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인 여성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흑인 여성주의는 1960-70년대 민권 운동에서 시작되어, 흑인 여성들이 겪는 인종차별, 성차별, 계급차별 등의 복합적인 억압에 대한 저항을 담은 사상 및 운동이다. 흑인 여성주의는 기존의 민권 운동과 주류 여성주의 운동에서 소외된 흑인 여성의 경험을 중심으로, 상호교차성, 억압의 매트릭스 등의 개념을 통해 억압의 다양한 양상을 분석하고, 정체성 정치를 통해 사회 변화를 추구한다. 19세기 노예제 폐지 운동부터 21세기 디지털 시대까지, 흑인 여성주의는 흑인 레즈비언 페미니즘, 힙합 페미니즘, 컨저 페미니즘 등 다양한 분파를 통해 발전해왔으며, 앤젤라 데이비스, 킴벌리 크렌쇼, 벨 훅스 등 주요 인물과 전국 흑인 여성주의 기구, 콤바히 강 집단 등의 단체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흑인 여성주의는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디지털 운동을 통해 젠더 평등과 사회 정의를 위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SayHerName, #BlackGirlMagic 등의 캠페인을 통해 흑인 여성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흑인 여성주의 - 여성주의 윤리
여성주의 윤리는 전통 윤리가 간과한 여성의 경험과 관점을 중심으로 도덕적 가치를 재고하며, 상호 의존성, 관계 맺음, 배려와 같은 여성적 가치를 강조하여 사회 정의를 실현하고자 하는 윤리적 접근 방식이다. - 여성주의 이론 - 부권제
부권제는 가부장제라고도 불리며 남성이 권력을 쥐고 사회 전반을 지배하는 제도로, 여성주의 이론에서는 여성을 억압하는 불평등한 사회 구조로 규정하며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되고 비판적으로 고찰된다. - 여성주의 이론 - 포스트모던 여성주의
포스트모던 여성주의는 성별과 젠더의 사회적 구성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가지며, 여성의 고정된 정체성이 없고 젠더가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주장을 펼치는 사상으로, 모더니스트 여성주의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한다.
흑인 여성주의 | |
---|---|
흑인 여성주의 | |
![]() | |
다른 이름 | 아프로페미니즘 |
기원 | 1960년대 미국 |
주요 관심사 | 인종 차별 성차별 계급 차별 성소수자 혐오 |
이론적 배경 | |
교차성 | 비판 이론 페미니즘 아프리카계 미국인 연구 |
주요 인물 | |
주요 인물 | 안젤라 데이비스 벨 훅스 패트리샤 힐 콜린스 킴벌리 크렌쇼 오드리 로드 앨리스 워커 소저너 트루스 |
관련 주제 | |
관련 주제 | 흑인 해방 흑인 여성 문학 정체성 정치 여성학 우머니즘 |
2. 역사
흑인 여성주의는 1960년대와 1970년대의 민권 운동에서 비롯되었다.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나 블랙 팬서와 같은 단체에서 활동하던 흑인 여성들은 기존의 민권 운동 조직 내에 만연한 성차별을 경험했다. 이들은 인종 평등과 젠더 평등이 만나는 지점, 즉 상호교차성을 간과하는 현실에 주목했다.
앤젤라 데이비스는 여성, 인종, 그리고 계급[116]을 통해 상호교차성 이론의 초기 형태를 제시했으며, 킴벌리 크렌쇼는 차별금지법 연구에 이 개념을 적용했다.[117] 페트리샤 힐 콜린스는 억압의 매트릭스라는 사회학 이론을 도입하여 흑인 여성주의 사상 및 억압의 정치학에 기여했다.
흑인 여성들은 노예제 이후의 억압부터 현대의 불평등에 이르기까지 인종차별과 젠더 불평등의 교차를 경험했다. 1958년에서 1972년 사이의 민권 운동 시기에는 2세대 여성주의가 정점을 찍었으며, 흑인 여성주의는 이 두 사건의 교차점에서 독자적으로 진화해왔다.
2. 1. 노예제 폐지 운동과 초기 흑인 여성주의 (19세기)
소저너 트루스나 프랜시스 엘렌 왓킨스 하퍼와 같은 흑인 여성 지식인들은 노예제 폐지 이후 흑인 여성주의의 기반이 되는 원칙들을 세워나갔다. 하퍼의 사상은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흑인 여성주의의 시초였다.[118]하퍼와 같은 활동가들은 "인종, 젠더, 19세기에 대한 재구성 작업 등 몇 가지 가장 중요한 문제들"을 제안했는데, 이는 당시 흑인 여성으로서는 매우 대담한 행동이었다.[118] 이들은 공공 강연, 참정권 운동 등 흑인 여성으로서 전례 없는 성취를 이루었다. 참정권은 백인과 흑인 여성주의 사이의 균열에 대한 초기 증거였다. 하퍼는 백인 여성은 교육을 위해 참정권을 필요로 했지만, "흑인 여성은 교육이 아닌 보호를 위한 참정권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118] 투표권은 여성들이 남성의 권력에 접근하고, 흑인 여성에게 차별적이었던 정치계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수단이었다. 또한 흑인 여성들은 역사적 유산과 선조들이 겪었던 역경을 인식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겼다. 이러한 사상은 강의, 문학 작품 등을 통해 남성과 여성, 백인과 흑인 모두에게 전달되었다. 하퍼 등 초기 지도자들의 작업은 흑인 여성주의의 기초를 닦았으며, 이때 제시되었던 원칙들은 이후 흑인 여성주의의 발전 과정에서 계속 유지되었다.
