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쓸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쓸개는 간의 아랫부분에 위치한 주머니 모양의 기관으로, 쓸개즙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성인의 경우 약 50mL의 쓸개즙을 저장하며, 지방 소화를 돕는 쓸개즙을 농축하여 보관한다. 쓸개는 구조, 미세 해부학적 특징, 변이 및 발생 과정을 가지며, 담석, 쓸개염, 쓸개절제술 후 합병증, 쓸개암 등 다양한 질환과 임상적 중요성을 지닌다. 쓸개는 대부분의 척추동물에게 존재하지만 종에 따라 쓸개관의 형태가 다르며, 일부 동물은 쓸개가 없다. 또한, 문화적으로 대담함이나 용기를 상징하는 단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쓸개 - 쓸개주머니관
    쓸개주머니관은 쓸개에서 시작하여 총간관과 합류하여 총담관을 형성하며, 쓸개즙의 양방향 흐름을 돕는 해부학적 구조이다.
  • 생물의 기관 - 오장육부
    오장육부란 한의학에서 생명 유지 활동을 주관하는 오장(간, 심, 비, 폐, 신)과 소화, 흡수, 배설을 담당하는 육부(담, 소장, 위, 대장, 방광, 삼초)를 통칭하는 기능적, 관계적 개념으로, 음양오행 철학에 기반하여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설명되나 현대 의학에서는 유사과학으로 비판받기도 한다.
  • 생물의 기관 - 머리카락
    머리카락은 털과 털주머니로 구성된 털 기관의 일부로서 몸을 보호하고 보온하며, 모수질, 모피질, 모표피의 3중 구조와 멜라닌 색소로 색깔이 결정되고, 모주기를 거치면서 화학적, 물리적 요인에 따라 성질이 변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배 (해부학) - 식도
    식도는 소화계의 상부 기관으로, 입 뒤에서 시작하여 위까지 연결되며, 음식물 역류를 막고 삼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 배 (해부학) - 비장
    비장은 가로막 아래 위치하여 면역 기능, 혈액 여과, 혈구 생성 및 파괴를 담당하는 인체 장기로, 태아기 혈구 생성, 성인 혈액 내 이물질 제거, 림프구 생성에 관여하며, 비장비대, 비장 파열, 무비증 등의 질환과 역사적으로 우울증과 연관되고 일부 문화권에서 식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쓸개
개요
사람 쓸개의 그림
사람 쓸개의 그림
쓸개는 간 아래에 위치함
쓸개는 간 아래에 위치함
라틴어vesica biliaris, vesica fellea
전구체앞창자
계통소화 계통
동맥쓸개 동맥
정맥쓸개 정맥
신경복강 신경절, 미주 신경
상세 정보
위치간 아래
기능쓸개즙 저장 및 농축
관련 질병담석증, 담낭염, 담낭암

2. 구조

쓸개는 간의 오른엽 아래쪽에 얕게 움푹 들어간 부분에 위치한 기관으로, 살아있는 동안에는 청회색을 띤다.[43] 성인의 쓸개는 완전히 팽창했을 때 길이가 7 ~ 10cm, 직경은 4cm 정도이며 부피는 약 50mL이다.[43][44]

쓸개는 처럼 생겼으며 끝에는 쓸개주머니관으로 열리는 구멍이 있다.[45] 쓸개주머니관 내부에는 관이 꼬이는 것을 방지하는 헤이스터 나선판막이 존재한다.[46] 쓸개는 바닥, 몸통, 목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쓸개바닥은 쓸개의 둥근 끝 부분으로 배벽과 마주하고 있다. 쓸개몸통은 간 아랫면의 오목한 부분에 놓여 있다. 쓸개목은 점점 폭이 가늘어지며 쓸개길의 일부인 쓸개주머니관으로 이어진다.[43] 간구역 IVB와 V가 접하는 부분의 아랫면에는 쓸개바닥과 몸통이 닿아 오목하게 들어간 쓸개오목이 있다.[47] 쓸개주머니관은 온간관과 합쳐져 온쓸개관이 된다. 쓸개목과 쓸개주머니관이 만나는 지점에는 하트만 주머니라고 하는 쓸개목이 팽대되어 형성된 점막 주름이 존재한다.[43][48]

쓸개의 크기, 모양, 위치는 사람마다 다르다.[43] 드물게는 쓸개가 두 개, 심지어는 세 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쓸개들은 각각의 쓸개관을 통해 쓸개즙을 배출하거나, 하나의 공통된 가지를 공유하기도 한다. 또한, 쓸개가 완전히 형성되지 않거나 사이막에 의해 두 엽으로 나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기형은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대부분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55]

쓸개의 간에 대한 위치 또한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간 위에 위치하거나, 간의 왼쪽, 뒤쪽에 위치하는 경우, 혹은 간과 완전히 분리되어 매달려 있는 경우도 보고되었다.[56] 이러한 변이는 매우 드물며, 간의 왼쪽에 쓸개가 위치하는 경우는 1886년부터 1998년까지 과학 문헌에 110건만이 보고되었다.[57][58][43]

해부학적 변이 중 하나로, 쓸개바닥에 접힌 부분이 생겨 프리기아 모자와 유사한 형태를 띠는 프리기안 캡이 발생할 수 있다.[59]

성인 카데바 해부를 통해 쓸개의 림프는 세 가지 경로, 즉 쓸개-이자뒤 경로, 쓸개-복장 경로, 쓸개-창자간막 경로를 통해 운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중 쓸개-이자뒤 경로가 주된 림프 운반 경로이며, 이 세 경로는 왼쪽 콩팥정맥 근처의 대동정맥림프절이나 대동맥주위림프절로 모인다.[49][50]

