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통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북통일은 한반도 분단을 극복하고 한민족이 하나의 국가를 이루는 것을 의미한다. 역사적으로 한반도는 통일 국가를 유지해 왔으나, 일제강점기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분단되었고, 냉전 시대를 거치며 1948년 남북에 각각 정부가 수립되면서 분단이 고착화되었다. 이후 남북은 통일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노력을 펼쳐왔으나, 6.25 전쟁, 북한의 핵 개발, 남북 관계의 악화 등으로 인해 통일의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
통일 방식으로는 연방제, 흡수통일, 합의통일 등이 논의되고 있으며, 경제적·사회적·정치적 과제와 국제 사회의 입장 등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다. 통일에 대한 찬반 논쟁과 회의론 역시 존재하며, 통일 이후 예상되는 경제적 시너지 효과와 지정학적 이점에도 불구하고, 통일 비용, 사회적 혼란, 체제 통합의 어려움 등이 과제로 남아있다.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주변국들은 각기 다른 입장을 보이며 한반도 통일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국제기구의 역할 또한 중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통일운동 - 전조선 제정당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
전조선 제정당 사회단체 대표자 연석회의는 1948년 평양에서 남북한 정당 및 사회단체 대표들이 모여 단독 정부 수립 움직임에 맞서 통일 정부 수립을 논의했으나, 실질적인 성과 없이 남북 분단을 심화시켰다는 평가를 받으며, 회의 과정과 결과에 대한 논란이 있다. - 한국의 통일운동 - 좌우합작운동
좌우합작운동은 해방 직후 좌우익 대립 심화 속에서 김규식, 여운형 등 중도파가 주도한 민족통일운동으로, 미군정 지원과 좌우합작 7원칙 발표 등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미소공동위원회 결렬, 냉전 심화, 여운형 암살 등으로 실패하여 1947년 해산되었으나, 남북 분단 방지와 통일 정부 수립 노력으로 평가받는다. - 한국 국민주의 - 한국의 민족주의
한국의 민족주의는 순혈주의에 기반한 방어적 민족주의 성격을 띠며, 역사적 배경과 이념 대립 속에서 형성되었으나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며 비판적 논의와 차별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 한국 국민주의 - 주체사상파
주체사상파(주사파)는 주체사상을 지도 이념으로 삼는 세력으로, 1980년대 대한민국 학생운동권에서 헤게모니를 장악하며 반미, 민족주의적 성향을 보였으나, 종북 논란과 함께 제도권 정당으로 진출하거나 뉴라이트 운동에 가담하기도 했으며, 진보적 사상을 가진 사람이나 단체를 싸잡아 부르는 용어 오용 문제도 존재한다. - 민족통일주의 - 가브리엘레 단눈치오
가브리엘레 단눈치오는 이탈리아의 시인이자 소설가, 극작가, 정치가로서 파시즘의 선구자로 여겨지며, 문학적 명성을 얻은 후 제1차 세계 대전 참전과 피우메 점령 등의 정치 활동을 펼쳐 이탈리아 파시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 민족통일주의 - 대세르비아
대세르비아주의는 세르비아가 주변 지역, 특히 인근 국가의 세르비아인과의 통합을 추구하는 18세기 이후의 민족주의 이념으로, 영토 확장 구상, 영향력 확대 목표, 그리고 유고슬라비아 해체 과정의 갈등 원인으로서의 역할을 거쳐 최근에는 "세르비아 세계"라는 개념으로 이어지고 있다.
남북통일 | |
---|---|
지도 | |
기본 정보 | |
명칭 | 남북통일 (남), 북남통일 (북) |
한자 표기 | 南北統一 (남), 北南統一 (북) |
로마자 표기 | Nambuk tong-il (남), Bungnam tong-il (북) |
영어 표기 | Korean reunification |
역사적 배경 | |
관련 사건 | 고고학 → 고조선 → 원삼국시대 → 삼국 시대 → 남북국 시대 → 후삼국 시대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일제강점기 → 한반도 분단 |
분단 시기 | 1945년 |
남북 관계 | |
주요 목표 | 한반도의 통일 |
관련 정책 | 햇볕정책 |
남한의 여론 | 다수의 남한 사람들이 북한과의 "우호 관계"를 선호함 |
남북 합의 | 판문점 선언 (2018년 4월 27일) |
최근 동향 | |
북한의 입장 변화 | 북한이 남한과의 통합을 상징하는 기념물을 철거함 |
북한 지도자의 발언 | 북한 지도자가 전쟁을 고려하고 있다고 발언함 |
관련 정보 | |
상징 | 통일기 |
관련 문서 | 한국 민족주의 |
관련 기사 | https://www.aljazeera.com/indepth/opinion/great-aspirations-inter-korea-relations-180504095245725.html https://www.dw.com/en/majority-of-south-koreans-favor-north-korea-friendship/a-42643399 https://www.washingtonpost.com/news/worldviews/wp/2018/04/27/the-panmmunjom-declaration-full-text-of-agreement-between-north-korea-and-south-korea/ https://www.ndtv.com/world-news/north-korea-demolishes-monument-symbolising-union-with-south-report-4917750 https://www.bbc.com/news/world-asia-68052515 |
2. 역사적 배경
한반도는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후삼국시대를 거쳐 고려와 조선 시대로 이어지며 통일 국가를 유지해 왔다. 676년 통일신라가 당나라 군대를 대동강 이북으로 몰아내고 한반도 이남 지역을 통일한 이후, 고려와 조선은 한반도 전체를 아우르는 통일 왕조를 이루었다. 이로써 약 1,300년 동안 한민족은 한반도에서 통일된 국가를 유지했다.[6]
그러나 이러한 통일의 역사는 일제 강점기와 제2차 세계 대전의 종전으로 인해 막을 내리게 된다. 1910년 일본 제국은 한반도를 강제 병합했고, 1945년 일본이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망할 때까지 한반도를 지배했다. 1943년 12월 1일, 미국, 중국, 영국은 카이로 선언을 통해 "조선인의 노예 상태를 염두에 두고, 조선이 마땅히 자유롭고 독립적인 국가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선언하며 한국의 독립을 공식적으로 약속했다. 1945년 유엔은 한국에 대한 신탁통치 계획을 세웠다.[7]
이후 한반도는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남과 북으로 분단되었다. 북쪽은 소련 민정청이, 남쪽은 주한미군정이 통치하게 되었다. 1945년 8월 10일 자정, 두 명의 미 육군 중령이 38선을 분할선으로 결정했고, 북쪽의 일본군은 소련에, 남쪽의 일본군은 미국에 항복했다.[6]
당초 분단은 일시적인 조치였으나, 냉전의 영향으로 1948년 남과 북에 각각 별도의 정부가 수립되면서 영구화되었다. 고조되는 긴장감 속에 한국 전쟁이 발발하면서 평화 통일의 염원은 좌절되었다.[8] 1950년 6월 25일 북한군의 남침으로 시작된 한국 전쟁은 마오쩌둥의 참전 독려와[9] 조셉 스탈린의 지원 속에[10] 3년간 이어졌고, 결국 정전 협정으로 마무리되었다.
2. 1. 분단 과정
1945년 9월 2일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유엔은 신탁통치 계획을 세웠고 북위 38도를 경계로 조선을 둘로 나누었다. 남쪽에는 미군정이, 북쪽에는 소련군정이 들어서 군정을 시작했다. 그러나 남쪽의 민족주의자들과 일부 공산당원들이 신탁통치 반대 운동을 벌이면서 미국과 소련의 대립이 깊어졌고, 결국 한반도는 대한민국 정부 수립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수립으로 분열되었다.[6]
1945년 8월 8일 소련이 일본에 선전포고를 한 후, 소련군은 8월 13일 조선 북동부의 함경북도 웅기군·함경남도 함흥에 상륙하였다. 소련의 진출을 우려한 미국은 8월 14일 영국, 중화민국, 소련에 일본 항복 후 조선에서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남쪽(남조선)을 미국군이, 북쪽(북조선)을 소련군이 점령하는 안을 전달했고, 일본이 포츠담 선언을 수락(옥음방송)한 직후 승낙을 얻었다. 이에 따라 소련군은 8월 24일에 평양까지 진주했고, 미국군은 9월 8일에 인천에 상륙하여 각각 군정을 시작하였다. 이 시점에서는 북위 38도선 분단은 점령 통치상의 편의였을 뿐, 연합국에 조선을 분단 국가화하려는 의도는 없었다.[82]
1945년 12월, 미국, 영국, 소련은 모스크바 삼상회의를 열어 최장 5년간의 신탁통치를 실시하고, 단일 자유 국가 수립을 위해 미소 공동위원회를 설치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이 합의가 부정확하게 전달되면서(동아일보의 날조 기사·의혹이 제기된 보도 참조), 남북한에서 신탁통치 찬성(찬탁) 세력인 김일성, 여운형 등의 좌파와 신탁통치 반대(반탁) 세력인 이승만, 김구 등의 우파가 대립하며[84] 분단의 한 원인이 되었다.
미국과 소련은 1946년 3월부터 1947년 10월까지 미소공동위원회를 개최했지만, 문제 해결에 실패했다. 1948년 1월 파견된 유엔 현지 조사단의 북진을 소련 군정이 거부하자, 유엔은 1948년 2월 남한에서만의 총선거 실시를 결정했다. 이는 남북 분단 고착화를 의미했기에, 김구와 김규식 등 일부 민족주의자들은 반대했다. 그러나 5월 10일에 단독 총선거(初代総選挙 (大韓民国))가 실시되었고, 선출된 국회(国会 (大韓民国))는 대한민국 헌법(大韓民国憲法)을 제정하고 이승만을 대통령(大統領 (大韓民国))으로 선출하여, 1948년 8월 15일 남한은 대한민국으로 독립하였다.[85] 한편, 북한에서는 7월 10일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憲法)이 제정되었고,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건국되었으며, 김일성이 초대 수상(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国の首相#内閣首相(1948年 - 1972年))에 취임하였다.[86]
이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한반도 적화통일을 목표로 1950년 6월 25일 남침하여 한국 전쟁을 일으켰지만, 미군을 중심으로 한 국제연합군의 반격으로 퇴각했고, 휴전에 의해서 한반도는 군사 분계선으로 분단이 고착화되었다.

1953년 3월 5일 소련의 스탈린 총리 사망을 계기로 휴전 움직임이 진행되었고, 이승만이 휴전 서명을 거부했기 때문에 한국군 대표 최덕신 소장이 서명하지 않은 채, 1953년 7월 27일 중국-북한 연합군 대표 남일과 유엔군 주석 대표 윌리엄 해리슨 주니어에 의해 한국 전쟁 휴전 협정이 서명되었다.[98] 이로써 조선은 군사분계선(38선)에 의한 분단과 대립이 고착화되었다.[99]
2. 2. 남북 관계의 전개
1972년 미국과 중국 간의 데탕트 이후, 남북한 정부는 7.4 남북 공동 성명을 발표하여 양국 관계 개선을 도모하였다. 양측은 평화적인 국가 통일을 달성하기 위한 단계를 명시한 남북 공동선언문에 합의하였다.[11]- 통일은 외부의 간섭이나 개입 없이 자주적인 한국의 노력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 통일은 평화적인 수단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상호 간에 무력 사용을 해서는 안 된다.
- 동질적인 민족으로서 사상, 이념, 체제의 차이를 넘어선 위대한 민족적 통합을 추구해야 한다.
