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험은 인명 손실, 재산 피해 등을 야기할 수 있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 사건이 발생할 가능성을 의미한다. 위험은 노출 경로가 있을 때 존재하며, 빈도와 심각도, 그리고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평가된다. 위험은 자연적, 인위적, 사회자연적 위험으로 분류되며, 생물학적, 화학적, 방사능, 열적, 운동 에너지 위험 등 물리적 성질에 따라 분류되기도 한다. 또한 잠복, 대기, 활동 상태로 구분된다. 위험을 평가하고 관리하기 위해 위험 분석, HACCP, HAZOP, 위험 관리의 계층 구조 등 다양한 방법론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위험 -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
바이오안전성정보센터(BCH)는 유전자변형생물체(LMO) 안전 관리를 위한 국제 정보 교환 플랫폼으로, LMO 관련 정보 제공, 개발도상국 지원, 국제 의무 이행, 다국어 지원, 데이터베이스 연동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 위험 - 스턴트 배우
스턴트 배우는 영화, 드라마 등 영상 매체에서 배우를 대신하여 위험한 연기를 하는 직업으로, 보디 스턴트와 카 스턴트로 나뉘며, 안전 문제와 권익 보호를 위한 단체들이 활동하고 있다. - 보험계리학 - 회귀 분석
회귀 분석은 종속 변수와 하나 이상의 독립 변수 간의 관계를 모델링하고 분석하는 통계적 기법으로, 최소 제곱법 개발 이후 골턴의 연구로 '회귀' 용어가 도입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예측 및 인과 관계 분석에 활용된다. - 보험계리학 - 예측 분석
예측 분석은 통계학, 기계 학습 등의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과거 및 현재 데이터를 토대로 미래의 사건이나 결과를 예측하는 방법론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의사 결정 지원 및 위험 관리 등에 활용되지만, 인간 행동의 복잡성으로 인한 예측 불가능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위험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유형 | 상황이나 물건 |
정의 | 손해, 상해, 질병 또는 사망을 유발할 수 있는 원천 |
한국어 | 위험 |
한자 | 險 |
위험 요인 | |
자연적 위험 요인 | 지진 화산 폭발 산사태 홍수 폭풍 토네이도 해일 가뭄 화재 |
인위적 위험 요인 | 사고 전쟁 테러 오염 범죄 |
위험 관리 | |
목표 | 위험을 예방, 감소, 또는 회피하는 것 |
위험 관리 접근법 | 위험 평가 위험 완화 위험 전달 위험 수용 |
위험 관리 요소 | 위험 식별 위험 분석 위험 우선 순위 결정 위험 처리 위험 모니터링 |
기타 | |
관련 용어 | 위험도 취약성 노출 재해 |
2. 위험의 정의
재해는 "인명 손실, 부상 또는 기타 건강 영향뿐만 아니라 재산, 기반 시설, 생계, 서비스 제공, 생태계 및 환경 자원의 피해 및 손실을 야기할 수 있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 물리적 사건 또는 추세가 발생할 가능성"으로 정의된다.[2]
위험(risk)과 위험(hazard)은 종종 혼용되지만, 위험 평가에서는 두 용어를 구별하여 사용한다. 위험(hazard)은 인간, 재산, 환경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요인 자체를 의미하며, 위험(risk)은 위험 요인에 노출되었을 때 부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확률을 의미한다.[6] 간단히 말해, 위험 요인에 노출되지 않으면 위험은 없다. 위험(risk)은 위험 요인(hazard), 노출(exposure), 취약성(vulnerability)의 결합으로 이해할 수 있다.[6] 예를 들어 물 안보 측면에서 위험 요인(hazard)은 가뭄, 홍수, 수질 저하이며, 열악한 인프라와 거버넌스는 위험에 대한 노출을 높인다.
재해는 노출 경로가 있을 때만 존재한다. 예를 들어, 지구 중심은 매우 높은 온도의 용융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핵과 접촉하면 심각한 재해가 될 것이다. 그러나 핵과 접촉할 수 있는 실행 가능한 방법이 없으므로 현재 지구 중심은 어떠한 위험도 초래하지 않는다.
재해의 빈도와 심각도는 위험 관리의 중요한 측면이다. 재해는 또한 그들이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평가될 수 있다.
키스 스미스는 재해를 정의함에 있어 인간이 존재하여 그것을 재해로 만들어야만 재해로 정의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와 관련하여 인간의 환경 재해에 대한 민감성은 물리적 노출(그들의 통계적 변동성과 관련된 위치에서의 자연적 및/또는 기술적 사건)과 인간의 취약성(같은 위치에 대한 사회적 및 경제적 허용치) 모두의 조합이다.[3]
3. 위험 관련 용어
위험(risk)은 특정 수준의 주어진 위험 요인(hazard)이 특정 수준의 손실 또는 피해를 야기할 가능성 또는 확률로 정의할 수 있다. 위험의 요소는 주어진 지역에서 재해의 위협을 받는 인구, 지역 사회, 건축 환경, 자연 환경, 경제 활동 및 서비스이다. 위험은 "미래 손실의 발생 빈도와 규모의 가능성"으로 정의되기도 하며, 이는 특정 인구 또는 환경에 대한 위험 수준을 나타내는 위험 요인에 대한 취약성 정도를 통해 미래 손실의 확률에 초점을 맞춘다. 위험 요인(hazard)이 초래하는 위협은 사람, 재산, 환경에 대한 위험으로 나눌 수 있다.[3]
재난은 지역 사회의 대처 능력을 초과하는 심각한 기능 중단을 의미한다.[4] 미국 연방재난관리청(FEMA)은 자연재해와 자연재난은 관련이 있지만 동일하지 않으며, 자연재해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사건의 위협이고, 자연재난은 자연재해가 실제로 발생한 후 부정적인 영향으로, 공동체에 상당한 피해를 입힐 경우 발생한다고 설명한다.[5] 재난은 허리케인, 화산, 쓰나미, 지진, 가뭄, 기근, 흑사병, 질병, 열차 충돌, 자동차 충돌, 토네이도, 산림 벌채, 홍수, 유독 물질 누출 및 유출( 원유, 화학 물질)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재난 위험은 재난을 일으킬 수 있는 극심한 지구 물리적 사건으로, '극심한'이란 정상적인 추세에서 양수 또는 음수 방향으로 상당한 변화를 의미한다.
