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도르 도스토옙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표도르 도스토옙스키는 1821년 모스크바에서 태어나 1881년 사망한 러시아의 소설가이다. 그는 《죄와 벌》,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등 심리 묘사가 뛰어난 작품들을 통해 인간의 고뇌와 사회 문제를 깊이 있게 다루며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로 평가받는다. 그는 사회주의적 사상을 접하기도 했으나, 기독교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인간의 도덕성과 종교적 가치를 강조했다. 그의 작품은 실존주의, 심리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쳤으며, 전 세계적으로 널리 읽히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도스토옙스카야역 (모스크바 지하철)
도스토옙스카야역은 모스크바 지하철 류블린스코-드미트롭스카야 선의 역으로, 경제난으로 중단되었던 공사 후 2010년 개통되었으며, 표도르 도스토옙스키의 작품을 묘사한 내벽 장식, 특히 "죄와 벌" 장면으로 논란이 있었고, 섬식 승강장 구조로 셰레메티예프스카야 거리와 수보롭스키 광장으로 연결된다. - 프랑스어-러시아어 번역가 - 니콜라이 카람진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카람진은 러시아의 저명한 작가이자 역사가로, 혁신적인 산문과 『러시아 국가의 역사』 저술, 감상주의 문학 도입, 잡지 창간, 러시아 역사 연구의 지평을 열었으며, 러시아 알파벳에 'Ё/ё' 자를 도입하고 알렉산더 1세의 정치적 조언자로도 활동했다. - 프랑스어-러시아어 번역가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20세기 러시아의 대표적인 시인이자 소설가, 번역가인 보리스 파스테르나크는 시집 《나의 누이, 삶》으로 러시아 시단에 반향을 일으켰고,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거부하며 인간 존엄성과 자유를 옹호하는 작품을 창작했으며, 대표작 《닥터 지바고》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나 소련 당국의 압력으로 수상을 거부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 러시아의 보수주의 - 니콜라이 카람진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카람진은 러시아의 저명한 작가이자 역사가로, 혁신적인 산문과 『러시아 국가의 역사』 저술, 감상주의 문학 도입, 잡지 창간, 러시아 역사 연구의 지평을 열었으며, 러시아 알파벳에 'Ё/ё' 자를 도입하고 알렉산더 1세의 정치적 조언자로도 활동했다. - 러시아의 보수주의 - 푸틴주의
푸틴주의는 권위주의, 개인숭배, 강력한 대통령 권한 강화를 특징으로 하며, 러시아 국내 정치에서는 권력 집중화, 실로비키 영향력 증대, 언론 통제, 외교적으로는 러시아 민족주의, 신제국주의, 반서방 정서가 두드러지는 개념이다.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 이름 |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옙스키 |
출생일 | 1821년 11월 11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모스크바 |
사망일 | 1881년 2월 9일 |
사망지 | 러시아 제국 상트페테르부르크 |
안장 장소 | 티흐빈 묘지, 상트페테르부르크 |
직업 | 작가 언론인 군사 엔지니어 |
교육 | 니콜라예프 군사 공학 학교 |
활동 기간 | 1844–1880 |
문학 사조 | 사실주의, 자연주의 |
장르 | 심리 소설 (소설|중편 소설|단편 소설) 의견 저널리즘 (논쟁|에세이|스케치|콩트|편지|회고록) 문학 비평 일기 시 번역 웅변 |
주제 | 목록 |
주요 작품 | 지하로부터의 수기 (1864) 죄와 벌 (1866) 백치 (1868–1869) 악령 (1871–1872)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1879–1880) 작가의 일기 (1873–1881) |
배우자 | 마리아 드미트리예브나 이사예바 (1857년 2월 7일 – 1864년 4월 27일, 사별) 안나 그리고리예브나 스니트키나 (1867년 2월 15일) |
자녀 | 4명 (그 중 류보프 도스토옙스카야) |
![]() | |
원어 이름 (언어) | ru |
종교 | |
종교 | 정교도(정교회) |
언어 | |
언어 | 러시아어 |
국적 | |
데뷔 작품 | |
데뷔 작품 | 『가난한 사람들』 (1846년) |
영향 | |
영향을 준 인물 | 빅토르 위고 알렉산드르 푸시킨 오노레 드 발자크 니콜라이 고골 찰스 디킨스 에드거 앨런 포 러시아 정교회 프리드리히 폰 실러 E.T.A. 호프만 요한 볼프강 폰 괴테 호메로스 등 |
영향을 받은 인물 | 많은 세계 문학자 프리드리히 니체 헤르만 헤세 어니스트 헤밍웨이 버지니아 울프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안톤 체호프 장폴 사르트르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라이너 마리아 릴케 에토 준 아베 코보 구로사와 아키라 데즈카 오사무 고바야시 히데오 유카와 히데키 오에 겐자부로 무라카미 하루키 미시마 유키오 하니야 유타카 아즈마 히로키 이토이 시게사토 등 |
사상 | |
사상 | 기독교 실존주의 |
관련 인물 | |
관련 인물 | 보수주의 이론가 |
2. 생애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옙스키는 1821년 모스크바의 빈민 병원 관사에서 태어났다. 의사인 아버지와 상인 가문 출신 어머니 사이에서 자라며 어린 시절부터 문학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공병학교에서 군사 교육을 받았으나 문학에 대한 열정을 버리지 못하고 1844년 군을 떠나 작가의 길을 선택했다.
1845년 첫 소설 《가난한 사람들》로 문단의 주목을 받았으며, 이후 사회주의 사상에 관심을 갖고 페트라솁스키 서클에 참여했다. 그러나 1849년 이 모임에 연루되어 체포되었고, 사형 선고 후 집행 직전 극적으로 감형되어 시베리아 유형길에 올랐다. 옴스크 감옥에서의 4년간의 강제 노역과 이후 군 복무 경험은 그의 삶과 사상에 결정적인 전환점이 되었다. 이 시기 그는 러시아 정교회 신앙에 깊이 귀의하게 된다.
1859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온 후, 유형 경험을 바탕으로 한 《죽음의 집 기록》을 비롯하여 《학대받는 사람들》, 《죄와 벌》, 《백치》, 《악령》, 《미성년》 등 러시아 문학을 대표하는 걸작들을 쏟아냈다. 그는 평생 간질과 도박 중독, 경제적 어려움에 시달렸으나, 두 번째 부인 안나 스니트키나의 헌신적인 도움 속에서 창작 활동을 이어갔다.
만년에는 《작가의 일기》를 통해 사회·정치·종교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활발히 밝혔으며, 1880년 필생의 역작 《카라마조프의 형제들》을 완성했다. 이듬해인 1881년 폐출혈로 60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장례식에는 수많은 군중이 모여 그의 죽음을 애도했다.
2. 1. 유년 시절과 가족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옙스키는 1821년 11월 11일(구력 10월 30일) 모스크바 변두리 저소득층 지역에 위치한 마린스키 빈민 병원(Mariinsky Hospital for the Poor) 부지 내의 관사에서 태어났다.[7] 그의 아버지는 병원의 의사인 미하일 안드레예비치 도스토예프스키였고, 어머니는 상인 가문 출신의 마리아 표도로브나 네차예바였다. 그는 7남매(형 미하일, 여동생 바르바라, 베라, 알렉산드라, 남동생 안드레이, 니콜라이, 일찍 사망한 류보프) 중 둘째 아들이었으며, 15살 때까지 이곳에서 자랐다.[8] 병원 정원에서 놀면서 러시아 사회 하층민 환자들과 자연스럽게 접촉하는 환경이었다.
도스토옙스키의 부계 조상은 러시아 정교회 신자인 러시아 귀족 가문 출신으로, 그 기원은 1509년 현대 벨라루스의 핀스크 지역(당시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소속)에서 공을 세운 다닐로 이르티슈치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후손들은 그곳의 도스토예보(Dostojewo)라는 마을 이름을 따 '도스토옙스키' 성을 사용하게 되었다.[7] 그의 외가는 상인 집안이었고, 부계 남성들은 주로 성직자였다. 아버지 미하일은 1809년 모스크바 제국 의학 외과 아카데미에 입학하여 군의관을 거쳐 1818년 수석 의사가 되었고, 1819년 마리아 네차예바와 결혼 후 마린스키 빈민 병원에 부임했다. 1828년, 미하일과 표도르가 각각 8살, 7살 때 아버지는 대학 평가관으로 승진하며 귀족 지위를 얻었고, 모스크바에서 약 150km 떨어진 다로보예(Darovoye) 마을에 작은 영지를 구입하여 가족들은 여름을 그곳에서 보냈다. 1831년에는 인근 체료모시나 마을까지 사들여 지주 귀족이 되었으나, 같은 해 화재로 저택이 소실되었다가 복구되기도 했다. 아버지 쪽이 귀족 가문이었지만 당시 러시아에서 의사는 중인 계급에 속했고 가정 형편은 넉넉하지 않았다. 아버지는 가부장적이고 매우 거친 성격으로 자식들이 두려워하는 존재였다.
도스토옙스키는 어린 시절부터 문학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세 살 때부터 보모 알료나 프로로브나에게 영웅 서사시, 동화 등을 들으며 자랐고, 네 살 때는 어머니로부터 성경을 통해 읽고 쓰는 법을 배웠다. 부모는 그에게 카람진, 푸시킨, 데르자빈 등 러시아 작가들의 작품뿐만 아니라, 래드클리프의 고딕 소설, 실러와 괴테의 낭만주의 작품, 세르반테스와 스콧의 영웅담, 호메로스의 서사시 등 다양한 문학을 접하게 해주었다. 특히 고골의 작품에 큰 영향을 받았다.[9] 아버지의 교육 방식은 엄격했지만, 도스토옙스키는 부모님이 밤마다 책을 읽어준 것이 자신의 상상력을 키웠다고 회고했다.
