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페미니스트 이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미니스트 이론은 1794년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저술에서 시작되어, 여성의 권리, 성 정체성, 성별 간 관계 등에 대한 다양한 논의를 거쳐 발전해 왔다. 시몬 드 보부아르의 "제2의 성" 출간 이후 페미니즘은 실존주의적 차원을 더했으며, 1960년대 후반에는 환경주의와 모계 중심성에 대한 관심과 함께 생물학적 결정론을 거부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1970년대 이후 프랑스 페미니즘의 정신분석학적 아이디어가 큰 영향을 미쳤고, 1990년대 이후에는 교차성, 트랜스페미니즘, 퀴어 페미니즘 등 다양한 분파가 등장했다. 페미니스트 이론은 몸과 젠더, 인식론, 교차성, 언어, 심리학, 문학 이론, 영화 이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 독자적인 분과로 발전하며, 여성의 억압과 차별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여성주의 철학 - 돌봄 윤리
    돌봄 윤리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공감, 책임, 배려를 중시하는 윤리적 관점으로, 여성적 관점에서 도덕성을 재해석하며 추상적 원칙보다 구체적 관계 속 책임을 강조하고, 정치, 정신 건강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다.
  • 여성주의 철학 - 여성주의 미학
    여성주의 미학은 예술과 미학에 대한 전통적 견해가 성 역할에 영향을 받는다는 관점에서 예술을 분석하며, 미적 범주에 대한 성별 차이 인식, 여성 경험의 소외, 그리고 여성 예술가 재평가와 여성 관점의 중심화를 추구하는 학문이다.
  • 여성주의 이론 - 부권제
    부권제는 가부장제라고도 불리며 남성이 권력을 쥐고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제도로, 여성주의 이론에서는 여성을 억압하는 불평등한 사회 구조로 규정하며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되고 비판적으로 고찰된다.
  • 여성주의 이론 - 흑인 여성주의
    흑인 여성주의는 1960-70년대 민권 운동과 2세대 여성주의 운동에서 흑인 여성들이 겪은 배제와 차별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인종, 젠더, 계급 등 다양한 억압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흑인 여성의 특수한 경험을 분석하고 사회 불평등에 저항하며 권익을 옹호하는 사상 및 운동이다.
  • 사회학 이론 - 민족학
    민족학은 민족지학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문화를 비교, 대조하며, 여러 민족의 기원, 언어, 관습, 제도를 연구하여 인류 역사를 재구성하고 문화적 보편성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는 학문이다.
  • 사회학 이론 - 사회 연결망
    사회 연결망 분석은 개인이나 집단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사회적 구조와 행동을 이해하는 학제 간 연구 방법론으로, 다양한 이론적 틀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내 위치와 정보 접근의 중요성을 분석하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된다.
페미니스트 이론
페미니즘 이론
여성주의 상징
여성주의 상징
개요
유형정치 이론
사회 이론
주요 주제젠더 불평등
성차별
고정관념
성적 대상화
가부장제
관련 학문여성학
사회학
정치학
젠더 연구
문화 연구
정신분석학
철학
역사 및 발전
주요 흐름자유주의 페미니즘
급진주의 페미니즘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사회주의 페미니즘
다문화 페미니즘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생태 페미니즘
정신분석 페미니즘
퀴어 이론
트랜스젠더 페미니즘
주요 저서제2의 성》 (시몬 드 보부아르)
《여성, 불구가 되다》 (저메인 그리어)
《성의 정치학》 (케이트 밀레트)
《페미니스트 이론: 주변에서 중심으로》 (벨 훅스)
주요 개념
핵심 개념젠더

성 역할
가부장제
여성 혐오
성적 대상화
교차성
관련 개념성 평등
사회 정의
인권
권력
억압
해방
영향
영향 분야정치
사회
문화
예술
문학
법률
교육
심리학
역사

2. 역사

페미니스트 이론은 1794년 메리 울스턴크래프트의 ''여성의 권리 옹호''와 같은 출판물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후 1851년 소저너 트루스는 "나는 여자가 아닌가"라는 글로 여성의 권리 문제를, 1872년 수잔 B. 앤서니는 "불법 투표로 체포된 후의 연설"에서 헌법의 남성 중심적 언어에 문제를 제기했다.[12]