위험과 그러한 위험이 발생할 위험의 기본적인 결정 요인은 시기, 위치, 규모 및 빈도이다. 예를 들어, 지진의 규모는 1에서 10까지의 리히터 규모로 측정되며, 1씩 증가할 때마다 심각도가 10배 증가한다. 규모-빈도 규칙은 상당한 기간 동안 많은 작은 사건과 소수의 큰 사건이 발생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반면 허리케인과 태풍은 적도에서 북쪽과 남쪽으로 5도에서 25도 사이에서 발생하며, 계절적 현상으로 시간적으로 대부분 반복되고 형성에 필요한 특정 기후 변수로 인해 위치가 예측 가능하다. 자연재해와 재난의 차이를 보여주는 예로, 지진은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 재난을 야기한 위험 요소이다.
위험은 그 기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키스 스미스(Keith Smith)는 위험으로 정의될 수 있는 것은 인간이 존재하여 위험이 되는 경우에만 위험이고 그렇지 않으면 단지 관심 있는 사건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가 적대적이거나 위험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환경 조건은 자연 현상의 범위 내에서 자원과 위험을 식별하는 것이 우리의 인식, 인간 위치 및 행동이라는 점에서 중립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환경 위험에 대한 인간의 민감도는 물리적 노출(통계적 변동성과 관련된 위치에서의 자연적 및 기술적 사건)과 인간의 취약성(동일한 위치의 사회적, 경제적 관용에 대한)이 결합된 것이다.
위험은 물리적 성질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될 수도 있다.
기후변화의 영향도 참고
"기후 재해" 또는 "기후적 재해"라는 용어는 기후변화의 맥락에서 사용되며, 예를 들어 IPCC 제6차 평가 보고서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재해는 산불, 홍수, 가뭄, 해수면 상승과 같은 기후 관련 사건에서 비롯된다.[12] 물과 관련된 기후 재해에는 온도 상승, 건기와 우기 사이의 강우 패턴 변화(강우 변동성 증가) 및 해수면 상승이 포함된다.[13] 온도 상승이 기후 재해로 언급되는 이유는 "온도 상승으로 인해 증발산이 증가하여 토양이 건조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13] 수인성 질병 또한 기후 재해와 관련이 있다.[14] 기후 재해는 다른 재해와 결합하여 ''복합 사건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또한 손실과 피해 참조). 예를 들어, 열이라는 기후 재해는 열악한 대기 질이라는 재해와 결합할 수 있다. 또는 홍수라는 기후 재해는 열악한 수질과 결합할 수 있다.[15] 기후 과학자들은 기후 재해가 기후변화 취약성에 따라 서로 다른 사람들에게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지적했다. "사람들과 집단을 취약하게 만드는 요인(예: 빈곤, 불균형적인 권력 구조, 사회적 위치로 인한 불이익과 차별, 인종 차별, 성별, 나이 또는 장애 등의 교차성 또는 중복되고 복합적인 위험 등)"이 존재한다.[12]
기술적 위험은 인간의 기술(이는 신기술을 포함한다)과 관련된 고장 가능성에 의해 발생하며, 이는 경제, 보건, 국가 안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사고, 항해 사고, 철도 사고, 항공 사고, 핵물질 관련 사고(원자력발전소 사고, 핵무기 사고 및 기타 핵 사고), 화학 사고 및 우발적 폭발, 광산 사고, 우주 사고, 기술적 고장( 정보통신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것, 예: 사이버 보안 위협 포함)은 에너지 산업(예: 정전), 통신(예: 인터넷 장애), 보건 의료, 금융, 교통, 식량 공급, 수자원 공급 및 기타 중요 서비스에 대한 중단을 초래할 수 있다. 구조물 고장 또는 건설 사고[9] 등이 기술적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
기계적 위험이란 기계 또는 산업 공정과 관련된 모든 위험을 의미한다. 자동차, 항공기 및 에어백은 기계적 위험을 야기한다. 압축 가스 또는 액체도 기계적 위험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새로운 기계 및/또는 산업 공정의 위험 식별은 새로운 기계 또는 공정 설계의 다양한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위험 식별 연구는 주로 의도된 용도 또는 설계에서의 편차와 이러한 편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피해에 중점을 둔다. 이러한 연구는 미국 직업 안전 보건청 및 미국 도로교통 안전청과 같은 다양한 기관에서 규제한다.
건설 위험은 인공 구조물이 고장날 때(예: 건물 또는 구조물 붕괴, 교량 붕괴, 댐 붕괴) 또는 건설에 사용된 재료가 위험한 것으로 판명될 때 발생한다.
