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크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튀르크족은 튀르크어족 언어를 사용하며 유라시아에 널리 분포한 민족 집단이다. 튀르크라는 명칭은 돌궐을 지칭하는 데서 유래되었으며, 튀르크족은 흉노의 후예로 추정되기도 한다. 튀르크족은 다양한 종교를 수용했으며, 튀르크어족은 튀르크 문자를 통해 기록되었다. 튀르크족은 여러 국가를 건설했으며, 튀르키예,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 키르기스스탄 등이 대표적인 튀르크계 국가이다. 튀르크 문화 기구, 튀르크 국가 기구 등 튀르크 민족 간의 협력을 위한 국제 기구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아의 민족 - 말레이 인종
말레이 인종은 18세기 블루멘바흐가 제시한 인종 분류 용어에서 유래하여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사용자들을 지칭했으나 말레이인과 혼동을 야기하며, 식민 시대 이후 동남아시아에서 다양하게 해석, 사용되어 말레이계 민족과 국가 정체성에 영향을 미쳤고, 현대에는 오스트로네시아인과 구분되어 사용된다. - 아시아의 민족 - 만주족
만주족은 중국 동북부 지역에 거주하는 퉁구스계 민족으로, 후금을 건국하여 청나라를 세우고 중국을 지배했으며, 숙신에서 기원하여 물길, 말갈, 여진 등으로 불리다 만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만주어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한국과도 오랜 역사적 관계를 맺어왔다. - 유럽의 민족 - 이탈리아인
이탈리아인은 고대 로마 시대부터 이어져 온 역사와 문화를 공유하며 다양한 민족 집단의 융합체로 이루어진 이탈리아 공화국의 국민을 가리킨다. - 유럽의 민족 - 로망스족
로망스족은 로망스어를 사용하는 민족들을 통칭하며, 유럽의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 루마니아 등과 중남미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미국에서는 히스패닉 또는 라티노라고도 불린다. - 튀르크족 - 우즈베크인
우즈베크인은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으로, 기원전 2천년기부터 역사가 시작되었으며, 이슬람 문화를 받아들이고 러시아 제국과 소련을 거쳐 1991년 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을 수립했으며, 농업, 목축, 수공업, 상업에 종사하며 튀르크어족의 우즈베크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 튀르크족 - 투르크멘인
투르크멘인은 투르크메니스탄을 중심으로 인접 국가에 거주하는 튀르크계 민족으로, 오구즈 투르크를 조상으로 하며 유목 생활, 여러 제국 지배,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을 거쳐 투르크메니스탄으로 독립했고, 투르크멘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고 독특한 민속 공예와 음악 전통을 지닌다.
튀르크족 | |
---|---|
개요 | |
이름 | 튀르크족 |
언어 | 튀르크어족 |
종교 | 주로 이슬람 (수니파, 시아파) |
소수 종교 | 무종교, 기독교, 불교, 유대교, 토착 샤머니즘 (텡그리 신앙) |
인구 통계 | |
전체 인구 | 1억 7천만 명 이상 |
주요 거주 지역 | 유라시아 |
국가별 인구 분포 | |
튀르키예 | 60,000,000–65,000,000명 |
우즈베키스탄 | 31,900,000명 |
이란 | 15,000,000–20,000,000명 (인구의 18%) |
러시아 | 12,751,502명 |
카자흐스탄 | 12,300,000명 |
중국 | 13,500,000명 |
아제르바이잔 | 10,000,000명 |
유럽 연합 | 5,876,318명 (불가리아 508,375명) |
아프가니스탄 | 4,600,000–5,300,000명 (2017년) |
투르크메니스탄 | 4,233,600명 |
키르기스스탄 | 4,500,000명 |
이라크 | 3,000,000명 |
타지키스탄 | 1,200,000명 |
미국 | 1,000,000명 이상 |
시리아 | 800,000–1,000,000명 이상 |
우크라이나 | 398,600명 |
북키프로스 | 313,626명 |
몽골 | 135,618명 |
레바논 | 200,000명 |
몰도바 | 126,010명 |
북마케도니아 | 81,900명 |
오스트레일리아 | 59,488명 (튀르키예인) |
언어 정보 | |
사용 언어 | 튀르크어족 |
민족적 관계 | |
관련 민족 | 튀르크족 |
2. 어원
"튀르크"라는 용어는 처음에는 단일 튀르크 집단인 돌궐을 지칭했으며, 고대 튀르크어로는 𐱅𐰇𐰼𐰰 ''Türük'' 또는 𐱅𐰇𐰼𐰰:𐰜𐰇𐰛 ''Kök Türük'' (중국어: 突厥, 병음: Tūjué)로 표기되었다.[43][44][45] 6세기의 휘스 톨고이 비문에도 ''türüg'' ~ ''török''으로 언급되었으며, 이는 늦어도 서기 587년 이전의 기록이다.[47][48][49] 585년에 이쉬바라 카간이 수 문제에게 보낸 편지에는 그를 "위대한 튀르크 칸"이라고 묘사했다.[50][51] 부구트 비문(서기 584년)과 오르혼 비문(서기 735년)에서도 ''Türküt'', ''Türk'', ''Türük''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52]
튀르크 민족 및 관련 집단은 현재의 중국 북동부, 몽골, 시베리아, 투르키스탄 지역에서 이란 고원, 남아시아, 그리고 아나톨리아(현대 터키)로 여러 차례 이주했다. 초기 확장의 시기는 알려져 있지 않다.[236]
서기 1세기, 폼포니우스 멜라는 아조프해 북쪽 숲에 사는 ''투르카이''를 언급했고, 대 플리니우스는 같은 지역 사람들 중 ''티르카이''를 언급했다.[53][54][55] 그러나 엘리스 민스는 ''티르카이''가 헤로도토스가 언급한 ''이르카이''의 잘못된 표기이며, 이들은 아마도 마자르족의 우랄 조상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56] ''Tür(ü)k''의 외래어 음역일 가능성이 있는 고대 집단들에 대한 언급도 있지만, 정보 부족으로 이들과 현대 튀르크족의 연관성은 불확실하다.[57][58]
7세기 중국 주서는 "튀르크"라는 이름이 '투구'에서 유래했으며, 알타이산맥에서 일하던 튀르크족이 산 모양에서 이 이름을 따왔다고 설명한다.[59] 언드라시 로나-타시는 호탄-사카어 단어 ''tturakä''('덮개')가 이 민간 어원의 সম্ভাব্য উৎস일 수 있다고 보았지만, 골든은 더 많은 자료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60]
일반적으로 ''Türk''라는 이름은 고대 튀르크어의 이주 용어[61] 𐱅𐰇𐰼𐰰 ''Türük''/''Törük''에서 파생되었으며,[62] '창조된, 태어난'[63] 또는 '강한'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64] 피터 B. 골든은 ''튀르크''라는 용어가 고대 튀르크어에 기원을 둔다는 데 동의하지만,[65] *''tegrek''('수레')을 ''Tujue''(''Türküt'')로 연결하려는 시도에는 확신하지 못한다.[66]
하나다 토루를 포함한 학자들은 ''디'', ''딜리'', ''딩링'', ''칠레'', ''투지에''가 모두 '강력함'과 '힘'을 의미하는 튀르크어 단어 ''Türk''에서 유래했으며, 그 복수형은 ''Türküt''이라고 보았다.[67] 게르하르트 되르퍼는 ''türk''가 '강함'을 의미한다는 주장을 지지하지만, 제라르트 클라우손은 ''türk''가 '강함'의 일반적인 의미로 사용된 적이 없으며, 원래 명사로 "'과일, 인간 등의 성숙의 절정'을 의미했지만, 형용사로 (과일에 대해) '막 익은'; (인간에 대해) '전성기, 젊고 활기찬'"을 의미한다고 지적한다.[68] 하칸 아이데미르 (2022)는 ''Türk''가 "강함, 강력함"이 아니라 "모인; 연합된, 동맹한, 연합된"을 의미하며, 선원시 튀르크어 동사 *''türü'' "쌓다, 수집하다, 모으다, 조립하다"에서 파생되었다고 주장한다.[69]
중국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초기의 튀르크어 사용 민족은 남시베리아의 예니세이 키르기스족과 신리이다.[70] 딩링도 초기 튀르크 인구의 예이다.[75][76][77]
후기 고대 시대와 중세 시대에 "스키타이인"이라는 이름은 그리스-로마 및 비잔틴 문학에서 실제 스키타이족과 관련 없는 폰토스-카스피 스텝의 다양한 유목 "야만인" 집단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었다.[78] 중세 유럽 연대기 작가들은 유라시아 스텝의 다양한 튀르크 민족을 "스키타이인"으로 포괄했다. 서기 400년에서 16세기 사이에 비잔틴 자료는 열두 개의 서로 다른 튀르크 민족을 지칭하는 데 Σκύθαι (''Skuthai'')라는 이름을 사용했다.[79]
현대 터키어에서는 터키 공화국에서 사용되는 것처럼, "튀르크인"과 "튀르크 민족"을 구분한다. "튀르크"는 "터키어를 사용하는" 민족(이 맥락에서 "터키어를 사용하는"은 "튀르크어를 사용하는"과 동일)을, "튀르키"는 현대 "튀르크 공화국"의 민족을 지칭한다. 그러나 이 용어의 적절한 사용법은 언어적 분류에 기반하여 정치적 의미를 피해야 한다. "튀르키"는 "튀르크"에, 또는 그 반대로 사용될 수 있다.[80]
영어에서는 좁은 의미의 튀르크/터키를 ''Turkish'', 넓은 의미의 튀르크/터키인 튀르크계 제 민족 전체를 ''Turkic''이라고 부르며, 러시아어 등 다른 언어에서도 유사하게 구별한다.
일본어에서도 좁은 의미의 터키에 "トルコ(토르코)", 넓은 의미의 터키에 "テュルク(테ュ르크)"를 사용하여 구별하며, 여기에서도 이를 따른다.
중국과 대만 등 중국어권에서는 좁은 의미의 터키를 "土耳其(tǔ'ěrqí, 투얼치)", 넓은 의미의 터키를 "突厥 (tūjué, 투쥐에)"라고 부른다.
모리야스 타카오는 일본 역사학계에서 "테ュルク(테ュ르크)", "チュルク(츄르크)"라는 표기가 자주 보이지만, "터키 민족"이라는 표기를 사용하며, 그 정의를 "당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역사적·언어적 상황을 감안하여, 방언 차이는 있어도 매우 근사한 터키계 언어를 사용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돌궐, 철륵, 회흘, 갈라록, 발실밀, 사타족 등을 통칭하는 호칭"이라고 설명한다.[315]
인종적으로는 동부에서 몽골로이드, 서부에서 코카소이드로 동서로 크게 다르지만,[316] 튀르크 제어를 모어로 하는 민족은 인종에 관계없이 튀르크계 민족으로 정의된다.
3. 역사
흉노 연맹의 주변부에서 튀르크족이 처음 나타난 것은 200년경(중국 한나라와 동시대) ''게쿤''(鬲昆)과 ''신리''(薪犁) 등으로 분리되면서 부터이다. 이후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텔레 사이에서 ''헤구''(紇骨)와 ''쉐''(薛)로 나타났다.[71][72]
텔레(가오처 高車, 문자 그대로 "높은 수레")는 흉노와 정령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텔레족은 6세기에서 8세기 중국 문헌에 처음으로 언급되었다.
"튀르크"라는 정치 용어에 대한 가장 오래된 언급은 중국의 주서에 기록되어 있는데, 서기 540년대 튀르크족이 비단 상품과 무역 관계를 위해 중국 국경에 왔다고 언급한다. [154] 수서와 통전에 따르면, 그들은 핑량(현재 중화인민공화국 간쑤성)에서 유연으로 이주하여 그들의 연맹에 포함되고 지배 왕조로부터 보호받기를 원했던 "혼혈 야만인"(; ''záhú'')이었다.[155][156] 아시나 부족은 금속 세공인이었고, 알타이 산맥 남쪽에 투구처럼 보이는 땅(金山 ''진산'')을 하사받았으며, 그곳에서 "튀르크"(突厥, ''Tūjué'')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163][5] 이는 "튀르크"를 정치적 이름으로 처음 사용한 기록이다. 6세기에는 아시나의 세력이 증가하여 유연의 지배를 받던 철륵을 정복했고, 유연을 전복하고 제1 돌궐 카간국을 세웠다.[236]
원래의 고대 튀르크어 이름 ''Kök Türk''는 "하늘, 하늘색, 파란색, 청회색"을 뜻하는 ''kök'' ~ ''kö:k''에서 유래되었다.[164] 돌궐 카간국은 부족장 회의가 통제하는 주권 당국에 ''종속''된 아시나 씨족 출신의 임시 카간을 두었다. 카간국은 원래의 애니미즘-샤머니즘 종교의 요소를 유지했으며, 이는 나중에 텡그리교로 발전했지만 불교 승려의 선교를 받아들여 혼합 종교를 실천했다. 돌궐족은 오르혼 문자라는 룬 문자로 고대 튀르크어를 기록한 최초의 튀르크인이었다. 카간국은 또한 "튀르크"라는 이름을 가진 최초의 국가였다. 결국 일련의 왕조 갈등으로 붕괴되었지만, 많은 국가와 민족이 나중에 "튀르크"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65][166]
돌궐(제1 돌궐 카간국)은 빠르게 서쪽으로 카스피해까지 확장되었다. 581년에서 603년 사이에 서돌궐 카간국은 카자흐스탄에, 동돌궐 카간국은 몽골과 만주에 위치하며 내전 중에 분리되었다. 한편 돌궐과 같은 시대에 돌궐 외의 튀르크계 민족은 '철륵'으로 기록되었으며, 중앙 유라시아 각지에 분포해 있었고, 중국 사서에는 '최다 민족'으로 기록되었다. 철륵은 돌궐 가한국의 중요한 구성 민족이었지만, 돌궐이 쇠퇴하면 독립하고 돌궐이 다시 강성해지면 복속하는 것을 반복했다. 이윽고 철륵은 구성(토쿠즈 오구즈)으로 불리며, 그중에서 회흘(위구르)이 대두되었고, 갈라록(카를루크), 발실밀(바실)과 같은 튀르크계 민족과 함께 동돌궐 제2 가한국을 멸망시켰다.[334][332][335]
922년 볼가 불가리아는 이슬람 국가가 되어 많은 무역로를 통제하면서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168] 13세기 몽골족이 유럽을 침략하여 동유럽, 서부 및 북부 중앙아시아, 심지어 서시베리아에 금장 칸국을 세웠다. 쿠만-킵차크 연맹과 이슬람 볼가 불가르족은 13세기에 금장 칸국에 흡수되었고, 14세기에 우즈베크 칸 통치하에 이슬람이 국교가 되면서 일반 인구(투르크족)와 귀족(몽골족) 모두 킵차크어를 사용하게 되었고, 러시아인과 서양인들은 이들을 통칭하여 "타타르족"이라고 불렀다.[169]
우마이야 칼리파조와 아바스 왕조는 트란스옥시아나의 이슬람 정복에서 이교도 투르크족과 맞서 싸웠다. 아바스 왕조 칼리프의 군대에 있던 투르크족 병사들은 10세기 이후 대부분의 무슬림 중동(시리아와 이집트 제외)의 사실상 통치자로 부상했다. 오구즈 튀르크를 비롯한 여러 부족들은 셀주크 왕조의 지도 아래 다양한 국가를 점령하고 지배했으며, 결국 아바스 왕조와 비잔틴 제국의 영토를 점령했다.[236]
수많은 전투 끝에 서부의 오우즈 튀르크는 자신들만의 국가를 건설했고, 이후 오스만 제국을 세웠다. 오우즈 튀르크의 주요 이동은 중세 시대에 발생했으며, 이들은 아시아 대부분 지역과 유럽, 중동 지역으로 흩어졌다.[236] 또한, 이들은 십자군 전쟁의 군사적 교전에 참여했다.[237]
셀주크 제국은 몽골 제국의 몽골 침략 이후 쇠퇴했고, 오스만 제국은 중동뿐만 아니라 동남부 유럽, 러시아 남서부 일부, 북아프리카까지 지배하게 된 새로운 중요한 튀르크 국가로 부상했다.[236]
카를루크 (주로 8세기), 위구르, 키르기스, 투르크멘족, 킵차크족과 같은 튀르크 민족은 나중에 무슬림과 접촉하게 되었고, 그들 대부분은 점차적으로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
이슬람교는 642년 무슬림 군대가 아무다리야 강을 건너면서 튀르크 민족과 처음 접촉했다. 대량 개종은 751년 탈라스 전투에서 일어났는데, 이 전투에서 튀르크 부족은 아랍군과 함께 중국군에 대항하여 싸웠고, 이는 이 지역 이슬람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그 이후 튀르크의 심장부 대부분이 무슬림이 되었다.[282]
튀르크계 국가 중 가장 먼저 이슬람교를 수용한 것은 카라한 왕조였지만, 오구즈에서 갈라져 나온 셀주크 가문이 이끄는 일파도 일찍부터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사만 왕조의 보호를 받았다. 1055년 투으룰 베그는 바그다드에 입성하여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로부터 술탄 칭호를 받아 수니파 옹호자 지위를 확립했다. 셀주크 제국이 중앙아시아에서 서아시아, 아나톨리아 반도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지배하면서, 튀르크계 무슬림이 널리 분포하게 되었다.
