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가라만테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가라만테스는 기원전 1000년경부터 서기 600년경까지 현재의 리비아 남부 지역인 페잔에 존재했던 고대 부족 또는 왕국이다. 그들은 소를 키우고 농사를 지었으며, 4마리 말이 끄는 전차를 사용하고, 지하 관개 시설을 활용하여 농업을 발전시켰다. 로마 시대에는 로마와 갈등을 겪었으며, 잦은 약탈로 인해 로마의 공격을 받기도 했다. 기후 변화와 지하수 고갈로 인해 쇠퇴했으며, 멸망 이후에는 다양한 인종적 혼합과 문화를 보였다. 가라만테스인들은 리비아 문자를 사용했으나, 그들의 언어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리카의 옛 나라 - 남아프리카 연방
    남아프리카 연방은 보어 전쟁 이후 네덜란드계와 영국계의 화합을 위해 건국되었으며, 영국 군주를 국가 원수로 하는 자치령이었으나 1934년 주권 국가가 되었고, 행정 수도 프리토리아, 입법 수도 케이프타운, 사법 수도 블룸폰테인으로 구성되었으며, 1961년 국민투표를 통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전환되었다.
  • 아프리카의 옛 나라 - 로디지아
    로디지아는 1965년 백인 소수 정권이 일방적 독립 선언 후 1979년까지 사용한 남부 로디지아의 공식 명칭이었으나, 랭커스터 하우스 협정으로 종식되고 1980년 짐바브웨 공화국으로 독립하였다.
가라만테스
지도
개요
유형고대 북아프리카 민족
위치페잔 지역
주요 거주지가르마
활동 시기기원전 5세기 ~ 서기 7세기
역사
기원후기 신석기 시대
발전기원전 5세기
로마 제국과의 관계복잡한 관계 (때로는 동맹, 때로는 적대)
쇠퇴7세기
문화
언어가라만테스어 (현재 사멸)
문자티피나그 문자 사용
종교토착 신앙
사회계층화된 사회 구조
경제농업 (관개 농업)
교역 (사하라 횡단 교역)
기술
관개 기술포굴라 시스템 개발
농업 기술사막 환경 적응 농업
건축 기술진흙 벽돌 건축
유산
고고학적 유적가르마 유적
역사적 기록고대 로마 기록

2. 역사

이슬람 정복 이전인 서기 600년경 페잔에 가라만테스의 위치.


가라만테스는 기원전 1000년쯤 페잔에 부족 형태로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기원전 5세기 헤로도토스의 기록에 따르면, 이들은 소를 키우고 농사를 지으며, 4두 전차를 몰고 트로글로디타이족을 사냥하던 "거대한 국가"였다.[38] 로마인들은 그들이 의식용 상처와 문신을 새겼다고 기록했고, 타키투스는 타크파리나스 반란을 돕고 로마 해안 도시를 약탈했다고 했다. 대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로마는 약탈에 지쳐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발부스를 시켜 기원전 19년 도시 15곳을 점령하게 했다. 202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수도 가르마를 점령했다.[39]

150년경 가라만테스 왕국(오늘날 중부 리비아 페잔)은 남부 리비아 180000km2를 차지했고, 기원전 400년부터 서기 600년까지 존속했다.

가라만테스 문화 쇠퇴는 기후 악화나 수자원 과다 사용과 관련 있을 수 있다.[40] 오늘날 사막은 한때 비옥한 농지였고, 1500년 전 관개 체계로 더 발전했다. 6세기 동안 비재생 자원인 화석수 같은 지하수가 고갈되면서,[41] 왕국은 쇠퇴, 분열되었다.

