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바야카와 다카카게는 1533년 모리 모토나리의 셋째 아들로 태어나, 1543년 고바야카와 가문을 상속받았다. 그는 모리 가문의 수군 지휘관으로 이쓰쿠시마 전투에서 활약했으며, 오다 노부나가와의 전쟁에서는 하시바 히데요시와 평화 교섭을 진행했다. 도요토미 정권 하에서는 고다이로를 역임했고, 임진왜란에도 참전했다. 그는 뛰어난 지략가로 평가받았으며, 1597년 뇌졸중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누마타 고바야카와씨 -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고바야카와 히데아키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와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의 양자가 되었으며, 임진왜란과 세키가하라 전투에 참전하여 특히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서 동군으로 배신하여 전세를 역전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으나, 2년 후 급사하여 고바야카와 가문은 단절되었다.
  • 미하라시 - 히로시마번
    히로시마 번은 에도 시대 아키와 빈고 일부를 지배한 번으로, 모리 씨의 지배 하에 성립되어 센고쿠 시대 거대 세력으로 성장했으나, 세키가하라 전투 후 후쿠시마 마사노리를 거쳐 아사노 씨가 다스리는 큰 번이 되었고, 막말에는 막부 타도에 참여했지만 메이지 유신 주류에서는 벗어나 1871년 히로시마 현이 되었다.
  • 미하라시의 역사 - 세라군
    세라군은 히로시마현에 위치했던 과거의 행정 구역으로, 시대에 따라 변화를 겪으며 현재는 미하라시, 후추시, 미요시시, 히가시히로시마시, 그리고 세라정 대부분을 포함하는 지역이며, 2004년 합병을 통해 현재의 세라정이 되었다.
  • 미하라시의 역사 - 도요타군
    도요타군은 히로시마현에 있던 군으로, 고대에 사전군 또는 마스타군으로 불리다 10세기에 개칭되었으며, 행정 구역 개편을 거치면서 여러 시정촌으로 분할 및 통합되어 2003년에 오사키카미지마정이 출범하며 소멸되었고, 현재는 오노미치시, 미하라시, 다케하라시, 히가시히로시마시, 구레시의 일부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남아있다.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미하라 베이산지 소장)
일본어 이름小早川 隆景 (こばやかわ たかかげ)
별명도쿠주마루 (徳寿丸)
모리 료센 (毛利両川)
출생1533년
사망1597년 7월 26일
출생지히로시마현 요시다, 아키국
사망지미하라 번, 빙고국
묘소히로시마현 미하라시 동로산 베이산지
교토시 기타구 류호잔 다이토쿠지 탑두 오바이인
야마구치현 야마구치시 다이운지 (공양탑)
후쿠오카현 무나카타시 소세이지 (공양탑)
계명류케이지덴젠코몬타이운쇼칸다이코지 (隆景寺殿前黄門泰雲紹閑大居士), 오바이인 타이운쇼칸 (黄梅院泰雲紹閑)
가명마타시로(又四郎)
다른 이름지쿠젠노사이쇼(筑前宰相), 미하라노추나곤(三原中納言)
관직
관위중무대보
좌위문좌
종5위하
시종
종4위하
정4위하
종3위
참의
권중납언
중납언
가문 정보
씨족오에씨 모리 씨 → 간무 헤이시 요시후미류 고바야카와 씨
아버지모리 모토나리
어머니묘큐 (깃카와 구니쓰네의 딸)
양아버지고바야카와 오키카게
형제자매모리 다카모토
고료쓰보네 (시시도 다카이에의 부인)
깃카와 모토하루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니노미야 나리토키
호이다 모토키요
모리 모토아키
이즈하 모토토모
아마노 모토마사
스에쓰구 모토야스
고바야카와 히데카네
배우자도이다노오오카타 (고바야카와 마사히라의 딸)
자녀실자녀: 없음
양자: 고바야카와 히데카네, 고바야카와 히데아키
무사 정보
시대센고쿠 시대 -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
주군모리 모토나리
다카모토
데루모토
도요토미 히데요시
소속모리 씨
지위다이묘, 주나곤
거점미하라 성
부대고바야카와 씨
군사 경력
복무 기간불명
전투미야지마 전투 (1555년)
모지 성 공방전 (1561년)
토리사카 전투 (1568년)
다타라하마 전투 (1569)
다카마쓰 성 공방전 (1582)
시코쿠 정벌 (1585년)
규슈 정벌 (1586년)
오다와라 정벌 (1590)
임진왜란 (1592년)

