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렙티스 마그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렙티스 마그나는 현재 리비아에 위치한 고대 로마 도시 유적이다. 기원전 1100년경 페니키아인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카르타고의 지배를 받다가 로마 공화국 시기에 로마의 영토가 되었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출신 도시로서 번영을 누렸으나, 3세기의 위기를 겪으며 쇠퇴했다. 반달족, 동로마 제국을 거쳐 이슬람 세력에게 정복되었으며, 20세기 초 이탈리아에 의해 재발견되었다.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으로 등재되어 있으며, 기후 변화와 해수면 상승으로 인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로마 극장 - 오랑주 고대극장
    오랑주 고대극장은 1세기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대에 건설되어 프랑스에 위치하며, 19세기 복원 작업을 거쳐 현재 관광 명소이자 공연장으로 사용되며, 1981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고대 로마 극장 - 오데온 극장
    오데온 극장은 2세기에 건설된 로마 시대 건축물로, 현재는 콘서트장으로 사용되며 알-발라드 음악 축제가 매년 개최되어 인기를 얻고 있다.
  • 리비아의 세계유산 - 키레네 (리비아)
    키레네는 기원전 7세기 그리스인들이 현재의 리비아 지역에 건설한 고대 도시로, 한때 "아프리카의 아테네"라 불리며 지중해 학술 중심지였으나 쇠퇴 후 버려졌고,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보존되고 있다.
  • 리비아의 세계유산 - 사브라타
    사브라타는 리비아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페니키아인에 의해 설립되어 로마 시대에 번성했으나 지진과 반달족의 지배를 거쳐 쇠퇴했으며, 현재는 고고학 유적지로 3층 구조의 극장이 유명하고, 2016년에는 리비아 내전으로 인한 손상 우려로 유네스코 위기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렙티스 마그나
기본 정보
이름렙티스 마그나
다른 이름렙키스 마그나
네아폴리스
Lpqy
위치홈스, 리비아
지역트리폴리타니아
역사
유형정착지
건축 시기기원전 1000년
버려진 시기서기 7세기
시대철기 시대 ~ 비잔티움
문화카르타고
로마 제국
점령 세력해당 없음
사건
고고학 발굴해당 없음
고고학자해당 없음
상태해당 없음
소유해당 없음
관리해당 없음
일반 접근해당 없음
웹사이트해당 없음
기타해당 없음
세계 유산 지정
명칭렙티스 마그나의 고고 유적지
지정 연도1982년 (제6차 회의)
지정 번호183
기준i, ii, iii
유형문화
지역북아프리카
이미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

2. 명칭

정착지의 푸니 이름은 𐤋𐤐𐤒|lpqxpu 또는 𐤋𐤐𐤒𐤉|lpqyxpu로 표기되었다. 이는 도시 건설을 언급하며 "건설하다" 또는 "조립하다"를 의미하는 셈어 삼자어근(아랍어에 존재) lfq|und와 잠정적으로 관련이 있다.

이 이름은 Λέπτις|Léptisgrc헬레니즘화되었으며, 또한 Λέπτις μεγάλη|Léptis Megálēgrc, "대 렙티스"로도 알려져 현대 튀니지고대 카르타고에 더 가까운 "소 렙티스"와 구별되었다. 그리스인들은 또한 Νεάπολις|Neápolisgrc, "새로운 도시"라고 불렀다. 이러한 이름의 라틴화는 렙키스 또는 렙티스 마그나("대 렙티스")였으며, "렙티마그네세 도시"(Leptimagnensis Civitas|la)로도 나타났다. 라틴 데모님은 "렙티탄"(Leptitanus|la)이었다. 또한 울피아 족의 황제 트라야누스를 따서 로마 식민지로서 ''Ulpia Traiana''로도 알려졌다. 이탈리아 이름은 ''Lepti Maggiore''이며, 아랍어로는 لَبْدَة|Labdahar로 불린다.

3. 역사

렙티스 마그나 지도


페니키아인이 기원전 1100년경 렙티스 마그나를 건설한 것으로 보이며, 기원전 4세기에 카르타고지중해의 거대 세력이 될 때까지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기원전 146년 제3차 포에니 전쟁이 끝날 때까지 렙티스는 명목상 카르타고의 영토였으나, 이후 로마 공화국의 영토가 되었다.