몽골 제국은 역사상 가장 큰 제국 중 하나였으며, 이 제국에 튀르크계 민족들이 흡수되었다. 하지만 지배층인 몽골인보다 튀르크계 인구가 훨씬 많았고, 문화적으로도 튀르크어가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튀르크의 몽골어화는 크게 일어나지 않았다. 칭기즈 칸 정권 이후, 톈산 위구르 왕국은 몽골 제국의 보호를 받으며 14세기 후반까지 왕권을 유지했다. 위구르인들은 몽골 제국의 관료로 활약했고, 몽골에 위구르 문자를 전해주어 몽골 문자의 기초가 되게 했다.
카라한 왕조 이래 이슬람권이었던 타림 분지 서부에는 몽골 시대에 차카타이 울루스가 형성되었고, 톈산 위구르령으로 불교권이었던 동부도 그 판도가 되어 이슬람권이 되었다. 차가타이 칸국은 파미르 고원을 경계로 동서로 분열되었는데, 그 원인 중 하나는 몽골인의 튀르크화였다.
티무르 왕조의 티무르는 서차가타이 한국에서 일어나 서투르키스탄과 이란 방면(구 훌레구 울루스)을 점령하고, 모굴리스탄과 조치 울루스를 영향권 아래 두어 대제국을 건설했다. 티무르는 튀르크계 무슬림이었고, 서투르키스탄에는 튀르크인이 많았기 때문에 티무르 왕조의 무관들은 튀르크계로 채워졌다. 그러나 문관은 이란계 타지크인이 맡았다. 티무르 왕조의 공용어는 이란계 페르시아어와 투르크계 차카타이어였으며, 도시에서는 두 언어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킵차크 초원을 기반으로 한 조치 울루스는 일찍 이슬람교를 받아들였고, 많은 튀르크계를 거느리고 있어 튀르크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15세기에 카잔 칸국, 아스트라한 칸국, 크림 칸국, 샤이바니 왕조, 카자흐 칸국, 시비르 칸국 등 튀르크계 왕조가 독립하면서 조치 울루스의 정치적 통일은 완전히 사라졌다. 현재 중앙아시아 튀르크계 민족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우즈베크인과 카자흐인이다. 이들의 조상은 조치 울루스 동부에서 독립한 시반 가문의 아불 하이르 칸(재위: 1426년 ~ 1468년)을 따르던 집단이었다.
오스만 제국은 행정 부실, 러시아 및 오스트리아-헝가리와의 잦은 전쟁, 발칸 반도 민족주의 운동의 부상으로 약화되어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튀르키예 공화국으로 대체되었다.[236] 19세기 오스만 제국에서 범튀르크주의 또는 투란주의 형태의 민족주의가 발전했다.
20세기 대부분 동안 중앙아시아의 튀르크 민족은 소련 또는 중국 공화국에 속해 있었다. 튀르키예는 20세기 대부분 동안 유일한 독립 튀르크 국가였다.[239]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5개 튀르크 국가가 독립했다. 타타르스탄 등 다른 튀르크 지역은 러시아 연방에, 중국령 투르키스탄은 중화인민공화국에 남았다. 튀르크 국가들의 독립 직후 튀르키예는 이들과 외교 관계를 모색했고, 튀르크 국가들 간 정치적 회담이 증가하여 1993년 튀르크소이, 2009년 튀르크 의회가 설립되었으며, 2021년 튀르크 국가 기구로 개명되었다.[240]
1599년 샤이바니 왕조 멸망 후 마와라안나흐르 정권은 자니 왕조 (아스트라한 왕조)로 넘어갔다. 호라즘 지방의 우르겐치를 거점으로 한 정권(역시 샤이바니 왕조)은 17세기 말 히바로 천도했기에, 이후의 이네크 왕조 (1804년 - 1920년)와 함께 히바 칸국이라 불린다. 18세기 우즈베크 밍 부족이 페르가나 지방에 세운 정권은 코칸트를 수도로 삼아 코칸트 칸국이라 불린다. 이들 우즈베크인에 의해 서투르키스탄에 세워진 세 국가를 3칸국이라 한다.
13세기 몽골인의 루스 정복은 러시아 측에서 "타타르의 멍에"라 불렸다. 모스크바 대공 이반 4세 (재위: 1533년 - 1584년)에 의해 카잔 칸국, 아스트라한 칸국 등 조치 울루스계 국가가 멸망하면서 "타타르의 멍에"는 풀리고 러시아의 중앙 유라시아 정복이 시작되었다.
16세기 말 러시아 차르국은 시베리아의 시비르 칸국을 멸망시키고 카자흐 초원 북쪽 삼림 지대를 개척했다. 같은 시기 카자흐 초원의 카자흐 칸국은 대 주즈, 중 주즈, 소 주즈의 세 부족 연합체로 나뉘어 있었지만, 동쪽의 몽골계 유목 집단 준가르의 위협에 항상 시달렸다. 1730년 소 주즈의 아불-하일 칸 (재위: 1716년 - 1748년)이 러시아 제국에 복속을 표명했고, 중 주즈, 대 주즈도 이에 따랐다.
19세기 중반 발칸 반도에서 중앙아시아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에서 대영 제국(영국)과 러시아 제국 간의 "그레이트 게임"이 전개되었다. 러시아 제국은 영국보다 먼저 투르키스탄을 차지하기 위해 1867년 코칸트 칸국을 멸망시키고, 1868년 부하라 칸국, 1873년 히바 칸국을 보호령으로 두었으며, 1881년 유목 집단 투르크멘을 학살하여 서투르키스탄을 지배하에 두었다.
튀르키예는 아나톨리아 반도에 위치하며, 튀르크인의 고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튀르크계 최대 민족인 튀르크인이 살고 있다. 이는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튀르크인이 이 땅으로 침입하고 이주했기 때문이다. 셀주크 제국이 아나톨리아에 처음 침입했고, 셀주크 제국에 의해 동로마 제국이 축출되자, 투르크멘 등이 유입되어 아나톨리아의 튀르크화가 시작되었다. 이후 셀주크 제국의 후계 국가인 룸 술탄국이 아나톨리아에 성립했고, 몽골 침략으로 많은 투르크멘이 중앙아시아에서 도망쳐 왔기에 아나톨리아의 튀르크화와 이슬람화는 더욱 진전되었다.
14세기 오스만 제국이 아나톨리아를 중심으로 확대되어 최성기에는 고대 로마 제국을 연상시킬 정도로 대제국이 되었지만, 18세기 이후 쇠퇴하여 광대한 영토는 점차 축소되어 아나톨리아 반도만 남았고, 제1차 세계 대전 후 터키 혁명으로 1922년 멸망, 1923년 튀르키예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러시아 영토 내 튀르크인들 사이에서는 19세기 말부터 무슬림의 민족적 각성을 촉구하는 운동이 일어나 오스만 제국을 포함한 튀르크인의 폭넓은 연대를 목표로 하는 범튀르크주의가 나타났다. 그러나 러시아 혁명 성공으로 구 러시아 제국 영토 내 튀르크계 민족은 개별 공화국이나 민족 자치구로 세분화되었다. 터키 혁명은 구 오스만 제국인 아나톨리아에 거주하는 터키인만을 위한 국민 국가인 터키 공화국을 탄생시켜 범튀르크주의는 부정되었다.
1991년 소비에트 연방 붕괴 후, 구 소련으로부터 5개의 튀르크계 민족 공화국(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이 독립했다. 이들 공화국과 타타르인 등 러시아 영토 내 튀르크계 민족, 터키 공화국의 터키인들 사이에서 범튀르크주의의 재등장으로 볼 수 있는 새로운 협력 관계가 구축되고 있다.
3. 1. 기원
튀르크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이 있어왔다.[374] 피터 벤자민 골든은 튀르크조어(Proto-Turkic) 어휘를 바탕으로 시베리아의 알타이-사얀 지역을 튀르크조어의 위치로 제안했다.[375]
마르티너 로베이츠의 트랜스유라시아어족 가설처럼, 튀르크어족과 몽골어족, 퉁구스어족을 연결하는 계보학적 연결은 한때 지지를 받았으나, 장기간의 접촉으로 인한 유사성이라는 비판도 받았다.[376][377][378] 언어학적, 유전적 증거는 몽골에 초기 튀르크 민족이 존재했음을 시사한다.[379]
튀르크어 원어민은 중국 북동부의 신석기 시대 동아시아 농업 사회와 연결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싱룽와 문화 및 훙산 문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다.[379] 튀르크조어의 동아시아 기원설은 최근 여러 연구에서 확증되었다. 역사가들은 "원시 튀르크의 생존 전략에는 중국 북동부의 기장 농업에서 기원하는 농업 요소가 포함되었다"고 말한다.[379]
기원전 2,200년경, 튀르크 민족의 조상은 서쪽으로 몽골로 이주하여 유목 생활 방식을 채택했으며, 이는 이란 민족에게서 부분적으로 차용한 것이다.[380] 흉노, 유연, 선비족과 같은 유목 민족이 동북아시아 유전자 풀을 공유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튀르크조어 사용자들은 동북아시아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높다.[380]
2018년 상염색체 단일 염기 다형성 연구는 유라시아 대초원이 서부 유라시아 계통의 인도유럽어족과 이란어를 사용하는 집단에서 튀르크어족과 몽골 계통의 동아시아 계통으로 서서히 전환되었음을 시사했다.[381] 이는 몽골에서 튀르크인들의 광범위한 이주와 지역 주민들의 동화를 포함한다.
유전학적 자료에 따르면 중앙아시아의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민족들은 이란어를 사용하는 중앙아시아인, 특히 타지크인과 대조적으로 22%에서 60% 사이의 동아시아계 혈통을 가지고 있다.[382] 특히 카자흐족은 훨씬 더 높은 동아시아 혈통을 보이는데, 이는 중세 튀르크 킵차크와 중세 몽골인 사이의 혼합으로 인한 몽골족의 영향으로 설명된다.[383][384][385][386][387]
한나라 기록에 언급된 흉노 자체가 원시 튀르크어 화자였을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141][142][143][144] 튀르크족은 흉노의 후손일 수도 있다.[145] 흉노어에 대해 알려진 바는 거의 없지만, 흉노 부족의 상당 부분이 튀르크어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146] 일부 학자들은 흉노가 다양한 민족 및 언어 집단의 연맹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147][148]
일부 학자들은 인산과 허란산의 암각화에 있는 흉노 문자들이 튀르크어 알파벳인 돌궐 문자의 전조라고 주장한다.[150] 울란바토르 북쪽 셀렝가강에 위치한 노인 울라 쿠르간에서 발견된 문자들은 오르콘 계곡에서 발견된 튀르크 돌궐 문자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했다.[152]
정령은 흉노와 같은 시대에 몽골 고원 북쪽, 바이칼 호 부근에서 카자흐스탄 초원에 거주하던 유목민으로, "튀르크"의 음역으로 생각된다.[321][322] 정령은 흉노가 강성해지면 복속하고, 흉노가 쇠퇴하면 반란을 반복했다. 흉노가 남북으로 분열된 후, 동쪽의 선비가 몽골 고원을 침공하자 정령은 선비에게도 배반과 복종을 반복했다. 오호 십육국 시대에 선비가 쇠퇴한 후, 일부 정령인은 중국으로 이주하여 적위를 세웠다.[323][324][325]
3. 2. 돌궐과 철륵
흉노 연맹의 주변부에서 튀르크족이 처음 나타난 것은 200년경(중국 한나라와 동시대) ''게쿤''(鬲昆)과 ''신리''(薪犁) 등으로 분리되면서 부터이다. 이후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텔레 사이에서 ''헤구''(紇骨)와 ''쉐''(薛)로 나타났다.[71][72]
텔레(가오처 高車, 문자 그대로 "높은 수레")는 흉노와 정령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역사적으로 기원전 6세기 이후에 건립되었다. 텔레족은 중국 문헌에 처음으로 6세기에서 8세기에 언급되었다.
일부 학자는 ''텔레'', ''딜리'', ''정령'', ''칠레'', ''텔레'' 및 ''투쥐에''가 모두 ''튀르크''를 음역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골든은 ''딜리'', ''정령'', ''칠레'', ''텔레'', ''텔레''가 ''테그레크''를 음역하고 투쥐에는 ''튀르크''의 복수인 ''튀르퀴트''를 음역했다고 주장했다.
"튀르크"라는 정치 용어에 대한 가장 오래된 언급은 중국의 주서에 기록되어 있다. 서기 540년대에 이 텍스트는 튀르크족이 비단 상품과 무역 관계를 위해 중국 국경에 왔다고 언급한다. [154]
수서와 통전에 따르면, 그들은 핑량(현재 중화인민공화국 간쑤성)에서 유연으로 이주하여 그들의 연맹에 포함되고 지배 왕조로부터 보호받기를 원했던 "혼혈 야만인"(; ''záhú'')이었다.[155][156] 다른 설에 따르면, 주서, 북사, 신당서에 따르면, 아시나 씨족은 흉노 연맹의 구성 요소였다.[157][158][159][160] 돌궐족은 또한 흉노 북쪽의 미지의 소국(索國)에서 기원했다고 추정되기도 한다.[161][162] 아시나 부족은 유명한 금속 세공인이었고, 알타이 산맥 남쪽에 투구처럼 보이는 땅(金山 ''진산'')을 하사받았으며, 그곳에서 "튀르크"(突厥, ''Tūjué'')라는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163][5] 이는 "튀르크"를 정치적 이름으로 처음 사용한 기록이다. 6세기에는 아시나의 세력이 증가하여 유연의 지배를 받던 철륵을 정복했고, 심지어 유연을 전복하고 제1 돌궐 카간국을 세웠다.[236]
원래의 고대 튀르크어 이름 ''Kök Türk''는 ''kök'' ~ ''kö:k'', 즉 "하늘, 하늘색, 파란색, 청회색"에서 유래되었다.[164] 흉노의 전신과는 달리, 돌궐 카간국은 부족장의 회의가 통제하는 주권 당국에 ''종속''된 아시나 씨족 출신의 임시 카간을 두었다. 카간국은 원래의 애니미즘-샤머니즘 종교의 요소를 유지했으며, 이는 나중에 텡그리교로 발전했지만 불교 승려의 선교를 받아들여 혼합 종교를 실천했다. 돌궐족은 오르혼 문자라는 룬 문자로 고대 튀르크어를 기록한 최초의 튀르크인이었다. 카간국은 또한 "튀르크"라는 이름을 가진 최초의 국가였다. 결국 일련의 왕조 갈등으로 붕괴되었지만, 많은 국가와 민족이 나중에 "튀르크"라는 이름을 사용했다.[165][166]
돌궐족(제1 돌궐 카간국)은 빠르게 서쪽으로 카스피해까지 확장되었다. 581년에서 603년 사이에 서돌궐 카간국은 카자흐스탄에 위치했으며, 몽골과 만주에 위치한 동돌궐 카간국은 내전 중에 분리되었다. 한족은 630년에 동돌궐을 성공적으로 전복하고 682년까지 군사 보호령을 세웠다. 그 이후 제2 돌궐 카간국은 이전 돌궐 지역의 많은 부분을 통치했다. 튀르크, 중국, 티베트 간의 여러 전쟁 후, 쇠퇴한 제2 돌궐 카간국은 744년에 위구르 카간국으로 대체되었다.[167]
한편 돌궐과 같은 시대에 돌궐 외의 튀르크계 민족은 '철륵'으로 기록되었으며, 중앙 유라시아 각지에 분포해 있었고, 중국 사서에는 '최다 민족'으로 기록되었다. 철륵은 돌궐 가한국의 중요한 구성 민족이었지만, 돌궐이 쇠퇴하면 독립하고 돌궐이 다시 강성해지면 복속하는 것을 반복했다.
