름대'''를 형성하였다.[38]
부산광역시에서는 대규모 침수 사태가 발생하였고, 동해선 선로 침수로 동해선 광역전철 운행이 중단되었으며,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도 침수되었다. 센텀시티에서는 WBC 더 팰리스 지하주차장에 물이 유입되어 침수되는 등 부산광역시 일원을 중심으로 큰 피해가 발생하였다.
2. 2. 3. 7월 25일~31일: 강원도 및 제주도 중심 호우
7월 25일에는 강원도 북부 산지를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렸다. 미시령(강원도 고성군 토성면)에서는 330mm의 강우량을 기록하는 등, 2019년 강원도 산불로 폐허가 된 마을에 폭우까지 겹쳐져 피해가 더 커졌다.[39] 7월 27일에는 영남 해안과 제주도, 전남 남해안(제주해협)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렸으며,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각봉(오리이동)에서 121.0mm의 강우량을 기록하는 등 제주 일원을 중심으로 100mm 안팎의 강우량을 기록하였다.[40] 7월 28일에는 호남 지역에 호우가 집중되어 화순군에서는 시간당 40mm가 넘는 집중호우가 내렸다.[41] 7월 29일에는 서울, 경기남부, 대전, 호남, 경남 등지를 중심으로 많은 비가 아침까지 계속되었고 시간당 30~50mm의 폭우를 기록했으며, 전라남도 영광군 군서면에는 191.6mm의 비가 내렸다.[42] 7월 30일에는 대전광역시, 계룡시, 논산시, 전라북도 완주군, 익산시 등지에 호우경보가 발효되었고, 충청북도 증평군의 지하차도에서는 물에 잠겨 1명이 구조되기도 하였다.[43][44] 이와는 반대로 대구에서는 호우특보가 폭염 특보로 대체되기도 하는 등 폭우와 폭염이 번갈아 나타났다. 7월 중순, 기상청 관계자는 "장마는 제주도에서 6월 10일에 시작되었고, 남부와 중부 지방에서는 6월 24일에 시작되었다. 일반적으로 장마는 7월 말에 끝나지만, 정확한 기간은 지역마다 다르다"라고 말했다.[5]2. 3. 8월: 중부 지방 집중호우 및 댐 방류 논란
2020년 8월, 북태평양 기단의 영향으로 충청남도, 충청북도 등 호서 지방과 경기도,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강원도 등 중부지방에 집중호우가 발생하여 산사태가 빈번했다. 남부지방은 일시적으로 소강상태를 보였으나, 8월 7일부터 다시 폭우가 내렸고,[16] 8월 9일 새벽부터 중부지방으로 비가 집중되었다.8월 8일, 용담댐의 대규모 방류(초당 2900톤)로 전북 진안군 인삼밭 등 하류 지역이 침수되었다.[62][63][64][65][66] 8월 12일, 피해 지역 지자체장들(충남 금산, 충북 영동, 옥천, 무주 군수 등)은 한국수자원공사의 댐 운영에 책임이 있다며 공동 입장문을 발표했다. 이들은 댐 수위를 미리 낮추지 않고 높은 저수율을 유지하다가 집중호우 시기에 급격히 방류하여 피해를 키웠다고 주장했다. 하류 지역의 누적 강수량은 약 30mm에 불과했지만, 침수 피해는 용담댐의 방류량 조절 실패 때문이라고 지적했다.[62][63][64][65][66] 섬진강댐 역시 방류량 조절 실패로 구례와 하동 등에 침수 피해를 일으켰으며,[67] 합천댐도 수해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었다.[68]
이에 대해 한국수자원공사는 섬진강댐의 경우 홍수 조절 용량(3000만t)을 초과하는 강우에 대비해 1억 1600만t의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했었다고 해명했다. 용담댐 등에 대해서는 방류 장기화에 따른 주민 민원과 기상청의 7월 말 장마 종료 예보로 방류량을 줄였다고 설명했다. 댐 방류량은 하류 및 상류의 홍수 피해, 댐 안전을 모두 고려해야 하며, 기상청 예보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최근 강우 예측이 매우 어려웠다고 호소했다.[69] 환경부 역시 극한 강우와 기상청 예보 오차로 인해 대비가 부족했다고 밝혔다.[69]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섬진강 유역에 7~8일간 전북 남원 429.9mm 등 1년 강우량의 40%가 넘는 폭우(누적 강우량 500년 빈도)가 쏟아졌고, 섬진강 치수 설비(100년 빈도)를 초과했다고 설명했다. 댐 수위가 급상승하여 방류를 결정하고 주민 대피 조치를 했지만, 하류 수위도 높아 범람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70]
2. 3. 1. 8월 1일~5일: 수도권, 강원, 충청 지역 피해