로마 제국티베리우스 황제 시대까지 렙티스는 명목상의 지배를 받았지만, 티베리우스 황제 때 공식적으로 아프리카 속주의 일부로서 로마 제국에 편입되었다. 이후 렙티스는 아프리카 속주의 중심 도시 중 하나이자 주요 교역 거점으로 성장했다.

렙티스 마그나는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 시기인 193년에 절정기를 맞이했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렙티스 출신으로, 아프리카 출신 최초의 로마 황제였다. 그는 렙티스를 다른 속주 도시들보다 우선시하고 막대한 재산을 투자하여 건축 사업을 벌였다. 그 결과 렙티스는 카르타고, 알렉산드리아에 이어 아프리카에서 세 번째로 큰 도시가 되었다. 205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와 그의 가족이 렙티스를 방문했을 때, 렙티스 시민들은 성대한 환영을 보냈다.

그러나 3세기의 위기 동안 교역이 급격히 줄어들면서 렙티스 마그나 역시 쇠퇴하여 도시 대부분이 황폐화되었다. 테오도시우스 1세 시대에 잠시 부흥이 있기도 했다.

439년, 렙티스는 트리폴리타니아의 다른 지역들과 함께 반달족의 왕 가이세릭의 지배 하에 놓였다. 가이세릭은 주민들의 반달족 지배에 대한 저항 의지를 꺾기 위해 도시 성벽을 파괴하도록 명령했다. 그러나 이는 523년 베르베르인의 침공으로 이어져 렙티스 주민과 반달족 지배층 모두에게 큰 피해를 입혔다.

10년 후 벨리사리우스가 로마의 이름으로 렙티스를 탈환하고, 534년에는 반달 왕국을 멸망시켰다. 렙티스는 동로마 제국 속주의 주도 중 하나가 되었지만, 베르베르인의 파괴에서 벗어나 예전의 번영을 되찾지는 못했다. 650년아랍인트리폴리타니아를 정복할 때까지 렙티스는 동로마 군대의 주둔지를 제외하고는 폐허가 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렙티스는 모래 속에 파묻혔다가 1921년에 재발견되었다. 오늘날 렙티스 마그나 유적은 북아프리카에서 가장 인상적인 로마 도시 유적 중 하나로 손꼽힌다.[1]

3. 1. 페니키아 및 카르타고 시대

렙티스는 원래 기원전 1100년경 페니키아인 정착민이 건설한 것으로 보이며, 기원전 4세기에 카르타고지중해의 거대 세력이 될 때까지 무명이었다.[1] 포에니 도시는 기원전 7세기 후반에 건설되었다. 이 시기 렙티스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거의 없지만, 기원전 515년경 도리에우스가 근처에 그리스 식민지를 건설하려 했을 때 이를 격퇴할 정도로 강력했던 것으로 보인다. 대부분의 포에니 정착지와 마찬가지로 렙티스는 카르타고 제국의 일부가 되었고, 포에니 전쟁에서 카르타고가 패배하면서 로마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실질적으로 기원전 200년경부터 독립했었지만, 기원전 146년 제3차 포에니 전쟁 종결까지는 명목상 카르타고 영토에 속했고, 이후에는 로마 공화국 영토가 되었다.[1]

3. 2. 로마 공화국 시대

로마 공화국은 렙티스 마그나를 통제하기 위해 소수의 수비대와 함께 일부 식민자들을 보냈다. 렙티스 마그나는 번성하여 은과 청동으로 자체 화폐를 주조할 수 있게 되었다. 동전에는 푸니 비문이 새겨져 있었지만, 헤라클레스디오니소스의 이미지가 새겨져 있었다. 곧 이탈리아 상인들이 도시에 정착하여 리비아 내륙 지역과의 수익성 있는 상업을 시작했다. 렙티스 마그나는 주로 주변 농지의 비옥함에 의존했으며, 많은 올리브 압착기가 발굴되었다. 기원전 46년까지 올리브 오일 생산량이 매우 커서 율리우스 카이사르에게 연간 3백만 파운드의 오일을 세금으로 제공할 수 있었다.[2]

