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광제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광제호는 1904년 대한제국이 일본 가와사키 조선소에 발주하여 건조된 선박으로, 세관 감시 및 등대 순시선으로 사용되었다. 을사늑약 이후 군함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연안세관 감시선으로 전락했으며, 1910년 대한제국 병합 이후에는 조선총독부 소속으로 편입되어 '광제환'으로 개칭되었다. 이후 등대 시찰, 세관 감시, 무선 통신 업무 등에 종사하다가 1925년 조선우선주식회사에 임대되어 여객선으로 운용되었다. 1930년 일본 해군에 이관되어 잡역선으로 사용되다 태평양 전쟁 종전 후 좌초되어 전손되었다. 광제호의 태극기와 모의탄은 현재 각각 인천개항박물관과 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제국의 군사 - 원수부
    대한제국 시기 군사 업무를 총괄한 원수부는 군무국, 검사국, 기록국, 회계국의 4개 부서로 구성되어 군사 기획, 작전, 인사, 징계, 기록 보존, 예산 관리 등의 기능을 수행하고, 고종과 순종이 대원수 직을 맡았다.
  • 대한제국의 군사 - 대한제국군 해산
    대한제국군 해산은 1907년 한일신협약에 따라 일본의 강압으로 이루어진 대한제국군의 해체로, 일본은 이를 통해 대한제국의 주권을 침탈하고 식민 지배를 강화하려 했으며, 이는 의병운동 확산 등 한국 근현대사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광제호 - [배(Ship)]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광제호
선박 이름KIS 광제
건조1900년
원래 건조 비용圓 350,000
건조사가와사키 조선소
진수1904년 6월 15일
취역1900년 11월
퇴역1905년 11월
최종 운명불명
특징 (완성 시점)
배수량1056 톤 (정상 적재)
길이66.67 m
9.09 m
흘수6.36 m
9.03 m (만재 시)
동력2483 shp
추진증기
속력14.77 노트
승무원100명
무장3 x 1 3인치 해군포
장갑없음
선박 정보 (일본)
선종등대 순시선
세관 감시선
선적[[File:Flag of Korea (1899).svg|25px|border]] 대한제국
[[File:Flag of Japan.svg|25px|border]] 일본
소유자대한제국 탁지부
조선총독부 체신국
대일본제국 해군
제2복원성/복원청
운영자[[File:Flag of Korea (1899).svg|25px|border]] 대한제국 탁지부
[[File:Flag of Japan.svg|25px|border]] 조선총독부 체신국
조선우선
대일본제국 해군
[[File:Flag of Japan.svg|25px|border]] 제2복원성/복원청
모항인천
신호 부호PBGR
GQSI
JVRD
JKRQ
IMO 번호朝73 (선박 번호)
개명광제
광제마루
광제
건조 기간미상
취항 기간미상
계획 수미상
건조 수미상
이전 등급미상
다음 등급미상
발주미상
기공1904년
진수1904년 6월 15일
준공1904년 11월 8일, 1904년 12월 20일
취항미상
처녀 항해미상
운항 종료미상
최종 항해미상
퇴역미상
은퇴미상
제적미상
마지막1947년 5월 14일 좌초로 인한 전손
현재 상태미상
요목 주석미상
총 톤수1,057톤 (1907년)
순 톤수590톤 (1907년)
재화 중량540톤
배수량1,600톤 (1907년)
등록 길이67.1m (220ft)
형폭9.1m (30ft)
등록 깊이9.3m (30.6ft)
기관미상
보일러미상
주기관삼련성 레시프로 기관 2기
추진기2축
출력185.4 마력(공칭), 2437.8마력(실마력)
최대 출력미상
정격 출력미상
최대 속력14.77 노트
순항 속력미상
항속 거리미상
잠항 심도미상
탑승 인원미상
여객 정원1등: 10명
2등: 40명
3등: 197명
승무원미상
적재량미상
차량 탑재 수미상
기타미상
비고미상
함정 정보
구분군함 (대한제국)
잡역선 (예인선 겸 교통선) (일본 해군)
특별수송선 (제2복원성/복원청)
운영자미상
건조소미상
발주미상
기공미상
진수미상
취역1904년 11월 8일, 1904년 12월 20일 (대한제국), 1930년 8월 11일 (일본 해군), 1945년 12월 1일 (제2복원성/복원청)
제적1910년 10월 (대한제국), 1945년 10월 1일 (일본 해군), 1947년 7월 24일 (복원청)
마지막미상
기준 배수량1,118톤 (1946년)
상비 배수량미상
공시 배수량미상
만재 배수량미상
전장미상
전폭미상
흘수미상
주기관미상
최대 속력미상
항속 거리미상
승무원84명 (1907년)
장갑없음
병장보식 47mm 중속사포 2문 (1907년)
탑재기미상
레이더미상
소나미상
기타미상
비고미상