그의 어린 시절 경험 중 일부는 훗날 작품에 반영되었다. 아홉 살 때 목격한 소녀 강간 사건은 충격적인 기억으로 남아 『악령』,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 『죄와 벌』 등에서 성숙한 남성의 어린 소녀에 대한 욕망이라는 주제로 나타났다. 다로보예 영지의 농노 마레이가 숲에서 늑대 소리를 듣고 무서워하는 어린 도스토옙스키를 위로해 준 일화는 단편 「농노 마레이」에 묘사되어 있다.[10]
도스토옙스키는 허약한 체질이었지만 성급하고 고집 센 면모도 지녔다. 1833년 아버지는 독실한 기독교 신자였던 그를 프랑스 기숙학교를 거쳐 체르마크 기숙학교에 보냈다. 그곳에서 그는 창백하고 내성적인 몽상가이자 감수성이 예민한 낭만주의자로 묘사되었다. 1834년 열세 살 때 형 미하일과 함께 모스크바의 체르마크 기숙학교에 정식 입학하여 3년간 공부했다. 귀족 출신 동급생들 사이에서 잘 어울리지 못했던 경험은 훗날 소설 『미성년』에 반영되었다.
1837년, 온화하고 자애로워 자녀들에게 천사 같았던 어머니가 폐결핵으로 세상을 떠났다. 어머니의 죽음은 가족에게 큰 충격이었고, 같은 해 아버지는 장남 미하일과 열여섯 살이 된 차남 도스토옙스키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공병학교에 입학시키기 위해 보냈다. 1838년 도스토옙스키는 공병학교 시험에 합격하여 군사 교육을 받게 되었다. 그러나 소심하고 예민하며 병약했던 그에게 군사 훈련은 적성에 맞지 않았다. 문학은 그의 유일한 위안이었고, 문학에 열정을 가진 친구들과 교류하며 습작을 평가하고 토론하는 데 몰두했다. 당시 유행하던 낭만주의 사조의 영향으로 특히 실러에게 심취해 있었다.
1839년 6월, 어머니가 사망한 후 영지에 내려가 있던 아버지가 농노들에게 살해당하는 비극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농노들을 가혹하게 다룬 것이 원인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페테르부르크에 있던 형제는 큰 충격을 받았으며, 전기 작가 O. 밀레르에 따르면 이 시기에 도스토옙스키에게 평생 지속된 간질 발작이 처음 나타났다고 한다.
1841년 8월, 공병학교를 졸업하고 육군성 제도국 소위로 임관했지만, 문학에 대한 열정을 포기할 수 없었다. 결국 작가의 길을 걷기로 결심하고 1844년 10월 군에서 제대하였다.
2. 2. 청년기와 공병학교 시절
1833년, 도스토옙스키는 중학교 입시를 위해 형 미하일과 함께 드라슈소프의 학원에 다녔고, 1834년에는 문학 교육으로 유명했던 체르막 기숙학교에 입학했다. 1837년 2월 27일, 그의 어머니 마리야가 결핵으로 세상을 떠났다. 같은 해 5월, 아버지 미하일 안드레예비치는 두 아들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보내 무료 니콜라예프 군사 공학 연구소에 입학시키려 했고, 이로써 형제는 학문 대신 군인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 무렵 도스토옙스키는 인후 질환으로 발음이 다소 불편해졌다.1838년 1월, 도스토옙스키는 가족들의 도움으로 공병학교에 입학했지만, 형 미하일은 건강 문제로 입학이 거부되어 레발(현재 에스토니아 탈린)의 다른 학교로 보내졌다.[73]
도스토옙스키는 공병학교 생활에 잘 적응하지 못했다. 그는 과학, 수학, 군사 공학보다는 그림과 건축에 더 관심이 많았다. 그의 친구였던 콘스탄틴 트루토프스키는 "F.M. 도스토옙스키보다 군인다운 태도가 덜한 학생은 그 기관 전체에 없었다"고 회상하며, 그의 어색한 움직임과 몸에 맞지 않는 제복, 그리고 배낭, 모자, 소총 등을 마치 족쇄처럼 무겁게 느꼈다고 묘사했다. 그의 독특한 성격과 관심사는 120명의 동급생들 사이에서 그를 겉돌게 만들었다. 그럼에도 그는 용기와 강한 정의감을 보여주었는데, 신입생을 보호하고, 교사들의 편에 서거나 장교들의 부패를 비판했으며, 가난한 농민들을 돕기도 했다. 주로 혼자 지내며 자신만의 문학 세계에 빠져 있었지만, 동급생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그의 이러한 은둔적인 모습과 종교에 대한 깊은 관심 때문에 "수도사 포티우스"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다.
1839년 6월 16일, 아버지의 사망 소식을 접한 후 처음으로 간질 증상을 보였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비록 이 발작에 대한 이야기는 그의 딸이 남긴 기록(나중에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인용하기도 함)[11]에 근거하지만, 현재는 그 신뢰성이 낮게 평가된다. 아버지의 공식적인 사망 원인은 뇌졸중이었으나, 이웃이었던 파벨 호티아인체프는 아버지가 영지의 농노들에게 살해당했다고 주장했다. 만약 농노들이 유죄 판결을 받고 시베리아로 보내졌다면, 호티아인체프는 그 땅을 사들일 수 있는 위치에 있었다. 농노들은 툴라에서 열린 재판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지만, 도스토옙스키의 형 미하일은 아버지가 살해당했다는 이야기를 계속 퍼뜨렸다.[73] 아버지는 도스토옙스키 가문 소유의 다로보예와 체르마시냐 두 영지 경계 부근에서 참혹하게 살해당했다고 전해진다.[73]
아버지의 죽음 이후에도 도스토옙스키는 학업을 계속했다. 1840년에는 사관후보생이 되었고, 1841년에는 야전 공병기수가 되었다. 1842년 8월에는 소위로 임관했으며, 시험을 통과하여 공병 중위 계급을 얻어 학원에서 나와 살 수 있게 되었다. 그는 레발(탈린)에 있는 형 미하일을 방문했고, 자주 콘서트, 오페라, 연극, 발레 공연을 관람했다. 이 시기에 친구들을 통해 도박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
1843년 8월 12일, 공병학교를 졸업하고 중위 엔지니어 직책을 맡아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공병대 제도국에서 근무를 시작했다. 그는 형 미하일의 친구인 리젠캄프 박사 소유의 아파트에서 아돌프 토틀레벤과 함께 살았다. 리젠캄프는 도스토옙스키에 대해 "형제만큼이나 친절하고 예의 바르지만, 기분이 좋지 않을 때는 모든 것을 어둡게 보고 짜증을 내며 예의를 잊고, 때로는 자신을 잃을 정도로 흥분하기도 했다"고 평가했다.
같은 해 6월과 7월, 그의 첫 문학 작품인 오노레 드 발자크의 소설 ''외제니 그랑데'' 번역본이 '레퍼토리와 판테온'이라는 잡지의 6권과 7권에 실렸다.[12] 이후 몇 차례 더 번역 작업을 했지만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경제적인 어려움 속에서 직접 소설을 쓰기로 결심하게 되었다. 공병대 근무가 적성에 맞지 않았던 그는 약 1년 만인 1844년경 중위로 진급한 후 군을 떠나 작가의 길을 걷기로 마음먹었다.[74] 그가 공병학교 시절과 초기 작가 생활을 보낸 상트페테르부르크는 훗날 그의 많은 소설 작품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2. 3. 문단 데뷔와 초기 작품
1845년 5월 첫 소설인 《가난한 사람들》을 완성했다. 당시 함께 아파트를 공유하던 친구 드미트리 그리고리예비치는 원고를 시인 니콜라이 네크라소프에게 가져갔고, 네크라소프는 다시 저명한 문학 비평가 비사리온 벨린스키에게 보여주었다. 벨린스키는 이 소설을 러시아 최초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소설"이라고 평가했고, '제 2의 고골'이라는 극찬을 보냈다. 네크라소프가 감동하여 밤중에 도스토옙스키의 집을 찾아갔다는 일화는 유명하다. 《가난한 사람들》은 1846년 1월 15일 《상트페테르부르크 수집》 연감에 발표되어 상업적으로도 성공을 거두었다.도스토옙스키는 군 생활이 문학 경력에 방해가 될 것이라 생각해 군 복무를 그만두었다. 직후 두 번째 소설 《분신》(원제: 이중인격)을 집필해 1846년 1월 30일 《조국의 수첩》지에 게재했으며, 2월에 출판했다. 그러나 이 작품은 벨린스키의 혹평을 포함하여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같은 시기 도스토옙스키는 샤를 푸리에, 에티엔 카베, 피에르조제프 프루동, 클로드앙리 드 생시몽 등의 저작을 통해 사회주의 사상을 접했다. 벨린스키와의 교류를 통해 사회주의 철학에 대한 이해를 넓혔고, 사회주의의 논리와 정의감, 빈민에 대한 관심에 매력을 느꼈다. 하지만 벨린스키의 무신론, 공리주의, 과학적 유물론적 경향은 도스토옙스키의 러시아 정교회 신앙과 충돌했으며, 결국 그는 벨린스키 및 그 동료들과 관계가 멀어졌다.
