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편형동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편형동물은 좌우대칭의 삼배엽성 무체강 동물로, 순환계와 호흡계가 없어 확산을 통해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한다. 대부분 납작한 형태를 가지며, 피부와 소화 기관 사이는 간충직으로 채워져 있다. 소화되지 않은 물질을 입으로 토해내거나, 입과 소화 기관이 없는 종도 있다. 신경계는 머리 쪽에 집중되어 있으며, 대부분 자웅동체로 체내 수정을 한다. 전통적으로 와충류, 흡충류, 단생류, 조충류로 분류되었으나, 분자 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사슬형동물과 섬모형동물로 나뉘며, 신기생충류를 형성한다는 데 동의한다. 편형동물은 기생충으로 인간과 가축에 질병을 유발하며, 일부 종은 해충 방제에 이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물 분류에 관한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황금랑구르
    황금랑구르는 인도 아삼 주와 부탄에 분포하며 크림색에서 황금색 털을 가진 멸종위기종 영장류로,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편형동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시계 방향 나선형으로 왼쪽 위부터: Eudiplozoon nipponicum (단생동물류), 돼지촌충 (촌충류), 간흡충 (흡충류), Pseudobiceros hancockanus (와충류)
학명Platyhelminthes Minot, 1876
영명Flatworm
동의어Plathelminthes Schneider, 1873
분류
동물계
상문편형동물상문
편형동물문
하위 분류 (전통적)와충강
흡충강
단생강
촌충강
하위 분류 (계통 발생적)유극와충강
무장강
특징
형태연한 몸을 가진 무척추 동물
화석 기록
출현 시기페름기 – 현재, 가능성 있는 캄브리아기, 오르도비스기, 데본기 기록

2. 특징

편형동물은 좌우대칭동물이며, 삼배엽성이고 무체강동물이다. 대부분 뚜렷한 머리 부분을 가진다. 순환계호흡계가 없어 확산을 통해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하며, 이로 인해 몸이 납작한 형태를 띤다.

피부와 소화 기관 사이의 공간은 간충직(실질)이라는 결합조직으로 채워져 있다. 이 조직은 세포와 콜라겐 섬유로 강화되어 골격 역할을 하고 근육 부착 지점을 제공하며, 모든 내부 기관을 포함하고 산소, 영양분, 노폐물 통과를 허용한다.

소화계는 입과 항문이 하나로 연결된 주머니 모양이다. 일부 종은 소화관이 퇴화하거나 아예 없으며, 대부분 항문이 없어 소화되지 않은 물질을 입으로 토해낸다. 그러나 일부 긴 종은 항문을 가지며, 복잡하고 가지가 많은 소화 기관을 가진 종은 여러 개의 항문을 가지기도 한다.

신경계는 머리 부분에 가 있고, 몸을 따라 신경삭이 뻗어 있는 바구니 모양이다. 모든 편형동물은 신경계가 머리 쪽에 집중되어 있으며, 신경절 고리와 주요 신경 줄기를 가진다. 자유생활을 하는 종은 안점, 평형포, 촉각기 등을 갖춘 두부를 가지며, 내부에는 신경이 모여 뇌가 형성된다. 기생생활을 하는 종은 이러한 기관들이 대부분 퇴화하고, 흡반 등 몸을 고정하기 위한 기관이 발달한다.

대부분 자웅동체이며 체내 수정을 하고, 일부 종은 무성생식으로 번식한다.

2. 1. 형태

편형동물은 좌우 대칭 동물로, 좌우가 거울상이며 위아래, 머리와 꼬리의 구분이 명확하다. 다른 좌우대칭동물들과 마찬가지로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의 세 세포층을 가진다.[2] 반면, 자포동물과 빗해파리류는 세포층이 두 개뿐이다.[3] 편형동물은 대부분의 다른 좌우대칭동물과 달리 내부 체강이 없는 무체강동물이며, 특수화된 순환계호흡계 기관이 없다.[2][10] 몸은 부드럽고 분절되어 있지 않다.[17]