사회적 재난은 민란, 폭력, 관중 사고, 금융 위기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유엔 재해리스크 감소사무국(UNDRR)의 재해 정의 및 분류 검토(센다이 프레임워크 2015-2030)는 인위적 재해 범주에서 무력 충돌을 명시적으로 제외하는데, 이러한 재해는 이미 국제 인도주의법에 따라 인식되기 때문이다.[9][8]
폐기물 관리 과정에서 많은 유해 물질이 가정 및 상업용 폐기물로 배출된다. 이는 현대 기술 기반의 생활 방식이 전자 및 화학 산업에서 특정 독성 또는 유독 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물질들은 사용 또는 운송 중에는 일반적으로 안전하게 밀폐되거나 포장되어 노출을 방지한다. 하지만 폐기물로 배출되면 폐기물의 외장이나 밀폐 포장이 파손되거나 분해되어 유해 물질이 환경으로 방출되고, 폐기물 처리 업체 종사자, 폐기물 처리 시설 주변 거주자, 그리고 해당 시설 주변의 일반 환경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
생물학적 위험은 생물의 생물학적 과정에서 발생하며 인간의 건강, 재산의 안전 또는 환경에 위협을 가하는 요소를 말한다. 생물학적 위험에는 병원체인 바이러스와 세균, 전염병, 팬데믹, 기생충, 해충, 동물 공격, 독/독성 동물, 생물학적 독소, 식품 매개 질환 등이 포함된다.[9] 예를 들어, ''대장균'' 및 ''살모넬라''와 같은 자연 발생 세균은 잘 알려진 병원균이며, 식품 안전, 개인 위생 및 교육을 통해 이러한 미생물에 대한 인간의 노출을 제한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가 취해져 왔다. 새로운 미생물의 발견과 새로운 유전자 변형(GM) 생물의 개발을 통해 새로운 생물학적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새로운 GM 생물의 사용은 다양한 정부 기관에 의해 규제된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살충제를 생산하거나 저항하는 GM 식물(즉, Bt 옥수수 및 라운드업 내성 작물)을 관리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식품 또는 의약 목적으로 사용될 GM 식물을 규제한다. 생물학적 위험에는 의료 폐기물 또는 미생물, 바이러스 또는 독소(생물학적 근원)의 샘플(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이 포함될 수 있다. 많은 생물학적 위험은 특정 바이러스, 기생충, 균류, 세균 및 식물 및 해산물 독소를 포함한 식품과 관련이 있다. 병원성 ''캄필로박터'' 및 ''살모넬라''는 일반적인 식품 매개 생물학적 위험이다. 이러한 세균으로 인한 위험은 적절한 취급, 식품 보관, 및 조리와 같은 위험 완화 단계를 통해 방지할 수 있다. 질병은 열악한 위생과 같은 인적 요인이나 도시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
화학 물질은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인간, 재산 또는 환경에 해로움이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경우 위험물질로 간주될 수 있다. 화학 물질과 관련된 건강 위험은 화학 물질의 용량 또는 양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요오드산칼륨 형태의 요오드는 요오드화 소금 생산에 사용된다. 1000mg의 식탁용 소금에 20mg의 요오드산칼륨을 사용하면 갑상선종 예방에 도움이 되지만, 1200~9500mg의 요오드를 한 번에 섭취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일부 화학 물질은 누적 생물학적 효과를 가지는 반면, 다른 화학 물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사적으로 제거된다. 다른 화학적 위험은 그 효과에 대한 농도 또는 총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부 유해 화학 물질은 비소와 같이 특정 지질 형성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다른 화학 물질에는 농업 및 산업용 화학 물질과 가정용으로 개발된 제품과 같은 상업적 용도의 제품이 포함된다. 다양한 화학적 위험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매년 기업들은 새로운 요구를 충족하거나 기존의 효과가 떨어지는 화학 물질을 대체하기 위해 더 많은 신규 화학 물질을 생산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연방 식품의약품화장품법 및 독성물질관리법과 같은 법률에 따라 도입되는 모든 신규 화학 물질에 대해 인간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 미국에서는 EPA(환경보호청)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신규 화학 물질(즉, 살충제 또는 제조 공정 중에 배출되는 화학 물질)을 규제하고, FDA(식품의약국)는 식품이나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신규 화학 물질을 규제한다. 이러한 화학 물질의 잠재적 위험은 사용 승인 전에 다양한 시험을 수행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필요한 시험 수와 화학 물질을 시험하는 정도는 화학 물질의 원하는 용도에 따라 다르다. 새로운 약물로 설계된 화학 물질은 살충제로 사용되는 화학 물질보다 더 엄격한 시험을 거쳐야 한다. 일반적으로 원치 않는 곤충과 식물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살충제는 표적이 아닌 유기체에 다양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DDT는 조류에 축적되거나 생물 농축되어 정상보다 얇은 알껍데기를 형성하여 둥지에서 깨질 수 있다. 유기염소계 살충제인 디엘드린은 파킨슨병과 관련이 있다. 자동차 배터리와 연구실에서 발견되는 황산과 같은 부식성 화학 물질은 심한 화상을 유발할 수 있다. 산업 및 실험실 환경에서 사용되는 많은 다른 화학 물질은 흡입, 섭취 또는 피부 흡수를 통해 호흡기, 소화기 또는 신경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유기할로겐은 모두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합성 유기 분자의 계열이다. 이러한 물질에는 PCB, 다이옥신, DDT, 프레온 등이 포함된다. 처음 생산될 때는 무해한 것으로 간주되었지만, 이러한 화합물 중 많은 수가 현재 인간을 포함한 많은 유기체에 심각한 생리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많은 물질이 지용성이며 먹이 사슬을 통해 농축된다.
방사성 물질은 생명체에 매우 해로운 이온화 방사선을 방출한다. 방사선에 단기간 노출되더라도 장기적인 건강 악화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전자기파 노출은 건강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화재 안전에 대한 위협은 일반적으로 화재 위험으로 불린다. 화재 위험에는 화재 발생 가능성을 높이거나 화재 발생 시 탈출을 방해하는 상황이 포함될 수 있다. 화재의 원인이나 초기 원인에 관계없이 화재로 인한 사상자는 부적절한 응급 대비로 인해 악화될 수 있다. 접근 가능한 비상구 부족, 표시가 잘못된 탈출 경로 또는 제대로 유지 관리되지 않은 소화기 또는 스프링클러 시스템과 같은 위험 요소는 이러한 보호 장치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사망 및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4. 위험의 분류
위험은 여러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하나의 위험이 여러 범주에 속할 수도 있다. 위험은 기원, 특성, 물리적 성질, 야기하는 피해 유형 등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7] 또한, 갑작스럽게 발생하는 급성 위험과 장기간에 걸쳐 발생하는 만성 위험으로 나눌 수 있다.
