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화군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화군의 시내버스는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면허로 나뉘어 운행되며,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를 적용받는다. 인천광역시 소속 노선은 강화군청 경제교통과에서 관리하는 강화군내버스와 인천광역시청에서 관리하는 60-5번, 70번, 71번, 800번, 801번, 3000번 등이 있다. 강화군내버스는 강화군 내 지역 간을 연결하며, 주요 노선은 강화터미널을 기점으로 운행된다. 경기도 소속 노선은 과거 김포시를 종점으로 하거나 시외 면허로 운행되던 노선들이며, 88번, 90번, 96번 등이 있다. 2009년 이후 경기도 노선들의 연장 및 형간전환이 이루어졌으며, 강화운수의 시외버스 노선도 시내버스로 전환되어 운임 부담을 줄였다. 3000번 직행좌석버스는 2024년 7월 노선이 분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화군의 교통 -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
    국가지원지방도 제84호선은 인천 강화군에서 강원 원주시를 잇는 국가지원지방도로, 재정 부족으로 국도로 승격되지 못했으나 수도권 서남부의 주요 간선 도로망으로서 고속도로와 연결되어 교통 흐름 개선에 기여하며 일부 미개통 구간이 있다.
  • 강화군의 교통 - 국도 제48호선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시작하여 경기도 김포시를 거쳐 서울특별시 종로구 세종대로까지 이어지는 총 연장 약 88km의 일반국도인 국도 제48호선은 강화도와 수도권을 연결하는 주요 도로망이다.
  • 인천광역시의 버스 교통 - 인천종합버스터미널
    인천종합버스터미널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에 위치하며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터미널역과 연결되어 있고, 롯데백화점 등과 연계되어 쇼핑과 문화생활을 제공하며, 시외버스, 고속버스, 광역급행버스 노선을 통해 다양한 지역으로 이동을 지원하는 과거 인천교통공사에서 운영하다 롯데그룹에 매각된 버스터미널이다.
  • 인천광역시의 버스 교통 - 송도환승센터
    송도환승센터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 위치한 버스 환승 시설로, 과거 U-복합환승센터로 운영될 당시에는 송도환승센터 또는 송도터미널로 불리며 다양한 시외버스 노선을 제공했으나 현재는 일부 시내/시외버스 노선만 인천스타트업파크 정류장에서 운행 중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강화군의 시내버스
버스 정보
강화터미널에 대기중인 강화군내버스들
강화터미널에 대기중인 강화군내버스들
관리 기관강화군청 경제교통과
서비스 지역인천광역시 강화군
기타 지역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김포시
노선 수54
인가 대수31
지불 수단현금, 교통카드
선불 카드마이비, 레일플러스,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후불 카드국민, 농협, 롯데, BC, 삼성, 수협, 신한
사이트강화군의 시내버스 노선 안내

2. 운임 체계

인천광역시경기도 면허 노선은 수도권 통합운임제를 적용받지만, 면허 종류에 따라 운임 체계가 다르다. 인천 시내버스는 단독 통행 시 기본 요금만 부과되지만, 경기도 노선은 환승 여부와 관계없이 하차 시 반드시 하차 태그를 해야 한다. 환승 시에는 모든 노선에서 하차 태그가 필수이다. 더 자세한 운임 정보는 강화군 군내버스 운행정보 페이지를 참고할 수 있다.

2. 1. 요금표

800번어른 (만 19세 이상)1300KRW2000KRW간선버스
군내버스어른 (만 19세 이상)1250KRW1300KRW청소년 (만 13세 ~ 18세)900KRW1500KRW청소년 (만 13세 ~ 18세)870KRW900KRW어린이 (만 7세 ~ 12세)530KRW900KRW어린이 (만 7세 ~ 12세)500KRW500KRW마을버스어른 (만 19세 이상)rowspan="3" style="color: #ffffff; background: #888888;" |style="align: center; color: #ffffff; background: #bbbbbb;"|청소년 (만 13세 ~ 18세)style="align: center; color: #ffffff; background: #bbbbbb;"|어린이 (만 7세 ~ 12세)style="align: center; color: #ffffff; background: #bbbbbb;"|경기도
직행좌석어른 (만 19세 이상)2400KRW2500KRW경기도
시내일반어른1250KRW1300KRW청소년 (만 13세 ~ 18세)1680KRW1800KRW청소년 (만 13세 ~ 18세)870KRW900KRW어린이 (만 7세 ~ 12세)1680KRW1700KRW어린이 (만 7세 ~ 12세)630KRW700KRW* 인천 시내버스로 분류된 노선들은 단독 통행 시 기본요금만 부과된다. 경기도 노선으로 분류된 노선들은 환승 통행 여부에 관계없이 하차 시 반드시 하차 태그를 해야 한다.
* 환승 통행 시에는 노선의 유형에 관계없이 카드를 단말기에 반드시 하차 태그를 해야 한다.
*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main/part/traffic/guide.jsp 군내버스 운행정보


