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이츠헤드 (영국 의회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이츠헤드 (영국 의회 선거구)는 1832년에 처음 설치되어 1950년에 폐지되었으며, 2010년에 부활한 영국 의회 선거구이다. 1832년부터 1950년까지 급진당, 자유당, 연합당, 노동당 등 다양한 정당 소속의 국회의원을 배출했으며, 제임스 멜빌 경과 코니 질리아쿠스와 같은 유명 인사가 이 선거구에서 활동했다. 2010년 이후에는 노동당이 강세를 보이며, 이안 먼스가 여러 차례 당선되었다. 2024년에는 선거구가 폐지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스이스트잉글랜드의 옛 영국 의회 선거구 - 세지필드 (영국 의회 선거구)
    잉글랜드 더럼주에 위치한 세지필드 선거구는 노동당 텃밭이었으나 2019년 총선에서 보수당이 승리하며 정치 지형이 바뀌었고 토니 블레어 전 총리가 의원을 지냈으며 2024년 총선을 앞두고 폐지되었다.
  • 노스이스트잉글랜드의 옛 영국 의회 선거구 - 블레이던 (영국 의회 선거구)
    블레이던은 1918년에 신설되어 2024년에 폐지된 영국의 의회 선거구로, 게이츠헤드 자치구 일부를 포함했으며, 석탄 산업 쇠퇴 이후 공업, 서비스업, 농업이 경제를 이끌었고, 메트로센터 쇼핑 센터가 위치해 있으며, 노동당이 주로 국회의원을 배출했다.
  • 1832년 신설된 영국 의회 선거구 - 애시턴언더라인 (영국 의회 선거구)
    1832년부터 시작된 애시턴언더라인 선거구는 다양한 정당에서 의원을 배출했으며, 20세기에는 노동당 소속 의원이 다수 당선되었고, 2015년부터는 안젤라 레이너 노동당 부대표가 의원을 맡고 있으며, 1928년에는 영국 최고 투표율을 기록한 보궐선거가 치러지기도 했다.
  • 1832년 신설된 영국 의회 선거구 - 아일오브와이트 (영국 의회 선거구)
    아일오브와이트 선거구는 13세기부터 시작된 자치구를 통합하여 1832년 개혁법 이후 형성되었으며, 2024년부터는 아일오브와이트이스트와 아일오브와이트웨스트의 두 개 선거구로 분할되기 전까지 다양한 정당 간 경쟁이 있었고, 2001년 이후로는 보수당이 의석을 유지했다.
게이츠헤드 (영국 의회 선거구)
지도 정보
게이츠헤드의 2010–2024 경계 (타인 위어)
2010–2024년 게이츠헤드의 경계 (타인 위어)
타인 위어, 잉글랜드
타인 위어
선거구 정보
이름게이츠헤드
의회영국
선출 방식1인
유형자치구
폐지 연도2024
다음 선거구게이츠헤드 센트럴 앤 위컴
이전 선거구게이츠헤드 이스트 앤 워싱턴 웨스트
타인 브리지
폐지 연도 (2)1950
연도 (2)1832
다음 선거구 (2)게이츠헤드 이스트
게이츠헤드 웨스트
이전 선거구 (2)더럼 주
유형 (2)자치구
의원수 (2)1인
지역잉글랜드
타인 위어 주
도시게이츠헤드
인구 통계
유권자 수66,066명 (2010년 12월)
정치
MP이안 먼스
정당노동당

2. 역사

1832년 개정법에 의해 게이츠헤드 선거구가 단일 의원 선거구로 처음 설치되었다.[3] 1832년 영국 총선에서 게이츠헤드 선거구[53]가 신설되어 급진파의 커스버트 리폰이 무투표 당선되었다. 당시 유권자 수는 454명이었다.[28]

1835년 영국 총선에서도 급진파의 커스버트 리폰이 다시 무투표 당선되었다.[53],[28] 이때 유권자 수는 506명이었다.

1837년 영국 총선에서는 급진파의 커스버트 리폰이 236표(61.0%)를 얻어, 151표(39.0%)를 얻은 존 윌리엄 윌리엄슨을 제치고 당선되었다.[53],[45],[28],[20] 투표율은 72.5%였으며, 유권자 수는 534명이었다.

이 선거구는 1948년 인민 대표법에 따라 1950년 영국 총선을 위해 폐지되었으며, 게이츠헤드 이스트 (영국 의회 선거구)와 게이츠헤드 웨스트 (영국 의회 선거구)로 분할되었다.[4]

1832년에 처음 신설되어 1950년에 폐지된 선거구였다. 당시 국회의원 중 유명인으로는 잉글랜드 웨일스 대법관을 지낸 제임스 멜빌 의원, 냉전 시기 유엔에서의 활동을 바탕으로 쌍방 평화적 관계 구축에 일조한 코니 질리어커스 의원이 있었다.

이후 2010년 영국 총선부터 부활하였다. 2015년 총선에서는 노동당이 승리한 232개 지역구 중 득표격차 순으로는 33번째로 큰 지역구로 이름을 올렸다.[33] 지난 총선과 비교해 봤을 때 표 격차가 2.6%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 1. 1832년 ~ 1950년

1832년 개정법(Reform Act 1832)에 의해 게이츠헤드 선거구가 단일 의원 선거구로 처음 설치되었다.[3] 1832년 영국 총선에서 게이츠헤드 선거구[53]가 신설되어 급진파의 커스버트 리폰이 무투표 당선되었다. 당시 유권자 수는 454명이었다.[28]

1835년 영국 총선에서도 급진파의 커스버트 리폰이 다시 무투표 당선되었다.[53],[28] 이때 유권자 수는 506명이었다.

