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태준 (1927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태준은 1927년 경상남도 동래군에서 태어나 일본에서 성장했으며, 육군 소위로 임관하여 한국 전쟁에 참전했다. 5.16 군사 정변 당시 박정희의 신임을 받았으며, 국가재건최고회의 상공분과위원 등을 역임하며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수립에 참여했다. 이후 기업인으로 변신하여 대한중석 사장과 포항제철 초대 사장을 역임하며 회사를 세계적인 철강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정계에 입문하여 국회의원과 민주정의당 대표를 지냈으며, 1997년 자유민주연합 총재, 2000년 국무총리를 역임했다. 2011년 85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포스코 명예회장과 포스코청암재단 이사장을 지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김도근가 - 김세연 (1972년)
    김세연은 1972년생으로 서울대학교에서 국제경제학을 전공하고 ㈜동일고무벨트 대표이사를 역임했으며, 제18대, 제19대, 제20대 국회의원을 지내고 바른정당, 자유한국당 등에서 활동하며 2022년부터 한국스마트헬스케어협회 회장을 역임하고 있는 정치인이다.
  • 포스코그룹 사람 - 김만제
    김만제는 1934년생으로 미주리대학교 경제학 박사 출신이며 한국개발연구원 원장, 재무부 장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등 주요 직책을 거쳐 한국 경제 정책 수립에 기여한 경제학자이자 관료, 기업인, 정치인으로, 삼성생명과 포항제철 회장을 역임하고 국회의원으로도 활동하며 은탑산업훈장, 국민훈장 무궁화장, 청조근정훈장 등을 수훈했다.
  • 포스코그룹 사람 - 정준양
    정준양은 서울대학교 출신으로 포스코 CEO, 한국철강협회 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광양제철소 소장 재임 시절 고품질 자동차 강판 국산화에 성공한 기업인이다.
  • K리그 명예의 전당 헌액자 - 이동국
    이동국은 1998년 포항 스틸러스에서 프로 데뷔하여 독일 리그를 거쳐 K리그 최다 득점 기록을 세우고 국가대표로도 활약한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다.
  • K리그 명예의 전당 헌액자 - 신태용
    신태용은 대한민국 축구 선수, 지도자, 해설가로 활동하며, 선수 시절 성남 일화 천마에서 활약하고 K리그 MVP를 수상했으며, 지도자로서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달성하고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활동한다.
박태준 (1927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박태준
로마자 표기Bak Taejun
한자 표기朴泰俊
청암 (靑岩)
출생일1927년 10월 24일
출생지일제강점기 경상남도 동래군 장안면
사망일2011년 12월 13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
국적대한민국
종교개신교 (예장통합)
본관밀양
거주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대저택
부모박봉관(부), 김소순(모)
배우자장옥자
자녀1남 4녀
웹사이트포스코역사관
학력
최종 학력단국대학교
학력와세다대학교 (중퇴), 육군사관학교 6기
경력
주요 경력POSCO 창립자 및 회장, 대한민국 육군 장군, 국무총리
국회의원제11·13·14대 국회의원 (전국구), 제15대 국회의원 (경북 포항시 북구)
군 경력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비서실장, 국가재건최고회의 상공분과위원장
군 복무대한민국 육군 1948년 3월 ~ 1963년 9월 22일
정당무소속
직업기업인, 정치인, 군인
정치 경력
직책국무총리
대수32
임기 시작2000년 1월 13일
임기 종료2000년 5월 18일
대통령김대중
전임김종필
후임이한동
훈장 및 수상
훈장충무무공훈장 (1950, 1952)
화랑무공훈장 (1951, 1953, 1954)
국민훈장 무궁화장 (1974)
청조근정훈장 (2011. 12. 추서)
수상영국 금속학회 베서머 금상 (1987)
레종도뇌르 훈장 (1990)
노르웨이 국왕 훈장 (1991)
윌리코프상 (1992)
한국경영자대상 (1992)
기타
별명TJ
로마자 호 표기Cheongam

2. 생애

박태준은 1927년 경상남도 동래군 장안면 임랑리(현 부산광역시 기장군 장안읍 임랑리)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부산 등지에서 보냈다. 6세 때 가족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성장했으며, 1945년 와세다 대학 예과에 입학했으나 광복을 맞아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했다.

1947년 남조선경비사관학교(현 육군사관학교) 6기로 입학하여 1948년 대한민국 육군 소위로 임관했다.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1963년 단국대학교 정치학과에서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같은 해 육군 소장으로 예편했다. 군 복무 중 박정희와의 인연을 맺었다.