낸시 코트는 ''현대 페미니즘''과 참정권 운동을 구별하며, 1910-1930년대를 전환점으로 본다. 이 시기 여성 운동은 ''보편주의''에서 ''개별성''과 다양성에 주목하는 것으로 변화했다.[14] 수잔 킹슬리 켄트는 프로이트식 가부장제를 원인으로 지목하기도 하지만,[15] 줄리엣 미첼 등은 프로이트 이론과 페미니즘의 양립 가능성을 주장한다.[16]

시몬 드 보부아르는 1949년 ''제2의 성''을 통해 페미니즘에 실존주의적 차원을 더했다.[18] 그녀는 여성이 "타자"로 인식되는 현실을 비판하며 주체성 회복을 주장했다.[20] 1960년대 후반 페미니스트 활동의 부활은 환경주의와 생물학적 결정론 논쟁을 재점화시켰다.[22][23][24] 진 베이커 밀러 등 페미니스트 심리학자들은 기존 심리학 이론을 비판하며 여성 문제가 아닌 현대 문화의 문제임을 지적했다.[25]

일레인 쇼월터는 페미니스트 이론 발전을 "페미니스트 비평", "여성비평", "젠더 이론"의 세 단계로 묘사했다.[26] 그러나 토릴 모이는 이를 본질주의적이고 결정론적인 모델이라 비판했다.[27] 1970년대부터 프랑스 페미니즘의 정신분석학적 아이디어는 페미니스트 이론에 큰 영향을 주었다.[28]

1990년대와 2010년대에는 교차성이 중요해지며, 트랜스페미니즘, 퀴어 페미니즘, 흑인, 반인종주의, 탈식민 페미니즘이 통합되었다.[29] 성폭력, 동의, 신체 긍정주의 논의와 함께, 신유물론, 정동 지향, 포스트휴머니스트, 생태여성주의 관점이 부상했다.[30][31][32][33][34][35][36]

2. 1. 한국 페미니즘의 역사

주어진 원본 소스는 한국 페미니즘의 역사가 아닌, 전반적인 페미니스트 이론의 발전 과정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한국 페미니즘의 역사' 섹션에 포함될 내용은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는다.

3. 주요 분과



페미니즘은 여러 분야에서 독자적인 분과로 발전했으며,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이 자신의 분야에 페미니즘 기법과 원리를 적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분과들은 페미니스트 이론을 형성하는 논쟁의 장이기도 하며,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의 논의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3. 1. 몸과 젠더

서양 사상에서 몸은 역사적으로 여성과만 연관되어 온 반면, 남성은 정신과 연관되어 왔다. 현대 페미니스트 철학자인 수전 보르도는 자신의 저서에서 아리스토텔레스, 헤겔, 데카르트의 초기 철학을 검토하여 정신/몸의 연결에 대한 이원론적 본질을 상세히 설명하며, 정신/물질, 남성적 활동/여성적 수동성과 같은 그러한 구별되는 이분법이 어떻게 성적 특성과 범주화를 공고히 하는 데 작용했는지 밝힌다.[37] 보르도는 남성은 역사적으로 지성, 정신 또는 영과 연관되어 온 반면, 여성은 오랫동안 몸, 즉 정신/몸 이분법에서 종속되고 부정적으로 부여된 용어와 연관되어 왔다고 지적한다.

몸(하지만 정신은 아님)이 여성과 연관된다는 개념은 여성을 재산, 물건, (남성 간의) 교환 가능한 상품으로 간주하는 정당성을 제공했다. 예를 들어, 여성의 몸은 패션, 다이어트, 운동 프로그램, 성형 수술, 출산 등의 변화하는 이데올로기를 통해 역사적으로 대상화되어 왔다. 이는 피를 흘리는 전쟁에서 일하거나 싸우는 책임이 있는 도덕적 행위자로서의 남성의 역할과는 대조적이다.

여성의 인종과 계급은 그녀의 몸이 장식으로 취급되어 보호받을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데, 이는 중산층 또는 상류층 여성의 몸과 연관된다. 반면에, 다른 몸은 노동과 착취에 사용되는 것으로 인식되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노동 계급 여성 또는 유색 인종 여성의 몸과 연관된다.