1837년 영국 총선에서는 급진파의 커스버트 리폰이 236표(61.0%)를 얻어, 151표(39.0%)를 얻은 존 윌리엄 윌리엄슨을 제치고 당선되었다.[53],[45],[28],[20] 투표율은 72.5%였으며, 유권자 수는 534명이었다.

이 선거구는 1948년 인민 대표법(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 1948)에 따라 1950년 영국 총선을 위해 폐지되었으며, 게이츠헤드 이스트 (영국 의회 선거구)(Gateshead East)와 게이츠헤드 웨스트 (영국 의회 선거구)(Gateshead West)로 분할되었다.[4]

2. 1. 1. 1830년대

1832년 영국 총선에서 게이츠헤드 선거구[53]가 신설되어 급진파의 커스버트 리폰이 무투표 당선되었다. 당시 유권자 수는 454명이었다.[28]

1835년 영국 총선에서도 급진파의 커스버트 리폰이 다시 무투표 당선되었다.[53],[28] 이때 유권자 수는 506명이었다.

1837년 영국 총선에서는 급진파의 커스버트 리폰이 236표(61.0%)를 얻어, 151표(39.0%)를 얻은 존 윌리엄 윌리엄슨을 제치고 당선되었다.[53],[45],[28],[20] 투표율은 72.5%였으며, 유권자 수는 534명이었다.

2. 1. 2. 1840년대

wikitext

1841년 영국 총선에서 게이츠헤드 선거구의 급진파 소속 윌리엄 헛 의원이 단독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53] 당시 등록 유권자는 554명이었다.[28]

1847년 영국 총선에서도 게이츠헤드 선거구의 급진파 소속 윌리엄 헛 의원이 단독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53] 당시 등록 유권자는 656명이었다.[28]

2. 1. 3. 1850년대

1852년 총선에서 게이츠헤드 선거구에서는 급진당(Radicals) 소속 윌리엄 허트가 45.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53] 보수당(Conservative Party) 후보 아돌푸스 프레더릭 옥타비우스 리델은 31.9%[46], 무소속 자유당 후보 랄프 월터스는 22.8%[47][48]를 득표했다. 허트는 80표차로 과반을 확보했으며, 투표율은 83.8%였다.[53]

1857년 총선에서는 윌리엄 허트가 급진당 소속으로 단독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53]

1859년 총선에서는 윌리엄 허트가 자유당(Liberal Party) 소속으로 단독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53]

2. 1. 4. 1860년대

1860년 2월 13일 재보궐선거는 윌리엄 허트 의원이 무역위원회 부의장으로 임명되면서 치러졌다.[53] 이 선거에서 윌리엄 허트 의원은 자유당 소속으로 무투표 당선되었다.[28]

1865년 영국 총선에서 윌리엄 허트 의원은 다시 자유당 후보로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53][28] 당시 등록 유권자는 1,165명이었다.

1868년 영국 총선에서는 윌리엄 허트 의원이 2,442표(63.5%)를 얻어 당선되었다.[53][28] 무소속 자유당 후보였던 윌리엄 아버스노트는 1,406표(36.5%)를 얻었다.[49][24] 두 후보 간 표차는 1,036표(27.0%)였다. 총 투표수는 3,848표(69.0%)였으며, 등록 유권자는 5,578명이었다.

2. 1. 5. 1870년대

1874년 영국 총선에서 게이츠헤드 선거구에서는 자유당의 월터 제임스 후보가 75.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53][50] 보수당의 리처드 포스터 후보는 24.7%를 득표하였고,[53][50] 무소속 자유당 윌리엄 아버스노트 후보는 0.2%를 득표하였다.[53][50][51] 아버스노트 후보는 선거 전날 후보직에서 물러났다.[52]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자유당월터 제임스4,25075.1+11.6
보수당리처드 포스터1,39624.7New
무소속 자유당윌리엄 아버스노트120.2-36.3
과반수 득표2,85450.4+23.4
투표율5,65857.8-11.2
유권자9,782
자유당 유지, 변동 +24.0


2. 1. 6. 1880년대

1880년 영국 총선에서 게이츠헤드 선거구[53]의 유권자는 11,551명이었다. 자유당 소속 월터 제임스가 5,749표(78.5%)를 얻어 당선되었다.[54] 보수당 후보 게인스퍼드 브루스는 1,570표(21.5%)를 얻었다. 두 후보 간 득표 차이는 4,179표(57.0%)였다. 총 투표수는 7,319표로, 투표율은 63.4%였다.

1885년 영국 총선에서 게이츠헤드 선거구[56]의 유권자는 13,206명이었다. 자유당 소속 월터 제임스가 5,756표(65.6%)를 얻어 당선되었다.[55] 보수당 후보 제임스 헨리 바텀리는 3,024표(34.4%)를 얻었다. 두 후보 간 득표 차이는 2,732표(31.2%)였다. 총 투표수는 8,780표로, 투표율은 66.5%였다.