예편 후 기업인으로 활동하며 1964년 대한중석(현 대구텍) 사장을 거쳐, 1968년 포항제철(현 포스코) 초대 사장으로 취임했다. 그는 '제철보국(製鐵報國)'의 기치 아래 포항제철을 세계적인 철강 기업으로 성장시키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했으며,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설립 등 교육 분야에도 기여했다.

1980년 국가보위입법회의 참여를 계기로 정계에 입문, 민주정의당 소속으로 국회의원과 당 대표를 지냈고, 민주자유당 최고위원을 역임했다. 그러나 김영삼과의 정치적 갈등으로 1992년 포항제철 회장직과 국회의원직에서 물러났다.[43] 김영삼 정부 시절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1997년 정계에 복귀하여 자유민주연합 총재를 맡았고, DJP 연합을 통해 정권 교체에 기여했다. 김대중 정부에서 2000년 국무총리에 임명되었으나 개인적인 문제로 4개월 만에 사임했다.[44][45]

이후 포스코 명예회장 등으로 활동하다 2011년 12월 13일, 흉막섬유종 후유증으로 인한 급성 폐 손상으로 향년 85세를 일기로 사망했다.[46] 국립서울현충원 국가사회유공자 묘역에 안장되었으며, 사후 세계 철강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7] 주요 상훈으로는 충무무공훈장, 화랑무공훈장, 국민훈장 무궁화장, 프랑스 레종도뇌르훈장 등이 있으며, 사후 청조근정훈장이 추서되었다. 저서로는 《신종이산가족》(1987)이 있다.

2. 1. 유년 시절과 교육

1927년 경상남도 동래군 장안면 임랑리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은 부산 등지에서 보냈다. 6살 때 가족과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그곳에서 성장하였다.

1945년 와세다 대학 예과(예비과정)에 입학했으나, 광복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하였다. 1947년 남조선경비사관학교(현 육군사관학교) 6기로 입학하여 1년 후인 1948년 대한민국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사관생도 시절, 당시 탄도학 교관이자 제1중대장이었던 박정희 대위를 만났는데, 박태준은 어려운 탄도학 문제를 잘 풀어 박정희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고 전해진다.[27]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충무무공훈장(1950, 1952)과 화랑무공훈장(1951, 1953, 1954)을 받았다. 1953년 11월에는 육군대학교에 입학하여 수석으로 졸업하였다.[28] 이후 당시 정부의 고위 관료들에 대한 4년제 대학 학위 이수 요구에 따라, 1961년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정법학부 정치학과에 편입하여 1963년에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2. 2. 군 복무

1947년 남조선경비사관학교 6기로 입학하여 1년 후인 1948년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사관학교 생도 시절, 그의 제1중대장은 당시 탄도학 교관이었던 박정희 대위였다. 박태준은 당시 난제로 알려져 있던 탄도학 문제를 해결하여 박정희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고 전해진다.[27]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충무무공훈장(1950, 1952)과 화랑무공훈장(1951, 1953, 1954)을 받았다. 1953년 11월 육군대학교에 입학하여 수석으로 졸업하였다.[28] 육군사관학교 교무처장을 거쳐 국방부 인사과장을 역임하던 1957년 가을, 당시 군수기지사령관이던 박정희 소장과 재회하였고, 그의 권유로 제25보병사단 참모장에 취임하며 다시 긴밀한 관계를 맺게 되었다.[28][17]

1961년 5.16 군사 정변에는 직접 가담하지 않았다. 이는 그를 신뢰하던 박정희가 쿠데타 실패 시 자신의 가족을 맡아 달라고 부탁했기 때문이라고 알려져 있다.[42][17] 이는 훗날 박태준이 박지만의 후견인을 자처한 배경이 되기도 했다.[42][18]

정변 성공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상공분과위원 등으로 활동하면서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입안에도 관여하였다. 당시 정부의 고위급 관료들에 대한 4년제 대학 학위 이수 요구에 따라, 1961년 단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정법학부 정치학과에 편입하여 1963년에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63년 9월 22일 육군 소장으로 예편하였다.

