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감태는 다시마목 다시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갈조류로,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된다. 영어로는 "paddle weed"라고 불리며, 일본에서는 "카지메" 등으로 불린다. 감태는 저조선 아래 암초지대에 서식하며 해조류 숲을 형성하기도 한다. 감태는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검둥감태, 톳 등과 형태적으로 유사하여 혼동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유전자 분석을 통해 검둥감태와 긴잎감태를 감태의 아종으로 보는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감태는 식용, 약용, 사료, 비료 등으로 활용되었으며, 한국과 일본의 역사 문헌에도 기록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85년 기재된 식물 - 상사화
상사화는 비늘줄기를 가진 여러해살이풀로, 8월에 분홍색 꽃을 피우며, 잎은 꽃이 진 후에 돋아나고, 리코린을 함유한 유독 식물이며, 관상용으로 재배된다. - 갈조류 - 미역
미역은 동아시아 원산의 갈조류로, 식용 해조류이자 건강 식품으로 이용되지만, 전 세계로 확산되어 침입종 문제도 야기하며, 부착기, 줄기, 잎으로 구성되고, '와카메'에서 유래한 이름과 함께 고대부터 식용 및 의약 목적으로 활용되었다. - 갈조류 - 모자반
모자반은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는 갈조류의 한 속으로, 기낭을 가져 엽상체가 뜨도록 하며 해양 생물 서식처를 제공하지만, 최근 대량 발생으로 해안 생태계 파괴, 어류 폐사, 인체 건강 문제 등을 야기하고 식량 자원으로서의 활용 연구도 진행 중이다.
감태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일반 정보 | |
![]() | |
학명 | Ecklonia cava |
이명 | 히로하카지메 (Ecklonia latifolia) |
한국어 이름 | 감태 |
생물학적 분류 | |
역 | 진핵생물 |
계 | 크로말베올라타계 |
문 | 부등편모조류문 |
강 | 갈조류강 |
목 | 다시마목 |
과 | 콘부과(Laminariaceae) |
속 | 카지메속(Ecklonia) |
종 | 카지메 (Ecklonia cava) |
일본어 정보 | |
일본어 이름 | 카지메 (カジメ) |
일본어 이름 (한자) | 搗布/未滑海藻 |
기타 정보 | |
다른 뜻 | 가시파래 (갈조류 바닷말, 흔히 "감태"라 불리는 녹조류 바닷말) |
2. 명칭
감태는 영어로 "paddle weed", 일본어로는 "카지메(カジメ)" 또는 "노로 카지메(ノロカジメ)"라고 불린다. 현대 일본어에서 ''E. cava''의 표준 일반명은 카지메(カジ메)이며, 잎에 주름이 있는 ''아라메''(アラメ)와 구분된다.
한국에서는 "감태"라는 명칭 외에 지역에 따라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26] 과거에는 감태와 유사한 종인 알락실, 톳 등이 혼동되어 "감태"로 불리기도 했다.[26][32]
일본에서는 지역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감태는 이배체(2n)인 큰 포자체와 반수체(n)인 미세한 배우체 사이에서 이형 세대교번을 한다.[20] 포자체는 차상(叉狀)으로 분지하는 부착기와 거기에서 뻗어 나온 줄기, 그 끝에 달린 잎으로 구성되며, 다년생(3~6년)이다. 크게 자라면 높이 2m~3m에 달한다.[32][19][20][21] 발달한 줄기는 원주형으로 지름 1cm~3cm (때때로 속이 비는 경우도 있음)이고, 긴 것은 2m에 달하며, 끝에서는 연속적으로 잎으로 이행한다.[32][21] 1년째 잎은 한 장의 대나무 잎 모양의 중앙엽뿐이지만, 곧 그 양쪽 가장자리에서 측엽이 생겨나 발달한다. 중앙엽은 너비 5cm~6cm, 중축이 두껍고, 길이 30cm~100cm가 된다.[21] 중앙엽의 양쪽 가장자리에서 우상(羽狀)으로 생겨나는 측엽은 너비 4cm~6cm, 길이 30cm~60cm이며, 양쪽 가장자리에서 다시 2차 측엽이 생길 수 있다.[32][21] 측엽은 1년에 수십 장이 형성되고 탈락하는 것을 반복한다.[20] 잎면에는 보통 주름이 없고, 질감은 가죽질이며, 색깔은 암갈색이고 건조되면 검어진다.[32][19][21] 줄기와 잎에는 점액강도가 있다.[21]
