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곤충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곤충학은 곤충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다루는 학문으로, 농업, 생물학적 방제, 양봉 등 다양한 분야와 관련되어 인류 문화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 고대부터 곤충에 대한 기록이 존재했으나, 현대적 의미의 과학적 연구는 16세기에 시작되었다. 곤충학은 분류, 생태, 유전, 행동 등 다양한 하위 분야로 나뉘며, 해충 방제, 법의학, 의학, 수분 등 실생활과 밀접한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다. 곤충학자들은 다양한 학회와 연구 기관에 소속되어 활동하며, 전 세계 박물관과 연구소에는 방대한 곤충 표본 컬렉션이 소장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곤충학 - 고치
    고치는 나비목 나방을 비롯한 일부 동물이 번데기 시기나 알을 보호하기 위해 만드는 주머니 모양의 구조물로, 곤충은 실이나 주변 물질을 이용해 만들며 거미는 알주머니 형태로 만들고, 누에나방 고치는 견사 원료로 사용되며 일본에서는 풍작 기원 상징으로도 쓰인다.
  • 곤충학 - 번데기
    완전변태 곤충의 유충에서 성충으로 변화하는 단계인 번데기는 먹이를 섭취하지 않고 유충 구조가 분해, 성충 구조가 형성되는 변태 과정을 거치며 턱 유무와 부속지 형태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뉘고 종에 따라 고치나 번데기방에서 보호받기도 한다.
  • 동물학 -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
    영국의 자연 과학자이자 탐험가인 앨프레드 러셀 월리스는 찰스 다윈과 독립적으로 자연 선택을 통한 진화 이론을 제창하고, 아마존과 말레이 군도 탐험을 통해 '월리스선'을 발견했으며, 생물지리학, 경계색 이론, 종 분화에 기여하고 환경 문제에 대한 경고와 우주생물학 연구, 심령술에 대한 믿음으로도 알려져 있다.
  • 동물학 - 무척추동물
    무척추동물은 척추가 없는 동물을 통칭하며 지구상 동물 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다양한 문으로 구성되어 유성생식과 무성생식을 포함한 생식 방식과 사회적 상호작용을 보이는 등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생물학 연구에도 기여한다.
  • 생물학 - 균근
    균근은 식물 뿌리와 균류 사이의 공생체로, 식물에게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고 식물은 광합성 산물을 제공하며, 농업, 산림 복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생물학 - 생명
    생명은 환경 속에서 자기 유지, 증진, 강화를 하는 특징으로 정의되나 논쟁적이며, 항상성 유지, 세포 구조, 물질대사, 성장, 적응, 자극 반응, 생식 능력을 포함하고, 자기 복제와 진화로 유지되는 열린 열역학계로 설명되며, 기원은 약 40억 년 전으로 추정되고, 진화와 멸종이 공존하며, 바이러스, 외계 생명체, 인공 생명 연구가 진행 중이다.
곤충학
곤충학
학문 분야동물학, 생물학
연구 대상곤충
관련 학문분류학, 진화생물학, 생태학, 행동학, 생화학, 분자생물학, 고생물학
종사 분야농업, 보건, 법과학
세부 분야
형태학곤충의 형태 연구
생리학곤충의 생리적 기능 연구
생태학곤충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 연구
분류학곤충의 분류 및 명명 연구
진화학곤충의 진화 과정 연구
행동학곤충의 행동 양식 연구
발생학곤충의 발생 과정 연구
분자곤충학곤충의 분자생물학적 특성 연구
응용곤충학곤충을 이용한 응용 기술 개발 연구