속성자포동물과 빗해파리류[3]편형동물[2][10]더 "진화된" 좌우대칭동물[11]
좌우 대칭아니오
주요 세포층의 수두 개, 그 사이에 젤리 같은 층(중교질)이 있음세 개
뚜렷한 아니오
특수화된 소화계아니오
특수화된 배설계아니오
내부 기관이 들어있는 체강아니오
특수화된 순환계호흡계 기관아니오



순환계와 호흡계 기관이 없어 확산을 통해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주고받기 때문에, 편형동물은 크기와 모양에 제한을 받는다. 많은 종이 미세하며, 대형 종은 편평한 리본 모양이나 잎 모양이다. 영양분을 운반할 순환계가 없어 대형 종의 소화 기관은 많은 가지를 쳐서 영양분이 신체 각 부분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한다.[4] 몸 표면을 통한 호흡은 체액 손실에 취약하여, 탈수 가능성이 적은 환경(바다, 담수, 습한 육상 환경, 다른 동물 내부)에 서식한다.[2]

피부와 소화 기관 사이는 간충직(실질)이라는 결합조직으로 채워져 있으며, 세포와 콜라겐 섬유로 강화되어 골격 역할을 하고 근육 부착 지점을 제공한다. 간충직에는 모든 내부 기관이 있으며 산소, 영양분, 노폐물 통과를 허용한다. 고정 세포(일부는 체액으로 채워진 액포를 가짐)와 줄기세포(다른 세포로 변형 가능, 조직 재생이나 무성생식에 사용)로 구성된다.[2]

대부분의 편형동물은 항문이 없어 소화되지 않은 물질을 입으로 토해낸다. ''Paracatenula'' 속은 입과 소화 기관이 없다.[12] 그러나 일부 긴 종은 항문을 가지며, 복잡하고 가지가 많은 소화 기관을 가진 일부 종은 여러 개의 항문을 가진다.[10] 소화 기관은 음식을 흡수, 소화하는 단일 층의 내배엽 세포로 둘러싸여 있다. 일부 종은 소화 기관이나 인두(목구멍)에서 효소를 분비하여 음식을 분해한다.[2]

모든 동물은 체액 내 용존 물질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대부분의 편형동물은 농도 조절에 동일한 시스템을 사용한다. 섬모세포는 간충직에서 노폐물과 재사용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물을 추출하여 편모와 미세융모로 둘러싸인 관 세포 네트워크로 유입시킨다. 관 세포의 편모는 배설공으로 물을 운반하고, 미세융모는 재사용 가능한 물질과 물을 재흡수한다. 이러한 섬모세포와 관 세포의 조합을 원신관이라고 한다.[2][11]

모든 편형동물에서 신경계는 머리쪽에 집중되어 있다. 다른 편형동물은 머리에 신경절 고리와 몸을 따라 달리는 주요 신경 줄기를 가진다.[2][10]

편형동물 ''Pseudoceros dimidiatus''


두 마리의 편형동물이 페니스 펜싱으로 교미하고 있다. 각각 두 개의 페니스를 가지고 있으며, 머리 아랫면의 흰색 돌기가 그것이다.


편형동물은 약 4,500종이 있으며,[10] 대부분 자유생활을 하고, 크기는 1mm에서 600mm까지 다양하다. 대부분 포식자 또는 청소동물이며, 육상 종은 야행성이며 그늘지고 습한 곳에 서식한다. 일부는 공생 관계(예: 갑각류와 공생)를 맺거나 기생충으로 살아간다. 자유생활 편형동물은 대부분 검정색, 갈색, 회색이지만, 일부 큰 종은 밝은 색을 띤다.[2]

일부 편형동물은 섬모로 덮인 단순한 인두를 가지며, 섬모를 사용하여 먹이 입자와 작은 먹이를 입으로 쓸어 넣는다. 입은 대부분 몸 아랫면 중앙에 있다.[2] 대부분의 다른 편형동물은 뒤집을 수 있는 인두를 가지며, 종에 따라 입이 몸 아랫면 어디에든 위치할 수 있다.[2] 담수 종인 ''Microstomum caudatum''은 입을 몸길이만큼 벌려 자신만한 크기의 먹이를 삼킬 수 있다.[10] 칼립토린키아 아목의 포식성 종은 갈고리나 이빨이 달린 근육질 인두로 먹이를 잡는다.[15]

