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주 탈해왕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주 탈해왕릉은 신라 제4대 왕인 탈해 이사금의 무덤이다. 소금강산 남쪽 기슭에 위치하며, 높이 4.5m, 지름 14.3m의 둥근 원형 봉토무덤으로 굴식돌방무덤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에는 금성 북쪽 양정구에 장사지냈다는 기록이 있으며, 『삼국유사』에는 소천구에서 수장 후 유골을 동악에 안치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문무왕은 탈해의 왕릉을 열어 유골을 수습하여 궁정에 안치하고, 소상을 만들어 토함산 탈해사에 봉안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라의 왕릉 - 문무왕
    문무왕은 신라의 제30대 국왕으로 삼국 통일을 완수하고 당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하여 통일 신라의 기틀을 다졌으며, 중앙 집권 체제 강화, 불교 장려 등의 정책을 통해 신라의 안정과 발전에 기여한 군주이다.
  • 신라의 왕릉 - 통일신라
    통일신라는 신라가 삼국을 통일한 668년부터 고려에 병합된 935년까지 한반도 대부분을 지배하며 왕권 강화와 불교 문화 번성, 해상 무역 장악 등 전성기를 누렸으나, 9세기 이후 쇠퇴하여 후삼국 시대를 거쳐 멸망한 시대를 말한다.
  • 경주시의 사적 - 불국사
    불국사는 김대성이 부모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며 중창을 시작하여 신라시대에 완공된 경주시 토함산의 대표적인 사찰로, 석가탑과 다보탑 등 국보급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임진왜란 이후 복원을 거쳐 현재에 이르러 신라 불교 건축의 정수이자 한국 문화유산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 경주시의 사적 - 대릉원
    신라시대 고분군인 대릉원은 경주 황남동 일대에 위치하며 미추왕릉, 천마총, 황남대총 등의 고분이 있고, 특히 천마총에서는 천마도가 그려진 말안장 드리개가 출토되었다.
경주 탈해왕릉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이름慶州 脱解王陵 (경주 탈해왕릉)
다른 이름Tomb of King Talhae, Gyeongju (Tomb of King Talhae, Gyeongju)
지정 번호大韓民国指定史跡 第174号 (대한민국 지정 사적 제174호)
지정일1969년 8월 27일
종류유적, 분구묘 (원분)
大韓民国指定史跡 第174号 (대한민국 지정 사적 제174호) (1969年8月27日指定 (1969년 8월 27일 지정))
위치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 17
면적98,907m² (37,993m²)사적 제 174호 신라 탈해왕릉(新羅 脫海王陵)
축조 시기신라 (서기 80년경)
관리 주체경주시
소유 주체경주시 외
웹사이트국가문화유산포털
추가 정보
문화재 정보 이름경주 탈해왕릉 (慶州 脫海王陵)
유형사적
번호174
지정일 (문화재 정보)1969년 8월 27일
주소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 산17번지
시대신라
면적 (문화재 정보)37,993m²
문화재청13,01740000,37

2. 생애 및 설화

신라 탈해왕(재위 57∼80)의 무덤은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탈해 이사금왜국 동북쪽 1,000리 지점에 있는 다파나국 왕비가 낳은 에서 태어났다. 다파나국 왕은 알을 불길하게 여겨 보물과 함께 궤짝에 넣어 바다에 띄워 보냈다. 처음에는 금관국(김해)에 닿았으나 사람들이 이상하게 여겨 아무도 거두지 않았고, 다시 진한의 아진포에 닿았는데 한 노파가 거두어 키웠다. 궤짝이 떠오를 때 까치 한 마리가 따라다니며 울었다고 하여 까치 작(鵲) 자에서 조(鳥) 자를 떼고 (昔)으로 성을 삼고, 아이가 궤를 풀고 나왔다 해서 이름을 탈해(脫解)라 지었다.

탈해 이사금 무덤은 높이 4.5m, 지름 14.3m의 둥글게 흙을 쌓아올린 원형 봉토무덤이다. 주변에 아무런 시설을 하지 않았으며, 겉으로 보아 내부는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묘)으로 추측된다.