《분신》에 대한 혹평 이후 도스토옙스키는 건강이 악화되었고 간질 발작이 잦아졌으나, 창작 활동을 계속했다. 1846년부터 1848년까지 《조국의 수첩》지에 단편소설 〈프로하르친씨〉, 〈여주인〉, 〈약한 심장〉, 〈백야〉 등을 발표했다. 이 작품들 역시 대체로 부정적인 반응을 얻었으며, 건강 문제와 더불어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이 시기 그는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의 베케토프 서클에 잠시 참여하기도 했지만, 서클 해체 후 시인 아폴론 마이코프와 그의 형제 발레리안 마이코프 등과 교류했다. 1846년 시인 알렉세이 플레셰예프의 추천으로 미하일 페트라솁스키가 이끄는 페트라솁스키 서클에 가입했다. 이 모임은 표면적으로 러시아의 사회 개혁, 검열 철폐, 농노제 폐지 등을 논의하는 온건한 성격이었다. 미하일 바쿠닌은 알렉산드르 게르첸에게 이 모임을 "가장 순진하고 무해한 모임"이며 구성원들이 "모든 혁명적 목표와 수단에 대해 체계적인 반대자"라고 평하기도 했다. 도스토옙스키는 주로 토론에 참여하고 서클의 도서관을 이용했다. 하지만 1848년 급진적인 귀족 니콜라이 스페시네프가 서클 내부에 비밀 혁명 조직을 만들려 했으며, 도스토옙스키도 이 조직에 가담해 그 목표를 인지하고 있었지만, 그들의 활동 방식에는 의구심을 품고 있었다.
1849년, 1846년부터 구상해 온 소설 《네토치카 네즈바노바》의 첫 부분을 《조국의 수첩》에 발표했지만, 페트라솁스키 서클 사건으로 인한 체포와 유형으로 집필이 중단되었다. 이 작품은 서문에 해당하는 부분만 남은 채 미완성으로 끝났다.
2. 4. 정치적 수난과 시베리아 유형
젊은 시절 도스토옙스키는 페트라솁스키를 중심으로 작가 등 젊은 지식인들이 모인 공상적 사회주의를 신봉하는 급진적 정치 모임에 참가하였다. 당시 니콜라이 1세 차르는 1825년 러시아의 12월의 반란과 1848년 유럽의 1848년 혁명과 같은 움직임을 경계하여 첩자를 보내 정치 모임들을 감시하고 있었다.[13] 내무부 관리인 리프란디가 이 모임을 밀고했고, 정부 요원 안토넬리는 자신의 진술서에서 모임에서 논의된 글 중 적어도 한 편이 러시아의 정치와 종교를 비판했다고 적었다. 도스토옙스키는 모임에서 절대 왕정을 옹호했다는 이유로 고골을 비판하는 내용이 담겨 금서로 지정된 벨린스키의 〈고골에게 보내는 편지〉[13]를 낭독하고 다른 저작물들을 배포했다는 혐의를 받았다. 그는 이러한 혐의에 대해 해당 글들을 "문학적 기념물로서 읽었을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라고 주장하며 정치보다는 "개성과 인간의 이기심"에 대해 이야기했다고 해명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스토옙스키와 그의 동료들은 A. 올로프 백작과 차르 니콜라이 1세의 지시에 따라 1849년 4월 23일 체포되었다. 체포된 이들은 가장 위험한 죄수들이 수감되는 페트로파블롭스크 요새에 갇혔다. 이 사건은 차르가 직접 구성한 수사위원회(부관장 이반 나보코프, 상원의원 파벨 가가린 공작, 바실리 돌고루코프 공작, 야코프 로스토프체프 장군, 비밀경찰 책임자 레온티 두벨트 장군)에 의해 4개월간 논의되었고, 위원회는 서클 회원들에게 사형 집행을 선고했다.
1849년 12월 23일, 도스토옙스키를 포함한 죄수들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세묘노프 광장으로 이송되어 총살형 집행을 기다렸다. 니콜라이 1세는 이들을 실제로 처형할 생각은 없었으나, 당시 확산되던 급진주의 정치 모임에 경고를 주기 위해 일부러 사형을 선고하고 집행 직전에 사면할 계획이었다. 죄수들은 이 사실을 알지 못한 채 죽음의 공포에 떨어야 했다. 3명씩 조를 나누어 첫 번째 조가 총살대 앞으로 끌려갔고, 도스토옙스키는 플레셰예프, 두로프와 함께 두 번째 줄에 서 있었다. 형 집행 직전, 차르의 사면령을 실은 마차가 도착하여 형 집행은 중단되고 시베리아 유형으로 감형되었다. 이 가짜 처형의 충격적인 경험은 몇몇 사람들의 머리를 하얗게 만들 정도였으며, 도스토옙스키의 삶과 문학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그는 훗날 소설 《백치》 등에서 사형 집행 직전의 심정을 생생하게 묘사했다.

도스토옙스키는 시베리아 옴스크의 카토르가 강제수용소에서 4년간의 강제 노역형을 선고받고, 이후 의무 군 복무 기간을 거쳐야 했다. 14일간의 썰매 여행 끝에 죄수들은 중간 기착지인 토볼스크에 도착했다. 이곳에서 도스토옙스키는 절망한 동료 이반 야스트젬브스키를 위로하여 자살을 막기도 했다. 또한, 12월의 반란에 연루되었던 데카브리스트들의 부인들로부터 음식과 옷, 그리고 각각 10루블짜리 지폐가 숨겨진 신약성경 여러 권을 받았다. 이 성경은 수용소에서 유일하게 허용된 읽을거리였다.
11일 후, 도스토옙스키는 동료 작가 세르게이 두로프와 함께 옴스크 감옥에 도착했다. 그는 "가장 위험한 죄수 중 한 명"으로 분류되어 석방될 때까지 손과 발에 쇠사슬을 차고 생활해야 했다. 감옥 환경은 매우 열악했다. 도스토옙스키는 당시 막사를 "여름에는 참을 수 없는 밀폐된 공간, 겨울에는 참을 수 없는 추위. 모든 바닥은 썩어 있었다. 바닥에는 2.5cm 두께의 오물이 쌓여 있어 미끄러져 넘어질 수도 있었다… 우리는 통에 꽉 찬 정어리처럼 빽빽하게 들어차 있었다… 돌아설 공간도 없었다. 해질녘부터 새벽까지 돼지처럼 행동하지 않을 수 없었다… 벼룩, 이, 검은 딱정벌레가 엄청나게 많았다…"라고 묘사했다.[14] 화장실 냄새가 건물 전체에 퍼졌고, 작은 화장실 하나를 200명 이상이 사용해야 했다. 열악한 환경 속에서 그는 간질 발작 외에도 치질에 걸리고 체중이 줄었으며, 밤마다 열병으로 심한 오한과 고열에 시달렸다. 가끔 군 병원으로 보내져 신문과 디킨스의 소설을 읽을 기회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시간은 고된 노역과 비참한 환경 속에서 보내야 했다. 그는 다른 러시아 죄수들에게는 존경을 받았으나, 그의 러시아 민족주의와 반폴란드 감정 때문에 일부 폴란드 정치범들에게는 멸시를 받기도 했다.[15]
성서 이외에는 어떤 출판물도 허용되지 않는 환경 속에서, 도스토옙스키는 신약성경을 깊이 읽고 감옥에서 만난 다양한 죄수들과 민중들의 생생한 삶을 직접 겪으며 사상적 변화를 경험했다. 그는 공상적 사회주의자에서 기독교적 인도주의자로 변모하게 되었다. 이 시기의 체험은 훗날 《죽음의 집의 기록》이라는 작품으로 결실을 맺었다.[75]
1854년 감옥에서 출소한 도스토옙스키는 세미팔라틴스크 수비대에서 4년간 사병으로 복무했다. 이곳에서 그는 남편이 있는 여성 마리야 이사예바를 만났고, 그녀의 남편이 병으로 사망하자 1857년 당시 29세였던 마리야와 결혼했다. 마침내 1859년에 페테르부르크로 돌아올 수 있었고, 10년에 가까운 문학적 공백을 메우기 위해 의욕적으로 작품 활동을 재개했다.[75] 시베리아 유형 시절 악화된 만성 간질(황홀감을 동반하는 드문 유형의 측두엽 간질로 추정)은 그의 삶과 창작 활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2. 5. 유형 이후의 문학 활동
1854년 2월 14일 석방된 후, 도스토옙스키는 카자흐스탄의 세메이로 이주하여 군 복무를 이어갔다. 그는 형 미하일에게 재정적 지원과 잠바티스타 비코, 프랑수아 기조, 레오폴트 폰 랑케,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이마누엘 칸트 등의 서적을 보내달라고 요청했다.[156] 세메이로 가기 전, 그는 지리학자 표트르 세묘노프톈샨스키와 민족학자 초칸 발리하노프를 만났다. 그곳에서 그는 자신의 처형 집행 중단 현장에 있었던 알렉산드르 예고로비치 브란겔 남작을 만나 교류하며 함께 지내기도 했다. 브란겔은 당시 도스토옙스키를 "시무룩해 보였다. 창백한 그의 병든 얼굴은 주근깨로 뒤덮여 있었고 금발 머리는 짧게 깎여 있었다. 그는 평균 키보다 약간 컸고 날카로운 회색빛 파란 눈으로 나를 강렬하게 바라보았다. 마치 내 영혼을 들여다보고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아내려고 하는 것 같았다."라고 묘사했다. 도스토옙스키는 세메이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지역 상류층 가족들과 교류했으며, 이 과정에서 알렉산드르 이사예프의 아내 마리아 드미트리예브나 이사예바를 만나 사랑에 빠졌다. 알렉산드르가 1855년 사망한 후, 마리아와 그녀의 아들은 도스토옙스키와 함께 바르나울로 이주했다. 1856년 도스토옙스키는 브란겔 남작을 통해 에두아르트 토틀레벤 장군에게 편지를 보내 과거 급진적인 유토피아 그룹에 참여했던 것을 사과했고, 그 결과 책을 출판하고 결혼할 권리를 얻었으나 평생 경찰의 감시를 받게 되었다. 1857년 2월 7일, 그는 노보쿠즈네츠크에서 마리아와 결혼했지만, 마리아는 그의 간질 발작에 힘겨워했고 성격 차이 등으로 인해 결혼 생활은 순탄치 않았다. 도스토옙스키는 그들의 관계를 "그녀의 이상하고 의심스럽고 환상적인 성격 때문에 우리는 분명 행복하지 않았지만, 서로를 사랑하는 것을 멈출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불행할수록 서로에게 더욱 애착을 느꼈습니다."라고 묘사했다. 그들은 주로 따로 살았다. 1859년 건강 악화로 군 복무에서 면제된 그는 유럽 러시아로 돌아갈 허가를 받아 트베리에서 10년 만에 형 미하일을 만난 뒤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왔다.