이윽고 철륵은 구성(토쿠즈 오구즈)으로 불리며, 그중에서 회흘(위구르)이 대두되었고, 갈라록(카를루크), 발실밀(바실)과 같은 튀르크계 민족과 함께 동돌궐 제2 가한국을 멸망시켰다.[334][332][335]
3. 3. 튀르크의 이슬람화와 서진
볼가 불가리아는 922년에 이슬람 국가가 되어 많은 무역로를 통제하면서 지역에 영향을 미쳤다.[168] 13세기에 몽골족이 유럽을 침략하여 동유럽, 서부 및 북부 중앙아시아, 심지어 서시베리아에 금장 칸국을 세웠다. 쿠만-킵차크 연맹과 이슬람 볼가 불가르족은 13세기에 금장 칸국에 흡수되었고, 14세기에 우즈베크 칸 통치하에 이슬람이 국교가 되면서 일반 인구(투르크족)와 귀족(몽골족) 모두 킵차크어를 사용하게 되었고, 러시아인과 서양인들은 이들을 통칭하여 "타타르족"이라고 불렀다.[169] 이 나라는 킵차크 칸국으로도 알려졌으며 오늘날 우크라이나 대부분과 현대 남부 및 동부 러시아 전체(유럽 지역)를 아우르고 있었다. 금장 칸국은 15세기와 16세기에 크림 칸국, 카잔 칸국, 카자흐 칸국 등 여러 칸국과 호드로 분열되었고, 이들은 16세기부터 19세기까지 러시아 제국에 의해 차례로 정복되어 병합되었다.[169]
시베리아에서는 1490년대에 붕괴된 금장 칸국에서 도망친 타타르 귀족들이 서시베리아에 이슬람을 공식 종교로 선포하면서 시비르 칸국이 세워졌다. 이들은 부분적으로 이슬람화된 토착 시베리아 타타르족과 토착 우랄족을 지배했다. 시비르 칸국은 기록상 가장 북쪽에 위치한 이슬람 국가였으며, 1598년 러시아에 정복될 때까지 존속했다.[170]
아랍 무슬림 우마이야 칼리파조와 아바스 왕조는 트란스옥시아나의 이슬람 정복에서 이교도 투르크족과 맞서 싸웠다. 아바스 왕조 칼리프의 군대에 있던 투르크족 병사들은 10세기 이후 대부분의 무슬림 중동(시리아와 이집트 제외)의 사실상 통치자로 부상했다. 지역적으로 독립한 국가의 예로는 이집트의 단명한 툴룬 왕조와 이흐시드 왕조가 있다. 오구즈 튀르크를 비롯한 여러 부족들은 셀주크 왕조의 지도 아래 다양한 국가를 점령하고 지배했으며, 결국 아바스 왕조와 비잔틴 제국의 영토를 점령했다.[236]
수많은 전투 끝에 서부의 오우즈 튀르크는 자신들만의 국가를 건설했고, 이후 오스만 제국을 세웠다. 오우즈 튀르크의 주요 이동은 중세 시대에 발생했으며, 이들은 아시아 대부분 지역과 유럽, 중동 지역으로 흩어졌다.[236] 또한, 이들은 십자군 전쟁의 군사적 교전에 참여했다.[237] 1090-91년에는 튀르크계 페체네그족이 콘스탄티노플 성벽에 이르렀는데, 여기서 황제 알렉시우스 1세는 킵차크족의 도움을 받아 그들의 군대를 전멸시켰다.[238]
셀주크 제국은 몽골 제국의 몽골 침략 이후 쇠퇴했고, 오스만 제국은 중동뿐만 아니라 동남부 유럽, 러시아 남서부 일부, 북아프리카까지 지배하게 된 새로운 중요한 튀르크 국가로 부상했다.[236]
카를루크 (주로 8세기), 위구르, 키르기스, 투르크멘족, 킵차크족과 같은 튀르크 민족은 나중에 무슬림과 접촉하게 되었고, 그들 대부분은 점차적으로 이슬람교를 받아들였다. 일부 튀르크 민족은 원래의 애니미즘-샤머니즘 종교, 기독교, 부르칸교, 유대교 (하자르, 크림차크, 크림 카라이트), 불교, 소수의 조로아스터교를 포함한 다른 종교를 믿고 있다.
오늘날 대부분의 튀르크족은 수니파 무슬림이지만, 터키에는 상당수의 알레비도 있다. 한때 주로 동부 아나톨리아에 거주했던 알레비 튀르크족은 오늘날 도시화가 증가하면서 터키 서부의 주요 도시 중심지에 집중되어 있다. 튀르크계 수니파 무슬림은 일반적으로 하나피 법학파를 따른다. 아제르바이잔인은 전통적으로 시아파 무슬림이다. 종교적 준수는 이란 아제르바이잔에 비해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에서 덜 엄격하다.
이슬람교는 642년, 무슬림 군대가 전년도에 사산 제국을 무너뜨린 후 아무다리야 강을 건너면서 튀르크 민족과 처음 접촉했다. 이슬람교로 개종한 최초의 통치자 중 일부는 소그디아나 지역의 도시 국가에 있던 튀르크족 군주였다. 대량 개종은 751년 탈라스 전투에서 일어났는데, 이 전투에서 튀르크 부족은 아랍군과 함께 중국군에 대항하여 싸웠고, 이는 이 지역 이슬람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그 이후 튀르크의 심장부 대부분이 무슬림이 되었다.[282] 19세기, 러시아 제국의 튀르크계 무슬림 진보주의자들은 근대주의적 경향을 받아들이면서 기본적인 이슬람 신앙으로의 회귀를 요구하는 자디드 운동이라는 개혁 운동을 주도했다.
튀르크계 국가 중 가장 먼저 이슬람교를 수용한 것은 카라한 왕조였지만, 오구즈에서 갈라져 나온 셀주크 가문이 이끄는 일파도 일찍부터 이슬람교로 개종하여 사만 왕조의 보호를 받았다. 그들은 이윽고 투르크만 (이슬람교로 개종한 오구즈)이라고 불리며 중앙아시아 각지에서 약탈을 자행하여 토지를 황폐하게 만들었지만, 셀주크 가문의 투으룰 베그에 의해 통솔되면서 1040년 가즈나 왕조를 멸망시키고 호라산의 지배권을 장악했다.
1055년, 투으룰 베그는 바그다드에 입성하여 아바스 왕조의 칼리프로부터 정식으로 술탄의 칭호를 수여받아 수니파의 옹호자로서의 지위를 확립했다. 이 셀주크 제국이 중앙아시아에서 서아시아, 아나톨리아 반도에 이르는 광대한 영토를 지배했기 때문에, 튀르크계 무슬림이 이러한 지역에 널리 분포하게 되었다.
또한, 이슬람 세계에서 노예로서의 튀르크인 (맘루크)은 중요한 존재였으며, 이슬람 세력이 성전 (지하드)을 통해 얻은 튀르크인 포로는 전투력이 우수하다는 이유로 사만 왕조 등에서 중용되었으며, 때로는 맘루크 자신들의 왕조 (호라즘 제국, 가즈나 왕조, 맘루크 왕조, 노예 왕조 등)가 각지에 세워지기도 했다. 이러한 가운데 "튀르크-이슬람 문화"라는 것이 꽃피어나, 수많은 이슬람 서적이 튀르크어로 쓰이게 되었다. 이로 인해 이슬람 세계에서 튀르크어의 위치는 아랍어, 페르시아어에 이어 세 번째가 되었고, 튀르크인은 그 주요 민족이 되었다.
3. 4. 몽골 제국과 튀르크
몽골 제국은 역사상 가장 큰 제국 중 하나였으며, 이 제국에 튀르크계 민족들이 흡수되었다. 하지만 지배층인 몽골인보다 튀르크계 인구가 훨씬 많았고, 문화적으로도 튀르크어가 널리 사용되었기 때문에 튀르크의 몽골어화는 크게 일어나지 않았다.
차카타이 울루스, 일 칸국, 킵차크 칸국과 같이 이슬람 지역을 영토로 삼았던 국가에서는 몽골인들이 이슬람으로 개종하고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몽골 제 왕조가 해체된 후에는 튀르크계 국가들이 연이어 건설되었다.
칭기즈 칸 정권 이후, 톈산 위구르 왕국은 몽골 제국의 보호를 받으며 14세기 후반까지 왕권을 유지했다. 위구르인들은 뛰어난 지식을 바탕으로 몽골 제국의 관료로 활약했고, 몽골에 위구르 문자를 전해주어 몽골 문자의 기초가 되게 했으며, 오아시스 정주민 통치에 능숙했다. 몽골 내분이 일어나자 톈산 위구르 정권은 투르판 지역을 포기했지만, 그 정신을 계승한 위구르 정주민들은 현재 위구르족으로 남아있다.
카라한 왕조 이래 이슬람권이었던 타림 분지 서부에는 몽골 시대에 차카타이 울루스가 형성되었고, 톈산 위구르령으로 불교권이었던 동부도 그 판도가 되어 이슬람권이 되었다. 차가타이 칸국은 파미르 고원을 경계로 동서로 분열되었는데, 그 원인 중 하나는 몽골인의 튀르크화였다. 마와라안나흐르(트란스옥시아나)를 중심으로 하는 서쪽 몽골인들은 이슬람을 받아들이고 튀르크어를 사용하며 오아시스 정주민 생활에 적응했다. 이들은 스스로를 "차가타이"라고 불렀지만, 몽골 전통을 중시하는 동쪽 몽골인들은 이들을 "카라우나스(혼혈아)"라고 멸시하며 스스로를 "모굴"이라 칭했다. 이 때문에 동투르키스탄은 잠시 "모굴리스탄"으로 불렸다.
티무르 왕조의 티무르는 서차가타이 한국에서 일어나 서투르키스탄과 이란 방면(구 훌레구 울루스)을 점령하고, 모굴리스탄과 조치 울루스를 영향권 아래 두어 대제국을 건설했다. 티무르는 튀르크계 무슬림이었고, 서투르키스탄에는 튀르크인이 많았기 때문에 티무르 왕조의 무관들은 튀르크계로 채워졌다. 그러나 문관은 지식인인 이란계 타지크인이 맡았다. 이러한 이유로 티무르 왕조의 공용어는 이란계 페르시아어와 투르크계 차카타이어였으며, 도시에서는 두 언어를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킵차크 초원을 기반으로 한 조치 울루스는 비교적 일찍 이슬람교를 받아들였고, 많은 튀르크계를 거느리고 있어 튀르크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15세기에 카잔 칸국, 아스트라한 칸국, 크림 칸국, 샤이바니 왕조, 카자흐 칸국, 시비르 칸국 등 튀르크계 왕조가 독립하면서 조치 울루스의 정치적 통일은 완전히 사라졌다.
현재 중앙아시아 튀르크계 민족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우즈베크인과 카자흐인이다. 이들의 조상은 조치 울루스 동부에서 독립한 시반 가문의 아불 하이르 칸(재위: 1426년 ~ 1468년)을 따르던 집단이었다. 이들은 우즈베크라 불렸으며, 킵차크 초원 동부를 통일한 후 시르 강 중류 유역으로 근거지를 옮겼다. 그러나 자니베크 칸과 케레이 칸이 아불 하이르 칸에게 반기를 들고 모굴리스탄 변방으로 이주하면서 우즈베크는 둘로 나뉘었고, 전자를 우즈베크, 후자를 우즈베크-카자흐 또는 카자흐라고 부르게 되었다.
아불 하이르 칸 사후, 우즈베크 집단은 분열되었고 대부분은 먼저 분리되었던 카자흐 집단에 합류했다. 세력을 키운 카자흐는 킵차크 초원의 유목민까지 흡수하여 강력한 유목 국가인 카자흐 칸국을 세웠다. 이후 우즈베크 집단도 무함마드 샤이바니 칸 아래 재통합되어 마와라안나흐르, 페르가나, 호라즘, 호라산 등 각 지역을 점령하고 샤이바니 왕조를 세웠다.
3. 5. 근대와 현대의 튀르크
오스만 제국은 행정 부실, 러시아 및 오스트리아-헝가리와의 잦은 전쟁, 발칸 반도 민족주의 운동의 부상으로 약화되어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튀르키예 공화국으로 대체되었다.[236] 19세기 오스만 제국에서 범튀르크주의 또는 투란주의 형태의 민족주의가 발전했다.
20세기 대부분 동안 중앙아시아의 튀르크 민족은 러시아 제국 붕괴 이후 국가로 조직되지 못하고 소련 또는 (단명한 동튀르키스탄 공화국 이후) 중국 공화국에 속해 있었다. 튀르키예는 20세기 대부분 동안 유일한 독립 튀르크 국가였다.[239]
1991년 소련 해체 이후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5개 튀르크 국가가 독립했다. 타타르스탄, 투바, 야쿠티야 등 다른 튀르크 지역은 러시아 연방에, 중국령 투르키스탄은 중화인민공화국에 남았다. 튀르크 국가들의 독립 직후 튀르키예는 이들과 외교 관계를 모색했고, 튀르크 국가들 간 정치적 회담이 증가하여 1993년 튀르크소이, 2009년 튀르크 의회가 설립되었으며, 2021년 튀르크 국가 기구로 개명되었다.[240]
현재 중앙아시아의 주요 튀르크계 민족은 우즈베크인과 카자흐인이다. 이들의 조상은 조치 울루스 동부에서 독립한 시반 가문의 아불-하이르 칸 (재위: 1426년 - 1468년)을 따르던 집단이었다. 이들은 우즈베크라 불렸고, 킵차크 초원 동부 통일 후 시르 강 중류 유역으로 근거지를 옮겼다. 그러나 자니베크 칸과 케레이 칸이 아불-하이르 칸에게 반기를 들고 모굴리스탄 변방으로 이주하면서 우즈베크는 둘로 나뉘었고, 전자는 우즈베크, 후자는 우즈베크-카자흐 또는 카자흐로 구분되었다.
아불-하이르 칸 사후 우즈베크 집단은 분열되었고, 대부분은 먼저 분리되었던 카자흐 집단에 합류했다. 카자흐는 세력을 키워 킵차크 초원의 유목민까지 흡수하여 강력한 유목 국가인 카자흐 칸국을 형성했다. 이후 우즈베크 집단도 무함마드 샤이바니 칸 아래 재통합되어 마와라안나흐르, 페르가나, 호라즘, 호라산 등을 점령하고 샤이바니 왕조를 세웠다.
1599년 샤이바니 왕조 멸망 후 마와라안나흐르 정권은 자니 왕조 (아스트라한 왕조)로 넘어갔다. 자니 왕조는 1756년 망기트 왕조에 멸망했지만, 샤이바니 왕조부터 망기트 왕조까지 수도가 부하라에 있었기 때문에 이 세 왕조를 합쳐 부하라 칸국이라 부른다 (망기트 왕조는 칸 대신 아미르를 칭했기에 부하라 아미르국이라고도 함). 호라즘 지방의 우르겐치를 거점으로 한 정권(역시 샤이바니 왕조)은 17세기 말 히바로 천도했기에, 이후의 이네크 왕조 (1804년 - 1920년)와 함께 히바 칸국이라 불린다. 18세기 우즈베크 밍 부족이 페르가나 지방에 세운 정권은 코칸트를 수도로 삼아 코칸트 칸국이라 불린다. 이들 우즈베크인에 의해 서투르키스탄에 세워진 세 국가를 3칸국이라 한다.