2. 1. 기원과 초기 역사

가라만테스는 기원전 1000년경 페잔에 부족 형태로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38] 이들은 기원전 5세기에 헤로도토스의 기록에서 처음으로 나타나는데, 헤로도토스는 이들을 소를 키우고 농사를 지으며, 4마리의 말이 이끄는 전차를 타고 사막에 살던 트로글로디타이족(동굴 거주자들)을 사냥한 “거대한 국가”라고 묘사했다.[38] 로마인들은 그들이 의식 목적의 상처와 문신을 지녔다고 기록했다. 타키투스는 이들이 타크파리나스의 반란을 돕고 로마의 해안 도시들을 약탈했다고 전했다. 대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로마인들은 가라만테스인들의 약탈에 지쳐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발부스에게 기원전 19년에 그들의 도시 15곳을 점령하게 했다. 서기 202년에는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가라만테스의 수도 가르마(Garama)를 점령했다.[39]

서기 150년경, 가라만테스 왕국(오늘날 중부 리비아 (페잔))은 오늘날 남부 리비아 지역 180000km2를 차지했으며, 기원전 400년부터 서기 600년까지 존속했다.

가라만테스 문화의 쇠퇴는 기후 상태 악화나 수자원 과사용과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40] 오늘날의 사막은 한때 풍요로운 농업 용지였고 1500년 전 가라만테스의 관개 체계로 더욱 발전했을 것이다. 가라만테스 왕국이 6세기를 지나면서, 비재생 자원인 화석수 같은 지하수는 고갈되었다.[41] 결국 가라만테스 왕국은 쇠퇴하고 분열되었다.

가라만테스는 고대 리비아-베르베르 부족, 투부 부족, 그리고 사하라 목축 시대의 목축민의 후손일 수 있으며,[9][1][2] 기원전 1000년경부터 페잔 지역에 정착했다.[3] 타카르코리 암각화 유적에서 최종 목축 시대 사람들은 기원전 3000년에 사회를 재편하고, 비지역적 사치품과 드럼 형태의 건축물이 포함된 수백 명의 개인을 위한 매장지를 건설했는데, 이는 가라만테스 왕국의 발전을 위한 기반이 되었다.[5] 최종 목축 시대 사람들은 또한 가라만테스와 접촉했는데, 가라만테스는 이후 리비아 남부 지역의 오아시스 기반 경제를 독점하게 되었다.[6] 모리타니 남동부의 티치트 문화 사람들은 가라만테스 사회에 사헬 출신 여성이 통혼의 결과로 존재했기 때문에 가라만테스 문화에 국내 건축 및 도자기 기여를 했을 가능성이 있다.[7] 남부에서 여성들을 '약탈'하는 관행은 가라만테스뿐만 아니라, 이후 투아레그와 투부와 같은 집단에도 있었다.[8]

2. 2. 헤로도토스의 기록과 로마 시대

헤로도토스는 가라만테스를 "매우 거대한 민족"으로 묘사하며, 기원전 5세기에 처음으로 기록에 나타난 이들은 소를 키우고 대추야자를 재배하며 농사를 짓는 "거대한 국가"였다고 기록했다.[10] 특히 4마리 말이 끄는 전차를 이용해 사막의 동굴 거주자들을 노예로 사냥했다는 기록이 있다.[38][11][12]

로마 시대의 기록에 따르면, 가라만테스인들은 의식 목적의 상처와 문신을 새겼다고 한다.[16] 타키투스는 이들이 타크파리나스의 반란을 돕고 로마 해안 도시들을 약탈했다고 기록했다.[16] 대 플리니우스는 로마인들이 가라만테스인들의 약탈에 지쳐 루키우스 코르넬리우스 발부스를 시켜 기원전 19년에 그들의 도시 15곳을 점령하게 했다고 전한다.[39] 이후 서기 202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가라만테스의 수도 가르마(Garama)를 점령했다.[39]

2. 3. 쇠퇴

가라만테스 문화의 쇠퇴는 기후 악화나 수자원 과다 사용과 관련되었을 수 있다.[40] 오늘날 사막은 한때 풍요로운 농업 용지였고, 1500년 전 가라만테스의 관개 체계로 한층 더 상태가 좋았을 것이다. 가라만테스 왕국이 여섯 세기를 보내면서 비재생 자원인 화석수 같은 지하수는 바닥을 드러냈다.[41] 가라만테스 왕국은 쇠퇴하고 분열되었다.