대부분의 편형동물은 색소컵 홑눈("작은 눈")을 가진다. 대부분 한 쌍이지만, 다른 종은 두 쌍 또는 세 쌍까지 가진다. 몇몇 큰 종은 뇌 위에 촉수에 달린 혹은 몸 가장자리에 고르게 간격을 두고 눈이 여러 개 뭉쳐 있다. 홑눈은 빛이 오는 방향만 구분할 수 있어 동물이 빛을 피할 수 있도록 한다. 몇몇 그룹은 평형기를 가지고 있다. 평형기는 작은 고체 입자 하나 또는 몇몇 그룹에서는 두 개를 포함하는 체액으로 채워진 공간이다. 자포동물 해파리와 빗해파리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균형과 가속도 센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편형동물의 평형기에는 감각 섬모가 없으므로 고체 입자의 움직임과 위치를 감지하는 방법은 알 수 없다. 대부분의 편형동물은 몸 전체에, 특히 촉수와 가장자리에 섬모가 있는 촉각 수용 세포가 흩어져 있다. 머리의 구멍이나 홈에 있는 특수 세포는 냄새 감지기일 가능성이 높다.[10]

플라나리아는 몸을 절단하면 재생되는 능력으로 유명하다. 실험에 따르면 새로운 머리는 원래 머리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던 조각에서 가장 빨리 자란다. 이는 머리의 성장이 머리에서 꼬리로 농도가 감소하는 화학 물질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시사한다. 많은 편형동물은 횡단 또는 종단 분열을 통해 클로닝을 하며, 다른 편형동물은 출아를 통해 번식한다.[10]

대부분의 편형동물은 자웅동체(암수 생식 세포를 모두 가짐)이며, 교미를 통해 체내 수정을 한다.[10] 몇몇 큰 수생 종은 페니스 펜싱으로 교미한다. 이는 각각 상대를 수정하려고 하는 싸움이며, 패배한 쪽은 알을 발달시키는 암컷의 역할을 한다.[16] 대부분의 종에서 알이 부화할 때 "미니어처 성체"가 나오지만, 몇몇 큰 종은 플랑크톤과 같은 유생을 생산한다.[10]

자유생활을 하는 종에서는 안점, 평형포, 촉각기 등을 갖춘 두부가 있으며, 내부에는 신경이 모여 뇌가 형성된다. 기생생활을 하는 종에서는 이러한 기관들이 대부분 퇴화하고, 그 대신 흡반 등 몸을 고정하기 위한 기관이 발달한다.

내부는 삼배엽성이지만, 다른 삼배엽성 동물과 달리 중배엽은 근육세포와 간충직이 표피와 장관 사이를 채우는 상태이다. 체강이 없으므로 무체강동물이라고 불린다. 장관은 주머니 모양이며, 출입구가 같기 때문에 입과 항문이 같다. 소화관은 가지를 쳐서 체내로 퍼지고, 각 부분에서 소화 흡수가 이루어진다. 단, 무장류에서는 소화관이 공간으로서 존재하지 않는다. 입의 안쪽은 다핵이고 세포의 구별이 없는 합포체가 되어 체내로 연결되며, 여기에 음식물을 섭취하고 세포내 소화를 한다. 흡충에서는 소화관이 남아 있지만, 촌충에서는 완전히 퇴화되어 있다.

신경계는 중추신경과 말초신경이 구별되며, 두부에는 뇌가 형성된다. 거기에서 후방으로 좌우 한 개씩의 측신경이 후방으로 뻗어, 거의 사다리꼴 신경계에 가깝지만, 체절 구조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바구니 모양 신경계'''라고 불린다.

대부분 체내수정을 하며, 교미기가 발달한 것이 많다. 생식은 분열 등의 무성생식(무성자)과 난자 등을 낳는 유성생식(유성자)의 두 종류가 있다. 알은 5~8개 부화하며, 하나의 알 속에 난세포가 여러 개 들어 있는 것도 있다. 또한, 기생성인 촌충류나 흡충류에는 유생이 다배형성 등에 의해 무성적으로 증식하는 것이 있다. 섬모충강의 것에도 분열로 증식하는 종이 많으며, 그러한 것에서는 재생 능력도 높다.