13세기 몽골인의 루스 정복은 러시아 측에서 "타타르의 멍에"라 불리며 러시아인에게 굴욕적인 시대였다. 그러나 모스크바 대공 이반 4세 (재위: 1533년 - 1584년)에 의해 카잔 칸국, 아스트라한 칸국 등 조치 울루스계 국가가 멸망하면서 "타타르의 멍에"는 풀리고 러시아의 중앙 유라시아 정복이 시작되었다. 이때 러시아에 항복한 튀르크계 무슬림은 러시아 측에서 "타타르인"이라 불렸지만, 이교도였던 그들은 러시아의 억압과 동화 정책에 시달렸고, 카자흐 초원이나 투르키스탄으로 이주하는 이들도 나타났다.
16세기 말 러시아 차르국은 시베리아의 시비르 칸국을 멸망시키고 카자흐 초원 북쪽 삼림 지대를 개척했다. 같은 시기 카자흐 초원의 카자흐 칸국은 대 주즈, 중 주즈, 소 주즈의 세 부족 연합체로 나뉘어 있었지만, 동쪽의 몽골계 유목 집단 준가르의 위협에 항상 시달렸다. 1730년 소 주즈의 아불-하일 칸 (재위: 1716년 - 1748년)이 러시아 제국에 복속을 표명했고, 중 주즈, 대 주즈도 이에 따랐다.
19세기 중반 발칸 반도에서 중앙아시아에 이르는 광대한 지역에서 대영 제국(영국)과 러시아 제국 간의 "그레이트 게임"이 전개되었다. 러시아 제국은 영국보다 먼저 투르키스탄을 차지하기 위해 1867년 코칸트 칸국을 멸망시키고, 1868년 부하라 칸국, 1873년 히바 칸국을 보호령으로 두었으며, 1881년 유목 집단 투르크멘을 학살하여 서투르키스탄을 지배하에 두었다.
튀르키예는 아나톨리아 반도에 위치하며, 튀르크인의 고향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튀르크계 최대 민족인 튀르크인이 살고 있다. 이는 역사적으로 여러 차례 튀르크인이 이 땅으로 침입하고 이주했기 때문이다. 그 이전 아나톨리아 반도에는 동로마 제국이 있었고, 주요 언어는 그리스어였다.
셀주크 제국이 아나톨리아에 처음 침입했고, 셀주크 제국에 의해 동로마 제국이 축출되자, 셀주크 왕권 강화를 좋아하지 않는 투르크멘 등이 유입되어 아나톨리아의 튀르크화가 시작되었다. 이후 셀주크 제국의 후계 국가인 룸 술탄국이 아나톨리아에 성립했고, 몽골 침략으로 많은 투르크멘이 중앙아시아에서 도망쳐 왔기에 아나톨리아의 튀르크화와 이슬람화는 더욱 진전되었다.
14세기 오스만 제국이 아나톨리아를 중심으로 확대되어 최성기에는 고대 로마 제국을 연상시킬 정도로 대제국이 되었지만, 18세기 이후 쇠퇴하여 광대한 영토는 점차 축소되어 아나톨리아 반도만 남았고, 제1차 세계 대전 후 터키 혁명으로 1922년 멸망, 1923년 튀르키예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러시아 영토 내 튀르크인들 사이에서는 19세기 말부터 무슬림의 민족적 각성을 촉구하는 운동이 일어나 오스만 제국을 포함한 튀르크인의 폭넓은 연대를 목표로 하는 범튀르크주의가 나타났다. 그러나 러시아 혁명 성공으로 구 러시아 제국 영토 내 튀르크계 민족은 개별 공화국이나 민족 자치구로 세분화되었다. 터키 혁명은 구 오스만 제국인 아나톨리아에 거주하는 터키인만을 위한 국민 국가인 터키 공화국을 탄생시켜 범튀르크주의는 부정되었다.
1991년 소비에트 연방 붕괴 후, 구 소련으로부터 5개의 튀르크계 민족 공화국(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이 독립했다. 이들 공화국과 타타르인 등 러시아 영토 내 튀르크계 민족, 터키 공화국의 터키인들 사이에서 범튀르크주의의 재등장으로 볼 수 있는 새로운 협력 관계가 구축되고 있다.
4. 주요 튀르크계 민족 및 국가
200년경(중국 한나라와 동시대)에 흉노 연맹 주변부에 초기 튀르크족이 나타났고, 이후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텔레 사이에서 헤구와 쉐[71][72]로 나타났다. 텔레족은 6세기에서 8세기에 중국 문헌에 처음 등장했다.
"튀뤼크" (고대 튀르크어: 𐱅𐰇𐰼𐰰) ~ "튀르크" (OT: 𐱅𐰇𐰼𐰚)라는 명칭은 처음에는 돌궐에게만 사용되었다. 그러나 무스타파 알리와 에블리야 첼레비와 같은 오스만 역사가들과 티무르 과학자 울루그 베그를 포함한 중세 무슬림 작가들은 종종 언어와 관계없이 내륙 아시아 부족을 단일 실체로 간주하여 튀르크를 내륙 아시아인을 지칭하는 일반적인 이름으로 사용했다. 현대에 들어서 현대 역사가들은 튀르크어족을 사용하는 모든 민족을 튀르크로 지칭하며 튀르크어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과 구별한다.
튀르크 민족 및 관련 집단은 현재의 중국 북동부, 몽골, 시베리아, 투르키스탄 지역에서 이란 고원, 남아시아, 그리고 아나톨리아 (현대 터키)로 여러 차례 이주했다.
델리 술탄국은 델리를 중심으로 한 다섯 개의 단명한 왕국을 포괄하는 용어이며, 그중 노예 왕조 (1206–1290)와 투글루크 왕조 (1320–1414)는 튀르크계 왕조였다.
무굴 제국은 16세기 초부터 18세기 초까지 최대 영토에서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 인도, 방글라데시, 그리고 일부 우즈베키스탄을 포함한 남아시아 대부분을 통치했던 투르크-몽골 제국이었다. 무굴 왕조는 바부르 (재위 1526–1530)라는 투르크-몽골 왕자에 의해 건국되었다.[231][232]
4. 1. 현존하는 튀르크계 민족

튀르크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은 시베리아에서 중앙아시아를 거쳐 남유럽까지 널리 분포한다. 튀르크 민족의 가장 큰 집단은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아제르바이잔 등 중앙아시아 전역과 터키, 이란에 거주한다. 또한 크림반도, 중국 서부 알티샤르, 북부 이라크, 이스라엘, 러시아, 아프가니스탄, 키프로스, 그리고 발칸반도(몰도바, 불가리아, 루마니아, 그리스, 구 유고슬라비아) 등지에서도 튀르크 민족을 찾아볼 수 있다.
소수의 튀르크 민족은 리투아니아 수도 빌뉴스에 거주하며, 동부 폴란드와 핀란드 남동부에도 일부 거주한다.[269] 20세기 이주로 인해 독일, 미국, 오스트레일리아에는 상당수의 튀르크 민족(대부분 터키 출신)이 거주한다.
민족학자들은 튀르크 민족을 오구즈 튀르크, 킵차크, 카를루크, 시베리아n, 추바슈인, 사하/야쿠트의 여섯 분파로 분류한다. 오구즈는 서튀르크, 나머지 다섯 분파는 동튀르크로 불린다.
우즈베키스탄 내 여러 우즈벡 인구 집단 간 유전적 거리는 이들과 카라칼파크족 간 거리보다 크지 않다. 이는 카라칼파크족과 우즈벡족의 기원이 매우 유사함을 보여준다. 카라칼파크족은 우즈벡족보다 동부 유전적 특성이 약간 더 강하다.[270]
'''역사적 인구:'''
연도 | 인구 |
---|---|
서기 1년 | 약 200만~250만 명 |
2013년 | 1억 5천만~2억 명 |
다음은 튀르크 민족의 불완전한 목록으로, 각 집단의 주요 정착 지역과 추정 규모(백만 명 단위)를 보여준다.
민족 | 주요 거주지 | 인구 | 현대 언어 | 주요 종교 및 종파 |
---|---|---|---|---|
터키인 | 터키 | 7,000만 명 | 터키어 | 수니파 이슬람교 |
아제르바이잔인 | 이란 아제르바이잔, 아제르바이잔 | 3,000만~3,500만 명 | 아제르바이잔어 | 시아파 이슬람교(65%), 수니파 이슬람교(35%)[271][272] |
우즈벡인 | 우즈베키스탄 | 2,830만 명 | 우즈벡어 | 수니파 이슬람교 |
카자흐인 | 카자흐스탄 | 1,380만 명 | 카자흐어 | 수니파 이슬람교 |
위구르인 | 알티샤르 (중국) | 900만 명 | 위구르어 | 수니파 이슬람교 |
투르크멘인 | 투르크메니스탄 | 800만 명 | 투르크멘어 | 수니파 이슬람교 |
타타르인 | 타타르스탄 (러시아) | 700만 명 | 타타르어 | 수니파 이슬람교 |
키르기스인 | 키르기스스탄 | 450만 명 | 키르기스어 | 수니파 이슬람교 |
바시키르인 | 바슈코르토스탄 (러시아) | 200만 명 | 바시키르어 | 수니파 이슬람교 |
크림 타타르인 | 크림반도 (러시아/우크라이나) | 50만~200만 명 | 크림 타타르어 | 수니파 이슬람교 |
추바슈인 | 추바시 공화국 (러시아) | 170만 명 | 추바슈어 | 정교회 기독교 |
카슈카이족 | 이란 남부 (이란) | 90만 명 | 카슈카이어 | 시아파 이슬람교 |
카라칼파크인 | 카라칼파크스탄 (우즈베키스탄) | 60만 명 | 카라칼파크어 | 수니파 이슬람교 |
야쿠트족 | 사하 공화국 (러시아) | 50만 명 | 사하어 | 정교회 기독교 및 튀르크교 이교 |
쿠미크인 | 다게스탄 (러시아) | 40만 명 | 쿠미크어 | 수니파 이슬람교 |
카라차이인 및 발카르인 |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 및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 (러시아) | 40만 명 | 카라차이-발카르어 | 수니파 이슬람교 |
투바인 | 투바 (러시아) | 30만 명 | 투바어 | 티베트 불교 |
가가우즈인 | 가가우지아 (몰도바) | 20만 명 | 가가우즈어 | 정교회 기독교 |
튀르크 카라이트인 및 크림차크인 | 우크라이나 | 4,000 명 | 카라임어 및 크림차크어 | 유대교 |
영어권에서는 좁은 의미의 튀르크/터키를 ''Turkish'', 넓은 의미의 튀르크계 민족 전체를 ''Turkic''으로 구분하며, 러시아어 등 다른 언어에서도 유사한 구분이 있다.
일본어에서는 좁은 의미의 터키를 "トルコ(토르코)", 넓은 의미의 터키를 "テュルク(테ュ르크)"로 구분하며, 본 문서에서도 이를 따른다.
중국어권에서는 좁은 의미의 터키를 "土耳其(tǔ'ěrqí, 투얼치)", 넓은 의미의 터키를 "突厥 (tūjué, 투쥐에)"로 부른다.
역사학자 모리야스 타카오는 "터키 민족"이라는 표기를 사용하며, "당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역사적·언어적 상황을 감안하여, 방언 차이는 있어도 매우 근사한 터키계 언어를 사용했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돌궐, 철륵, 회흘, 갈라록, 발실밀, 사타족 등을 통칭하는 호칭"으로 정의한다.[315]
인종적으로 튀르크계 민족은 동부의 몽골로이드, 서부의 코카소이드로 크게 다르지만,[316] 인종에 관계없이 튀르크 제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민족은 튀르크계 민족으로 정의된다.
현재 중앙아시아 튀르크계 민족 중 상위는 우즈베크인과 카자흐인이다. 이들은 조치 울루스 동부에서 독립한 시반 가문 아불-하이르 칸(재위: 1426년 - 1468년)의 집단이었다.
우즈베크로 불린 이들은 킵차크 초원 동부 통일 후 시르 강 중류로 근거지를 옮겼으나, 자니베크 칸과 케레이 칸이 아불-하이르 칸에게 반기를 들고 모굴리스탄 변방으로 이주하면서 우즈베크는 둘로 나뉘었다. 전자는 우즈베크, 후자는 우즈베크-카자흐 혹은 카자흐로 불리게 되었다.
아불-하이르 칸 사후 우즈베크 집단은 분열되었고, 대부분은 먼저 분리된 카자흐 집단에 합류했다. 세력을 키운 카자흐는 킵차크 초원 유목민까지 흡수하여 강력한 카자흐 칸국을 형성했다.
이후 우즈베크 집단은 무함마드 샤이바니 칸 아래 재통합되어 마와라안나흐르, 페르가나, 호라즘, 호라산 등을 점령하고 샤이바니 왕조를 세웠다.
19세기 말 러시아 영토 내 튀르크인들 사이에서 무슬림의 민족적 각성을 촉구하는 운동이 일어나 오스만 제국을 포함한 튀르크인의 폭넓은 연대를 추구하는 범튀르크주의가 나타났다.
그러나 러시아 혁명 성공으로 구 러시아 제국 내 튀르크계 민족은 개별 공화국이나 민족 자치구로 세분화되었다. 터키 혁명으로 구 오스만 제국 아나톨리아에 터키인만의 국민 국가인 터키 공화국이 탄생하면서 범튀르크주의는 부정되었다.
1991년 소비에트 연방 붕괴 후, 구 소련에서 5개 튀르크계 민족 공화국(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이 독립했다.
이들 공화국과 타타르인 등 러시아 영토 내 튀르크계 민족, 터키 공화국 터키인들 사이에서 범튀르크주의 재등장으로 볼 수 있는 새로운 협력 관계가 구축되고 있다.[358]
- 튀르키예 → 튀르키예인 (5,549만 명 ~ 5,800만 명 / 7,000만 명)
- 아제르바이잔 → 아제르바이잔인 (720.5만 명 / 2,050만 명 ~ 3,300만 명, 이란에 1,200만 명 ~ 2,010만 명)
- 우즈베키스탄 → 우즈베크인 (2,230만 명 / 2,830만 명)
- 투르크메니스탄 → 투르크멘인 (550만 명 / 800만 명)
- 키르기스스탄 → 키르기스인 (380.4만 명 / 485.5만 명)
- 카자흐스탄 → 카자흐인 (955만 명 / 1,600만 명)
- 러시아 연방
- * 타타르 공화국 → 타타르인 (555만 4천 명 / 671만 2천 명)
- * 바슈코르토스탄 공화국 → 바슈키르인 (167만 3천 명 / 205만 9천 명)
- * 추바시 공화국 → 추바시인 (163만 7천 명 / 180만 명)
- * 하카스 공화국 → 하카스인 (8만 명)
- * 알타이 공화국 → 알타이인 (6만 7천 명 / 7만 명)
- * 투바 공화국 → 투바인 (24만 3천 명 / 28만 명)
- * 사하 공화국 → 야쿠트인 (44만 4천 명)
- 우즈베키스탄
- * 카라칼파크스탄 자치 공화국 → 카라칼파크인 (55만 명)
- 중화인민공화국
- * 신장 위구르 자치구 → 위구르인 (840만 명 / 1125만 7천 명)
- 몰도바
- * 가가우지아 자치구 → 가가우즈인 (12만 6천 명 / 16만 2천 명)
- 우크라이나 크림 자치 공화국에서는 크림 타타르족이 인구의 20%를 차지한다.
- 리투아니아, 폴란드, 러시아, 튀르키예에는 하자르를 기원으로 하는 크림 카라이족과 크림차크인이 거주한다.
- 벨라루스, 리투아니아, 폴란드에는 타타르족 계열(립카 타타르족, 크림 타타르족, 노가이족, 볼가 타타르족)이 거주한다.
- 우크라이나, 튀르키예에는 튀르크계 기독교도인 가가우즈족이 거주한다.
- 키프로스 북부에서는 튀르크계 주민들이 북 키프로스 튀르크 공화국을 세우고 독립을 선언했다.