문학 활동을 재개한 도스토옙스키는 1860년 감옥에서 쓴 유일한 작품인 단편 "작은 영웅"(감옥에서 완성한 유일한 작품)과 "삼촌의 꿈", "스테판치코보 마을"을 출판했다. 같은 해 9월에는 시베리아 유형 경험을 바탕으로 쓴 《죽음의 집 기록》을 《루스키 미르》(러시아 세계)에 발표하기 시작했다. 이 작품은 러시아 감옥 생활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최초의 소설로 평가받는다. 1861년에는 형 미하일과 함께 잡지 《브레먀》(Время, 시간)를 창간하고, 《죽음의 집 기록》 완결편과 장편소설 《학대받는 사람들》을 연재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 《브레먀》는 도스토옙스키가 유형 시절부터 지지했던 보수적 슬라보필주의 운동인 포치벤니체스트보의 사상을 대변하는 주요 매체였으나, 니콜라이 스트라호프가 1월 봉기에 관한 글을 발표한 후 1863년 5월 차르 정권에 의해 강제 폐간되었다.
1862년 6월 7일, 도스토옙스키는 처음으로 서유럽을 여행하며 쾰른, 베를린, 드레스덴, 비스바덴, 벨기에, 파리 등을 방문했다. 런던에서는 망명 중이던 사상가 알렉산드르 게르첸을 만났고, 당시 산업 기술의 상징이었던 수정궁을 방문했다. 이후 니콜라이 스트라호프와 함께 스위스와 토리노, 리보르노, 피렌체 등 북이탈리아 도시들을 여행했다. 그는 이 여행 경험을 바탕으로 《여름 인상에 대한 겨울 기록》이라는 수필을 썼는데, 이 글에서 서구의 자본주의, 근대화, 유물론, 그리고 가톨릭과 개신교를 비판적으로 고찰했다. 특히 수정궁을 무정한 현대 사회, 진보의 신화, 텅 빈 유물론에 대한 숭배의 기념비로 보았다.[17]

1863년 8월부터 10월까지 다시 서유럽을 여행하며 파리에서 두 번째 연인인 아폴리나리야 수슬로바를 만났고, 비스바덴과 바덴바덴의 도박장에서 도박으로 거의 모든 돈을 잃었다. 1864년은 도스토옙스키에게 개인적으로 매우 힘든 해였다. 아내 마리아와 형 미하일이 연이어 세상을 떠났고, 그는 의붓아들 파샤의 유일한 부모이자 형의 가족을 부양하는 유일한 사람이 되었다. 《브레먀》 폐간 후 미하일과 함께 설립한 잡지 《에포하》(Эпоха, 세기)마저 실패하면서 그의 재정 상황은 악화되었지만, 친척과 친구들의 지속적인 도움으로 파산을 면했다.
《죄와 벌》의 첫 두 부분은 1866년 1월과 2월에 정기 간행물 《루스키 베스트니크》(러시아 메신저)에 게재되었으며, 잡지에 최소 500명의 신규 구독자를 유치했다.
도스토옙스키는 9월 중순에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와 그의 편집자 표도르 스텔롭스키에게 도박 중독을 다룬 단편 소설 《노름꾼》을 11월까지 완성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아직 집필을 시작하지 않았다. 도스토옙스키의 친구 알렉산드르 밀류코프는 그에게 비서를 고용할 것을 권했다. 도스토옙스키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속기사 파벨 올킨에게 연락했고, 그는 자신의 제자인 20세의 안나 스니트키나를 추천했다. 그녀의 속기 덕분에 도스토옙스키는 26일간의 작업 끝에 10월 30일에 《노름꾼》을 완성했다. 그녀는 도스토옙스키가 키가 평균 정도였지만 항상 똑바로 서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그는 연한 갈색에 약간 붉은 기가 도는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었고, 헤어 컨디셔너를 사용했으며, 머리를 정성스럽게 빗었죠... 그의 눈은 달랐습니다. 한쪽은 진한 갈색이었고, 다른 한쪽은 동공이 너무 커서 색깔을 알 수 없었습니다(부상 때문이었습니다). 그의 눈의 이상함은 도스토옙스키에게 신비로운 외모를 주었습니다. 그의 얼굴은 창백했고, 건강하지 않아 보였습니다."

1867년 2월 15일, 도스토옙스키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삼위일체 대성당에서 스니트키나와 결혼했다. 《죄와 벌》로 번 7,000루블은 그들의 빚을 갚기에 충분하지 않았고, 안나는 귀중품을 팔아야 했다. 1867년 4월 14일, 그들은 판매 대금으로 독일에서 늦은 신혼여행을 시작했다. 그들은 베를린에 머물렀고 드레스덴의 알테 마이스터 회화관을 방문하여 글쓰기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 그들은 독일을 계속 여행하며 프랑크푸르트암마인, 다름슈타트, 하이델베르크, 카를스루에를 방문했다. 그들은 바덴바덴에서 5주를 보냈는데, 도스토옙스키는 이반 투르게네프와 다투었고 다시 한번 룰렛에서 많은 돈을 잃었다.[18] 한때 그의 아내는 속옷을 전당포에 맡겨야 했다고 한다.[19] 부부는 제네바로 여행을 계속했다.[20]
1867년 9월, 도스토옙스키는 《백치》 집필을 시작했고, 출판된 소설과는 거의 유사하지 않은 장기간의 기획 과정 끝에 결국 23일 만에 첫 100페이지를 쓰는 데 성공했다. 연재는 1868년 1월 《루스키 베스트니크》에서 시작되었다.

그들의 첫째 아이 소피아(Sofya)는 바덴바덴에서 임신되었고 1868년 3월 5일 제네바에서 태어났다. 아기는 세 달 후 폐렴으로 사망했고, 안나는 도스토옙스키가 "절망에 빠진 여자처럼 울고 흐느꼈다"고 회상했다. 소피아는 제네바의 판테온으로 여겨지는 시메티에르 데 루아에 묻혔다. 나중에 무덤은 없어졌지만 1986년 국제 도스토옙스키 협회는 기념비를 기증했다.[21]
부부는 제네바에서 브베로, 그다음 밀라노로 이사한 후 피렌체로 갔다. 《백치》는 1869년 1월 피렌체에서 완성되었고, 마지막 부분은 1869년 2월 《루스키 베스트니크》에 실렸다. 안나는 1869년 9월 26일 드레스덴에서 둘째 딸 류보프 도스토옙스카야를 낳았다. 1871년 4월, 도스토옙스키는 비스바덴의 도박장을 마지막으로 방문했다. 안나는 그가 둘째 딸을 낳은 후 도박을 중단했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
1869년 11월 21일 사회주의 혁명 단체 "인민의 복수"가 그들의 구성원인 이반 이바노프를 살해했다는 소식을 듣고 도스토옙스키는 《악령》을 쓰기 시작했다. 1871년, 도스토옙스키와 안나는 기차를 타고 베를린으로 여행했다. 여행 중 그는 세관 문제가 우려되어 《백치》를 포함한 여러 원고를 불태웠다. 가족은 7월 8일 상트페테르부르크에 도착했고, 원래 3개월로 계획되었던 신혼여행이 4년 이상 지속된 끝을 알렸다. 1874년 《미성년》을 발표하여 큰 돈을 벌어 빈곤한 생활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시베리아 유배 시절에 악화된 지병인 간질[156]과 취미로 즐기던 도박 등이 창작 활동에 큰 영향을 미쳤는데, 그의 작품 속에 중요한 요소들로 간질과 도박 등이 자주 등장한다. 도박은 그의 인생을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했고, 빚을 갚기 위해 출판사와 무리한 계약을 하여 마감에 쫓기는 나날을 보냈다. 바쁜 일정 때문에 《죄와 벌》, 《노름꾼》 등은 불러주는 대로 받아 적는 구술 필기의 형태로 작성되었다.
소설 이외의 저서로는 《작가의 일기》가 있다. 이것은 단순한 일기가 아니라 잡지 《시민》에서 도스토옙스키가 담당했던 문예란[157]에 게재했던 것으로, 문예 지평[158], 정치·사회평론, 에세이, 단편 소설, 강연 원고[159], 종교론[160] 등을 포함하고 있어 훗날 도스토옙스키 연구에 귀중한 문헌 자료가 되었다.