흑인 여성주의는 노예 제도가 있었던 시기부터 존재해 왔다. 흑인 여성이 억압 체제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이해하려는 방식으로 정의한다면, 이는 소저너 트루스가 1851년 애크런 여성 컨벤션에서 한 유명한 연설에서 잘 나타난다. 트루스는 컨벤션에서 논의되는 문제들이 주로 백인 여성에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임을 지적했다.[10]
애나 줄리아 쿠퍼의 저서 ''남부의 목소리''(1892)는 흑인 여성주의적 관점을 표현한 최초의 문헌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6] 쿠퍼와 동시대 작가이자 활동가였던 프랜시스 엘렌 왓킨스 하퍼는 "19세기에 인종, 성별, 재건 사업에 대한 가장 중요한 질문들"을 제기했다. 하퍼는 백인 여성에게는 교육을 위해 투표권이 필요했지만, "흑인 여성에게 투표는 교육의 형태가 아니라 보호의 형태"였다고 말했다.[16] 1890년대에 선구적인 저널리스트이자 활동가인 이다 B. 웰스는 백인 여성주의자들이 회피했던 흑인 남성 린칭의 진실을 밝히기 위해 노력한 것으로 유명해졌다.[11]
2. 2. 20세기 초 흑인 여성의 사회 참여와 분리
메리 처치 테렐과 같은 흑인 여성 지식인들은 전미 유색 여성 클럽 협회(NACWC)를 비롯한 여러 흑인 여성 단체를 조직하고, 인종차별과 성차별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기록하며 흑인 여성의 목소리를 높였다.[14] 흑인 여성들은 백인 여성주의 운동에서 소외되면서, 자신들만의 독자적인 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했다.[13] 이 과정에서 전미 유색 여성 클럽 협회(NACWC), 전미 유색인 지위 향상 협회(NAACP), 전미 임금 노동자 협회가 탄생했다.[13]2. 3. 민권 운동과 흑인 여성주의의 성장 (1960-70년대)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 등 1960년대 민권 운동과 2세대 여성주의 운동에서 흑인 여성들은 인종차별과 성차별의 교차점을 경험하며 흑인 여성주의의 필요성을 인식했다.[116][117] 민권 운동 단체 내에서 흑인 여성들은 성차별에 맞서 싸웠다.[121][122] 스토클리 카마이클이 SNCC 의장으로 선출된 후 조직을 '블랙 파워' 위주로 재정비함에 따라 백인 여성들은 SNCC 내에서의 영향력과 힘을 잃게 되었고, 이에 따라 메리 킹과 캐시 헤이든은 여성 평등 운동에 적극적으로 투신하기 위해 SNCC를 떠났다.[123]블랙 파워 운동의 영향을 받아 백인 여성주의와 분리된 흑인 여성주의 운동을 발전시켰다. '블랙 파워'를 상징하는 들어올린 주먹과 점성술의 비너스 상징의 결합은 이 두 집단 사이의 교집합을 나타낸다.

앤젤라 데이비스는 여성, 인종, 그리고 계급을 통해 상호교차성 이론의 초기 형태를 제시했으며,[116] 킴벌리 크렌쇼는 이후 이 개념을 발전시켜 차별금지법 연구에 적용했다.[117]
1970년에 제3세계여성연합은 흑인 여성에 대한 억압의 특수성을 주장하는 '흑인 여성 선언문'을 발표했다. 이 선언문은 인종차별과 자본주의에 반대하며, 흑인 여성을 모부장적 악당, 애 낳는 기계 따위가 아닌 시민이자 동료 및 친구로 인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20]
2. 4. 흑인 레즈비언 여성주의의 등장 (1970년대)
1970년대 흑인 레즈비언 여성주의는 흑인 남성 중심의 민권 운동과 백인 여성 중심의 여성주의 운동에서 흑인 레즈비언 여성들이 배제되고 있다는 정서에서 비롯되었다. 흑인 레즈비언 여성들은 이 두 운동에서 자신들의 목소리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다고 느꼈다.[26]
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와 같은 민권 운동 단체 내에서 흑인 여성들은 심각한 성차별을 경험했다.[24] SNCC 내 여성들은 'SNCC 포지션 문서 (운동 내에서의 여성)'를 발행하며 여성의 역할과 단체 내 성차별 문제를 공개적으로 제기했다.[29] 이 문서는 여성이 남성에게 종속적으로 취급된 11가지 사례를 열거하며, 여성들이 조직의 의사 결정에서 배제되고 사무 또는 가사 관련 임무만 부여받았다고 지적했다.[30]
1960년대 후반, 흑인 여성주의의 비공식적 상징은 블랙 파워를 상징하는 솟아오른 주먹과 점성술의 금성 기호를 결합한 것이었다. 이는 흑인 권력과 급진적 여성주의의 이상이 교차함을 나타냈다. 흑인 여성주의는 인종 자본주의 비판과 같은 사상을 공유했지만, 흑인 민족주의의 성차별주의, 남성주의, 이성애주의를 비판하며 독자적인 노선을 추구했다.[35][36]
2. 5. 1990년대 이후의 흑인 여성주의
1990년대 초, 리나 워커와 로라 피플스는 맨해튼 커뮤니티 컬리지 자치기구에서 열린 말콤 X 컨퍼런스 강연에 영향을 받아 뉴욕에서 AWARE(African Woman's Action for Revolutionary Exchange; 혁명을 위한 아프리카계 여성 행동)라는 단체를 만들었다.[129] AWARE는 미국의료연합(AMA) 및 불필요한 수술에 반대하는 싸움을 이끌었으며, 1991년 걸프전 당시 반전 운동의 중심이었다. 리나 워커는 WLIB 게리 비어드 쇼 및 WBAI 라디오에 고정 출연하였으며, AWARE는 '잊혀진 여성들(Women in Limbo)', 할렘 출산 행동 센터를 비롯한 여러 흑인 단체들과 연합하였다. AWARE는 반전 운동에서 흑인 여성들의 목소리를 드러내는 핵심적 역할을 하였고, 리나는 "우리의 전쟁은 페르시아 걸프가 아닌 이곳에 있습니다"라는 문구를 고안하였다. AWARE는 또한 할렘의 흑인 여성 문제를 다루는 세미나를 정기적으로 주최하였다. 패널로는 버네스 밀러, 캘로타 조이 워커, 아샤 밴들, 앤 트립, 여러 흑인 여성주의 작가들이 참여하였으며, 여러 커뮤니티에서 일어나는 흑인 여성 문제 및 이 문제들이 더 큰 이슈들과 어떤 관계를 갖는지 등을 논하였다.1991년, BMCC에서 말콤 X 컨퍼런스가 다시 개최되었고 그 해의 주제는 "말콤 X를 기억하는 자매들: 전환을 기다리는 유산"이었다. "성희롱: 인종, 젠더, 권력"이라는 주제의 세션이 큰 무대에서 열렸으며, 흑인 여성 문제는 지난 컨퍼런스와 달리 더 이상 주변적 주제가 아닌 중심 주제로 다루어졌다. 연사로는 소냐 산체즈, 오드리 로드, 버네스 밀러, 리나 워커, 캐롤 벌라드 (아샤 밴들), 비비안 보리슨 등이 참여했다.[130] 같은 해, 리나 워커를 포함한 AWARE의 여러 회원들은 바바라 랜즈비에 의해 설립된 AAWIDOO(American Women in Defense of Ourselves; 스스로를 지키는 미국 여성들)와 연합하여 애니타 힐 지지를 호소하는 전면 광고를 뉴욕 타임즈에 내기도 하였다.[131]