2. 생애

1533년 모리 모토나리와 묘쿄 부인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2] 1543년 다케하라 고바야카와 가문의 당주 고바야카와 오키카게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모토나리의 조카딸이 오키카게의 아내였던 인연으로 다카카게가 양자로 들어가 가문을 상속받았다.

1547년 오우치 요시타카의 빈고 간나베 성 공격에 종군하여 첫 출진, 간나베 성의 지성인 류오산 요새를 고바야카와 군 단독으로 함락하는 공을 세웠다.[3][4]

1550년 누타 고바야카와 가문의 당주 고바야카와 시게히라는 어리고 병약하여 아마고씨의 침공을 막기 어렵다고 판단한 오우치 요시타카는 모토나리와 협력하여 시게히라를 아마고와 내통한다는 죄를 씌워 구금했다. 이후 다카카게는 시게히라의 누나와 결혼하여 누타 고바야카와 가문을 지배하에 두고, 누타・다케하라 양쪽 고바야카와 가문을 통합하여 고바야카와 가문의 당주가 되었다.[2]

1555년 이쓰쿠시마 전투에서 다카카게는 고바야카와 수군을 이끌고 스에 하루카타가 이끄는 오우치 수군을 격파하고 해상을 봉쇄하여 모리 군의 승리에 크게 기여하였다. 노미 무네카쓰를 통해 무라카미 수군을 아군으로 끌어들이는 책략에도 공을 세웠다.[33]

1557년 모토나리가 은거하면서 다카카게는 형 깃카와 모토하루와 함께 “모리 료센”이라 불리며 모리 가문의 중추가 된다. 1571년에 모토나리가 사망하고 모리 데루모토가 가독을 잇자 모토하루와 함께 데루모토의 보좌역을 맡았다. 모토하루가 군사면을 담당한 반면 다카카게는 수군의 정보수집력을 활용해 주로 정무・외교면을 담당했다.

오다 노부나가의 세력이 모리 씨의 영지에 육박해 오자, 1575년깃카와 모토하루산인 지방을, 다카카게는 산요 지방의 군사를 담당하여 오다 측과 싸웠다. 미무라 모토치카가 오다 측과 내통하여 배반하자 그 토벌을 맡았고, 오토모 소린이 오다 노부나가와 손잡고 침공해 오자 수군을 이끌고 오토모 군과 싸웠다.[27]

하시바 히데요시(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지휘 아래 오다 군의 침공이 거세지자, 1582년 시미즈 무네하루가 지키는 빗추 다카마쓰 성이 포위되었다. 다카카게는 모리 데루모토·모토하루와 함께 모리 가문 주력 3만을 이끌고 구원에 나섰으나, 오다 군과의 전력 차이를 인지하고 안코쿠지 에케이를 통해 히데요시와 비밀 평화 협상을 진행했다.