3. 특징
감태의 근연종인 곰피는 중앙엽의 중앙부와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가 거의 같고, 잎에 주름이 있는 점 등에서 감태와 구별된다.[32][19][21][50] 그러나 동일본 태평양 연안에서 발견되는 개체 중 이러한 특징을 가진 것은 유전적으로 감태임이 밝혀졌다.[24] 반면에 서일본이나 일본해 쪽에 서식하는 개체 중 위와 같은 감태의 특징을 가진 것은 유전적으로 각각 곰피나 톳임이 밝혀졌다.[24]
여름부터 가을(장소에 따라서는 겨울부터 봄[22])에 걸쳐, 잎 표면에 많은 유주자낭(단자낭)으로 이루어진 자낭반을 형성한다.[20] 유주자낭 내에서 감수분열을 하고, 2편모성 유주자를 형성하여 방출한다.[20] 유주자는 바위 등 기질에 부착하여 미세한 사상체인 배우체로 발생한다.[20]
3. 1. 형태
원기둥 모양의 줄기는 1~2미터이며, 갈색이다.[56] 줄기 끝에는 겹잎조각 모양의 납작한 가운뎃잎이 1개 달린다. 가운뎃잎은 갈색을 띠는데, 길이 1m 정도이고 양쪽에 깃꼴 모양의 작은 잎이 달린다. 말리면 검은빛을 띤다. 봄에 나타나는 어린 식물체는 줄기 길이가 5cm~10cm, 가운뎃잎 길이가 20cm~30cm 정도이다.[57]
3. 2. 생식
감태는 암수딴그루이며, 수배우체는 조정기를 형성하여 정자를, 암배우체는 생란기를 형성하여 수정란을 만든다.[20] 염색체 수는 n = 30이다.[20]
4. 분포 및 생태
감태는 서해안, 남해안, 제주도, 독도, 일본 등지에 분포한다.[56] 여러해살이 갈조류로, 주로 일본과 한국 연안의 조하대에 서식하며, 특히 혼슈(남부 보소반도/지바현에서 와카야마현까지)의 태평양 연안 중부의 켈프 숲, 세토 내해 일부, 일본해 남부 연안, 그리고 규슈 연안에 분포한다. 모식지는 가나가와현 요코스카이다.
보통 수심 2m에서 25m의 바닷물에서 해조류 숲(해양 숲)을 형성하며, 130cm 이상 자랄 수 있다.[6] 감태로 구성된 해조류 서식지는 감태밭이라고도 불린다.[32][29] 미에현 시마반도에서의 조사에서는 3년 주기로 군락이 갱신된다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27] 톳과 분포가 겹치는 곳에서는 감태는 톳보다 더 깊은 곳에서 해조류 서식지를 형성한다.[26][32][19][23]
갈조류인 감태는 서식지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많은 해양 생물에게 먹이와 은신처를 제공한다.[7] 생태계의 주요 생산자이며, 많은 동물이 감태를 번식 장소로 이용한다.[8] 연안 지역의 동물에게 먹이와 서식지로서 중요한 존재이다.[28][29][30][31]
최근 몇 년 동안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는데, 수온 상승, 과방목, 인간의 과도한 이용 등 여러 요인이 감소에 기여할 수 있지만,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은 아직 광범위하게 연구되지 않았다. 일부 증거는 수온 상승이 원인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는 반면, 물 속 질소의 이용 가능성이 낮은 것 또한 사망률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다.[9][8] 수온 상승으로 질소 이용 가능성이 낮아지므로, 두 가지 요인이 결합된 것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
- Ecklonia cava*(감태)는 *Littorina brevicula* 및 *Haliotis discus*와 같은 달팽이류 및 기타 해양 생물에게 중요한 먹이원이다.[10] 한 양식 실험에 따르면, 양식된 전복은 감태 15kg을 섭취할 때마다 1kg의 체중이 증가한다.
4. 1. 종 분화
형태학적으로 유사한 검둥감태(Ecklonia kurome)와 톳(Eisenia bicyclis)이 있다. 검은 감태는 주름진 엽상체, 톳은 주름지고 갈라지는 엽상체로 구분되었으나, 최근 연구에서는 검은 감태를 감태의 이명으로 취급한다. 따라서 검은 감태를 츠루아라메(Ecklonia cava ssp. stolonifera) 아종과 함께 감태의 아종으로 인식하는 것이 제안되었다.형태학적으로만 감태로 판단된 해조류는 시코쿠, 규슈 일부, 일본해 남부 연안에서 보고되었지만, 이들은 대부분 검은 감태 또는 츠루아라메 아종인 경향이 있다.
