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쓰노 쓰루헤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쓰노 쓰루헤이는 1883년 구마모토현에서 태어나, 사업가로 성공한 후 정계에 입문하여 일본의 정치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다. 러일 전쟁으로 쌀값이 오를 것을 예측하여 정미소를 설립하여 큰 이익을 남겼으며, 이후 중의원 의원, 참의원 의원, 참의원 의장 등을 역임했다. 요시다 시게루 내각의 성립에 기여하고, 보수합동을 추진하여 자유민주당 창당에 참여하는 등 전후 일본 정치의 중요한 시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61년에는 '마쓰노 쿠데타'로 불리는 정치적 폭력 행위 방지 법안 폐기를 주도하기도 했다. 1962년 참의원 의장 사임 후 사망했으며, 사후 종2위가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철도대신 - 일본 철도성
일본 철도성은 메이지 시대에 설립되어 교통통신부로 통합되기 전까지 일본의 철도 administration을 담당했던 행정 기관으로, 철도망 정비, 전기화 추진, 육상 교통 부문 관할 등의 사업을 수행했다. - 일본의 철도대신 - 나가이 류타로
나가이 류타로는 1881년 이시카와현에서 태어나 와세다 대학 교수, 중의원 의원, 여러 대신을 역임하고 대정익찬회에서 활동하며 아시아 민족 해방을 주장하다 1944년에 사망한 일본의 정치인이다. - 일본 제국의회 중의원의원 - 지바 사부로
지바 사부로는 일본의 정치인이자 기업인으로, 도쿄 제국대학 법학과를 졸업하고 석유 및 에너지 관련 기업에서 경력을 쌓았으며, 미야기현 지사와 중의원 의원, 노동대신을 역임하고 자유민주당 내에서 보수적인 입장을 대변하다가 1979년 사망했다. - 일본 제국의회 중의원의원 - 무쓰 무네미쓰
무쓰 무네미쓰는 막말부터 메이지 시대에 걸쳐 활약한 일본의 정치가이자 외교관으로, 불평등 조약 개정 및 청일 전쟁 승리를 이끌며 일본 근대화와 국제적 위상 강화에 기여했으나 삼국 간섭이라는 굴욕을 겪기도 했다. - 자유민주당 참의원 의원회장 - 세키구치 마사카즈
세키구치 마사카즈는 자유민주당 소속의 5선 참의원 의원이자 제34대 참의원 의장으로, 사이타마현 의회 의원 출신으로 외무대신 정무관, 총무부대신 등을 역임했으며 헌법 개정 및 방위비 증액을 주장하는 보수 성향의 정치인이다. - 자유민주당 참의원 의원회장 - 하시모토 세이코
하시모토 세이코는 일본의 전직 스피드 스케이팅 및 사이클 선수이자 정치인으로, 동계 및 하계 올림픽 모두 출전했으며, 참의원 의원을 거쳐 도쿄 올림픽 조직위원회 회장을 역임했다.