8월 1일 오후부터 수도권, 강원도, 충청권, 군산시 등 전라북도 일부 지역에 많은 비가 내렸다. 강화도에는 120mm의 폭우가 쏟아졌고, 임진강 최북단 필승교의 수위는 1.4m로, 행락객 대피 기준치인 1m를 초과했다. 경기도는 각 하천 주변에 대피 지침을 권고하는 재난 문자를 발송했다.[45]8월 2일에는 충청북도를 중심으로 집중호우가 쏟아졌다. 이날 충주 엄정 224mm, 제천 백운 202mm, 단양 영춘 176mm, 청주 상당 107.5mm, 괴산 청천 101.5mm의 강우량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하천 범람과 산사태가 발생했다.[46] 충북 충주시 산척면에서는 폭우 피해 현장에 출동한 충주소방서 소방대원이 도로 점검 중 급류에 휩쓸려 실종되었다가 사망한 채 발견되었다. 양성면 능암리의 축사에서는 산사태로 인한 가스 폭발 사고로 50대 여성이 사망하는 등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캠핑장, 래프팅 관련 사고도 이어졌고, 평택제천고속도로의 동충주 나들목-제천 나들목 구간이 통제되어 국도 제19호선, 국도 제36호선 등으로 우회해야 했다. 충북선, 태백선 전 구간과 영동선, 중앙선 일부 구간의 열차 운행도 임시 중단되었다.[47][48][49][50] 야영객 166명이 긴급 대피하고, 캠핑장 토사 깔림 사고로 40대가 사망했다.[51] 강원도 횡성군 강림면 월현리에서는 주택이 토사에 덮여 할머니와 손녀가 매몰되었다가 구조되었다.[52] 이날 태풍 하구핏의 수증기가 서해상의 강한 비구름을 만들어 예상보다 많은 비가 내렸고, 장마전선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 북상하면서 청천강, 대동강 유역에 강한 비를 뿌렸다.[53]
8월 3일, 수도권, 강원도, 충청 지역[54]에서 비 피해가 잇따랐다. 특히 경기도 가평군, 안성시, 강원도 춘천시, 충청남도 아산시, 천안시에서 피해가 컸다. 가평군에서는 계곡에서 70대 남성이 급류에 떠내려갔고, 펜션 토사 유출로 펜션 사장 가족 3명이 사망했다. 아산시 탕정면에서는 배수를 위해 맨홀을 다루던 여성 1명이 실종되었다.[55][56] 댐 방류로 한강 수위가 상승하여 잠수교 수위가 8m를 넘었고, 반포한강공원 등 한강 공원들이 물에 잠겨 통제되었다. 올림픽대로, 동부간선도로 등 서울 주요 간선도로도 수위에 따라 통제와 해제가 반복되었다.[57]
8월 4일, 강원도 영서 북부 지역에 집중호우가 발생했다. 철원군 철원읍, 김화읍에 물난리가 발생하여 국도 제5호선, 국도 제43호선이 물에 잠겨 통행이 어려웠다.[58]
8월 5일에는 수도권, 강원도, 충청권에 집중되었던 호우가 호남, 부울경, 제주도로 이동하여 많은 비를 뿌렸지만, 수도권, 강원권의 비 피해는 여전했다.
8월 1일, 강남역 일대에서는 침수 사태가 발생하여 하수 역류와 도로 침수 피해가 컸다.[59] 8월 2일 오후, 전날 물폭탄이 쏟아졌던 강남역 11번 출구 인근 맨홀 뚜껑에 모래주머니가 설치되었다.[60][61]
2. 3. 2. 8월 6일~10일: 댐 방류 논란 및 춘천 의암호 선박 전복 사고
8일 용담댐이 초당 2900톤 가까이 방류하여 전북 진안군 인삼밭 등 하류 지역에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62][63][64][65][66] 12일 피해 지역 지자체장(충남 금산, 충북 영동, 옥천, 무주 군수 등)은 공동 입장문을 통해 댐 운영 주체인 한국수자원공사에 책임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댐 수위를 사전에 낮춰 두지 않고 높은 저수율을 유지하다가 7~8일 사이 집중호우가 지속되자 급격히 방류하여 피해를 일으켰다고 주장했다. 피해를 입은 하류 지역의 누적 강수량은 약 30mm에 불과했지만, 침수 피해는 용담댐의 방류량 조절 실패 때문이라고 보았다.[62][63][64][65][66] 섬진강댐도 방류량 조절에 실패하여 구례와 하동 등에 침수 피해가 발생했다.[67] 이외에도 합천댐[68] 역시 방류량 조절 실패가 수해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이에 대해 한국수자원공사 관계자는 "섬진강댐은 홍수 조절 용량이 3000만t이지만 비가 오기 전에 이미 3배 이상인 1억1600만t의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하는 등 강우에 최선을 다해 대비했다"고 해명했다. 또한 "용담댐 등은 방류가 너무 길어지면 유역 주민들의 민원이 있었고, 7월 말 장마가 종료된다는 기상청 예보가 있었기 때문에 방류량을 줄였다"고 설명했다. 댐 방류량은 하류와 상류의 홍수 피해, 댐 안전 문제를 동시에 고려하여 결정해야 하며, 이를 조절하려면 기상청의 강우 예보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데, 최근 강우 불확실성이 커서 예측이 어렵다고 호소했다.[69] 환경부 관계자도 "비가 극한으로 온 데다가 기상청의 예상 강우량이 실제와 다르고, 또 장마가 끝나는 시점을 7월 말로 예보해 미처 (홍수에) 대비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69] 김동진 환경부 수자원정책국장은 섬진강의 경우 7~8일에만 전북 남원에서 429.9mm의 비가 내렸고, 섬진강 치수 설비는 100년에 한 번 오는 폭우에 대비하도록 설계되었는데 이를 뛰어넘었다고 분석했다. 또한 "섬진강 1년 강우량이 1200mm가량인데 단 며칠 사이 40%가 넘는 양의 폭우가 왔다. 누적 강우량이 500년에 한 번 올 만한 수준"이라며 "긴박하게 댐 수위가 올라가 방류를 결정했고 주민 대피 조치를 했지만 하류도 이미 수위가 올라가 있어 범람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70]
