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국가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국가해군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해체된 독일 제국 해군을 대체하여 설립된 바이마르 공화국의 해군이다.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병력 15,000명, 전열함 6척, 경순양함 6척, 구축함 12척, 어뢰정 12척으로 제한되었으며 잠수함 보유는 금지되었다. 국가해군은 국방부 소속이었으며, 해군 지휘관이 최고위 장교였다. 함대 사령부는 킬에 위치했으며, 두 개의 해군 기지, 북해 해군 기지와 발트해 해군 기지를 통해 해상 함대를 관리했다. 주요 함선으로는 전함, 순양함, 어뢰정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해군사 - 영국-독일 해군력 경쟁
    영국-독일 해군력 경쟁은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영국과 독일 제국 간 해군력 증강 경쟁으로, 독일의 해군력 급 expansion이 당시 해상 패권을 쥔 영국을 자극하여 군비 경쟁을 심화시키고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직전까지 유럽의 긴장을 고조시켰다.
  • 바이마르 공화국의 군사 - 병무청 (바이마르 공화국)
    병무청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 독일 국방부 예하 기관으로, 해산된 참모본부의 기능을 대행하며 국방군 재건을 주도하여 독일 재무장의 기반을 마련했다.
  • 해산된 해군 - 조선 수군
    조선 수군은 고려 시대부터 조선 말기까지 존속하며 왜구 방어, 대마도 정벌, 임진왜란 활약 등을 통해 해상 방어 능력을 보여주었으나 갑오개혁으로 해체되고 대한제국 해군으로 재편된 대한민국의 해군 조직이다.
  • 해산된 해군 - 촐라 해군
    촐라 해군은 9세기에서 13세기 촐라 왕조의 해군으로, 라자라자 1세와 라젠드라 1세 시대에 전성기를 누리며 남인도, 스리랑카, 몰디브 정복과 동남아시아 해역 진출, 송나라와의 교류를 통해 해상 강국으로 부상했다.
국가해군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해군 기
해군 기
이름국가해군
소속바이마르 공화국
나치 독일
복무 기간1921년 1월 1일 – 1935년 5월 31일
해체해당 없음
국가바이마르 공화국
나치 독일
군 종류해군
역할해당 없음
규모해당 없음
주둔지해당 없음
별명해당 없음
후원자해당 없음
모토해당 없음
색상해당 없음
행진해당 없음
마스코트해당 없음
기념일해당 없음
장비해당 없음
전투해당 없음
웹사이트해당 없음
지휘관
마지막 지휘관에리히 레더
주목할 만한 지휘관해당 없음
식별 상징
식별 상징해당 없음

2. 바이마르 공화국 해군의 성립과 제약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 제국 해군은 해체되고 임시 국가 해군(독일어: Vorläufige Reichsmarine, 직역: 임시 제국 해군)이 창설되었다.[1]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독일 해군의 규모는 대폭 축소되었다.

2. 1. 베르사유 조약의 영향

베르사유 조약에 따라 독일 해군은 병력 15,000명, 전열함 6척, 경순양함 6척, 구축함 12척, 어뢰정 12척으로 제한되었고, 잠수함 보유는 금지되었다. 노후 전열함 교체 시 배수량은 최대 10000ton으로 제한되었다.

3. 바이마르 공화국 해군의 조직과 구조

Reichsmarinede은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 국방부(Reichswehrministerium) 소속 해군으로, 민간 장관이 지휘했다. 1920년까지 해군 최고위 장교는 Chef der Admiralitätde(해군참모총장)으로 불렸으나, 이후 Chef der Marineleitungde(해군 지휘관)으로 직함이 변경되었다.[1]

해상 작전 통제권은 두 개의 주요 해군 기지 사령관에게 있었다. 국가해군은 북해발트해에서 운용되는 모든 함선을 감독하기 위해 두 개의 지리적 구역(Marinestation|해군 기지de)을 할당했다.[2]


  • Nordseestation|북해 해군 기지de: 빌헬름스하펜에 본부를 두고 쿠스하펜과 보르쿰 항구를 관할했다.
  • Ostseestation|발트해 해군 기지de: 에 본부를 두고 스비넴윈데와 필라우 항구를 관할했다.

3. 1. 해군 최고 지휘부

1920년까지 해군 최고위 장교는 Chef der Admiralitätde (해군참모총장)으로 불렸으며, 이후 Chef der Marineleitungde (해군 지휘관)으로 변경되었다.[1] 해군 사령부는 베를린에 위치했으며, 작전, 행정, 인사, 무기, 건설 등 5개의 부서로 구성되었다.

  • Marinekommandoamtde(A) – 작전
  • Allgemeine Marineamtde(B) – 일반 행정
  • Marineverwaltungsamtde(C) – 인사 및 행정
  • Marinewaffenamtde(''MWa'') – 해군 무기 부서
  • Marinekonstruktionsamtde(K) – 해군 건설 사무소


역대 해군참모총장 및 해군 지휘관 목록은 다음과 같다.