2. 1. 미세 해부학



쓸개 벽은 여러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쓸개 벽의 가장 안쪽 층은 단층원주상피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피세포에는 창자의 흡수세포와 비슷한 미세융모가 붙어 있다.[43] 상피세포에 나 있는 미세융모를 솔가장자리라고 한다.[51] 쓸개 벽 안쪽의 점막은 구부러지고 작게 돌출되어 점막주름(rugae)을 형성한다.[43] 상피의 아래쪽에는 고유판, 근육층이 차례로 위치하며 바깥쪽에는 근육주위층(perimuscular layer)과 장막이 있다. 다른 위장관계의 기관들과 다르게 쓸개에는 점막근육이 존재하지 않으며, 근섬유가 개별 층으로 배열되지 않는다.[52]

근육층은 점막 아래에 위치하며 평활근으로 이루어져 있다. 근섬유는 세로 방향, 비스듬한 방향, 가로 방향 등으로 주행하며 각 방향으로 가는 근섬유가 개별 층으로 나누어져 있지는 않다. 근육층의 근섬유는 수축하여 쓸개에서 쓸개즙을 내보낸다.[52] 쓸개 벽에는 근육층으로 점막이 함입되어 형성되는 깊은 돌출부인 로키탄스키-아쇼프 굴(Rokitansky–Aschoff sinuses, RAS)이 특징적으로 존재하며, RAS는 샘근종증이라고 부르기도 한다.[53][54] 근육층은 결합조직과 지방조직 층으로 둘러싸여 있다.[43]

쓸개바닥이나 간과 맞닿지 않는 쓸개 면의 바깥층은 배막에 노출된 두꺼운 장막으로 둘러싸여 있다.[43] 장막은 혈관과 림프관을 포함하고 있다.[52] 간과 맞닿는 표면은 결합조직으로 덮여 있다.[43]

2. 2. 변이



쓸개의 크기, 모양, 위치는 사람마다 다르다.[43] 드물게는 쓸개가 두 개, 심지어는 세 개 존재할 수 있다. 여러 개의 쓸개는 따로 쓸개관으로 쓸개즙을 배출할 수도 있고, 쓸개관으로 가는 공통된 가지를 공유할 수도 있다. 쓸개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거나 사이막에 의해 쓸개가 두 엽으로 나누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기형들은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일반적으로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55]

쓸개의 간에 대한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기록된 쓸개 위치의 변이로는 간의 위쪽에 있는 경우, 간의 왼쪽 측면에 있는 경우, 간의 뒤쪽에 있는 경우, 간과 분리되어 있는 경우, 간에 매달린 경우 등이 있다.[56] 이러한 변이들은 매우 드문데, 1886년에서 1998년까지 간의 왼쪽에 쓸개가 놓인 사례가 과학 문헌에 보고된 것은 110건으로 연간 1건 미만이었다.[57][58][43]

프리기안 캡이라는 해부학적 변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변이는 쓸개바닥에 접힌 부분이 생기는 변이이며 프리기아 모자를 닮아 이런 이름이 붙여졌다.[59]

쓸개는 사람마다 크기, 모양, 위치가 다르다. 드물게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쓸개가 공존할 수 있으며, 낭관으로 배출되는 별도의 쓸개이거나 낭관으로 배출되는 공통 분지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쓸개가 전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중격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엽을 가진 쓸개도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상은 기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무증상이다.[7]

간과 관련된 쓸개의 위치도 다양할 수 있으며, 기록된 변형에는 간 내,[8] 위, 간의 왼쪽에, 뒤에, 그리고 간에서 분리되거나 매달려 있는 쓸개가 있다. 이러한 변이는 매우 드물다. 1886년부터 1998년까지 좌측 간의 경우, 연간 1건 미만인 110건의 사례만 과학 문헌에 보고되었다.[9][10]

해부학적 변이로, 프리지아 모자라고 알려진 변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는 바닥에 있는 무해한 주름으로, 프리기아 모자와 닮아서 이름이 붙여졌다.[11]

3. 발생

쓸개는 배아 창자관의 내배엽성 돌출부에서 발생한다. 발생 초기에 사람의 배아는 세 개의 배엽을 가지고 있으며 배아 난황낭과 인접해 있다. 배아발생 2주가 되면 배아가 성장하면서 난황낭 일부를 둘러싸 덮게 된다. 배아로 덮인 부분은 성인 위장관계가 만들어지는 기반이 된다. 이러한 앞창자 일부는 식도, , 창자 등의 위장관계 기관들로 발달한다.

배아발생 4주가 되면 위가 회전한다. 원래 배아의 정중선에 놓여 있던 위는 회전하여 위의 몸통이 왼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렇게 위가 회전하면 위 바로 밑의 위장관 일부에도 영향을 미치며, 이 부분은 나중에 샘창자가 된다. 발생 4주가 끝날 때쯤 발생 중인 샘창자의 오른쪽 부분에서 간싹이라는 작은 주머니 구조가 튀어나오기 시작한다. 간싹은 이후 쓸개길이 된다. 간싹 바로 아래에는 또 다른 튀어나온 부분인 쓸개싹(cystic diverticulum)이 존재하는데, 쓸개싹이 최종적으로 쓸개로 발달한다.[60]

쓸개는 배아 내장의 내배엽 돌출부에서 발달한다. 발생 초기, 인간 배아는 세 개의 배엽을 가지고 있으며 배아 난황낭에 접해 있다. 배아 발생의 두 번째 주 동안, 배아가 성장함에 따라, 이 낭의 일부를 둘러싸고 덮기 시작한다. 덮인 부분은 성인의 위장관의 기초를 형성한다. 이 전장의 부분은 식도, 위, 창자와 같은 위장관의 기관으로 분화되기 시작한다.