- 아프가니스탄에는 우즈베크족 등 많은 튀르크계 민족이 산다.
- 이란에는 북서부 아제르바이잔과 연결된 아제르바이잔인이 집단 거주하며, 북동부 카스피해 동남 연안 및 남부 내륙에 투르크멘족이 산재해 있으며, 전체 인구의 약 30%가 튀르크계이다.
- 몽골에는 바양올기 주를 중심으로 서부에 비교적 많은 수의 카자흐족이 거주한다. 또한 북부에는 소수의 투바인이 거주한다.
- 파키스탄 북부에는 소수의 위구르족, 투르크멘족 등 튀르크계 민족이 거주한다. 라호르 근교에서도 볼 수 있다.
4. 2. 역사 속 튀르크계 민족
- 흉노족
- 훈족: 서로마 제국의 멸망에 기여한 튀르크계 민족이다. 일부 학계에서는 '''훈(Hun)'''이 흉노족의 별칭으로 쓰인 적이 있다는 점 때문에 흉노족과 연관짓기도 한다.[388]
- 후나족
- 괵튀르크족
- 위구르족
- 철륵
- * 카자흐인
- * 키르기스인
- 에프탈족
- 오구르 튀르크족
- * 아바르족[389]: 아바르 카간국을 건설한 민족이다.
- * 하자르족: 하자르 카간국을 건설한 민족으로 동슬라브인들의 문화 형성에 영향을 끼쳤으며,[390] 거의 대부분의 튀르크 제족들이 텡그리교나 이슬람을 숭배한 것과 달리 유대교를 주로 믿었다.
- 킵차크족: 킵차크 칸국의 어원이 된 튀르크계 민족.
- 쿠만족(폴로베츠족)
- 오구즈 튀르크족
- * 페체네그족[391]
- * 튀르키예인
- * 우즈베크인
- * 튀르크멘인
- * 아제리인
- 타타르인
- 노가이인
- 투바인
- 사라족
- 바시키르인
- 야쿠트인
- 카라칼팍인
- 정령
- 고차
- 열반
- 돌궐
- * 동돌궐
- * 서돌궐
- ** 사타족
후당
후진
후한
* 북한
- 철륵
- 회흘 (위구르)
- * 천산 위구르 왕국
- * 감주 위구르 왕국
- 견곤 (계골, 힐가스, 키르기스)
- 오구즈
- 카를룩
- 불가르족
- * 볼가 불가르
- 하자르
- 페체네그
- 흑모자
- * 튀르크족… 흑모자(초르니 클로부키)의 하나
- * 베렌데이족… 흑모자(초르니 클로부키)의 하나
- * 코비족… 흑모자(초르니 클로부키)의 하나
- * 투르페이족… 흑모자(초르니 클로부키)의 하나
- * 페체네그족… 흑모자(초르니 클로부키)의 하나
- 칸클리
- 에메크
- 킵차크 (폴로베츠, 쿠만)
- 카라지 (튀르크)
- 아가체리
4. 3. 튀르크계 국가

현재 튀르키예를 포함, 여러 튀르크계 국가들이 독립 국가를 이루고 있다. 1991년 소련의 해체 이후,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5개국이 독립했다.[240] 타타르스탄, 투바, 야쿠티야와 같은 다른 튀르크 지역은 러시아 연방에 남았고, 중국령 투르키스탄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일부로 남았다.[239]
튀르크 국가들의 독립 직후, 튀르키예는 이들과의 외교 관계를 모색하기 시작했다. 이후 튀르크 국가들 간의 정치적 회담이 증가하여 1993년 튀르크소이와 2009년 튀르크 의회가 설립되었으며, 2021년에는 튀르크 국가 기구로 개명되었다.[240]
현재 튀르크계 국가들은 다음과 같다.
4. 4. 튀르크계 자치 공화국 (러시아 연방 내)
공화국 | 민족 | 인구 |
---|---|---|
타타르 공화국 | 타타르인 | 5,554,000명 / 6,712,000명 |
바슈코르토스탄 공화국 | 바슈키르인 | 1,673,000명 / 2,059,000명 |
추바시 공화국 | 추바시인 | 1,637,000명 / 1,800,000명 |
하카스 공화국 | 하카스인 | 80,000명 |
알타이 공화국 | 알타이인 | 67,000명 / 70,000명 |
투바 공화국 | 투바인 | 243,000명 / 280,000명 |
사하 공화국 | 야쿠트인 | 444,000명 |
크림 자치 공화국 | 크림 타타르인 | 약 700,000명 (전체 인구의 약 35%) |
5. 언어
튀르크어족은 알타이어족 가설의 주요 언어군 중 하나로, 원시 튀르크어에서 파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6. 문화
튀르크족은 주로 양, 염소, 말을 길렀으며, 유제품은 이들의 식단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süttr(우유), yaghtr(버터), 아이란, qaymaqtr(클로티드 크림과 유사), 쿠미스(발효된 암말의 우유), quruttr(말린 요구르트) 등 다양한 유제품을 지칭하는 많은 튀르크어가 존재한다. 카자흐 요리, 키르기스인, 타타르 요리는 유제품의 새로운 변형을 계속 개발했다.[273]
유목 튀르크족은 가마솥과 유사한 냄비인 qazantr에서 식사를 요리했다. qasqantr이라는 나무 받침대를 사용하여 mantitr라고 불리는 전통적인 고기 만두와 같은 특정 찜 요리를 준비했다. 또한 불 위에 돌을 놓고 전통적으로 사용했던 석쇠인 sajtr와 꼬치(shish)를 사용했다. 후대에는 페르시아인으로부터 튀김을 위한 페르시아 타바(tava)를 빌려왔지만, 전통적으로 유목 튀르크족은 qazan, saj 및 shish를 사용하여 요리를 했다. 식사는 chanaqtr라는 그릇에 담아 칼(bïchaqtr)과 숟가락(qashi̅qtr)으로 먹었다. 그릇과 숟가락 모두 역사적으로 나무로 만들어졌다. 음식 준비에 사용된 다른 전통적인 도구로는 oqlaghutr라는 얇은 밀대, süzgu̅çhtr라는 여과기, tāgirmāntr이라는 돌 절구가 있었다.[273]
중세 시대의 곡물 요리에는 통곡물, 수프, 죽, 빵, 페이스트리가 포함되었다. 튀기거나 구운 통곡물은 qawïrmachtr라고 불렀고, köchätr는 유제품과 함께 요리한 분쇄 곡물이었다. Salmatr는 삶거나 구운 고기와 함께 제공할 수 있는 넓은 국수였고, 썰어 놓은 국수는 중세 시대에는 tutmajtr라고 불렀고 오늘날에는 kesmetr라고 불린다.[273]
튀르크 요리에는 많은 종류의 빵 반죽이 있다. Yupqatr는 가장 얇은 종류의 반죽이고, bawi̅rsaqtr는 튀긴 빵 반죽의 일종이며, chälpäktr는 기름에 튀긴 납작한 빵이다. Qatlamatr는 말린 과일이나 고기를 뿌리고 돌돌 말아 핀휠 샌드위치처럼 썰어 먹는 튀긴 빵이다. Toqachtr와 chöräktr은 다양한 종류의 빵이며, böräktr은 속을 채운 파이 페이스트리의 일종이다.[273]
가축은 대개 겨울에 도축되었으며, sujuktr이라는 소시지를 포함하여 고기를 보존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소시지가 준비되었다. 할랄 이슬람 율법의 식이 제한으로 금지되었지만, 역사적으로 튀르크 유목민들은 다양한 종류의 선지도 먹었다. qazi̅tr라는 소시지의 한 종류는 말 고기로 만들었고, 다른 종류는 다진 고기, 내장 및 쌀 혼합물로 채워졌다. 다진 고기는 qïymatr라고 불렀고, 꼬치에 구운 고기는 söklünchtr라고 불렀는데, 이는 "찢다"라는 의미의 어근 sök-tr에서 유래되었으며, 후자의 요리는 현대 시대에 케밥으로 알려져 있다. Qawirmatr는 전형적인 튀긴 고기 요리이며, kullamatr는 국수와 양고기 수프이다.[273]
초기 튀르크 신화는 샤머니즘, 정령 숭배 그리고 텡그리교가 지배적이었다. 튀르크의 정령 숭배 전통은 주로 조상 숭배, 다신교-정령 숭배 그리고 샤머니즘에 집중되었다. 이후 이 정령 숭배 전통은 더 조직화된 텡그리교를 형성하게 된다. 주신은 텡그리, 즉 하늘 신이었으며, 763년 위구르 제국의 공식 종교로 마니교가 도입되기 전까지 초기 튀르크 사회의 상류층에 의해 숭배되었다.
회색 늑대는 명예를 상징하며 대부분의 튀르크 민족의 어머니로 여겨진다. 아시나 부족은 투먼 일 카간, 즉 돌궐의 첫 번째 카간의 늑대 어머니이다. 말과 맹금류, 예를 들어 독수리나 매 역시 튀르크 신화의 주요 인물이다.
불교는 튀르크 민족의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최초로 불교를 수용하고 그 확산을 지원한 튀르크 국가는 튀르크 샤히와 돌궐이었다. 돌궐은 불교를 전통 종교인 텡그리교와 융합했으며, 조로아스터교와 같은 이란 전통 종교의 요소도 통합했다. 불교는 신장 위구르 자치구 지역의 위구르족 사이에서 가장 번성했다.[274] 불교는 다른 다양한 역사적 튀르크 집단에게도 상당한 영향력을 미쳤다. 이슬람 이전 시대에는 불교와 텡그리교가 공존했으며, 다양한 튀르크 부족들이 불교 인물과 풍경의 이미지가 담긴 여러 불교 사찰, 수도원, 조각상 및 비석을 건설했다. 카자흐스탄 전역에는 지하 불교 동굴 수도원을 포함한 다양한 역사적 불교 유적이 존재한다. 아랍의 중앙 아시아 정복 이후, 이슬람이 현지인들에게 확산되면서 불교(그리고 텡그리교)는 쇠퇴하기 시작했지만, 이후 수 세기 동안 불교 가르침의 영향력은 어느 정도 남아 있었다.[275]
텡그리 뵈귈 칸(Tengri Bögü Khan)은 처음에는 멸망한 마니교를 763년에 위구르 카간국의 국교로 삼았고, 카를루크족 사이에서도 인기가 있었다. 마니교는 점차 대승 불교로 대체되었다. 불교는 12세기까지 불교 위구르의 고창에서 존재했다.[276]
티베트 불교 또는 금강승은 마니교 이후 주요 종교였다.[277] 그들은 Täŋri Täŋrisi Burxan,[278] Quanšï Im Pusar[279] 및 Maitri Burxan을 숭배했다.[280] 튀르크의 인도 아대륙 이슬람 정복과 서 신장 위구르 자치구는 북인도와 중앙아시아에서 불교 및 다른 종교의 급속하고 거의 완전한 소멸의 원인이 되었다. 중국 서부의 사리 위구르 "황 위구르"와 러시아의 투바족만이 유일하게 남아 있는 불교도 튀르크 민족이다.[281]
오늘날 대부분의 튀르크족은 수니파 무슬림이지만, 터키에는 상당수의 알레비도 있다. 한때 주로 동부 아나톨리아에 거주했던 알레비 튀르크족은 오늘날 도시화가 증가하면서 터키 서부의 주요 도시 중심지에 집중되어 있다. 튀르크계 수니파 무슬림은 일반적으로 하나피 법학파를 따른다. 아제르바이잔인은 전통적으로 시아파 무슬림이다. 종교적 준수는 이란 아제르바이잔에 비해 아제르바이잔 공화국에서 덜 엄격하다.
이슬람교는 642년, 무슬림 군대가 전년도에 사산 제국을 무너뜨린 후 아무다리야 강을 건너면서 튀르크 민족과 처음 접촉했다. 이슬람교로 개종한 최초의 통치자 중 일부는 소그디아나 지역의 도시 국가에 있던 튀르크족 군주였다. 대량 개종은 751년 탈라스 전투에서 일어났는데, 이 전투에서 튀르크 부족은 아랍군과 함께 중국군에 대항하여 싸웠고, 이는 이 지역 이슬람 역사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 그 이후 튀르크의 심장부 대부분이 무슬림이 되었다.[282] 19세기, 러시아 제국의 튀르크계 무슬림 진보주의자들은 근대주의적 경향을 받아들이면서 기본적인 이슬람 신앙으로의 회귀를 요구하는 자디드 운동이라는 개혁 운동을 주도했다.
주요 기독교 튀르크 민족은 추바쉬 공화국의 추바쉬인과 몰도바의 가가우즈인 (''괴코우즈'')이며, 추바쉬인과 가가우즈인의 대다수는 동방 정교회 신자이다.[283][284][285] 러시아의 추바쉬인의 전통 종교는 많은 고대 튀르크 개념을 포함하는 동시에 조로아스터교, 하자르 유대교, 이슬람교와도 일부 요소를 공유한다.
추바쉬인은 19세기 후반에 대부분 동방 정교회로 개종했다.[284] 그 결과, 축제와 의식은 정교회 축제와 일치하도록 만들어졌고, 기독교 의식은 전통적인 의식을 대체했다. 소수의 추바쉬인은 여전히 전통적인 신앙을 고수하고 있다.[286] 9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동방 교회는 나이만과 같은 튀르크족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다.[287] 심지어 원나라 시대에 가오창에서 부활하여 신장 위구르 자치구로 확장되었다.[288][289][290] 붕괴 후에는 사라졌다.[291][292]
크랴셴은 볼가 타타르족의 하위 집단이며, 대다수는 러시아 정교회 신자이다.[293] 나가이베크는 러시아의 토착 튀르크 민족으로, 대부분의 나가이베크는 기독교 신자이며 18세기 동안 널리 개종했다.[294] 많은 볼가 타타르족은 16세기에 이반 4세에 의해 기독교화되었으며, 18세기 중반까지 후대 러시아 통치자와 정교회 성직자 아래에서 기독교화가 계속되었다.[295]
오늘날 고대 전통의 부활을 지지하는 여러 집단이 있다. 특히 소련 붕괴 이후 중앙아시아의 많은 사람들이 애니미즘적이고 샤머니즘적인 의식을 받아들이거나 공개적으로 행하고 있다. 약 60%의 키르기스인이 애니미즘 의식의 한 형태를 행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카자흐스탄에는 약 54,000명의 고대 전통 추종자가 있다.[296][297]
비무슬림 튀르크족의 텡그리와 다른 신들에 대한 숭배는 무슬림 튀르크족 마흐무드 알-카슈가리에 의해 조롱과 모욕을 받았는데, 그는 그들을 언급하는 구절을 썼다. "이교도 - 신이 그들을 파멸시키기를!"[300][301]
바스밀, 야바쿠, 위구르 국가는 카라-칸 왕조의 이슬람 확산에 맞서 싸운 튀르크 민족 중 하나였다. 이슬람 카라-칸 왕조는 투흐시, 야그마, 치길, 카를루크로 구성되었다.[302]
카슈가리는 예언자가 기적적인 사건을 도왔다고 주장했는데, 여기서 70만 명의 야바쿠 이교도가 아르슬란 테긴이 이끄는 4만 명의 무슬림에게 패배했다고 한다. 녹색 산에 위치한 문에서 불꽃이 야바쿠를 향해 쏘아졌다고 주장했다.[303] 야바쿠는 튀르크 민족이었다.[304]
마흐무드 알-카슈가리는 위구르 불교도들을 "위구르 개"라고 모욕하고, 툭시와 타그마에 따르면 "위구르 이교도"를 지칭하는 "타트"라고 불렀으며, 다른 튀르크족은 페르시아인을 "타트"라고 불렀다.[305][306] 카슈가리는 튀르크족 점술사의 믿음과 "국가적 관습"에 대해 다른 태도를 보였지만, 그의 디완에서 위구르 불교도와의 전쟁에 대한 시를 쓰면서 불교에 대한 증오를 표현했다. 토인(성직자 또는 사제)과 부르칸 또는 푸르칸(부처를 의미하며, 카슈가리의 튀르크 언어에서 "우상"이라는 일반적인 의미를 갖게 됨)과 같은 불교 기원 단어는 무슬림 튀르크족에게 부정적인 의미를 지녔다.[307][301]
마흐무드 알 카슈가리는 그의 저서 ''튀르크어 사전''(Dīwān Lughāt al-Turk)에서 중앙 아시아 튀르크인들 사이에서 "테푸크"라는 게임을 묘사했다. 이 게임에서 사람들은 양 가죽으로 만든 공을 차서 서로의 성을 공격하려고 한다.[308]
퀴즈 쿠우 (Kyz kuu, 소녀를 잡아라)는 터키 민족에 의해 아주 오랜 옛날부터 축제에서 행해졌다.[309]
말은 중앙 아시아 스텝 지역에서 유목 부족으로 살아가는 튀르크족에게 필수적이고 심지어 신성한 동물이었다. 튀르크족은 말 위에서 태어나고, 성장하고, 살고, 싸우고 죽었다. 제리드는 튀르크 민족에게 가장 중요한 스포츠이자 의식적인 경기가 되었다.[310]
콕파르는 10세기에서 15세기 사이에 중국과 몽골 동쪽과 북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한 유목 투르크 민족에서 시작되었다.[311]
지기트는 코카서스와 중앙아시아에서 숙련되고 용감한 기마병 또는 일반적으로 용감한 사람을 묘사하는 데 사용된다.