2. 3. 기업인 활동

육군 소장으로 예편한 후 기업인으로 전향하여, 1964년 대한중석(현 대구텍) 사장에 임명되었다. 그는 부임 1년 만에 회사를 흑자로 전환시키는 경영 능력을 보여주었다.[7] 그가 흑자로 전환시킨 대한중석은 이후 대구텍으로 사명을 변경했으며, 워런 버핏이 투자한 한국 기업 중 하나가 되었다.[7]

1968년 4월, 박정희 정부의 종합제철 건설 계획에 따라 포항제철(현 포스코)의 초대 사장으로 취임하였다. 그는 '제철보국(製鐵報國)'이라는 신념 아래 포항제철 건설을 이끌었으며, 창립 10년 만인 1978년에는 연간 550만 톤의 철강 생산 능력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시켰다.[8] 포스코는 그의 리더십 아래 성장을 거듭하여 2010년에는 세계 3위의 철강업체로 발돋움했다.[8] 포항제철 건설 과정에서 정계의 압력으로 핵심 시설 구매 허가가 나지 않자, 박태준은 당시 대통령이었던 박정희에게 직접 도움을 요청했다. 박정희는 박태준이 필요한 사항을 적은 종이에 직접 서명하여 승인해주며 사업 추진에 힘을 실어주었다는 일화가 있다.[29]

박태준은 포항제철을 경영하며 직원 복리후생 증진에도 힘썼다. 당시 한국 최고 수준의 주택단지를 조성하고, 직원 자녀들을 위한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설립했다. 또한, 1986년에는 미국 캘리포니아 공과대학교를 모델로 하여 포항공과대학교(POSTECH)를 설립하여 고급 과학기술 인재 양성에도 기여했다.

그의 리더십은 해외에서도 높이 평가받았다. 일본 미쓰비시종합연구소는 포스코 성공의 주요 요인으로 박태준의 리더십을 꼽았으며,[14] 미국 스탠퍼드 경영대학원 연구에서도 한국 발전에 있어 그의 리더십이 중요했다고 평가했다.[12]

박태준은 포항제철 설립 당시부터 정치 외풍을 막는 방패 역할을 해왔으나, 1992년 10월 김영삼 정부 출범을 앞두고 김영삼과의 정치적 불화 끝에 포항제철 회장직에서 사임했다.[43] 이후 김영삼 정부 시절 포항제철 협력사로부터 39억여 원을 받은 혐의로 조사를 받았는데, 이는 1992년 민자당 대선 후보 경선 당시 김영삼의 반대편에 섰던 박태준에 대한 표적 수사라는 비판도 제기되었다. 이 혐의는 1995년 대통령 특별사면으로 공소기각되었다.

사후에는 '제철보국의 이념으로 철강 불모지 한국에 일관제철소를 설립해 산업 근대화를 이끈 철강왕'이라는 평가를 받으며 세계 철강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7] 그는 포스코 명예회장과 포스코청암재단 이사장을 역임하며 포스코의 발전에 지속적으로 기여했다.

2. 4. 정치 활동

1980년 국가보위입법회의 경제 제1위원장으로 취임하며 정계에 입문하였다. 1981년에는 민주정의당 소속 전국구 후보로 제11대 국회의원에 당선되어 국회 재무위원장을 지냈다.

1988년 민주정의당 대표를 맡았고, 1990년 노태우, 김영삼, 김종필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하자 최고위원 중 한 명으로 참여하였다.

그러나 김영삼과의 관계는 순탄치 않았다. 박태준은 포항제철 설립 초기부터 정치 외풍을 막는 역할을 자임해왔으나, 1992년 10월 김영삼과의 불화 끝에 포항제철 회장직에서 물러났다.[9][43] 같은 해 10월 5일, 민자당 대통령 후보였던 김영삼의 선거대책위원장직 제안을 거절하고 당직 사퇴서를 제출하며 백의종군을 선언했다.[43] 이러한 갈등 속에서 제14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국회의원직도 사퇴하였다.

김영삼 정부 출범 이후, 박태준은 포항제철 협력사 등으로부터 39억 가량의 뇌물을 받은 혐의로 수사를 받게 되자 한동안 해외에 체류했다. 이는 1992년 민자당 대선 후보 경선 당시 박태준이 김영삼의 반대편에 섰던 것에 대한 정치 보복, 즉 표적 수사라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 사건은 1995년 대통령 특별사면으로 공소기각되었다.

1997년, 김영삼 정부의 경제 정책 실패를 비판하며 포항시 북구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자유민주연합 후보로 출마하여 당선, 성공적으로 정계에 복귀했다. 같은 해 11월 자유민주연합 총재로 추대되었고, 김종필과 함께 김대중 후보를 지지하는 이른바 DJP 연합을 통해 제15대 대통령 선거 승리에 기여했다.