1886년 영국 총선에서는 자유당 소속 월터 제임스가 게이츠헤드 선거구[56]에서 단독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

2. 1. 7. 1890년대

1892년 영국 총선에서 게이츠헤드 선거구에서는 자유당 후보 월터 제임스가 5,336표(51.4%)를 얻어, 5,043표(48.5%)를 얻은 자유연합당 후보 판델리 랄리를 누르고 당선되었다.[56] 총 투표수는 10,379표, 투표율은 76.4%였다.[56]

1893년 재보궐선거는 제임스 의원이 상원의원으로 임명되어 치러졌다.[56] 자유당 후보 윌리엄 앨런이 6,434표(53.6%)를 득표하여, 5,566표(46.4%)를 얻은 자유연합당 후보 판델리 랄리를 제치고 당선되었다.[56] 총 투표수는 12,000표, 투표율은 85.2%였다.[56]

1895년 영국 총선에서는 자유당 후보 윌리엄 앨런이 6,137표(52.0%)를 얻어, 5,654표(48.0%)를 얻은 자유연합당 후보 J. 루커스를 누르고 재선에 성공했다.[56] 총 투표수는 11,791표, 투표율은 82.0%였다.[56]

2. 1. 8. 1900년대

앨런 의원


1900년 총선에서 자유당 소속 윌리엄 앨런 의원이 6,657표(53.8%)를 얻어 당선되었다.[56] 자유 연합당의 존 셔번 후보는 5,711표(46.2%)를 얻었다.

모페스


1904년 재보궐선거에서는 자유-노동 (Lib-Lab) 연합의 존 존슨 후보가 8,220표(54.0%)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56] 자유 연합당의 찰스 하워드 후보는 7,015표(46.0%)를 얻었다.

1906년 총선에서는 존 존슨 의원이 9,651표(65.3%)를 얻어 재선에 성공했다.[56] 자유 연합당의 시어도어 앤지어 후보는 5,126표(34.7%)를 얻었다.

2. 1. 9. 1910년대

1910년 1월 영국 총선에서 자유당의 해럴드 엘버스턴 후보가 6,800표(40.7%)를 얻어 당선되었다. 자유 연합당의 니콜라스 그라탄-도일 후보는 6,323표(37.9%), 노동당의 존 존슨 후보는 3,572표(21.4%)를 얻었다. 엘버스턴 후보와 그라탄도일 후보의 표차는 477표(2.8%)였다. 총 투표수는 16,695표로 투표율은 87.2%였다.

존 존슨


1910년 12월 영국 총선에서는 자유당의 해럴드 엘버스턴 후보가 8,763표(61.0%)를 얻어 재선에 성공했다. 보수당의 허버트 서티스 후보는 5,608표(39.0%)를 얻었다. 엘버스턴 후보와 서티스 후보의 표차는 3,155표(22.0%)였다. 총 투표수는 14,371표로 투표율은 75.1%였다.

1918년 영국 총선에서는 연합당의 허버트 서티스 후보가 17,215표(56.9%)를 얻어 당선되었다. 노동당의 존 브라더턴 후보는 7,212표(23.8%), 자유당의 해럴드 엘버스턴 후보는 5,833표(19.3%)를 얻었다. 서티스 후보와 브라더턴 후보의 표차는 10,003표(33.1%)였다. 총 투표수는 30,260표로 투표율은 54.6%였다. 특히, 이 선거는 자유당에서 연합당으로 의석이 넘어간 선거였다.

2. 1. 10. 1920년대

1922년 영국 총선에서 노동당의 존 브라더턴 후보가 43.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보수당의 허버트 서티스 후보는 31.3%, 자유당의 존 디키 후보는 24.9%를 득표하였다.

1923년 영국 총선에서는 자유당의 존 디키 후보가 42.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노동당의 존 브라더턴 후보는 41.1%, 보수당의 조지 프랜시스 스티븐 크리스티 후보는 16.2%를 득표하였다.

1924년 영국 총선에서는 노동당의 존 베켓 후보가 50.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보수당의 힐턴 필립슨 후보는 30.2%, 자유당의 존 디키 후보는 19.6%를 득표하였다.

1929년 영국 총선에서는 노동당의 제임스 멜빌 후보가 52.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보수당의 이언 오어-유잉 후보는 21.5%, 자유당의 존 페넬 후보는 19.1%, 무소속 자유당 존 레너드 왓슨 후보는 6.8%를 득표하였다.

2. 1. 11. 1930년대

1931년 5월 1일 제임스 멜빌 의원의 사망으로 6월 8일 재보궐선거가 치러졌다. 1931년 게이츠헤드 재보궐선거에서 노동당 후보 허버트 에반스가 51.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나, 에반스 의원 또한 10월 7일 사망하였다. 공교롭게도 이날은 영국 의회가 차기 총선을 앞두고 해산된 날이었기에 재보궐선거는 1931년 영국 총선으로 대체되었다.

1931년 영국 총선에서 국민자유당 후보 토머스 매그네이가 60.09%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노동당 후보 어니스트 베빈을 누르고 당선되었다. 새로운당의 존 스튜어트 바 후보와 국민노동당의 존 펜넬 후보는 각각 1.86%, 0.32% 득표에 그쳤다. 한편, 보수당의 찰스 와이트 후보는 1931년 10월 15일 후보직에서 사퇴하였으며, 새로운당의 바 후보와 국민노동당의 펜넬 후보도 사퇴하였으나 투표용지에는 이름이 남았다.