2. 역사

곤충학은 선사 시대부터 인류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어왔으며, 특히 농업(생물학적 방제, 양봉 등) 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다. 고대 로마의 대 플리니우스나 아랍의 이븐 알-아라비 등이 곤충에 대한 기록을 남겼으나,[4][38] 현대적 의미의 과학적 연구는 16세기에 시작되었다.[5] 초기 연구는 주로 유럽에서 호기심의 방 문화와 관련하여 종의 명명과 분류에 집중되었으며("영웅 곤충학의 시대"), 윌리엄 커비는 윌리엄 스펜스와 ''곤충학 입문''을 공동 저술하고 1833년 왕립 곤충학회 설립에 기여하는 등 학문적 기반을 다졌다.[40] 19세기 후반 농업 및 식민지 무역의 성장과 함께 실용적 목적이 강조되는 "경제 곤충학의 시대"가 도래했으며, 대학의 부상과 생물학 분야의 훈련을 통해 전문 곤충학자들이 배출되었다.[8][9] 이후 곤충학은 찰스 다윈, 장앙리 파브르,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카를 폰 프리쉬(197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10] E. O. 윌슨과 같은 저명한 인물들의 연구를 통해 빠르게 발전했다.[41] 박물관 큐레이션[11][42]이나 나비[12], 잠자리[13] 관찰과 같은 취미 활동을 통해서도 곤충학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곤충강은 매우 많은 종을 포함하고 식별 특징이 미묘하여 전문가에게도 종 수준의 식별은 어려울 수 있으며,[13] 이를 보완하기 위한 자동 종 식별 시스템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2. 1. 고대 및 중세

곤충학은 거의 모든 인간 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주로 선사 시대부터, 특히 농업 (특히 생물학적 방제와 양봉)과 관련이 있다. 고대 로마의 박물학자 대 플리니우스(23–79 CE)는 곤충의 종류에 관한 책을 썼고,[4] 쿠파의 문법학자이자 과학자인 이븐 알-아라비(760–845 CE)는 파리에 관한 책, ''Kitāb al-Dabāb'' (كتاب الذبابar)을 저술했다.

2. 2. 근대

현대적 의미의 과학적 연구는 비교적 최근인 16세기에 시작되었다.[5] 울리세 알드로반디는 1602년에 De Animalibus Insectisla (곤충 동물에 관하여)를 출판했다. 현미경학자 얀 스암메르담은 ''곤충의 역사''를 출판하여 곤충의 생식 기관과 변태를 정확하게 묘사했다.[6] 1705년, 마리아 지빌라 메리안은 네덜란드 수리남의 열대 곤충에 관한 책 Metamorphosis Insectorum Surinamensiumla을 출판했다.[7]

초창기 곤충학 연구는 주로 유럽에서 호기심의 방을 유지하는 관행과 관련하여 종의 명명 및 분류에 집중되었다. 이러한 수집 열풍은 자연사 학회, 개인 소장품 전시회, 새로운 종의 통신 및 문서화를 기록하기 위한 저널의 형성으로 이어졌다. 많은 수집가들은 귀족 출신이었으며, 전 세계 수집가와 상인 간의 거래가 발전했다. 이를 "영웅 곤충학의 시대"라고 불렀다. 윌리엄 커비는 잉글랜드 곤충학의 아버지로 널리 여겨진다. 그는 윌리엄 스펜스와 공동으로 곤충학 백과사전인 ''곤충학 입문'' (''Introduction to Entomology'')을 출판했는데, 이 책은 이 분야의 기초적인 텍스트로 여겨진다. 그는 또한 1833년 런던에서 왕립 곤충학회를 설립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이는 세계에서 가장 초창기 학회 중 하나이다. 오렐리안 학회와 같은 이전의 선행 단체는 174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40]

19세기 후반에는 농업과 식민지 무역의 성장이 "경제 곤충학의 시대"를 열었으며, 이는 대학교의 부상과 생물학 분야의 훈련과 관련된 전문 곤충학자를 배출하는 배경이 되었다.[8][9] 곤충학은 19세기와 20세기에 빠르게 발전했으며, 찰스 다윈, 장앙리 파브르,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카를 폰 프리쉬 (197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10] 그리고 두 차례 퓰리처상 수상자인 에드워드 윌슨과 같은 저명한 인물들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에 의해 연구되었다.[41]

스미소니언 국립 자연사 박물관의 소피 러털로프와 같이, 박물관 큐레이션 및 연구 지원을 통해 곤충학자가 된 사람들의 역사도 있다.[11][42] 곤충 식별은 점점 더 흔한 취미가 되었으며, 나비[12]와 (어느 정도까지) 잠자리가 가장 인기가 있다.[13]

2. 3. 19세기 ~ 20세기

초창기 곤충학 연구는 주로 유럽에서 호기심의 방을 유지하는 관행과 관련하여 종의 명명 및 분류에 집중되었다. 이러한 수집 열풍은 자연사 학회 설립, 개인 소장품 전시회 개최, 새로운 종에 대한 정보 교환 및 기록을 위한 저널 발간으로 이어졌다. 많은 수집가들이 귀족 출신이었으며, 전 세계 수집가와 상인 간의 거래가 활발해졌다. 이 시기를 "영웅 곤충학의 시대"라고 부르기도 한다.