베제클리크 석굴과 모가오 석굴에서 발견된 불교 및 마니교 옛 위구르인의 이미지는 다음과 같다.
- --
- --
- --
옛 위구르 공주. - --
- --
베제클리크 벽화의 옛 위구르 왕자. 베제클리크 벽화의 옛 위구르 귀족. - --
- --
코초의 옛 위구르 마니교 교도. - --
- --
코초의 마니교도

다음은 여러 튀르크 민족들의 전통 의상과 관련된 이미지이다.
7. 튀르크족과 한국과의 관계
튀르크족과 한국과의 관계는 역사적으로 깊은 관련이 있다. 고대부터 튀르크족은 중앙아시아와 동아시아 지역에서 활동하며, 한국의 고대 국가들과 다양한 형태로 교류해왔다.
8. 유전학
튀르크족의 기원은 많은 논란의 대상이었다.[374] 피터 벤자민 골든은 튀르크조어(Proto-Turkic) 어휘 항목들을 분석하여 기후, 지형, 식물, 동물, 그리고 사람들의 생존 방식 등을 고려했을 때, 튀르크조어가 시베리아의 알타이-사얀 지역에 위치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375]
마르티너 로베이츠의 트랜스유라시아어족 가설에서 튀르크어족은 몽골어족, 퉁구스어족과 함께 만주를 가상의 고향으로 하는 계보학적 연결이 제안되었으나, 비판도 받았다. 반대자들은 장기간의 접촉으로 인한 유사성이라고 주장했다.[376][377][378] 그러나 언어학적 및 유전적 증거는 몽골에 튀르크 민족이 초기에 존재했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379]
최근 여러 연구에서 튀르크조어의 동아시아 기원설이 확증되었다. 튀르크어 원어민은 중국 북동부의 신석기 시대 동아시아 농업 사회와 연결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현대 튀르크어 사용자들 사이에서 다양한 수준의 동북아시아 유전 기반을 통해 싱룽와 문화 및 훙산 문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역사학자들에 따르면, "원시 튀르크의 생존 전략에는 궁극적으로 중국 북동부의 기장 농업의 기원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전통인 농업 요소가 포함되었다."[380] 기원전 2,200년경 튀르크 민족의 조상은 아마도 서쪽으로 몽골로 이주하여 유목적인 생활 방식을 채택했으며, 이 과정에서 이란 민족에게서 일부 생활 방식을 차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흉노, 유연 및 선비족과 같은 유목 민족이 "동북아시아 유전자 풀에 속하거나 이에 가까운" 유전적 조상을 공유한다는 점을 감안할 때 튀르크조어 사용자들은 동북아시아에서 기원했을 가능성이 높다.
2018년 상염색체 단일 염기 다형성 연구에 따르면 유라시아 대초원은 서부 유라시아 계통의 인도유럽어족과 이란어를 사용하는 집단에서 튀르크어족과 몽골 계통의 동아시아 계통으로 서서히 전환되었으며, 이는 몽골에서 튀르크인들의 광범위한 이주와 지역 주민들의 느린 동화를 포함한다.[381]
유전학적 자료에 따르면 중앙아시아의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민족들은 이란어를 사용하는 중앙아시아인, 특히 타지크인들과 대조적으로 22%에서 60% 사이의 동아시아계 혈통(동시베리아인들과 공유하는 "바이칼 수렵채집" 조상)을 가지고 있다. 특히 타지크인은 철기 시대의 인도이란인에 대한 유전적 연속성을 보여준다.[382] 특정 튀르크 민족, 특히 카자흐족은 훨씬 더 높은 동아시아 혈통을 보인다. 이것은 중세 튀르크 킵차크와 중세 몽골인 사이의 상당한 혼합을 통해 카자흐 게놈에 대한 몽골족의 상당한 영향으로 설명된다. 데이터는 몽골의 중앙아시아 침공이 카자흐족의 유전적 구성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383][384][385][386][387]
역사학자 주-엽 리(Joo-Yup Lee)와 쑨투 쾅(Shuntu Kuang)에 따르면, 중국 공식 역사서에서는 튀르크 민족을 "튀르크"라고 불리는 단일하고 균일한 실체로 묘사하지 않는다. 그러나 "중국 역사서는 또한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민족들이 일반적으로 동/내부 아시아 얼굴 생김새를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서유라시아 얼굴 생김새를 가지고 있다고 묘사한다."[228]
역사학자 피터 골든은 아사나 부족의 후손으로 추정되는 사람들의 유전자 검사 결과가 인도-이란인과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보고하며, "''전체적으로 튀르크는 이질적이고 신체적으로 다른 집단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을 강조했다.[244] 역사학자 에멜 에신과 교수 쉐 종정은 서유라시아 특징이 동돌궐 카간국의 왕족 아사나 씨족의 전형적인 특징이었으며, 그들의 외모가 외국 귀족과의 혼인으로 인해 동아시아 특징으로 변화했다고 주장했다. 그 결과, 퀼 테긴 (서기 684년) 시대에 아사나 왕조의 구성원은 동아시아적 특징을 갖게 되었다.[245][246] 2023년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아사나 황후 (서기 568–578년), 즉 왕족 돌궐은 거의 전적으로 고대 북동아시아 기원을 가지고 있었으며, "서유라시아 기원 및 다중 기원 가설"을 약화시켰다.
중세 무슬림 작가들도 일반적으로 튀르크인들을 동아시아적 외모를 가진 사람들로 묘사했다. 중세 아랍 및 페르시아의 튀르크 묘사에 따르면 그들은 아랍인들의 관점에서 볼 때 이상하게 보였고 아랍인들과 매우 신체적으로 달랐다. 튀르크인들은 "작은 눈을 가진 넓은 얼굴"을 가지고 있으며, 밝은 색, 종종 붉은 머리카락과 분홍색 피부를 가지고 있었으며,[248] "키가 작고, 눈, 콧구멍, 입이 작고"(샤라프 알 자만 알-마르와지), "작은 눈을 가진 꽉 찬 얼굴"(알-타바리), "큰 머리, 넓은 얼굴, 좁은 눈, 평평한 코와 좋지 않은 입술과 이빨"(케이카부스)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되었다.[249] 서돌궐 카간국의 동전에서 "총독과 여총독의 얼굴은 분명 몽골로이드(둥근 얼굴, 좁은 눈)이며, 초상화는 분명한 오래된 튀르크 특징(긴 머리카락, 총독의 머리 장식 부재, 여총독의 삼각모)을 가지고 있다."[250]
튀르크계 민족은 같은 알타이어족인 몽골계 민족과 퉁구스계 민족에게서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C2 계통이 카자흐인 (66.7%[359])을 제외하고는 그다지 높지 않다.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유형으로는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나 슬라브인에게서 많은 R1a 계통이 키르기스인에게서 63.5%[314], 남알타이인에게서 53.1%[360] 등으로 관찰된다. 또한 야쿠트인은 우랄계 민족과 관련된 N 계통이 88%의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361]。11세기에 튀르크족이 진입한 아나톨리아에서는 재래의 J 계통 등이 높은 빈도로 나타난다[362]。
튀르크계 민족에게 명확한 유전자의 단일성은 인정되지 않으므로, 튀르크계 민족의 확산은 화자 이동보다는 언어 교체 중심이었음을 시사한다.[363] 또한, 조사된 대부분의 튀르크계 민족은 유전적으로 인근 지역의 주민과 유사하므로, 인도유럽어족과 같은 소수 상위 계급에 의한 지배가 시사된다.[363] 그러나 서부의 튀르크계 민족도 현재 남시베리아와 몽골 지역의 튀르크계 민족과 동일한 "매우 긴 염색체 영역"을 공유하고 있다.[363]
키르기스인, 카자흐인, 우즈베크인, 투르크멘인, 알타이인 등 중앙아시아의 튀르크계 민족은 몽골로이드와 코카소이드의 혼합체이다.[364] 서쪽 끝의 투르크인은 코카소이드, 동쪽 끝의 야쿠트인은 몽골로이드로 여겨지지만, 각각 몽골로이드와 코카소이드의 유전자를 약간 포함하고 있다.[314]
9. 국제 기구
튀르크어를 사용하는 인구를 가진 국가 간의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설립된 여러 국제 기구가 있다.
- 튀르크소이(TÜRKSOY): 튀르크 민족 간의 문화적 유대 강화를 위한 활동을 수행한다. 튀르크 민족의 공통 문화 유산을 미래 세대에 전달하고 전 세계에 알리는 것이 주요 목표이다.[262] 매년 튀르크 세계의 도시 한 곳을 "튀르크 세계 문화 수도"로 선정하여 수많은 문화 행사를 개최한다.[263]
- 튀르크 국가 기구: 2009년 11월 3일 나흐치반 협약에 의해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튀르키예가 결성한 기구로, 이들 조직을 더 긴밀한 지정학적 틀로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006년 카자흐스탄 대통령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가 처음 제안했다. 회원국은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 튀르키예, 우즈베키스탄이다.[264] 헝가리는 2018년부터 옵서버 자격을 가지고 있으며,[265] 투르크메니스탄도 옵서버 국가로 합류했다.[266] 북키프로스 튀르크 공화국은 2022년 사마르칸트에서 열린 정상 회담에서 옵서버 회원으로 가입했다.[267][268]
- TAKM: 군사 지위를 가진 유라시아 법 집행 기관 기구는 2013년 1월 25일에 설립되었다. 아제르바이잔, 키르기스스탄, 튀르키예 3개의 튀르크 국가와 옵서버 카자흐스탄으로 구성된 정부 간 군사 법 집행(헌병) 기구이다.
참조
[1]
서적
Handbook of Language and Ethnic Identity: The Success-Failure Continuum in Language and Ethnic Identity Efforts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Fundamentals of World Regional Geography
https://books.google[...]
Cengage
[3]
웹사이트
Uzbekistan
https://www.gazeta.u[...]
2021-08-19
[4]
백과사전
Azerbaijani (people)
http://www.britannic[...]
2012-01-24
[5]
서적
Nationalism in Late and Post-Communist Europe
[6]
간행물
Library of Congress – Federal Research Division – Country Profile: Iran, May 2008
https://www.loc.gov/[...]
Library of Congress
2008-05-00
[7]
웹사이트
Kazakhstan
https://www.cia.gov/[...]
2014-12-21
[8]
웹사이트
China
https://www.cia.gov/[...]
2014-05-13
[9]
웹사이트
Azerbaijan
https://www.cia.gov/[...]
2016-07-30
[10]
웹사이트
Census 2021: 84.6% of population define themselves as Bulgarians, 8.4% Turks, 4.4% Roma
https://sofiaglobe.c[...]
2022-11-24
[11]
웹사이트
Afghanistan
https://www.cia.gov/[...]
2014-05-13
[12]
웹사이트
Uzbeks and Turkmens –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in Afghanistan
https://minorityrigh[...]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2015-06-19
[13]
서적
The Statesman's Yearbook 2007: The Politics, Cultures and Economie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02-07
[14]
서적
Communicating with Asia: The Future of English as a Global Languag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1-11
[15]
서적
Multicultural Manners: Essential Rules of Etiquette for the 21st Century
https://books.google[...]
Wiley
2011-01-07
[16]
뉴스
Unpublished Census Provides Rare and Unvarnished Look at Turkmenistan
https://jamestown.or[...]
[17]
뉴스
First (actual) demographic data for Turkmenistan released
https://www.asianews[...]
[18]
웹사이트
Kyrgyzstan
https://www.cia.gov/[...]
2014-05-13
[19]
서적
Managing Diversity in Organizations: A Global Perspective
Taylor & Francis
[20]
웹사이트
Iraq's Turkmens call for independent province
http://www.al-monito[...]
Al-Monitor
[21]
웹사이트
Tajikistan
https://www.cia.gov/[...]
2014-05-13
[22]
웹사이트
Obama, recognize us
http://m.stlamerican[...]
2015-03-18
[23]
간행물
Nahost-Informationsdienst
Deutsches Orient–Institut; Deutsches Übersee–Institut
[24]
웹사이트
All-Ukrainian population census 2001 – General results of the census – National composition of population
http://2001.ukrcensu[...]
2017-09-02
[25]
문서
TRNC
https://web.archive.[...]
[26]
서적
Reconciling Cultural and Political Identities in a Globalized World: Perspectives on Australia-Turkey Relations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04-29
[27]
웹사이트
Mongolia
https://www.cia.gov/[...]
2014-05-13
[28]
웹사이트
2020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OF MONGOLIA /summary/
https://www.1212.mn/[...]
[29]
웹사이트
Lebanese Turks Seek Political and Social Recognition
http://english.al-ak[...]
2012-03-02
[30]
웹사이트
Tension adds to existing wounds in Lebanon
http://www.todayszam[...]
2011-04-06
[31]
웹사이트
Syrian Turkmen refugees face double suffering in Lebanon
https://en.zamanalws[...]
Zaman Al Wasl
2016-10-11
[32]
웹사이트
Syria's Turkmen Refugees Face Cruel Reality in Lebanon
http://syrianobserve[...]
2016-10-10
[33]
웹사이트
2017 Anuarul Statisitc al Republicii Moldova
https://statistica.g[...]
Biroul Național de Statistică al Republicii Moldova
2022-04-23
[34]
웹사이트
North Macedonia
https://www.cia.gov/[...]
2014-05-13
[35]
웹사이트
Census of Population, Households and Dwellings in the Republic of Macedonia, 2002
http://www.stat.gov.[...]
Republic of Macedonia State Statistical Office
2022-04-23
[36]
서적
Turkic peoples
Encyclopedia Britannica
[37]
논문
The Turkic peoples represent a diverse collection of ethnic groups defined by the Turkic languages.
[38]
논문
Most linguists and historians agree that Proto-Turkic, the common ancestor of all ancient and contemporary Turkic languages, must have been spoken somewhere in Central-East Asia (e.g. Róna-Tas, Reference Róna-Tas1991, p. 35; Golden, Reference Golden1992, pp. 124–127; Menges, Reference Menges1995, pp. 16–19).
[39]
논문
The ultimate Proto-Turkic homeland may have been located in a more compact area, most likely in Eastern Mongolia
[40]
논문
The best candidate for the Turkic Urheimat would then be northern and western Mongolia and Tuva, where all these haplogroups could have intermingled, rather than eastern and southern Mongolia...
[41]
논문
To sum up, the palaeolinguistic reconstruction points to a mixed subsistence strategy and complex economy of the Proto-Turkic-speaking community. It is likely that the subsistence of the Early Proto-Turkic speakers was based on a combination of hunting–gathering and agriculture, with a later shift to nomadic pastoralism as an economy basis, partly owing to the interaction of the Late Proto-Turkic groups with the Iranian-speaking herders of the Eastern Steppe.