5. 인간과의 관계
감태는 식용, 약용, 비료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어 왔다.
감태는 예로부터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알래스카 다시마 등 유사 종을 "감태"라고 표기한 예도 있다. 나라 시대 장야왕가(家) 목간에는 "미활해조(未滑海藻)"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헤이안 시대 중기 『일본명물집성』에 "미활해조(未滑海藻) 가지메(加知女) 속용(俗用) 도포(搗布)"라고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감태로 추정된다.[43] 701년 『대보율령』에도 "미활해조(未滑海藻)"가 기록되어 있고,[44] 757년 『양로율령』에서는 "미활해조(未滑海藻)"가 조의 하나로 지정되었지만, 다른 해조류(김, 우뭇가사리, 미역, 다시마, 알래스카 다시마 등)보다 가치는 낮았다.[45]
중세 스루가 국이 감태 산지로 알려졌으며, 1645년 『모부키구사』에는 가케가와시(토토미 국)가 감태 산지로 제시되었다.[46][47] 1643년 『요리 이야기』에는 감태 요리로 "히야주"나 "아부리사카나"가 기록되었다.[48] 메이지 초기에는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바라키현, 지바현, 가나가와현이 감태 산지로 보고되었으나, 보소반도 이북에는 감태가 분포하지 않으므로 이 지역에서는 알래스카 다시마가 감태로 불렸을 것으로 보인다.[23][32]
5. 1. 식용
한국에서는 감태를 이용해 다양한 음식을 만들며, 특히 감태 김, 감태지 등이 유명하다. 감태는 샐러드나 수프로 직접 먹기도 하지만, 건조 분말은 사탕, 떡, 된장국 또는 김치의 향미료 및 색소로도 사용된다.[12]일본에서는 감태를 된장국, 조림, 佃煮(덴주), 초절임 등으로 먹는다.[26][19][34] 하지만 소비량은 많지 않다.[26][19][34] 이바라키현, 지바현, 시즈오카현, 나가사키현 등에서 이용된다.[35][36]
다른 해조류인 히지키( ''Hizikia fusiformes'') 가공 과정에서 쓴맛을 완화하고, 진한 검은색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감태( ''Ecklonia cava'') 또는 아라메( ''Eisenia bicyclis'')를 첨가하기도 한다.
5. 2. 약용
감태는 건강상의 이점과 화학적 성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식이 보조제 및 한방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26][19][34] 불면증, 탈모, 고콜레스테롤, 천식, 발기부전 등의 한방 치료제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이러한 효능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제한적이거나 전무하다. 대부분의 경우 섭취해도 안전할 가능성이 높다.감태는 알긴산과 요오드의 원료 또는 비료로 사용되었다.[14][32][39][40][41]
5. 3. 기타 이용
과거에는 알긴산과 요오드 추출, 비료 등으로 사용되었다.[14][32][39][40][41]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에서는 해안에 표착한 감태를 양돈 사료로 사용하여 "가마쿠라 해조 돼지고기"를 생산한다.[37] 일부 지역에서는 감태를 욕조에 넣어 목욕하는 감태탕 풍습이 있다.[38]5. 4. 역사
감태는 예로부터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알래스카 다시마 등 유사 종을 "감태"라고 표기한 예도 있다. 나라 시대 장야왕가(家) 목간에는 "미활해조(未滑海藻)"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헤이안 시대 중기 『일본명물집성』에 "미활해조(未滑海藻) 가지메(加知女) 속용(俗用) 도포(搗布)"라고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감태로 추정된다.[43]701년 『대보율령』에도 "미활해조(未滑海藻)"가 기록되어 있으며,[44] 757년 『양로율령』에서는 "미활해조(未滑海藻)"가 조의 하나로 지정되었지만, 다른 해조류(김, 우뭇가사리, 미역, 다시마, 알래스카 다시마 등)보다 가치는 낮았다.[45]
중세 스루가 국이 감태 산지로 알려졌으며, 1645년 『모부키구사』에는 가케가와시(토토미 국)가 감태 산지로 제시되었다.[46][47] 1643년 『요리 이야기』에는 감태 요리로 "히야주"나 "아부리사카나"가 기록되었다.[48]
메이지 시대 초기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바라키현, 지바현, 가나가와현이 감태 산지로 보고되었다.[47] 그러나 보소반도 이북에는 감태가 분포하지 않으므로,[23] 이 지역에서는 알래스카 다시마가 감태로 불렸을 것으로 보인다.[32]