제2 물결 페미니스트 활동은 생식 권리와 선택을 주장했다. 미국의 여성 건강 운동과 레즈비언 페미니즘 또한 이러한 몸에 대한 논쟁과 관련이 있다. 표준적인 성 결정 및 젠더 모델은 각 개인의 결정된 성별과 젠더에 근거한 증거로 구성되며, 사회 생활의 규범 역할을 한다. 개인의 성 결정이 남성/여성 이분법 내에 존재한다는 모델은 생식기와 염색체 및 DNA 결합 단백질(예: 성 결정 영역 Y 유전자)을 통해 생식기가 어떻게 형성되는지에 중요성을 부여하며, 이는 태아의 생물학적 성 결정 시스템으로 신호의 초기화 및 완성을 보내고 받는 역할을 한다. 때때로 성 결정 과정에서 변이가 발생하여 간성 상태가 발생한다. 표준 모델은 젠더를 남성과 여성에게 어떤 행동, 행위 및 외모가 정상적인지를 정의하는 사회적 이해/이데올로기로 정의한다. 생물학적 성 결정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또한 행동, 행위 및 욕구와 같은 특정 젠더 행동을 성 결정론과 연결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기 시작했다.[38]

사회적으로 편향된 아동의 성 및 젠더 모델은 성 및 젠더 이데올로기의 지평을 넓힌다. 이는 성 이데올로기를 남성 또는 여성으로 제한되지 않는 사회적 구성물로 수정한다. 북미 인터섹스 협회는 "자연은 '남성' 범주가 어디에서 끝나고 '인터섹스' 범주가 시작되는지, 또는 '인터섹스' 범주가 어디에서 끝나고 '여성' 범주가 시작되는지를 결정하지 않는다. 인간이 결정한다. 인간(오늘날 일반적으로 의사)은 얼마나 작은 음경을 가져야 하는지, 또는 얼마나 특이한 부위 조합을 가져야 인터섹스로 간주되는지를 결정한다."라고 설명한다.[39] 따라서 성은 생물학적/자연적 구성물이 아니라 사회적 구성물인데, 사회와 의사가 성염색체와 생식기 측면에서 남성, 여성 또는 인터섹스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결정할 뿐만 아니라 특정 성으로 누가 또는 어떻게 통과하는지에 대한 개인적인 판단도 내리기 때문이다. 젠더의 이데올로기는 사회적 구성물로 남아 있지만 그만큼 엄격하고 고정되어 있지 않다. 대신, 젠더는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영원히 변화한다. 젠더의 표준 정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는 한 가지 예는 샐리 셔틀워스의 ''여성 순환''에 묘사되어 있는데, "여성의 몰락, 즉 노동 시장에서 적극적인 참여자에서 남성 전문성에 의해 통제되는 수동적인 육체적 존재로 축소되는 것은 빅토리아 시대 잉글랜드의 가족 및 시장 관계의 변화하는 구조를 촉진하고 유지하기 위해 젠더 역할의 이데올로기적 배치가 작동하는 방식을 보여준다".[40] 즉, 이 인용문은 여성(젠더/역할)의 역할로 성장하는 것이 주부에서 직장 여성으로, 다시 수동적이고 남성보다 열등한 존재로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현대 성 젠더 모델은 정확하다. 이는 성과 젠더 모두 다양한 성과 젠더를 포괄하는 사회적 구성물로 올바르게 간주되며, 자연과 양육이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3. 2. 인식론

지식이 어떻게 생산, 생성 및 분배되는지에 대한 질문은 서구의 페미니스트 이론 개념과 페미니스트 인식론에 대한 논의의 중심이 되어 왔다. "과연 '여성의 앎의 방식'과 '여성의 지식'이 존재하는가?"와 "여성이 스스로에 대해 생산하는 지식은 가부장제에 의해 생산된 지식과 어떻게 다른가?"라는 질문이 제기된다.[41]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은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시각"을 "여성의 삶의 시각"을 배제하는 앎의 모델로 대체하려는 "페미니스트 스탠드포인트 인식론"을 제안했다.[41] 인식론에 대한 페미니스트적 접근 방식은 여성의 관점에서 지식 생산을 확립하고자 한다. 이는 개인적인 경험으로부터 지식이 발생하며, 이 지식이 각 개인이 다른 통찰력으로 사물을 바라볼 수 있도록 돕는다고 이론화한다.