김대중 정부 출범 후인 2000년 1월, 국무총리로 임명되었으나, 부동산 명의신탁 의혹이 불거지면서 취임 4개월 만에 사퇴하였다.[44][45][10][11]

2. 5. 사망

2001년 미국 코넬대학교 병원에서 흉막섬유종 수술을 받았으나, 이후 후유증으로 계속 고통을 받았다.[22][23] 2011년 호흡 곤란으로 치료를 받았고,[22][23] 같은 해 12월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 입원하였다. 결국 2011년 12월 13일,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에서 흉막섬유종 수술 후유증으로 인한 호흡 곤란 증세를 치료받던 중 급성 폐 손상이 발생하여 향년 85세(만 84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46][22][23][30] 그는 포스코가 국가 산업의 동력으로 성장하기를 바란다는 내용의 유언을 남겼다.[46][22][23]

발인일인 2011년 12월 17일 서울특별시 동작동 국립서울현충원 국가사회유공자묘역 17묘역에 안장되었다.[46] 배우자 장옥자와 자녀, 손주들이 유족으로 남았다.

사후 박태준은 세계 철강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명예의 전당 추천위원단은 헌정 이유로 '제철보국의 이념으로 철강 불모지 한국에 일관제철소를 설립해 산업 근대화를 이끈 철강왕'이라는 점을 들었다.[47]

3. 학력

4. 정치 활동 및 역대 선거 결과

1980년 국보위 경제 제1위원장에 취임하며 정계에 입문했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후보로 당선되어 국회 재무위원장을 지냈다. 1988년 제13대 총선에서 민주정의당 전국구 후보로 재선되었고, 당 대표를 역임했다. 1990년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창당되자 최고위원으로 참여했으며, 1992년 제14대 총선에서 민주자유당 전국구 후보로 3선에 성공했다.

그러나 김영삼과의 관계가 악화되면서 1992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국회의원직을 사퇴했다. 같은 해 10월에는 포스코 회장직에서도 물러났는데, 이는 김영삼 정부와의 불화 직후 이루어진 일이다.[9] 김영삼 정부 시절, 포스코 하청업체로부터 약 39억을 받은 혐의로 기소되어 해외에 머물기도 했다. 당시 정권 차원의 표적 수사라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으나, 본인이 금품 수수 사실 자체는 인정하여 재판이 진행되던 중 1995년 대통령 특별사면으로 공소 기각되었다.

1997년 7월,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국회의원 보궐선거에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김영삼 정부의 경제 실정을 비판하며 당선, 4선 의원으로 정계에 복귀했다. 같은 해 11월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하여 총재로 추대되었고, 김종필과 함께 김대중 후보의 제15대 대통령 당선을 지지하는 이른바 'DJT 연합'을 이끌었다.

김대중 정부 출범 후 2000년 1월 국무총리에 임명되었으나, 부동산 명의신탁 의혹이 제기되어 취임 4개월 만에 사퇴했다.[10][11] 이후 법원은 해당 의혹이 사실무근임을 판결했다.

=== 역대 선거 결과 ===

연도선거 종류대수직책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순위결과비고
1981총선11대국회의원전국구민주정의당5,776,624표 (35.6%)전국구 17번당선초선
1988총선13대국회의원전국구민주정의당6,670,494표 (34.0%)전국구 6번당선재선
1992총선14대국회의원전국구민주자유당7,923,718표 (38.5%)전국구 2번당선3선
19977.24 재보선15대국회의원경북 포항시 북구무소속47,884표 (51.2%)1위당선4선


5. 기업 경영 활동

1963년 육군 소장으로 예편한 후 기업인으로 활동을 시작했다. 1964년 대한중석`(현 대구텍)` 사장으로 임명되어 1년 만에 회사를 흑자로 전환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7] 대한중석은 이후 워런 버핏이 투자한 몇 안 되는 한국 기업 중 하나가 되었다.[7]

1968년 4월에는 포항종합제철`(현 포스코)`의 초대 사장으로 취임하여 제철소 건설을 이끌었다. 그의 주도 하에 포항제철은 설립 10년 만인 1978년에는 연간 550만 톤의 철강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성장했으며,[8] 이후 세계적인 철강 회사로 발돋움했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74년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훈했으며, 1987년에는 영국 금속학회로부터 베서머 금상을 받았다. 또한, 1975년부터 1990년까지 한국철강협회 회장을 역임하는 등 철강 산업 발전에 기여했다.

교육 분야에도 관심을 기울여 1986년에는 포항공과대학교를 설립했다.

