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스트라빈스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결혼》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가 1913년에 구상하여 1923년에 완성한 발레 칸타타이다. 표트르 키레예프스키가 수집한 러시아 결혼식 가사를 바탕으로 작곡되었으며, 소프라노, 메조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 독창자, 혼성 합창, 타악기, 피아노 4대로 구성된다. 작품은 4개의 장면으로 구성되며, 결혼식의 다양한 모습을 묘사한다. 1923년 파리 초연 당시 호평을 받았으나, 런던 공연에서는 비판적인 평가를 받기도 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스트라빈스키의 대표작으로 평가받으며, 다양한 안무 버전과 음반으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레 루스 작품목록 - 불새 (발레)
불새는 러시아 민담을 바탕으로 이고르 스트라빈스키가 작곡하고 미하일 포킨이 안무한 발레 작품으로, 1910년 파리에서 초연되어 스트라빈스키를 세계적인 작곡가로 만들었다. - 발레 루스 작품목록 - 페트루시카 (발레)
이고르 스트라빈스키가 작곡한 발레 페트루시카는 1830년대 상트페테르부르크 사육제 시장을 배경으로 인형극 등장인물인 페트루슈카, 발레리나, 무어인의 삼각관계를 통해 인형의 비극적인 사랑과 질투, 인간적인 감정을 표현하며 러시아 민속 음악과 사육제의 활기찬 분위기를 담아낸 작품이다.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작품 - 시편 교향곡
시편 교향곡은 이고르 스트라빈스키가 작곡한 관현악곡으로, 시편 150편을 가사로 사용하고 옥타토닉 음계와 푸가 기법을 활용하며 대규모 합창단과 관현악을 위해 작곡되었다.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작품 - 불새 (발레)
불새는 러시아 민담을 바탕으로 이고르 스트라빈스키가 작곡하고 미하일 포킨이 안무한 발레 작품으로, 1910년 파리에서 초연되어 스트라빈스키를 세계적인 작곡가로 만들었다.
결혼 (스트라빈스키) | |
---|---|
기본 정보 | |
제목 (프랑스어) | Les Noces |
제목 (러시아어) | Свадебка |
장르 | 발레 칸타타 |
공연 정보 | |
작품 기반 | 러시아 농민 결혼식 |
안무가 | 브로니슬라바 니진스카 |
작곡가 |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
초연일 | 1923년 6월 13일 |
초연 장소 | 테아트르 드 라 가이테, 파리 |
발레단 | 발레 뤼스 |
무대 디자이너 | 나탈리아 곤차로바 |
2. 구성
스트라빈스키는 1913년에 발레를 처음 구상하고 1917년 10월에 약보로 완성했다. 그는 표트르 키레예프스키가 수집하고 1911년에 출판한 노래에서 주로 가져온 러시아 결혼식 가사를 사용하여 대본을 직접 썼다. 긴 준비 기간 동안 오케스트레이션이 극적으로 변경되었다. 스트라빈스키는 처음에 ''봄의 제전''과 유사한 확장된 교향악단을 사용할 계획이었다.
스트라빈스키는 소프라노, 메조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 독주자, 혼성 합창단, 두 그룹의 타악기 (4 대의 피아노를 포함한 음조 타악기, 무음 타악기)와 같은 편성을 하였다. 이 오케스트레이션은 《봄의 제전》 이후 10년 동안 스트라빈스키가 점점 더 무거워지고 깨끗하고 기계적인 사운드 그룹에 대한 경향을 보여주지만, 그는 다시는 타악기만으로 그렇게 극단적인 음향 효과를 만들어내지 못했다.
- 성악: 소프라노, 메조소프라노, 테너, 베이스, 혼성 4부 합창
- 타악기 합주: 팀파니, 큰북, 탬버린, 트라이앵글, 심벌즈, 작은북 2, 필드 드럼 2, 목금, 크로탈, 차임
- 4대의 피아노
1913년에 ''결혼''을 구상한 스트라빈스키는 1917년 10월까지 표트르 키레예프스키가 수집하여 1911년에 출판한 러시아 결혼 가사를 사용하여 자신이 직접 쓴 대본에 맞춰 약보로 이 작품을 완성했다.