역대 해군참모총장 및 해군 지휘관
직책사진계급성명재임 기간
해군 참모 총장(Chef der Admiralität)--부제독de아돌프 폰 트로타1919년 3월 26일 ~ 1920년 3월 22일
해군 참모 총장(Chef der Admiralität)준제독de윌리엄 미하엘리스1920년 3월 22일 ~ 1920년 9월 1일
해군 참모 총장(Chef der Admiralität)--부제독de파울 베른케1920년 9월 1일 ~ 1920년 9월 14일
해군 지휘부 수장(Chefs der Marineleitung)--해군 중장de파울 베른케1920년 9월 14일 ~ 1924년 10월 1일
해군 지휘부 수장(Chefs der Marineleitung)--해군 중장de한스 젠커1924년 10월 1일 ~ 1928년 9월 30일
해군 지휘부 수장(Chefs der Marineleitung)--제독에리히 레더1928년 10월 1일 ~ 1935년 6월 1일


3. 2. 함대 사령부

함대 사령부(Flottenkommando)는 에 위치했으며, 함대 사령관과 기함 참모로 구성되었다. 주요 함종 사령부는 다음과 같다.

}

|

| 1933년 기함은 순양함이었다.

|-

| Befehlshaber der Aufklärungsstreitkräfte|정찰 함정 사령관|de

|

| 기함은 순양함 Königsberg|쾨니히스베르크|de였다.

|-

| Führer der Torpedoboote|어뢰정 지도자|de

| Swinemünde

| 4개의 어뢰정 전대를 감독했다.

|-

| Führer der Minsensuchboote|기뢰 탐색함 지도자|de

|

| 두 개의 기뢰 탐색함 전대와 한 개의 Räumbootende (R 보트) 기뢰 보조 부대를 지휘했다.

|}

1920년대 독일 기함은 전함 Schleswig-Holstein|슐레스비히-홀슈타인|de이었으며, 1923년부터 1927년까지 부제독(Vizeadmiral) 한스 젠커와 콘라트 몸젠 두 해군 장교가 함대 사령관을 역임했다. 그 후 함대 사령관 직위는 공석으로 남았지만 기함 참모는 유지되었다. 함대 사령부의 목적은 독일 해군 함정의 4개의 주요 함종 사령관을 감독하는 것이었다. 이 사령부는 장비 개발, 함정 배치, 인력 배치를 포함한 다양한 독일 함급의 관리를 책임졌다. 해상에서는 함정의 작전 통제권이 두 개의 주요 해군 기지 사령관에게 넘어갔다.

3. 3. 해군 기지

국가해군은 전통적인 해상 함대를 유지하는 대신, 북해발트해에서 운용되는 모든 함선을 감독하는 두 개의 지리적 구역(Marinestation|해군 기지de)을 할당했다. 각 해군 기지는 본부 참모, 일반 해군 감찰부, 훈련 부서, 포병 무기고 감찰관, 그리고 의료 사령부를 유지했다. 또한 해군 기지는 다양한 독일 해군 항구의 사령관에 대한 선임 장교 역할을 했다.[2]

  • Nordseestation|북해 해군 기지de - 빌헬름스하펜에 본부를 두고 쿠스하펜과 보르쿰 항구를 관할.
  • Ostseestation|발트해 해군 기지de - 에 본부를 두고 스비넴윈데와 필라우 항구를 관할.

4. 바이마르 공화국 해군의 함선과 장비

베르사유 조약은 독일 제국 해군(Reichsmarine)의 규모와 무장을 제한하고 새로운 기술 도입을 금지했다. 이 제한은 독일 해군이 연합국에 위협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었다. 반면에 연합국은 소련을 불신하여, 발트해에서 독일 제국 해군이 앞으로도 가장 강력한 해군력으로 소련에 대한 균형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했다.

독일은 전드레드노트급 전함 6척(예비 2척 포함), 순양함 6척(예비 2척 포함), 구축함 12척(예비 4척 포함), 어뢰정 12척(예비 4척 포함)만 보유할 수 있었다. 독일 제국 해군은 이러한 무장 제한을 비밀리에 무장하고 포켓전함과 같은 기술 혁신을 도입하여 해결하려 했다.

4. 1. 주요 함선

함종 사령부위치설명
{{lang|de|Befehlshaber der Linienschiffe|전열함 사령관|}
함급함명취역-퇴역
1907–1944
1908–1945
1908–1944
1904–1932
1904–1936
1905–1960
1905–1931
1906–1931
1904–1927
1906–1929

(3,033톤, 10 × 105 mm포)
1900–1925
1900–1931
1901–1929
1901–1931
1901–1945
1903–1945
엠덴급 순양함
(6,000톤, 8 × 150 mm포)
1925–1945
급 순양함
(7,200톤, 9 × 150 mm포)
1929–1940
1929–1940
1930–1945

(8,000톤, 9 × 150 mm포)
1931–1946
1935–1945

(10,800톤, 6 × 280 mm포)
1933–1948
1934–1945
1936–1939
23형 어뢰정
(923톤, 3 × 105 mm포)
1926–1944
1928–1944
1927–1944
1928–1944
1928–1940
1927–1942
24형 어뢰정
(933톤, 3 × 105 mm포)
1928–1941
1928–1942
1929–1944
1929–1940
1929–1940
1929–1939
1934형 구축함
(2,223톤, 5 x 127 mm포)
Z1 리베르히트 마스1937-1940
Z2 게오르크 틸레1937-1940
Z3 막스 슐츠1937-1940
Z4 리하르트 베이첸1937-1949
측량함1924–1945
무선 조종 표적함1902–1945


참조

[1] 간행물 Rangliste der deutschen Reichsmarine Naval department of Germany, University of Michigan Library 2010
[2] 서적 Ein Mann: Das Leben des Admirals Ludwig v. Schröder Vieweg+Teubner Verlag 193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