2. 2. 생식

대부분의 편형동물은 자웅동체(암컷과 수컷 생식 세포를 모두 가짐)이며, 교미를 통해 체내 수정을 한다.[10] 몇몇 큰 수생 종은 페니스 펜싱으로 교미하는데, 이는 각각 상대를 수정하려고 하는 싸움이며, 패배한 쪽은 알을 발달시키는 암컷의 역할을 한다.[16] 대부분의 종에서 알이 부화할 때 "미니어처 성체"가 나오지만, 몇몇 큰 종은 플랑크톤과 같은 유생을 생산한다.[10]

기생성 편형동물은 복잡한 생활사를 가지며, 중간 숙주를 거쳐 최종 숙주에 도달한다. 흡충류의 경우, 초기 단계에서 만나는 환경에 따라 최대 7단계까지 생활사가 복잡하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알이 육지에 낳는지 물에 낳는지 여부이며, 중간 단계는 기생충을 한 숙주에서 다른 숙주로 옮긴다. 성체가 발달하는 최종숙주는 육상 척추동물이며, 유충 단계의 최초 숙주는 보통 육지 또는 물에 사는 달팽이이다. 많은 경우 물고기나 절지동물이 두 번째 숙주가 된다.[10] 예를 들어 간흡충속의 생활사는 달팽이의 장에서 부화하여 물고기로 이동하여 낭포를 형성하고, 날것으로 물고기를 먹는 육상 동물의 소장으로 이동하여 알을 생성하고 배설하여 달팽이가 섭취하는 순환을 거친다. 동남아시아에서 발견되며 인간의 간에 감염되어 담관암을 유발할 수 있는 간흡충도 비슷한 생활사를 가진다.[43]

3. 분류

편형동물은 전통적으로 와충강, 흡충강, 조충강, 단생강의 네 강으로 분류되었으나, 분자 계통학적 연구에 따라 재분류가 이루어지고 있다. 전통적 분류에서는 와충강이 단계통군이 아니라는 지적이 있었으며, 조충강, 단생강, 흡충강을 묶어 신피아문(Neodermata)으로 분류하기도 한다.[59]

신피아문은 다시 다음과 같이 나뉜다.


  • 조충강
  • * 단절조충아강 (Cestodaria)
  • ** 양망목 (Amphillinidea)
  • ** 주흡반목 (Gyrocotylidea)
  • * 다절조충아강 (Eucestoda)
  • ** 무문목 (Aporidea)
  • ** 과두목 (Caryophyllidea)
  • ** 원엽목 (Cyclophyllidea)
  • ** 이엽목 (Diphyllidea)
  • ** 이성목 (Dioecotaeniidea)
  • ** 반두목 (Lecanicephalidea)
  • ** 능두목 (Litobothridea)
  • ** 일본조충목 (Nippotaeniidea)
  • ** 변두목 (Proteocephalidea)
  • ** 의엽목 (Pseudophyllidea)
  • ** 패두목 (Spathebothriidea)
  • ** 사엽목 (Tetraphyllidea)
  • ** 추문목 (Trypanorhyncha)
  • 단생강
  • * 단후흡반목 (Monopisthocotylea)
  • * 다후흡반목 (Polypisthocotylea)
  • 흡충강
  • * 방패흡충아강
  • * 이생아강

3. 1. 전통적 분류

초기 분류에서는 편형동물을 와충강(Turbellaria), 흡충강(Trematoda), 단생강(Monogenea), 조충강(Cestoda)의 네 그룹으로 나누었다. 이 분류는 오랫동안 인위적인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며, 1985년에 Ehlers[13]는 계통발생학적으로 더 정확한 분류를 제안했는데, 여기서 다계통군인 "와충강"은 12개의 목으로 나뉘고, 흡충강, 단생강, 조충강은 새로운 목인 신피충류(Neodermata)로 묶였다. 그러나 여기서 제시된 분류는 초기의 전통적인 분류로, 과학 논문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여전히 사용되는 분류이다.[2][14]

전통적인 분류는 다음과 같다.