여성이 체계적으로 종속된다는 사실은 페미니즘의 핵심이며, 여성이 이러한 종속에 자신의 주체성을 포기할 때 (예: 신의 뜻에 따라 남성이 결혼에서 지배적인 당사자라는 종교적 믿음을 받아들이는 경우) 악의가 존재한다. 시몬 드 보부아르는 그러한 여성들을 "절단된" 그리고 "내재적인" 존재로 묘사한다.[42][43][44][45]

3. 3. 교차성

교차성은 인종, 성별, 계급, 국가, 성적 지향 등 지배적인 요소들의 관계망을 기반으로 사람들이 억압받는 다양한 방식을 연구하는 것이다. 교차성은 "우리의 삶과 정치적 선택을 형성하는 동시적이고 다중적이며 중첩되고 모순되는 권력 체계"를 설명한다. 이 이론은 모든 사람, 특히 모든 여성에게 적용될 수 있지만, 흑인 페미니즘의 영역에서 특별히 언급되고 연구된다. 패트리샤 힐 콜린스는 특히 흑인 여성들이 백인 여성과는 달리 인종적 억압과 성적 억압을 동시에 겪는 등, 세상의 억압에 대한 독특한 관점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 논쟁은 젠더뿐만 아니라 인종차별주의, 계급차별주의, 연령차별주의, 이성애주의, 장애차별주의 등 다른 요소에 의해 형성된 여성의 억압적인 삶을 이해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3. 4. 언어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은 남성 중심적인 언어가 여성의 삶에 대한 문학적 이해를 어렵게 만든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아버지 하느님"과 같이 신을 남성으로만 지칭하거나, 성경에서 "그"와 같은 남성 대명사로 하느님을 지칭하는 것이 그러한 사례이다.[1]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은 언어를 깊이 있게 성찰함으로써 여성을 되찾고 재정의하고자 한다. 예를 들어, "women" 대신 "womyn|우먼영어"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거나, 직업 명칭에 "경찰관"이나 "우편 배달부"와 같이 성 중립적인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1] 일부 페미니스트 이론가들은 "lesbian|레즈비언영어"이나 "bitch|개년영어"과 같은 단어를 재전유하고 재정의하기도 한다.[1]

3. 5. 심리학

페미니스트 심리학은 사회 구조와 젠더에 초점을 맞춘 심리학의 한 형태이다. 페미니스트 심리학은 역사적으로 심리학 연구가 남성을 기준으로 이루어져 왔고, 남성을 규범으로 간주해 왔다는 사실을 비판한다.[46] 페미니스트 심리학은 페미니즘의 가치와 원칙을 지향하며, 젠더와 여성이 젠더로 인해 영향을 받는 방식을 다룬다. 에델 덴치 퍼퍼 하우즈는 심리학 분야에 진출한 최초의 여성 중 한 명으로, 1914년 전국 대학 평등 선거 연맹의 사무총장이었다.

진 베이커 밀러의 저서 ''여성의 새로운 심리학을 향하여(Toward a New Psychology of Women)''를 기반으로 하는 관계-문화 이론은 주요 심리학 이론 중 하나이다. 이 책은 "성장을 촉진하는 관계는 인간의 핵심적인 필요이며, 단절은 심리적 문제의 근원"이라고 주장한다.[47] 베티 프리단의 ''여성의 신비(The Feminine Mystique)''와 1960년대의 다른 페미니즘 고전에서 영감을 받은 관계-문화 이론은 "고립은 가장 파괴적인 인간적 경험 중 하나이며, 다른 사람들과의 재연결을 통해 가장 잘 치료된다"고 제안하며, 치료사는 "치료사의 중립성을 희생하더라도 환자에 대한 공감과 수용의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한다.[48] 이 이론은 임상 관찰을 바탕으로 "여성에게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라 현대 문화가 여성을 바라보는 방식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했다.[25]

