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고전 아르메니아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전 아르메니아어는 아르메니아어의 고대 형태이다. 음운론, 문자, 문법 등의 특징을 가지며, 일곱 개의 단모음과 여섯 개의 이중 모음을 포함한 독특한 모음 체계를 갖는다. 자음 체계는 유성음, 무성음, 유기음의 세 가지 계열로 구분되며, 각 음소는 아르메니아 문자로 표기된다. 문법적으로는 명사의 세 가지 활용 유형, 동사의 다양한 태, 법, 시제, 그리고 수사를 포함한다. 명사는 격 변화를 보이며, 동사는 태, 법, 시제, 부정사, 분사로 구분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메니아어 - 아르메니아 문자
    405년경 메스로프 마슈토츠가 창제한 아르메니아 문자는 1문자 1음운 체계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쓰며 아르메니아어 표기 및 아르메니아인 통합에 기여, 유네스코 무형 문화 유산에 등재되었다.
  • 아르메니아어 - 카린 방언
    카린 방언은 역사적으로 에르주룸, 카르스 등지에서 사용되었고 현대에는 아르메니아 시라크주 등지에서 사용되는 아르메니아 방언 중 하나로, 흐라치아 아자리안은 그 발음을 "부드럽고 유쾌하다"고 묘사했다.
  •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 성묘교회
    성묘교회는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처형, 매장, 부활이 이루어진 곳으로 여겨지는 예루살렘의 기독교 성지이며, 여러 교파가 공동 관리하고 건축 양식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종교적·역사적 의미가 큰 건축물이다.
  •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 메스로프 마슈토츠
    메스로프 마슈토츠는 아르메니아 문자를 창제하고 조지아 문자와 알바니아 문자를 만들었다는 설이 있으며, 아르메니아 문학 발전에 기여하고 성경을 아르메니아어로 번역하여 아르메니아의 문화 영웅으로 칭송받는다.
고전 아르메니아어
언어 정보
이름고전 아르메니아어
다른 이름고대 아르메니아어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조상 언어원시 아르메니아어
발전중세 아르메니아어로 발전
문자아르메니아 문자 (고전 아르메니아어 정서법)
사용 지역아르메니아 고원
시대중세 아르메니아어로 발전
ISO 639-3xcl
Glottologclas1249
Glottolog 참조Classical-Middle Armenian
LingListxcl
Lingua57-AAA-aa
언어 알림IPA
역사
아르메니아어 역사역사
역사 사이드바 제목아르메니아어
역사 사이드바 내용아르메니아어 가설
원시 아르메니아어
고전 아르메니아어 (405년부터)
중세 아르메니아어 ( – 1700)
현대 아르메니아어 ( – 현재)
동부, 서부, 홈셰트시 (혼합)
사이드바 하단아르메니아 문자
아르메니아어 로마자 표기

2. 음운론

바르샤바 성 야고보 성당의 야쿠프와 마리안나 미나소비츠의 고전 아르메니아어 비문


=== 모음 ===

고전 아르메니아어에는 일곱 개의 단모음이 있다.

  • (Ա), (Ի), (Ը), 또는 열린 ''e'' (Ե), 또는 닫힌 ''e'' (Է), (Ո), 그리고 (ՈՒ) (각각 ''a'', ''i'', ''ə'', ''e'', ''ē'', ''o'', 그리고 ''u''로 표기). "u"로 표기된 모음은 아르메니아어 문자 "ow" (ՈՒ)를 사용하여 표기하지만, 실제로는 이중 모음이 아니다.


전통적으로 여섯 개의 이중 모음도 있다.

고전 아르메니아어에서는 모음의 장단 구분이 없다. 현대 음성에서는 어두의 e, o에 반모음이 붙어 [je], [vo]로 발음한다. ay, oy는 어말에서 [i]를 탈락시켜 [a], [o]로 발음한다. 어두 이외에는 ə는 표기되지 않는다. 자음이 두 개 인접하는 경우, 그 자음 사이에 ə를 넣어 발음한다.

