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기도의회는 경기도의 정책, 입법, 예산 심의 및 결정, 행정 감시, 청원 처리 등 경기도의 운영에 관한 사항을 심의·결정하는 주민 대표 기관이다. 의원들은 주민에 의해 선출되며, 조례 제정, 예산 심의, 행정사무 감사 등의 권한을 갖는다. 의장은 의회를 대표하고 사무를 감독하며, 의장단과 위원회, 사무처로 구성된다.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각각 78석을 확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경기도의 정치 - 경기도의 분할
경기도의 분할은 경기도를 남북 또는 4개 도 등으로 나누려는 논의를 포괄하며, 조선 시대에는 경기좌도와 경기우도로 구분되었고, 1991년부터 분할 주장이 제기되어 경기 남·북도로 분할하는 법률안이 발의되기도 했다. - 경기도의 정치 -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의회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기도의회는 2018년에 치러진 선거로, 더불어민주당이 압도적인 다수 의석을 확보하여 지역구 128석과 비례대표 7석을 얻었다. - 수원시 소재의 관공서 - 수원지방법원
수원지방법원은 경기도 남부 지역을 관할하며 수원시 영통구에 본원을 두고 성남, 여주, 평택, 안산, 안양에 지원을 두어 여러 시·군 법원을 통해 관할 지역의 사법 사무를 처리하는 지방법원이다. - 수원시 소재의 관공서 - 경기도청
경기도청은 경기남부와 경기북부를 관할하는 기관으로, 수원시에 본청, 의정부시에 북부청사를 두고 있으며, 도지사 직속 부서와 31개 시·군을 산하에 두고 2018년 기준 21조 원이 넘는 예산으로 운영된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서울특별시교육청
서울특별시교육청은 서울특별시의 교육 행정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교육감과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실·국과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으로 구성되어 교육 연구, 정보 제공, 학생 지원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교원 평가 및 학생 관리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시도교육청 - 부산광역시의회
부산광역시의회는 의장, 부의장,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부산 시정을 심의하고 감독하는 자치입법기관으로, 의회사무처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며, 역대 의장들은 다양한 정당 소속으로 구성되어 왔다.
경기도의회 | |
---|---|
기본 정보 | |
이름 | 경기도의회 |
원명 | Gyeonggido Assembly |
의회 임기 | 경기도의회 |
![]() | |
의회 체제 | 단원제 |
개회 | 1956년 9월 3일 |
의원 정수 | 156석 |
의원 임기 | 4년 |
의장 | 김진경 |
의장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부의장 | 정윤경 |
부의장 정당 | 더불어민주당 |
부의장 2 | 김규창 |
부의장 2 정당 | 국민의힘 |
![]() | |
정당 구성 | |
정당 구성 1 | 더불어민주당 (77) 국민의힘 (76) 개혁신당 (2) |
선거 | |
선거 제도 1 | 보통선거평등선거직접 선거비밀 선거 |
선거 제도 2 | 소선거구제 (141석) 비례대표제 (15석) |
이전 선거 | 2022년 6월 1일 |
의사당 | |
![]() | |
![]() | |
의사당 위치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도청로 30 (이의동)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경기도의회 |
2. 운영
경기도의회는 주민이 선출한 의원들로 구성된 주민 대표 기관으로서, 경기도의 정책 결정, 입법, 예산 심의 등 경기도정 운영 전반에 관한 사항을 심의·의결하고 집행 기관을 감시한다.[1]
경기도의회는 집행부인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에 대한 행정 감시, 주민 청원 처리, 의회 운영에 대한 자율 기능 등 다양한 권한을 갖는다.[1]
2. 1. 주요 권한