빗추 다카마쓰 성 공방전


같은 해 6월 혼노지의 변으로 오다 노부나가가 사망하자, 히데요시는 아케치 미쓰히데 토벌을 위해 기나이로 병사를 돌려야 했다. 깃카와 모토하루·모토나가 부자는 히데요시 추격을 주장했으나, 다카카게는 "맹세를 쓴 종이의 피가 마르기도 전에 추격하는 것은 불의한 일이며, 노부나가의 죽음에 편승하는 일은 상서롭지 못한 일이다"라고 반대하여 모리 군은 하시바 군을 추격하지 않았다.[29] 1582년 다카카게는 거성을 니타카야마 성에서 미하라 성으로 옮겼다.[37]

1583년 시즈가타케 전투에서 중립을 지켰으나, 하시바 히데요시가 시바타 가쓰이에를 격파하자 히데요시에게 복속하였다. 이때 양자인 모리 모토후사를 히데요시에게 인질로 보냈다.[37]

1585년 시코쿠 정벌에서 이요의 고노 미치나오를 격파하는 등 공을 세워 이요노쿠니를 영지로 받았다. 고노 미치나오를 도고에 은거시키고, 사이온지 기미히로 및 그 가신들을 자신의 손아래에 두었다. 약 2년간 이요 영주였던 기간에도 본거지는 미하라 그대로였다.[37] 루이스 프로이스는 "다카카게는 깊은 사려로 평온하게 나라를 다스려, 일본에서는 드문 일이지만 이요 국에는 소동도 반란도 없다"라고 기록했다.(『프로이스 일본사』)

1586년 규슈 정벌에 참가하여 지쿠젠, 지쿠고, 히젠 1군 총 37만 1300석을 받았다. 그러나 다카카게는 모리 가문의 영지가 이미 8개국에 달하고, 영토를 더 받으면 공역을 감당할 수 없다며 거절하려 했다. 히데요시는 그렇다면 지쿠젠・지쿠고를 도요토미 가문의 장입지로 하고 다카카게를 그 대관으로 삼으려 했으나, 다카카게는 모리 데루모토를 보좌해야 한다는 이유로 거듭 거절했다. 결국 다카카게는 지쿠젠・지쿠고를 영지로 받고 규슈에 거주하게 되었으며, 이는 다카카게가 독립 대명으로서 도요토미 정권에 편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1587년, 다카카게에 의해 다케하라로 옮겨졌던 고노 미치나오가 병사했다. 고바야카와 가문을 이요에서 규슈로 이봉시킨 뒤, 다카카게와 떨어져 있던 미치나오와 사이온지 기미히로를 살해함으로써 고바야카와 가문을 포함한 이요의 구 세력을 일소하려는 도요토미 정권의 방침이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38]

1588년, 히데요시에게 하시바 성을 받았다.[39] 1589년, 지쿠젠국 나지마 성에 들어갔다.

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 종군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미카와국 오카자키성을 맡았다.

1592년 임진왜란(분로쿠의 역)이 발발하자 1만여 명의 병력을 이끌고 참전했다. 이치 전투에서 권율이 이끄는 조선군에게 패퇴하기도 했으나, 1593년 벽제관 전투에서 다치바나 무네시게와 함께 명나라군을 격파하는 공을 세웠다.

임진왜란 이후, 히데요시로부터 고다이로에 임명되었다. 1595년 양자 고바야카와 히데아키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퇴했다. 히데요시는 그에게 5만 150석의 은퇴 영지를 주었다. 그는 후쿠오카에 나지마 성을 건설했다. 1597년 미하라 성(三次城)에서 뇌졸중으로 사망했다.[2] 다카카게 사후 "모리의 두 강(毛利の二川)"의 역할은 그의 조카 깃카와 히로이에모리 히데모토에게 넘어갔다.

다카카게의 죽음 소식을 듣고 구로다 요시타카(구로다 간베에)는 "일본의 마지막 현인이 돌아가셨다"고 애통해했다.

2. 1. 고바야카와 가문 상속 (1533년 ~ 1550년)

1533년, 모리 모토나리와 묘쿄 부인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2] 1543년 다케하라 고바야카와 가문의 당주 고바야카와 오키카게가 후사 없이 사망하자, 모토나리의 조카딸이 오키카게의 아내였던 인연으로 다카카게가 양자로 들어가 가문을 상속받았다.