2. 배경

1881년(고종 18년) 군비 강화의 일환으로 근대식 군함 도입이 추진되기 시작했다. 1902년 미국공사 알렌이 정리한 <외교사연표>(1904)에 따르면, 한국 정부가 등대 감시 및 수송선 입출항 시 세관 순시 및 경비용으로 선박 1척을 일본에 발주하였고, 대금은 당시 돈으로 약 35만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광제호 발주 당시 금액으로 추정된다.[3]

2. 1. 건조 과정

광제호는 1904년(광무 8년) 11월에 일본에서 건조되었다. 원래 근대식 군함 도입은 1881년(고종 18년) 군비 강화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광제호는 새로운 군함 발주 계획에 따라 건조되었다.[1] 그러나 을사늑약 이후 군함의 기능을 상실하고 연안 세관 감시선으로 전락하였다.

1902년 12월, 한국 정부는 등대 감시, 수송선 입출항 시 세관 순시 및 경비용으로 선박 1척을 일본에 발주하였다. 당시 대금은 약 35만으로 추정된다.[3]

광제호는 대한제국이 일본 가와사키 조선소에 발주하여 1904년(메이지 37년) 4월에 진수되었고, 같은 해 11월 고베에서 준공되었다.[1] 「양무」에 이어 대한제국 군함으로 두 번째로 건조된 함선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주요 용도는 세관 감시 및 등대 순시선이었으며, 무장은 47mm 속사포 2문으로 경무장이었다.[3]

1905년(메이지 38년) 6월, 건조지인 고베항에서 부산항으로 회항되었다.[3] 초기에는 선장, 기관장, 일등 운전사(항해사)는 영국인이었으나, 같은 해 영국인 총세무사(세관 장관) 존 맥레비 브라운이 퇴임하면서 사직하였다.[7] 같은 해 12월, 일본 한국통감부가 설치되면서 일본 해군 소좌가 선장으로 승무하게 되었다.[8] 1907년 당시 승무원 84명 중 간부 대부분은 일본인이었으나, 운전사 중에는 「양무」 전 승무원이었던 한국인 신순성|申順晟한국어이 새로 채용되었다.[7] 하급 선원에는 일본 해군 예비역 하사관병이 승선했고, 수부와 화부 등 58명은 한국인이었다.[3]

광제호는 밀수 단속, 항로 표지 지점 선정 및 등대에 대한 물자 보급, 어업 시찰 등의 임무를 수행했으며, 한국 유일의 공선으로 한국통감 등 요인 수송에도 자주 사용되었다.[8] 1910년 8월에는 한국 최초의 무선 전신 설비를 설치하는 개조 공사가 진행되었고, 같은 해 9월에 완료되었다.[6]

2. 2. 초기 운용 및 기능

광제호는 1904년(광무 8년) 11월에 건조되었고, 1910년 9월에는 무선전신시설이 설치되었다. 근대식 군함 도입은 1881년(고종 18년) 군비강화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으며, 광제호는 새로운 군함 발주 계획에 따라 일본에서 1904년에 건조되었다. 그러나 을사늑약 이후 군함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연안세관 감시선으로 전락하였다.[1] 미국공사 알렌의 <외교사연표>(1904)에는 한국정부가 등대감시 및 수송선 입출항시 세관순시 및 경비용으로 선박 1척을 일본으로부터 발주하였고, 대금은 당시 돈으로 약 35만원이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광제호 발주 당시 금액으로 추정된다.

광제호는 대한제국이 일본 가와사키 조선소에 발주하여 1904년(메이지 37년) 4월에 진수되었고, 같은 해 11월 고베에서 준공되었다.[1] 「양무」에 이어 대한제국 군함으로 두 번째로 건조된 함선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주요 용도는 세관 감시 및 등대 순시선이었으며, 무장도 47mm 속사포 2문으로 경무장이었다.[3] 1910년(메이지 43년) 대한제국 병합 당시에는 대한제국의 재무성에 해당하는 부서 소속이었다.[6]

1905년(메이지 38년) 6월, 광제호는 건조지인 고베항에서 부산항으로 회항하였다.[3] 초기에는 선장, 기관장, 일등 운전사(항해사)가 영국인이었으나, 같은 해 영국인 총세무사(세관 장관) 존 맥레비 브라운이 퇴임하면서 사직하였다.[7] 같은 해 12월 일본 한국통감부가 설치되면서 일본 해군 소좌가 선장으로 승무하게 되었다.[8] 1907년 당시 승무원 84명 중 간부 대부분은 일본인이었으나, 운전사 중에는 「양무」 전 승무원이었던 한국인 신순성이 새로 채용되었다.[7] 하급 선원에는 일본 해군 예비역 하사관병이 승선했고, 수부와 화부 등 58명은 한국인이었다.[3] 광제호는 밀수 단속, 항로 표지 지점 선정 및 등대에 대한 물자 보급, 어업 시찰 등의 임무를 수행했으며, 한국 유일의 공선으로 한국통감 등 요인 수송에도 자주 사용되었다.[8] 1906년에는 6차례의 항해를 수행했다. 1910년 8월, 대한제국 병합 직전에는 한국 최초의 무선 전신 설비를 설치하는 개조 공사가 진행되었고, 같은 해 9월에 완료되었다.[6]