마쓰노 쓰루헤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원어 이름 | }} |
출생일 | 1883년 12월 22일 |
출생지 | 일본 제국 구마모토현 야마가시 (구 기타군 시로키타촌) |
사망일 | 1962년 10월 18일 |
출신 학교 | 조호쿠 학관 중퇴 |
배우자 | 마쓰노 다키노 ( 노다 우타로의 딸 ) |
친족 (정치가) | 삼남: 마쓰노 요리사다 손자: 마쓰노 요리히사 증손녀: 마쓰노 미카 |
정치 경력 | |
소속 정당 | 입헌정우회 → 입헌정우회 정통파 → 일본자유당 → 민주자유당 → 자유당 → 자유민주당 |
칭호와 훈장 | 종2위 [[File:JPN Toka-sho BAR.svg|38px]]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 |
세습 여부 | 무 |
주요 직책 | |
임기 시작 | 1956년 4월 3일 |
임기 종료 | 1962년 8월 6일 |
국가 원수 | 쇼와 천황 |
내각 | 요나이 내각 |
임기 시작 | 1940년 1월 16일 |
임기 종료 | 1940년 7월 22일 |
선거구 | 구마모토현 선거구 |
당선 횟수 | 3회 |
임기 시작 | 1952년 10월 20일 |
임기 종료 | 1962년 10월 18일 |
퇴임 사유 | 재직 중 사망 |
선거구 | (구마모토현 제4구 →) 구마모토현 제1구 |
당선 횟수 | 7회 |
임기 시작 | 1920년 5월 11일 - 1924년 1월 31일 1928년 2월 21일 |
임기 종료 | 1945년 12월 18일 |
기타 경력 | |
기타 직책 | [[File:Liberal Democratic Party (Japan) Emblem.svg|20px]] 초대 자유민주당 참의원 의원회장 (총재: 하토야마 이치로) |
임기 시작 | 1955년 |
임기 종료 | 1956년 |
2. 생애
마쓰노 쓰루헤이는 1883년 구마모토현의 농가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 가업을 도우며 성장했다. 어려운 가정 형편으로 중학교를 중퇴했지만, 러일 전쟁을 계기로 상업적 재능을 발휘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 정치에 입문하여 입헌정우회 소속으로 활동하며 "선거의 신"이라는 별명을 얻을 정도로 뛰어난 정치적 수완을 보였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일본자유당 창당을 주도하고, 요시다 시게루를 총재로 옹립하는 등 전후 일본 정계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공직 추방에서 해제된 후에는 참의원 의원으로 활동하며 보수합동을 통해 자유민주당을 창당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일본 참의원 의장을 역임하면서 전전의 관례를 따라 당적을 유지하며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
1961년에는 「정치적 폭력 행위 방지법」안을 둘러싸고 여당과 야당 간의 갈등이 심화되자, 일본사회당과의 합의를 통해 법안을 폐기하는 결단을 내렸다. 이를 '마쓰노 쿠데타'라고 부른다. 1962년 의장직에서 물러난 지 4개월 만에 78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사후 종2위에 추서되었다.
2. 1. 어린 시절과 사업가로서의 성공
1883년 구마모토현 기쿠치군 시로키타촌(현 야마가시)에서 농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마쓰노가 태어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아버지가 양조장을 경영했기에 마쓰노는 어린 시절 양조장 일을 도우면서 학교를 다녔다. 하지만 양조장 경영이 잘 되지 않아 마쓰노는 중학교를 중퇴한 뒤 아버지의 일을 돕는 데 전념하게 되었다. 이때 주조미를 거래하면서 상업에 재능을 보였고 1904년 러일 전쟁이 발발하자 쌀값이 오를 걸 예상해 정미소를 차렸다. 그리고 일본우선과의 거래로 막대한 이익을 올렸다. 1908년 일본 중의원 의장 노다 우타로의 장녀 다키노와 결혼했다.[2][3]2. 2. 정계 입문과 입헌정우회 활동
1918년 입헌정우회 공천으로 출마했으나 낙선했다.[3] 1920년 제1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 고향인 구 구마모토현 제4구에 입헌정우회 공천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다.[4] 하지만 이후 정우회가 분열하면서 1924년 총선에서는 낙선했다.1928년 총선에서 구마모토현 제1구에 출마해 당선되면서 정계에 복귀했다. 하토야마 이치로 파벌에 속했으며 내무정무차관, 정우회 간사장을 역임했다. 1932년 제1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정우회 선거 대책을 총괄하여 466석 중 304석을 획득하는 데 성공해 "선거의 신"으로 불렸다.[3] 이후 정우회가 또 분열하자 하토야마, 구하라 후사노스케 등과 함께 정우회 정통파에 속했다. 1940년 요나이 내각이 발족하자 철도상에 취임해 도카이도 본선 대화재 수습 등에 힘썼다.[3]
2. 3. 전후 정치 활동과 요시다 내각 지원
일본자유당 창당에 참여하여 총무를 맡았다.[5] 하토야마 이치로가 공직 추방을 당하자, 요시다 시게루를 후임 총재로 추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하토야마는 요시다가 총재직을 거절하자 포기했지만, 마쓰노는 굴하지 않고 매일 밤 요시다를 찾아가 설득하여 결국 승낙을 받아냈다.[3] 1946년 5월 13일 심야에는 외상 관저 담을 넘어 들어가 요시다를 설득했다고 한다.[3]마쓰노 자신도 공직 추방 상태였기 때문에, 요시다 내각의 비공식 정치 고문으로서 막후에서 내각을 지탱했다.[3] 1952년의 불시 해산도 마쓰노의 아이디어였으며, 요시다파와 하토야마파 사이의 권력 투쟁에서 중재자 역할을 했다.