3. 인천광역시 소속 시내버스 노선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60-5
좌석버스강화교통강화터미널 ↔ 김포공항양도면, 화도면, 온수리, 초지대교, 대곶면, 양곡, 운양역45~65김포한강로 경유[1]70강화교통강화터미널 ↔ 청라한양수자인선원면, 불은면, 온수리, 초지대교, 대곶면, 구래역, 솔터마을, 단봉초등학교, 검단사거리역, 완정역, 검암역입구, 검암경서동행정복지센터, 경서지구, 아시아드경기장역, 웰카운티, 호반베르디움3차, 한일베라체30~372009년 11월 1일 인천시 면허로 변경[2]71강화교통강화터미널 ↔ 아시아드주경기장(동문)창리, 세광아파트, 양도, 화도터미널, 온수리, 초지진, 초지대교, 대곶, 구래역, 검단사거리, 완정역, 아시아드경기장역, 심곡초교(국제성모병원), 가정역, 루원 풍경채30~45800
좌석버스강화교통강화터미널 ↔ 문학경기장김포대입구, 마송, 양곡, 구래역, 검단사거리역, 완정역, 검암역입구, 서구청, 인천의료원, 시민공원역, 석바위, 인천시청, 길병원, 인천터미널25~40인천대로 경유801
좌석버스강화교통강화터미널 ↔ 문학경기장김포대입구, 새터마을, 마송, 통진중고등학교, 인하대병원, 보훈병원, 시민공원, 길병원, 인천터미널4회수도권제2외곽순환고속도로 경유3000
직행좌석신동아교통강화터미널신촌김포대입구, 마송(우회도로), 장기동, 김포시, 고촌역, 개화역, 송정역, 염창역, 합정역, 홍대입구역25~352024년 7월 1일 분리[3]


3. 1. 주요 노선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주요 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60-5
좌석버스강화교통강화터미널 ↔ 김포공항양도면, 화도면, 온수리, 초지대교, 대곶면, 양곡, 운양역45~65김포한강로 경유[1]70강화교통강화터미널 ↔ 청라한양수자인선원면, 불은면, 온수리, 초지대교, 대곶면, 구래역, 솔터마을, 단봉초등학교, 검단사거리역, 완정역, 검암역입구, 검암경서동행정복지센터, 경서지구, 아시아드경기장역, 웰카운티, 호반베르디움3차, 한일베라체30~372009년 11월 1일 인천시 면허로 변경[2]71강화교통강화터미널 ↔ 아시아드주경기장(동문)창리, 세광아파트, 양도, 화도터미널, 온수리, 초지진, 초지대교, 대곶, 구래역, 검단사거리, 완정역, 아시아드경기장역, 심곡초교(국제성모병원), 가정역, 루원 풍경채30~45800
좌석버스강화교통강화터미널 ↔ 문학경기장김포대입구, 마송, 양곡, 구래역, 검단사거리역, 완정역, 검암역입구, 서구청, 인천의료원, 시민공원역, 석바위, 인천시청, 길병원, 인천터미널25~40인천대로 경유801
좌석버스강화교통강화터미널 ↔ 문학경기장김포대입구, 새터마을, 마송, 통진중고등학교, 인하대병원, 보훈병원, 시민공원, 길병원, 인천터미널4회수도권제2외곽순환고속도로 경유3000
직행좌석신동아교통강화터미널신촌김포대입구, 마송(우회도로), 장기동, 김포시, 고촌역, 개화역, 송정역, 염창역, 합정역, 홍대입구역25~352024년 7월 1일 분리[3]


3. 2. 71번 간선버스 (구 700번)

1995년 강화군이 인천광역시에 편입된[1] 이후에도 오랫동안 인천으로 가려면 비싼 시외직행버스를 타야만 했다. 초지대교 개통[2] 후 120번 좌석버스가 잠시 운행했지만, 시외버스와 요금 차이가 거의 없고 배차 간격도 매우 길어 불편했다.