이와 비슷한 시점[71]에는 춘천 의암호에서 선박 전복 사고가 발생하여, 선박에 타고 있던 8명 중 2명만 구조되고 5명이 사망, 1명이 실종되었다.[73][74][75][76][77] 이 사고는 의암호에 있던 수질 개선 및 관광 자원 목적의 인공 수초섬이 폭우로 인한 급류 여파가 의암댐 근처까지 접근하면서 발생했다. 전복된 보트 3척과 보트에 타고 있던 8명이 의암댐 수문으로 빨려 들어갔다.[73][74][75][76][77] 이후 실종자 1명은 경춘대교 부근에서 시신으로 발견되었고,[73][74][75][76][77] 3명도 시신으로 발견되었다.[73][74][75][76][77] 8월 21일[72]에는 인근 청평댐에서 실종자의 시신이 발견되었다.[73][74][75][76][77]
2. 3. 3. 8월 11일~15일: 전국적인 장마 지속 및 특별재난지역 선포
8월 11일에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으로부터 장마전선이 남하하면서 남부 지방에서도 비구름이 형성되어 전국적으로 비가 내렸다. 아침에는 중부, 낮에는 남부 지방을 중심으로 장마 전선이 빠르게 남하하였고, 오후 2시에는 제주도, 남해안, 경상남도 일원을 중심으로 큰 비가 내렸으며, 제주 산지에는 호우 경보가 발령되었다. 북쪽의 중국 대륙이나 시베리아, 몽골 상공에 머무르고 있는 찬 공기가 강력하게 버티고 있었다. 새벽 5시 무렵,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의 해저터널인 인천북항터널 입구 근처에 토사가 유출되어 해당 고속도로의 통행이 통제되었다.[78] 오후 1시경 영종도에서는 마을 골목이 침수되기도 하였다.[79] 8월 12일에는 폭우 피해 없이 폭염으로 대체되었으며, 호우 특보도 완전히 해제되었다.8월 13일에는 집중호우로 큰 피해를 입은 남부 지방 11개 시군 지역에 특별 재난 지역이 선포되었다. 선포된 곳은 다음과 같다.
[80]
같은 날 밤부터 잠수교의 차량 통행이 재개되어 반포대교 상부 데크 등으로 우회해야 하는 불편이 크게 개선되었다.[81] 그러나 보행자 통행은 계속 규제되었다. 오전 10시 30분경, 8월 3일 경기도 북부 지역 집중호우로 실종된 50대 남성 낚시터 관리인이 포천시 관인면 중리 인근 영로대교에서 시신으로 발견되었다.[82] 호우의 여파로 농사가 망쳐지면서 열무와 애호박을 비롯한 채소류 가격이 2배 이상 폭증했다.[83]
8월 14일에는 장마전선이 다시 남하하여 수도권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리며 막바지 장마철에 돌입했고, 8월 15일에는 새벽 2시 이후부터 서울 지역에서 산발적인 소나기가 내렸다. 전날 잠수교에서 보행자 통행 통제가 일시 해제되었다가 수위가 5.72m로 올라가면서 보행자 통행이 다시 규제되었다.[84]
2. 4. 8월 16일 이후: 장마 종료 및 폭염, 코로나19 재확산
8월 16일에는 중부 지방에 걸쳐 54일 동안 지속된 장마가 사실상 종료되었다. 이는 장마가 가장 늦게 끝난 셈으로 오랫동안 지속되어 기상학적으로 많은 숙제를 남긴 전대미문의 기록이기도 하다.[17] 그러나 8월 17일 이후에는 장마 대신 폭염과 더불어 코로나19 대유행과 관련된 이슈가 다시 극성을 부리게 되면서 광복절 관련 집회 및 사랑제일교회발 코로나19 확진 환자 증가 등으로 이어지는 등 집중호우의 후폭풍과도 관련이 깊은 것으로 보인다.3. 주요 피해
7월 말, 강한 비바람이 대한민국 남동부를 강타하여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발생했다.[4] 8월에는 계절성 장마가 계속되면서 대한민국 전역에 홍수가 발생했고, 특히 남부 지역에서 피해가 컸다.[6] 태풍 하구핏과 열대 폭풍 장미의 영향으로 2020년 8월에 한반도에 더 많은 비가 내려 홍수가 심해졌다.[8]
코로나19 범유행 상황에서 피난민과 지역 관계자들은 비상 대피소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7]
한편, 8월 3일 북한 국가수문기상국은 남부 및 북서부 지역에 극심한 강우가 예상된다며 적색 경보를 발령했다.[9] 북한은 계절성 홍수에 취약한 편인데,[6] 조선중앙통신은 피해 상황을 보도했지만 사망자는 없다고 밝혔다.[10]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8월 7일 대한민국과 인접한 황해북도 은파군 대청리 등 홍수 피해 지역을 방문했다.[11][12][10] 2020년 늦은 홍수로 인해 북한의 식량 수확에 차질이 생기고 식량 안보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다.[6][10]
3. 1. 인명 피해