3. 사회와 문화

가라만테스 족은 농부이자 상인이었다. 이들의 식단은 포도, 무화과, 보리, 로 이뤄졌다. 이들은 포도주, 올리브유, 호롱, 로마제 식탁 기구 등을 수입하고, 밀, 소금, 노예 등을 수출했다. 스트라본플리니우스에 의하면, 가라만테스 족은 티베스티산맥에서 천하석을 채석했다고 한다.[42]

가라만테스 왕국과 관련된 고고학 유적지에는 다양한 무덤, 요새, 매장지들이 있다. 가라만테스 족은 사막 모래 아래 석회암층 아래에 있는 화석수를 이용하는 지하 터널과 수직 갱을 건설했다. 이 포가라의 연대는 논쟁의 여지가 있지만, 기원전 200년부터 서기 200년 사이에 나타났으며 적어도 7세기까지, 아마도 그 이후까지 계속 사용되었다.[22] 이 터널 네트워크는 베르베르인에게 '포가라스'로 알려져 있으며, 농업을 번성시켰고, 이를 유지하기 위해 노예 노동 시스템을 사용했다.[9]

2011년 에프티미아 니키타는 가라만테스 족의 골격이 전투나 활발한 활동이 일반적이지 않음을 나타낸다고 보고했다. "가라만테스 족은 업무에 적은 성적 이형성을 나타냈는데, 이는 농업민들에게서 나타나는 패턴과 유사하고 전쟁과 건축 작업에서 남성의 종사가 특별히 부각되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 가라만테스 족은 덜 거친 환경에 사는 다른 북아프리카인들 보다 체계적으로 더 호전적인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고, 사하라에서 생존이 매일 강렬한 활동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42]

3. 1. 도시와 인구

1960년대 고고학자들은 오늘날 게르마(세바에서 서쪽으로 150km 떨어짐)에서 가라만테스의 수도 일부를 발굴해냈고 가라마 (Garama, 훨씬 이전의 수도 진체크라는 후기 수도 가르마에서 그리 멀지 않다.)라고 이름 붙였다.[42] 최근 연구에서 가라만테스인들은 8개의 주요 도시들이 있었다고 나타났으며, 그들 중 세 개는 발굴되었다. 추가로 이들은 다른 많은 도시들도 있었다. 가라마는 4천명 정도의 인구가 있었고, 반경 5 km 내에 다른 도시들에는 인구 6천명이 거주했다.[20]

도시인구
가라마약 4,000명
반경 5km 이내 도시약 6,000명



2011년에 에프티미아 니키타 (Efthymia Nikita)는 가라만테스인들의 골격이 전투나 활발한 활동이 일반적이지 않음을 나타낸다고 보고했다. "가라만테스인들은 업무에 적은 성적 이형성을 나타냈는데, 이는 농업민들에게서 나타나는 패턴과 유사하고 전쟁과 건축 작업에서 남성의 종사가 특별히 부각되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 가라만테스인은 덜 거친 환경에 사는 다른 북아프리카인들 보다 체계적으로 더 호전적인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고, 사하라에서 생존이 매일 강렬한 활동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42]

가라만테스의 주요 정착지 중 하나인 가라마의 유적

3. 2. 농업과 경제

가라만테스족은 농부이자 상인이었다. 이들의 식단은 포도, 무화과, 보리, 로 이뤄졌다. 포도주, 올리브유, 호롱, 로마제 식탁 기구 등을 수입하고, 밀, 소금, 노예 등을 수출했다. 스트라본플리니우스에 의하면, 가라만테스족은 티베스티산맥에서 천하석을 채석했다고 한다. 2011년 에프티미아 니키타(Efthymia Nikita)는 가라만테스족의 골격이 전투나 활발한 활동이 일반적이지 않음을 나타낸다고 보고했다. "가라만테스족은 업무에 적은 성적 이형성을 나타냈는데, 이는 농업민들에게서 나타나는 패턴과 유사하고 전쟁과 건축 작업에서 남성의 종사가 특별히 부각되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 가라만테스족은 덜 거친 환경에 사는 다른 북아프리카인들 보다 체계적으로 더 호전적인 모습을 나타내지 않았고, 사하라에서 생존이 매일 강렬한 활동을 요구하지 않음을 나타낸다."[42]