이 긴 창작 기간 동안 관현악 편성은 극적으로 변화했다. 스트라빈스키는 처음에는 ''봄의 제전''과 유사한 규모의 악기를 사용할 계획이었다. 나중에는 자동 피아노를 포함한 동기화된 롤 작동 악기를 사용하려는 아이디어를 떠올렸지만, 파리의 플레옐사가 그가 필요로 했던 두 개의 건반 침발롬(루테알)을 늦게 제작하면서 부분적으로 완성된 상태에서 이 계획을 포기했다.
스트라빈스키는 약보를 쓴 지 6년 후인 1923년에 소프라노, 메조 소프라노, 테너 및 베이스 성악 솔리스트, 혼성 합창단, 무조 타악기, 그리고 유조 타악기, 특히 피아노 4대로 구성을 최종 결정했다. 이 결정은 ''봄의 제전'' 이후 10년 동안 그가 점점 더 선호하게 된 단순하고 명확하며 기계적인 음향 집단을 보여주는 것이었다(그는 이후 타악기만으로 이처럼 극단적인 음향 효과를 다시는 내지 않았다).
3. 편성
스트라빈스키는 소프라노, 메조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 독주자, 혼성 합창단, 타악기 그룹(4대의 피아노를 포함한 유율 타악기, 무율 타악기)으로 편성했다.[2][3]
성악 | 타악기 합주 | 피아노 |
---|---|---|
4. 작품 성립의 경위
스트라빈스키는 1913년에 ''결혼''을 처음 구상했고, 1917년 10월에 약보로 작품을 완성했다. 그는 표트르 키레예프스키가 수집하여 1911년에 출판한 러시아 결혼식 가사를 주로 사용하여 대본을 직접 썼다.[24] 긴 준비 기간 동안 오케스트레이션은 극적으로 변경되었다. 스트라빈스키는 처음에 ''봄의 제전''과 유사한 확장된 교향악단을 사용할 계획이었다.
스트라빈스키는 소프라노, 메조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 독주자, 혼성 합창단, 두 그룹의 타악기(4 대의 피아노를 포함한 음조 타악기, 무음 타악기)와 같은 편성을 하였다.
1917년 10월까지 그는 자신이 직접 쓴 대본에 맞춰 약보로 이 작품을 완성했다. 이 긴 창작 기간 동안 관현악 편성은 극적으로 변화했다. 스트라빈스키는 처음에는 ''봄의 제전''과 유사한 규모의 악기를 사용할 계획이었다. 나중에는 자동 피아노를 포함한 동기화된 롤 작동 악기를 사용하려는 아이디어를 떠올렸지만, 파리의 플레옐사가 그가 필요로 했던 두 개의 건반 침발롬(루테알)을 늦게 제작하면서 부분적으로 완성된 상태에서 이 계획을 포기했다.
스트라빈스키는 약보를 쓴 지 6년 후인 1923년에 다음과 같은 구성을 최종적으로 결정했다: 소프라노, 메조 소프라노, 테너 및 베이스 성악 솔리스트; 혼성 합창단; 무조 타악기; 그리고 유조 타악기, 특히 피아노 4대.
