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관용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관용령은 1689년 잉글랜드에서 제정된 법으로, 비국교도(성공회 신자가 아닌 개신교도)에게 제한적인 종교의 자유를 허용했다. 이 법은 잉글랜드 연방과 찰스 2세 시대의 종교적 박해와 제임스 2세의 가톨릭 우대 정책에 대한 반발 속에서 명예 혁명 이후 제정되었다. 관용령은 예배의 자유를 일부 허용하고 공직 진출 제한을 완화했지만, 가톨릭교도와 유니테리언은 여전히 차별을 받았으며 심사법은 유지되었다. 존 로크의 관용에 관한 철학적 사상이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종교 자유 확대를 위한 중요한 발판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689년 법 - 권리장전 (영국)
    권리장전은 1689년 영국 의회가 왕권 남용 방지, 의회 권한 강화, 국민의 권리와 자유 보장을 위해 제정한 법률로, 입헌군주제의 초석을 다지고 다른 국가 헌법에 영향을 주었다.
  • 1689년 잉글랜드 - 권리장전 (영국)
    권리장전은 1689년 영국 의회가 왕권 남용 방지, 의회 권한 강화, 국민의 권리와 자유 보장을 위해 제정한 법률로, 입헌군주제의 초석을 다지고 다른 국가 헌법에 영향을 주었다.
  • 1689년 잉글랜드 - 1689년 잉글랜드 총선
    1689년 잉글랜드 총선은 잉글랜드 의회를 구성하기 위해 치러진 선거로 휘그당이 319석을 차지하여 토리당을 앞질렀다.
  • 1689년 기독교 - 1689 침례신앙고백
    1689 침례 신앙 고백은 1677년 런던에서 출판되어 1689년 잉글랜드 관용법 통과 후 침례교회 대표들의 승인을 거쳐 칼뱅주의 침례교의 기본 신조가 되었으며, 웨스트민스터 신앙 고백을 수정하여 침례교 신학을 반영한 32개 장으로 구성된 신앙 고백이다.
  • 1689년 기독교 - 1689년 콘클라베
    1689년 콘클라베는 교황 인노첸시오 11세의 사망으로 시작되어 53명의 추기경이 참여하여 피에트로 비토 오토보니를 교황 알렉산데르 8세로 선출했다.
관용령
개요
1689년 관용법
1689년 관용법
법안 명칭관용법 1689
종류법률
의회잉글랜드 의회
정식 명칭특정 법률의 처벌로부터 폐하의 개신교 신민 중 성공회에서 이탈한 자들을 면제하는 법률
제정 연도1689년
인용1 Will. & Mar. c. 18
승인일1689년 5월 24일
폐지일1948년 7월 30일
관련 법률법률 개정법 1863
약속 선서법 1871
법률 개정법 1888
폐지 법률법률 (폐지)법 1969
원문영국 역사 온라인
설명
내용잉글랜드의 종교적 관용을 증가시킴
영향비국교도 개신교도에 대한 처벌을 제한함

2. 역사적 배경

명예 혁명으로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가 공동 왕위에 오른 직후인 1689년에 잉글랜드 의회에서 관용령이 통과되었다. 이 법은 종교의 자유를 확대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지만, 완전한 종교적 평등을 이루지는 못했다.

관용령 이전의 잉글랜드는 종교적 박해와 차별이 만연한 사회였다. 특히 찰스 2세와 제임스 2세 시대에는 비국교도와 로마 가톨릭교도에 대한 탄압이 심했다. 잉글랜드 성공회가 국교였으며, 국교회에 속하지 않은 사람들은 공직에 진출하거나 대학에 입학하는 데 제한을 받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관용령은 비국교도 개신교도들에게 제한적인 종교의 자유를 허용했다. 이들은 자체적인 예배당을 짓고, 설교자를 임명하고, 학교를 운영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로마 가톨릭교도와 유니테리언은 여전히 차별을 받았으며, 공직 진출은 여전히 제한되었다.

관용령 이후, 장로교와 독립교단(회중교회 포함) 간의 교회정치적 차이점이 부각되었지만, 기존 성공회 의식은 와해되고 성경 중심의 설교가 강조되는 교회가 확장되었다. 성경을 읽고 해석하면서 이성이 중요하게 여겨졌고, 존 로크의 저서 [관용에 관하여]에서 강조된 이성적 사고가 주목받았다. 목사들은 국가로부터 급여를 받지 못하게 되면서 개교회 자체 재정으로 운영해야 했지만, 넉넉하지 못해 가정교사나 일반 교사 등 다른 직업을 통해 수입을 보충해야 했다.