위험은 그 기원에 따라 자연적 위험, 인위적 위험, 기술적 위험, 사회적 위험, 폐기물 처리 위험, 사회자연적 위험, 기후 위험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 자연적 위험은 자연 현상과 자연 환경의 과정으로 인해 발생한다.[1]
- 기상학 및 수문학적 위험에는 번개, 폭풍, 홍수, 모래폭풍, 안개, 이상파, 쓰나미, 눈, 한파, 폭염 등이 있다.[1]
- 지질학적 위험에는 지진, 화산 활동(용암류, 화산재 등), 지표면 또는 지표면 근처의 사건(예: 침식, 대규모 사면 붕괴(산사태)) 등이 있다.[1]
- 외계 위험에는 태양 폭풍, 충돌 사건 등이 있다.[9]
- 쓰나미는 지진과 같은 지구물리적 위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11]
- 일반적으로 지진은 자연 현상이지만, 유발 지진처럼 인간의 개입(예: 주입정, 대규모 지하 핵폭발, 광산 채굴, 저수지 건설)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11]
- 기술적 위험은 인간의 기술(신기술 포함)과 관련된 고장 가능성에 의해 발생하며, 경제, 보건, 국가 안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 교통사고(교통사고, 항해 사고, 철도 사고, 항공 사고)
- 핵물질 관련 사고(원자력발전소 사고, 핵무기 사고 및 기타 핵 사고)
- 화학 사고 및 우발적 폭발
- 광산 사고
- 우주 사고
- 기술적 고장( 정보통신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것, 예: 사이버 보안 위협 포함)은 에너지 산업(예: 정전), 통신(예: 인터넷 장애), 보건 의료, 금융, 교통, 식량 공급, 수자원 공급 및 기타 중요 서비스에 대한 중단을 초래할 수 있다.
- 기계적 위험이란 기계 또는 산업 공정과 관련된 모든 위험을 의미한다.
- 구조물 고장 또는 건설 사고[9]
- 사회적 위험은 민란, 폭력, 관중 사고, 금융 위기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 유엔 재해리스크 감소사무국(UNDRR)은 무력 충돌을 인위적 재해 범주에서 명시적으로 제외)[9][8]
- 폐기물 처리 위험은 폐기물 관리 과정에서 유해 물질이 환경으로 방출되어 발생한다.
- 사회자연적 위험은 "환경 훼손 및 기후변화를 포함한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의 결합과 관련된" 재해이다.[8]
위험은 물리적 성질에 따라서도 여러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 생물학적 위험: 바이러스, 세균, 전염병 등 생물학적 요인으로 인한 위험[9]
- 화학적 위험: 유해 화학 물질로 인한 위험
- 방사능 및 전자기적 위험: 방사능 물질, 전자기파 노출로 인한 위험
- 열적 및 화재 위험: 화재, 고온 노출로 인한 위험
- 운동 에너지 위험: 소음, 낙상, 진동 등으로 인한 위험[16]
Keith Smith는 인간이 존재하여 위험이 되는 경우에만 위험이고 그렇지 않으면 단지 관심 있는 사건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인간의 민감도는 물리적 노출과 인간의 취약성이 결합된 것이다.
유엔 재해위험경감사무국(UNDRR)은 "각 위험은 그 위치, 강도 또는 규모, 빈도 및 확률로 특징지어진다"고 설명한다.[8]
위험은 그 특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은 과정 특정적이지 않은 지구 물리적 사건과 관련이 있다.
# 피해 지역의 면적
# 한 지점에서의 충격 강도
# 한 지점에서의 충격 지속 시간
# 사건 발생률
# 사건의 예측 가능성[3]
4. 1. 위험의 기원에 따른 분류
위험은 그 특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자연적 위험은 "생물권, 수권, 암석권 또는 대기에서 발생하는 극단적인 사건" 또는 지진, 산사태, 허리케인 및 쓰나미를 포함하는 "인류와 복지에 대한 잠재적인 위협"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는 특정 프로세스가 아닌 지구물리학적 사건과 관련이 있다.
인위적 위험에는 폭발, 독성 물질 방출, 심각한 오염 사건, 구조적 붕괴, 운송, 건설 및 제조 사고 등이 포함된다.
또한 급속하게 발생하는 자연 위험, 기술적 위험, 사회적 위험을 구분할 수 있다. 갑작스럽게 발생하고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발생하는 위험, 그리고 사막화 및 가뭄과 같은 장기적인 환경 악화의 결과인 위험이 있다.
키스 스미스(Keith Smith)는 위험으로 정의될 수 있는 것은 인간이 존재하여 위험이 되는 경우에만 위험이고 그렇지 않으면 단지 관심 있는 사건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가 적대적이거나 위험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환경 조건은 자연 현상의 범위 내에서 자원과 위험을 식별하는 것이 우리의 인식, 인간 위치 및 행동이라는 점에서 중립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환경 위험에 대한 인간의 민감도는 물리적 노출(통계적 변동성과 관련된 위치에서의 자연적 및 기술적 사건)과 인간의 취약성(동일한 위치의 사회적, 경제적 관용에 대한)이 결합된 것이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위험을 기원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자연적 위험: 지진, 홍수, 화산 활동 등 자연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
- 인위적 위험: 기술적 위험, 사회적 위험, 폐기물 처리 위험 등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위험.
- 사회자연적 위험: 환경 파괴 및 기후 변화 등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이 결합되어 발생하는 위험. 특히, 기후변화는 대한민국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4. 2. 자연적 위험
기상학 및 수문학적 위험에는 번개, 폭풍, 홍수, 모래폭풍, 안개, 이상파, 쓰나미, 눈, 한파, 폭염 등이 있다.[1]지질학적 위험은 다음과 같다.