윌리엄 커비는 잉글랜드 곤충학의 아버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는 윌리엄 스펜스와 함께 곤충학 백과사전인 ''곤충학 입문''을 출판했는데, 이 책은 곤충학 분야의 기초적인 문헌으로 평가받는다. 또한 커비는 1833년 런던에서 왕립 곤충학회 설립을 도왔다. 이 학회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곤충학 관련 학회 중 하나로, 오렐리안 학회와 같이 174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선행 단체들도 있었다.[40]

19세기 후반에는 농업과 식민지 무역의 성장이 "경제 곤충학의 시대"를 열었다. 이와 함께 대학교가 발전하고 생물학 분야의 전문적인 훈련이 이루어지면서 전문 곤충학자들이 등장하게 되었다.[8][9]

곤충학은 19세기와 20세기에 걸쳐 빠르게 발전했으며, 찰스 다윈, 장앙리 파브르,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카를 폰 프리쉬(1973년 노벨 생리학·의학상 수상자)[10], 그리고 두 차례 퓰리처상을 수상한 E. O. 윌슨과 같은 저명한 인물들을 포함한 많은 학자들이 곤충 연구에 기여했다.[41]

2. 4. 한국에서의 곤충학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한국에서의 곤충학'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제공된 요약과 소스는 주로 일본의 곤충학 발전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섹션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3. 하위 분야

곤충학은 연구 대상이 되는 특정 곤충 그룹이나 연구 목적 및 접근 방식에 따라 매우 다양한 하위 분야로 세분화된다. 많은 곤충학자들은 특정 이나 수준의 곤충 그룹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하위 전문 분야들은 연구 대상 곤충 그룹의 학명을 따서 비공식적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또한, 곤충 분류학, 곤충 생태학, 응용 곤충학, 법의 곤충학 등 연구의 초점과 응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전문 분야들이 존재한다.

3. 1. 분류 및 명명

대부분의 곤충은 수준에서는 비교적 쉽게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벌목(, 말벌, 개미)이나 딱정벌레목(딱정벌레)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이나 수준으로 내려가면 식별이 매우 어려워지는데, 이는 곤충강에 속하는 종의 수가 워낙 많고(단독으로 딱정벌레만 해도 33만 종 이상이다), 종을 구별하는 특징들이 익숙하지 않거나 미묘하며, 종종 현미경 없이는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조차도 특정 종을 식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8][9]

곤충을 정확히 식별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식별 키와 단행본 같은 전문 자료가 필요하다. 최근에는 곤충을 대상으로 하는 자동 종 식별 시스템 개발도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Daisy, ABIS, SPIDA, Draw-wing 등이 있다.

표본 핀으로 고정된 딱정벌레 표본의 컬렉션 바코드 예시


많은 곤충학자들은 곤충의 특정 이나 만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하위 전문 분야들은 해당 그룹의 학명을 따서 비공식적인 이름을 갖는 경우가 많다. 주요 하위 전문 분야는 다음과 같다.

  • 딱정벌레학 Coleopterologyeng: 딱정벌레 연구
  • 파리목학 Dipterologyeng: 파리 연구
  • 잠자리목학 Odonatologyeng: 잠자리 및 실잠자리 연구
  • 노린재목학 Heteropterologyeng: 노린재 연구
  • 흰개미목학 Isopterologyeng: 흰개미 연구
  • 나비목학 Lepidopterologyeng: 나방나비 연구
  • 꿀벌학 (Melittologyeng 또는 Apiologyeng): 꿀벌 연구
  • 개미학 Myrmecologyeng: 개미 연구
  • 메뚜기목학 Orthopterologyeng: 메뚜기, 귀뚜라미 등 연구
  • 날도래목학 Trichopterologyeng: 날도래 연구
  • 말벌학 Vespologyeng: 사회성 말벌 연구


이 외에도 연구 목적이나 대상에 따라 곤충 분류학, 곤충 생태학・환경 곤충학, 응용 곤충학, 잠사학, 천적 곤충학, 분자 곤충학, 곤충 병리학・천적 미생물학, 곤충 기능 이용학, 문화 곤충학, 법의 곤충학, 위생 곤충학, 박물학 등 다양한 세부 분야로 나뉜다.