1880년 그의 최후의 걸작인 장편 《카라마조프의 형제들》을 탈고하였다. 그 즈음에는 이미 사물을 분간하지 못할 만큼 눈이 어두워져 있었고 도스토옙스키가 침대 누워 구술한 것을 아내 안나가 속기 하여 작품을 완성했다.[161] 그로부터 몇 달 후인 1881년 1월 28일에 폐동맥 파열로 인하여 가족의 간호를 뒤로 하고 60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그는 임종 직전 아내에게 시베리아 형무소에 있었던 시절 지니고 있었던 성경책을 읽어 달라고 부탁했고 같은 날 밤 11시 성경책을 가슴에 안고 죽었다.[162] 유해는 같은 달 31일 페테르부르크의 알렉산드르 넵스키 사원 묘지에 안장 되었다.
2. 6. 후기 작품 활동과 죽음
1861년 형 미하일과 함께 잡지 《시대》(러: Время|브레먀ru)를 발간하여 《학대받는 사람들》, 《죽음의 집 기록》을 연재하며 큰 인기를 얻었으나, 이듬해 정부로부터 발행 금지 처분을 받았다. 1864년 형과 다시 새로운 잡지 《세기》(러: Эпоха|에포하ru)를 창간했지만 실패하여 큰 빚을 지게 되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1866년에는 걸작 《죄와 벌》을 완성했다. 1867년부터는 빚을 피해 외국, 특히 독일 드레스덴 등지에 머물면서 《백치》, 《악령》 등을 집필하고 귀국했다. 1874년 발표한 《미성년》이 큰 성공을 거두면서 마침내 경제적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시베리아 유배 시절 악화된 지병인 간질[156]과 끊지 못한 도박은 그의 삶과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작품 속에는 간질 발작이나 도박 중독에 대한 묘사가 자주 등장한다. 도박 때문에 평생 빚에 시달렸고, 빚을 갚기 위해 출판사와 무리한 계약을 맺어 항상 마감 시간에 쫓겼다. 이런 빠듯한 일정 때문에 《죄와 벌》, 《도박꾼》 등 일부 작품은 도스토옙스키가 불러주는 내용을 속기사가 받아 적는 구술 필기 방식으로 쓰였다. 이때 고용된 속기사 안나 스니트키나는 훗날 그의 두 번째 부인이 되었다.
소설 외의 중요한 저서로는 《작가의 일기》가 있다. 이는 단순한 일기가 아니라, 잡지 《시민》에서 도스토옙스키가 담당했던 문예란[157]에 실었던 글들을 모은 것이다. 여기에는 문학 비평[158], 정치 및 사회 평론, 에세이, 단편 소설, 강연 원고[159], 종교론[160] 등 다양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 후대의 도스토옙스키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1880년, 그는 마지막 걸작인 장편 소설 《카라마조프의 형제들》을 완성했다. 이 시기에는 이미 시력이 매우 나빠져 사물을 제대로 분간하기 어려웠기 때문에, 침대에 누워 구술하면 아내 안나가 받아 적는 방식으로 집필했다.[161]

《카라마조프의 형제들》을 탈고한 지 몇 달 후인 1881년 1월 28일, 도스토옙스키는 폐출혈로 6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사망 며칠 전인 1월 25일, 차르 알렉산드르 2세 암살을 계획하던 나로드나야 봔랴(인민의 의지) 단원들을 색출하던 비밀경찰이 그의 이웃집을 수색하는 일이 있었다. 다음 날 그는 첫 번째 폐출혈을 일으켰다. 부인 안나는 수색 때문에 출혈이 시작된 것은 아니며, 남편이 떨어뜨린 펜 홀더를 찾으려다 그랬다고 주장했다. 이후 두 차례 더 폐출혈이 발생했고, 의사들은 회복 가능성이 낮다고 진단했다.
임종 직전, 그는 자녀들을 불러 모아 신약성경의 탕자의 비유를 읽어달라고 요청했다. 전기 작가 조셉 프랭크는 이를 두고 도스토옙스키가 자신의 삶과 작품의 핵심 메시지인 죄, 회개, 용서의 의미를 마지막 유산으로 남기려 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그의 마지막 말 중 하나는 마태복음 3장 14-15절("그러나 요한이 그를 금하여 이르되 내가 너에게 세례를 받아야 할 터인데 네가 내게로 오느냐 하니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이제 허락하라 이는 우리가 이 모든 의를 이루는 것이 합당함이라")을 인용한 뒤 "이제 들어라 – 허락하라. 나를 막지 마라!"는 외침이었다. 아내 안나에게는 "기억해, 아냐, 나는 항상 너를 열렬히 사랑했고, 생각으로조차 너에게 한 번도 불충실하지 않았다!"[23]는 말을 남겼다. 그는 임종 직전 아내에게 시베리아 형무소 시절부터 지니고 있던 성경책을 읽어달라고 부탁했고, 같은 날 밤 11시경 그 성경책을 가슴에 안은 채 숨을 거두었다.[162]
1881년 1월 31일, 그의 유해는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알렉산더 네프스키 사원 내 티흐빈 묘지[24]에 안장되었다. 그가 평소 좋아했던 시인 니콜라이 카람진과 바실리 주콥스키의 묘 근처였다. 장례식에는 적게는 4만 명에서 많게는 10만 명이 넘는 인파가 몰렸다고 전해진다. 그의 묘비에는 요한복음 12장 24절("진실로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밀알이 땅에 떨어져 죽지 아니하면 한 알 그대로 있고 죽으면 많은 열매를 맺느니라") 구절이 새겨졌다.
3. 작품 세계와 주제
1871년 7월 독일에서 러시아로 돌아온 도스토옙스키는 다시금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다. 같은 달 아들 표도르가 태어났고, 가족은 공과대학교 근처로 이사했다. 그는 밀린 빚을 갚기 위해 노력했으나 어려움은 계속되었다. 아내 안나는 남편의 저작권을 관리하며 채권자들과 협상하여 빚을 분할 상환하는 방식으로 재정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했다.
이 시기 도스토옙스키는 마이코프, 스트라호프 등 오랜 친구들과 교류를 재개했으며, 브세볼로드 솔로비요프와 블라디미르 솔로비요프 형제, 교회 정치인 테르티 필리포프 등 새로운 인물들과도 관계를 맺었다. 특히 훗날 최고 시노드 총재가 되는 콘스탄틴 포베도노스트세프와의 교류는 그의 보수주의적 정치 성향에 영향을 미쳤다. 1872년 초, 가족은 온천으로 유명한 스타라야 루사에서 몇 달을 보냈으나, 안나의 여동생이 병으로 사망하고[22] 안나 또한 건강이 나빠지면서 도스토옙스키의 작업은 잠시 중단되기도 했다.
1872년 9월 상트페테르부르크로 돌아온 도스토옙스키는 11월에 《악령》을 완성했다. 이듬해 1873년 1월, 그와 아내가 설립한 '도스토옙스키 출판사'를 통해 직접 출판했는데, 현금 결제만 받고 서점을 자택에 두는 방식으로 운영했음에도 약 3,000부가 팔리며 성공을 거두었다. 안나는 출판사의 재정 관리를 도맡았다. 이후 도스토옙스키는 다양한 글을 모은 정기 간행물 《작가의 일기》를 구상했으나 자금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던 중, 블라디미르 메시체르스키 공작이 발행하는 잡지 《시민》에 연봉 3,000루블을 받고 1월 1일부터 연재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시민》지와의 관계는 순탄치 않았다. 1874년 3월, 도스토옙스키는 과중한 업무와 러시아 관료들의 간섭에 지쳐 《시민》지를 그만두었다. 15개월 동안 두 차례나 소송에 휘말리기도 했다. 이후 새로운 소설을 《러시아 메신저》에 연재하려 했으나 거절당했고, 대신 니콜라이 네크라소프의 제안으로 《조국의 기록》에 《작가의 일기》를 연재하게 되었다. 이는 기존보다 더 나은 조건이었다. 하지만 건강이 악화되어 여러 의사에게 진료를 받았고, 결국 1874년 7월 독일의 에임스로 요양을 떠나 카타르 진단을 받았다. 그는 요양 중에도 《미성년》(원제: Подросток|포드로스토크rus) 집필을 시작했다.
1875년 8월 스타라야 루사에서 아들 알렉세이가 태어났고, 그해 말 《미성년》을 완성했다. 이 작품은 1875년 1월부터 《조국의 기록》에 연재되었으며, 지주 베르실로프와 농민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사생아 아르카디 돌고루키의 삶을 통해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라는, 이후 그의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주제를 다루었다.
3. 1. 주요 주제
시베리아 유배 시절의 경험은 그의 작품 세계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이 시기의 경험은 《죽음의 집 기록》에 생생하게 담겨 있으며, 이후 작품들에서도 인간의 고통, 죄와 벌, 구원의 문제 등을 탐구하는 중요한 바탕이 되었다. 또한, 지병이었던 간질[156]과 도박 중독 역시 그의 삶과 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도박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은 그가 평생 빚에 시달리게 했고, 이는 《죄와 벌》, 《도박꾼》 등 여러 작품의 집필 배경이 되기도 했다. 특히 빚을 갚기 위해 출판사와 무리한 계약을 맺고 마감에 쫓기면서, 안나 스니트키나와 같은 속기사의 도움을 받아 구술 필기 형태로 작품을 완성하는 경우가 많았다. 안나 스니트키나는 훗날 그의 두 번째 부인이 되었다.그의 주요 작품들은 인간 내면의 심리와 사회 문제를 깊이 파고든다. 1866년 발표된 《죄와 벌》은 죄와 벌, 그리고 구원이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며 그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이후 외국에 체류하며 집필한 《백치》, 《악령》 등에서는 당시 러시아 사회의 혼란과 사상적 대립을 예리하게 포착했다. 특히 《악령》은 급진적인 사상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드러낸다. 1874년 발표된 《미성년》은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를 중심으로 세대 간의 문제를 다루었으며, 이 주제는 이후 작품에서도 반복적으로 나타난다.