페미니스트 정신분석은 프로이트정신분석 이론에 기반을 두고 있지만, 이에 대한 중요한 비판도 제공한다. 젠더는 생물학적인 것이 아니라 개인의 정신-성적 발달에 기반을 둔다고 주장하지만, 성적 차이와 젠더는 서로 다른 개념이라고 주장한다. 정신분석 페미니스트들은 젠더 불평등이 어린 시절의 경험에서 비롯된다고 믿으며, 이는 남성으로 하여금 스스로를 남성이라고 믿게 하고, 여성으로 하여금 스스로를 여성이라고 믿게 한다. 또한 젠더는 남성이 지배하는 사회 시스템으로 이어지며, 이는 차례로 개인의 정신-성적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해결책으로 사회의 젠더 특화된 구조를 피하는 것, 즉 남녀공학이 제시되었다.[1]

20세기 마지막 30년 동안, 젠더보다는 성적 차이를 언급하는 여성성에 관한 현대 프랑스 정신분석 이론은 줄리아 크리스테바,[49][50] 모드 마노니, 뤼스 이리가레이,[51][52] 브라차 에팅거(매트릭스 공간과 매트릭스적 페미니스트 윤리 개념 창안)[53][54][55][56][57]등의 정신분석가들의 영향을 받아, 페미니스트 이론뿐만 아니라 철학, 예술, 미학과 윤리, 그리고 정신분석학 자체의 전반적인 분야에서 주체에 대한 이해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58][59] 이 프랑스 정신분석가들은 주로 포스트-라캉주의자이다. 정신분석과의 관련을 통해 이 분야를 풍요롭게 한 다른 페미니스트 정신분석가 및 페미니스트 이론가로는 제시카 벤자민,[60] 재클린 로즈,[61] 란자나 칸나,[62] 쇼샤나 펠먼이 있다.[63]

인형을 든 소녀


힐러리 포터가 2006년 페미니스트 이론과 범죄학을 통합하는 가교 역할을 하기 위해 만든 흑인 여성 페미니스트 범죄학 이론은 흑인 페미니스트 이론과 비판적 인종 페미니스트 이론의 통합을 기반으로 한다.[107] 포터는 이 이론을 설명하면서, 흑인 여성의 범죄 피해 경험을 묘사한다. 패트리나 듀하니와 제니스 크로포드 몽데와 같은 다른 학자들은 현재 및 과거 수감된 흑인 여성과 관련하여 흑인 여성 페미니스트 범죄학을 연구했다.[108][109]

수년 동안 흑인 여성은 역사적으로 범죄와 범죄학 연구에서 간과되고 무시되었다. 그러나 1980년대에 촉발된 흑인 페미니즘에 대한 새로운 초점으로 인해 흑인 페미니스트들은 자신들의 독특한 경험을 맥락화하고 형사 사법 시스템에서 흑인 여성의 일반적인 지위가 여성 특유의 접근 방식이 부족한 이유를 조사하기 시작했다.[110] 포터는 흑인 여성이 일반적으로 "인종차별, 성차별 및 계급차별의 결과로 적절한 교육과 고용에 대한 제한적인 접근"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종종 불리하다고 설명한다. 이러한 불리함은 "사회 서비스 전문가와 범죄 처리 요원이 흑인 여성의 대인 관계 피해에 대한 열악한 대응"으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범죄 연구는 백인 남성/여성과 흑인 남성에 초점을 맞췄다. 흑인 남성을 대상으로 한 모든 결과나 결론은 일반적으로 흑인 여성에게도 동일한 상황으로 간주되었다. 흑인 남성과 흑인 여성은 경험하는 것이 다르기 때문에 이는 매우 문제가 되었다. 예를 들어, 경제적 박탈, 성별 간의 지위 평등, 독특한 사회화 패턴, 인종차별 및 성차별은 흑인 남성과 흑인 여성 사이에서 모두 고려해야 한다. 이 두 그룹은 이러한 모든 요소를 다르게 경험할 것이므로 이 딜레마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했다.

흑인 여성 페미니스트 범죄학은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안되었다. 이는 다음 네 가지 요소를 고려한다.

  • 흑인 여성의 사회 구조적 억압(예: 크렌쇼의 교차성 관점을 통해).
  • 흑인 공동체와 문화의 뉘앙스.
  • 흑인 친밀 관계 및 가족 관계.
  • 개인으로서의 흑인 여성.


