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갯질경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갯질경은 갯질경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또는 한해살이풀로, 바닷가에서 자라며 잎 모양이 주걱을 닮아 이름 붙여졌다. 잎은 로제트 모양으로 나고, 가을에 녹색 화경을 세워 꽃을 피운다. 일본 혼슈, 시코쿠, 규슈 등과 한반도 남부에 분포하며, 해안가, 특히 모래나 자갈이 섞인 지역에서 주로 발견된다. 환경부에서는 준위협종으로 지정하고 있으며, 하구의 염생 습지 감소로 생육 환경이 위협받고 있다. 잎은 식용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9년 기재된 식물 - 오동나무과
    오동나무과는 꿀풀목의 식물 과로, 현재는 오동나무속만이 유일하게 인정되며, 오동나무는 가구재, 악기 재료, 한약재 등 한국인의 생활과 문화에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1949년 기재된 식물 - 좀미꾸리광이속
    좀미꾸리광이속은 좀미꾸리광이, T. erecta, T. fernaldii, T. natans, T. pauciflora 등 여러 종을 포함하는 식물 속이며, 특히 좀미꾸리광이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습지에서 자라 생태계 교란 가능성이 있어 관찰이 필요하다.
  • 일본의 식물상 - 나한송
    나한송은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는 상록 교목으로, 껍질이 벗겨지는 특징이 있고 건축재나 약재로 쓰이며 정원수로도 심는데, 종자는 독성이 있지만 붉은 종탁은 먹을 수 있다.
  • 일본의 식물상 - 곰솔
    곰솔은 흑갈색 껍질과 굵은 잎을 가진 소나무과의 상록침엽수로, 해송이라고도 불리며 동아시아에 분포하고 다양한 용도로 이용되지만 소나무재선충병에 취약하다.
  • 한국의 식물상 - 백일홍
    백일홍은 멕시코 원산의 국화과 한해살이풀로, 6~10월에 다양한 색깔의 꽃을 피우며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고 오랜 개화 기간과 다양한 품종을 가진다.
  • 한국의 식물상 - 패랭이꽃
    패랭이꽃은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6~8월에 흰색, 분홍색, 붉은색 꽃을 피우고 구맥이라고도 불린다.
갯질경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년생 및 2년생 식물. 꽃이 피는 개체의 잎은 노쇠했다.
1년생 및 2년생 식물. 꽃이 피는 개체의 잎은 노쇠했다.
일본에서, 조개껍질과 함께
일본에서, 조개껍질과 함께
학명Limonium tetragonum
명명자(Thunb.) Bullock
이명Limonium japonicum
Statice japonica
Statice tetragona
Taxanthema tetragonum
일본어 이름ハマサジ (Hamasaji)
한국어 이름갯질경
분류
식물계
미분류 문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진정쌍떡잎식물군
석죽목
갯질경과
갯질경속

2. 특징

갯질경은 한해살이풀 또는 여러해살이풀이다.[6] 주근은 땅속으로 곧게 뻗으며, 줄기는 거의 자라지 않고[7] 여러 개의 잎이 뿌리에서 로제트 모양으로 나온다. 잎은 두껍고 윤기가 있으며 주걱 모양이다.[8] 가을철인 9월에서 11월 사이에 잎 사이에서 꽃대가 올라와 많은 꽃을 피운다.[8]

한국어 이름 '갯질경'은 바닷가('갯')에 살고, 잎의 모양이 주걱 모양을 닮은 데서 유래했다.[10]

2. 1. 형태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풀이다.[6] 주된 뿌리(주근)는 땅속으로 곧게 뻗으며, 그 밑부분은 단단해진다. 줄기는 거의 자라지 않고[7], 여러 개의 잎이 뿌리 부분에서 나와 로제트 모양을 이룬다. 잎은 길쭉한 타원형의 주걱 모양이며 길이는 12~15cm이다. 잎 끝은 둥글고, 밑부분은 점차 좁아져 잎자루로 이어지는데, 이 부분은 종종 붉은색을 띤다. 잎은 두껍고 가장자리는 매끈하며 표면에 윤기가 있다. 잎 전체에는 털이 없다.[8]