3. 2. 계통 분류학적 분류

초기 분류에서 편형동물은 터벨라리아(Turbellaria), 트레마토다(Trematoda), 단생강(Monogenea), 세스토다(Cestoda)의 네 그룹으로 나뉘었다. 1985년에 Ehlers[13]는 계통발생학적으로 더 정확한 분류를 제안했는데, 여기서 다계통군인 "터벨라리아"는 12개의 목으로 나뉘고, 트레마토다, 모노지네아, 세스토다는 새로운 목인 신피충류(Neodermata)로 묶였다. 그러나 현재 제시된 분류는 초기의 전통적인 분류로, 과학 논문을 제외한 모든 곳에서 여전히 사용되는 분류이다.[2][14]

현재 편형동물의 계통 분류학적 분류는 다음과 같다.

  • 연쇄강 또는 카테눌라류 (Catenulida)
  • 붕상강 또는 랍디토포라류 (Rhabditophora)

4. 발생

편형동물은 나선형 난할을 한다. 와충강 동물 중 다기장류에는 간단한 유생을 생산하는 것이 있으며, Müller's larva|뮬러 유생영어이나 Götte's larva|게테 유생영어이라고 불린다. 섬모대를 가지고 항문이 없는 점을 제외하면 다소 트로코포라 유생과 비슷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에서는 직접 발생이 일어난다. 흡충이나 조충 등 기생성 편형동물은 각각 상당히 특수화된 유생이 관찰된다.

5. 계통

편형동물은 강장동물과 함께 흡수동물을 구성한다. 전통적인 와충강은 다계통군이며, 분자 계통학적 연구를 통해 새로운 분류 체계가 제안되고 있다.

1980년대 중반 이후의 해부학적 특징에 대한 상세한 형태학적 분석과 2000년 이후 DNA 분석은 강장동물과 끈벌레가 다른 모든 좌우대칭동물의 자매군이라는 데 동의한다.[33][26] 그러나 2007년 연구는 강장동물과 끈벌레가 두 개의 별개의 좌우대칭동물 그룹이라는 결론을 내렸다.[27]

강장동물을 제외한 편형동물은 사슬형동물과 섬모형동물의 두 가지 주요 그룹을 포함하며, 이 두 그룹은 일반적으로 단계통군으로 간주된다.[26][32] 2008년 연구는 이들을 결합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으며, 따라서 편형동물은 강장동물을 제외하고 사슬형동물과 섬모형동물로 재정의될 수 있다.[26]

다른 분자 계통 발생학 분석은 재정의된 편형동물이 강장동물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두 그룹 모두 편형동물로 알려진 그룹의 일부라는 데 동의한다. 편형동물은 일반적으로 연체동물환형동물을 포함하는 상위인 촉수동물과 적어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데 동의한다. 대부분의 견해는 편형동물이 촉수동물의 일부이지만, 상당수의 연구자들은 편형동물을 촉수동물의 자매군으로 간주한다.[33]

1985년 이후로 모든 기생 편형동물 그룹(촌충류, 단생흡충류, 흡충류)이 단계통군이며, 이들이 함께 더 큰 단계통군인 신기생충류를 형성한다는 데 동의해 왔으며, 이 그룹의 모든 구성원은 성체에서 합포체 피부를 가지고 있다.[34] 촌충류와 단생흡충류를 신기생충류 내의 중간 단계통군인 Cercomeromorpha로 결합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은 있다.[34][35] 신기생충류는 일반적으로 섬모형동물의 "가계도"에서 몇 단계 아래의 하위 그룹이라는 데 동의한다.[26]

6. 인간과의 관계

조충류(촌충)와 흡충류(간디스토마류)는 사람과 가축에 질병을 일으키고, 단생충류는 양식장 어류에 피해를 줄 수 있다.[47] 주혈흡충증(빌하르치아병 또는 달팽이열)은 말라리아 다음으로 열대 국가에서 심각한 기생충 질병으로, 카터 센터는 74개국 2억 명이 감염되었고 피해자 절반이 아프리카에 있다고 추산했다.[43]