이 합의는 평화적인 통일을 향한 단계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합의 이행을 위한 진전이 없자 남북 조정위원회는 이듬해 해체되었다. 1990년 9월, 남북한 총리는 서울에서 만나 남북정상회담 또는 고위급 회담을 진행하였다. 12월, 양국은 "남북 간의 화해, 불가침, 협력, 교류에 관한 합의"[12]에서 화해, 불가침 조약, 협력 및 교류 문제에 대한 합의를 이루었지만, 핵시설 사찰 문제로 협상은 결렬되었다.
김대중 정부의 대북 유화 정책, 소위 태양정책의 추진으로 최초의 남북 정상회담이 실현되는 등 긴장 상태는 다소 완화되었다. 1998년 2월 25일부터 2008년 2월 24일까지,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에 의해 태양정책이 시행되었고, 2000년 6월에 개최된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김대중 대통령과 김정일 총서기 겸 국방위원장 간에 6.15 남북공동선언이 체결되었다.
2018년 남북정상회담에서 김정은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과 문재인 대한민국 대통령이 회담하여 판문점 선언을 발표했다.
3. 남북한의 통일 정책
1945년 12월, 모스크바 삼상회의에서 미국, 영국, 소련은 최장 5년간의 신탁통치를 실시하고, 단일 자유 국가 수립을 위해 미소공동위원회를 설치하는 데 합의했다. 그러나 이 합의가 부정확하게 전달되면서, 남북한에서는 신탁통치 찬성 세력과 반대 세력 간의 대립이 격화되었고, 이는 분단의 한 원인이 되었다.[84]
1946년 3월부터 1947년 10월까지 미소공동위원회가 개최되었으나, 문제 해결에 실패했다. 1948년 1월, 유엔 현지 조사단의 북진을 소련 군정이 거부하면서, 유엔은 남한만의 총선거 실시를 결정했다. 이는 남북 분단 고착화를 의미했기에, 김구와 김규식 등 일부 민족주의자들은 반대했으나, 1948년 5월 10일 단독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선거로 선출된 국회는 대한민국 헌법을 제정하고 이승만을 대통령으로 선출하여,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이 수립되었다.[85] 북한에서는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건국되었고, 김일성이 초대 수상에 취임하였다.[86]
2000년 6월, 남북한은 6·15 남북공동선언에 서명하고, 두 체제의 공존하에 평화적인 통일을 추구할 것을 약속했다.[14]
- 남과 북은 한국 민족의 공동 노력으로 통일 문제를 자주적으로 해결하기로 합의했다.
- 남과 북은 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와 남측의 연합제가 통일 방식에 있어 유사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앞으로 이 방향으로 통일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합의했다.
- 남과 북은 인도적 문제를 포함하여 이산가족 상호 방문단 교류 및 미결 장기수 문제를 2000년 8월 15일을 기해 조속히 해결하기로 합의했다.
- 남과 북은 경제협력을 통한 국가경제의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하고, 사회, 문화, 체육, 보건, 환경 등 모든 분야에서 협력과 교류를 활성화하여 상호 신뢰를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 남과 북은 상기 합의사항들을 신속히 실행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조속히 당국 간 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했다.
과거 1940년대부터 통일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으나, 2010년대 들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계속된 도발,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의문 등으로 인해 통일은 찬반 논쟁의 주제로 바뀌었다.
3. 1. 대한민국의 통일 정책
대한민국은 자유민주주의 체제에 기반한 평화통일을 추구해 왔다. 역대 정부는 통일 방안을 제시하고 남북 대화와 교류 협력을 추진해 왔다. 이승만 정부는 북진통일을 주장하였으나, 이후 정부들은 평화통일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였다.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 노무현 정부의 평화번영정책은 남북 화해와 협력을 강조하였다.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는 상호주의 원칙에 입각한 대북 정책을 추진하였다. 문재인 정부는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를 추진하며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해 노력하였다.7·4 남북 공동성명에서 양국은 평화적인 통일을 위한 원칙에 합의했지만, 이듬해 남북 조정위원회는 해체되었다.[11]
7.4 남북공동성명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통일은 외부의 간섭이나 개입 없이 자주적인 한국의 노력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 통일은 평화적인 수단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상호 간에 무력 사용을 해서는 안 된다.
- 동질적인 민족으로서 사상, 이념, 체제의 차이를 넘어선 위대한 민족적 통합을 추구해야 한다.
- 남북 간의 긴장을 완화하고 상호 신뢰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양측은 서로 비방하거나 중상하지 않고, 대규모 또는 소규모 무력 도발을 하지 않으며, 우발적인 군사 사건을 방지하기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기로 합의하였다.
- 양측은 단절된 민족적 유대를 회복하고, 상호 이해를 증진하며, 자주적이고 평화적인 통일을 촉진하기 위해 문화, 과학 등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교류를 실시하기로 합의하였다.
- 양측은 온 국민의 간절한 기대 속에 진행되고 있는 남북 적십자 회담의 조기 성공을 위해 서로 적극적으로 협력하기로 합의하였다.
- 양측은 예상치 못한 군사 사건의 발생을 방지하고 남북 간에 발생하는 문제를 직접적이고 신속하며 정확하게 처리하기 위해 서울과 평양 간에 직통 전화를 설치하기로 합의하였다.
- 양측은 상기 합의 사항을 이행하고, 남북 간에 존재하는 여러 문제를 해결하며, 조국 통일을 위한 합의된 원칙에 따라 통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남북 조정위원회를 설립하고 운영하기로 합의하였으며, 남측 대표는 이후락, 북측 대표는 김영주가 공동 위원장이 된다.
- 양측은 상기 합의 사항이 조국의 조기 통일을 갈망하는 온 국민의 공통된 열망에 부합한다고 확신하며, 이 합의 사항을 성실히 이행할 것을 대한민국 국민 앞에 엄숙히 서약한다.[11]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은 제재와 군사적 위협 대신 경제적 지원과 협력을 통한 통일의 여건 조성을 목표로 했다. 1998년 김대중 대통령은 북한 정부에 대한 대규모 식량 지원을 승인하고, 남북 기업 간 거래 제한을 해제했으며, 미국이 북한에 대해 시행하는 경제 금수 조치 중단을 촉구하기도 했다. 2000년 6월에는 남북 정상이 평양에서 만나 한국 분단 이후 처음으로 악수를 나누었다.
노무현 정부에서도 햇볕정책이 계속되었지만,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 문제, 교착 상태에 빠진 협상, 그리고 다시 악화된 남북 관계 등의 문제로 인해 2010년 11월 대한민국 통일부에 의해 결국 실패로 선언되었다. 햇볕정책의 반대자들은 김대중 정부의 대규모 자금 지원에도 불구하고, 북한과의 대화와 교역이 평화적 통일에 대한 전망을 개선하는 데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북한 정권이 권력을 유지하는 데 도움만 주었다고 주장한다.
2000년 11월, 퇴임하는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은 평양을 방문하려 했으나, 2000년 미국 대통령 선거 결과를 둘러싼 논란으로 인해 예정된 방문은 성사되지 못했다. 2001년 4월이나 5월경, 김대중 대통령은 김정일을 서울에 맞이할 것으로 예상했다. 워싱턴 D.C.에서 새로 당선된 조지 W. 부시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돌아온 김대중 대통령은 회담을 당혹스럽다고 표현하면서 비공개적으로 부시 대통령과 그의 강경한 접근 방식을 비난했다. 이 회담은 북한의 남한 방문 가능성을 무산시켰다. 부시 행정부가 북한을 "악의 축"의 일원으로 규정한 후, 북한은 핵확산금지조약을 폐기하고 국제원자력기구 사찰단을 추방했으며 핵 프로그램을 재개했다.[42] 2005년 초, 북한 정부는 북한이 성공적으로 핵무장 국가가 되었음을 확인했다.[42]
다음 표는 역대 정부별 통일 정책 및 실적을 요약한 것이다.
정부 구분 (임기) | 통일 정책 및 실적[125][126] |
---|---|
윤석열 정부 (2022/05/10 ~ 현재) (직무정지) | |
문재인 정부 (2017/05/10 ~ 2022/05/09) | |
박근혜 정부 (2013/02/25 ~ 2017/03/10) | |
이명박 정부 (2008/02/25 ~ 2013/02/24) | |
노무현 정부(2003/02/25 ~ 2008/02/24) | |
김대중 정부(1998/02/25 ~ 2003/02/24) |
1950년대에는 이승만 정부에 의한 무조건적인 '''북진통일'''이 추세였다.[130][131] 1960년대 박정희 정부에서는 '''선(先)건설, 후(後)통일론'''을 추진했다. 1970년대 박정희 정부에서는 국제적인 데탕트 분위기에 따라 7·4 남북 공동 성명과 6·23 선언을 발표했다. 1980년대 전두환 정부에서는 민족화합민주통일방안을 발표하고, 최초로 남북 이산가족이 상봉했다.
노태우 정부에서는 7·7 민족 자존과 통일 번영을 위한 특별 선언과 한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발표하고, 북방 정책을 추진해 남북한이 UN에 동시에 가입하게 되었다. 그리고 남북 기본 합의서와 한반도의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을 체결하였다. 김영삼 정부는 민족공동체통일방안을 발표하고, 남북정상회담 추진 등의 적극적인 대북 정책으로 통일을 위해 노력하였으나, 1994년 김일성의 사망으로 중단되었다.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는 평화 공존 및 남북 연합에 의한 통일 방안을 추진을 하며 2차례의 남북정상회담을 실시하여 6.15 남북공동선언을 이끌어내었다. 이명박 정부는 2011년 김정일 사망으로 인한 김정은의 정권 장악 등과 민주당계 정부에서 행하였던 남북 간 합의의 실천에 소극적인 태도로 통일교류가 적었는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핵무기 개발과 천안함 사건, 연평도 포격 등 연이은 대남 도발 문제로 남북관계가 급격히 냉각되었다. 박근혜 정부는 다시 유연한 상호주의를 바탕으로, 국제 협력과 점진적 통일을 통해서 구체적 실현 방안을 추진 중이며, 기존에 합의된 통일 정책에 대해서는 인정하였으나, 북한에서 기존 남북 정상 간에 합의된 통일 정책 방향에 대한 발전 요구에 대한 요청의 구체적 대응은 나오지 않았다.
3. 1. 1. 역대 정부별 통일 정책
7·4 남북 공동성명에서 양국은 평화적인 통일을 위한 원칙에 합의했지만, 이듬해 남북 조정위원회는 해체되었다.[11] 1989년 현대그룹 창업주 정주영이 금강산 관광을 추진했고, 1990년 9월에는 남북정상회담이 열렸다.[12] 1990년 12월 남북은 "남북 간의 화해, 불가침, 협력, 교류에 관한 합의"를 이루었지만, 핵시설 사찰 문제로 협상은 결렬되었다.[12] 1994년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의 평양 방문 이후 남북 정상 회담이 추진되었으나, 김일성 사망으로 무산되었다.[13]2000년 6월, 6·15 남북공동선언을 통해 남북은 평화 통일을 추구하기로 약속했다.[14]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남과 북은 한국 민족의 공동 노력으로 통일 문제를 자주적으로 해결한다.
# 남과 북은 연방제와 연합제의 유사성을 인정하고, 이 방향으로 통일을 위해 노력한다.
# 남과 북은 이산가족 상호 방문 및 인도적 문제를 8월 15일까지 해결한다.
# 남과 북은 경제협력을 통한 국가경제의 균형 발전을 도모하고, 사회, 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협력과 교류를 활성화한다.
# 남과 북은 가능한 한 빨리 당국 간 회담을 개최한다.
2007년 10·4 선언에서 남북은 6·15 남북공동선언을 바탕으로 남북관계를 개선하기로 합의했다.[15]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남과 북은 6·15 남북공동선언을 적극적으로 이행한다.