외계 위험에는 태양 폭풍, 충돌 사건 등이 있다.[9]
자연 현상과 자연 환경의 과정으로 인해 귀중한 인간의 이익에 대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1] 지진, 홍수, 화산 및 쓰나미와 같은 자연재해는 역사를 통틀어 사람, 사회, 자연 환경 및 건축 환경, 특히 더 취약한 사람들에게 위협이 되어 왔다.
인간의 행동은 토지 이용 변화, 배수 및 건설 등 여러 가지 방식과 다양한 정도로 자연 재해에 영향을 줄 수 있다.[10] 인간은 자연 재해의 존재에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3] 자연 재해는 극단적인 상황에서 발생하고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인적 요소가 관련되어 있을 때 지구물리적 사건으로 간주될 수 있다.
4. 2. 1. 지진 위험
쓰나미는 2004년 인도양 지진 해일처럼 지구물리적 위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일반적으로 지진은 자연 현상이지만, 유발 지진처럼 인간의 개입, 예를 들어 주입정, 대규모 지하 핵폭발, 광산 채굴 또는 저수지 건설에 의해 발생하기도 한다.[11]
4. 2. 2. 화산 위험
화산 활동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그에 따른 위험 요소도 다양하다. 예를 들어, 용암류는 고온의 액체 상태로 흘러내려 경로에 있는 모든 것을 파괴하며, 화산재는 공기 중에 확산되어 농작물 피해, 항공기 운항 장애, 호흡기 질환 등을 유발할 수 있다.4. 3. 인위적 위험
인위적 위험(Anthropogenic hazards) 또는 인간이 유발한 위험은 "전적으로 또는 주로 인간의 활동과 선택에 의해 유발되는" 위험이다.[8] 이러한 위험은 사회적, 기술적 또는 환경 위험이 될 수 있다.Keith Smith는 위험으로 정의될 수 있는 것은 인간이 존재하여 위험이 되는 경우에만 위험이고 그렇지 않으면 단지 관심 있는 사건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가 적대적이거나 위험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환경 조건은 자연 현상의 범위 내에서 자원과 위험을 식별하는 것이 우리의 인식, 인간 위치 및 행동이라는 점에서 중립적으로 볼 수 있다.
기술 및 인간이 만든 위험에는 폭발, 독성 물질 방출, 심각한 오염 사건, 구조적 붕괴, 운송, 건설 및 제조 사고 등이 포함된다.
4. 3. 1. 기술적 위험
기술적 위험은 인간의 기술(이는 신기술을 포함한다)과 관련된 고장 가능성에 의해 발생하며, 이는 경제, 보건, 국가 안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사건으로 기술적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 교통사고: 교통사고, 항해 사고, 철도 사고, 항공 사고
- 핵물질 관련 사고: 원자력발전소 사고, 핵무기 사고 및 기타 핵 사고
- 화학 사고 및 우발적 폭발
- 광산 사고
- 우주 사고
- 기술적 고장( 정보통신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것, 예: 사이버 보안 위협 포함)은 에너지 산업(예: 정전), 통신(예: 인터넷 장애), 보건 의료, 금융, 교통, 식량 공급, 수자원 공급 및 기타 중요 서비스에 대한 중단을 초래할 수 있다.
- 구조물 고장 또는 건설 사고[9]
기계적 위험이란 기계 또는 산업 공정과 관련된 모든 위험을 의미한다. 자동차, 항공기 및 에어백은 기계적 위험을 야기한다. 압축 가스 또는 액체도 기계적 위험으로 간주될 수 있다. 새로운 기계 및/또는 산업 공정의 위험 식별은 새로운 기계 또는 공정 설계의 다양한 단계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위험 식별 연구는 주로 의도된 용도 또는 설계에서의 편차와 이러한 편차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피해에 중점을 둔다. 이러한 연구는 미국 직업 안전 보건청 및 미국 도로교통 안전청과 같은 다양한 기관에서 규제한다.
건설 위험은 인공 구조물이 고장날 때(예: 건물 또는 구조물 붕괴, 교량 붕괴, 댐 붕괴) 또는 건설에 사용된 재료가 위험한 것으로 판명될 때 발생한다.
4. 3. 2. 사회적 위험
사회적 재난은 민란, 폭력, 관중 사고, 금융 위기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유엔 재해리스크 감소사무국(UNDRR)의 재해 정의 및 분류 검토(센다이 프레임워크 2015-2030)는 인위적 재해 범주에서 무력 충돌을 명시적으로 제외하는데, 이러한 재해는 이미 국제 인도주의법에 따라 인식되기 때문이다.[9][8]4. 3. 3. 폐기물 처리 위험
폐기물 관리 과정에서 많은 유해 물질이 가정 및 상업용 폐기물로 배출된다. 이는 현대 기술 기반의 생활 방식이 전자 및 화학 산업에서 특정 독성 또는 유독 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물질들은 사용 또는 운송 중에는 일반적으로 안전하게 밀폐되거나 포장되어 노출을 방지한다. 하지만 폐기물로 배출되면 폐기물의 외장이나 밀폐 포장이 파손되거나 분해되어 유해 물질이 환경으로 방출되고, 폐기물 처리 업체 종사자, 폐기물 처리 시설 주변 거주자, 그리고 해당 시설 주변의 일반 환경에 노출될 위험이 있다.4. 4. 사회자연적 위험
위험은 특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는 특정 프로세스가 아닌 지구물리학적 사건과 관련이 있다.#피해지역의 면적
#한 지점에서 충격의 강도
#한 지점에서의 영향 지속 시간
#사건 발생 속도
#사건의 예측 가능성
예를 들어, 자연 재해는 "생물권, 수권, 암석권 또는 대기에서 발생하는 극단적인 사건" 또는 지진, 산사태, 허리케인 및 쓰나미를 포함하는 "인류와 복지에 대한 잠재적인 위협"으로 정의될 수 있다. 기술 및 인간이 만든 위험에는 폭발, 독성 물질 방출, 심각한 오염 사건, 구조적 붕괴, 운송, 건설 및 제조 사고 등이 포함된다. 또한 급속하게 발생하는 자연 위험, 기술적 위험, 사회적 위험을 구분할 수 있다. 갑작스럽게 발생하고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 동안 발생하는 위험, 그리고 사막화 및 가뭄과 같은 장기적인 환경 악화의 결과이다.