또한 성경의 이성적 가르침이 강조되면서 예배 의식이 줄어들고 교회가 학교처럼 변하게 되었다.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기보다 성경을 이성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주된 사역이 된 것이다. 하지만 14세기 스탬포드 서약에 따라 케임브리지 대학교옥스퍼드 대학교 밖에서 가르치는 것은 금지되어 있었다. 통일령에 따르면 교사로 생계를 유지할 경우 40파운드의 벌금을 내야 했다.

2. 1. 잉글랜드 연방과 왕정복고 시대

잉글랜드 연방과 찰스 2세 통치 기간 동안, 로마 가톨릭교도를 포함한 비국교도들은 종교적 박해를 받았고 공직을 맡을 수 없었다.[7] 찰스 2세 복위 이후, 성공회 지도자들은 성공회가 교리적 관용을 어느 정도까지 허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였다. 이는 교회 회원 자격 확대 및 이교도 관용에 대한 논쟁과 관련이 있었다.[7]

제임스 2세는 관용 선언을 통해 심사법을 폐지하려 시도했으나, 이는 명예 혁명과 윌리엄과 메리의 즉위로 이어지는 헌법적 위기를 촉발했다.[8] 휘그당토리당 모두 비국교도들에게 종교적 관용을 약속했지만, 제임스 2세의 관용 선언은 시민의 자유를 훼손하고 의회를 우회하려는 시도로 여겨져 비국교도들의 신뢰를 얻지 못했다.[9] 역사학자 케네스 펄은 관용령을 "여러 면에서 타협적인 법안"으로 보았다.[8]

가톨릭교도와 유니테리언은 관용령 이후에도 여전히 집회와 기도의 권리가 없었다.[8] 심사법으로 인해 비성공회 신자는 의회에 참여할 수 없었다.[10] 1711년 스코틀랜드 성공회법은 스코틀랜드 성공회 신자에게 제한된 관용을 허용했다.[11] 유니테리언은 삼위일체 교리법 1813 이후에야 관용을 받았다.[10] 심사법은 19세기까지 효력을 유지했다.[8]

2. 2. 제임스 2세의 종교 정책과 명예 혁명

제임스 2세는 로마 가톨릭교도로서 가톨릭교도와 개신교 비국교도 모두에게 가해지는 시민적 불이익을 없애고자 심사법 폐지를 추진했다. 이를 통해 정치적 지지 기반을 넓히고, 가톨릭교도들을 문무 요직에 임명하려 했다.[7] 그러나 이는 의회의 지지를 얻지 못했고, 제임스 2세는 1687년과 1688년 관용 선언을 통해 심사법을 폐지하려 시도했다.[8]

이러한 제임스 2세의 종교 정책은 명예 혁명을 촉발시키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명예 혁명으로 윌리엄과 메리가 공동 통치자로 즉위하게 되었고, 권리 장전 1689 등 일련의 의회 법률을 통해 새로운 헌법적 합의가 이루어졌다.[8]

역사학자 케네스 펄은 관용령을 "여러 면에서 타협적인 법안"으로 평가하며, "1688년의 중요한 시기에 비국교도(잉글랜드 국교회 신자가 아닌 개신교도)의 지지를 얻기 위해" 제정되었다고 보았다.[8] 휘그당토리당 모두 비국교도들에게 이러한 법안 제정을 약속했고, 제임스 2세의 관용 선언에도 불구하고 비국교도들은 국왕이 시민의 자유를 훼손하고 의회를 우회하려 한다고 믿었다.[9]

2. 3.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의 즉위와 관용령

명예 혁명 이후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가 공동 왕위에 오르면서 종교적 관용을 확대하는 정책을 추진했고, 그 결과 관용령이 제정되었다.[8]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는 잉글랜드 국교회 신자가 아닌 개신교도(비국교도)의 지지를 얻기 위해 관용령 제정을 약속했다.[8]

윌리엄 3세가 관용령에 재가하는 모습

3. 주요 내용

관용령은 장로교회중교회를 포함한 독립교단 간의 교회 정치적 차이점을 부각시켰지만, 성공회의 의식을 와해시키고 성경 중심의 교회를 확장시켰다. 성경 해석을 위해 존 로크의 저서에서 강조된 이성적 사고가 중요해졌다. 목사들은 국가로부터 급여를 받지 못하게 되어 재정적 어려움을 겪었지만, 가정교사나 일반 교사 등의 직업으로 수입을 대체하기도 했다.