3. 제원

항목내용
총배수량1,056톤
진수 시기1904년 6월 15일
인수 시기1904년 12월 20일
보유 무장3인치 함포 3문
통신 시설무선 시설 및 선박용 무선 통신 안테나(더블렛트) 2기
적재톤540톤
전장66.7m
선폭9.1m
흘수9.03m (만재 시 6.4m)
주기삼연성(三連成) 레시프로형 기관 2기 (2438마력)
항속최대 14.77노트
건조가와사키 조선 코베 조선소(川崎造船 神戶造船所)


4. 일제강점기 운용

1905년 6월, 건조지인 고베항에서 부산항으로 회항하였다.[3] 초기 승무원 중 선장, 기관장, 일등 운전사(항해사)는 영국인이었으나, 같은 해 영국인 총세무사(세관 장관) 존 맥레비 브라운이 퇴임하면서 사직하였다.[7] 같은 해 12월 일본 한국통감부가 설치되면서 일본 해군 소좌가 선장으로 승무하게 되었다.[8] 1907년 당시 승무원 84명 중 간부 대부분은 일본인이었으나, 운전사 중에는 「양무」 전 승무원이었던 한국인 신순성|申順成한국어이 새로 채용되었다.[7] 하급 선원에는 일본 해군 예비역 하사관병이 승선했고, 수부와 화부 등 58명은 한국인이었다.[3] 광제호는 밀수 단속, 항로 표지 지점 선정 및 등대 물자 보급, 어업 시찰 등의 임무에 종사했으며, 한국 유일의 공선으로 한국통감 등 요인 수송에도 자주 사용되었다.[8] 1906년에는 6차례 항해를 수행했고, 1910년 8월에는 한국 최초의 무선 전신 설비를 설치하는 개조 공사가 진행되었다(대한제국 병합 후인 같은 해 9월에 완료).[6]

4. 1. 조선총독부 시대

본 함선은 대한제국이 일본 가와사키 조선소에 발주하여 1904년(메이지 37년) 4월에 진수[1]되었고, 같은 해 11월 고베에서 준공되었다. 「양무」에 이어 대한제국 군함으로 두 번째로 건조된 함선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세관 감시 및 등대 순시선이 주요 용도였으며, 무장도 47mm 속사포 2문으로 경무장이었다.[3] 대한제국 병합이 이루어진 1910년(메이지 43년) 당시 소속은 대한제국의 재무성이었다.[6]

1910년(메이지 43년) 한국 병합이 이루어지고, 같은 해 10월 조선총독부의 새로운 관제가 시행되면서 본 선박은 「광제환(光済丸)」으로 조선총독부 통신국(1912년 이후는 조선총독부 체신국) 소속이 되었다.[6] 이후 등대 등 항로표지 시찰, 세관 감시 임무, 해군 함선 및 관청용 무선 통신 업무에 계속 종사했다.[8] 1911년도(메이지 44년도) 운용 실적은 항해 거리 14,902해리(약 27599km)에 달했다.[10] 같은 임무에서 마지막 운용이 된 1924년도(다이쇼 13년도) 항해 거리는 7,119해리(약 13184km)로 감소했다.[11]

1925년(다이쇼 14년) 재정상의 사정으로 인한 행정 정리 때문에 「광제환」의 등대 순시선, 세관 감시선 등 공선으로서의 모든 임무가 폐지되었다.[11][8] 그리고 조선총독부 소속으로 남아 조선우선주식회사에 임대되었다. 조선우선에서는 「광제환」을 화객선 「함경환」과 교체시켜 「평양환」과 함께 원산청진 선(성진 경유)에 취항시켰다.[12] 이 항로는 조선총독부의 명령항로로 1922년(다이쇼 11년)에 개설된 것으로, 철도가 개통되지 않은 함경북도·간도 지방에 취항하는 유일한 여객 항로였으며, 이 지방을 경부선·경원선·경의선과 잇는 철도연락선으로서 매우 번성했다.[12] 그러나 이 항로는 1928년(쇼와 3년) 8월 함경본선 개통으로 불필요하게 되어 다음 달에 폐지되었다.[13]

4. 2. 일본 해군 이관

1930년(쇼와 5년) 8월 11일, 이 선박은 조선총독부에서 일본 해군으로 이관되어 "광제(光済)"로 개칭되었고, 예선 겸 수송선인 잡역선으로 분류되었다.[14] 초기에는 사세보 방비대에, 이후 진해요항부(1941년 경비부로 승격)에 소속되어 한반도 진해요항부와 일본 본토의 사세보진수부 사이의 연락 임무를 수행했다.[5] 1945년(쇼와 20년) 8월 태평양 전쟁 종전 시에도 진해경비부 진해항무부에 소속되어 있었다.[15] 종전 후, GHQ의 일본상선관리국(SCAJAP)에 의해 '''SCAJAP-K089''' 관리번호가 부여되었다.

