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대나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대나물은 꿀풀과의 한해살이풀로, 높이 10-30cm까지 자란다.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 꽃이 4-5월에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송이가 돌려나듯 모여 달린다.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전 세계로 퍼져 정원, 밭, 초원 등에서 널리 자란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거나 지혈제로 사용하며, 씨앗에는 개미가 좋아하는 엘라이오솜이 있어 개미에 의해 퍼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광대수염아과 - 익모초
    익모초는 밭둑이나 길가에서 자라는 식물로, 동아시아와 북아메리카에 분포하며, 자주색 꽃이 피고 한방에서 지혈, 정혈, 부인병 치료에 사용된다.
  • 광대수염아과 - 물꼬리풀
    물꼬리풀은 일본, 대한민국, 중국, 동남아시아에 분포하는 습생식물로 습지나 논에서 서식하며, 8~10월에 흰색 또는 연분홍색 꽃이 피고, 수족관에서 '옐로우 오란다 플랜트'로 유통되기도 한다.
  •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 연어
    연어는 태평양과 북극해에 분포하며 강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성장 후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어류로, 몸 색깔이 변하고 기름지느러미가 있으며 물렁뼈 비중이 높은 골격 구조를 가진 중요한 수산 자원이지만, 개체 수 감소가 심각한 문제이다.
  •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 계곡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는 대한민국 산간 계곡에 서식하며 흑색 반점이 있는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의 몸, 2월에서 4월 사이 둥근 알 덩어리 번식, 서식지 파괴 및 환경 오염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 야생 개체 포획 및 식용 금지 등의 특징을 가진다.
  • 나물 - 시금치
    시금치는 서아시아 등지에서 기원한 녹색 잎채소로, 고대 페르시아에서 시작하여 세계 각지로 전파되었고, 잎 형태에 따라 동양종과 서양종으로 나뉘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하지만 옥살산 함량에 주의해야 하며, 중국이 주요 생산국이다.
  • 나물 - 미나리
    미나리는 동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예로부터 식용으로 재배되어 온 여러해살이풀로,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고 독특한 향을 지니며 습한 토양에서 영양번식으로 재배되고 수경재배도 활발하다.
광대나물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벨기에의 닭의장풀
벨기에의 닭의장풀
학명Lamium amplexicaule L.
이명Neckeria amplexicaulis (L.) Forsyth f.
Galeobdolon amplexicaule (L.) Moench
Lamiella amplexicaulis (L.) Fourr.
Lamiopsis amplexicaulis (L.) Opiz
Pollichia amplexicaulis (L.) Willd.
영어 이름henbit, common henbit, giraffehead, henbit deadnettle
일본어 이름호토케노자(仏の座), 산가이구사(三階草)
한국어 이름광대나물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군
진정쌍떡잎식물군
꿀풀목
꿀풀과
오드리코소우속
아속Lamium 아속
Lamium sect. Amplexicaule
아종 및 변종
하위 분류Lamium amplexicaule var. aleppicum (Boiss. & Hausskn.) Bornm.
Lamium amplexicaule subsp. amplexicaule
Lamium amplexicaule var. bornmuelleri Mennema
Lamium amplexicaule var. incisum Boiss.
Lamium amplexicaule subsp. mauritanicum (Gand. ex Batt.) Maire
Lamium amplexicaule var. orientale (Pacz.) Mennema
Lamium amplexicaule var. album
시로바나호토케노자 Lamium amplexicaule f. albiflorum

2. 특징

광대나물은 키가 10cm에서 30cm 정도 자라는 낮게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2][3][13] 드물게 40cm까지 자라기도 한다.[2][3] 원줄기는 네모지고 부드러우며 털이 약간 나 있다.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옆으로 뻗거나 곧게 선다.

은 마주나기하며 길이는 2cm에서 3cm 정도이다.[2][3] 가장자리에는 둔한 톱니가 있다. 아래쪽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둥근 모양이지만, 위쪽 잎은 잎자루가 없이 줄기를 완전히 감싸며 좌우가 합쳐진 듯한 반원형 또는 콩팥 모양이다.[2][3] 잎이 층층이 달린 모습 때문에 '산가이구사'(三階草, 삼층풀)라는 별명도 있다.[13][12]

개화기는 3월에서 6월 사이이며[13], 북부 지역에서는 봄에 매우 일찍 피고 따뜻한 지역에서는 겨울과 초봄에도 핀다. 꽃은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송이가 모여 돌려나듯 달리며, 길이는 1.5cm에서 2cm 정도이다.[2][3][13] 꽃잎은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 입술 모양이며 길이는 15mm에서 20mm 정도이다.[2][3] 윗입술꽃잎은 투구처럼 앞으로 약간 구부러져 있으며 짧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고 길이는 3mm에서 5mm 정도이다. 아랫입술꽃잎은 3개로 갈라지는데, 가운데 조각이 가장 크고(1.5mm에서 2.5mm 길이) 짙은 붉은색 반점이 있다.[2][3][13] 꽃받침은 5갈래로 나뉘며 꽃이 진 후에 닫힌다.[2][3] 보통의 꽃 외에도 꽃봉오리 상태로 수분하여 열매를 맺는 폐쇄화가 함께 달리는 경우가 많다.[13] 드물게 흰 꽃이 피는 품종(''f. albiflorum'')도 있다.[13] 수술은 4개인데 그중 2개가 더 긴 두긴수술이다.[2][3] 암술은 2개의 심피가 합쳐져 있다.[2][3] 꽃가루받이를 해줄 곤충이 적은 이른 봄에는 꽃이 스스로 자가수분하기도 한다. 열매는 4개로 나뉘는 분열과이다.[2][3]

