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습은 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따르는 행동 방식이나 규칙을 의미하며, 법적 효력의 유무에 따라 관습법과 사실인 관습으로 구분된다. 관습법은 법적 확신을 바탕으로 법원과 같은 효력을 가지며, 사실인 관습은 법률 행위의 해석 기준으로 활용된다. 사회적 관습은 사회 질서를 유지하고 개인의 행동을 규제하며, 사회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등 다양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한다. 정부는 관습을 통해 불문율을 정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하며, 관습은 웨스트민스터 시스템과 같은 정부 형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관습 - 생일
생일은 사람이 태어난 날을 기념하는 날로, 개인의 존재와 사회 구성원의 탄생을 축하하며, 돌잔치나 회갑잔치처럼 다양한 방식으로 기념되고, 성년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 관습 - 상투
혼례를 치른 남성이 머리카락을 모아 올린 전통적인 머리 형태인 상투는 고조선 시대부터 시작되어 남성의 사회적 지위를 나타내는 상징이었으나 단발령 이후 쇠퇴하였다. - 규범윤리학 - 규범적
규범적이란 철학에서 도덕 판단이나 가치 평가를, 사회과학에서 사회 규범과 가치관을, 법학에서 특정 가치관에 따른 행위 규정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행동이나 결과를 평가하는 기준을 뜻하지만 문맥에 따라 의미가 달라진다. - 규범윤리학 - 의무론
의무론은 결과보다는 의무와 규칙 준수를 중시하며, 칸트의 정언명령과 같은 보편적 도덕 규칙, 신의 명령, 혹은 다양한 일차적 의무를 강조하는 윤리 이론으로, 공리주의와의 관계 및 추상성과 의무 충돌 문제 등이 주요 쟁점이다. - 사회학 용어 - 근대화
근대화는 18세기 후반 영국의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시작되어, 과학기술 발전에 기반한 생산력 향상과 환경 통제 능력 증대를 특징으로 하며, 네덜란드의 독립과 번영, 영국 의회 정치와 산업혁명, 미국 독립 혁명과 프랑스 혁명 등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나타났다. - 사회학 용어 - 책임
책임은 법률 위반 행위에 대한 법적 제재를 포괄하며, 고의, 과실 등을 고려하여 형사 책임, 민사 책임, 행정 책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자기 책임론은 사회적 약자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관습 | |
---|---|
일반 | |
영어 | custom, convention |
정의 | 사회적으로 합의된, 규정되거나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표준 |
유형 | |
사회적 관습 | 사회적 행동의 규칙 및 관례를 포함하는 관습의 한 유형 |
법률적 관습 | 법률 또는 국제법에서 특정한 권리 또는 행동의 수락을 암시하는 오랜 관행 |
문학적 관습 | 문학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법 또는 장치 |
예술적 관습 | 예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법 또는 장치 |
예시 | |
인사 | 악수, 절과 같은 행동 |
복장 | 특정 상황에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옷 |
식사 | 특정 문화에서 먹는 방법 |
언어 | 특정 상황에서 사용되는 단어와 구문 |
축제 | 특정 문화에서 특정 시기에 열리는 행사 |
관련 개념 | |
규범 |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행동의 표준 |
관례 | 특정 집단이나 문화에서 전통적으로 따르는 관습 |
전통 | 특정 문화에서 오랫동안 지속되어 온 관습 또는 신념 |
2. 관습의 정의와 종류
관습이란 참여자들 간에 합의된 규칙이나 대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종 이 단어는 공동체 전체에 공유되는 비공식적인 관례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많은 사회에서 서로 처음 만나는 사람들이 악수하는 것은 관례이다.[2][3] 어떤 관습들은 명시적으로 법으로 제정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국과 독일에서는 운전자가 도로의 오른쪽으로 운전하는 것이 관례인 반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일본, 네팔, 인도, 영국에서는 왼쪽으로 운전한다. 시간의 표준화는 태양 주기 또는 달력을 기반으로 한 인간의 관습이다.
관습법이란 사회의 거듭된 관행으로 생성한 사회생활규범이 사회의 법적 확신과 인식에 의하여 법적 규범으로 승인·강행되기에 이르른 것을 말한다.[29] 관습법은 법원(法源)으로서 법령과 같은 효력을 갖는 관습으로서 법령에 저촉되지 않는 한 법칙으로서의 효력이 있다.
사실인 관습은 사회의 관행에 의하여 발생한 사회생활규범인 점에서 관습법과 같으나, 사회의 법적 확신이나 인식에 의하여 법적 규범으로서 승인된 정도에 이르지 않은 것을 말한다.[29] 사실인 관습은 법령으로서의 효력이 없는 단순한 관행으로서 법률행위의 당사자의 의사를 보충함에 그치는 것이다.
이밖에도 사회에는 다양한 사회적 관습이 존재한다.