1995년, 리나 워커는 여러 여성 및 단체와 함께 '폭력에 반대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African Americans Against Violence)' 단체를 조직하여[132] 알 샤프톤이 주도하던 마이크 타이슨을 위한 목회자 행진이 열리지 못하도록 막아냈다. 이 단체는 집요하고 끈질기게 목회자 행진을 막아냈으며, 흑인 여성 문제, 성차별, 가정 폭력 등에 대중의 이목을 집중시켰다.[133] 마이크 타이슨의 지지자인 빌 존슨즈는 타이슨이 강간 유죄 판결을 받았다는 점을 강조하며 "그는 이미 빚을 갚았다"고 주장했고, 여러 타이슨 지지 단체와 연합하여 '폭력에 반대하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단체에 야유를 퍼부었다.[133]
2. 6. 21세기 흑인 여성주의와 디지털 운동
21세기 흑인 여성주의는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튜브, 텀블러 등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젠더 평등과 사회 정의 문제를 공론화하고 있다. 특히, '#SayHerName', '#BlackLivesMatter' 등의 해시태그 운동은 흑인 여성에 대한 폭력과 차별에 맞서는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흑인의 생명도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 운동은 오팔 토메티, 알리샤 가르자, 패트리스 쿨러스가 시작한 운동으로, 미국 내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대한 인종차별과 경찰 폭력에 반대하는 캠페인이다.[69] 이 운동은 흑인 여성주의 운동을 활성화하고 재조명하는 계기가 되었다.[70] 레키아 보이드, 미셸 커소, 타니샤 앤더슨, 셸리 프레이, 이베트 스미스, 엘리너 범퍼스, 샌드라 블랜드 등 많은 흑인 여성들이 경찰에 의해 사망하거나 폭행당했다.[71]
흑인 생명은 소중하다 운동이 흑인 여성의 피해에 충분히 주목하지 않는다는 비판도 있었지만,[72] 흑인 여성주의자들은 흑인 여성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는 상호 연결된 억압 시스템을 강조하며, #oscarssowhite, #sayhername과 같은 해시태그를 통해 인종적, 성적 불의에 도전하고 있다.[74]
이들은 전통적인 시위 외에도 지역 사회 기반 워크숍, 정신 건강 자원 제공, 제도적 변화 옹호 교육 등을 통해 흑인 여성이 경험하는 트라우마를 해결하고 지지적인 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75] 디지털 플랫폼은 흑인 여성의 경험을 공유하고 시스템 변화를 추진하는 새로운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3. 주요 개념
흑인 여성주의에서 정체성 정치는 자신의 정체성을 알고 이해하는 것으로, 개인적 경험과 역사 속 인물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사회 변화를 추구하는 집단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다.[76] 이는 정치적 불의에 대한 저항으로도 정의될 수 있다.[76]
흑인 여성주의 작가 패트리샤 힐 콜린스는 흑인 여성들이 겪는 "내부의 외부인" 격리가 백인 엘리트와 분리된 가정 영역을 통해 만들어졌다고 보았다.[77] 흑인 여성들은 흑인 남성들과의 단절, 백인 여성주의자들의 배제로 인해 주변화된 경험을 표현하고 흑인 의식을 강화했다.[77]
정체성 정치는 인종, 계급, 젠더를 분리된 범주로 사용하여 배제를 야기하기도 했다.[78] 킴벌리 크렌쇼는 이러한 편견을 권한 부여와 자존감의 형태로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78] 이러한 차이를 무시하는 것은 사회 운동과 여성주의 그룹에 더 큰 분열을 초래할 수 있다.[78]
정체성 정치의 또 다른 문제는 흑인 여성을 위한 안전 공간 형성의 갈등이다.[76] 1970년대 흑인 여성의 문해력 향상은 글쓰기와 학문을 통해 여성주의 담론에서 목소리를 낼 수 있게 했다.[76] 흑인 여성들은 안전한 공간에서 억압과 인종 분리 문제를 논의하며 단결을 추구했다.[76]
색맹 개념은 제도 내 탈분리를 옹호했지만, 흑인 여성들은 새로운 정체성 정치 문제에 직면하여 새로운 안전 공간을 찾았다.[76] 이는 흑인 여성 집단을 배타적이고 분리주의적인 것으로 보는 시각 때문에 논쟁을 야기했다.[76] 지배 집단은 이러한 안전 공간을 위협적으로 간주했다.[76]
흑인 정체성 정치에 관한 여성주의 담론이 성장했음에도, 일부 남성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79] 콰미 앤서니 아피아는 색맹 개념을 옹호하며 정체성 정치를 비판했지만, 제프리 A. 터커는 정체성 정치가 색맹 달성의 기반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79]
3. 1. 상호교차성