3. 3. 로마 제국 시대

티베리우스 황제 시대에 렙티스 마그나는 공식적으로 아프리카 속주의 일부로서 로마 제국 영토에 편입되었다. 이후, 아프리카 속주의 중심 도시 중 하나이자 주요 교역 거점 도시로 성장했다.[1]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아프리카 출신 최초의 로마 황제가 된 193년렙티스의 절정기였다.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렙티스를 모든 속주 도시 중에서 최우선으로 대우하고 아낌없이 재산을 투입하여 건축 사업을 추진했다. 그 결과, 렙티스는 카르타고, 알렉산드리아에 이은 아프리카 제3의 대도시가 되었다. 205년에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와 그의 가족이 이 도시를 방문했을 때에는 성대한 갈채를 받았다.[1]

3. 4. 3세기의 위기와 쇠퇴

3세기의 위기 동안 교역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렙티스 마그나도 몰락하여 도시 대부분이 쇠퇴했다.[1] 테오도시우스 1세 치세에 소규모 부흥이 있었다.[1]

3. 5. 반달 왕국 시대

439년, 트리폴리타니아의 다른 도시들과 함께 렙티스 마그나는 반달족의 왕 가이세릭이 카르타고를 점령하면서 반달족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가이세릭은 도시의 성벽을 파괴하여 시민들의 반란 의지를 꺾으려 했다. 523년 베르베르족의 약탈로 도시가 큰 피해를 입었다.

3. 6. 동로마 제국 시대

유스티니아누스 1세의 장군 벨리사리우스는 10년 후 렙티스 마그나를 로마 제국을 위해 탈환했고, 533-4년에 제국에 다시 편입시켰다. 렙티스는 동로마 제국의 지방 수도가 되었으나, 베르베르족에 의한 파괴로부터 완전히 회복되지는 못했다. 544년, 세르기우스의 관할 아래, 도시는 베르베르 부족의 집중적인 공격을 받았다. 몇 번의 성공 후, 세르기우스는 도시 안으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으며, 레우아타이 부족 연합은 지불을 요구하며 성문 밖에 진을 쳤다. 세르기우스는 그들의 요구를 제시하기 위해 80명의 대표를 도시 안으로 들였지만, 회의장을 떠나려 하자 한 대표가 그의 옷을 붙잡고 다른 사람들이 몰려들었다. 이로 인해 총독 경비대의 한 장교가 총독에게 손을 댄 대표를 죽였고, 이는 대량 학살로 이어졌다. 베르베르족은 전면적인 공격으로 대응했고 세르기우스는 결국 렙티스를 포기하고 카르타고로 후퇴할 수밖에 없었다.

3. 7. 이슬람 시대

6세기 무렵 이 도시는 완전히 기독교화되었다.[1] 565년에서 578년 사이, 렙티스 마그나에서 온 기독교 선교사들은 리비아 사막의 페잔까지 남쪽으로 가서 가람만테스를 개종시켰다.[2] 6세기에는 수많은 새로운 교회가 건설되었지만,[3] 도시는 계속 쇠퇴하여, 647년경 마그레브의 이슬람 정복 당시에는 비잔틴 수비대와 1,000명 미만의 인구만 남아 대부분 버려졌다. 10세기 무렵에는 알-쿰스 도시에 완전히 흡수되었다.[4]

4. 현대의 발굴 및 보존

영국 버지니아 워터 호수 근처의 렙티스 마그나 유적지


1816년, 렙티스 마그나에서 고대 사원의 일부가 대영 박물관으로 옮겨졌다. 1826년에는 잉글랜드 포트 벨베데레 왕실 거주지에 설치되었으며, 현재는 윈저 그레이트 파크의 일부에 있다. 유적지는 버지니아 워터 남쪽 해안과 A30 런던 로드, 웬트워스 드라이브 교차로 근처의 블랙네스트 로드 사이에 있다.

thumb

20세기 초, 이탈리아령 리비아를 정복한 이탈리아는 렙티스 마그나 재발견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1930년대 초, 이탈리아 고고학 연구를 통해 도시의 매장된 유적 대부분이 드러났다.[9] 로마 극장 아래에서는 기원전 4세기에서 3세기의 묘지가 발견되었다.