2. 1. 사실인 관습
사실인 관습은 사회의 관행에 의해 발생한 사회생활규범인 점에서 관습법과 같으나, 사회의 법적 확신이나 인식에 의해 법적 규범으로서 승인된 정도에 이르지 못한 것이다. 그러므로 법령으로서의 효력은 없으며 강행법규에 저촉되지 않는 한 법률행위에 한해서 법률행위 당사자의 의사를 보충함에 그친다.[29] 하지만 관습법은 법원으로서 법령과 같은 효력을 가지며 강행법규에 저촉되지 않는 한 재판의 근거가 된다.2. 2. 법률인 관습 (관습법)
일반 관행은 사실인 관습인데, 이 일반 관행이란 객관적 요건에 법적 확신(opinio juris)이라는 주관적 요건이 만족되면 관습법이 성립된다. 국내 관습법의 인정에 대해서는 통설과 판례가 법적 확신을 필수적으로 요구하고 있으며, 국제관습법의 인정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다만, 국제관습법 인정 사례에서는, 많은 국제사법재판소 판례에서 일반 관행만으로 법적 확신을 추정하여 별도로 법적 확신을 심사하지 않고 바로 일반 관행만으로 국제관습법 성립을 인정하기도 한다.사실인 관습은 사회 관행에 의하여 발생한 사회생활규범인 점에서 관습법과 같으나, 사회의 법적 확신이나 인식에 의하여 법적 규범으로서 승인된 정도에 이르지 못한 것이라는 점에서 관습법과 다르다. 그러므로 법령으로서의 효력은 없으며 강행법규에 저촉되지 않는 한 법률행위에 한해서 법률행위 당사자의 의사를 보충함에 그친다. 하지만 관습법은 법원으로서 법령과 같은 효력을 가지며 강행법규에 저촉되지 않는 한 재판의 근거가 된다.
2. 3. 사회적 관습
사회학에서 '''사회적 규범'''은 특정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준수되는 사회적 관습을 의미한다. 이러한 규칙은 법으로 명시되거나 공식화되지 않을 수 있다. 사회 구성주의에서는 사회적 규칙에 대한 큰 관심이 있으며, 이러한 규칙은 사회적으로 구성되고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지만 동시에 개인에 의해 재생산된다고 주장한다.[1]상징적 상호작용론을 대표하는 사회학자들은 사회적 규칙이 사회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진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상호작용에 대한 강조는 사회적 규칙의 유동적이고 변화하는 특성을 보여준다. 사회적 규칙은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다르며,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즉, 사회적 규칙은 동일한 사회 내에서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며, 과거에 허용되었던 것이 더 이상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규칙은 공간에 따라 달라져서 한 사회에서 허용되는 것이 다른 사회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사회적 규칙은 어떤 상황에서든 ''수용 가능한'' 또는 ''정상적인'' 행동을 반영한다. 미셸 푸코의 담론 개념은 이러한 규칙이 어떻게 형성되고 변화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며, 사회적 규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사람들에게 특정 범주에 대한 ''정상적인'' 행동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것은 바로 사회적 규칙이다. 따라서 사회적 규칙은 여성에게 여성스러운 방식으로 행동하는 방법을, 남성에게는 남성다운 방식으로 행동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몇 가지 사회적 관습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서로 모르는 사람들이 서구 사회에서처럼 악수를 하는 것,[2][3] 하지만 다음과 같은 예외가 있다.
- * 절을 하는 것 (한국, 일본, 중국)
- * 와이를 하는 것 (태국)
- * 서로 절을 하지 않는 것 (유대교 전통)
- * 미국에서는 눈맞춤, 서로에게 고개를 끄덕이는 것(끄덕임), 악수 없이 미소 짓는 것. (비즈니스 악수에서 손바닥은 위나 아래로 향하지 않고 옆으로 향한다.)
- * 비즈니스 미팅에서 명함을 서로 주는 것 (일본에서는 양손으로)
- 어떤 군사적 맥락에서 경례하면서 발꿈치를 맞대는 것[4]
- 대부분의 장소에서 키스하거나 포옹하기 전에 묻는 것이 항상 예의이며, 이것은 애정표현이라고 한다.[5]
- 재산 규범은 물건을 제자리에 돌려놓는 것이다.
- 재산 규범은 어떤 상품이 화폐로 받아들여지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6][7]
- 성적 규범은 개인적 규범 또는 사회적 규범을 의미할 수 있다.[8] 대부분의 문화권에서는 성에 관한 사회적 규범이 있으며, 정상적인 성행위는 특정 연령, 혈족 관계, 인종/민족, 그리고/또는 사회적 역할 및 사회경제적 지위의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개인 간의 특정 성행위로만 구성된다고 정의한다. 서구 사회에서 전통적인 규범 밖의 성인 간 합의 하에 이루어지는 행위가 아닌 것은 변태성욕 또는 성적 일탈로 간주되는 것에 해당한다.
- 결혼의 한 형태인 일부다처제 또는 일처다부제는 주어진 사회에서 옳거나 그르다.[9][10][11] 동성 결혼도 많은 사회에서 잘못된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종교적 관습으로는 남녀가 연애 관계에 있더라도 결혼하기 전까지는 동거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간음은 결혼한 부부의 성적 충실을 위반하는 것이 아닌 경우 잘못된 것으로 간주된다.