# 남과 북은 상호 존중과 신뢰 관계로 남북관계를 전환한다.
# 남과 북은 한반도의 평화 보장을 위한 노력에 협력한다.
# 남과 북은 전쟁 종식 선언을 위한 3자 또는 4자 정상회담 추진에 협력한다.
# 남과 북은 경제협력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킨다.
# 남과 북은 사회문화 분야의 교류와 협력을 발전시킨다.
# 남과 북은 인도주의적 협력을 증진한다.
# 남과 북은 국제무대에서 협력을 강화한다.[15]
2018년 판문점 정상회담에서 김정은과 문재인은 판문점선언을 통해 한반도 평화 시대를 선언했다.[16]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남북관계 개선과 발전을 통해 공동 번영과 자주 통일의 미래를 앞당긴다.
# 한반도의 긴장 완화와 전쟁 위험 제거를 위해 노력한다.
# 한반도에 항구적 평화 메커니즘 구축을 위해 협력한다.[16]
김정은은 2018년 신년사에서 한국 주도 통일을 언급하고, 평창군에서 열린 2018 동계올림픽에 북한 참가를 제안했다.[26] 남북 회담을 통해 올림픽 개막식에서 통일기를 들고 함께 입장하고, 통일 아이스하키팀을 구성하기로 했다.[27][28]
2018년 판문점 정상회담에서 김정은과 문재인은 연말까지 평화협정 체결에 합의했다. 김정은은 비핵화를 약속했고,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은 이를 지지했다.[29] 2019년 문재인 대통령은 2045년까지 한반도 통일을 제안했다.[30] 그러나 평화협상은 결과를 낳지 못했고,[31] 북한은 핵 프로그램을 계속 진행했다.[32]
3.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통일 정책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 방안을 제시하며 연방제 통일을 주장해 왔다. 김일성은 1972년 남북 공동 성명을 통해 합의된 조국통일 3대원칙을 제시하고, 1993년에는 '조국통일을 위한 전민족대단결 10대 강령'을 발표했으며, 1980년 10월에는 "고려 민주 연방제"를 제안하여 남북 1국가 2체제를 공식화하였다.[101]김정일 시대에는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낮은 단계의 연방제'를 제시하며 남북 간 체제 공존을 인정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1997년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담화에서 체제 인정의 입장을 분명히 했으며,[129] 남과 북은 2000년 첫 남북정상회담에서 “나라의 통일을 위한 남측의 연합제안과 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안이 서로 공통성이 있다고 인정하고 앞으로 이 방향에서 통일을 지향”시켜 나가기로 합의했다.[14]
2024년 김정은은 한국을 '적대국'으로 규정하고, 통일 관련 기구를 폐지하는 등 기존의 통일 정책을 전면 폐기하였다.[36] 2023년 12월 조선노동당 제8기 중앙위원회 제9차 전원회의 연설에서 남한을 "적"으로 규정하며 북한의 남한에 대한 입장을 "근본적으로 전환"할 것을 촉구했고,[33] 2024년 1월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협력과 통일 관련 내용을 삭제하고, 북한의 영토 경계를 명시하며 대한민국을 가장 적대적인 국가로 명시하는 조항을 추가하기 위해 헌법 개정을 촉구하며 정책 전환을 재확인했다.[36]
북한은 통일을 위한 3대 헌장으로 조국통일 3대원칙, 조국통일 10개항 계획, 건설 계획을 활용해 왔다.[43] 김일성은 1972년에 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위한 중심 원칙으로써 조국통일 3대원칙을 제시하였고,[44] 1993년 조국통일 10개 항 강령을 작성하여 전국가적 통일 국가 아래 남한과의 통일이라는 구상을 담았다.[45] 김일성은 1980년 10월 10일 조선노동당 제6차 대회 중앙위원회 사업 보고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FRK)이라 불리는 제안된 국가에 대해 자세히 설명했다.[46]
3. 2. 1. 역대 정권별 통일 정책
역대 정권별 통일 정책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7·4 남북 공동 성명 (1972년): 박정희 정부와 김일성 정부는 자주, 평화, 민족 대단결의 3대 원칙에 합의하고, 남북조절위원회를 설치했으나 이듬해 해체되었다.
- 고려민주연방공화국안 (1980년): 김일성이 제창한 통일 방안으로, 남북한이 서로 다른 체제를 유지하면서 연방을 구성하는 방식이었으나, 전두환 정부는 이를 거부했다.[101]
- 남북기본합의서 (1991년): 노태우 정부와 김일성 정부는 화해, 불가침, 교류, 협력에 합의했으나, 북한의 핵시설 사찰 문제로 협상은 결렬되었다.[12]
- 6·15 남북 공동 선언 (2000년): 김대중 정부와 김정일 정부는 남북이 서로 연합제와 낮은 단계의 연방제에 공통점이 있다고 인정하고, 이 방향으로 통일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14]
- 김정은의 대남 정책 변화 (2019년 이후): 김정은은 2019년 2월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한국과의 관계 단절을 추진했다.[102] 2024년에는 남북통일 목표를 포기하고, 한국을 '별개의 국가'이자 '불변의 주적'으로 규정하며, 적화통일 노선을 헌법에 명시할 것임을 밝혔다.[106] 조국통일 3대헌장기념탑 철거, 경의선 북측 구간 파괴 등도 지시했다.[102]
4. 통일 방식 논의
통일 방식으로는 크게 연방제, 흡수통일, 합의통일 등이 논의되어 왔다.
연방제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각자의 체제를 유지하면서 상호 교류와 협력을 통해 공동의 이익을 증진시키고, 분단의 장벽을 극복하여 장기적으로는 단일 국가 및 단일 정부를 이루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무의미한 통일이 되거나 예멘처럼 침략 및 재흡수 통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119]
흡수통일은 독일 통일과 같이 평화적으로 통일을 이루거나, 한쪽 체제가 스스로 무너져 점령을 통해 흡수하는 방식이다. 또는 6.25 전쟁처럼 무력 침공으로 흡수통일을 이룰 수도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전쟁을 통해 통일하는 것을 적화통일이라고 한다. 그러나 현대에는 국제 관계와 전쟁으로 인한 피해 때문에 무력에 의한 통일은 현실적으로 일어나기 쉽지 않다. 유엔 헌장 제2조 4항은 모든 회원국이 다른 국가의 영토 보전이나 정치적 독립에 대해 무력 위협이나 무력행사를 삼가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120] 흡수통일은 통일 과정에서 경제적 부담과 사회적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는데, 랜드 연구소에 따르면, 독일의 경우 1.8조달러 이상이 소모되었으며, 매년 1000억유로 이상이 소모되고 있다고 한다.[119]
합의통일은 남북한 간의 합의를 통해 새로운 통일 국가를 건설하는 방식이다.
2000년 6월, 남북한은 6·15 남북공동선언에 서명하였으며, 이 선언에서 양측은 두 체제의 공존하에 평화적인 통일을 추구할 것을 약속했다.[14]
6.15 남북 공동선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남과 북은 나라의 통일 문제를 그 책임을 맡은 한국 민족의 공동 노력으로 자주적으로 해결하기로 합의하였다.
# 남과 북은 북측이 제안한 저급 연방제와 남측이 제안한 연합제가 통일 방식에 있어 유사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앞으로 이 방향으로 통일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합의하였다.
# 남과 북은 이산가족 상호 방문단 교류 및 미결 장기수 문제를 포함하여 인도적 문제(북한 기근 등)를 금년 8월 15일을 기해 조속히 해결하기로 합의하였다.
# 남과 북은 경제협력을 통한 국가경제의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하고, 사회, 문화, 체육, 보건, 환경 등 모든 분야에서 협력과 교류를 활성화하여 상호 신뢰를 구축하기로 합의하였다.
# 남과 북은 상기 합의사항들을 신속히 실행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조속히 당국 간 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하였다.
김정은은 2018년 신년사에서 한국 주도의 통일을 반복적으로 언급했고, 남한 평창군에서 열린 2018 동계올림픽에 북한이 참가할 것을 제안하며, 2018년-2019년 남북 평화 프로세스의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다.[26] 이후 남북 간 회담을 통해 두 한국이 올림픽 개막식에서 통일기를 들고 함께 입장하고, 여러 종목에 총 22명의 북한 선수가 참가하는 통일 아이스하키팀을 구성하기로 발표되었다.[27][28]
2018년 4월, 판문점 정상회담에서 김정은과 문재인 대통령은 연말까지 남북 간 평화협정을 체결하기로 합의했다. 두 정상은 상징적으로 서로의 국경을 넘었고, 김정은은 북한의 비핵화를 약속했으며, 당시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이를 지지했다.[29] 2019년 문재인 대통령은 2045년까지 한반도 통일을 제안했다.[30] 그러나 평화협상은 아무런 결과를 낳지 못했고,[31] 북한은 핵 프로그램을 계속 진행했다.[32]
하지만, 북한은 2024년 1월부터 “남북 통일” 목표를 포기하고 있으며[79], 한국인을 동일 민족으로 여기지 않고[103][105][106][102], 또한 전쟁을 거치지 않는 통일 법안(소위 평화 통일)을 포기하는 방침을 채택하기 시작했기 때문에[106][102], 문제는 종전과는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시작했다고 일부 전문가는 지적하고 있다.
분단 직후, 남북한은 모두 단일 국가 수립을 통한 통일을 목표로 하였다. 이승만이 구상했던 “북진통일”론이 존재했고, 북한에 대해 “북파 공작원”을 파견하기도 했다. 민주화 이후에는 국회와 대통령 선거에서 좌우 대립이 심화되었고, 그때마다 화해 또는 적대의 노선이 크게 바뀌었다.
북한은 1950년 6월 25일 한국 전쟁을 일으켜 군사적으로 통일을 목표로 했던 과거가 있기 때문에, 그 지향성을 완전히 버리지 않았다고 생각되지만, 1980년대 이후 장기 경제 침체로 인해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국력은 부족해졌다. 독재 국가이기 때문에 정보도 부족하고, 구체적인 움직임은 확실하지 않다. 지금까지 여러 차례 북한에서 한국에 대한 “대남 공작”이 이루어졌고, 또한 “남침 터널”이 한국 내에서 발견되었다.
38선 남쪽에 있는 한국과 북쪽에 있는 북한은 국가의 정통성을 둘러싸고 건국 이래 적대 관계에 있지만, 동일한 민족 (조선족)이 거주하는 한반도가 분단되어 있는 현실을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식하고, 한반도를 하나의 국가(주권)의 통치하에 통일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한다는 점은 오랫동안 일치하였다. 따라서 남북 모두 건국 직후에는 전쟁에 의한 흡수 통일을, 1972년의 남북 공동 성명 발표 이후에는 자주적, 평화적이고 단일 민족으로서의 단결에 기반한 통일 방식을 모색해왔다.