7월 13일 경남 함양에서 배수로 작업을 하던 중 2명이 사망했다.[20] 7월 23일에는 부산 지하차도가 침수되어 3명이 고립되어 사망했고, 7월 24~25일에도 2명이 사망했다.[20] 7월 30일에는 대전의 한 지하차도에서 1명이 사망했다.[20] 8월 1일부터는 31명이 사망했는데, 이 중 16명은 산사태, 7명은 급류로 인해 사망했다. 지역별로는 경기와 전남에서 각각 8명이 사망했다.[21]3. 2. 이재민
이번 홍수로 인해 약 8,143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이는 당시 한국의 코로나19 전체 확진자 (약 4만 명)의 1/5 수준이다.[4] 8월에는 장마가 계속되면서 대한민국 전역에 홍수가 발생했고, 대부분의 피해와 사망자는 남부 지역에서 발생했다.[6] 피난민과 지역 관계자들은 코로나19 범유행 상황을 고려하여 비상 대피소에 대한 우려를 제기하기도 했다.[7]3. 3. 시설 피해
이번 집중호우로 전국적으로 시설 피해가 발생했다. 7월 말 강한 비바람이 대한민국 남동부를 강타하면서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가 잇따랐다.[4] 8월에는 계절성 장마가 계속되면서 대한민국 전역에 홍수가 발생했고, 대부분의 피해와 사망자는 남부 지역에서 발생했다.[6] 태풍 하구핏과 열대 폭풍 장미가 2020년 8월에 한반도에 더 많은 강우량을 쏟아지면서 홍수 피해를 더욱 악화시켰다.[8]8월 3일, 북한 국가수문기상국은 북한 남부 및 북서부 지역의 극심한 강우에 대해 적색 경보를 발령했다.[9] 조선중앙통신은 북한의 피해를 보도했지만 사망자는 없었다.[10]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8월 7일, 대한민국과 인접한 황해북도 은파군 대청리의 홍수 피해 지역을 시찰했다.[11][12][10] 2020년 늦은 홍수가 북한의 식량 수확에 지장을 주고 국가의 식량 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6][10] 금천군 강북리에서 추가적인 재건 작업이 진행되었고,[13] 10월에는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이 재령군 삼지강리의 재건 노력을 시찰했다.[14]
3. 3. 1. 주택 피해
8월 14일 기준으로 34,209건의 주택 피해가 접수되었다.[15] 이 중 복구가 된 곳도 있으나 계속되는 비로 복구 작업이 어려운 곳도 많다. 주택 피해는 주로 산사태와 하천이나 강의 범람으로 인한 침수로 일어났다. 8월 5일부터 둑 붕괴로 3개 마을이 잠기고 5개 마을에 주민 대피령이 발령되었고,[24] 섬진강 제방이 붕괴되어 그 근방에 있는 여러 마을들이 피할 새도 없이 침수되어 500여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으며,[25] 화개장터가 침수되었다.[26]3. 3. 2. 공장 피해
평택시의 한 반도체 관련 생산 부품 전문 제조 공장에서 토사가 유출되어 근로자 3명이 숨지고 1명이 부상당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사고 당시 해당 공장에는 근로자 6명이 근무하고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27]4. 북한 지역 피해
북한은 한반도의 영향으로 피해가 더 심각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북한에서 내린 집중호우는 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평양직할시, 자강도, 개성특급시 등에만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나와 있으며, 거리상 많이 떨어져 있는 관동 지방도 역시 피해가 약간 보고된 적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도 백두산 등 일부 고지대에서는 진눈깨비가 간간이 내리는 경우도 있다.[85]
8월 3일, 북한 국가수문기상국은 북한 남부 및 북서부 지역의 극심한 강우에 대해 적색 경보를 발령했다.[9] 북한의 강우 피해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얻기 어렵지만, 북한은 일반적으로 계절성 홍수에 매우 취약하다.[6] 조선중앙통신은 북한의 피해를 보도했지만 사망자는 없었다.[10]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8월 7일, 대한민국과 인접한 황해북도 은파군 대청리를 시찰한 것으로 알려졌다.[11][12][10] 2020년 늦은 홍수가 북한의 식량 수확에 지장을 주고 국가의 식량 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6][10] 추가적인 재건 작업이 금천군 강북리에서 진행되었다.[13] 그해 10월,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은 재령군 삼지강리를 방문하여 재건 노력을 시찰했다.[14]
5. 사후 조치