배아 발달의 네 번째 주 동안, 위가 회전한다. 원래 배아의 정중선에 위치했던 위는 몸체가 왼쪽에 위치하도록 회전한다. 이 회전은 위 바로 아래의 위장관 부분에도 영향을 미치며, 이 부분은 십이지장으로 발달한다. 네 번째 주가 끝날 무렵, 발달 중인 십이지장은 오른쪽에 작은 돌출부인 간장 돌출부를 싹트기 시작하며, 이 부분은 간담도계가 된다. 이 바로 아래에는 결국 쓸개로 발달할 ''낭성 돌출부''라고 알려진 두 번째 돌출부가 있다.[12]

4. 기능

쓸개의 주된 기능은 음식에 포함된 지방을 소화하는 데 필요한 쓸개즙을 보관하는 것이다. 간에서 만들어진 쓸개즙은 쓸개길을 따라 온간관을 거쳐 쓸개주머니관을 통해 쓸개로 들어가 보관된다. 쓸개는 30~60mL의 쓸개즙을 보관할 수 있다.[64]

지방을 포함한 음식이 위장관계로 들어오면 샘창자와 빈창자의 I세포에서 콜레시스토키닌(CCK)의 분비를 자극한다. 쓸개는 콜레시스토키닌에 반응하여 율동적으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고, 이로 인해 내용물은 온쓸개관으로 이동해 최종적으로는 샘창자로 들어간다. 쓸개즙은 부분적으로 소화된 음식에 포함된 지방을 유화시켜 흡수를 돕는다. 쓸개즙의 주 성분은 과 쓸개즙염이며, 헤모글로빈 대사의 산물인 빌리루빈을 몸에서 제거하는 작용도 한다.[64]

간에서 분비되어 쓸개에 저장될 때의 쓸개즙은 쓸개에서 분비될 때와는 다르다. 쓸개에 보관되는 동안 쓸개즙은 물과 전해질 일부가 제거되면서 3~10배 농축된다.[62] 이러한 농축 과정은 쓸개 상피를 가로지르는 나트륨과 염소 이온의 능동수송에 의해 일어난다.[63] 나트륨과 염소 이온이 능동수송되면 물과 다른 전해질이 재흡수될 수 있는 삼투압이 만들어진다.[64]

담석은 쓸개즙이 포화될 때 주로 콜레스테롤이나 빌리루빈으로 인해 만들어진다.[65] 대부분의 담석은 증상을 나타내지 않지만, 증상이 있다면 배의 오른쪽 윗부분에 심각한 급경련통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65] 담석이 쓸개를 막으면 쓸개염으로 이어질 수 있고, 쓸개길에 박히면 황달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자관을 막으면 이자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66] 초음파 검사를 통해 담석을 진단할 수 있으며, 증상이 나타나는 담석은 자연적으로 지나갈 때까지 기다리거나 수술로 제거하기도 한다.[66] 우르소데옥시콜산 같은 약물이나 쇄석술도 이용된다.[66]

쓸개염은 담석증으로 인해 흔히 발생하며, 담석으로 인해 관이 막히면 쓸개즙이 흐르지 못하고 쌓이면서 쓸개 벽에 압력이 가해져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이 방출될 수 있고 세균 감염의 위험도 있다.[66] 염증이 생긴 쓸개는 날카로운 국소 부위의 통증, 발열, 배의 오른쪽 위에서 나타나는 압통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머피 징후 양성 소견을 보이기도 한다.[66] 휴식과 항생제를 통해 쓸개염을 관리하며, 염증이 심하면 쓸개를 수술로 제거해야 할 수 있다.[66]

쓸개절제술은 담석 재발 시 쓸개를 제거하는 수술로, 개복술과 복강경이 사용된다. 수술 시에는 쓸개목에서 바닥 쪽으로 쓸개를 제거하여 쓸개즙이 간에서 담도로 바로 운반될 수 있도록 한다.[67] 수술 후 환자의 약 30%는 어느 정도 소화불량을 겪을 수 있지만 심각한 합병증은 드물다.[66]

쓸개절제술 후에는 쓸개관 손상, 담즙종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담석이 총담관을 막아 심각한 담즙 울체를 일으키는 경우, 환자는 세포 손상과 황달을 겪게 되며, 응급 치료로 내시경 또는 개복술이 시행된다.

쓸개의 암은 흔하지 않으며 대부분 나이가 들어 발병한다. 암이 발생하는 경우 대부분 쓸개 표면을 싸고 있는 에서 샘암종이 생긴다.[66] 담석은 암의 형성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되며, 1cm보다 큰 쓸개폴립이나 석회쓸개 등의 위험 인자가 있다.[66] 쓸개암은 담도성 통증, 황달, 체중 감소 등을 일으키며 간기능 검사 수치가 올라가기도 한다. 초음파나 CT 스캔 등의 영상의학 검사를 통해 진단하며, 쓸개를 절제하여 치료하지만 예후는 좋지 못한 편이다.[66]

쓸개 질환 진단을 위해 혈액 검사영상 촬영을 활용한다. 일반 혈액 검사로 염증이나 감염의 징후를 확인하고, 빌리루빈이나 간기능 검사를 통해 쓸개길, 쓸개, 간의 염증과 관련이 있는지 파악한다. 담도암 진단을 위해 CA19-9 수치를 측정하기도 한다.[66] 담석이 의심될 때는 초음파를 가장 먼저 실시하는 경우가 많으며, 복부 X선과 CT 스캔도 사용된다.[66] 자기공명쓸개이자조영술(MRCP), ERCP, 경피 또는 수술 중 쓸개관조영술 등도 활용될 수 있다.[66] 쓸개관섬광조영술은 쓸개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핵의학 기술이다.[74]

|섬네일|279px|1. '''쓸개관''': 2. 간내쓸개관, 3. 양쪽 간관, 4. 온간관, 5. 쓸개주머니관, 6. 온쓸개관, 7. 바터팽대부, 8. 큰샘창자유두


9. 쓸개, 10–11. 간오른엽과 간왼엽. 12. 지라.