소설 외에 《작가의 일기》는 도스토옙스키의 사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이는 단순한 일기가 아니라, 잡지 《시민》에 연재했던 글들을 모은 것으로, 문예 비평[158], 정치·사회 평론, 에세이, 단편 소설, 강연 원고[159], 종교론[160] 등 다양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157] 이를 통해 당대 러시아 사회와 정치, 종교, 윤리 등에 대한 그의 깊은 고민과 보수주의적인 정치적 경향을 엿볼 수 있다. 그의 보수주의적 성향은 콘스탄틴 포베도노스트세프와의 교류를 통해 더욱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
1880년 완성된 최후의 걸작 《카라마조프의 형제들》은 신과 인간, 도덕, 자유의지, 형제 관계 등 심오하고 복잡한 주제들을 집대성한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 작품은 그의 문학 세계와 사상의 정점을 보여준다. 같은 해 모스크바에서 열린 푸시킨 기념비 제막식에서 행한 연설은 청중에게 큰 감동을 주었으나, 일각에서는 그가 민중을 지나치게 이상화한다는 비판(알렉산더 그라도프스키)이나 그의 사상이 프랑스의 유토피아 사회주의와 유사하다는 비판(콘스탄틴 레온티예프)을 받기도 했다. 이러한 논쟁들은 그의 사상이 당대 사회에 미친 영향력과 함께 그를 둘러싼 다양한 평가를 보여준다.
4. 영향과 평가
도스토옙스키는 러시아 문학의 최고 거장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20세기 소설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는 신흥 자본주의의 압박 속에서 고통받는 소시민 계층을 대변하는 동시에 열렬한 슬라브주의자였다. 그의 작품은 문학뿐만 아니라 철학, 종교, 사회 문제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깊은 영향을 주었다. 대표작으로는 《죄와 벌》(1866년), 《카라마조프의 형제》(1879년 ~ 80년) 등이 있다. 젊은 시절 진보적 사회 운동에 참여했다가 탄압받은 경험은 그의 문학 세계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그의 작품들은 당시 확산되던 사회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은 지식인(인텔리겐치야)의 폭력적인 혁명을 비판하고, 기독교, 특히 정교회 교리에 바탕을 둔 기독교 사상을 담고 있다. 그의 기독교 사상은 단순히 교리를 변호하는 것을 넘어, 하느님의 이름으로 종교재판을 자행한 기독교의 폭력을 비판하며 교회가 그리스도의 본래 가르침으로 돌아갈 것을 촉구하는 면모를 보인다(《카라마조프의 형제》).
도스토옙스키의 소설은 극단적인 심리를 가진 인물들을 통해 인간 심리에 대한 깊은 통찰을 보여주며, 당대 러시아의 정치, 사회, 정신세계를 날카롭게 분석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 때문에 그를 실존주의의 선구자로 보기도 하는데, 철학자 발터 카우프만은 도스토옙스키의 소설 《지하실의 수기》를 "실존주의를 위한 최고의 서곡"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도스토옙스키는 사후에도 지속적으로 기념되고 있다. 1956년 소련에서는 그를 기리는 우표가 발행되었고[47], 그가 첫 번째와 마지막 소설을 집필했던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아파트에는 1971년 도스토옙스키 박물관이 개관했다.[48] 그의 이름은 1979년 수성의 한 크레이터(도스토예프스키)에[48], 1981년 발견된 소행성(3453 도스토예프스키)에 붙여졌다.[49] 모스크바, 상트페테르부르크, 노보시비르스크, 옴스크, 탈린, 드레스덴, 바덴바덴 등 여러 도시에 그의 기념물이 세워졌으며, 상트페테르부르크(도스토옙스카야역, 1991년)와 모스크바(도스토옙스카야역, 2010년)에는 그의 이름을 딴 지하철역이 개통되었다. 모스크바 지하철역은 이반 니콜라예프 화가가 도스토옙스키 작품의 장면들을 묘사한 벽화로 장식되어 있는데, 일부 장면(예: 자살 묘사)은 논란이 되기도 했다.[51][52] 2021년에는 카자흐스탄에서 그의 탄생 200주년을 기념했으며,[53] 2023년에는 그의 필사본과 메모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되었다.[84]
도스토옙스키는 러시아 문학 황금기의 가장 위대하고 영향력 있는 소설가 중 한 명으로 널리 인정받는다.
- 레프 톨스토이는 도스토옙스키를 높이 평가했으며, 도스토옙스키 역시 톨스토이를 존경했다.[85]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그가 수학자 카를 프리드리히 가우스보다 위대하며, 인간 정신성의 신비를 탐구한 위대한 종교적 작가라고 평가했다.[86]
- 프리드리히 니체는 도스토옙스키를 "내가 배울 점이 있는 유일한 심리학자"라고 칭하며, 그를 만난 것이 "내 인생에서 가장 아름다운 행운"이었다고 말했다.[87]
- 헤르만 헤세는 그의 작품을 읽는 것을 "혼돈 속을 들여다보는 것"에 비유하며 그를 존경했다.
- 크누트 함순은 "도스토옙스키처럼 복잡한 인간 구조를 분석한 사람은 없다"며 그의 심리 분석 능력을 극찬했다.
- 어니스트 헤밍웨이는 그의 작품에서 "당신을 변화시킬 진실"과 인간 본성의 다양한 측면을 발견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88]
- 제임스 조이스는 도스토옙스키가 현대 산문의 기초를 다졌다고 평가했다.[89]
- 버지니아 울프는 셰익스피어 외에는 그의 작품만큼 흥미로운 독서 경험이 없다고 말했다.[90]
- 프란츠 카프카는 자신을 도스토옙스키의 문학적 후예로 여겼으며[91], 그의 작품들은 카프카의 소설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92]
-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카라마조프의 형제》를 "가장 장대한 소설"이라 칭하며[93], "도스토옙스키와 부친 살해"라는 논문에서 그의 작품 세계를 분석했다.
그러나 그의 작품이 항상 긍정적인 평가만 받은 것은 아니다. 니콜라이 도브롤류보프, 이반 부닌,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등 일부 비평가들은 그의 작품이 예술적이라기보다는 지나치게 심리적이고 철학적이라고 비판했다. 혼란스럽고 산만한 줄거리 구성, 장황하고 반복적인 문체, 세련미와 균형감 부족 등도 지적되었다. 이반 투르게네프는 "과도한 심리 묘사"와 지나치게 상세한 자연주의적 묘사를 비판했다. 미하일 살튀코프-셰드린, 니콜라이 미하일롭스키 등은 《백치》, 《악령》, 《카라마조프의 형제》[54] 등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마치 인형처럼 평면적이라고 비판하기도 했다.[97]
특히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도스토옙스키를 "위대한 작가라기보다는 평범한 작가"로 평가하며, "훌륭한 유머의 번뜩임"은 있지만 그 사이에는 "문학적 진부함의 황무지"가 있다고 혹평했다. 그는 도스토옙스키 소설이 "신경증 환자와 광인"으로 가득 차 있으며, 등장인물들이 처음부터 끝까지 변화 없이 고정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소설의 플롯이 인위적인 "놀라움과 복잡성"으로 가득 차 있어 처음 읽을 때는 효과적일 수 있으나, 다시 읽으면 "미화된 클리셰"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55][98] 반면, 스코틀랜드의 시인이자 비평가인 에드윈 뮤어는 도스토옙스키 인물의 '기이함'은 그들이 다른 문학 작품의 인물들보다 더 생생하게 묘사되었기 때문에 오히려 '병리적'으로 보일 뿐이라고 반박했다.[56][99]
도스토옙스키의 작품은 17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다. 초기 독일어, 프랑스어 번역에 이어 영어 번역이 이루어졌으나, 초기 영어 번역본은 다른 언어를 거친 중역본이 많아 질이 떨어졌다. 1912년부터 1920년 사이에 콘스탄스 가넷의 번역은 높은 평가를 받으며 영어권 독자들에게 도스토옙스키를 알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미하일 바흐친의 연구(《도스토옙스키 시학의 문제들》)는 그의 문체에 대한 학문적 이해를 심화시켰다.[57]
그의 작품들은 여러 나라에서 영화와 연극으로 각색되었다. 도스토옙스키 자신은 각 예술 형식이 고유한 표현 방식을 갖는다고 믿었기에 소설을 그대로 무대에 옮기는 것에 회의적이었으나, 작품의 일부 에피소드를 극화하거나 아이디어를 차용해 새로운 줄거리를 만드는 방식은 가능하다고 보았다. 성공적인 각색 사례로는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의 오페라 《도박사》, 레오시 야나체크의 오페라 《죽음의 집에서》,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영화 《백치》, 안제이 바이다 감독의 영화 《악령》 등이 꼽힌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소비에트 연방 시절, 그의 작품 일부는 내용이 축약되거나 검열을 받았다. 특히 《악령》[58]과 《작가의 일기》[59]는 그의 사상이 반자본주의적이면서도 반공산주의적이고 반동적으로 여겨져 문제가 되었다.[60] 요시프 스탈린 치하에서는 일부 저서가 금서 처분을 받기도 했으나,[61] 1956년 스탈린 비판 이후 해금되었다. 소련 시대 동안 다소 냉대받던 도스토옙스키는 소련 붕괴 후 러시아 연방에서 정교회를 존중하는 민족주의적 사상가로 재평가받았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그의 작품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밝히며 탄생 200주년을 국가적으로 기념하도록 지시하기도 했다.[83]
4. 1. 한국에서의 수용
(작성할 내용 없음)5. 작품 목록
도스토옙스키는 평생 동안 많은 작품을 남겼다. 그의 픽션 작품에는 16편의 장편소설과 중편소설, 16편의 단편소설, 그리고 5편의 번역 작품이 포함되어 있다. 그의 많은 장편소설들은 문학 잡지와 저널에 연재 형식으로 처음 출판되었다.