1935년 영국 총선에서는 국민자유당 토머스 매그네이 후보가 52.72%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다. 노동당 제임스 윌슨 후보는 47.28%를 득표했다.

2. 1. 12. 1940년대

1945년 영국 총선에서 코니 질라커스가 노동당 후보로 출마하여 67.5%의 득표율(36,736표)로 당선되었다. 토머스 매그네이는 국민자유당 후보로 출마하여 32.5%의 득표율(17,719표)을 얻었다. 코니 질라커스는 이전 선거에 비해 20.2%p 증가한 득표율을 기록했고, 토마스 매그네이는 20.2%p 감소한 득표율을 기록했다. 두 후보의 득표수 차이는 19,017표였으며, 득표율 차이는 35.0%였다. 투표율은 76.0%로, 이전 선거에 비해 1.3%p 증가했다. 이 선거에서 노동당은 국민자유당을 누르고 게이츠헤드 선거구를 차지했다.

2. 2. 2010년 ~ 현재

선거의원[34]정당비고
style="background-color: " |2010년이안 먼스노동당
2024년선거구 폐지



웨스트민스터 선거구 경계 위원회의 영국 하원 선거구의 다섯 번째 주기적 검토 결과, 해당 선거구는 2010년 영국 총선을 위해 재설정되었으며, 게이츠헤드 이스트 앤 워싱턴 웨스트 (영국 국회의원 선거구)와 타인 브리지 (영국 국회의원 선거구)의 폐지된 두 선거구의 유권자 과반수를 합쳐 구성되었다.

2. 2. 1. 2010년대

(내용 없음)

3. 구획

'''2010년~''': 게이츠헤드 도시자치구 브리지스, 초던, 데컴, 던스턴 팀스, 펠링, 하이펠, 로블리힐 벤셤, 로우펠, 솔트월, 윈디누크, 화이트힐스

2007년 잉글랜드 구획위원회는 선거구 개편 심의를 통해 게이츠헤드 지역구의 부활을 권고하였다. 기존의 게이츠헤드이스트 워싱턴웨스트와 타인브리지 지역구의 일부 지역을 통합하는 것이다.

현재 지역구 주민은 백인 노동계층이 압도적으로 많다. 전체 유권자 중 95%가 백인 영국인으로 추산된다. 지역구 정치성향도 이러한 바탕으로부터 비롯되었는데, 로우펠 지역을 제외한 지역구 내 모든 선거지역은 노동당 지지세가 강하며 브렉시트에 압도적으로 찬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3. 1. 1832년 ~ 1918년

1832년 의회 경계법에 따라 이 자치구의 경계는 게이츠헤드 교구와 재로 교구의 휴워스 교구의 일부로 정의되었다.[5] ''브리튼 비전 웹사이트의 지도 참조.''[6]

3. 2. 1918년 ~ 1950년

게이츠헤드 자치구.[7]

''경계 변경 없음.''

3. 3. 2010년 ~ 2024년

게이츠헤드 광역 자치구의 교량, 차우덴, 데컴, 던스턴 앤 팀스, 펠링, 하이 펠, 로블리 힐 앤 벤샴, 로우 펠, 솔트웰, 윈디 누크 앤 화이트힐스 선거구.

4. 역대 국회의원

선거의원정당비고
1832년커스버트 리폰급진당[35][36][37]
1841년윌리엄 허트급진당[38][39]
1859년자유당
1874년월터 제임스자유당
1893년윌리엄 앨런 경자유당
1904년존 존슨자유당
1910년 1월해럴드 엘버스턴 경자유당
1918년허버트 서티스연합보수당
1922년존 브라더턴노동당
1923년존 디키자유당
1924년존 버킷노동당
1929년제임스 멜빌 경노동당
1931년허버트 에반스노동당
1931년토머스 매그니국민자유당
1945년코니 질리어커스노동당 (1945–49)
노동당 무소속 그룹 (1949)
노동당계 무소속 (1949–50)
1950년선거구 폐지



제임스 멜빌 경은 국회의원 재직 중 사망하기 전 잉글랜드와 웨일스 검찰 차장을 지냈으며, 코니 질리아쿠스는 유엔에서의 활동을 포함하여 냉전 동안 평화로운 양자 관계를 구축하는 데 기여한 국제 정치인이었다.

4. 1. 1832년 ~ 1950년

1832년 영국 총선에서 커스버트 리폰이 급진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다.[9][10][11][12] 1841년 영국 총선에서는 윌리엄 허트 경이 급진당 소속으로 당선되었으며,[13][14] 1859년에는 자유당으로 당적을 변경하였다.