2000년에는 약 4,500만 명이 쇠고기 촌충 ''Taenia saginata''에, 300만 명이 돼지 촌충 ''Taenia solium''에 감염되었다.[47] 신경낭미충증은 ''T. solium'' 유충이 중추신경계에 침투하여 발생하며, 전 세계적으로 후천성 간질의 주요 원인이다.[46] 같은 해 약 3,900만 명이 어류와 갑각류에 기생하는 흡충류에 감염되었는데, 날것 또는 덜 익힌 해산물을 섭취하면 감염될 수 있다. 넓적한 어류 촌충 ''Diphyllobothrium latum'' 감염은 비타민 B12 결핍, 심한 경우 거대 적아구성 빈혈을 유발한다.[47]

선진국에서는 유기농업 증가, 날것 또는 덜 익힌 음식 선호, 기생충 인식 감소로 기생충 감염 위험이 커지고 있다. 개발도상국에서는 비위생적인 시설, 인간 분변 비료 사용, 잘못된 급수 및 관개 시설이 기생충 확산 원인이다. 많은 기생충이 약물 내성을 갖게 되어 통제가 어렵다.[47]

6. 1. 기생충 감염

흡충류와 촌충류는 사람과 가축에 질병을 일으키며, 단생류는 양식 어류에 피해를 줄 수 있다.[47] 특히 주혈흡충증은 열대 지역에서 심각한 질병으로, 만성적인 건강 문제를 일으킨다.[43] 주혈흡충증은 사망률은 낮지만, 내부 장기를 손상시키고 어린이의 성장과 인지 발달을 저해하며 성인의 방광암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43]

한국에서는 간흡충 감염이 문제가 되는데, 이는 민물고기를 날것으로 섭취하는 식습관과 관련이 깊다. 간흡충담관암을 유발할 수 있다.[43]

최근에는 유기농업의 증가와 날 음식 선호 등의 사회적 변화로 인해 기생충 감염의 위험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47]

6. 2. 유해성

북서유럽(영국 제도 포함)에서는 뉴질랜드 편형동물 아서덴듀스 삼각형(Arthurdendyus triangulatus)과 호주 편형동물 오스트랄로플라나 상귀네아(Australoplana sanguinea)의 확산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 두 종은 모두 지렁이를 먹이로 삼는다.[49] ''A. triangulatus''는 식물 수입용 컨테이너를 통해 유럽의 식물원에 유입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50]

6. 3. 유익성

일부 편형동물은 해충 방제에 이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하와이에서는 외래종인 아프리카대왕달팽이(Achatina fulica)의 개체 수를 조절하기 위해 편형동물인 Endeavouria septemlineata가 사용되었다.[51] 다른 편형동물인 Platydemus manokwari도 필리핀, 인도네시아, 뉴기니, 괌에서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었다.[51] Platydemus manokwari는 Achatina fulica의 개체 수를 심각하게 감소시키고, 일부 지역에서는 멸종시킨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51] 그러나 이러한 편형동물들은 토착 달팽이에 심각한 위협이 되므로 생물학적 방제에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된다.[51][52]

아르헨티나의 한 연구에 따르면 Girardia anceps, Mesostoma ehrenbergii, ''Bothromesostoma evelinae''와 같은 편형동물은 모기 종인 Aedes aegypti와 Culex pipiens의 개체 수를 줄일 수 있는 잠재력을 보여준다.[53] 실험 결과, Girardia anceps는 두 모기 종의 모든 유충기를 포식할 수 있으며, 시간이 지나도 일정한 포식률을 유지했다.[53] 이 편형동물이 인공 용기에서 생존할 수 있다는 점은 모기의 주요 번식지에 배치하여 모기 매개 질병 발생을 줄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53]

7. 진화

편형동물은 초기 좌우대칭동물에서 진화한 것으로 여겨지며, 기생 생활은 여러 번에 걸쳐 독립적으로 진화한 것으로 보인다.[37] 확인된 가장 오래된 기생 편형동물 화석은 페름기 상어의 코프롤라이트(화석화된 배설물)에서 발견된 촌충 알이며, 전의 것이다.[39] 이보다 오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는 화석으로는 중국 초기 캄브리아기의 띠 모양의 양측대칭 생물인 ''주름띠 orthogonia''가 있다.[40]