2. 1. 탄생 설화

삼국사기에 따르면, 탈해왜국 동북쪽 1,000리 지점에 있는 다파나국의 왕비가 낳은 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다파나국 왕은 알을 불길하게 여겨 보물과 함께 궤짝에 넣어 바다에 띄워 보냈다. 처음에는 금관국(김해)에 닿았으나 사람들이 이상하게 여겨 아무도 거두지 않았고, 다시 진한의 아진포에 닿았는데 한 노파가 거두어 키웠다. 궤짝이 떠오를 때 까치 한 마리가 따라다니며 울었다고 하여 까치 작(鵲) 자에서 조(鳥) 자를 떼고 (昔)으로 성을 삼고, 아이가 궤를 풀고 나왔다 해서 이름을 탈해(脫解)라 지었다. 탈해씨의 시조로서 신라 최초 씨 왕이 되었다.[5]

2. 2. 신라 최초의 석씨 왕

탈해 이사금(재위 57-80년)은 신라 상고 시대 왕위에 오른 삼성(··김) 중 씨의 시조이자[5] 석씨의 초대 왕이다[9]。사료에 따르면 신라 초대 왕(혁거세, 재위 기원전 57-서기 4년) 등과 마찬가지로 에서 태어났다고 전해진다[11][12]

3. 무덤 (탈해왕릉)

신라 탈해 이사금(재위 57∼80)의 무덤은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동북 1,000리 지점에 있는 다파나국의 왕비가 알을 낳았는데, 불길하다 하여 보물과 함께 궤짝에 넣어 바다에 띄워 보냈다. 처음에는 금관국(김해)에 닿았으나 사람들이 이상하게 여겨 아무도 거두지 않았고, 다시 진한의 아진포에 닿았는데 노파가 거두어 키웠다. 궤짝이 떠오를 때 까치 한 마리가 따라다니며 울었다고 하여 까치 작(鵲) 자에서 조(鳥)를 떼고 석(昔)으로 성을 삼고, 아이가 궤를 풀고 나왔다 해서 이름을 탈해(脫解)라 지었다. 탈해왕은 석(昔)씨의 시조로서 신라 최초의 석씨 왕이 되었다.[1][2][9]

3. 1. 개요

현재 경상북도 경주시 동천동에 위치한 탈해왕릉은 신라 탈해 이사금의 무덤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높이 4.5m, 지름 14.3m의 둥글게 흙을 쌓아올린 원형 봉토분이며[1][2], 주변은 소나무 숲으로 둘러싸여 있다[1]。 봉토(성토[7]) 외에 다른 구성 요소는 확인되지 않아, 오릉과 유사한 형식으로 분류된다[8]

3. 2. 구조

높이 4.5m, 지름 14.3m의 둥글게 흙을 쌓아올린 원형 봉토무덤이다. 주변에 아무런 시설을 하지 않았으며, 겉모양으로 보아 내부는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묘)으로 추측된다.[1]

3. 3. 위치와 비정

탈해왕릉은 소금강산 남쪽 기슭에 있다.[2][9]삼국사기』에는 탈해 이사금이 금성 북쪽 양정구에 장사지냈다는 기록이 있는데,[13] 이 기록에 근거하여 금성이 있었던 경주 성동동 전랑지경주 남고루 지역보다 북쪽에 위치한 동천동으로 비정하는 견해가 20세기 초부터 제기되었다.

3. 4. 『삼국유사』의 기록

삼국유사』에 따르면, 탈해를 소천구에서 수장(水葬)하고, 후에 유골을 꺼내 동악에 안치했다고 한다. 또한, 후에 탈해의 계시를 받은 제30대 문무왕 (재위 661-681년)이 탈해의 왕릉을 열어 유골을 수습하여 궁정에 안치하고, 소상(塑像)을 만들어 토함산 정상의 탈해사(脫解祠)에 봉안했다고 전해진다.[2][14]

참조

[1] 웹사이트 사적 제 174호 신라 탈해왕릉(新羅 脫海王陵) http://www.kjsilla.r[...] 신라문화유산연구원 2023-02-26
[2] 서적 歴史探訪 韓国の文化遺産 下 慶州・釜山 山川出版社
[3] 웹사이트 尼師今 https://kotobank.jp/[...] 2023-02-26
[4] 문서 東、田中 (1988)
[5] 문서 姜、鄭、中山 (2002)
[6] 웹사이트 경주 김유신묘 (慶州 金庾信墓) http://www.heritage.[...] 문화재청 2023-02-26
[7] 웹사이트 封土 https://kotobank.jp/[...] 2023-02-26
[8] 서적 慶州文化財散歩 學生社
[9] 문서 東、田中 (1988)
[10] 문서 李 (1983)
[11] 문서 東、田中 (1988)
[12] 문서 姜、鄭、中山 (2002)
[13] 서적 三国史記 平凡社
[14] 문서 金 (2003)
[15] 간행물 국가지정문화재(사적) 지정명칭 변경 및 지정·해제 고시 http://gwanbo.mois.g[...] 문화재청장 2011-07-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