3. 2. 생물학적 분야

곤충학은 생물학의 다양한 하위 분야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연구 대상과 목적에 따라 여러 전문 분야로 나뉜다.

곤충은 종 수가 매우 많고(예: 딱정벌레목만 330,000종 이상), 종을 구별하는 특징이 미묘하거나 현미경 없이는 관찰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전문가조차 종 수준까지 동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곤충을 정확히 분류하고 동정하는 곤충 분류학은 곤충학 연구의 기초가 된다. 자동 종 식별 시스템 개발도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많은 곤충학자들은 특정 이나 수준의 곤충 그룹을 전문적으로 연구하며, 이러한 세부 분야들은 다음과 같은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분야연구 대상
딱정벌레학딱정벌레
파리목학파리
잠자리목학잠자리, 실잠자리
노린재목학노린재
흰개미목학흰개미
나비목학나방, 나비
꿀벌학 (또는 벌 연구)꿀벌
개미학개미
메뚜기목학메뚜기, 귀뚜라미 등
날도래목학날도래
말벌학사회성 말벌



이 외에도 다음과 같은 다양한 생물학적 연구 분야가 있다.


  • 곤충 생태학: 곤충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 개체군생태학, 행동생태학 등을 연구한다. 초파리나 쌀도둑거저리를 이용한 로지스틱 곡선, 밀도 효과 연구나, 사회성 곤충을 대상으로 한 혈연 선택 설 기반 연구 등이 대표적이다.
  • 환경 곤충학: 환경 문제와 관련된 곤충의 역할과 영향을 연구한다.
  • 분자 곤충학: 곤충의 유전자 해명을 통해 생태와 행동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려는 연구 분야이다. 곤충의 유전자 해명은 곤충학에서 최근 크게 기여하고 있다.
  • 곤충 병리학 및 천적 미생물학: 곤충의 질병과 이를 일으키는 미생물, 또는 곤충의 천적이 되는 미생물을 연구한다.
  • 곤충 생리학: 곤충의 호르몬, 페로몬, 변태 등 생리적 현상을 연구한다. 특히 변태를 조절하는 호르몬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 곤충 유전학: 곤충은 염색체 수가 적고 세대 교체가 빨라 유전 연구에 중요한 모델 생물로 사용된다. 초파리를 이용한 연구는 유전학 발전에 현저한 진보를 이루었으며, 누에의 유전자 연구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응용 곤충학: 농업, 의학 등 인간 생활과 관련된 곤충 문제를 다룬다. (생물학적 방제, 위생 곤충학 등 포함)
  • 잠사학: 누에와 비단 생산에 관한 연구 분야이다.
  • 천적 곤충학: 해충 방제를 위한 천적 곤충 연구 분야이다.
  • 곤충 기능 이용학: 곤충의 생체 기능이나 생산 물질을 활용하는 연구 분야이다.
  • 문화 곤충학: 인간 문화와 곤충의 관계를 연구한다.
  • 법의 곤충학: 법의학적 문제 해결에 곤충학적 지식을 응용하는 분야이다.
  • 박물학: 자연 속에서의 곤충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연구 분야이다.

3. 3. 응용 분야

곤충학은 다양한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인간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특히 농업 분야에서는 해충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나 양봉과 같이 인간에게 유익한 방향으로 곤충을 활용하는 연구가 일찍부터 이루어졌다.[8][9] 19세기 후반 농업과 식민지 무역의 성장은 경제적 효용에 초점을 맞춘 "경제 곤충학의 시대"를 열기도 했다.[8][9] 현대 곤충학의 주요 응용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응용 곤충학''': 곤충을 인간 생활에 유익하게 이용하거나 해충을 관리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농업에서의 해충 방제 및 익충 활용, 양봉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 '''잠사학''': 누에를 사육하여 비단(견사)을 생산하는 과정 전반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 '''천적 곤충학''': 특정 곤충의 천적이 되는 다른 곤충을 연구하여, 해충을 생물학적 방제 방법으로 관리하는 데 중점을 둔다.
  • '''곤충 기능 이용학''': 곤충이 가진 독특한 생리적, 생태적 기능을 탐구하고, 이를 모방하거나 활용하여 새로운 기술이나 유용 물질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법의 곤충학''': 범죄 현장에서 발견되는 곤충의 종류, 발육 단계 등을 분석하여 사망 추정 시간과 같은 법의학적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사건 수사를 지원하는 분야이다.
  • '''위생 곤충학''': 모기, 파리질병을 매개하거나 인간 및 동물의 위생에 해를 끼치는 곤충을 연구하고 효과적인 관리 방법을 개발한다.