2020년 7월 말, 강한 비바람이 대한민국 남동부를 강타하여 여러 명이 사망하고 더 큰 피해를 입혔다.[4] 기상청 관계자는 7월 중순, "장마는 제주도에서 6월 10일에 시작되었고, 남부와 중부 지방에서는 6월 24일에 시작되었다. 일반적으로 장마는 7월 말에 끝나지만, 정확한 기간은 지역마다 다르다"라고 말했다.[5]
8월에는 계절성 장마가 계속되면서 대한민국 전역에 홍수가 발생했고, 대부분의 피해와 사망자는 남부 지역에서 발생했다.[6] 코로나19 범유행 상황을 고려하여, 피난민과 지역 관계자들은 비상 대피소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다.[7] 태풍 하구핏과 열대 폭풍 장미가 2020년 8월에 한반도에 더 많은 강우량을 쏟아지면서 홍수가 악화되었다.[8] 2020년 장마는 2013년 장마 이후 두 번째로 긴 장마로 기록되었다.[6]
8월 3일, 북한 국가수문기상국은 북한 남부 및 북서부 지역의 극심한 강우에 대해 적색 경보를 발령했다.[9] 북한은 일반적으로 계절성 홍수에 매우 취약하지만, 북한의 강우 피해에 대한 정확한 정보는 얻기 어렵다.[6] 조선중앙통신은 북한의 피해를 보도했지만 사망자는 없었다.[10]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8월 7일, 대한민국과 인접한 황해북도 은파군 대청리의 홍수 피해 지역을 시찰한 것으로 알려졌다.[11][12][10] 2020년 늦은 홍수가 북한의 식량 수확에 지장을 주고 국가의 식량 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6][10] 금천군 강북리에서는 추가적인 재건 작업이 진행되었다.[13] 그해 10월, 최룡해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은 재령군 삼지강리를 방문하여 재건 노력을 시찰했다.[14]
5. 1. 기준 강화 및 댐 운영 점검
문재인 정부는 이번 집중호우를 기후위기로 인한 재난으로 보고 홍수관리 기준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환경부는 2020년 8월 18일 기후위기 대응 홍수대책기획단을 출범시켰다. 기획단은 국장급을 단장으로 하며, 댐, 하수도, 홍수예보체계, 물관리계획 등이 미래 홍수 규모에 맞는지 점검한다. 2020년 기준 댐은 200년 빈도, 국가하천은 100~200년, 지방하천은 30~80년 빈도로 설계되어 있다. 조명래 환경부 장관은 이번 홍수가 '500년 빈도 홍수였다'고 언급하며 기준 상향을 예고했다.[86]댐의 홍수기 제한수위, 방류 체계 등 홍수관리 기준이 강화되고, 댐 운영 기준에 하천과의 상호작용도 반영될 예정이다. 환경부는 홍수 피해 지역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피해 지역 및 댐 운영 적절성 조사 등을 실시하기로 하였다.[86]
기준 강화의 필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댐 설계 당시 기준들이 오래되어 2020년 기후변화에 맞지 않아 계획홍수위(홍수 조절을 위해 최고로 담수 가능한 수위)와 홍수기 제한수위(매년 6월 21일부터 9월 20일까지 유지해야 하는 최고 수위)의 차이가 얼마 나지 않는 경우, 집중호우 발생 시 방류 조절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둘째, 과거에 비해 농경 지역이 줄어들어 이수 용량을 줄이고 홍수 조절 용량을 늘릴 수 있지만, 몇몇 댐들은 그렇게 바뀌지 않았기 때문이다.[87]
5. 2. 수해지역 댐 운영 적정성 조사
8월 17일 환경부 장관 조명래는 집중호우 시기 섬진강댐, 용담댐, 합천댐 운영 관리 적정성을 판단하기 위해 '댐 관리 조사 위원회'를 구성하기로 하고 사전 조사에 착수했다고 발표했다. 조사 위원회는 피해 지역 지자체와 학회 등이 추천한 전문가 10-15명으로 구성된다. 사전 조사팀은 댐 운영, 수리 및 수문학 전문가 5명으로 구성했다. 조 장관은 용담댐이 홍수기 제한 수위를 넘겨 운영했다는 지적에 대해 "홍수기 제한 수위는 어디까지나 관리를 위한 수위로, 실제 이 제한 수위를 위반했는지 여부도 중요하지만 그 위반에 의해 하류에 어떤 침수 피해가 나타났는지를 종합적으로 봐서 위반 정도를 판단하려 한다"고 답했다. 8월 12일 '규정을 지켰으나 기상청 예보가 틀려 어쩔 수 없었다'는 수자원 공사의 해명에 대해서는 "지금 상황에서는 수자원공사가 규정을 지켰음에도 하류 지역에 많은 피해가 발생했다"며 "방류량 적정성 여부를 정확히 파악해 원인과 책임 규명을 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조 장관은 "일부 유역에서 500년 빈도의 기록적 강우로 인한 피해가 있었고, 이를 기후 위기로 인한 재난으로 인식한다"며 "이에 대비한 지속 가능한 홍수 관리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88][89]참조
[1]
웹사이트
9일째 이어진 폭우, 사상자 속출…30명 숨지고 12명 실종
https://news.joins.c[...]