1962년에 그는 회상했다: "내가 처음 디아길레프에게 ''결혼''을 연주했을 때… 그는 울면서 우리 [발레단]의 가장 아름답고 순수한 러시아 창조물이라고 말했다. 내 생각에 그는 내 다른 작품보다 ''결혼''을 더 사랑했던 것 같다. 그래서 이 작품을 그에게 헌정한다."[3]
''결혼'' (스트라빈스키)의 작품 구상은 1912년경에 싹텄다고 하지만[23], 실제로 착수한 것은 1914년이다. 같은 해, 스트라빈스키는 키예프에서 러시아 민요집을 수집, 그 안에 포함된 결혼에 관한 여러 민요 시에서 본 작품의 대본을 구성했다.[24] 작곡은 1914년에 몽트뢰에서 착수, 1915년에는 세르게이 디아길레프에게 처음 2장을 연주해서 들려주었다.[25] 《여우》의 작곡을 위해 일시적으로 작업을 중단하고, 《나이팅게일의 노래》의 편곡 등의 작업에 시간을 뺏기면서도, 1917년에 성악 파트를 포함한 쇼트 스코어를 일단 완성하고, 오케스트레이션에 착수하게 된다. 당초에는 대관현악에 의한 편성을 생각했지만, 규모가 너무 커지는 것을 우려하여 파기했다고 한다. 같은 해 가을에는 소 오케스트라에 의한 편성이 제1장까지 종료되었지만, 역시 단념한다. 1919년에는 자동 피아노 (피아노라), 전기 하모늄, 타악기 앙상블, 2대의 침발롬을 사용한 편성으로 작업을 진행, 제2장까지 종료되었지만, 연주의 어려움을 고려하여 이것도 중단한다.
1923년 6월에 무대 상연이 결정되어, 절박한 상황에 몰린 가운데 4대의 피아노와 타악기 앙상블에 의한 스코어가 같은 해 4월 6일에 모나코에서 완성된다. 작품은 디아길레프에게 헌정되었다. 초연에 앞서 에드몽 드 폴리냐크 공작 부인 저택에서 비공개로 상연되었다.
5. 공연
이 작품은 1923년 6월 13일 파리에서 발레 뤼스에 의해 초연되었으며, 브로니스와바 니진스카가 안무를 맡고 에르네스트 앙세르메가 지휘했다. 4대의 피아노와 타악기로 구성된 기악 앙상블이 사용되었다.[5]
1926년 6월 14일 폐하의 극장에서 열린 런던 초연에서는 프란시스 풀랑, 조르주 오리크, 비토리오 리에티, 버논 듀크가 피아노 파트를 연주했다.[6] 1959년 스트라빈스키가 영어 대본을 사용하여 녹음했을 때는 사무엘 바버, 아론 코플런드, 루카스 포스, 로저 세션스가 피아니스트로 참여했다.[7] 1962년 3월 23일 런던 코벤트 가든에서 열린 발레 부활 공연에서는 존 가드너, 말콤 윌리엄슨, 리처드 로드니 베넷, 에드먼드 루브라가 피아노 파트를 연주했다.[8]
1919년 버전의 ''Les Noces''는 심벌롬, 하모니엄, 피아놀라와 함께 1981년 파리에서 피에르 불레즈의 지휘로 초연되었다.[9]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은 스티븐 스타키에게 편곡을 의뢰하여 2008년 5월 29일 월트 디즈니 콘서트 홀에서 에사-페카 살로넨 지휘로 초연했다. 이 편곡은 스트라빈스키의 타악기 파트를 유지하면서 4대의 피아노를 대규모 오케스트라로 교체했다.
스트라빈스키가 미완성으로 남겨둔 피아놀라가 포함된 버전은 네덜란드 작곡가 테오 베르베이가 완성하여 2009년 네덜란드에서 공연되었다.[10]
잉글리시 국립 발레단은 2023년 9월 새들러스 웰스 극장에서 안드레아 밀러의 안무로 ''결혼''의 새로운 버전을 공연했다.[11]
1926년에는 유진 구센스의 지휘, 풀랑크, 리에티, 오리크, 버논 듀크의 피아노로 런던 초연, 같은 해에는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도 카네기 홀에서 알프레도 카셀라, 조르주 에네스쿠, 제르멘 타이유페르, 카를로스 살세도의 피아노로 미국 초연을 했다.
1959년에는 뉴욕에서 작곡가 자신이 바버, 코플런드, 세션스, 포스를 피아니스트로 맞이하여 지휘했다.
1973년에는 라미로 코르테스와 로버트 크래프트에 의해 보완된 소 오케스트라에 의한 1917년 판이 뉴욕에서 초연되었고, 1981년에는 피에르 불레즈가 자동 피아노와 2대의 씸벌룸 외의 편성에 의한 1919년 판을 초연했다.