- 남녀의 복장 규정.[12]
- 사람을 가리키는 등의 무례한 손짓, 욕설, 외설적인 언어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것.[12]
- 어떤 사회에서 여성의 절.[13]
- 중동에서는 다른 사람을 향해 발바닥을 보이는 것을 절대 하지 않아야 하는데, 이것은 심각한 모욕으로 여겨질 수 있다.
- 많은 학교에서 학생들의 좌석이 지정되어 있지 않더라도 특정 학생들이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사람의 자리에 앉는 것은 모욕으로 여겨진다.[14]
- 우리를 위해 무언가를 해줄 때 상호 호혜하는 것.[15]
- 에티켓 규범,[16] 모임의 식탁에서 자리를 박차고 나가는 것, 특히 사람들을 저녁 식사에 초대한 경우에는 계산서를 지불할 준비를 하는 것, 손님으로서 음식 제안을 거절하는 것은 실례이다.
- 피임 규범, 필요로 하는 여성들에게 피임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지 않는 것, 일부 문화권에서는 피임을 제한한다.[17][18][19][20]
- 향정신성 의약품 사용에 대한 접근 제한 또는 문화적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21] 예를 들어 알코올, 니코틴, 대마초와 해시시는 사용 및 판매가 금지된 마약과 같은 통제 물질에 대한 유인책과 금지가 있다.
- 특정 형태의 차별은 제한과 배척을 통해 사람에게서 무언가를 빼앗기 때문에 비윤리적이라는 믿음. 또한 "여성과 소녀의 권리, 권한 부여 기회 및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22]
- 한 사람은 가족 내의 노년층에 대해 돌봄 의무를 가지고 있다.[2] 이것은 특히 아시아 국가에서 사실이다. 노인 요양의 많은 부분이 무급 노동에 해당한다.
- 알려진 사람들을 편애하지 않는 것, 이것은 권력 관계의 남용이 될 수 있다.
- 지킬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 약속을 하지 않는 것.[2]
- 갚을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 돈을 요구하지 않는 것.
- "경제적 이익이나 사례를 얻기 위해 무고한 사람을 거짓 약속으로 속이지 않는 정직을 실천하십시오."[2]
- 어떤 사회적 맥락에서 요청받으면 미국에서 충성 맹세를 하는 것이 적절하다.[23][24]
- 신사 합의는 두 당사자 이상 간의 비공식적이고 법적으로 구속력이 없는 합의이다. 우리는 우리가 무언가를 할 것이라고 말했을 때 그것을 해내고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흔들리지 않을 것이다.[2]
- 다른 사람의 사생활을 누설하지 않는 것.[2]
- 친구와 가족을 비폭력적으로 대하고, 부부에게 충실하고 정직하며, 부모의 신념, 활동 또는 목표를 존중하고, 다른 사람들의 신념, 종교 및 문화적 상징을 존중하는 것.[2]
- 기능적 다양성을 가진 사람들을 관용하고 존중하며, 특히 그들이 게임이나 스포츠 장비에 통합되기를 원할 때 그렇게 한다. 또한 자신의 견해와 반대되는 견해라도 다른 견해를 관용하고, 힘으로 그들의 신념을 바꾸려고 하지 않는다.[2]
- 대중 교통과 사적 교통에서 아이가 있거나 임신했거나 노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것.[2]
- 앞을 향하고, 엘리베이터 서핑을 하지 않으며, 엘리베이터에서 추가 버튼을 누르거나 사람이 적으면 누군가에게 너무 가까이 서 있지 않는 것.[12]
- 도서관에서는 교실과 같은 소음 수준으로 이야기하는 것이 예의이다.
- 영화관에서는 사람들이 영화를 보러 온 것이기 때문에 영화를 보는 동안 이야기하지 않는 것이 맞으며, 조명과 소리가 다른 관객들을 방해할 것이기 때문에 휴대전화를 켜지 않는 것이 맞다.[25]
- 시간 엄수하려면 늦을 경우 친구나 지인에게 알리는 것이 좋다.[25]
- 외출, 식당, 극장, 영화관 등에 나타날 수 없다면 사전에 전화나 주소로 이유를 알려주는 것이 좋다.[25]
- 한 번에 한 사람씩 말하는 것이 규범이다.[25]
- 종교적 서약은 특별한 약속이다. 종교적인 의미로 또는 결혼식과 같은 의식에서 "결혼 서약"이라고 불리는 결혼을 약속하는 부부에게 이루어지며, 그들은 서로에게 충실하고 자녀를 돌볼 것을 약속하기도 한다.[26]
- 사회적 책임감이나 피해를 막기 위해 필요한 사람을 돕는 것.[27]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 참조.
- 패스트푸드가 아닌 식당이나 바에는 장소에 따라 충분한 팁을 줄 수 있을 때만 가는 것이 좋다.[28]
- 미국 사회 규범이나 관습의 예가 법으로 바뀐 경우는 다음과 같다.
- *21세 미만은 알코올을 구매할 수 없다.