씨앗은 발아율이 높고 수명이 길다. 바람, 비, 동물을 통해 퍼져나가며, 특히 씨앗에 붙어 있는 엘라이오솜이라는 하얀 물질을 먹이로 삼는 개미에 의해 멀리 운반되어 퍼지기도 한다.[14]

3. 형태 및 생태

광대나물은 높이 10cm~30cm (드물게 40cm까지)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13] 원줄기는 가늘고 단면이 사각형이며 부드럽고 털이 나 있다.[2][3] 줄기 밑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옆으로 뻗다가 끝은 곧게 선다.

은 마주나기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줄기 아래쪽에 달리는 잎은 잎자루가 길고 둥글거나 콩팥 모양이며 지름은 2cm~3cm 정도이다.[2][3] 반면 위쪽에 달리는 잎은 잎자루가 없고 반원형이며, 줄기를 감싸듯 서로 합쳐져 둥글게 된다. 이 모습이 층층이 달린 것처럼 보여 속칭 '산가이구사'(三階草, 삼층풀)라고도 불린다.[13][12]

개화기는 3월에서 6월 사이이며,[13] 북부 지역에서는 봄에 매우 일찍 피고, 지중해 지역과 같이 따뜻한 지역에서는 겨울과 초봄에도 핀다.[2][3] 꽃은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 또는 분홍색에서 자주색을 띠며, 길이는 1.5cm~2cm 정도이다.[2][3] 줄기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여러 송이가 돌려나듯 모여 순형화(입술 모양)가 핀다. 꽃부리는 윗입술과 아랫입술로 나뉜다. 윗입술은 투구 모양으로 앞으로 약간 굽고 볼록하며 길이는 3mm~5mm이고 짧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2][3] 아랫입술은 세 개로 갈라지는데, 두 개의 작은 옆 갈래와 길이 1.5mm~2.5mm 정도의 큰 가운데 갈래로 나뉘며 짙은 붉은색 반점이 있다.[2][3][13] 꽃받침은 5갈래로 나뉘며 꽃이 핀 뒤에는 닫힌다.[2][3] 수술은 4개인데 그중 2개는 길고 2개는 짧은 두긴수술이다. 암술은 2개의 심피가 합쳐져 있다.[2][3] 일반적인 꽃 외에도, 봉오리 상태로 수정하여 열매를 맺는 폐쇄화가 섞여 피는 경우가 많다.[13] 드물게 흰 꽃이 피는 것도 있으며, 이는 '시로바나호토케노자'(f. albiflorum)라고 불린다.[13] 꽃가루받이 곤충이 많지 않은 시기에는 꽃이 스스로 수분하는 자가수분을 하기도 한다.[2][3]

열매는 4개의 방으로 나뉘는 분열과이다.[2][3] 씨앗에는 개미가 좋아하는 엘라이오솜이라는 흰 물질이 붙어 있어, 개미에 의해 멀리 운반되어 퍼져나간다.[14] 씨앗은 싹이 잘 트고 오래 생존하며 바람, 비, 동물을 통해서도 퍼진다.

4. 분포 및 서식지

광대나물은 유럽, 아시아, 북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이후 인간의 활동에 의해 전 세계로 퍼졌다.[4] 주로 개방된 지역, 정원, 밭, 초원, 그리고 도시 서식지의 경작되지 않은 지역에서 널리 자란다.[1][3][5] 종자로 쉽게 번식하며, 초원 생태계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때로는 봄갈이가 시작되기 전, 꽃이 만발하여 들 전체가 붉은 보라색으로 물들기도 한다.

동부 북아메리카남아메리카, 뉴질랜드, 남아프리카 공화국, 태즈메이니아 등 여러 지역에 널리 귀화하였다.[4] 매력적인 외관과 식용 가능성, 다양한 기후에서 잘 자라는 특성 때문에 다른 잡초와 달리 그대로 두는 경우도 많다.

영국아일랜드에서의 지위에 대해서는 의견이 나뉜다. 일부 자료에서는 자생종으로 보지만,[6][7] 다른 자료에서는 고대식물로 분류하기도 한다.[1][4]

일본에서는 혼슈, 시코쿠, 큐슈, 오키나와에 자생하며, 홋카이도에는 귀화하여 분포한다.[15] 한국에서는 길가나 논밭의 두둑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잡초이며, 봄철 밭의 한 면을 자주색 꽃으로 물들이는 경우가 많다.