가라만테스 왕국과 관련된 고고학 유적지에는 다양한 무덤, 요새, 매장지들이 포함된다. 가라만테스족은 사막 모래 아래 석회암층 아래에 있는 화석수를 이용하는 지하 터널과 수직 갱(shaft)을 건설했다. 이 포그가라의 역사는 논란 중이나, 기원전 200년에서 서기 200년 사이에 나타나, 서기 7세기까지 계속 사용되었고 그 후로도 쓰였을 것이다.[43] 이 터널 체계는 베르베르인들에게 ''포그가라''라고 알려졌다. 이 체계는 농업을 번창하게 해줬고, 이를 유지하는 데에 노예 노동력이 사용되었다.[9]

3. 3. 노예 무역

가라만테스는 농업을 번창시키기 위해 베르베르인들에게 ''포그가라''라고 알려진 지하 터널 체계를 건설하였고, 이를 유지하는 데 노예 노동력을 사용하였다.[43] 헤로도토스는 가라만테스가 "트로글로디테 에티오피아인"을 추격했다고 기록했다.[23] 손야와 카를로스 마그나비타(2018)는 "고대 시대 사하라 사막의 흑인 아프리카인 노예 습격"이 신화일 수 있다고 말하면서도 "노예로 삼는 것 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람을 사냥하는 것은 상상하기 어렵다"고 인정한다.[24]

헤로도토스 시대 이후 5세기 동안 로마 상인들은 렙티스 마그나 (리비아)와 릭수스 (모로코)에 자리를 잡고 베르베르족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데려온 노예를 구매했다.[25][26]

3. 4. 인류학적 특징

가라만테스에 관한 기록은 기원전 5세기에 처음 등장한다.[9] 헤로도토스는 고대 리비아 부족에 대한 묘사에서 가라만테스를 "매우 거대한 민족"으로 언급하며, 그들이 소를 키우고 대추야자를 재배했다고 묘사했다.[10]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가라만테스는 노예 사냥을 위해 4두 전차를 사용하여 "트로글로다이테 에티오피아"를 사냥했다.[11][12]

즐리텐 모자이크의 일부. 기원후 70년경 렙티스 마그나의 원형 경기장에서 ''야수형벌''(damnatio ad bestias)을 통해 가라만테스 포로들의 처형을 묘사. 다르 북 암메라 빌라에서 발견됨.


로마의 묘사에서 가라만테스는 의례적인 흉터와 문신을 새겼다고 묘사한다.

가라만테스는 고대 리비아-베르베르 부족, 투부 부족, 그리고 사하라 목축 시대의 목축민의 후손일 수 있으며,[9][1][2] 기원전 1000년경부터 페잔 지역에 정착했다.[3]

주세페 세르지(1951)는 목축 시대 말기부터 서기 1세기의 로마 시대까지 페잔에서 출토된 인골을 분석했다. 세르지는 가라만테스인이 현대의 베르베르인과 유사한 '지중해'형으로, 그가 '유로아프리카인'이라고 칭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그는 또한 로마 시대에 '니그로이드' 유형의 유입과 '혼혈' 유형의 증가를 발견했다.[27]

에프티미아 니키타 외(2011)는 두개골 비계측 특성, 평균 발산 측정 및 마할라노비스 D(2)를 사용하여 가라만테스인의 생물학적 친화성을 조사했다. 다른 북아프리카 인구(이집트인, 알제리인, 튀니지인, 수단인)와 비교한 결과, 세 개의 클러스터가 확인되었다. (1) 가라만테스, (2) 기제 및 케르마, (3) 솔레브, 알렉산드리아인, 알제리인 및 카르타고인. 분석 결과 가라만테스는 고립되었으며, 사하라 사막은 유전자 흐름의 장벽 역할을 했다. 가라만테스와 이웃 간의 거리는 멀었고, 인구는 특이치로 보였다.[32]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여성의 유해는 기원전 1천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사헬 아프리카 그룹과 관련된 립 플러그를 소유하고 있으며, 이질적인 가라만테스 인구의 일부였던 다른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인과 함께 묻혔다. 파워 외(2019)는 "일부 가라만테스 개인이 이주 또는 접촉을 통해 사헬 사회와 물질 문화의 측면을 공유했고, 가라만테스 묘지에 묻혔다는 것은 동시대 가라만테스 사회의 규범적 장례 의식에 통합되었음을 보여준다. 형태 측정 및 동위 원소 작업의 조합은 가라만테스 사회가 다양한 지리적 기원을 가진 개인을 포함했으며, 그중 일부는 최초의 사하라 횡단 이주민이었을 수 있다는 견해를 더욱 강화한다."라고 진술한다. 두개골 계측 결과는 또한 와디 알-아잘에 묻힌 가라만테스 내에서 또 다른 하위 그룹을 확인했으며, 이는 지중해인에게서 널리 관찰되는 형태를 보였다.[33]