위험을 정의하면서 Keith Smith는 위험으로 정의될 수 있는 것은 인간이 존재하여 위험이 되는 경우에만 위험이고 그렇지 않으면 단지 관심 있는 사건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가 적대적이거나 위험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환경 조건은 자연 현상의 범위 내에서 자원과 위험을 식별하는 것이 우리의 인식, 인간 위치 및 행동이라는 점에서 중립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환경 위험에 대한 인간의 민감도는 물리적 노출(통계적 변동성과 관련된 위치에서의 자연적 및 기술적 사건)과 인간의 취약성(동일한 위치의 사회적, 경제적 관용에 대한)이 결합된 것이다.
재해는 기원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UNDRR(국제연합 재해위험경감사무국)의 정의에 따르면 "재해는 자연적, 인위적 또는 사회자연적 기원을 가질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8] "사회자연적 재해"는 "환경 훼손 및 기후변화를 포함한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의 결합과 관련된" 재해이다.[8]
4. 4. 1. 기후 위험
기후변화의 영향도 참고"기후 재해" 또는 "기후적 재해"라는 용어는 기후변화의 맥락에서 사용되며, 예를 들어 IPCC 제6차 평가 보고서에서 볼 수 있다. 이러한 재해는 산불, 홍수, 가뭄, 해수면 상승과 같은 기후 관련 사건에서 비롯된다.[12]
물과 관련된 기후 재해에는 온도 상승, 건기와 우기 사이의 강우 패턴 변화(강우 변동성 증가) 및 해수면 상승이 포함된다.[13] 온도 상승이 기후 재해로 언급되는 이유는 "온도 상승으로 인해 증발산이 증가하여 토양이 건조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13]
수인성 질병 또한 기후 재해와 관련이 있다.[14]
기후 재해는 다른 재해와 결합하여 ''복합 사건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또한 손실과 피해 참조). 예를 들어, 열이라는 기후 재해는 열악한 대기 질이라는 재해와 결합할 수 있다. 또는 홍수라는 기후 재해는 열악한 수질과 결합할 수 있다.[15]
기후 과학자들은 기후 재해가 기후변화 취약성에 따라 서로 다른 사람들에게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지적했다. "사람들과 집단을 취약하게 만드는 요인(예: 빈곤, 불균형적인 권력 구조, 사회적 위치로 인한 불이익과 차별, 인종 차별, 성별, 나이 또는 장애 등의 교차성 또는 중복되고 복합적인 위험 등)"이 존재한다.[12]
4. 5. 물리적 성질에 따른 분류
위험은 그 특성에 따라 여러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생물학적 위험: 바이러스, 세균, 전염병 등 생물학적 요인으로 인한 위험을 말한다.
- 화학적 위험: 유해 화학 물질로 인한 위험을 말한다.
- 방사능 및 전자기적 위험: 방사능 물질, 전자기파 노출로 인한 위험을 말한다.
- 열적 및 화재 위험: 화재, 고온 노출로 인한 위험을 말한다.
- 운동 에너지 위험: 소음, 낙상, 진동 등으로 인한 위험을 말한다.
기술 및 인간이 만든 위험에는 폭발, 독성 물질 방출, 심각한 오염 사건, 구조적 붕괴, 운송, 건설 및 제조 사고 등이 포함된다.
자연 재해는 "생물권, 수권, 암석권 또는 대기에서 발생하는 극단적인 사건" 또는 지진, 산사태, 허리케인 및 쓰나미를 포함하는 "인류와 복지에 대한 잠재적인 위협"으로 정의될 수 있다.
4. 5. 1. 생물학적 위험
생물학적 위험은 생물의 생물학적 과정에서 발생하며 인간의 건강, 재산의 안전 또는 환경에 위협을 가하는 요소를 말한다.생물학적 위험에는 병원체인 바이러스와 세균, 전염병, 팬데믹, 기생충, 해충, 동물 공격, 독/독성 동물, 생물학적 독소, 식품 매개 질환 등이 포함된다.[9]
예를 들어, ''대장균'' 및 ''살모넬라''와 같은 자연 발생 세균은 잘 알려진 병원균이며, 식품 안전, 개인 위생 및 교육을 통해 이러한 미생물에 대한 인간의 노출을 제한하기 위한 다양한 조치가 취해져 왔다. 새로운 미생물의 발견과 새로운 유전자 변형(GM) 생물의 개발을 통해 새로운 생물학적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새로운 GM 생물의 사용은 다양한 정부 기관에 의해 규제된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살충제를 생산하거나 저항하는 GM 식물(즉, Bt 옥수수 및 라운드업 내성 작물)을 관리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식품 또는 의약 목적으로 사용될 GM 식물을 규제한다.
생물학적 위험에는 의료 폐기물 또는 미생물, 바이러스 또는 독소(생물학적 근원)의 샘플(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이 포함될 수 있다. 많은 생물학적 위험은 특정 바이러스, 기생충, 균류, 세균 및 식물 및 해산물 독소를 포함한 식품과 관련이 있다. 병원성 ''캄필로박터'' 및 ''살모넬라''는 일반적인 식품 매개 생물학적 위험이다. 이러한 세균으로 인한 위험은 적절한 취급, 식품 보관, 및 조리와 같은 위험 완화 단계를 통해 방지할 수 있다. 질병은 열악한 위생과 같은 인적 요인이나 도시화와 같은 과정에 의해 악화될 수 있다.