JoongAng Ilbo
2020-08-09
[2]
뉴스
2020 monsoon season to start Wednesday.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20-06-23
[3]
뉴스
Busan soaked by sixth-heaviest downpour in two decades.
https://en.yna.co.kr[...]
Yonhap News Agency
2020-07-10
[4]
뉴스
Heavy downpours pummel S. Korea, unleash flash floods, leave 4 dead or missing.
http://www.koreahera[...]
The Korea Herald
2020-07-24
[5]
뉴스
Southern South Korea hit by devastating downpours.
https://en.yna.co.kr[...]
Yonhap News Agency
2020-07-13
[6]
뉴스
South Korea floods, landslides kill 26 as heavy rains continue.
https://www.channeln[...]
Channel News Asia
2020-08-08
[7]
뉴스
COVID-19 complicates South Korea flood response as hundreds gather in shelters.
https://www.channeln[...]
Channel News Asia
2020-08-05
[8]
웹사이트
South Korea floods, landslides kill dozens, displace thousands
https://www.aljazeer[...]
2020-08-09
[9]
뉴스
North Korea issues red alert over heavy rains and alludes to possible flooding.
https://www.nknews.o[...]
[10]
뉴스
Food supply a concern amid N. Korea floods.
https://www.thestar.[...]
The Star
2020-08-08
[11]
웹사이트
North Korea's Kim inspects reconstruction in flood-hit area: KCNA
https://www.channeln[...]
2020-09-15
[12]
웹사이트
N. Korea moves to cleanup monsoon damage across grain-producing regions
https://www.dailynk.[...]
2020-09-07
[13]
웹사이트
KJU Visits Kimhwa County
http://www.nkleaders[...]
2020-10-23
[14]
웹사이트
CRH Visits Hwanghae Provinces
http://www.nkleaders[...]
2020-09-28
[15]
뉴스
집중호우피해 복구율 87.1%, 서울·경기·강원 영서에 호우특보...KBS NEWS
http://news.kbs.co.k[...]
[16]
뉴스
낙동강 구포대교 홍수주의보...부산 곳곳 침수, 붕괴 잇따라...KBS NEWS
http://news.kbs.co.k[...]
[17]
뉴스
사상 처음 51일째 장마…기상이변 우려 커져
https://www.yna.co.k[...]
2020-08-14
[18]
뉴스
올해 장마 가장 늦게 끝난 해…태풍 서귀포 동쪽 해상 지나... 연합뉴스
https://www.yna.co.k[...]
[19]
웹인용
태풍 장미
https://typ.kma.go.k[...]
2020-08-14
[20]
뉴스
집중호우로 5명 사망·9명 부상…이재민 80여명 발생
http://news.kbs.co.k[...]
[21]
뉴스
사망·실종 42명…태풍 피해 대비해야...KBS NEWS
http://news.kbs.co.k[...]
[22]
뉴스
서울 곳곳 막혔다…올림픽대로·강변북로 등 교통통제 출처 : SBS 뉴스
https://news.sbs.co.[...]
[23]
뉴스
잠수교 수위 낮아져 "청소 중"…한강공원 5곳 개방...MBC뉴스
https://imnews.imbc.[...]
[24]
뉴스
둑 붕괴로 3개 마을 완전 침수…이 시각 철원...KBS NEWS
http://news.kbs.co.k[...]
[25]
뉴스
섬진강 제방 붕괴…전북 남원 침수 마을 현장...KBS NEWS
http://news.kbs.co.k[...]