1954년 조선 의옥 사건으로 야당이 내각 불신임 결의안을 제출하고, 요시다에게 반대하던 하토야마파가 이에 동조하면서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마쓰노는 "총재가 당보다 우선할 수는 없다", "자유당에서 요시다를 제명해야 한다"라며 요시다의 중의원 해산 시도에 격노했고, 부총재 오가타 다케토라와 함께 요시다에게 사임을 촉구했다.[3]
2. 4. 참의원 의원과 보수합동
1952년 제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보궐선거에서 당선되어 참의원 의원이 되었다. 이때 "아이들부터 어른들까지 많은 사람들이 손을 흔들며 맞이해준 것이 굉장히 기뻤다. 정치라는 건 항상 국민과 일심동체여야만 한다는 것을 통감했다"라는 말을 남겼다.[3]1954년 조선 의옥 사건이 발생하자 야당은 내각 불신임 결의안을 제출했고, 요시다 시게루에 반대하던 하토야마 이치로파가 여기에 동조하면서 결의안이 통과되었다. 요시다는 중의원 해산을 시도했으나 마쓰노는 "총재가 당보다 우선시될 수는 없다", "자유당에서 요시다를 제명해야 한다"라며 화를 냈고 부총재 오가타 다케토라와 함께 요시다에게 사임을 촉구했다.[3] 더 이상 버티지 못한 요시다는 총리대신을 사임했고 후임으로 일본민주당의 하토야마가 취임했다.
1955년 일본사회당이 재통일을 이루자 위기감을 느낀 민주당과 자유당 사이에서 보수합동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같은 해 자유민주당이 결성되었고 마쓰노는 초대 참의원 의원회장이 되었다.[3] 1956년 2월, 총재대행위원이던 오가타가 사망하자 후임 위원이 되었다.
2. 5. 참의원 의장과 정치적 폭력 행위 방지 법안
1956년 4월 일본 참의원 의장에 취임했다. 전후 참의원은 의사 진행의 공정성을 위해 의장 재임 중에는 당적을 이탈하는 것이 관례였다. 하지만 전전의 일본 중의원은 의장이 당적을 유지하여 이를 권위의 원천으로 삼았으며, 원내 1당이 폭주할 때 당원으로서 이를 저지하는 것이 관례였다. 전전에 7선 중의원 의원을 역임한 마쓰노는 이 관례를 전후의 참의원에 적용하고자 했기에 야당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자민당 당적을 버리지 않았다.[3] 이후 「일본과 미국 간의 상호 협력 및 안전 보장 조약」 개정 등 정국이 요동칠 때도 마쓰노는 자신의 신념에 충실해 자민당의 강경한 의사 운영을 저지하고 원활한 심의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했다. 하지만 이는 참의원의 정당화 현상을 촉진했다는 비판도 낳았다.1961년 5월 중의원에 「정치적 폭력 행위 방지법」안이 상정되었다. 이는 아사누마 이네지로 암살 사건과 시마나카 사건 등의 우익 테러를 방지하기 위한 법률안으로, 어떤 단체가 정치적 폭력 행위를 일으킬 때의 형벌 규정과 단체 규제를 규정하고 있었다. 하지만 일본사회당은 단체 규제가 너무 과도하다며 개인에 대한 형벌만으로 족하다고 해당 법률안에 반대했다. 총재 이케다 하야토는 사회당의 반발을 무시하고 강경하게 나서 6월 3일 중의원을 통과시켰다. 하지만 마쓰노는 사회당과의 합의를 통해 해당 법률안의 폐기를 결정해 결국 이 법률안은 성립되지 못했다. 이를 마쓰노 쿠데타라고 부른다.[3]
1962년 8월 의장을 사임했다. 후임인 시게무네 유조도 당적을 유지한 채 9년간 참의원 의장을 역임했으며, 그 후임인 고노 겐조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참의원 의장이 당적을 일시 포기하는 관행이 부활했다.[3]
2. 6. 사망
1962년 8월 일본 참의원 의장을 사임한 지 불과 4개월 뒤인 10월,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사후 종2위에 추서되었다.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조하치[1] | 농업, 말 중매인, 술도가[2] |
어머니 | 소노[1] | 조부 에이자부로의 장녀[1] |