=== 자음 ===

다음 표는 고전 아르메니아어 자음 체계를 나타낸다. 파열음파찰음은 일반적인 유성음무성음 계열 외에도 별도의 유기음 계열을 가지고 있으며, 문자에 고대 그리스어의 거친 기식 표기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p῾'', ''t῾'', ''c῾'', ''č῾'', ''k῾''. 각 음소는 표에서 두 개의 기호를 갖는다. 왼쪽은 국제 음성 기호(IPA)로 발음을 나타내고, 오른쪽은 아르메니아 문자에서 해당 기호이다.

rowspan="2" colspan="2" |순음치경음구개음연구개음 /
구개수음
성문음
평음연구개.
비음/m/   Մ  /n/   Ն  
파열음유성음/b/   Բ  /d/   Դ  /ɡ/   Գ  
무성음/p/   Պ  /t/   Տ  /k/   Կ  
유기음/pʰ/   Փ  /tʰ/   Թ  /kʰ/   Ք  
파찰음유성음/dz/   Ձ  /dʒ/   Ջ  
무성음 / 방출음/ts/   Ծ  /tʃ/   Ճ  
유기음/tsʰ/   Ց  /tʃʰ/   Չ  
마찰음유성음/v/   Վ  /z/   Զ  /ʒ/   Ժ  
무성음/f/   Ֆ  /s/   Ս  /ʃ/   Շ  /χ/   Խ  /h/   Հ  
접근음설측음/l/   Լ  /ɫ/   Ղ  
중설음/ɹ/   Ր  /j/   Յ  
전동음/r/   Ռ  



고전 아르메니아어의 자음은 p, b, p', k, g, k', t, d, t', c[ts], j[dz], c', č[tʃ], ǰ[dʒ], č῾, s, z, š[ʃ], ž[ʒ], m, n, l, ł, r, ṙ, h, x[x], v, w[v], y[j] 등이 있다. 문자 ''f''(또는 Ֆ)는 중세 시대에 무성 순치 마찰음 /f/를 나타내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원래 아르메니아 문자의 글자가 아니었다.[2] w와 v는 경우에 따라서 다르게 발음하는데, 이중 모음 요소로 사용될 때는 w, 어두에서는 v, [ov]로 발음하는 철자에서는 v (ow로 하면 [u]를 나타냄), 위 이외에는 w 로 발음한다.

=== 강세 ===

어말 강세가 있으며, 강세 악센트를 사용한다. ə는 제외한다.

=== 모음 교체 ===

강세가 있는 i, u, ē, oy, ea는 격 어미 등에 의해 강세가 없는 위치에 오면 다음과 같은 소리로 변한다.


  • i → ə 혹은 탈락 (단, 어두에서 뒤에 자음 하나가 오는 경우, 단음절어에서 모음에 인접하는 경우, n 또는 ł + 자음 앞에 있는 경우에는 일어나지 않음)
  • u → ə 혹은 탈락 (단, 어두에서 뒤에 자음 하나가 오는 경우, 단음절어에서 모음에 인접하는 경우, n 또는 ł + 자음 앞에 있는 경우에는 일어나지 않음)
  • ē → i (단, 모음에 인접할 때는 일어나지 않음)
  • oy → u
  • ea(eay, iay) → e

2. 1. 모음

고전 아르메니아어에는 일곱 개의 단모음이 있다.

  • (Ա), (Ի), (Ը), 또는 열린 ''e'' (Ե), 또는 닫힌 ''e'' (Է), (Ո), 그리고 (ՈՒ) (각각 ''a'', ''i'', ''ə'', ''e'', ''ē'', ''o'', 그리고 ''u''로 표기). "u"로 표기된 모음은 아르메니아어 문자 "ow" (ՈՒ)를 사용하여 표기하지만, 실제로는 이중 모음이 아니다.


전통적으로 여섯 개의 이중 모음도 있다.

고전 아르메니아어에서는 모음의 장단 구분이 없다. 현대 음성에서는 어두의 e, o에 반모음이 붙어 [je], [vo]로 발음한다. ay, oy는 어말에서 [i]를 탈락시켜 [a], [o]로 발음한다. 어두 이외에는 ə는 표기되지 않는다. 자음이 두 개 인접하는 경우, 그 자음 사이에 ə를 넣어 발음한다.