- *운전하려면 16세가 되어야 한다.
- *화기를 원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합법적으로 그리고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다.
- *도시에서는 원하는 곳 어디에서나 길을 건널 수 없으며, 횡단보도를 이용해야 한다. 경찰이 이 규칙을 위반하는 것을 적발하면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
- *미국에서는 웨이트리스와 웨이터에게 팁을 주는 것이 사회적 규범이다.
-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수많은 성별 특정 규범이 있다.[25]
- *여자아이는 분홍색을 입어야 하고, 남자아이는 파란색을 입어야 한다.
- *남자는 강해야 하며 감정을 드러내지 말아야 한다.
- *여자는 다정하고 보살피는 사람이어야 한다.
- *남자는 집 수리를 하고 일하고 돈을 버는 사람이어야 하며, 여자는 집안일과 아이를 돌보는 일을 해야 한다.
- *남자가 외식을 할 때 여자의 식사 값을 내야 한다.
- *남자는 바, 클럽, 직장에서 여자를 위해 문을 열어주고 퇴장을 위한 길을 비켜주어야 한다.[16]
3. 관습과 법의 관계
관습법은 사회에서 반복되는 관행으로 만들어진 사회생활규범이 사회의 법적 확신과 인식을 얻어 법적 규범으로 인정받고 강제되는 것을 의미한다. 사실인 관습은 사회의 관행으로 발생한 사회생활규범이지만, 법적 규범으로 인정받을 정도의 사회적 확신이나 인식을 얻지 못한 것을 말한다. 관습법은 법원(法源)으로서 법령과 동일한 효력을 가지며, 법령에 어긋나지 않는 한 법으로서의 효력을 가진다. 그러나 사실인 관습은 법령으로서의 효력이 없는 단순한 관행으로, 법률행위 당사자들의 의사를 보충하는 역할만 한다.[29]
관습은 참여자들 간에 합의된 규칙이나 대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하며, 종종 공동체 전체에 공유되는 비공식적인 관례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많은 사회에서 처음 만나는 사람들이 악수하는 것은 관례이다. 어떤 관습들은 명시적으로 법으로 제정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국과 독일에서는 도로의 오른쪽으로 운전하는 것이 관례인 반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일본, 네팔, 인도, 영국에서는 왼쪽으로 운전한다. 시간의 표준화는 태양 주기 또는 달력을 기반으로 한 인간의 관습이다. 정의가 관습적인 정도(자연적인 또는 객관적인 것과 대조적으로)는 역사적으로 철학자들 사이에서 중요한 논쟁거리였다.
관습의 본질은 오랫동안 철학적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콰인, 데이비슨, 데이비드 루이스는 이 주제에 대한 영향력 있는 글을 발표했다.
붓다는 언어적, 사회적, 정치적, 도덕적, 윤리적 또는 종교적인 관습을 의존적 발생으로 묘사했다. 그의 관점에 따르면, 관습을 절대적인 것으로 여길 때 독단으로 이어져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현명한 사람은 관습을 완전히 무시하지 않고, 유익할 때 활용하는 중도를 취한다.[1]
3. 1. 사실인 관습과 법률행위
관습법이란 사회의 거듭된 관행으로 생성된 사회생활규범이 사회의 법적 확신과 인식에 의해 법적 규범으로 승인·강행되기에 이른 것을 말한다. 사실인 관습은 사회의 관행에 의해 발생한 사회생활규범이라는 점에서는 관습법과 같으나, 사회의 법적 확신이나 인식에 의해 법적 규범으로서 승인된 정도에 이르지 않은 것을 말한다. 관습법은 법원(法源)으로서 법령과 같은 효력을 가지며 법령에 저촉되지 않는 한 법칙으로서의 효력이 있다. 반면 사실인 관습은 법령으로서의 효력이 없는 단순한 관행으로서 법률행위 당사자의 의사를 보충하는 데 그친다.[29]법령과 같은 효력을 갖는 관습법은 당사자의 주장이나 입증을 기다리지 않고 법원이 직권으로 확정해야 한다. 사실인 관습은 그 존재를 당사자가 주장하고 입증해야 한다. 그러나 관습은 그 존부 자체가 명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관습이 사회의 법적 확신이나 법적 인식에 의해 법적 규범으로까지 승인되었는지 여부를 가리기는 더욱 어렵다. 따라서 법원이 이를 알 수 없는 경우에는 결국 당사자가 이를 주장하고 입증해야 한다.[29]
사실인 관습은 사적 자치가 인정되는 분야, 즉 그 분야의 제정법이 주로 임의규정일 경우 법률행위의 해석 기준 또는 의사 보충 기능으로서 재판의 자료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제정법이 주로 강행규정일 경우에는 강행규정 자체에 결함이 있거나 강행규정 스스로가 관습에 따르도록 위임한 경우 등을 제외하고는 법적 효력을 부여할 수 없다.[29]
3. 2. 관습법의 법적 효력
정부에서 관습이란 정부 참여자들이 따라야 하는 일련의 불문율을 말한다. 이러한 규칙들은 정당한 이유가 명확하거나 제시될 수 있는 경우에만 무시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결과를 초래한다. 여기에는 지금까지 준수되어 온 다른 관례를 무시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전통적인 학설(다이스이)에 따르면, 관습은 법적 구속력이 없는 규칙이기 때문에 법정에서 강제될 수 없다. 관습은 많은 규칙이 불문율인 웨스트민스터 시스템 정부에서 특히 중요하다.4. 관습의 사회적 기능과 영향
관습은 사회 구성원 다수가 동의하여 따르는 규칙이나 행동 양식이다. 사회 전반에 걸쳐 공유되는 비공식적인 약속일 수도 있고, 법으로 명문화된 공식적인 규정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처음 만나는 사람들끼리 악수하는 것은 많은 사회에서 보편적인 관습이다.