4. 1. 연방제 통일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각각의 체제를 유지하면서 상호 교류 협력을 통해 공동의 이익을 증진시키고, 분단의 장벽을 극복하여 장기적으로는 단일 국가 및 단일 정부를 이루는 연방제 통일을 추구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무의미한 통일이 되거나 예멘처럼 침략 및 재흡수 통일로 이어질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119]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 대통령이 사퇴한 후, 김일성 북한 수상은 8월 14일 최초의 한반도 평화통일안으로 "연방제 통일안"을 제안하고 남북 양측 정부 대표가 참여하는 "최고인민위원회" 설립을 주장했다. 그러나 이듬해 1961년 5·16 군사정변으로 박정희 소장이 실권을 장악하면서 이 제안은 무산되었다.[100]
1979년 박정희 암살 사건 이후 한국에서 “서울의 봄”으로 불리는 민주화 분위기가 고조되었으나, 1980년 5·17 비상계엄 확대 조치로 전두환이 실권을 장악했다. 같은 해 10월 10일, 김일성 주석은 정치 체제가 다른 남북 양측 정부가 무력에 의존하지 않는 통일 방식으로서 연방제를 통한 통일을 목표로 하는 고려민주연방공화국을 제창했으나, 한국은 이를 수용하지 않았다.[101]
김일성은 1980년 10월 10일 조선노동당 제6차 대회 중앙위원회 사업 보고에서 3대 원칙과 10개항 강령에 따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FRK)이라는 제안된 국가를 상세히 설명했다.[46] 그는 남북한의 연방을 제안하며, 각자의 정치 체제는 당분간 유지될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은 이를 "...남북이 서로의 이념을 인정하고 용인한다는 조건하에 연방 국가를 건설하려는 평화적인 통일 제안"이라고 묘사한다.[43] DFRK는 어떤 정치·군사 동맹이나 블록에도 참여하지 않는 중립국이 되어 국가의 전체 영토와 국민을 포괄해야 한다고 명시되었다.[47]
2000년 6월, 남북한은 6·15 남북공동선언에 서명했으며, 이 선언에서 양측은 두 체제의 공존하에 평화적인 통일을 추구할 것을 약속했다.[14] 이 선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남과 북은 북측이 제안한 낮은 단계의 연방제와 남측이 제안한 연합제가 통일 방식에 있어 유사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앞으로 이 방향으로 통일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합의하였다.
4. 2. 흡수통일
흡수통일은 한쪽이 다른 쪽을 흡수하여 통일을 이루는 방식이다. 독일 통일이 대표적인 사례이다.[119] 흡수통일은 통일 과정에서 경제적 부담과 사회적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랜드 연구소에 따르면, 독일의 경우 1.8조달러 이상이 소모되었으며, 매년 1000억유로 이상이 소모되고 있다고 한다.[119]대한민국의 헌법, 법률을 바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통치 지역에 도입하는 흡수통일 방안의 경우, 대한민국은 한반도 북부 지역에서 대한민국 주도의 흡수통일을 원하게 될 경우에는 이에 응할 계획이나, 김대중 정부는 먼저 시도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흡수 통일 방식은 서독이 동독을 흡수하여 통일한 것처럼 평화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한쪽 체제가 스스로 무너져 점령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6.25 전쟁처럼 비평화적인 방식, 즉 무력 침공에 의한 정복으로 흡수통일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전쟁을 통해 통일하는 것을 적화통일이라고 한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국제 관계와 전쟁으로 인한 피해 때문에 무력에 의한 통일은 현실적으로 일어나기 쉽지 않다. 국제법이 보편화되고 있는 오늘날, 유엔 헌장 제2조 4항은 모든 회원국이 다른 국가의 영토 보전이나 정치적 독립에 대해 무력의 위협이나 무력행사를 삼가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120]
4. 3. 합의통일
남북한 간의 합의를 통해 새로운 통일 국가를 건설하는 방식이다. 통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최소화하고 민족 통합을 이룰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남북 간의 합의 도출 과정이 쉽지 않을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2000년 6월, 남북한은 6·15 남북공동선언에 서명하였으며, 이 선언에서 양측은 두 체제의 공존하에 평화적인 통일을 추구할 것을 약속했다.[14]
6.15 남북 공동선언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남과 북은 나라의 통일 문제를 그 책임을 맡은 한국 민족의 공동 노력으로 자주적으로 해결하기로 합의하였다.
# 남과 북은 북측이 제안한 저급 연방제와 남측이 제안한 연합제가 통일 방식에 있어 유사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앞으로 이 방향으로 통일을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합의하였다.
# 남과 북은 이산가족 상호 방문단 교류 및 미결 장기수 문제를 포함하여 인도적 문제(북한 기근 등)를 금년 8월 15일을 기해 조속히 해결하기로 합의하였다.
# 남과 북은 경제협력을 통한 국가경제의 균형있는 발전을 도모하고, 사회, 문화, 체육, 보건, 환경 등 모든 분야에서 협력과 교류를 활성화하여 상호 신뢰를 구축하기로 합의하였다.
# 남과 북은 상기 합의사항들을 신속히 실행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조속히 당국 간 회담을 개최하기로 합의하였다.
김정은은 2018년 신년사에서 한국 주도의 통일을 반복적으로 언급했고, 수년간의 적대감 고조 이후 뜻밖의 제안으로 남한 평창군에서 열린 2018 동계올림픽에 북한이 참가할 것을 제안하며, 2018년-2019년 남북 평화 프로세스의 중요한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다.[26] 이후 남북 간 회담을 통해 두 한국이 올림픽 개막식에서 통일기를 들고 함께 입장하고, 피겨 스케이팅, 쇼트트랙, 크로스컨트리 스키, 알파인 스키 등 여러 종목에 총 22명의 북한 선수가 참가하는 통일 아이스하키팀을 구성하기로 발표되었다.[27][28]
2018년 4월, 판문점 정상회담에서 김정은과 대한민국 대통령 문재인은 연말까지 남북 간 평화협정을 최종적으로 체결하기로 합의하는 문서에 서명했다. 두 정상은 상징적으로 서로의 국경을 넘었는데, 이는 대한민국 대통령이 북한 국경을 넘고 그 반대의 경우도 처음 있는 일이었다. 김정은은 북한이 비핵화 과정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고, 당시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는 이를 지지했다.[29] 2019년 문재인 대통령은 2045년까지 한반도 통일을 제안했다.[30] 그러나 평화협상은 아무런 결과를 낳지 못했고,[31] 북한은 이전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가 상당한 성과라고 과시했음에도 불구하고 핵 프로그램을 계속 진행했다.[32]
하지만, 북한은 2024년 1월부터 “남북 통일” 목표를 포기하고 있으며[79], 한국인을 동일 민족으로 여기지 않고[103][105][106][102], 또한 전쟁을 거치지 않는 통일 법안(소위 평화 통일)을 포기하는 방침을 채택하기 시작했기 때문에[106][102], 문제는 종전과는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기 시작했다고 일부 전문가는 지적하고 있다.
5. 통일에 대한 찬반 논쟁
2000년 6·15 남북공동선언, 2007년 10·4 선언, 2018년 판문점선언 등 세 차례의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남북은 평화통일을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14][15][16] 특히 2018년 판문점 정상회담에서 김정은과 문재인 대통령은 연내 종전선언과 평화협정 체결을 위해 노력하기로 합의했다.[29]
통일 한국 선수단은 2000년, 2004년, 2006년 올림픽 개막식에 공동 입장했으나, 실제 경기는 별도로 진행했다. 1991년 세계탁구선수권대회와 2018년 동계 올림픽에서는 남북 단일팀을 구성하기도 했다.[17]
김정은은 2018년 신년사에서 남한 평창군에서 열린 2018년 동계 올림픽에 북한 선수단을 파견하겠다고 제안했고, 이는 2018년-2019년 남북 평화 프로세스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26] 이후 남북 회담을 통해 올림픽 개막식 공동 입장 및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 등이 합의되었다.[27][28]
2019년 문재인 대통령은 2045년까지 한반도 통일을 제안했으나,[30] 평화협상은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북한은 핵 프로그램을 계속 진행했다.[31][32]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은 경제적 지원과 협력을 통해 북한의 개혁·개방을 유도하고 통일 여건을 조성하고자 했으나, 노무현 정부를 거쳐 2010년 통일부에 의해 실패로 선언되었다. 햇볕정책 반대자들은 대북 지원이 북한 정권 유지에만 기여했다고 비판한다.
한국 사회에서 통일에 대한 지지도는 점차 하락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세대에서 두드러진다. 2011년 조사에서 통일이 필수적이라는 응답은 56%였으나,[24][38] 2017년 통일연구원 조사에서는 20대의 72.1%가 통일이 불필요하다고 응답했다.[39] 이들은 경제, 고용, 생활비 문제에 더 큰 관심을 보이며,[39] 20대 남성의 약 50%는 북한을 적대국으로 인식한다.[40]
일부 학자들은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 포기 및 한국 전쟁 종식을 위한 평화협정 체결을 전제로 통일을 포기하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한다.[41]
5. 1. 통일 찬성론
통일 찬성론은 민족 동질성 회복, 경제적 시너지 효과, 지정학적 이점, 국제적 위상 강화 등을 근거로 제시한다. 특히 이산가족 상봉, 북한 인권 문제 해결 등 인도적 차원에서의 통일 필요성이 강조된다. 더불어민주당 등 진보 진영은 남북 화해와 협력을 통한 평화통일을 지지하며, 이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와 한반도 평화 정착을 통해 경제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김대중 정부의 햇볕정책은 남북한 간의 긴장 완화와 북한의 개혁·개방 유도를 목표로 추진되었다.[132][133][134] 햇볕정책의 3대 원칙은 다음과 같다.
- 북측의 무력 도발 불허
- 남측의 흡수 통일 시도 배제
- 남측의 화해와 협력 추진
김대중 정부와 노무현 정부 시절 햇볕정책에 의해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단 사업 등이 이루어졌고, 문재인 정부도 이 정책을 계승하였다.
2000년 6월, 남북한은 6·15 남북공동선언에 서명하였으며, 이 선언에서 양측은 두 체제의 공존하에 평화적인 통일을 추구할 것을 약속했다.[14]
2018년 판문점 정상회담에서 김정은과 문재인 대통령은 연말까지 남북 간 평화협정을 최종적으로 체결하기로 합의하는 문서에 서명했다. 두 정상은 상징적으로 서로의 국경을 넘었는데, 이는 대한민국 대통령이 북한 국경을 넘고 그 반대의 경우도 처음 있는 일이었다. 김정은은 북한이 비핵화 과정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29]
통일 한국은 지역 강국으로 여겨지는 대한민국의 존재를 바탕으로, 지역의 권력 균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74] 골드만삭스(Goldman Sachs)는 통일 한국의 잠재적 경제력을 조명한 보고서를 발표했는데,[75] 통일 30~40년 이내에 GDP가 6.056조달러를 넘을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76] 북한의 젊은 숙련 노동력과 풍부한 천연자원, 그리고 남한의 첨단 기술, 인프라, 풍부한 자본, 그리고 3대 경제 강국을 연결하는 한국의 전략적 위치가 이러한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잠재적 요인으로 언급되었다.[76]
통일 한국 | 대한민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
GDP (USD) | 6.056조달러 | 4.073조달러 | 1.982조달러 |
1인당 GDP (USD) | 78000USD | 81000USD | 71000USD |
GDP 성장률 (2015~2050) | 4.8% | 3.9% | 11.4% |
총인구 | 7,800만 명 | 5,000만 명 | 2,800만 명 |
씨티의 김진욱 연구원에 따르면, 통일에는 철도, 도로, 공항, 항만 등의 교통 시설과 발전소, 광산, 정유소, 가스관 등의 인프라 재건에 장기적으로 631억달러의 투자가 필요하다.