5. 광복 이후

1945년 8월 태평양 전쟁 종전 당시 진해경비부 진해항무부에 소속되어 있었다.[15] 종전 후, GHQ의 일본상선관리국(SCAJAP)에 의해 '''SCAJAP-K089''' 관리번호를 부여받았다.

태평양 전쟁 종전 후, 제2복원성의 특별수송함으로 지정되었고,[5] 1947년 1월 15일까지는 특별보관함으로 변경되었다.[16] 구난선 "栗橋"와 함께 구 군항 간의 수송 임무 등에 종사했으나,[5] 1947년 5월 14일 오사카항에서 요코스카항으로 항해 중 오마에자키 부근에서 좌초되어 전손되었다.[17]

6. 유물

일제강점기 이전에 광제호 돛대에 게양되었던 태극기는 당시 승무원 신순성이 보관하다가 광복 후 대한민국 정부에 기증, 인천개항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18]

광제호에 탑재되었던 속사포 연습용 모의탄 또한 신순성이 보관하다가 유족을 통해 대한민국 정부에 기증되어 한국해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전시 중이다.[19]

7. 참고 하기

참조

[1] 서적 川崎造船所四十年史 川崎造船所 1936
[2] 웹사이트 なつかしい日本の汽船 光済 http://jpnships.g.dg[...] 長澤文雄 2022-11-21
[3] 간행물 韓国税関監視船燈台巡視船光済号乗船後経過報告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JACAR) 1907 #明治四十年から推定
[4] 서적 福井(2010年) 福井 2010
[5] 서적 福井(2010年) 福井 2010
[6] 서적 明治四十三年度 朝鮮総督府通信局年報 朝鮮総督府通信局 1912
[7] 간행물 韓国税関監視船燈台巡視船光済号乗船後経過報告 アジア歴史資料センター(JACAR) 1907 #明治四十年から推定
[8] 서적 海軍編集委員会(1981年) 海軍編集委員会 1981
[9] 서적 明治四十四年 日本船名録 帝国海事協会 1912
[10] 서적 明治四十四年度 朝鮮総督府逓信年報 朝鮮総督府逓信局 1912
[11] 서적 大正十三年度 朝鮮総督府逓信年報 朝鮮総督府逓信局 1926
[12] 서적 朝鮮郵船(1937年) 朝鮮郵船 1937
[13] 서적 朝鮮郵船(1937年) 朝鮮郵船 1937
[14] 간행물 海軍公報(部内限) 海軍大臣官房 1930-08-15
[15] 간행물 七 鎮海海軍港務部 鎮海海軍港務部
[16] 서적 福井(2010年) 福井 2010
[17] 서적 福井(2010年) 福井 2010
[18] 웹사이트 해기사 명예의 전당 - 양무공(揚武公) 신순성(愼順晟) https://www.mariners[...] 2021-11-19
[19] 웹사이트 光濟號 艦砲練習彈 https://museum.navy.[...] 2021-11-19
[20] 아카이브 第二復員省辞令公報(甲)第56号 1946-02-09 #昭和21年2月9日から推定
[21] 아카이브 第二復員省辞令公報(甲)第112号 1946-04-20 #昭和21年4月20日から推定
[22] 아카이브 第二復員庁第二復員局辞令公報(甲)第74号 1946-10-18 #昭和21年10月18日から推定
[23] 아카이브 第二復員庁第二復員局辞令公報(甲)第79号 1946-10-28 #昭和21年10月28日から推定
[24] 아카이브 第二復員庁第二復員局辞令公報(甲)第82号 1946-11-04 #昭和21年11月4日から推定
[25] 아카이브 第二復員庁第二復員局辞令公報(甲)第93号 1946-11-21 #昭和21年11月21日から推定
[26] 아카이브 第二復員庁第二復員局辞令公報(甲)第97号 1946-11-27 #昭和21年11月27日から推定
[27] 아카이브 第二復員庁第二復員局辞令公報 第1号 1947-04-02 #昭和22年4月2日から推定
[28] 아카이브 第二復員庁第二復員局辞令公報 第21号 1947-05-06 #昭和22年5月6日から推定
[29] 아카이브 第二復員庁第二復員局辞令公報 第32号 1947-05-28 #昭和22年5月28日から推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