1547년 오우치 요시타카의 빈고 간나베 성 공격에 종군하여 첫 출진, 간나베 성의 지성인 류오산 요새를 고바야카와 군 단독으로 함락하는 공을 세웠다.[3][4]

누타 고바야카와 가문의 당주 고바야카와 시게히라는 어리고 병약하여 아마고씨의 침공을 막기 어렵다고 판단한 오우치 요시타카는 1550년 모토나리와 협력하여 시게히라를 아마고와 내통한다는 죄를 씌워 구금했다. 이후 다카카게는 시게히라의 누나와 결혼하여 누타 고바야카와 가문을 지배하에 두고, 누타・다케하라 양쪽 고바야카와 가문을 통합하여 고바야카와 가문의 당주가 되었다.[2]

2. 2. 모리 모토나리 시대 (1550년 ~ 1571년)

1555년 이쓰쿠시마 전투에서 다카카게는 고바야카와 수군을 이끌고 스에 하루카타가 이끄는 오우치 수군을 격파하고 해상을 봉쇄하여 모리 군의 승리에 크게 기여하였다.[33] 노미 무네카쓰를 통해 무라카미 수군을 아군으로 끌어들이는 책략에도 공을 세웠다.[33]

1557년 모토나리가 은거하면서 다카카게는 형 깃카와 모토하루와 함께 “모리 료센”이라 불리며 모리 가문의 중추가 된다. 1571년에 모토나리가 사망하고 모리 데루모토가 가독을 잇자 모토하루와 함께 데루모토의 보좌역을 맡았다. 모토하루가 군사면을 담당한 반면 다카카게는 수군의 정보수집력을 활용해 주로 정무・외교면을 담당했다.

2. 3. 오다 노부나가와의 전쟁 (1575년 ~ 1582년)

오다 노부나가의 세력이 모리 씨의 영지에 육박해 오자, 1575년깃카와 모토하루산인 지방을, 다카카게는 산요 지방의 군사를 담당하여 오다 측과 싸웠다. 미무라 모토치카가 오다 측과 내통하여 배반하자 그 토벌을 맡았고, 오토모 소린오다 노부나가와 손잡고 침공해 오자 수군을 이끌고 오토모 군과 싸웠다.[27]

하시바 히데요시(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지휘 아래 오다 군의 침공이 거세지자, 1582년 시미즈 무네하루가 지키는 빗추 다카마쓰 성이 포위되었다. 다카카게는 모리 데루모토·모토하루와 함께 모리 가문 주력 3만을 이끌고 구원에 나섰으나, 오다 군과의 전력 차이를 인지하고 안코쿠지 에케이를 통해 히데요시와 비밀 평화 협상을 진행했다.

같은 해 6월 혼노지의 변으로 오다 노부나가가 사망하자, 히데요시는 아케치 미쓰히데 토벌을 위해 기나이로 병사를 돌려야 했다. 깃카와 모토하루·모토나가 부자는 히데요시 추격을 주장했으나, 다카카게는 "맹세를 쓴 종이의 피가 마르기도 전에 추격하는 것은 불의한 일이며, 노부나가의 죽음에 편승하는 일은 상서롭지 못한 일이다"라고 반대하여 모리 군은 하시바 군을 추격하지 않았다.[29]

1582년 다카카게는 거성을 니타카야마 성에서 미하라 성으로 옮겼다.[37]

2. 4. 도요토미 정권 (1583년 ~ 1597년)

1583년 시즈가타케 전투에서 중립을 지켰으나, 하시바 히데요시가 시바타 가쓰이에를 격파하자 히데요시에게 복속하였다. 이때 양자인 모리 모토후사를 히데요시에게 인질로 보냈다.[37]

1585년 시코쿠 정벌에서 이요의 고노 미치나오를 격파하는 등 공을 세워 이요노쿠니를 영지로 받았다. 고노 미치나오를 도고에 은거시키고, 사이온지 기미히로 및 그 가신들을 자신의 손아래에 두었다. 약 2년간 이요 영주였던 기간에도 본거지는 미하라 그대로였다.[37] 루이스 프로이스는 "다카카게는 깊은 사려로 평온하게 나라를 다스려, 일본에서는 드문 일이지만 이요 국에는 소동도 반란도 없다"라고 기록했다.(『프로이스 일본사』)