3. 5. 언어와 문자

가라만테스에 관한 기록은 기원전 5세기에 처음 등장한다.[9] 헤로도토스는 고대 리비아 부족을 묘사하면서 가라만테스를 "매우 거대한 민족"으로 언급하며, 그들이 소를 키우고 대추야자를 재배했다고 기록했다.[10]

언어학자 로저 블렌치는 "로마에 의해 리비아 페잔에서 제국이 멸망한 가라만테스인들은 리비아 문자로 글을 썼지만, 그들이 베르베르어를 사용했다는 증거는 없다. 그들이 무엇을 말했는지는 추측의 영역이며, 가장 유력한 가설은 송가이 또는 현재 티베스티 지역에서 사용되는 테다어와 관련된 나일-사하라어족 언어일 것이다."라고 말했다.[34] 가라만테스인들은 거의 해독 불가능한 형태의 원시 티피나그 문자를 사용했을 수 있다.[35]

블렌치(2019)는 다음과 같이 덧붙였다.

> 가라만테스인들에게 귀속된 언어와 비문은 가장 문제가 되는 측면 중 하나이다... 현재 파잔으로 알려진 가라만테스 수도인 자르마 인근 지역에는 풍부한 비문이 있다. 그것들은 흑회색의 암포라에 새겨지거나 그려져 있으며, 사니아트 빈 후와이디와 같은 가라만테스 묘지에 묻혀 있다. 대영 도서관의 후원하에 진행된 최근 프로젝트에서는 알려진 대부분의 비문을 디지털화했다. 비문은 베르베르 문자로 되어 있지만 일부만 해독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여러 가지 이유가 제시되었는데, 메시지가 의도적으로 암호화되어 특정 독자만 이해할 수 있도록 했을 수 있다. 또는 '놀이'적 성격을 가졌을 수도 있다. 가장 흥미로운 가능성은 베르베르어가 아닌 언어, 아마도 나일-사하라어족 또는 알려지지 않은 언어였을 가능성이다.[36]

4. 고고학적 유적

가라만테스 왕국과 관련된 고고학 유적지에는 다양한 무덤, 오시, 매장지들이 포함된다. 가라만테스는 사막 모래 아래 석회암층 아래에 있는 화석수를 이용하는 지하 터널과 샤프트를 건설했다. 이 포그가라의 역사는 논란 중이나, 기원전 200년에서 서기 200년 사이에 나타나, 서기 7세기까지 계속 사용되었고 그 후로도 쓰였을 것이다.[43] 이 터널 체계는 베르베르인들에게 ''포그가라''라고 알려졌다. 이 체계는 농업을 번창하게 해줬고, 이것을 유지하는 데에 노예 노동력이 사용되었다.