3. 4. 기타

곤충학은 인간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발전해 왔다. 특히 농업 분야에서의 생물학적 방제나 양봉 등은 선사 시대부터 이어져 온 곤충학적 지식의 활용 예시이다. 이처럼 곤충과 인간 문화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는 분야를 문화 곤충학이라고 한다.

또한, 곤충 표본을 수집하고 연구하는 박물학적 접근은 곤충학 발전의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고대 로마의 대 플리니우스는 곤충의 종류에 관한 책을 저술했으며,[4] 중세 아랍의 학자 이븐 알-아라비는 파리에 관한 책을 쓰기도 했다. 근대 이후 유럽에서는 호기심의 방을 중심으로 곤충 표본 수집이 유행했으며, 이는 자연사 학회 설립과 학술지 발간으로 이어졌다. 윌리엄 커비와 같은 인물들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초기 곤충학 연구를 이끌었다. 박물관에서의 큐레이션과 연구 지원 활동 역시 곤충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소피 러털로프처럼 이를 통해 곤충학자가 된 사례도 있다.[11] 오늘날에도 나비[12]잠자리[13] 등을 중심으로 곤충 식별과 채집은 인기 있는 취미 활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곤충은 종류가 매우 다양하여 수준에서는 비교적 쉽게 분류할 수 있지만(벌목, 딱정벌레목 등), 이나 수준에서는 전문가조차 식별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는 곤충 종의 수가 방대하고(딱정벌레목만 해도 33만 종 이상), 종을 구별하는 특징이 미세하여 현미경 없이는 관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Daisy, ABIS, SPIDA, Draw-wing과 같은 자동 종 식별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이 외에도 곤충학은 다음과 같은 다양한 세부 분야로 나뉜다.

  • 곤충 분류학
  • 곤충 생태학・환경 곤충학
  • 응용 곤충학
  • 잠사학
  • 천적 곤충학
  • 분자 곤충학
  • 곤충 병리학・천적 미생물학
  • 곤충 기능 이용학
  • 법의 곤충학
  • 위생 곤충학

4. 응용

곤충학은 선사 시대부터 인류 문화, 특히 농업 분야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발전해왔다. 초기 곤충학 연구는 생물학적 방제나 양봉과 같이 실용적인 목적과 연결되는 경우가 많았다.[4] 19세기 후반에는 농업식민지 무역의 성장에 따라 곤충의 경제적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면서 "경제 곤충학의 시대"가 열리기도 했다. 이 시기에는 대학을 중심으로 전문적인 곤충학자들이 양성되기 시작했다.[8][9] 오늘날 곤충학은 해충 방제, 법의학, 의학, 수분 등 더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4. 1. 해충 방제

곤충학 지식은 농작물, 저장 곡물, 건물 등에 피해를 주는 해충을 관리하고 방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미국에서는 미국 곤충학회(Entomological Society of America, ESA)가 해충 방제 분야의 전문가 양성을 위한 다양한 전문 자격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대표적인 자격증으로는 1994년에 시작된 ACE(Associate Certified Entomologist|부회원 인증 곤충학자eng) 프로그램이 있다. 이 프로그램은 해충 방제 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하며, 정식 곤충학자에게 요구되는 석사박사 학위가 없더라도 일정 자격을 갖추면 취득할 수 있다.[14] ACE 자격증 소지자는 'ACE' 또는 '부회원 인증 곤충학자'로 불릴 수 있다.[14]

미국 곤충학회는 ACE 외에도 다음과 같은 전문 자격증 프로그램을 운영한다.[15]

자격증 명칭약어주요 내용 및 자격 요건
Public Health Entomology|공중 보건 곤충학engPHE질병을 전파하고 의료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는 절지동물 관련 시험 통과, 윤리 강령 동의 필요.
Certified IPM Technician|인증 IPM 기술자engCIT통합 해충 관리(IPM) 분야에서 약 1~4년의 실무 경험, 관련 시험 통과, 윤리 강령 동의, 살충제 사용 승인 필요.
Board Certified Entomologist|이사회 인증 곤충학자engBCE두 종류의 시험 통과, 윤리 강령 동의, 매 12개월마다 일정량의 교육 요건 충족 필요.