1874년 영국 총선에서는 월터 제임스가 자유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1893년 게이츠헤드 보궐선거에서는 윌리엄 앨런 경이, 1904년 게이츠헤드 보궐선거에서는 존 존슨이 자유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1910년 1월 영국 총선에서는 해럴드 엘버스턴 경이 자유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1918년 영국 총선에서는 허버트 서티스가 연립 보수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1922년 영국 총선에서는 존 브라더튼이 노동당 소속으로, 1923년 영국 총선에서는 존 디키가 자유당 소속으로, 1924년 영국 총선에서는 존 베켓이 노동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1929년 영국 총선에서는 제임스 멜빌 경이 노동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1931년 게이츠헤드 보궐선거에서는 허버트 에반스가 노동당 소속으로 당선되었으나, 1931년 영국 총선에서는 토머스 매그네이가 국민 자유당 소속으로 당선되었다. 1945년 영국 총선에서는 코니 질리아쿠스가 노동당 소속으로 당선되었으나, 이후 노동 독립 그룹(1949)과 독립 노동당(1949–50)으로 당적을 변경하였다.

1950년 영국 총선에서 선거구가 폐지되었다.

4. 2. 2010년 ~ 현재

2010년 영국 총선에서 이안 먼스가 노동당 후보로 당선되었다.[34][9] 2024년에 선거구가 폐지될 예정이다.[34][9]

5. 선거 결과

2010년 영국 총선, 2015년 영국 총선, 2017년 영국 총선, 2019년 영국 총선에서 게이츠헤드 선거구의 선거 결과는 다음과 같다.[40][41][42][44]

선거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2010년 영국 총선노동당이언 먼스20,71254.1-7.3
자유민주당프랭크 힌들8,16321.3+0.6
보수당헤이즐 앤더슨5,71614.9+4.8
국민당케빈 스콧1,7874.7+1.6
영국 독립당존 테넌트1,1032.9-0.4
녹색당앤디 레드펀3791.0New
노동조합원과 사회주의 연합엘레인 브런스킬2660.7New
기독교인당데이비드 월튼1310.3New
2015년 영국 총선노동당이언 먼스21,54956.8+2.7
영국 독립당존 테넌트6,76517.8+14.9
보수당토머스 스미스5,50214.5-0.4
자유민주당프랭크 힌들2,5856.8-14.5
녹색당앤디 레드펀[43]1,5484.1+3.1
2017년 영국 총선노동당이언 먼스27,42665.1+8.3
보수당로렌 행킨슨10,07623.9+9.4
영국 독립당마크 벨2,2815.4-12.4
자유민주당프랭크 힌들1,7094.1-2.7
녹색당앤디 레드펀6111.5-2.6
2019년 영국 총선노동당이언 먼스20,45053.6-11.5
보수당제인 맥빈13,25034.7+10.8
자유민주당피터 모건2,7927.3+3.2
녹색당레이첼 카브랄1,6534.3+2.8


5. 1. 1832년 ~ 1950년

5. 1. 1. 1830년대

1832년 영국 총선에서 게이츠헤드 선거구[53]가 신설되어 급진파의 커스버트 리폰이 무투표 당선되었다. 당시 등록 유권자 수는 454명이었다.[28]

1835년 영국 총선에서 게이츠헤드 선거구[53]에서는 급진파의 커스버트 리폰이 다시 무투표 당선되었다. 당시 등록 유권자 수는 506명이었다.[28]

1837년 영국 총선에서 게이츠헤드 선거구[53][45]에서는 급진파의 커스버트 리폰이 61.0%의 득표율(236표)로 당선되었다. 급진파의 존 윌리엄 윌리엄슨은 39.0%(151표)를 얻었다. 두 후보의 득표 차이는 85표(22.0%)였다. 총 투표수는 387표로 투표율은 72.5%였다. 등록 유권자 수는 534명이었다.[28][20]

5. 1. 2. 1840년대

wikitext

1841년 영국 총선에서 윌리엄 허트가 급진파 후보로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53][28] 등록 유권자는 554명이었다.

1847년 영국 총선에서 윌리엄 허트가 다시 급진파 후보로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53][28] 등록 유권자는 656명이었다.

5. 1. 3. 1850년대

1852년 총선에서 게이츠헤드 선거구에서는 급진당(Radicals (UK)) 소속 윌리엄 허트가 45.3%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53][28] 보수당(Conservative Party (UK)) 후보 아돌푸스 프레더릭 옥타비우스 리델은 31.9%[46][21], 무소속 자유당 후보 랄프 월터스는 22.8%를 득표했다.[47][48][22][23] 총 유권자 수는 711명이었고, 투표율은 83.8%였다.

1857년 총선에서는 윌리엄 허트가 급진당 소속으로 단독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53][28] 총 유권자 수는 895명이었다.

1859년 총선에서는 윌리엄 허트가 자유당(Liberal Party (UK)) 소속으로 단독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53][28] 총 유권자 수는 913명이었다.

5. 1. 4. 1860년대

1860년 2월 13일 재보궐선거는 윌리엄 허트 의원이 무역위원회 부의장으로 임명되면서 치러졌다.[53][28] 윌리엄 허트 의원은 자유당 소속으로 무투표 당선되었다.

1865년 영국 총선에서 윌리엄 허트 의원은 자유당 후보로 다시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53][28] 당시 등록 유권자는 1,165명이었다.

1868년 영국 총선에서 윌리엄 허트 의원은 2,442표(63.5%)를 얻어 당선되었다.[53][28] 무소속 자유당 후보였던 윌리엄 아버스노트는 1,406표(36.5%)를 얻었다.[49][24] 두 후보 간 표차는 1,036표(27.0%)였다. 총 투표수는 3,848표(69.0%)였으며, 등록 유권자는 5,578명이었다.