13. 식도. 14. .

15. '''이자''': 16. 덧이자관, 17. 이자관.


18. '''작은창자''': 19. 샘창자, 20. 빈창자


21–22. 양쪽 콩팥.


간의 위쪽 모서리는 들어 올려졌다. (갈색 화살표)[61]

]]

5. 임상적 중요성

쓸개는 다양한 질환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임상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쓸개염증은 주로 담석증으로 인해 발생하며,[66][20] 담석이 관을 막아 쓸개즙이 쌓이면서 쓸개 벽에 압력이 가해져 염증을 유발하는 물질이 방출되고, 세균 감염의 위험도 증가한다.[66][20] 쓸개염은 날카로운 국소 부위의 통증, 발열, 오른쪽 윗배의 압통 등을 유발하며, 머피 징후 양성 소견을 보이기도 한다.[66][20] 치료는 휴식, 항생제(특히 세팔로스포린, 심한 경우 메트로니다졸) 투여로 이루어지며, 심한 경우 쓸개를 제거하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66][20] 급성 담낭염의 대부분은 담석과 관련되어 있다.

쓸개절제술은 담석 재발 시 쓸개를 제거하는 수술로, 응급 상황이 아니므로 예정수술로 진행된다. 수술은 개복술 또는 복강경을 통해 이루어지며, 쓸개목에서 바닥 쪽으로 쓸개를 제거하여 쓸개즙이 간에서 담도로 바로 운반되도록 한다.[67] 수술 후 약 30%의 환자는 어느 정도 소화불량을 겪을 수 있지만 심각한 합병증은 드물다.[66] 그러나 약 10%는 만성 질환인 쓸개절제술후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다.[68] 담석이 총담관을 막아 심각한 담즙 울체를 유발하는 경우, 환자는 세포 손상과 황달을 겪게 되며, 응급 치료로 내시경 또는 개복술을 시행한다.

쓸개절제술 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으로는 쓸개관 손상이 있으며, 특히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에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69] 쓸개관 손상을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내시경, 영상의학, 수술 시설이 잘 갖춰진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69] 담즙종은 복강 내에 쓸개즙이 고이는 현상으로, 쓸개절제술 후 0.3~2% 확률로 발생하며, 쓸개즙이 새어 나오면서 발생한다.[70] 담석이 총담관을 막는 경우 심각한 담즙 울체를 유발하여 세포 손상과 황달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응급 치료로 내시경 또는 개복 수술을 통해 치료한다.

쓸개 은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며, 주로 노년층에서 발병한다. 대부분 쓸개 표면의 에서 발생하는 샘암종이며,[66] 담석은 암 형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 외 위험 요인으로는 1cm보다 큰 쓸개폴립이나 석회화가 많이 일어난 석회쓸개 등이 있다.[66] 쓸개암은 담도성 통증, 황달(피부의 황변), 체중 감소 등을 유발하며, 배에서 쓸개가 비대해진 것을 느낄 수도 있다. 간기능 검사 수치, 특히 감마글루타밀트랜스퍼레이스(GGT)와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ALP)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 진단을 위해 초음파나 CT 스캔 등의 영상의학 검사를 시행하며,[66] 쓸개암은 쓸개를 절제하여 치료하지만 예후는 좋지 못한 편이다.[66] 미국 암협회에 따르면 2011년에서 2017년 사이에 확진 판정을 받은 쓸개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19%였다.[71] 쓸개절제술 이후 우연히 쓸개암이 발견되는 경우도 있으며, 전체 쓸개암의 1~3%를 차지한다. 쓸개폴립은 쓸개 벽의 양성 증식 또는 증식과 유사한 병변으로,[72] 크기가 1cm보다 큰 경우 암과 관련될 수 있다.[66] 쓸개 콜레스테롤 침착증(과도한 콜레스테롤에 의한 쓸개 벽의 변화)과 관련되어 있으며, 무증상인 경우가 많아 쓸개암과 마찬가지로 수술 중 발견되기도 한다.[66] 담낭암은 드물지만 심각한 형태의 암이며, 생검 결과는 일반적으로 악성 선종이다. 담낭암은 "자기성 담낭"으로 엑스레이에서 나타나기도 하며, 일반적으로 예후가 좋지 않다.

쓸개 질환 진단을 위해 혈액 검사영상 촬영을 활용한다. 일반 혈액 검사로 염증이나 감염의 징후인 백혈구 수 증가를 확인할 수 있다. 빌리루빈이나 간기능 검사를 통해 염증이 쓸개길, 쓸개, 간의 염증과 관련이 있는지 파악하며, 이자염이 있는 경우 라이페이스아밀레이스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 빌리루빈은 쓸개즙 흐름이 막힌 경우 증가한다. 담도암 진단을 위해 CA19-9 수치를 측정하기도 한다.[66] 담석이 의심될 때는 초음파를 가장 먼저 실시하는 경우가 많으며,[66] 복부 X선과 CT 스캔은 쓸개 및 주변 장기를 검사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영상의학 기술이다.[66] 그 외에도 자기공명쓸개이자조영술(MRCP), ERCP, 경피 또는 수술 중 쓸개관조영술 등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66] 쓸개관섬광조영술은 쓸개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핵의학 기술이다.[74]

5. 1. 담석



담석은 쓸개즙이 포화되면 주로 콜레스테롤이나 빌리루빈으로 인해 만들어진다.[65] 대부분의 담석은 쓸개에 남아 있든 쓸개길을 따라 이동하든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다.[66] 증상이 있다면 배의 오른쪽 윗부분에 심각한 급경련통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65] 담석이 쓸개를 막으면 염증이 생겨 쓸개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 담석이 쓸개길에 박히면 황달이 나타날 수도 있으며, 이자관을 막으면 이자염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66] 초음파 검사를 통해 담석을 진단할 수 있다.[65] 증상이 나타나는 담석이 있다면 자연적으로 담석이 지나갈 때까지 기다리는 경우가 많다.[66] 담석 재발의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수술로 담석을 제거하는 것이 자주 고려되기도 한다.[66] 우르소데옥시콜산 같은 약물이나 담석을 파괴하는 시술인 쇄석술도 이용된다.[66]