2. 2. 자음

다음 표는 고전 아르메니아어 자음 체계를 나타낸다. 파열음파찰음은 일반적인 유성음무성음 계열 외에도 별도의 유기음 계열을 가지고 있으며, 문자에 고대 그리스어의 거친 기식 표기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p῾'', ''t῾'', ''c῾'', ''č῾'', ''k῾''. 각 음소는 표에서 두 개의 기호를 갖는다. 왼쪽은 국제 음성 기호(IPA)로 발음을 나타내고, 오른쪽은 아르메니아 문자에서 해당 기호이다.

rowspan="2" colspan="2" |순음치경음구개음연구개음 /
구개수음
성문음
비음/m/   Մ  /n/   Ն  
파열음유성음/b/   Բ  /d/   Դ  /ɡ/   Գ  
무성음/p/   Պ  /t/   Տ  /k/   Կ  
유기음/pʰ/   Փ  /tʰ/   Թ  /kʰ/   Ք  
파찰음유성음/dz/   Ձ  /dʒ/   Ջ  
무성음 / 방출음/ts/   Ծ  /tʃ/   Ճ  
유기음/tsʰ/   Ց  /tʃʰ/   Չ  
마찰음유성음/v/   Վ  /z/   Զ  /ʒ/   Ժ  
무성음/f/   Ֆ  /s/   Ս  /ʃ/   Շ  /χ/   Խ  /h/   Հ  
접근음설측음/l/   Լ  /ɫ/   Ղ  
중설음/ɹ/   Ր  /j/   Յ  
전동음/r/   Ռ  



고전 아르메니아어의 자음은 p, b, p', k, g, k', t, d, t', c[ts], j[dz], c', č[tʃ], ǰ[dʒ], č῾, s, z, š[ʃ], ž[ʒ], m, n, l, ł, r, ṙ, h, x[x], v, w[v], y[j] 등이 있다. 문자 ''f''(또는 Ֆ)는 중세 시대에 무성 순치 마찰음 /f/를 나타내기 위해 도입되었으며, 원래 아르메니아 문자의 글자가 아니었다.[2] w와 v는 경우에 따라서 다르게 발음하는데, 이중 모음 요소로 사용될 때는 w, 어두에서는 v, [ov]로 발음하는 철자에서는 v (ow로 하면 [u]를 나타냄), 위 이외에는 w 로 발음한다.

2. 3. 강세

어말 강세가 있으며, 강세 악센트를 사용한다. ə는 제외한다.

2. 4. 모음 교체

강세가 있는 i, u, ē, oy, ea는 격 어미 등에 의해 강세가 없는 위치에 오면 다음과 같은 소리로 변한다.

  • i → ə 혹은 탈락 (단, 어두에서 뒤에 자음 하나가 오는 경우, 단음절어에서 모음에 인접하는 경우, n 또는 ł + 자음 앞에 있는 경우에는 일어나지 않음)
  • u → ə 혹은 탈락 (단, 어두에서 뒤에 자음 하나가 오는 경우, 단음절어에서 모음에 인접하는 경우, n 또는 ł + 자음 앞에 있는 경우에는 일어나지 않음)
  • ē → i (단, 모음에 인접할 때는 일어나지 않음)
  • oy → u
  • ea(eay, iay) → e

3. 문자

3. 1. 문자 체계

3. 2. 라틴 문자 전사

앙투안 메예가 제안한 전사법이 주류이다.

문자소문자대문자전사수치
aybաԱa1
benբԲb2
gimգԳg3
daդԴd4
yeč'եԵe5
zaզԶz6
ēէԷē7
ət'ըԸə8
t'oթԹt῾9
žeժԺž10
iniիԻi20
liwnլԼl30
խԽx40
caծԾc50
kenկԿk60
hoհՀh70
jaձՁj80
łatղՂł90
čēճՃč100
menմՄm200
yiյՅy300
nuնՆn400
šaշՇš500
oոՈo600
č'aչՉč῾700
պՊp800
ǰēջՋǰ900
ṙaռՌ1000
սՍs2000
vewվՎv3000
tiwnտՏt4000
րՐr5000
čoցՑč6000
hiwnւՒw7000
p'iwrփՓp'8000
k'ēքՔk῾9000
ōօՕō10000
ֆՖf20000



ē는 이중 모음 ey가 e보다 좁게 발음되게 된 것으로 e의 장모음이 아니다. u는 그리스 문자에 따라 ՈՒ로 표기된다. ō는 이중 모음 aw가 [o]가 된 것으로 o의 장모음이 아니다. f와 ō는 후대에 추가된 것이다.