1990년대 이전에는 편형동물이 다른 모든 좌우대칭동물(예: 절지동물, 연체동물, 환형동물, 척색동물)의 자매군을 형성한다는 것이 "전통적인" 견해였다. 그러나 분자 계통 발생학의 발전으로 편형동물은 이차적으로 단순화된 좌우대칭동물로 인식되게 되었다.[24]

형태학적 분석과 분자 계통 발생학 분석을 통해, 강장동물과 끈벌레가 다른 모든 좌우대칭동물의 자매군이라는 데에 의견이 모아졌다.[33][26] 다만, 2007년 연구에서는 강장동물과 끈벌레가 두 개의 별개의 좌우대칭동물 그룹이라는 결론을 내리기도 했다.[27]

강장동물을 제외한 편형동물은 사슬형동물과 섬모형동물의 두 가지 주요 그룹으로 나뉘며, 이 두 그룹은 일반적으로 단계통군(각 그룹의 구성원인 조상의 모든 후손만 포함)으로 간주된다.[26][32]

다른 분자 계통 발생학 분석에 따르면, 재정의된 편형동물은 강장동물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두 그룹 모두 편형동물로 알려진 그룹의 일부이다. 또한 편형동물은 촉수동물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데에 대체로 동의한다.[33]

1985년 이후로 모든 기생 편형동물 그룹(촌충류, 단생흡충류, 흡충류)이 단계통군이며, 이들이 함께 더 큰 단계통군인 신기생충류를 형성한다는 데에 동의가 이루어졌다.[34] 신기생충류는 섬모형동물의 하위 그룹으로 간주된다.[26] 따라서 전통적인 아문 "구형동물"은 다계통군이다.[36]