성경의 이성적 가르침이 강조되면서 예배 의식은 줄어들고, 교회는 학교처럼 변모하여 그리스도의 복음 전파보다 성경을 이성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주된 사역이 되었다. 그러나 14세기 스탬포드 서약에 의해 케임브리지 대학교옥스퍼드 대학교 밖에서 가르치는 것은 금지되었고, 통일령에 따라 교사로 생계를 유지하려면 벌금을 내야 했다.

잉글랜드 연방과 찰스 2세 통치 기간 동안, 로마 가톨릭교도를 포함한 불응파 이교도들은 종교적 박해를 받았고 공직을 맡을 수 없었다. 찰스 2세 복위 이후, 성공회 지도자들은 성공회가 교리적 관용을 어느 정도까지 허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쟁을 벌였다. 제임스 2세는 심사법 폐지를 추구하여 정치적 지지를 넓히고 로마 가톨릭교도들을 요직에 임명하려 했다. 제임스 2세는 의회의 지지를 얻는 데 실패하자 관용 선언을 통해 심사법을 폐지하려 시도했고, 이는 명예 혁명으로 이어졌다. 이후 권리 장전 1689 등 일련의 의회 법률이 새로운 헌법적 합의를 보장했다.

역사학자 케네스 펄은 관용령을 비국교도의 지지를 얻기 위한 타협적인 법안으로 보았다. 휘그당토리당 모두 혁명이 성공할 경우 이러한 법안을 제정할 것을 비국교도들에게 약속했다. 제임스 2세는 관용 선언을 발표했지만, 비국교도들은 제임스 2세가 시민의 자유를 훼손하고 의회를 우회하려는 시도가 종교적 자유를 위협한다고 믿었다.

가톨릭교도와 유니테리언은 법 통과 후에도 박해를 받지 않았지만, 여전히 집회와 기도할 권리가 없었다. 심사법이 여전히 존재했기 때문에, 비성공회 신자는 관용령 통과 이후에도 의회에 참여할 수 없었다. 1711년 스코틀랜드 성공회법은 제한된 관용을 허용했다. 유니테리언은 삼위일체 교리법 1813 이후에만 관용을 받았다. 그 전에는 삼위일체를 부인하는 것이 스코틀랜드에서 사형에 해당하는 범죄였다. 심사법은 19세기까지 효력을 유지했다.

3. 1. 예배의 자유 허용

잉글랜드 연방과 찰스 2세 통치 기간 동안, 성공회 신자가 아닌 개신교도(비국교도)들은 종교적 박해를 받았고 공직을 맡을 수 없었다. 제임스 2세는 심사법 폐지를 시도하였으나 의회의 지지를 얻지 못했고, 관용 선언을 통해 이를 강행하려다 명예 혁명을 맞이했다.[8]

이후 윌리엄 3세와 메리 2세의 공동 통치 하에, 비국교도들은 자신들의 예배당을 짓고 예배를 드릴 수 있게 되었다.[8] 그러나 심사법은 여전히 존재하여 비국교도들은 의회에 참여할 수 없었고,[10] 가톨릭교도와 유니테리언은 여전히 집회와 기도의 자유를 누리지 못했다.[8] 유니테리언은 삼위일체 교리법 1813 이후에야 종교적 관용을 받게 되었다.[10]

3. 2. 공직 진출 제한 완화

잉글랜드 연방과 찰스 2세 통치 기간 동안, 로마 가톨릭교도를 포함한 불응파 이교도들은 종교적 박해를 받았고 공직을 맡을 수 없었다.[7] 제임스 2세는 심사법 폐지를 시도하였으나 의회의 지지를 얻지 못하였고, 1687년과 1688년 관용 선언을 통해 심사법을 폐지하려 시도했다. 이는 명예 혁명과 윌리엄과 메리의 공동 통치로 이어졌다.[8]

관용령은 비국교도(잉글랜드 국교회 신자가 아닌 개신교도)의 지지를 얻기 위한 타협적인 법안이었다.[8] 제임스 2세의 관용 선언이 있었지만, 비국교도들은 제임스 2세가 시민의 자유를 훼손하고 의회를 우회하려는 시도가 종교적 자유를 위협한다고 믿었다.[9]