킴벌리 크렌쇼는 1986년에서 1987년 사이에 차별금지법을 연구하면서 흑인 여성에 대한 복합적 차별을 설명하기 위해 '상호교차성'이라는 용어를 고안했다.[117] 상호교차성은 인종, 젠더, 계급 등 다양한 사회적 범주가 서로 교차하여 복합적인 차별과 억압을 만들어낸다는 이론이다. 흑인 여성주의는 상호교차성을 통해 흑인 여성이 겪는 다층적인 억압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한다. 앤젤라 데이비스의 여성, 인종, 그리고 계급[116]은 상호교차성과 관련된 내용을 글로 서술한 초기 저작 중 하나이다. 페트리샤 힐 콜린스는 억압의 매트릭스라는 사회학 이론을 도입하였으며, 그녀의 작업 중 상당수는 흑인 여성주의 사상 및 억압의 정치학과 관련이 있다.3. 2. 억압의 매트릭스
페트리샤 힐 콜린스는 억압의 매트릭스라는 사회학 이론을 통해 흑인 여성들이 겪는 복합적인 억압을 설명한다. 이 이론은 인종, 젠더, 계급 등 다양한 억압 체계가 서로 연결되어 흑인 여성의 삶을 억압하는 방식을 보여준다.[117] 흑인 여성주의는 억압의 매트릭스를 통해 흑인 여성의 경험을 분석하고, 사회 정의를 실현하기 위한 연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콜린스는 흑인 여성들이 '내부의 외부인'이라는 독특한 위치에 있다고 보았다. 즉, 흑인 여성들은 백인 엘리트가 지배하는 영역에서 소외되고, 흑인 남성들의 억압과도 단절된 경험을 한다는 것이다.[77]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흑인 여성주의는 흑인 여성들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통해 억압의 현실을 드러내고, 사회에서 흑인 의식을 강화하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다.[77]
3. 3. 미소지누아르 (Misogynoir)
모야 베일리가 제시한 용어인 미소지누아르(Misogynoir)는 흑인 여성에 대한 혐오와 차별을 의미한다.[58][59][60] 흑인 여성주의는 미소지누아르를 통해 흑인 여성이 겪는 특수한 형태의 억압을 드러내고, 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고자 한다.4. 주요 인물 및 단체
흑인 생명은 소중하다(Black Lives Matter) 운동은 오팔 토메티, 알리샤 가르자, 패트리스 쿨러스가 미국 내 아프리카계 미국인에 대한 인종차별과 경찰 폭력에 반대하는 캠페인을 위해 처음 해시태그로 결성한 단체이다.[69] 이 운동은 흑인 여성주의 운동을 활성화하고 재검토하는 데 기여했다.[70] 레키아 보이드, 샌드라 블랜드와 같은 흑인 여성들도 경찰에 의해 사망하거나 폭행을 당했지만,[71] 흑인 생명은 소중하다 운동이 흑인 여성의 처우에 충분히 집중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있었다.[72][73]
이러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운동 내 흑인 여성주의자들은 흑인 여성에게 불리하게 작용하는 억압 시스템을 강조하고, #oscarssowhite와 #sayhername 같은 해시태그를 사용하여 인종적, 성적 불의에 도전했다.[74] 또한, 지역 사회 기반 워크숍을 개발하고, 정신 건강 자원을 제공하며, 제도적 변화를 옹호하는 등 지지적인 공간을 만들고 흑인 여성이 경험하는 트라우마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75]
전국 흑인 여성주의 기구는 1973년에 설립되어 1977년경에 해산되었다.[80]이 여성 단체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이 직면한 많은 편견의 상호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자신들의 사명은 흑인 여성으로서의 자아상을 정의하고 백인 여성에게 거부당하지 않는 것이라고 밝혔다. 주요 도시에 지부가 있었으며, 이 기구는 정치적 영향력을 위해 싸웠고, 자신들의 공동체가 직면한 학대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 1975년, 바바라 스미스, 베벌리 스미스, 체릴 L. 클라크, 아카샤 글로리아 헐 및 기타 여성 활동가들은 시민권 운동, 흑인 민족주의, 또는 흑표범당과 연관되어, 전국 흑인 여성주의 기구의 분파로서 급진적인 레즈비언 여성주의 단체인 컴바히 강 콜렉티브를 설립했다.[81]
4. 1. 주요 인물
소저너 트루스는 노예제 폐지 운동가이자 여성 인권 운동가로, "나는 여자가 아닌가?"라는 연설로 유명하다.[10] 프랜시스 엘렌 왓킨스 하퍼는 시인이자 소설가, 저널리스트로 흑인 여성의 권리 옹호에 앞장섰다. 하퍼는 "19세기에 인종, 성별, 재건 사업에 대한 가장 중요한 질문들"을 제기했으며, 백인 여성에게는 교육을 위한 투표권이 필요했지만, "흑인 여성에게 투표는 교육의 형태가 아니라 보호의 형태"였다고 주장했다.[16]메리 처치 테렐은 교육자이자 사회 운동가로, 전미 유색 여성 클럽 협회(NACWC)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13] 앤젤라 데이비스는 정치 운동가이자 학자로, 상호교차성 이론의 초기 형태를 제시하고 흑인 여성주의 발전에 기여했다.[116] 킴벌리 크렌쇼는 법학자이자 비판적 인종 이론가로, 상호교차성 개념을 창안하고 발전시켰다.[117]
벨 훅스는 작가이자 페미니스트 이론가로, 흑인 여성주의와 상호교차성에 대한 저술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오드리 로드는 시인이자 수필가, 흑인 레즈비언 페미니스트로서 상호교차성에 대한 글을 썼다. 앨리스 워커는 소설가이자 시인, 사회 운동가로, 우머니즘이라는 용어를 만들고 흑인 여성의 경험을 문학 작품으로 표현했다.
4. 2. 주요 단체
전미 유색 여성 클럽 협회(NACWC)는 1896년에 설립된 흑인 여성 단체로, 흑인 여성의 지위 향상과 권리 옹호를 위해 활동했다.[13]학생 비폭력 조정 위원회(SNCC)는 1960년대 민권 운동 단체였다. 엘라 베이커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전미 유색 인종 발전 협회(NAACP)와 남부 기독교 지도자 회의(SCLC)에서 나타나는 성차별에 반대하여 여성들이 자신들의 필요를 표명할 수 있도록 하는 평등주의적 구조를 가진 단체였다.[24][27] 흑인 여성들은 이 단체 내에서 성차별에 맞서 싸우며 흑인 여성주의 운동의 기반을 다졌다.