관습은 사회를 유지하고 운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사회 구성원들의 행동을 예측 가능하게 하고, 불필요한 갈등을 줄여준다. 또한, 특정 사회의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고, 세대 간에 전달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하지만 관습은 때때로 사회 변화를 더디게 만들거나,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특정 성별에 대한 고정관념을 강화하거나, 소수 집단에 대한 차별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 따라서 관습은 사회적 맥락과 시대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변화해야 하며, 비판적인 시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철학적으로 관습의 본질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있어왔다. 콰인, 데이비슨, 데이비드 루이스와 같은 철학자들은 관습에 대한 영향력 있는 글을 발표했다.[1] 불교에서는 관습을 절대적인 것으로 여기지 않고,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는 중도의 자세를 강조한다.
4. 1. 개인의 행동 규제
사회학에서 ''사회적 규범''은 어떤 사회에서 일반적으로 준수되는 사회적 관습을 말한다. 이러한 규칙은 법으로 쓰여 있거나 공식화되지 않았다. 사회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진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규칙은 사회적 맥락에 특정하며,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양한 맥락을 갖는다. 즉, 사회적 규칙은 동일한 사회 내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한다. 과거에 허용되었던 것이 더 이상 그렇지 않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규칙은 공간에 따라 다르다. 한 사회에서 허용되는 것이 다른 사회에서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2]사회적 규칙은 어떤 상황에서든 ''수용 가능한'' 또는 ''정상적인'' 행동을 반영한다. 사람들에게 특정 범주에 대한 ''정상적인'' 행동이 무엇인지 알려주는 것은 바로 사회적 규칙이다. 따라서 사회적 규칙은 여성에게 여성스러운 방식으로 행동하는 방법을, 남성에게는 남성다운 방식으로 행동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다른 그러한 규칙은 다음과 같다.
구분 | 내용 |
---|---|
인사 | 서로 모르는 사람들이 서구 사회에서처럼 악수를 하지만, 한국, 일본, 중국에서는 절을 한다. 태국에서는 와이를 한다. 유대교 전통에서는 서로 절을 하지 않는다. 미국에서는 눈맞춤, 서로에게 고개를 끄덕이는 것(끄덕임), 악수 없이 미소 짓는 것, 비즈니스 악수에서 손바닥은 위나 아래로 향하지 않고 옆으로 향한다. 비즈니스 미팅에서 명함을 서로 주는 것(일본에서는 양손으로)을 한다.[2][3] |
군대 | 어떤 군사적 맥락에서 경례하면서 발꿈치를 맞대는 것[4] |
애정표현 | 대부분의 장소에서 키스하거나 포옹하기 전에 묻는 것이 항상 예의이다.[5] |
재산 규범 | 물건을 제자리에 돌려놓는 것, 어떤 상품이 화폐로 받아들여지는지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6][7] |
성적 규범 | 개인적 규범 또는 사회적 규범을 의미할 수 있다. 대부분의 문화권에서는 성에 관한 사회적 규범이 있으며, 정상적인 성행위는 특정 연령, 혈족 관계, 인종/민족, 그리고/또는 사회적 역할 및 사회경제적 지위의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개인 간의 특정 성행위로만 구성된다고 정의한다. 서구 사회에서 전통적인 규범 밖의 성인 간 합의 하에 이루어지는 행위가 아닌 것은 변태성욕 또는 성적 일탈로 간주되는 것에 해당한다.[8] |
결혼 | 결혼의 한 형태인 일부다처제 또는 일처다부제는 주어진 사회에서 옳거나 그르다. 동성 결혼도 많은 사회에서 잘못된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종교적 관습으로는 남녀가 연애 관계에 있더라도 결혼하기 전까지는 동거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간음은 결혼한 부부의 성적 충실을 위반하는 것이 아닌 경우 잘못된 것으로 간주된다.[9][10][11] |
복장 | 남녀의 복장 규정.[12] |