5. 1. 장편 소설
도스토옙스키의 문학 작품에는 여러 장편소설 및 중편소설이 포함되어 있으며, 그의 많은 장편소설들은 문학 잡지에 연재 형식으로 처음 출판되었다. 아래 목록의 연도는 소설의 마지막 부분 또는 첫 번째 완전한 책 판본이 출판된 해를 나타낸다.출판 연도 | 원제 (러시아어) | 한국어 번역 제목 | 다른 번역 제목 | 비고 | |||||||||
---|---|---|---|---|---|---|---|---|---|---|---|---|---|
1846 | {{lang|ru|Бедные люди|} | } || 가난한 사람들 || ||
연구자 | 주요 연구 내용 |
---|---|
미하일 바흐친 | 다성론(폴리포니론)과 카니발론을 통해 도스토옙스키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102] |
앙드레 지드 | 『지하로부터의 수기』가 도스토옙스키 작품 해석의 열쇠라고 보았다.[103] |
레오니드 그로스만 | 도스토옙스키 작품의 모험 소설적 구성 등을 지적했다.[104] 또한 1924년 도스토옙스키의 반유대주의를 처음으로 지적했다.[143] |
에가와 타쿠 | 도스토옙스키 문학의 언어적 이중 의미 등을 연구했다.[110] |
기타 연구자 | 토마시 마사리크[105], 빅토르 시클롭스키[106], 니콜라이 베르댜예프[107], 로마노 과르디니[108], 파벨 예브도키모프[109] 등도 중요한 연구를 남겼다. |
도스토옙스키는 슬라브주의에 기반하여 러시아 중심의 슬라브 민족 통합과 정교회 통합을 주장했으며, 오스만 제국과의 러시아-튀르크 전쟁을 "신성하고 청결한 업적"이라며 강력히 지지했다.[126] 이러한 사상적 배경 속에서 그는 강한 반유대주의적 견해를 드러냈다.
- 1876년: 크림반도를 러시아가 차지하지 않으면 유대인들이 몰려들 것이라고 우려했다.[127]
- 1877년: 유럽의 유대인과 그들에게 동조하는 기독교인들을 러시아의 숙적으로 규정했다.[128]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정복하여 기독교 교회를 해방시키기 위한 십자군 파병을 주장했으며,[76] 콘스탄티노폴리스가 러시아의 것이 되어야 한다고 역설했다.[129] 또한 러시아-튀르크 전쟁을 지지하며, 러시아 국민이 "유대인이나 투기꾼들의 손아귀"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130] 슬라브주의자 니콜라이 다닐렙스키가 콘스탄티노폴리스를 자유 도시로 만들면 유대인과 투기꾼의 먹잇감이 될 것이라고 한 견해를 높이 평가했다.[131]
- 1879년: 캅카스 쿠타이시에서 발생한 유대인 의식 살인 혐의 재판에서 유대인에 대한 의혹을 보였다.[132] 독일 바트엠스에서 요양 중 독일과 베를린이 유대화되었다고 포베도노스체프에게 편지를 보냈고, 포베도노스체프는 유대인들이 사회민주주의 운동과 차르 암살 시도의 배후에 있으며 언론과 금융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는 답장을 보냈다.[133][134]
- 1881년: 사망 직전, 토지는 농민이 소유해야 하며 유대인, 은행가 등은 배제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35]
도스토옙스키의 이러한 반유대주의는 그의 사후 지속적인 연구와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데이비드 골드슈타인의 『도스토옙스키와 유대인』(1981)[144]은 그의 유대인관을 심층적으로 분석한 대표적인 연구로 꼽힌다.[145][146] 게리 솔 모슨은 그의 반유대주의가 사상의 핵심과 연결되어 있다고 보았고,[147] 막심 D. 슈라이어는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의 유대인 문제를 분석했다.[148] 조셉 프랭크의 전기에 대해 아이린 켈리가 반유대주의 문제를 충분히 다루지 않았다고 비판하는 등[150] 학계의 논의는 계속되고 있다. 나카무라 켄노스케는 도스토옙스키의 반유대주의 논리가 근거 없는 피해망상과 과대망상에 기반한 독선적인 주장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117] 이후에도 게리 로젠실드,[151] 수전 맥레이놀즈,[152] 트롭과 사카나카 키오,[153] 해리엇 무라프[154] 등이 도스토옙스키의 유대인관, 인종주의, 구원 문제와의 연관성 등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
한편, 도스토옙스키는 1880년 푸시킨 기념 강연에서 슬라브주의와 서구주의를 모두 비판하며, “위대한 아리아 인종에 속하는 모든 민족을 전 인류적으로 재결합하는 것”이 러시아인의 사명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76][140] 또한 그는 “러시아인은 단순한 유럽인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아시아인이기도 하다. 미래에 아시아는 우리나라의 구원이며, 거기에 우리의 부가 감추어져 있고, 거기에 우리의 대양이 있다”고 주장하며 아시아주의적 관점도 제시했다.[141]
참조
[1]
간행물
[2]
사전
Dostoevsky
http://dictionary.re[...]
[3]
백과사전
Fyodor Dostoyevsky
http://britannica.co[...]
2024-11-29
[4]
서적
The Literary 100: A Ranking of the Most Influential Novelists, Playwrights, and Poets of All Time
http://archive.org/d[...]
New York, NY : Facts on File
2009
[5]
웹사이트
The Greatest Books of All Time, as Voted by 125 Famous Authors
https://www.theatlan[...]
2012-01-30
[6]
학술지
The Philosophy and Theology of Fyodor Dostoevsky
https://www.utpjourn[...]
2010
[7]
서적
Dostoïevski
Seuil
1995
[8]
서적
Handbook of Russian Literature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1985
[9]
웹사이트
Natural School (Натуральная школа)
http://www.hrono.ru/[...]
Brief Literary Encyclopedia in 9 Volumes. Moscow
2013-12-01
[10]
서적
Dostoevsky's Democrac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01-04
[11]
서적
The Study on Dostoyevsky
https://archive.org/[...]
Farrar & Rhinehart, Inc.
1940
[12]
서적
Dostoevsky
AST (publisher)
2011
[13]
웹사이트
Letter to Gogol
http://academic.shu.[...]
Documents in Russian History, Seton Hall University
2017-12-27
[14]
간행물
Pisma
[15]
서적
The House of the Dead
[16]
웹사이트
Gallery
https://fyodor-dosto[...]
[17]
서적
Betting on Macau: Casino Capitalism and China's Consumer Revoluti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23
[18]
서적
Russia in the Age of Alexander II, Tolstoy and Dostoevsky
https://books.google[...]
Anthem Press
2002
[19]
Wikidata
[20]
웹사이트
Fiodor Dostojewski – biografia, wiersze, utwory
https://poezja.org/w[...]
2022-06-18
[21]
서적
Histoire et Guide des cimetières genevois
Éditions Slatkine
2009
[22]
백과사전
Around Dostoyevsky
http://www.niknas.na[...]
2017-11-05
[23]
웹사이트
To be the wife of Fyodor Dostoevsky (part 4)
https://bloggerskara[...]
2017-03-06
[24]
웹사이트
Dostoevsky in Petersburg
http://eng.md.spb.ru[...]
F.M. Dostoevsky Literary Memorial Museum
2017-11-05
[25]
서적
Dostoyevsky: A Human Portrait
Knopf
1961
[26]
서적
Dostoevsky and the Catholic Underground
https://books.google[...]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2024-09-17
[27]
서적
A Writer's Diary
https://books.google[...]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2019-07-03
[28]
서적
Dostoyevsky's Critique of the West: The Quest for the Earthly Paradise
https://books.google[...]
Wilfrid Laurier Univ. Press
2019-07-03
[29]
웹사이트
Dostoevsky and the Jews
https://www.commenta[...]
1987
[30]
서적
Selected Letters of Fyodor Dostoevsky
Rutgers University Press
1989
[31]
서적
The Diary Of A Writer
https://archive.org/[...]
George Braziller
2022-01-26
[32]
웹사이트
Fyodor Mikhailovich Dostoevsky: Poems
http://az.lib.ru/d/d[...]
Lib.ru
2017-11-05
[33]
서적
Dostoyevsky and the Process of Literary Cre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9
[34]
서적
Problems of Dostoevsky's Poetic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84
[35]
서적
The Boundaries of Realism in World Literature
Lexington Books (Rowman & Littlefield)
2019
[36]
서적
Fyodor Dostoyevsky: A Study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the Pacific
1921
[37]
서적
Einstein and Soviet Ideolog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1
[38]
서적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The Hogarth Press
1961
[39]
서적
Freud, the Mind of the Moralist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9
[40]
기타
[41]
서적
Hemingway's A Farewell To Arms: a Critical Study
https://books.google[...]
Academic Foundation
1992
[42]
서적
Conversations with James Joyce
The Lilliput Press
2000
[43]
서적
The Common Reader
https://archive.org/[...]
A Harvest Book – Harcourt
1984
[44]
서적
Kafka: Gothic and Fairytale
https://books.google[...]
Rodopi
2003
[45]
학술지
Kafka and Dostoevsky as 'Blood Relatives'
http://sites.utoront[...]
University of Toronto – International Dostoevsky Society
1981
[46]
뉴스
'Oru Sankeerthanam Pole' goes into 100th edition
https://www.newindia[...]