경기도의회는 주민이 선출한 의원들로 구성된 주민 대표 기관으로서, 경기도의 정책 결정, 법 제정, 예산 심의 등 경기도정 운영 전반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고 결정하는 의결 권한을 갖는다.[1]경기도의회의 주요 권한은 다음과 같다.[1]
- 조례 제정, 개정 및 폐지
- 예산 심의 및 확정
- 결산 승인
- 법령에 규정된 것을 제외한 사용료, 수수료, 분담금, 지방세 또는 가입금 부과 및 징수
- 기금 설치 및 운용
- 중요 재산 취득 및 처분
- 공공시설 설치, 관리 및 처분
- 예산 외 의무 부담이나 권리 포기
- 청원 수리 및 처리 (단, 재판에 간섭하거나 법령에 위배되는 청원은 제외)
이러한 의결은 조례, 승인, 동의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경기도의회는 집행부인 경기도청과 경기도교육청의 독주나 부당한 행위를 감시하고 시정하는 권한도 갖는다. 이를 위해 매년 1회 행정사무 전반을 감사하며, 필요한 경우 본회의 의결을 통해 특정 사안을 조사하거나 현장 확인, 서류 제출 요구 등을 할 수 있다. 도지사나 관계 공무원은 의회에 출석하여 행정사무 처리 상황을 보고하거나 의견을 진술해야 하며, 의회의 요구 시 출석하여 답변해야 한다.[1]
또한, 경기도의회는 경기도민이나 이해관계자가 행정 집행에 대한 의견이나 희망을 표시하거나, 권리 침해에 대한 구제, 공무원의 비위 시정 등을 요구하는 청원을 처리한다. 청원은 도의원의 소개를 받아 제출해야 한다.[1]
이 외에도 경기도의회는 의사(議事)와 내부 운영에 관한 사항을 독자적으로 결정하고 운영하는 자율권을 갖는다.[1]
2. 2. 행정 감시 권한
경기도의회는 집행부인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의 독주나 부당한 처사를 시정하고 조사하는 행정 감시 기관으로서 권한을 갖는다. 이를 위해 매년 1회 행정사무 전반을 감사하고, 특정한 사안에 관하여 본회의 의결로 조사할 수 있으며, 필요시 현지 확인 또는 집행부에 서류 제출을 요구할 수 있다.[1] 도지사나 관계 공무원은 의회에 출석하여 행정사무 처리 상황을 보고하거나 의견을 진술할 수 있고, 의회가 요구할 경우 출석하여 답변해야 한다.[1]2. 3. 청원 처리 기능
경기도의회는 경기도민이나 경기도에 이해관계를 가진 사람이 경기도의 행정 집행에 대하여 일정한 의견이나 희망을 표시하거나, 주민의 권리나 이익이 침해된 경우 이에 대한 구제를 요구하거나, 공무원의 비위 시정 등을 요구하면 처리하는 청원 처리 기능을 가지고 있다. 경기도의회에 청원하려는 사람은 도의원의 소개를 받아 청원서를 제출해야 하며, 재판에 간섭하거나 법령에 위배되는 내용의 청원은 수리하지 않는다.[1]2. 4. 자율 기능
경기도의회는 의사와 내부 운영에 관한 것을 독자적으로 결정·운영할 자율 기능을 가지고 있다.[1]3. 역대 경기도의회의원 선거 결과
역대 경기도의회 의원 선거는 1956년 제1대 선거를 시작으로 2022년 제11대 선거까지 치러졌다. 각 선거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선거 | 연도 | 의원 수 | 주요 정당 및 의석 수 |
---|---|---|---|
제1대 | 1956년 | 45명 | 민주당 22석, 자유당 14석, 대한독립촉성국민회 1석, 무소속 8석 |
제2대 | 1960년 | 45명 | 민주당 21석, 신민당 11석, 자유당 1석, 무소속 14석 |
제3대 | 1991년 | 117명 | 민주자유당 94석, 신민주연합당 3석, 민주당 3석, 무소속 3석 |
제4대 | 1995년 | 136명 | 민주당 63석, 민주자유당 59석, 무소속 14석 |
제5대 | 1998년 | 97명 | 새정치국민회의 66석, 한나라당 21석, 자유민주연합 10석 |
제6대 | 2002년 | 104명 | 한나라당 90석, 새천년민주당 10석, 민주노동당 1석, 무소속 3석 |
제7대 | 2006년 | 119명 | 한나라당 115석, 열린우리당 2석, 민주당 1석, 민주노동당 1석 |
제8대 | 2010년 | 131명 | 민주당 76석, 한나라당 42석, 국민참여당 2석, 민주노동당 1석, 진보신당 1석, 무소속 2석, 교육의원 7석 |
제9대 | 2014년 | 128명 | 새정치민주연합 78석, 새누리당 50석 |
제10대 | 2018년 | 142명 | 더불어민주당 135석, 자유한국당 4석, 정의당 2석, 바른미래당 1석 |
제11대 | 2022년 | 156명 | 더불어민주당 78석, 국민의힘 78석 |
3. 1. 제1대 경기도의회 (1956년)
1956년 8월 13일에 실시된 1956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45명의 제1대 경기도의원이 선출되었다.