예의 | 사람을 가리키는 등의 무례한 손짓, 욕설, 외설적인 언어 등을 사용하지 않는 것.[12] 어떤 사회에서 여성의 절.[13] 중동에서는 다른 사람을 향해 발바닥을 보이는 것을 절대 하지 않아야 하는데, 이것은 심각한 모욕으로 여겨질 수 있다. 많은 학교에서 학생들의 좌석이 지정되어 있지 않더라도 특정 학생들이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사람의 자리에 앉는 것은 모욕으로 여겨진다.[14] 우리를 위해 무언가를 해줄 때 상호 호혜하는 것.[15] 에티켓 규범, 모임의 식탁에서 자리를 박차고 나가는 것, 특히 사람들을 저녁 식사에 초대한 경우에는 계산서를 지불할 준비를 하는 것, 손님으로서 음식 제안을 거절하는 것은 실례이다.[16] |
금기 | 피임 규범, 필요로 하는 여성들에게 피임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지 않는 것, 일부 문화권에서는 피임을 제한한다.[17][18][19][20] 향정신성 의약품 사용에 대한 접근 제한 또는 문화적으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것.[21] 예를 들어 알코올, 니코틴, 대마초와 해시시는 사용 및 판매가 금지된 마약과 같은 통제 물질에 대한 유인책과 금지가 있다. |
차별 | 특정 형태의 차별은 제한과 배척을 통해 사람에게서 무언가를 빼앗기 때문에 비윤리적이라는 믿음. 또한 "여성과 소녀의 권리, 권한 부여 기회 및 자원에 대한 접근을 제한"할 수 있다.[22] |
기타 | 한 사람은 가족 내의 노년층에 대해 돌봄 의무를 가지고 있다. 이것은 특히 아시아 국가에서 사실이다. 노인 요양의 많은 부분이 무급 노동에 해당한다. 알려진 사람들을 편애하지 않는 것, 이것은 권력 관계의 남용이 될 수 있다. 지킬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 약속을 하지 않는 것. 갚을 수 없다는 것을 알면서 돈을 요구하지 않는 것. "경제적 이익이나 사례를 얻기 위해 무고한 사람을 거짓 약속으로 속이지 않는 정직을 실천하십시오."[2] 어떤 사회적 맥락에서 요청받으면 미국에서 충성 맹세를 하는 것이 적절하다.[23][24] 신사 합의, 또는 신사 합의는 두 당사자 이상 간의 비공식적이고 법적으로 구속력이 없는 합의이다. 우리는 우리가 무언가를 할 것이라고 말했을 때 그것을 해내고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흔들리지 않을 것이다.[2] 다른 사람의 사생활을 누설하지 않는 것.[2] 친구와 가족을 비폭력적으로 대하고, 부부에게 충실하고 정직하며, 부모의 신념, 활동 또는 목표를 존중하고, 다른 사람들의 신념, 종교 및 문화적 상징을 존중하는 것.[2] 기능적 다양성을 가진 사람들을 관용하고 존중하며, 특히 그들이 게임이나 스포츠 장비에 통합되기를 원할 때 그렇게 한다. 또한 자신의 견해와 반대되는 견해라도 다른 견해를 관용하고, 힘으로 그들의 신념을 바꾸려고 하지 않는다.[2] 대중 교통과 사적 교통에서 아이가 있거나 임신했거나 노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것.[2] 앞을 향하고, 엘리베이터 서핑을 하지 않으며, 엘리베이터에서 추가 버튼을 누르거나 사람이 적으면 누군가에게 너무 가까이 서 있지 않는 것.[12] 도서관에서는 교실과 같은 소음 수준으로 이야기하는 것이 예의이다. 영화관에서는 사람들이 영화를 보러 온 것이기 때문에 영화를 보는 동안 이야기하지 않는 것이 맞으며, 조명과 소리가 다른 관객들을 방해할 것이기 때문에 휴대전화를 켜지 않는 것이 맞다.[25] 시간 엄수하려면 늦을 경우 친구나 지인에게 알리는 것이 좋다.[25] 외출, 식당, 극장, 영화관 등에 나타날 수 없다면 사전에 전화나 주소로 이유를 알려주는 것이 좋다.[25] 한 번에 한 사람씩 말하는 것이 규범이다.[25] 종교적 서약은 특별한 약속이다. 종교적인 의미로 또는 결혼식과 같은 의식에서 "결혼 서약"이라고 불리는 결혼을 약속하는 부부에게 이루어지며, 그들은 서로에게 충실하고 자녀를 돌볼 것을 약속하기도 한다.[26] 사회적 책임감이나 피해를 막기 위해 필요한 사람을 돕는 것.[27]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 참조. 패스트푸드가 아닌 식당이나 바에는 장소에 따라 충분한 팁을 줄 수 있을 때만 가는 것이 좋다.[28] |
미국 사회 규범이나 관습의 예가 법으로 바뀐 경우는 다음과 같다.
- 21세 미만은 알코올을 구매할 수 없다.
- 운전하려면 16세가 되어야 한다.
- 화기를 원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든지 합법적으로 그리고 비교적 쉽게 구할 수 있다.
- 도시에서는 원하는 곳 어디에서나 길을 건널 수 없으며, 횡단보도를 이용해야 한다. 경찰이 이 규칙을 위반하는 것을 적발하면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
- 미국에서는 웨이트리스와 웨이터에게 팁을 주는 것이 사회적 규범이다.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수많은 성별 특정 규범이 있다.[25]
- 여자아이는 분홍색을 입어야 하고, 남자아이는 파란색을 입어야 한다.