그러나 1992년 10월, 김영삼 정부와의 불화 속에서 포항제철 회장직에서 사임했다.[43] 당시 그는 민주자유당의 대통령 후보였던 김영삼의 선거대책위원장직을 거절하고 백의종군을 선언했으며, 이는 정권과의 관계 악화로 이어졌다. 김영삼 정부 출범 후, 포항제철 협력사로부터 39억의 뇌물을 받은 혐의로 기소되었으나, 당시 대선 후보 경선 과정에서 김영삼의 반대편에 섰던 정치적 배경 때문에 표적 수사라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이 사건은 1995년 대통령 특별사면으로 공소 기각되었다.

5. 1. 포스코 경영 철학 및 리더십

박태준의 경영 철학은 '제철보국'(製鐵報國, 제철로써 나라에 보답한다)이라는 이념으로 대표된다. 이는 그가 사후 세계 '철강 명예의 전당'에 헌정될 때의 주요 근거로 언급되기도 했다. 추천위원회는 그를 "제철보국의 이념으로 철강 불모지 한국에 일관제철소를 설립해 산업 근대화를 이끈 철강왕"으로 평가했다.[47]

그의 리더십은 국내외 연구기관에서도 높이 평가받았다. 일본미쓰비시종합연구소는 포스코 성공의 핵심 요인으로 "박태준 회장의 탁월한 리더십"을 지목했으며,[14] 스탠퍼드 경영대학원의 연구 보고서 역시 한국 경제 발전에 있어 그의 리더십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12]

박태준은 품질과 원칙을 중요시하는 경영 스타일을 고수했다. 1977년 포항 제3기 설비 공사 당시, 발전송풍 설비에서 부실 공사가 발견되자 공정률이 80%에 달했음에도 불구하고 과감히 해당 부분을 폭파하고 재시공하도록 지시한 일화는 그의 엄격한 품질 관리 원칙을 보여준다.[27]

포스코 설립 초기, 선진 제철 기술 확보는 중요한 과제였다. 박태준은 기술 도입을 위해 신일본제철의 이나야마 요시히로 회장과의 관계 구축에 힘썼다. 그는 "물건을 훔치는 것은 나쁜 짓이지만, 마음을 훔치는 것은 좋은 것이며 전략적인 일"이라고 회고하며, 인간적인 관계를 통해 기술 도입의 장벽을 넘으려 노력했음을 시사했다. 실제로 이나야마 회장의 개인적인 지원 약속에도 불구하고, 신일본제철 내부에서는 기술 유출에 대한 저항이 있었다. 그러나 박태준은 결국 제철소 운영의 핵심인 규정집(기술 매뉴얼), 설계도면, 기계 사양 등 방대한 기술 자료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32][33] 그는 "친해져야 모든 것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전략이 없다면 기술을 도입할 수 없다. 이렇게 사람의 마음을 얻어야 기술까지,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하며 사람의 마음을 얻는 것의 중요성을 역설했다.[32]

인재 양성에도 관심을 기울여 하버드 경영대학원서울대학교 관련 사업에 기여했으며,[14] 직원들의 복지 향상에도 힘썼다. 포스코 직원들을 위한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조성했고, 특히 자녀 교육 환경을 고려하여 단지 내에 최고 수준의 유치원을 설립하는 등 주거 환경 개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12]

6. 사회 공헌 활동

박태준은 포스코 직원들을 위한 아파트 단지를 조성했으며, 특히 어린이를 위한 유치원을 포함한 최고 수준의 주택 단지를 만드는 데 관심을 기울였다.

교육 분야에 대한 기여도 두드러진다. 1971년에는 6000만의 기금으로 포항제철장학재단을 설립했다.[4][15] 이 재단은 이후 여러 차례 명칭이 변경되어 1996년에는 포항철강장학재단, 2002년에는 포스코장학재단으로 바뀌었고, 2005년에는 최종적으로 포스코청암재단으로 개편되었다.[4][15] 포스코청암재단은 포스코 직원들의 교육비 지원, 학생들의 해외 박사 학위 취득 지원,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의 학교 지원 등 다양한 장학 및 교육 지원 사업을 펼쳤으며, 2007년에는 포스코청암상을 제정하여 사회 발전에 기여한 인물들을 시상하고 있다.[4][15]

또한, 1986년에는 대한민국 과학기술 발전을 이끌 인재 양성을 목표로 포항공과대학교(POSTECH)를 설립했다.[4][15]

7. 상훈

(Großes Goldenes Ehrenzeichen am Bande für Verdienste um die Republik Österreich|오스트리아 공화국 공로명예장 대훈장de)오스트리아1979년대공로훈장페루1981년십자대훈장브라질1983년공로십자훈장독일1987년베세머 금메달[13]영국 금속학회1987년남십자성훈장브라질1987년대십자공로훈장페루1990년레지옹 도뇌르 훈장 (코망되르)프랑스1992년베르나르도 오이긴스 대십자훈장칠레1993년은성공로대훈장오스트리아1996년제2회 운경상운경재단1999년훈일등 욱일대수장일본2011년미국 금속 시장 철강 명예의 전당 헌액[16]미국 금속 시장2011년청조근정훈장 (추서)대한민국