이러한 강화 주민들의 교통 불편을 줄이기 위해 인천광역시는 700번 좌석버스를 신설했다. 그러나 개통 당시 강인여객이 700번에 적용한 구간운임은, 대체 노선이 거의 없는 지역 교통 상황과 맞물려 매우 비싸다는 불만이 많았다.[3] 실제로 60-2번 버스가 강화군에 들어오기 전까지, 강화 남부지역에서 강화읍을 거치지 않고 강화도 밖으로 나가는 방법은 1시간 간격의 신촌행 시외버스나 700번 버스를 이용하는 것뿐이었다.

700번의 구간운임은 2009년 10월 10일 인천 버스가 수도권 통합운임제에 편입되면서 폐지되어 문제는 해결되었지만, 기본운임이 950원에서 1,700원으로 올라 강화 내에서 이동하는 승객들은 불편을 겪기도 했다. 물론 운임 조정으로 모든 경우에 요금이 오른 것은 아니다. 환승 없이 인천에서 강화까지 이동하는 경우, 이전에는 2,100원을 냈지만 조정 후에는 1,700원으로 오히려 요금이 내려갔다.

2011년 6월 30일, 700번 노선의 한정면허 기간이 만료되면서 2011년 6월 14일부터 기존의 시외좌석버스였던 700번은 경로 변경 없이 간선 노선으로 전환되었다. 운행 대수는 10대에서 9대로 1대 줄었다. 간선 노선으로 전환되면서 기본운임은 900원으로 인하되었다. 같은 날 인천터미널과 양곡을 오가던 70-1번 노선은 폐지되었고, 일부 정류소에만 정차하는 시외좌석급의 800번이 신설되었다.[4]

2016년 7월 30일 인천시내버스 개편으로 700번은 화도면을 경유하는 지선 노선인 700-1번에 흡수되었다. 이와 별도로 온수리에서 경인항을 거쳐 검암역을 잇는 700-2번이 신설되었다가 2018년에 폐선되었다. 2022년 12월, 71번으로 노선 번호가 변경되어 운행 중이다.

3. 3. 60-2번과 70번 간선버스

60-2번, 70번, 구 70-1번은 원래 경기도 면허였으나 인천 시내 면허로 변경된 노선들이다.

3. 4. 3000번 직행좌석버스

강화도서울 신촌을 잇는 3000번 직행좌석버스는 2010년까지 시외직행버스로 운행하던 노선이다(강화운수 시외버스의 형간전환 문단 참조). 면허권이 경기도에 있던 3000번 직행좌석버스는 기점을 경기도에 두고 있지 않아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 시행령에 어긋나게 되어, 2024년 7월 1일부터 강화군에서 출발하는 인천 면허 3000번과 김포시에서 출발하는 경기도 면허 3000-1번으로 노선이 분리되었다.[13] 당초 3000번 노선은 김포시 구간을 김포한강로로 우회하여 당산역까지만 운행하는 것으로 예정되어 있었는데, 김포시의 반발로 노선 면허권만 이전되어 기존 노선대로 운행하게 되었다.[14] 이에 인천시는 3000번 노선의 운행 시간 단축을 위해 강화군의 의견을 수렴, 경기도 및 김포시와 협의를 거쳤으며, 3000번 노선은 8월 5일부터 김포시 지역 내 정류소 수가 줄어든 새 노선대로 운행하게 되었다.[15]

4. 강화군내버스

군내버스강화터미널 등 주요 지점과 강화군 각 지역을 연결하는 노선을 운행한다. 유동 인구가 많지 않아 다른 노선들에 비해 운행 횟수가 적은 편이다. 온수리에서 출발하는 일부 노선을 제외하면 모든 노선이 강화터미널에서 출발한다. 2016년 7월 30일에 노선 개편이 이루어졌다. 자세한 노선과 시간표는 [http://www.ganghwa.go.kr/open_content/main/part/traffic/guide.jsp 강화군청 누리집의 버스 안내]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노선 목록