[42]
논문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even the early Turkic peoples, including the Tiele and the Türks, were made up of heterogeneous elements. Importantly, DNA studies demonstrate that the expansion process of the Turkic peoples involved the Turkicization of various non-Turkic-speaking groups. The “Turks” intermixed with and Turkicized various indigenous groups across Eurasia: Uralic hunter-gatherers in northern Eurasia; Mongolic nomads in Mongolia; Indo-European-speaking nomads and sedentary populations in Xinjiang, Transoxiana, Iran, Kazakhstan, and South Siberia; and Indo-European elements (the Byzantine subjects, among others) in Anatolia and the Balkans.
[43]
웹사이트
Kultegin's Memorial Complex, TÜRIK BITIG
http://irq.kaznpu.kz[...]
[44]
웹사이트
Tonyukuk's Memorial Complex, TÜRIK BITIG
http://irq.kaznpu.kz[...]
[45]
논문
The Ethnogonic Tales of the Türks
2018-07-25
[46]
논문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Term Turk and the Nature of the Turkic Identity of the Chinggisid and Timurid Elites in Post-Mongol Central Asia
[47]
논문
The Khüis Tolgoi inscription – signs and sounds
https://www.academia[...]
2018-11-04
[48]
논문
Interpretation of the Hüis Tolgoi Inscription
https://www.academia[...]
2018-11-04
[49]
논문
A Sketch of the Earliest Mongolic Language: the Brāhmī Bugut and Khüis Tolgoi Inscriptions
https://www.academia[...]
[50]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p. 826
https://books.google[...]
Infobase
2010-05-19
[51]
웹사이트
新亞研究所 – 典籍資料庫
http://newasia.proj.[...]
2015-03-18
[52]
문서
Moriyasu & Ochir 1999, p. 123
[53]
서적
Natural History
Harvard University Press
[54]
서적
Description of the World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55]
간행물
Türk Adı ve Türklük Kavramı
[56]
백과사전
Iyrcae
EB1911
[57]
서적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
[58]
서적
Archaeologische Mitteilungen aus Iran
Dietrich Reimer
[59]
서적
Cambridge History of Early Inner Asia
[60]
논문
Türks and Iranians: Aspects of Türk and Khazaro-Iranian Interaction
[61]
간행물
Linguistique balkanique
Bŭlgarska akademii︠a︡ na naukite. Otdelenie za ezikoznanie/ izkustvoznanie/ literatura
[62]
웹사이트
Türk
http://www.nisanyans[...]
[63]
서적
Oghuzes (Turkmens): History, Tribal organization, Sagas
Turkish World Research Foundation
[64]
웹사이트
Turk
http://www.bartleby.[...]
2006-12-07
[65]
서적
Contact and Exchange in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66]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s
[67]
서적
ARCHIVUM EURASIAEMEDII AEV
[68]
서적
An Etymological Dictionary of Pre-13th Century Turkish
[69]
논문
TÜRK Adının Kökeni Üzerine (On the origin of the ethnonym TÜRK 'Turkic, Turkish') + an English abstract
https://www.academia[...]
Ege University
2022-12-02
[70]
서적
The Peoples of the Steppe Frontier in Early Chinese Sources
[71]
서적
Central Asia and Non-Chinese Peoples of Ancient China
[72]
서적
Dingling, Gaoju and Tiele
[73]
웹사이트
Xiajiasi 黠戛斯, Qirqiz
http://www.chinaknow[...]
2012-00-00
[74]
간행물
The Name of the Kirghiz
Harrassowitz Verlag
1990-00-00
[75]
서적
Huns, Rome and the Birth of Europ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3-00-00
[76]
harvnb
Historians know with certainty that the Dingling [...] were a Turkic people
2017-00-00
[77]
서적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re-Dynastic Khitan
https://helda.helsin[...]
University of Helsinki
2005-00-00
[78]
harvnb
Greek authors [...] frequently applied the name Scythians to later nomadic groups who had no relation whatever to the original Scythians
2018-00-00
[79]
서적
Byzantinoturcica
[80]
서적
Historie des Turks – Deux mille ans du Pacifique á la Méditerranée
Librairie Arthème Fayard
2000-00-00
[81]
서적
Studies on Byzantium, Seljuks, and Ottomans: Reprinted Studies
Undena Publications
1981-00-00
[82]
harvnb
2016-00-00
[83]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Rutgers University Press
1970-00-00
[84]
서적
A History of Christianity in Asia
[85]
서적
Khazarian Hebrew Documents of the Tenth Century
Cornell Univ. Press
1982-00-00
[86]
웹사이트
Timur
http://education.yah[...]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00-00
[87]
웹사이트
Consolidation & expansion of the Indo-Timurids
http://www.britannic[...]
2007-00-00
[88]
서적
World History: Journeys from Past to Present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0-00
[89]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s
1992-00-00
[90]
웹사이트
Ji 姬 and Jiang 姜: The Role of Exogamic Clans in the Organization of the Zhou Polity
https://web.archive.[...]
2000-00-00
[91]
서적
Book of Wei
[92]
논문
The Making of the Tuoba Northern Wei: Constructing Material Cultural Expressions in the Northern Wei Pingcheng Period (398–494 CE)
University of Oxford
2012-00-00
[93]
서적
Book of Wei
[94]
서적
Book of Song
[95]
서적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Pre-Dynastic Khitan
https://helda.helsin[...]
University of Helsinki
2005-00-00
[96]
간행물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Term Turk and the Nature of the Turkic Identity of the Chinggisid and Timurid Elites in Post-Mongol Central Asia
2016-00-00
[97]
웹사이트
Turkic Language family tree
http://www.ethnologu[...]
[98]
서적
Languages of the World, Third Edition
Routledge
2002-03-00
[99]
웹사이트
Turkic peoples
http://search.eb.com[...]
2008-00-00
[100]
서적
A Glossary of Historical Linguistics
University of Utah Press
2007-00-00
[101]
서적
Linguistic Diversity in Space and Time
Chicago University Press
1992-00-00
[102]
서적
The Rise and Fall of Languag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7-00-00
[103]
서적
Languages of the World, An Introduc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2-00-00
[104]
간행물
Review of Robbeets, Martine (2015): Diachrony of verb morphology. Japanese and the Transeurasian languages
https://www.academia[...]
2016-00-00
[105]
서적
Graphical fund of Turkic runiform writing monuments in Asian areal
1983-00-00
[106]
논문
[107]
학술지
The Genetic Legacy of the Expansion of Turkic-Speaking Nomads across Eurasia
2015-04-21
[108]
서적
Studying the Near and Middle East at the Institute for Advanced Study, Princeton, 1935–2018
Gorgias Press
2018-04-27
[109]
논문
[110]
학술지
Genomic insights into the formation of human populations in East Asia
2021-03-01
[111]
학술지
Diachrony of verb morphology: Japanese and the Transeurasian languages
https://www.jbe-plat[...]
2016-01-01
[112]
학술지
New trends in European studies on the Altaic problem
2017-01-01
[113]
학술지
Extensive ethnolinguistic diversity at the crossroads of North China and South Siberia reflects multiple sources of genetic diversity
https://onlinelibrar[...]
2022-01-01
[114]
논문
[115]
학술지
[141]
서적
China's Imperial Past: An Introduction to Chinese History and Culture
Stanford University Press
[142]
학술지
Early nomads of the Eastern Steppe and their tentative connections in the West
2020-05-10
[143]
웹사이트
Xiongnu
http://www.silk-road[...]
[144]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the Turkic Tribes
http://www.historyfi[...]
2015-03-18
[145]
서적
The Eastern Frontier: Limits of Empire in Late Antique and Early Medieval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9-06-27
[146]
문서
Lebedynsky (2006), p. 59.
[147]
문서
Nicola di Cosmo, Ancient China and its Enemies, S. 163ff.
[148]
서적
The Cambridge Illustrated History of Chin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9]
학술지
Early nomads of the Eastern Steppe and their tentative connections in the West
2020-05-10
[150]
웹아카이브
On the new evidence on Xiongnu's writings
http://www.wanfangda[...]
Wanfang Data: Digital Periodicals
[151]
웹아카이브
Writing the Landscape: the Petroglyphs of Inner Mongolia and Ningxia Province (China)
http://faculty.risd.[...]
2002-05-03
[152]
서적
Nomads In Eastern Central Asia
UNESCO Publishing
[153]
서적
The Eastern Frontier: Limits of Empire in Late Antique and Early Medieval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9-06-27
[154]
서적
From the Khan's Oven: Studies on the History of Central Asian Religions in Honor of Devin DeWeese
https://books.google[...]
BRILL
2021-10-11
[155]
문서
Suishu, vol. 84
https://zh.wikisourc[...]
[156]
문서
Tongdian, vol. 197
https://zh.wikisourc[...]
[157]
문서
Zhoushu, vol. 50
https://zh.wikisourc[...]
[158]
문서
Beishi, vol. 99 – section Tujue
https://zh.wikisourc[...]
[159]
학술지
The Ethnogonic Tales of the Türks
https://www.research[...]
2018-08
[160]
문서
Xin Tangshu, vol. 215A
https://zh.wikisourc[...]
[161]
문서
Zhoushu, vol. 50
[162]
문서
Beishi, vol. 99 – section Tujue
[163]
문서
Zhoushu, vol. 50
[164]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urkic Peoples
Otto-Harrassowitz
[165]
서적
Türk Tarih Kongresi
https://books.google[...]
Türk Tarih Kurumu
[166]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Infobase Publishing
2010-05-19
[167]
서적
Historical Atlas of the Medieval World, AD 600–1492
Barnes & Noble
[168]
서적
Genghis Khan: His Conquests, His Empire, His Legacy
https://books.google[...]
Hachette Books
2015-07-14
[169]
서적
The Story of Russia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Books
2022-09-20
[170]
서적
A History of Inner Asi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02-17
[171]
서적
China's Last Nomads: History and Culture of China's Kazak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
[172]
서적
2016
[173]
서적
Making Sense of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0-10-22
[174]
서적
Religions of Iran: From Prehistory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3-11-01
[175]
서적
Central Asia in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01-14
[176]
서적
From the Khitans to the Jurchens & Mongols: A History of Barbarians in Triangle Wars & Quartet Conflicts
https://books.google[...]
2022-11-14
[177]
서적
History of Central Asia, the: 4-volume set
https://books.google[...]
2018-04-18
[178]
문서
Zizhi Tongjian, vol. 246
https://zh.wikisourc[...]
[179]
문서
Zizhi Tongjian, vol. 247
https://zh.wikisourc[...]
[180]
서적
Governing China: 150-1850
https://books.google[...]
2010-09-10
[181]
서적
Warfare in Chi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2021-07-26
[182]
문서
Wudai Shi, ch. 75
http://zh.wikisource[...]
[183]
문서
Old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vol. 99 and New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vol. 10 and Wudai Huiyao, vol. 1
https://zh.wikisourc[...]
[184]
문서
Old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vol. 99 and New History of the Five Dynasties, vol. 10 and Wudai Huiyao, vol. 1
https://zh.wikisourc[...]
[185]
서적
Imperial China: 900–1800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186]
문서
History of Yuan, Vol. 118
https://zh.wikisourc[...]
[187]
서적
White Tatars: The Problem of the Öngũt conversion to Jingjiao and the Uighur Connection
2013
[188]
서적
Труды по истории и этническому составу тюркских племен
https://www.bulgari-[...]
Илим
2003
[189]
서적
Монгольские этнонимы: вопросы происхождения и этнического состава монгольских народов
http://kigiran.com/s[...]
КИГИ РАН
2016
[190]
서적
The ancient cultures of Central Asia and the relations with the Chinese civilization
2002
[191]
웹사이트
Shatuo Türks 沙陀突厥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2019-04-30
[192]
서적
Artifacts from the Ancient Silk Road
https://books.google[...]
ABC-CLIO
2022-12-31
[193]
서적
China's Forgotten People: Xinjiang, Terror and the Chinese Stat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19-06-13
[194]
서적
Hungarians and Europe in the Early Middle Ages: An Introduction to Early Hungarian History
https://books.google[...]
Central European University Press
1999-03-01
[195]
서적
A Global History of War: From Assyria to the Twenty-First Century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14-11-17
[196]
서적
Byzantium and the Pechenegs: The Historiography of the Problem
https://books.google[...]
BRILL
2022
[197]
서적
Ancient Irrigation Systems of the Aral Sea Area: Ancient Irrigation Systems of the Aral Sea Area
https://books.google[...]
Oxbow Books, Limited
2013-12-31
[198]
서적
Byzantium and the Pechenegs: The Historiography of the Problem
2022
[199]
서적
Origin of the Karakalpak people
Moscow
1947
[200]
서적
Winds of Jingjiao: Studies on Syriac Christianity in China and Central Asia
https://books.google[...]
LIT Verlag Münster
2016
[201]
학술지
Tibetan as a "model language" in the Amdo Sprachbund: evidence from Salar and Wutun
https://hal.science/[...]
2016
[202]
학술지
Tibetan as a "model language" in the Amdo Sprachbund: Evidence from Salar and Wutun
https://www.academia[...]
2023-10-23
[203]
논문
A Grammar of Wutun
https://core.ac.uk/d[...]
University of Helsinki
[204]
학술지
The Salar Khazui System
https://books.google[...]
O. Harrassowitz
1999
[205]
서적
The Princeton Encyclopedia of Islamic Political Though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2-01-01
[206]
서적
Islamic Central Asia: an anthology of historical sources and The Ghaznavids were a dynasty of Turkic slave-soldiers... and Turkish dominated mamluk regiments...dynasty of mamluk origin (the GHAZNAVID line) carved out an empire...
http://www.britannic[...]
Indiana University Press
2010
[207]
서적
The Ghaznavids
Edinburgh
1963
[208]
웹사이트
Ghaznavids
http://www.iranicaon[...]
2006
[209]
웹사이트
Ghaznavids
Brill, Leiden
2006/2007
[210]
웹사이트
Ghaznavid Dynasty
http://www.britannic[...]
2007
[211]
서적
A History of Russia, Central Asia, and Mongolia
Blackwell Publishing
[212]
서적
Medieval Islamic Civilization: An Encyclopedia
London u.a.
[213]
서적
The Middle East: a history: Volume 1
McGraw-Hill
[214]
서적
Persian historiography to the end of the twelfth century
Edinburgh University Press
[215]
서적
The Disintegration of the Caliphate in the Eas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Islam (Volume IA): The Central Islamic Lands from Pre-Islamic Times to the First World W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17]
서적, 논문, 웹사이트
Possessors and possessed: museums, archaeology, and the visualization of history in the late Ottoman Empire
http://www.iranica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8]
논문, 서적
History of Civilizations of Central Asia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Pvt. Ltd)
[219]
서적
The Ottoman 'Wild West': The Balkan Frontier in the Fifteenth and Sixteen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7-12-28
[220]
서적
Entrepreneurial Renaissance: Cities Striving Towards an Era of Rebirth and Revival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7-04-05
[221]
서적
Information: A Historical Compan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1-01-26
[222]
서적
Central Asia in World History
[223]
서적
A History of Inner Asia
[224]
서적
The new Uzbek states: Bukhara, Khiva and Khoqand: C. 1750–1886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5]
서적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7
[226]
서적
The Pivot of the Universe: Nasir Al-Din Shah Qajar and the Iranian Monarchy, 1831–1896
I. B. Tauris
[227]
서적
A companion to the history of the Middle East
Blackwell Ltd.
[228]
서적
Muslim World
https://books.google[...]
Brill Archive
2012-09-28
[229]
서적
Iran: Empire of the Mind: A History from Zoroaster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Penguin UK
2008-11-06
[230]
서적
Russia at War: From the Mongol Conquest to Afghanistan, Chechnya, and Beyond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12-02
[231]
백과사전
Mughal Dynasty
http://www.britannic[...]
[232]
백과사전
Babur
http://www.britannic[...]
[233]
웹사이트
the Mughal dynasty
https://www.pbs.org/[...]
2015-03-18
[234]
웹사이트
Kamat's Potpourri
http://www.kamat.com[...]
2015-03-18
[235]
백과사전
Babur Article
http://www.britannic[...]
[236]
서적
The Turks in World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37]
서적
Ottoman Empire and its past life
[238]
웹사이트
The Pechenegs
http://www.geocities[...]
