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곰팡이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곤충곰팡이류는 바시디오볼루스강, 네오지기테스강, 곤충곰팡이강의 3개 강으로 분류되는 곰팡이의 일종이다. 과거에는 접합균문에 속했으나, 현재는 분자 계통 분석을 통해 독립적인 아문으로 분류된다. 곤충곰팡이류는 썩은 식물이나 동물의 배설물, 곤충 등에 기생하며, 2018년 테더수 등의 연구에 따르면 털곰팡이문 등과 가까운 관계를 가지며, 포충균아계를 구성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접합균류 - 칼카리스포리엘라과
칼카리스포리엘라과는 털곰팡이아계에 속하는 균류 분류군으로, *Calcarisporiella*와 *Echinochlamydosporium* 속을 포함하며 토양에서 발견되지만 정보가 부족하여 추가 연구가 필요한 분류군이다. - 접합균류 - 털곰팡이아문
털곰팡이아문은 다양한 생활 방식을 가진 진균류 아문으로, 일부 종은 농작물 피해나 인체 질병을 유발하지만 생태계 물질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계통 발생적 위치는 아직 불분명하여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눈표범
눈표범은 고양이과 동물로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의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길고 두꺼운 털, 큰 발, 긴 꼬리가 특징이며, 유전자 분석 결과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으로 밝혀졌으며, 밀렵과 서식지 파괴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여 여러 국가에서 보호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생물 계통도에 관한 - 벵골호랑이
벵골호랑이는 인도아대륙에서 서식하는 호랑이 아종으로, 노란색~주황색 털과 검은 줄무늬를 가지며, 멧돼지, 사슴 등 우제류를 먹이로 하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제한적인 지역에서 서식한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다람쥐
다람쥐는 등 쪽에 줄무늬가 있는 다람쥐속 설치류로, 홀로 생활하며 겨울잠을 자고 씨앗, 견과류, 곤충 등을 먹으며 맹금류 등의 먹이가 되고, 특히 한반도 서식 다람쥐는 새로운 종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침입 외래종으로 지정되기도 하고 라임병을 옮길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한 동물이다. - 생물 분류에 관한 - 황금랑구르
황금랑구르는 인도 아삼 주와 부탄에 분포하며 크림색에서 황금색 털을 가진 멸종위기종 영장류로, 서식지 파괴로 개체수가 감소하여 보호받고 있다.
곤충곰팡이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분류 정보 | |
이름 | 곤충곰팡이류 |
색 | 균류 |
![]() | |
역 | 진핵생물 |
계 | 균계 |
문 | 곤충곰팡이문 (Entomophthoromycota) |
문 명명 | Humber (2013) |
아문 | 곤충곰팡이아문 (Entomophthoromycotina) |
아문 명명 | R.A.Humber, 2007 |
하위 링크 | 강 |
하위 | 본문 참조 |
2. 하위 분류
곤충곰팡이류는 분자 계통 분석 결과에 따라 현재 3개의 강으로 분류된다. 과거에는 접합균문에 속하는 아문 또는 강으로 여겨졌으나, 현재는 독립적인 아문으로 분류된다.