- 남자는 강해야 하며 감정을 드러내지 말아야 한다.
- 여자는 다정하고 보살피는 사람이어야 한다.
- 남자는 집 수리를 하고 일하고 돈을 버는 사람이어야 하며, 여자는 집안일과 아이를 돌보는 일을 해야 한다.
- 남자가 외식을 할 때 여자의 식사 값을 내야 한다.
- 남자는 바, 클럽, 직장에서 여자를 위해 문을 열어주고 퇴장을 위한 길을 비켜주어야 한다.[16]
4. 2. 사회 변화의 지연 또는 촉진
관습은 참여자들 간에 합의된 규칙이나 대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종종 이 단어는 공동체 전체에 공유되는 비공식적인 관례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많은 사회에서 서로 처음 만나는 사람들이 악수하는 것은 관례이다. 어떤 관습들은 명시적으로 법으로 제정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미국과 독일에서는 운전자가 도로의 오른쪽으로 운전하는 것이 관례인 반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일본, 네팔, 인도, 영국에서는 왼쪽으로 운전한다. 시간의 표준화는 태양 주기 또는 달력을 기반으로 한 인간의 관습이다. 정의가 관습적인 정도(자연적인 또는 객관적인 것과 대조적으로)는 역사적으로 철학자들 사이에서 중요한 논쟁거리였다.관습의 본질은 오랫동안 철학적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콰인, 데이비슨, 그리고 데이비드 루이스는 이 주제에 대한 영향력 있는 글을 발표했다. 루이스의 관습에 대한 설명은 마가렛 길버트의 "사회적 사실에 관하여"(1989)에서 폭넓은 비판을 받았으며, 대안적인 설명이 제시되었다. 관습에 대한 또 다른 견해는 루스 밀리컨의 "언어: 생물학적 모델"(2005)에서 나오는데, 이 또한 루이스의 견해에 반대한다.
데이비드 칼루파하나에 따르면, 붓다는 언어적, 사회적, 정치적, 도덕적, 윤리적, 또는 종교적인 관습을 의존적 발생으로 묘사했다. 그의 패러다임에 따르면, 관습을 절대적 실재로 여길 때, 그것은 독단으로 이어지고, 결과적으로 갈등을 초래한다. 이것은 관습을 비현실적이고 따라서 무익하다고 해서 완전히 무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대신, 불교 사상에 따르면, 현명한 사람은 관습을 궁극적인 것으로 여기지도 않고, 유익할 때 무시하지도 않는 중도를 취한다.[1]
5. 현대 사회와 관습
현대 사회에서 관습은 사회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고 사회 질서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관습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으며,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화하기도 한다.
5. 1. 관습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관습은 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비공식적인 약속이나 규칙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처음 만나는 사람들끼리 악수하는 것은 많은 사회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관습이다.[2] 이러한 관습은 때로는 법으로 명시되기도 하는데, 미국이나 독일에서는 도로 우측 통행이,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일본, 인도, 영국 등에서는 좌측 통행이 법으로 정해진 관습의 예시이다.관습은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다. 붓다의 가르침에 따르면, 관습은 상황에 따라 발생하며(연기), 절대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질 때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1] 그러나 현명한 사람은 관습을 완전히 무시하지 않고, 상황에 따라 유익하게 활용하는 중도를 취한다.
사회학에서는 사회적 규범이라는 개념으로 관습을 설명한다. 사회적 규범은 법으로 명시되지는 않았지만, 사회 구성원들이 일반적으로 따르는 규칙이다.[3] 이러한 규칙은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만들어지고 변화한다. 따라서 사회적 규범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몇 가지 사회적 관습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서구 사회에서는 처음 만나는 사람들끼리 악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2][3] 한국, 일본, 중국에서는 절을,[2] 태국에서는 와이를 한다.
- 어떤 군사적 맥락에서는 경례와 함께 발뒤꿈치를 맞댄다.[4]
- 대부분의 장소에서 키스나 포옹과 같은 애정표현 전에는 상대방의 동의를 구하는 것이 예의이다.[5]
-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욕설이나 외설적인 언어를 사용하지 않는다.[12]
- 에티켓 규범에 따라, 초대한 사람이 식사비를 지불하거나,[16] 손님은 음식 제안을 함부로 거절하지 않는다.
- 결혼과 관련하여, 일부다처제나 일처다부제와 같은 결혼 형태는 사회마다 다르게 받아들여진다.[9][10][11]
- 신사 합의와 같이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약속을 지키는 것도 중요한 사회적 관습이다.[2]
- 선한 사마리아인의 비유에서처럼, 어려움에 처한 사람을 돕는 것은 사회적 책임감의 발현이다.[27]
이처럼 관습은 사회를 유지하고 구성원 간의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는 긍정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특정 관습은 차별이나 배척을 정당화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성별에 따른 복장 규정[12]이나, 동성 결혼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9][10][11], 특정 형태의 차별을 정당화하는 믿음[22] 등은 관습의 부정적인 측면을 보여준다.