2005년의 플레장스 음악제에서는 1917년 판, 1919년 판, 1923년 판이 집중적으로 연주되었고, 같은 해, 몬트리올에서 르네 보스크에 의해 보완된 1919년 판이 연주되었다.
6. 작품의 내용
스트라빈스키는 1913년 발레를 처음 구상하고 1917년 10월 짧은 악보로 완성했다. 그는 표트르 키레예프스키가 수집하고 1911년에 출판한 노래에서 주로 가져온 러시아 결혼식 가사를 사용하여 대본을 직접 썼다. 긴 준비 기간 동안 오케스트레이션이 극적으로 변경되었다. 스트라빈스키는 처음에 ''봄의 제전''과 유사한 확장된 교향악단을 사용할 계획이었다.
스트라빈스키는 소프라노, 메조 소프라노, 테너, 베이스 독주자, 혼성 합창단, 두 그룹의 타악기 (4 대의 피아노를 포함한 음조 타악기, 무음 타악기)와 같은 편성을 하였다. 이 오케스트레이션은 《봄의 제전》 이후 10년 동안 스트라빈스키가 점점 더 무거워지고 깨끗하고 기계적인 사운드 그룹에 대한 경향을 보여주지만, 그는 다시는 타악기만으로 그렇게 극단적인 음향 효과를 만들어내지 못했다.
작품은 2부 구성이며, 제1부는 다시 3장으로 나뉜다. 등장인물이 특정 성악가와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이 큰 특징이다. 교회 선법적, 혹은 러시아 민요적인 선율은 제4장을 제외하고 모두 스트라빈스키 자신이 작곡한 오리지널이다. 타악기를 중심으로 한 기악 파트는 피아노나 실로폰도 선율적이라기보다는 타악기적으로 다루어진다. 스트라빈스키에 따르면 이 작품은 시골의 결혼식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자유로운 디베르티스망풍이 될 것이라고 한다.
6. 1. 제1부
발레 칸타타는 중단 없이 연주되는 네 개의 장면으로 구성된다.[4]제1부 | ||
---|---|---|
1 | 코사 | 머리카락 땋기 |
2 | 우 제니하 | 신랑 집에서 |
3 | 프로보디 네베스티 | 신부의 작별 |
; 제1장
:* 땋은 머리 (신부의 집에서) - 결혼식을 위해 신부인 나스타샤 티모페예브나의 머리를 땋고 장식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제2장
:* 신랑의 집에서 - 신랑인 페티스 판필리에비치의 측이 결혼 준비를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 제3장
:* 신부의 출발 - 매우 짧은 장면으로, 곡이 제1장의 것으로 돌아가 신부가 결혼식에 출발한다. 성인들을 향한 기도가 불린다. 신부의 어머니가 "나를 떠나지 말아요, 나의 딸이여"라고 슬픔에 잠겨 눈물을 흘린다. 약한 피아노 트레몰로와 실로폰 소리가 슬프게 울려 퍼지며 사라지는 듯이 끝난다. 이어서 갑자기 시작되는 폭발적인 기쁨의 연회로 끊임없이 이어지며 매우 효과적이다.