6. 분류
감태는 다시마목 다시마과 감태속(Ecklonia)에 속하는 해조류이다. 과거에는 검둥감태(クロメ), 긴잎감태(ツルアラメ) 등이 별개의 종으로 분류되었으나, 유전적 분석 및 교배 실험 결과에 따라 최근에는 감태의 아종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51][24]
감태속은 레소니아과(Lessoniaceae)로 분류되기도 했으나,[16] 분자계통학 연구 결과 다시마과로 분류하는 것이 지지받고 있다.[53] 알긴(Eisenia)속은 감태속과 근연 관계로, 감태속에 포함시키자는 제안도 있었지만,[54] 상세 분석 결과 두 속을 나누는 것이 지지되기도 한다.[55]
6. 1. 감태의 종내 분류 (일례)
감태속(Ecklonia)에서 감태와 유사한 분류군으로는 검둥감태(クロメ)와 긴잎감태(ツルアラメ)가 알려져 있다. 검둥감태는 잎 표면에 주름이 생기고, 노화해도 줄기가 속이 비지 않으며, 중앙엽이 감태만큼 두껍지 않고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두께가 거의 동일한 점으로 감태와 구별된다.[32][19][21][50] 긴잎감태는 줄기 기부에서 옆으로 뻗는 포복지(스트론, 포복근지, 포복경)를 가지고, 거기서 새로운 엽체가 생기며, 잎 표면에 주름이 생기고, 중앙엽의 중앙부와 가장자리의 두께가 거의 동일하며, 측엽이 잘 발달하지 않는 점으로 감태와 구별된다.[32][19][21][49]그러나 감태와 검둥감태의 차이가 되는 특징은 환경 조건에 따른 변이도 커서, 상세한 비교에서는 두 종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없다는 것이 나타나고 있다.[50] 또한 감태와 검둥감태(クロメ), 긴잎감태(ツルアラメ)의 교배 실험에서는 모든 조합에서 정상적인 포자체가 형성된다는 보고가 있다.[51]
그 후 Akita et al. (2020)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감태와 검둥감태(クロメ), 긴잎감태(ツルアラメ)의 형태적 차이와 유전적 차이가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 나타났다.[24] 이처럼 종의 경계가 불명확하다는 점에서, 검둥감태와 긴잎감태를 감태의 아종으로 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24]
참조
[1]
WoRMS
Ecklonia cava Kjellman, 1885
2019-06-09
[2]
논문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ventol, a phlorotannin-rich natural agent derived from Ecklonia cava, and its effect on proteoglycan degradation in cartilage explant culture
[3]
논문
Chem Inform Abstract: Isolation of a New Phlorotannin, Fucodiphlorethol G, from a Brown Alga Ecklonia cava
http://newjournal.kc[...]
2011-10-26
[4]
논문
Chemical components and its antioxidant properties in vitro: An edible marine brown alga, Ecklonia cava
[5]
논문
Inhibition of HIV-1 reverse transcriptase and protease by phlorotannins from the brown alga Ecklonia cava
[6]
논문
Nineteenth International Seaweed Symposium
Springer Netherlands
[7]
논문
Stipe Length as an Indicator of Reproductive Maturity in the Kelp Ecklonia cava
2018-09-00
[8]
논문
Growth and survival of juvenile sporophytes of the kelp Ecklonia cava in response to different nitrogen and temperature regimes
2016-07-01
[9]
논문
Decline of the Ecklonia cava population associated with increased seawater temperatures in Tosa Bay, southern Japan
https://www.jstage.j[...]
2004-00-00
[10]
논문
Inducible responses in the brown seaweed Ecklonia cava: the role of grazer identity and season
https://epic.awi.de/[...]
2006-01-00
[11]
웹사이트
Gourmet algae gamtae is the new seaweed on the block
https://koreajoongan[...]