5. 2. 통일 반대론
통일 반대론은 경제적 부담, 사회적 혼란, 체제 통합의 어려움 등을 주요 이유로 제시한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이 증가하고 있다. 국민의힘 등 보수 정당은 북한의 비핵화와 변화 없이는 통일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132][133][134]통일연구원이 2017년 12월 발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20대 한국인의 72.1%가 통일이 불필요하다고 생각한다.[39] 이들은 통일보다 경제, 고용, 생활비 문제에 더 큰 관심을 보인다.[39] 20대 남성 중 약 50%는 북한을 협력 대상이 아닌 적대국으로 인식한다.[40]
일부 학자들은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포기하고 평화협정을 통해 한국 전쟁을 영구적으로 종식하는 대가로 한국 통일을 완전히 포기하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한다.[41]
통일 이후 북한 지역 재건 비용, 사회 복지 비용 등 막대한 경제적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세계은행 등은 통일 비용을 약 2조달러에서 3조달러로 추산하며, 이는 한국의 GDP의 약 1.5배에 해당한다. 이러한 경제적 격차 때문에 한국 국민들 사이에서 통일에 대한 반대 여론이 존재한다.
햇볕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통일 반대론의 한 축을 이룬다. 햇볕정책 반대자들은 김대중 정부의 대규모 대북 지원에도 불구하고, 남북 간 대화와 교역이 평화 통일에 기여하지 못했으며, 오히려 북한 정권 유지에 도움을 주었다고 주장한다.
6. 통일 가능성에 대한 회의론
김정은 정권의 폐쇄성, 남북 관계 경색, 주변국들의 이해관계 등으로 인해 통일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특히 김정은은 핵 개발을 지속하며 대남 강경 노선을 유지하고 있어 통일 전망을 어둡게 한다.[32]
2023년 12월, 김정은은 조선노동당 제8기 중앙위원회 제9차 전원회의 연설에서 남한을 "적"으로 규정하고, 북한의 대남 입장을 "근본적으로 전환"할 것을 촉구했다.[33] 그는 대한민국이 "흡수통일"과 "자유민주주의 하의 통일"을 국가 정책으로 정의하고 있어 통일을 이룰 수 없다고 주장했다.[34]
김정은은 대한민국 헌법이 한반도 전체에 대한 주장을 담고 있다는 점과 윤석열 대통령의 대북 정책을 비판하며, 대한민국이 통일의 적절한 파트너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는 남북관계가 "서로 적대적인 국가, 두 개의 교전 국가 간의 관계"이며, 더 이상 "혈연적이거나 동질적인" 관계가 아니라고 말했다.[35] 또한, 김정은은 조선노동당의 통일전선부를 포함한 남북관계 관련 조직 개편을 지시했다.[34]
2024년 1월, 김정은은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헌법 개정을 통해 협력과 통일 관련 내용을 삭제하고, 대한민국을 가장 적대적인 국가로 명시하는 조항을 추가할 것을 촉구했다.[36] 그는 해상 북방한계선을 거부하고, "흉물"이라 부른 통일의 아치와 같은 상징물을 제거할 것을 요구했다. 최고인민회의는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등 남북협력기구 3곳의 폐지를 의결했다.[36]
한국 내 통일 지지율은 특히 젊은 세대 사이에서 하락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80%가 넘는 사람들이 통일을 필수적이라고 생각했지만, 2011년에는 56%로 떨어졌다.[24][38] 2017년 통일연구원 설문조사에 따르면 20대 한국인의 72.1%가 통일이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며, 경제, 고용, 생활비 문제에 더 큰 우려를 표했다.[39]
여론조사 결과, 대다수의 한국인들은 북한과의 통일을 위해 자신의 생활 수준이 낮아지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39] 20대 남성 중 약 50%는 북한을 상종할 필요가 없는 적대국으로 인식한다.[40]
폴 로데릭 그레고리와 같은 일부 학자들은 북한이 핵무기 프로그램을 해체하고 평화협정을 통해 한국전쟁을 영구적으로 종식하는 대가로 한국 통일을 완전히 포기해야 할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41]
7. 통일 과정의 해결 과제
2018년-2019년 남북 평화 프로세스에도 불구하고, 통일 과정에는 여러 가지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있다.
2018년 4월, 판문점 정상회담에서 김정은과 문재인 대통령은 연말까지 남북 간 평화협정을 체결하기로 합의했다. 두 정상은 상징적으로 서로의 국경을 넘는 최초의 사례를 만들었다. 김정은은 비핵화를 약속했고,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도 이를 지지했다.[29] 2019년 문재인 대통령은 2045년까지 한반도 통일을 제안했으나,[30] 평화협상은 성과를 내지 못했고,[31] 북한은 핵 프로그램을 계속 진행했다.[32]
통일 한국은 지역 강국으로 부상할 잠재력이 크다.[74] 골드만삭스(Goldman Sachs)는 2009년 보고서에서 통일 한국의 경제력을 전망하며, 2050년까지 GDP가 6조달러를 넘을 수 있다고 예측했다.[76] 북한의 젊은 숙련 노동력과 풍부한 천연자원, 남한의 첨단 기술과 인프라, 자본 등이 결합하면 큰 성장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씨티는 통일에 필요한 장기적인 투자 비용을 631억달러로 추산했다.
통일 한국 | 대한민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
GDP (USD) | 6.056조달러 | 4.073조달러 | 1.982조달러 |
1인당 GDP (USD) | 78000USD | 81000USD | 71000USD |
GDP 성장률 (2015~2050) | 4.8% | 3.9% | 11.4% |
총인구 | 7,800만 명 | 5,000만 명 | 2,800만 명 |
그러나 통일 한국에서 주변 강대국의 역할 변화는 과제이다. 러시아와 중국은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경쟁을 계속할 것이다.[78]
군사분계선 북한 측 기념비(2010년)
한국 전쟁 이후, 남북한은 평화 조약을 체결하지 않았다. 분단 직후, 남북한은 모두 단일 국가 수립을 통한 통일을 목표로 했다. 김정은의 노선 변경 전까지는 남북 모두 연방 국가 수립이 통일의 기본 방침이었다. 한국은 건국 이래 이승만의 “북진통일”론이 있었고, “북파 공작원”을 파견하기도 했다. 민주화 이후에는 좌우 대립에 따라 화해 또는 적대 노선이 크게 바뀌었다. 북한은 1980년대 이후 장기 경제 침체로 국력이 부족해졌다. 북한은 여러 차례 “대남 공작”을 했고, “남침 터널”이 발견되기도 했다.
38선을 기준으로 남북한은 국가의 정통성을 둘러싸고 적대 관계에 있었지만, 한반도 분단을 “비정상적인 상황”으로 인식하고, 통일을 최종 목표로 한다는 점은 오랫동안 일치했다. 남북 모두 전쟁에 의한 흡수 통일을 모색하다가, 1972년 남북 공동 성명 이후에는 자주적, 평화적 통일 방식을 모색해왔다. 그러나 북한은 2024년 1월부터 “남북 통일” 목표를 포기하고,[79] 한국인을 동일 민족으로 여기지 않으며,[103][105][106][102] 전쟁을 거치지 않는 통일 방안(평화 통일)을 포기하는 방침을 채택하기 시작했다.[106][102]
조선반도 분단에는 여러 요인이 있지만, 1948년 이승만과 김일성의 건국 선언이 가장 큰 요인으로 여겨진다. 한국 중앙일보의 2005년 설문조사에 따르면, “조선반도 분단의 책임”에 대해 미국 53%, 일본 15.8%, 러시아(소련) 13.7%, 중국 8.8%라는 결과가 나왔다.[107] 한국에서는 일부 사람들이 통일신라 시대부터 남북한이 언어와 전통, 역사를 공유해왔지만, 한국 전쟁 이후 사회 제도의 차이로 이미 다른 민족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뉴라이트(신우파) 등은 통일 문제에 무관심하며, 북한 붕괴 시 주변 국가들이 공동 관리하면 된다고 주장한다. 탈북자는 한국 고등학생들이 통일 문제와 안보 문제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북한의 실정에 대해 무지하며, 안보 개념조차 가지고 있지 않다고 비판한다.[109]
전 인하대학교 교수 셰퍼드 아이버슨은 북한 내부 체제 전환을 위해 북한 상층부 엘리트들에게 뇌물을 보내는 것을 목적으로 1750억달러 규모의 통일 투자 펀드 조성을 제안했다. 평양 엘리트 간부 가족들에게 총 233억달러를 상납하고, 상위 10가족에게는 각각 3000만달러, 상위 1000가족에게는 500만달러를 상납하며, 1218억달러는 통일 후 생활을 위해 일반 주민에게 돌아간다는 것이다.[110][111][112]
7. 1. 경제적 과제
남북 간의 경제 차이는 매우 크다. 1인당 국민소득은 약 40배 차이가 나며, 산업 구조와 경제 제도 면에서도 큰 차이를 보인다.[135] 대한민국은 탈공업화 및 지식경제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반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제조업 기반 경제의 실패로 1차 산업 비중이 높아지는 퇴행적 과잉 공업화 경제를 겪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은 시장경제체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계획 경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통일 비용은 통일 직후부터 급격히 발생하지만, 통일 효과는 장기적이고 점진적으로 나타나므로 단기적인 과도기에 큰 비용이 발생할 수 있음을 고려해야 한다.[135] 통일 비용은 초기 안정화 비용, 분야별 통합 비용, 사회복지 비용, 경제적 인프라에 대한 투자 비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통일 한국은 경제적으로 큰 이익을 얻을 수 있지만,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137] 특히, 통일 이후 혼란으로 인한 국가 안보와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행위(반정부, 테러)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와 추가 발생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2011년에는 여야 의원 12명이 '통일세' 도입을 허용하는 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이 법안은 기업과 개인이 통일 비용을 분담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당시에는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그러나 이후 통일의 임박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통일 준비를 위한 실질적인 조치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다.[48]
한반도 통일의 완화책으로 한국 경제 공동체 구성이 제안되기도 했다.[49] 이명박 전 대통령은 남북한 간 경제 프로젝트를 논의하는 협의체 설치를 포함한 포괄적인 대북 외교 패키지를 제시하며, 한국 경제 공동체 협정을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50]
골드만삭스(Goldman Sachs)는 2009년 보고서에서 통일 한국의 잠재적 경제력을 조명했다.[75] 이 보고서는 통일 후 30~40년 이내에 한국이 캐나다,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그리고 아마도 일본을 포함한 많은 G7 국가들을 능가할 것이며, 2050년까지 GDP가 6조달러를 넘을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76]
씨티의 김진욱 연구원은 통일에 필요한 장기적인 투자 비용을 631억달러로 추산했다. 이는 철도, 도로, 공항, 항만 등의 교통 시설과 발전소, 광산, 정유소, 가스관 등의 인프라 재건에 필요한 비용이다.
통일 한국 | 대한민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
GDP (USD) | 6.056조달러 | 4.073조달러 | 1.982조달러 |
1인당 GDP (USD) | 78000USD | 81000USD | 71000USD |
GDP 성장률 (2015~2050) | 4.8% | 3.9% | 11.4% |
총인구 | 7,800만 명 | 5,000만 명 | 2,800만 명 |
세계은행 등은 통일에 소요되는 비용을 약 2조달러~3조달러로 추산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 GDP의 약 1.5배에 해당한다. 현재 남북한의 경제 격차는 대략 30:1로 계산되고 있으며, 통일이 실현될 경우 한국이 대부분의 비용을 부담하고 북한에 대한 인프라 정비와 식량 지원을 비롯한 종합적인 지원을 장기적으로 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7. 2. 사회적 과제
분단 70년 동안 남북한 주민들은 서로 다른 문화를 가지게 되었으며, 통일 이후에도 서로를 외국인처럼 생각할 수 있다.[136] 남북 주민 간의 이질감을 극복하고 사회 통합을 이루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특히 탈북민 정착 지원, 이산가족 상봉, 문화 교류 등을 통해 남북 주민 간의 동질성을 회복하는 것이 필요하다.대한민국 국민들은 북한 주민들의 최소한의 생계를 위한 복지 비용과 북한의 낙후된 기반 시설 건설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 북한 주민들은 대한민국의 경제적 지원으로 생활 수준이 향상되더라도, 주체사상에 대한 혼란을 겪을 수 있다. 따라서 연방제 통일 이후에도 남북한 정부 간의 긴밀한 협력과 역할 분담이 필요하다.