포터는 이 네 가지 요소가 흑인 여성 페미니스트 범죄학이 형사 사법 시스템 내에서 흑인 여성과 흑인 남성의 경험의 차이점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포터는 이 이론이 형사 사법 시스템에서 흑인 여성의 경험을 이해하고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하지만, 경험의 뉘앙스를 무시할 정도로 일반화할 수는 없다고 주의를 촉구한다. 포터는 흑인 여성의 "개별적인 상황은 항상 이 여성들이 공유하는 경험과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썼다.[107]

3. 6. 문학 이론

페미니스트 문학 비평은 페미니스트 이론이나 정치학에 의해 영향을 받은 문학 비평이다. 그 역사는 조지 엘리엇, 버지니아 울프,[64] 마거릿 풀러와 같은 여성 작가의 고전 작품에서부터 "3차 페미니즘" 작가들의 여성학 및 젠더 연구에 대한 최근의 이론적 연구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65]

1970년대 이전의 페미니스트 문학 비평은 여성의 저작권 정치학과 문학 내 여성의 상태 표현에 관심을 기울였다.[65] 젠더와 주체성에 대한 보다 복잡한 개념이 등장한 이후, 페미니스트 문학 비평은 다양한 새로운 길을 걸어왔다. 이는 프로이트라캉의 정신 분석의 관점에서, 기존의 권력 관계의 해체의 일부로 젠더를 고려했다.[65]

3. 7. 영화 이론

로라 멀비와 같은 많은 페미니스트 영화 평론가들은 고전적인 할리우드 영화 제작에서 지배적인 "남성적 시선"을 지적했다. 쇼트-리버스 쇼트와 같은 다양한 영화 기법을 사용하여 관객은 남성 주인공의 시점과 자신을 동일시하게 된다. 특히 여성은 관람객의 대리인으로서보다는 이 시선의 대상으로 기능하는 경우가 훨씬 더 많다.[66][67] 지난 20년간의 페미니스트 영화 이론은 브라차 에팅거의 여성적, 모성적, 매트릭스적 시선이 제공하는 시선을 표현하는 새로운 선택지를 포함하여 정신분석학적 프랑스 페미니즘 등 미학 분야의 일반적인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68][69]