4. 문법

4. 1. 명사

고대 아르메니아어의 명사는 o형, i형, i-a형의 세 가지 활용 유형에 속할 수 있으며, 둘 이상의 활용 유형을 보이기도 한다. 호격을 제외한 모든 인도유럽조어(PIE) 격을 유지하며, 호격은 주격 및 대격과 합쳐졌다. 격은 주격, 속격, 여격, 대격, 탈격, 처격, 공구격이 있다.

o형 명사는 단수에서 많은 공통점을 보이며, 복수에서는 복수화 접미사 -k'를 사용한다. 강격은 단수에서 수렴하는 경향이 있고, 대부분의 약격은 PIE 여격 *-oey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는 -oy로 수렴한다. 이중수는 접미사가 없다.

արտ (art, "밭"), o형
고대 아르메니아어 (단수)고대 아르메니아어 (복수)
주격արտ (art) < PIE *h₂éǵrosարտք (art) < PIE *h₂éǵroes
속격արտոյ (artoy) < *h₂éǵroey?արտոց (artocʻ) < *h₂éǵroHom
여격արտոյ (artoy) < *h₂éǵroeyարտոց (artocʻ) < *h₂éǵromos
대격արտ (art) < *h₂éǵromարտս (arts) < *h₂éǵroms
탈격արտոյ (artoy) < *h₂éǵroey?արտոց (artocʻ) < *h₂éǵromos
처격արտ (art) < *h₂éǵrey/oyարտս (arts) < *h₂éǵroysu
공구격արտով (artov) < *h₂éǵroh₁արտովք (artovkʻ) < *h₂éǵrōys



명사의 활용은 모음 어간(a-어간, o-어간, i-어간, u-어간), 자음 어간(n-어간, r-어간, l-어간), 불규칙 명사 등으로 나뉜다.

'lezu'(혀, 말), 'erg'(노래), 'sirt'(심장), 'cov'(바다)의 활용 예시는 다음과 같다.

rowspan="2" |lezu
혀, 말
단수복수
주격lezu–∅lezuk'''–k '''
속·여격lezui–ilezuac'''–ac '''
대격lezui–∅lezus–s
처격lezui–ilezus–s
탈격lezuē–ēlezuac'''–ac '''
공격격lezuaw–awlezuawk'''-awk '''



rowspan="2" |erg
노래
단수복수
주격erg–∅ergk'''–k '''
속격・여격ergoy–oyergoc'''–oc '''
대격erg–∅ergs–s
처격erg–∅ *-iergs–s
탈격ergoy–oyergoc'''–oc '''
공격격ergov-overgovk'''–ovk '''



몇몇 명사는 처격에 -i를 취하기도 한다.

rowspan="2" |sirt
심장
단수복수
주격sirt–∅sirtk'''–k '''
속격/여격srti–isrtic'''–ic '''
대격sirt–∅sirts–s
처격srti–isirts–s
탈격srtē–ēsirtic'''–ic '''
공격격srtiw-iwsrtiwk'''–iwk '''



rowspan="2" |cov
바다
단수복수
주격cov–∅covk'''–k '''
속·여격covu–ucovuc'''–uc '''
대격cov–∅covs–s
처격cov–ucovs–s
탈격covē–ē,-uēcovuc'''–uc '''
도구격covu-ucovuk'''–uk '''



단수 도구격은 -uw>-u가 된 것이며, 단수 탈격은 -uē형을 취하는 것도 있다.

r-어간 명사는 단수 주격 형태가 자음 + r로 끝나는 경우가 많고, 단수 주격, 대격이 다른 형태와 어간이 다르다. 'ezr'(끝, 가장자리), 'etł'(장소), 'azn'(종족), 'jukn'(물고기)의 활용은 다음과 같다.