4. 5. 2. 화학적 위험
화학 물질은 고유한 특성으로 인해 인간, 재산 또는 환경에 해로움이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경우 위험물질로 간주될 수 있다. 화학 물질과 관련된 건강 위험은 화학 물질의 용량 또는 양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요오드산칼륨 형태의 요오드는 요오드화 소금 생산에 사용된다. 1000mg의 식탁용 소금에 20mg의 요오드산칼륨을 사용하면 갑상선종 예방에 도움이 되지만, 1200~9500mg의 요오드를 한 번에 섭취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일부 화학 물질은 누적 생물학적 효과를 가지는 반면, 다른 화학 물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사적으로 제거된다. 다른 화학적 위험은 그 효과에 대한 농도 또는 총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일부 유해 화학 물질은 비소와 같이 특정 지질 형성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한다. 다른 화학 물질에는 농업 및 산업용 화학 물질과 가정용으로 개발된 제품과 같은 상업적 용도의 제품이 포함된다.
다양한 화학적 위험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매년 기업들은 새로운 요구를 충족하거나 기존의 효과가 떨어지는 화학 물질을 대체하기 위해 더 많은 신규 화학 물질을 생산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연방 식품의약품화장품법 및 독성물질관리법과 같은 법률에 따라 도입되는 모든 신규 화학 물질에 대해 인간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해야 한다. 미국에서는 EPA(환경보호청)가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신규 화학 물질(즉, 살충제 또는 제조 공정 중에 배출되는 화학 물질)을 규제하고, FDA(식품의약국)는 식품이나 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신규 화학 물질을 규제한다. 이러한 화학 물질의 잠재적 위험은 사용 승인 전에 다양한 시험을 수행하여 확인할 수 있다. 필요한 시험 수와 화학 물질을 시험하는 정도는 화학 물질의 원하는 용도에 따라 다르다. 새로운 약물로 설계된 화학 물질은 살충제로 사용되는 화학 물질보다 더 엄격한 시험을 거쳐야 한다.
일반적으로 원치 않는 곤충과 식물을 제어하는 데 사용되는 살충제는 표적이 아닌 유기체에 다양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DDT는 조류에 축적되거나 생물 농축되어 정상보다 얇은 알껍데기를 형성하여 둥지에서 깨질 수 있다. 유기염소계 살충제인 디엘드린은 파킨슨병과 관련이 있다. 자동차 배터리와 연구실에서 발견되는 황산과 같은 부식성 화학 물질은 심한 화상을 유발할 수 있다. 산업 및 실험실 환경에서 사용되는 많은 다른 화학 물질은 흡입, 섭취 또는 피부 흡수를 통해 호흡기, 소화기 또는 신경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유기할로겐은 모두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합성 유기 분자의 계열이다. 이러한 물질에는 PCB, 다이옥신, DDT, 프레온 등이 포함된다. 처음 생산될 때는 무해한 것으로 간주되었지만, 이러한 화합물 중 많은 수가 현재 인간을 포함한 많은 유기체에 심각한 생리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많은 물질이 지용성이며 먹이 사슬을 통해 농축된다.
4. 5. 3. 방사능 및 전자기적 위험
방사성 물질은 생명체에 매우 해로운 이온화 방사선을 방출한다. 방사선에 단기간 노출되더라도 장기적인 건강 악화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전자기파 노출은 건강에 장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4. 5. 4. 열적 및 화재 위험
화재 안전에 대한 위협은 일반적으로 화재 위험으로 불린다. 화재 위험에는 화재 발생 가능성을 높이거나 화재 발생 시 탈출을 방해하는 상황이 포함될 수 있다.
화재의 원인이나 초기 원인에 관계없이 화재로 인한 사상자는 부적절한 응급 대비로 인해 악화될 수 있다. 접근 가능한 비상구 부족, 표시가 잘못된 탈출 경로 또는 제대로 유지 관리되지 않은 소화기 또는 스프링클러 시스템과 같은 위험 요소는 이러한 보호 장치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사망 및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4. 5. 5. 운동 에너지 위험
운동 에너지(운동 에너지)는 소음, 낙상 또는 진동과 관련된 위험에 관여한다.[16]5. 위험으로 인한 피해 유형에 따른 분류
위험은 발생 원인과 피해 유형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직업적 위험은 직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심리사회적 위험을 포괄한다. 위험 관리의 계층 구조는 위험 제거, 대체, 기술적 관리, 관리적 관리, 개인 보호 장비 순으로 이루어진다. 산업위생은 직업적 노출 한계, 노출 평가, 작업장 노출 모니터링과 관련된 분야이며, 산업 독성학, 산업 역학, 작업장 건강 감시 등의 연구 분야가 있다. 통제 밴딩, 직업적 노출 밴딩도 참고할 수 있다.
심리사회적 위험요소는 작업 설계, 구성 및 관리 방식, 작업의 경제적 및 사회적 맥락과 관련되며, 정신과적, 심리적 및/또는 신체적 상해 또는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직업적 스트레스와 직장 폭력이 주요 문제로 인식된다.
환경 위험은 화학 물질, 방사선, 생물학적 작용제, 물리적 위험, 행동 방식 등 다양한 환경적 스트레스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다. 대기 오염, 수질 오염, 토양 오염, 폐기물 처리, 기후 변화, 오존층 파괴, 생물 다양성 감소, 자연재해 등이 이에 해당한다. 대한민국은 대기오염 및 수질오염 감소,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은 환경 개선 및 국민 건강 보호에 기여하고 있다.
문화재는 전쟁, 파괴, 도난, 약탈, 운송 사고, 누수, 인적 과실, 자연재해, 화재, 해충, 오염, 점진적 훼손 등 다양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에 의해 수많은 문화재가 약탈, 파괴되었다.