2017-11-26
[47]
웹사이트
Russian Postage Stamps of 1956–1960
http://www.stampruss[...]
Союзпечать (Soyuzpechat)
2017-11-05
[48]
웹사이트
Museum
http://eng.md.spb.ru[...]
F.M. Dostoevsky Literary Memorial Museum
2017-11-05
[49]
웹사이트
http://finam.fm/broa[...]
ФИНАМ
2013-04-20
[50]
웹사이트
http://www.nameofrus[...]
Name of Russia (Russia TV)
2017-11-05
[51]
웹사이트
Liublinsko-Dmitrovskaya Line / Dostoevskaya
http://engl.mosmetro[...]
Moscow Metro
[52]
웹사이트
A Dark View Of Dostoevsky On The Moscow Subway
https://www.npr.org/[...]
2010-08-09
[53]
웹사이트
Dostoyevsky's 200th Anniversary Celebrated in Kazakhstan, the Land of His Formative Years
https://astanatimes.[...]
2021-11-10
[54]
기타
[55]
서적
Lectures on Russian Literature
Harvest Book/Harcourt
1981
[56]
서적
The Karamazov Brothers
OUP Oxford
2008-06-12
[57]
서적
The Oxford Guide to Literature in English Translatio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58]
웹사이트
[Д-З]
http://www.opentextn[...]
2013-08-31
[59]
웹사이트
3.3. Книги об отдельных писателях
http://www.opentextn[...]
2013-08-31
[60]
서적
Soviet Intellectuals and Political Power: The Post-Stalin Era
Princeton Univ. Press
1990
[61]
웹사이트
http://gazeta-pravda[...]
[62]
서적
Transatlantic Modernism: Moral Dilemmas in Modernist Fiction
https://books.google[...]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06
[63]
서적
The Concept of Modernism
https://books.google[...]
Cornell University Press
1990
[64]
웹사이트
Greatest Russian Novels of All Time
https://www.goodread[...]
2020-07-21
[65]
서적
Murder in Plain English
https://books.google[...]
Prometheus
2017
[66]
백과사전
Crime and Punishment
https://www.britanni[...]
2020-07-21
[67]
서적
Dostoyevsky: An Examination of the Major Novel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1
[68]
학술지
The tragic vision of ''The Possessed''
1978-01
[69]
학술지
Mastermind, Terrorist, Enigma: Dostoevsky's Nikolai Stavrogin
2014
[70]
서적
Little Russian Masterpieces
https://archive.org/[...]
G.P. Putnam's Sons
1920
[71]
웹사이트
ドストエフスキーの三つの恋
https://jp.rbth.com/[...]
RUSSIA BEYOND
2024-06-14
[72]
서적
Fjodor Dostojevskij, et dikterliv
VMA
[73]
간행물
亀山 2019
[74]
간행물
世界文學
1948-09
[75]
간행물
世界文學
1948-09
[76]
간행물
ポリアコフ 4巻
[77]
서적
評伝ドストエフスキー
筑摩書房
[78]
서적
評伝ドストエフスキー
筑摩書房
[79]
간행물
世界文學
1948-09
[80]
웹사이트
ドストエフスキーの生涯の3人の女性
http://russiaeigasha[...]
ロシア映画社
2012-04-27
[81]
서적
生き抜くためのドストエフスキー入門―「五大長編」集中講義―
新潮社
2021-10-28
[82]
서적
これならわかる「カラマーゾフの兄弟」
青春出版社
2023-08-01
[83]
뉴스
ドストエフスキー生誕200年/人はなぜ生きる あせぬ問い/プーチン政権下で再評価
北海道新聞
2021-11-23
[84]
웹사이트
UNESCO Memory of the World Register
https://www.unesco.o[...]
UNESCO
2023-05-27
[85]
서적
Fyodor Dostoyevsky: A Study
University Press of the Pacific
[86]
논문
Einstein and Soviet Ideology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87]
서적
KSA 13, 14[222] and 15[9]
[88]
서적
Hemingway's A Farewell To Arms: a Critical Study
https://books.google[...]
Academic Foundation
[89]
서적
Conversations with James Joyce
University of Toronto
[90]
서적
The Russian Point of View
[91]
서적
Kafka: Gothic and Fairytale
https://books.google[...]
Rodopi
[92]
논문
Kafka and Dostoevsky as 'Blood Relatives'
http://sites.utoront[...]
[93]
서적
Freud, the Mind of the Moralist
https://archive.or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4]
서적
The Romantic Manifesto
[95]
서적
バーデン・バーデンの夏
新潮社
[96]
웹사이트
(3453) Dostoevsky = 1935 DM = 1936 NA = 1940 QE = 1974 YL = 1977 RT7 = 1977 SC2 = 1981 SS5 = 2002 MW4
https://minorplanetc[...]
MPC
2021-09-12
[97]
서적
Demons
[98]
서적
Lectures on Russian Literature
Harvest Book/Harcourt
[99]
서적
DER 99
[100]
서적
宣教師ニコライと明治日本
岩波新書
[101]
서적
一億人の手塚治虫
JICC出版局
[102]
서적
ドストエフスキーの詩学
ちくま学芸文庫
[103]
서적
ドストエフスキー
新潮社
[104]
서적
筑摩書房
[105]
서적
ロシアとヨーロッパ〈3〉ロシアにおける精神潮流の研究
成文社
[106]
서적
ドストエフスキー論 肯定と否定
勁草書房
[107]
서적
ドストエフスキーの世界観
白水社
2009
[108]
서적
ドストエフスキーを読む 五大小説の人物像における宗教性について
未知谷
2008
[109]
서적
ドストエフスキーと悪の問題
1942
[110]
서적
謎解き 罪と罰、謎解き 白痴、謎解き カラマーゾフの兄弟
新潮選書
[111]
웹사이트
ドストエフスキー読解の可能性
https://www.dsjn.jp/[...]
2024-06-26
[112]
웹사이트
ドストエフスキー読解の可能性
https://www.dsjn.jp/[...]
2024-06-26
[113]
서적
評伝ドストエフスキー
筑摩書房
[114]
웹사이트
ドストエフスキー生誕200年
https://www.tokyo-np[...]
2024-06-26
[115]
웹사이트
表象ダイアローグ「ドスエフスキーを書く」
https://repre.org/re[...]
2024-06-26
[116]
서적
作家の日記5
筑摩書房
[117]
서적
中村 2004
[118]
서적
作家の日記1
1873-11
[119]
서적
作家の日記2
1876-06
[120]
서적
作家の日記2
[121]
서적
作家の日記2
[122]
서적
作家の日記2
[123]
서적
作家の日記2
[124]
서적
作家の日記2
[125]
서적
作家の日記(四)
1959
[126]
서적
ソビエトとロシア
講談社現代新書
1989
[127]
서적
作家の日記2
[128]
서적
作家の日記2
[129]
서적
作家の日記2
[130]
서적
作家の日記3
[131]
서적
作家の日記3
[132]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33]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879-08-09
[134]
서적
ポリアコフ 4巻
[135]
서적
作家の日記3
[136]
서적
中村 2004
[137]
서적
反ユダヤ主義の歴史 第5巻 現代の反ユダヤ主義
筑摩書房
2007
[138]
서적
カラマーゾフの兄弟1
光文社
[139]
서적
カラマーゾフの兄弟
新潮文庫
[140]
서적
作家の日記3
[141]
서적
ソビエトとロシア
講談社
[142]
논문
[143]
서적
Confession of a Jew
New York
[144]
서적
Dostoyevsky and the Jews
University of Texas Press
[145]
잡지
Dostoevsky and the Jews, by David I. Goldstein
1981-06-01
[146]
학술지
Dostoyevsky and the Jews by David I. Goldstein (University of Texas Press, 231 pp., $17.50)
https://doi.org/10.1[...]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7]
논문
Dostoevskij's Anti-Semitism and the Ctitics
1983-09
[148]
학술지
Dostoevskii, the Jewish Question, and The Brothers Karamazov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06
[149]
서적
Dostoevsky: The Mantle of the Prophet, 1871–1881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0]
잡지
The Two Dostoevskys
2003-03-27
[151]
서적
The Ridiculous Jew:The Exploitation and Transformation of a Stereotype in Gogol, Turgenev, and Dostoevsky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8-09-25
[152]
서적
Redemption and the Merchant God: Dostoevsky's Economy of Salvation and Antisemitism
Northwestern Univ Pr
2008-01-10
[153]
논문
日記と『作家の日記』―ドストエフスキーにおける自己物語の問題―
東京大学大学院人文社会研究科スラヴ語スラヴ文学研究室
[154]
논문
Jews, race, and b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6-01-05
[155]
웹사이트
グレーテルのかまど「ドストエフスキーのパスチラ」
https://www4.nhk.or.[...]
日本放送協会
2019-06-21
[156]
의학정보
측두엽간질
[157]
일반정보
개인 잡지 독립
[158]
일반정보
안나 카레니나 극찬
[159]
서적
푸쉬킨론
[160]
일반정보
러시아 메시아니즘 열광적 호소
[161]
서적
겸손의 리더십
랜덤하우스코리아
[162]
서적
얼음의 땅 뜨거운 기억
레디앙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도스토옙스키 4대 장편 완역 김정아 번역가 “‘도 선생님’과 탯줄로 연결”
“도스토옙스키가 내 인생의 90%를 만들었다”…4대 장편 국내 첫 완역 김정아 번역가
나를 복제하고 싶나요 [똑똑! 한국사회]
도스토옙스키의 모두 잃고도 다시 시작하는 삶 [.txt]
한강 열풍, 문학 작품 판매 증가로 이어져 – 바이라인네트워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