담석은 담즙이 포화될 때 형성되며, 대개 콜레스테롤 또는 빌리루빈으로 포화된다.[19] 대부분의 담석은 증상을 일으키지 않으며, 담석은 담낭에 남아있거나 담도계를 따라 이동한다.[20] 증상이 나타나면 상복부의 오른쪽 사분역에 심한 산통성 통증이 느껴진다.[19] 만약 담석이 담낭을 막는 경우, 담낭염이라고 알려진 염증이 발생할 수 있다. 만약 담석이 담도계에 걸리면, 황달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담석이 췌장관을 막으면 췌장염이 발생할 수 있다.[20] 담석은 초음파 검사를 사용하여 진단한다.[19] 증상이 나타나는 담석이 발생하면, 자연적으로 배출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으로 관리하는 경우가 많다.[20] 담석이 재발할 가능성을 고려하여 담낭을 제거하는 수술을 종종 고려한다.[20] 우르소데옥시콜산과 같은 일부 약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담석을 분해하는 비침습적 기계적 시술인 체외 충격파 쇄석술도 사용될 수 있다.[20]

최대 25%의 인간이 콜레스테롤, 레시틴, 그리고 담즙산으로 구성된 담석을 가지고 있다. 이것들은 통상적으로 식사와 관련되어 담낭 수축과 담석이 담관을 통과하면서 산통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미세한 담석이 다수 발생하는 증상을 '''담사'''(증)라고 부르기도 한다. 외과 수술(담낭 절제술)이 가장 일반적인 담석의 근본적인 치료법이다. 그리고 복강경으로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실제로 담낭 절제술은 복강경 수술에서 가장 많이 적용되는 수기 중 하나이다.

담석증의 증가하는 위험과 관련하여 전통적으로 생각되는 다음의 5가지 F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있다.

  • '''F'''emale(여성)
  • '''F'''at(비만)
  • '''F'''air(백인, 다만 최근 연구에서는 논의가 되고 있다)
  • '''F'''orty(중년)
  • '''F'''ertile(임신으로 위험이 증가한다)

5. 2. 염증

쓸개의 염증인 쓸개염은 담석증으로 인해 흔히 발생한다.[66], [20] 담석으로 인해 관이 막히면 쓸개즙이 흐르지 못하고 쌓이면서 쓸개 벽에 압력이 가해지고, 가해진 압력으로 인해 염증을 일으키는 인지질분해효소 등의 물질이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세균 감염의 위험도 있다.[66], [20] 염증이 생긴 쓸개는 날카로운 국소 부위의 통증, 발열, 배의 오른쪽 위에서 나타나는 압통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머피 징후 양성 소견을 보이기도 한다.[66], [20] 휴식과 항생제(특히 세팔로스포린, 심한 경우에는 메트로니다졸)를 통해 쓸개염을 관리한다. 염증이 많이 진행된 상태라면 쓸개를 수술을 통해 제거해야 할 수 있다.[66], [20]

급성 담낭염 사례의 90%는 담석의 존재에 의해 발생한다.

5. 3. 절제

쓸개절제술은 담석 재발 시 쓸개를 제거하는 수술로, 응급 상황이 아니므로 예정수술로 간주된다. 수술 방법으로는 개복술과 복강경이 사용된다. 수술 시에는 쓸개목에서 바닥 쪽으로 쓸개를 제거하여 쓸개즙이 간에서 담도로 바로 운반될 수 있도록 한다.[67]

수술 후 환자의 약 30%는 어느 정도 소화불량을 겪을 수 있지만, 심각한 합병증은 드물다.[66] 그러나 약 10%의 경우에는 만성 질환인 쓸개절제술후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다.[68]

담석이 총담관을 막아 심각한 담즙 울체를 일으키는 경우, 환자는 세포 손상과 그에 따른 황달을 겪게 되며, 응급 치료로 내시경 또는 개복술이 시행된다.

5. 4. 합병증

쓸개절제술 후에는 여러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가장 흔한 합병증 중 하나는 쓸개관 손상이다. 이는 쓸개관의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특히 복강경을 이용한 쓸개절제술에서 더 흔하게 나타난다.[69] 쓸개관 손상을 제때 진단하고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하거나 심지어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따라서 내시경, 영상의학, 수술 시설이 잘 갖춰진 병원에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69]

담즙종은 복강 내에 쓸개즙이 고이는 현상이다. 쓸개절제술 후 0.3~2%의 확률로 발생할 수 있으며, 쓸개즙이 새어 나오면서 발생한다.[70] 다른 원인으로는 쓸개길 수술, 간 생검, 복부 외상, 드물게는 자발적 천공 등이 있다.[70]

담석이 총담관을 막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심각한 담즙 울체를 유발한다. 이로 인해 세포가 손상되고 황달이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응급 치료가 필요하며, 내시경 또는 개복 수술을 통해 치료한다.