2009-10-27
[239]
서적
Cultura Turcica
https://books.google[...]
Türk Kültürünü Araştırma Enstitüsü
[240]
웹사이트
Turkic Council's name changed to Organization of Turkic States
https://www.aa.com.t[...]
[241]
문서
Göbl 1967, 254; Vondrovec tyre 254
[242]
웹사이트
The Countenance of the other
http://pro.geo.univi[...]
Kunsthistorisches Museum Vienna
2017-07-16
[243]
웹사이트
The Countenance of the other (The Coins of the Huns and Western Turks in Central Asia and India) 2012–2013 exhibit: 13. THE TURK SHAHIS IN KABULISTAN
http://pro.geo.univi[...]
Kunsthistorisches Museum Vienna
2017-07-16
[244]
논문
The Ethnogonic Tales of the Türks
https://journals.sag[...]
[245]
서적
Linguistic Mysteries of Ethnonyms in Inner Asia
https://books.google[...]
Lexington
[246]
서적
A History of Pre-Islamic and Early-Islamic Turkish Culture
Ünal Matbaasi
1980
[247]
서적
Al-Hind: The Slavic Kings and the Islamic conquest, 11th–13th centuries
https://books.google[...]
BRILL
[248]
서적
Mongols, Turks, and Others: Eurasian Nomads and the Sedentary World
https://books.google[...]
Brill
[249]
논문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Historical Sources and Y-DNA Studies with Regard to the Early and Medieval Turkic Peoples
[250]
논문
The Imperial Titles on the Coins of the Western Turkic Qaghanate
https://www.academia[...]
Yangi Nashr
[251]
논문
Le Palais ghaznévide de Lashkari Bazar
1952
[252]
문서
Movses
[253]
논문
A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Historical Sources and Y-DNA Studies with Regard to the Early and Medieval Turkic Peoples
[254]
서적
Youyang Zazu
https://ctext.org/wi[...]
[255]
서적
Xin Tangshu
https://zh.wikisourc[...]
[256]
서적
Xin Tangshu
[257]
서적
Xin Tangshu
[258]
서적
The history of women's mosques in Chinese Islam: a mosque of their own
https://books.google[...]
Taylor and Francis
2013
[259]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Race and Ethnicity in Asi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1
[260]
논문
[261]
서적
The Decline of Medieval Hellenism in Asia Minor and the Process of Islamization from the Eleventh through the Fifteenth Century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1
[262]
웹사이트
About :: TURKSOY
http://www.turksoy.o[...]
2016-05-17
[263]
웹사이트
Cultural Capital of the Turkic World 2016: Sheki :: TURKSOY
http://www.turksoy.o[...]
2016-05-17
[264]
뉴스
Uzbekistan Officially Applies For Membership In Turkic Council
https://www.rferl.or[...]
2019-09-13
[265]
웹사이트
Press Release of the Sixth Summit of the Turkic Council
Turkic Council
2018-09-04
[266]
웹사이트
Turkic Council reforms into Organization of Turkic States
https://www.trtworld[...]
2021-11-13
[267]
뉴스
Turkish Cyprus gains Organization of Turkic States observer status
https://www.dailysab[...]
2022-11-11
[268]
뉴스
Organization of Turkic States pledges observer status for Turkish Cyprus – Türkiye News
https://www.hurriyet[...]
2022-11-11
[269]
문서
Substantial numbers (possibly several millions) of maghrebis of the former Ottoman colonies in North Africa are of Ottoman Turkish descent. Finnish Tatars
[270]
웹사이트
The Karakalpak Gene Pool
www.karakalpak.com/g[...]
2001
[271]
웹사이트
Şeyxülislam qeyd edib ki, Azərbaycanda 35 faiz sünni, 65 faiz isə şiə məzhəbinə mənsub…
http://www.scwra.gov[...]
[272]
웹사이트
Religion
http://files.preslib[...]
Administrative Department of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Azerbaijan — Presidential Library
[273]
서적
Food on the Move
Oxford Symposium on Food and Cookery
1996
[274]
웹사이트
History of Buddhism among the Turkic People
https://studybuddhis[...]
[275]
웹사이트
Buddhism history in Kazakhstan · · "Kazakhstan History" portal
http://edu.e-history[...]
[276]
웹사이트
关于回鹘摩尼教史的几个问题
http://www.eurasianh[...]
[277]
웹사이트
元明时期的新疆藏传佛教
http://www.xjass.com[...]
[278]
웹사이트
回鹘文《陶师本生》及其特点
http://www.xjass.com[...]
[279]
웹사이트
回鹘观音信仰考
http://www.tanghisto[...]
[280]
웹사이트
回鶻彌勒信仰考
http://ccbs.ntu.edu.[...]
[281]
서적
Encyclopedia of the Stateless Nations: S-Z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82]
뉴스
Turkic peoples' road to Islam
https://www.dailysab[...]
2024-05-21
[283]
논문
The Gagauz Between Christianity and Turkishness
https://www.research[...]
[284]
서적
Ethnic Groups of Europe: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2011
[285]
웹사이트
The Gagauz: 'Christian Turks' between two worlds
https://www.trtworld[...]
TRT World
2022-05-22
[286]
웹사이트
Chuvash
http://russiatoday.s[...]
[287]
웹사이트
景教艺术在西域之发现
http://dsr.nii.ac.jp[...]
2015-03-18
[288]
웹사이트
高昌回鹘与环塔里木多元文化的融合
http://hk.plm.org.cn[...]
[289]
웹사이트
唐代中围景教与景教本部教会的关系
http://zzs.chd.edu.c[...]
[290]
웹사이트
景教在西域的传播
http://www.xjass.com[...]
2015-03-18
[291]
웹사이트
新闻_星岛环球网
http://www.stnn.cc/g[...]
2015-03-18
[292]
웹사이트
7–11 世紀景教在陸上絲綢之路的傳播
http://www.hkbu.edu.[...]
2011-04-03
[293]
서적
Islamic peoples of the Soviet Union: with an appendix on the non-Muslim Turkic peoples of the Soviet Union: an historical and statistical handbook
KPI
[294]
서적
Islamic Peoples Of The Soviet Union
https://books.google[...]
Routledge
1986
[295]
서적
Russia and Islam: A Historical Survey
https://archive.org/[...]
Palgrave
[296]
뉴스
Kyrgyz Religious Hatred Trial Throws Spotlight On Ancient Creed
https://www.rferl.or[...]
2012-02
[297]
웹사이트
Religion in Kazakhstan
https://www.worldatl[...]
[298]
서적
The War on the Uyghurs: China's Internal Campaign against a Muslim Minorit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20-09-08
[299]
서적
Islam in Chin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2021-06-17
[300]
서적
From Mahmud Kaşgari to Evliya Çelebi
https://books.google[...]
Isis Press
[301]
학술지
Kāšġarī on the Beliefs and Superstitions of the Turks
1975-01-01
[302]
서적
The Encyclopaedia of Islam
https://books.google[...]
Brill
[303]
서적
From Mahmud Kaşgari to Evliya Çelebi
https://books.google[...]
Isis Press
[304]
서적
Early Mystics in Turkish Literature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305]
학술지
Harvard Ukrainian Studies Eucharisterion: Essays Presented to Omeljan Pritsak on his Sixtieth Birthday by his Colleagues and Students
http://projects.iq.h[...]
Harvard University
1980
[306]
서적
Harvard Ukrainian studies
https://books.google[...]
Harvard Ukrainian Research Institute
[307]
서적
From Mahmud Kaşgari to Evliya Çelebi
https://books.google[...]
Isis Press
[308]
서적
Uluslararası Türk Kültürü Kongresi Bildirileri
Atatürk Kültür Merkezi
[309]
서적
The Amazons: Lives and Legends of Warrior Women across the Ancient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09-22
[310]
웹사이트
Turkish Jereed (Javelin)
http://www.allaboutt[...]
All About Turkey
2016-11-16
[311]
서적
Encyclopedia of World Sport: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312]
웹사이트
ДЖИГИТ
http://dic.academic.[...]
[313]
웹사이트
トルコ系諸族
https://kotobank.jp/[...]
[314]
서적
テュルク系諸民族
平凡社
2005-04-11
[315]
서적
興亡の世界史05 シルクロードと唐帝国
講談社
2007-02-16
[316]
서적
興亡の世界史05 シルクロードと唐帝国
講談社
2007-02-16
[317]
서적
テュルク族の世界 シベリアからイスタンブールまで〈ユーラシア・ブックレット No. 114〉
東洋書店
2007-10-20
[318]
서적
トルコ民族の世界史
慶應義塾大学出版会
2006-05-08
[319]
서적
テュルクの歴史 古代から近現代まで
明石書店
2017-08-15
[320]
서적
[321]
서적
騎馬民族史 1 正史北狄伝〈東洋文庫 197〉
平凡社
1971-10-25
[322]
서적
中央ユーラシア史 新版世界各国史 4
山川出版社
2000-10-30
[323]
고전
史記(匈奴列伝)、三国志(烏丸鮮卑東夷伝 裴注『魏略』西戎伝)、晋書(載記第十三、載記第十四、載記第二十三)、魏書(列伝第八十三)、資治通鑑(卷第九十四、卷第一百三、卷第一百五、卷第一百六、卷第一百七、卷第一百八)
[324]
서적
高車
[325]
서적
テュルクを知るための61章
明石書店
2016-08-20
[326]
고전
魏書、北史
[327]
고전
晋書(載記第十三、載記第十四、載記第二十三)、魏書(列伝第八十三)
[328]
서적
[329]
서적
[330]
서적
歴史
[331]
고전
突厥碑文
[332]
서적
[333]
서적
[334]
서적
騎馬民族史 1 正史北狄伝〈東洋文庫 197〉
平凡社
1971
[335]
서적
突厥
[336]
서적
シルクロードと唐帝国〈講談社学術文庫 2351〉
講談社
2016-03-10
[337]
서적
[338]
서적
2005
[339]
서적
中央ユーラシアの世界 民族の世界史4
山川出版社
1990-06-25
[340]
서적
[341]
서적
[342]
서적
[343]
서적
[344]
서적
[345]
서적
[346]
서적
[347]
서적
[348]
서적
[349]
서적
[350]
서적
[351]
서적
[352]
서적
[353]
서적
[354]
서적
ユーラシア叢書30 ロシヤ年代記
原書房
[355]
서적
[356]
서적
[357]
서적
[358]
서적
[359]
웹사이트
The Eurasian Heartland: A continental perspective on Y-chromosome diversity
https://www.ncbi.nlm[...]
[360]
논문
Gene pool differences between Northern and Southern Altaians inferred from the data on Y-chromosomal haplogroups
[361]
논문
The Western and Eastern Roots of the Saami—the Story of Genetic “Outliers” Told by Mitochondrial DNA and Y Chromosomes
[362]
논문
Y-chromosomal diversity in Europe is clinal and influenced primarily by geography, rather than by language
[363]
저널
The Genetic Legacy of the Expansion of Turkic-Speaking Nomads across Eurasia
2015-04-21
[364]
저널
The Genetic Legacy of the Expansion of Turkic-Speaking Nomads across Eurasia
https://journals.plo[...]
2015-04-21
[365]
백과사전
Turkic peoples
Encyclopedia Britannica
[366]
저널
The Turkic peoples represent a diverse collection of ethnic groups defined by the Turkic languages.
[367]
저널
Most linguists and historians agree that Proto-Turkic, the common ancestor of all ancient and contemporary Turkic languages, must have been spoken somewhere in Central-East Asia (e.g. Róna-Tas, Reference Róna-Tas1991, p. 35; Golden, Reference Golden1992, pp. 124–127; Menges, Reference Menges1995, pp. 16–19).
[368]
저널
The ultimate Proto-Turkic homeland may have been located in a more compact area, most likely in Eastern Mongolia
[369]
저널
The best candidate for the Turkic Urheimat would then be northern and western Mongolia and Tuva, where all these haplogroups could have intermingled, rather than eastern and southern Mongolia...
[370]
저널
To sum up, the palaeolinguistic reconstruction points to a mixed subsistence strategy and complex economy of the Proto-Turkic-speaking community. It is likely that the subsistence of the Early Proto-Turkic speakers was based on a combination of hunting–gathering and agriculture, with a later shift to nomadic pastoralism as an economy basis, partly owing to the interaction of the Late Proto-Turkic groups with the Iranian-speaking herders of the Eastern Steppe.
[371]
저널
Moreover, Turks do not all physically look alike. They never did. The Turks of Turkey are famous for their range of physical types. Given the Turks’ ancient Inner Asian origins, it is easy to imagine that they once presented a uniform Mongoloid appearance. Such traits seem to be more characteristic in the eastern Turkic world; however, uniformity of type can never have prevailed there either. Archeological evidence indicates that Indo-Europeans, or certainly Europoid physical types, inhabited the oases of the Tarim basin and even parts of Mongolia in ancient times. In the Tarim basin, persistence of these former inhabitants’ genes among the modern Uyghurs is both observable and scientifically demonstrable.32 Early Chinese sources describe the Kirghiz as blue-eyed and blond or red-haired. The genesis of Turkic ethnic groups from earliest times occurred in confederations of diverse peoples. As if to prove the point, the earliest surviving texts in Turkic languages are studded with terms from other languages.
[372]
저널
The Ethnogonic Tales of the Türks
http://journals.sage[...]
2018-07-25
[373]
저널
Both Chinese histories and modern dna studies indicate that the early and medieval Turkic peoples were made up of heterogeneous populations
[374]
저널
The Genetic Legacy of the Expansion of Turkic-Speaking Nomads across Eurasia
2015-04-21
[375]
서적
Studies on the peoples and cultures of the Eurasian steppes
Ed. Acad. Române
[376]
저널
Genomic insights into the formation of human populations in East Asia
March 2021
[377]
저널
Diachrony of verb morphology: Japanese and the Transeurasian languages
https://www.jbe-plat[...]
2016-01-01
[378]
저널
New trends in European studies on the Altaic problem
2017-01-01
[379]
저널
The Genetic Legacy of the Expansion of Turkic-Speaking Nomads across Eurasia
2015-04-21
[380]
저널
Although current genetic evidence is not adequate to track the exact time and location for the origin of the proto-Turkic language, it is clear that it probably originated somewhere in northeastern Asia given the fact that the nomadic groups, such as the Rouran, Xiongnu and the Xianbei, all share a substratum genetic ancestry that falls into or close to the northeast Asian gene pool (Ning et al., Reference Ning, Li, Wang, Zhang, Li, Wu and Cuiin press; Li et al., Reference Li, Zhang, Zhao, Chen, Ochir, Sarenbilige and Zhou2018).
[381]
저널
137 ancient human genomes from across the Eurasian steppes
https://www.nature.c[...]
May 2018
[382]
저널
Genetic continuity of Indo-Iranian speakers since the Iron Age in southern Central Asia
2022-01-14
[383]
저널
Genetic substructure and admixture of Mongolians and Kazakhs inferred from genome-wide array genotyping
https://pubmed.ncbi.[...]
December 2020
[384]
논문
Estimating the impact of the Mongol expansion upon the gene pool of Central Asians
[385]
저널
The medieval Mongolian roots of Y-chromosomal lineages from South Kazakhstan
https://doi.org/10.1[...]
2020-10-22
[386]
저널
Genetic Relationship Among the Kazakh People Based on Y-STR Markers Reveals Evidence of Genetic Variation Among Tribes and Zhuz
2022
[387]
저널
The Connection of the Genetic, Cultural and Geographic Landscapes of Transoxiana
2017-06-08
[388]
서적
The Steppe World and the Rise of the Hu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389]
서적
Hungarian History in the Ninth Century
Szegedi Középkorász Műhely
1996
[390]
웹사이트
З Енциклопедії Українознавства; Назва "Україна"
http://litopys.org.u[...]
Litopys.org.ua
2011-10-31
[391]
서적
Türk Şiveleri Lügatı = Dīvānü Luġāt-It-Türk
Tekin
1982
[392]
뉴스
실크로드에 타오르는 투르크 민족주의
http://www.sisainliv[...]
시사인
2009-07-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