이러한 자격증 프로그램들은 곤충학 지식을 바탕으로 해충 방제 분야의 전문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15]

4. 2. 법의학

법곤충학법의학의 한 분야로, 시체나 범죄 현장 주변에서 발견되는 곤충을 연구한다. 여기에는 일반적으로 시체에서 발견되는 곤충의 종류, 그들의 생활 주기, 다양한 환경에서의 존재, 그리고 곤충 군집이 부패와 함께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연구하는 것이 포함된다.

4. 3. 의학

의학 곤충학은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곤충절지동물을 연구하는 분야이다. 이는 단순히 곤충이 직접적으로 인체에 해를 끼치는 경우뿐만 아니라, 질병을 옮기는 매개체로서의 역할에 더 큰 중점을 둔다. 많은 곤충이 직접적으로 인간 생명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병원체를 옮김으로써 의학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되기 때문에, 이러한 매개체 곤충의 특성을 밝히고 대책을 마련하는 데 많은 노력이 투입되고 있다.

의학 곤충학은 질병 매개체인 절지동물의 행동, 생태, 그리고 질병의 역학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포함한다. 또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공중 보건 증진을 위해 일반 대중 및 관련 기관과 소통하고 정보를 알리는 활동도 중요하다.

수의 곤충학 역시 의학 곤충학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다. 왜냐하면 많은 동물 질병이 종간 장벽을 넘어 인간의 건강까지 위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소 뇌염과 같은 질병이 이에 해당한다. 이처럼 의학 곤충학은 인간과 동물의 건강을 보호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위생 곤충학과 같은 세부 분야를 통해 인간이 사는 환경과의 관련성 속에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4. 4. 수분

화분매개생물학은 수분과 그리고 꽃의 수분 매개자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17] 이는 인간의 활동으로 인한 수분 매개자 감소의 영향 속에서 농업 과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다.[18][19]

5. 관련 단체

다른 과학 전문 분야와 마찬가지로 곤충학자들은 지역, 국가, 국제 기구를 가지고 있다. 또한 특정 세부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많은 조직이 있다.


  • 영국 아마추어 곤충학회
  • 미국 곤충학회
  • 캐나다 곤충학회
  • 일본 곤충학회
  • 크레펠트 곤충학회 (Entomologischer Verein Krefeldde)
  • 인도 곤충학회
  • 국제 사회성 곤충 연구 연합
  • 네덜란드 곤충학회
  • 벨기에 왕립 곤충학회
  • 런던 왕립 곤충학회
  • 러시아 곤충학회
  • 젠켄베르크 독일 곤충학 연구소 (Senckenberg Deutsches Entomologisches Institutde)
  • 프랑스 곤충학회
  • 호주 곤충학회
  • 뉴질랜드 곤충학회

6. 연구 컬렉션

전 세계의 주요 박물관, 대학교, 연구소 등에는 방대한 양의 곤충 표본 컬렉션이 소장되어 있다. 다음은 주요 곤충 컬렉션 목록이다.

=== 아시아 ===

컬렉션 명칭소속 기관/위치국가
인도 동물 조사국인도
곤충 박물관타밀나두 농업 대학교, 코임바토르, 타밀나두인도
국립 푸사 컬렉션곤충학부, 인도 농업 연구소, 뉴델리인도
파키스탄 자연사 박물관가든 애비뉴, 샤카르파리안, 이슬라마바드파키스탄
보고르 동물 박물관인도네시아



=== 아프리카 ===

컬렉션 명칭소속 기관/위치국가
나탈 박물관피터마리츠버그남아프리카 공화국[23]
자연사 박물관불라와요짐바브웨



=== 오세아니아 ===

뉴질랜드 링컨 대학교의 곤충학 연구 컬렉션, 큐레이터 존 매리스


컬렉션 명칭소속 기관/위치국가
링컨 대학교 곤충학 연구 컬렉션링컨 대학교, 링컨뉴질랜드
뉴질랜드 국립 박물관 테 파파 통가레와웰링턴뉴질랜드
뉴질랜드 절지동물 컬렉션랜드케어 리서치 마나키 웬누아, 오클랜드뉴질랜드