전국 흑인 여성주의 기구(NBFO)는 1973년에 설립되어 1977년경에 해산된 단체로, 흑인 여성이 직면한 다양한 차별과 억압에 맞서 싸웠다.[80] 주요 도시에 지부가 있었으며, 정치적 영향력을 위해 싸웠고, 자신들의 공동체가 직면한 학대에 대한 인식을 높였다.
콤바히 강 콜렉티브는 1974년 바바라 스미스, 베벌리 스미스, 체릴 L. 클라크, 아카샤 글로리아 헐 및 기타 여성 활동가들이 설립한 흑인 레즈비언 페미니스트 단체로, 상호교차성 이론을 발전시키고 흑인 여성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81] 전국 흑인 여성주의 기구의 분파로서 급진적인 레즈비언 여성주의 단체였다.
제3세계여성연합(TWWA)은 1970년대 활동했던 단체로, 유색인종 여성의 관점에서 제국주의, 인종차별, 성차별에 맞서는 투쟁을 전개했다. 1970년에 흑인 여성에 대한 억압의 특수성을 주장하는 '흑인 여성 선언문'을 발표했다.[120]
5. 흑인 여성주의와 한국 사회
흑인 여성주의는 미국에서 흑인 여성들이 겪는 차별과 억압에 맞서 싸우는 과정에서 발전했으며, 이들의 경험은 한국 사회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1960년대 미국에서 흑인 여성들은 공공 기관과 복지 혜택을 받기 위해 투쟁했다. 전국 복지 권리 기구(NWRO)는 흑인 여성들의 주요 조직이었다. 당시 아동 부양 지원 프로그램(ADC)은 흑인 여성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했다. 예를 들어 필라델피아에서는 ADC 수혜자의 85%가 흑인 여성이었지만, 당국은 영장 없이 심야 급습을 통해 이들의 집을 검사하기도 했다.[85][86][87] 조니 틸몬은 복지 혜택을 받는 흑인 여성으로서의 경험을 글로 썼으며, NWRO에서 보장된 적정 소득 계획을 시작하는 데 참여했다.
미셸 클리프는 린디 브렌트의 노예 서사에서 엘리자베스 케클리의 삶, 조라 네일 허스턴의 ''그들의 눈은 신을 보고 있었다'', 앤 무디의 ''미시시피에서 성장하기'', 토니 모리슨의 설라, 토니 케이드 밤바라의 ''소금 먹는 사람들'', 폴 마셜의 ''과부 찬가''에 이르기까지 많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들의 저작물에 연속성이 있다고 보았다. 이 여성들은 모두 자신의 이야기를 통해 역경 속에서 '나'를 주장하기 위해 노력했다.[88]
흑인 여성들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며 다양한 저작물을 남겼다. 1970년 서드 월드 여성 연합이 발행한 ''흑인 여성 선언문''은 흑인 여성에 대한 특정한 억압을 주장하며 인종차별과 자본주의에 반대했다.[89] 토니 케이드 밤바라는 ''흑인 여성: 선집''(1970)을 편집하여 흑인 여성에 대한 기록을 바로잡고자 했다.[90] 1979년 바바라 스미스와 로레인 베델은 ''컨디션스'' 5호를 편집하여 흑인 여성주의 저작물을 널리 배포했다.[91] 1992년 흑인 여성주의자들은 애니타 힐-클래런스 토마스 상원 청문회에 대응하여 ''우리 자신을 지키기 위한 아프리카계 미국 여성''이라는 노력을 조직했다.[92]
앤젤라 데이비스는 ''여성, 인종, 계급''(1981)에서 여성, 인종, 계급의 교차점에 대해 썼고,[96] ''자유는 끊임없는 투쟁이다''(2015)에서는 여성주의와 인종차별주의와 교차하는 감옥 폐지의 중요성을 논했다.[97] 오드리 로드는 흑인 여성에게 가해진 인종차별을 되찾는 방법으로 말하기를 논하며 억압에 적극적으로 맞서 싸울 것을 옹호했다.[98]
모야 베일리와 그라데이션 레어의 트루디는 흑인 여성에 대한 반흑인 및/또는 인종차별적인 여성 혐오, 즉 미소지누아르에 대해 글을 썼다.[101] 킴벌리 크렌쇼는 1989년 논문에서 상호교차성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103]
5. 1. 한국 여성 운동에 주는 시사점
흑인 여성주의는 한국 사회에서 여성, 성소수자, 이주민 등 다양한 소수자 집단이 겪는 복합적인 차별과 억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상호교차성 이론은 한국 사회의 다양한 억압 체계를 분석하고, 소수자 간 연대를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95][103]흑인 여성들은 2세대 여성주의 운동에서 주요 강령에 의해 소외당했다. 예를 들어, 집 밖에서 일할 수 있는 권리 쟁취는 흑인 여성에게는 성취가 아니었다. 많은 흑인 여성들은 가난으로 인해 수 세대에 걸쳐 집 안팎에서 일해왔기 때문이다.[126] 안젤라 데이비스는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과 백인 여성이 모두 원치 않는 임신과 임신중절을 해왔지만, 특히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의 경우 강제 불임수술을 당하기도 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127]
3세대 여성주의는 여성주의 운동에 상호교차성 개념이 더 많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4세대 여성주의는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여 젠더 평등과 사회 정의 문제를 공론화하고, 성차별, 여성혐오 등에 즉각 대응하는 '호출 문화'를 만들어냈다.[102]
퀴어 오브 컬러 비평은 상호교차성에 기반한 접근을 통해 사회적 범주화에 대한 더 대표성있고 혁신적인 비평 이론을 수립하고자 한다.[136][137][138] 콤바히 강 집단은 흑인 여성의 해방은 인종차별, 성차별, 계급 억압의 종식을 요구하기 때문에 모든 사람의 자유를 수반한다고 주장했다.[84]
미소지누아르는 흑인 여성에 대한 반흑인 및/또는 인종차별적인 여성 혐오를 의미하며, 교차성 이론에 근거한다.[101]
이러한 흑인 여성주의의 경험은 한국 여성 운동이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여성들의 목소리를 포괄하고, 보다 포용적인 운동으로 발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5. 2. 더불어민주당의 관점
더불어민주당은 상호교차성을 기반으로 한 사회 정책 수립을 통해, 다양한 소수자 집단의 권익 보호와 사회 통합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특히, 흑인 여성주의의 관점에서 한국 사회의 성폭력, 가정폭력, 여성 혐오 문제 해결을 위한 정책 마련에 힘써야 한다.흑인 여성주의는 인종, 성별, 계급 등 다양한 억압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현실을 강조한다. 콤바히 강 집단은 1977년 ''흑인 페미니즘: 콤바히 강 집단 성명''에서 "우리 [흑인 여성의] 삶에서 인종, 계급, 성적 억압을 분리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이들은 가장 자주 동시에 경험되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84] 이는 한국 사회에서도 여성, 이주민, 성소수자 등 다양한 정체성을 가진 개인이 겪는 복합적인 차별을 이해하고 해결해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흑인 여성주의의 연대 정신을 본받아, 다양한 소수자 집단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사회적 약자를 위한 정책 추진에 앞장서야 한다. 콤바히 강 집단은 지역 가정 폭력 여성 쉼터를 설립하고, 생식권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다양한 사회 운동가들과 협력했다.[83]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연대 정신을 바탕으로, 한국 사회 내 다양한 소수자 집단과 연대하여 차별 해소와 사회 통합을 위한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한국 사회 내 인종차별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며, 이주민, 다문화 가정 등 소수자에 대한 차별 해소와 사회 통합을 위한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미소지누아르는 흑인 여성에 대한 반흑인 및/또는 인종차별적인 여성 혐오를 의미하는 용어로, 모야 베일리가 2008년에 처음 만들었다.[101] 이는 한국 사회에서도 이주민 여성, 특히 유색인종 여성이 겪는 복합적인 차별을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보여준다.