1586년 규슈 정벌에 참가하여 지쿠젠, 지쿠고, 히젠 1군 총 37만 1300석을 받았다. 그러나 다카카게는 모리 가문의 영지가 이미 8개국에 달하고, 영토를 더 받으면 공역을 감당할 수 없다며 거절하려 했다. 히데요시는 그렇다면 지쿠젠・지쿠고를 도요토미 가문의 장입지로 하고 다카카게를 그 대관으로 삼으려 했으나, 다카카게는 모리 데루모토를 보좌해야 한다는 이유로 거듭 거절했다. 결국 다카카게는 지쿠젠・지쿠고를 영지로 받고 규슈에 거주하게 되었으며, 이는 다카카게가 독립 대명으로서 도요토미 정권에 편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1587년, 다카카게에 의해 다케하라로 옮겨졌던 고노 미치나오가 병사했다. 고바야카와 가문을 이요에서 규슈로 이봉시킨 뒤, 다카카게와 떨어져 있던 미치나오와 사이온지 기미히로를 살해함으로써 고바야카와 가문을 포함한 이요의 구 세력을 일소하려는 도요토미 정권의 방침이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38]

1588년, 히데요시에게 하시바 성을 받았다.[39] 1589년, 지쿠젠국 나지마 성에 들어갔다.

1590년 오다와라 정벌에 종군하여, 도쿠가와 이에야스미카와국 오카자키성을 맡았다.

1592년 임진왜란(분로쿠의 역)이 발발하자 1만여 명의 병력을 이끌고 참전했다. 이치 전투에서 권율이 이끄는 조선군에게 패퇴하기도 했으나, 1593년 벽제관 전투에서 다치바나 무네시게와 함께 명나라군을 격파하는 공을 세웠다.

임진왜란 이후, 히데요시로부터 고다이로에 임명되었다. 1595년 양자 고바야카와 히데아키에게 가독을 물려주고 은퇴했다. 히데요시는 그에게 5만 150석의 은퇴 영지를 주었다. 그는 후쿠오카에 나지마 성을 건설했다. 1597년 미하라 성(三次城)에서 뇌졸중으로 사망했다.[2] 다카카게 사후 "모리의 두 강(毛利の二川)"의 역할은 그의 조카 깃카와 히로이에모리 히데모토에게 넘어갔다.

다카카게의 죽음 소식을 듣고 구로다 요시타카(구로다 간베에)는 "일본의 마지막 현인이 돌아가셨다"고 애통해했다.

3. 인물 및 평가

모리 모토나리의 셋째 아들로 태어난 고바야카와 다카카게는 '모리 료센(毛利両川)'[2], 즉 모리 가문을 지탱하는 두 기둥 중 하나로 불렸다. 주로 산요 지방을 담당하며 수군 지휘관으로 활약했고, 도요토미 정권에서는 고다이로 중 한 명을 역임했다.[2]

친자식은 없었으나, 이복동생 모리 히데카네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양자인 고바야카와 히데아키를 양자로 맞이했다. 구로다 조스이는 다카카게의 부고를 접하고 "일본의 현인은 없어졌다"고 탄식했고,[2]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천하를 다스릴 수 있는 사람은 구로다 조스이 또는 고바야카와 다카카게"라고 평가했다.[2]

에도 시대의 사가는 다카카게를 "세상을 다스리고 백성을 어루만진 행적이 깊고, 사랑과 화합을 한결같이 한 인장(仁将)"이라고 칭찬했다.[2] 인토쿠타이헤이키에서는 "위험한 싸움엔 항상 신중히 계략을 갖고 적을 굴하게 하는 수단을 썼다"고 평가하는 등, 아버지 모리 모토나리를 닮은 지장이었다.[2]