국가위원회는 박태준이 받은 7개의 훈장(충무무공훈장 2개, 화랑무공훈장 3개, 국민훈장 무궁화장, 금탑산업훈장) 중 금탑산업훈장을 제외한 6개를 재제작하여 2011년 그의 영결식장에 안치했다.[12] 2011년, 한국을 산업화된 국가로 변모시킨 공로를 인정받아 미국 금속 시장(American Metal Market)의 '철강 명예의 전당'(Steel Hall of Fame) 초대 헌액자로 선정되었다.[16]

8. 어록

9. 평가

박태준은 대한민국 산업화의 상징적인 인물 중 하나로, '철강왕'이라는 별칭과 함께 포항제철(현 포스코)을 설립하고 세계적인 기업으로 키워내 한국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47] 특히 제철보국(製鐵報國)의 신념으로 철강 불모지였던 한국에 일관제철소를 건설하여 중화학 공업의 토대를 닦은 공로는 높이 평가된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박정희 정권과의 깊은 관계 속에서 성장했으며, 전두환 정권 하에서 국가보위입법회의 위원으로 활동하며 정계에 입문하는 등 권위주의 정권과의 관계는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김영삼 정부와의 갈등으로 인한 수사 논란이나 김대중 정부 시절 국무총리 재임 중 부동산 명의신탁 의혹으로 불명예 퇴진한 사건[44][45] 등 정치적 부침과 논란 또한 존재한다. 이처럼 그의 삶과 활동에 대해서는 공과(功過)에 대한 다양한 시각이 교차한다.

9. 1. 긍정적 평가

국가재건최고회의 상공분과위원 등으로 활동하며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입안에 관여하였다. 1964년 대한중석 사장으로 임명되어 1년 만에 회사를 흑자로 전환시키는 경영 능력을 보였다.

가장 큰 업적으로는 포항제철의 설립과 성공적인 경영이 꼽힌다. 1968년 초대 사장으로 취임하여 '제철보국(製鐵報國)'의 이념 아래 10년 만에 연간 550만 톤의 철강을 생산하는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시켰다. 이는 대한민국 중화학공업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고 국가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정치 외풍으로부터 포스코를 지키기 위해 노력했으나, 김영삼 정부와의 불화로 1992년 회장직에서 물러나기도 했다.[43] 이후 1997년 대한민국 대통령 선거에서는 김대중 후보의 당선을 지원하였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국민훈장 무궁화장(1974), 영국 금속학회 베서머 금상(1987), 프랑스 레종도뇌르훈장(1990), 노르웨이 국왕 훈장(1991), 윌리코프상, 한국경영자대상(1992) 등 국내외에서 다수의 권위 있는 상을 받았다. 사후에는 청조근정훈장이 추서되었으며, '제철보국의 이념으로 철강 불모지 한국에 일관제철소를 설립해 산업 근대화를 이끈 철강왕'이라는 평가와 함께 세계 '철강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47]

9. 2. 부정적 평가

박정희 정권 시절 국가재건최고회의 상공분과위원으로 활동하며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입안에 관여했고, 5.16 군사 정변 당시 박정희로부터 쿠데타 실패 시 가족을 부탁받을 정도로 신뢰 관계를 유지했다는 점에서 권위주의 정권과의 관계가 깊었다.[42] 1980년 전두환 정권 하에서 국가보위입법회의 경제 제1위원장을 맡으며 정계에 입문했고, 이후 민주정의당 소속으로 국회의원과 당 대표를 지냈으며, 3당 합당 후에는 민주자유당 최고위원을 역임하는 등 정치적 행보를 이어갔다. 이러한 배경은 포항제철(현 포스코)의 설립과 성장 과정에서 정권과의 유착 관계가 있었던 것이 아니냐는 비판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김영삼 정부 출범을 앞두고는 관계가 악화되었다. 1992년 민주자유당 대통령 후보 경선에서 김영삼의 반대편에 섰던 박태준은 제14대 대통령 선거 직전인 1992년 10월, 포항제철 회장직과 국회의원직을 모두 사퇴했다.[43] 김영삼 정부 출범 후 포항제철 여러 협력사로부터 39억 가량의 자금을 받은 혐의로 수사를 받게 되자 한동안 해외에 머물러야 했다. 당시 정치적 상황 때문에 이는 김영삼 정부의 '표적 수사'라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었다.[9]

1997년 자유민주연합에 입당하여 포항시 북구 보궐선거에서 당선되어 정계에 복귀했으며, 자유민주연합 총재로서 김종필과 함께 김대중의 제15대 대통령 선거 당선을 도왔다.