번호운행구간경유지운행
횟수비고3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선원면, 불은면, 온수리, 동막해변, 선수, 화도, 안양대9회시계방향 순환4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안양대, 화도, 선수, 동막해변, 온수리, 불은면, 선원면8회시계반대방향 순환9강화터미널 ↔ 강화산단강화중학교4회10강화터미널 ↔ 돌머루(대산)강화중학교, 옥림리, 강화산단, 월곳리13회2회 강화서문 경유(10A)11강화터미널 ↔ 용구물강화병원, 갑룡초교, 용성리12회3회 강화서문 경유(11A)12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선원면, 더리미, 갑곶돈대, 현대아파트, 강화병원6회시계반대방향 순환
1회 강화서문 경유(12A)13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강화병원, 현대아파트, 갑곶돈대, 더리미, 선원면5회시계방향 순환14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강화고교, 선행리입구, 황련사입구, 충렬사7회시계반대방향 순환15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충렬사, 황련사입구, 선행리입구, 강화고교2회시계방향 순환16강화터미널 ↔ 더리미찬우물, 선원면, 고시기5회17강화터미널 ↔ 금월리찬우물, 선원면, 연리입구7회18강화터미널교동도(월선포)송해삼거리, 고인돌, 인화리, 봉소리, 고구리, 대룡시장, 상용리11회구 70번20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서문, 송해삼거리, 숭뢰2리, 우뢰촌, 호박골, 홍의사거리, 부근삼거리8회21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서문, 송해삼거리, 부근삼거리, 홍의사거리, 호박골, 우뢰촌, 숭뢰2리6회22강화터미널 ↔ 양오저수지대월초교, 송해삼거리, 솔정마을, 숭뢰2리3회구 23-1번23강화터미널 ↔ 양오리서문, 송해면사무소, 도간마을, 장정2리2회24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서문, 당산리, 덕하리, 양사면사무소, 인화리, 신봉리, 고인돌7회시계반대방향 순환25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서문, 고인돌, 신봉리, 인화리, 양사면사무소, 덕하리, 당산리7회시계방향 순환26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서문, 송해면사무소, 당산리, 철산리, 평화전망대, 북성리, 양사면사무소, 신봉리, 고인돌6회시계반대방향 순환27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서문, 고인돌, 신봉리, 양사면사무소, 북성리, 평화전망대, 철산리, 당산리, 송해면사무소6회시계방향 순환30강화터미널외포리서문, 송해삼거리, 고인돌, 하점면사무소, 강서중학교, 망월입구, 내가면사무소16회1회 외포리→강화 직행31A강화터미널석모도안양대, 인산저수지, 외포리, 황청리, 석모리→ 석포리4회석모도 시계반대방향 순환31B강화터미널석모도안양대, 인산저수지, 외포리, 황청리, 석포리→ 석모리6회석모도 시계방향 순환32강화터미널 ↔ 창후리서문, 송해삼거리, 고인돌, 하점면사무소, 강서중학교11회33강화터미널 ↔ 망월리서문, 송해삼거리, 부근삼거리, 신삼리, 명신초교10회34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서문, 송해삼거리, 신삼리, 망월, 창후입구, 강서중학교, 하점면사무소3회시계방향 순환35A강화터미널석모도안양대, 인산저수지, 외포리, 황청리, 석모리→ 하리→ 민머루해수욕장→ 석포리1회31A에서 하리, 민머루 추가경유35B강화터미널석모도안양대, 인산저수지, 외포리, 황청리, 석포리→ 민머루해수욕장→ 하리→ 석모리1회31B에서 민머루, 하리 추가경유37강화터미널 ↔ 황청리안양대, 인산저수지, 외포리, 내가면사무소, 오상리, 구하리12회39강화터미널 ↔ 내가면서문, 국화저수지, 고천리3회39A강화터미널석모도서문, 국화저수지, 고천리, 내가면, 오상리, 구하리, 황청리, 석모리→ 석포리1회40강화터미널화도터미널안양대, 인산저수지, 양도면사무소8회41강화터미널 ↔ 정수사안양대, 인산저수지, 양도면사무소, 화도터미널, 덕포리8회42강화터미널화도터미널선원면, 불은면, 온수리, 덕포리5회43강화터미널화도터미널선원면, 불은면, 오두리, 신현리, 온수리, 도장리, 조산초교2회44강화터미널화도터미널선원면, 불은면, 온수리, 도장리, 조산초교2회1회 강남중학교에서 운행 종료45강화터미널 ↔ 산문·건평안양대, 인산저수지4회46강화터미널 ↔ 탑재안양대, 인산저수지, 산문, 건평, 양도면사무소5회48강화터미널 ↔ 양도면사무소선원면, 불은면, 도장2리, 조산초교11회49강화터미널 ↔ 화도터미널서문, 국화저수지, 고천리, 내가면, 외포리, 양도면사무소4회구 36번50강화터미널 ↔ 온수리선원면, 불은면2회51강화터미널 ↔ 동검리선원면, 불은면, 온수리, 전등사, 선두4리8회52강화터미널 ↔ 온수리선원면, 불은면, 호국교육원, 길직리6회53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갑곶돈대, 광성보, 초지진, 황산도입구, 장안말, 온수리, 덕진진8회1회 강화서문 경유54강화터미널 ↔ 고능리안양대, 불은면, 고잔마을8회55강화터미널 ↔ 온수리선원면, 불은면, 오두리, 신현리, 덕진사거리8회57강화터미널 ↔ 장안말선원면, 불은면, 온수리, 초지삼거리4회58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선원면, 불은면, 온수리, 선두리, 동검리, 장흥리, 전등사4회시계반대방향 순환59강화터미널강화터미널선원면, 불은면, 온수리, 장흥리, 동검리, 선두리, 전등사4회시계방향 순환61강화터미널외포리서문, 국화저수지, 고천리, 내가면5회62강화터미널외포리조산초교, 인산삼거리, 외포리, 온수리, 불은면, 선원면8회