관용령으로 비국교도도 일부 공직에 진출할 수 있게 되었지만, 심사법은 여전히 존재하여 비성공회 신자는 의회에 참여할 수 없었다.[10] 가톨릭교도와 유니테리언은 여전히 집회와 기도할 권리가 없었으며,[8] 삼위일체 교리법 1813 이후에야 유니테리언에 대한 관용이 허용되었다.[10] 심사법은 19세기까지 효력을 유지했다.[8]

4. 영향 및 변화

잉글랜드 연방과 찰스 2세 통치 기간 동안, 로마 가톨릭교도를 포함한 불응파 이교도들은 종교적 박해를 받았고 공직에 임명될 수 없었다. 찰스 2세 복위 이후, 성공회 지도자들은 성공회가 교리적 관용을 어느 정도까지 허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서신과 공개 설교를 통해 논쟁을 벌였다. 이러한 논쟁은 교회 회원 자격 확대 및 이교도 관용에 대한 논쟁과 관련이 있었다.[7]

제임스 2세는 로마 가톨릭교도로, 그의 왕위 계승은 종교적인 이유로 반대에 부딪혔다. 결국 명예 혁명이 발생하여 윌리엄과 메리가 공동으로 왕위에 올랐다. 이후 권리 장전 1689, 왕과 의회 승인법 1689, 반란법 1689, 1688년 관용령, 1701년 왕위 계승법, 1707년 연합법 등 일련의 의회 법률이 제정되어 새로운 헌법적 합의가 이루어졌다.[8]

역사학자 케네스 펄은 관용령을 "여러 면에서 타협적인 법안"으로 평가했다.[8] 휘그당토리당은 모두 혁명이 성공할 경우 비국교도들에게 이러한 법안을 제정할 것을 약속했다. 제임스 2세는 종교적 비국교도에 반하는 법을 중단하는 관용 선언을 발표했지만, 비국교도들은 제임스 2세가 시민의 자유를 훼손하고 의회를 우회하려 한다고 의심하여 관용 선언을 통해 제공된 종교적 자유에 위협을 느꼈다.[9]

이후 유니테리언 구제법 1813을 통해 삼위일체 교리를 믿지 않는 개신교 신자들에게까지 신앙의 관용이 확대되었다. 로마 가톨릭 구제법 1791에 따라 가톨릭 신자들은 엄격한 조건 하에 예배를 드릴 수 있게 되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비국교도와 로마 가톨릭 신자들의 공직 진출, 학교 운영, 토지 소유를 제한했던 선서와 시험은 여러 법률에 의해 철회되었다. 로마 가톨릭 구제법 1829는 가톨릭 신자들이 의회에 선출되고 왕실 산하 대부분의 공직을 맡을 수 있도록 허용했으며, 유대인 구제법 1858은 유대교 신자들에게 유사한 효과를 가져왔다. 종교적 장애법 1846은 교육, 자선, 재산 소유에 대한 로마 가톨릭 신자의 제한을 없앴지만, 옥스퍼드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더럼 대학교는 대학교 시험법 1871이 발효될 때까지 로마 가톨릭 신자를 계속 배제할 수 있었다. 예배 장소 등록법 1855의 통과로 비성공회 예배 장소에 대한 선택적 등록 시스템이 도입되었고, 등록된 예배 장소는 특정 법적 및 재정적 이점을 얻게 되어 "대안 종교는 합법적일 뿐만 아니라 종종 법에 의해 촉진되었다."[14]

4. 1. 종교적 다양성 증가

관용령 실시 이후, 장로교와 독립교단(회중교회 포함) 간의 교회정치적 차이점이 부각되었지만, 기존 성공회의 의식이 와해되고 성경 중심의 설교를 중시하는 교회가 확장되었다. 성경을 읽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이성의 역할이 강조되었고, 존 로크의 저서 "[관용에 관하여]"에서 나타난 이성적 사고가 중요하게 여겨졌다.

또한, 성경의 이성적 가르침이 강조되면서 예배 의식이 간소화되고 교회가 학교처럼 변모하여,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파하는 것보다 성경을 이성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주된 사역이 되었다. 목사들은 국가로부터 급여를 받지 못하게 되면서 개교회 자체에서 재정을 충당해야 했지만, 재정 상황이 넉넉하지 않아 가정교사나 일반 교사 등 다른 직업을 통해 수입을 보충해야 했다.