[26]
뉴스
섬진강·영산강 범람 위험…시청자 제보로 본 비 피해 현장...KBS NEWS
http://news.kbs.co.k[...]
[27]
뉴스
평택 공장에 토사 덮쳐 3명 사망·1명 중상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20-08-15
[28]
뉴스
강릉 '220mm 물폭탄'에 잠기고 와르르…전국 덮친 비 피해
https://news.naver.c[...]
SBS
2020-08-15
[29]
뉴스
도로침수·교통통제…호우경보 부산 피해 속출
https://news.naver.c[...]
뉴시스
2020-08-15
[30]
뉴스
전북 전지역 호우특보…오전까지 강하고 많은 비
https://news.naver.c[...]
뉴시스
2020-08-15
[31]
뉴스
최대 3백mm '물 폭탄'…휩쓸리고 무너지고
https://imnews.imbc.[...]
MBC
2020-08-15
[32]
뉴스
주택가 덮친 6,400톤 흙탕물…"엄청난 소리에 잠 깨"
https://imnews.imbc.[...]
MBC
2020-08-15
[33]
뉴스
대전·충남 밤사이 20mm 미만 비..충남은 강풍 피해 발생
https://news.v.daum.[...]
뉴스1
2020-08-19
[34]
뉴스
"[날씨] 전북에 호우주의보...장마전선 남하, 오후 비 그쳐"
https://news.naver.c[...]
YTN
2020-08-19
[35]
뉴스
시간당 50mm 호우…상수도관 터져 수돗물도 중단
https://imnews.imbc.[...]
문화방송
2020-08-19
[36]
뉴스
서울·경기 '호우주의보'…강원 영동에 '400mm' 물폭탄
https://imnews.imbc.[...]
MBC
2020-08-19
[37]
뉴스
전국 강풍·폭우에 5명 사망·4명 부상…이재민 217명(종합)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8-19
[38]
뉴스
수도권·부산 등 곳곳에 물폭탄…동부간선도로 전면 통제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20-08-19
[39]
뉴스
사흘간 전국 휩쓴 물폭탄…14명 사상 · 349곳 침수
https://news.v.daum.[...]
SBS
2020-08-19
[40]
뉴스
부산 또 최고 200mm…내일까지 남부 '집중호우'
https://imnews.imbc.[...]
MBC
2020-08-19
[41]
뉴스
광주·전남 시간당 20mm 강한 비
http://news.kbs.co.k[...]
KBS
2020-08-19
[42]
뉴스
"순식간에 콸콸…" 도로 잠기고 주택가 덮치고
https://news.naver.c[...]
MBC
2020-08-19
[43]
뉴스
증평 지하차도 침수 긴박했던 30분.. 운전자 구조
https://news.v.daum.[...]
뉴시스
2020-08-19
[44]
뉴스
완주에 시간당 100.4mm '물폭탄'..산사태로 이재민 발생
https://news.v.daum.[...]
뉴시스
2020-08-19
[45]
뉴스
높아진 임진강 수위에 대피령..파주·연천 호우 경보
https://news.v.daum.[...]
YTN
2020-08-21
[46]
뉴스
충북 북부 244mm 폭우..충주 엄정 주민 120명 긴급대피(종합)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20-08-21
[47]
뉴스
충주 도로유실 현장 출동 소방관 실종…"수색 중"(종합)
https://news.naver.c[...]
뉴스1
2020-08-21
[48]
뉴스
단양서 일가족 3명 실종…"급류 휩쓸린 노모와 딸 부부"(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0-08-21
[49]
뉴스
"저수지 둑 터지자 7천t 물 와르르"..충주 직동마을 '쑥대밭'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20-08-21
[50]
뉴스
충북도청 "평택제천간 고속도로, 동충주IC~제천IC 구간 통행불가"
http://www.ccreview.[...]
충청리뷰
2020-08-21
[51]
뉴스
제천 캠핑장서 40대 토사에 깔려 숨져..야영객 166명 대피
https://news.v.daum.[...]
뉴스1
2020-08-21
[52]
뉴스
토사 주택 덮치고 철도 끊기고..200mm 폭우 강원 영서 '물난리'(종합2보)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20-08-21
[53]
뉴스
북한 “장마전선, 8월 상순 전국에 영향…폭우 대책 철저히”
https://news.kbs.co.[...]
KBS
2020-08-21
[54]
문서
[55]
뉴스
가평 대성리 계곡물 휩쓸려 실종된 70대 남성 숨진채 발견
https://imnews.imbc.[...]
MBC
2020-08-21
[56]
뉴스
'일가족 참변' 가평 펜션 직원 소재 확인…"전날밤 외출"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8-21
[57]
뉴스
물에 잠긴 한강공원들…이 시각 잠수교 수위는?
http://news.jtbc.joi[...]
