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희 (조선귀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영희는 조선 말기의 문신으로, 친일 행위로 인해 정미칠적과 경술국적에 포함되었다. 1876년 김기수를 수행하여 일본에 다녀온 것을 계기로 친일 개화파에 속하게 되었고, 갑신정변 이후 관직을 거쳐 갑오개혁에 참여했다. 이후 주일 특명전권공사, 탁지부대신 등을 역임하며 이완용 내각에서 활동했다.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협조하여 일본 정부로부터 자작 작위를 받았으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으로 활동했다. 2002년 친일파 708인 명단, 2006년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에 포함되었으며,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조사위원회에 의해 재산이 국가에 귀속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의 탁지대신 - 민영환
민영환은 1861년 서울에서 태어나 문과에 급제하고 요직을 거치며 러시아 황제 대관식에 참석한 개화파 인물로,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여 자결했으며 그의 유서는 독립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대한제국의 탁지대신 - 민영기 (조선귀족)
민영기는 조선 말기 무관으로, 을사조약에 반대했으나 일제강점기에는 일제에 협력하여 남작 작위를 받은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 독립협회 - 이승만
이승만은 대한민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운동가로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대통령을 역임하고 해방 후 초대 대통령으로 선출되었으나, 독재적 통치와 부정부패에 대한 비판도 받으며 4·19 혁명 후 하와이로 망명하여 서거하였다. - 독립협회 - 이승훈 (1864년)
이승훈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 교육자, 기업인으로, 오산학교를 설립하여 인재 양성에 힘썼으며, 신민회 활동, 3·1 운동 참여 등 독립운동에 헌신한 인물이다. - 조선자작 - 윤덕영
윤덕영은 조선 말기 문신이자 대한제국 관료, 일제 강점기 조선귀족으로, 한일 병합 조약에 적극 가담하고 순종의 일본 천황 알현을 강요했으며 고종 독살 의혹을 받았고,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 조선자작 - 조민희 (조선귀족)
조민희는 조선 말 관료로 대한제국 시기 요직을 거쳐 한일 병합에 기여한 공으로 일본으로부터 자작 작위를 받았으나, 도박으로 파산하여 작위가 정지된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고영희 (조선귀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고영희 |
한자 표기 | 高永喜 |
한글 표기 | 고영희 |
로마자 표기 | Go Yeong-hui |
자 | 자중 |
본관 | 제주 고씨 |
출생 | 도광(道光) 29년 11월 3일 ( 1849년 12월 16일) |
출생지 | 조선 한성부 옥동 |
사망 | 1916년 1월 25일 |
사망지 |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 |
가족 관계 | |
아버지 | 고진풍 |
자녀 | 고희경, 고의성 |
관직 및 작위 | |
작위 | 조선귀족 자작 |
종교 | 유교(성리학) |
후임자 | 고희경 |
2. 생애
고영희는 1866년 부사용(副司勇)이 되면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1876년 강화도 조약 체결 이후 김기수를 수행하여 일본에 다녀오면서 개화파에 속하게 되었다. 귀국 후 원산항 개항 관련 업무를 맡아 공을 세웠고, 1881년 신사유람단으로 다시 일본을 방문하였다. 1882년에는 일본 공사 하나부사 요시토의 차비역관(差備譯官)으로 임명되었으며, 인천조계획정 사무, 참의교섭통상사무, 참의내무부사 등을 역임하며 중용되었다.
1884년 갑신정변 실패 후 잠시 어려움을 겪었으나, 1885년 기기국방판(機器局幇辦)으로 복귀하였다. 1894년 갑오개혁에 참여, 1895년부터 대한제국 시기에는 주일 특명전권공사, 농상공부 협판, 외부 협판, 독립협회 발기인, 한성판윤, 탁지부 협판, 대한제국 중추원 찬의, 황해도관찰사, 제실회계심사국장, 경리원경 등 요직을 두루 거쳤다.
1907년 이완용 내각의 탁지부대신으로 임명, 이토 히로부미의 고종 양위 강요에 반대하기도 하였다. 이후 법부대신, 내부대신 임시서리 겸 탁지부대신을 역임하였으나, 결국 한일신협약(제3차 한일 협약)과 한일병합조약 체결에 협조하여 정미칠적과 경술국적에 포함되었다.