5. 5. 암

쓸개의 암은 흔하지 않으며 대부분 나이가 들고 발병한다. 암이 발생하는 경우 대부분 쓸개 표면을 싸고 있는 에서 샘암종이 생긴다.[66] 담석은 암의 형성과 관련된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위험 인자에는 1cm보다 큰 쓸개폴립이나 석회화가 많이 일어난 석회쓸개가 있다.[66]

쓸개암은 담도성 통증, 황달(피부가 노랗게 변함), 체중 감소 등의 원인이 된다. 배에서 쓸개가 비대해진 것을 느낄 수 있는 경우도 있다. 간기능 검사 수치, 특히 감마글루타밀트랜스퍼레이스(GGT)와 알칼리성 인산가수분해효소(ALP) 수치가 올라가기도 한다. 영상의학 검사로는 초음파나 CT 스캔을 선택지로 고려할 수 있다.[66] 쓸개암은 쓸개를 절제하여 치료하지만 2010년 기준으로 예후는 아직 좋지 못하다.[66] 미국 암협회에 따르면 2011년에서 2017년 사이에 확진 판정을 받은 쓸개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은 19%였다.[71]

쓸개절제술 이후에 쓸개암을 우연히 발견하기도 하며 이렇게 확인되는 경우의 비율은 전체 쓸개암의 1 ~ 3% 정도이다. 쓸개폴립은 쓸개 벽의 양성 증식, 혹은 증식과 닮은 병변으로[72] 크기가 1cm보다 큰 경우에는 암과 관련된다.[66] 쓸개 콜레스테롤 침착증(과도한 콜레스테롤에 의한 쓸개 벽의 변화, "딸기 쓸개"[73])과 관련되어 있으며, 증상이 없는 경우가 자주 있으므로 쓸개암과 마찬가지로 수술 중 발견되기도 한다.[66] 담낭암은 드물지만 심각한 암의 형태이기도 하다. 생검 결과는 일반적으로 악성 선종이다. 담낭암은 "자기성 담낭"으로 엑스레이에서 나타나기도 한다. 담낭암은 일반적으로 예후가 좋지 않다.

5. 6. 검사



쓸개 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혈액 검사영상 촬영을 활용한다. 일반 혈액 검사로 염증이나 감염의 징후인 백혈구 수 증가를 확인할 수 있다. 빌리루빈이나 간기능 검사를 통해 염증이 쓸개길, 쓸개, 간의 염증과 관련이 있는지 파악하며, 이자염이 있는 경우 라이페이스아밀레이스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 빌리루빈은 쓸개즙 흐름이 막힌 경우 증가한다. 담도암 진단을 위해 CA19-9 수치를 측정하기도 한다.[66]

담석이 의심될 때는 초음파를 영상의학 검사 중 가장 먼저 실시하는 경우가 많다.[66] 복부 X선과 CT 스캔은 쓸개 및 주변 장기를 검사하는 데 사용되는 다른 영상의학 기술이다.[66] 자기공명쓸개이자조영술(MRCP), ERCP, 경피 또는 수술 중 쓸개관조영술 등도 선택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66] 쓸개관섬광조영술은 쓸개의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핵의학 기술이다.[74]

[[File:Ultrasonography_of_sludge_and_gallstones,_annotated.jpg|thumb|복부 초음파 검사에서 담낭 슬러지와 담석이 보인다.

6. 다른 동물들에서

대부분의 척추동물은 쓸개가 있지만 쓸개관의 형태와 배열은 종에 따라 다양하다. 사람에게는 하나의 온쓸개관이 발견되지만, 많은 종에서는 창자로 연결되는 여러 개의 쓸개관이 존재한다. 포유류 중에서는 , 사슴, , 라마족, 당나귀, 낙타, 코끼리, 코뿔소, 고래 등이, 조류 중에서는 비둘기와 일부 앵무아과 종이, 그리고 칠성장어목과 모든 무척추동물은 쓸개가 없다.[79][80] 간이 커지면서 쓸개도 커져야 하지만, 고래, 코끼리, 코뿔소와 같이 덩치가 큰 포유류는 해부학적 구조가 특이하여 쓸개가 없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들은 간에서 담즙알코올이 많이 합성된다.[78]

의 쓸개즙은 중의학에서 사용되며, 특히 사육곰은 쓸개즙 채취를 목적으로 사육되기 때문에 동물 학대 문제가 심각하다.[81][82] 곰의 쓸개를 건조시킨 약재를 '''웅담'''(熊膽)이라고 하며, 과거 권력자들의 전유물로 여겨졌으나 효능에 대한 논란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83] 웅담은 와신상담 고사에도 등장하며, 과거에는 원숭이의 쓸개가 대용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용궁 설화에서는 오토히메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 해파리원숭이의 간을 구하러 가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7. 역사

기원전 2000년경 바빌로니아의 찰흙 모형과 기원전 200년경 에트루리아의 모형에서 쓸개와 쓸개길이 묘사되었는데, 이는 신성한 숭배와 관련이 있었다.[85]

기원전 1500년경 테베의 아메넨 공주 미라에서 여러 개의 담석이 발견됨에 따라 쓸개 질환이 고대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85][84] 일부 역사학자들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죽음이 급성 쓸개염과 관련되었을 가능성을 제기한다.[85] 쓸개의 존재는 5세기부터 알려졌으나, 기능과 질환에 대한 기록은 비교적 최근에 나타났으며,[84] 특히 19세기와 20세기에 많은 기록이 만들어졌다.[85]

르네상스 시대에 담석에 대한 설명이 처음 나타났는데, 이전에는 육류보다 곡물과 야채 위주의 식사를 했기 때문일 수 있다.[86] 1506년 안토니우스 베네비니우스는 증상과 담석의 연관성을 처음으로 밝혔다.[86] 루트비히 게오르크 쿠르부아지에는 1890년 여러 사례를 조사한 후, 쓸개가 비대해져 있고 압통이 없다면 황달의 원인이 담석일 가능성이 낮다는 쿠르부아지에 법칙을 제시했다.[85]