rowspan="2" |ezr
끝, 가장자리
단수복수
주격ezr–∅ezerk'''–k '''
속·여격ezer–∅ezerac'''–ac '''
대격ezr–∅ezers–s
처격ezer–∅ezers–s
탈격ezerē–ē,ezerac'''–ac '''
공격ezerb-bezerawk'''–awk '''



rowspan="2" |etł
[장소]
단수복수
주격etł–∅etełk'''–k '''
속격/여격eteł–∅etełac'''–ac '''
대격etł–∅etełs–s
처격eteł–∅etełs–s
탈격etełē–ēetełac'''–ac '''
공격격etełb-beteławk'''–awk '''



rowspan="2" |azn
종족
단수복수
주격azn–∅azink'''–k '''
속격・여격azin–∅azanc'''–c '''
대격azn–∅azins–s
처격azin–∅azins–s
탈격aznē–ēazanc'''–c '''
공격격azamb-bazambk'''–bk '''



rowspan="2" |jukn
물고기
단수복수
주격jukn–∅jkunk'''–k '''
속·여격jkan–∅jkanc'''–c '''
대격jukn–∅jkuns–s
처격jkan–∅jkuns–s
탈격jkanē–ējkanc'''–c '''
공구격jkanmb-bjkambk'''–bk '''


4. 2. 동사

고전 아르메니아어의 동사는 태, 법, 시제, 부정사, 분사로 구분된다.

태는 능동태와 중동태·수동태로 나뉜다. 법은 직설법, 접속법, 명령법으로 나뉜다. 시제는 현재와 과거(아오리스트에서 유래)가 있다. 부정사와 분사는 각각 하나씩 존재한다.

동사 활용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բերել (berel, "운반하다")
대명사고대 아르메니아어인도유럽조어
բերեմ (berem)*bʰéroh₂
բերես (beres)*bʰéresi
그, 그녀, 그것բերէ (berē)*bʰéreti
우리բերեմք (beremkʻ)*bʰéromos
너희들բերէք (berēkʻ)*bʰérete
그들բերեն (beren)*bʰéronti



կարդալ (kardal, "쓰다")
대명사고대 아르메니아어인도유럽조어
կարդամ (kardam)*gʷr̥Hdʰh₁oh₂
կարդաս (kardas)*gʷr̥Hdʰh₁ési
그, 그녀, 그것կարդայ (karday)*gʷr̥Hdʰh₁éti
우리կարդամք (kardamkʻ)*gʷr̥Hdʰh₁omos
너희들կարդայք (kardaykʻ)*gʷr̥Hdʰh₁éte
그들կարդան (kardan)*gʷr̥Hdʰh₁onti



현재형의 2인칭 및 3인칭 단수에서, 복수 접미사 -k'가 원래 인도유럽조어 어미의 마지막 부분 대신 다시 나타난다. 1인칭 접미사 -em은 비주제 동사의 인도유럽조어 접미사 ''*-mi''에서 유래한다.

4. 3. 수사

숫자고대 아르메니아어원시 인도유럽어
하나մի (mi)*sémih₂ < *sḗm ("하나")의 여성형
երկու (erku)*dwoy- < *dwóh₁ (이후 재구성됨)
երեք (erekʻ)*tréyes
չորք (čʻorkʻ)*kʷtwr̥(s?) < *kʷetwóres의 제로 등급
다섯հինգ (hing)*pénkʷe
여섯վեց (vecʻ)*suwéḱs < *swéḱs
일곱եօթն (eōtʻn)*septḿ̥
여덟ութ (utʻ) < 원시 아르메니아어 *owtu*(h₁)oḱtṓw
아홉ինն (inn) < 원시 아르메니아어 *enun-*h₁nuno- < *h₁néwn̥의 제로 등급
տասն (tasn)*déḱm̥


4. 4. 대명사

대명사고대 아르메니아어인도유럽조어
ես (es)*éǵh₂
դու (du)*túh₂
그, 그녀, 그것նա (na) < *no-*h₁nós ("저기에")
우리մեք (mekʻ) < *mes*wéy
너희դուք (dukʻ)*túh₂에 복수 접미사 -k'가 붙음
그들նոքա (nokʻa)*h₁nós + 복수 접미사



고대 아르메니아어부터 주격 복수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 복수 접미사 -k'는 인도유럽조어 *tréyes > 고대 아르메니아어 երեք (erekʻ) 및 չորք (čʻorkʻ)의 마지막 -s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아르메니아어 이전의 *kʷtwr̥s (< *kʷetwóres)를 가리킬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숫자 "둘", երկու (erku)에서 파생되었으며 원래 이중수를 표시하는 데 사용되었다.

고대 아르메니아어에는 이중 접두사 또는 이중 복수가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Armenian Language Program {{!}} Near Eastern Languages and Civilizations https://nelc.uchicag[...] 2023-03-26
[2] 서적 Armenian: Modern Eastern Armenian https://books.google[...]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2021-05-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