누나 | 스나[1] | 히라이 유이조에게 시집감[1] |
여동생 | 시즈코[1] | |
여동생 | 시츠카[1] | 소노다 시게이치로의 차남 소노다 고조에게 시집감[1] |
여동생 | 타마코[1] | 무나카타 가메오에게 시집감[1] |
여동생 | 타마에[1] | |
아내 | 타키노[1] | 노다 우타로의 장녀[1] |
장남 | 쇼타로[1] | |
차남 | 료스케[1] | 실업가 |
삼남 | 라이조[1] | 정치가 |
4. 평가
마쓰노 쓰루헤이는 전후 일본 정치를 막후에서 조종한 노련한 정치가라는 평가를 받는다. 요시다 시게루를 총리로 옹립하고, 보수합동을 성사시키는 등 일본 정치의 중요한 고비마다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참의원 의장으로서 여당의 독주를 견제하고 야당과의 협치를 중시하는 등 중도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자민당의 강경한 의사 운영을 저지하고 원활한 심의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이는 참의원의 정당화 현상을 촉진했다는 비판도 받았다. 1961년에는 일본사회당과의 합의를 통해 「정치적 폭력 행위 방지법」안의 폐기를 결정했는데, 이를 마쓰노 쿠데타라고 부른다.
5. 역대 선거 기록
선거명 | 선거일 | 소속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당락 | 비고 |
---|---|---|---|---|---|---|---|
제1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20년 | 입헌정우회 | 1위 | 당선 | |||
제1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24년 | 입헌정우회 | 낙선 | ||||
제1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28년 | 입헌정우회 | 3위 | 당선 | |||
제1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30년 | 입헌정우회 | 3위 | 당선 | |||
제1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32년 | 입헌정우회 | 2위 | 당선 | |||
제1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36년 | 입헌정우회 | 3위 | 당선 | |||
제2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37년 | 입헌정우회 | 2위 | 당선 | |||
제2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 1942년 | 대정익찬회 | 3위 | 당선 | |||
제1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보궐선거 | 1952년 | 자유당 | 306,502표 | 67.41% | 1위 | 당선 | |
제3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1953년 | 자유당 | 253,379표 | 42.48% | 1위 | 당선 | |
제5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1959년 | 자유민주당 | 239,452표 | 35.65% | 2위 | 당선 |
참조
[1]
서적
人事興信録. 7版
1925
[2]
뉴스
原敬内閣の総選挙で初当選 「吉田茂を引き出した男」松野鶴平(1)
https://www.nikkei.c[...]
[3]
서적
近代の山鹿の偉人たち 013熊本県初の参議院議長 松野 鶴平
山鹿市教育委員会 教育部 文化課
2010-03
[4]
웹사이트
熊本4区 第14回衆議院議員選挙 - ザ・選挙 -
http://www.senkyo.ja[...]
[5]
문서
[6]
웹사이트
熊本選挙区 第2回参議院議員補欠選挙
http://www.senkyo.ja[...]
JAN JAN
2015-0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