통일 이후 혼란으로 인한 국가 안보와 국민의 생명을 위협하는 행위(반정부, 테러 등)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대처와 추가 발생 방지 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북한 지역 주민의 대량 유입으로 인한 치안 악화, 도시 슬럼화, 차별 및 배척 운동 등의 문제도 발생할 수 있다. 북한 정보 공작원 및 과격한 민족주의자들이 통일 이후 한국 사회를 혼란에 빠뜨릴 가능성도 우려된다.
한국의 일부 사람들은 통일신라 시대부터 남북한이 언어와 전통, 역사를 공유해왔지만, 한국 전쟁 이후 사회 제도의 차이로 인해 남북한 사람들이 이미 다른 민족이 되었다고 생각한다. 뉴라이트(신우파) 등은 통일 문제에 무관심하며, 북한 붕괴 시 주변 국가들이 공동 관리하면 된다고 주장한다.
탈북자의 강연에 따르면, 한국 고등학생들은 통일 문제와 안보 문제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북한의 실정에 대해 무지하며, 안보 개념조차 가지고 있지 않다는 비판이 있다.[109]
북한은 언론의 자유가 없는 정보 통제 국가이므로, 북한 주민들의 통일 의식이 어느 정도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7. 3. 정치적 과제
분단 70년 동안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서로 다른 정치 체제와 이념을 유지해왔다. 통일 이후에는 국가 체제, 행정 구역 개편, 법 제도 정비 등 정치적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135] 남북 간의 정치적 합의를 통해 통일 국가의 체제를 결정하고, 이에 따른 법 제도 정비가 이루어져야 한다.1987년 민주화 선언 이후 대한민국은 자본주의 체제의 자유민주주의 국가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주체사상을 기반으로 한 독재 국가이다. 통일 후 국가 체제에 대해서는 불투명한 상태이다. 정반대의 체제를 가진 분단 국가가 통일된 사례로는 베트남, 예멘, 독일 등이 있다. 베트남은 공산주의 국가에 흡수되어 많은 난민이 발생했고, 독일은 자본주의 국가에 흡수되어 사회 인프라 정비 등에 막대한 비용과 실업 문제가 발생했다. 예멘은 통일 이후 내전이 발발했다.
한반도의 경우, 대량 난민 발생을 막기 위해 대한민국에 의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완만한 병합이 현실적인 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주민이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를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을지, 이를 위한 교육과 노력을 대한민국이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어려움이 예상되며, 실현에는 상당한 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홍콩과 마카오의 사례처럼 일국양제 방식을 채택하거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주장하는 연방제, 대한민국이 주장하는 완만한 연합제 방식도 논의될 수 있다.
2018년 판문점 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은 연말까지 평화협정을 체결하기로 합의했고, 김정은은 비핵화 과정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29] 2019년 문재인 대통령은 2045년까지 한반도 통일을 제안했다.[30] 그러나 평화협상은 결과를 맺지 못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핵 프로그램을 계속 진행했다.[31][32]
7. 4. 행정 구역 개편
대한민국은 헌법에 의거, 휴전선 이북 지역(現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관할 지역, 중화인민공화국의 일부 지역 포함)을 자국 영토로 규정하고 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실체를 형식적으로 부정하고 있다. 이러한 입장에 따라 1962년에 《이북 5도에 관한 특별조치법》을, 1970년에 《이북5도직제》를 제정하여 통일 정책을 뒷받침하고 있다.통일 직전이나 이후 행정구역 개편이 필요하다. 남베트남 공화국처럼 북한에 임시 자치단체가 세워질 경우, 기존에 설립해 놓은 이북5도위원회를 승격시켜 "대한민국 이북5도" 같은 이름의 임시 국가 지자체가 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 경우 북한 지역의 행정 구역 개편은 잠정 보류될 것이다.
남한 주도의 통일이 될 경우에는 이북 5도의 행정 구분을 대부분 그대로 시행할 수도 있지만, 북한이 변경한 행정구역을 수용하되 몇 가지 예외를 둘 수도 있다. 북한 주민의 경제활동 활성화를 고려하면 '특별시·광역시·도'-'시·군·구'-'읍·면·동'의 남한 행정 구역 체계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의 개편 방향은 논란이 되고 있으나, 량강도, 자강도를 인정하지 않는 경우, 적어도 혜산시와 강계시에 도청 출장소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단천시처럼 기형적인 형태의 시는 동 주민센터에서 처리하지 않는 사무 처리를 위해 시청 출장소 설치가 필요할 것이다.
생활권을 고려하여 군을 재편할 때, 일부 군은 북한에서 변경하기 이전으로 되돌리거나 면적이 작은 시, 군은 북한에서 신설된 군끼리 합쳐질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고원군과 금야군이 고원시로 승격 통합되는 식이다. 특히 평성시처럼 도 소재지로 건설된 도시나 신포시처럼 어업 기지로 조성된 소규모 도시는 원 행정구역에 재편입될 가능성이 높다.
행정구역 개편 효율을 위해 역사적 연원이 같지만 일제강점기 때 부(도시부)와 군(외곽부)으로 나뉜 지역들은 도농통합시로 새로 출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해주시·벽성군, 사리원시·봉산군, 송림시·황주군, 신의주시·의주군, 함흥시·흥남시·함주군, 청진시·부령군, 성진시·학성군, 나진시·경흥군 등 위요지와 월경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남한의 행정 체계에 맞추어 개편한다면, 북한의 읍은 대체로 주변 리를 편입하여 해방 직후의 원래 경계대로 읍이 되고, 로동자구도 주변의 리를 합쳐 대체로 원래 해방 직후의 경계에 맞추어 읍으로 승격될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1960년대부터 도로명주소를 사용하고 있어, 천리마거리, 승전거리 같은 체제 선전용 도로명만 수정하면 된다. 하지만 이는 평양시내 일부 지역 기준이고, 대부분 지역에서는 '○○동·리 ○○인민반' 등의 주소를 사용한다.
지방 선거는 잠정적으로 북한의 동-리 체계를 바탕으로 시·군 내에서 선거구를 획정해도 인구 비례에 맞으면 상관이 없기 때문에, 민주주의 교육 이후 몇 년 내로 다시 실시될 것으로 예측된다.
8. 국제 사회의 입장
2018년 평창군에서 열린 동계올림픽에 북한이 참가하면서 2018년-2019년 남북 평화 프로세스가 시작되었다.[26] 남북은 올림픽 개막식에 한반도기를 들고 함께 입장하고, 통일 아이스하키팀을 구성하기로 발표했다.[27][28]
2018년 판문점 정상회담에서 김정은과 문재인 대통령은 연말까지 평화협정을 체결하기로 합의했고, 김정은은 비핵화를 약속했으며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도 이를 지지했다.[29] 2019년 문재인 대통령은 2045년까지 통일을 제안했다.[30] 그러나 평화협상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 북한은 핵 프로그램을 계속 진행했다.[31][32]
통일 한국은 지역 강국으로 부상할 잠재력이 있다.[74] 골드만삭스는 2009년 보고서에서 통일 한국이 2050년까지 GDP 6조달러를 넘어서며 주요 G7 국가들을 능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75][76] 북한의 숙련 노동력과 천연자원, 남한의 기술, 인프라, 자본, 전략적 위치 등이 성장을 이끌 수 있다고 보았다.[76] 씨티그룹은 통일 비용으로 631억달러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했고, 세계은행은 2조~3조 달러에 달할 수 있다고 추산했다.
통일 한국 | 대한민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
GDP (USD) | 6조달러 | 4조달러 | 1조달러 |
1인당 GDP | 78000USD | 81000USD | 71000USD |
GDP 성장률 (2015~2050) | 4.8% | 3.9% | 11.4% |
총인구 | 7,800만 명 | 5,000만 명 | 2,800만 명 |
통일은 주변 강대국의 역할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러시아와 중국은 한반도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경쟁할 수 있다.[78] 중국은 북한의 경제적 이권을 독점하고 있어 통일 시 이익이 상실될 수 있으며, 북한 붕괴 시 난민 유입과 주한미군과의 국경 접촉을 우려하여 북한 존속을 바라고 있다. 2024년 6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김정은의 회담으로 보아 러시아 또한 북한의 존속을 바라고 있다고 추측된다.[118]
유엔은 남북 공동선언을 환영하는 성명을 발표하고, 한반도 문제에 지속적으로 관여하며 남북 대화와 협력을 지원하고 있다.[68][69]
8. 1. 주변국의 입장
1984년, 베이징 리뷰(Beijing Review)는 한국 통일에 대한 중국의 견해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한국 반도의 상황과 관련하여 중국의 입장은 명확하다. 중국은 외부 간섭 없이 연합 형태로 한국의 평화적이고 독립적인 통일을 추구하기 위한 3자 회담(남북한과 미국 간)에 대한 북한의 제안을 전적으로 지지한다. 중국은 이것이 반도의 긴장을 완화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믿는다."[54]중국과 북한의 현재 관계(중국-북한 관계)와 통일 한국에 대한 중국의 입장은 여러 가지 문제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여겨진다. 통일 한국은 북한의 핵무기 프로그램이 동아시아뿐 아니라 중국 정부를 불안정하게 만드는 것을 막을 수 있다. 2010년 미국 외교 문서 유출 사건은 두 명의 익명의 중국 관리들이 대한민국 차관보에게 한국이 중국에 적대적이지 않다면 한국은 대한민국 주도하에 통일되어야 한다는 젊은 세대의 중국 지도자들의 믿음이 점점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고 언급했다.[55] 이 보고서는 또한 중국의 고위 관리들과 일반 대중들이 북한의 반복적인 미사일 및 핵실험으로 인해 북한을 "버릇없는 아이"처럼 여기며 점점 좌절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행동은 서방뿐 아니라 중국에 대한 도전으로 여겨졌다.[56] 경제 전문지인 차이신(Caixin)은 북한이 중국의 외국 원조 예산의 40%를 차지하고 일본, 대한민국, 미국과의 무역 및 투자가 수십억 달러에 달하는 상황에서 완충국가로서 매달 5만 톤의 석유를 필요로 한다고 보도했다. 북한은 중국에게 비용이 많이 들고 국제적으로 곤란한 지원 대상으로 여겨진다.[57]
그러나 북한 정권의 붕괴와 서울에 의한 통일은 중국에 여러 가지 문제를 야기할 수도 있다. 갑작스럽고 폭력적인 붕괴는 빈곤에서 벗어나거나 싸우기 위해 북한 주민들이 중국으로 대규모 탈출을 일으켜 인도주의적 위기를 야기하고 중국 동북부를 불안정하게 만들 수 있다. 남한과 미군의 북한 진입은 중국 국경에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주둔하게 될 수 있으며, 이는 중국 주권에 대한 잠재적 위협으로 여겨지고 중국 견제 정책의 부과로 간주될 수 있다.[58] 통일 한국은 중국과의 영토 분쟁을 더 강력하게 추구할 수도 있으며 중국 내 한국인들 사이의 민족주의를 고조시킬 수 있다.[59][60] 일부는 북한의 큰 혼란 상황에 개입하기 위한 중국의 비상 계획(중국의 비상 계획)의 존재를 주장해 왔다.[61][62] (중국사회과학원의 동북공정과 고구려 왕국의 중국 정체성을 개입 또는 심지어 병합을 정당화하는 데 사용할 가능성이 있다).[25]
중국과 마찬가지로, 한국의 통일은 특히 독도의 영토 분쟁 및 위안부 문제와 같은 역사적 문제와 관련하여 미래 한일 관계에 복잡성을 야기한다. 통일 한국은 일본에 대한 경제적 경쟁자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크다.[63][64]
북한과 소련 간의 관계가 개선됨에 따라, 소련은 김일성의 평화적 통일 제안에 대한 공개적인 지지를 다시 표명했다. 소련의 동북아시아에 대한 관심은 1969년 5월 이즈베스티야(Известия) 사설에서 처음 제안되고 그 다음 달 모스크바에서 열린 1969년 국제 공산당 및 노동자당 회의에서 소련 서기장 레오니드 브레즈네프(Леонид Ильич Брежнев)가 구체적으로 언급한 "아시아의 집단 안보"에 대한 새로운 계획에 점차 집중되기 시작했다.[65]

미국은 공식적으로 민주 정부 하의 한국 통일을 지지하지만, 한반도에 대한 미군 주둔의 지속적인 관련성에 대한 의문은 여전히 남아 있다.[66][67] 마이크 맨스필드는 북한과 남한의 강대국 보증국의 안보 조약 중단과 모든 외국군 철수를 동반한 강대국 합의에 따라 한국을 중립화할 것을 제안했다.