5. 3. 과제와 전망
3세대 여성주의는 여성주의 운동에 상호교차성 개념이 더 많이 적용되어야 하고, 흑인 여성 및 다른 유색인종 여성들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상호교차성에 기반한 접근은, "인종화된 이성애표준성 및 이성애적가부장제"에 기반한 정체화를 거부하며, 사회적 범주화에 대한 더 대표성있고 혁신적인 비평 이론을 수립하고자 한다.[136][137][138]흑인 여성주의는 한국 사회에 상호교차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다양한 소수자 집단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콤바히 강 집단은 흑인 레즈비언이 겪는 억압의 상호교차성을 다루는 선언문을 발표하며, 흑인 여성의 해방은 인종차별, 성차별, 계급 억압의 종식을 요구하기 때문에 모든 사람의 자유를 수반한다고 주장했다.[84] 1977년의 ''흑인 페미니즘: 콤바히 강 집단 성명''에서는 "''우리'' [흑인 여성의] ''삶에서 인종, 계급, 성적 억압을 분리하기 어렵다. 왜냐하면 이들은 가장 자주 동시에 경험되기 때문이다.''[84]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한국 사회의 특수한 맥락을 고려하여 흑인 여성주의를 수용하고 적용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논의와 토론이 필요하다. 앞으로 한국 사회에서 흑인 여성주의는 다양한 소수자 운동과의 연대를 통해, 보다 평등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참조
[1]
서적
Capitalist Patriarchy and the Case for Socialist Feminism
Monthly Review Press
1978
[2]
웹사이트
Monthly Review {{!}} A Black Feminist Statement
https://monthlyrevie[...]
2019-01-01
[3]
학술지
Multiple Jeopardy, Multiple Consciousness: The Context of a Black Feminist Ideology
https://www.jstor.or[...]
1988
[4]
학술지
Demarginalizing the Intersection of Race and Sex: A Black Feminist Critique of Antidiscrimination Doctrine, Feminist Theory and Antiracist Politics
http://philpapers.or[...]
1989-01-01
[5]
웹사이트
Intersectionality: The Double Bind of Race and Gender
http://www.americanb[...]
2015-12-09
[6]
서적
Encyclopedia of feminist theories
Routledge
2003
[7]
웹사이트
Feminism: The Second Wave
https://www.womenshi[...]
2020-06-18
[8]
뉴스
Beyonce opens up on feminism, fame and marriage
http://www.cnn.com/2[...]
2014-12-12
[9]
웹사이트
Black Feminism Lite? More Like Beyoncé Has Taught Us Black Feminism Light
https://www.huffingt[...]
2014-11-07
[10]
웹사이트
Black feminism and intersectionality {{!}} International Socialist Review
https://isreview.org[...]
2013-12-31
[11]
웹사이트
Ida B. Wells-Barnett
https://www.womenshi[...]
[12]
서적
Black feminist thought : knowledge, consciousness, and the politics of empowerment
[13]
학술지
The Historical Evolution of Black Feminist Theory and Praxis
1998
[14]
학술지
Mary Church Terrell and H. G. Wells, A Colored Woman in a White World
1941-01-01
[15]
웹사이트
Zora Neale Hurston
https://www.womenshi[...]
[16]
서적
No Permanent Waves: Recasting Histories of U.S. Feminism
Rutgers University Press
[17]
학술지
Esther V. Cooper's "The Negro Woman Domestic Worker in Relation to Trade Unionism": Black Left Feminism and the Popular Front
2008
[18]
서적
Sojourning for Freedom: Black Women, American Communism, and the Making of Black Left Feminism
Duke University Press
[19]
서적
At the Dark End of the Street: Black Women, Rape, and Resistance—A New History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Random House
[20]
서적
To Stand and Fight: The Struggle for Civil Rights in Postwar New York City
Harvard University Press
[21]
학술지
Insurgency of the powerless: Farmworkers movements
[22]
학술지
Invisible Southern Black Women Leaders in the Civil Rights Movement: The Triple Constraints of Gender, Race, and Class
[23]
간행물
An Argument For Black Women's Liberation As a Revolutionary Force
Cell 16
1969-02-01
[24]
웹사이트
Dorothy Height and the Sexism of the Civil Rights Movement
https://www.theroot.[...]
2010-05-12
[25]
리뷰
Cynthia Griggs Fleming. Soon We Will Not Cry: The Liberation of Ruby Doris Smith Robinson
https://archive.mith[...]