참조

[1] 논문 Plathelminthes or Platyhelminthes? https://books.google[...] 2020-11-11
[2] 서적 Invertebrate Zo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3] 서적 Invertebrate Zo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4] 서적 The Diversity of Living Organisms https://books.google[...] Blackwell Publishing 2008-12-21
[5] 논문 Gnathostomulid phylogeny inferred from a combined approach of four molecular loci and morphology
[6] 논문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Gastrotricha, with a Taxonomic Key to Families and Genera of the Group
[7] 논문 Xenacoelomorpha: a case of independent nervous system centralization?
[8] 논문 Muscular anatomy of an entoproct creeping-type larva reveals extraordinary high complexity and potential shared characters with mollusks
[9] 논문 Dicyemida and Orthonectida: Two Stories of Body Plan Simplification
[10]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ttps://archive.org/[...] Brooks / Cole
[11] 서적 Invertebrate Zoology https://archive.org/[...] Brooks / Cole
[12] 웹사이트 This Seabed Flatworm Got Rid Of Its Mouth And Anus, Replacing Its Entire Digestive System With Bacteria https://www.iflscien[...] 2022-12-11
[13] 간행물 Phylogenetic relationships within the Plathelminthes Clarendon Press, Oxford
[14] 서적 Zoology 2016 https://www.worldcat[...] Macmillan/McGraw-Hill School Div 2021-03-27
[15] 논문 Evolution and Functional Morphology of the Proboscis in Kalyptorhynchia (Platyhelminthes) 2015
[16] 웹사이트 Fighting to mate: flatworm penis fencing https://www.pbs.org/[...] PBS 2008-12-21
[17] 서적 Encyclopedia of Life Sciences (eLS) John Wiley & Sons, Ltd
[18] 논문 The Monogenean which lost its clamps
[19] 논문 Platyhelminthes ou apenas semelhantes a Platyhelminthes? Relações filogenéticas dos principais grupos de turbelários 2013
[20] 논문 A Transcriptomic-Phylogenomic Analysis of the Evolutionary Relationships of Flatworms 2015-05-18
[21] 서적 Advances in Parasitology https://hal-univ-per[...] 2022-07-15
[22] 논문 A Rhabdocoel Turbellarian (Platyhelminthes, Typhloplanoida) in Baltic Amber with a Review of Fossil and Sub-Fossil Platyhelminths
[23] 논문 Are the Platyhelminthes a monophyletic primitive group? 1997-05-01
[24] 논문 A global metabarcoding analysis expands molecular diversity of Platyhelminthes and reveals novel early-branching clades 2019-09-27
[25] 논문 The Nemertodermatida are basal bilaterians and not members of the Platyhelminthes 2002-04-00
[26] 논문 Phylogeny of Catenulida and support for Platyhelminthes 2008-12-20
[27] 논문 Dismissal of Acoelomorpha: Acoela and Nemertodermatida are separate early bilaterian clades 2007-09-00
[28] 논문 Xenoturbella bocki n.g., n.sp., a peculiar, primitive turbellarian type
[29] 논문 Xenoturbella is a deuterostome that eats molluscs 2003-08-21
[30] 논문 Deuterostome phylogeny reveals monophyletic chordates and the new phylum Xenoturbellida
[31] 논문 Xenacoelomorpha is the sister group to Nephrozoa http://urn.kb.se/res[...] 2016-02-04
[32] 서적 Assembling the Tree of Life Oxford University Press US 2020-11-11
[33] 논문 The New View of Animal Phylogeny http://mugue.narod.r[...] 2010-10-28
[34] 논문 Filling a gap in the phylogeny of flatworms: relationships within the Rhabdocoela (Platyhelminthes), inferred from 18S ribosomal DNA sequences https://doclib.uhass[...] 2008-12-23
[35] 논문 Utility of complete large and small subunit rRNA genes in resolving the phylogeny of the Neodermata (Platyhelminthes): implications and a review of the cercomer theory
[36] 논문 Comments on a phylogenetic system of the Platyhelminthes
[37] 논문 Closing the mitochondrial circle on paraphyly of the Monogenea (Platyhelminthes) infers evolution in the diet of parasitic flatworms
[38] 논문 A new case of kleptoplasty in animals: Marine flatworms steal functional plastids from diatoms 2019-07-05
[39] 논문 Tapeworm eggs in a 270 million-year-old shark coprolite 2013-01-30
[40] 논문 Enigmatic ribbon-like fossil from Early Cambrian of Yunnan, China
[41] 논문 Exceptionally preserved soft-bodied assemblage in Ordovician carbonates of Anticosti Island, eastern Canada
[42] 서적 Constraining the deep origin of parasitic flatworms and host-interactions with fossil evidence https://hal-univ-per[...] 2022-07-15
[43] 웹사이트 Schistosomiasis Control Program http://www.cartercen[...] 2008-07-17
[44] 논문 Taenia solium cysticercosis
[45] 논문 Public health significance of intestinal parasitic infections http://whqlibdoc.who[...] 2008-12-24
[46] 논문 Relationship Between Epilepsy and Tropical Diseases
[47] 논문 Parasites
[48] 뉴스 Iowa woman tries 'tapeworm diet', prompts doctor warning http://www.today.com[...] 2013-08-16
[49] 웹사이트 Flatworm information sheet – Isle of Man Government http://www.gov.im/li[...] 2014-05-26
[50] 논문 The Potential Impact of the New Zealand Flatworm, a Predator of Earthworms, in Western Europe
[51] 서적 Natural Enemies of Terrestrial Molluscs CABI Publishing 2020-11-11
[52] 논문 The invasive New Guinea flatworm Platydemus manokwari in France, the first record for Europe: time for action is now.
[53] 논문 Predation potential of three flatworm species (Platyhelminthes: Turbellaria) on mosquitoes (Diptera: Culicidae)
[54] 웹사이트 Platyhelminthes https://www.marinesp[...] 2022-12-02
[55] 웹사이트 Catenulida https://www.marinesp[...] 2022-12-02
[56] 웹사이트 Rhabditophora https://www.marinesp[...] 2022-12-02
[57] 웹사이트 Macrostomorpha https://www.marinesp[...] 2022-12-02
[58] 웹사이트 Neodermata https://www.marinesp[...] 2022-12-02
[59] 간행물 日本産魚類に寄生する単後吸盤亜綱(単生綱:扁形動物門)の多様性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