- 바시디오볼루스강 (Basidiobolomycetes)
- * 바시디오볼루스목 (Basidiobolales)
- ** 바시디오볼루스과 (Basidiobolaceae)
- 네오지기테스강 (Neozygitomycetes)
- * 네오지기테스목 (Neozygitales)
- ** 네오지기테스과 (Neozygitaceae)
- 곤충곰팡이강 (Entomophthoromycetes)
- * 곤충곰팡이목 (Entomophthorales)
- ** Ancylistaceae
- ** Completoriaceae
- ** 곤충곰팡이과 (Entomophthoraceae)
- ** Meristacraceae
2. 1. 바시디오볼루스강 (Basidiobolomycetes)
주로 썩은 식물이나 동물의 배설물에서 발견되며, 일부 종은 양서류나 파충류에 감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바시디오볼루스목 (Basidiobolales)을 포함한다.2. 1. 1. 바시디오볼루스목 (Basidiobolales)
바시디오볼루스과를 포함한다.2. 2. 네오지기테스강 (Neozygitomycetes)
- 네오지기테스목 (Neozygitales)
- * 네오지기테스과 (Neozygitaceae)
2. 2. 1. 네오지기테스목 (Neozygitales)
네오지기테스목(Neozygitales|네오지기탈레스la)은 네오지기테스과를 포함한다.2. 3. 곤충곰팡이강 (Entomophthoromycetes)
곤충곰팡이강(Entomophthoromycetes|엔토모프토로미케테스la)은 곤충곰팡이류에 속하는 균계의 한 강이다.[1] 이 강에는 곤충곰팡이목 (Entomophthorales)이 포함된다.2. 3. 1. 곤충곰팡이목 (Entomophthorales)
곤충곰팡이목(Entomophthorales|엔토모프토랄레스la)은 털곰팡이아문에 속하는 균계의 목이다. 이 목에 속하는 곰팡이들은 주로 곤충이나 다른 절지동물에 기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많은 종들이 곤충 병원성 균류이다. 곤충곰팡이목은 다양한 하위 분류군, 즉 여러 과(Family)를 포함하고 있다.3. 계통 분류
진균류 내에서 곤충곰팡이류의 정확한 계통학적 위치는 지속적인 연구 주제이다. 분자계통학의 발달로 과거의 분류 체계가 수정되고 있으며, 곤충곰팡이류 역시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 있다. 최근의 연구들은 곤충곰팡이류가 진균계 내에서 독자적인 그룹을 형성하며 특정 분류군들과 유연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3] 자세한 계통 분류에 대한 논의는 아래 문단에서 이어진다.
3. 1. 2018년 테더수 등(Tedersoo et al. 2018)의 진균류 계통 분류
2018년 레호 테더수(Leho Tedersoo) 등이 발표한 진균류 계통 분류에 따르면, 곤충곰팡이류는 다음과 같은 분류 체계에 위치한다.[3]해당 분류 체계에서 곤충곰팡이문(Entomophthoromycota)은 포충균문(Zoopagomycota), 키크셀라균문(Kickxellomycota)과 함께 포충균아계(Zoopagomycotina)를 형성한다.
포충균아계는 바시디오볼루스균문(Basidiobolomycota) 및 올피디움균문(Olpidiomycota) 그룹과 자매군 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들은 더 큰 분류군을 이룬다. 원본 소스에서 제시된 계통도에 따르면, 이 그룹들은 모르티에렐라문(Mortierellomycota), 칼카리스포리엘라문(Calcarisporiellomycota), 털곰팡이문(Mucoromycota), 취균문(Glomeromycota), 그리고 쌍핵균아계(Dikarya) 등과 함께 털곰팡이아계(Mucoromyceta)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쌍핵균아계는 자낭균문(Ascomycota)과 담자균문(Basidiomycota) 및 엔토르리자문(Entorrhizomycota)을 포함한다.
이 분류는 균계 내에서 곤충곰팡이류의 진화적 위치를 보여준다.
3. 2. 추가 연구 필요성
진균류의 계통 분류는 매우 복잡하며, 곤충곰팡이류 역시 분류학적 위치와 다른 균류와의 관계에 대해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2018년 테더수(Tedersoo) 등이 발표한 진균류 전체의 계통 분류 연구[3] 와 같이 새로운 분류 체계가 제안되고 있지만, 이는 여전히 진행 중인 연구 분야이며 아직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부분들이 많음을 보여준다.특히 한국에 자생하는 곤충곰팡이류의 종 다양성, 생태적 역할, 유전적 특성 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 환경에 서식하는 곤충곰팡이류에 대한 심도 있는 조사와 분류학적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크다. 이러한 연구는 생물 다양성 확보뿐만 아니라, 해충 방제를 위한 생물 농약 개발 등 잠재적 활용 가치를 탐색하는 데에도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참조
[1]
웹인용
Entomophthoromycotina
http://www.uniprot.o[...]
2009-03-07
[2]
저널
A higher-level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the Fungi
http://linkinghub.el[...]
[3]
저널
High-level classification of the Fungi and a tool for evolutionary ecological analyses
2018-02-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