김대중 정부 시절인 2000년에는 국무총리로 임명되었으나, 부동산 명의신탁 의혹이 불거지면서 취임 4개월 만에 불명예스럽게 사퇴했다.[44][45] 이후 법원에서 해당 혐의가 허위라는 판단이 내려졌다는 내용도 있다.[10][11]

10. 기타

10. 1. 가족 관계

본관은 밀양 박씨이다.[26] 슬하에 아들 1명과 딸 4명을 두었다.[34]

둘째 딸 박유아는 화가[34], 이화여자대학교에서 미술을 전공하고[21] 미국에서 미술사와 드로잉을 공부했다.[21] 1984년 당시 판사였던 고승덕과 결혼하여[21][34] 1987년 딸 고현정(Candy Koh)을 낳았으나[21], 2002년에 이혼했다.[34][35]

셋째 딸은 전직 국회의원 김진재의 동생과 결혼했다.[34]

넷째 딸 박경아는 파슨스 디자인 스쿨을 졸업했으며[34][36], 1988년 전두환 전 대통령의 차남 전재용과 결혼했으나 1990년에 이혼했다.[34][36] 이후 1991년, 투자 회사 MBK파트너스의 창업주인 김병주(Michael Kim)와 재혼했다.[34][37][39] 두 사람의 아버지가 군대 동기였던 인연으로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39] 김병주는 1963년 진해구 출생으로[37], 하버포드 대학교와 하버드 경영대학원을 졸업하고 골드만삭스, 칼라일 그룹 아시아 지사장 등을 거쳐[39] 2005년 아시아 지역 기반의 사모펀드 회사인 MBK파트너스를 설립했다.[38][39] MBK파트너스는 홈플러스 등 다수의 기업을 인수한 바 있다.[39]

10. 2. 대중 매체

10. 3. 인간 관계

박태준은 군 복무 시절부터 다양한 인물들과 관계를 맺었다.