2024-08-19
[12]
논문
Safety of Ecklonia cava phlorotannins as a novel food pursuant to Regulation (EC) No 258/97
2017-10-00
[13]
웹사이트
Ecklonia cava
https://www.algaebas[...]
World-wide electronic publication, National University of Ireland, Galway
2021-12-10
[14]
Kotobank
2021-12-06
[15]
논문
日本産海藻目録 (2015 年改訂版)
[16]
논문
日本産コンブ目植物の分類体系
[17]
Kotobank
2021-12-11
[18]
Kotobank
2021-12-11
[19]
서적
日本の海藻 基本284
平凡社
[20]
서적
藻類の生活史集成 第2巻 褐藻・紅藻類
内田老鶴圃
[21]
서적
新日本海藻誌
内田老鶴圃
[22]
논문
三浦半島毘沙門におけるカジメの子嚢斑形成時期について
[23]
논문
日本産コンブ目海藻5種の分布とモニタリング指標種 としての評価
https://researchmap.[...]
[24]
논문
Molecular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Ecklonia spp.(Laminariales, Phaeophyceae) in Japan revealed taxonomic revision of E. kurome and E. stolonifera
[25]
웹사이트
カジメ Ecklonia cava
https://tonysharks.c[...]
生きもの好きの語る自然誌
2021-12-05
[26]
서적
藻類ハンドブック
エヌ・ティー・エス
[27]
논문
三重県沿岸のアラメ, カジメ
[28]
웹사이트
2.7 海藻類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1-12-05
[29]
논문
相模湾におけるカジメ・アラメ場の実態について
[30]
논문
人工リーフへのカジメ藻場移植と群落の拡大に関する研究
[31]
서적
海藻 ― 日本で見られる388種の生態写真+おしば標本
誠文堂新光社
[32]
서적
海藻 ― 日本で見られる388種の生態写真+おしば標本
誠文堂新光社
[33]
웹사이트
カジメ
http://chibadai.flie[...]
千葉大学海洋バイオシステム研究センター 銚子実験場
2021-12-05
[34]
웹사이트
カジメのレシピ
https://cookpad.com/[...]
2021-12-10
[35]
웹사이트
「カジメ」 検索結果一覧
https://www.furusato[...]
TRUST BANK
2021-12-18
[36]
웹사이트
「カジメ」の検索結果
https://search.rakut[...]
2021-12-18
[37]
웹사이트
【ソーシャル人】水産・畜産・福祉の連携で生まれた鎌倉発ブランド豚。料理家・矢野ふき子さんが仕掛ける元気な地域づくり
https://www.nippon-f[...]
日本財団
2021-12-10
[38]
웹사이트
はぎ屋旅館(日立市)
https://www.ibarakig[...]
漫遊いばらき観光キャンペーン推進協議会
2021-12-06
[39]
논문
日本の地下に眠る天然資源ヨウ素
[40]
논문
アルギン酸とその工業
[41]
웹사이트
「厄介者」が食用に? 南伊豆の海藻「カジメ」
https://www.tokyo-np[...]
東京新聞
2021-12-18
[42]
논문
カジメ藻場の磯焼けからの回復
[43]
논문
奈良朝木簡にみる食文化考
[44]
서적
海藻
法政大学出版局
[45]
서적
海藻
法政大学出版局
[46]
서적
海藻
法政大学出版局
[47]
서적
海藻
法政大学出版局
[48]
서적
海藻
法政大学出版局
[49]
웹사이트
ツルアラメ ''Ecklonia cava'' subsp. ''stolonifera''
https://tonysharks.c[...]
生きもの好きの語る自然誌
2021-12-08
[50]
논문
和歌山県沿岸に生育するカジメとクロメの形態的および遺伝的多様性について
[51]
논문
アラメ・カジメ類の属間・種間交雑
[52]
웹사이트
コンブ目
https://tonysharks.c[...]
生きもの好きの語る自然誌
2021-12-11
[53]
논문
A comprehensive kelp phylogeny sheds light on the evolution of an ecosystem
[54]
논문
A molecular investigation of the genus ''Ecklonia'' (Phaeophyceae, Laminariales) with special focus on the Southern Hemisphere
[55]
논문
A multigene molecular phylogeny of ''Eisenia'' reveals evidence for a new species, ''Eisenia nipponica'' (Laminariales), from Japan
[56]
웹인용
감태
https://stdict.korea[...]
국립국어원
2017-12-14
[57]
웹사이트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http://www.grandcul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