5. 1. 5. 1870년대

1874년 영국 총선에서 게이츠헤드 선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53][50]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자유당월터 제임스4,25075.1+11.6
보수당리처드 포스터1,39624.7신규
무소속 자유당윌리엄 아버스노트[51]120.2-36.3
과반수 득표2,85450.4+23.4
투표율5,65857.8-11.2
유권자9,782
자유당 유지, 변동 +24.0



아버스노트 후보는 선거 전날 후보직에서 물러났다.[52]

5. 1. 6. 1880년대

1880년 영국 총선에서 게이츠헤드 선거구의 유권자는 11,551명이었다.[53] 자유당 소속 월터 제임스 후보가 5,749표(78.5%)를 얻어 당선되었다. 보수당 소속 게인스퍼드 브루스[54] 후보는 1,570표(21.5%)를 얻었다. 두 후보 간 표차는 4,179표(57.0%)였다. 투표율은 63.4%였다.[28]

1885년 영국 총선에서 게이츠헤드 선거구의 유권자는 13,206명이었다.[56] 자유당 소속 월터 제임스 후보가 5,756표(65.6%)를 얻어 당선되었다. 보수당 소속 제임스 헨리 바텀리[55] 후보는 3,024표(34.4%)를 얻었다. 두 후보 간 표차는 2,732표(31.2%)였다. 투표율은 66.5%였다.[31]

1886년 영국 총선에서는 자유당 소속 월터 제임스 후보가 단독 출마하여 무투표 당선되었다.[56]

5. 1. 7. 1890년대

1892년 영국 총선에서 게이츠헤드 선거구에서는 자유당 후보 월터 제임스가 51.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자유연합당 후보 판델리 랄리는 48.5%를 득표했다.[56]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자유당월터 제임스5,33651.4N/A
자유연합당판델리 랄리5,04348.5New
과반수 득표2932.9N/A
투표율10,37976.4N/A
유권자13,581



월터 제임스 의원이 상원의원으로 추대되면서 1893년 재보궐선거가 치러졌다. 이 선거에서는 자유당 후보 윌리엄 앨런이 53.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자유연합당 후보 판델리 랄리는 46.4%를 득표하였다.[56]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자유당윌리엄 앨런6,43453.6+2.2
자유연합당판델리 랄리5,56646.4-2.1
과반수 득표8687.2+4.3
투표율12,00085.2+8.8
유권자14,090



1895년 영국 총선에서는 자유당 후보 윌리엄 앨런이 52.0%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다. 자유연합당 후보 J. 루커스는 48.0%를 득표했다.[56]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자유당윌리엄 앨런6,13752.0+0.6
자유연합당J. 루커스5,65448.0-0.5
과반수 득표4834.0+1.1
투표율11,79182.0+5.6
유권자14,383


5. 1. 8. 1900년대



1900년 총선에서 자유당 소속 윌리엄 앨런 의원이 6,657표(53.8%)를 얻어 당선되었다.[56] 자유 연합당의 존 셔번 후보는 5,711표(46.2%)를 얻었다. 앨런 의원의 득표율은 이전 선거에 비해 1.8%p 증가했고, 두 후보 간 득표수 차이는 946표(7.6%p)였다. 전체 투표수는 12,368표(74.3%)로 7.7%p 감소했다.[56]

1904년 재보궐선거에서는 자유-노동 (Lib-Lab) 연합의 존 존슨 후보가 8,220표(54.0%)를 득표하여 당선되었다.[56] 자유 연합당의 찰스 하워드 후보는 7,015표(46.0%)를 얻었다. 존슨 후보의 득표율은 이전보다 0.2%p 증가했고, 두 후보 간 득표수 차이는 1,205표(8.0%p)였다. 전체 투표수는 15,235표(84.9%)로 10.6%p 증가했다.

1906년 총선에서는 자유-노동 연합의 존 존슨 후보가 9,651표(65.3%)를 얻어 재선에 성공했다.[56] 자유 연합당의 시어도어 앤지어 후보는 5,126표(34.7%)를 얻었다. 존슨 후보의 득표율은 11.5%p 증가했고, 두 후보 간 득표수 차이는 4,525표(30.6%p)였다. 전체 투표수는 14,777표(79.4%)로 5.1%p 증가했다.

5. 1. 9. 1910년대

1910년 1월 영국 총선에서 자유당의 해럴드 엘버스턴이 6,800표(40.7%)를 얻어 당선되었다. 자유 연합당의 니콜라스 그라탄-도일은 6,323표(37.9%), 노동당의 존 존슨은 3,572표(21.4%)를 얻었다. 엘버스턴은 과반수 477표(2.8%)로 당선되었으며, 투표율은 87.2%였다.

1910년 12월 영국 총선에서는 자유당의 해럴드 엘버스턴이 8,763표(61.0%)를 얻어 재선되었다. 보수당의 허버트 서티스는 5,608표(39.0%)를 얻었다. 엘버스턴은 과반수 3,155표(22.0%)로 당선되었으며, 투표율은 75.1%였다.

1918년 영국 총선에서는 연합당의 허버트 서티스가 17,215표(56.9%)를 얻어 당선되었다. 노동당의 존 브라더턴은 7,212표(23.8%), 자유당의 해럴드 엘버스턴은 5,833표(19.3%)를 얻었다. 서티스는 과반수 10,003표(33.1%)로 당선되었으며, 투표율은 54.6%였다.