1910년 10월 16일 일본 정부로부터 훈1등 자작 작위를 받고 10만엔을 받았으며,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에 임명되었다.[7]
2. 1. 초기 활동
1866년 부사용(副司勇)이 되었다. 1876년 강화도 조약 체결 후 김기수가 수신사 대표로 일본에 갔을 때 그를 수행하였다. 그는 이런 기회를 통해 강화도 조약 체결 후 바로 일본의 문물을 접하면서 일찌감치 친일 개화파에 속하게 되었다. 귀국 후 일본의 발전 모습을 알리고, 원산항이 개항되어 통상항이 되자 사무관처리(事務官處理)가 되어 크게 공을 세웠다. 1881년 신사유람단으로 일본에 갔을 때 또 다시 김기수를 수행하였다. 1882년 일본공사 하나부사 요시토의 차비역관(差備譯官)이 되었고, 그 뒤 중용되어 인천조계획정(仁川租界劃定)의 사무를 맡았다. 이어서 참의교섭통상사무(參議交涉通商事務)·참의내무부사(參議內務府事)를 역임하였다.[5]2. 2. 갑신정변 이후
1884년 갑신정변 실패 후 간성, 삭녕, 고양 등지의 군수직을 전전하다가 사직하고 한동안 은거하였다. 1885년 이후 기기국방판(機器局幇辦)을 지냈다.[5]2. 3. 갑오개혁과 대한제국 시기
1894년 갑오개혁에 참여하여 내부 참의, 학무아문 참의, 농상아문 협판을 지냈다.[5] 1895년 주일 특명전권공사를 거쳐 1896년 농상공부 협판, 외부 협판이 되었으며, 독립협회의 발기인으로 참가하였다. 1899년 9월 12일 - 9월 17일 한성판윤을 역임하였다.[6] 1903년 주일 특명전권공사, 탁지부 협판, 대한제국 중추원 찬의 등을 거쳐 1904년 황해도관찰사, 1905년 제실회계심사국장(帝室會計審查局長)·경리원경(經理院卿)을 지냈다.2. 4. 이완용 내각과 한일 병합
1907년 이완용 내각에 탁지부대신으로 중용되었으며, 통감 이토 히로부미가 헤이그 특사 사건을 구실로 고종의 양위를 강요할 때 적극적으로 반대하였다.[7] 그 뒤 법부대신을 거쳐 1909년 내부대신 임시서리 겸 탁지부대신이 되었다. 한일신협약(제3차 한일 협약)과 한일병합조약 체결에 협조하여 정미칠적과 경술국적에 포함되었다.[7]1910년 10월 16일 일본 정부로부터 훈1등 자작 작위를 받고, 10만엔을 받았다. 또한, 조선총독부 중추원의 고문에 임명되었다.[7]
3. 사후
2002년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아들 고희경과 함께 선정되었다. 2006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일제강점기 초기 친일반민족행위 106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3]
2007년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 귀속에 관한 특별법에 의해 설치된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조사위원회는 고영희 자손의 토지를 국가에 귀속시키는 의결을 했다.[3]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증조부 | 고경직(高景稷) | 혜민서 교수(惠民署敎授) |
조부 | 고재승(高在昇) | 인의(引儀) |
생조부 | 고재창(高在昌) | 혜민서 직장(惠民署直長) |
외조부 | 이일준(李一遵) | 1809년 역과(譯科) 합격 |
아버지 | 고진풍(高鎭豊) | 사역원 교회(司譯院敎誨) |
부인 | 태안 이씨(泰安李氏) | 1852년 역과(譯科) 합격한 이호기(李浩基)의 딸 |
장남 | 고희경(高羲敬, 1873~1934) | 1891년 진사, 1916년 자작 습작, 1920년 백작 승급, 1926년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 |
손자 | 고흥겸(高興謙, 1893~1939) | 1934년 백작 습작 |
증손자 | 고중덕(高重德, 1923~) | 1939년 백작 습작 |
차남 | 고희성(高羲誠) | 1893년 진사 |
형 | 고영주(高永周) | 1859년 역과(譯科) 합격 |
동생 | 고영선(高永善) | 1870년 역과(譯科) 합격 |
동생 | 고영철(高永喆) | 1876년 역과(譯科) 합격 |
조카 | 고희동(高羲東, 1886~1965) | 화가, 정치인, 한국인 최초 서양화가[2] |
참조
[1]
웹사이트
고영희(高永喜)
https://encykorea.ak[...]
2023-09-18
[2]
웹사이트
“일제에 협조하느니 굶으리라 외쳤던 분”
http://www.sisajourn[...]
2023-09-17
[3]
웹사이트
親日派9人・36億ウォンの土地が国家帰属へ
https://japanese.joi[...]
中央日報
2019-01-12
[4]
서적
대한제국관원이력서(大韓帝國官員履歷書)
도서출판 탐구당
[5]
서적
친일정치 100년사
동풍
1995-07-01
[6]
웹인용
서울육백년사
https://web.archive.[...]
2006-02-04
[7]
서적
친일정치 100년사
동풍
1995-07-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