꽃은 가을인 9월에서 11월 사이에 핀다.[8] 잎이 모여난 중심부에서 녹색의 꽃대(화경)가 나와 높이 30~60cm까지 자란다. 꽃대는 여러 갈래로 나뉘고, 각 가지 끝에는 이삭 모양의 꽃차례(수상 화서)가 달리며 많은 꽃이 줄지어 핀다. 꽃을 싸는 포엽은 타원형으로 길이가 약 4mm이고 녹색이며, 가장자리는 마른 막질이고 끝은 둥글며 작게 돌출되어 있다. 꽃은 정상적인 꽃 1개와 미숙한 꽃 1개가 이 포엽에 싸여 있으며, 그 밑부분에는 막질의 작은 포엽 2장이 있다. 위쪽 작은 포엽은 타원형으로 길이 4mm이고, 아래쪽은 더 작아 길이 1~1.5mm이다. 꽃받침은 통 모양으로 끝이 5갈래로 나뉘며, 하얗고 마른 막질이고 길이는 5mm이다. 꽃받침의 능선에는 하얗고 긴 털이 나 있다.[8] 꽃잎은 꽃받침보다 약간 길고, 끝부분이 5개로 깊게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열편)은 좁은 주걱 모양이고 끝이 약간 오목하며, 끝 쪽은 노랗고 밑부분 쪽은 하얗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대는 5개로 갈라져 있다. 열매는 방추형이며 길이는 약 2.5mm이다.[8]

또한, 갯질경이 속한 과의 꽃은 작은 꽃들이 하나로 모여 있는 형태를 가지는데, 이를 벼과 등에서 보이는 작은 꽃차례 구조인 소수로 보기도 한다.[9] 하지만 항상 그렇게 분류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어 이름 '갯질경'은 바닷가(갯-)에 살고 잎 모양이 질경이와 비슷하게 주걱 모양인 데서 유래했다.[10]

2. 2. 생태

한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풀이다[6]. 주근은 땅속으로 곧게 뻗고, 그 밑부분은 단단해진다. 줄기는 거의 자라지 않으며[7], 많은 잎이 뿌리에서 나와 로제트 모양을 이룬다. 잎은 긴 타원형 주걱 모양으로 길이는 12cm에서 15cm 정도이다. 잎 끝은 둥글고 밑부분은 점차 좁아져 잎자루로 이어지며, 이 부분은 종종 붉은색을 띤다. 잎은 두껍고 가장자리는 매끈하며 표면에 윤기가 있다. 잎 전체에는 털이 없다[8].

개화기는 가을로, 9월에서 11월에 걸쳐 꽃이 핀다[8]. 잎 묶음의 중심에서 녹색의 화경(꽃대)을 세우는데, 높이는 30cm에서 60cm 정도이다. 화경은 여러 갈래로 나뉘고, 각 가지 끝에 수상 화서(이삭꽃차례)가 달리며 많은 꽃이 늘어선다. 포엽은 타원형으로 길이는 4mm 정도이고 녹색이며, 가장자리는 마른 막질이고 끝은 둥글며 작게 튀어나와 있다. 꽃은 정상적인 꽃 1개와 미숙한 꽃 1개가 이 포엽에 싸여 있으며, 그 밑부분에는 막질의 작은 포엽 2장이 있다. 위쪽 작은 포엽은 타원형으로 길이가 4mm이고, 아래쪽은 작아서 길이가 1mm에서 1.5mm 정도이다. 꽃받침은 통 모양으로 끝이 5갈래로 나뉘며, 하얗고 마른 막질이고 길이는 5mm이다. 꽃받침의 능선에는 하얀 긴 털이 나 있다[8]. 꽃잎은 꽃받침보다 약간 길고, 끝이 깊게 5갈래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좁은 주걱 모양으로 끝이 약간 오목하며, 끝 쪽은 노랗고 밑부분 쪽은 하얗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의 화주(암술대)는 5개로 갈라져 있다. 열매는 방추형이며, 길이는 2.5mm 정도이다[8].

또한, 이 과의 꽃은 작은 꽃들이 하나로 모여 있는 형태를 가지는데, 이를 벼과 등에서 보이는 소수(작은 이삭)로 간주하는 경우도 있으나[9], 반드시 통용되는 분류는 아니다.

한국어 이름 '갯질경'은 바닷가('갯')에 자생하며, 잎의 모양이 주걱 모양을 닮은 데서 유래했다[10].