4. 2. 강화마을버스

대산마을버스, 연지마을버스, 교동동북부마을버스, 교동서부마을버스, 삼산마을버스 5개의 운행사가 강화읍, 교동도, 석모도 지역의 마을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이 버스들은 인천시 지선 도색 또는 고유의 도색으로 운행되며, 2010년 5월부터 통합운임제에 참여하였다.[16][17]

4. 2. 1. 노선 목록

대산마을버스, 연지마을버스, 교동동북부마을버스, 교동서부마을버스, 삼산마을버스 5개의 운행사가 강화읍, 교동도, 석모도 지역의 마을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인천시 지선 도색 또는 고유의 도색으로 운행되며, 2010년 4월까지는 단말기가 없어 교통카드를 사용할 수 없었으나, 2010년 5월부로 단말기가 설치되어 통합운임제에 참가하였다.[16][17]

운행 노선운행 구간경유지운행 횟수비고
대산마을
(901)
강화읍
풍물시장
대산리강화군청, 강화경기장9회2회 월곳리 경유
연지마을
(902)
강화슈퍼연리·지산리강화군청, 강화터미널 앞, 세광아파트, 선원면사무소, 용진진, 남산뒤11회
교동서부
(903)
대룡시장대룡시장양갑리, 난정리, 서한리, 등산리8회
교동동북부
(904)
대룡시장대룡시장삼선리, 인사리, 무학리8회
삼산마을
(905)
보문사보문사어류정항, 석포리, 외포리, 면사무소, 상주5회시계 반대 방향
3회 하리선착장, 2회 민머루 경유
삼산마을
(906)
보문사보문사상주, 면사무소, 외포리, 석포리, 어류정항5회시계 방향
3회 하리선착장, 2회 민머루 경유


5. 경기도 소속 시내버스 노선

현재 강화군에 들어오는 경기도 시내버스 노선 대부분은 과거 김포대학이 종점이거나 시외 면허로 운행되던 노선들이다. 안덕수 당시 강화군수 등 군청 관계자들이 국토해양부 관계자들을 설득하여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 개정으로 강화 지역에 한해 시계외 30km 거리 제한이 해제되면서, 경기도 노선들의 연장 또는 형간 전환이 가능해졌다.[5]