4. 2. 사회적 변화

관용령 실시 이후, 장로교와 독립교단(회중교회 포함) 간의 교회 정치적 차이점이 부각되었지만, 기존 성공회의 의식은 약화되고 성경 중심의 설교를 중시하는 교회가 확장되었다.[7] 성경을 읽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이성적 사고가 더욱 중요해졌고, 존 로크의 저서 관용에 관하여에서 강조된 이성적 사고가 강조되었다.[7]

성경의 이성적 가르침이 강조되면서 예배 의식이 줄어들고 교회가 학교처럼 변하게 되었다. 이는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것보다 성경을 이성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주된 사역이 되는 결과를 낳았다. 한편, 목사들은 국가로부터 급여가 사라짐에 따라 개교회 자체 내에서 재정적 지원을 받아야 했다. 하지만 재정 상황이 넉넉하지 않아 가정교사나 일반 교사 등 일반 직업으로 수입을 대체해야 했다.[7]

4. 3. 제한점

가톨릭 신자와 유니테리언은 관용령이 통과된 후에도 집회와 기도의 권리를 보장받지 못했다.[8] 심사법이 여전히 존재했기 때문에, 비국교도(개신교 비국교도, 유대인, 가톨릭 신자, 유니테리언 포함)는 관용령 통과 이후에도 의회에 참여할 수 없었다.[10] 유니테리언은 삼위일체 교리법 1813 이후에야 비로소 종교의 자유를 인정받았다.[10] 그 전에는 스코틀랜드에서 삼위일체를 부인하는 것은 사형에 해당하는 범죄였다.[10] 심사법은 19세기까지 계속 유지되었다.[8]

5. 존 로크의 영향

존 로크는 저서 "관용에 관하여"에서 종교적 관용을 주장했으며, 이는 관용령 제정에 중요한 철학적 기반을 제공했다.[12] 관용령 실시 이후, 장로교회중교회를 포함한 독립교단과의 교회정치적 차이점이 부각되었지만, 기존의 성공회 의식은 와해되고, 성경 중심의 교회가 확장되었다. 성경을 읽고 해석하는 데 이성이 필요했기에, 로크의 책에서 강조된 이성적 사고가 중요해졌다.

5. 1. 로크의 관용 사상

존 로크는 《관용에 관한 편지》(1685년 작성, 1689년 출판)를 통해 종교적 관용을 옹호했다.[12] 그는 국가가 개인의 종교적 신념에 간섭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며, 종교의 자유를 옹호했다.

로크는 영국 국교회(국교회)와 회중교회, 침례교, 장로교, 퀘이커를 포함한 개신교 분파 간의 공존을 옹호했지만, 가톨릭은 관용의 대상에서 제외했는데, 이는 관용령의 정책과 동일했다.[12]

역사가들은 로크의 관용 사상을 1689년 영국 관용법의 철학적 기초로 평가한다.[12]

5. 2. 관용령에 미친 영향

관용령 시행 이후, 성공회의 의식은 약화되고 성경 중심의 교회가 성장하면서 존 로크의 저서 관용에 관하여에서 강조된 이성적 사고가 중요해졌다.[7] 성경을 읽고 해석하는 데 이성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목회자들은 국가로부터 급여를 받지 못하게 되면서 개교회 자체에서 재정적 지원을 받아야 했지만, 넉넉하지 않아 가정교사나 일반 교사 등 다른 직업으로 수입을 보충해야 했다.

성경의 이성적 가르침이 강조되면서 예배 의식은 간소화되고, 교회가 학교와 같은 모습으로 변해갔다. 이는 그리스도의 복음을 전하는 것보다 성경을 이성적으로 가르치는 것이 주된 역할이 되는 결과를 낳았다.

역사가들은 존 로크의 관용에 관한 편지가 1689년 영국 관용법의 철학적 기반이 되었다고 평가한다.[12] 로크는 영국 국교회와 여러 개신교 분파 간의 공존을 옹호했지만, 가톨릭교도는 관용에서 제외했는데, 이는 관용법의 정책과 같았다.[12]

6. 식민지에의 적용

관용령은 영국 본토뿐만 아니라 영국 식민지에도 영향을 미쳤다.[12] 관용령의 조항은 칙허장이나 왕실 총독의 법령을 통해 식민지에 적용되었다.[12]

존 로크가 옹호한 관용 개념(로마 가톨릭교는 제외)은 뉴잉글랜드 내 회중 교회의 강세를 포함하여, 이전에는 이견자들을 처벌하거나 배척했던 대부분의 식민지에서 수용되었다.[12] 펜실베이니아, 로드아일랜드, 델라웨어, 뉴저지 식민지는 어떠한 교회의 설립도 금지하고 더 큰 종교적 다양성을 허용함으로써 관용령보다 더 진전된 모습을 보였다.[2] 1700년 당시 식민지 내에서 로마 가톨릭교도는 로드아일랜드에서만 종교를 자유롭게 실천할 수 있었다.[13]