5. 1. 10. 1920년대

1922년 총선에서 노동당의 존 브라더턴 후보가 43.8%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보수당의 허버트 서티스 후보는 31.3%, 자유당의 존 디키 후보는 24.9%를 득표했다. 노동당은 보수당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1923년 총선에서는 자유당의 존 디키 후보가 42.7%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노동당의 존 브라더턴 후보는 41.1%, 보수당의 조지 프랜시스 스티븐 크리스티 후보는 16.2%를 득표했다. 자유당은 노동당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1924년 총선에서는 노동당의 존 베켓 후보가 50.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보수당의 힐턴 필립슨 후보는 30.2%, 자유당의 존 디키 후보는 19.6%를 득표했다. 노동당은 자유당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1929년 총선에서는 노동당의 제임스 멜빌 후보가 52.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보수당의 이언 오어-유잉 후보는 21.5%, 자유당의 존 페넬 후보는 19.1%, 무소속 자유당의 존 레너드 왓슨 후보는 6.8%를 득표했다. 노동당은 의석을 유지하였다.

5. 1. 11. 1930년대

1931년 5월 1일 제임스 멜빌 의원의 사망으로 6월 8일 재보궐선거가 치러졌다. 이 선거에서 노동당 후보 허버트 에반스가 51.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으나, 허버트 에반스 의원 또한 10월 7일 사망하였다. 공교롭게도 이날은 영국 의회가 차기 총선을 앞두고 해산된 날이었기에 재보궐선거는 총선으로 대체되었다.

1931년 영국 총선에서 국민자유당 후보 토머스 매그네이가 60.0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노동당 후보 어니스트 베빈은 37.73%를 득표했다. 한편, 보수당의 찰스 와이트 후보는 1931년 10월 15일 후보직에서 사퇴하였으며, 새로운당의 바 후보와 국민노동당의 펜넬 후보도 사퇴하였으나 투표용지에는 이름이 그대로 남아 있었다.

1935년 영국 총선에서는 국민자유당 후보 토머스 매그네이가 52.72%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하였다. 노동당 후보 제임스 윌슨은 47.28%를 득표했다.

5. 1. 12. 1940년대

1945년 영국 총선에서 코니 질라커스가 노동당 후보로 출마하여 67.5%의 득표율(36,736표)로 당선되었다. 상대 후보인 국민자유당의 토머스 매그네이는 32.5%의 득표율(17,719표)을 얻었다. 질라커스는 19,017표 차이로 승리했으며, 투표율은 76.0%였다.

5. 2. 2010년 ~ 현재

선거의원[34]정당비고
style="background-color: " |2010년이안 먼스노동당
2024년선거구 폐지



2010년 총선에서 노동당의 이안 먼스 후보가 54.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40][41] 자유민주당의 프랭크 힌들 후보는 21.3%, 보수당의 헤이즐 앤더슨 후보는 14.9%를 득표하였다.

2015년 총선에서는 이안 먼스 후보가 56.8%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하였다.[42] 영국 독립당의 존 테넌트 후보는 17.8%, 보수당의 토머스 스미스 후보는 14.5%, 자유민주당의 프랭크 힌들 후보는 6.8%를 득표하였다.

2017년 총선에서는 이안 먼스 후보가 65.1%의 득표율로 3선에 성공하였다. 보수당의 로렌 행킨슨 후보는 23.9%, 영국 독립당의 마크 벨 후보는 5.4%, 자유민주당의 프랭크 힌들 후보는 4.1%를 득표하였다.

2019년 총선에서는 이안 먼스 후보가 53.6%의 득표율로 4선에 성공하였다.[44] 보수당의 제인 맥빈 후보는 34.7%, 자유민주당의 피터 모건 후보는 7.3%를 득표하였다.

5. 2. 1. 2010년대

2010년 총선에서 노동당의 이안 미언스 후보가 54.1%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15][16] 자유민주당의 프랭크 힌들 후보는 21.3%, 보수당의 헤이젤 앤더슨 후보는 14.9%를 득표하였다.

2015년 총선에서는 이안 미언스 후보가 56.8%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하였다.[17] 영국 독립당의 존 테넌트 후보는 17.8%, 보수당의 토마스 스미스 후보는 14.5%, 자유민주당의 프랭크 힌들 후보는 6.8%를 득표하였다.

2017년 총선에서는 이안 미언스 후보가 65.1%의 득표율로 3선에 성공하였다. 보수당의 로렌 행킨슨 후보는 23.9%, 영국 독립당의 마크 벨 후보는 5.4%, 자유민주당의 프랭크 힌들 후보는 4.1%를 득표하였다.