1676년 의사 조에니시우스가 배벽의 쓸개길샛길에서 담석을 제거한 것이 담석을 수술적으로 제거한 최초의 사례이다.[85] 1867년 스토 홉스가 최초의 기록이 남은 쓸개창냄술을 시행했지만,[86] 18세기 중반 프랑스의 외과의 장루이 프티가 먼저 쓸개창냄술에 대해 기술했다.[85] 독일의 외과의 카를 랑겐부흐는 1882년 담석증 환자를 대상으로 쓸개절제술을 처음 시행했다.[84] 이전의 수술은 담석을 내보내기 위해 샛길을 만드는 데 집중했다.[85] 랑겐부흐는 쓸개가 없는 여러 포유류 종을 근거로 사람도 쓸개 없이 생존할 수 있다고 추론했다.[85]

쓸개 전체를 절제할지, 담석만 절제할지에 대한 논쟁은 1920년대에 쓸개 절제 쪽이 더 선호된다는 합의로 해결되었다.[84] 20세기 중후반이 되어서야 조영제나 CT 스캔 등의 영상의학 기술이 활용되어 쓸개를 볼 수 있게 되었다.[85] 복강경을 통한 쓸개절제술은 1985년 독일의 에리히 뮈헤가 처음 시행했지만, 프랑스 외과의인 필리프 무레와 프랑수아 뒤부아가 각각 1987년과 1988년에 시행한 수술을 최초로 보는 견해도 있다.[87]

8. 사회와 문화

'Gall'이 들어가면 대담한 태도에 관한 의미를, 'bile'이 들어가면 쓴맛과 관련된 의미를 갖게 된다.[88] 한국에서도 '쓸개'는 '대담'과 '줏대'를 상징하는 말로 사용된다. '담력(膽力)'이나 '대담(大膽)'과 같은 한자어에서는 '담대함'이라는 의미를, '쓸개 빠진 놈'과 같은 관용 표현에서는 '줏대'라는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89]

중국어에서 쓸개(膽)는 용기와 관련되어 쓰이며 많은 관용구에 들어간다. 관용구의 예시에는 '용감한 사람'을 뜻하는 혼신시담/渾身是膽중국어 (혼신시담)이나, '일당백의 영웅'을 뜻하는 고담영웅/孤膽英雄중국어 (고담영웅)이 있다.[90]

중의학의 오장육부 이론에서는 쓸개가 소화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결정을 내리는 역할을 한다고 본다.[90] 한의학에서는 공포나 놀람과 관계가 있는 내장으로 간, 쓸개, , 심장 등을 들고 있다. 이 중 간과 쓸개를 함께 쓴 '간담(肝膽)'은 속마음을 비유적으로 일컫는 말로, '간담이 서늘하다'는 뜻밖의 일을 당하거나 놀랐을 때 사용하는 표현이다.[91]

중의학에서 담낭(膽)은 오행의 목(木)의 기운과 연관되어 있으며, 과하면 호전성, 부족하면 비겁함과 판단력 부재를 나타낸다. 중국어에서는 "온몸이 쓸개 덩어리"(渾身是膽zh-Hant)와 같은 표현으로 대담한 사람을, "고독한 쓸개 영웅"(孤膽英雄zh-Hant)으로 외로운 영웅을, 또는 "그렇게 말할 담력이 있네"와 같은 다양한 관용구와 관련이 있다.[39]

중의학의 장부 이론에서, 담낭은 담즙을 저장하는 특이한 부(Fu) 또는 음양 양(Yang) 기관이다. 담낭은 소화 작용뿐만 아니라 의사 결정과 판단의 자리로 여겨진다.[39]