7. 현대적 의의

관용령은 종교의 자유와 관용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역사적 사례로서, 비록 완전한 종교 자유를 보장하지는 못했지만 종교적 박해를 완화하고 다양한 신앙을 가진 사람들이 공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현대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7. 1. 종교 자유의 확대

잉글랜드 연방과 찰스 2세 통치 기간 동안, 로마 가톨릭교도를 포함한 불응파 이교도들은 종교적 박해를 받았고 공직을 맡을 수 없었다.[7] 제임스 2세는 심사법 폐지를 시도하였으나 의회의 지지를 얻지 못했고, 명예 혁명으로 이어졌다.[8]

관용령은 여러 면에서 타협적인 법안으로, 비국교도(잉글랜드 국교회 신자가 아닌 개신교도)의 지지를 얻기 위한 목적도 있었다.[8] 휘그당토리당 모두 비국교도들에게 종교적 자유를 약속했지만, 제임스 2세의 관용 선언은 시민의 자유를 훼손하고 의회를 우회하려는 시도로 여겨졌다.[9]

가톨릭교도와 유니테리언은 관용령 통과 후에도 여전히 집회와 기도할 권리가 없었고,[8] 심사법으로 인해 비성공회 신자들은 의회에 참여할 수 없었다.[10] 유니테리언은 삼위일체 교리법 1813 이후에야 관용을 받게 되었는데,[10] 그 전에는 삼위일체를 부인하는 것이 스코틀랜드에서 사형에 해당하는 범죄였다.[10]

심사법은 19세기까지 효력을 유지했다.[8] 이후 유니테리언 구제법 1813을 통해 삼위일체 교리를 믿지 않는 개신교 신자들에게까지 신앙의 관용이 확대되었고, 로마 가톨릭 구제법 1791을 통해 가톨릭 신자들은 엄격한 조건 하에 예배를 드릴 수 있게 되었다. 비국교도와 로마 가톨릭 신자들의 공직 진출, 학교 운영, 토지 소유를 막았던 선서와 시험은 점차 철회되었다. 로마 가톨릭 구제법 1829는 로마 가톨릭교도의 의회 진출을 허용했고, 유대인 구제법 1858은 유대교 신자들에게 유사한 효과를 가져왔다. 종교적 장애법 1846은 로마 가톨릭 신자에 대한 교육, 자선, 재산 소유 제한을 종식시켰지만, 옥스퍼드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더럼 대학교는 대학교 시험법 1871이 발효될 때까지 로마 가톨릭 신자를 계속 배제할 수 있었다. 예배 장소 등록법 1855의 통과로 비성공회 예배 장소 등록 시스템이 도입되어, 등록된 예배 장소는 법적, 재정적 이점을 얻게 되었고, "대안 종교는 합법적일 뿐만 아니라 종종 법에 의해 촉진되었다."[14]

참조

[1] 문서 The citation of this Act by this short title was authorised by section 5 of, and Schedule 2 to, the Statute Law Revision Act 1948. Due to the repeal of those provisions, it is now authorised by section 19(2) of the Interpretation Act 1978.
[2] 문서 These words are printed against this Act in the second column of Schedule 2 to the Statute Law Revision Act 1948, which is headed "Title".
[3] 서적 The Digest of English Case Law Containing the Reported Decisions of the Superior Courts: And a Selection from Those of the Irish Courts [from 1557] to the End of 1897 Sweet and Maxwell
[4] 웹사이트 House of Lords Journal: 24 May 1689: record of royal assent http://www.british-h[...]
[5] 서적 The new Cambridge moder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간행물 Pickard, Edward (1714–1778) http://www.oxforddnb[...] Oxford University Press 2010-02-18
[7] 서적 1688: The First Modern Revolution Yale University Press
[8] 서적 Cracking the AP European History Exam Princeton Review, Inc
[9] 서적 Revolution: The Great Crisis of the British Monarch, 1685–1720 Allen Lane
[10] 서적 Eighteenth-Century Britain, 1688–1783 Palgrave Macmillan
[11] 서적 Religion and Society to c. 1900 Oxford University Press
[12] 서적 Constitutional Debates on Freedom of Religion: A Documentary History Greenwood Press
[13] 서적 The Protestant Crusade: 1800–1860; a study of the origins of American nativism https://archive.org/[...]
[14] 서적 Law and Relig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