참조

[1] 서적 The Archaeology of Fazzan, Volume 1: Synthesis https://www.bilnas.o[...] Department of Antiquities, Tripoli. The Society for Libyan Studies 2003
[2] 서적 The Journal of Egyptian Archaeology Sage Publications, Ltd. 1934-11-01
[3] 서적 Arid Lands in Roman Times. Papers from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Rome, July 9th-10th 2001) https://books.google[...] All’Insegna del Giglio 2003-10-01
[4] 서적 Oxford Research Encyclopedia of African History Oxford Research Encyclopedias 2019-02-25
[5] 간행물 Persistent deathplaces and mobile landmarks: The Holocene mortuary and isotopic record from Wadi Takarkori (SW Libya) https://www.research[...] 2013-03
[6] 서적 Migration History in World History: Multidisciplinary Approaches Brill 2010-01-01
[7] 서적 Life and death at Fewet https://www.research[...] Edizioni All'Insegna del Giglio 2013-10
[8] 서적 Sand, Stones, and Bones. The Archaeology of Death in The Wadi Tanezzuft Valley (5000-2000 BP) https://books.google[...] All’Insegna del Giglio 2002
[9] 간행물 Kingdom of the Sands https://archive.arch[...] 2004-03
[10] 서적 Histories https://sourcebooks.[...]
[11] 서적 History of Herodotus https://en.wikisourc[...] J.M. Dent 1910
[12] 서적 Africa in the Iron Age : c. 500 B.C. to A.D. 14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
[13] 서적 Histories https://penelope.uch[...]
[14] 서적 Geography https://penelope.uch[...]
[15] 서적 The archaeology of Fazzan / Ed. by David J. Mattingley. 1: Synthesis https://www.bilnas.o[...] Society for Libyan Studies 2003
[16]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
[17] 서적 Septimius Severus: The African Emperor https://books.google[...] Routledge
[18] 웹사이트 Fall of Gaddafi opens a new era for the Sahara's lost civilisation https://www.theguard[...] 2011-11-05
[19] 서적 North Africa under Byzantium and Early Islam, ca. 500 – ca. 800 Dumbarton Oaks Research Library and Collection 2016-02
[20] 웹사이트 Garama: an ancient civilisation in the Central Sahara https://www.world-ar[...] 2005-01-07
[21] 간행물 Activity patterns in the Sahara Desert: An interpretation based on cross-sectional geometric properties https://onlinelibrar[...]
[22] 서적 The Archaeology of Fazzān: Site gazetteer, pottery and other survey finds https://books.google[...] Society for Libyan Studies 2003
[23] 서적 History of Herodotus https://en.wikisourc[...] J.M. Dent 1910
[24] 서적 Landscapes, Sources and Intellectual Projects of the West African Past Brill 2018-07-18
[25] 서적 Africa in the Iron Age : c. 500 B.C. to A.D. 14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
[26] 서적 Slavery in the Late Roman World, AD 275–425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05-12
[27] 서적 Life and death of a rural village in Garamantian Times. Th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in the Oasis of Fewet (Libyan Sahara) Edizioni All'Insegna del Giglio 2013
[28] 서적 The Archaeology of Fazzan, Volume 1: Synthesis Department of Antiquities, Tripoli. The Society for Libyan Studies 2003
[29] 서적 The Archaeology of Fazzan, Volume 1: Synthesis Department of Antiquities, Tripoli. The Society for Libyan Studies 2003
[30] 서적 Life and death of a rural village in Garamantian Times. The archaeological investigation in the Oasis of Fewet (Libyan Sahara) Edizioni All'Insegna del Giglio 2013
[31] 서적 The Archaeology of Fazzan: Excavations of C.M. Daniels Society for Libyan Studies 2010
[32] 간행물 Sahara: Barrier or corridor? Nonmetric cranial traits and biological affinities of North African late Holocene populations https://pubmed.ncbi.[...] 2012-02-01
[33] 서적 Burials, Migration and Identity in the Ancient Sahara and Beyo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
[34] 서적 Archaeology, Language, and the African Past AltaMira Press 2006
[35] 간행물 Libya's Forgotten Desert Kingdom https://archive.aram[...] 2004-05
[36] 서적 Burials, Migration and Identity in the Ancient Sahara and Beyo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9-02-14
[37] 웹인용 Libya's Forgotten Desert Kingdom http://www.saudiaram[...] Saudi Aramco World 2016-08-15
[38] 문서 헤로도토스의 역사. 제4권 Melpomene
[39] 문서 Birley (1999), p. 153.
[40] 뉴스 Fall of Gaddafi opens a new era for the Sahara's lost civilisation https://www.theguard[...] Guardian 2011-11-05
[41] 문서 Fentress and Wilson (2016)
[42] 저널 Activity patterns in the Sahara Desert: An interpretation based on cross-sectional geometric properties
[43] 문서 David Mattingly (ed.). 2003. Archaeology of Fazzan. Volume 1, Synthesis. Lond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