2000-03-01
[26]
학술지
Feminism: Black Women on the Edge
1989
[27]
웹사이트
The Object of History | Behind the Scenes with the Curators of the National Museum of American History
http://objectofhisto[...]
[28]
학술지
The Women of SNCC: Struggle, Sexism, and the Emergence of Feminist Consciousness, 1960–66
2002
[29]
웹사이트
SNCC position paper: Women in the Movement
http://www2.iath.vir[...]
[30]
웹사이트
Women & Men in the Freedom Movement
http://www.crmvet.or[...]
[31]
웹사이트
Carmichael, Stokely
https://kinginstitut[...]
2017-04-25
[32]
서적
Black Power
1967
[33]
서적
Ella Baker and the Black Freedom Movement: A Radical Democratic Visi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34]
서적
Better Day Coming: Blacks and Equality, 1890–2000
Penguin
[35]
웹사이트
Black Power and the Gendered Imaginary – AAIHS
https://www.aaihs.or[...]
2018-04-26
[36]
논문
Gendering the General Strike: W.E.B. Du Bois's Black Reconstruction and Black Feminism's "Propaganda of History"
[37]
웹사이트
Women and Class: What Has Happened in Forty Years?
http://monthlyreview[...]
2006-07-01
[38]
서적
Women, Race and Class
1981
[39]
서적
Daring to Be Bad: Radical Feminism in America 1967–1975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0
[40]
서적
The Black Emergency Cultural Coalition
D.A.P./Distributed Art Publishers Inc.
2017
[41]
서적
We Wanted a Revolution Black Radical Women 1965–1985: A Sourcebook
Brooklyn Museum
2017
[42]
논문
The Black Arts Movement: Literary Nationalism in the 1960s and 1970s
2006-06-01
[43]
뉴스
Feminists We Love: Kaila Adia Story – The Feminist Wire
http://www.thefemini[...]
2013-03-29
[44]
웹사이트
Lesbian Feminism, 1960s and 1970s · Lesbians in the Twentieth Century, 1900-1999 · outhistory.org
http://outhistory.or[...]
[45]
웹사이트
Lesbian Feminism – Dictionary definition of Lesbian Feminism {{!}} Encyclopedia.com: FREE online dictionary
https://www.encyclop[...]
[46]
서적
A Black Feminist Statement
1978
[47]
서적
This bridge called my back : writings by radical women of color
[48]
간행물
Malcolm Remembered: 25 Years of Research and Retrospective Reflection
http://brothermalcol[...]
1990-11-04
[49]
간행물
Brother Malcolm: 1991
http://brothermalcol[...]
1991-12-15
[50]
뉴스
African-American women are beginning to define their own feminism
https://www.baltimor[...]
1992-05-27
[51]
뉴스
A Candlelight Vigil Is Latest Round in a Clash Over Tyson
https://www.nytimes.[...]
1995-06-15
[52]
뉴스
What Kind Of Hero?
https://www.chicagot[...]
1995-06-25
[53]
뉴스
Iron Mike skips rally and shops
http://www.nydailyne[...]
1995-06-20
[54]
논문
Empowering Self, Making Choices, Creating Spaces: Black Female Identity via Rap Music Performance
https://www.jstor.or[...]
2000
[55]
웹사이트
. Modern Black Feminism, Hip-Hop and the Bad Boy Women Who Paved the Way.
https://www.essence.[...]
2020-10-26
[56]
논문
"Under Construction": Identifying Foundations of Hip-Hop Feminism and Exploring Bridges between Black Second-Wave and Hip-Hop Feminisms
https://www.jstor.or[...]
2008
[57]
논문
What It Do, Shorty?: Women, Hip-Hop, and a Feminist Agenda
https://www.jstor.or[...]
2007
[58]
서적
Digital Black Feminism
New York University Press
2021
[59]
웹사이트
SAY HER NAME
https://www.aapf.org[...]
[60]
논문
To tweet our own cause: A mixed-methods study of the online phenomenon "Black Twitter"
https://cdr.lib.unc.[...]
[object Object]
[61]
웹사이트
Black Feminism Goes Viral [EXCERPT] – EBONY
http://www.ebony.com[...]
2016-07-22
[62]
웹사이트
Lizzo speaks out about the risk of Black women being erased in the music industry: 'We are the ones who do suffer from the marginalisation the most'
https://www.glamourm[...]
2021-08-19
[63]
뉴스
Why everyone's saying 'Black Girls are Magic'
https://www.latimes.[...]
2015-09-09
[64]
웹사이트
Chooser
https://chooser.cros[...]
[65]
웹사이트
The Jenners' Racist Tendencies Are Apparently Rubbing Off on their BFF
http://www.teen.com/[...]
2015-11-11
[66]
웹사이트
Dear Khloe: Cultural Appropriation Of Black Hairstyles Does Matter. Here's Why
https://www.huffingt[...]
2016-08-17
[67]
뉴스
Hollywood Has A Major Diversity Problem, USC Study Finds
https://www.npr.org/[...]
2016-02-11
[68]
뉴스
'Hidden Figures' Story Of Black Women's Success Is Necessary In More Ways Than One
https://www.bustle.c[...]
2016-12-27
[69]
웹사이트
Black Lives Matter: Our Co-Founders
https://blacklivesma[...]
[70]
논문
(Re)Imagining Intersectional Democracy from Black Feminism to Hashtag Activism
https://repository.u[...]
2016-10-01
[71]
논문
A Love Letter to Black Feminism
[72]
웹사이트
Transcript of "The urgency of intersectionality"
https://www.ted.com/[...]
2016-11-14
[73]
논문
Black Lives Matter: Why Black Feminism?
http://digitalcommon[...]
2016-01-01
[74]
논문
Blacklivesmatter: Epistemic Positioning, Challenges, And Possibilities
[75]
웹사이트
Women and Black Lives Matter: An Interview with Marcia Chatelain
https://www.dissentm[...]
[76]
서적
Black Feminist Thought
https://archive.org/[...]
Routledge
2000
[77]
서적
Beyond Identity Politics: Feminism, Power, and Politics
Sage Publications
[78]
논문
Mapping the Margins: Intersectionality, Identity Politics, and Violence against Women of Color
1991-07
[79]
서적
A Sense of Wonder: Samuel R. Delany, Race, Identity, and Difference
Wesleyan University Press
[80]
웹사이트
National Black Feminist Organization collection
https://bmrc.lib.uch[...]