참조

[1] 서적 Feminism and Psychoanalytic Theory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989
[2] 서적 Shaping the Future of Feminist Psycholog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7
[3] 간행물 In a Different Voice: Women's Conceptions of Self and Morality 1977
[4] 서적 Feminist Ethics in Psychotherap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90
[5] 서적 Looking Back to the Future: Essays on Art, Life and Death G&B Arts 2001
[6] 서적 Inside the Visible MIT Press 1996
[7] 서적 Women Artists at the Millennium October Books / MIT Press 2006
[8] 서적 Art and Thought Blackwell 2003
[9] 서적 Differential Aesthetics Ashgate 2000
[10] 문서 The Changing Woman
[11] 문서 Ain't I a Woman
[12] 문서 Speech After Arrest for Illegal Voting
[13] 웹사이트 Native American Indian Legends - Changing Woman - Navajo http://www.firstpeop[...] 2012-02-21
[14] 서적 The Grounding of Modern Feminism Yale University Press 1987
[15] 서적 Making Peace: The Reconstruction of Gender in Interwar Britain 1993
[16] 서적 Psychoanalysis and Feminism: Freud, Reich, Laing, and Women 1975
[17] 서적 After Tylor: British Social Anthropology, 1888–1951 1995
[18] 웹사이트 Le Deuxième Sexe (online edition) http://www.marxists.[...] 2007-08-17
[19] 서적 What is a Woman? And Other Essays 2000
[20] 서적 The Philosophy of Simone de Beauvoir: Gendered Phenomenologies, Erotic Generosities SUNY 1996
[21] 간행물 The work of Simone de Beauvoir: Introduction Journal of Speculative Philosophy 2000 14(2):v 2000
[22] 서적 Of Woman Born: Motherhood as Experience and Institution 1976
[23] 서적 Beyond Power: On Women, Men, and Morals 1985
[24] 서적 Woman's Evolution: From Matriarchal Clan to Patriarchal Family 1975
[25] 웹사이트 Jean Baker Miller http://www.harvardsq[...] 2012-07-20
[26] 서적 Toward a Feminist Poetics: Women's Writing and Writing About Women Random House 1988
[27] 서적 Sexual/Textual Politics Routledge 2002
[28] 서적 Laughing with Medusa Oxford 2006
[29] 서적 The Politics of Third Wave Feminisms: Neoliberalism, Intersectionality, and the State in Britain and the US Palgrave Macmillan 2015
[30] 논문 “… as if it were a thing.” A feminist critique of consent 2020
[31] 논문 Why Fat is a Feminist Issue https://www.research[...] 2012
[32]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Feminist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33]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Feminist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34] 서적 The Oxford Handbook of Feminist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35] 논문 Feminists write the Anthropocene: three tales of possibility in Late Capitalism 2017
[36] 논문 Feminist Posthumanism 2019
[37] 서적 Unbearable Weight
[38] 간행물 The race to be male 1988-10
[39] 문서 Frequently Asked Questions Intersex Society of North America 1993–2008
[40] 문서 Female Circulation: Medical Discourse and Popular Advertising in the Mid-Victorian Era Routledge 1990
[41] 서적 Feminist theory : a reader Mayfield Pub. Co 1999
[42] 문서 The Look as Bad Faith 1992
[43] 문서 It argues, with Simone de Beauvoir, that patriarchal marriage is both a perversion of the meaning of the couple and an institution in transition'', Marriage, Autonomy, and the Feminine Protest http://muse.jhu.edu/[...] 1999
[44] 문서 '"mutilated... immanent..."', The Second Sex Vintage Press 1952
[45] 문서 … women are systematically subordinated… de Beauvoir labels women "mutilated" and "immanent"… women succumb to 'bad faith' and surrender their agency… Feminist Perspectives on the Self,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46] 서적 Women and Gender: A feminist psychology McGraw-Hill Companies Inc. 2000
[47] 웹사이트 Biography of Dr. Jean Baker Miller https://www.nlm.nih.[...] 2016-05-12
[48] 뉴스 Jean Baker Miller, 78, Psychiatrist, Is Dead https://www.nytimes.[...] 2006-08-08
[49] 서적 The Kristeva Reader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6
[50] 서적 Powers of Horror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2
[51] 서적 Key Writings Continuum
[52] 서적 Sexes and Genealogies Columbia University Press 1993
[53] 논문 Matrix and Metramorphosis 1992
[54] 서적 Proto-ética matricial Gedisa 2019
[55] 서적 Diotima and the Matrixial Transference Peter Lang 2007
[56] 서적 Matrixial Subjectivity, Aesthetics, Ethics. Vol 1: 1990-2000 Pelgrave Macmillan 2020
[57] 서적 The Matrixial Borderspac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6
[58] 간행물 Theory, Culture and Society 2004
[59] 서적 Laughing with Medusa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60] 서적 The Bonds of Love Virago 1990
[61] 문서 "Dora: Fragment of an Analysis" Virago 1985
[62] 서적 Dark Continents: Psychoanalysis and Colonialism https://books.google[...] Duke University Press
[63] 서적 What Does a Woman Want https://archive.org/[...]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64] 서적 Modernist Women and Visual Cultures Rutgers University Press 2003
