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두만개발계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역두만개발계획(GTI)은 1990년대 초 유엔 개발 계획(UNDP)의 두만강 지역개발계획(TRADP)에서 시작되어 2005년 승격된 국제 개발 협력 기구이다. 한국, 중국, 러시아, 몽골 등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북한은 2009년 탈퇴 후 재가입을 촉구받고 있다. 일본은 옵저버 지위로 참여하고 있다. GTI는 총회, 조정관회의, 사무국, 위원회 등으로 구성되며, 동북아시아 지역의 경제 협력 및 개발을 목표로 한다.
광역두만개발계획(GTI)은 1990년대 초 유엔개발계획이 주도한 두만강 지역개발계획(TRADP)에서 출발하여[1][2][3] 2005년 현재의 형태로 발전하였다.[4] 출범 이후 회원국 구성에 변화가 있었으며, 현재까지 협력 사업을 지속하고 있다.[5][6][7]
광역두만개발계획은 각 회원국의 재정부가 관리하며, 대한민국의 경우 대한민국 기획재정부가 담당한다. 주요 구성 기구는 다음과 같다.
2. 역사
2. 1. 출범과 초기 발전
1990년대 초 유엔개발계획(UNDP)이 주도한 두만강 지역개발계획(TRADP)으로 시작되었다.[1][2][3] 2005년 현재의 광역두만개발계획(GTI)으로 확대, 발전하였다.[4] 출범 초기에는 북한도 회원국으로 참여했으나, 2009년 국제 사회의 경제 제재에 반발하며 탈퇴하였다.[5] 이후 회원국들은 북한의 재가입을 지속적으로 촉구하고 있다.[6] 일본은 2018년부터 참여 의사를 표명하며 현재 옵저버 자격을 유지하고 있다.[7] 광역두만개발계획은 현재까지 꾸준히 총회를 개최하며 협력을 이어가고 있다.
2. 2. 광역두만개발계획으로의 승격
1990년대 초 유엔개발계획이 주도한 두만강 지역개발계획(TRADP)으로 시작하였으며[1][2][3], 2005년에 오늘날의 광역두만개발계획(GTI)으로 승격되었다.[4]
2. 3. 북한의 탈퇴와 회원국들의 노력
광역두만개발계획(GTI)은 출범 당시 북한도 회원국으로 참여했다. 그러나 2009년, 북한은 국제사회의 경제 제재에 대한 불만을 표하며 탈퇴를 선언했다.[5] 이후 회원국들은 북한의 광역두만개발계획 재가입을 지속적으로 촉구하고 있다.[6]
2. 4. 일본의 옵저버 지위
일본은 2018년부터 광역두만개발계획 가입 의사를 타진하였으며, 현재 옵저버 지위를 가지고 있다.[7]
3. 구성
4. 의의
광역두만개발계획(GTI)은 세계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한중일과 자원 부국인 몽골, 러시아, 그리고 남북통일 이후 경제 성장 잠재력이 큰 북한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어, 지역 경제 협력 논의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8] 각 회원국은 이 계획을 자국의 지역 개발 목표와 연계하여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9][10], 성공적으로 추진될 경우 동북아시아의 주요 경제 회랑으로 발전할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4. 1. 회원국 구성의 중요성
한중일과 같이 세계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들과 자원 부국인 몽골, 러시아, 그리고 남북통일 이후 경제 성장 잠재력이 큰 북한이 회원국으로 포함되어 있어, 지역적 차원의 경제 협력 논의에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8]각 회원국은 광역두만개발계획(GTI)을 자국의 지역 개발 목표와 연계하여 중요하게 추진하고 있으며, 지정된 개발 지역은 다음과 같다.[9][10]
이처럼 각국의 지역 개발과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회원국들은 GTI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만약 광역두만개발계획이 실질적으로 진행된다면 동북아시아의 주요 회랑으로 발전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4. 2. 지역 개발과의 연관성
세계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한중일, 그리고 자원 부국인 몽골과 러시아, 남북통일 이후 경제 성장의 잠재력을 가진 북한이 포함되어 있어, 지역적 차원에서 경제협력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는 등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8]각 회원국은 광역두만개발계획과 연계하여 자국의 특정 지역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다음과 같다.
이처럼 각국의 지역 개발 계획과 광역두만개발계획은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회원국들은 이를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9][10] 광역두만개발계획이 실질적으로 진행된다면 동북아시아의 주요 경제 회랑으로 발전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4. 3. 동북아 주요 회랑으로의 발전 가능성
광역두만개발계획(GTI)은 세계 경제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한국, 중국, 일과 자원 부국인 몽골, 러시아, 그리고 남북통일 이후 경제 성장의 잠재력을 가진 북한이 참여하고 있어 지역 경제 협력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8] 각국은 다음과 같은 지역을 개발 대상으로 지정하며 GTI 추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9][10]
만약 광역두만개발계획이 구체적인 사업으로 실현된다면, 참여국 간의 긴밀한 연계를 통해 동북아시아의 주요 경제 회랑으로 발전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는 역내 경제 활성화와 국가 간 협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참조
[1]
웹인용
UNDP Jobs - 26310- Programme Assistant
https://jobs.undp.or[...]
2024-05-11
[2]
웹인용
Tumen River Area Development Programme (TRADP) « North Korean Economy Watch
http://www.nkeconwat[...]
2024-05-11
[3]
저널
중국의 동북국경 개방특구인 혼춘의 개발전망 : UNDP의 TRADP와 관련하여 :UNDP의 TRADP와 관련하여
https://www.dbpia.co[...]
1992-12
[4]
웹인용
두만강개발계획
https://terms.naver.[...]
2024-05-11
[5]
웹인용
정부, '동북아 협의체' 광역두만개발계획에 북한 재가입 촉구
https://www.yna.co.k[...]
2024-05-11
[6]
웹인용
한중러 다자 경협 협의체, 탈퇴한 북한에 "돌아오라"
https://m.hankookilb[...]
2024-05-11
[7]
웹인용
Greater Tumen Initiative--Strategies
http://www.tumenprog[...]
2024-05-11
[8]
웹인용
그림으로 보는 세계 나라별 경제력 비교
https://www.yna.co.k[...]
2024-05-11
[9]
웹인용
"[단독] 정부, 美 주도 IPEF 발효 앞두고 中과 비밀회동"
https://www.hankyung[...]
2024-05-11
[10]
웹인용
Tumen River Economic Development Area (TREDA) Initiative
https://aric.adb.org[...]
2024-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