[81]
간행물
Response to Adrienne Rich's "Notes from Magazine: What does Separatism Mean?"
[82]
인터뷰
Interview with Barbara Smith
[83]
논문
What's Love got to do with it? White Women, Black Women, and Feminism in the Movement Years
[84]
웹사이트
Combahee River Collective: A Black Feminist Statement – 1974
http://www.feministe[...]
[85]
서적
African American Women and the Politics of Poverty in Postwar Philadelphia
2012
[86]
논문
Midnight Welfare Searches and the Social Security Act
1963
[87]
논문
From Widow to "Welfare Queen": Welfare and the Politics of Race
https://www.jstor.or[...]
2007
[88]
간행물
Women Warriors: Black Women Writers lead the Canon
1990-05
[89]
논문
Black Woman's Manifesto
[90]
서적
The Black Woman An Anthology.
Washington Square Press
2010
[91]
서적
Home Girls: A Black Feminist Anthology
Kitchen Table: Women of Color Press
[92]
서적
All the Women Are White, All the Blacks Are Men, but Some of Us Are Brave: Black Women's Studies
[93]
서적
Home Girls: A Black Feminist Anthology
Rutgers University Press
[94]
서적
Black Internationalist Feminism Women Writers of the Black Left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45–1995
[95]
서적
On Intersectionality
The New Press
2017
[96]
서적
Women, Race, and Class
Vintage
[97]
서적
Freedom Is A Constant Struggle
Haymarket Books
2016
[98]
웹사이트
The Transformation of Silence into Language and Action
https://eprofiles.is[...]
1977
[99]
웹사이트
Uses of the Erotic: The Erotic as Power
https://www.centrale[...]
1978
[100]
웹사이트
Welfare Is a Women's Issue (Spring 1972)
https://msmagazine.c[...]
2021-03-25
[101]
논문
On misogynoir: citation, erasure, and plagiarism
2018
[102]
뉴스
Misogynoir: where racism and sexism meet
https://www.theguard[...]
2015-10-05
[103]
논문
Demarginalizing The Intersection of Race and Sex: A Black Feminist Critique of Antidiscrimination Doctrine, Feminist Theory and Antiracist Politics.
1989
[104]
논문
MOW to NOW: Black Feminism Resets the Chronology of the Founding of Modern Feminism
[105]
웹사이트
What Happened to the Women's Movement?
https://monthlyrevie[...]
2001-05
[106]
웹사이트
Defining Black Feminist Thought
http://www.feministe[...]
2007-05-31
[107]
저널
Demarginalizing the Intersection of Race and Sex: A Black Feminist Critique of Antidiscrimination Doctrine, Feminist Theory and Antiracist Politics
http://philpapers.or[...]
1989-01-01
[108]
웹사이트
Intersectionality: The Double Bind of Race and Gender
http://www.americanb[...]
[109]
웹인용
Black Feminism Goes Viral
http://www.ebony.com[...]
2015-08-12
[110]
웹사이트
Why We Need To Talk About White Feminism
http://www.huffingto[...]
2015-08-10
[111]
웹사이트
What Happened to the Women’s Movement?
https://monthlyrevie[...]
2015-08-12
[112]
간행물
Some implications of womanist theory
1986
[113]
서적
Transcending the Talented Tenth: Black Leaders and American Intellectuals
Routledge
[114]
뉴스
Beyonce opens up on feminism, fame and marriage
http://www.cnn.com/2[...]
2014-12-12
[115]
웹사이트
Black Feminism Lite? More Like Beyoncé Has Taught Us Black Feminism Light
http://www.huffingto[...]
2014-11-07
[116]
웹사이트
Black feminism and intersectionality
http://isreview.org/[...]
2016-03-23
[117]
웹사이트
Kimberlé Crenshaw on intersectionality: "I wanted to come up with an everyday metaphor that anyone could use"
http://www.newstates[...]
2016-03-23
[118]
저널
Harper, Historiography, and the Race/Gender Opposition in Feminism
2015
[119]
간행물
An Argument For Black Women's Liberation As a Revolutionary Force
1969-02
[120]
웹사이트
Black Women's Manifesto
http://scriptorium.l[...]
2016-03-23
[121]
문서
SNCC position paper: Women in the Movement
http://www2.iath.vir[...]
[122]
문서
Women & Men in the Freedom Movement
http://www.crmvet.or[...]
Civil Rights Movement Veterans
[123]
서적
Black Power
[124]
서적
Ella Baker and the Black Freedom Movement: A Radical Democratic Vision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Press
[125]
서적
Better Day Coming: Blacks and Equality, 1890–2000
Penguin
[126]
웹사이트
Women and Class: What Has Happened in Forty Years?
http://monthlyreview[...]
2006
[127]
서적
Women, Race and Class
[128]
서적
Daring to Be Bad: Radical Feminism in America 1967–1975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29]
문서
Malcolm Remembered: 25 Years of Research and Retrospective Reflection
http://brothermalcol[...]
1990-11-01
[130]
문서
Brother Malcolm: 1991
http://brothermalcol[...]
1991-12-13
[131]
뉴스
African-American women are beginning to define their own feminism
http://articles.balt[...]
The Baltimore Sun
1992-05-27
[132]
뉴스
A Candlelight Vigil Is Latest Round in a Clash Over Tyson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1995-06-15
[133]
뉴스
Iron Mike skips rally and shops
http://www.nydailyne[...]
Daily News
1995-06-20
[134]
서적
Spaces between Us: Queer Settler Colonialism and Indigenous Decolonization
U of Minnesota
[135]
저널
Punks, Bulldaggers, and Queens: The Radical Potential of Queer Politics?
[136]
저널
On Queer of Color Criticism, Communication Studies, and Corporeality
[137]
저널
Aberrations in Black: Toward a Queer of Color Critique (Book Review)
[138]
서적
Aberrations in Black: Toward a Queer of Color Critique
U of Minnesota
[139]
저널
A Black Feminist Statemen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