5. 2. 한국 사회에서의 관습
한국 사회에서는 절을 하는 것이 일반적인 인사 예절이다.[2][3] 이는 일본, 중국과 같은 동아시아 문화권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또한, 어른을 공경하고 노인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것, 가족 내 노년층에 대한 돌봄 의무를 가지는 것[2] 등은 한국 사회에서 중요하게 여겨지는 관습이다.결혼과 관련하여, 종교적 관습에 따라 결혼 전 동거를 금지하는 경우가 있으며, 간음은 결혼한 부부의 성적 충실을 위반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 외에도, 에티켓 규범[16], 시간 엄수[25], 약속 지키기[2], 결혼 서약과 같은 종교적 서약[26] 등 다양한 관습이 존재한다.
6. 정부와 관습
정부에서 관습이란 정부 참여자들이 따라야 하는 일련의 불문율을 말한다. 이러한 규칙들은 정당한 이유가 명확하거나 제시될 수 있는 경우에만 무시될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결과를 초래한다. 결과에는 지금까지 준수되어 온 다른 관례를 무시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전통적인 학설(다이스이)에 따르면, 관습은 법적 구속력이 없는 규칙이기 때문에 법정에서 강제될 수 없다.[1] 관습은 많은 규칙이 불문율인 웨스트민스터 시스템 정부에서 특히 중요하다.
참조
[1]
서적
Nagarjuna: The Philosophy of the Middle Way
SUNY Press
1986
[2]
웹사이트
40 Examples of Moral and Social Norms
https://www.lifepers[...]
2021-04-04
[3]
웹사이트
The Art of Handshaking
https://www.psycholo[...]
2021-04-04
[4]
웹사이트
Rendering Honours
http://moebius.freeh[...]
2019-04-21
[5]
웹사이트
Public Displays of Affection Abroad (PDA) - Expat Guide Asia
http://www.expatguid[...]
2018-10-10
[6]
서적
Social Norms: Prepared for the New Palgrave Dictionary of Economics
https://link.springe[...]
2021-04-07
[7]
학술지
Social norms and money
https://www.scienced[...]
2021-04-07
[8]
서적
The history of sexual norms: the hold of age and gender
https://www.cairn-in[...]
Belin
2019-09-26
[9]
웹사이트
The Pros and Cons of Polygamy Is there a link between polygamy and social unrest?
https://www.psycholo[...]
2021-04-07
[10]
웹사이트
How Polyamorists and Polygamists Are Challenging Family Norms
https://www.newyorke[...]
2021-04-07
[11]
웹사이트
Mores (Strongest Social Norms): Meaning and Characteristics
https://www.yourarti[...]
2021-04-07
[12]
웹사이트
What Are Social Norms? You Follow Them Every Day Without Even Noticing
https://www.lifehack[...]
2021-04-04
[13]
웹사이트
Etiquette to meet the Queen: The curtsy is out and kissing was never in
https://www.smh.com.[...]
2021-04-07
[14]
웹사이트
A Social Norms Experiment: The Unspoken Rule of Class Seats
http://gcmag.org/a-s[...]
2021-04-07
[15]
웹사이트
Norm of Reciprocity and Persuasion
https://www.psycholo[...]
2021-04-07
[16]
웹사이트
25 Etiquette Rules You Should Never Forget
https://www.powerofp[...]
2021-04-07
[17]
학술지
'As many options as there are, there are just not enough for me': Contraceptive use and barriers to access among Australian women
https://pubmed.ncbi.[...]
2021-04-08
[18]
학술지
Understanding the low uptake of long-acting reversible contraception by young women in Australia: A qualitative study
2015
[19]
학술지
None of them were satisfactory: Women's experiences with contraception
https://www.research[...]
2021-04-08
[20]
서적
Contraception A Concise History By
https://mitpress.mit[...]
MIT Press
2021-04-07
[21]
학술지
Specialty Drug Classes That Are Costing Consumers an Arm and a Leg
http://www.fool.com/[...]
2015-10-24
[22]
웹사이트
Social norms and gender equality: The potential for social transformation and women's empowerment
https://womendeliver[...]
2021-04-07
[23]
웹사이트
The Pledge of Allegiance: To stand or not to stand
https://lhslance.org[...]
Lancer Media
2021-04-07
[24]
웹사이트
A Brief History of the Pledge of Allegiance
https://www.thoughtc[...]
2021-04-07
[25]
웹사이트
Social Norm Examples
https://examples.you[...]
2021-04-07
[26]
웹사이트
The Social Costs of Abandoning the Meaning of Marriage
https://www.heritage[...]
2021-04-07
[27]
웹사이트
The Social Psychology Perspectives On Helping Others
https://www.psycholo[...]
2021-04-07
[28]
웹사이트
US social customs {{!}} American cultural Norms
https://www.estavisa[...]
2021-04-07
[29]
판결
대법원 1983.6.14. 선고 80다3231 판결【분묘이장】
1983-06-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