노선
번호
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
비고
88선진상운강화터미널영등포역김포대학, 마송, 김포시, 고촌, 개화역, 송정역, 염창역, 당산역25
90선진버스강화터미널부평역김포대학, 마송, 양곡, 검단, 공촌4, 작전역10~15
96고양교통강화서문일산
(식사동차고지)
강화터미널, 김포대학, 마송, 김포시, 고촌,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마두역, 일산동구청, 하늘마을20~30고양시 면허


5. 1. 주요 노선

현재 강화군에 진입하는 경기도 시내버스 노선들 중 대부분은 과거에 김포대학이 종점이었거나 시외 면허로 운행하던 노선들이다. 안덕수 당시 강화군수를 비롯한 군청 관계자들이 국토해양부 관계자들을 설득하는 등의 노력으로 [http://likms.assembly.go.kr/law/jsp/Law.jsp?WORK_TYPE=LAW_BON&LAW_ID=D1603&PROM_NO=00202&PROM_DT=20091231&HanChk=Y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 제8조에 의해 시내버스 노선들에 적용되는 시계외 30km 거리 제한을 강화 지역에 한해 해제함으로써 경기도 노선들의 연장 또는 형간 전환이 가능해졌으며,[5] 실제로 2009년과 2010년에 걸쳐 이들 노선들에 대한 산발적인 조정이 이루어졌다.

노선 번호운행업체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 (분)비고
88선진상운강화터미널영등포역김포대학, 마송, 김포시, 고촌, 개화역, 송정역, 염창역, 당산역25
90선진버스강화터미널부평역김포대학, 마송, 양곡, 검단, 공촌4, 작전역10~15
96고양교통강화서문일산
(식사동차고지)
강화터미널, 김포대학, 마송, 김포시, 고촌,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 마두역, 일산동구청, 하늘마을20~30고양시 면허


5. 2. 김포시 종점 노선들의 연장

2009년에 강화군에 들어오는 경기도 시내일반 노선들 중 96번을 제외한 대부분의 노선들이 현재와 같은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이 과정은 안덕수 당시 강화군수를 비롯한 군청 관계자들이 국토해양부 관계자들을 설득하여 [http://likms.assembly.go.kr/law/jsp/Law.jsp?WORK_TYPE=LAW_BON&LAW_ID=D1603&PROM_NO=00202&PROM_DT=20091231&HanChk=Y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시행규칙] 제8조에 의해 시내버스 노선에 적용되는 시계외 30km 거리 제한을 강화 지역에 한해 해제함으로써 가능해졌다.[5]

이들 노선이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된 과정은 다음과 같다.

5. 3. 강화운수 시외버스의 형간전환

강화운수는 시내버스로의 형간전환을 추진하여 승객들의 운임 부담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20][21]

형간전환 이전 시외버스 운행 정보는 아래 표와 같다.

변경 전변경 후 (변경 당시)전환일자비고
노선
(번호)
운행구간운행
거리
운행
횟수
유형번호운행구간운행
거리
운행
횟수
운행
대수
신촌
직행
신촌~강화53.7km110회직행
좌석
3000번신촌~강화53.7km129회32대2010년
4월 30일
신촌~강화
노선으로 통합
신촌~외포리66.2km19회
신촌~화도57.0km25회3100번신촌~화도57.0km25회6대이후 2000번으로 변경됨
1번영등포역~강화51.9km75회
(8회)
시내
일반
1번영등포역~강화51.9km75회13대2010년
4월 23일
2010년 7월 1일
88번과 통합
3번안양~강화64.4km28회380번안양~마송61.1km56회16대통합 및
김포대학으로 단축
(강화군 미경유)
현재의 388번
3-1번안양~김포대학61.1km28회
33번부천TR~강화TR46.3km14회330번부천TR~강화TR46.3km14회4대2010년
2월 19일
2010년 8월 1일
운행중단



형간전환 이전 시외직행버스의 강화도 내 운임은 성인 기준 1,100원, 온수리~김포고 구간은 2,000원, 온수리~신촌 구간은 4,100원이었다. 다른 직행버스와 달리 대부분 구간에서 승차권을 발매하지 않았다.