JTBC
2020-08-21
[58]
뉴스
영월·정선 등 강원 남부 강한 비..시간당 최대 80mm(종합)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20-08-21
[59]
뉴스
강남역 또 물난리…하수 역류하고 도로 일부 침수
http://www.wowtv.co.[...]
한국경제TV
2020-08-21
[60]
뉴스
'상습 침수' 강남역 맨홀 뚜껑 옆 모래주머니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0-08-21
[61]
뉴스
“강남역 맨홀이 분수처럼 변해” 서울 강남역 물난리
https://news.naver.c[...]
국민일보
2020-08-21
[62]
문서
My water 댐 운영 현황
[63]
뉴스
폭우에 인삼밭이 '진흙밭'으로…"용담댐 관리 부실"
http://mnews.jtbc.jo[...]
JTBC 뉴스
2020-08-14
[64]
뉴스
용담댐 홍수조절 실패…"피해보상·재발방지 대책 마련"
http://www.jbnews.co[...]
중부매일
2020-08-14
[65]
웹인용
문정우 금산군수, 수자원공사 방문 피해 지원 대책 촉구
http://www.geumsan.g[...]
2020-08-14
[66]
뉴스
댐 용수 확보에 치중한 사이 홍수 대비 소홀
http://www.cnews.co.[...]
건설경제신문
2020-08-18
[67]
뉴스
섬진강·용담·합천댐 ‘人災 여부’ 조사한다
https://www.donga.co[...]
동아일보
2020-08-18
[68]
뉴스
"기본도 모르나, 장마철에 댐 가득 담수하다니" 분노한 합천군민
https://news.chosun.[...]
조선일보
2020-08-18
[69]
뉴스
정부 “예상 못한 집중호우에 홍수 피해 발생… 댐 관리 부실 때문 아냐”
https://www.segye.co[...]
세계일보
2020-08-19
[70]
뉴스
섬진강 피해 500년만의 폭우 탓…이상기후 대비 소하천 치수를
http://www.hani.co.k[...]
한겨레
2020-08-19
[71]
문서
8월 6일에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72]
문서
이 시점에는 서울 등 수도권에 코로나19 범유행이 본격화한 시점이기도 하다
[73]
뉴스
"[속보]춘천 의암댐서 경찰선 등 선박 3대 전복 7명 실종..1명은 탈출"
https://news.v.daum.[...]
경향신문
2020-08-31
[74]
뉴스
중부 6일째 폭우피해 속출..의암댐서 경찰정 등 3척 전복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20-08-31
[75]
뉴스
의암댐 사고현장 찾은 정총리 "어처구니 없다" 탄식(종합)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20-08-31
[76]
뉴스
"'의암댐 사고' 실종 경찰정 가평서 발견..내부 수색 예정"
https://news.v.daum.[...]
연합뉴스
2020-08-31
[77]
뉴스
"[종합] 의암댐 실종자 춘천시청 기간제 근로자 숨진 채 발견"
http://www.newspim.c[...]
뉴스핌
2020-08-31
[78]
뉴스
토사 유출로 인천 북항터널 전면 통제…인천 호우주의보
http://news.kbs.co.k[...]
KBS
2020-09-03
[79]
뉴스
"[현장] 긴급출동 차량도 쩔쩔…집중호우 맞은 영종도"
https://news.sbs.co.[...]
SBS
2020-09-03
[80]
뉴스
문대통령, 2차 특별재난지역 선포…남부지방 11개 지자체(종합)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20-09-03
[81]
뉴스
한강수위 상승으로 통제됐던 서울 주요도로 정상 통행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9-03
[82]
뉴스
집중호우로 포천서 실종된 낚시터 관리인 열흘 만에 숨진채 발견
https://imnews.imbc.[...]
MBC
2020-09-03
[83]
뉴스
집중호우 영향 채솟값 껑충…할인쿠폰·비축 물량 푼다
http://news.kbs.co.k[...]
KBS
2020-09-03
[84]
뉴스
잠수교 보행자 15일 오전부터 다시 통제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20-09-03
[85]
웹인용
국제기구 “북한 곡창지대, 40년 만에 최대 강수량...식량난 심화” {{!}} Voice of America - Korean
https://www.voakorea[...]
2020-09-22
[86]
뉴스
재난급 폭우 대비… 댐•제방 시설 ‘설계빈도’ 상향 검토
http://www.cnews.co.[...]
건설경제신문
2020-08-18
[87]
뉴스
60년전 만든 댐 홍수수위 기준...기후변화 반영 못해 손질 시급
https://www.sedaily.[...]
서울경제
2020-08-19
[88]
뉴스
“‘섬진강·용담·합천댐 방류량 적정했나’ 환경부 조사 착수"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20-08-19
[89]
뉴스
조명래 장관 "홍수기 댐 관리 조사 시작…징계·형사처벌도"
https://nocutnews.co[...]
노컷뉴스
2020-08-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