1990년대, 논란이 많은 미-한 합동 팀 스피릿 군사 훈련을 둘러싼 문제에도 불구하고, 클린턴 행정부는 지미 카터의 지원을 통해 북한과의 평화에 관한 상황을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 북한 시설 검사 및 기타 양보에 대한 대가로 경수로를 제공할 것을 약속했다. 북한은 한국 전쟁에서 원래의 공격자로 미국을 비난했음에도 불구하고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일본과의 관계 정상화와 한국 대통령 김대중의 공개적인 지지와 더불어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를 위한 시도도 있었다. 북한은 실제로 전선에서 미군의 입장을 선호했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전쟁 발발을 막는 데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다. 결국, 원조와 석유가 공급되었고, 한국 기업과의 협력도 있었다. 그러나 남아 있는 우려 중 하나는 북한이 필수적인 우라늄 매장량을 가지고 높은 수준의 핵 기술을 달성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었다.
한국 통일을 지지하는 또 다른 인물인 전 미국 국무장관 헨리 키신저는 두 한국과 4개의 관련 강대국(미국, 소련, 중국, 일본)으로 구성된 6자 회담을 제안하여 한국 문제의 돌파구를 찾고자 했다. 북한은 "4+2" 시나리오라고도 알려진 이 시나리오를 한국이 강대국의 뜻에 좌우될 것이며 일본의 한국 지배 재건을 암시한다며 비난했다. 그러나 북한은 결국 중국과 소련으로부터 동시에 지원을 받을 자신감이 부족했다.[42]
통일 한국은 이미 많은 사람들에 의해 지역 강국으로 여겨지는 대한민국의 존재를 바탕으로, 지역의 권력 균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74]
2009년 9월, 골드만삭스(Goldman Sachs)는 "북한 위험 재평가 및 통일 한국"이라는 주제에 대한 188번째 글로벌 경제 보고서[75]를 발표했는데, 이 보고서는 통일 한국의 잠재적 경제력을 자세히 조명했다. 통일 30~40년 이내에 캐나다,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그리고 아마도 일본을 포함한 많은 G7 국가들을 능가할 것이며, 2050년까지 GDP가 6조달러를 넘을 가능성이 있다고 강조했다.[76] 북한의 젊은 숙련 노동력과 풍부한 천연자원, 그리고 남한의 첨단 기술, 인프라, 풍부한 자본, 그리고 3대 경제 강국을 연결하는 한국의 전략적 위치가 이러한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잠재적 요인으로 언급되었다. 어떤 견해에 따르면, 통일 한국은 2050년 이전에 실현될 수 있다.[76] 만약 통일이 이루어진다면, 한국의 인구는 즉시 8천만 명을 넘어설 것이다.[77]
통일 한국 | 대한민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
GDP (USD) | 6조달러 | 4조달러 | 1조달러 |
1인당 GDP | 78000USD | 81000USD | 71000USD |
GDP 성장률 (2015~2050) | 4.8% | 3.9% | 11.4% |
총인구 | 7,800만 명 | 5,000만 명 | 2,800만 명 |
그러나 이것에는 단점이 있다. 통일 한국에서 주변 강대국의 역할이 바뀔 것이다. 예를 들어, 러시아와 중국은 한반도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경쟁을 계속할 것이다.[78]
2024년 6월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이 김정은과 회담한 것으로 보아 러시아 또한 북한의 존속을 바라고 있다고 추측된다.[118]
8. 2. 국제기구의 역할
유엔은 2000년 남북 정상회담 이후 남북 공동선언을 한반도 평화와 통일에 대한 돌파구로 환영하는 성명을 발표했고, 150개국 이상이 공동 제안한 결의안을 통과시켰다.[68][69] 2002년과 2003년에는 이 문제에 대한 논의가 연기되거나 안건에서 삭제되었지만, 2007년 남북 정상회담과 6자 회담 이후 다시 총회에 회부되었다.[72][73] 유엔은 한국전쟁 이후 한반도 문제에 지속적으로 관여하며, 남북 대화와 협력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국제사회를 통한 북한 핵 문제에 대한 제재와 인도적 지원을 병행하여 북한 주민의 삶을 개선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9. 결론 및 전망
2018년-2019년 남북 평화 프로세스의 중요한 전환점은 2018년 김정은의 신년사에서 비롯되었다. 김정은은 한국 주도의 통일을 언급하고, 평창군에서 열린 2018 동계올림픽에 북한의 참가를 제안했다.[26] 남북은 회담을 통해 올림픽 개막식에서 통일기를 들고 함께 입장하며, 여러 종목에 총 22명의 북한 선수가 참가하는 통일 아이스하키팀을 구성하기로 합의했다.[27][28]
2018년 4월 판문점 정상회담에서 김정은과 문재인 대통령은 연말까지 평화협정을 체결하기로 합의했다. 두 정상은 상징적으로 서로의 국경을 넘는 최초의 사건을 연출했다. 김정은은 북한의 비핵화를 약속했고,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도 이를 지지했다.[29] 2019년 문재인 대통령은 2045년까지 한반도 통일을 제안했다.[30] 그러나 평화협상은 성과를 거두지 못했고,[31] 북한은 핵 프로그램을 계속 진행했다.[32]
통일 한국은 지역의 권력 균형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74] 골드만삭스(Goldman Sachs)는 2009년 보고서에서 통일 한국이 30~40년 내에 G7 국가들을 능가하고, 2050년까지 GDP가 6조달러를 넘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76] 북한의 숙련 노동력과 천연자원, 남한의 기술, 인프라, 자본, 그리고 한국의 전략적 위치가 성장의 잠재 요인으로 언급되었다.[76]
통일 한국 | 대한민국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
---|---|---|---|
GDP (USD) | 6.056조달러 | 4.073조달러 | 1.982조달러 |
1인당 GDP | 78000USD | 81000USD | 71000USD |
GDP 성장률 (2015~2050) | 4.8% | 3.9% | 11.4% |
총인구 | 7,800만 명 | 5,000만 명 | 2,800만 명 |
그러나 통일 비용은 세계은행 등의 추산에 따르면 약 2조달러~3조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한국 GDP의 약 1.5배에 해당한다. 한국과 북한의 경제 격차는 대략 30:1로, 통일 후 한국이 대부분의 비용을 부담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통일 이후 북한 주민의 대량 유입으로 인한 치안 악화, 도시 슬럼화, 차별 문제 등이 우려된다. 또한, 북한 정보 공작원 및 과격한 민족주의자들이 혼란을 야기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중국은 북한의 경제적 이권을 독점하고 있으며, 통일 시 이러한 이익을 상실할 수 있다. 또한 북한 붕괴 시 대량 난민 유입으로 인한 중국의 사회 불안정을 우려하여 북한의 존속을 바라는 것으로 보인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도 2024년 6월 김정은과의 회담을 통해 북한 존속에 대한 지지 의사를 보인 것으로 추측된다.[118]
참조
[1]
뉴스
Great aspirations: Inter-Korea relations going forward
https://www.aljazeer[...]
2024-01-24
[2]
뉴스
Majority of South Koreans favor North Korea 'friendship'
https://www.dw.com/e[...]
2024-01-24
[3]
뉴스
The full text of North and South Korea's agreement, annotated
https://www.washingt[...]
2024-01-24
[4]
웹사이트
North Korea Demolishes Monument Symbolising Union With South: Report
https://www.ndtv.com[...]
2024-01-23
[5]
뉴스
Kim Jong Un: Is North Korea's leader actually considering war?
https://www.bbc.com/[...]
2024-01-23
[6]
뉴스
The Economic implications of Korean reunification
https://apps.dtic.mi[...]
2024-03-05
[7]
뉴스
The Economic implications of Korean reunification
https://www.worldfin[...]
2024-03-05
[8]
서적
Sources of Korean Culture: From the Six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y
Columbia Univ.
[9]
웹사이트
The Korean War Revisited
https://www.mtholyok[...]
Vincent Ferraro, Resources for the Study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Foreign Policy
2013-03-10
[10]
뉴스
Stalin had direct impact on Korea in 1945-53 period
https://www.koreatim[...]
2012-05-16
[11]
간행물
Korean Quarterly
1972-09
[12]
웹사이트
Agreement on Reconciliation, Nonaggression and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https://2001-2009.st[...]
2018-11-19
[13]
서적
Sources of Korean Culture: From the Sixteenth to the Twentieth Century
Columbia Univ.
[14]
뉴스
North–South Joint Declaration
http://news.bbc.co.u[...]
BBC News
2018-11-19
[15]
웹사이트
Declaration for Development of North-South Relations, and Peace and Prosperity
http://www.uriminzok[...]
2021-03-28
[16]
웹사이트
Panmunjom Declaration for Peace, Prosperity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http://www.uriminzok[...]
2021-03-28
[17]
뉴스
N. Korea to send 22 athletes in three sports to PyeongChang Winter Olympics: IOC
http://english.yonha[...]
2018-01-20
[18]
웹사이트
Preparing for the Possibility of a North Korean Collapse
https://www.rand.org[...]
RAND Corporation
2015-03-17
[19]
뉴스
Doomsday scenario plan would divide North Korea
https://www.bbc.co.u[...]
2013-09-25
[20]
뉴스
Seoul reaffirms N. Korea's torpedo attack in final report
https://www.koreatim[...]
2010-09-13
[21]
뉴스
Q&A: Inter-Korean crisis
https://www.bbc.co.u[...]
2010-12-20
[22]
뉴스
Kim death threatens chaos for US policy
http://royce.house.g[...]
U.S. Representative Ed Royce, 39th District of California
2014-03-09
[23]
뉴스
In New Year's speech, N. Korea's Kim says he wants peace with South
https://www.washingt[...]
2013-02-23
[24]
뉴스
South Korea's young people are wary of unification
https://www.washingt[...]
2013-02-23
[25]
뉴스
Will young South Koreans watch 'unification TV'?
https://www.bbc.co.u[...]
BBC News
2013-02-23
[26]
뉴스
New Year's Address
http://www.nkleaders[...]
2018-02-10
[27]
뉴스
North Korea Calls for Reunification with South Korea
http://news.sky.com/[...]
2018-11-19
[28]
뉴스
IOC President Bach Says PyeongChang Olympics Can Send 'Message of Peace' to World.
http://www.pyeongcha[...]