5. 3. 1. 최근의 변화

영등포강화터미널을 오가던 1번은 2010년 7월 1일 88번과 통합되었으며, 80번과 330번은 각각 2010년 7월 18일과 7월 31일 운행을 중지하였다.[23] 이 중 80번은 2011년 7월 22일 운행을 재개하였으나,[23] 2013년 10월에 다시 운행을 중단하였다.

화도~신촌을 운행하는 3100번은 2014년 7월 16일에 운행이 중단되었다가 2016년 10월 5일에 노선 번호를 2000번으로 변경하여 운행을 재개하였다. 그러다 2020년 9월 14일부로 운행이 중단되고 폐선되었다.

강화버스터미널~신촌을 운행하던 3000번은 2024년 7월 노선이 3000번과, 강화군에 진입하지 않는 3000-1번으로 분리되었다(3000번 직행좌석버스 문단 참조).

참조

[1] 웹인용 강화군 정보 http://www.ganghwa.i[...] 2010-02-07
[2] 뉴스 강화 초지대교 29일 개통 https://news.naver.c[...] 한국경제 2010-02-07
[3] 뉴스 강화 주민들 불합리한 버스운임 분통 http://media.daum.ne[...] 국민일보 2010-02-07
[4] 뉴스 "'강화~인천' 연결 버스노선 대폭 변경…직행좌석 노선 '800번' 신설 등" http://www.ajnews.co[...] 아주경제 2011-07-24
[5] 뉴스 강화-서울간 시내버스 운행 개통식 가져 http://media.daum.ne[...] 노컷뉴스 2010-02-07
[6] 웹인용 시외버스 인가사항 알림(2009. 9.11) http://www.gbis.go.k[...] 2010-06-19
[7] 뉴스 인천시~강화군 버스 16일 운행 http://www.siminilbo[...] 시민일보 2010-02-07
[8] 웹인용 60-2번, 70번, 70-1번, 82순환 버스운행 정보제공안내 http://bus.incheon.g[...] 2010-02-07
[9] 웹인용 60-2번, 82순환 버스운행 정보제공안내 http://bus.incheon.g[...] 2010-04-27
[10] 웹인용 강화선진버스 한정면허 검색 결과 http://search.daum.n[...] 2010-07-03
[11] 뉴스 인천시 시내버스 수입금공동관리 준공영제 시행 http://www.siminilbo[...] 뉴스와이어 2010-07-03
[12] 뉴스 강화 화도터미널~김포공항 60-5번 직행좌석 버스 신설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4-04-16
[13] 뉴스 인천 3000번 버스, 3000-1번 신설하고 노선 분리 https://www.edaily.c[...] 이데일리 2024-08-24
[14] 뉴스 인천시, 설익은 3000번 버스 급행화…김포시 반발에 철회 https://www.edaily.c[...] 이데일리 2024-08-24
[15] 뉴스 "빨라진 직행 3000번"… 인천시 버스 시민 불편 개선한다 https://www.newsis.c[...] 뉴시스 2024-08-24
[16] 뉴스 인천 도서지역 마을·공영버스 환승할인 https://news.naver.c[...] YTN 2011-07-24
[17] 뉴스 인천 무의도·강화군·영흥면… 7개마을·공영버스 환승할인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1-07-24
[18] 뉴스 강화-영등포ㆍ대화역 왕복 시내버스 이달부터 운행 http://www.asiatoday[...] 아시아투데이 2011-07-24
[19] 뉴스 강화~서울·일산 노선 신설 http://news.chosun.c[...] 조선일보 2009-06-19
[20] 문서 변경후 번호로 380번이 부여되었으며 3번은 폐지, 흡수통합되었다
[21] 뉴스 김포시, 영등포·안양 시외버스를 시내버스로 전환 http://www.newsis.co[...] 뉴시스 2010-04-22
[22] 뉴스 강화↔신촌, 화도↔신촌 시내좌석버스 운행 강화군청 경제교통과 2010-05-01
[23] 뉴스 "'강화읍~마송~한강신도시~킨텍스~대화역' 80번 시내버스노선 신설" http://www.ajnews.co[...] 아주경제 2011-07-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