=== 유럽 ===

컬렉션 명칭소속 기관/위치국가
바이에른 주립 동물학 컬렉션뮌헨독일
바르셀로나 자연 과학 박물관바르셀로나스페인
파리 국립 자연사 박물관파리프랑스
베를린 자연사 박물관베를린독일
켈빈그로브 미술관 박물관글래스고스코틀랜드 (영국)
헝가리 자연사 박물관부다페스트헝가리
제네바 자연사 박물관제네바스위스[25]
자연사 박물관레이덴네덜란드
런던 자연사 박물관런던영국
오슬로 자연사 박물관오슬로노르웨이
러시아 과학 아카데미 동물학 컬렉션상트페테르부르크러시아
빈 자연사 박물관오스트리아
옥스퍼드 대학교 자연사 박물관옥스퍼드 대학교, 옥스퍼드영국
브뤼셀 왕립 중앙 아프리카 박물관브뤼셀벨기에
스웨덴 자연사 박물관스톡홀름스웨덴
세계 박물관리버풀영국



=== 북미 ===

==== 미국 ====

컬렉션 명칭소속 기관/위치국가
필라델피아 자연과학 아카데미필라델피아미국
아메리카 자연사 박물관뉴욕미국
오번 대학교 자연사 박물관오번 대학교, 오번, 앨라배마미국[28]
오듀본 곤충관뉴올리언스미국
보하트 곤충 박물관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미국
캘리포니아 과학 아카데미샌프란시스코미국
카네기 자연사 박물관피츠버그미국[29]
클리블랜드 자연사 박물관클리블랜드미국
곤충학 연구 박물관캘리포니아 대학교 리버사이드미국
에시그 곤충학 박물관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버클리, 캘리포니아미국
필드 자연사 박물관시카고미국
플로리다 자연사 박물관플로리다 대학교, 게인즈빌, 플로리다미국
일리노이 자연사 조사소샴페인, 일리노이미국
J. 고든 에드워드 박물관산호세 주립 대학교, 산호세, 캘리포니아미국
비교 동물학 박물관하버드 대학교, 케임브리지, 매사추세츠미국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자연사 박물관로스앤젤레스미국
국립 자연사 박물관워싱턴 D.C.미국
뉴멕시코 주립 대학교 절지동물 박물관뉴멕시코 주립 대학교미국[30]
노스캐롤라이나 주립 대학교 곤충 박물관노스캐롤라이나 주립 대학교, 롤리, 노스캐롤라이나미국
피바디 자연사 박물관예일 대학교, 뉴헤이븐, 코네티컷미국
샌디에이고 자연사 박물관샌디에이고미국
국립 놀이 박물관로체스터, 뉴욕미국
텍사스 A&M 대학교 곤충 컬렉션텍사스 A&M 대학교, 칼리지 스테이션, 텍사스미국
미네소타 대학교 곤충 컬렉션 (UMSP)미네소타 대학교, 세인트 폴, 미네소타미국
캔자스 대학교 자연사 박물관캔자스 대학교, 로렌스, 캔자스미국
네브래스카 대학교 주립 박물관네브래스카 대학교 링컨, 링컨, 네브래스카미국
Enns 곤충학 박물관미주리 대학교, 콜롬비아, 미주리미국[31]



==== 캐나다 ====

컬렉션 명칭소속 기관/위치국가
캐나다 자연사 박물관오타와, 온타리오캐나다
캐나다 국립 곤충, 거미류 및 선충류 컬렉션오타와, 온타리오캐나다[32]
E.H. 스트릭랜드 곤충학 박물관앨버타 대학교, 에드먼턴, 앨버타캐나다[33]
라이먼 곤충학 박물관맥길 대학교 맥도날드 캠퍼스, 생트안드벨뷰, 퀘벡캐나다[34]
몬트리올 곤충관몬트리올, 퀘벡캐나다
뉴펀들랜드 곤충관리드빌, 뉴펀들랜드 래브라도캐나다
로열 앨버타 박물관에드먼턴, 앨버타캐나다
로열 온타리오 박물관토론토, 온타리오캐나다
궬프 대학교 곤충 컬렉션궬프 대학교, 궬프, 온타리오캐나다[35]
빅토리아 버그 동물원빅토리아, 브리티시컬럼비아캐나다[36]
J. B. 윌리스 / R. E. 러프리 곤충학 박물관매니토바 대학교, 위니펙, 매니토바캐나다[37]