다카카게는 모리 데루모토에게 엄격했지만, 이는 모리 가문의 미래를 위한 일념에서 비롯된 것이며, 데루모토를 존경하며 종가의 주인으로 섬겼다.[2] 히데요시는 "해뜨는 나라는 서쪽을 다카카게에게, 동쪽을 이에야스에게 맡기면 태평할 것이다", "이 세상의 정치가 가능한 것은 나오에와 고바야카와가 있기 때문이다"라고 말하며 다카카게의 정치적 능력을 인정했다.[2]

3. 1. 일화


  • 소년 시절, 형 깃카와 모토하루와 눈싸움을 할 때 처음에는 패배했다. 하지만 다음 싸움에서 부하 3명으로 적 5명과 싸워 불리함을 가장하고 서서히 퇴각해 적을 충분히 끌어들인 후, 남은 2명으로 측면에서 공격해 승리했다는 일화가 있다.
  • 정실(시게히라의 누나)과의 사이에는 아이가 없었지만, 아내를 끔찍이 사랑하여 측실을 두지 않았다.
  • 중요한 용건으로 급하게 글을 쓸 때는 서기에게 "마음을 충분히 침착하게 하고 쓰도록 하라"고 말했다 한다.[40]

4. 관련 작품


  • 이즈미 준, 『세토의 매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소문사, 1994년)
  • 도몬 후유지,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실업지일본사, 1997년)
  • 노무라 토시오,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 모리 가문을 지탱한 지략의 장수』 (PHP문고, 2000년)
  • 에구치 타카유키, 『고바야카와 다카카게』 (가켄M문고, 2007년)
  • 비디오 게임 삼국무쌍 및 크로스오버 게임 전국무쌍에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로 등장한다.
  • NHK 대하드라마 군시 칸베이에서 모리 씨의 사실상 수장으로 등장한다.

4. 1. 드라마


  • NHK 대하드라마 《히데요시》 (배우: 야마자키 가이도)
  • NHK 대하드라마 《모리 모토나리》 (배우: 후쿠다 키오(福田樹央) → 메구미 도시아키)
  • 테레비아사히 화요시대극(テレビ朝日火曜時代劇) 《다이코키~천하를 얻은 남자 히데요시》 (배우: 지다 아쓰시(治田敦))
  • KBS 대하드라마 《불멸의 이순신》 (KBS1, 2004년~2005년, 배우: 김시원)
  • 1997년 NHK 대하드라마 《모리 모토나리》 (배우: 케이 슌쇼)