3. 분포

온대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한다.[11] 한반도 남부에서도 발견된다.[12][13] 일본에서는 혼슈의 태평양 연안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아이치현 서쪽 지역과 동해 연안의 시마네현, 야마구치현에서 발견된다. 그 외 시코쿠, 규슈, 난세이 제도에도 분포한다. 남쪽 분포 한계는 아마미오시마로 알려져 있으나, 현재 상황은 명확하지 않다.[11]

4. 생육 환경

해안에 서식하며, 만조 시에는 잎이 물에 잠긴다. 내만이나 만의 바닥 중 모래와 , 모래와 자갈이 섞인 지역에서 자라지만, 펄보다는 자갈 지역을 더 선호한다[8]。 때로는 암초 해안이나 특히 용암 해안에서도 발견된다[11]

갯질경은 일회 번식형 여러해살이 풀이다[12]。 즉, 충분히 크게 자랄 때까지 꽃을 피우지 않으며, 포기가 커지고 나서야 줄기를 뻗어 꽃차례를 만든다[14]。 꽃이 필 무렵에는 뿌리에서 나온 잎은 말라 죽고, 개화 및 결실 후에 포기 전체가 말라 죽는다. 보통 2년에서 3년 정도의 수명을 가진다[15]

5. 유사종

갯질경을 ‘갯질경이’라고 부르기도 하지만, 질경이과 질경이속의 갯질경이(''Plantago major'' f. ''yezomaritima'')는 별개의 종이다.

일본에는 갯질경과 같은 속(''Limonium'')에 속하는 식물이 4종 분포한다.[16] 특히 다음 두 종은 1회 번식형 다년생 초본이라는 점과 꽃차례가 산방상(우산 모양)이라는 점에서 갯질경과 구별된다.


  • ''L. sinense'' (타이완갯질경): 야에야마 제도의 나카노미카미 섬에 서식한다.
  • ''L. senkakuense'' (센카쿠갯질경): 센카쿠 열도의 우오츠리 섬에 서식한다.


그 외에 우콘갯질경(''L. wrightii'' var. ''wrightii'')과 그 변종인 ''L. wrightii'' var. ''arbusculum''이 있다. 이들은 크기는 작지만 나무의 성질(목본)을 가지며, 갯질경처럼 로제트 모양으로 잎이 달린 위치 아래의 줄기가 나무처럼 단단해지고(목질화) 가지를 치는 특징이 있다.

흔히 스타티스(statice)라고 불리는 ''L. sinutatum''은 일본명으로 하나갯질경이라고도 하며, 갯질경과 같은 속에 속한다. 스타티스라는 이름은 옛 학명인 ''Statice''에서 유래했으며, 이 종을 포함한 여러 종이 원예용으로 재배되고 있다.

6. 인간과의 관계

잎을 삶아 물에 우려내어 식용으로 섭취한다.[7]

7. 보전 상태

일본 환경부의 레드 데이터 북에서는 준위협종으로 지정되어 있다.[17] 일본 내 각 별로는 후쿠시마현 이남부터 가고시마현까지 총 21개 현에서 어떤 형태로든 보호 대상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특히 시즈오카현에서는 이미 멸종된 것으로 평가된다.[17]

갯질경의 주된 서식지인 하구의 염생 습지가 방조제 공사나 개발 등으로 인해 심각하게 줄어들고 있어, 갯질경이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8]

참조

[1] Encyclopedia Encyclopædia Londinensis, or, Universal Dictionary of Arts, Sciences, and Literature https://books.google[...] G. Jones 1828
[2] 간행물 "''Limonium tetragonum'' (Thunb.) Bullock" 2023-01-16
[3] 학술지 Evaluating Operational Potential of UAV Transect Mapping for Wetland Vegetation Survey
[4] 학술지 The standardized extract of ''Limonium tetragonum'' alleviates chronic alcoholic liver injury in C57BL/6J mice
[5] 웹사이트 "''Limonium tetragonum'' 'Confetti'" https://www.rhs.org.[...]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23
[6] 서적 牧野原著(2017),p840
[7] 서적 フラグマン(1997),p.201
[8] 서적 永田(2003)p.165
[9] 서적 佐竹他(1981),p.26
[10] 서적 牧野(1961),p.480
[11] 서적 中西(2018),p.66
[12] 서적 大橋他編(2017),p.82
[13] 문서 佐竹他(1981)には本種の分布域として中国東北とあるが、最近のものには見えない。
[14] 문서 以下、中西(2018),p.66
[15] 문서 佐竹他(1981)には本種を越年草と記してあり、これは本種が2年で開花する例があることによるのかもしれない。他方で牧野原著(2017)では多年草としてあり、これは2年を超えて生存する例があることによるのだと思われる。
[16] 문서 以下、大橋他編(2017),p.82-83
[17]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 http://jpnrdb.com/se[...] 2020-03-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