5. 분류

''광대나물''은 1753년 칼 폰 린네에 의해 기술되고 명명되었다.

6. 생태

높이는 10cm에서 30cm 정도인 1년생 초본이다.[13]줄기는 가늘고 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나온다. 줄기는 부드럽고, 하부에서 갈라져 뻗으며 끝은 곧게 선다.

은 마주나기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다. 아래쪽 잎은 잎자루가 길고 둥근 모양이며, 위쪽 잎은 잎자루 없이 줄기를 감싸듯 중간에서 합쳐져 둥글게 된다. 이렇게 잎이 줄기를 층층이 둘러싸는 모습 때문에[12], '''산가이구사'''(三階草, 삼층풀)라는 별명으로도 불린다.[13]

개화기는 3월부터 6월이며, 위쪽 잎겨드랑이에서 길이 2cm 정도의 붉은빛이 도는 자주색 입술 모양 꽃 여러 송이가 돌려나듯 모여 핀다.[13] 꽃부리는 윗입술이 투구 모양으로 앞으로 약간 굽고 짧은 털이 빽빽하게 나 있으며, 아랫입술은 3개로 갈라지고 짙은 붉은색 반점이 있다. 수술은 4개 중 2개는 길고 2개는 짧은 두긴수술이다. 일반적으로 개화하는 꽃 외에도, 봉오리 상태로 수정하여 결실하는 폐쇄화가 섞여 피는 경우가 많다.[13] 드물게 흰 꽃이 피는 품종도 있으며, 시로바나호토케노자(f. albiflorum)라고 불린다.[13]

광대나물의 씨는 싹이 잘 트고 오래 생존하며 바람, 비, 동물을 통해 퍼져나간다. 씨앗에는 엘라이오솜이라는 흰 물질이 붙어 있는데, 이는 개미가 좋아하는 물질이어서 개미가 씨앗을 멀리 운반하여 퍼뜨리는 것을 돕는다.[14] 씨앗은 여러 종류의 에게 먹이가 되기도 한다.[8]

흔하게 발견되는 곳에서는, 특히 꿀벌에게 중요한 꿀과 꽃가루를 제공하는 식물이다. 또한 다른 동물들에게도 먹이를 제공한다. 이 식물은 흔하게 자라지만, 지역 생태계에 특별한 위협이 되는 것으로는 여겨지지 않는다.

7. 인간과의 관계

어린순은 나물로 먹으며 민간에서 지혈제로 이용한다. 어린 잎과 새싹은 줄기 및 꽃과 마찬가지로 생으로 또는 요리해서 먹을 수 있다.[9][5] 광대나물은 약간 달콤하고 후추 맛이 나며, 샐러리와 비슷하다.

아이들이 꽃잎을 뽑아 꿀을 빨아먹으며 노는 경우가 있다.

일본의 '나나쿠사(일본어: 七草|나나쿠사일본어)' 중 하나로 언급되는 '호토케노자'(일본어: 仏の座|호토케노자일본어)는 광대나물이 아니라 표준명 개보리뺑이(''Lapsana apogonoides'')를 가리킨다. 개보리뺑이는 국화과 식물이다. 이 때문에 광대나물을 나나쿠사 중 하나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는데, 주의가 필요하다. 이른 봄의 개보리뺑이는 포기 전체가 로제트 형태로 땅에 퍼져 있는데, 이를 불상이 앉아 있는 연꽃을 본뜬 받침대(연화좌)에 비유한 것이다. 한편, 광대나물은 줄기에 마주나는 잎이 둥글게 퍼져 있고, 그 위에 꽃이 피는 모습을 연화좌와 불상에 비유하여 '호토케노자'라는 일본명이 붙여졌다.

8.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Henbit Dead-nettle Lamium amplexicaule L. https://plantatlas20[...] Botanical Society of Britain and Ireland 2024-07-21
[2] 서적 Collins Flower Guide Harper Collins 2009
[3] 웹사이트 Henbit dead-nettle: Lamium amplexicaule http://www.luontopor[...] NatureGate 2013-12-15
[4] 웹사이트 Lamium amplexicaule L. POWO 2024-12-05
[5] 웹사이트 Henbit, Lamium amplexicaule https://hort.extensi[...] 2024-04-22
[6] 서적 Flora of Britain and Northern Europe 1989
[7] 서적 Flora of Northumberland Natural History Society of Northumbria 1993
[8] 웹사이트 A Little Bit of Henbit http://gardeningsoul[...] 2015-02-06
[9] 서적 Edible Wild Plants: A North American Field Guide to Over 200 Natural Foods https://www.worldcat[...] Sterling
[10] 간행물 2023-06-15
[11] 서적 万有百科大事典 19 植物 小学館
[12] 서적 野に咲く花
[13] 서적 街でよく見かける雑草や野草がよーくわかる本 秀和システム
[14] 웹사이트 花たより(ホトケノザとミゾソバ) https://museum.bunmo[...] 2020-01-20
[15] 웹사이트 北海道ブルーリスト - 詳細内容 http://bluelist.pref[...] 2024-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