2018-11-19
[29]
뉴스
North and South Korean leaders promise 'lasting peace' for peninsula
https://www.theguard[...]
2018-05-02
[30]
뉴스
Korean peninsula will be united by 2045, says Seoul amid Japan row
https://www.theguard[...]
2019-08-16
[31]
저널
North Korea States It Will Never Give Up Nuclear Weapons
https://www.csis.org[...]
2022-09-18
[32]
뉴스
North Korea Continues to Flout Trump, Advance Nuclear Ambitions
https://foreignpolic[...]
2020-12-11
[33]
뉴스
North Korea says it will no longer seek reunification with South Korea, will launch new spy satellites in 2024
https://www.cnn.com/[...]
2023-12-31
[34]
뉴스
Why North Korea declared unification 'impossible,' abandoning decades-old goal
https://www.nknews.o[...]
2024-01-01
[35]
뉴스
Reunification with South? No, says North Korea's Kim Jong-un
https://www.scmp.com[...]
2023-12-31
[36]
뉴스
North Korea to redefine border, purge unification language from constitution
https://www.nknews.o[...]
2024-01-16
[37]
웹사이트
S. Korea to update unification vision for 1st time in 30 years
https://en.yna.co.kr[...]
2024-03-02
[38]
뉴스
Olympic Dreams of a United Korea? Many in South Say, 'No, Thanks'
https://www.nytimes.[...]
2018-11-20
[39]
뉴스
As Olympics open door to reunification, young Koreans are tuning out
http://www.cbc.ca/ne[...]
2018-02-05
[40]
뉴스
Reunification with North Korea unappealing for young South Koreans
https://www.thestar.[...]
2018-01-28
[41]
뉴스
To end the North Korea dispute, abandon the aim of Korean reunification
http://www.newsweek.[...]
2017-08-17
[42]
서적
Korea's Place in the Sun: a Modern History
Norton
[43]
웹사이트
POLICIES FOR KOREA'S REUNIFICATION
http://www.naenara.c[...]
[44]
서적
On the Three Principles of National Reunification
https://www.korea-dp[...]
2021-03-27
[45]
서적
10-Point Programme of the Great Unity of the Whole Nation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Country
http://www.korea-dpr[...]
[46]
서적
Diplomatic Discourse: International Conflict at the United Nations – Addresses and Analysi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1997-01-01
[47]
웹사이트
Plan for the Founding of the Democratic Federal Republic of Koryo
http://www.uriminzok[...]
2021-03-28
[48]
웹사이트
Korea unification tax proposal – Analytical Updates – Junotane Korea – Political, Economic and Strategic Affairs
http://www.junotane.[...]
[49]
뉴스
Toward reunification via inter-Korean economic community
http://www.korea.net[...]
Korea.net
2007-12-06
[50]
뉴스
Lee Myung-bak Unveils Inter-Korean Cooperation Plans
http://english.chosu[...]
2009-12-31
[51]
웹사이트
Kim Jong-un Removal Will Cost $175 Billion, Claims A New Theory
https://www.inquisit[...]
2020-02-11
[52]
웹사이트
Could we pay the North Korean elite to give up power and nukes?
https://www.nknews.o[...]
2017-04-28
[53]
서적
Stop North Korea! : a radical new approach to the North Korean standoff
Tuttle
2017-03-07
[54]
간행물
President Reagan's China Visit
1984-04-23
[55]
웹사이트
Wikileaks cables reveal China 'ready to abandon North Korea'
http://www.theguardi[...]
2010-12-01
[56]
뉴스
WikiLeaks row: China wants Korean reunification, officials confirm
https://www.theguard[...]
2010-11-30
[57]
뉴스
US embassy cables: Beijing's lost patience leaves Pyongyang with little to lose
https://www.theguard[...]
2010-11-29
[58]
잡지
The Logic of China's Korea Policy
https://thediplomat.[...]
2013-02-23
[59]
웹사이트
US Congressional Report Expects China To Intervene In North Korea
http://rokdrop.com/2[...]
ROK Drop
2013-02-23
[60]
웹사이트
The War of Words Between South Korea and China Over An Ancient Kingdom: Why Both Sides Are Misguided
http://hnn.us/articl[...]
George Mson University
2013-02-23
[61]
웹사이트
http://defence21.han[...]
Defence21
2013-02-23
[62]
웹사이트
US Congressional Report Expects China To Intervene In North Korea
http://rokdrop.com/2[...]
ROK Drop
2013-02-23
[63]
웹사이트
[Asia's Next Page] Japan's Stance on a United Korea: Ambivalence or Realpolitik?
https://japan-forwar[...]
2024-01-24
[64]
웹사이트
Perception of Korean Reunification among Japanese Experts: The Collective Frame Approach
https://www.waseda.j[...]
2024-09-10
[65]
신문
1969-06-08
[66]
웹사이트
The Effects of Korean Unification on the US Military Presence in Northeast Asia
https://apps.dtic.mi[...]
2024-09-10
[67]
웹사이트
Korean Reunification and U.S. Interests: Preparing for One Korea
https://www.brooking[...]
2024-01-25
[68]
Verbotim Report
Statement by the Co-Chairpersons – Millennium Summit
2000-09-06
[69]
Verbotim Report
2000-10-31
[70]
Verbotim Report
2002-09-06
[71]
Verbotim Report
2003-09-15
[72]
Verbotim Report
Peace, security and reunification on the Korean peninsula
2007-10-31
[73]
Verbotim Report
2007-10-31
[74]
섹션 링크
Regional power
[75]
웹사이트
Global Economics Paper No: 188 "A United Korea?"
http://www.nkeconwat[...]
2010-10-15
[76]
뉴스
Unified Korea to Exceed G7 in 2050
https://koreatimes.c[...]
2010-10-15
[77]
목록
List of countries by population
[78]
웹사이트
The Diplomacy of Korean Unification: Positive and Negative Reasons, Policies
https://en.asaninst.[...]
ASAN Institute for policy studies
2015-11-13
[79]
웹사이트
金正恩氏、「南北統一」の目標を放棄 韓国を「第1の敵国」に定めるべきと
https://www.bbc.com/[...]
2024-01-18
[80]
뉴스
金与正氏が談話で異例の「大韓民国」使用 韓国は「別の国」と強調か
https://jp.yna.co.kr[...]
2023-07-11
[81]
뉴스
金正恩氏、演説で「大韓民国」呼称を初使用 敵対姿勢鮮明に
https://mainichi.jp/[...]
2023-08-29
[82]
서적
田中(2011:4)
[83]
서적
田中(2011:4-5)
[84]
서적
田中(2011:7-8)
[85]
서적
田中(2011:8-9)
[86]
서적
田中(2011:9)
[87]
서적
田中(2011:5-7)
[88]
서적
田中(2011:7)
[89]
서적
田中(2011:17-55)
[90]
서적
田中(2011:56-66)
[91]
서적
田中(2011:70-71)
[92]
서적
田中(2011:72-73)
[93]
서적
田中(2011:73)
[94]
서적
田中(2011:75-81)
[95]
서적
田中(2011:82-85)
[96]
서적
田中(2011:85)
[97]
서적
田中(2011:85-95)
[98]
서적
田中(2011:112-114)
[99]
서적
田中(2011:114)
[100]
서적
石坂(2006:192-193)
[101]
서적
石坂(2006:194)
[102]
웹사이트
憲法まで改定する金正恩委員長…「韓国は不変の主敵、対南機関廃止」念を押す(2)
https://s.japanese.j[...]
2024-01-16
[103]
웹사이트
北朝鮮が韓国を「大韓民国」と呼び始めたのはなぜなのか 朝鮮労働党機関紙から「わが民族」も消えた:東京新聞 TOKYO Web
https://www.tokyo-np[...]
2024-01-06
[104]
뉴스
金委員長の「同族ではない」宣言後…北朝鮮、南北交流窓口をすべて整理
https://japan.hani.c[...]
2024-01-16
[105]
웹사이트
黄海で砲撃の北朝鮮「民族・同族の概念は我々の認識から削除」
https://www.chosunon[...]
2024-01-06
[106]
웹사이트
憲法まで改定する金正恩委員長…「韓国は不変の主敵、対南機関廃止」念を押す(1)
https://s.japanese.j[...]
2024-01-16
[107]
뉴스
韓国民の53%「米国に分断の責任」
https://japanese.joi[...]
2005-09-12
[108]
뉴스
【寄稿】北朝鮮についてあまりにも無知な韓国の高校生(1/2)
http://www.chosunonl[...]
2016-02-09
[109]
뉴스
【寄稿】北朝鮮についてあまりにも無知な韓国の高校生(2/2)
http://www.chosunonl[...]
2016-02-09
[110]
웹사이트
金正恩除去は1750億ドルかかる、新説を主張
https://www.inquisit[...]
2020-02-11
[111]
웹사이트
権力と核を手放すために北朝鮮のエリートに金を払えるだろうか? NK News
https://www.nknews.o[...]
2020-02-11
[112]
서적
Stop North Korea ! : a radical new approach to the North Korean standoff
2017-03-07
[113]
뉴스
南北統一なら「新ウォン」か【フィスコ・コラム】
https://web.fisco.jp[...]
フィスコ
2018-06-17
[114]
뉴스
韓国が期待する「北朝鮮ビジネス」の皮算用 南北経済協力の推進は経済浮揚につながるか
https://toyokeizai.n[...]
東洋経済オンライン
2018-05-01
[115]
간행물
フラスベック&ホーン(1997:259)
[116]
간행물
ポスト金正日--揺れる北朝鮮の行方を占う
2008-11
[117]
간행물
週刊東洋経済
東洋経済新報社
2010-02-06
[118]
웹사이트
ロシアと北朝鮮の新条約 第三国から攻撃は相互支援 懸念強まる | NHK | 北朝鮮情勢
https://www3.nhk.or.[...]
[119]
웹인용
남북연방제 통일이란?
https://web.archive.[...]
2018-10-18
[120]
웹인용
[기본규범]국제연합 헌장(UN Charter) 상세보기 인권관련자료 주요동향 및 자료 외교부
https://overseas.mof[...]
외교부
2024-03-28
[121]
일반
[122]
일반
[123]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korearoot[...]
2017-06-29
[124]
웹사이트
http://www.konas.net[...]
[12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4-11-20
[126]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4-11-20
[127]
웹사이트
http://www.dihur.co.[...]
[128]
웹사이트
http://news.chosun.c[...]
[129]
웹사이트
http://news.chosun.c[...]
[130]
간행물
통일교육(과거•현재•미래) – 통일 교육원
http://www.kinu.or.k[...]
[131]
웹사이트
남북한의 통일 정책 비교
dae7292.com.ne.kr/7s[...]
[132]
웹사이트
한반도 통일 독일 보다 쉽다
http://www.futurekor[...]
[133]
웹사이트
한반도 통일, 제로베이스 상태의 북한이 낫다
http://www.dailynk.c[...]
[134]
웹사이트
통일대박'을 위한 독일의 통일 훈수가 기대된다
http://www.dailynk.c[...]
[135]
일반
[136]
일반
[137]
일반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세계교회협의회(WCC) 제리 필레이 총무 “정부 남북대화 의지 기쁘게 생각···한반도 평화 위한 길 가야”
“헝가리와 한국 연결고리 찾으려 ‘마자르’ 실체 쫓았죠”
독일서 싹튼 대화 플랫폼, 국내서 두번째 열린다
김지하의 ‘오적’ 이후 55년…‘사상계’ 재창간
“여든에도 세월호 분향소 11년 지킨 전북 민주화운동 큰어른”
In shifting world order under Trump, Korea’s path forward lies in strategic autonom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