4. 2. 영화

참조

[1]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Volume 4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8
[2] 웹사이트 小早川隆景(読み)こばやかわたかかげ日本大百科全書(ニッポニカ)「小早川隆景」の解説 https://kotobank.jp/[...] kotobank 2021-10-15
[3] 서적 The Pocket Samurai 2015
[4] 서적 A History of Japan, 1334–1615 https://archive.org/[...]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1
[5] 서적 Battle of Miyajima 2005
[6] 서적 The Samurai: A Military History MacMillan Publishing Co. 1977
[7] 서적 The Samurai: A Military History Routledge 2013
[8] 서적 『柳川市史』史料編V近世文書(後編)118由布文書 (5) 戸次鑑連(道雪)
[9] 웹사이트 『柳川市史』史料編V近世文書(後編)118 由布文書 (5) 戸次鑑連(道雪)感状写 於今度古所山最前攻登、小者一人被疵候、粉骨之次第感悅候、必以時分可顕志候、恐々謹言、七月十九日、由布源五左衛門尉殿 雪下事 338頁 https://www.city.yan[...] 2024-04-16
[10] 웹사이트 柳川市史 史料編5『近世文書(前編・後編)』 https://www.city.yan[...] Yanagawa city Government 2014
[11] 서적 The Roots and Consequences of Civil Wars and Revolutions Conflicts That Changed World Histo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24-04-17
[12] 서적 2003
[13] 웹사이트 戸次道雪譲状写 立花文書 http://www.muneshige[...] Muneaki Tachibana 2024-04-17
[14] 웹사이트 刀 無銘 兼光 https://artsandcultu[...]
[15] 웹사이트 『豊津町史』第四編 中世(鎌倉・室町・安土桃山時代) https://adeac.jp/miy[...] Miyako Town History and Folklore Museum/WEB Museum “Miyako Town Heritage” 2024-05-13
[16] 웹사이트 『豊津町史』第四編 中世(鎌倉・室町・安土桃山時代) 第四章 戦国時代の豊前国 二 大友氏と毛利氏の衝突 松山城の攻防(『浦文書』・『萩藩閥閲録』) https://adeac.jp/miy[...]
[17] 웹사이트 『井樓纂聞 梅岳公遺事』 p.26~27 https://kotenseki.ni[...]
[18] 웹사이트 戸次鑑連剃髪之事 https://web.archive.[...]
[19] 서적 2016
[20] 서적 "Chikugo National History/Chikugo Shogun Military Stories" Family history of Yufu Daisuke Koretki (Koremaki) Munakata clan of Chikuzen Province during the Sengoku period; Volume 2 https://dl.ndl.go.jp[...] Chikugo Legacy Publication Society 2024-05-13
[21] 서적 筑後国史 : 原名・筑後将士軍談 上巻 https://dl.ndl.go.jp[...] 筑後遺籍刊行会 2024-04-16
[22] 서적 『福岡県史資料. 第4輯』立花文書 http://dl.ndl.go.jp/[...]
[23] 문서 『柳河戦死者名譽錄』(一二)筑前多々良濱 永禄十二年五月十八日 P.8~9
[24] 웹사이트 多々良川の戦い 戸次鑑連の奮戦 https://web.archive.[...]
[25] 문서 『柳川市史』史料編V近世文書(前編)61 立花文書 三二 大友宗麟軍忠一見状 永禄十二年五月十八日、立花表於敵陣、長尾岸渥防戦之砌、戸次伯耆守鑑連親類・与力・被官、或分捕高名被疵、或戦死之着到、銘々加披見訖、 P.346~348。
[26] 서적 筑前戦国争乱 https://books.google[...] 海鳥社 2024-04-17
[27]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0 2000
[28] 서적 Samurai Armies 1467–1649: Battle Orders Bloomsbury Publishing 2013
[29] 서적 Toyotomi Hideyoshi Bloomsbury Publishing 2011
[30] 서적 The Samurai Sourcebook Cassell & Co 1998
[31] 웹사이트 故小早川隆景外二名贈位ノ件 http://www.jacar.go.[...] 西園寺公望 2014-08-05
[32] 웹사이트 小早川隆景初陣の場所、「坪生要害」清水山 http://bingo-history[...] 大陽新聞連載「新びんご今昔物語」(備陽史探訪の会 田口義之)
[33] 서적 厳島合戦前夜における芸予の婚姻と小早川隆景」「戦国末期における河野氏権力と来島通康」 2005
[34] 논문 三道併進策による毛利家の「上洛作戦」
[35] 서적 秀吉と海賊大名 海から見た戦国終焉
[36] 간행물 毛利輝元 黒幕説を検証する 1994
[37] 서적 日本中・近世移行期の地域構造 校倉書房 2000
[38] 논문 河野通直の死と豊臣政権 2002
[39] 논문 羽柴氏下賜と豊臣姓下賜 1996
[40] 웹사이트 『筑後国史』筑後将士軍談 卷之第四十二 系譜小伝 小早川系譜 https://dl.ndl.go.jp[...]
[41] 문서 『小早川家文書』第219号 1560-02-20 # 永禄3年2月20日 추정
[42] 문서 『小早川家文書』第189号 1588-07-25 # 天正16年7月25日 추정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