[65] 서적 Feminist Literary Criticism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2
[66] 서적 Feminist Film Theorists Routledge 2006
[67] 웹사이트 Visual Pleasure and Narrative Cinema http://www.panix.com[...] Routledge 1988
[68] 서적 Feminism and Film Indiana University press 1997
[69] 서적 Aesthetics, Ethics and Trauma in the Cinema of Pedro Almodovar Edinburgh University press 2017
[70] 문서 ""Why have There Been No Great Women Artists?" Thirty Years After" October Books, MIT Press 2006
[71] 서적 Old Mistresses: Women, Art and Ideology Pandora 1981
[72] 서적 Looking Back to the Future G&B New Arts Press 2001
[73] 서적 Encounters in the Virtual Feminist Museum: Time, Space and the Archive Routledge 2007
[74] 서적 Making Feminist History: The Literary Scholarship of Sandra M. Gilbert and Susan Gubar Garland Publications 1994
[75] 서적 History and Theory: Feminist Research, Debates, Contestation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7
[76] 서적 The Majority Finds Its Past: Placing Women i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1981
[77] 서적 Generations and Geographies in the Visual Arts Routledge 1996
[78] 서적 3 X Abstraction Yale University Press 2005
[79] 간행물 Reviewed work: Feminism and Geography: The Limits of Geographical Knowledge, Gillian Rose; Gender, Planning and the Policy Process, Jo Little https://www.jstor.or[...] 1995
[80] 서적 Feminisms in Geography: Rethinking Space, Place, and Knowledges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07
[81] 서적 Rethinking Borders Macmillan 1996
[82] 서적 The Concise Encyclopedia of Western Philosophy Routledge 2005
[83] 문서 Lesbians in Revolt 1972
[84] 문서 The Roots of Biphobia: Racism and Internalized Heterosexism Seal Press 1992
[85] 웹사이트 Feminist analyses of the state http://www.essex.ac.[...] 2010-10-01
[86] 웹사이트 WOMEN@IR – WeBIND: A Network to Promote Women Leadership in International Relations https://iwpr.org/iss[...] 2020-01-02
[87] 서적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88] 간행물 Book review: Katrine Marçal, Who Cooked Adam Smith's Dinner: A Story About Women and Economics http://journals.sage[...] 2019-08
[89] 서적 Toward a Feminist Philosophy of Econom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3
[90] 서적 Radical Feminism: A Documentary Reader, By Barbara A. Crow, Housework: Slavery or a Labor of Love NYU Press 2000
[91] 웹사이트 If Women Counted: A New Feminist Economics http://www.roiw.org/[...] Harper & Row 1988
[92] 웹사이트 Gender, Metaphor, and the Definition of Economics https://www.cambridg[...] 1992
[93] 서적 Beyond Economic Man: Feminist Theory and Economic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94] 웹사이트 "A Modest Herstory\" of Betsy Warrior" http://www.ncdsv.org[...] 2015-11-10
[95] 뉴스 In-Depth Report Details Economics of Sex Trade https://www.nytimes.[...] 2014-03-12
[96] 간행물 Social Provisioning as a Starting Point for Feminist Economics Routledge 2004-11
[97] 서적 'Where We Stand: Observations on the Situation of Feminist Legal Thought' Temple University Press 1993
[98] 서적 'Deconstructing Contract Doctrine' Harper Collins 1992
[99] 서적 Feminist Legal Theory: Readings in Law and Gender Harper Collins 1992
[100] 서적 Demarginalizing the Intersection of Race and Sex: A Black Feminist Critique of Antidiscrimination Doctrine, Feminist Theory, and Antiracist Politics http://politicalscie[...] Westview Press, Inc. 1991
[101] 문서 Feminist approaches to communication SAGE Publications, Inc. 2009
[102] 서적 Feminist Communication Theories https://books.google[...] SAGE Publications 2009
[103] 간행물 Toward a Feminist Theory of Public Relations 1995
[104] 간행물 Feminist Values in Public Relations 2000-01
[105] 문서 Gender and Visual Communication: Toward a Feminist Theory of Design 1992-12
[106] 논문 Gender and Thought: The Role of Self Concept 1989
[107] 학술지 An Argument for Black Feminist Criminology: Understanding African American Women's Experiences With Intimate Partner Abuse Using an Integrated Approach http://users.soc.umn[...] 2006-04
[108] 보고서 "Trying to get Free": A Theoretical Centering of Black Women's Post-Carceral Narratives of Systemic Unfreedom https://www.crimrxiv[...] 2021-08-21
[109] 학술지 Contextualizing the Experiences of Black Women Arrested for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Canada 2021-12-05
[110] 서적 Criminological Perspectives on Race and Crim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10-24
[111] 학술지 Feminist technoscience studies 2010-11-05
[112] 서적 The Death of Nature: Women and the Scientific Revolution Harper & Row 1980
[113] 서적 Patriarchy and Accumulation on a World Scale https://www.zedbooks[...] Zed Books 1986
[114] 서적 Staying Alive: Women, Ecology and Development https://www.zedbooks[...] Zed Books 1989
[115] 서적 Ecofeminism as Politics: Nature, Marx and the Postmodern https://www.zedbooks[...] Zed Books 199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