5. 1. 인체공학적 위험
인체공학적 위험은 근골격계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물리적 상태를 말한다. 예를 들어 허리의 근육이나 인대, 손목이나 손의 힘줄이나 신경, 무릎 주변의 뼈 등에 손상을 입힐 위험이 있다. 인체공학적 위험에는 불편하거나 과도한 자세, 전신 또는 손/팔 진동, 설계가 불량한 도구, 장비 또는 작업대, 반복적인 동작, 열악한 조명 등이 포함된다. 인체공학적 위험은 작업장과 비작업장 환경 모두에서 발생하며, 작업장, 건설 현장, 사무실, 가정, 학교 또는 공공 장소 및 시설 등이 포함된다.5. 2. 직업적 위험
직업적 위험은 직업 환경에서 발생하는 여러 위험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 물리적
- 화학적
- 생물학적
- 심리사회적
위험 관리의 계층 구조는 다음과 같다.
- 제거
- 대체
- 기술적 관리
- 관리적 관리
- 개인 보호 장비
산업위생은 다음과 관련된 분야이다.
- 직업적 노출 한계
- 노출 평가
- 작업장 노출 모니터링
이와 관련된 연구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산업 독성학
- 산업 역학
- 작업장 건강 감시
관련 항목은 다음과 같다:
- 에어로졸
- NIOSH 등급
- 오염원 관리
- COVID-19 관리
- 소방관 사망 사고 조사
통제 밴딩, 직업적 노출 밴딩도 참고할 수 있다.
5. 3. 심리사회적 위험
심리사회적 위험요소는 사람들의 심리적 안녕, 특히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환경에 참여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소이다. 심리사회적 위험요소는 작업 설계, 구성 및 관리 방식과 작업의 경제적 및 사회적 맥락과 관련이 있으며, 정신과적, 심리적 및/또는 신체적 상해 또는 질병과 관련이 있다. 심리사회적 위험과 관련된 문제로는 직업적 스트레스와 직장 폭력이 있으며, 이는 국제적으로 직업 건강 및 안전에 대한 주요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5. 4. 환경적 위험
환경 위험은 하나 이상의 환경적 스트레스 요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인간 또는 환경에 대한 위험이다. 이러한 스트레스 요인은 화학 물질, 방사선, 생물학적 작용제, 물리적 위험, 행동 방식 등이 있다. 환경 위험은 자연적이거나 인위적일 수 있으며, 국지적이거나 광범위할 수 있으며, 즉각적이거나 지연될 수 있다.환경 위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대기 오염
- 수질 오염
- 토양 오염
- 폐기물 처리
- 기후 변화
- 오존층 파괴
- 생물 다양성 감소
- 자연재해
- 인간의 행동 방식
환경 위험은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기 오염은 호흡기 질환, 심혈관 질환, 암 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수질 오염은 설사, 콜레라, 장티푸스 등과 같은 수인성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기후 변화는 해수면 상승, 극심한 기상 현상, 식량 생산 감소 등을 초래할 수 있으며, 오존층 파괴는 피부암, 백내장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 위험은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더 심각하게 나타나며, 이는 개발도상국의 환경 규제 미흡, 빈곤, 인구 과밀 등의 요인과 관련이 있다.
하지만, 자유 민주주의 대한민국에서는 이러한 환경 위험을 줄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예를 들어, 대기오염을 줄이기 위해 자동차 배출가스 규제를 강화하고, 친환경 자동차 보급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수질 오염을 줄이기 위해 하수 처리 시설을 확충하고, 산업 폐수 배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그리고 기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은 대한민국의 환경을 개선하고, 국민들의 건강을 보호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5. 5. 재산적 위험
5. 5. 1. 문화재 관련 위험
문화재는 전쟁, 파괴 행위, 도난, 약탈, 운송 사고, 누수, 인적 과실, 자연재해, 화재, 해충, 오염, 그리고 점진적인 훼손 등 다양한 사건이나 과정에 의해 손상되거나, 유실되거나, 파괴될 수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에 의해 수많은 문화재가 약탈당하고 파괴되는 아픔을 겪었다.6. 위험의 상태에 따른 분류
위험은 때때로 세 가지 상태로 분류된다.
7. 위험의 분석 및 관리
위험을 평가하고 관리하는 데 다양한 방법론이 사용된다.
- 위험 분석
- 위험 분석 및 중요 관리 지점 (HACCP)
- 위험 및 운용성 연구 (HAZOP)
- 위험 관리의 계층 구조
7. 1. 위험 기호
위험을 나타내는 기호이다.참조
[1]
웹사이트
Natural Hazards National Risk Index
https://hazards.fema[...]
FEMA
2022-06-08
[2]
논문
Annex VII: Glossary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3]
서적
Environmental hazards: assessing risk and reducing disaster
Routledge
1993
[4]
웹사이트
What is a disaster?
https://www.ifrc.org[...]
2023-05-24
[5]
웹사이트
Natural Hazards National Risk Index
https://hazards.fema[...]
2022-06-08
[6]
논문
Urban water security: A review
2018
[7]
웹사이트
Environmental Health Hazards
https://www.iloencyc[...]
2022-07-09
[8]
웹사이트
Hazard PreventionWeb
https://www.preventi[...]
2024-03-15
[9]
웹사이트
Hazard definition & classification review
https://www.undrr.or[...]
United Nations Office for Disaster Risk Reduction
2024-05-19
[10]
논문
Anthropogenic processes, natural hazards, and interactions in a multi-hazard framework
2017-03-01
[11]
백과사전
earthquake-geology
[12]
논문
Chapter 8: Poverty, Livelihood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3]
논문
Chapter 4: Water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4]
논문
Chapter 7: Health, Wellbeing, and the Changing Structure of Communities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논문
Chapter 6: Cities, Settlements and Key Infrastructure
https://www.ipcc.ch/[...]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백과사전
kinetic-energy
[17]
웹사이트
Hierarchy of Controls
https://www.cdc.gov/[...]
2017-01-31
[18]
웹사이트
財団法人 日本食肉消費総合センター
http://www.jmi.or.jp[...]
[19]
웹사이트
食品案安全委員会 食品の安全性に関する用語集 平成17年3月
https://www.fsc.go.j[...]
2005-03-00
[20]
간행물
Risk Management - An Analytical Study
http://iosrjournals.[...]
2014-02-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