2005년 6월, 함부르크 대학교 고고학자들은 리비아 해안에서 1~2세기에 제작된 약 9.14m 길이의 5개 모자이크를 발견했다. 모자이크에는 사슴과 싸우는 전사, 야생 황소를 땅에 넘어뜨리는 네 명의 젊은이, 피로에 지쳐 쓰러진 상대를 쳐다보는 검투사의 모습이 매우 선명하게 나타나 있다. 이 모자이크는 렙티스 마그나의 와디 레브다에 있는 로마 빌라 내 ''발네아''의 냉탕 벽을 장식했던 것으로, 폼페이의 알렉산드로스 모자이크에 필적하는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2000년에 발견되었지만 약탈을 우려해 비밀로 유지되다가, 현재 렙티스 마그나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11]

2011년 제1차 리비아 내전 당시, 렙티스 마그나는 가다피 지지 세력의 군사 은폐 장소로 사용되었다는 보도가 있었다.[12] NATO는 공습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지만, 반군의 보고를 확인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전쟁 직후, 리비아 고고학자 하페드 왈다는 렙티스 마그나가 국제군에 의한 폭격 등으로 인해 "지금까지 눈에 띄는 피해를 입지 않았다"고 보고했다.

제2차 리비아 내전 이후, 정부 및 국제적 지원이 사라지자, 지역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렙티스 마그나를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해 조직되었다.

5. 기후 변화와 해수면 상승 위협

렙티스 마그나 유적은 해안에 위치해 있어 해수면 상승에 취약하다. 2022년, IPCC 6차 평가 보고서는 이 유적을 세기 말까지 홍수해안 침식의 위협을 받을 아프리카 문화 유산 목록에 포함시켰다. 단, 이는 기후 변화가 RCP 8.5를 따를 경우에만 해당된다. RCP 8.5는 4°C 이상의 온난화와 관련된 높고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온실 가스 배출 시나리오이며,[6] 더 이상 매우 유력한 시나리오로 간주되지 않는다.[7][8] 다른, 더 그럴듯한 시나리오는 더 낮은 온난화 수준을 초래하며, 결과적으로 해수면 상승도 낮다. 그러나 모든 시나리오에서 해수면은 약 10,000년 동안 계속 상승할 것이다.[9] 온난화가 1.5°C로 제한되더라도, 전 세계 해수면 상승은 2000년 이후 2m에서 3m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더 높은 온난화 수준에서는 더 큰 증가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RCP 8.5에서의 2100년 해수면 상승 수준(0.75m, 범위 0.5m에서 1m)을 4000년 전에 훨씬 초과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렙티스 마그나 유적은 방파제와 같은 적응 노력을 통해 보호하지 않는 한, 결국 해수면 상승으로 위협받을 것이다.[10]

6. 세계유산 등재

1921년에 재발견된 렙티스 마그나는 오늘날 북아프리카에서 로마 도시 유적 중에서도 손꼽히는 인상적인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1982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1]

6. 1. 등재 기준

리비아의 렙티스 마그나 유적은 다음 기준을 충족하여 유네스코 세계 문화 유산에 등재되었다.[1]

  • (i): 인간의 창의성이 낳은 걸작을 대표한다.
  • (ii): 오랜 세월에 걸쳐 건축, 기념물 조각, 정원 및 조경 디자인 등의 발전에 상당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 (iii): 현존하거나 사라진 문화적 전통 또는 문명의 유일하거나 특출한 증거이다.

6. 2. 위기에 처한 세계유산

2016년 제40회 세계유산위원회에서는 리비아 내전으로 인한 손상 및 앞으로 일어날 추가적인 손상에 대한 우려로, 렙티스 마그나를 포함하여 당시 리비아에 있는 5곳의 세계유산 모두가 위기에 처한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12]

7. 갤러리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

참조

[1] 웹사이트 Leptis Magna | Archiqoo https://archiqoo.com[...]
[2] 서적 Ancient cities: the archaeology of urban life in the ancient Near East and Egypt, Greece and Rome Routledge 2011
[3] 웹사이트 لَبْدَة, Libya https://www.geograph[...] 2006-06-30
[4] 백과사전 Leptis Magna
[5] 서적 Routledge Companion to Christianity in Afric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12-22
[6] 간행물 Chapter 9: Africa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
[7] 학술지 Emissions – the 'business as usual' story is misleading 2020-01-29
[8] 학술지 RCP8.5 is a problematic scenario for near-term emissions 2020-10-20
[9] 서적 Technical Summary. In: Climate Change 2021: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Six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https://www.ipcc.ch/[...] IPCC 2021-08
[10] 간행물 Summary for Policymakers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1
[11] 뉴스 Roman Mosaic 'Worthy of Botticelli' http://www.timesonli[...] The Times Online 2005-06-13
[12] 웹사이트 Libya’s five World Heritage sites put on List of World Heritage in Danger http://whc.unesco.o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