3. 2. 제2대 경기도의회 (1960년)
1960년 12월 12일에 실시된 1960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45명의 제2대 경기도의원이 선출되었다.
3. 3. 제3대 경기도의회 (1991년)
1991년 대한민국 지방 선거를 통해 117명의 제3대 경기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정당별 의석수는 다음과 같다.정당 | 합계 |
---|---|
민주자유당 | 94 |
신민주연합당 | 3 |
민주당 | 3 |
무소속 | 3 |
3. 4. 제4대 경기도의회 (1995년)
1995년 6월 27일에 실시된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36명의 제4대 경기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123명과 비례대표 의원 13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민주당 | 57 | 6 | 63 | |
민주자유당 | 52 | 7 | 59 | |
무소속 | 14 | - | 14 |
3. 5. 제5대 경기도의회 (1998년)
1998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97명의 제5대 경기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88명과 비례대표 의원 9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한나라당 | 956,449 | 35.8% | 3 | |
새정치국민회의 | 1,288,833 | 48.2% | 5 | |
자유민주연합 | 303,934 | 11.3% | 1 | |
국민신당 | 40,754 | 1.5% | 0 | |
무소속 | 84,215 | 3.1% | - |
3. 6. 제6대 경기도의회 (2002년)
2002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04명의 제6대 경기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94명과 비례대표 의원 10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한나라당 | 1,626,024 | 55.00% | 6 | |
새천년민주당 | 952,023 | 32.20% | 3 | |
민주노동당 | 172,111 | 5.82% | 1 | |
자유민주연합 | 114,351 | 3.86% | 0 | |
녹색평화당 | 63,722 | 2.15% | 0 | |
사회당 | 27,965 | 0.94% | 0 |
3. 7. 제7대 경기도의회 (2006년)
2006년 5월 31일에 실시된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19명의 제7대 경기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108명과 비례대표 의원 11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한나라당 | 2,149,158 | 58.89% | 7 |
열린우리당 | 814,896 | 22.33% | 2 |
민주노동당 | 396,113 | 10.85% | 1 |
민주당 | 235,954 | 6.46% | 1 |
국민중심당 | 29,908 | 0.81% | 0 |
희망사회당 | 23,231 | 0.63% | 0 |
3. 8. 제8대 경기도의회 (2010년)
2010년 6월 2일에 실시된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31명의 제8대 경기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112명과 비례대표 의원 12명, 교육의원 7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
style="background-color:#0065BD"| | 민주당 | 71 | 5 | 76 |
style="background-color:#BB0000"| | 한나라당 | 36 | 6 | 42 |
style="background-color:#FF6600"| | 국민참여당 | 1 | 1 | 2 |
style="background-color:#CC0033"| | 민주노동당 | 1 | 0 | 1 |
style="background-color:#990099"| | 진보신당 | 1 | 0 | 1 |
style="background-color:#999999"| | 무소속 | 2 | - | 2 |
style="background-color:black"| | 교육의원 | - | - | 7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style="background-color:#BB0000"| | 한나라당 | 1,864,719 | 41.77% | 6 |
style="background-color:#0065BD"| | 민주당 | 1,667,565 | 37.35% | 5 |
style="background-color:#FF6600"| | 국민참여당 | 436,861 | 9.78% | 1 |
style="background-color:#CC0033"| | 민주노동당 | 207,018 | 4.63% | 0 |
style="background-color:#990099"| | 진보신당 | 108,282 | 2.42% | 0 |
style="background-color:#0054FF"| | 자유선진당 | 99,974 | 2.23% | 0 |
style="background-color:#669900"| | 미래연합 | 67,005 | 1.50% | 0 |