참조

[1] 서적 Gastrointestinal Physiology http://www.lib.mcg.e[...] Medical College of Georgia 2005-08-22
[2] 서적 Imaging Atlas of the Normal Gallbladder and Its Variants CRC Press
[3] 논문 Anatomy relevant to cholecystectomy 2005
[4] 서적 Shakelford's Surgery of Alimentary Tract 2013
[5] 서적 Wheater's functional histology: a text and colour atlas https://archive.org/[...]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6] 서적 Histology: A Text and Atlas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7] 논문 A double or bilobar gallbladder as a cause of severe complications afte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1995-09
[8] 논문 Laparoscopic approach to the intrahepatic gallbladder. A case report. http://www.grupoaran[...] 2015-02
[9] 논문 Aberrant gallbladder situated beneath the left lobe of liver 2002-03-01
[10] 논문 Sonographic findings of anomalous position of the gallbladder 2014-03-06
[11] 논문 Imaging of gallbladder variants http://www.ajronline[...] 1991-12
[12] 서적 Larsen's human embryology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13] 서적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Churchill Livingstone 2008
[14] 논문 Biliary Sludge Is Formed by Modification of Hepatic Bile by the Gallbladder Mucosa https://www.cghjourn[...] 2005
[15] 논문 Ion transport across the gallbladder epithelium 2005-06
[16] 서적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W.B. Saunders
[17] 논문 The association between cholecystectomy and the risk of colorectal cancer: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cohort studies 2023-06
[18] 논문 Increased Risk of Cancer after Cholecystectomy: A Nationwide Cohort Study in Korea including 123,295 Patients 2022-05
[19] 웹사이트 Cholelithiasis - Hepatic and Biliary Disorders - MSD Manual Professional Edition http://www.msdmanual[...] 2017-10-18
[20] 서적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21] 논문 Antegrade dissection in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22] 웹사이트 Complications of a gallbladder removal http://www.nhs.uk/Co[...]
[23] 논문 Bile duct injury repair: when? what? who?
[24] 서적 Greenberger's CURRENT Diagnosis & Treatment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Endoscopy McGraw Hill Education 2022
[25] 웹사이트 Gallbladder Polyps http://www.mayoclini[...] 2015-03-19
[26] 웹사이트 Strawberry gallbladder http://cancerweb.ncl[...]
[27] 웹사이트 HIDA scan - Overview https://www.mayoclin[...] 2017-10-18
[28] 웹인용 Guanaco: Lama guanicoe http://globaltwitche[...] N. Strömberg
[29] 논문 Anatomy of the Murine Hepatobiliary System: A Whole-Organ-Level Analysis Using a Transparency Method
[30] 서적 The Vertebrate Body Holt-Saunders International
[31] 논문 Complex Evolution of Bile Salts in Birds 2010
[32] 웹사이트 Inside the Disturbing World of Bear-Bile Farming https://news.nationa[...] 2016-05-05
[33] 뉴스 Is the end of 'house of horror' bear bile factories in sight? https://www.theguard[...] 2015-04-09
[34] 서적 Blumgart's Surgery of the Liver, Pancreas and Biliary Tract E-Book: Expert Consult - Online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2
[35] 서적 Acute Cholecystiti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
[36] 서적 Gallstone Disease and its Managem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
[37] 저널 The First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2001-01
[38] 서적 Chinese Medicine Psychology: A Clinical Guide to Mental and Emotional Wellness. Jessica Kingsley Publishers
[39] 저널 Metaphor, Body, and Culture: The Chinese Understanding of Gallbladder and Courage 2003-01-01
[40] 웹사이트 Control of Gastrointestinal Function http://www.lib.mcg.e[...] 2005-08-22
[41] 서적 Gastrointestinal Physiology http://www.lib.mcg.e[...] Medical College of Georgia 2005-08-22
[42] 웹사이트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대한해부학회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
[43] 서적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Churchill Livingstone 2008
[44] 서적 Imaging Atlas of the Normal Gallbladder and Its Variants CRC Press
[45] 저널 Anatomy relevant to cholecystectomy 2005
[46] 저널 Ultrasound of the Gallbladder http://www.clinicalu[...] 2020-05-30
[47] 문서 Shakelford's Surgery of Alimentary Tract, ed.7. 2013
[48] 저널 Hartmann's Pouch Stones and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The Challenges and the Solutions https://www.ncbi.nlm[...]
[49] 저널 An anatomical study of the lymphatic drainage of the gallbladder https://pubmed.ncbi.[...] 1991
[50] 저널 Lymphatic drainage of the gallbladder https://doi.org/10.1[...] 1994-06-01
[51] 웹인용 Definition of BRUSH BORDER https://www.merriam-[...] 2022-08-11
[52] 서적 Wheater's functional histology: a text and colour atlas https://archive.org/[...]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53] 서적 Histology: A Text and Atlas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4] 저널 Rokitansky-Aschoff sinuses of the gallbladder are associated with black pigment gallstone formation: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tudy https://pubmed.ncbi.[...] 2003-07
[55] 저널 A double or bilobar gallbladder as a cause of severe complications after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1995-09
[56] 저널 Laparoscopic approach to the intrahepatic gallbladder. A case report. http://www.grupoaran[...] 2015-02
[57] 저널 Aberrant gallbladder situated beneath the left lobe of liver 2002-03-01
[58] 저널 Sonographic findings of anomalous position of the gallbladder 2014-03-06
[59] 저널 Imaging of gallbladder variants http://www.ajronline[...] 1991-12
[60] 서적 Larsen's human embryology https://archive.org/[...]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61] 서적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Churchill Livingstone 2008
[62] 저널 Biliary Sludge Is Formed by Modification of Hepatic Bile by the Gallbladder Mucosa https://www.cghjourn[...] 2005
[63] 저널 Ion transport across the gallbladder epithelium 2005-06
[64] 서적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W.B. Saunders
[65] 웹인용 Cholelithiasis - Hepatic and Biliary Disorders - MSD Manual Professional Edition http://www.msdmanual[...] 2017-10-18
[66] 서적 Davidson's principles and practice of medicine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67] 저널 Antegrade dissection in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68] 웹사이트 Complications of a gallbladder removal http://www.nhs.uk/Co[...]
[69] 간행물 Bile duct injury repair: when? what? who?
[70] 간행물 Gastroenterology, Hepatology, and Endoscopy
[71] 웹인용 Survival Rates for Gallbladder Cancer https://www.cancer.o[...] 2022-08-12
[72] 웹인용 Gallbladder Polyps http://www.mayoclini[...] 2015-03-19
[73] 웹사이트 Strawberry gallbladder http://cancerweb.ncl[...]
[74] 웹사이트 HIDA scan - Overview https://www.mayoclin[...] 2017-10-18
[75] 웹사이트 Guanaco: Lama guanicoe http://globaltwitche[...] GlobalTwitcher.com
[76] 저널 Anatomy of the Murine Hepatobiliary System: A Whole-Organ-Level Analysis Using a Transparency Method
[77] 웹인용 Morphophysiological Study of Gastrointestinal Tract of the Donkey (Equus asinus) https://www.intechop[...] 2022-08-12
[78] 저널 The role of the gallbladder in humans http://www.revistaga[...] 2013-07-01
[79] 서적 The Vertebrate Body Holt-Saunders International
[80] 저널 Complex Evolution of Bile Salts in Birds 2010
[81] 웹인용 Inside the Disturbing World of Bear-Bile Farming https://news.nationa[...] 2016-05-05
[82] 뉴스 Is the end of 'house of horror' bear bile factories in sight? https://www.theguard[...] 2015-04-09
[83] 웹인용 웅담 https://terms.naver.[...] 2022-08-12
[84] 서적 Blumgart's Surgery of the Liver, Pancreas and Biliary Tract E-Book: Expert Consult - Online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2
[85] 서적 Acute Cholecystiti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5
[86] 서적 Gallstone Disease and its Management https://books.google[...]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2012
[87] 저널 The First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2001-01
[88] 서적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s://archive.org/[...] Clarendon Press
[89] 웹인용 쓸개 빠진 놈 https://terms.naver.[...] 2022-08-14
[90] 저널 Metaphor, Body, and Culture: The Chinese Understanding of Gallbladder and Courage 2003-01-01
[91] 웹인용 간담이 서늘하다와 대담하다 https://terms.naver.[...] 2022-08-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