6. 2. 제2부
제2부 | ||
---|---|---|
4 | 크라스니 스톨 | 결혼 잔치 |
; 제4장
:* 결혼 축제 - 뚜렷한 줄거리는 없다. 폭발적인 기쁨에 휩싸인다. 술 취한 사람의 딸꾹질이나, 신랑 신부의 침대를 데우는 부부의 노래 등, 소란스러운 일이 벌어진다. 때때로 큰 소리로 외치는 대사와 같은 것도 들린다. 마지막으로 신부와 신랑은 침실 문 너머로 사라지고, 신비로운 종소리가 언제까지나 이어지며 신비로운 두 사람을 축복하는 듯 곡이 끝나고 커튼콜이 된다.[4]
7. 비판적 수용과 유산
''결혼 (스트라빈스키)''은 초연 당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1923년 파리 초연은 열렬한 환영을 받았지만,[12] 3년 뒤 런던 공연은 비평가들로부터 매우 부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에릭 월터 화이트에 따르면 "이 격렬한 공격은 [소설가] H. G. 웰스를 매우 격분시켜 1926년 6월 18일 공개 서한을 썼다."라고 한다.[32] 웰스는 편지에서 "저는 '결혼'만큼 흥미롭고, 재미있고, 신선하며, 거의 그만큼 흥미로운 발레를 알지 못합니다... 이 발레는 촌스러운 영혼을 소리와 시각으로 표현한 것으로, 그 진지함, 의도적이고 단순한 복잡성, 미묘하게 변화하는 리듬과 흥분의 깊은 저류는 그것을 보러 가는 모든 지적인 남녀를 놀라게 하고 기쁘게 할 것입니다."라고 썼다.[13]
티콘 흐렌니코프와 같은 소련 비평가들은 스트라빈스키가 러시아 민속 관습을 조롱하고, 아시아적 원시주의와 성적 동기를 강조한다고 비판했다.[14] 하지만 1929년, 보리스 아사피예프는 "'결혼'의 악보에서 무한한 음악의 샘과 새로운 음악 형식의 방법을 발견할 것"이라고 예견했다.[15]
시간이 흐르면서 ''결혼''은 스트라빈스키의 가장 훌륭하고 독창적인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게 되었다. 스티븐 월시는 1988년에 "'결혼'은 여러 면에서 가장 급진적이고, 가장 독창적이며, 어쩌면 그중 가장 위대한 작품일 것이다."라고 말했다.[16]
하워드 굿올은 ''결혼''의 독특한 음향이 오르프, 바르토크, 메시앙 등 많은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고 지적했다.[17] 릴리언 립먼은 스트라빈스키가 이 작품에 대해 특별한 애정을 갖고 있었다고 회상한다.[18]
1926년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는 카네기 홀에서 미국 초연을 했다. 1959년에는 뉴욕에서 작곡가 자신이 지휘하고 바버, 코플런드 등이 피아노를 연주했다.
대표적인 녹음으로는 작곡가 자신의 1959년 컬럼비아 음반(영어판), 앙세르메의 1961년 데카 음반, 레너드 번스타인의 1977년 도이치 그라모폰 음반 등이 있다. 영상화된 것으로는 1991년 파리 오페라 발레단, 2001년 로열 발레단의 공연 등이 있다.
8. 안무
브로니슬라바 니진스카가 안무를 해석한 《결혼》은 원시 페미니즘이라고 불렸다.[21] 이 작품은 전형적인 결혼식의 긍정적인 분위기에서 벗어나, 여성이 결혼해야 하는 의무의 제한적인 본질을 생생하게 묘사한다. 어둡고 침울한 무대는 단순한 의상과 엄격한 동작의 배경을 제공한다. 니진스카의 안무에서 무용수들의 개성은 사라지고, 결혼이 공동체를 유지하고 성장시키는 방법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미리 정해진 길을 걷는 배우들을 보여준다. 안무는 상징성을 발산하며, 옹기종기 모여 여성들은 마치 그들의 투쟁과 궁극적인 경의를 이야기하려는 듯, 엄격한 강도로 토슈즈로 바닥을 반복해서 두드린다. 러시아 농민 문화와 그 문화가 사람들에게 불러일으키는 충실함이 니진스카의 작품에 나타난다.
초연은 1923년 6월 13일 파리의 게테 리릭 극장에서 발레 뤼스에 의해 상연되었다. 텍스트는 스트라빈스키가 신뢰를 보냈던 샤를 페르디낭 라뮈에 의해 프랑스어로 번역되었다. 안무는 소비에트 연방에서 망명한 지 1년도 안 된 브로니슬라바 니진스카, 미술과 의상은 나탈리아 곤차로바, 지휘는 에르네스트 앙세르메가 담당했다.
4대의 피아노는 조르주 오리크, 마르셀 메이에, 에두아르 플라망(Edouard Flament), 엘렌 리옹(Hélène Lyon)이 맡았다. (당초에는 프랑시스 풀랑크와 비토리오 리에티가 예정되어 있었지만, 두 사람은 병으로 취소했다.)