2019년 총선에서는 이안 미언스 후보가 53.6%의 득표율로 4선에 성공하였다.[19] 보수당의 제인 맥빈 후보는 34.7%, 자유민주당의 피터 모언 후보는 7.3%를 득표하였다.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Electorate Figures - Boundary Commission for England http://www.boundaryc[...] Boundary Commission for England 2011-03-04
[2] 웹사이트 The 2023 Review of Parliamentary Constituency Boundaries in England – Volume one: Report – North East {{!}} Boundary Commission for England https://boundarycomm[...] 2023-07-29
[3] 웹사이트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 1832 https://vlex.co.uk/v[...] 2022-09-13
[4] 웹사이트 Representation of the People Act 1948 https://www.legislat[...]
[5] 서적 The Statutes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Ireland, Passed in the ... [1807-69]. https://books.google[...] His Majesty's statute and law Printers 1832
[6] 웹사이트 HMSO Boundary Commission Report 1832, Gateshead https://www.visionof[...]
[7] 서적 Boundaries of parliamentary constituencies 1885-1972; https://www.worldcat[...] Political Reference Publications 1972
[8] 웹사이트 The Parliamentary Constituencies (England) Order 2007 https://www.legislat[...]
[9] Rayment-hc 2012-03
[10] 서적 The Assembled Commons or Parliamentary Biographer: 1838 https://books.google[...] 2018-11-05
[11] 웹사이트 Battersea High Street area https://www.ucl.ac.u[...] University College London 2013
[12] 간행물 Chapter 5. Appropria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Parliamentary Liberal Party 2011-10-17
[13] 서적 William Gladstone: New Studies and Perspectives Routledge 2018-05-10
[14] 서적 Palmerston and Liberalism: 1855-1865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5-10
[15] 웹사이트 Election Data 2010 http://www.electoral[...] Electoral Calculus 2015-10-17
[16] 웹사이트 Official results http://www.gateshead[...] Gateshead Council
[17] 웹사이트 Election Data 2015 http://www.electoral[...] Electoral Calculus 2015-10-17
[18] 웹사이트 Greens name election candidates http://www.thenorthe[...] 2015-01-15
[19] 웹사이트 Statement of Persons Nominated and Notice of Poll https://www.gateshea[...] 2019-11-14
[20] 서적 List of Electors of the Borough of Gateshead Arranged as they used their Elective Franchise at the first contested election, July 27, 1837 https://books.google[...] W. Stephenson 2020-04-13
[21] 뉴스 Gateshead Election https://www.britishn[...] 1852-07-10
[22] 뉴스 Dinner to Ralph Walters, Esq. at Gateshead https://www.britishn[...] 1852-07-31
[23] 뉴스 Election Intelligence https://www.britishn[...] 1852-07-07
[24] 뉴스 Gateshead https://www.britishn[...] 1868-10-31
[25] 뉴스 Gateshead https://www.britishn[...] 1874-01-31
[26] 뉴스 Gateshead https://www.britishn[...] 1874-01-28
[27] 뉴스 Gateshead - Close of the Poll https://www.britishn[...] 1874-02-05
[28] 서적 British Parliamentary Election Results 1832-1885 Macmillan Press 1977
[29] 뉴스 The General Election https://www.britishn[...] 1880-04-03
[30] 뉴스 Presentation to Mr J. H. Bottomley https://www.britishn[...] 1886-04-23
[31] 문서 British Parliamentary Election Results 1885-1918, FWS Craig
[32] 웹인용 Electorate Figures - Boundary Commission for England http://www.boundaryc[...] Boundary Commission for England 2011-03-13
[33] 웹사이트 List of Labour MPs elected in 2015 by % majority http://www.ukpolitic[...] UK Political.info 2017-01-29
[34] Rayment-hc 2012-03
[35] 서적 The Assembled Commons or Parliamentary Biographer: 1838 https://books.google[...] 2018-11-05
[36] 웹인용 Battersea High Street area https://www.ucl.ac.u[...] University College London 2013
[37] 저널 Chapter 5. Appropriation and the Formation of the Parliamentary Liberal Party 2011-10-17
[38] 서적 William Gladstone: New Studies and Perspectives Routledge 2018-05-10
[39] 서적 Palmerston and Liberalism: 1855-1865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5-10
[40] 웹인용 Election Data 2010 http://www.electoral[...] Electoral Calculus 2015-10-17
[41] 웹사이트 Official results http://www.gateshead[...]
[42] 웹인용 Election Data 2015 http://www.electoral[...] Electoral Calculus 2015-10-17
[43] 웹인용 Greens name election candidates http://www.thenorthe[...]
[44] 웹인용 Statement of Persons Nominated and Notice of Poll https://www.gateshea[...] 2019-11-14
[45] 서적 List of Electors of the Borough of Gateshead Arranged as they used their Elective Franchise at the first contested election, July 27, 1837 https://books.google[...] W. Stephenson 2020-04-13
[46] 뉴스 Gateshead Election https://www.britishn[...] 1852-07-10
[47] 뉴스 Dinner to Ralph Walters, Esq. at Gateshead https://www.britishn[...] 1852-07-31
[48] 뉴스 Election Intelligence https://www.britishn[...] 1852-07-07
[49] 뉴스 Gateshead https://www.britishn[...] 1868-10-31
[50] 뉴스 Gateshead https://www.britishn[...] 1874-01-31
[51] 뉴스 Gateshead https://www.britishn[...] 1874-01-28
[52] 뉴스 Gateshead - Close of the Poll https://www.britishn[...] 1874-02-05
[53] 서적 British Parliamentary Election Results 1832-1885 Macmillan Press 1977
[54] 뉴스 The General Election https://www.britishn[...] 1880-04-03
[55] 뉴스 Presentation to Mr J. H. Bottomley https://www.britishn[...] 1886-04-23
[56] 문서 British Parliamentary Election Results 1885-1918, FWS Crai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