참조

[1] 서적 "[[A Greek-English Lexicon]]" "[[Oxford University Press]]"
[2] 웹사이트 Insectology https://www.collinsd[...] Collins 2024-11-08
[3] 서적 Numbers of living species in Australia and the World http://www.deh.gov.a[...] "Canberra: [[Australian Biological Resources Study]]" 2007-10-26
[4] 간행물 Naturalis Historia https://www.perseus.[...]
[5] 서적 "Storia delle scienze agrarie"
[6] 웹사이트 Entomology https://www.britanni[...] Encyclopaedia Britannica 2024-03-21
[7] 서적 Lepidoptera, moths and butterflies: Evolution, Systematics and Biogeography Walter de Gruyter
[8] 논문 A Brief History of the Changing Occupations and Demographics of Coleopterists from the 18th Through the 20th Century
[9] 서적 Bugs and the Victorian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0] 웹사이트 Karl von Frisch – Nobel Lecture: Decoding the Language of the Bee http://nobelprize.or[...]
[11] 웹사이트 A Scientist and a Tinkerer – A Story in a Frame http://nmnh.typepad.[...]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0-08-10
[12] 논문 eButterfly: Leveraging Massive Online Citizen Science for Butterfly Consevation. 2017-05-18
[13] 논문 Towards Global Volunteer Monitoring of Odonate Abundance https://academic.oup[...] 2020-10-16
[14] 웹사이트 ACE Certification https://entocert.org[...] 2024-06-03
[15] 웹사이트 "Roster {{!}} Certification - Entomological Society of America" https://entocert.org[...] 2023-10-08
[16] 웹사이트 Forensic Entomology https://www.exploref[...] 2022-04-10
[17] 서적 Pollination Biology Academic Press
[18] 뉴스 To Revive Honey Bees, Europe Proposes a Pesticide Ban http://www.businessw[...] 2013-02-19
[19] 웹사이트 Blumenauer Announces Legislation to Protect Pollinators, Prevent Mass Bee Die-Offs http://blumenauer.ho[...] 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20] 웹사이트 Entomological Society of India http://www.entosocin[...]
[21] 웹사이트 Australian Entomological Society https://www.austents[...]
[22] 웹사이트 Entomological Society of New Zealand https://ento.org.nz/
[23] 웹사이트 KwaZulu-Natal Museum http://www.nmsa.org.[...]
[24] 웹사이트 Magyar Természettudományi Múzeum http://www.nhmus.hu/
[25] 웹사이트 MHN http://www.ville-ge.[...] 2007-01-02
[26] 웹사이트 Home http://www.nhm.uio.n[...]
[27] 웹사이트 O.U.M.N.H. Homepage http://www.oum.ox.ac[...]
[28] 웹사이트 Auburn University Museum of Natural History http://www.aumnh.org[...]
[29] 웹사이트 Collections http://iz.carnegiemn[...]
[30] 웹사이트 New Mexico State University Arthropod Museum http://aces.nmsu.edu[...] 2013-07-15
[31] 웹사이트 Enns Entomology Museum, MU http://www.museum.in[...]
[32] 웹사이트 Canadian National Collection of Insects, Arachnids, and Nematodes https://agriculture.[...] 2010-04-16
[33] 웹사이트 E.H. Strickland Entomological Museum – 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Studies in Life Sciences https://www.ualberta[...]
[34] 웹사이트 Lyman Entomological Museum http://lyman.mcgill.[...]
[35] 웹사이트 University of Guelph Insect Collection http://www.uoguelph.[...] 2015-04-20
[36] 웹사이트 The Victoria Bug Zoo https://web.archive.[...] 2014-03-27
[37] 웹사이트 J. B. Wallis / R. E. Roughley Museum of Entomology | Faculty of Agricultural and Food Sciences | University of Manitoba https://umanitoba.ca[...]
[38] 간행물 Naturalis Historia http://www.perseus.t[...]
[39] 서적 Storia delle scienze agrarie Bologna 1984-89
[40] 서적 Bugs and the Victorians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9
[41] 웹사이트 Karl von Frisch – Nobel Lecture: Decoding the Language of the Bee http://nobelprize.or[...] 2009-09-19
[42] 웹사이트 A Scientist and a Tinkerer – A Story in a Frame http://nmnh.typepad.[...] National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0-08-1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