style="background-color:#F495B5"| | 사회당 | 12,415 | 0.27% | 0 |
3. 9. 제9대 경기도의회 (2014년)
2014년 6월 4일에 실시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28명의 제9대 경기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116명과 비례대표 의원 12명이 선출되었다.[1]정당 | 지역구 | 비례대표 | 합계 |
---|---|---|---|
새정치민주연합 | 72 | 6 | 78 |
새누리당 | 44 | 6 | 50 |
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새누리당 | 2,395,867 | 47.59% | 6 |
새정치민주연합 | 2,204,004 | 43.78% | 6 |
정의당 | 191,569 | 3.80% | 0 |
통합진보당 | 157,783 | 3.13% | 0 |
녹색당 | 33,816 | 0.67% | 0 |
노동당 | 29,555 | 0.58% | 0 |
새정치국민의당 | 21,010 | 0.41% | 0 |
3. 10. 제10대 경기도의회 (2018년)
2018년 6월 13일에 실시된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42명의 제10대 경기도의원이 선출되었다. 지역구 의원 129명과 비례대표 의원 13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더불어민주당 | 3,168,149 | 52.81% | 7 |
자유한국당 | 1,528,315 | 25.47% | 3 |
정의당 | 686,579 | 11.44% | 2 |
바른미래당 | 467,000 | 7.78% | 1 |
민주평화당 | 39,734 | 0.66% | 0 |
녹색당 | 31,462 | 0.52% | 0 |
민중당 | 25,687 | 0.42% | 0 |
대한애국당 | 18,353 | 0.30% | 0 |
노동당 | 18,034 | 0.30% | 0 |
우리미래 | 15,341 | 0.25% | 0 |
3. 11. 제11대 경기도의회 (2022년)
2022년 6월 1일에 실시된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156명의 제11대 경기도의원이 선출되었다. 본 선거를 통해 지역구 의원 141명과 비례대표 의원 15명이 선출되었다.정당 | 득표수 | 득표율 | 당선자수 | |
---|---|---|---|---|
국민의힘 | 2,875,636 | 50.12% | 8 | |
더불어민주당 | 2,605,942 | 45.42% | 7 | |
정의당 | 206,703 | 3.60% | 0 | |
진보당 | 22,029 | 0.38% | 0 | |
기본소득당 | 13,487 | 0.23% | 0 | |
녹색당 | 13,158 | 0.22% | 0 |
4. 조직
경기도의회는 의장 1명과 부의장 2명으로 구성된 의장단과 여러 위원회, 그리고 의회 사무를 처리하기 위한 사무처를 두고 있다.[2] 위원회는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로 나뉜다.
4. 1. 의장단
경기도의회의 의장은 1명이며, 부의장은 2명이다.4. 2. 위원회
경기도의회는 상임위원회와 특별위원회로 구성된다. 상임위원회는 특정 분야의 안건을 심사하고, 특별위원회는 특정한 사안에 대해 심사한다.[1]구분 | 위원회 |
---|---|
상임위원회 | 경기도의회 의회운영위원회, 경기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 경기도의회 경제과학기술위원회, 경기도의회 안전행정위원회,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경기도의회 여성가족교육협력위원회, 경기도의회 교육위원회 |
특별위원회 | 경기도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경기도의회 윤리특별위원회 |
4. 2. 1. 상임위원회
경기도의회에는 다음 상임위원회가 설치되어 있다.[1]- 경기도의회 의회운영위원회
- 경기도의회 기획재정위원회
- 경기도의회 경제과학기술위원회
- 경기도의회 안전행정위원회
- 경기도의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 경기도의회 농정해양위원회
- 경기도의회 보건복지위원회
- 경기도의회 건설교통위원회
- 경기도의회 도시환경위원회
- 경기도의회 여성가족교육협력위원회
- 경기도의회 교육위원회
4. 2. 2. 특별위원회
- 예산결산특별위원회
- 윤리특별위원회
4. 3. 사무기구
경기도의회에는 의회사무를 처리하기 위해 사무처를 두고 있다.[2] 사무처에는 총무담당관실, 언론홍보담당관실, 의사담당관실, 도민권익담당관실, 의정기획담당관실, 입법정책담당관실,[3] 예산정책담당관실,[4] 전문위원실이 있다.5. 정당별 의석 수 (현재)
6. 교섭단체
경기도의회는 12명 이상의 의석을 확보한 정당, 또는 교섭단체에 속하지 않은 12명의 의원이 교섭단체를 구성할 수 있다.[5]
참조
[1]
웹인용
경기도의회 운영
https://web.archive.[...]
2015-07-17
[2]
문서
지방이사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3]
문서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4]
문서
지방서기관 또는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5]
웹인용
경기도의회 교섭단체 및 위원회 구성·운영 조례 제2조
http://law.go.kr/ord[...]
대한민국 법제처
2018-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