=== 정치인 ===

=== 기업인 ===

=== 기타 ===

참조

[1] 뉴스 Park Tae-joon, Founder of a Giant in Steel, Dies at 84 https://www.nytimes.[...] 2011-12-13
[2] 웹사이트 Timeline -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http://wwwhome.poste[...]
[3] 웹사이트 Pohang Steelers Archives - The Steel Wire http://globalblog.po[...]
[4] 웹사이트 Purpose https://www.postf.or[...]
[5] 웹사이트 POSCO TJ Park Foundation https://www.postf.or[...]
[6] 웹사이트 https://www.fki-emus[...]
[7] 뉴스 Why Warren Buffett Likes "Boring" TaeguTec https://www.cnbc.com[...] 2007-10-29
[8] 웹사이트 Worldsteel top producers 2010 http://worldsteel.or[...] World Steel Association
[9] 웹사이트 朴泰俊거취에 政·財界 술렁 http://dna.naver.com[...]
[10] 웹사이트 주간한국 http://weekly.hankoo[...]
[11] 웹사이트 경제부총리, 당연직 총리대행(?) - 동아일보 http://www.donga.com[...]
[12] 웹사이트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 별세(3보) http://news.naver.co[...]
[13] 웹사이트 Tae-joon Park (1927-2011) https://www.postf.or[...] TJ Park Foundation
[14] 서적
[15] 웹사이트 History https://www.postf.or[...]
[16] 웹사이트 Hall of Fame Inaugural Class http://www.amm.com/H[...]
[17] 웹사이트 李대통령, 故박태준 회장에 청조근정훈장 수여 http://biz.heraldm.c[...]
[18] 웹사이트 박근혜, 언제 입 열까…"MB같이 불통 문제 생길 수 있어" - 머니투데이 http://www.mt.co.kr/[...]
[19] 웹사이트 "아버님·친구·간디 같은 분 인데…" 생전 고인 회고하며 눈물의 추도 - 서울경제 http://economy.hanko[...]
[20] 웹사이트 '선덕여왕 덕만'의 '착한 동생' 박지만의 시련 http://www.ohmynews.[...]
[21] 웹사이트 주식고수로 변신한 고시 3관왕 고승덕 http://stocknjoy.co.[...]
[22] 웹사이트 경제부총리, 당연직 총리대행(?) - 동아일보 https://archive.toda[...] 2007-03-07
[23] 웹사이트 주간한국 http://weekly.hankoo[...] 2000-05-26
[24] 웹사이트 박태준(朴泰俊) https://encykorea.ak[...]
[25] 웹사이트 TJ YS에 설움 앙갚음 http://mnews.imaeil.[...] 1998-04-01
[26] 웹사이트 (2)밀양 박씨(密陽朴氏)-3,031,478명 http://www.seoulecon[...] 2014-07-05
[27] 뉴스 浦項製鉄作成するとき、3〜4時間しか寝ず狂ったように仕事をした(''포철 만들때 3~4시간밖에 안자며 미친듯 일했다'') http://www.hani.co.k[...] 2011-12-13
[28] 뉴스 朴泰俊、偽唐辛子粉売りの顔に拳銃を突きつける(''박태준, 가짜 고추가루 납품업자 얼굴에 권총을 겨누다'') http://premium.chosu[...] 2014-08-05
[29] 뉴스 【コラム】先進国、企業の呼び込みに熱心だが、韓国は…(1) https://japanese.joi[...] 2013-05-31
[30] 뉴스 韓国の朴泰俊元首相が死去=知日派、ポスコを世界企業に http://www.jiji.com/[...]
[31] 웹사이트 부산 기장 여행 중이라면…‘철강왕’ 박태준 기념관 어때요 http://www.kookje.co[...] 2022-08-21
[32] 웹사이트 ポスコ名誉会長「日本の流行歌を歌って新日鉄の技術移転受けた」(1) https://archive.fo/2[...] 2010-10-25
[33] 웹사이트 ポスコ名誉会長「日本の流行歌を歌って新日鉄の技術移転受けた」(2) https://archive.is/2[...] 2010-10-25
[34] 웹사이트 고승덕 반대편에 선 박태준 가문의 사람들 https://www.business[...] 2014-06-02
[35] 웹사이트 [한수진의 SBS 전망대] 문용린 "공작정치? 고승덕, 박태준 사위인지 몰랐다" https://news.sbs.co.[...] 2014-06-02
[36] 웹사이트 전재용이 처음 밝힌 소문의 진실 & 전처 최씨 측 입장|여성동아 https://woman.donga.[...] 2007-05-21
[37] 웹사이트 Forbes profile: Michael Kim https://www.forbes.c[...] 2021-10-05
[38] 웹사이트 ゴディバの日本事業売却について https://ma-jouhouhir[...] 2019-03-13
[39] 웹사이트 Billionaire Michael Kim Closed His $6.5 Billion Fund Amid The Pandemic—He’s Now Ready To Pounce On Deals https://www.forbes.c[...] 2020-07-08
[40] 웹사이트 「炎の中へ」本日(25日)放送スタート!第2の「約束の恋人」になるか、秀作になるか https://kstyle.com/a[...] 2014-04-25
[41] 웹사이트 쟁쟁한 인사들의 ‘친목 네트워크’ 소망교회 http://www.joongang.[...]
[42] 뉴스 박태준 정신이면 못할 것이 없다. http://www.iusm.co.k[...] 울산매일 2011-01-14
[43] 뉴스 朴泰俊거취에 政·財界 술렁 http://dna.naver.com[...] 매일경제신문 1992-10-06
[44] 웹사이트 http://weekly.hankoo[...] 2000-05-26
[45] 뉴스 경제부총리, 당연직 총리대행(?) http://www.donga.com[...] 동아일보 2007-03-07
[46] 뉴스 박태준 포스코 명예회장 별세(3보) http://news.naver.co[...] 연합뉴스 2011-12-13
[47] 뉴스 전 명예회장 故(고) 박태준 '철강 명예의 전당(Steel Hall of Fame)' 등재 http://news20.busan.[...] 부산일보 2012-06-21
[48] 뉴스 조정래, “박태준은 ‘한국의 간디’”] http://news.naver.co[...] 아시아경제 2011-12-17
[49] 웹사이트 https://www.jnpc.or.[...] 1980-12-02
[50] 뉴스 군인의 氣와 기업인의 魂을 가진 박태준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1-12-13
[51] 뉴스 사장 이재용 "회장 박태준 공적 잡스보다 커" http://www.fnnews.co[...] 파이낸셜 뉴스 2011-12-14
[52] 뉴스 대학野球(야구)의간판打者張孝祚(타자장효조) 2千萬(천만)원에浦鐵(포철)로간다 https://newslibrary.[...] 경향신문 1978-06-27
[53] 일반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