무용수로서 신부는 펠리아 두브롭스카(Felia Doubrovska), 신랑은 레옹 보이치코프스키(Léon Woïzikovsky)가 연기했다. 스트라빈스키 자신은 초연에서의 지휘와 미술은 칭찬했지만, 전체적인 연출에 관해서는 초연 전부터 디아길레프에게 불만을 토로했다.
1966년에 재현된 니진스카 버전은 현재도 영국 로열 발레단의 레퍼토리로 남아있다.[27] 니진스카 버전은 이 작품의 표준으로 많은 극장, 발레단, 이벤트 등에서 상연되고 있으며, 그 외에 이리 킬리안, 앙줄랭 프렐조카주에 의한 버전 등이 있다.
일본에서는 1998년에 도쿄의 여름 음악제에서 도쿄 발레단에 의한 니진스카 버전의 일본 초연과 발레·프렐조카주에 의한 프렐조카주 버전의 상연이 이루어졌으며, 2013년에는 신국립극장에서도 니진스카 버전이 상연되었다.
참조
[1]
뉴스
Why Is Bronislava Nijinska Still Waiting in the Wings? - With a new biography and a production of "Les Noces," the time has come to reconsider the choreographer, whose work and reputation have languished in the shadows.
https://www.nytimes.[...]
2023-03-14
[2]
웹사이트
History of the Pianola – Pianolists
http://www.pianola.o[...]
[3]
서적
Expositions and Developments
Faber
1962
[4]
서적
Les Noces: scènes chorégraphiques Russes [score]
https://archive.org/[...]
J. & W. Chester
[5]
문서
The New Grove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Macmillan
2001
[6]
서적
Stravinsky, the Composer and His Work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5-06-02
[7]
서적
Jerome Robbins: His Life, His Theater, His Dance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015-06-02
[8]
웹사이트
John Gardner website
http://www.johnlinto[...]
[9]
간행물
Stravinsky Pre-Centenary
1980
[10]
웹사이트
The Village Wedding
http://www.svadebka.[...]
2015-06-02
[11]
웹사이트
'Why don't we know more of her? It's upsetting': dance genius Bronislava Nijinska
https://www.theguard[...]
2023-10-19
[12]
서적
Igor Stravinsky, a Creative Spring
Jonathan Cape
1999
[13]
서적
Stravinsky, a Critical Survey
John Lehmann
1947
[14]
문서
“Za tvorchestvo, dostoinoe sovetskogo naroda” [For creative arts which Soviet people deserve]
1948
[15]
서적
A Book about Stravinsky
UMI Research Press
1929
[16]
서적
The Music of Stravinsky
Routledge
1988
[17]
서적
The Story of Music
Chatto and Windus
2013
[18]
서적
And Music at the Close, Stravinsky's Last Years
MacMillan
1972
[19]
문서
Building a Library
2000-05-06
[20]
Youtube
René Bosc conducts "Les Noces" by Igor Stravinsky (1923)
https://www.youtube.[...]
[21]
뉴스
Dance Kaleidoscope on same-sex marriage
http://www.nuvo.net/[...]
Nuvo
2013-05-15
[22]
문서
Les Noces
1993
[23]
문서
1979
[24]
간행물
Stravinsky's Svadebka (1914-23) as the "Direct Quotation of Popular – i.e. Non-Literary – Verse"
http://www.ex-tempor[...]
[25]
문서
自伝
[26]
문서
1999
[27]
뉴스
Les Noces
http://www.ballet.co[...]
2003-07
[28]
서적
Stravinsky, the Composer and His Work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5-06-02
[29]
서적
Jerome Robbins: His Life, His Theater, His Dance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015-06-02
[30]
웹사이트
John Gardner website
http://www.johnlinto[...]
[31]
웹인용
The Village Wedding
http://www.svadebka.[...]
2015-06-02
[32]
서적
Igor Stravinsky, a Creative Spring
Jonathan Cape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